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4927B1 - 조직 재생용 기재 - Google Patents

조직 재생용 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4927B1
KR101224927B1 KR1020087007675A KR20087007675A KR101224927B1 KR 101224927 B1 KR101224927 B1 KR 101224927B1 KR 1020087007675 A KR1020087007675 A KR 1020087007675A KR 20087007675 A KR20087007675 A KR 20087007675A KR 101224927 B1 KR101224927 B1 KR 101224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tissue regeneration
growth factor
gelatin
cell grow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6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42151A (ko
Inventor
요시토 이카다
시게히코 스즈키
츠구요시 다이라
요시타케 다카하시
겐지 도미하타
Original Assignee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군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2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4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49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4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e.g. therapeutic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27/26Mixture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6Porous materials, e.g. foams or spo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5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5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27/60Materials for use in artificial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4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r mode of action
    • A61L2300/412Tissue-regenerating or healing or proliferative agents
    • A61L2300/414Growth f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300/0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 A61L2300/60Biologically active materials used in bandages, wound dressings, absorbent pads or medical devices characterised by a special physical form
    • A61L2300/602Type of release, e.g. controlled, sustained, slow

Abstract

본 발명은 염기성 섬유아 세포 성장 인자(bFGF) 등의 세포 성장 인자의 서방출능을 갖고, 또한 세포가 침입하기 쉬워서 조직의 재생에 적합한 조직 재생용 기재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는,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세포 성장 인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조직 재생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염기성 섬유아 세포 성장 인자, 서방출능, 콜라겐, 젤라틴,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 조직 재생용 기재

Description

조직 재생용 기재{TISSUE REGENERATION SUBSTRATE}
본 발명은 조직 재생용 기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열상, 외상 등의 급성 피부 결손창 및 욕창, 궤양 등의 만성 피부 결손창에 피부 조직을 재생시키기 위한 인공 진피 기재 등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결손이 광범위하게 미치는 경우, 조기에 피부 결손부를 폐쇄할 필요가 있다. 결손된 피부의 재생 방법으로서는, 세포를 사용하지 않고 주형으로서의 콜라겐 스펀지를 생체에 이식하여 생체 내에서 유사 진피 조직을 재생시키는 방법(인공 진피)이 있다. 인공 진피의 경우에는 진피 형상 조직이 재생된 후에 얇은 분층 식피를 실시하거나 배양 표피를 이식할 필요가 있는데, 가능한 한 빨리 진피 성분을 재생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인공 진피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콜라겐 스펀지를 동결 건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고, 생체 내에서의 분해 흡수 속도를 제어할 목적으로 가교를 실시하는 일이 많다.
피부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서는, 어떤 종류의 성장 인자, 예를 들면 염기성 섬유아 세포 성장 인자(bFGF)를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피부로부터 흡수됨으로써 효과는 있지만, 그 효과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일 도포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성장 인자를 서방출(sustained release)시킴으로써 한 번의 투여로 효과를 지속시키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예를 들면 가와이 등은 bFGF함침 젤라틴 마이크로스피어(bFGF-impregnated gelatin microsphere)를 인공 진피에 주입함으로써 bGFG의 서방출 효과와 피부 조직의 생체 내에서의 구축이 촉진되는 것을 명백히 하고 있다(비특허 문헌 1). 또 세포 편입형(cell seeded-type)의 배양 피부를 제작하는 데 있어서도, bFGF함침 젤라틴 마이크로스피어를 첨가함으로써 조직의 구축이 촉진되는 것이 명백하게 되어 있다(비특허 문헌 2).
그러나 이 방법이라면 한 번 마이크로스피어에 bFGF를 함침시킬 필요가 있고, 또한 그 bFGF함침 젤라틴 마이크로스피어를 임상의 현장에서 인공 진피에 주입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번잡하다.
그래서 인공 진피 자체에 성장 인자 서방출능을 갖게 할 수 있으면 임상 현장에서 성장 인자를 인공 진피에 도포하는 것만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져서 간편한 방법으로 될 수 있다.
