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083B1 -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083B1
KR100607083B1 KR1020040113171A KR20040113171A KR100607083B1 KR 100607083 B1 KR100607083 B1 KR 100607083B1 KR 1020040113171 A KR1020040113171 A KR 1020040113171A KR 20040113171 A KR20040113171 A KR 20040113171A KR 100607083 B1 KR100607083 B1 KR 100607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lock gear
plate
spring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3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4432A (ko
Inventor
허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40113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083B1/ko
Publication of KR20060074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4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시트를 구성하는 쿠션프레임과 사트백프레임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홀더(101)와 어퍼투스브라켓(102); 상기 플레이트홀더(101)와 어퍼투스브라켓(102) 사이의 공간부에는 실질적으로 리클라이닝을 결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작동수단(105)과; 상기 플레이트홀더(101)의 외측에는 작동레버와 레버스프링 및 리턴스프링이 위치하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105)은 플레이트홀더(101)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크기어가이드(110)에 위치하여 어퍼투스브라켓(102)에 형성되는 어퍼투스(111)와 연접, 이탈에 의하여 리클라이닝이 선택되도록 로크투스(112)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로크기어(113)와; 상기 로크기어(113) 상간에 위치하여 로크기어(113)를 어퍼투스(111)와 연접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캠(114)과; 상기 캠(114)의 양측에 돌출되는 스프링돌기(115)와 플레이트홀더(101)에 구비되는 스프링핀(116)에 결합되어 캠(114)을 항상 로킹상태로 유지하는 캠스프링(117)과; 상기 캠(114)과 로크기어(113) 상간에 구비되어 캠(114)의 작동력에 의하여 로크기어(113)를 작동시키는 캠플레이트(125)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자동차,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Reclin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도 1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언리클라이닝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리클라이닝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언리클라이닝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내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리클라이닝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내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리클라이닝장치
105; 작동수단
113; 로크기어
114; 캠
125; 캠플레이트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승차자의 체형에 맞게 자동차의 시트 등받이가 전,후방향으로 각도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개선된 리클라이닝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자동차 탑승자의 탑승자세를 유지하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승차자의 히프부위를 받쳐주는 시트쿠션과 등부위를 받쳐주는 시트백으로 크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시트의 시트백을 전,후방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자유로운 각도로 조절하여 승차자의 체형이나 승차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리클라이닝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닝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본원 출원인 또한 특허 제 297135 호로 등록받은 바 있으며, 이의 기술내용을 도 1내지 도 3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리클라이닝장치(10)는, 시트의 쿠션프레임과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어 중앙에 형성되는 축공(30)을 경유하는 샤프트(31)에 의하여 자유로운 회동이 가능하도록 플레이트홀더(13)와 어퍼투스브라켓(15)를 구비한다.
상기 플레이트홀더(13)와 어퍼투스브라켓(15)사이의 공간부에 순차적으로 로크기어(16)와 캠레버(17) 및 캠플레이트(18)를 삽입한다.
상기 플레이트홀더(13)의 외측에 작동레버(19)와 레버스프링(20) 및 리턴스프링(21)을 위치시키고, 상기 어퍼투스브라켓(15)의 외측에 위치하여 대향위치의 힌지축을 작동시키기 위한 연동브라켓(23)을 포함한다.
상기 로크기어(16)의 외주연과 내측에는 어퍼투스브라켓(15)에 형성되는 기어치(33)와 맞물릴 수 있는 기어치(34)와 캠레버(17)에 형성되는 한쌍의 캠(35)을 수용할 수 있는 캠수용홈(36)을 형성한다.
상기 로크기어(16)에는 캠레버(17)와 연접되는 캠플레이트(18) 상,하측에 형성되는 장형슬로트(40)에 수용되는 돌기(41)를 포함하고, 상기 캠(35)에는 캠플레이트(18)의 장형슬로트(40)의 하측에 형성되는 구멍(42)과 결합되어 캠플레이트(18)를 캠레버(17)와 연동시킬 수 있도록 돌기(43)를 형성한다.
