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8856B1 -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 Google Patents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8856B1
KR101218856B1 KR1020100094179A KR20100094179A KR101218856B1 KR 101218856 B1 KR101218856 B1 KR 101218856B1 KR 1020100094179 A KR1020100094179 A KR 1020100094179A KR 20100094179 A KR20100094179 A KR 20100094179A KR 101218856 B1 KR101218856 B1 KR 1012188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wing
thread
sweat
torsion spring
sewing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4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3170A (ko
Inventor
하루히코 기노시타
류조 스기모토
Original Assignee
기노시타 세이미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노시타 세이미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노시타 세이미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053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31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8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8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7/00Needle-thread tensioning devices; 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05B47/06Applications of tensomet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6Devices for stopping drive when abnormal conditions occur, e.g. thread breakage

Abstract

(과제) 뛴땀(S)의 검출을 간소한 구조로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고, 뛴땀(S)이나 실끊김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되고, 더 나아가서는 양호한 작업효율이 되어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소정 길이(D)의 이완부분의 위치를 검출장치(8)에 의해서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이완부분의 위치의 검출을 뛴땀(S)이나 실끊김의 유무에 확실하게 대응하여, 또한 뛴땀(S)이나 실끊김의 검출을 잘못하는 일 없이 높은 정밀도로 실현할 수 있어,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을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검출장치(8)는 윗실(3)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을 만큼의 간이한 에어공급장치(19)와 검출수단으로서의 광전 스위치(23)로 이루어지는 소형이고 간소한 구조로 되어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Description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AN AUTOMATED SKIP CHECKER DEVICE FOR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봉제 운전시에 재봉실의 이완부분을 검지함에 의해서 천에 대한 재봉실의 뛴땀이나 실끊김을 높은 정밀도로 검출할 수 있도록 개량한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봉제용 재봉틀에서는 바늘의 상하운동과 침판의 하측에 위치하는 북집의 회전운동의 조합에 의해서 바늘이 천을 관통함에 수반하여 윗실이 밑실과 서로 얽혀서 바늘땀을 형성한다.
이 때, 재봉실에 의해서 천에 바늘땀이 소정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되는데, 봉제 운전에 수반하여 바늘땀의 형성 도중에 바늘땀이 한 땀 혹은 여러 땀에 걸쳐서 형성되지 않는 '뛴땀'이라 칭하는 바늘땀의 불규칙적인 현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뛴땀의 발생원인으로서는 실의 꼬임상태나 천의 두께가 균일하지 않은 것에 의해서 재봉틀의 동작에 적합하지 않게 되는 것을 비롯하여, 바늘과 북집의 세트 게이지의 부적절이나 바늘의 상하운동과 북집의 회전운동의 타이밍의 불일치 등을 들 수 있다.
어쨌든, 천의 바늘땀에 뛴땀이 발생한 경우에는 재봉틀의 운전을 정지하고서 뛴땀 부분의 상태에 대응한 보수를 할 필요가 있다.
봉제 운전시에 뛴땀을 검출하는 것으로서, 특허문헌 1에 뛴땀 검출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상기 뛴땀 검출장치는 재봉실 안내부에 재봉실이 슬라이드 접촉함에 의해서 발생하는 마찰음을 검출하는 검지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검지 센서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입력되는 1회의 바늘질 마다의 마찰음의 발생시간을 비교하여 전회와 금회의 마찰음 발생시간의 차에 의거하는 재봉실 이동량의 차를 구함과 아울러, 회전검출센서에 의해서 재봉틀의 회전수를 검출하고, 엔코더로부터 연속해서 입력되는 1회의 바늘질 마다의 회전수를 비교하여 전회와 금회의 회전수의 차에 의거하는 재봉실 이동량의 차를 구하고, 회전수의 차에 의거하는 재봉실 이동량의 차와 마찰음 발생시간의 차에 의거하는 재봉실 이동량의 차를 비교하고 있다. 이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뛴땀을 판별함으로써, 마찰음의 발생시간의 분산이 큰 경우에도 뛴땀의 검출을 잘못하는 일 없이 실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에서는 재봉틀에 있어서의 봉제시의 실끊김 및 뛴땀 검출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뛴땀 검출방법은, 뛴땀의 발생시에는 바깥북집의 선단이 윗실 루프를 걸지 못함에 의해서 윗실이 북집을 일주하는 길이만큼 이완된다는 식견에 의거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천칭기구와 바늘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윗실의 장력을 변형 게이지로 검출함에 의해서 뛴땀의 발생을 확인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윗실을 루프형상의 가이드 고리에 끼우고, 가이드 고리에 대한 윗실의 슬라이드 접촉압을 변형 게이지에 전달하고, 그 변형량의 대소의 설정값에 의해서 뛴땀의 유무를 판정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개평8-276088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국 특개소50-54457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의 뛴땀 검출장치에서는 검지센서의 구성이 복잡하고 고비용을 초래하기 쉽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회전수의 차에 의한 재봉실 이동량의 차와 마찰음 발생시간의 차에 의한 재봉실 이동량의 차를 비교할 때, 봉제 상황이나 봉제 조건에 따라서는 비교 조건을 조정할 필요가 생기고, 봉제용의 천에 따라서는 뛴땀 판별의 설정값을 변경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는 것이므로 판별 정밀도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2에서는 봉제 운전시에 가이드 고리에 대한 윗실의 슬라이드 접촉압이 변동하기 쉽기 때문에, 변형 게이지의 변형량이 확실하게 뛴땀 발생의 유무에 연계되지 않는 것도 생각할 수 있어 판정 설정치의 설정이 어렵게 되며, 특허문헌 1과 마찬가지로 판별 정밀도가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뛴땀의 검출을 간소한 구조로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실현하고, 뛴땀이나 실끊김의 검출 정밀도가 향상되고, 더 나아가서는 작업효율이 좋아지게 되어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대해서)
봉제장치에 있어서의 바늘은 천에 대해서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해서 왕복운동을 한다. 압압기구는 바늘에 끼워진 재봉실에 장력을 부여한다. 천칭기구는 재봉실이 끼워지며 바늘과 연동하는 왕복운동을 한다.
