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118B1 -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118B1
KR101999118B1 KR1020180061960A KR20180061960A KR101999118B1 KR 101999118 B1 KR101999118 B1 KR 101999118B1 KR 1020180061960 A KR1020180061960 A KR 1020180061960A KR 20180061960 A KR20180061960 A KR 20180061960A KR 101999118 B1 KR101999118 B1 KR 1019991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wedge
brake
internal gea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호
황경미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80061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1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1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1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 B60N2/225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cycloidal or planetary mechanisms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웨지에 의해 회전되는 브레이크캠과, 브레이크캠에 의해 인터널기어의 외주면쪽으로 밀려 위치 고정되는 브레이크블록을 포함한다. 브레이크캠과 브레이크블록에 의해 브레이킹 기능이 구현되므로 별도의 브레이크유닛을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 장치 구성이 단순해지고, 작동시 아이들 앵글이 감소되어 작동 응답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recliner of seat for car}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별도의 브레이크유닛을 구비하지 않고도 웨지의 슬립에 의한 리클라이너 풀림 현상을 방지하여 시트백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시트의 시트백은 탑승자의 편의를 위하여 경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탑승자가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시트백을 조절한 후에는 시트백을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어야 탑승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백의 경사각 조절 기능은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부위에 설치되는 리클라이너(recliner)에 의해 수행된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1)는 시트쿠션프레임(2)에 고정되는 쿠션브라켓(3)과 시트백프레임(4)에 고정되는 아암브라켓(5)의 사이에 설치된다. 리클라이너(1)의 익스터널기어는 쿠션브라켓(3)에 고정되고 인터널기어는 아암브라켓(5)에 고정된다.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기어는 내접 관계에 있으며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기어 사이에 형성된 편심공간에 소켓(1a)과, 한 쌍의 웨지(1b), 캠슬리브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소켓(1a)에는 구동축(6)이 삽입 연결되어 회전 조작력을 전달받는다. 소켓(1a)의 양측 작동단은 회전시 회전 방향쪽 웨지(1b)를 밀어주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축(6)이 회전되면 소켓(1a)이 회전되면서 웨지(1b)를 밀어주어 웨지(1b)에 의한 고정 상태가 해제되며, 이에 익스터널기어에 대해 인터널기어가 편심 회전되면서 양자 간의 치합 구간이 변화됨으로써 시트백의 각도가 조정될 수 있게 된다.
시트백의 각도 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시트백에 외력이 작용하여도 상기 웨지(1b)의 작용에 의해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기어의 상대 회전이 억제되어 시트백을 고정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종래의 리클라이너는 시트백에 작용하는 반복 피로 하중에 의해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기어에 측면 유동이 발생하고, 이 유동이 웨지에 전달되어 웨지에 슬립이 발생하게 되는데, 슬립에 의해 웨지가 이동하면 고정 상태가 해지되므로 결국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기어 사이에 상대 회전이 발생하면서 시트백의 경사각이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웨지 슬립에 의한 리클라이너 풀림 현상이 발생하면 임의 시점에 원치 않는 시트백의 경사각 변화가 발생함으로써 탑승자의 착좌 안정감이 크게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 아암브라켓(5)의 외측에 시트쿠션프레임(2)측에 고정되는 브라켓(7)을 설치하고, 그 브라켓(7)에 별도의 장치인 브레이크유닛(8)을 장착(CO2 용접)하여 리클라이너의 풀림을 방지하였다.
그러나, 상기 브라켓(7)과 브레이크유닛(8)의 설치로 인해 부품수와 공정수가 증가되고, 리클라이너 주변부의 구성이 복잡해지며, 시트의 중량이 증가되고,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유발되었다.
