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2780B1 -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2780B1
KR101702780B1 KR1020150151560A KR20150151560A KR101702780B1 KR 101702780 B1 KR101702780 B1 KR 101702780B1 KR 1020150151560 A KR1020150151560 A KR 1020150151560A KR 20150151560 A KR20150151560 A KR 20150151560A KR 101702780 B1 KR101702780 B1 KR 101702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socket
shaft
ho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1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50151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2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2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5Gear wheel driven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67Ratchet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0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one or more circumferential b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02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one or more circumferential band
    • F16D51/04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one or more circumferential band mechanically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양단부에 걸림돌기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결합부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주변으로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반대쪽에서 상기 하우징에 끼워져 상기 복수의 결합홀에 각각 끼워져 걸림되는 복수의 걸림후크가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결합홀의 가장자리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후크가 결합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복수의 결합후크의 내측 주변에 결합후크가 관통홀 쪽으로 탄성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드럼 브레이크를 샤프트에 결합할 때, 결합후크가 결합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Drum Brake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핸들과 드럽이 상호 결합되는 결합 부분을 개선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탈 발생 공간을 줄여서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운전석과 조수석에 구비되어 한 사람만 착석할 수 있도록 한 세퍼레이터 타임 시트와, 여러명이 동시에 착석할 수 있도록 승객실의 후방에 구비되는 벤치타입 시트 또는 다열시트로 구분된다.
상기 시트는 뼈대를 구성하는 금속재질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승차자의 신체와 접촉하여 승차감을 높이도록 하면서 체형과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피복하여 구성하는 시트쿠션과 시트백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는 차체바닥면과 고정되는 로어레일과, 상기 로어레일과 결합되어 이동하면서 시트포지션을 잡는 어퍼레일로 구성되는 시트레일에 의해 유지된다. 상기 시트레일의 내부에는 링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수단은 시트의 외측에 구비되는 손잡이와 연결하여 시트쿠션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시트높이 조절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시트높이 조절장치는 피니언 기어의 회전유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드럼 브레이크를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드럼 브레이크의 일예가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럼 브레이크(10)는, 수용공간(11a)을 갖는 하우징(11)과, 하우징(11)의 수용공간(11a) 내주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브레이크 스프링(12)과,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2)의 양단부 중 하나의 단부를 가압하는 소켓(13)과, 상기 소켓(13)과 결합되며 탑승자가 조작하기 위한 핸들(14)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은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되, 내측에는 수용공간(11a)이 형성되고, 수용공간(11a)을 관통하도록 양측이 개구되어 형성된다.
브레이크 스프링(12)은 원형의 링처림 수회 감진 상태로 구성되되, 양단부가 그 중심을 향해 절곡된다. 그리고, 상기 절곡된 양단부가 일정각도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소켓(13)에 걸리는 후크 역할을 하게 된다.
소켓(13)은 브레이크 스프링(12)의 내측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11)의 일측에서 수용공간(11a)에 끼워져 결합된다. 소켓(13)의 일면에는 핸들(14)이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홀(13a)이 형성된다.