현재 임상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세포 성장 인자는 염기성 섬유아 세포 성장 인자(bFGF)이다. bFGF는 등전점(isoelectric ponit)이 9.6이고, 예를 들면 등전점이 5.0인 젤라틴과 전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흡착한다. 이 특성을 이용하여 산성 젤라틴(등전점 5.0)으로 생긴 마이크로스피어에 bFGF를 흡착시켜서 bFGF 가 흡착된 마이크로스피어를 이용함으로써 생체 내에서 bFGF를 경시적으로 서방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특허 문헌 1, 비특허 문헌 3).
그러나 이 방법에서는 미립자인 마이크로스피어에 일단 bFGF를 흡착시킨 후에 bFGF를 흡착시킨 마이크로스피어를 기재에 주입시키는 등의 수조작이 필요하게 되어 임상 현장에서 이용하는 데는 번잡해서 사용하기 어려운 일면이 있었다.
한편 bFGF가 흡착하기 쉬운 산성 젤라틴으로 인공 진피 재료를 제작하고, 그곳에 bFGF를 흡착시키면 서방출능을 갖는 기재가 된다고 생각되지만, 생체 내에 있어서 젤라틴은 콜라겐과 비교하면 세포의 침입 등에서 뒤떨어지기 때문에 조직의 재생에는 부적합하다. bFGF를 적량 흡착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한편으로 주위의 세포가 침입하기 쉬운 기재가 요망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젤라틴과 콜라겐을 필수 기재 구성 성분으로 하여 자외선이 조사되어 가교되어 있는 의료용 기재가 세포 배양 담체, 배양 피부 등에 이용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3-325652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특허공개 평11-47258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K.Kawai et al., Biomaterials, Vol.21, p.489-499(2000)
비특허 문헌 2: Saso et al.,, 일본 열상 학회지, 제 29권, p.24-30
비특허 문헌 3: Y.Tabata et al., J. Controlled Release, Vol.31, p.189- 199(1994)
본 발명은 염기성 섬유아 세포 성장 인자(bFGF) 등의 세포 성장 인자의 서방출능을 갖고, 또한 세포가 침입하기 쉬워 조직의 재생에 적합한 조직 재생용 기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실시한 결과, 콜라겐과 젤라틴을 포함하는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bFGF를 함유시켜서 얻어지는 기재가 bFGF의 양호한 서방출성을 갖고, 또한 세포가 침입하기 쉬워서 피부 조직을 재생시키기 위한 조직 재생용 기재로서 가장 적합한 것을 발견해냈다. 이 지견에 기초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해서 본 발명을 완성하는 데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조직 재생용 기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항 1.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세포 성장 인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조직 재생용 기재.
항 2.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의 젤라틴의 함유량이 1∼70중량%인 항 1에 기재된 조직 재생용 기재.
항 3. 세포 성장 인자가 염기성 섬유아 세포 성장 인자(bFGF)인 항 1 또는 2에 기재된 조직 재생용 기재.
항 4. 37℃의 인산 완충 식염수(PBS)에 3일간 침지시킨 후의 해당 PBS 중으로의 세포 성장 인자의 방출량이 조직 재생용 기재 중에 함침시킨 초기의 세포 성장 인자의 총량에 대하여 7중량% 이하인 항 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직 재생용 기재.
항 5. 37℃의 인산 완충 식염수(PBS)에 7일간 침지시킨 후의 해당 PBS 중으로의 세포 성장 인자의 방출량이 조직 재생용 기재 중에 함침시킨 초기의 세포 성장 인자의 총량에 대하여 15중량% 이하인 항 1∼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직 재생용 기재.
항 6. 평균 구멍 직경 10∼500㎛의 연속 구멍을 갖는 항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직 재생용 기재.
항 7. 생체 내에서 3주일 이내에 분해 흡수되는 항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조직 재생용 기재.
항 8.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동결 건조하는 공정, 얻어지는 건조체를 가교 처리하는 공정 및 얻어지는 가교체에 세포 성장 인자를 함유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조직 재생용 기재의 제조 방법.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Ⅰ. 조직 재생용 기재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는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생체 흡수성의 다공질 기재에 세포 성장 인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란, 널리 재생 의료에 이용되는 기재를 의미하고, 예를 들면 피부, 뼈, 연골, 심근, 지방 등의 재생 의료에 이용되는 기재이다. 특히 피부(진피)의 조직 재생용 기재, 즉 인공 진피 기재로서 가장 적합하게 이용된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에 사용되는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는 콜라겐 및 젤라틴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한다.