검출장치는 재봉실에 대해서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과, 봉제 운전에 수반하여 재봉실에 발생한 이완부분을 장력부여수단에 의해서 굴곡 변형시켜서 이완부분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며, 압압기구에서부터 바늘의 선단까지의 재봉실 경로 내에 설치되어 있다.
봉제 운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뛴땀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바깥북집의 선단이 재봉실의 윗실 루프를 걸지 못함으로써 재봉실이 북집을 일주하는 길이만큼 이완되게 되는 것이므로, 재봉실에 소정 길이의 이완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상기 이완부분의 위치를 검출장치에 의해서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이완부분의 위치의 검출을 뛴땀이나 실끊김의 유무에 확실하게 대응하여, 또한 뛴땀이나 실끊김의 검출을 잘못하는 일 없이 높은 정밀도로 실현할 수 있어,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을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검출장치는 재봉실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을 만큼의 간이한 장력부여수단과 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간소한 구조이면 되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실현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대해서)
장력부여수단은 봉제 운전시에 소정의 풍압을 재봉실에 연속적으로 부여하는 에어공급장치이기 때문에, 뛴땀이나 실끊김의 발생시에는 이완부분이 상기 풍압에 날려서 굴곡 변형된 상태로 검출된다. 또, 장력부여수단은 에어공급장치에 의해서 천칭기구와 바늘과의 사이의 재봉실에 연속적으로 에어를 부여하기 때문에, 뛴땀 등의 봉제불량이 발생하기 어렵게 하는 재봉실 조절기구의 역할도 겸한다. 또한, 장력부여수단은 재봉실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간이한 에어공급장치이면 되기 때문에,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로 되어 비용적으로 보다 유리하다.
(청구항 3에 대해서)
장력부여수단은 봉제 운전시에 소정의 부압으로 재봉실을 연속적으로 흡인하는 부압공급장치이기 때문에, 뛴땀이나 실끊김의 발생시에는 이완부분이 상기 부압에 의해 흡인되어 굴곡 변형된 상태로 검출된다. 장력부여수단은 재봉실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을 만큼의 간이한 부압공급장치이면 되기 때문에, 청구항 2와 마찬가지로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로 되어 비용적으로 보다 유리하다.
(청구항 4에 대해서)
장력부여수단은 비틀림 스프링과 전자 솔레노이드를 가진다. 봉제 운전시에 전자 솔레노이드를 통전함에 의해서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신장되어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를 압압하여 탄성변형시킨다. 이것에 수반하여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가 압압 탄성력에 의해서 재봉실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한다.
뛴땀이나 실끊김의 발생시에는 재봉실에 이완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이완부분이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에 압압되어 굴곡 변형됨으로써 뛴땀이나 실끊김이 검출된다.
장력부여수단은 재봉실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을 만큼의 간이한 전자 솔레노이드와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로 되어 비용적으로 보다 유리하다.
(청구항 5에 대해서)
장력부여수단은 비틀림 스프링과 에어 실린더를 가진다. 봉제 운전시에 에어 실린더를 구동함에 의해서 에어 실린더의 로드가 신장되어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를 압압하여 탄성변형시킨다. 이것에 수반하여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가 압압 탄성력에 의해서 재봉실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한다.
뛴땀이나 실끊김의 발생시에는 재봉실에 이완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 이완부분이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에 압압되어 굴곡 변형됨으로써 뛴땀이나 실끊김이 검출된다.
장력부여수단은 재봉실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을 만큼의 간이한 에어 실린더와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로 되어 비용적으로 보다 유리하다.
(청구항 6에 대해서)
장력부여수단은 비틀림 스프링을 가지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를 소정량만큼 탄성 변위시킨 상태로 고정함에 의해서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를 탄성력에 의해서 재봉실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시킨다.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는 소정량만큼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일단부에는 탄성력이 축적되어 있다. 뛴땀이나 실끊김의 발생시에는 재봉실에 이완부분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가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이완부분을 압압하여 굴곡 변형시킴으로써 뛴땀이나 실끊김을 검출한다.
이 경우, 장력부여수단은 간이한 비틀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이고 입수하기 쉬운 기존품을 적용할 수 있어 일층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청구항 7에 대해서)
장력부여수단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돔형상의 수용부와, 수용부 내의 재봉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며, 항상 자중에 의해서 재봉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상(球狀)의 추체(錘體)를 가진다.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이완부분은 추체의 자중에 의해서 추체와 함께 낙하함으로써, 즉 굴곡 변형됨으로써 뛴땀이나 실끊김이 검출된다.