상기 어퍼투스브라켓(15)의 상측에는 리클라이닝시 어퍼투스브라켓(15)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하여 고정되는 어퍼브라켓(45)을 포함하고, 상기 어퍼투스브라켓(15)의 외측으로 돌출된 샤프트(31)상에 결합되어 어퍼투스브라켓(15)의 이탈을 방지하는 푸시너트(46)를 형성한다.
상기 연동브라켓(23)에는 어퍼투스브라켓(15)에 호형상으로 형성되는 슬로트(49)를 통하여 캠(35)과는 직각방향으로 형성되는 한쌍의 레버(50)중 일측 레버(50)에 형성되는 고정공(51)과 결합되는 절곡단부(48)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리클라이닝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작동레버를 작동시키면, 작동레버와 연결된 캠레버가 회전하고, 상기 캠레버의 회전으로 캠레버와 결합된 캠플레이트도 함께 회전한다.
상기 캠플레이트의 회전으로 캠플레이트의 상,하측에 형성된 장형슬로트에 수용된 로크기어의 돌기가 장형슬로트의 가이드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자연스럽게 로크기어는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로크기어가 축방향으로 이동함으로서 어퍼투스브라켓에 형성된 기어치와 맞물려 있던 로크기어의 기어치가 분리됨으로서 리클라이닝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서는 캠플레이트가 작동레버에 의하여 회전하는 타입에 의하여 리클라이닝과 언리클라이닝을 선택하게 됨으로서 전체적인 마찰저항이 심하고, 작동과정에서 상당한 마찰음이 발생하게 되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작동자를 구성하는 로크기어와 캠레버 및 캠플레이트가 복잡하게 구성되어 있어 조립시 정밀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조립이 쉽지 않으며, 리클라이닝 후 언리클라이닝 상태로 복귀하고자 할 때 리클라이너의 외측에 있는 리턴스프링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제 위치를 찾기가 곤란한 문제를 가진다.
특히, 로크기어가 가지는 오차범위 내의 유격에 의하여 원활한 직선운동이 이루어지지 않고 기울어진 상태로 움직일 경우에는 로크기어가 편심된 상태로 결합되어 완전한 물림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로크기어의 리클라이닝과 언리클라이닝 작동을 캠과 캠에 의하여 로크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캠플레이트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로크기어를 다점지지하여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하여 리클라이너의 조립성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분해상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언리클라이닝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내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리클라이닝상태를 도시한 결합상태 내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내부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100)는 자동차의 시트를 구성하는 쿠션프레임과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홀더(101)와 어퍼투스브라켓(102)이 구비된다.
상기 플레이트홀더(101)와 어퍼투스브라켓(102) 사이의 공간부에는 실질적으로 리클라이닝을 결정하기 위한 작동수단(105)이 구비되고, 상기 플레이트홀더(101)의 외측에는 작동레버와 레버스프링 및 리턴스프링이 위치하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플레이트홀더(101)와 어퍼투스브라켓(102) 상간에 개되어 실질적인 리클라이닝 작동을 위한 작동수단(105)을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작동수단(105)은 플레이트홀더(101)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크기어가이드(110)에 위치하여 어퍼투스브라켓(102)에 형성되는 어퍼투스(111)와 연접, 이탈에 의하여 리클라이닝이 선택되도록 로크투스(112)를 형성한 한 쌍의 로크기어(113)를 상,하측에 배치한다.
상기 로크기어(113) 상간의 중간위치에는 로크기어(113)를 어퍼투스(111)와 연접 이탈시키기 위한 캠(114)을 개재하고, 상기 캠(114)의 양측에 돌출되는 스프링돌기(115)는 플레이트홀더(101)에 구비되는 스프링핀(116)에 결합되는 스파이럴 타입의 캠스프링(117)에 의하여 항상 로킹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로크기어(113) 로크투스(112) 대향측에는 개략 V형상의 요입홈(118)을 형성하고, 상기 요입홈(118)의 양측과 중앙에는 양측지지돌기(119)와 중앙지지돌기(120)를 형성한다.
