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7064B1 -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7064B1
KR101977064B1 KR1020170126382A KR20170126382A KR101977064B1 KR 101977064 B1 KR101977064 B1 KR 101977064B1 KR 1020170126382 A KR1020170126382 A KR 1020170126382A KR 20170126382 A KR20170126382 A KR 20170126382A KR 101977064 B1 KR101977064 B1 KR 101977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wedge
tooth
reclin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6905A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70126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064B1/ko
Publication of KR20190036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6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가이드블록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홀더와, 내측기어가 형성되는 섹터투스와, 외측기어가 형성되고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폴투스와,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폴투스를 가압하는 캠과, 캠의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캠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는 캠플레이트와, 폴투스와 가이드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폴투스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웨지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가이드블록과 폴투스 사이에 구비되는 웨지유닛에 의해 폴투스 가이드블록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폴투스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Recliner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플레이트 홀더의 가이드블록과 폴투스 사이에 갭을 최소화하여 래틀 발생으로 인한 감성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리클라이너는 시트에서 시트백을 탑승자의 체형이나 편의에 따라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리클라이너 중 레버방식의 리클라이너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3576호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클라이너의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플레이트 홀더(20)의 홈부 내면에 섹터투스(30)가 가이드 브래킷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플레이트 홀더(20)와 섹터투스(30) 사이에는 작동캠(40), 폴투스(50), 캠 스프링(미도시)이 설치되어 섹터투스(3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여기서, 플레이트 홀더(20)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설치되며, 일측면에는 복수의 가이드 블록이 일정각도의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다.
섹터투스(30)는 시트백 프레임에 설치되는 것으로,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고, 그 테두리의 내주면에는 내측기어(31)가 형성된다. 작동캠(40)은 플레이트 홀더(20)와 섹터투스(30) 사이에 설치되되, 관통홀의 주변에 안착되어 일정각도로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이 작동캠(40)의 중앙에는 리클라이너 작동레버에 연동되는 회전축에 스플라인 결합되는 축홀(41)이 형성된다.
작동캠(40)의 외측에는 복수의 폴투스(50)가 배치되며, 작동캠(40)의 회전에 의해 폴투스(50)가 섹터투스(30)의 내측기어(31)에 치합되거나 해제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과 언록킹이 이루어진다. 작동캠(40)의 외주에는 복수의 당김고리(42)가 돌출 형성되어 폴투스(50)를 작동캠(40) 쪽으로 끌어 당기게 된다.
폴투스(50)는 일단부 일측에는 섹터투스(30)의 내측기어(31)에 치합되는 외측기어(51)가 형성된다. 폴투스(50)의 타단부 일측에는 작동캠(4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돌기(5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작동캠(40)의 당김고리(42)를 걸림되는 걸림고리(53)가 형성된다.
작동캠(40)과 플레이트 홀더(20) 사이에는 리클라이너의 조작시 탄성력을 발생시키고, 조작 해제시 작동캠(40)을 원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된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플레이트 홀더(20)의 복수의 가이드 블록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가이드 블록 사이에 섹터투스(50)가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작동캠(40)의 당김고리(42)가 폴투스(50)의 지지돌기(52)를 가압하여 폴투스(50)의 외측기어(51)가 섹터투스(30)의 내측기어(31)에 치합되는 것을 유지시키고,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시 작동캠(40)의 당김고리(42)가 폴투스(50)의 걸림고리(53)를 걸어서 회전될 때 폴투스(50)를 작동캠(40) 쪽으로 당겨서 섹터투스(30)의 내측기어(31)에서 폴투스(50)의 외측기어(51)를 이격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폴투스(50)가 한 쌍의 가이드 블록에 의해 가이드되어 왕복 이동되도록 구성됨으로, 가이드 블록와 폴투스(50)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는데, 이 틈새가 너무 좁으면 폴투스(50)의 유동이 매끄럽지 못하고, 틈새가 넓으면 시트백 프레임의 전후 유격이 발생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 틈새의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가이드 블록과 폴투스(50)를 가공하기 위한 엄격한 제조공차로 인하여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특허 등록특허공보 제10-0513576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록킹시 폴투스와 가이드 블록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폴투스의 유동이 원활하게 작동되도록 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블록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홀더와, 플레이트 홀더와 상대 회전하고, 내주면에 내측기어가 형성되는 섹터투스와, 