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13838A -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13838A
KR20100113838A KR1020090032356A KR20090032356A KR20100113838A KR 20100113838 A KR20100113838 A KR 20100113838A KR 1020090032356 A KR1020090032356 A KR 1020090032356A KR 20090032356 A KR20090032356 A KR 20090032356A KR 20100113838 A KR20100113838 A KR 201001138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ecliner
clutch spring
wedg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3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946B1 (ko
Inventor
이상준
차재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900323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1946B1/ko
Publication of KR20100113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3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60N2/225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with coiled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는 샤프트(Shaft)의 회전을 전달받는 소켓(2)과 함께 회전하는 캠(3)과 한 쌍의 웨지블록(4,5)을 통한 작용과, 서로 기어 잇수 차이를 갖는 안쪽 기어(22)와 외곽 기어(23)의 치합 구간 위치 변화를 통해 시트의 등받이의 각도 조절과 고정 상태 유지가 구현되고, 등받이에 가해진 하중으로 인한 상기 캠(3)의 역회전시 직경을 확장하고 동시에 캠(3)의 역회전 진행을 막는 마찰력을 형성하는 클러치 스프링(12)이 캠(3)부위로 내장되어, 상기 캠(3)의 원치 않는 작동에 따른 풀림 현상(Back Drive)을 근본적으로 방지해 시트의 각도 조절 상태가 항상 정 위치에 유지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스프링, 리클라이너, 풀림

Description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Recliner preventing back drive}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복 피로 하중에 의한 풀림(Back Drive)을 방지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내부의 실내 앞쪽과 뒤쪽으로 설치된 좌석의자인 시트(Seat)에는 탑승객의 편안함을 위해, 여러 가지 편의장치를 장착한다.
일례로, 탑승객의 체형에 따라 앞·뒤로 밀고 당겨 조절할 수 있는 슬라이딩(Sliding) 기능과, 상황에 따라 시트를 상·하로 움직이는 승하강 기능은 물론, 시트의 등받이(Seat Back)에 대한 기울기를 조절하는 기능 등을 구현하기 위한, 다양한 편의 장치를 갖춘다.
이러한 여러 편의 장치 중 등받이를 다양한 각도로 조절하는 장치는 통상, 리클라이너(Recliner)라 불리며 시트 쿠션 부와 등받이가 연접하는 부위로 장착되며, 레버를 이용해 조작하는 수동 조작 타입과 동력을 이용한 전동 모터 타입이 있다.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너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레버나 모터 외력을 받은 샤프트를 통해 소켓의 회전을 전달받은 캠은 웨지블록과 함께 회전되고, 이러 한 캠의 회전은 기어 잇수 차이를 갖는 기어 앗세이에 대한 치합 구간 위치 변화를 가져오므로, 치합 구간 변화만큼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각도 조절된 후 정지 상태 구현은 웨지블록이 웨지 스프링에 의한 벌린 상태 유지로 캠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기어 앗세이가 서로 이맞물림 된 상태가 유지되어 등받이의 움직임을 구속한다
하지만, 등받이는 탑승객을 통해 반복적인 하중을 받으므로 리클라이너에도 동일한 하중이 가해질 수밖에 없고, 이러한 하중 조건으로 인해 리클라이너에는 필연적으로 반복적인 피로하중이 발생되는 문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너의 피로하중은 캠과 웨지블록간 구속력을 약화시켜 미세하게 풀리는 현상(Back Drive)을 가져오고, 이는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등받이 위치가 변경되어 상품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캠과 웨지블록간 풀림 현상은 특히, 레버를 이용한 수동식 리클라이너에 대한 활용을 불가능하게 하고, 만약 적용하고자 하는 경우는 캠과 웨지블록간 풀림을 방지하는 별도의 장치나 수단을 필요로 하므로 설계변경이나 원가 상승을 초래하는 단점을 갖는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클러치 