장력부여수단이 수용부와 추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하고 입수하기 쉬운 기존품을 적용할 수 있어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청구항 8에 대해서)
검출장치의 검출수단은 이완부분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 설치한,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가지는 광전 스위치이기 때문에, 검출수단으로서 기존의 광전 스위치를 적용할 수 있어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청구항 9에 대해서)
검출장치의 검출수단은 이완부분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 설치한 근접 센서이기 때문에, 검출수단으로서 기존의 근접 센서를 적용할 수 있어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청구항 10에 대해서)
검출장치의 검출수단은 이완부분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 설치한 접촉 센서이기 때문에, 검출수단으로서 기존의 접촉 센서를 적용할 수 있어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도 1에 있어서, (a)는 천과 북집을 함께 나타내며, 지면의 이면측으로 90°각도만큼 회전시킨 상태의 봉제 재봉틀 머리부의 측면도, (b)는 천과 북집을 함께 나타내는 봉제 재봉틀 머리부의 정면도(제 1 실시예).
도 2에 있어서, (a)는 검출수단의 타임차트의 모식도, (b)는 검출수단의 제어 회로도(제 1 실시예).
도 3은 천과 북집을 함께 나타내는 봉제 재봉틀 머리부의 정면도(제 2 실시예).
도 4에 있어서, (a)는 통상의 봉제 운전시에 있어서의 천과 북집을 함께 나타내는 봉제 재봉틀 머리부의 정면도, (b)는 뛴땀이나 실끊김을 판별하는 검출장치의 확대 정면도, (c)는 뛴땀이나 실끊김의 발생시에 있어서의 천과 북집을 함께 나타내는 봉제 재봉틀 머리부의 정면도(제 3 실시예).
도 5는 천과 북집을 함께 나타내는 봉제 재봉틀 머리부의 정면도(제 4 실시예).
도 6에 있어서, (a)(b)(c)는 뛴땀이나 실끊김을 판별하는 검출장치의 확대 정면도(제 5, 6, 7 실시예).
봉제 운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에서는 윗실에 소정 길이의 이완부분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완부분의 위치를 검출장치에 의해서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이완부분의 위치의 검출을 뛴땀이나 실끊김의 유무에 확실하게 대응하여, 또한 뛴땀이나 실끊김의 검출을 잘못하는 일 없이 높은 정밀도로 할 수 있어, 뛴땀이나 실끊김의 현상을 확실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검출장치는 어느 것이나 간이하고 소형의 장력부여수단과 검출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간소한 구조이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제 1 실시예?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의 (a)는 봉제장치(1)의 봉제 재봉틀 머리부(2)를 편의상 지면의 이면측으로 90°각도만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낸 봉제 재봉틀 머리부(2)의 측면도, (b)는 천(11)과 북집(14)을 함께 나타내는 봉제 재봉틀 머리부(2)의 정면도이다.
도 1의 봉제장치(1)는 봉제용 재봉틀이며, 봉제 재봉틀 머리부(2)에는 도시하지 않은 실패(spool)로부터의 윗실(재봉실)(3)이 윗실 안내부(4), 제 1 윗실 조절기(5), 압압기구로서의 제 2 윗실 조절기(6) 및 천칭기구(7)를 통해서 후술하는 검출장치(8)로 안내되어 있다. 검출장치(8)로부터의 윗실(3)은 윗실 걸이부(9)를 통해서 바늘(10)의 바늘구멍(10a)으로 안내되어 있다.
바늘(10)은 천(11)에 대해서 바늘땀(T)을 형성하기 위해서 왕복운동을 한다. 제 2 윗실 조절기(6)는 바늘(10)에 끼워진 윗실(3)에 장력을 부여한다. 천칭기구(7)는 윗실(3)이 끼워지며 바늘(10)과 연동하는 왕복운동을 한다.
천(11)을 지지하는 침판(도시생략)의 하측에는 보빈 케이스(12)를 가지는 바깥북집(13)을 구비한 북집(14)이 배치되어 있다. 보빈 케이스(12) 내에 수용된 보빈(15)으로부터는 윗실(3)과 함께 재봉실을 이루는 밑실(16)이 천(11)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검출장치(8)는 제 2 윗실 조절기(6)에서부터 바늘(10)의 선단까지의 윗실 경로 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것으로, 천칭기구(7)의 하측에 플라스틱제 혹은 금속제의 안내판(17)을 부착하고 있다. 안내판(17)은 예를 들면 천칭기구(7)와 바늘(10)을 연결하는 선상에 위치하며, 윗실(3)이 관통하는 종형(縱形)의 투공(17a)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판(17)의 도시 좌측부에는 상기 투공(17a)에 연이어 통하며 장력부여수단으로서의 에어공급장치(19)에 연결된 에어 플로 파이프(18)가 부착되어 있다. 에어공급장치(19)는 봉제의 운전개시ㆍ정지에 연동하여 구동ㆍ정지하도록 되어 있다. 에어공급장치(19)는 윗실(3)에 공기를 내뿜어서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간이한 소형의 것이면 된다.
안내판(17)의 도시 우측부에는 상기 투공(17a)에 연이어 통하며 에어 플로 파이프(18)의 선단(18a)에 대향하여 내외로 통하는 개구부(17b)를 형성하고 있다. 개구부(17b)의 내주연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윗실(3)이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고려하여 모따기 등에 의해서 매끄러운 둥근 형상을 이루고 있다.
