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0605B1 -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 - Google Patents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0605B1
KR101220605B1 KR1020117018437A KR20117018437A KR101220605B1 KR 101220605 B1 KR101220605 B1 KR 101220605B1 KR 1020117018437 A KR1020117018437 A KR 1020117018437A KR 20117018437 A KR20117018437 A KR 20117018437A KR 101220605 B1 KR101220605 B1 KR 101220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collector foil
current collector
drying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8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8784A (ko
Inventor
요오죠오 우찌다
Original Assignee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타지도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8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0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0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2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with,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4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coating on electrode coll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09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a doctor blade method, slip-casting or roller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02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 H01M4/0411Methods of deposition of the material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54Coating heads with slot-shaped outle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 건조를 실현하면서, 집전박과 합제 사이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전극 제조 공정 S1은 시트 형상의 집전박(2)의 표면에, 전극 활물질(4)과 결착제(5)를 포함하는 합제(3)를 도포 시공하고, 합제(3)를 건조시켜 집전박(2)과 합제(3)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지용 전극(1)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집전박(2)의 일측면에, 합제(3)를 도포 시공하는 공정과, 집전박(2)에 도포 시공된 합제(3)를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도포 시공 공정에서는 집전박(2)과 합제(3)의 계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이에 의해, 저속 건조 또는 고속 건조에 관계없이, 합제(3) 내에 포함되는 결착제(5)를 집전박(2)과의 계면에서 결정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속 건조를 실현하면서 집전박(2)과 합제(3)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 {METHOD FOR PRODUCING ELECTRODE FOR BATTERY AND COATING DIE USED IN THE METHOD}
본 발명은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지용 전극을 구성하는 집전박에 페이스트 형상의 합제(合劑)를 도포 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리튬 이온 2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등의 전지에 사용되는 전극은 활물질, 결착제, 도전제 등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형상의 합제를 집전박 상에 도포 시공하고, 건조시킴으로써 제조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또한, 전극의 제조 공정의 사이클 타임을 단축하여, 전지의 생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및 건조 설비의 러닝 코스트를 저감시키기 위해, 합제의 건조 속도를 빠르게 하는 요청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건조 속도에 대한 요청에 따르기 위해, 종래의 전극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고속으로 건조를 행한 경우, 합제 내에서 대류(마이그레이션)가 일어나, 전극 활물질과 비교하여 비중이 가벼운 결착제가 합제 내에서 상부측(집전박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에 편석한다. 그 결과, 집전박과 합제 사이의 박리 강도가 낮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 공개 특허 제2000-353514호 공보
본 발명은 고속 건조를 실현하면서, 집전박과 합제 사이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인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은, 시트 형상의 집전박의 표면에, 전극 활물질과 결착제를 포함하는 합제를 도포 시공하고, 상기 합제를 건조시켜 상기 집전박과 합제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집전박의 일측면에, 상기 합제를 도포 시공하는 공정과, 상기 집전박에 도포 시공된 합제를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 시공 공정에서는 상기 합제에 대해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상기 레이저광은 상기 합제와 집전박의 계면에 조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합제는 물을 용매로 하는 것으로 한 경우, 상기 레이저광은 상기 물과 공명하는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2 형태인 도포 시공 다이는 상기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 공정에 사용하는 것이며, 상기 합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매니폴드를 갖고,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진기는 상기 매니폴드의 근방에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속 건조를 실현하면서 집전박과 합제 사이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전지용 전극의 제조 공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포 시공 다이에 의한 도포 시공 형태를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전지용 전극의 실시의 일 형태인 전극(1)에 대해 설명한다. 전극(1)은 리튬 이온 2차 전지, 니켈 수소 전지, 니켈 카드뮴 전지 등의 전지에 사용되는 정극 전극 또는 부극 전극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1)은 집전박(2)의 일측면(또는 양측면)에, 합제(3)를 도포 시공하고, 합제(3)를 건조시켜 집전박(2)과 합제(3)를 접착한 후, 롤 프레스 등의 처리를 거쳐서 제조된다.
집전박(2)은 시트 형상의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집전 요소로, 예를 들어 리튬 이온 2차 전지의 정극 전극에는 알루미늄박, 부극 전극에는 동박이 각각 사용되고 있다.
합제(3)는 전극 활물질(정극 활물질 또는 부극 활물질)(4), 결착제(5), 증점제(6), 도전제 등을 포함하는 페이스트 형상의 전극 재료이다. 보다 엄밀하게는, 합제(3)는 상기 구성 재료를 균일하게 혼련하고, 물 또는 유기 용매로 페이스트화하여 구성되는 전극 재료이다.