핸들(14)은 하우징(11)의 타측에서 끼워져 소켓(13)에 결합되어 드럼 브레이크(10)의 구성요소를 결합하여 하나의 장치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핸들(14)에는 상기 하우징(11)의 수용공간(11a)으로 끼워져 소켓(13)의 결합홀(13a)에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후크(14a)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켓(13)과 핸들(14)의 중앙에는 관통홀(13b)(14b)이 형성되어 있어 드럼 브레이크(10)가 샤프트(미도시)에 관통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럼 브레이크(10)는 조립시 핸들(14)의 결합후크(14a)가 소켓(13)의 다수의 결합홀(13a)에 관통된 후에, 다수의 결합후크(14a)의 걸림턱이 결합홀(13a)의 가장자리에 걸려서 이탈이 방지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하나의 바디로 조립된 드럼 브레이크(10)를 시트에 결합된 샤프트에 장착할 때, 편심 하중이 발생되어 다수의 결합후크(14a)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후크(14a)가 헐거워지고 이로 인하여 결합홀(13a)에서 결합후크(13a)가 이탈되어 조립된 하나의 바디가 분해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2012-0083568호 (2012.07.26.)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핸들이 결합되는 소켓에 핸들의 걸림후크를 가압하도록 탄력적으로 구성되는 가압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브레이크의 조립성을 향상시키면서 이탈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측이 관통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걸림돌기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브레이크 스프링과,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에 끼워진 후에 상기 수용공간에 끼워지는 결합부가 그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시트에 결합된 샤프트가 끼워져 관통되는 상기 결합부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주변으로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반대쪽에서 상기 하우징에 끼워져 상기 복수의 결합홀에 각각 끼워져 걸림되는 복수의 걸림후크가 구비되는 핸들과,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결합홀의 가장자리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후크가 결합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는 소켓의 반대편 쪽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후크를 각각 상기 샤프트의 반대쪽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소켓에서 상기 결합부의 반대쪽 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탄성력을 받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요홈의 내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끝에서 상기 샤프트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부는, 그 끝이 상기 샤프트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홀로 돌출 형성되되, 결합홀에 일부 겹쳐져서 상기 관통홀에 샤프트가 끼어질 때, 샤프트에 접촉되면서 수평부가 샤프트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 쪽으로 밀리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관통홀의 주변 즉, 복수의 결합후크의 내측 주변에 결합후크가 관통홀 쪽으로 탄성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됨으로써, 드럼 브레이크를 샤프트에 결합할 때, 결합후크가 결합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의 브레이크 드럼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브레이크 드럼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드럼 브레이크에서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소켓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7은 도 5의 소켓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5의 소켓을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도 3의 드럼 브레이크에서 소켓의 결합홀에 핸들의 결합후크가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도 3의 드럼 브레이크가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드럼 브레이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드럼 브레이크에서 소켓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소켓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5의 소켓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소켓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3의 드럼 브레이크에서 소켓의 결합홀에 핸들의 결합후크가 끼워지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3의 드럼 브레이크가 샤프트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100)는 시트 쪽에 결합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브레이크 작용을 수행하는 브레이크 스프링(120)과, 브레이크 스프링(120)에 끼워져서 하우징(110)에 결합되는 소켓(130)과, 소켓(130)의 맞은편에서 하우징(110)에 끼워져 소켓(130)에 결합되는 핸들(140)과, 소켓(130)에 구비되어 핸들(140)이 소켓(13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유닛(15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양측이 개구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에 수용공간(111)이 형성된다. 하우징(110)의 개구된 일측 가장자리에는 하우징(110)을 시트 쪽에 체결부재로 장착하기 위한 복수의 장착돌출부가 돌출 형성된다.
브레이크 스프링(120)은 링 형태로 형성되되, 감겨지는 방향으로 탄성을 받도록 구성되고, 양단부에는 중심으로 절곡되어 상기 소켓(130)에 의해 가압되도록 소켓(130)에 걸림되는 걸림돌기(12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소켓(130)은 브레이크 스프링(120)의 내측으로 끼워진 후에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에 결합된다. 소켓(130)은 일측에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120)의 내측에 끼워지는 결합부(131)가 돌출 형성된다. 상기 소켓(130)의 결합부(131) 중앙에는 샤프트(50)에 관통 결합되도록 하는 관통홀(132)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130)의 결합부(131)에는 드럼 브레이크(100)의 제동시 브레이크 스프링(120)의 걸림돌기(121) 중 하나의 걸림돌기(121)를 가압하기 위한 제동 작용부(134)가 형성된다.
상기 제동 작용부(134)는 소켓(130)이 하우징(110)에 결합되어 소켓(130)의 결합부(131)가 브레이크 스프링(120)의 중앙에 끼워질 때 브레이크 스프링(120)의 양단부 사이에 즉, 브레이크 스프링(120)의 양단부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동 작용부(134)에는 후술하는 핸들(140)에 형성되는 복수의 결합후크(141)가 각각 관통 결합되는 복수의 결합홀(133)이 형성된다. 즉, 결합홀(133)은 상기 관통홀(132)이 형성되는 결합부(131)의 주변에 관통 형성된다.
상기 핸들(140)은 소켓(130)이 결합되는 부분의 맞은쪽의 하우징(110)의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으로 끼워져서 소켓(130)에 결합된다.
