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2458B1 -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2458B1
KR101662458B1 KR1020150100969A KR20150100969A KR101662458B1 KR 101662458 B1 KR101662458 B1 KR 101662458B1 KR 1020150100969 A KR1020150100969 A KR 1020150100969A KR 20150100969 A KR20150100969 A KR 20150100969A KR 101662458 B1 KR101662458 B1 KR 101662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wedge block
socket
gear bracket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501009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2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2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2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002/02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205/00General mechanical or structural details
    • B60N2205/50Interlocking shaft arrangements transmitting movement between hinge mechanisms on both sides of a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익스터널 기어브래킷, 인터널 기어브래킷, 상기 익스터널 기어브래킷과 상기 인터널 기어브래킷 사이의 내부 편심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인터널 기어브래킷 및 상기 익스터널 기어브래킷을 편심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소켓, 및 상기 편심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통해서 입력되는 역입력 토크의 작용으로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구동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리 형상의 웨지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RECLINER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입력 토크 또는 반복 하중에 의해서 로킹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브레이크 유닛을 구비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실내 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된 운전석, 조수석 그리고 동승석 좌석인 시트(Seat)는 탑승자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편의장치로서,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시트쿠션(seat cushion)을 밀고 당겨 조정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 더불어 등받이에 해당하는 시트백(seat back)의 기울기를 조정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 기능 및 탑승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도록 시트쿠션의 높이를 조정하는 시트 하이트 조정(height adjustment) 기능이 구비된다.
리클라인 기능은 통상, 리클라이너(recliner)라 불리며 시트 쿠션과 시트백이 연접하는 부위로 장착되는 장치를 통해 구현되며, 통상적으로 구동방식에 따라 기어를 이용하여 연속적으로 조절이 가능한 컨티뉴스 리클라이너(continuous recliner)와, 투스(tooth)를 이용하는 로킹과 언로킹 작용으로 일정한 각도 조절이 가능한 티스컨티뉴스 리클라이너(continuous recliner)로 분류된다.
이와 같은 컨티뉴스 리클라이너는, 레버나 모터를 통해 샤프트가 회전하게 되면, 샤프트에 연결된 소켓에 회전력이 전달되고, 소켓의 회전력으로 웨지블록이 회전되어, 기어 잇수 차이를 갖는 인터널 기어브래킷과 익스터널 기어브래킷 사이의 치합 구간 위치 변화가 발생되는 방식을 이용한다.
이러한 치합 구간 변화에 상당하는 회전량으로 시트백의 각도가 조정되는 것이다.
시트백의 각도 조정이 완료 후 한 쌍의 웨지블록 사이의 간격이 웨지 스프링에 의해 일정량 유지되는 상태가 되어, 한 쌍의 웨지블록이 익스터널 기어브래킷과 인터널 기어브래킷 사이에서 일종의 쐐기로서 작용하여 리클라이너의 로킹 기능이 구현된다.
그러나, 시트백은 탑승객을 통해 반복적인 하중을 받으므로 리클라이너에도 동일한 하중이 가해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반복 하중 조건으로 인해 리클라이너에는 필연적으로 로킹 상태를 해제시키려는 토크가 역으로 입력되는 풀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349호에는, 리클라이너의 외부에 별도로 구비되며, 소켓, 드럼, 브레이크 스프링 및 핸들을 포함하는 브레이크 유닛을 이용하여, 시트백을 통한 반복 하중에 의해서 리클라이너의 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은 리클라이너 이외에 별도의 브레이크 유닛과, 이러한 브레이크 유닛을 시트의 프레임에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브래킷을 추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시트 자체의 중량 및 제품의 원가가 증가되는 문제점 및 이러한 브레이크 유닛을 추가로 조립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체 조립 공정이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구성은 시트백이 고정된 초기 상태에서 시트백의 각도 조정을 개시하기 위해서, 리클라이너 자체의 로킹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샤프트의 아이들 회전각도량(idle angle)에 더불어 브레이크 유닛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한 아이들 회전각도량이 추가되어야 하기 때문에, 시트백의 각도 조정을 위한 아이들 회전각도량이 지나치게 증가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2634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리클라이너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유닛으로서 고리 형상의 웨지 링을 리클라이너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웨지 링과 함께 웨지블록이 풀림 방지를 위한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별도의 브레이크 유닛 및 브레이크 유닛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을 배제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내주면에 익스터널 기어가 형성되는 익스터널 기어브래킷,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 중에서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익스터널 기어에 치합하는 인터널 기어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인터널 기어브래킷, 상기 익스터널 기어브래킷과 상기 인터널 기어브래킷 사이의 내부 편심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인터널 기어브래킷 및 상기 익스터널 기어브래킷을 편심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소켓; 및 상기 편심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통해서 입력되는 역입력 토크의 작용으로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구동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리 형상의 웨지 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지 링은, 양단부가 분리된 고리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웨지 돌기와, 상기 양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벤딩부 및 제2 벤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재는, 각각의 