한 쌍의 가이드블록 사이에서 이동되며, 외주면에 내측기어에 치합되는 외측기어가 형성되고, 섹터투스를 향하는 쪽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폴투스와, 중앙부가 샤프트홀이 형성되고, 섹터투스를 향하는 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폴투스를 가압하는 캠과, 캠의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캠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회전시 폴투스의 걸림돌기를 당겨서 폴투스를 캠 쪽으로 이동시키는 캠플레이트와, 폴투스와 가이드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폴투스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웨지유닛을 포함하고, 리클라이너 언록킹시 캠이 회전할 때, 캠플레이트가 회전하면서 웨지유닛을 캠 쪽으로 이동시켜면서 폴투스를 캠 쪽으로 이동시켜서 내측기어와 외측기어의 치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웨지유닛은, 폴투스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 중 폴투스의 일측을 가이드하는 하나의 가이드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웨지홈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웨지와, 웨지를 웨지홈에 탄력 지지하는 웨지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웨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웨지홈보다 작게 형성되어 내측기어로 이동되면서 가이드블록과의 사이에 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며, 캠플레이트의 회전시 캠플레이트에 의해 당겨지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웨지스프링은 일정길이의 판부재가 수회 절곡 형성되어 웨지홈에 안착되며, 리클라이너의 언록킹시 압축되면서 웨지를 섹터투스의 내측기어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웨지 스프링은, 코일 스프링 또는 고무재질의 탄성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캠플레이트에는, 회전시 폴투스의 걸림돌기가 이동되도록 하면서 폴투스를 캠쪽으로 당기기 위한 제1당김홀과, 회전시 웨지의 걸림돌기가 이동되도록 하면서 웨지를 캠쪽으로 당기기 위한 제2당김홀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당김홀과 제2당김홀은,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시 캠플레이트가 회전되는 쪽의 일단부를 상측부라 하고, 반대쪽을 하측부라 할 때, 상측부가 하측부보다 높게 위치되며 상측부와 하측부가 경사로 형성되는 꺾임부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 홀더의 바닥에는 리턴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착홈이 폴투스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장착홈에는 리턴스프링의 일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캠에는 리턴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며, 리턴 스프링의 타단부는 캠의 지지돌기에 지지되되, 캠이 회전되는 방향 쪽에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이드블록과 폴투스 사이에 구비되는 웨지유닛에 의해 폴투스 가이드블록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할 수 있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폴투스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폴투스의 제조시 엄격한 제조공차를 맞추지 않아도 됨으로써, 부품의 가공으로 인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클라이너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과 도 4는 도 2의 리클라이너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도 3의 리클라이너에서 웨지유닛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3의 리클라이너에서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캠플레이트가 회전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7은 도 3의 리클라이너에서 리클라이너가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웨지유닛을 도시한 단면도.
도 8은 도 3의 리클라이너에서 플레이트 홀더에 캠과 리턴스프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리턴 스프링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과 도 4는 도 2의 리클라이너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리클라이너에서 웨지유닛이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3의 리클라이너에서 리클라이너의 록킹을 해제하기 위하여 캠플레이트가 회전되는 초기 상태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3의 리클라이너에서 리클라이너가 록킹이 해제된 상태에서의 웨지유닛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리클라이너에서 플레이트 홀더에 캠과 리턴스프링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에서 리턴 스프링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플레이트 홀더(110)와, 섹터투스(120)와, 폴투스(130)와, 캠(140)과, 캠 플레이트(150)와, 웨지 유닛(160), 가이드링(170), 리턴스프링(1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플레이트 홀더(110)는 시트쿠션 프레임이나 시트백 프레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며 중앙에 작동레버에 연결된 레버샤프트가 관통되어 끼워지는 관통홀(111)이 형성된다.
플레이트 홀더(110)의 일면에는 후술하는 폴투스(130)가 플레이트 홀더(11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블록(112)이 마련된다.
가이드블록(112)은 복수로 구성되며, 플레이트 홀더(110)의 일면에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플레이트 홀더(110)의 일면에서 섹터투스(120)를 향하여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가이드블록(112)은 도 2와 같이, 4개로 구성되는 것을 일예로 구성하였으며, 폴투스(130)의 개수에 따라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섹터투스(120)는 외주 가장자리에 일측으로 림부가 돌출 형성되고, 림부의 내주면에 내측기어(121)가 형성된다. 섹터투스(120)는 플레이트 홀더(110)에 가이드 링(170)을 매개로 결합되며 플레이트 홀더(110) 사이에 후술하는 폴투스(130)와, 캠(140), 캠 플레이트(150), 웨지 유닛(160)을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형성한다.
