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0547B1 -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0547B1
KR100820547B1 KR1020060044503A KR20060044503A KR100820547B1 KR 100820547 B1 KR100820547 B1 KR 100820547B1 KR 1020060044503 A KR1020060044503 A KR 1020060044503A KR 20060044503 A KR20060044503 A KR 20060044503A KR 100820547 B1 KR100820547 B1 KR 1008205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eccentric
cam
protrusions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4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1566A (ko
Inventor
장승훈
황진철
Original Assignee
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60044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0547B1/ko
Publication of KR200701115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15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e.g. one gear without sun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의 각도조절시 시트 착석자의 감성 저해 요인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전체적인 강도향상 및 내구성의 증대를 이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오작동 예방 및 품질향상을 이룩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Reclin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을 결합한 상태로서, 좌측 사시도와 우측 사시도 및 종단면도,
도 5는 회전브라켓의 사시도,
도 6은 고정브라켓과 편심회전기어의 결합상태 정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편심캠과 캠스프링의 분리 사시도 및 결합상태의 사시도,
도 11은 도 6의 상태에서 원형회전디스크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
도 12는 도 11의 상태에서 회전브라켓의 결합시 브라켓돌기의 결합위치를 나타내 주기 위한 정면도,
도 13은 고정브라켓과 편심회전기어의 조립체에 편심캠과 캠스프링의 조립체가 결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고정브라켓 11,31 - 캠축구멍
12 - 내접기어 20 -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
30 - 회전브라켓 32 - 브라켓돌기
40 - 커버브라켓 50 - 편심회전기어
60 - 부시 70 - 편심캠
80 - 캠스프링 90 - 원형회전디스크
본 발명은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승객의 탑승자세를 최적의 상태로 유지하여 주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승객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 및 엉덩이에서 허벅다리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는 그 골격이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의 연접부위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도록 시트백의 각도를 전후방향으로 조절하는 리클라이닝장치가 장착된다.
상기 리클라이닝장치는 두 개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시트의 좌,우 측부에 각각 장착되며, 이 두 개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연결샤프트의 양단과 각각 스플라인 결합을 이루어 일체화 된 구조로서 장착된다.
상기 리클라이닝장치는 연결샤프트가 전동모터의 구동력으로 축회전하면서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는 전동식, 착석자의 레버 조작에 의해 축회전하면서 리클라이닝 동작을 행하는 수동식이 있으며, 차량의 고급화 이미지를 중시하는 요즘에는 주로 전동식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의 각도조절 동작시 끊김 현상이 발생한다거나 또는 시트백이 상하방향으로 유동을 하게 되면 시트 착석자는 불편함을 느끼게 되고 이로 인해 승차감이 나빠지게 되므로, 이를 예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어야 함은 당연하며,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리클라이닝장치는 구성부품간 기어의 이맞물림 양이 커야만 전체적인 강도향상을 이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는 바,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시트백의 각도조절 동작시 시트 착석자의 감성 저해 요인을 없앨 수 있도록 하여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구성부품간 기어의 이맞물림 양을 증가시켜 전체적인 강도향상 및 내구성을 증대를 이룩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면서 중앙에는 캠축구멍이 형성되고, 안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접기어가 형성된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의 캠축구멍을 관통하는 연결샤프트의 단부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연결샤프트의 회전시 상기 내접기어의 일부구간과 치합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브라켓의 중심에 대해 편심 회전운동을 하는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와;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중앙에는 캠축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의 편심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브라켓의 중심에 대해 동축 회전운동을 하면서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라켓돌기가 안쪽면에 형성된 회전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과 상기 회전브라켓의 중첩부위인 바깥 둘레면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 내지 도 4는 도 1을 결합한 좌측 사시도와 우측 사시도 및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리클라이닝장치를 구성하는 회전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라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리클라이닝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고정브라켓(10)과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와 회전브라켓(30) 및 커버브라켓(40)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브라켓(10)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캠축구멍(11)이 형성되고, 안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접기어(12)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는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캠축구멍(11)을 관통하는 연결샤프트(1)의 단부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샤프트(1)의 회전시 상기 내접기어(12)의 일부구간과 치합을 이루고 동시에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에 대해 편심 회전운동을 하면서 상기 연결샤프트(1)의 회전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다수개의 부품으로 이루어지는 조합체이다.