전극 활물질(4)은 전지의 정극 및 부극을 구성하는 전기 화학 반응 물질로, 전극 활물질(4)에 있어서의 화학 반응에 의해 충방전이 행해진다. 정극 활물질로서는, 리튬과 천이 금속의 복합 산화물인 LiMPO4, LiMO2 등을 들 수 있고, 부극 활물질로서는, 흑연, 비정질 탄소 등을 들 수 있다.
결착제(5)는 전극 활물질(4)의 형상 안정성을 갖게 하기 위한 물질로, 전극 활물질(4)과 집전박(2)의 결합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결착제(5)로서는, 수계 용매에는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유기 용매에는 PVDF(폴리불화비닐리덴) 등, 화학적 및 전기 화학적으로 안정된 유기 고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증점제(6)는 혼련 시의 전극 활물질(4)의 분산 안정성을 높이는 물질이다. 증점제(6)로서는, CMC(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제는 전극 활물질(4)에 첨가하여 도전성을 향상시키는 물질이다. 도전제는 구조 점성을 갖는다. 도전제로서는, AB(아세틸렌 블랙), CB(카본 블랙) 등 도전성이 양호한 탄소 혹은 금속의 분말을 들 수 있다.
또한, 합제(3)의 각 구성 재료는 상기한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전극(1)의 용도 등에 따라서 다른 재료를 사용해도 좋다.
이하에, 전극(1)을 제조하는 전극 제조 공정 S1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극 제조 공정 S1에서는 반송 롤러(10)에 의해 집전박(2)을 반송하면서, 도포 시공 다이(20)에 의해 합제(3)를 집전박(2)의 표면(도포 시공면)에 도포 시공하고, 건조로(30) 내에서 합제(3)를 건조시킨다. 합제(3)를 건조시켜 집전박(2)과 접착한 후에는, 롤 프레스 등의 적절한 처리를 거쳐서 제품[전극(1)]으로서 제조된다.
반송 롤러(10)는 소정의 회전 속도로 회전 구동 가능한 롤러로, 집전박(2)의 이면(도포 시공면과 반대측면)을 지지하면서 반송한다. 반송 롤러(10)의 회전 속도는 적절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있고, 이에 의해 반송 롤러(10)에 의한 집전박(2)의 반송 속도가 제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송 롤러(10)에 의한 집전박(2)의 반송 속도는 고속[예를 들어, 60(m/min)]으로 설정된다.
도포 시공 다이(20)는 소정량의 합제(3)를 집전박(2)의 표면 일측을 향해 토출하여, 집전박(2)의 표면에 합제(3)를 도포 시공한다. 도포 시공 다이(20)는 반송 롤러(10)에 의해 반송되는 집전박(2)의 표면 일측과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도포 시공 다이(20)에 의한 합제(3)의 토출량은 적절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있고, 반송 롤러(10)의 회전 속도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다.
건조로(30)는 집전박(2)의 반송 경로를 따라서 설치되는 노로, 소정의 노 길이를 갖는다. 건조로(30)는 집전박(2)을 향해 소정 온도ㆍ풍량(소정 열량)의 열풍을 집전박(2)의 일면(또는 양면)을 향해 송풍함으로써, 집전박(2)의 표면에 도포 시공된 합제(3)를 가열하여 건조한다. 건조로(30)에 의해 합제(3)에 부여되는 열량은 적절한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되어 있고, 건조로(30)를 통과한 후에 합제(3)의 함수량 또는 함용매량이 소정값 이하로 되도록 설정된다.