또한, 도 2의 (a)와 같이 리클라이너(1)는 소켓(1a)과 웨지(1b) 사이에 아이들 앵글(A=7.5°)이 존재하고, 도 2의 (b)와 같이 브레이크유닛(8)에도 작동부재(8a)와 스프링(8b) 사이에 아이들 앵글(B=6.4°)이 존재한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별도의 브레이크유닛(8)을 사용하는 경우, 시트백 각도 조절시 리클라이너(1)와 브레이크유닛(8)의 아이들 앵글(A+B=13.9°)이 모두 작용하므로 아이들 앵글이 과도하게 커서 작동 지연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3101호(2015.01.08.)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브레이크유닛을 구비하지 않고도 웨지 슬립에 의한 리클라이너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원치 않는 시트백의 경사각 변화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클라이너 주변부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시트 중량과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별도의 브레이크유닛이 필요 없게 되어 아이들 앵글이 감소함으로써 시트백 각도 조절시의 작동 응답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된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호 내접 편심 상태로 결합되는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기어, 상기 인터널기어 내부에 설치되어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기어의 상대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웨지와, 상기 한 쌍의 웨지를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며 회전시 일측 웨지를 밀어 웨지에 의한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일측에 설치되고 피로하중에 의해 슬립되는 웨지에 밀려서 회전되는 브레이크캠과, 상기 소켓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되는 브레이크캠에 의해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밀려서 위치 고정되는 브레이크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브레이크캠은 회전시 브레이크블록을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밀어주는 캠부와 캠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호형판부를 포함하고, 호형판부의 양쪽 단부에 슬립되는 웨지에 걸려서 밀려지는 걸림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블록의 내주면 양측에 브레이크캠 회전시 캠부의 상부 일측부에 걸려서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밀려지는 푸시면이 각각 돌출 형성된다.
상기 소켓의 백플레이트 양측 하부에 브레이크캠의 양측 걸림단에 걸려지는 제1작동단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의 제1작동단에 단차를 두고 웨지의 하단에 걸려지는 제2작동단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의 백플레이트 양측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블록의 외주면 양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돌기홈이 형성되며, 양측 걸림돌기홈의 측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에 의해 소켓이 회전될 때, 소켓의 제1작동단과 브레이크캠의 걸림단 사이 및 소켓의 걸림돌기와 브레이크블록의 돌출부 사이는 동시에 접촉된다.
상기 스프링의 양측 단부는 브레이크블록에 형성된 호형의 스프링홀을 통해 웨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 스프링홈에 삽입되어 걸려지고, 스프링홈의 내측면은 벌어지는 스프링의 양측 단부를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스프링의 단부에 의해 브레이크블록의 스프링홀 내측면이 밀려서 브레이크블록이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밀려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브레이크유닛 없이 리클라이너 자체 구성만으로 웨지 슬립에 의한 리클라이너 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시트백의 원치 않는 경사각 변화가 방지되어 탑승자의 착좌 안정감이 향상된다.
또한, 브레이크유닛과 이를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이 사용되지 않게 됨으로써 리클라이너 주변부의 구성이 간단해지고, 공정수가 감소되며, 시트의 중량이 감소되고, 제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트백 각도 조절 작동에 관계되는 아이들 앵글이 감소됨으로써 시트백 각도 조절의 작동 응답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리클라이너 설치부의 분해 사시도.
도 2의 (a),(b)는 각각 종래의 리클라이너와 브레이크유닛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일 구성인 소켓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일 구성인 브레이크캠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일 구성인 브레이크블록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내부 조립 상태도.
도 8은 도 7의 투영도.
도 9의 (a),(b),(c)는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시트백 각도 조절시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익스터널기어(10), 인터널기어(20), 가이드링(30), 부시(40), 한 쌍의 웨지(50), 소켓(60), 브레이크캠(70), 브레이크블록(80), 스프링(90), 커버플레이트(10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로 설명한 바와 같이, 익스터널기어(10)는 시트쿠션프레임에 고정되는 쿠션브라켓에 고정되고, 인터널기어(20)는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는 아암브라켓에 고정된다.
익스터널기어(10)는 원판형이고 테두리의 내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원통형의 중앙보스(11)가 형성된다.
인터널기어(20)는 원통형 부재 일측 단부 테두리의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것으로 익스터널기어(10)보다 직경이 작고 기어이의 수도 적다. 따라서, 익스터널기어(10)의 내측으로 인터널기어(20)가 삽입되어 양측의 기어이가 치합될 때 양측 기어이는 일부 구간만이 치합되며 익스터널기어(10)와 인터널기어(20)는 서로 편심된다. 즉, 익스터널기어(10)와 인터널기어(20)의 내부에 편심공간이 형성되며 그 편심공간의 내부에 가이드링(30)을 제외하고 이후 설명되는 부품들이 설치된다. 쿠션브라켓에 고정된 익스터널기어(10)에 대해 내접한 인터널기어(20)의 치합 구간이 이동됨으로써 시트백의 각도가 조절된다.
