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1319B1 -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 및 그의 용도 - Google Patents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 및 그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1319B1
KR101211319B1 KR1020087003433A KR20087003433A KR101211319B1 KR 101211319 B1 KR101211319 B1 KR 101211319B1 KR 1020087003433 A KR1020087003433 A KR 1020087003433A KR 20087003433 A KR20087003433 A KR 20087003433A KR 101211319 B1 KR101211319 B1 KR 101211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enol
biphenylene
novolak resin
phenol novolak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0664A (ko
Inventor
노리유끼 미따니
마끼 가와노
Original Assignee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베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0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1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13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04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 C08L61/0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phenols only of aldehydes with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10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romatic carbon atoms, e.g. polyphenyl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62Alcohols or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62Alcohols or phenols
    • C08G59/621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oxy Resins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2가 페놀을 1 성분 이상 함유하는 페놀류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0390476-pct00009
식 중, X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콕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10390476-pct00010
식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p1 및 p3은 1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p2는 1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m1, m2 및 m3은 각각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복수의 m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되, 단 m1, m2, m3이 모두 1 또는 모두 2인 경우를 제외한다.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 비페닐 화합물, 2가 페놀

Description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 및 그의 용도 {Biphenylene-Bridged Phenol Novolak Resins and Use Thereof}
본 발명은 비스(알콕시메틸)비페닐 또는 비스(할로겐화 메틸)비페닐을 2가 페놀을 1 성분 이상 함유하는 페놀류 혼합물과 반응시켜 얻어지는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페놀 노볼락 수지는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로서 사용되는 것 외에, 에폭시화 노볼락 수지, 이소시아네이트화에 의한 우레탄 수지, 트리아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원료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종래, 비스(알콕시메틸)비페닐 또는 비스(할로겐화 메틸)비페닐과 페놀류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페놀 노볼락 수지에 관해서는, 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화합물의 각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한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가 개시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이들 비페닐렌 가교를 갖는 페놀 노볼락 수지를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로서 사용했을 경우, 저흡수성(저흡습성), 난연성, 기계 특성, 접착 특성이 우수한 경화물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는 페놀 노볼락 수지와 비교하여 경화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가 있다. 경화 속도가 느리면 경화 시 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각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의 생산성 또는 생산 비용에 악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저흡수성(저흡습성), 난연성 또한 고내열성을 만족하고, 또한 경화 속도가 빠른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가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08-143648호 공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저흡수성(저흡습성), 내열성, 난연성, 기계 특성, 접착 특성을 가지면서, 종래 기술의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와 비교하여 에폭시 수지의 경화 속도가 빠른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검토한 결과, 페놀류에 2가 페놀을 1 성분 이상 포함하는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가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2가 페놀을 1 성분 이상 함유하는 페놀류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08010390476-pct00001
식 중, X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콕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Figure 112008010390476-pct00002
식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p1 및 p3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p2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m1, m2 및 m3은 각각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복수의 m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되, 단 m1, m2, m3이 모두 1 또는 모두 2인 경우를 제외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방법으로 얻어진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는 저흡수성(저흡습성), 내열성, 난연성, 기계 특성, 접착 특성을 가지면서, 종래 기술의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보다 에폭시 수지의 경화 속도가 빠른 수지여서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 수지의 용도로는 에폭시 수지 경화제나,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킴으로써 에폭시 수지로 사용하는 것을 들 수 있으며, 나아가 비페닐렌 가교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난연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페놀류란, 벤젠환에 1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상기 페놀류로는, 예를 들면 치환 또는 비치환의 페놀, 나프톨, 비스페놀을 들 수 있고, 화학식 2에서의 R1, R2 및 R3으로 표시되는 치환기로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치환기는 R1 및 R3의 경우는 1 내지 4개, R2의 경우는 1 내지 3개 치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알킬기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헥실 및 옥틸의 직쇄 또는 분지의 알킬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페놀; 크레졸, 에틸페놀, n-프로필페놀, 옥틸페놀, 노닐페놀, 페닐페놀 등 1 치환 페놀류; 크실레놀, 메틸프로필페놀, 디프로필페놀, 디부틸페놀, 구아야콜, 구에톨 등 2 치환 페놀류; 트리메틸페놀로 대표되는 3 치환 페놀류; 나프톨, 메틸나프톨 등 나프톨류; 비스페놀,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등의 비스페놀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페놀류는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 바람직한 페놀류로는, 상기 페놀류의 반응성을 고려할 때 비치환 페놀 및 메타 위치 치환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상의 알킬페놀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페놀 및 m-크레졸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2가 페놀이란, 벤젠환에 2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레조르신, 히드로퀴논, 카테콜을 들 수 있다. 이들 2가 페놀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 바람직하 게는 레조르신이다.
