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807B1 -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807B1
KR101220807B1 KR1020060062049A KR20060062049A KR101220807B1 KR 101220807 B1 KR101220807 B1 KR 101220807B1 KR 1020060062049 A KR1020060062049 A KR 1020060062049A KR 20060062049 A KR20060062049 A KR 20060062049A KR 101220807 B1 KR101220807 B1 KR 1012208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ut
shock absorber
pipe
fixed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3605A (ko
Inventor
김남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6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20807B1/ko
Publication of KR20080003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3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8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8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4Retainers for holding a fixing element, e.g. bushing, nut, bolt etc., until it is tightly fixed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후방에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리어 쇽 업소버(Rear Shock Absorber)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쇽 업소버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쇽 업소버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부품의 간소화로 차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차체(1)에 원통형의 파이프(3)를 고정하고 상기 파이프에는 보울트(2)를 삽입하여 쇽 업소버(7)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쇽 업소버 장착장치에 있어서, 쇽 업소버 로드(6)에 고정된 아우터 파이프(6a)의 내부에 인너 파이프(8)가 고무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인너 파이프에는 용접에 의해 조립된 공 회전방지수단과 너트 가변 유니트(9)가 강제 압입되어 상기 차체(1)에 고정된 파이프(3)의 내부에 보울트(2)를 끼워 너트 가변 유니트(9) 내의 너트(11)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자동차, 현가장치, 쇽 업소버, 리테이너, 조립성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a rear shock absorber installing apparatus for a vehicle}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도 6의 배면 사시도
도 8은 도 5의 "B"부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보울트
3 : 파이프 6a : 아우터 파이프
7 : 쇽 업소버 8 : 인너 파이프
8a : 절결부 8b : 부시
9 : 너트 가변 유니트 10 : 너트 가이드
10a : 돌출부 12 : 리테이너
본 발명은 자동차의 차체 후방에 설치되어 진동을 흡수하는 리어 쇽 업소버(Rear Shock Absorber)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쇽 업소버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쇽 업소버의 조립작업이 용이해지도록 함과 동시에 부품의 간소화로 차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장치는 차 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 중에 차 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차체와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만드는 장치로서, 노면으로부터 충격을 완화시키는 섀시 스프링과, 섀시 스프링의 자유진동을 제어하여 승차감을 좋게 하는 쇽 업소버 및 차량의 롤링을 방지하는 스태빌라이저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현가장치는 자동차의 장착부위에 따라 프론트 현가장치와, 리어 현가장치로 대별되는데, 상기 리어 현가장치는 평행 리이프 스프링형과 코일스프링형의 차축식과, 스윙 액슬형과 트레일리 아암형 및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과 다이어고널 링크형의 독립식 및 다수개의 링크로 결합되는 멀티링크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부 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차체(1)에 보울트(2)가 삽입되는 원통형의 파이프(3)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차체의 일 측으로는 하부가 개방된 브라켓(4)이 고정되어 있으며 브라켓의 외측으로는 보울트(2)가 나사 결합되는 너트(5)가 용접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쇽 업소버(7)의 로드(6)에 고정된 아이(6a)를 브라켓(4)의 내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차체(1)에 고정된 파이프(3)의 내부로 보울트(2)를 삽입하여 너트(5)에 나사 체결하므로써 쇽 업소버(7)의 조립이 완료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쇽 업소버 장착장치는 차체(1)에 원통형의 파이프(3)를 고정하고 상기 차체의 일 측으로는 아이(6a)가 수용되는 브라켓(4)을 고정함과 동시에 브라켓의 외측으로 너트(5)를 용접하여 보울트(2)를 체결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파이프와 너트의 직진성을 확보하는데 한계가 있어 브라켓(4)에 너트(5)가 허용 공차를 벗어나도록 고정된 경우에는 쇽 업소버(7)를 조립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었다.
또한, 브라켓(4)의 내부에 로드(6)에 고정된 아이(6a)를 끼운 다음 파이프(3)를 통해 보울트(2)를 삽입하여 너트(5)에 나사 결합하도록 되어 있어 쇽 업소버(7)의 장착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쇽 업소버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차체에 원통형의 파이프만을 고정하여 보다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차체에 쇽 업소버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차체에 원통형의 파이프를 고정하고 상기 파이프에는 보울트를 삽입하여 쇽 업소버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쇽 업소버 장착장치에 있어서, 쇽 업소버 로드에 고정된 아우터 파이프의 내부에 인너 파이프가 고무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인너 파이프에는 용접에 의해 조립된 공 회전방지수단과 너트 가변 유니트가 강제 압입되어 상기 차체에 고정된 파이프의 내부에 보울트를 끼워 너트 가변 유니트 내의 너트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4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결합상태 종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차체(1)에 원통형의 파이프(3)가 고정되어 있고 쇽 업소버 로드(6)에 고정된 아우터 파이프(6a)의 내부에는 인너 파이프(8)가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 인너 파이프(8)에는 압입 고정되는 공 회전방지수단은 너트 가변 유니트(9)와 용접으로 조립되어 있다.
