KR101230848B1 -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0848B1
KR101230848B1 KR1020110044068A KR20110044068A KR101230848B1 KR 101230848 B1 KR101230848 B1 KR 101230848B1 KR 1020110044068 A KR1020110044068 A KR 1020110044068A KR 20110044068 A KR20110044068 A KR 20110044068A KR 101230848 B1 KR101230848 B1 KR 101230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socket
handle
unlocking
brak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6349A (ko
Inventor
황준식
김성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100440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0848B1/ko
Priority to DE102012207423.6A priority patent/DE102012207423B4/de
Priority to FR1254215A priority patent/FR2975053B1/fr
Publication of KR20120126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0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08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양단부에 절곡되는 후크가 각각 형성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상기 드럼의 일측에서 상기 후크를 가압하여 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록킹 작용부가 형성되는 소켓과; 상기 한 쌍의 후크를 가압하여 언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한 쌍의 언록킹 작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의 타측에서 상기 소켓과 결합시 상기 록킹 작용부와 언록킹 작용부 사이에 후크가 위치되어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의 록킹 작용부와 핸들의 언록킹 작용부 사이에는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동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후크가 유동되는 유동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하중이나 반복적인 록킹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상기 후크가 작용할 수 있는 작용구간 확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핸들의 언록킹 작용부와 후크 사이에 형성되는 작용구간에 작용구간 확장부가 구비되어, 브레이크 스프링의 후크가 변형되어 절곡되더라도 작용구간 확장부에서 후크가 작용됨으로써, 제품의 제동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핸들의 헛도는 것이 최소화되어, 조작감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RECLINING DEVICE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브레이크 스프링의 작동구간 확장부를 구비해 록킹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변형에 의한 리클라이닝 장치의 브레이크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핸들이 헛도는 구간을 최소화하여 조작감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각도가 조절되는 시트백은 통상 힌지 구조를 통하여 회동이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되, 시트 쿠션측에 각도가 고정된 록킹 상태에서 회동이 가능한 언록킹 상태로 상호 전환이 가능한바, 이러한 록킹-언록킹 상태의 유지 및 전환 기능을 위하여 리클라이너 장치가 설치된다. 즉, 리클라이너 장치에 의해 운전자나 승차자의 체형이나 편의에 따라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일정한 수용공간(11)을 갖는 드럼(10)과, 상기 수용공간(11)에 수용되고 일정 각도 구간에서 회동되는 핸들(20)과, 핸들(20)에 결합되는 소켓(30)과, 상기 핸들(20)과 상기 소켓(3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소켓(30)의 회동에 의해 필요에 따라 상기 드럼(10)의 외측에 밀착되어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스프링(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핸들(20)은 일정높이의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정각도의 요홈(21)이 형성되고, 요홈(21)의 양측면(21a)(21b)에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동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40)의 양단부중 일단부를 선택적으로 가압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30)은 상기 핸들(20)의 요홈(21)에 끼워지는 돌기부(31)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핸들(20)의 요홈(21)에 소켓(30)의 돌기부(31)가 끼워져 결합되면, 상기 요홈(21)의 양측면(21a)(21b)과 돌기부(31) 양측 사이에는 록킹과 언록킹 작용시 브레이크 스프링(40)의 단부 즉, 후술하는 후크(41)가 유동되는 일정 간격의 유동구간(5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40)은 링형태로 형성되되, 감겨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받도록 구성되고, 양단부에는 중심을 향하여 각각 절곡되는 후크(41)가 구성된다.