또한, 레조르신, 히드로퀴논, 카테콜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 아릴기를 1개 이상 가져도 전혀 문제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비치환 화합물이다.
또한, 본 발명의 2가 페놀에 포함되는 화합물로는, 분자 중의 벤젠환에 각각 1개의 수산기를 갖지만, 총 2개의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군, 예를 들면 비스페놀 화합물군도 포함된다. 비스페놀 화합물군의 구체예로는 비스페놀, 비스페놀 A 및 비스페놀 F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2가 페놀은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 바람직하게는 비치환의 레조르신, 히드로퀴논, 카테콜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비치환 레조르신이다.
본 발명에서는 페놀류에 2가 페놀을 1 성분 이상 함유한 혼합물로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것을 페놀류 혼합물이라고 한다. 페놀류와 2가 페놀의 배합 비율은 특별히 제한은 없다. 그러나, 페놀류 혼합물(페놀류와 2가 페놀의 합계 사용 몰수) 100 몰에 대한 2가 페놀의 함유 비율은 5 내지 80 몰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7 내지 70 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몰이다.
2가 페놀 단독으로는 경화 속도가 빠른 비페닐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를 얻을 수 있지만, 수지 제조 공정에서의 불순물 제거가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흡수율이 비교적 높다는 결점이 해소되지 않는다.
2가 페놀을 전혀 포함하지 않는 계에서는, 경화 속도 향상에 효과가 나타나 지 않는다.
페놀류와 2가 페놀의 혼합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반응의 투입시에 혼합한다.
본 발명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로는 비스(알콕시메틸)비페닐 또는 비스(할로겐화 메틸)비페닐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예를 들면 4,4'-체, 2,2'-체, 2,4'-체의 이성체를 들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4,4'-체이다. 이들 이성체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0390476-pct00003
여기서, 알콕실기는 탄소 원자수가 1 내지 4인 지방족 직쇄 탄화수소의 알콕실기가 바람직하며, 구체적으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부톡시를 들 수 있고, 취급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주로 메톡시가 사용된다.
할로겐 원자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지만, 염소 원자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스(알콕시메틸)비페닐 또는 비스(할로겐화 메틸)비페닐의 각 이성체 혼합물로는, 그 조합 및 사용량에 대하여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4,4'-체가 주성분으로서 함유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교제는 일괄 첨가하여 반응시킬 수도 있고, 또는 분할 첨가하여 반응시켜도 합성은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투입시의 일괄 첨가이다.
본 발명의 합성 촉매로는 유기산인 옥살산, 포름산, 아세트산 및 황산, p-톨루엔술폰산, 황산디에틸과 같은 프리델 크래프트형 촉매의 존재하에서 축중합시켜 합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페놀 노볼락 수지의 구체적인 제조 조건은 이하와 같다.
상기에서 설명한 2가 페놀의 각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페놀류의 합계 사용량과, 가교제가 되는 비스(알콕시메틸)비페닐 또는 비스(할로겐화 메틸)비페닐의 각 이성체 혼합물 또는 그 혼합물의 배합 비율에 대해서는, 통상 2가 페놀의 각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페놀류와의 사용량은 비스(알콕시메틸)비페닐 또는 비스(할로겐화 메틸)비페닐의 각 이성체 혼합물에 대하여 총 1.2배 몰 이상이면 된다. 바람직하게는 1.3 내지 5.5배 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4.5배 몰이다. 1.2배 몰보다 적은 경우에는 가교가 진행되어, 본 발명의 목적에 맞는 페놀 노볼락 수지가 안정적으로 얻어지지 않는 경우도 있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또한, 너무 지나치게 많은 경우, 미반응의 원료가 많아져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합성 촉매의 사용량은, 2가 페놀의 각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페놀류와의 합계 사용량에 대하여 0.001 내지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2 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0.1 중량부의 범위에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사용량이 적은 경우 반응 속도가 느리고, 사용량이 지나치게 많은 경우에는 반응이 급격하게 진행되어 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비스(할로겐화 메틸)비페닐의 경우에는, 발생하는 할로겐화 수소가 촉매 기능을 하기 때문에 합성 촉매를 첨가할 수도 있고, 첨가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반응 온도는, 사용하는 2가 페놀의 각 이성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페놀류, 및 가교기가 되는 비스(알콕시메틸)비페닐 또는 비스(할로겐화 메틸)비페닐의 각 이성체 혼합물의 배합 비율에도 의존하지만, 통상 50 ℃ 내지 200 ℃,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80 ℃,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80 ℃이다. 너무 낮으면 축중합이 진행되지 않고, 너무 높으면 반응을 조절하는 것이 곤란해져, 청구항의 페놀 노볼락 수지를 안정적으로 얻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에서의 반응 시간은 반응 온도에도 의존하지만, 통상은 10 시간 이내에서, 부가 축합 반응, 탈메탄올 반응 또는 탈할로겐 반응을 시킨다.
