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8683B1 -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 Google Patents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8683B1
KR100828683B1 KR1020060089238A KR20060089238A KR100828683B1 KR 100828683 B1 KR100828683 B1 KR 100828683B1 KR 1020060089238 A KR1020060089238 A KR 1020060089238A KR 20060089238 A KR20060089238 A KR 20060089238A KR 100828683 B1 KR100828683 B1 KR 100828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ck absorber
pipe
coupled
rear wheel
s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743A (ko
Inventor
이창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8683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7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7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8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86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60G13/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having dampers dissipating energy, e.g. frictio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012Hollow or tubula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7Joi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Abstract

차량의 후륜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후륜 충격 흡수장치(rear wheel shock absorber apparatus)가 결합되는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는 상기 후륜과 리어 플로어(rear floor)를 연결하도록 리어 플로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리어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 상기 충격 흡수 장치가 결합되도록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파이프(pipe), 상기 파이프가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파이프와 상기 충격 흡수 장치가 결합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장치를 안내하는 강화 부재를 포함하며, 이에 의하면, 충격 흡수 장치가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으므로, 품질이 향상되며, 작업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후륜 충격 흡수 장치, 가이드 장치, 리어 사이드 멤버, 파이프, 강화 부재.

Description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APPARATUS FOR GUIDING REAR SHOCK ABSORBER}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는 종래기술에 의한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에 충격 흡수 장치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3은 도2의 Ⅲ-Ⅲ 선에 의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리어 플로어(rear floor)
102: 리어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
103: 강화 부재
105: 충격 흡수 장치(shock absorber)
107: 너트
109: 마운팅 부
201: 스프링
301: 볼트
303: 파이프
400: 강화 부재
본 발명은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 효율이 향상된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후륜 충격 흡수 장치는 리어 플로어(rear floor)인 차량의 후방에 위치하는 패널의 하부에 결합된다.
도1은 종래기술에 의한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1의 (a)는 차량의 리어 플로어(101)를 보여주고, (b)는 리어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102)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2는 종래기술에 의한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와 스프링(201)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3은 도2의 Ⅲ-Ⅲ 선에 의한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종래기술에 의하면, 리어 플로어(101)에 차량의 휠(wheel)이 위치하도록 형성된 휠 하우스(wheel house)의 내부의 상단면에 후륜 충격 흡수 장치가 설치된다.
최근에는, 차량의 실내 공간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후륜 충격 흡수 장치(105)는 리어 사이드 멤버(102)의 내측면에 배치된다.
즉, 도1의 (b) 및 도2를 참조하면, 후륜 충격 흡수 장치(105)는 리어 사이드 멤버(102)에 결합된다.
스프링(201)은 마운팅 부(109)에 결합되며 스프링(201)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충격 흡수 장치(105)가 배치된다.
도3을 참조하면 충격 흡수 장치(105)는 볼트(301)와 너트(107)에 의하여 파이프(303)에 고정된다.
이 때, 즉, 작업자가 충격 흡수 장치(105)를 파이프(303)에 결합하기 위하여 강화 부재(103)와 파이프(303)의 사이에 위치시킬 경우, 작업자의 시선이 미치지 못하여 작업 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충격 흡수 장치(105)의 위치를 작업자가 유지시켜야 하므로, 작업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륜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후륜 충격 흡수장치(rear wheel shock absorber apparatus)가 결합되는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는 상기 후륜과 리어 플로어(rear floor)를 연결하도록 리어 플로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리어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 상기 충격 흡수 장치가 결합되도록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파이프(pipe), 상기 파이프가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결합 부재, 및 상기 파이프와 상기 충격 흡수 장치가 결합되도록 상기 충격 흡수 장치를 안내하는 강화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 부재는 볼트와 너트로 실현될 수 있다.
상기 강화 부재는 상기 볼트 및 너트의 사이에 결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후륜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후륜 충격 흡수장치(rear wheel shock absorber apparatus)가 결합되는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는 리어 사이드 멤버(102), 파이프(303), 결합 부재(301, 107), 및 강화 부재(400)를 포함한다.
리어 사이드 멤버(102)는 후륜과 리어 플로어(101)를 연결하도록 리어 플로어(101)의 하부에 결합되며, 파이프(303)는 충격 흡수 장치(105)가 결합되도록 리어 사이드 멤버(10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결합 부재(301, 107)는 파이프(303)가 리어 사이드 멤버(102)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며, 강화 부재(400)는 파이프(303)와 충격 흡수 장치(105)가 결합되도록 충격 흡수 장치(105)를 안내한다.
리어 플로어(101) 및 리어 사이드 멤버(102)는 종래 기술에서와 같은 것이 적용되며, 파이프(303)는 리어 사이드 멤버(102)를 관통하여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결합 부재(301, 107)는 볼트(301)와 너트(107)로 실현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강화 부재(400)는 볼트(301) 및 너트(107)의 사이에 결합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303)와 강화 부재(400)의 사이에 충격 흡수 장치(105)가 결합됨으로써 후륜 충격 흡수 장치(105)의 위치가 정확히 조절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후륜 충격 흡수 장치(105)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4의 (b)는 도4의 점선 화살표(view)방향으로 강화 부재(400)를 보여주는 도면인데, 이를 참조하면, 강화 부재(400)에 구비된 브라켓(402)에 형성된 홈(404)을 통하여, 볼트(301)의 위치가 정확히 확인되므로, 이에 결합되는 충격 흡수 장치(105)가 정확히 체결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브라켓(402)은 파이프(303)의 단부면과 공간을 두고 형성되고, 이 공간에 체결부(406)가 위치된다.
홈(404)은 파이프(303) 및 체결부(406)와 대응하여 형성된다. 특히 도 4의 (b)를 참조하면 홈(404)은 하부 방향(지면 방향)으로 개방된 형태를 갖는다.
작업자의 시선이 도 4의 (b)에서 "view"방향으로 향함으로써 작업자는 브라켓(402)에 형성된 개방된 홈(404)을 통하여 체결부(406)와 볼트(301)가 체결되는 상태를 쉽게 체크할 수 있다. 따라서 충격 흡수 장치(105)의 체결부(406)를 리어 사이드 멤버(102) 및 강화부재(400)에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후륜 충격 흡수 장치를 설치할 수 있으므로 작업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작업 효율이 향상 될 수 있다.