상기 회전브라켓(30)은 시트백 프레임에 용접 결합되는 것으로서, 중앙에는 캠축구멍(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브라켓(10)을 향하는 안쪽면에는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라켓돌기(32)가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회전브라켓(30)은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의 편심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에 대해 동축 회전운동을 하면서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상기 커버브라켓(40)은 상기 고정브라켓(10)과 상기 회전브라켓(30)의 중첩부위인 바깥 둘레면을 따라 끼워지면서 상기 고정브라켓(10)과 회전브라켓(30)을 일체로 결합시키게 되며, 상기 고정브라켓(10)과 회전브라켓(30)의 결합시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는 고정브라켓(10)과 회전브라켓(30)의 사이공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구조이다.
한편,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심회전기어(50)와 부시(60)와 편심캠(70)과 캠스프링(80) 및 원형회전디스크(90)로 구성된다.
상기 편심회전기어(5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0)에 구비된 내접기어(12)의 반경(r1)보다 작은 반경(r2)을 갖는 크기로서 형성되고, 중앙에는 플레이트구멍(51)이 형성되며, 바깥 둘레면 전체에는 상기 내접기어(12)와 치합을 이루는 외접기어(52)가 형성됨은 물론, 상기 회전브라켓(30)을 향하는 일면에는 다수개의 플레이트돌기(53)가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돌기(53)는 제1,2,3,4돌기(53a,53b,53c,53d)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돌기(53a,53b)는 편심회전기어(50)의 중심에 대해 90도의 각도 범위내에서 최대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4돌기(53c,53d)는 편심회전기어(53) 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2돌기(53a,53b)와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부시(60)는 원형 링의 모양을 갖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플레이트구멍(51)으로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편심캠(7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캠축구멍(11)과 상기 회전브라켓(30)의 캠축구멍(31)으로 각각 끼워지는 제1캠축(71) 및 제2캠축(72)이 구비되고, 상기 제1,2캠축(7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연결샤프트(1)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캠구멍(73)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편심캠(70)은 제1,2캠축(71,72)이 연결되는 부위에서 바깥 둘레면을 따라 제1,2플랜지(74,75)가 일체로 형성되는데, 상기 제1,2플랜지(74,75)는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의 조립시 상기 편심회전기어(50)에 구비된 플레이트구멍(51)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1,2플랜지(74,75)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반경(r3,r4)의 크기로서 돌출 형성되면서 이때 상기 반경(r3,r4)의 합은 상기 플레이트구멍(51)의 직경(D1)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편심캠(70)의 회전시 편심회전기어(50)가 고정브라켓(10)의 중심에 대해 편심 회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편심캠(70)은 제1플랜지(74)가 제2플랜지(75)보다 더 큰 반경(r3 〉r4)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플랜지(74)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그 중간부위에는 편심캠(70)의 중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디귿자 모양의 스프링결합 홈(74a)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75)에서 상기 고정브라켓(10)을 향한 일면에는 원호형상의 스프링삽입홈(75a)이 형성된다.
상기 캠스프링(80)은 도 6 및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플랜지(74,75)를 통해 상기 편심캠(70)의 둘레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편심회전기어(50)가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에 대해 편심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외접기어(52)의 일부구간을 상기 내접기어(12)와 치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캠스프링(80)은, 상기 스프링삽입홈(75a)으로 끼워지는 원호부(81)와, 상기 원호부(81)보다 더 큰 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74)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에 대해 상기 편심회전기어(50)가 편심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제공부(82)와, 상기 탄성력제공부(82)의 각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결합홈(74a)으로 끼워져서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단부(83)로 구성된다.