섹터투스(120)의 중앙에는 플레이트 홀더(110)의 관통홀(111)에 연통하는 다른 관통홀이 형성되며, 이 관통홀에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회전되는 레버 샤프트가 관통 삽입된다.
폴투스(130)는 복수의 가이드블록(112) 중 서로 이웃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112) 사이에 설치되며, 한 쌍의 가이드블록(112)에 의해 가이드되어 플레이트 홀더(110)의 반경방향으로 왕복 이동된다.
폴투스(130)는 복수로 구성되되, 외주면(섹터투스의 내측기어를 향하는 면)에 내측기어(121)에 대응하는 외측기어(131)가 형성되고, 내주면에는 후술하는 캠(140)에 의해 가압되는 돌출부(132)가 형성된다.
폴투스(130)의 일면(섹터투스를 향하는 면)에는 리클라이너의 언록킹시 캠 플레이트(150)에 의해 캠(140)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걸림돌기(133)가 섹터투스(120)를 향해 돌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폴투스(130)는 복수로 구성되되, 한 쌍이 1조로 구성되되, 한 쌍이 캠(140)을 중심으로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폴투스(130)는 도 2와 같이, 2쌍으로 이루어지되, 180도 간격으로 배치된 한 쌍이 1개조로 구성된다.
캠(140)은 탑승자가 조작하는 리클라이너 조작레버와 연결된 레버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도록 레버샤프트가 관통되어 스플라인 결합되는 샤프트홀(141)이 중앙에 형성된다. 이 샤프트홀(141)은 레버샤프트가 샤프트홀(141) 내에서 회전되지 않도록 내주면에 복수의 돌기부가 형성되고, 레버샤프트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돌기부에 대응되는 형상의 홈들이 형성된다.
캠(140)은 플레이트 홀더(110)의 중앙에 안착되되, 중앙의 샤프트홀(141)이 플레이트 홀더(110)의 관통홀(111)에 연통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캠(140)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되 사각의 꼭지부가 폴투스(130)의 하단부를 향하여 폴투스(130)의 돌출부(132)를 가압하도록 돌출부(132)에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다.
캠(140)의 꼭지부는 캠(14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폴투스(130)의 돌출부(132)를 가압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된다.
캠(140)의 일면(섹터투스를 향하는 면)에는 후술하는 캠 플레이트(150)와 결합하기 위한 복수의 결합돌기(142)가 형성된다.
캠 플레이트(150)는 섹터투스(120)와 캠(140) 사이에 결합되되, 캠(140)의 회전시 함께 회전되도록 캠(140)의 결합돌기(142)가 결합되는 결합홀(151)이 형성된다. 캠 플레이트(150)의 결합홀(151)은 캠(140)에 형성된 복수의 결합돌기(142) 중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결합돌기(142)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도록 2개 이상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캠 플레이트(150)는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시 캠(140)이 회전할 때 함께 회전하면서 섹터투스(120)의 내측기어(121)에 치합된 폴투스(130)를 캠(140) 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폴투스(130)의 걸림돌기(133)가 당기면서 각 걸림돌기(133)의 이동을 유도하기 위하여 걸림돌기(133)가 끼워지는 제1당김홀(152)이 형성된다. 상기 제1당김홀(152)은 각 폴투스(130)에 형성된 걸림돌기(133)가 끼워지도록 폴투스(130)의 개수와 동일한 숫자로 형성된다.
제1당김홀(152)은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 작동시 캠(140)과 캠 플레이트(150)가 도 3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폴투스(130)를 캠(140) 쪽으로 당길 수 있도록 2단 형태로 구성된다. 즉, 제1당김홀(152)은 도 6에서와 같이, 번개를 표시하는 기호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며, 록킹 해제시 회전되는 방향쪽(시계방향)의 일단부를 상측부(152a)라 하고, 반시계방향 쪽의 단부를 하측부(152b)라 하며 상측부(152a)와 하측부(152b) 사이를 꺾임부(152c)라 표기한다.