본 발명에서의 반응 압력은, 통상 상압하에서 행해지지만, 약간의 가압 내지 감압하에서도 행할 수 있다.
상기 반응 조건하에서 얻어지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의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저분자량의 것에서부터 고분자량의 것까지 폭 넓게 얻을 수 있다. 그러나, 물성 및 취급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Mn은 350 내지 6800이 바람직하고, 500 내지 3500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내지 3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Mw은 350 내지 20000이 바람직하고, 500 내지 15000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 내지 13000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반응 조건하에서 얻어지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의 비페닐렌 가교기의 반복수 n은 0 내지 15의 정수이고,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2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10의 정수이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는 그대로 에폭시 수지의 경화제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킴으로써 에폭시 수지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을 이용한 경화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비페닐렌 가교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난연제로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를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페놀 노볼락 수지와 에폭시 수지 및 경화 촉진제를 혼합하여 100 ℃ 내지 250 ℃의 온도 범위에서 경화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에폭시 수지로는, 예를 들면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페놀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트리페놀메탄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등의 글리시딜 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 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 아민형 에폭시 수지, 할로겐화 에폭시 수지 등 분자 중에 에폭시기를 2개 이상 갖는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에폭시 수지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해도 전혀 문제가 없다.
바람직한 에폭시 수지로는 크레졸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및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다.
경화 촉진제로는 에폭시 수지를 페놀 수지로 경화시키기 위한 공지된 경화 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기 포스핀 화합물 및 그의 붕소염, 3급 아민, 4급 암모늄염, 이미다졸류 및 그의 테트라페닐붕소염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경화성이나 내습성 면에서 트리페닐포스핀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높 은 유동성을 위해서는 가열 처리로 활성이 발현되는 열잠재성 경화 촉진제가 바람직하며, 테트라페닐포스포늄ㆍ테트라페닐보레이트 등의 테트라페닐포스포늄 유도체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를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켜 에폭시 수지로 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상기 페놀 노볼락 수지에 과잉의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첨가하고,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존재하에 50 내지 150 ℃,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0 ℃의 범위에서 1 내지 10 시간 정도 반응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사용량은, 상기 페놀 노볼락 수지의 수산기 당량에 대하여 2 내지 15배 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배 몰이다. 또한, 사용하는 알칼리 금속 수산화물의 사용량은, 상기 페놀 노볼락 수지의 수산기 당량에 대하여 0.8 내지 1.2배 몰,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1배 몰이다.
반응 후의 후처리에 대해서는, 반응 종료 후, 과잉의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증류 제거하고, 잔류물을 메틸이소부틸케톤 등의 유기 용제에 용해하고, 여과하고 수세하여 무기염을 제거하고, 이어서 유기 용제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에폭시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에폭시 수지와 상기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를 경화제로 하여 새로운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할 수 있다.
얻어진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는, 필요에 따라 무기 충전재, 이형제, 착색제, 커플링제, 난연제 등을 첨가 또는 미리 반응시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반도체 밀 봉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무기 충전재의 첨가는 필수가 된다. 이러한 무기 충전재의 예로서 비정질 실리카, 결정성 실리카, 알루미나, 규산칼슘, 탄산칼슘, 탈크, 마이커, 황산바륨 등을 들 수 있지만, 특히 비정질 실리카, 결정성 실리카 등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첨가제의 배합 비율은 공지된 반도체 밀봉 에폭시 수지 조성물에서의 비율과 동일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문 중 「부」는 모두 중량부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69.2 부(1.8 몰), 카테콜 22 부(0.2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112.6 부(0.465 몰) 및 50 중량% 황산 0.10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온 11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65.3 ℃였다.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분석(이하, GPC라고도 함)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773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920이었다.