상기 후크(41)는 상기 유동구간(50)에 각각 위치되며,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형성되어, 상기 소켓(30)의 돌기부(31)와 핸들(20)의 요홈(21)의 양측면(21a)(21b)에 의해 선택적으로 가압력을 받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요홈(21)의 양측면(21a)(21b)은 후크(41)를 가압하는 가압면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상기 핸들(20)의 조작시 즉, 핸들(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40)의 후크(41)중 일측의 후크(41)가 가압되어 브레이크 스프링(40)을 감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어 드럼(10)의 내측면과 브레이크 스프링(40) 사이의 마찰력이 감소되어 상기 핸들(20)의 중앙에 고정되는 리클라이너 장치는 언록킹 상태가 되므로 시트백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소켓(3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브레이크 스프링(40)의 후크(41) 중 타측의 후크(41)를 가압하게 되어 브레이크 스프링(40)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힘을 전달하여 브레이크 스프링(40)과 드럼(1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리클라이너 장치는 록킹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소켓(30)의 반복적인 회동 운동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40)의 후크(41)는 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변형되어 유동구간(50)이 좁혀지거나 후크(41)가 요홈(21)의 양측면에 접촉되어, 변형된 후크(41)가 핸들(20)을 회전시켜 브레이크 스프링(40)과 드럼(10)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핸들(20)과 소켓(30)의 제작시 브레이크 스프링(40)의 후크(41)와 요홈(21)이나 돌기부(31)의 사이의 구비되는 유동구간(50)의 간격을 크게 형성하면 핸들(20)의 헛도는 구간이 증가하여 조작감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핸들의 언록킹 작용부와 후크 사이에 형성되는 작용구간에 작용구간 확장부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스프링의 후크가 변형되어 절곡되더라도 상기 작용구간 확장부에서 후크가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제동력을 발휘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핸들의 헛도는 것을 최소화하여 조작감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양단부에 절곡되는 후크가 각각 형성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상기 드럼의 일측에서 상기 후크를 가압하여 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록킹 작용부가 형성되는 소켓과; 상기 한 쌍의 후크를 가압하여 언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한 쌍의 언록킹 작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의 타측에서 상기 소켓과 결합시 상기 록킹 작용부와 언록킹 작용부 사이에 후크가 위치되어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의 록킹 작용부와 핸들의 언록킹 작용부 사이에는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동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후크가 유동되는 유동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하중이나 반복적인 록킹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상기 후크가 작용할 수 있는 작용구간 확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용구간 확장부는 상기 언록킹 작용부의 일측단의 하부가 함몰되고, 상기 작용구간에 연장되어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후크가 변형된 후에 도피될 수 있도록 요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언록킹 작용부의 하측에는 상기 핸들이나 소켓의 회동시 상기 언록킹 작용부의 하측부가 접촉되는 제1보조 작용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보조 작용부 사이에는 제2보조 작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켓과 핸들이 결합된 후에, 상기 소켓과 핸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소켓의 록킹 작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언록킹 작용부 사이에 형성되며, 걸림턱이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핸들의 언록킹 작용부와 후크 사이에 형성되는 작용구간에 작용구간 확장부가 구비되어, 브레이크 스프링의 후크가 변형되어 절곡되더라도 작용구간 확장부에서 후크가 작용됨으로써, 제품의 제동력을 충분히 발휘하여 유지할 수 있으며, 핸들의 헛도는 것이 최소화되어, 조작감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단면도.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보인 도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요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100)는, 드럼(120)의 내측에 설치되고, 소켓(140)의 회동에 의해 드럼(120)의 내측면에 접촉되는 마찰력에 의해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양단부에 절곡되는 후크(131)가 소켓(140)의 회동에 의해 록킹 작용부(142)에 의해 지속적으로 가압되어 변형되더라도 상기 후크(131)가 절곡되는 방향에 즉, 언록킹 작용부(111)의 단부에 작용구간 확장부(220)를 형성한 구조이다.
상기 드럼(120)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측은 개구되고, 타측은 통공이 형성되어, 일측에 수용공간(1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120)의 수용공간(121)에는 브레이크 스프링(130)이 구비되되,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은 드럼(12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어, 시트백이 일정한 각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제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은 원형의 링처럼 감긴 상태로 구성되어, 양단부에는 중심으로 절곡되고,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후크(131)가 각각 형성된다.