이때, 리클라이너의 록킹시에는 폴투스(130)의 걸림돌기(133)가 제1당김홀(152)의 상측부(152a)의 끝부분에 있다가 리클라이너의 언록킹 작동시 캠 플레이트(15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당김홀(152)의 상측부(152a)에서 하측부(152b)로 이동되는 중에 걸림돌기(133)가 꺾임부(152c)에 의해 캠(140) 쪽으로 당겨지면서 하측부(152b)로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제1당김홀(152)은 상측부(152a)가 하측부(152b)보다 크게 형성된다. 꺽임부(152c)는 하측부로 하향 경사로 형성된다.
캠 플레이트(150)에는 후술하는 웨지 유닛(160)의 웨지(161)를 캠(140) 쪽으로 당기기 위한 제2당김홀(153)이 형성되되, 제1당김홀(152)와 유사한 번개를 표시하는 기호의 형태로 형성된다.
즉, 제2당김홀(153)은 록킹 해제시 회전되는 시계방향(회전방향) 쪽의 일단부를 상측부라 하고, 반시계방향 쪽의 단부를 하측부라 하며 상측부와 하측부 사이를 꺾임부라 표기한다. 제2당김홀(153)에서 상측부는 하측부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2당김홀(153)은 제1당김홀(152) 보다 섹터투스(120)의 내측기어(121)에 가깝게 형성된다.
웨지 유닛(160)은 폴투스(130)와 가이드 블록(112) 사이에 구비되며 리클라이너 록킹시 폴투스(130)와 가이드 블록(112) 사이의 틈새를 최소화하도록 쐐기 작용을 수행하기 위한 것으로, 웨지(161)와, 웨지 스프링(16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웨지(161)는 가이드 블록(112)와 폴투스(130) 사이에 섹터투스(120)의 내측기어(121) 쪽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되, 록킹 작동시 섹터투스(120)의 내측기어(121) 쪽으로 이동되면서 폴투스(130)와의 사이에 틈새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언록킹 작동시 섹터투스(120)의 내측기어(121) 반대쪽으로 이동되면서 폴투스(130)가 캠(140) 쪽으로 이동되도록 하여 폴투스(130)의 외측기어(131)가 섹터투스(120)의 내측기어(121)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웨지(161)에는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며 캠플레이트(150)의 제2당김홀(153)에 끼워져 캠플레이트(150)의 회전시 내측기어(121)의 반대쪽으로 당겨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웨지(161)를 탄력 지지하는 웨지스프링(162)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웨지(161)를 내측기어(121)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웨지(161)는 쐐기 형상 즉, 내측기어(121)를 향하는 쪽을 상부라 할 때, 상부가 하부보다 폭이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블록(112)에 형성되는 웨지홈(112a)도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웨지(161)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웨지홈(112a)에 끼워진 웨지(161)가 내측기어(121) 쪽으로 이동하면서 웨지홈(112a)에 꽉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이로 인하여 가이드 블록(112)과 폴투스(130) 사이에 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폴투스(13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웨지(161)에는 리클라이너의 언록킹시 캠플레이트(150)가 회전하면서 웨지(161)를 당기기 위한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이 걸림돌기는 캠플레이트(150)의 제2당김홀(153)의 우측부(도 3)에 끼워져 있으며 캠플레이트(150)의 회전시(리클라이너의 언록킹시) 제2당김홀(153)의 좌측부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웨지 스프링(162)은 가이드 블록(112)에 대해 웨지(161)를 탄력 지지하되, 웨지(161)를 섹터투스(120)의 내측기어(121) 쪽으로 밀어내는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웨지 스프링(162)은 웨지(161)의 일단부(캠을 향하는 단부)를 지지하도록 가이드 블록(112)에 형성되는 웨지 홈부(112a)의 바닥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웨지 스프링(162)은 일정한 길이의 판부재가 수회 절곡되어 구성되되, 대략 W, M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이드 블록(112)에 형성되는 웨지 홈부(112a)의 바닥에 안착된다.
웨지스프링(162)은 웨지(161)를 섹터투스(120)의 내측기어(121)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작용하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되거나 고무재질로 되는 탄성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가이드링(170)은 플레이트 홀더(110)와 섹터투스(120)가 상호 겹쳐진 후에 섹터투스(120) 쪽에서 섹터투스(120)의 가장자리의 외측을 둘러싸되, 플레이트 홀더(110)의 가장자리까지 함께 감싸서 섹터투스(120)와 플레이트 홀더(110)를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리턴 스프링(180)은 플레이트 홀더(110)에서 한 쌍의 가이드블록(112) 사이에 구비되되, 폴투스(130)의 밑면 즉, 폴투스(130)와 플레이트 홀더(110) 사이에 구비되어 플레이트 홀더(110)에 대해 캠(140)을 탄력 지지한다.