<실시예 2>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69.2 부(1.8 몰), 레조르신 22 부(0.2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112.6 부(0.465 몰) 및 50 중량% 황산 0.10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78.8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858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16이었다.
<실시예 3>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69.2 부(1.8 몰), 히드로퀴논 22 부(0.2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112.6 부(0.465 몰) 및 50 중량% 황산 0.10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70.6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778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930이었다.
<실시예 4>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69.2 부(1.8 몰), 히드로퀴논 11 부(0.1 몰), 카테콜 11 부(0.1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112.6 부(0.465 몰) 및 50 중량% 황산 0.10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70.9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725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858이었다.
<실시예 5>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78.6 부(1.90 몰), 레조르신 11 부(0.10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112.6 부(0.465 몰) 및 50 % 황산 0.10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74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811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5였다.
<실시예 6>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 제 플라스크에 페놀 94 부(1.0 몰), 레조르신 110 부(1.0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112.6 부(0.465 몰) 및 50 중량% 황산 0.10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97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912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27이었다.
<실시예 7>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37.6 부(0.4 몰), 레조르신 176 부(1.6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112.6 부(0.465 몰) 및 50 중량% 황산 0.10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102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1006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234였다.
<실시예 8>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69.2 부(1.8 몰), 레조르신 22 부(0.2 몰), 4,4'-비스메톡시 메틸비페닐 207.7 부(0.858 몰) 및 50 중량% 황산 0.15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90.3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925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80이었다.
<실시예 9>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69.2 부(1.8 몰), 레조르신 22 부(0.2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312.3 부(1.29 몰) 및 50 중량% 황산 0.15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20 ℃ 내지 135 ℃에서 3.5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125.6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2044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306이었다.
<실시예 10>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71.8 부(1.83 몰), 레조르신 18.9 부(0.17 몰), 4,4'-비스메 톡시메틸비페닐 96.8 부(0.4 몰) 및 50 중량% 황산 0.05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2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73.0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822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957이었다.
<실시예 11>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71.8 부(1.83 몰), 레조르신 18.9 부(0.17 몰), 4,4'-비스메톡시클로로비페닐 113.16 부(0.4 몰)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2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78.0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882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71이었다.
<비교예 1>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88 부(2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112.6 부(0.465 몰) 및 50 중량% 황산 0.09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20 ℃에서 2.5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68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753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896이었다.
<비교예 2>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페놀 188 부(2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140.3 부(0.579 몰) 및 50 중량% 황산 0.09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20 ℃에서 2.5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냉각 후, 90 ℃ 이상의 순수한 물 250 부를 투입하고, 수세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증발 처리로 미반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74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915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91이었다.
<비교예 3>
온도계, 투입ㆍ유출구, 냉각기 및 교반기를 구비한 용량 1000 용량부의 유리제 플라스크에 레조르신 405.8 부(3.689 몰), 4,4'-비스메톡시메틸비페닐 207.7 부(0.858 몰) 및 50 중량% 황산 0.10 부를 4구 플라스크에 넣고, 질소 기류하, 내부 온도 110 ℃ 내지 140 ℃에서 3 시간, 또한 165 ℃에서 3 시간 반응시켜 95 ℃까지 냉각하였다. 그 후, 내부 온도를 160 ℃까지 승온시키고, 감압 처리로 미반 응 성분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수지의 연화점은 95 ℃였다. GPC에 의한 폴리스티렌 환산 수 평균 분자량(Mn)은 891이고,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38이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수지 및 경화제의 분석 방법은 이하와 같다.
페놀 노볼락 수지
(1) 겔 침투 크로마토그래피 분석: GPC 측정 방법
ㆍ형식: HLC-8220 도소(주) 제조
ㆍ칼럼: TSK-GEL H형
G2000H×L 4개
G3000H×L 1개
G4000H×L 1개
ㆍ측정 조건: 칼럼 압력 13.5 MPa
ㆍ용해액: 테트라히드로푸란(THF)
ㆍ유속: 1 ㎖/분
ㆍ측정 온도: 40 ℃
ㆍ검출기: 스펙트로포토미터(UV-8020)
ㆍ범위: 2.56 파장 254 nm & RI
(2) 연화점
ㆍ시료를 용융하고, 구리제 링에 충전시켜 실온까지 냉각한다.