즉, 상기 캠스프링(80)의 탄성력제공부(82)는 도 7 및 도 8과 같이 편심캠(70)과 결합되기 전의 상태가 제1플랜지(74)의 반경(r3)보다 더 큰 곡률로서 벌어져 있는 상태이므로, 원호부(81)를 스프링삽입홈(75a)으로 끼우고 한 쌍의 절곡단부(83)를 스프링결합홈(74a)으로 끼워 캠스프링(80)을 도 9 및 도 10과 같이 편심캠(70)과 조립하게 되면, 상기 캠스프링(80)은 도 7 및 도 8과 같이 원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려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캠스프링(80)의 원호부(81)는 스프링삽입홈(75a)의 지지에 의해 스프링삽입홈(75a)에 끼워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지만, 제1플랜지(74)의 바깥 둘레면에 걸쳐진 한 쌍의 탄력제공부(82)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지는 힘을 발휘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편심캠(70)과 캠스프링(80)의 조립체가 도 13과 같이 고정브라켓(10)과 편심회전기어(50)의 조립체와 결합되면, 탄력제공부(82)의 벌어지는 힘을 받는 상기 편심회전기어(50)는 그 중심(C2)이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C1)으로부터 이동하여 편심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이때, 편심회전기어(50)가 탄력제공부(82)의 복원력을 최대로 받는 부위는 상기 캠스프링(80)의 절곡단부(83)와 마주 대하는 부위이므로, 상기 편심회전기어(50)는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시된 화살표 M과 같이 수직 상방으로 최대한 편심 이동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에 따라, 편심회전기어(50)에 구비된 외접기어(52) 중 화살표 M이 향하는 위치의 외접기어(52)가 상기 고정브라켓(10)의 내접기어(12)와 최대 치합을 이루는 부위이며, 또한 이 부위의 치합강도가 가장 큰 부위이다.
여기서, 연결샤프트(1)의 회전에 의해 편심캠(70)이 회전을 하면 상기 절곡단부(83)의 위치도 편심캠(70)의 회전에 따라 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외접기어(52)와 내접기어(12)의 최대 치합부위도 변하게 됨은 물론이다.
한편, 외접기어(52)와 내접기어(12)의 최대 치합부위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 M과 같이 절곡단부(83)로부터 연장된 부위이지만, 상기 편심회전기어(50)는 탄력제공부(82)의 복원력을 받아 전체적으로 편심 이동한 상태이기 때문에 외접기 어(52)와 내접기어(12)가 치합된 전체의 구간(T1)은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C1; 이 중심은 편심캠의 회전중심과 동일함)에서 반경방향으로 탄력제공부(82)의 끝을 일직선으로 연결한 기준선(L1)내의 구간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고정브라켓(10)과 편심회전기어(50)의 전체 치합 구간(T1)이 대폭적으로 증가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리클라이닝장치의 강도향상 및 내구성의 증대를 이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원형회전디스크(90)는 도 1 및 도 11과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는 상기 제2캠축(72)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캠축(72)이 관통하는 디스크구멍(91)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구멍(91)의 주변에는 상기 브라켓돌기(32) 및 상기 플레이트돌기(53)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돌기구멍(9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구조이다.