스프링의 확장에 따른 마찰력으로 캠의 풀림(Back Drive)현상을 차단해, 피로 하중이 누적되 더라도 시트의 등받이 각도 고정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는 리클라이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마찰력을 발생하는 클러치 스프링의 마찰력을 이용해 연동 작용을 위한 부가 수단이 필요하지 않고, 클러치 스프링을 기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설치할 수 있어 설계 변경도 필요치 않는 리클라이너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가 외부 조작으로 회전하는 샤프트(Shaft)에 결합된 소켓(2)과 함께 회전하는 캠(3)의 안쪽으로 위치되어, 상기 캠(3)과 마찰력을 형성하는 웨지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웨지 스프링(11)과;
시트의 등받이 고정 상태에서 상기 캠(3)의 역회전에 의한 가압력으로 직경을 확장해, 상기 캠(3)의 역회전 진행을 막아 풀림 현상(Back Drive)을 방지하는 클러치 스프링(12)과;
직경 확장된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이 접촉되어 상기 캠(3)쪽에 구속력을 가하는 마찰력을 형성하는 커버 브라켓(30);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켓(2)은 스플라인 가공된 구멍이 뚤리고 전·후 부위가 각각 돌출된 형상을 이루며, 전방쪽으로는 상기 캠(3)이 위쪽에 위치되고, 상기 캠(3)의 돌출된 캠돌기(3a)가 위치되도록 깎아낸 절개단(2a)이 형성되고, 뒤쪽으로는 서로 대칭된 상기 웨지블록의 벌림 각도를 제한하도록 아래쪽에 연장 날개(2b)를 형성한다.
상기 소켓(2)의 절개단(2a)은 상기 캠(3)의 캠돌기(3a)가 위치되고,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의 양 끝단이 위치된 상태에서 여유 간격을 형성할 수 있는 간격을 갖는다.
상기 캠돌기(3a)는 반원 단면 형상의 캠(3)의 중앙에 형성한다.
상기 웨지블록은 조립된 상태에서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웨지블록(4,5)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닿은 부위는 부채꼴 형상으로 깎은 경사단(4a,5a)을 형성해 상기 웨지 스프링(11)의 평행하게 꺾여진 걸림단(11a)이 위치된다.
상기 웨지블록을 사이에 두고 조립된 상기 소켓(2)과 캠(3)은 환형 고리 타입 부시(6)가 감싸고, 상기 부시(6)는 가이드 링(21)의 안쪽 공간으로 수용되고 서로 기어 잇수 차이를 갖는 안쪽 기어(22)가 안쪽으로 치합된 외곽 기어(23)에 결합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은 외경을 이용해 커버 브라켓(30)과 마찰력을 형성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은 사각 단면의 판 타입으로 환형 고리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캠(3)이 역회전할 때 상기 캠(3)의 중앙 부위에서 돌출된 캠돌기(3a)를 통해 가압되어 직경을 확장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양단을 아래쪽으로 꺾은 구속단(12a,12b)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커버 브라켓(30)은 안쪽 공간을 넓히는 다단 단면을 형성하되,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이 안쪽 공간으로 수용되어 직경 확장된 클러치 스프링(12)이 접촉되는 마찰 하우징(30a)을 중앙 부위로 형성하며, 상기 마찰 하우징(30a)은 확장되는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가장 높게 돌출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반복되는 피로 하중으로 캠이 풀리는 현상(Back Drive)을 방지하는 클러치 스프링이 기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설치되므로, 풀림 현상 방치를 위한 리클라이너의 설계 변경이 필요 없으면서도, 필요시 내부 구성 요소들을 보다 최적화해 전체적인 크기도 줄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력을 이용한 전동식이나 레버를 이용한 수동식 리클라이너에 관계없이 풀림 현상(Back Drive)을 방지할 수 있고, 특히 수동식 리클라이너에 적용될 때 보다 확실한 안정성을 제공해 상품성을 최대로 높여줄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의 리클라이너는 외력을 통해 회전하고 마찰력을 통해 고정력을 형성하는 캠 유닛(1)과, 상기 캠 유닛(1)에 탄성을 제공함과 더불어, 시트의 등받이를 움직이게 하는 풀림 현상(Back Drive)을 차단하기 위한 마찰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유닛(10)과, 등받이의 각도 조절시 서로간 잇수 차이로 치합 구간의 위치 변화가 이루어지는 기어 유닛(20) 및, 상기 풀림 현상을 차단하는 마찰력을 형성하고 외관을 이루는 커버 브라켓(30)을 포함해 구성한다.