상기 젤라틴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소, 돼지, 닭, 연어 등의 뼈, 힘줄, 가죽 등에 유래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젤라틴은 산 처리 또는 알칼리 처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산 처리된 젤라틴은 양전하(positive charge)로, 알칼리 처리된 젤라틴은 음전하(negative charge)로 대전되는 것에서, 이 전하를 이용하면 양전하 또는 음전하를 갖는 젤라틴을 포함하는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정전 결합에 의해 각종 세포 성장 인자를 변성시키지 않고 결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때문에 세포 성장 인자(예를 들면 bFGF)의 양호한 서방출이 가능해진다.
상기 콜라겐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소, 돼지 등의 피부나 힘줄 등에 유래하는 것을 이용할 수 있다. 항원성을 배제하여 보다 안전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콜라겐을 프로테아제나 펩신 등의 효소로 처리하여 텔로펩티드(telopeptide)를 가능한 한 제거한 아텔로콜라겐(atelocollagen)이 바람직하다. 아텔로콜라겐에는 Ⅰ∼Ⅳ형이 있는데, 기재의 용도에 따라서 선택할 수 있다. 배양 피부나 창상 피복재로서 이용하는 경우 진피의 구성 성분에 가까운 Ⅰ 또는 Ⅲ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콜라겐을 함유시킴으로써 해당 기재로의 세포의 침입이 용이하게 된다.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포함되는 젤라틴의 함유량은 1∼70중량% 정도, 바람직하게는 20∼60중량%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50중량% 정도이다. 젤라틴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아지면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주위의 조직이 들어가기 어려워지고, 한편 젤라틴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젤라틴과 세포 성장 인자가 정전적 상호 작용에 의한 흡착이 약해져서 서방출 성능이 저하된다. 따라서 상기한 함유량의 범위이면 젤라틴 및 콜라겐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어 높은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는 3차원적으로 조직을 재생하는 기재로 되기 때문에 다공질 구조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수의 연속 구멍(연속된 미세 소구멍)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인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에 세포를 파종했을 때에는 세포가 미세 소구멍 내에 침입하여 접착해서 3차원적으로 확산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세포를 파종하지 않고 이식한 경우에도 주변의 세포가 용이하게 침입할 수 있다. 또한 접착된 세포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세포를 정상적으로 증식 및 분화시킬 수 있다.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의 미세 소구멍의 평균 구멍 직경으로서는, 재생하고자 하는 조직 또는 기관에 의해 최적의 값을 선택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10∼500㎛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50∼300㎛ 정도이다. 10㎛ 미만이면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의 내부에 세포가 침입할 수 없어서 세포 접착성이 극단적으로 뒤떨어지거나, 접착된 세포가 3차원적으로 확산될 수 없는 경우가 있고, 500㎛를 넘으면 세포의 밀도가 낮아져서 조직 또는 기관을 재생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는 상기의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의 다공질 구조가 그대로 반영된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는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세포 성장 인자를 함유하여 이루어진다. 세포 성장 인자로서는, 혈관 신생을 촉진하고, 세포의 활성을 높이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혈관 신생 작용을 갖는 세포 성장 인자, 구체적으로는, 염기성 섬유아 세포 증식 인자(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bFGF)), 산성 섬유아 세포 증식 인자(acid fibroblast growth factor(aFGF)), 혈관 내피 세포 증식 인자(vascular endothelial cell growth factor(VEGF)), 간 세포 증식 인자(hepatocyte growth factor(HGF)), 혈장판 유래 증식 인자(plasma-derived growth factor(PDGF)), 엔지오포이에틴(angiopoietin), 트랜스포밍 증식 인자(transforming growth factor(TFG))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서는, bFGF이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에 있어서의 세포 성장 인자의 함유량은, 그 재생하는 대상 조직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어서 특별히 한정은 없다. 바람직하게는 1㎠에 대하여 0.1㎍∼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1㎍∼50㎍ 정도 함유하고 있으면 좋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는 장시간에 걸쳐서 세포 성장 인자를 안정되게 서방출할 수 있다는 우수한 서방출 성능을 갖고 있다. 예를 들면 bFGF는 혈관 신생을 촉진하여 세포의 활성을 높이는 작용을 갖는데, 생체 내에서 불안정한 물질이고, 또한 수용액 상태에서 사용해도 기대되는 생물 효과는 거의 인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기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소정량의 bFGF를 함침시킴으로써 bFGF를 서방출시켜서 bFGF의 작용을 안정적으로 지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는 예를 들면 37℃의 인산 완충 식염수(PBS)에 3일간 침지시킨 후의 해당 PBS 중으로의 세포 성장 인자의 방출량이 조직 재생용 기재 중에 함침시킨 초기의 세포 성장 인자의 총량에 대하여 7중량% 이하(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라는 특징이 있다. 또 37℃의 인산 완충 식염수(PBS)에 7일간 침지시킨 후의 해당 PBS 중으로의 세포 성장 인자의 방출량이 해당 기재 중에 함침시킨 초기의 세포 성장 인자의 총량에 대하여 15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3중량% 이하)라는 특징이 있다. 특히 세포 성장 인자가 bFGF인 경우에 상기의 서방출 성능이 재현성 좋게 발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는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생체 흡수성 기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생체 내에서 3주일 이내에 분해 흡수된다.