리턴 스프링(180)은 일부가 스파이럴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부가 스파이럴 형상의 내측에 구성되고, 타단부가 스파이럴 형상의 외측에서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리턴 스프링(180)을 폴투스(130)와 플레이트 홀더 사이에 구성되기 위해서 도 8과 도 9와 같이, 플레이트 홀더(110)의 바닥면 즉, 가이드블록(112) 사이의 바닥면에는 스프링 장착홈(115)이 형성된다. 스프링 장착홈(115)에는 폴투스(130)를 향해 리턴 스프링(18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돌기(115a)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스프링 장착홈(115)에 폴투스(130)가 끼워지지 않도록 스프링 장착홈(115)의 폭은 폴투스(130)의 폭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리턴 스프링(180)은 스파이럴 형상의 내측에 구비된 일단부가 플레이트 홀더(110)의 고정돌기(115a)에 끼워져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캠(140)에 형성된 지지돌기(143)에 지지되되, 캠(140)이 회전되는 방향 쪽(시계 방향 쪽)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캠(14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리턴스프링(180)의 타단부가 캠(140)의 지지돌기(143)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함께 당겨지게 되며, 이때 리턴스프링(180)에 탄성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후 리클라이너의 작동을 리턴스프링에 발생된 탄성력에 의해 캠(140)을 반시계 방향(리클라이너 작동시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대한 작동관계를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자동차의 시트는 시트백의 경사각이 일정한 각도로 고정된 상태 즉, 리클라이너의 록킹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섹터투스(120)의 내측기어(121)에 폴투스(130)의 외측기어(131)가 치합되어 섹터투스(120)가 회전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리클라이너의 록킹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탑승자가 시트백 경사 조절을 위하여 리클라이너 작동레버를 조작하게 된다. 그러면, 리클라이너 작동레버가 결합되어 있는 레버샤프트가 일정각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 레버샤프트의 회전에 의해 캠(140)도 일정각도로 회전된다. 캠(140)이 일정각도로 회전될 때, 캠(140)과 결합되는 캠플레이트(150)도 캠(140)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폴투스(130)의 돌출부(132)를 캠(140) 쪽으로 가압하는 것이 해제되면서, 캠플레이트(150)의 제2당김홀(153)에 의해 웨지(161)가 캠(140) 쪽(내측기어의 반대쪽)으로 당겨지고, 이와 동시에 캠플레이트(150)의 제1당김홀(152)에 의해 폴투스(130)의 걸림돌기(133)가 당겨지면서 폴투스(130)가 캠(140) 쪽(내측기어 쪽)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섹터기어(120)의 내측기어(121)에 치합된 폴투스(130)의 외측기어(131)가 이격되면서 치합이 해제됨에 따라 리클라이너가 언록킹 상태가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0: 플레이트 홀더
111: 관통홀 112: 가이드 블록
112a: 웨지홈부
115: 스프링 장착홈 115a: 고정돌기
120: 섹터투스
121: 내측기어
130: 폴투스
131: 외측기어 132: 돌출부
133: 걸림돌기
140: 캠
141: 샤프트홀 142: 결합돌기
150: 캠플레이트
151: 결합홀 152: 제1당김홀
153: 제2당김홀
160: 웨지유닛
161: 웨지 162: 웨지 스프링
170: 가이드링
180: 리턴스프링

Claims (7)

  1. 방사상으로 서로 이격되며, 축방향으로 돌출된 복수의 가이드블록을 구비하는 플레이트 홀더;
    플레이트 홀더와 상대 회전하고, 내주면에 내측기어가 형성되는 섹터투스;
    한 쌍의 가이드블록 사이에서 이동되며, 외주면에 내측기어에 치합되는 외측기어가 형성되고, 섹터투스를 향하는 쪽으로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폴투스;
    중앙부가 샤프트홀이 형성되고, 섹터투스를 향하는 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폴투스를 가압하는 캠;
    캠의 결합돌기에 결합되어 캠과 함께 회전되도록 구성되며, 회전시 폴투스의 걸림돌기를 당겨서 폴투스를 캠 쪽으로 이동시키는 캠플레이트;
    폴투스와 가이드블록 사이에 구비되어 리클라이너의 록킹시 폴투스가 유동되지 않도록 하는 웨지유닛;
    플레이트 홀더의 바닥면과 폴투스 사이에 구비되되, 플레이트 홀더에 고정되어 캠을 탄력 지지하는 리턴 스프링;을 포함하고,
    리클라이너 언록킹시 캠이 회전할 때, 캠플레이트가 회전하면서 웨지유닛을 캠 쪽으로 이동시키면서 폴투스를 캠 쪽으로 이동시켜서 내측기어와 외측기어의 치합을 해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웨지유닛은,
    폴투스를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블록 중 폴투스의 일측을 가이드하는 하나의 가이드블록의 측면에 형성된 웨지홈에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는 웨지와,
    웨지를 웨지홈에 탄력 지지하는 웨지스프링;
    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웨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웨지홈보다 작게 형성되어 내측기어로 이동되면서 가이드블록과의 사이에 갭을 최소화하도록 구성되며, 캠플레이트의 회전시 캠플레이트에 의해 당겨지도록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4. 제3항에 있어서,
    웨지스프링은