상기 리클라이너는 시트의 양쪽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을 이루며, 외부 조작으로 회전하는 샤프트(Shaft)를 매개로 서로 연동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너는 다양한 구조와 작동 방식을 갖도록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로터리(Rotary)타입 리클라이너에 맞추어 설명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캠 유닛(1)은 외부 조작으로 회전하는 샤프트(Shaft)에 스플라인 체결된 소켓(2)과, 상기 소켓(2)을 감싸 소켓(2)과 함께 회전하는 캠(3)과, 상기 소켓(2)부위를 감싸도록 캠(3)의 안쪽으로 위치되어, 캠(3)과 마찰 력을 형성하는 한 쌍의 웨지블록(4,5) 및, 상기 소켓(2)과 캠(3)을 안쪽으로 수용하는 환형 고리 타입 부시(6)로 구성한다.
상기 소켓(2)은 스플라인 가공된 구멍이 뚤리고 전·후 부위가 각각 돌출된 형상을 이루며, 전방쪽으로는 위쪽 부위를 잘라낸 절개단(2a)이 형성되고, 후방쪽으로는 아래쪽 부위에서 부채꼴 형상을 갖고 돌출된 연장 날개(2b)를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절개단(2a)은 형성각 a로 소정 각도를 갖으며, 상기 형성각 a는 상기 캠(3)의 돌출 부위가 수용되어 소정 각도로 좌·우 움직일 수 있는 크기이고, 상기 연장 날개(2b)가 갖는 펼침각 B는 도 2(나)와 같이, 조립된 한 쌍의 웨지블록(4,5)이 갖는 비 점유각 A에 비해 작게 형성해,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4,5)이 벌려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캠(3)은 조립 상태에서 소켓(2)의 절개단(2a)쪽으로 위치되는 캠돌기(3a)를 중앙 부위로 돌출하며, 도 2(나)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대략 반원 단면을 형성해 소켓(2)의 상부부위를 점유하는 형상을 이룬다.
상기 캠돌기(3a)는 소켓(2)이 갖는 형성각 a 비해 작게 형성된 형성각 b를 갖는 크기를 이루는데, 이는 상기 소켓(2)과 캠(3)이 조립된 상태에서 스프링 유닛(10)이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갖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웨지블록(4,5)은 조립된 상태에서 좌·우 대칭을 이루는 형상을 갖으며, 서로 맞닿은 부위는 위쪽으로 경사지게 깎아 부채꼴 형상을 갖고 스프링 유닛(10)이 위치되는 경사단(4a,5a)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웨지블록(4,5)은 B는 도 2(나)와 같이, 조립된 상태에서 소 켓(2)의 연장 날개(2b)에 접촉되지 않는 비 점유각 A를 형성하며, 이러한 비 점유각 A는 상기 연장 날개(2b)가 갖는 펼침각 B에 비해 크게 형성해, 상기 한 쌍의 웨지블록(4,5)이 스프링 유닛(10)의 힘을 받아 상기 연장 날개(2b)쪽으로 벌려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유닛(10)은 리클라이너의 조작시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과, 조작 후 리클라이너의 풀림 현상(Back Drive)을 방지하는 스프링과 같이 각각 다른 작용을 하는 한 쌍의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프링 유닛(10)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갖는 웨지 스프링(11)과 클러치 스프링(12)으로 구성한다.