또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은 상기 드럼(120)의 내측면에 접촉되도록 결합되며, 상기 양단부의 후크(131)중 하나의 후크(131)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 브레이크 스프링(130)이 드럼(120)의 내측면과의 마찰력이 증대되거나 저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즉,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를 가압하는 것에 따라 브레이크 스프링(130)이 확장하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거나 감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는 것으로 리클라이너 장치(100)의 제동력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드럼(120)의 수용공간(121)에 브레이크 스프링(130)이 설치될 때,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내측으로 소켓(140)이 끼워지고, 상기 드럼(120)의 타측에서 통공을 통하여 상기 소켓(140)에 핸들(110)이 결합된다.
상기 소켓(140)은 상기 드럼(120)의 수용공간(121)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결합부(141)가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소켓(140)의 결합부(141)에는 리클라이닝 장치(100)의 록킹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 중 하나의 후크(131)를 가압하기 위한 록킹 작용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록킹 작용부(142)는 소켓(140)이 드럼(120)에 결합되어, 소켓(140)의 결합부(141)가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중앙에 끼워질 때,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양단부 사이에 즉,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양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핸들(110)은 드럼(120)의 타측 통공을 통해 끼워져서 상기 소켓(140)에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핸들(110)의 일측에는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양단부 각각의 내측에서 상기 록킹 작용부(142)의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언록킹 작용부(11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드럼(120)에 브레이크 스프링(130)과 소켓(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핸들(110)을 결합하게 되면,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는 상기 소켓(140)의 록킹 작용부(142)와 핸들(110)의 언록킹 작용부(1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소켓(140)의 록킹 작용부(142)와 핸들(110)의 언록킹 작용부(111)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은 리클라이너 장치(100)의 작동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가 상기 록킹 작용부(142)나 언록킹 작용부(111)의 가압에 의해 유동되어 브레이크 스프링(130)과 드럼(12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 제동력을 제어하는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가 유동되는 유동구간(20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유동구간(200)에는 상기 후크(131)와 언록킹 작용부(111) 일측 사이에 언록킹 작용부(111)가 이동하여 언록킹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작용구간(210)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동구간(200)과 작용구간(210)은 상기 록킹 작용부(142)의 양쪽에 각각 구비된다.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는 유동구간(200)의 중간에 위치되어 리클라이너 장치(100)에서 록킹과 언록킹의 작용이 구현될 때, 록킹 작용부(142)나 언록킹 작용부(111)에 의해 가압되어 유동구간(200)에서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트백의 경사를 조절하고자 핸들(110)을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켜 양측의 언록킹 작용부(111)중 하나의 언록킹 작용부(111)가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를 가압하여 밀게 되면, 브레이크 스프링(130)은 감기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압축상태가 되고, 드럼(120)의 내측과 브레이크 스프링(13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감소되어, 장치는 언록킹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소켓(140)을 시계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소켓(140)의 록킹 작용부(142)는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를 가압하여 밀게 되는데, 이때, 브레이크 스프링(130)은 확장하는 방향으로 힘을 받아 인장상태가 되고, 드럼(120)의 내측과 브레이크 스프링(130)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증가함으로써, 장치는 록킹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핸들(110)의 언록킹 작용부(111)에는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가 절곡된 방향으로 변형되더라도 후크(131)와 언록킹 작용부(111) 사이의 작용구간(210)이 연장되어 상기 후크(131)가 이동되도록 하는 작용구간 확장부(220)가 형성된다.
상기 작용구간 확장부(220)는 상기 언록킹 작용부(111)의 일측단 하부가 함몰되고, 상기 작용구간(210)에 연장되어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가 변형된 후에 도피될 수 있는 요홈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언록킹 작용부(111)의 하측에는 제1보조 작용부(230)가 각각 구비되되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구성되고, 상기 제1보조 작용부(230)는 상기 핸들(110)이나 소켓(140)의 회동시 상기 언록킹 작용부(111)의 하측부가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록킹 작용부(142)와 한 쌍의 제1보조 작용부(230)는 일정각도의 간격 즉,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소켓(140)의 일면에서 상기 결합부(141)의 외주에 돌출 형성되어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보조 작용부(230)의 사이에는 핸들(110)이나 소켓(140)의 회동시 제1보조 작용부(230)에 접촉되는 다른 제2보조 작용부(240)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언록킹 작용부(111)와 제2보조 작용부(240)도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즉, 120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핸들(111)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소켓(140)과 핸들(110)이 결합된 후에, 소켓(140)과 핸들(110)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부가 더 구비된다.