여기서, 건조로(30)에 의한 합제(3)의 건조 속도[합제(3)에 포함되는 수분이 단위 시간당으로 증발하는 비율]는 건조로(30) 내에서 합제(3)에 부여되는 열량에 좌우된다. 또한, 반송 롤러(10)에 의한 집전박(2)의 반송 속도에 의해, 건조로(30) 내를 통과하는 시간이 변화되므로, 반송 롤러(10)에 의한 건조로(30) 내의 집전박(2)의 반송 속도도 합제(3)의 건조 속도에 관련되어 있다. 즉, 건조로(30) 내에서의 합제(3)에 포함되는 용매의 건조 속도는 반송 롤러(10)에 의한 집전박(2)의 반송 속도와, 건조로(30)에 의해 부여되는 단위 시간당의 열량에 의해 제어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극(1)의 생산성, 비용 등을 고려하여, 건조로(30)에 의한 합제(3)의 건조 속도를 고속으로 설정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건조 속도를 고속으로 설정한다」라고 함은, 건조로(30) 내에서의 합제(3)의 건조 속도를, 합제(3) 내에서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는 최저의 속도보다 큰 속도로 설정하는 것을 의미하고, 「건조 속도를 고속으로 설정한다」는 것에 의해, 합제(3)의 건조 시에 합제(3) 내에서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게 된다. 여기서, 마이그레이션이라 함은, 합제(3)의 건조 시에 합제(3) 내의 수분에 대류가 발생하여, 합제(3)가 함유하는 결착제(5) 등의 성분이 합제(3) 내에서 이동하는 현상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도포 시공 다이(20)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포 시공 다이(20)는 전극 제조 공정 S1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 공정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기로, 합제(3)를 집전박(2)에 대해 토출함으로써 합제(3)를 도포 시공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포 시공 다이(20)는 열전도성이 높은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의 재료로 이루어지고, 본체부(21), 토출구(22), 매니폴드(23), 레이저 발진기(24ㆍ24……) 등을 갖는다.
본체부(21)는 도포 시공 다이(20)를 구성하는 주된 구조체이다.
도포 시공 다이(20)에 있어서, 토출구(22), 매니폴드(23)는 본체부(21)에 형성되어 있고, 레이저 발진기(24ㆍ24…)는 본체부(21)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토출구(22)는 본체부(21)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슬릿 형상의 개구로, 소정의 도포 시공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토출구(22)를 통해 합제(3)가 토출된다. 토출구(22)는 본체부(21)로부터 토출 방향을 향해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매니폴드(23)는 토출구(22)에 연통하는 공간으로, 합제(3)를 일시적으로 저류한다. 매니폴드(23)는 본체부(21)의 중도부에 설치되어 있고, 토출구(22)의 도포 시공 폭과 동일한 폭을 갖는 내부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포 시공 다이(20)에 공급되는 합제(3)는 매니폴드(23) 내에서 토출구(22)에 따른 도포 시공 폭으로 넓혀진 후, 토출구(22)를 향해 공급된다.
또한, 합제(3)는 상온(25 내지 30℃ 정도)의 상태에서 매니폴드(23)에 공급되어 있다.
각 레이저 발진기(24)는 소정 파장의 레이저광을 생성하고, 생성한 레이저광을 조사하기 위한 장치로, 도포 시공 다이(20)에 의한 합제(3)의 도포 시공 중에, 합제(3)에 있어서의 집전박(2)의 표면과의 계면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또한, 각 레이저 발진기(24)는 토출구(22)보다도 집전박(2)의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합제(3)의 집전박(2)에 대한 도포 시공부에 있어서의 합제(3)와 집전박(2)의 계면에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각 레이저 발진기(24)는 토출구(22)의 폭 방향을 따라서 배열된 상태로 본체부(21)에 착탈 가능하고, 또한 각도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도포 시공 다이(20)와 집전박(2) 사이로부터, 합제(3)와 집전박(2)의 계면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한다. 레이저광의 조사를 받은 합제(3)의 수광 개소는 국소적으로 가열되고, 이러한 개소에 있어서, 합제(3)의 건조 또는 결착제(5)의 결정화가 촉진된다.
또한, 레이저 발진기(24)의 배치 개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레이저 발진기(24)의 출력, 조사 범위 등의 성능 및 도포 시공 다이(20)의 도포 시공 형태 등에 따라서 적절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전극 제조 공정 S1에서는 도포 시공 다이(20)를 사용하여 합제(3)를 집전박(2)에 도포 시공할 때에, 각 레이저 발진기(24)로부터, 집전박(2)에 도포 시공된 합제(3)에 있어서의 집전박(2)과의 접촉면인, 합제(3)와 집전박(2)의 계면을 향해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합제(3)를 국소적으로 가열하고 있다.
이에 의해, 합제(3)의 계면측의 건조가 촉진된다. 즉, 집전박(2)과의 계면측에서의 결착제(5)의 고착을 촉진할 수 있어, 결착제(5)가 합제(3)와 집전박(2)의 계면 부근에 존재하기 쉬워지므로, 합제(3)의 결착제(5)에 의한 집전박(2)에 대한 접착 강도가 향상된다.