일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편심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웨지블록과 제2 웨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웨지 돌기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웨지블록을 향하는 제1 웨지 경사면과, 상기 제2 웨지블록을 향하는 제2 웨지 경사면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 웨지블록의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웨지 돌기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웨지블록의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웨지 돌기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토퍼 돌기에는 상기 제1 웨지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1 스토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토퍼 돌기에는 상기 제2 웨지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스토퍼면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은, 회전시 상기 제1 웨지블록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웨지블록의 타단부를 가압하는 작동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돌기에는, 상기 한 쌍의 벤딩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의 회전시에 상기 걸림홈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2 벤딩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웨지 링이 상기 소켓이 함께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작동 돌기와 상기 제1 웨지블록의 타단부 사이, 그리고 상기 작동 돌기와 상기 제2 웨지블록의 타단부 사이에는 각각 제1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벤딩부와 상기 걸림홈의 내측면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벤딩부와 상기 걸림홈의 내측면 사이에는 각각 제2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웨지 경사면과 상기 제1 스토퍼면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웨지 경사면과 상기 제2 스토퍼면 사이는 각각 제3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간격이 상기 제2 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1 간격이 상기 제3 간격보다 작게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리클라이너의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브레이크 유닛으로서 고리 형상의 웨지 링을 리클라이너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하고, 웨지 링과 함께 웨지블록이 풀림 방지를 위한 브레이크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와 같은 별도의 브레이크 유닛 및 브레이크 유닛의 설치를 위한 브래킷을 배제할 수 있어, 리클라이너 전체 사이즈 및 중량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의 회전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구성 중 소켓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구성 중 웨지블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구성 중 웨지 링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A'방향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B-B'방향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라 소켓의 회전에 의해 리클라이너의 각도 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백에 반복 하중이 가해지는 상황에서 리클라이너의 브레이킹이 구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레일의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을 수 있다.
아울러, 이하의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10)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10)의 회전축방향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10)는,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 인터널 기어브래킷(120), 소켓(150), 부시(160), 가이드 링(130), 커버 플레이트(140), 구동부재(200) 및 브레이크 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은 시트 쿠션 프레임 또는 시트백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중앙에는 회전축(도 2의 X-X')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샤프트(미도시)가 관통하여 연장되는 관통홀(111)이 형성된 센터 돌기(113)가 구비된다. 이 센터 돌기(113)의 외주면과 후술하는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의 가이드 보스(123)의 내주면 사이에는 구동부재(200) 및 소켓(150)이 안착되는 편심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내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치로 형성되는 익스터널 기어가 원주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내부에 후술하는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이 수용된다.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은 시트 쿠션 프레임 또는 시트백 프레임 중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고, 중앙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부시(160)가 끼워져 결합되는 가이드 홀(121)이 형성되도록 튜브 형상을 갖고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보스(123)가 구비된다. 부시(160)가 결합된 가이드 홀(121)의 내측면에는 편심 공간이 형성되며, 편심 공간에는 후술하는 소켓(150) 및 구동부재(200)가 배치된다.
또한,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기어치로 형성되며 상기 익스터널 기어(112)가 치합되는 인터널 기어(122)가 원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구비된다.
이러한 인터널 기어(122)는 익스터널 기어(112)의 기어치 개수보다 작은 수의 기어치를 갖도록 구성된다.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은 후술하는 구동부재(200)에 의해서 편심 회전될 수 있도록,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내부에 편심되어 배치된다. 즉,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회전 중심과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의 회전 중심은 서로 불일치되는 관계가 된다.
한편, 부시(160)는 후술하는 구동부재(200)로부터 전달된 회전력 및 토크를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에 전달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성 및 마찰계수를 갖는 금속 소재로 형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의 가이드 홀(121)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삽입되어 결합된다.
소켓(150)은, 샤프트로부터 회전력 및 토크를 전달받아 후술하는 구동부재(2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중앙에는 샤프트가 상대회전 불능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스플라인(spline) 방식으로 결합되는 결합홀(154)이 형성된다.