가이드링(30)은 인터널기어(20)의 외측에서 익스터널기어(10)의 외주에 결합되어 익스터널기어(10)의 테두리 측면에 레이저 용접되는 것으로 인터널기어(20)가 익스터널기어(1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익스터널기어(10)와 인터널기어(20)가 축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부시(40)는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에 삽입 설치되어 웨지(50)의 회전을 가이드하고 마찰면을 제공한다.
웨지(50)는 제1웨지(51)와 제2웨지(52)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제1웨지(51)와 제2웨지(52)는 서로 대칭되는 호 형상의 부품이다. 웨지(50)는 익스터널기어(10)의 중앙보스(11)와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에 삽입된 부시(40)의 사이에 삽입 설치된다(도 7 참조). 즉, 웨지(50)는 익스터널기어(10)의 중앙보스(11)를 내측 마찰면으로 이용하고 부시(40)의 내주면을 외측 마찰면으로 이용한다.
제1웨지(51)와 제2웨지(52)는 서로 인접한 단부 쪽의 폭이 길고 그로부터 반대쪽 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감소되는 쐐기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제1웨지(51)와 제2웨지(52)는 시트백쪽에서 전달되는 힘에 의해 인터널기어(20)가 회전되려 할 때 그 회전 방향에 따라 회전 방향쪽 웨지가 중앙보스(11)와 부시(40) 사이에 걸림으로써 인터널기어(20)의 회전을 억제하는 록(lock) 기능을 수행한다.
조립 상태에서 제1웨지(51)와 제2웨지(52)의 인접한 단부에는 스프링(90)의 단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스프링홈(51a,52a)이 형성된다(도 8참조). 스프링(90)의 하중(화살표 D방향)이 작용하는 스프링홈(51a,52a)의 내측면은 스프링(90)의 단부가 벌어질 때 스프링(90)의 단부를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쪽(반경 방향 외측)으로 안내하는 경사면(51b,52b)이 형성된다.
도 4와 같이, 소켓(60)은 구동축이 삽입되어 스플라인 결합되는 원통형의 연결보스(61)와, 연결보스(61)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원판형의 백플레이트(62)를 포함한다. 연결보스(61)는 익스터널기어(10)의 중앙보스(11)에 삽입된다.
백플레이트(62)의 하부 양측에는 브레이크캠(70)의 걸림단(73)(도 5 참조)을 밀어주는 제1작동단(63)이 형성되고, 제1작동단(63)에 단차를 두고 웨지(50)의 하단을 밀어주는 제2작동단(64)이 연이어 형성된다.
백플레이트(62)의 상부 양측에는 제1작동단(63) 및 제2작동단(64)과는 축방향(연결보스(61)의 축방향)으로 반대쪽면에 걸림돌기(65)가 돌출 형성된다.
백플레이트(62)의 상부 중앙 즉, 양측 걸림돌기(65)의 사이 부분에는 스프링(90)의 단부가 관통되는 호형의 스프링홀(66)이 형성된다.
도 5와 같이, 브레이크캠(70)은 회전시 브레이크블록(80)을 리클라이너의 반경방향 외측 즉,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쪽으로 밀어주는 캠부(71)와, 캠부(71)의 하부에 형성된 호형판부(72)와, 호형판부(72)의 양측 상단에 축방향 일측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단(73)을 포함한다.
걸림단(73)의 하면에 소켓(60)의 제1작동단(63)이 걸려짐으로써 소켓(60)에 의해 브레이크캠(70)이 회전될 수 있다. 또한, 걸림단(73)의 상면에 웨지(50)의 하단이 걸려짐으로써 웨지(50)에 의해 브레이크캠(70)이 회전될 수 있다.
캠부(71)의 상면은 평면 또는 곡면 및 평면과 곡면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브레이크캠(70) 회전시 이후 설명될 브레이크블록(80)의 내주면에 형성된 푸시면(81)에 걸려 브레이크블록(80)을 밀어줄 수 있으면 되므로 그 형상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또한 캠부(71)에는 소켓(60)의 연결보스(61)와 중심이 같은 관통홀이 형성된다.