ㆍ시료를 충전한 링을 자동 연화점 측정 장치(형식; EX-719PD 엘렉스 사이언티픽 사(ELEX SCIENTIFIC CO., LTD.) 제조)에 세팅한다.
ㆍ자동 연화점 측정 장치의 오일을 승온 속도 4 ℃/분으로 시작한다.
ㆍ3.5 g의 강철구가 센서를 통과할 때의 오일 배스 온도를 연화점으로 한다(n=2의 평균치).
(3) ICI 점도
ㆍICI 콘 플레이트 점도계의 플레이트 온도를 150 ℃로 설정한다.
ㆍ사용 콘을 시료 점도에 따라 선택한다.
ㆍ150 ℃의 핫 플레이트 중심에 시료를 얹고, 또한 콘을 그 위에 접촉시킨다.
ㆍ90 초간, 후 모터 스위치를 켜고 지시치가 안정된 점에서 수치를 읽는다.
ㆍn=2의 평균치를 점도치로 한다.
(4) 전기 전도도
ㆍ100 ㎖ 페트병에 시료 8.0±0.1 g을 정확하게 칭량하고, 그 중에 메스실린더로 전기 전도도 2.0 μS/cm 이하에서 이온 교환수 80 ㎖를 넣는다.
ㆍ열풍 순환식 건조기 중에서 95 ℃×20 시간 추출시킨다.
ㆍ20 시간 후 건조기로부터 취출하고, 저온 항온 수조에 침지하여 25 ℃로 냉각한다.
ㆍ용액 도전율계(교또 덴시 고교(주) 제조)의 전극부를 추출수 중에 침지하여 전기 전도치가 안정될 때까지 기다린다.
ㆍ안정된 시점의 수치를 전기 전도도로 한다.
(5) OH 당량
(개요; 염화아세틸로 아세틸화를 행하고, 과잉의 염화아세틸을 물로 분해하여 알칼리로 적정하는 방법)
ㆍ시료 1 g을 정칭하고, 1,4-디옥산 10 ㎖를 첨가하여 용해한다.
ㆍ용해를 확인한 후, 1.5 mol/L 염화아세틸/무수 톨루엔 용액 10 ㎖를 첨가하여 0 ℃까지 냉각한다.
ㆍ피리딘 2 ㎖를 첨가하고, 60±1 ℃의 워터 배스 중에서 1 시간 반응시킨다.
ㆍ반응 후, 냉각하여 순수한 물 25 ㎖를 첨가하고, 잘 혼합시킴으로써 염화아세틸을 분해시킨다.
ㆍ아세톤 25 ㎖, 페놀프탈레인을 첨가한다.
ㆍ1 mol/L-수산화칼륨을 사용하여 시료 용액이 적자색을 나타낼 때까지 적정한다.
ㆍ블랭크(시료없음)에 대하여 상기 조작으로 동시에 측정을 행한다.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여 구한다.
OH 당량[g/eq.]=(1000×W)/(f×(B-A))
여기서, W는 시료 중량[g], f는 1 mol/L-수산화칼륨의 역가=1.002, B는 블랭크 측정에 필요한 1 mol/L-수산화칼륨량[㎖], A는 시료 측정에 필요한 1 mol/L-수산화칼륨량[㎖]이다.
경화제
(6) 흡수율 측정
ㆍ150 ℃×5 시간+180 ℃×3 시간으로 주형하고, 하기의 크기로 경화시킨다.
크기; (φ50±1)×(3±0.2)(직경×두께; mm)
ㆍ표면을 잘 닦아내 시료 중량을 측정한다.
ㆍ100 ㎖ 샘플병에 넣고, 순수한 물 80 ㎖를 첨가한다.
ㆍ열풍 순환식 건조기 중에서 95 ℃×24 시간 흡수시킨다.
ㆍ24 시간 후, 건조기로부터 취출하고, 저온 항온 수조에 침지하여 25 ℃로 냉각한다.
ㆍ냉각 후, 표면에 부착된 수분을 잘 닦아내 중량을 측정한다.