소켓(150)의 결합홀(154) 가장자리에는 소켓(150)의 일측면으로부터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관통홀(111)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는 소켓 돌기(151)가 형성된다.
즉, 소켓(150)의 일측면 중앙에 소켓 돌기(151)가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을 향하여 돌출 형성되고, 이 소켓 돌기(151)를 관통하여 샤프트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결합홀(154)이 형성되며, 소켓(150)의 타측면에는 후술하는 웨지 스프링(230)이 안착되는 스프링 돌기(15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켓 돌기(151)가 형성된 소켓(150)의 일측면에는 상기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센터 돌기(113)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돌출 형성되는 작동 돌기(153)가 구비된다. 작동 돌기(153)는 후술하는 제1 웨지블록(220a)과 제2 웨지블록(220b)을 가압하여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소켓(150)의 상세 구성에 관한 설명은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가이드 링(130)은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플레이트로 형성된다.
가이드 링(130)은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며, 가이드 링(130)의 외측 테두리는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이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후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외측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견고히 고정된다.
커버 플레이트(140)는,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과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이 가이드 링(130)에 의해서 결합된 후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수용되는 소켓(150) 및 후술하는 구동부재(200) 등의 이달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커버 플레이트(140)는 소켓(150) 및 구동부재(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강도를 갖는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에 형성되는 튜브 형상의 가이드 보스(123)의 내주면에 용접 등의 방식으로 견고히 부착된다.
구동부재(200)는, 샤프트 및 소켓(150)을 통해 전달된 회전력 및 토크를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을 거쳐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으로 전달하도록 전술한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과 인터널 기어브래킷(120) 사이의 내부 편심 공간에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캠슬리버(210)와,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웨지블록(220), 웨지 스프링(230)을 포함하여 이루어 진다.
캠슬리버(210)는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센터 돌기(113)의 외주면의 일부, 상세히는 작동 돌기(153)에 의해서 둘러싸이지 않은 센터 돌기(113)의 외주면의 다른 일부분을 둘러싸도록 원호 형상으로 구성되며, 캠슬리버(210)의 양측 단부는 후술하는 한 쌍의 웨지블록(220)의 양단부와 일정한 갭(gap)이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한 쌍의 웨지블록(220)은, 시트백의 각도 조정시 소켓(150)의 작동 돌기(153)로부터 회전력 및 토크를 전달받아 인터널 기어브래킷(120) 및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시트백의 각도 조정이 완료된 후에는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과 인터널 기어브래킷(120) 사이에서 쐐기로서 기능하여 시트백의 위치를 고정하는 로킹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블록(220)은 캠슬리버(210)의 외측을 둘러싸면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는 제1 웨지블록(220a)과 제2 웨지블록(220b)으로 구성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캠슬리버(210)와 부시(16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된다.
웨지블록(220)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웨지 스프링(230)은, 소켓(150)의 스프링 돌기(152)에 끼워져 소켓(150)의 타측면에 지지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되, 양단부는 마주보고 인접한 상태에서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을 향하여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웨지 스프링(230)의 절곡된 양단부는 서로 인접하는 한 쌍의 웨지블록(220)의 일단부에 형성된 스프링 홈(223)에 각각 끼워져 각 웨지블록들(220a. 220b)을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브레이크 유닛은, 시트백의 각도 조정이 완료된 후에 시트백에 가해지는 반복 하중 또는 역입력 토크에 의해서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상(C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웨지 링(240)을 포함한다.
이러한 웨지 링(240)은 부시(160)에 밀착되도록 리클라이너(10)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후술하는 제1 웨지블록(220a)의 제1 스토퍼 돌기(224a) 및 제2 웨지블록(220b)의 제2 스토퍼 돌기(224b)와 함께 리클라이너(10)의 브레이킹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웨지 링(240)은 리클라이너(10)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리클라이너(10) 전체 사이즈 및 중량이 종래 기술에 비해서 현저히 감소될 수 있게 된다.
웨지 링(240)에 관한 상세 구성은 도 5A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10)의 구성 중 소켓(15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10)의 소켓(1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홀(154)이 형성된 소켓 돌기(151), 웨지 스프링(230)이 안착되는 스프링 돌기(152),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센터 돌기(113)의 외주면의 일부분을 감싸도록 형성된 작동 돌기(153)를 구비한다.
이러한 소켓 돌기(151), 스프링 돌기(152), 작동 돌기(153)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성과 유사하나, 본 발명의 소켓(150)은 후술하는 웨지 링(240)의 벤딩부(242)가 삽입되는 걸림홈(155)을 더 구비한다.
