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9629B1 - 컨테이너 연결구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9629B1
KR101189629B1 KR1020077011414A KR20077011414A KR101189629B1 KR 101189629 B1 KR101189629 B1 KR 101189629B1 KR 1020077011414 A KR1020077011414 A KR 1020077011414A KR 20077011414 A KR20077011414 A KR 20077011414A KR 101189629 B1 KR101189629 B1 KR 101189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ole
cone
container connector
pedestal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14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5877A (ko
Inventor
히로유키 타카구치
Original Assignee
다이요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요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요 세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5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5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9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9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006Coupling devices between containers, e.g. ISO-containers
    • B65D90/0013Twist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5/00Tank wagons for carrying fluent materials
    • B61D5/08Covers or access openings; Arrangemen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Paper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송 중에 용이하게 빠지지 않고, 또한 컨테이너의 횡진동을 적게 해서 용이하게 걸림/이탈할 수 있는 오토매틱의 트위스트식 컨테이너 연결구를 제공한다.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C)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1)와, 연결 시트(1)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부 받침대(2) 및 하부 받침대(3)와, 상부 받침대(2) 및 하부 받침대(3)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상부 콘(4) 및 하부 콘(5)을 구비하고, 하부 콘(5)은 홈 구멍(C1)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변위되어 하부 받침대(3)로부터 수하되는 목부(7)와, 목부(7)의 선단으로부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8)와, 고정 돌출부(8)보다 기단측에서 목부(7)로부터 변위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되고 상방으로 요동함으로써 후퇴되는 가동 돌출부(9)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연결구{CONTAINER CONNECTION DEVICE}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겹쳐 쌓을 때에 상하의 컨테이너를 서로 연결하는 컨테이너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양륙시에 컨테이너를 끌어 올림으로써 자동적으로 연결을 떼어낼 수 있는 오토매틱의 컨테이너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선박으로 다수의 컨테이너를 수송할 때에 상하 다단으로 겹쳐 쌓이는 컨테이너끼리는 컨테이너 연결구에 의해 연결되어 선체의 흔들림(롤링, 피칭)에 대해서 화물이 무너지지 않도록 적재된다.
컨테이너 연결구는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플레이트상의 연결 시트와, 그 연결 시트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하의 받침대와, 그 받침대의 선단에 설치된 상하의 콘을 구비하고, 그 콘이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연결구로서 상부 콘을 미리 컨테이너 하부의 코너 부재에 장착해 두고, 그 컨테이너를 하방의 컨테이너에 겹쳐 쌓을 때에는 컨테이너를 하방의 컨테이너에 맞춰서 내리면 하부 콘이 하방의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자동적으로 맞물려져 컨테이너끼리의 연결이 행해지고, 반대로 컨테이너의 양륙시 에는 컨테이너를 끌어 올림으로써 자동적으로 연결을 떼어낼 수 있는 오토매틱의 컨테이너 연결구가 있다.
종래의 오토매틱의 컨테이너 연결구로서는 예를 들면,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콘(10)이 홈 구멍(C1)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변위되어 받침대(11)로부터 수하(垂下)되는 목부(12)와, 그 목부(12)의 선단으로부터 변위 방향으로 더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13)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컨테이너의 적부(積付)시에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받침대(11)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하부 경사면(14)을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에서 받침대(11)의 하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 돌출부(13)의 상부에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함으로써 고정 돌출부(13)를 홈 구멍(C1)과 맞물리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상부 경사면(15)을 형성하고 있다.
한편, 도면 중 16은 연결 시트, 17은 상부 콘을 나타내고 있다.
이 컨테이너 연결구는 컨테이너의 적부시에는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고정 돌출부(13)를 삽입하면 받침대(11)의 하부 경사면(14)이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받침대(11)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함으로써 고정 돌출부(13)가 홈 구멍(C1)에 맞물려진다.
한편, 양륙시에는 그 빼냄 동작에 의해 고정 돌출부(13)의 상부 경사면(15)이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한다는 점에서 고정 돌출부(13)가 홈 구멍(C1)과 맞물려지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해서 빼낼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컨테이너 연결구를 이용하는 경우, 선박에 적재해서 수송 중에 선박의 롤링이나 피칭에 의한 컨테이너의 기울어짐에 의해 컨테이너 연결구의 맞물림이 빠지기 쉽다는 문제가 있다.
즉,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컨테이너가 수평으로 적재되어 있어도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체의 흔들림(롤링이나 피칭)이나 바람 등으로 상방의 컨테이너가 비스듬히 상방으로 떠오르면, 도 10(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돌출부(13)가 홈 구멍(C1)과 맞물려지지 않는 위치까지 이동한다는 점에서 외측의 컨테이너 연결구가 하방의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C)로부터 빠지려고 한다.
또한, 이 컨테이너 연결구는 고정 돌출부(13)가 받침대(11)의 중심선에서 상당히 어긋나 있기 때문에 고정 돌출부(13)를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삽입하고자 하면 끌어 올린 컨테이너를 고정 돌출부(13)가 어긋난 분만큼 가로로 흔들지 않으면 안되어 인접하는 컨테이너와의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없으면 적부를 할 수 없다.