상기 웨지 스프링(11)은 원형 단면을 갖는 환형 고리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하는 양단을 평행하게 꺾은 걸림단(11a)을 갖추며, 상기 걸림단(11a)은 웨지블록(4,5)의 경사단(4a,5a)에 걸려지도록 조립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은 사각 단면의 판 타입으로 환형 고리 형상을 이루면서 서로 마주하는 양단을 아래쪽으로 꺾은 좌·우 구속단(12a,12b)을 갖추며, 상기 구속단(12a,12b)은 소켓(2)의 절개단(2a)과 캠(3)의 캠돌기(3a)가 갖는 형성각 a,b사이 공간으로 위치되는 형성각 c를 갖는데, 이는 등받이 각도 조절 후 풀림 현상이 발생할 때 캠(3)을 통해 직경을 확장해 마찰력을 형성하기 위함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 유닛(20)은 안쪽 공간을 형성한 가이드 링(21)과, 테두리를 따라 기어이(22a)를 형성한 안쪽 기어(22) 및, 안쪽으로 들어간 공간을 형성하면서, 공간 테두리를 따라 기어이(23a)를 형성해 삽입된 상기 안쪽 기어(22)가 치합되는 외곽 기어(23)로 구성한다.
상기 안쪽 기어(22)와 외곽 기어(23)에 형성된 기어이(22a,23a)는 서로 차이가 나는 잇수를 갖으며, 이러한 잇수 차이로 치합 구간 위치가 변화된다.
상기 기어 유닛(20)은 등받이 각도 조절 시, 상기 외곽 기어(23)는 회전하지 않는 반면 상기 안쪽 기어(22)가 회전하면, 기어이(22a,23a)의 잇수 차이를 통해 치합 구간 위치가 변화되고, 이러한 위치 변화로 등받이의 각도가 조절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커버 브라켓(30)은 리클라이너의 내부를 보호함과 더불어, 등받이 각도 조절 후 풀림 현상이 발생할 때 클러치 스프링(12)과 마찰력을 형성시켜, 풀림 현상을 차단하는 작용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커버 브라켓(30)은 안쪽 공간을 넓히는 다단 단면을 형성하되, 안쪽 공간으로 클러치 스프링(12)이 수용되어 직경 확장시 서로 접촉되는 마찰 하우징(30a)을 중앙 부위로 형성하며, 상기 마찰 하우징(30a)은 확장되지 않은 클러치 스프링(12)의 직경 보다 약간 큰 직경으로 가장 높게 돌출시킨다.
상기 마찰 하우징(30a)은 확장되는 클러치 스프링(12)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하며, 조립된 상태에서는 상기 마찰 하우징(30a)의 공간 안쪽으로 클러치 스프링(12)이 점유하는데, 이는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이 원형이 아닌 단면을 갖고 일정 높이를 갖는 판 형상에 기인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는 캠(3)의 역회전 진행을 막는 클러치 스프링(12)을 이용해 풀림 현상(Back Drive)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기능을 갖 게 된다.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은 상기와 같은 특징을 구현하도록, 외부 조작을 받는 샤프트(Shaft)에 결합된 소켓(2)과 함께 회전하는 캠(3)부위에서 캠(3)이 가압할 수 있게 위치하고, 직경 확장시 내부를 가리도록 결합된 커버 브라켓(30)에 접촉해 마찰력을 형성할 수 있게 조립된다.
도 2(가)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조립 단면도로서, 리클라이너는 샤프트(Shaft)에 결합되는 스플라인 가공된 중공의 소켓(2)을 중심으로 해, 상기 소켓(2)의 아래쪽 부위는 가이드 링(21)에 결합된 외곽 기어(23)와 다른 잇수를 갖고 치합 구간을 형성하는 안쪽 기어(22)가 조립되고, 상기 소켓(2)의 위쪽 부위는 각각 다른 기능을 갖는 한 쌍의 웨지 스프링(11)과 클러치 스프링(12)이 내장된 상태에서 커버 브라켓(30)을 결합해 조립한다.