이러한 걸림홈(155)은 작동 돌기(153)의 외주면 일부가 소켓 돌기(151)를 향해 함몰된 형태로 구비되며, 시트백의 각도 조정을 위한 소켓(150)의 회전 시 걸림홈(155)의 일측면과 타측면은 각각 웨지 링(240)에 형성된 한 쌍의 벤딩부(242)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소켓(150)의 회전 시에는 작동 돌기(153)의 회전으로 한 쌍의 벤딩부(242) 중에서 적어도 하나가 걸림홈(155)의 일측면과 접촉하게 되어, 웨지 링(240)은 소켓(150)과 함께 동일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러나, 시트백의 각도 조정이 완료되어 소켓(150)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웨지 링(240)의 벤딩부(242)와 걸림홈(155)의 양측면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서로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10)의 구성 중 웨지블록(22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10)의 웨지블록(22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여 편심 공간에 배치되며, 한 쌍으로 구성되는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은 대략 원의 1/4이 되는 원호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서로 근접되는 일단부(도면을 기준으로 상단부)로부터 타단부(도면을 기준으로 하단부)에 이르면서 반경방향 폭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으로, 즉 쐐기 형태로 구성된다.
제1 웨지블록(220a)과 제2 웨지블록(220b)은, 각각의 일단부에 전술한 웨지 스프링(230)의 절곡 단부(231)가 끼워지는 스프링 홈(223)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1 웨지블록(220a)과 제2 웨지블록(220b)은 각각의 타단부에는 전술한 소켓(150)의 작동으로 회전력을 전달받는 가압 돌기(221)가 형성된다.
또한, 제1 웨지블록(220a)과 제2 웨지블록(220b)의 내측면에는 상기 가압 돌기(221)에 인접해서 홈부(222a, 222b)가 형성되며, 상기 홈부에는 전술한 캠슬리버(210)의 걸림 돌기(211)가 유동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는 제1 걸림 돌기(211a)는 제1 웨지블록(220a)의 제1 홈부(222a)에서 유동하도록, 제2 걸림 돌기(211b)는 제2 웨지블록(220b)의 제2 홈부(222b)에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성과 유사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은 후술하는 웨지 링(240)의 웨지 돌기(243)와의 상호 작용으로 리클라이너(10)의 풀림을 방지하는 브레이킹 기능을 수행하는 스토퍼 돌기(224)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지블록(220a)의 일단부(도면을 기준으로 상단부)에는 소켓(150)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돌기(224a)가 구비되고, 제2 웨지블록(220b)의 일단부(도면을 기준으로 상단부)에는 소켓(150)의 회전축에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 돌기(224b)가 구비된다.
이 때, 제1 스토퍼 돌기(224a)의 상측면에는 후술할 웨지 링(240)의 제1 웨지 경사면(243a)에 대응하는 제1 스토퍼면(224a-1)에 형성되고, 제2 스토퍼 돌기(224b)의 상측면에는 후술할 웨지 링(240)의 제2 웨지 경사면(243b)에 대응하는 제2 스토퍼면(224b-1)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제1 스토퍼면(224a-1)과 제2 스토퍼면(224b-1)의 연장선은 각각 수직축선(Y-Y')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갖는 제1 경사각(a1)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1 경사각은 0보다는 크고 90도 보다는 작은 값을 갖도록 조정된다.
이와 같이, 제1 경사각의 범위를 통해 웨지 링(240)의 웨지 링(240)과의 상호작용으로 브레이킹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브레이킹 기능의 상세 구성은 도 9A 및 9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10)의 구성 중 웨지 링(240)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정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10)는 브레이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시트백을 통한 반복 하중 및 역입력 토크의 작용으로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의 회전시에 제1 웨지블록(220a) 및 상기 제2 웨지블록(220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접촉하여,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회지블록의 회전을 방지 하는 웨지 링(240)을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웨지링은, 부시(16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양단부가 분리된 고리 형상(C자 형상)의 본체부(241)와, 본체부(241)의 내주면으로부터 소켓(150)의 회전축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웨지 돌기(243)와, 분리된 양단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을 향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벤딩부(242a) 및 제2 벤딩부(242b)로 형성된 한 쌍의 벤딩부(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241)는 일정한 강성을 갖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외주면은 부시(160)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되, 부시(160)의 내주면과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마찰력을 낮추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수의 외주 돌기(244)가 구비된다.