그리고, 양륙시에는 상부 경사면(15)의 안내에 의해 홈 구멍(C1)의 빠짐 위치까지 이동한 고정 돌출부(13)가 홈 구멍(C1)으로부터 빠진 후에 가로 방향의 관성이 남아있기 때문에 끌어 올린 컨테이너가 가로로 크게 흔들리게 되어 인접하는 컨테이너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인접하는 컨테이너가 탱크 컨테이너인 경우는 수용되어 있는 화학 약품 등이 유출될 위험성도 있다.
또한, 좌우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한쪽이 먼저 코너 부재(C)에 들어가 버리면 또 다른 한쪽의 컨테이너 연결구가 들어가지 않아 재시도를 위해서 다시 컨테이너를 들어 올리면 먼저 들어간 컨테이너 연결구에 뒤틀림 현상이 작용해서 빠지지않게 된다는 문제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컨테이너 연결구가 갖는 문제점을 감안해서 수송 중에 용이하게 빠지는 일이 없고, 또한 컨테이너의 횡진동을 적게 해서 용이하게 걸림/이탈할 수 있는 오토매틱의 트위스트식 컨테이너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매단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대해서 방향이 틀리는 일 없이 바르게 부착할 수 있는 컨테이너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콘의 착탈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컨테이너 연결구를 제공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는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와, 그 연결 시트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하의 받침대와, 그 받침대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상하의 콘을 구비한 컨테이너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콘이 홈 구멍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변위되어 하부 받침대로부터 수하되는 목부와, 그 목부의 선단으로부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와, 그 고정 돌출부보다 기단측에서 목부로부터 상기 변위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되고 상방으로 요동함으로써 후퇴되는 가동 돌출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가동 돌출부의 선단을 홈 구멍 내면과 접촉시키는 경사면을 가동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시점부터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으로 안내하여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키는 경사면을 고정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적부시에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하부 받침대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경사면을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에서 상기 하부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홈 구멍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콘을 상부 받침대의 선단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부 콘의 앞의 돌출부를 홈 구멍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의 후부벽과 접촉해서 상부 콘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는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와, 그 연결 시트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하의 받침대와, 각 받침대의 상하에 배치되어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상하의 콘을 구비한 컨테이너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의 앞의 돌출부를 홈 구멍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의 후부벽과 접촉해서 상부 콘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콘이 홈 구멍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변위되어 하부 받침대로부터 수하되는 목부와, 그 목부의 선단으로부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와, 그 고정 돌출부보다 기단측에서 목부로부터 상기 변위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되고 상방으로 요동함으로써 후퇴되는 가동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가동 돌출부의 선단을 홈 구멍 내면과 접촉시키는 경사면을 가동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시점부터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으로 안내하여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키는 경사면을 고정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적부시에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하부 받침대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경사면을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에서 상기 하부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시트 및 상하부 받침대를 관통하는 회전축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그 회전축 삽입 구멍에 회전축을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의 상하에 상부 콘과 하부 콘을 각각 위상을 다르게 해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 시트에 외주로부터 회전축 삽입 구멍에 연통되는 핸들 삽입 구멍을 형성하여 그 핸들 삽입 구멍을 통해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핸들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는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와, 그 연결 시트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하의 받침대와, 그 받침대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상하의 콘을 구비하고, 상기 홈 구멍에 대해서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콘을 상부 받침대의 선단에 고정시키고, 홈 구멍에 삽입한 상부 콘을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홈 구멍에 맞물려지도록 한 컨테이너 연결구에 있어서, 상부 콘의 삽입 위치에서 코너 부재와 접촉해서 후퇴하고, 또한 회전 후의 위치에서 홈 구멍으로 돌출되어 배플(baffle)을 이루는 고정 핀을 상기 연결 시트에 돌출측으로 가압해서 요동 가능하게 피벗함과 아울러 상기 고정 핀으로부터 연결 시트의 하측으로 고정 핀을 후퇴시키는 조작 레버를 연장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상부 콘을 홈 구멍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받침대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부 콘의 앞의 돌출부를 홈 구멍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의 후부벽과 접촉해서 상부 콘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에 의하면, 적부시에는 하부 콘을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삽입하면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위로 밀려 후퇴된다는 점에서, 컨테이너를 거의 횡진동시키지 않고 또한 하부 콘을 바로 위에서 홈 구멍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한쪽이 먼저 코너 부재에 들어가 버리거나, 상부 콘의 형상이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이 가능한 구조인 경우에 좌우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한쪽을 반대로 부착해 버려 컨테이너 연결구를 떼어낼 수 없게 되어도, 코너 부재의 다른 구멍으로부터 개방용 지그 등에 의해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킴으로써 홈 구멍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뒤틀림 현상도 발생하는 일 없이 컨테이너 연결구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적부 후에 변위측으로 배의 흔들림이 작용한 경우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떠오르고자 하는 힘에 대해서 하부 받침대와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맞물린다는 점에서 컨테이너 연결구는 빠지는 일이 없고, 또한, 변위측과 반대측으로 배의 흔들림이 작용한 경우는 반대의 비스듬히 상방으로 떠오르고자 하는 힘에 대해서 고정 돌출부가 홈 구멍의 반대측의 가장자리부에 맞물린다는 점에서 컨테이너 연결구는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가동 돌출부의 선단을 홈 구멍 내면과 접촉시키는 경사면을 