도 6와 같이, 브레이크블록(80)은 전체적으로 호형 판재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브레이크캠(70)의 캠부(71)가 삽입되도록 오목하게 형성된 내주면에는 브레이크캠(70) 회전시 캠부(71)의 상부면 일측에 걸려져서 캠부(71)에 의해 밀려지는 푸시면(81)이 2개소에 돌출 형성된다. 각각의 푸시면(81)은 브레이크캠(7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접촉되는 캠부(71)의 상부면 일측 부분에 의해 밀려진다.
브레이크블록(80)의 양측부에는 브레이크블록(84)의 외주면보다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83)가 형성(반경 차이 = C)되고, 양측 돌출부(83)에 인접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오목한 걸림돌기홈(82)이 형성된다.
브레이크블록(80)의 상부 중간 부분에는 소켓(60)의 스프링홀(66)과 동일한 호형의 스프링홀(84)이 형성된다.
리클라이너 조립 상태에서 브레이크캠(70)과 브레이크블록(80)은 소켓(60) 백플레이트(62)의 동일한 일측면(연결보스(61)의 반대쪽면)에 배치된다. 이때 브레이크캠(70)의 걸림단(73)은 소켓(63)의 제1작동단(63)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소켓(60)의 걸림돌기(65)는 브레이크블록(80)의 걸림돌기홈(82) 내부에 삽입되어 있게 된다.
상기 웨지(50)는 소켓(60) 백플레이트(62)의 반대쪽에 배치되어 하단이 소켓(60)의 제2작동단(64) 및 브레이크캠(70)의 걸림단(73)에 접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브레이크캠(70)과 브레이크블록(80)의 일측에 스프링(90)이 배치된다. 스프링(90)은 일부분이 절개된 링 형상이며, 절개부의 양단부가 리클라이너의 축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90)의 절곡된 양단부는 브레이크블록(80)과 소켓(60)의 스프링홀(84,66)을 관통하여 각각 제1웨지(51)와 제2웨지(52)의 스프링홈(51a,52a)에 삽입되어 걸려진다. 스프링(90)에 의해 제1웨지(51)와 제2웨지(52)의 인접 단부는 항상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받는다(도 7,8의 화살표 D방향). 이에 의해 웨지(50)가 폭이 좁은 단부쪽 방향으로 밀려져 익스터널기어(10)의 중앙보스(11)와 인터널기어(20)에 압입된 부시(40)의 사이에 끼임으로써 웨지(50)에 의한 익스터널기어(10)와 인터널기어(20)의 상대 구속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부시(40), 웨지(50), 소켓(60), 브레이크캠(70), 브레이크블록(80), 스프링(90)은 모두 인터널기어(2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다. 이들이 모두 인터널기어(20)의 내측으로 삽입된 뒤, 커버플레이트(100)가 삽입되어 그 둘레가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에 레이저 용접된다.
커버플레이트(100)는 중심에 관통홀이 형성된 원형판 형상으로서 커버플레이트(100)가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 제일 외측에 용접됨으로써 그 내측에 위치한 상기 부품(40 내지 90)들이 인터널기어(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작동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리클라이너는 기본적으로 웨지(50)에 의해 록킹 상태가 유지된다. 즉, 스프링(90)에 의해 제1웨지(51)와 제2웨지(52)가 상호 벌어지는 방향 즉, 폭이 좁은 단부쪽 방향으로 각각 이동하여 익스터널기어(10)의 중앙보스(11)와 인터널기어(20)에 압입된 부시(40)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익스터널기어(10)와 인터널기어(20)가 상호 구속되어 양자의 치합 구간 변동이 불가함으로써 시트백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상태에서 도 7,8과 같이, 스프링(90)의 양단은 벌어지는 D방향 힘에 의해 스프링홈(51a,51b)의 경사면을 따라 상향 이동(리클라이너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스프링(90)의 양단부가 스프링홀(84)의 상부면을 밀어줌으로써 브레이크블록(80)이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쪽(화살표 E방향)으로 밀려져서 양측 돌출부(83)의 외주면이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있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시트백에 의한 피로하중에 의해 웨지(50)가 슬립되면(도 7에는 제1웨지(51)에 슬립이 발생한 경우가 표시되었다.) 웨지(50) 하단이 작동단(73)을 밀어 브레이크캠(70)이 회전된다.