제1 벤딩부(242a)와 제2 벤딩부(242b)는, 분리된 본체부(241)의 양단부를 고리 형상의 중심을 향해 절곡시켜 형성된다. 제1 벤딩부(242a)와 제2 벤딩부(242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소켓(150)의 걸림홈(155)에 삽입되는 부분이며, 소켓(150)의 회전시 회전력을 전달받는 부분이다.
웨지 돌기(243)는, 본체부(241)의 내측면으로부터 고리 형상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벤딩부(242a)와 제2 벤딩부(242b)와 대향하는 위치, 즉 도면을 기준으로 본체부(241)의 상단 내주면에 구비된다.
보다 상세히는, 웨지 돌기(243)의 양측면에는, 전술한 제1 웨지블록(220a)의 제1 스토퍼면(224a-1)에 대응하는 제1 웨지 경사면(243a)과, 상기 제2 웨지블록(220b)의 제2 스토퍼면(224b-1)에 대응하는 제2 웨지 경사면(243b)이 형성된다.
이 경우에, 제1 웨지 경사면(243a)과 제2 웨지 경사면(243b)의 연장선은 각각 수직축선(Y-Y')에 대해서 일정한 각도를 갖는 제2 경사각(a2)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경사각은, 전술한 제1 경사각과 유사하게 0보다는 크고 90도 보다는 작은 값을 갖도록 조정된다.
이러한 웨지 돌기(243)의 제2 경사각 및 제1 경사각을 통한 브레이킹 기능 구현에 대해서는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도 5A 및 도 5B에는, 본체부(241), 벤딩부(242) 및 웨지 돌기(243)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체부(241), 벤딩부(242) 및 웨지 돌기(243)를 별개의 부재로 제작하여 이들을 결합하여 구성하는 실시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당연히 속한다고 볼 것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10)에 대한 A-A'방향 단면도이며, 도 7은 B-B'방향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시트백의 각도 조정이 완료된 초기 상태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시트백의 각도 조정 완료되면, 소켓(150)은 정지 상태, 즉 초기 상태가 되며, 제1 웨지블록(220a)과 제2 웨지블록(220b)은 웨지 스프링(230)에 의해서 서로 최대로 이격된 상태가 되어, 캠슬리버(210)와 함께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센터 돌기(113)의 외주면과 부시(160)의 내주면 사이의 편심 공간에서 쐐기 역할을 하게 되며, 이 때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과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은 상호간 고정된다.
이 경우에, 소켓(150)의 작동 돌기(153)와 제1 웨지블록(220a)의 하측 타단부에 해당되는 제1 가압부(221a) 사이, 그리고 소켓(150)의 작동 돌기(153)와 제2 웨지블록(220b)의 하측 타단부에 해당하는 제2 가압부(221b) 사이에는 동일하게 각각 제1 간격(W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간격(W1)은 초기 상태에서 시트백의 각도 조정을 개시하기 위해 소켓(150)이 회전하는 아이들 회전각도량, 즉 리클라이너(10)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들 회전각도량에 대응된다. 소켓(150)이 상기 제1 간격(W1)에 대응하는 각도 범위를 초과하여 회전하여야 시트백의 각도 조정이 개시되는 것이다.
한편, 초기 상태에서 웨지 링(240)의 제1 벤딩부(242a)와 소켓(150)의 걸림홈(155)의 일측 내측면 사이, 그리고 웨지 링(240)의 제2 벤딩부(242b)와 소켓(150)의 걸림홈(155)의 타측 내측면 사이에는 각각 동일하게 제2 간격(W2)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2 간격(W2)은 전술한 제1 간격(W1)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간격(W2)은 브레이크 유닛, 즉 웨지 링(240)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들 회전각도량에 대응된다.