가동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시점부터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으로 안내하여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키는 경사면을 고정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양륙시에는 가동 돌출부의 상부 경사면이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가동 돌출부의 선단을 홈 구멍 내면과 접촉시키는 한편, 고정 돌출부의 상부 경사면이 이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시점부터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으로 안내하여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킨다는 점에서 컨테이너를 거의 횡진동시키는 일 없이 하부 콘을 홈 구멍으로부터 바로 위로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적부시에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하부 받침대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경사면을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에서 상기 하부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하부 받침대를 홈 구멍의 끼워 맞춤 위치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홈 구멍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콘을 상부 받침대의 선단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부 콘의 앞의 돌출부를 홈 구멍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의 후부벽과 접촉해서 상부 콘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로의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에 의하면,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와, 그 연결 시트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하의 받침대와, 각 받침대의 상하에 배치되어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상하의 콘을 구비한 컨테이너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의 앞의 돌출부를 홈 구멍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의 후부벽과 접촉해서 상부 콘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규격에 의해 코너 부재의 후부벽에 근접해서 형성되는 홈 구멍에 대해서 상부 콘이 전후 반대 방향일 때에는 앞의 돌출부가 이 후부벽과 접촉하여 뒤의 돌출부가 홈 구멍에 막혀 들어가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로의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콘이 홈 구멍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변위되어 하부 받침대로부터 수하되는 목부와, 그 목부의 선단으로부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와, 그 고정 돌출부보다 기단측에서 목부로부터 상기 변위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되고 상방으로 요동함으로써 후퇴되는 가동 돌출부를 구비함으로써 적부시에는 하부 콘을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삽입하면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위로 밀려 후퇴된다는 점에서 컨테이너를 거의 횡진동시키지 않고, 또한 하부 콘을 바로 위에서 홈 구멍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좌우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한쪽이 먼저 코너 부재에 들어가 버리거나, 상부 콘의 형상이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이 가능한 구조인 경우에 좌우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한쪽을 반대로 부착해 버려 컨테이너 연결구를 떼어낼 수 없게 되어도, 코너 부재의 다른 구멍으로부터 개방용 지그 등에 의해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킴으로써 홈 구멍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뒤틀림 현상도 발생하는 일 없이 컨테이너 연결구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적부 후에 변위측으로 배의 흔들림이 작용한 경우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떠오르고자 하는 힘에 대해서 하부 받침대와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맞물린다는 점에서 컨테이너 연결구는 빠지는 일이 없고, 또한, 변위측과 반대측으로 배의 흔들림이 작용한 경우는 반대의 비스듬히 상방으로 떠오르고자 하는 힘에 대해서 고정 돌출부가 홈 구멍의 반대측의 가장자리부에 맞물린다는 점에서 컨테이너 연결구는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가동 돌출부의 선단을 홈 구멍 내면과 접촉시키는 경사면을 가동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시점부터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으로 안내하여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키는 경사면을 고정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양륙시에는 가동 돌출부의 상부 경사면이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가동 돌출부의 선단을 홈 구멍 내면과 접촉시키는 한편, 고정 돌출부의 상부 경사면이 이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시점부터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으로 안내하여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킨다는 점에서 컨테이너를 거의 횡진동시키는 일 없이 하부 콘을 홈 구멍으로부터 바로 위로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적부시에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하부 받침대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경사면을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에서 상기 하부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하부 받침대를 홈 구멍의 끼워 맞춤 위치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시트 및 상하부 받침대를 관통하는 회전축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그 회전축 삽입 구멍에 회전축을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의 상하에 상부 콘과 하부 콘을 각각 위상을 다르게 해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 시트에 외주로부터 회전축 삽입 구멍에 연통되는 핸들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그 핸들 삽입 구멍을 통해 회전축을 회동시키는 핸들을 설치함으로써 상부 콘과 하부 콘을 각각 회전시키면서 상하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순차 맞물리게 하여 겹쳐 쌓은 컨테이너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 3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에 의하면, 상부 콘을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맞춰 삽입함과 아울러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홈 구멍에 맞물리게 하고, 이 회전 후의 위치에서 연결 시트로부터 홈 구멍에 고정 핀을 돌출시킴으로써 상부 콘의 회전을 정지시켜 컨테이너 연결구를 코너 부재에 고정시킨다.
이 때, 고정 핀은 상부 콘의 삽입 위치에서 코너 부재와 접촉함으로써 후퇴됨과 아울러 회전 후의 위치에서 스프링에 의해 자동적으로 홈 구멍으로 돌출되어 배플을 이룬다는 점에서 상부 콘을 홈 구멍에 삽입해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코너 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부 콘의 부착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콘을 떼어낼 때에는 연결 시트의 하측으로부터 조작 레버를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컨테이너 연결구를 지지하는 손가락으로 조작해서 고정 핀을 후퇴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부 콘의 떼어냄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콘을 홈 구멍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받침대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부 콘의 앞의 돌출부를 홈 구멍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의 후부벽과 접촉해서 상부 콘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로의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동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동 우측면도이다.