ㆍ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고, 흡수율을 구한다.
흡수율[%]=((B-A)/A)×100
식 중, A는 흡수 전 중량[g]이고, B는 흡수 후 중량[g]이다.
(7) 유리 전이 온도(Tg)의 측정
ㆍ150 ℃×5 시간+180 ℃×3 시간으로 주형, 경화시킨 시료를 하기의 크기로 절단한다.
크기; (50±1)×(40±1)×(100±1)(세로×가로×높이; mm)
ㆍ측정 장치; TMA-60(시마즈 제조)에 시료를 세팅하고, N2 분위기에서 측정.
ㆍ승온 속도; 3 ℃/분으로 350 ℃까지 측정하고, 변곡점의 온도를 구하여 유리 전이 온도(Tg)로 한다.
(8) 경화물 기계 특성(탄성률ㆍ에너지ㆍ변위ㆍ응력ㆍ왜곡)의 측정
ㆍ150 ℃×5 시간+180 ℃×3 시간으로 주형, 경화시킨 시료를 하기의 크기로 절단한다.
ㆍ크기; (75±1)×(6±1)×(4±1)(세로×가로×두께; mm)
ㆍ측정 장치; 오토그래프(형식; AG-5000D 시마즈 제조) 헤드 스피드 10 mm/분, 2점간 거리 50 mm로 실온하에서 압축 굴곡 시험을 행한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11, 및 비교예 1 내지 3에 준하여 합성한 페놀 노볼락 수지의 물성 특성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중의 각 페놀 노볼락 수지를 경화제로서, 에폭시 수지로서는 닛본 가야꾸(주) 제조의 EOCN-1020-70(에폭시 당량 197 g/eq)을, 경화 촉진제로서는 트리페닐포스핀을 사용하였다. 상기 에폭시 수지와 동일 당량비로 배합하여 150 ℃로 가열, 용융 혼합하고, 진공 탈포 후 150 ℃로 가열된 금형에 주형하고, 150 ℃에서 5 시간, 180 ℃에서 3 시간 경화하여 에폭시 수지 경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에폭시 수지 경화물의 배합과 물성 특성을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표 1 중의 각 페놀 노볼락 수지를 경화제로서, 에폭시 수지로서는 재팬 에폭시 레진(주) 제조의 에피코트 YX-4000(에폭시 당량 187 g/eq)을, 경화 촉진제로서는 트리페닐포스핀을 사용하였다. 상기 에폭시 수지와 동일 당량비로 배합하여 150 ℃로 가열, 용융 혼합하고, 진공 탈포 후 150 ℃로 가열된 금형에 주형하고, 150 ℃에서 5 시간, 180 ℃에서 3 시간 경화하여 에폭시 수지 경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에폭시 수지 경화물의 배합과 물성 특성을 하기 표 3에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10390476-pct00004
Figure 112008010390476-pct00005
Figure 112008010390476-pct00006
본 발명에 따르면, 저흡수성(저흡습성), 내열성, 난연성, 기계 특성, 접착 특성을 가지면서, 종래 기술의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와 비교하여 에폭시 수지의 경화 속도가 빠른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반응시킴으로써 에폭시 수지로서 사용할 수 있고, 나아가 비페닐렌 가교기를 포함하기 때문에 난연제로서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비페닐 화합물과 2가 페놀을 1 성분 이상 함유하는 페놀류 혼합물과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지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
    <화학식 1>
    Figure 112011067879261-pct00007
    식 중, X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4의 알콕실기 또는 할로겐 원자를 나타낸다.
    <화학식 2>
    Figure 112011067879261-pct00008
    식 중, R1, R2 및 R3은 각각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R1, R2 및 R3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으며, 치환 또는 비치환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상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p1 및 p3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p2는 0 내지 3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0 내지 15의 정수를 나타내고, m1, m2 및 m3은 각각 1 또는 2의 정수를 나타내고, 복수의 m2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되, 단 m1, m2, m3이 모두 1 또는 모두 2인 경우를 제외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페놀류 혼합물 100 몰에 대하여 2가 페놀을 5 내지 80 몰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용 경화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를 에폭시화한 에폭시화 노볼락 수지.
  5.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와 에폭시 수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에폭시 수지 조성물.
  6. 제5항에 기재된 에폭시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경화물.