상기 핸들(140)은 수용공간(111)으로 끼워지는 일측에 상기 소켓(130)의 결합홀(133)에 끼워지는 복수의 결합후크(141)가 돌출 형성된다. 복수의 결합후크(141)는 결합홀(133)에서 유동되지 않고 슬라이드되어 끼워지도록 형성되되, 결합홀(133)의 내측의 중간부분 까지 위치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결합후크(141)의 끝에는 결합홀(133)을 관통하여 결합홀(133)의 가장자리에 걸림되는 걸림턱(142)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유닛(150)은 결합부(131)가 형성되는 소켓(130)의 반대쪽에 돌출 형성되어 결합후크(141)를 샤프트(50)의 반대쪽으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151)로 구성된다.
상기 이탈방지유닛(150)은 소켓(130)에서 상기 결합부(131)의 반대쪽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151)가 탄성력을 받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요홈(152)을 더 포함한다.
즉, 소켓(130)에 핸들(140)을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후크(141)를 결합홀(133)에 끼워 넣을 때, 결합후크(141)의 걸림턱(142)이 결합홀(133)의 내주면에 밀착될 때, 도 9와 같이, 결합후크(141)가 요홈(152)에 의해 관통홀(132) 쪽으로 탄성 변형된다.
상기 지지부재(151)는 요홈(152)의 내주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샤프트(50)와 같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수직부(151a)와, 상기 수직부(151a)의 끝에서 샤프트(50)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151b)를 포함한다.
수평부(151b)는 그 끝이 상기 샤프트(50)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홀(133)로 돌출 형성되되, 결합홀(133)에 일부 겹쳐져서 상기 관통홀(132)에 샤프트(50)가 끼어질 때, 샤프트(50)에 접촉되면서 수평부(151b)가 샤프트(50)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141) 쪽으로 밀리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드럼 브레이크(100)를 구성하는 각 부품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장치인 드럼 브레이크(100)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소켓(130)의 결합부(131)를 링 형상의 브레이크 스프링(120)의 내측에 끼워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에 브레이크 스프링(120)이 결합된 소켓(130)을 끼워 결합한다.
이후에, 상기 소켓(130)이 끼워지는 반대 쪽의 상기 하우징(110)의 수용공간(111)의 개구를 통해 결합후크(141)가 형성된 핸들(140)을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핸들(140)의 결합후크(141)를 소켓(130)의 결합홀(133)에 끼우게 되면, 도 9와 같이, 결합홀(133)의 내주면에 결합후크(141)의 걸림턱(142)이 밀착되면서 결합후크(141)가 결합홀(133)의 내주면에 의해 관통홀(132) 쪽으로 가압되어 탄성 변형이 일어난다.
이후에, 결합후크(141)를 결합홀(133)에 끼워서 완전히 관통시키면 결합홀(133)의 가장자리 중 결합홀(133)의 외측 가장자리에 결합후크(141)의 걸림턱(142)이 걸려 소켓(130)에 핸들(140)의 결합이 완료되며 드럼 브레이크(10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렇게 드럼 브레이크(100)의 조립이 완료되면, 이 조립된 드럼 브레이크(100)를 시트에 결합하기 위해서 시트에 구비되는 샤프트(50)에 끼워 결합하게 된다.
이때, 관통홀(132)까지 겹쳐져서 형성된 지지부재(151)의 수평부(151b)가 관통홀(132)에 끼워지는 샤프트(50)에 의해 가압되어 결합후크(141) 쪽으로 밀리게 된다.