    일정길이의 판부재가 수회 절곡 형성되어 웨지홈에 안착되며, 리클라이너의 언록킹시 압축되면서 웨지를 섹터투스의 내측기어 쪽으로 가압하는 탄성력을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5. 제3항에 있어서,
    캠플레이트에는,
    회전시 폴투스의 걸림돌기가 이동되도록 하면서 폴투스를 캠쪽으로 당기기 위한 제1당김홀과,
    회전시 웨지의 걸림돌기가 이동되도록 하면서 웨지를 캠쪽으로 당기기 위한 제2당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제1당김홀과 제2당김홀은, 리클라이너의 록킹 해제시 캠플레이트가 회전되는 쪽의 일단부를 상측부라 하고, 반대쪽을 하측부라 할 때, 상측부가 하측부보다 높게 위치되며 상측부와 하측부가 경사로 형성되는 꺾임부에 의해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7. 제1항에 있어서,
    플레이트 홀더의 바닥에는 리턴스프링을 장착하기 위한 스프링 장착홈이 폴투스의 폭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장착홈에는 리턴스프링의 일단부를 결합하기 위한 고정돌기가 형성되며, 캠에는 리턴 스프링의 타단부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리턴 스프링의 타단부는 캠의 지지돌기에 지지되되, 캠이 회전되는 방향 쪽에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0170126382A 2017-09-28 2017-09-28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77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382A KR101977064B1 (ko) 2017-09-28 2017-09-28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382A KR101977064B1 (ko) 2017-09-28 2017-09-28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05A KR20190036905A (ko) 2019-04-05
KR101977064B1 true KR101977064B1 (ko) 2019-05-10

Family

ID=66104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382A KR101977064B1 (ko) 2017-09-28 2017-09-28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0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31A (ko)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매뉴얼 리클라이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7333B1 (ko) * 2021-03-31 2022-10-24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370B1 (ko) * 2009-03-16 2009-07-10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576B1 (ko) 2003-02-18 2005-09-13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용 라운드형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370B1 (ko) * 2009-03-16 2009-07-10 대원정밀공업(주)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08331A (ko) 2021-07-07 2023-01-16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매뉴얼 리클라이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6905A (ko) 2019-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226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EP1674332B1 (en) Vehicle seat reclining apparatus
US9102248B2 (en)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CA2754055C (en) Anti-backdrive for continuous disc recliner
US20170037945A1 (en) Reclining device
KR20140044331A (ko) 내부 판 스프링을 구비한 디스크 리클라이너
KR101600182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422418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09094433B (zh) 用于车辆座椅的倾斜器
US10442323B2 (en) Method of producing seat reclining apparatus
KR20150130306A (ko) 테이퍼형 핀 캠 표면을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KR20090099568A (ko) 편의된 동기화를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조립체
US20140091607A1 (en) Seat reclining apparatus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77064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04690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20150114054A (ko) 자동차 시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888827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너
KR101972336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58694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739314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468420B1 (ko) 록킹 감성을 개선한 리클라이너
KR10199124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N112744135B (zh) 用于车辆座椅的泵送装置
KR10141743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