이와 같이, 제2 간격(W2)이 제1 간격(W1)보다 더 크게, 다시 말해 제1 간격(W1)이 제2 간격(W2)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리클라이너(10)의 로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들 회전각도량에 웨지 링(240)의 브레이킹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들 회전각도량이 추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 내용에 대해서는 도 8A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 웨지 링(240)의 웨지 돌기(243)에 형성되는 제1 웨지 경사면(243a)과 제1 웨지블록(220a)의 제1 스토퍼 돌기(224a)에 형성되는 제1 스토퍼면(224a-1) 사이, 그리고 웨지 링(240)의 웨지 돌기(243)에 형성되는 제2 웨지 경사면(243b)과 제2 웨지블록(220b)의 제2 스토퍼 돌기(224b)에 형성되는 제2 스토퍼면(224b-1) 사이는 각각 제3 간격(W3)이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제3 간격(W3)은 전술한 제1 간격(W1) 및 제2 간격(W2)보다 더 크게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 간격(W1), 제2 간격(W2), 제3 간격(W3)의 관계를 설정함으로써, 소켓(150)이 제1 간격(W1)을 초과하여 어느 일방향으로(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리클라이너(10)의 각도 조정이 개시되더라도, 웨지블록(220)의 스토퍼 돌기(224)와 웨지 링(240)의 웨지 돌기(243)가 상호간 미접촉 상태가 되기 때문에 웨지블록(220)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소켓(150)이 제2 간격(W2)을 초과하여 더 회전되더라도, 제3 간격(W3)이 제2 간격(W2)보다 더 크게 설정되기 때문에 동일하게 웨지블록(220)의 스토퍼 돌기(224)와 웨지 링(240)의 웨지 돌기(243)가 상호간 미접촉 상태가 되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웨지블록(220)의 회전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이에 대한 상세 구성은 도 8A 이하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에 따라 소켓(150)의 회전에 의해 리클라이너(10)의 각도 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8A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의 각도 조정이 개시되기 전의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초기 상태에서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방향(화살표 방향)으로 소켓(150)의 회전이 개시되면서 시트백의 각도 조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초기 상태로부터 소켓(15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개시되어 먼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50)의 작동 돌기(153)와 제1 웨지블록(220a)의 하측 타단부의 제1 가압부(221a) 사이의 제1 간격(W1)에 해당하는 각도만큼 소켓(150)이 회전되면 소켓(150)의 작동 돌기(153)는 제1 웨지블록(220a)의 하측 타단부의 제1 가압부(221a)에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은 충돌이 발생한 시점에 웨지 링(240)의 제2 벤딩부(242b)와 소켓(150)의 걸림홈(155)의 내측면은 분리된 상태가 된다. 초기 상태에서의 제1 간격(W1)이 제2 간격(W2)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간격(W2)과 제1 간격(W1)의 차이에 해당하는 간격(W2')으로 제2 벤딩부(242b)와 걸림홈(155)의 내측면이 분리되어 있다.
이 경우에, 아직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은 회전력이 전달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제3 간격(W3)은 초기 상태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한편,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간격(W1)에 대응하는 각도범위를 넘어서 소켓(150)이 회전되면, 제1 웨지블록(220a)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제1 웨지블록(220a)만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소켓(150)의 회전력은 캠슬리버(210)를 통해 제2 웨지블록(220b)에 전달되며, 제2 웨지블록(220b)에 의해서 리클라이너(10)의 각도조절이 개시된다.
그리고 소켓(150)이 제2 간격(W2)에 대응되는 각도범위까지 회전되면 소켓(150)의 걸림홈(155)의 내측면과 제2 벤딩부(242b)가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소켓(150)의 회전력이 웨지 링(240)에 전달되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제3 간격(W3)은 초기 상태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한편, 소켓(150)이 제2 간격(W2)에 대응되는 각도범위를 넘어서 회전되면,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50)의 걸림홈(155)에 의해서 웨지 링(240)의 회전이 개시된다.
소켓(150)의 걸림홈(155)에 웨지 링(240)의 제2 벤딩부(242b)가 가압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이 개시되는 것이다.
이 경우에, 웨지 돌기(243)의 제2 웨지 경사면(243b)과 제2 스토퍼 돌기(224b)의 제2 스토퍼면(224b-1) 사이의 간격(W3')이 초기 상태에서의 제3 간격(W3)과 제2 간격(W2)의 차이에 해당하는 간격만큼으로 간격이 줄어들게 되지만, 웨지 돌기(243)의 제1 웨지 경사면(243a)과 제1 스토퍼 돌기(224a)의 제1 스토퍼면(224a-1) 사의 간격은 상기 차이에 해당하는 간격만큼 더 늘어나게 된다.
즉, 초기 상태에서의 제3 간격(W3)과 제2 간격(W2)의 차이에 의해서, 제2 웨지 경사면(243b)과 제2 스토퍼 돌기(224b) 사이의 접촉이 방지된다.