상기 양측지지돌기(119)와 중앙지지돌기(120)는 캠(114)의 상,하측 양측과 중앙에 형성되는 양측지지핀(121)과 중앙지지핀(122)에 의하여 3점지지가 되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캠(114)과 로크기어(113)상간에는 캠(114)의 작동력에 의하여 로크기어(113)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박판의 판상부재로 된 캠플레이트(12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캠플레이트(125)의 상,하측에는 로크기어연결공(126)과 캠연결공(127)을 형성하여 로크기어(113)와 캠(114)에 형성되는 플레이트핀(128,129)와 결합시켜 캠(114)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은 캠플레이트(125)가 직선운동을 통하여 로크기어(113)를 움직이도록 한다.
상기 로크기어연결공(126)은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하여 로크기어(113)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플레이트핀(128)을 용이하게 수용하도록 한다.
상기 캠연결공(127)은 캠(114)의 상,하측에 대각선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핀(129)을 방향성에 관계없이 결합될 수 있으면서 플레이트핀(129)이 미는 힘에 의하여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경사면(130)을 가지도록 개략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로크기어(113)에 형성되는 요입홈(118)은 캠(114)의 중앙지지핀(122)이 작동할 수 있을 정도의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캠(114)의 양측에 형성되는 양측지지핀(121)의 작동방향에는 로크기어(113)에 형성되는 양측지지돌기(119)와 간섭이 없도록 여유공간(131)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초기상태에는 플레이트홀더(101)와 어퍼투스브라켓(102)상간에 개재된 로크 기어(113)의 로크투스(112)가 어퍼투스브라켓(102)에 내부에 원형으로 형성된 어퍼투스(111)와 맞물린 상태에 있기 때문에 어퍼투스브라켓(102)이 회전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는 어퍼투스브라켓(102)의 외측에 작동레버의 복귀를 위하여 구비되는 레버스프링의 복원력과 더불어, 플레이트홀더(101)내부에 형성되는 스프링핀(116)에 결합된 캠스프링(117)이 캠(114)을 밀어 캠(114)이 로크기어(113)를 로킹상태로 밀어주는 상태에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시트의 등받이를 리클라이닝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작동레버를 작동시키면 이와 연결된 샤프트(S)가 캠(114)을 회동시키게 되고, 이 과정에서 캠(114)에 형성된 양측지지핀(121)과 중앙지지핀(122)은 로크기어(113)의 양측지지돌기(119)와 중앙지지돌기(120)를 벗어나게 된다.
동시에 로크기어(113)와 캠(114)에 형성되는 플레이트핀(128,129)를 통하여 연결된 캠플레이트(125)가 캠(114)에 의하여 직선운동을 하게 되고, 상기 캠플레이트(125)에 의하여 로크기어(113)가 어퍼투스(111)와 이탈됨으로서 리클라이닝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캠(114)이 회전하면서 캠(114)에 형성된 플레이트핀(129)이 캠플레이트(125)의 하측에 형성된 캠연결공(127)과 결합된 상태에 있음으로서 캠연결공(127)의 경사면(130)를 밀어(눌러)줌으로서 캠플레이트(125)를 당기게 되고, 상기 캠플레이트(125)의 상측에 형성된 로크기어연결공(126)에는 로크기어(113)에 형성된 플레이트핀(128)이 결합된 상태에 있음으로서 캠플레이트(125)에 의하여 로크기어 (113)가 당겨질 수 있게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캠플레이트(125)에 형성되는 캠연결공(127)의 경우에는 캠(114)의 회전운동에 대한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경사면(130)을 형성하고 있어, 상기 플레이트핀(129)이 경사면(130)을 당기거나 밀어서 캠플레이트(125)를 상,하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의 등받이를 원하고자 하는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에는 당기로 있던 작동레버를 놓음으로서, 작동레버는 레버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원래의 위치로 돌아간다.