검출장치(8)의 검출수단은,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로서 설치된 것으로서,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를 구비한 광전 스위치(23)로 이루어진다. 발광소자(21)는 예를 들면 발광다이오드(LED)로 이루어지고, 수광소자(22)는 예를 들면 광다이오드(PHD)로 이루어지며,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는 개구부(17b)의 외부에 있어서 개구부(17b)의 내외 방향을 따라서 병행하되 서로 소정의 거리(L)만큼 이간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봉제장치(1)의 통상의 봉제 운전에서는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10)의 상하운동과 북집(14)의 회전운동의 조합에 의해서 바늘(10)이 천(11)을 관통함에 수반하여 윗실(3)이 밑실(16)과 서로 얽혀서 바늘땀(T)을 형성한다.
이 때, 천(11)에 바늘땀(T)이 소정 간격(d)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되게 되는데, 봉제 운전에 수반하여 바늘땀(T)의 형성 도중에 바늘땀(T)이 한 땀 혹은 여러 땀에 걸쳐서 형성되지 않는 뛴땀(S)이라 칭하는 바늘땀(T)의 불규칙적인 현상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도 1(b) 참조}.
뛴땀 현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바깥북집(13)의 선단(13a)이 윗실 루프(3b)를 걸지 못한 경우에 윗실(3)이 북집(14)을 일주하는 길이만큼 이완됨에 의해서 발생한다.
봉제 운전과 동시에 에어공급장치(19)가 구동되게 되어 있으며, 공기가 에어 플로 파이프(18)에서 투공(17a)을 횡단하여 윗실(3)에 연속적으로 내뿜어짐으로써 항상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윗실(3)이 이완되기 때문에, 그 이완부분(3a)이 외측으로 날려서 개구부(17b)의 내주연부를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도 1(b)에 이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소정 길이(D)만큼 굴곡 변형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이완부분(3a)이 광전 스위치(23)의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의 사이로 침입함으로써 발광소자(21)로부터의 광조사를 차단하게 된다. 이 결과, 이완부분(3a)이 굴곡 변형되어 광전 스위치(23)의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의 사이로 침입한 이완부분(3a)의 위치가 검출된다.
뛴땀(S)이나 실끊김이 발생한 경우에는 봉제 운전을 정지하고서 뛴땀 부분이나 실끊김의 상태에 대응한 보수를 하여야 하므로, 뛴땀(S)의 발생을 작업자 등에게 알릴 필요가 있다.
뛴땀(S)의 발생을 알리는 경보 시스템의 일례를 도 2에 나타낸다. 경보 시스템에서는 도 2(a)의 타임차트(A,B,C,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소자(21)로부터의 광조사를 차단하고 있을 때, 광전 스위치(23)가 지속적으로 작동하여 벨(24)을 계속해서 울림과 동시에 램프(25)를 계속해서 점등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도 2(b)는 경보 시스템의 제어회로의 일례이다. 이 제어회로에 있어서, 이완부분(3a)에 의해서 발광소자(21)로부터의 광조사가 차단되게 되면, 광전 스위치(23)가 작동하여 OR회로(27)의 일단측 입력부(a)가 하이(H)로 되고, OR회로(27)의 출력부(c)가 하이(H)로 된다.
한편, 전압(Vc)이 인가된 푸쉬 버튼식의 리셋 스위치(26)가 OFF된 상태에서는 NOT회로(28)에 의해서 AND회로(29)의 일단측 입력부(a)가 하이(H)로 되어 있고, AND회로(29)의 타단측 입력부(b)가 하이(H)이기 때문에, 그 출력부(c)가 하이(H)로 되고, OR회로(27)의 타단측 입력부(b)를 하이(H)로 한다. 이것에 의해서 벨(24) 및 램프(25)를 계속해서 구동한다.
봉제 운전을 정지한 후에 벨(24)의 울림 및 램프(25)의 점등을 정지하기 위해서는, 윗실(3)의 이완부분(3a)을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의 사이에서 빼내어 외부로 배제하고서 리셋 스윗치(26)를 누른다. 이것에 의해서 NOT회로(28)로 인해 AND회로(29)의 일단측 입력부(a)가 로우(L)로 되고, AND회로(29)의 출력부(c)가 로우(L)로 되고, OR회로(27)의 타단측 입력부(b)가 로우(L)로 된다.
이 시점에서는 이미 광전 스위치(23)의 출력, 즉 OR회로(27)의 일단측 입력부(a)가 로우(L)로 되어 있기 때문에, OR회로(27)의 출력부(c)가 로우(L)로 되어 벨(24) 및 램프(25)로의 전류가 끓어지게 된다.
또한, 제어회로는 도 2(b)의 것에 한하지 않고, 결선(結線)방법에 의해서 다양한 제어구성으로 할 수 있다. 벨(24)과 램프(25)는 양측을 동시에 구동하는 것 대신에 어느 일측만을 구동하도록 하여도 된다. 벨(24)이나 램프(25)를 계속적으로 구동하는 것 대신에 벨(24)을 단속적으로 울리거나 램프(25)를 점멸시키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봉제 운전에 수반하여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은 윗실(3)에 소정 길이(D)의 이완부분(3a)을 발생시킨다. 제 1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완부분(3a)의 위치를 검출장치(8)에 의해서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이완부분(3a)의 위치의 검출을 뛴땀(S)이나 실끊김의 유무에 확실하게 대응하여, 또한 뛴땀(S)이나 실끊김의 검출을 잘못하는 일 없이 높은 정밀도로 실현할 수 있어,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을 확실하게 판별할 수 있다.