따라서, 고속 건조를 실현하면서, 합제(3)와 집전박(2)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레이저 발진기(24)로부터의 레이저 조사에 의해 합제(3)의 건조가 촉진되어, 건조 효율이 향상되므로, 건조로(30)에서의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건조로(30)의 노 길이를 짧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포 시공 다이(20)에 의한 합제(3)의 도포 시공 시에, 각 레이저 발진기(24)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건조로(30) 내에서 건조되기 전, 또한 도포 시공 다이(20)로부터 도포 시공된 직후에 합제(3)에 있어서의 집전박(2)과의 계면측이 건조되게 된다.
집전박(2)에 도포 시공된 합제(3)를 건조로(30) 내에서 고속 건조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합제(3) 내에서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고, 특히 도포 시공된 합제(3)가 집전박(2)의 상면에 배치되는 자세로 집전박(2)을 반송하면, 마이그레이션에 의해 합제(3) 내의 결착제(5)가 합제(3)의 표층측[합제(3)와 집전박(2)의 계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이동하기 쉬워지지만, 도포 시공된 직후의 합제(3)에 있어서의 집전박(2)과의 계면측을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건조시킴으로써, 건조로(30) 내에서의 고속 건조 시에, 결착제(5)가 합제(3) 내에서 발생하는 마이그레이션의 영향을 받아 집전박(2)과의 계면측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억제되므로, 고속 건조에 부수되어 발생하는 마이그레이션의 결착제(5)에 대한 영향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합제(3)에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는 속도 이상의 건조 속도로 건조시킨 경우에도, 건조 후의 합제(3)와 집전박(2)의 박리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 속도를 고속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건조로(30) 내에서의 합제(3)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건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거나, 혹은 건조로(30)의 노 길이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건조로(30)의 러닝 코스트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레이저 발진기(24)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은 집전박(2)과 합제(3)의 계면에 대해 둔각으로 입사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집전박(2)과 합제(3)의 계면에 대해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입사하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레이저 발진기(24)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이 집전박(2)의 표면과 이루는 각도가 큰 쪽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합제(3)의 레이저광의 흡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합제(3)의 건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반사율이 높은 금속박으로 이루어지는 집전박(2) 상에서의 레이저광의 반사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 발진기(24)의 출력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레이저 발진기(24)로서는, 반도체 레이저, 가스 레이저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레이저 출력적인 관점으로부터는 가스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용적인 관점으로부터는 반도체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도체 레이저로서는, 예를 들어 파장이 짧고, 고출력의 레이저광을 조사 가능한 청외선(靑外線) 레이저, 자외선 레이저, 또는 파장이 긴 적외선 레이저 중 어느 하나, 혹은 이들의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전극 제조 공정 S1에 사용하는 합제(3)의 종류, 구성 재료 등에 따라서 상기한 반도체 레이저로부터 최적의 것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레이저 발진기(24)로서 청외선 레이저 또는 자외선 레이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합제(3)의 결착제(5)에 포함되는 C-C 결합을 양호하게 파괴하여, 결착제(5)의 결정화(중합)를 촉진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상과 같은 특성을 고려하여, 파장 405㎚, 광출력 300㎽, 연속 출력 200㎽, 펄스 출력 450㎽의 자외선 레이저를 레이저 발진기(24)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합제(3)로서 수계 페이스트(바꿔 말하면, 용매를 물로 하여 페이스트화한 것)를 사용한 경우에는, 물과 공명하는 파장을 갖는 반도체 레이저를 레이저 발진기(24)로서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경우,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합제(3)에 포함되는 물이 공명하여, 효율적으로 합제(3)를 가열할 수 있어, 레이저 발진기(24)의 출력 에너지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반도체 레이저로서는, 예를 들어 2.85㎛의 파장을 갖는 InGaAsSb 양자 우물 레이저를 들 수 있다.
단, 합제(3)로서 수계 페이스트를 사용하고, 또한 레이저 발진기(24)로서 청외선 레이저 또는 자외선 레이저를 사용한 경우에도,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해 합제(3)의 건조를 촉진한다고 하는 작용은 담보된다.
또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레이저 발진기(24)는 도포 시공 다이(20)의 본체부(21)의 외주측으로 돌출되는 부위[도포 시공 다이(20)의 본체부(21)의 외주에 연장 설치되는 부위이며, 집전박(2)측을 향해 돌출되는 부위]에 설치되어 있고, 매니폴드(23)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매니폴드(23)에는 상기와 같이 상온 상태의 합제(3)가 계속해서 공급되므로, 매니폴드(23) 내의 합제(3)가 각 레이저 발진기(24)에 대한 칠러로서 기능한다. 즉, 발열체인 레이저 발진기(24)의 발열이, 도포 시공 다이(20)의 본체부(21)에 전달되고, 또한 매니폴드(23)에 공급되는 합제(3)에 의해 열이 흡수되는 구성이다.