조직 재생용 기재의 함수율의 바람직한 하한은 90%, 바람직한 상한은 99.8%이다.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의 함수율은 해당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의 가교도에 대응해 있으며, 가교도가 높을수록 함수율은 낮아진다. 함수율이 90% 미만이면 얻어지는 조직 재생용 기재가 이식에 적합한 유연성을 갖지 않는 경우가 있으며, 99.8%를 넘으면 얻어지는 조직 재생용 기재가 배양액이나 버퍼 중에서 강도를 유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95%,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98%이다. 또한 함수율은 이하의 계산식에 의한다.
함수율(%)=[(Ws-Wd)/Ws]×100(%)
식 중 Ws는 조직 재생용 기재를 25℃에서 인산 완충 생리 식염수 중에 1시간 침지했을 때의 중량(습윤 중량)을 나타내고, Wd는 유착 방지재를 진공 건조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했을 때의 중량(건조 중량)을 나타낸다.
Ⅱ. 조직 재생용 기재의 제법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는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동결 건조하는 공정, 얻어지는 건조체를 가교 처리하는 공정 및 얻어지는 가교체에 세포 성장 인자를 함유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우선 상기 젤라틴 및 콜라겐을 혼합하여 수용액으로 하고, 이것을 적당한 거푸집 안에 흘려 넣고, -40∼-80℃로 30분∼2시간 정도 동결한다. 이 동결물을 동결 건조함으로써 스펀지 형상의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얻어진 동결 건조물을 가교 처리하여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를 제작한다. 동결 건조물의 가교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열 가교법, γ선 조사법, 자외선 조사법, 전자선 조사법, X선 조사법, 가교제를 이용하는 화학 가교법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 기재의 전체가 균일한 가교도로 되도록 가교할 수 있는 것에서, 가교제를 이용하는 화학 가교법이 가장 적합하다.
화학 가교법으로서, 예를 들면 글루타르알데히드 등의 가교제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동결 건조물을 침지하여 화학 가교를 실시할 수 있다. 물로 씻어서 과도한 글루타르알데히드를 제거하고, 필요에 따라서 다시 동결 건조함으로써 가교된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를 얻는다.
다음으로 얻어지는 가교된 기재에 세포 성장 인자를 함유시키는데, 그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세포 성장 인자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해당 가교체에 적하하는 것, 세포 성장 인자를 함유하는 수용액을 해당 가교체에 함침시키는 것 등이 예시된다. 그 후 필요에 따라서 건조 공정을 더 마련해도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특히 인공 진피 기재)는 세포 성장 인자를 안정적으로 서방출할 수 있고, 또한 세포가 침입하기 쉽기 때문에 창상 치유가 촉진되어 치유 기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꾀할 수 있다.
도 1은 시험예 1에 있어서의 시험관 내(in vitro)에서의 bFGF의 서방출 시험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시험예 1에 있어서의 스펀지의 젤라틴 함량을 0중량%로 한 경우의 조직 절편상이다.
도 3은 시험예 1에 있어서의 스펀지의 젤라틴 함량을 10중량%로 한 경우의 조직 절편상이다.
도 4는 시험예 1에 있어서의 스펀지의 젤라틴 함량을 30중량%로 한 경우의 조직 절편상이다.