도 4의 (a)는 동 평면도, (b)는 상부 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상부 콘의 코너 부재로의 부착을 나타내고, (a)는 올바른 방향의 부착을 나타내는 설명도, (b)는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로의 고정을 나타내는 단계도이다.
도 7은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로의 맞물림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로부터의 이탈을 나타내는 단계도이다.
도 9는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킬 때에 이용하는 개방용 지그를 나타내고,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흔들림에 의한 빠짐을 나타내는 단계도이다.
도 11은 하부 받침대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경사면 또는 안내면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내는 삼면도이다.
도 13은 동 컨테이너 연결구의 상부 콘과 하부 콘의 관계를 나타내고, (a)는 핸들을 핸들 삽입 구멍의 중앙 위치로 했을 때의 상부 콘과 하부 콘을 나타내는 평면도, (b)는 핸들을 핸들 삽입 구멍의 일단 위치로 했을 때의 상부 콘과 하부 콘을 나타내는 평면도, (c)는 핸들을 핸들 삽입 구멍의 타단 위치로 했을 때의 상부 콘과 하부 콘을 나타내는 평면도, (d)는 회전축에 의해 연결된 상부 콘과 하부 콘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는 일부가 잘려진 측면도이다.
도 15는 동 평면도이다.
도 16은 동 정면도이다.
도 17은 고정 핀을 나타내는 삼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연결 시트 2: 상부 받침대
3: 하부 받침대 31: 경사면
31B, 31C, 31D: 안내면 4: 상부 콘
41: 앞의 돌출부 42: 뒤의 돌출부
5: 하부 콘 6: 고정 핀
61: 스프링 62: 축
63: 조작 레버 64: 위치 결정 핀
7: 목부 8: 고정 돌출부
81: 경사면 82: 하부 경사면
9: 가동 돌출부 91: 축
92: 스프링 93: 경사면
94: 하부 경사면 11A: 회전축
12A: 핸들 삽입 구멍 13A: 핸들
20: 개방용 지그 C: 코너 부재
C1: 홈 구멍 C2: 후부벽
이하,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해서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도 4에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컨테이너 연결구는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C)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1)와, 그 연결 시트(1)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부 받침대(2) 및 하부 받침대(3)와, 그 상부 받침대(2) 및 하부 받침대(3)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상부 콘(4) 및 하부 콘(5)을 구비하고 있다.
연결 시트(1)는 소정 두께가 형성된 판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하에 상부 받침대(2)와 하부 받침대(3)를 일체로 돌출 설치하고 있다.
또한, 연결 시트(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컨테이너 연결구의 상하 좌우의 위치 결정을 할 수 있으면 예를 들면, 상하의 코너 부재(C)의 모따기부인 C면에만 끼워지는 단면 삼각이나 단면 사다리꼴의 돌출 라인으로 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상부 받침대(2)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대략 다이아몬드형을 이루고,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 내에서 좌우로 각각 소정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연결 시트(1)에 설치한 고정 핀(6)을 홈 구멍(C1)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상부 콘(4)이 홈 구멍(C1)에 맞물리는 회전 후의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 핀(6)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61)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축(62)에 의해 연결 시트(1)에 피벗되어 있고, 연결 시트(1)의 하면측에서 레버(63)를 조작함으로써 후퇴할 수 있다.
하부 받침대(3)는 도 1 또는 도 6(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상부가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대략 일치해서 끼워 맞춰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하부에는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에서 적부시에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하부 받침대(3)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경사면(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받침대(3)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경사면(31)[도 11(a)]을 도 11(b)~(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곡면으로 이루어지는 안내면(31B, 31C, 31D)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부 콘(4)은 도 4~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위치에서 홈 구멍(C1)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받침대(2)의 선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부 콘(4)의 앞의 돌출부(41)는 홈 구멍(C1)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과 접촉해서 상부 콘(4)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은 ISO 규격에 의해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콘(4)이 올바른 방향일 때에는 장착할 수 있지만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콘(4)이 전후 반대 방향일 때에는 앞의 돌출부(41)가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과 접촉한다는 점에서 뒤의 돌출부(42)가 홈 구멍(C1)에 막혀 들어가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C)로의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이 방지된 다.
하부 콘(5)은 홈 구멍(C1)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변위되어 하부 받침대(3)로부터 수하되는 목부(7)와, 그 목부(7)의 선단으로부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8)와, 그 고정 돌출부(8)보다 기단측에서 목부(7)로부터 상기 변위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되고 상방으로 요동함으로써 후퇴되는 가동 돌출부(9)를 구비하고 있다.
목부(7)는 하부 받침대(3)로부터 가동 돌출부(9)의 돌출 폭을 뺀 정도로 가늘게 형성되어 있고, 하부 받침대(3)의 편측으로부터 수하되어 있다.
가동 돌출부(9)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하부가 목부(7)의 선단 부근에 축(91)에 의해 피벗되어 있고, 그 상부가 스프링(92)에 의해 외측으로 가압되어 있다.
가동 돌출부(9)의 상부에는 도 7(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가동 돌출부(9)의 선단을 홈 구멍(C1) 내면과 접촉시키는 경사면(93)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돌출부(9)는 하부에도 경사면(94)을 구비하고, 또한, 가동 돌출부(9)가 가장 돌출되는 위치에서는 목부(7)와 맞춘 폭이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의 폭에 가까운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가동 돌출부(9)는 목부(7)에 형성한 오목부에 스프링(92)에 의해 가압된 상태로 끼워 넣어지기 때문에 축(91)을 생략해도 그 위치를 유지하면서 요동하 는 것이 가능하다.