KR1020087003433A 2005-07-13 2006-07-13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 및 그의 용도 KR1012113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3746 2005-07-13
JPJP-P-2005-00203746 2005-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664A KR20080030664A (ko) 2008-04-04
KR101211319B1 true KR101211319B1 (ko) 2012-12-11

Family

ID=37637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3433A KR101211319B1 (ko) 2005-07-13 2006-07-13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 및 그의 용도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104308B2 (ko)
KR (1) KR101211319B1 (ko)
CN (1) CN101208368B (ko)
TW (1) TWI415911B (ko)
WO (1) WO200700782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70471A (ja) * 2008-09-17 2010-04-02 Air Water Inc フェノール系重合体、その製法およびその用途
KR101609014B1 (ko) * 2009-01-30 2016-04-04 메이와가세이가부시키가이샤 에폭시 수지 조성물, 이 에폭시 수지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그의 경화물
WO2010150487A1 (ja) * 2009-06-22 2010-12-2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半導体封止用樹脂組成物、及び半導体装置
WO2012053522A1 (ja) * 2010-10-19 2012-04-2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及び電子部品装置
JP5968227B2 (ja) * 2010-12-27 2016-08-10 旭化成株式会社 アルカリ現像用感光性樹脂組成物、硬化レリーフパターン及び半導体装置
JP5825860B2 (ja) * 2011-06-06 2015-12-02 旭化成イーマテリアルズ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
JP5754731B2 (ja) * 2011-08-25 2015-07-29 明和化成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及びその使用
CN107329367B (zh) * 2011-12-09 2021-03-23 旭化成株式会社 感光性树脂组合物、固化浮雕图案的制造方法、半导体装置及显示体装置
JP5948538B2 (ja) * 2012-01-13 2016-07-06 旭化成株式会社 絶縁膜を有するシリコンウエハの製造方法
JP5981737B2 (ja) * 2012-03-14 2016-08-31 旭化成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硬化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方法
JP5981738B2 (ja) * 2012-03-14 2016-08-31 旭化成株式会社 感光性樹脂組成物、及び硬化レリーフパターンの製造方法
US20150152258A1 (en) * 2012-03-16 2015-06-04 Sumitomo Bakelite Co., Ltd. Resin composition for encapsulatio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WO2013136685A1 (ja) * 2012-03-16 2013-09-19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封止用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装置
JP6063740B2 (ja) * 2012-12-27 2017-01-18 明和化成株式会社 ノボラック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CN103897143B (zh) * 2012-12-28 2018-05-01 明和化成株式会社 环氧树脂、环氧树脂的制造方法及其使用
KR102286273B1 (ko) * 2014-08-25 2021-08-04 닛뽄 가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신규 반응성 에폭시카복실레이트 화합물, 그의 유도체, 그것을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 그의 경화물, 및 물품
WO2016171085A1 (ja) * 2015-04-21 2016-10-2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樹脂組成物、プリプレグ、金属箔張積層板、樹脂シート及びプリント配線板
JP6755643B2 (ja) * 2015-07-29 2020-09-16 明和化成株式会社 アリルエーテル変性ビフェニルアラルキルノボラック樹脂、アリル変性ビフェニルアラルキルノボラック樹脂、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組成物
JP2017082052A (ja) * 2015-10-26 2017-05-18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半導体装置
JP6588346B2 (ja) * 2016-01-14 2019-10-09 日本化薬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反応性カルボキシレート化合物、それを用いた硬化型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2018104603A (ja) * 2016-12-27 2018-07-05 日立化成株式会社 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電子部品装置
JP6885782B2 (ja) * 2017-05-11 2021-06-16 Jfeケミカル株式会社 熱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熱硬化性樹脂硬化物
JP7068857B2 (ja) * 2018-02-23 2022-05-17 群栄化学工業株式会社 多価ヒドロキシ樹脂の製造方法、熱硬化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封止材の製造方法、積層板の製造方法、多価ヒドロキシ樹脂および熱硬化性樹脂組成物
KR102497115B1 (ko) * 2020-11-06 2023-02-07 송원산업 주식회사 노볼락형 페놀 수지 그 제조방법
CN117222686B (zh) * 2021-03-31 2024-04-12 住友电木株式会社 密封用树脂组合物和使用其的电子装置