분리방지부는 소켓(140)의 록킹 작용부(142)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250)과, 상기 관통홀(250)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핸들(110)의 언록킹 작용부(111)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턱(251a)을 가지는 고정후크(251)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용을 간단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리클라이너 장치(100)를 구성하는 부품의 조립 관계를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상기 드럼(120)의 수용공간(121)에 브레이크 스프링(130)이 끼워져 설치된다.
이후에, 드럼(120)의 일측에서 소켓(140)을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중앙에 끼워 상기 드럼(120)에 임시로 결합한다. 그런 다음, 드럼(120)의 타측에서 통공에 핸들(110)의 언록킹 작용부(111)와 고정후크(251)를 끼워서 상기 소켓(140)과 결합하되, 상기 고정후크(251)를 소켓(140)의 관통홀(250)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장치의 조립을 완료하게 된다.
브레이크 스프링(130)이 고정된 드럼(120)에 소켓(140)과 핸들(110)을 결합할 때에 상기에서는 소켓(140)을 먼저 결합한 후에 핸들(110)을 고정하였는데, 드럼(120)에 핸들(110)을 먼저 임시 고정한 후에, 핸들(110)에 소켓(140)을 결합하는 순서로 조립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리클라이닝 장치(100)의 록킹 상태는 소켓(140)이 회동될 때, 상기 소켓(140)의 록킹 작용부(142)가 회동되면서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후크(131)중 하나의 후크(131)를 푸쉬하게 된다. 그러면, 브레이크 스프링(130)은 확장하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어 그 외경이 커지면서 드럼(120)의 내측면에 완전히 밀착되고, 이에 브레이크 스프링(130)과 드럼(120)의 마찰력이 증가되어 장치의 록킹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반대로, 리클라이닝 장치(100)의 언록킹 상태는 핸들(110)이 회동될 때, 상기 핸들(110)의 언록킹 작용부(111)가 회동되면서 브레이크 스프링(130)의 양단부에 구비되는 후크(131)중 하나의 후크(131)를 가압하여 푸쉬하게 된다. 그러면, 브레이크 스프링(130)은 감기는 방향으로 힘이 전달되어 외경이 작아지면서 드럼(120)과의 마찰력이 감소해 회전 가능한 상태인 장치(100)의 언록킹 상태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리클라이너 장치 110 : 핸들
111 : 언록킹 작용부 120 : 드럼
130 : 브레이크 스프링 131 : 후크
140 : 핸들 142 : 록킹 작용부
200 : 유동구간 210 : 작용구간
220 : 작용구간 연장부 230, 240 : 제1,2보조 작용부
250 : 관통홀 251 : 고정후크

Claims (5)

  1. 통공이 형성되고, 일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양단부에 절곡되는 후크가 각각 형성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상기 드럼의 일측에서 상기 후크를 가압하여 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록킹 작용부가 형성되는 소켓과;
    상기 한 쌍의 후크를 가압하여 언록킹 작용을 수행하는 한 쌍의 언록킹 작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드럼의 타측에서 상기 소켓과 결합시 상기 록킹 작용부와 언록킹 작용부 사이에 후크가 위치되어 유동되도록 구성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소켓의 록킹 작용부와 핸들의 언록킹 작용부 사이에는 리클라이너 장치의 작동시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후크가 유동되는 유동구간이 형성되고,
    상기 후크가 하중이나 반복적인 록킹에 의해 변형되더라도 상기 후크가 작용할 수 있는 작용구간 확장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용구간 확장부는 상기 언록킹 작용부의 일측단의 하부가 함몰되고, 상기 작용구간에 연장되어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의 후크가 변형된 후에 도피될 수 있도록 요홈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언록킹 작용부의 하측에는 상기 핸들이나 소켓의 회동시 상기 언록킹 작용부의 하측부가 접촉되는 제1보조 작용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보조 작용부 사이에는 제2보조 작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과 핸들이 결합된 후에, 상기 소켓과 핸들이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방지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소켓의 록킹 작용부를 관통하여 형성되는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에 걸려 고정되고, 상기 한 쌍의 언록킹 작용부 사이에 형성되며, 걸림턱이 끝단에 형성되는 고정후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20110044068A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230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68A KR101230848B1 (ko)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DE102012207423.6A DE102012207423B4 (de) 2011-05-11 2012-05-04 Fahrzeugsitz-Verstellvorrichtung
FR1254215A FR2975053B1 (fr) 2011-05-11 2012-05-09 Dispositif d'inclinaison de siege de vehic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4068A KR101230848B1 (ko)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349A KR20120126349A (ko) 2012-11-21