고정 돌출부(8)의 상부에는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돌출부(9)가 홈 구멍(C1) 내면과 접촉한 시점부터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으로 안내하여 홈 구멍(C1) 내면과 접촉한 가동 돌출부(9)를 후퇴시키는 경사면(81)이 형성되어 있다.
고정 돌출부(8)는 하부에도 경사면(82)을 구비하고, 또한, 고정 돌출부(8)가 가장 돌출되는 위치에서는 목부(7)와 맞춘 폭이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의 폭에 가까운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이 컨테이너 연결구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부시에는 하부 콘(5)을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삽입하면, 가동 돌출부(9)가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위로 밀려 후퇴된다는 점에서 컨테이너를 거의 횡진동시키지 않고 또한 하부 콘(5)을 홈 구멍(C1)에 바로 위에서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적부시에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하부 받침대(3)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경사면(31)을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에서 상기 하부 받침대(3)의 하부에 형성함으로써 도 6(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부 받침대(3)를 홈 구멍(C1)의 끼워 맞춤 위치로 확실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이 적부시에 좌우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한쪽이 먼저 코너 부재(C)에 들어가 버리거나, 좌우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한쪽을 반대로 부착해 버려 컨테이너 연결구를 떼어낼 수 없게 되어도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방용 지그(20)를 이용해서 코너 부재(C)의 다른 구멍에 개방용 지그(20)의 조작편(20a)을 삽입하고, 회전 조작부(20b)의 선단에 회전 조작부(20b)와는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형성한 지지부(20c)를 코너 부재(C)의 구멍의 둘레 가장자리에 걸리게 한 상태로 회전 조작부(20b)를 회전 조작해서 조작편(20a)에 의해 가동 돌출부(9)를 후퇴시킴으로써 홈 구멍(C1)에 대한 클리어런스를 확보하여 뒤틀림 현상도 발생하는 일 없이 컨테이너 연결구를 용이하게 떼어낼 수 있다.
그리고, 적부후에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위측으로 배의 흔들림이 작용한 경우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떠오르고자 하는 힘(P1)에 대해서 하부 받침대(3)와 가동 돌출부(9)가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맞물린다는 점에서 컨테이너 연결구는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위측과 반대측으로 배의 흔들림이 작용한 경우는 반대의 비스듬히 상방으로 떠오르고자 하는 힘(P2)에 대해서 고정 돌출부(8)가 홈 구멍(C1)의 반대측의 가장자리부에 맞물린다는 점에서 컨테이너 연결구는 빠지는 일이 없다.
또한, 양륙시에는 도 8(a)~(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돌출부(9)의 상부 경사면(93)이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가동 돌출부(9)의 선단을 홈 구멍 내면과 접촉시킨다.
그리고, 도 8(b)~(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돌출부(8)의 상부 경사면(81)이 이 가동 돌출부(9)가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시점부터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으로 안내하여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가동 돌출부(9)를 후퇴시킨다.
마지막에는 도 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돌출부(8)와 목부(7)가 홈 구멍(C1) 내에서 위치 결정하면서 빠진다는 점에서 컨테이너를 거의 횡진동시키는 일 없이 하부 콘(5)을 홈 구멍(C1)으로부터 바로 위로 이탈시킬 수 있다.
또한, 홈 구멍(C1)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콘(4)을 상부 받침대(2)의 선단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부 콘(4)의 앞의 돌출부(41)를 홈 구멍(C1)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과 접촉해서 상부 콘(4)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C)로의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2
다음에, 도 12~도 13에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컨테이너 연결구는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C)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1)와, 그 연결 시트(1)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부 받침대(2) 및 하부 받침대(3)와, 그 상하부 받침대(2, 3)의 상하에 배치되어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상부 콘(4) 및 하부 콘(5)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컨테이너 연결구는 연결 시트(1) 및 상하부 받침대(2, 3)를 관통 하는 회전축 삽입 구멍(도시 생략)을 형성하고, 그 회전축 삽입 구멍에 회전축(11A)을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11A)의 상하에 상부 콘(4)과 하부 콘(5)을 각각 위상을 다르게 해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 시트(1)에 외주로부터 회전축 삽입 구멍에 연통되는 핸들 삽입 구멍(12A)을 형성하고, 그 핸들 삽입 구멍(12A)을 통해 회전축(11A)을 회동시키는 핸들(13A)을 설치하고, 상기 상부 콘(4)의 앞의 돌출부(41)를 홈 구멍(C1)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과 접촉해서 상부 콘(4)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하고 있다.
상부 받침대(2)와 하부 받침대(3)는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고, 그 양단은 원호면으로 되어 있다. 이 상부 받침대(2)와 하부 받침대(3)는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C)에 형성된 홈 구멍(C1)에 대해서 거의 간극 없이 끼워 맞춰지는 형상과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연결 시트(1)는 소정 두께가 형성된 판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상하에 상부 받침대(2)와 하부 받침대(3)를 일체로 돌출 설치하고 있다.