상기 작동레버의 복귀와 동시에 작동레버와 연결된 샤프트(S)가 복귀하고, 상기 샤프트(S)와 연결된 캠(114)이 복귀하면서 캠플레이트(125)를 원래의 위치로 밀어올려 로크기어(113)를 초기상태의 위치로 복귀시켜 로크투스(112)와 어퍼투스(111)를 맞물리게 함으로서 언리클라이닝 상태로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는 캠스프링(117)이 캠(114)의 복귀를 도우게 되고, 캠(114)에 형성되는 양측지지핀(121)과 중앙지지핀(122)이 로크기어(113)의 양측지지돌기(119)와 중앙지지돌기(120)를 밀어올려 3점지지하게 됨으로서 로크기어(113)는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캠스프링(116)의 외측 상,하측에 구비되는 보조스프링핀(140)으로 유지되는 개략 ⊃형상의 판스프링(141)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스프링(141)의 내측단부(142)는 로크기어(113)의 양측 하단부(143)를 받쳐주어 로크기어(113)가 항상 로킹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즉, 로크해제에서 로크상태로 움직일 때 판스프링(141)이 로크기어(113)를 항상 밀어주어 캠(114)이 밀어주는 힘에 관계없이 로크기어(113)가 로킹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는, 상기 로크기어(113)를 작동시키기 위한 캠플레이트(150)를 캠(114)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캠플레이트(150)에는 로크기어(113)의 중앙에 형성되는 작동돌기(151)를 수용하는 작동홀(152)을 형성한다.
상기 작동홀(152)은 캠(114)의 회전에 대하여 작동돌기(151)를 상,하방향으로 밀고 당길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상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로크기어의 리클라이닝과 언리클라이닝 작동을 캠과 캠에 의하여 로크기어와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하는 캠플레이트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과 아울러 로크기어를 다점지지하여 원활한 작동성을 보장하여 리클라이너의 조립성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Claims (6)

  1. 자동차의 시트를 구성하는 쿠션프레임과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는 플레이트홀더(101)와 어퍼투스브라켓(102);
    상기 플레이트홀더(101)와 어퍼투스브라켓(102) 사이의 공간부에는 실질적으로 리클라이닝을 결정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작동수단(105)과;
    상기 작동수단(105)은 플레이트홀더(101)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크기어가이드(110)에 위치하여 어퍼투스브라켓(102)에 형성되는 어퍼투스(111)와 연접, 이탈에 의하여 리클라이닝이 선택되도록 로크투스(112)를 형성하여 배치되는 로크기어(113)와;
    상기 로크기어(113) 상간에 위치하여 로크기어(113)를 어퍼투스(111)와 연접 이탈시킬 수 있도록 구비되는 캠(114)과;
    상기 캠(114)의 양측에 돌출되는 스프링돌기(115)와 플레이트홀더(101)에 구비되는 스프링핀(116)에 결합되어 캠(114)을 항상 로킹상태로 유지하는 캠스프링(117)과;
    상기 캠(114)과 로크기어(113) 상간에 구비되어 캠(114)의 작동력에 의하여 로크기어(113)를 작동시키는 캠플레이트(125)를 포함하고;
    상기 로크기어(113)에는 로크투스(112) 대향측에 형성하는 요입홈(118)과;
    상기 요입홈(118)의 양측과 중앙에 형성하는 양측지지돌기(119)와 중앙지지돌기(1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114)의 상,하측 양측과 중앙에는 로크기어(113)의 양측지지돌기(119)와 중앙지지돌기(120)를 3점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양측지지핀(121)과 중앙지지핀(122)을 더 포함하고;
    상기 캠플레이트(125)의 상,하측에 형성하여 로크기어(113)와 캠(114)에 형성되는 플레이트핀(128,129)와 결합시켜 캠(114)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은 캠플레이트(125)가 직선운동을 통하여 로크기어(113)를 움직이도록 하는 로크기어연결공(126)과 캠연결공(127)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홀더(101)의 외측에는 작동레버와 레버스프링 및 리턴스프링이 위치하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캠연결공(127)은 캠(114)의 상,하측에 대각선상으로 형성되는 플레이트핀(129)을 방향성에 관계없이 결합하고,
    상기 플레이트핀(129)의 미는 힘에 의하여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경사면(130)을 가지는 대칭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어(113)에 형성되는 요입홈(118)은 캠(114)의 중앙지지핀(122)이 작동할 수 있을 정도의 여유공간을 가지도록 하고,
    상기 캠(114)의 양측에 형성되는 양측지지핀(121)의 작동방향에는 로크기어(113)에 형성되는 양측지지돌기(119)와 간섭이 없도록 여유공간(131)을 더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캠스프링(116)의 외측에는 보조스프링핀(140)으로 유지되는 판스프링(141)을 더 구비하고;