여기서, 상기 돌기구멍(92)은 4개로 구성되면서 각각의 돌기구멍(92)에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플레이트돌기(53) 및 브라켓돌기(32)가 한 개씩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한편, 원주방향을 따라 위치한 상기 돌기구멍(92)의 양측면은 각각 플레이트돌기(53) 및 브라켓돌기(32)의 일측면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브라켓(30)에 형성된 브라켓돌기(32)는 도 5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3,4돌기(32a,32b,32c,32d)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돌기(32a,32b)는 상기 고정브라켓(10)과 상기 회전브라켓(30)의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돌기(53) 중 제4,1돌기(53d,53a)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4,1돌기(53d,53a)와 인접하게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4돌기(32c,32d) 는 상기 플레이트돌기(53) 중 제2,3돌기(53b,53c)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2,3돌기(53b,53c)와 인접하게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구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장치의 작동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시트 착석자의 버튼(스위치)조작에 의해 연결샤프트(1)가 전동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시계방향으로 축회전한다고 가정할 때, 상기 연결샤프트(1)와 스플라인 결합된 편심캠(70)은 도 12의 상태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이때, 고정브라켓(10)은 시트쿠션 프레임에 고정 결합된 상태이므로, 캠스프링(80) 및 부싱(60)을 통해 상기 편심캠(70)의 동력을 전달받는 편심회전기어(50)는 상기 캠스프링(80)의 힘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C1)으로부터 편심 이동하여 일부의 외접기어(52)가 내접기어(12)와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상기 편심캠(70)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편심회전기어(50)가 반시계 방향으로 편심 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편심회전기어(50)에 형성된 플레이트돌기(53) 중 제2,4돌기(53b,53d)가 원형회전디스크(90)에 형성된 돌기구멍(92)의 일측면을 밀어주게 됨으로써, 상기 원형회전디스크(90)도 편심회전기어(50)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편심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원형회전디스크(90)가 반시계 방향 편심 회전운동을 함과 동시에 상기 원형회전디스크(90)의 돌기구멍(92)은 그 일측면이 회전브라켓(30)에 형성된 브라켓돌기(32) 중 제1,3돌기(32a,32c)를 밀어주게 됨으로써, 상기 회전브라켓(3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되고, 이 결과 상기 회전브라켓(30)과 결합된 시트백 프레임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됨으로써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동작이 원활하게 진행된다.
이때, 상기 회전브라켓(30)은 그 중심이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C1)과 동축상에 위치하도록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상기 편심캠(70)에 의해 편심회전기어(50) 및 원형회전디스크(90)가 편심 회전운동을 하더라도 상기 회전브라켓(30)은 고정브라켓(10)의 중심(C1)에 대해 동축 회전운동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된 회전브라켓(30)이 고정브라켓(10)의 중심(C1)에 대해 동축 회전운동을 수행하는 구조이므로, 시트 착석자의 감성 저해 요인 즉 시트백의 각도조절시 동작이 끊기거나 또는 시트백이 상항방향으로 유동하는 현상을 없앨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잇점이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리클라이닝장치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0)과 편심회전기어(50)의 전체 치합 구간(T1)이 대폭적으로 증가된 구조를 갖게 됨으로써, 리클라이닝장치의 강도향상 및 내구성의 증대를 이룩할 수 있게 되고, 이 결과 오작동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장치는, 시트백의 각도조절시 시트 착석자의 감성 저해 요인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전체적인 강도향상 및 내구성의 증대를 이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오작동 예방 및 품질향상을 이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7)

  1. 삭제
  2. 시트쿠션 프레임에 결합되면서 중앙에는 캠축구멍(11)이 형성되고, 안쪽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내접기어(12)가 형성된 고정브라켓(10)과;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캠축구멍(11)을 관통하는 연결샤프트(1)의 단부와 스플라인 결합되고, 상기 연결샤프트(1)의 회전시 상기 내접기어(12)의 일부구간과 치합을 이루면서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에 대해 편심 회전운동을 하는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와;
    시트백 프레임에 고정 결합되고, 중앙에는 캠축구멍(31)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의 편심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에 대해 동축 회전운동을 하면서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와 결합되는 다수개의 브라켓돌기(32)가 안쪽면에 형성된 회전브라켓(30)과;