그러면, 지지부재(151)와 결합후크(141)와의 사이가 매우 밀접하게 되거나 지지부재(151)가 결합후크(141)에 접촉되는 상태가 결합후크(141)가 지지부재(151)에 의해 결합홀(133)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100)에 의하면, 관통홀(132)의 주변 즉, 복수의 결합후크(141)의 내측 주변에 결합후크(141)가 관통홀(132) 쪽으로 탄성 변형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부재(151)가 구비됨으로써, 드럼 브레이크(100)를 샤프트(50)에 결합할 때, 결합후크(141)가 결합홀(133)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50 : 샤프트
100 : 드럼 브레이크
110 : 하우징 111 : 수용공간
120 : 브레이크 스프링 121 : 걸림돌기
130 : 소켓
131 : 결합부 132 : 관통홀
133 : 결합홀
140 : 핸들
141 : 결합후크 142 : 걸림턱
150 : 이탈방지유닛
151 : 지지부재 151a : 수직부
151b : 수평부
152 : 요홈

Claims (5)

  1. 양측이 관통되고, 내측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되, 양단부에 걸림돌기가 절곡되어 형성되는 브레이크 스프링;
    상기 브레이크 스프링에 끼워진 후에 상기 수용공간에 끼워지는 결합부가 그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되, 시트에 결합된 샤프트가 끼워져 관통되는 상기 결합부의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의 주변으로 복수의 결합홀이 형성되는 소켓;
    상기 소켓의 반대쪽에서 상기 하우징에 끼워져 상기 복수의 결합홀에 각각 끼워져 걸림되는 복수의 걸림후크가 구비되는 핸들;
    상기 결합부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후크를 상기 결합홀의 가장자리 쪽으로 가압하여, 상기 걸림후크가 결합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방지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결합부가 형성되는 소켓의 반대편 쪽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복수의 결합후크를 각각 상기 샤프트의 반대쪽으로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유닛은
    상기 소켓에서 상기 결합부의 반대쪽 면에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지지부재가 탄성력을 받도록 함몰되어 형성되는 요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요홈의 내주면에서 외측을 향해 수직으로 형성되는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끝에서 상기 샤프트를 향해 절곡 형성되는 수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는,
    그 끝이 상기 샤프트가 관통 결합되는 결합홀로 돌출 형성되되, 결합홀에 일부 겹쳐져서 상기 관통홀에 샤프트가 끼어질 때, 샤프트에 접촉되면서 수평부가 샤프트에 의해 상기 결합후크 쪽으로 밀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KR1020150151560A 2015-10-30 2015-10-30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KR101702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60A KR101702780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1560A KR101702780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2780B1 true KR101702780B1 (ko) 2017-02-03

Family

ID=581563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1560A KR101702780B1 (ko) 2015-10-30 2015-10-30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27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474B1 (ko) * 2018-10-31 2020-01-3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의 브레이크 장치
KR20240061874A (ko) 2022-11-01 2024-05-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의 브레이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7372B1 (ko) * 2011-05-30 2012-01-19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20120083568A (ko)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브레이크 드럼
KR101230848B1 (ko) * 2011-05-11 2013-02-0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20130024640A (ko)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펌핑디바이스
KR20150096931A (ko) * 2014-02-17 2015-08-2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83568A (ko) 2011-01-18 2012-07-26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브레이크 드럼
KR101230848B1 (ko) * 2011-05-11 2013-02-0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107372B1 (ko) * 2011-05-30 2012-01-19 소윤서 줄 길이 조절장치
KR20130024640A (ko) * 2011-08-31 2013-03-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 펌핑디바이스
KR20150096931A (ko) * 2014-02-17 2015-08-2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1474B1 (ko) * 2018-10-31 2020-01-30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의 브레이크 장치
KR20240061874A (ko) 2022-11-01 2024-05-08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의 브레이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90552B (zh) 用于车辆座椅的饰板和泡沫总成
US10406953B2 (en) Vehicle seat
JP5989706B2 (ja) 乗物用シート
US10052989B2 (en) Headrest device
JP2004338703A (ja) 座席に装着されるエアバッグ・ユニットの改良
JP6572973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702780B1 (ko) 차량용 시트의 드럼 브레이크
WO2015111561A1 (ja) 乗物用シート
JP6226850B2 (ja) 乗り物用シート
US20150336493A1 (en) Vehicle seat
US10315583B2 (en) Vehicle seat
KR101330996B1 (ko) 리어시트백 어셈블리의 조립장치
KR101385432B1 (ko)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착 구조물
EP3172089B1 (fr) Dispositif de sécurité à pièce d'interface positionnée par rapport au boîtier à sac gonflable, pour un siège de véhicule
JP2015003595A (ja) 乗物用シート
JP6517525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32696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070022B1 (ko) 차량의 시트 리클라이너
KR101251839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JP2018095151A (ja) スライドレール支持構造
KR20220011297A (ko) 자동차의 스위블 시트용 테더 앵커리지 장치
JP5958334B2 (ja) 車両用シート
US9204724B2 (en) Seat assembly
JP2014147432A (ja) シートクッション
KR20190057906A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