웨지 링(240)이 소켓(150)에 의해서 회전됨에 따라, 웨지 돌기(243)가 웨지블록(22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웨지블록(220a)과 제2 웨지블록(220b) 사이의 간격은 캠슬리버(210)의 걸림 돌기(211)와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에 형성된 제1 홈부와 제2 홈부의 작용으로 일정 수준이 되도록 제한되어, 리클라이너(10)의 각도 조절이 완료된 후 초기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백에 반복 하중 및 역입력 토크가 가해지는 상황에서 리클라이너(10)의 브레이킹이 구현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시트백에 반복 하중이 가해지거나 역입력 토크가 가해지는 상황에서 리클라이너(10)의 브레이킹이 구현되는 과정을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이 시트백 프레임이 연결되고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이 시트쿠션 프레임에 연결되도록 구성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예시적으로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이 시트백 프레임에 연결되고, 인터널 기어브래킷(120)이 시트쿠션 프레임에 연결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9A에는 소켓(150)은 고정되어 있으나, 반복 하중에 의해서 시트백의 하중이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을 통해 전달되어,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력을 받아 로킹 상태의 풀림이 발생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에 가해지는 반복 하중 또는 역입력 토크가 가해지게 되어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되면,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의 센터 돌기(113)를 통해서 회전력이 캠슬리버(210) 및 제1 웨지블록(220a) 및 제2 웨지블록(220b)에 전달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에서 소켓(150) 및 웨지 링(240)은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제1 웨지블록(220a)과 웨지 링(240)의 본체부(241) 내주면 사이, 그리고 제2 웨지블록(220b)과 웨지 링(240)의 본체부(241) 내주면 사이에는 슬립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웨지블록(220a)과 제2 웨지블록(220b)은 슬립 운동을 하며 시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지만,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상태에서의 제3 간격(W3)에 대응되는 각도범위로 제1 웨지블록(220a)이 회전하게 되면 제1 웨지블록(220a)의 제1 스토퍼 돌기(224a)가 웨지 링(240)의 웨지 돌기(243)에 충돌하게 된다.
보다 상세히는 제1 스토퍼 돌기(224a)의 제1 스토퍼면(224a-1)과 웨지 돌기(243)의 제1 웨지 경사면(243a)이 충돌하게 된다.
이 경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스토퍼면(224a-1)과 제1 웨지 경사면(243a)은 수직축선에 대해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스토퍼면(224a-1)이 제1 웨지 경사면(243a)을 밀어내는 하중의 방향(F1)이 제1 스토퍼면(224a-1)이 회전력이 작용하는 방향(F2)과 달라지 된다.
따라서 제1 스토퍼면(224a-1)과 제1 웨지 경사면(243a) 사이의 접촉면에서의 회전력 방향과 하중 방향이 서로 달라지게 설정함으로써, 제1 웨지 경사면(243a)이 제1 스토퍼면(224a-1)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로 작용하여 제1 웨지블록(220a)의 회전이 방지되며, 리클라이너(10)의 풀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 웨지블록(220b)의 제2 걸림 돌기와 소켓의 작동 돌기 사이의 간격은 초기 상태에서의 제3 간격(W3)과 제1 간격(W1)의 차이에 해당하는 간격(W1')만큼으로 줄어들게 되지만, 이들 사이의 접촉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에 가해지는 반복 하중 또는 역입력 토크에 의해 되어 익스터널 기어브래킷(11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받게 되면, 초기 상태에서의 제3 간격(W3)에 대응되는 각도범위로 제2 웨지블록(220b)이 회전하게 되어 제2 웨지블록(220b)의 제2 스토퍼 돌기(224b)가 웨지 링(240)의 웨지 돌기(243)의 제2 웨지 경사면(243b)에 충돌하게 된다.