Claims (3)

  1. 리어 플로어의 하부에 결합되는 리어 사이드 멤버(rear side member);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를 관통하여 배치되는 파이프(Pipe);
    상기 파이프의 단부면과 일정 공간을 두고 상기 단부면과 대향하는 브라켓이 형성되고, 일단이 상기 리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되는 강화 부재;
    상기 파이프와 상기 브라켓 사이 공간에 체결부가 배치되는 충격 흡수 장치; 및
    상기 파이프 및 상기 충격 흡수 장치의 체결부를 관통하여 상기 강화 부재에 결합되는 결합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은 상기 파이프와 상기 충격 흡수 장치의 상기 체결부와 대응하여 형성되며, 상기 브라켓의 한쪽으로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결합 부재는 볼트와 너트인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강화 부재는 상기 볼트 및 너트의 사이에 결합되는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KR1020060089238A 2006-09-14 2006-09-14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KR1008286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38A KR100828683B1 (ko) 2006-09-14 2006-09-14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9238A KR100828683B1 (ko) 2006-09-14 2006-09-14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743A KR20080024743A (ko) 2008-03-19
KR100828683B1 true KR100828683B1 (ko) 2008-05-09

Family

ID=39412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9238A KR100828683B1 (ko) 2006-09-14 2006-09-14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86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789A (ko) * 2005-12-09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쇼바결합용 가이드장치
KR20070110679A (ko) * 2006-05-15 2007-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쇽업소버의 차체 결합구조
KR20080003605A (ko) * 2006-07-03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0789A (ko) * 2005-12-09 2007-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쇼바결합용 가이드장치
KR20070110679A (ko) * 2006-05-15 2007-1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쇽업소버의 차체 결합구조
KR20080003605A (ko) * 2006-07-03 2008-0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743A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8788B1 (ko) 엔진룸 인캡슐레이션 보강유닛
KR101637287B1 (ko) 서브 프레임용 마운팅 유닛
KR100839618B1 (ko) 캐브 완충장치
JP2018134896A (ja) 車両下部構造
KR100844723B1 (ko) 차량용 리어휠하우스패널의 하중분산 및 강성 보강장치
CN103568806B (zh) 一种盒式限位发动机悬置总成
KR100828683B1 (ko) 후륜 충격 흡수 장치의 가이드 장치
CN205800721U (zh) 车辆空调管路的支架组件、车辆空调总成和车辆
JP5613362B2 (ja) 建設装備部品の振動低減装置
KR101636212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마운팅 구조
KR20160068496A (ko) 차량용 범퍼 빔의 보강유닛
KR100894566B1 (ko) 제설기 진동 흡수장치
KR20120068446A (ko) 건설중장비용 유압 호스의 진동 및 충격 저감 장치
CN108928227B (zh) 动力传动系的安装装置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KR101230215B1 (ko) 자동차용 리어 쇼크업소버 지지대
KR101547278B1 (ko) 차량용 프론트 사이드 멤버의 보강구조
CN218198674U (zh) 一种摩托车前减震总成
KR100892704B1 (ko) 차량용 롤 마운팅 장치
KR100814621B1 (ko) 트랙터의 진동방지 구조
CN211076079U (zh) 一种安装支架
CN109341143B (zh) 护板和制冷机组
KR20160110606A (ko) 작업차량용 조명장치
KR101404267B1 (ko) 자동차용 리어 쇼크 업소버의 마운팅구조
KR20220136645A (ko)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