WO2022234776A1 (ja) * 2021-05-06 2022-11-10 Dic株式会社 フェノール樹脂、エポキシ樹脂、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繊維強化複合材料、及び、繊維強化樹脂成形品
WO2023153160A1 (ja) * 2022-02-14 2023-08-17 Dic株式会社 フェノール樹脂、エポキシ樹脂、硬化性樹脂組成物、硬化物、繊維強化複合材料、及び、繊維強化樹脂成形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525A (ja) 2004-04-28 2005-11-10 Air Water Chemical Inc フェノール系重合体、その製法及びその用途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2156A (en) * 1990-09-21 1992-11-10 Lord Corporation Phenolic resin adhesion promoters and adhesive compositions, and bonding method employing same
JP3476027B2 (ja) * 1994-04-28 2003-12-10 日本化薬株式会社 エポキシ樹脂の製造方法
JP3122834B2 (ja) * 1994-09-20 2001-01-09 明和化成株式会社 新規フェノールノボラック縮合体
JPH11255688A (ja) * 1998-03-10 1999-09-21 Nippon Steel Chem Co Ltd 新規多価ヒドロキシ化合物、新規エポキシ樹脂、それらの製造方法、それらを用いた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CN1410466A (zh) * 2001-09-29 2003-04-16 济南圣泉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有机酯硬化碱性酚醛树脂及其制备方法
JP2004123859A (ja) * 2002-10-01 2004-04-22 Nippon Steel Chem Co Ltd 多価ヒドロ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それらの製造法、それらを用いた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JP4385831B2 (ja) * 2004-04-05 2009-12-16 宇部興産株式会社 ゴム組成物添加用フェノール樹脂混合物
JP4511231B2 (ja) * 2004-04-05 2010-07-28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4525A (ja) 2004-04-28 2005-11-10 Air Water Chemical Inc フェノール系重合体、その製法及びその用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04308B2 (ja) 2012-12-19
TW200706613A (en) 2007-02-16
WO2007007827A1 (ja) 2007-01-18
JPWO2007007827A1 (ja) 2009-01-29
CN101208368B (zh) 2011-02-09
KR20080030664A (ko) 2008-04-04
CN101208368A (zh) 2008-06-25
TWI415911B (zh) 2013-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319B1 (ko) 비페닐렌 가교 페놀 노볼락 수지 및 그의 용도
US7994271B2 (en) Phenolic resin, production method and use thereof
JP5012003B2 (ja) 低溶融粘度フェノールノボラック樹脂、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の用途
TWI619738B (zh) 酚樹脂組成物
JP5228328B2 (ja) 低溶融粘度フェノールノボラック樹脂、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ポキシ樹脂硬化物
WO2012057228A1 (ja) フェノール系オリゴマー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09939A (ko) 다가 히드록시수지, 에폭시수지, 그들의 제조법, 그들을 사용한 에폭시수지 조성물 및 경화물
JP2017066268A (ja) 多価ヒドロ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それら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WO2008050879A1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JP6624558B2 (ja) フェノールアラルキル樹脂、そ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および熱硬化性成形材料
JP5476762B2 (ja) フェノール樹脂、該樹脂の製造方法及び該樹脂を含むエポキシ樹脂組成物、ならびにその硬化物
JP4465257B2 (ja) ナフトール樹脂、エポキシ樹脂、それらの製造法、それらを用いた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5616234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該エポキシ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
JP4188022B2 (ja) 多価ヒドロ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それらの製造法、それらを用いた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US6312829B1 (en) Epoxy resin and resin-sealed type semiconductor apparatus
JP5841947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JP3806222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3933763B2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電子部品
JP4493748B2 (ja) エポキシ樹脂、そ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JP3813105B2 (ja) 硬化性に優れたエポキシ樹脂組成物、その硬化物およびその用途
JP6425112B2 (ja) 多価ヒドロキシ樹脂及びエポキシ樹脂、並びに、熱硬化性成形材料及び半導体封止材
JP7158228B2 (ja) 多価ヒドロキシ樹脂、エポキシ樹脂、それらの製造方法、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11158255A (ja) 新規多価ヒドロキシ化合物、新規エポキシ樹脂、それらの製造方法、それらを用いた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09255758A (ja) 新規エポキシ樹脂、その中間体及びそれらの製造法並びにそれらを用いた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022016887A (ja) エポキシ樹脂組成物及び硬化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