이에 의해, 별도의 냉각 수단을 사용하는 일 없이, 레이저 발진기(24)를 효율적으로 냉각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 발진기(24)의 온도 상승에 기인하는 출력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레이저 발진기(24)의 고출력화가 도모된다.
본 발명은 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공정에 이용 가능하고, 특히 전극 제조 공정이 고속으로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1 : 전극(전지용 전극)
2 : 집전박
3 : 합제
10 : 반송 롤러
20 : 도포 시공 다이
24 : 레이저 발진기

Claims (4)

  1. 시트 형상의 집전박의 표면에, 전극 활물질과 결착제를 포함하는 합제를 도포 시공하고, 상기 합제를 건조시켜 상기 집전박과 합제를 접착하여 이루어지는 전지용 전극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집전박의 일측면에, 상기 합제를 도포 시공하는 공정과,
    상기 집전박에 도포 시공된 합제를 건조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도포 시공 공정에서는 상기 합제와 집전박의 계면에 대해 레이저광을 조사하고,
    상기 건조 공정에서는 상기 합제 내에서 마이그레이션이 발생하는 최저 속도보다도 큰 속도로 건조시키는,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제는 물을 용매로 하는 것이고,
    상기 레이저광은 상기 물과 공명하는 파장을 갖는,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의 도포 시공 공정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이며,
    상기 합제를 일시적으로 저류하는 매니폴드를 갖고,
    상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발진기는 상기 매니폴드의 근방에 배치되는, 도포 시공 다이.
  4. 삭제
KR1020117018437A 2009-04-22 2009-04-22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 KR101220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1835 WO2010122601A1 (ja) 2009-04-22 2009-04-22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塗工ダ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8784A KR20110118784A (ko) 2011-11-01
KR101220605B1 true KR101220605B1 (ko) 2013-01-21

Family

ID=43010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437A KR101220605B1 (ko) 2009-04-22 2009-04-22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962098B2 (ko)
EP (1) EP2424010B1 (ko)
JP (1) JP5348244B2 (ko)
KR (1) KR101220605B1 (ko)
CN (1) CN102405544B (ko)
WO (1) WO2010122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0370B1 (ko) 2011-06-16 2012-12-10 지에스나노텍 주식회사 운모 기판을 이용한 박막전지용 양극 형성 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박막전지
KR101480385B1 (ko) 2011-12-14 2015-01-09 주식회사 엘지화학 버스 바 어셈블리가 전면에 장착된 전지모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중대형 전지팩
JP5910188B2 (ja) * 2012-03-09 2016-04-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13243088A (ja) * 2012-05-22 2013-12-05 Jtekt Corp 電極製造システム
CN103846189A (zh) * 2012-12-04 2014-06-11 明冠能源(江西)有限公司 一种环保精密涂布方法
KR101750326B1 (ko) 2012-12-07 2017-06-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챔버의 구조가 개선된 슬롯 다이 및 이를 구비한 코팅장치
WO2014162530A1 (ja) * 2013-04-03 2014-10-09 株式会社 日立製作所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負極、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JP6052083B2 (ja) 2013-07-12 2016-12-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乾燥装置、乾燥方法、及び電池の製造方法
KR102040511B1 (ko) * 2016-09-09 2019-11-05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코팅 장치
TWI617073B (zh) 2016-11-25 2018-03-0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電池電極結構及其製作方法
TWI725585B (zh) * 2019-10-23 2021-04-2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狹縫式塗佈器
KR20220072587A (ko) 2020-11-25 2022-06-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황 전지용 양극의 제조방법
CN115224238B (zh) * 2022-09-20 2022-11-29 河南锂动电源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负极极片及其制作方法和激光碳化装置
JP7403887B1 (ja) 2023-01-31 2023-12-25 オー・エム・シー株式会社 二次電池の塗工膜の乾燥方法とその塗工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236A (ja) 2000-03-14 2003-09-16 ボイス ペ−パ− パテント ゲ−エムベ−ハ− 塗布装置
JP2005535441A (ja) 2002-08-13 2005-11-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多数のオリフィススロットを有するダイ
JP2007052934A (ja) 2005-08-15 2007-03-01 Sony Corp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9037893A (ja) 2007-08-02 2009-02-19 Panasonic Corp 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板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593A (en) * 1972-06-16 1975-08-19 Corning Glass Works Method of producing magnetic metal oxide films bonded to a substrate
US3974016A (en) * 1974-11-04 1976-08-10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Bonding of thermoplastic coated cylinders