이 연결 시트(1)에는 상하부 받침대(2, 3)를 이들의 단면까지 관통하는 회전축 삽입 구멍이 형성됨과 아울러 연결 시트(1)의 외주로부터 회전축 삽입 구멍에 연통되는 부채꼴의 핸들 삽입 구멍(12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축 삽입 구멍에는 회전축(11A)이 삽입되고 그 회전축(11A)의 외주부에 연결된 핸들(13A)은 상기 핸들 삽입 구멍(12A)에 삽입되어 선단부가 외부에 면하고 있다.
회전축(11A)의 상단 및 하단에는 상부 받침대(2) 및 하부 받침대(3)의 단면 상에서 소정 범위의 각도로 회전하도록 상부 콘(4)과 하부 콘(5)이 설치되어 있다.
상부 콘(4)은 도 4~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앞의 돌출부(41)가 홈 구멍(C1)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과 접촉해서 상부 콘(4)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은 ISO 규격에 의해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에 근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콘(4)이 올바른 방향일 때에는 장착할 수 있지만,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콘(4)이 전후 반대 방향일 때에는 앞의 돌출부(41)가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과 접촉한다는 점에서 뒤의 돌출부(42)가 홈 구멍(C1)에 막혀 들어가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C)로의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이 방지된다.
또한, 하부 콘(5)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이등변 삼각형의 종래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핸들(13A)은 도시 생략하는 래치 기구에 의해 핸들 삽입 구멍(12A)의 일단, 타단 및 중앙의 3개의 위치에 있어서 임시 고정됨과 아울러 도시 생략하는 록 기구에 의해 상기 각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고정된다.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13A)이 핸들 삽입 구멍(12A)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부 콘(4)이 상부 받침대(2)의 외주면 내에 넣어지는 언록(unlock) 상태로 되고, 상부 콘(4)은 이 상태로 위의 코너 부재(C)의 홈 구 멍(C1)에 삽입된다.
한편, 이 때 하부 콘(5)은 그 양측부가 하부 받침대(3)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삽입 구멍(12A)의 일단부에 핸들(13A)이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부 콘(4)은 그 양단부가 상부 받침대(2)의 외주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홈 구멍(C1)에 맞물리는 록 상태로 된다.
한편, 하부 콘(5)은 하부 받침대(3)의 외주면 내에 넣어지는 언록 상태로 되고, 하부 콘(5)은 이 상태로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삽입된다.
또한, 도 12(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 삽입 구멍(12A)의 타단부에 핸들(13A)이 배치되는 위치에서 상부 콘(4) 및 하부 콘(5) 각각은 양측부가 상하부 받침대(2, 3)의 양측면보다 외측으로 돌출되어 홈 구멍(C1)에 맞물리는 록 상태로 된다.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연결구는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C)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1)와, 그 연결 시트(1)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하의 받침대(2, 3)와, 각 받침대(2, 3)의 상하에 배치되어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상하의 콘(4, 5)을 구비한 컨테이너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상부 콘(4)의 앞의 돌출부(41)를 홈 구멍(C1)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과 접촉해서 상부 콘(4)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한다는 점에서 규격에 의해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에 근접해서 형성되는 홈 구멍(C1)에 대해서 상부 콘(4)이 전후 반대 방향일 때에는 앞의 돌출부(41)가 이 후부벽(C2)과 접촉하여 뒤의 돌출부(41)가 홈 구멍(C1)에 막혀 들어가지 않게 되고, 이것에 의해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C)로의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시트(1) 및 상하의 받침대(2, 3)를 관통하는 회전축 삽입 구멍을 형성하고, 그 회전축 삽입 구멍에 회전축(11A)을 회동 가능하게 끼워 삽입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축(11A)의 상하에 상부 콘(4)과 하부 콘(5)을 각각 위상을 다르게 해서 고정 설치하고, 상기 연결 시트(1)에 외주로부터 회전축 삽입 구멍에 연통되는 핸들 삽입 구멍(12A)을 형성하고, 그 핸들 삽입 구멍(12A)을 통해 회전축(11A)을 회동시키는 핸들(13A)을 설치함으로써 상부 콘(4)과 하부 콘(5)을 각각 회전시키면서 상하의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순차 맞물리게 하여 겹쳐 쌓은 컨테이너를 연결할 수 있다.
실시예3
도 14~도 17에,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컨테이너 연결구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컨테이너 연결구와 동일한 기본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 핀(6)은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프링(61)에 의해 돌출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로 축(62)에 의해 연결 시트(1)에 요동 가능하게 피벗되어 있고, 연결 시트(1)의 하측으로 연장 설치한 조작 레버(63)를 조작함으로써 후퇴된다.
고정 핀(6)은 그 선단부가 축(62)의 비스듬한 상방에 위치하고 있고, 이 선단부가 상부 콘(4)의 삽입 위치에서 코너 부재(C)의 하면, 즉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와 접촉했을 때에 밀려 후퇴된다.
그리고, 상부 콘(4)의 회전 후의 위치에서는 홈 구멍(C1)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해방되어 홈 구멍(C1)에 들어가고, 스프링(61)에 의해 자동적으로 홈 구멍(C1)으로 돌출되어 배플을 이룬다.