상기 너트 가변 유니트(9)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너 파이프(8)에 결합되는 너트 가이드(10)와, 상기 너트 가이드에 너트(11)가 감싸지도록 고정되어 내부에서 너트가 일정범위(t : 약 0.5mm 범위) 내에서 유동되도록 하는 리테이너(12)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너트 가이드(10)의 내경은 너트(11)의 내경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데, 이는 원통형의 파이프(3)와 인너 파이프(8)의 가공 또는 조립 공차가 발생되어 너트 가변 유니트(9)의 리테이너(12)에서 너트(11)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보울트(2)를 너트(11)에 체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인너 파이프(8)에서 너트 가변 유니트(9)가 공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공 회전 방지수단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너 파이프(8)의 일단에 형성된 절결부(8a)와, 상기 너트 가이드(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절결부(8a)상에 압입 고정되는 돌출부(10a)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 가변 유니트(9)를 인너 파이프(8)에 압입 고정하면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너트 가이드(10)에 형성된 돌출부(10a)가 인너 파이프(8)의 절결부(8a) 상에 위치되므로 보울트(2)의 체결 시 인너 파이프(8)로부터 너트 가변 유니트(9)가 공 회전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체(1)에 고정되는 파이프(3)의 일부가 차체의 일 측으로 연장되도록 고정되어 있고 인너 파이프(8)의 다른 일단에는 파이프(3)를 감싸는 부시(8b)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인너 파이프(8)에 너트 가변 유니트(9)가 일체화된 상태로 차체(1)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인너 파이프(8)에 형성된 체결공(8c)과 파이프(3)의 내경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여 조립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너트 가변 유니트(9)는 너트 가이드(10)상에 너트(11)를 위치시킨 다음 상기 너트(11)를 리테이너(12)로 감싸고 너트 가이드(10)와 리테이너(12)를 용접 고정하므로써 일체화되는데, 상기 리테이너(12)가 너트(11)를 감싼 상태로 고정하고 나면 너트(11)는 리테이너(12)의 내부에서 일정범위(t : 약 0.5m 범위) 내에서 좌, 우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너트 가이드(10)에 형성된 내경은 파이프(3)의 내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리테이너(12)에서 너트(11)의 위치가 가변되더라도 파이프(3)에 삽입되는 보울트(2)를 너트(11)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너트 가변 유니트(9)가 일체화하고 나면 이를 아우터 파이프(6a)에 결합된 인너 파이프(8)에 압입 고정하는데, 상기 인너 파이프(8)의 일단에는 절결부(8a)가 형성되어 있고 너트 가이드(10)의 외주면에는 돌출부(10a)가 형성되어 있어 이들을 도 6과 같이 압입 고정하면 상기 인너 파이프(8)에서 너트 가변 유니트(9)가 공 회전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쇽 업소버(7)의 아우터 파이프(6a)에 결합된 인너 파이프(8)를 차체(1)의 일 측으로 노출되게 고정된 파이프(3)에 결합하면 상기 인너 파이프(8)의 다른 일단에 부시(8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부시(8b)가 파이프(3)에 끼워지게 되므로 파이프(3)의 내경과 인너 파이프(8)에 형성된 삽입공(8c)이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차체(1)의 일 측에 쇽 업소버(7)를 결합하고 파이프(3)의 내부에 보울트(2)를 삽입하여 보울트의 숫나사부를 너트 가변 유니트(9)의 리테이너(12)에 감싸진 너트(11)로 나사 결합하므로써 이들의 조립 작업이 완료되는데, 만약 이러한 조립 과정에서 가공 공차 또는 조립 공차에 의해 파이프(3)의 내경과 인너 파이프(8)에 형성된 삽입공(8c)의 위치가 약 0.5mm 범위 내에서 어긋나 있더라도 리테이너(12)에 감싸진 너트(11)가 허용 오차 범위 내에서 유동하게 되므로 보울트(2)의 숫나사부를 너트(11)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울트(2)를 너트(11)에 체결하는 과정에서는 너트 가변 유니트(9)가 인너 파이프(8)에 공 회전방지수단에 의해 압입 고정되어 있어 보울트(2)를 렌치 등으로 조이는 과정에서 너트(11)가 공 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리어 쇽 업소버의 장착이 가능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의 장치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장점을 갖는다.
첫째, 차체에 파이프가 고정되어 있고 인너 파이프에는 너트가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 직진성이 확보되므로 리어 쇽 업소버의 장착에 따른 작업성을 현저히 향상시키게 된다.
둘째, 파이프 및 인너 파이프의 가공 및 조립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리테이너의 내부에서 너트가 일정 범위 유동하도록 되어 있고 너트 가이드의 삽입공이 인너 파이프의 삽입공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어 쇽 업소버를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 다.