브레이크캠(70)이 회전되면 캠부(71)의 상부면 중 일측부가 대응하는 브레이크블록(80)의 푸시면(81)을 밀어줌으로써(화살표 G부분) 브레이크블록(80)이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쪽으로 강하게 밀리면서 양측 돌출부(83)의 외주면이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에 가압되어(화살표 F 부분) 정지되며, 이에 브레이크캠(70)의 회전이 억제되어 웨지(50)의 회전이 구속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해제가 방지된다. 즉, 별도의 브레이크유닛을 구비하지 않고도 웨지(50)의 슬립을 방지하여 리클라이너의 해제를 방지함으로써 시트백의 각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는 브레이크유닛이 추가로 장착되지 않으므로 브레이크유닛을 장착하기 위한 브라켓과 브레이크유닛 등의 구성이 삭제되어 부품수가 감소되고, 이들 부품을 장착하기 위한 공정(CO2 용접)이 필요 없게 되며, 시트 중량과 제조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시트백 각도 조절을 위한 일반적인 사용 상태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도 9의 (a)는 조작 전 상태로서, 소켓(60)의 제1작동단(63)과 브레이크캠(70)의 걸림단(73) 사이의 간극과 소켓(60)의 걸림돌기(65)와 브레이크블록(80)의 돌출부(83) 사이의 간극은 서로 동일하다.
따라서, 구동축 회전에 의해 소켓(60)이 회전(도 9에서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를 도시하였다.)되어 제1작동단(63)이 걸림단(73)에 접촉되고 걸림돌기(65)가 돌출부(83)에 접촉되는데 이 두 부분의 접촉이 동시에 이루어진다(도 9의 (b)상태).
따라서, 소켓(60)의 회전에 의해 브레이크캠(70)과 브레이크블록(80)이 동시에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브레이크캠(70)과 브레이크블록(80)의 상대 회전 위치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브레이크캠(70)이 브레이크블록(80)을 인터널기어(20)의 내주면쪽으로 밀어줄 수 없음으로써 브레이크블록(80)에 의한 브레이킹 작용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소켓(60)이 더 회전하여 도 9의 (c)와 같이 소켓(60)의 제2작동단(64)이 웨지(50)(도시된 경우는 제1웨지(51))의 하단을 밀어 웨지(50)를 해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리클라이너의 구속 상태가 해제되어 시트백의 각도 조절이 가능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너의 아이들 앵글(H=6°)은 도 9(a)에 도시된 작동 전 상태에서 소켓(60)의 제2작동단(64)과 웨지(50) 하단 사이의 간극에 해당되는 값으로서 브레이크유닛을 구비한 종래의 리클라이너의 아이들 앵글(A+B)에 비하여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리클라이너의 시트백 각도 조절시, 리클라이너의 잠금 상태가 보다 신속하게 해제됨으로써 리클라이너의 작동 응답성이 향상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익스터널기어 11 : 중앙보스
20 : 인터널기어 30 : 가이드링
40 : 부시 50 : 웨지
51 : 제1웨지 52 : 제2웨지
51a,52a : 스프링홈 51b,52b : 경사면
60 : 소켓 61 : 연결보스
62 : 백플레이트 63 : 제1작동단
64 : 제2작동단 65 : 걸림돌기
66 : 스프링홀 70 : 소켓
71 : 캠부 72 : 호형단부
73 : 걸림단 80 : 브레이크블록
81 : 푸시면 82 : 걸림돌기홀
83 : 돌출부 84 : 스프링홀
90 : 스프링 100 : 커버플레이트

Claims (7)

  1. 상호 내접 편심 상태로 결합되는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기어;
    상기 인터널기어 내부에 설치되어 익스터널기어와 인터널기어의 상대 회전을 구속하는 한 쌍의 웨지와;
    상기 한 쌍의 웨지를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 밀어주는 스프링과;
    구동축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며 회전시 일측 웨지를 밀어 웨지에 의한 구속 상태를 해제하는 소켓과;
    상기 소켓의 일측에 설치되고 피로하중에 의해 슬립되는 웨지에 밀려서 회전되는 브레이크캠과;
    상기 소켓의 일측에 설치되고 회전되는 브레이크캠에 의해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밀려서 위치 고정되는 브레이크블록;
    을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캠은 회전시 브레이크블록을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밀어주는 캠부와 캠부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호형판부를 포함하고, 호형판부의 양쪽 단부에 슬립되는 웨지에 걸려서 밀려지는 걸림단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브레이크블록의 내주면 양측에 브레이크캠 회전시 캠부의 상부 일측부에 걸려서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밀려지는 푸시면이 각각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백플레이트 양측 하부에 브레이크캠의 양측 걸림단에 걸려지는 제1작동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제1작동단에 단차를 두고 웨지의 하단에 걸려지는 제2작동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백플레이트 양측 상부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블록의 외주면 양측에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는 걸림돌기홈이 형성되며, 양측 걸림돌기홈의 측부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에 의해 소켓이 회전될 때, 소켓의 제1작동단과 브레이크캠의 걸림단 사이 및 소켓의 걸림돌기와 브레이크블록의 돌출부 사이는 동시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의 양측 단부는 브레이크블록에 형성된 호형의 스프링홀을 통해 웨지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각각 형성된 스프링홈에 삽입되어 걸려지고, 스프링홈의 