    상기 판스프링(141)의 내측단부(142)는 로크기어(113)의 하단부(143)를 받쳐주어 로크해제에서 로크상태로 움직일 때 캠(114)이 밀어주는 힘에 관계없이 로크기어(113)가 항상 로킹상태를 유지하도록 밀어주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기어(113)를 작동시키는 캠플레이트(150)를 캠(114)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캠플레이트(150)에는 로크기어(1130의 중앙에 형성되는 작동돌기(151)를 수용하는 작동홀(152)을 더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홀(152)은 캠(114)의 회전에 대하여 작동돌기(151)를 상,하방향으로 밀고 당길 수 있도록 호 형상으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1020040113171A 2004-12-27 2004-12-27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1006070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171A KR100607083B1 (ko) 2004-12-27 2004-12-27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3171A KR100607083B1 (ko) 2004-12-27 2004-12-27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432A KR20060074432A (ko) 2006-07-03
KR100607083B1 true KR100607083B1 (ko) 2006-08-01

Family

ID=37167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3171A KR100607083B1 (ko) 2004-12-27 2004-12-27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08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48B1 (ko) * 2011-05-11 2013-02-0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91784B (zh) * 2017-02-21 2019-03-05 广州视源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轮盘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073A (ko) * 2000-03-06 2001-09-15 연제세 추첨식 판매 방법 및 시스템
JP2002345587A (ja) 2001-05-24 2002-12-03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7073A (ko) * 2000-03-06 2001-09-15 연제세 추첨식 판매 방법 및 시스템
JP2002345587A (ja) 2001-05-24 2002-12-03 Fuji Kiko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848B1 (ko) * 2011-05-11 2013-02-0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4432A (ko) 2006-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32128B2 (en) Vehicle seat
KR100623961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US8025338B2 (en) Adjustable head restraint system for an automotive vehicle seat
US9789795B2 (en) Head rest
US9731630B2 (en) Seat slide device
EP2901893A1 (en) Head rest
US6220666B1 (en) Seat reclining device
EP2902255A1 (en) Head rest
EP2902254A1 (en) Head rest
KR100517413B1 (ko) 시트의 리클라이너 조절장치
KR100607083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100559464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20190035292A (ko)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H11208325A (ja) ウォークイン機構付き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5095585A (ja) 車両シートリクライナー
EP0858927A2 (en) Reclining device
CN211417032U (zh) 汽车座椅靠背的手动锁紧装置及包括其的汽车座椅
JP3661406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3295649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402536B2 (ja) 乗物シート用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3231433A (ja) シートトラック装置
JP2013032075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S6319372B2 (ko)
KR100455044B1 (ko)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JP5027551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