셋째, 인너 파이프에 너트 가변 유니트가 공 회전 방지수단에 의해 압입 고정되어 있어 별도의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되고, 이에 따라 부품의 간소화로 차체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넷째, 차체에 별도의 브라켓 및 너트를 용접 고정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리어 쇽 업소버의 장착에 따른 작업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차체(1)에 원통형의 파이프(3)를 고정하고 상기 파이프에는 보울트(2)를 삽입하여 쇽 업소버(7)를 장착하도록 구성된 쇽 업소버 장착장치에 있어서, 쇽 업소버 로드(6)에 고정된 아우터 파이프(6a)의 내부에 인너 파이프(8)가 고무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인너 파이프에는 용접에 의해 조립된 공 회전방지수단과 너트 가변 유니트(9)가 강제 압입되어 상기 차체(1)에 고정된 파이프(3)의 내부에 보울트(2)를 끼워 너트 가변 유니트(9) 내의 너트(11)에 나사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가변 유니트(9)는 인너 파이프(8)에 결합되는 너트 가이드(10)와, 상기 너트 가이드에 너트(11)가 감싸지도록 고정하여 내부에서 너트가 유동되도록 하는 리테이너(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 회전 방지수단은 인너 파이프(8)의 일단에 형성된 절결부(8a)와, 상기 너트 가이드(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절결부(8a) 상에 압입 고정되는 돌출부(10a)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1)의 일 측으로 파이프(3)의 일부가 연장되도록 고정하고 인너 파이프(8)의 다른 일단에는 파이프(3)를 감싸는 부시(8b)를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KR1020060062049A 2006-07-03 2006-07-03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KR1012208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049A KR101220807B1 (ko) 2006-07-03 2006-07-03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2049A KR101220807B1 (ko) 2006-07-03 2006-07-03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05A KR20080003605A (ko) 2008-01-08
KR101220807B1 true KR101220807B1 (ko) 2013-01-11

Family

ID=39214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049A KR101220807B1 (ko) 2006-07-03 2006-07-03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080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67B1 (ko) 2013-04-30 2014-06-2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쇼크 업소버의 마운팅구조
US11459035B1 (en) 2021-03-16 2022-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hock absorber assembly structur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8683B1 (ko) * 2006-09-14 2008-05-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270U (ko) * 1995-11-20 1997-06-20 너트 풀림 방지부재
JPH09263114A (ja) * 1996-03-27 1997-10-07 Mazd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の締結構造
JP2001099120A (ja) 1999-09-27 2001-04-10 Masato Nakawa ボルトおよびそのボルトにロックナットを締結してなる締結体
JP2005067431A (ja) 2003-08-26 2005-03-1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支持部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4270U (ko) * 1995-11-20 1997-06-20 너트 풀림 방지부재
JPH09263114A (ja) * 1996-03-27 1997-10-07 Mazda Motor Corp サスペンションリンクの締結構造
JP2001099120A (ja) 1999-09-27 2001-04-10 Masato Nakawa ボルトおよびそのボルトにロックナットを締結してなる締結体
JP2005067431A (ja) 2003-08-26 2005-03-17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支持部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267B1 (ko) 2013-04-30 2014-06-27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 쇼크 업소버의 마운팅구조
US11459035B1 (en) 2021-03-16 2022-10-0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hock absorber assembly structures
US11760422B2 (en) 2021-03-16 2023-09-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hock absorber assembly structur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3605A (ko) 2008-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38712B1 (en) Mount assembly for automotive power plant
JP4970895B2 (ja) 車体用振動減衰装置の取付構造
KR101220807B1 (ko)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JP2011162093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JP2002347650A (ja) サブフレーム支持構造
EP3395661A1 (en) Rear cushion device
CN108454346B (zh) 用于车辆的后桥悬架
KR100953318B1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마운팅 유닛
KR20100038994A (ko) 차량용 스테빌라이져 바 마운팅 유닛
KR20160072310A (ko) 차량용 스트럿바 어셈블리
KR100224489B1 (ko) 텐션로드의 위치 고정장치
KR20120121237A (ko) 쇼크 업소버용 브래킷
KR100412870B1 (ko) 자동차용 로어암의 지오메트리 부시
KR100210304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
JP2011162094A (ja) ラテラルロッドの取付構造
KR20010054640A (ko) 자동차용 현가 장치의 스트럿 마운팅
KR100217669B1 (ko) 미드쉽엔진승용차용 프론트쇽업쇼바의 설치구조
KR19980010442U (ko) 현가장치의 트레일링 링크 취부구조
JP2009154589A (ja) サスペンション用エアスプリングの取付構造
JP2007191110A (ja) ショックアブソーバの取付構造
KR19980078623A (ko) 텐션로드의 보강 유지장치
KR20030016647A (ko) 자동차용 트레일링암의 설치구조
KR19980028527U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장착구조
KR20050100176A (ko) 자동차의 리어현가장치
KR20070025700A (ko) 스테빌라이저 바아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