도 9A에 도시된 상황과 동일하게, 제2 스토퍼면(224b-1)과 제2 웨지 경사면(243b)은 수직축선에 대해서 일정한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스토퍼면(224b-1)이 제2 웨지 경사면(243b)을 밀어내는 하중의 방향(F1)이 제1 스토퍼면(224a-1)이 회전력이 작용하는 방향(F2)과 달라지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제2 웨지 경사면(243b)이 제2 스토퍼면(224b-1)의 회전을 방지하는 브레이크로 작용하여 제2 웨지블록(220b)의 회전이 방지되며, 리클라이너(10)의 풀림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시트백의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 시트백 프레임과 시트쿠션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 중에서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내주면에 익스터널 기어가 형성되는 익스터널 기어브래킷;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 중에서 다른 어느 하나에 연결되며, 상기 익스터널 기어에 치합하는 인터널 기어가 외주면에 구비되는 인터널 기어브래킷;
    상기 익스터널 기어브래킷과 상기 인터널 기어브래킷 사이의 내부 편심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인터널 기어브래킷 및 상기 익스터널 기어브래킷을 편심 회전시키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를 회전시키는 소켓; 및
    상기 편심 공간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통해서 입력되는 역입력 토크의 작용으로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시에 상기 구동부재와 접촉하여 상기 구동부재의 회전을 방지하는 고리 형상의 웨지 링;
    을 포함하고,
    상기 웨지 링은,
    양단부가 분리된 고리 형상의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으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웨지 돌기와, 상기 양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각각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1 벤딩부 및 제2 벤딩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는, 각각의 일단부가 서로 마주보는 상태로 상기 편심 공간에 배치되는 제1 웨지블록과 제2 웨지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웨지 돌기의 양측면에는, 상기 제1 웨지블록을 향하는 제1 웨지 경사면과, 상기 제2 웨지블록을 향하는 제2 웨지 경사면이 구비되며,
    상기 제1 웨지블록의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웨지 돌기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 스토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제2 웨지블록의 상기 일단부에는 상기 웨지 돌기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2 스토퍼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 스토퍼 돌기에는 상기 제1 웨지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1 스토퍼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스토퍼 돌기에는 상기 제2 웨지 경사면에 대응하는 제2 스토퍼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회전시 상기 제1 웨지블록의 타단부와 상기 제2 웨지블록의 타단부를 가압하는 작동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돌기에는, 상기 한 쌍의 벤딩부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의 회전시에 상기 걸림홈의 내측면과 상기 제1 벤딩부 및 상기 제2 벤딩부 중에서 어느 하나가 접촉함으로써, 상기 웨지 링이 상기 소켓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의 각도가 고정되어 있는 초기 상태에서,
    상기 작동 돌기와 상기 제1 웨지블록의 타단부 사이, 그리고 상기 작동 돌기와 상기 제2 웨지블록의 타단부 사이에는 각각 제1 간격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벤딩부와 상기 걸림홈의 내측면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벤딩부와 상기 걸림홈의 내측면 사이에는 각각 제2 간격이 형성되며,
    상기 제1 웨지 경사면과 상기 제1 스토퍼면 사이, 그리고 상기 제2 웨지 경사면과 상기 제2 스토퍼면 사이는 각각 제3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상태에서 상기 제1 간격이 상기 제2 간격보다 작고, 상기 제1 간격이 상기 제3 간격보다 작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0150100969A 2015-07-16 2015-07-16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662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969A KR101662458B1 (ko) 2015-07-16 2015-07-16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0969A KR101662458B1 (ko) 2015-07-16 2015-07-16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2458B1 true KR101662458B1 (ko) 2016-10-04

Family

ID=57165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969A KR101662458B1 (ko) 2015-07-16 2015-07-16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24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8977A1 (de) * 2018-11-07 2020-05-0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Drehbeschlag mit einer Exzenterbaugruppe
DE102019210891A1 (de) * 2019-07-23 2021-01-28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Drehbeschlag mit einer Exzenterbaugrupp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838A (ko) * 2009-04-14 2010-10-22 주식회사다스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KR101143811B1 (ko) * 2010-05-11 2012-07-1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20126349A (ko)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20150003101A (ko) * 2013-06-27 2015-0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50003100A (ko) * 2013-06-27 2015-0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838A (ko) * 2009-04-14 2010-10-22 주식회사다스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KR101143811B1 (ko) * 2010-05-11 2012-07-12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20126349A (ko)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20150003101A (ko) * 2013-06-27 2015-0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50003100A (ko) * 2013-06-27 2015-0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8977A1 (de) * 2018-11-07 2020-05-07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Drehbeschlag mit einer Exzenterbaugruppe
DE102019210891A1 (de) * 2019-07-23 2021-01-28 Brose Fahrzeugteile SE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Drehbeschlag mit einer Exzenterbaugruppe
CN112277740A (zh) * 2019-07-23 2021-01-29 博泽科堡汽车零件欧洲两合公司 具有偏心结构组件的转动配件
CN112277740B (zh) * 2019-07-23 2023-09-05 博泽科堡汽车零件欧洲两合公司 具有偏心结构组件的转动配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87781B2 (en)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KR10156962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A2847705C (en)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KR101835524B1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US7195318B2 (en) Reclining device of vehicle seat
JPH0856768A (ja) 改良ロータリーリクライナ
KR10149188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20140001651A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600182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WO2015001846A1 (ja) 回転動作制御機構及びシート
KR101491884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417523B1 (ko) 차량용 시트의 펌핑디바이스
US10259352B2 (en)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US10836282B2 (en)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66245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50063696A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10144329B2 (en) Headrest
KR10199911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13573612A (zh) 交通工具用座椅倾角调节装置
KR101977064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41743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12744135B (zh) 用于车辆座椅的泵送装置
WO2021107138A1 (ja) 乗物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659231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