도 5는 시험예 1에 있어서의 스펀지의 젤라틴 함량을 50중량%로 한 경우의 조직 절편상이다.
도 6은 시험예 1에 있어서의 스펀지의 젤라틴 함량을 100중량%로 한 경우의 조직 절편상이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1) 콜라겐과 젤라틴의 혼합 스펀지의 제작
돼지 힘줄 유래의 I형 콜라겐과 돼지 피부 유래의 젤라틴을 혼합하여 수용액으로 했다. 수용액을 거푸집에 넣어서 -40℃로 1시간 동결하고, 그 후 동결 건조함으로써 스펀지를 제작했다.
이 스펀지를 진공하 110℃로 처리함으로써 열 가교를 실시했다. 또한 열 가교 후 0.2% 글루타르알데히드 0.05N 아세트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화학 가교를 실시했다. 물로 씻어서 과도한 글루타르알데히드를 제거하고, 다시 동결 건조함으로써 가교 콜라겐―젤라틴 스펀지를 얻었다. 이 가교 스펀지를 다음의 시험관 내의 서방출 시험에 이용했다.
(2) 시험관 내의 서방출 시험
실험에 사용한 스펀지는 젤라틴 함량이 0, 10, 30, 50중량%의 것을 이용했다. 이것을 직경(Φ) 12㎜ 두께 3mm의 스펀지로 하고, bFGF가 40㎍ 함침되도록 bFGF 수용액 100㎕을 스펀지에 적하했다.
서방출 시험은 37℃의 PBS 중에 스펀지를 침지시키고, 1, 3, 5, 7, 9일 후에 PBS 중에 방출된 bFGF를 ELISA법에 의해 정량하여 실시했다.
함침 후의 각 스펀지 중에 포함되는 bFGF의 중량을 100으로 했을 때의 경과 일수에 있어서의 bFGF방출량의 비율, 즉 bFGF 용출 비율(%)을 표 1 및 도 1에 나타낸다.

젤라틴 함량(중량%)
0 10 30 50
1 7.2 3.0 2.9 3.2
3 11.9 5.5 5.7 4.2
5 16.2 9.2 8.7 6.0
7 20.3 12.0 12.1 6.8
9 22.6 13.9 14.2 7.3
(3) 이식 시험
실험에 사용한 스펀지는 젤라틴 함량이 0, 10, 30, 50, 100중량%의 스펀지를 이용했다. 이것을 직경(Φ) 12㎜ 두께 3㎜의 스펀지로 하고, bFGF가 40㎍ 함침하도록 bFGF수용액 100㎕을 스펀지에 적하했다. 이 스펀지를 모르모트 등부분 전층 피부 결손층에 이식하여 2주일 경과 후의 조직 절편상을 도 2∼6에 나타낸다.
젤라틴 100중량%의 스펀지에서는 주위 조직의 세포의 침입이 적고, 또 스펀지 아래에 세포가 잠입하는 다운 그로스(downgrowth)의 상이 관찰되었다. 한편으로 콜라겐 함량이 높아짐에 따라서 세포의 침입이 많고, 조직의 재생도 양호했지만, 콜라겐 100중량%의 경우 세포 성장 인자의 서방출 성능이 저하되었다. 그 때문에 주위 조직의 침입을 방해하지 않고, 또한 세포 성장 인자의 서방출 기능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젤라틴을 최적의 혼합 비율로 혼합시키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조직 재생용 기재(특히 인공 진피 기재)는 세포 성장 인자를 안정적으로 서방출할 수 있고, 또한 세포가 침입하기 쉽기 때문에 창상 치유가 촉진되어 치유 기간의 대폭적인 단축을 꾀할 수 있다.

Claims (8)

  1.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에 염기성 섬유아 세포 성장 인자(bFGF)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조직 재생용 기재로서,
    해당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의 젤라틴의 함유량이 1∼70중량%이고, 해당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가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동결 건조하여 얻어진 것이고, 해당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가 화학 가교되어 있으며, 해당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가 평균 구멍 직경 10∼500㎛의 연속 구멍을 갖는
    조직 재생용 기재.