또한, 검출장치(8)는 윗실(3)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간이한 에어공급장치(19)와 검출수단으로서의 광전 스위치(23)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로 되어 비용적으로 유리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2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에어공급장치(19) 대신에 부압공급장치(30)를 설치한 것이다. 부압공급장치(30)에는 진공 파이프(31)가 연결되어 있으며, 그 선단부분(31a)이 광전 스위치(23)를 통해서 안내판(17)의 개구부(17b)에 근접하여 있다.
부압공급장치(30)는 봉제 운전에 수반하여 구동되며, 소정의 부압으로 윗실(3)을 개구부(17b)로부터 연속적으로 흡인함으로써 항상 윗실(3)에 장력을 준다. 따라서,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이완부분(3a)은 진공 파이프(31)를 통해서 투공(17a)에 작용하는 부압에 의해서 개구부(17b)에서 외부로 인출되게 되며, 굴곡 변형되어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의 사이로 침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며, 부압공급장치(30)는 간이한 진공 펌프이면 되기 때문에, 에어공급장치(19)와 마찬가지로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로 되어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제 3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3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에어공급장치(19) 대신에 비틀림 스프링(32)과 전자 솔레노이드(33)를 장력부여수단으로서 설치하고, 광전 스위치(23) 대신해 근접 센서(35)를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 안내판(17)의 도시 좌측부에는 개구부(17b)에 연이어 통하는 입구부(17c)를 형성하고 있다.
비틀림 스프링(32)은 대략 Z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으며, 그 상단의 절곡부를 봉제 재봉틀 머리부(2)의 지지축(34)에 감아 붙이고, 그 일단부(32a)를 전자 솔레노이드(33)의 플런저(33a)의 하단에 맞닿게 하고, 광폭으로 된 타단부(32b)를 입구부(17c) 근방에서 윗실(3)에 맞닿게 하고 있다{도 4(b) 참조}.
전자 솔레노이드(33)의 플런저(33a)의 하측에는 스토퍼 핀(33b)이 고정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전자 솔레노이드(33)의 통전시에 플런저(33a)에 압압되어 탄성변형된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32a)가 스토퍼 핀(33b)에 맞닿음으로써 그 변위가 정지된다.
봉제 운전시에는 전자 솔레노이드(33)가 통전되기 때문에, 플런저(33a)가 신장되어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32a)를 압압하여 탄성변형시키고, 타단부(32b)가 탄성력에 의해서 지지축(34)을 중심으로 도 4(b)의 화살표 N방향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윗실(3)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여 윗실(3)에 장력을 부여한다{도 4(a) 참조}. 전자 솔레노이드(33)는 플런저(33a)에 의해서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32a)를 압압하여 탄성변형시킬 수 있는 간이하고 소형인 것이면 된다.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32a)는 소정량만큼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일단부(32a)에는 탄성력이 축적되어 있다. 뛴땀(S)이나 실끊김의 발생시에는 윗실(3)에 이완부분(3a)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32b)가 압압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이완부분(3a)을 압압하여 굴곡 변형시키면서 입구부(17c) 및 개구부(17b)를 통해서 외부로 밀어내어 근접 센서(35)에 근접시킴으로써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을 검출한다{도 4(c) 참조}.
이 경우, 장력부여수단은 윗실(3)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간이한 전자 솔레노이드(33)와 비틀림 스프링(32)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형이고 간이한 구조로 되어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제 4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4 실시예가 제 1 실시예와 다른 점은 종형의 안내판(17)을 횡형(橫形)의 안내판(36)으로 한 것이다. 안내판(36)에는 윗실(3)이 관통하는 횡형의 투공(36a)이 형성되어 있고, 투공(36a)에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36b)가 하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판(36)의 상단측에는 투공(36a)에 연이어 통하며 구체(球體)(37)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돔형상의 수용부(36c)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구체(37)는 구상(球狀)의 추체(錘體)로서, 예를 들면 비중이 큰 연추(鉛錘)로 이루어지며, 투공(36a) 내의 윗실(3) 상에 얹어 놓여져서 자중에 의해서 항상 윗실(3)에 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봉제 운전시에는 윗실(3)의 변위에 따라서 구체(37)가 윗실(3)에 장력을 부여하면서 윗실(3) 상에서 회전하고 있다. 따라서,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이완부분(3a)은 구체(37)의 자중에 의해서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36b)에서 구체(37)와 함께 낙하함에 의해서 굴곡 변형되어 발광소자(21)와 수광소자(22)의 사이로 침입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도 제 1 실시예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며, 장력부여수단이 수용부(36c)와 구체(37)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조가 간소하고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구체(37)는 금속에 한하지 않고 플라스틱재나 세라믹재에 의해서 형성하여도 된다.
?제 5 실시예?
도 6(a)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5 실시예가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전자 솔레노이드(33) 대신에 에어 실린더(38)를 설치한 것이다.
봉제 운전시에는 에어 실린더(38)가 구동되기 때문에, 에어 실린더(38)의 로드(38a)가 신장되어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32a)를 압압하여 탄성변형시킨다. 이것에 수반하여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32b)가 탄성력에 의해서 지지축(34)을 중심으로 화살표 M방향으로 탄성변형됨으로써 윗실(3)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여 장력을 부여한다.
뛴땀(S)이나 실끊김의 발생시에는 윗실(3)에 이완부분(3a)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완부분(3a)이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32b)의 탄성력에 의한 압압에 의해서 굴곡 변형됨으로써 뛴땀(S)이나 실끊김이 검출된다.