이와 같은 조립 상태에서 상기 외곽 기어(23)는 상기 안쪽 기어(22)의 허브 결합부가 위치된 상태에서 넓은 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공간으로 캠(3)과 웨지블록(4,5) 및 부시(6)가 순차적으로 조립된 구조를 갖는다.
이는 도 2(나)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외곽 기어(23)의 중앙에 끼워진 부시(6)의 안쪽에서 상기 캠(3)이 소켓(2)의 반쪽 부위로 위치되고, 상기 캠(3)의 안쪽 공간으로 한 쌍의 웨지블록(4,5)을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웨지블록(4,5)은 경사단(4a,5a)에 걸려진 웨지 스프링(11)이 가하는 힘을 받게 되며, 이러한 웨지 스프링(11)은 소켓(2)의 위쪽 부위에서 가이드 링(21)에 끼워진 커버 브라켓(30)의 안쪽 공간에 조립된다.
이로 인해 상기 소켓(2)이 회전되면, 소켓(2)의 연장 날개(2b)부위가 웨지블록(4,5)에 힘을 가해 캠(3)을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기 소켓(2)에 결합된 안쪽 기어(22)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안쪽 기어(22)의 회전은 외곽 기어(23)에 대한 기어 치합 구간을 변화시켜 시트의 등받이 각도가 조절된다.
이러한 작용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로터리 타입 리클라이너의 통상적인 작동 구현이다.
상기와 같이 리클라이너가 작동되어 시트의 등받이 각도 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안쪽 기어(22)와 외곽 기어(23)간 치합력과, 상기 소켓(2)에 대한 웨지블록(4,5)과 캠(3)이 유지하는 마찰력이 등받이의 움직임을 구속하는 힘으로 전환되므로, 시트는 등받이가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한다.
하지만, 리클라이너는 등받이에 반복적으로 가해지는 하중으로 피로하중이 누적되고, 이로 인해 등받이의 고정 상태가 유지되지 못하고 유동되는 풀림 현상(Back Drive)이 일어 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에는 커버 브라켓(30)의 안쪽 공간으로 캠(3)과 연동되는 클러치 스프링(12)을 구비하며,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은 커버 브라켓(30)과 접촉되어 마찰력을 형성한다.
도 3(가)는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이 조립된 상태를 나타내며, 이와 같이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은 샤프트 결합된 소켓(2)을 감싸면서 양 끝단이 캠(3)쪽으로 위치되고, 커버 브라켓(30)의 중앙 부위에서 돌출된 마찰 하우징(30a)의 공간 안쪽을 점유하는 상태로 조립된다.
상기와 같은 조립상태에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의 구속단(12a)은 소켓(2)의 절개단(2a)과, 캠(3)의 캠돌기(3a)가 갖는 형성각 a,b 사이 공간에 위치된 상태를 갖는다.
도 3(나)는 리클라이너의 풀림 현상(Back Drive)에 따른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의 작동상태를 나타낸다.
풀림 현상(Back Drive)을 일으키는 캠(3)의 역회전이 일어나면, 상기 캠(3)의 캠돌기(3a)가 클러치 스프링(12)의 한쪽 구속단(12b)부위에 힘 Fa를 가하게 되고, 상기 구속단(12b)은 힘 Fa를 통해 X 만큼 밀려나면서 직경 크기를 Y만큼 증가한다.