  2. 제 1 항에 있어서,
    해당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의 젤라틴의 함유량이 1∼50중량%인
    조직 재생용 기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7℃의 인산 완충 식염수(PBS)에 3일간 침지시킨 후의 해당 PBS 중으로의 세포 성장 인자의 방출량이 조직 재생용 기재 중에 함침시킨 초기의 세포 성장 인자의 총량에 대해 7중량% 이하인
    조직 재생용 기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37℃의 인산 완충 식염수(PBS)에 7일간 침지시킨 후의 해당 PBS 중으로의 세포 성장 인자의 방출량이 조직 재생용 기재 중에 함침시킨 초기의 세포 성장 인자의 총량에 대해 15중량% 이하인
    조직 재생용 기재.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피부의 조직 재생용인
    조직 재생용 기재.
  6. 조직 재생용 기재의 제조 방법으로서,
    (1) 콜라겐 및 젤라틴을 포함하는 수성 혼합물을 동결 건조하여 젤라틴의 함유량이 1∼70중량%이고, 평균 구멍 직경 10∼500㎛의 연속 구멍을 갖는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를 제조하는 공정, (2) 얻어지는 생체 흡수성 다공질 기재를 화학 가교 처리하는 공정 및, (3) 얻어지는 가교체에 염기성 섬유아 세포 성장 인자(bFGF)를 함유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087007675A 2005-09-09 2006-09-05 조직 재생용 기재 KR1012249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61840A JP5008284B2 (ja) 2005-09-09 2005-09-09 組織再生用基材
JPJP-P-2005-00261840 2005-09-09
PCT/JP2006/317513 WO2007029677A1 (ja) 2005-09-09 2006-09-05 組織再生用基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151A KR20080042151A (ko) 2008-05-14
KR101224927B1 true KR101224927B1 (ko) 2013-01-22

Family

ID=37835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675A KR101224927B1 (ko) 2005-09-09 2006-09-05 조직 재생용 기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889171B2 (ko)
EP (1) EP1923078B1 (ko)
JP (1) JP5008284B2 (ko)
KR (1) KR101224927B1 (ko)
CN (1) CN101257933A (ko)
AU (1) AU2006288336B2 (ko)
BR (1) BRPI0615905B8 (ko)
CA (1) CA2619785C (ko)
WO (1) WO2007029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83302B2 (en) * 2011-12-16 2016-03-15 Cormatrix Cardiovascular, Inc. Extracellular matrix encasement structures and methods
EP2353547B1 (en) * 2008-06-26 2018-01-17 Nobelpharma Co., Ltd. Agent for regenerating tympanic membrane or external auditory canal
JP5396803B2 (ja) * 2008-10-06 2014-01-2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細胞培養基材及び細胞培養方法
JP2010130913A (ja) * 2008-12-02 2010-06-17 Gunze Ltd グルコース消費量測定による細胞成長因子の活性評価方法
JP2014030663A (ja) * 2012-08-06 2014-02-20 Gunze Ltd 徐放性組織再生材料
JPWO2014115732A1 (ja) * 2013-01-25 2017-01-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移植用人工真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29490B2 (ja) * 2014-05-12 2018-11-28 多木化学株式会社 コラーゲン線維架橋多孔体
JP6432967B2 (ja) * 2014-05-12 2018-12-05 多木化学株式会社 溶解性コラーゲン線維多孔体
CN107849539A (zh) * 2015-08-13 2018-03-27 富士胶片株式会社 多能干细胞的培养方法、培养容器的制造方法、培养容器以及细胞培养用支架材料
CN109311224B (zh) * 2016-06-08 2020-12-29 富士胶片株式会社 明胶成型体的制造方法及明胶成型体
CN107126579A (zh) * 2017-05-15 2017-09-05 中国科学院西北高原生物研究所 一种具有快速止血作用的牦牛皮胶原蛋白海绵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11744922B2 (en) * 2017-10-27 2023-09-05 Saint Louis University Biomimetic sponges for tissue regeneration
CN108525021B (zh) * 2018-04-17 2021-05-18 山西医科大学 基于3d打印的含血管及毛囊结构组织工程皮肤及其制备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258A (ja) * 1997-07-30 1999-02-23 Menicon Co Ltd ゼラチンとコラーゲンとを含有する医用基材
JPH11319068A (ja) * 1998-05-12 1999-11-24 Menicon Co Ltd 人工皮膚用基材およびその製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5529A0 (en) * 1992-05-01 1993-08-18 Amgen Inc Collagen-containing sponges as drug delivery for proteins