또한, 조작 레버(63)는 위치 결정 핀(64)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있고, 컨테이너 연결구를 지지하는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전방으로 밀어 조작하여 고정 핀(6)을 후퇴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컨테이너 연결구의 부착은 우선 끌어 올린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C)에 상부 콘(4)을 삽입함으로써 행한다.
즉, 상부 콘(4)을 코너 부재(C)의 홈 구멍(C1)에 맞춰 삽입함과 아울러 소정 각도 회전시킴으로써 홈 구멍(C1)에 맞물리게 하고, 이 회전 후의 위치에서 연결 시트(1)로부터 홈 구멍(C1)에 고정 핀(6)을 돌출시킴으로써 상부 콘(4)의 회전을 정지시켜 컨테이너 연결구를 코너 부재(C)에 고정시킨다.
이 때, 고정 핀(6)은 상부 콘(4)의 삽입 위치에서 코너 부재(C)와 접촉함으로써 후퇴됨과 아울러 회전 후의 위치에서 스프링(61)에 의해 자동적으로 홈 구멍(C1)으로 돌출되어 배플을 이룬다는 점에서 상부 콘(4)을 홈 구멍(C1)에 삽입해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코너 부재(C)에 고정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부 콘(4)의 부착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부 콘(4)을 떼어낼 때에는 연결 시트(1)의 하측으로부터 조작 레버(63)를 조작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예를 들면, 컨테이너 연결구를 지지하는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레버(63)를 미는 것에 의해 고정 핀(6)을 후퇴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상부 콘(4)의 떼어냄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홈 구멍(C1)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상부 콘(4)을 상부 받침대(2)의 선단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부 콘(4)의 앞의 돌출부(41)를 홈 구멍(C1)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C)의 후부벽(C2)과 접촉해서 상부 콘(4)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함으로써 컨테이너 연결구의 코너 부재(C)로의 전후 반대 방향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에 대해서 복수의 실시예에 기초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기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각 실시예에 기재한 구성을 적당히 조합시키는 등,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적당히 그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컨테이너 연결구는 수송 중에 용이하게 빠지는 일이 없고, 또한 컨테이너의 횡진동을 적게 해서 용이하게 걸림/이탈이 가능하다는 특성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 컨테이너를 끌어 올림으로써 자동적으로 연결을 떼어내는 오토매틱의 컨테이너 연결구의 용도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겹쳐 쌓은 컨테이너의 코너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 시트와, 그 연결 시트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상하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각각 컨테이너 연결구의 위치 결정을 해서 끼워 맞춰지는 상하의 받침대와, 그 받침대로부터 돌출 설치되어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맞물림으로써 컨테이너를 연결하는 상하의 콘을 구비한 컨테이너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하부 콘이 홈 구멍의 폭 방향의 한쪽으로 변위되어 하부 받침대로부터 수하되는 목부와, 그 목부의 선단으로부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돌출되는 고정 돌출부와, 그 고정 돌출부보다 기단측에서 목부로부터 상기 변위 방향으로 가압되어 돌출되고 선단이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하여 상방으로 요동함으로써 후퇴되는 가동 돌출부를 구비하고, 컨테이너의 양단의 코너 부재의 홈 구멍에 상기 고정 돌출부 및 가동 돌출부가 향하는 방향이 동일 방향이며, 또한 직선 상으로 배열되도록 장착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콘이 홈 구멍에 대해서 비스듬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부 받침대의 선단에 고정시킴과 아울러, 상기 상부 콘의 앞의 돌출부를 홈 구멍으로의 반대 방향 삽입시에 코너 부재의 후부벽과 접촉해서 상부 콘의 삽입을 저지하는 길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연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양륙시의 빼냄 동작에 의해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으로 안내하여 가동 돌출부의 선단을 홈 구멍 내면과 접촉시키는 경사면을 가동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가동 돌출부가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시점부터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컨테이너 연결구를 상기 변위 방향으로 안내하여 홈 구멍 내면과 접촉한 가동 돌출부를 후퇴시키는 경사면을 고정 돌출부의 상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연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부시에 홈 구멍의 가장자리부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하부 받침대를 끼워 맞춤 위치까지 안내하는 경사면을 상기 변위 방향의 반대측에서 상기 하부 받침대의 하부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연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77011414A 2004-11-09 2005-11-08 컨테이너 연결구 KR101189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25298 2004-11-09
JPJP-P-2004-00325298 2004-11-09
JP2004336954 2004-11-22
JPJP-P-2004-00336954 2004-11-22
JPJP-P-2005-00231537 2005-08-10
JP2005231537 2005-08-10
PCT/JP2005/020449 WO2006051781A1 (ja) 2004-11-09 2005-11-08 コンテナ連結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877A KR20070095877A (ko) 2007-10-01