상기와 같이 직경이 증가된 클러치 스프링(12)은 그 외면이 커버 브라켓(30)의 마찰 하우징(30a)의 공간 안쪽 내면쪽으로 밀착되고, 이러한 밀착은 클러치 스프링(12)과 커버 브라켓(30)간 마찰력을 형성하여 역으로 캠(3)쪽으로 가해지는 반력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이 캠(3)에 가하는 반력은 캠(3)이 가하는 힘 Fa가 클수록 비례하여 증가되므로, 클러치 스프링(12)이 캠(3)의 구속을 더욱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클러치 스프링(12)이 가하는 반력을 받는 캠(3)은 더 이상 역회전이 진행되지 못해 멈추는 강한 구속 상태로 전환되고, 이러한 캠(3)의 구속으로 풀림 현상(Back Drive)이 차단되므로, 시트는 리클라이너로 인한 유동 발생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는 등받이에 가해진 하중으로 인한 상기 캠(3)의 역회전시 직경을 확장하고, 동시에 캠(3)의 역회전 진행을 막는 마찰력을 형성하는 클러치 스프링(12)이 캠(3)부위로 내장됨에 따라, 상기 캠(3)의 원치 않는 작동에 따른 풀림 현상(Back Drive)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므로, 시트의 각도 조절 상태가 항상 정 위치에 유지되어 탑승자 불편이 없고 상품성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2(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조립 단면도
도 3(가),(나)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 스프링의 작동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캠 유닛 2 : 소켓
2a : 절개단 2b : 연장 날개
3 : 캠 3a : 캠돌기
4,5 : 웨지블록
4a,5a : 경사단 6 : 부시
10 : 스프링 유닛 11 : 웨지 스프링
11a : 걸림단 12 : 클러치 스프링
12a : 구속단 20 : 기어 유닛
21 : 가이드 링 22 : 안쪽 기어
22a,23a : 기어이 23 : 외곽 기어
30 : 커버 브라켓 30a : 마찰 하우징
a,b,c : 형성각

Claims (10)

  1. 외부 조작으로 회전하는 샤프트(Shaft)에 결합된 소켓과 함께 회전하는 캠의 안쪽으로 위치되어, 상기 캠과 마찰력을 형성하는 웨지블록에 탄성력을 가하는 웨지 스프링과;
    시트의 등받이 고정 상태에서 상기 캠의 역회전에 의한 가압력으로 직경을 확장해, 상기 캠의 역회전 진행을 막아 풀림 현상(Back Drive)을 방지하는 클러치 스프링과;
    직경 확장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이 접촉되어 상기 캠쪽에 구속력을 가하는 마찰력을 형성하는 커버 브라켓;
    을 포함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스플라인 가공된 구멍이 뚤리고 전·후 부위가 각각 돌출된 형상을 이루며, 전방쪽으로는 상기 캠이 위쪽에 위치되고, 상기 캠의 돌출된 캠돌기가 위치되도록 깎아낸 절개단이 형성되고, 뒤쪽으로는 서로 대칭된 상기 웨지블록의 벌림 각도를 제한하도록 아래쪽에 연장 날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절개단은 상기 캠의 캠돌기가 위치되고,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양 끝단이 위치된 상태에서 여유 간격을 형성할 수 있는 간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캠돌기는 반원 단면 형상의 캠의 중앙에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웨지블록은 조립된 상태에서 좌·우 대칭을 이루는 한 쌍의 웨지블록으로 이루어지고, 서로 맞닿은 부위는 부채꼴 형상으로 깎은 경사단을 형성해 상기 웨지 스프링의 평행하게 꺾여진 걸림단이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웨지블록을 사이에 두고 조립된 상기 소켓과 캠은 환형 고리 타입 부시가 감싸고, 상기 부시는 가이드 링의 안쪽 공간으로 수용되고 서로 기어 잇수 차이를 갖는 안쪽 기어가 안쪽으로 치합된 외곽 기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은 외경을 이용해 커버 브라켓과 마찰력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 스프링은 사각 단면의 판 타입으로 환형 고리 형상을 이루면서, 상기 캠이 역회전할 때 상기 캠의 중앙 부위에서 돌출된 캠돌기를 통해 가압되어 직경을 확장하도록, 서로 마주하는 양단을 아래쪽으로 꺾은 구속단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커버 브라켓은 안쪽 공간을 넓히는 다단 단면을 형성하되, 상기 클러치 스프링이 안쪽 공간으로 수용되어 직경 확장된 클러치 스프링이 접촉되는 마찰 하우징을 중앙 부위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마찰 하우징은 확장되는 상기 클러치 스프링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갖으며 가장 높게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KR1020090032356A 2009-04-14 2009-04-14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KR101071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356A KR101071946B1 (ko) 2009-04-14 2009-04-14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356A KR101071946B1 (ko) 2009-04-14 2009-04-14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3838A true KR20100113838A (ko) 2010-10-22
KR101071946B1 KR101071946B1 (ko) 2011-10-10

Family

ID=43133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356A KR101071946B1 (ko) 2009-04-14 2009-04-14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19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471A1 (ko) * 2011-03-09 2012-09-13 주식회사 오스템 다이얼 리클라이너