AUPN174495A0 (en) 1995-03-15 1995-04-06 Ketharanathan, Vettivetpillai Surgical prostheses
JPH09122227A (ja) * 1995-10-31 1997-05-13 Bio Eng Lab:Kk 医用材料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83972C (zh) 1999-02-04 2005-01-12 吉林圣元科技有限责任公司 促进伤口组织修复的伤口覆盖材料
CN1141981C (zh) 1999-02-04 2004-03-17 李校坤 促进脊髓组织损伤愈合的海绵材料其制备方法及应用
AUPR217300A0 (en) * 2000-12-20 2001-01-25 Ketharanathan, Vettivetpillai Method of creating biological and biosynthetic material for implantation
CN100335015C (zh) * 2001-05-17 2007-09-05 钟渊化学工业株式会社 用于构建具有蛋白代谢功能的体内型人工肾的组合
EP1500405B1 (en) * 2002-05-01 2014-03-05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Method for preparing porous composite material
JP2003325652A (ja) 2002-05-16 2003-11-18 Gunze Ltd 細胞組込型培養皮膚
US20090312524A1 (en) * 2003-11-28 2009-12-17 Alternative Sourced Collagen, Llc Compositions and methods comprising collagen
CN1252251C (zh) 2004-07-26 2006-04-19 戴育成 皮肤干细胞胶原海绵膜人工活性皮肤的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7258A (ja) * 1997-07-30 1999-02-23 Menicon Co Ltd ゼラチンとコラーゲンとを含有する医用基材
JPH11319068A (ja) * 1998-05-12 1999-11-24 Menicon Co Ltd 人工皮膚用基材およびその製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3078A4 (en) 2011-12-14
CA2619785A1 (en) 2007-03-15
WO2007029677A1 (ja) 2007-03-15
JP2007068884A (ja) 2007-03-22
AU2006288336B2 (en) 2011-08-18
EP1923078B1 (en) 2016-01-20
KR20080042151A (ko) 2008-05-14
JP5008284B2 (ja) 2012-08-22
AU2006288336A1 (en) 2007-03-15
US8889171B2 (en) 2014-11-18
BRPI0615905A2 (pt) 2011-05-31
CA2619785C (en) 2013-12-03
CN101257933A (zh) 2008-09-03
BRPI0615905B8 (pt) 2021-12-07
EP1923078A1 (en) 2008-05-21
BRPI0615905B1 (pt) 2018-05-15
US20090143287A1 (en) 2009-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4927B1 (ko) 조직 재생용 기재
Ulubayram et al. EGF containing gelatin-based wound dressings
Ruszczak Effect of collagen matrices on dermal wound healing
EP1446015B1 (en) Remodeling of tissues and organs
EP2600910B1 (en) Dry composition wound dressings and adhesives
Zilberman et al. Hybrid wound dressings with controlled release of antibiotics: Structure-release profile effects and in vivo study in a guinea pig burn model
AU2002362932A1 (en) Remodeling of tissues and organs
Lin et al. An animal study of a novel tri-layer wound dressing material—non-woven fabric grafted with N-isopropyl acrylamide and gelatin
JP2005211477A (ja) 再生医療用支持体
JP2003325652A (ja) 細胞組込型培養皮膚
JP2005213449A (ja) ゼラチンスポンジ
JP2014030663A (ja) 徐放性組織再生材料
RU2430743C2 (ru)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ое раневое покрытие
JPS6141452A (ja) 人工皮膚
Jiang et al. Improved wound healing in pressure-induced decubitus ulcer with controlled release of basic fibroblast growth factor
KR101655435B1 (ko) 연조직과 경조직 동시 재생을 위한 다공성, 생분해성 및 서방성 특성을 가진 다층 하이브리드 지지체
JPH04266763A (ja) 人工皮膚
JPH08196618A (ja) 細胞侵入性コラーゲン製剤、および人工皮膚、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JPH0271748A (ja) 抗菌剤含有人工皮膚およびその製造法
JPH03242142A (ja) 人工皮膚及びその製造方法
JP5679684B2 (ja) Danceタンパク質含有組織再生用基材
WO2022195290A1 (en) Wound healing compositions
JPH0481466B2 (ko)
JPH0234165A (ja) 人工皮膚およびその製造法
Shai et al. Skin substitutes and tissue-engineered skin equival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