KR101230848B1 true KR101230848B1 (ko) 2013-02-07

Family

ID=47070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4068A KR101230848B1 (ko) 2011-05-11 2011-05-11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230848B1 (ko)
DE (1) DE102012207423B4 (ko)
FR (1) FR297505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780B1 (ko) * 2015-10-30 2017-02-03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KR102071474B1 (ko) 2018-10-31 2020-01-3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의 브레이크 장치
KR102223025B1 (ko) 2019-08-30 2021-03-05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458B1 (ko) 2015-07-16 2016-10-04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99118B1 (ko) * 2018-05-30 2019-07-11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83B1 (ko) * 2004-12-27 2006-08-0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JP2007167305A (ja) * 2005-12-21 2007-07-05 Nihon Technica Co Ltd ロック機構とケーシングの嵌合構造と、そのシートバックの荷重調整構造を備えた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8018055A (ja) * 2006-07-13 2008-01-31 Toyota Boshoku Corp 連結装置
JP2010022400A (ja) * 2008-07-15 2010-02-04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46289A1 (de) 1981-11-23 1983-05-26 Keiper Automobiltechnik Gmbh & Co Kg, 5630 Remscheid Bremsfederkupplung fuer stellgetriebe, insbesondere von sitzstellvorrichtungen
DE3819346A1 (de) 1988-06-07 1989-12-14 Keiper Recaro Gmbh Co Bremsfederkupplung fuer stellgetriebe, insbesondere von sitzstellvorrichtungen, vorzugsweise in kraftfahrzeuge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7083B1 (ko) * 2004-12-27 2006-08-0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JP2007167305A (ja) * 2005-12-21 2007-07-05 Nihon Technica Co Ltd ロック機構とケーシングの嵌合構造と、そのシートバックの荷重調整構造を備えた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8018055A (ja) * 2006-07-13 2008-01-31 Toyota Boshoku Corp 連結装置
JP2010022400A (ja) * 2008-07-15 2010-02-04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2780B1 (ko) * 2015-10-30 2017-02-03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KR102071474B1 (ko) 2018-10-31 2020-01-3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의 브레이크 장치
KR102223025B1 (ko) 2019-08-30 2021-03-05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349A (ko) 2012-11-21
DE102012207423B4 (de) 2021-07-22
FR2975053B1 (fr) 2019-03-01
DE102012207423A1 (de) 2012-11-15
FR2975053A1 (fr) 2012-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848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87226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20140145476A1 (en) Vehicle seat
KR101600182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41752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204690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10232746B2 (en) Vehicle seat
KR101173469B1 (ko) 시트용 펌핑 디바이스의 백 드라이브 방지장치
KR101888827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1058472B1 (ko) 차량용 리클라이닝 장치
KR10221529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10710476B2 (en) Releasing lever for sliding device
KR10141743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9911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12744135B (zh) 用于车辆座椅的泵送装置
KR20190036905A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66245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050110265A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JP6772902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41750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047555B1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엑츄에이터
CN216374285U (zh) 一种汽车用座椅调角器
KR101628173B1 (ko) 철도차량 시트의 작동력 저감 리클라이닝 장치
JP5739273B2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