제 5 실시예의 장력부여수단은 윗실(3)에 장력을 부여할 수 있는 간이한 에어 실린더(38)와 비틀림 스프링(32)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소형이고 간소한 구조가 되어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제 6 실시예?
도 6(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6 실시예가 제 3 실시예와 다른 점은 전자 솔레노이드(33)를 생략한 것이다.
이 경우,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32a)를 소정량만큼 탄성 변위시킨 상태로 스토퍼 핀(33b)의 하측에 맞닿도록 고정함에 의해서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32b)를 탄성력에 의해서 윗실(3)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시켜서 장력을 부여한다.
비틀림 스프링(32)의 일단부(32a)는 소정량만큼 변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일단부(32a)에는 탄성력이 축적되어 있다. 뛴땀(S)이나 실끊김의 발생시에는 윗실(3)에 이완부분(3a)이 발생하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32b)가 탄성력에 의해서 화살표 K방향으로 변위하여 이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완부분(3a)을 압압하여 굴곡 변형시키면서 입구부(17c) 및 개구부(17b)를 통해서 외부로 밀어내어 근접 센서(35)에 근접시킴으로써 뛴땀(S)이나 실끊김을 검출한다.
제 6 실시예의 장력부여수단은 간이한 비틀림 스프링(32)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간소한 구조이고 입수하기 쉬운 기존품을 적용할 수 있어 일층 비용적으로 유리하다.
?제 7 실시예?
도 6(c)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를 나타낸다. 제 7 실시예가 제 6 실시예와 다른 점은 밴드형상의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32b)를 ㄷ자 형상의 틀체(32c)로 하고, 폭방향으로 대향하는 1쌍의 축돌기(32d)(일측만 도시)의 사이에 장구형상의 롤러(39)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 경우, 윗실(3)이 롤러(39)에 그 회전을 수반하면서 슬라이드 접촉하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32)의 타단부(32b)에 대한 윗실(3)의 마찰이 작아지게 되어 원활한 슬라이드 접촉 상태가 얻어진다.
?변형예?
(a) 상기 제 3, 5, 6, 7 실시예에서는 비틀림 스프링(32)를 사용하였으나 판 스프링이나 클립 스프링 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비틀림 스프링(32)은 폭 치수가 작고 얇고 긴 밴드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되지만, 선(線)형상으로 하되 타단부(32b)만을 윗실(3)에 대한 광폭의 슬라이드 접촉단부로 하여도 된다.
(b) 상기 제 1 실시예 내지 제 7 실시예에서는 북집(14)를 가지는 본봉(lock stitch) 단침(單針)의 봉제장치를 사용하였으나, 2봉침 타입이나 복수 봉침 타입의 봉제장치에 적용하여도 된다. 본봉 타입의 봉제장치에 한하지 않고, 단환봉(chain stitch)을 비롯하여 이중 환봉(double chain stitch), 주변감침봉(oyer lock stitch) 혹은 편평봉(flat seam stitch) 등에도 적용하여도 된다.
(c) 검출수단으로서는 광전 스위치(23)나 근접 센서(35)에 한하지 않고, 접촉 센서, 변위 센서, 압전(진동) 센서 등이어도 되며, 요는 굴곡 변형되는 이완부분(3a)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봉제 운전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뛴땀이나 실끊김 현상은 윗실에 소정 길이의 이완부분을 발생시키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완부분의 위치를 검출장치에 의해서 검출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상기 이완부분의 위치의 검출을 뛴땀이나 실끊김의 유무에 확실하게 대응하여, 또한 뛴땀이나 실끊김의 검출을 잘못하는 일 없이 높은 정밀도로 할 수 있어, 뛴땀이나 실끊김의 현상을 확실하게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뛴땀이나 실끊김 검출의 유익성이 당업자의 수요를 환기시켜서 관련부품의 유통을 통해 기계산업에 적용할 수 있다.