KR101251797B1 (ko) * 2011-06-30 2013-04-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1251838B1 (ko) * 2011-06-30 2013-04-0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WO2015084648A1 (en) * 2013-12-03 2015-06-1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Wedge clutch with a segmented wedge element and chamfered engagement surfaces
KR101662458B1 (ko) * 2015-07-16 2016-10-04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711826B1 (ko)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KR101999118B1 (ko) * 2018-05-30 2019-07-11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1851B2 (en) 2001-10-03 2004-02-17 L & P Property Management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ratchet actuator
KR100820547B1 (ko) 2006-05-18 2008-04-08 다이모스(주)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1471A1 (ko) * 2011-03-09 2012-09-13 주식회사 오스템 다이얼 리클라이너
CN103025567A (zh) * 2011-03-09 2013-04-03 奥斯特姆有限公司 转盘式调角器
EP2684738A1 (en) * 2011-03-09 2014-01-15 Austem Co. Ltd. Dial recliner
EP2684738A4 (en) * 2011-03-09 2014-09-24 Austem Co Ltd INCLINATION MECHANISM WITH DIAL
US8911319B2 (en) 2011-03-09 2014-12-16 Austem Co., Ltd. Dial recliner
KR101251797B1 (ko) * 2011-06-30 2013-04-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1251838B1 (ko) * 2011-06-30 2013-04-09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WO2015084648A1 (en) * 2013-12-03 2015-06-11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Wedge clutch with a segmented wedge element and chamfered engagement surfaces
US9470275B2 (en) 2013-12-03 2016-10-18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Wedge clutch with a segmented wedge element and chamfered engagement surfaces
KR101662458B1 (ko) * 2015-07-16 2016-10-04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711826B1 (ko)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KR101999118B1 (ko) * 2018-05-30 2019-07-11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71946B1 (ko) 2011-10-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71946B1 (ko)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KR100589834B1 (ko) 리클라이닝 어저스터
JP6196185B2 (ja) 乗物用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8820501B2 (en)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cushion
KR10092394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EP2836392B1 (en)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EP2153751B1 (en) Connection device
JP5547074B2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
JP2006204506A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EP2415630A2 (en) Lifting mechanism of vehicle seat
WO2015188746A1 (en) Seat rail assembly
JP2007278509A (ja) アクチュエータ
KR101173469B1 (ko) 시트용 펌핑 디바이스의 백 드라이브 방지장치
JP2018083452A (ja) 乗物用シート
KR101117794B1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CN107510280B (zh) 角度调整配件
KR101107985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977064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EP3173285B1 (en) Head restraint assembly
KR10166245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4512423B2 (ja) リクライニングアジャスタ
KR101144861B1 (ko) 차량용 시트 높이 조절 장치
KR101107987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2332908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KR102442453B1 (ko) 파워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