    상기 고정브라켓(10)과 상기 회전브라켓(30)의 중첩부위인 바깥 둘레면을 일체로 결합시키는 커버브라켓(40);으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작동편심어셈블리(20)는, 상기 내접기어(12)보다 작은 반경(r2)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중앙에는 플레이트구멍(51)이 형성되고, 바깥 둘레면을 따라 외접기어(52)가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브라켓(30)을 향하는 일면에 다수개의 플레이트돌기(53)가 형성된 편심회전기어(50)와; 상기 플레이트구멍(51)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원형 링 형상의 부시(60)와;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캠축구멍(11)과 상기 회전브라켓(30)의 캠축구멍(31)으로 각각 끼워지는 제1캠축(71) 및 제2캠축(72)이 구비되고, 상기 제1,2캠축(71,7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관통하여 상기 연결샤프트(1)와 스플라인 결합되는 캠구멍(73)이 구비되며, 상기 제1,2캠축(71,72)의 연결부위 바깥 둘레면에는 상기 플레이트구멍(51)내에 위치하는 제1,2플랜지(74,75)가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2플랜지(74,75)는 서로 다른 반경(r3,r4)의 크기로 돌출 형성되면서 이 반경(r3,r4)의 합이 상기 플레이트구멍(51)의 직경(D1)보다 작은 크기를 갖도록 형성된 편심캠(70)과; 상기 제1,2플랜지(74,75)를 통해 상기 편심캠(70)의 둘레면에 위치하도록 결합되면서 상기 편심회전기어(50)가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에 대해 편심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발휘하여 상기 외접기어(52)의 일부구간을 상기 내접기어(12)와 치합시키도록 하는 캠스프링(80)과; 중앙에는 상기 제2캠축(72)의 직경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캠축(72)이 관통하는 디스크구멍(91)이 형성되고, 상기 디스크구멍(91)의 주변에는 상기 브라켓돌기(32) 및 상기 플레이트돌기(53)가 끼워지는 다수개의 돌기구멍(92)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원형회전디스크(9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돌기(53)는 제1,2,3,4돌기(53a,53b,53c,53d)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돌기(53a,53b)는 편심회전기어(50)의 중심에 대해 90도의 각도 범위내에서 최대한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3,4돌기(53c,53d)는 편심회전기어(53)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제1,2돌기(53a,53b)와 각각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돌기(32)는 제1,2,3,4돌기(32a,32b,32c,32d)로 구성되는데;
    상기 제1,2돌기(32a,32b)는 상기 고정브라켓(53)과 상기 회전브라켓(30)의 결합시 상기 플레이트돌기(53) 중 제4,1돌기(53d,53a)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4,1돌기(53d,53a)와 인접하게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4돌기(32c,32d)는 상기 플레이트돌기(53) 중 제2,3돌기(53b,53c)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제2,3돌기(53b,53c)와 인접하게 이격되어 위치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편심캠(70)은 제1플랜지(74)가 제2플랜지(75)보다 더 큰 반경(r3 〉r4)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제1플랜지(74)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그 중간부위에는 편심캠(70)의 중 심을 향하는 방향으로 절개된 스프링결합홈(74a)이 형성되고;
    상기 제2플랜지(75)에서 상기 고정브라켓(10)을 향한 일면에는 원호형상의 스프링삽입홈(75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캠스프링(80)은,
    상기 스프링삽입홈(75a)으로 끼워지는 원호부(81)와;
    상기 원호부(81)보다 더 큰 곡률을 갖도록 연장 형성되고, 상기 제1플랜지(74)의 바깥 둘레면을 따라 중첩을 이루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고정브라켓(10)의 중심에 대해 상기 편심회전기어(50)가 편심 이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력제공부(82)와;
    상기 탄성력제공부(82)의 각 끝단에서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결합홈(74a)으로 끼워져서 결합되는 한 쌍의 절곡단부(83);
    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원형회전디스크(90)에 형성된 돌기구멍(92)은 4개로 구성되면서 각각의 돌기구멍(92)에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플레이트돌기(53) 및 브라켓돌기(32)가 한 개씩 끼워지도록 형성되는 한편;
    원주방향을 따라 위치한 상기 돌기구멍(92)의 양측면은 각각 플레이트돌기(53) 및 브라켓돌기(32)의 일측면과 면접촉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20060044503A 2006-05-18 2006-05-18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08205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503A KR100820547B1 (ko) 2006-05-18 2006-05-18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44503A KR100820547B1 (ko) 2006-05-18 2006-05-18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566A KR20070111566A (ko) 2007-11-22
KR100820547B1 true KR100820547B1 (ko) 2008-04-08

Family

ID=39090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4503A KR100820547B1 (ko) 2006-05-18 2006-05-18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054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09B1 (ko) * 2008-10-17 2011-05-1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101071946B1 (ko) 2009-04-14 2011-10-10 주식회사다스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KR101072789B1 (ko) 2010-03-11 2011-10-14 주식회사 오스템 다이얼 리클라이너