1 - 봉제장치 3 - 윗실(재봉실)
3a - 이완부분 5 - 제 1 윗실 조절기
6 - 제 2 윗실 조절기(압압기구) 7 - 천칭(天秤)기구
8 - 검출장치(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10 - 바늘
14 - 북집 16 - 밑실(재봉실)
19 - 에어공급장치(장력부여수단) 21 - 발광소자(검출수단)
22 - 수광소자(검출수단) 23 - 광전 스위치(검출수단)
30 - 부압공급장치(장력부여수단) 32 - 비틀림 스프링(장력부여수단)
32a -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 32b -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
33 - 전자 솔레노이드(장력부여수단) 33a - 플런저
36c - 수용부 37 - 구체(球體)(추체, 장력부여수단)
38 - 에어 실린더(장력부여수단) 38a - 로드

Claims (10)

  1. 천에 대해서 바늘땀을 형성하기 위해서 왕복운동을 하는 바늘과,
    상기 바늘에 끼워진 재봉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압압기구와,
    상기 재봉실이 끼워지며 상기 바늘과 연동하는 왕복운동을 하는 천칭기구를 구비한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봉실에 대해서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부여수단과, 봉제 운전에 수반하여 상기 재봉실에 발생한 이완부분을 상기 장력부여수단에 의해서 굴곡 변형시켜서 상기 이완부분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는 검출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장치를 상기 압압기구에서부터 상기 바늘의 선단까지의 재봉실 경로 내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수단은 봉제 운전시에 소정의 풍압을 상기 재봉실에 연속적으로 부여하는 에어공급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수단은 봉제 운전시에 소정의 부압으로 상기 재봉실을 연속적으로 흡인하는 부압공급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수단은 비틀림 스프링과 전자 솔레노이드를 가지며, 봉제 운전시에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를 통전함에 의해서 상기 전자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신장되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를 압압하여 탄성변형시키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가 압압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재봉실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수단은 비틀림 스프링과 에어 실린더를 가지며, 봉제 운전시에 상기 에어 실린더를 구동함에 의해서 상기 에어 실린더의 로드가 신장되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를 압압하여 탄성변형시키고,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가 압압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재봉실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수단은 비틀림 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부를 소정량만큼 탄성변위시킨 상태로 고정함에 의해서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부를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재봉실에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장력부여수단은 상향으로 돌출 형성된 돔형상의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재봉실 상에 회전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며, 항상 자중에 의해서 상기 재봉실에 장력을 부여하는 구상의 추체(錘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의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이완부분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 설치한,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가지는 광전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의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이완부분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 설치한 근접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장치의 상기 검출수단은 상기 이완부분의 유무를 판별하기 위해서 설치한 접촉 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KR1020100094179A 2009-11-13 2010-09-29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KR101218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9260409 2009-11-13
JPJP-P-2009-260409 2009-11-13
JP2010176610A JP5064539B2 (ja) 2009-11-13 2010-08-05 縫製装置の目飛び糸切れチェック装置
JPJP-P-2010-176610 2010-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3170A KR20110053170A (ko) 2011-05-19
KR101218856B1 true KR101218856B1 (ko) 2013-01-07

Family

ID=4387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4179A KR101218856B1 (ko) 2009-11-13 2010-09-29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35964B2 (ko)
JP (1) JP5064539B2 (ko)
KR (1) KR101218856B1 (ko)
CN (1) CN102061580B (ko)
DE (1) DE102010043760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45939B1 (en) * 2013-09-05 2018-01-03 JUKI Corporation Sewing machine
JP6220714B2 (ja) * 2014-03-28 2017-10-25 セーレン株式会社 欠陥検出装置及び欠陥検出方法
CN105002672B (zh) * 2014-04-25 2017-09-01 曾贤长 具有送线供气导引选择机构的缝纫机结构
JP5898753B1 (ja) * 2014-10-31 2016-04-06 株式会社エスポアール 縫製不良検知装置
JP6425512B2 (ja) * 2014-11-27 2018-11-21 Juki株式会社 ミシンの目飛び及び糸切れ検出装置
CN104562482A (zh) * 2015-01-28 2015-04-29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一种缝纫机的断线检测装置
JP2016202437A (ja) * 2015-04-20 2016-12-08 Juki株式会社 目飛び検出装置、ミシン、目飛び検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6202723A (ja) * 2015-04-27 2016-12-08 Juki株式会社 ミシン
CN105386245A (zh) * 2015-12-29 2016-03-09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缝纫机感应缝纫装置及缝纫方法
JP6626715B2 (ja) * 2016-01-14 2019-12-25 Juki株式会社 ミシン
WO2018059738A1 (en) * 2016-09-30 2018-04-05 Adient Luxembourg Holding S.à.r.l.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tabilising the thread tension in sewing machines, and sewing machine comprising this device
WO2018179398A1 (ja) * 2017-03-31 2018-10-04 三菱電機株式会社 ミシン
CN108978062B (zh) * 2017-06-01 2020-12-15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及其跳针检测装置与检测方法
CN108221200A (zh) * 2017-08-02 2018-06-29 苏州慧衣美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缝纫机的跳线方法及吹顶装置
CN110055688A (zh) * 2019-05-27 2019-07-26 福恩达机器人(昆山)有限公司 一种工业缝纫机断线检测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4457A (ko) * 1973-09-14 1975-05-14
JPH04102499A (ja) * 1990-08-22 1992-04-03 Juki Corp ミシンの目飛び検出装置
JPH08276088A (ja) * 1995-04-05 1996-10-22 Juki Corp ミシンの目飛び検出装置
JP2006044912A (ja) * 2004-08-06 2006-02-16 Bridgestone Corp 糸切れ検出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85159A1 (de) * 1965-02-15 1970-04-23 Gen Automated Machinery Corp Automatische Steuereinrichtung und Fadenschneider fuer Naehmaschinen
US3364889A (en) 1966-02-10 1968-01-23 Singer Co Thread handling systems and devices for sewing machines
US3714916A (en) * 1968-03-27 1973-02-06 Ivanhoe Res Corp Thread monitoring device
IT941262B (it) 1971-11-24 1973-03-01 Giovanni Conti E Nipoti Dispositivo di sincronizzazione tra l allentamento tensione del filo d ago ed il taglio con tem porizzazione dell allentamento tensione del filo e controllo indipendente del ritardo dell a pertura del piattello per macchi ne da cucire a punto annodato
US3785308A (en) * 1971-12-09 1974-01-15 R Brandriff Apparatus for monitoring thread tension
JPS5343335B2 (ko) * 1972-05-04 1978-11-18
JPS5725014Y2 (ko) 1973-09-22 1982-05-31
DE2603955A1 (de) 1976-02-03 1977-08-04 Horst Paepke Fadenbruch-sicherungsvorrichtung fuer textilmaschinen
US4102283A (en) 1976-11-01 1978-07-25 Cluett, Peabody & Co., Inc. Skipped stitch detector for chain stitch sewing machines
DE2745977A1 (de) 1977-10-13 1979-04-19 Stutznaecker Emil Naehmasch Vorrichtung zum gerichteten auslenken eines nadelfadens bei naehmaschinen, insbesondere vielnadelnaehmaschinen
JPS5495352U (ko) * 1977-12-15 1979-07-05
DE2830534C3 (de) * 1978-07-12 1981-01-22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Fadenwächter für Näh-, Stick- und Tuftingmaschinen o.dgl
DE3501387C2 (de) 1984-04-06 1986-02-20 Pfaff Industriemaschinen Gmbh, 6750 Kaiserslautern Fadenwächter für Näh-, Stick- und Tuftingmaschinen o.dgl.