KR101189629B1 true KR101189629B1 (ko) 2012-10-10

Family

ID=3633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1414A KR101189629B1 (ko) 2004-11-09 2005-11-08 컨테이너 연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1810938B1 (ko)
JP (1) JP4629052B2 (ko)
KR (1) KR101189629B1 (ko)
AT (1) ATE491659T1 (ko)
DE (1) DE602005025387D1 (ko)
DK (1) DK1810938T3 (ko)
WO (1) WO200605178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78168B (zh) 2007-11-30 2011-12-14 日本邮船株式会社 集装箱用连接件
FI124181B (fi) * 2008-09-16 2014-04-15 Macgregor Fin Oy Kytkentäväline konttien, erityisesti rahtilaivoissa käytettävien konttien kytkemiseksi
FI122248B (fi) * 2010-03-10 2011-10-31 Cargotec Finland Oy Kytkentäväline konttien, erityisesti rahtilaivoissa käytettävien konttien kytkemiseksi
KR101231307B1 (ko) * 2012-07-12 2013-02-07 홍정선 컨테이너 상하 연결장치
FI20135346L (fi) * 2013-04-09 2014-10-10 Macgregor Finland Oy Konttien kytkentäväline
KR101460300B1 (ko) * 2013-07-19 2014-11-1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박의 컨테이너 소켓
JP6343251B2 (ja) * 2015-04-22 2018-06-13 港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固定装置
CN109071106A (zh) * 2016-04-08 2018-12-21 Mec集装箱安全系统有限公司 用于连接两个相叠地堆叠的集装箱的耦联件
FI127410B (fi) * 2016-04-28 2018-05-15 Macgregor Finland Oy Lukkomekanismi
EP3459877B1 (en) * 2016-05-19 2024-05-15 Minato Seiki Iron Works Co., Ltd. Arrangement comprising a container-securing device
TWI626200B (zh) * 2017-08-03 2018-06-11 Formosa Forges Corp Container coupling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367A (ja) 1997-02-03 1998-08-18 Taiyo Seiki Kogyo Kk コンテナの位置決め金具
JP2003530280A (ja) 2000-04-06 2003-10-14 ノイフィンゲール,ホルスト 少なくとも一方がアンダーカットホールを有する二つの部材を連結する自動ロック及び自動解除コネクタ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5052A1 (en) * 1994-11-11 1996-05-23 A11 Set Marine Lashing Aktiebolag Container locking means
EP0832827B1 (de) * 1996-09-30 2001-12-19 Willi Wader Gmbh Selbstverriegelndes Verbindungselement für Container
JP3633749B2 (ja) * 1997-04-24 2005-03-30 大洋製器工業株式会社 コンテナ連結具
DE19905909A1 (de) * 1999-02-11 2000-08-17 Marine Equip & Consult Vorrichtung zum Verbinden und Lösen übereinandergestapelter Behälter
DE19925128A1 (de) * 1999-06-02 2000-12-07 Macgregor Conver Gmbh Kuppelstück zum Verbinden von Containern
DE10238895C5 (de) * 2002-08-24 2009-04-30 Sec Ship's Equipment Centre Bremen Gmbh Kuppelstück zum Verbinden zweier übereinander gestapelter Container, Anordnung übereinander gestapelter Container und Verfahren zum Verbinden übereinander gestapelter Container mit solchen Kuppelstück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8367A (ja) 1997-02-03 1998-08-18 Taiyo Seiki Kogyo Kk コンテナの位置決め金具
JP2003530280A (ja) 2000-04-06 2003-10-14 ノイフィンゲール,ホルスト 少なくとも一方がアンダーカットホールを有する二つの部材を連結する自動ロック及び自動解除コネクタ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5877A (ko) 2007-10-01
EP1810938A1 (en) 2007-07-25
EP1810938B1 (en) 2010-12-15
WO2006051781A1 (ja) 2006-05-18
JP4629052B2 (ja) 2011-02-09
DE602005025387D1 (de) 2011-01-27
EP1810938A4 (en) 2009-08-05
ATE491659T1 (de) 2011-01-15
JPWO2006051781A1 (ja) 2008-05-29
DK1810938T3 (da) 2011-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9629B1 (ko) 컨테이너 연결구
JP4753142B2 (ja) 上下に載置した2つのコンテナ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片、該連結片を具備するコンテナ
EP3287393B1 (en) Container securing device
US4564984A (en) Positioning cone for containers
JP4781786B2 (ja) コンテナ連結具
JP4762694B2 (ja) コンテナ固定具
JP3308945B2 (ja) カートリッジの誤挿入防止機構
JP4432116B2 (ja) 荷台用カバー装置
US5212605A (en) Ejecting and loading mechanism for a tape cassette with means for preventing unintentional ejection of the cassette
JP2007045523A (ja) コンテナ連結具
JP2007284134A (ja) コンテナ連結具
KR200488864Y1 (ko) 잠금구조를 구비하는 집게
JP3827795B2 (ja) コンテナの位置決め金具
JPH10226270A (ja) コンテナの自動緊締装置
CN220501960U (zh) 一种止挡限位装置
TW523484B (en) Automatically locking and releasing connecting assembly
JP3558850B2 (ja) 引抜防止装置
JP4398646B2 (ja) 遊技機
JP2868119B1 (ja) ベッドにおけるボード係止機構
JP3641191B2 (ja) 車両用収納装置
JP2001137512A (ja) パチンコ機の錠装置
JP2002052217A (ja) パチンコ遊技機の施錠構造
JP2002053186A (ja) エアゾール容器用トリガ式噴射器
JPH0477384B2 (ko)
JP2003026287A (ja) コンテナ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