KR101072791B1 (ko) 2010-02-25 2011-10-14 (주)씨텍 다이얼 리클라이너
KR101260890B1 (ko) 2011-05-13 2013-05-06 (주)디에스시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08B1 (ko) * 2008-10-17 2011-05-1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20100125840A (ko) * 2009-05-22 2010-12-01 주식회사 오스템 차량 시트용 라운드 리클라이너
KR101107986B1 (ko) * 2010-03-10 2012-01-2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CN112026600B (zh) * 2020-09-15 2023-11-10 安道拓(重庆)汽车部件有限公司 角度调节机构
KR102364834B1 (ko) * 2021-07-05 2022-02-18 주식회사비아이엠에스 태양광패널의 기울기 조정을 수행하는 기어 암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광패널 구조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369A (ja) 1999-06-08 2000-12-12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バック角度調整システム
JP2002065387A (ja) 2000-08-30 2002-03-05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2186535A (ja) 2000-12-21 2002-07-02 Araco Corp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4016651A (ja) 2002-06-19 2004-01-22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60046681A (ko) * 2004-04-26 2006-05-17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회전 장치 및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2369A (ja) 1999-06-08 2000-12-12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バック角度調整システム
JP2002065387A (ja) 2000-08-30 2002-03-05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2186535A (ja) 2000-12-21 2002-07-02 Araco Corp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004016651A (ja) 2002-06-19 2004-01-22 Aisin Seiki Co Ltd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20060046681A (ko) * 2004-04-26 2006-05-17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회전 장치 및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4309B1 (ko) * 2008-10-17 2011-05-16 현대다이모스(주)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101071946B1 (ko) 2009-04-14 2011-10-10 주식회사다스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KR101072791B1 (ko) 2010-02-25 2011-10-14 (주)씨텍 다이얼 리클라이너
KR101072789B1 (ko) 2010-03-11 2011-10-14 주식회사 오스템 다이얼 리클라이너
KR101260890B1 (ko) 2011-05-13 2013-05-06 (주)디에스시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1566A (ko) 2007-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054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0836500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0923944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US4836606A (en) Seat with adjustable back rest
JP2004520093A (ja) リクライニング機構
KR101600182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0821100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204690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283186B1 (ko)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KR101034308B1 (ko)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100755651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각도 조절장치
KR100770136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1034309B1 (ko) 차량 시트용 올덤 커플링 타입 리클라이닝 장치
KR101970139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0512876B1 (ko) 컨티뉴즐리타입 자동차용 시트 리클라이닝장치
KR20120126839A (ko)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치
WO2022181214A1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およびシート
KR10125183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JP7421104B2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25179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JP2002291563A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047883B1 (ko) 차량 시트용 리클라이닝장치
KR101107986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040148B1 (ko) 차량용 시트
JP2024076706A (ja) リクライニ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