US4185185A (en) * 1975-10-24 1980-01-22 Union Carbide Corporation Laser welding
IT1179061B (it) * 1984-08-20 1987-09-16 Fiat Auto Spa Procedimento per l'effettuazione di un trattamento su pezzi metallici con l'aggiunta di un materiale d'apporto e con l'impiego di un laser di potenza
JPH068493B2 (ja) * 1986-04-22 1994-02-02 三菱電機株式会社 貴金属被覆方法
JPH10188961A (ja) 1996-12-27 1998-07-21 Fuji Film Selltec Kk シート状極板の製造方法と化学電池
DE69813164T2 (de) 1997-12-22 2003-10-23 Japan Storage Battery Co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rösen, mit aktiver Masse gefüllten Elektrode
JP2000323129A (ja) * 1999-05-14 2000-11-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池電極の製造方法
JP3680984B2 (ja) 1999-06-11 2005-08-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電池用シート電極の製造方法
JP2002050347A (ja) 2000-08-03 2002-02-15 Nippei Toyama Corp 電極体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JP2003100318A (ja) * 2001-09-26 2003-04-04 Asahi Glass Co Ltd 塗工膜の製造方法、該方法による塗工膜及び固体高分子型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4244382B2 (ja) 2003-02-26 2009-03-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機能性材料定着方法及びデバイス製造方法
JP2006136762A (ja) 2004-11-10 2006-06-01 Fuji Photo Film Co Ltd 塗布膜の乾燥方法及び装置
US7147674B1 (en) * 2005-03-23 2006-12-12 Maxwell Technologies, Inc. Pretreated porous electr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4363435B2 (ja) * 2005-10-28 2009-11-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パターン形成方法及び液滴吐出装置
KR20110011695A (ko) * 2008-05-19 2011-02-08 이 아이 듀폰 디 네모아 앤드 캄파니 박층을 용액 코팅하는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7236A (ja) 2000-03-14 2003-09-16 ボイス ペ−パ− パテント ゲ−エムベ−ハ− 塗布装置
JP2005535441A (ja) 2002-08-13 2005-11-24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多数のオリフィススロットを有するダイ
JP2007052934A (ja) 2005-08-15 2007-03-01 Sony Corp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2009037893A (ja) 2007-08-02 2009-02-19 Panasonic Corp 非水系二次電池用負極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44144A1 (en) 2011-10-06
WO2010122601A1 (ja) 2010-10-28
CN102405544A (zh) 2012-04-04
KR20110118784A (ko) 2011-11-01
EP2424010B1 (en) 2017-03-22
JPWO2010122601A1 (ja) 2012-10-22
EP2424010A1 (en) 2012-02-29
JP5348244B2 (ja) 2013-11-20
US8962098B2 (en) 2015-02-24
EP2424010A4 (en) 2013-06-26
CN102405544B (zh)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0605B1 (ko) 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그것에 사용하는 도포 시공 다이
KR101863518B1 (ko) 리튬 이온 이차 전지용 전극 시트의 제조 방법
JP3953911B2 (ja) 塗膜シートの製造方法
JP5842407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4078497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6256742B2 (ja) 非水電解質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08103098A (ja)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極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5780226B2 (ja) 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および電極製造装置
JP5834898B2 (ja) 電極製造方法及び電極製造装置
JP2007141540A (ja) 電極板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US10276855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electrode sheet based on an active material dry powder
JP2012097917A (ja) 乾燥装置と該装置を用いる二次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JP2012155988A (ja) 全固体電池の製造方法および全固体電池の製造装置
US11024834B2 (en) Electrode coating apparatus
JP2001176502A (ja)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JP2007294400A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の製造方法
JP2012033426A (ja) 電極の製造方法
KR102116676B1 (ko)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JP2013089573A (ja) 電極、電極製造装置及び電極製造方法
JP2013131399A (ja) 電池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4975909B2 (ja)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用負極の製造方法
JP2019029256A (ja) 電極の製造方法
CN110915026A (zh) 电化学元件用层叠体及电化学元件用构件的制造方法
WO2010119550A1 (ja) 電池用電極の製造方法
JP2024504154A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の製造装置、及びこれ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