JPS627988U (ko) * 1985-07-01 1987-01-17
JPS62155772U (ko) * 1986-03-24 1987-10-03
JPH0817862B2 (ja) * 1986-10-24 1996-02-28 蛇の目ミシン工業株式会社 自動糸調子ミシン
JPS63119797A (ja) * 1986-11-10 1988-05-24 株式会社 ボンニ− 本縫いミシンの上糸切れ検出装置
DE3818663A1 (de) * 1988-06-01 1989-12-07 Pfaff Ind Masch Fadenwaechter
US5233936A (en) * 1990-09-07 1993-08-10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skipped stitches for a chainstitch sewing machine
DE4030420A1 (de) 1990-09-26 1992-04-02 Pfaff Ag G M Verfahren und anordnung zur erkennung von fehlstichen beim betrieb einer naehmaschine
US5383417A (en) * 1992-10-26 1995-01-24 Norrid; Paul E. Needle thread stitch formation monitor
JPH06134162A (ja) 1992-10-28 1994-05-17 Juki Corp ミシンの上糸供給制御装置
US5603462A (en) 1993-09-09 1997-02-18 Melco Industries, Inc. Changing threads in a sewing machine
IT1272600B (it) * 1993-09-10 1997-06-26 Rimoldi S R L Ora Rimoldi Necc Dispositivo per formare una catenella continua in macchine per cucire a punto ornamento senza copertura a piu' aghi
SE517299C2 (sv) 1995-10-06 2002-05-21 Eltex Sweden Ab Anordning för generering av en elektrisk signal i motsvarighet till anspänning och/eller rörelse av en tråd.
DE19927964A1 (de) 1999-06-18 2000-12-21 Schoenherr Textilmaschinenbau Fadenspannungswächter für Fadenbearbeitungsanlagen
JP2001062178A (ja) * 1999-08-31 2001-03-13 Kyodo Printing Co Ltd 糸切れ検出装置
DE102004060244A1 (de) 2004-03-03 2005-09-22 Dürkopp Adler AG Nähmaschine mit einer Fehlstich-Erfassungs-Einrichtung
EP1882767B1 (de) 2006-07-28 2013-07-24 BERNINA International AG Vorrichtung zur Überwachung des Oberfad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54457A (ko) * 1973-09-14 1975-05-14
JPH04102499A (ja) * 1990-08-22 1992-04-03 Juki Corp ミシンの目飛び検出装置
JPH08276088A (ja) * 1995-04-05 1996-10-22 Juki Corp ミシンの目飛び検出装置
JP2006044912A (ja) * 2004-08-06 2006-02-16 Bridgestone Corp 糸切れ検出方法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64539B2 (ja) 2012-10-31
US8635964B2 (en) 2014-01-28
CN102061580B (zh) 2014-04-02
JP2011120868A (ja) 2011-06-23
US20110114000A1 (en) 2011-05-19
DE102010043760A1 (de) 2011-05-19
CN102061580A (zh) 2011-05-18
KR20110053170A (ko) 2011-05-19
DE102010043760B4 (de)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8856B1 (ko) 봉제장치의 뛴땀 실끊김 체크장치
US10156033B2 (en) Sewing machine
US7536963B2 (en) Device for monitoring the needle thread
JP2002541039A (ja) 繊維機械用の監視装置および誤動作予測装置
CN109554845B (zh) 一种缝纫机断线检测控制装置及缝纫机
JP2005246060A (ja) 不完全な縫い目の検出デバイスを有するミシン
JP2013048710A (ja) ミシンの目飛び検出装置
JP5265226B2 (ja) ミシンの上糸つかみ装置
US4102283A (en) Skipped stitch detector for chain stitch sewing machines
DE60001527D1 (de) Vorrichtung zur Fadenbruchfeststellung in einer Nähmaschine
CN110241527B (zh) 一种断线检测装置及绷缝机
EP0533464A1 (en) Thread breakage detecting system for sewing machine
CN107604543B (zh) 缝纫机缝制状态监测系统与缝纫机
EP3889334A1 (en) Defect determination device
JPH09299655A (ja) 糸切れ検出装置
CN111691079B (zh) 缝纫机
JP2016202723A (ja) ミシン
KR20110005325A (ko) 무선 주파수 인식을 이용한 밑실 감지장치
CN104975483A (zh) 一种纺织线打结检测装置
KR100766485B1 (ko) 자수기용 단사 감지장치
JPH07502178A (ja) チェインスティッチミシン用飛び越しスティッチ検出方法および装置
CN108203862B (zh) 缝纫机
CN102965861A (zh) 面线检测机构、面线检测装置及具有该装置的缝纫机
CN102140730B (zh) 横机织领断纱自停装置
EP4332036A1 (en) Yarn length measurement device and knitting yarn buff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