내측면은 벌어지는 스프링의 양측 단부를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이동시키는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는 스프링의 단부에 의해 브레이크블록의 스프링홀 내측면이 밀려서 브레이크블록이 인터널기어의 내주면쪽으로 밀려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0180061960A 2018-05-30 2018-05-30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9991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960A KR101999118B1 (ko) 2018-05-30 2018-05-30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1960A KR101999118B1 (ko) 2018-05-30 2018-05-30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118B1 true KR101999118B1 (ko) 2019-07-11

Family

ID=67254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960A KR101999118B1 (ko) 2018-05-30 2018-05-30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1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20478A (zh) * 2019-12-23 2020-03-27 延锋安道拓(常熟)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一种调角器间隙消除机构
CN111022640A (zh) * 2019-12-12 2020-04-1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驻车系统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838A (ko) * 2009-04-14 2010-10-22 주식회사다스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KR101184190B1 (ko) * 2012-04-18 2012-09-19 대원정밀공업(주) 밀림 방지형 리클라이너
KR20120126349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419700B1 (ko) * 2014-05-20 2014-07-16 대원정밀공업(주) 소형 라운드 리클라이너
KR20150003101A (ko) 2013-06-27 2015-0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711826B1 (ko) *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KR20170141337A (ko) * 2016-06-15 2017-12-26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차량시트용 회전식 리클라이너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3838A (ko) * 2009-04-14 2010-10-22 주식회사다스 풀림 차단 타입 리클라이너
KR20120126349A (ko) * 2011-05-11 2012-11-21 주식회사다스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184190B1 (ko) * 2012-04-18 2012-09-19 대원정밀공업(주) 밀림 방지형 리클라이너
KR20150003101A (ko) 2013-06-27 2015-01-08 주식회사다스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419700B1 (ko) * 2014-05-20 2014-07-16 대원정밀공업(주) 소형 라운드 리클라이너
KR101711826B1 (ko) * 2015-12-03 2017-03-03 대원정밀공업(주) 밀림방지형 리클라이너
KR20170141337A (ko) * 2016-06-15 2017-12-26 주식회사 서연씨엔에프 차량시트용 회전식 리클라이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22640A (zh) * 2019-12-12 2020-04-1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驻车系统
CN110920478A (zh) * 2019-12-23 2020-03-27 延锋安道拓(常熟)座椅机械部件有限公司 一种调角器间隙消除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245435B1 (en) Reclin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7513573B2 (en) Continuous recliner
US8746796B2 (en) Anti-backdrive for continuous disc recliner
KR101205598B1 (ko) 기억 장치를 갖는 디스크 리클라이너
JP3967971B2 (ja) 自動車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4355340B2 (ja) 車両座席用取り付け具
US5634380A (en) Articulated fitting for seats with adjustable backrest in particular for motor vehicle seats
KR10179976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H0856768A (ja) 改良ロータリーリクライナ
KR101600182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2236705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2000232920A (ja) 車両用シートのロック機構
KR10199911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2007501036A5 (ko)
JP2013502937A (ja) 車両シート用取付具
EP2272707B1 (en) Seat reclining apparatus for vehicle
CN111231786A (zh) 用于车辆座椅的倾斜装置
US6296311B1 (en) Constant engagement infinite recliner
JP2018035850A (ja) クラッチユニット
KR20080028089A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1417438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JP3774447B2 (ja) 自動車座席の背当て部のための傾斜調節金具
WO2006088896A1 (en) Seat recliner
KR10156963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