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5670B1 - 묘식기 - Google Patents

묘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5670B1
KR101175670B1 KR1020090023239A KR20090023239A KR101175670B1 KR 101175670 B1 KR101175670 B1 KR 101175670B1 KR 1020090023239 A KR1020090023239 A KR 1020090023239A KR 20090023239 A KR20090023239 A KR 20090023239A KR 101175670 B1 KR101175670 B1 KR 101175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her
supply
seedlings
seedling
supply 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3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1889A (ko
Inventor
에이이치로 기노시타
시로 가츠노
마사미 무라나미
히데아키 구로세
히로타카 도이
노부히로 야마네
히로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31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1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5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5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6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mounted on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6Other parts or details or plan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이동기구(21)에 의해 소정의 작동 궤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밭표면에 모종을 심는 모이식부(20)를 좌우에 배열한 묘식기에 있어서, 모 공급작업이 여유를 가지고 행하며, 또한 모이식부에 대하여 확실하게 모종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각각의 모이식부(20)의 위쪽에 있는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를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에 대응하여 각별로 설정하고, 이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에 대응하는 모 수용체(22)를 각각 1개씩 갖추어 주회 이동 경로에서 서로 인접시킨 모 수용체(22)로 이루어지는 모 수용체 유닛을 구성하고, 이동기구(23)에 의해 복수의 모수용 유닛을 동일한 주회 이동 경로로 주회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수용 유닛의 주회 이동 경로를 평면 시에서 좌우방향으로 늘리는 직선모양부분(28)과 상기 직선모양부분(28)의 끝에서 앞쪽 뒤쪽에 원호모양으로 구부러지는 원호모양부분(29)을 갖춘 구성으로 하고, 상기 직선모양부분(28)에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2, 33)를 배치하고, 상기 원호모양부분(29)에 제 1의 공급장치(31)를 배치하고, 제 2의 공급장치(32)와 제 3의 공급장치(33)의 주회 이동 경로에 따른 배열간격보다 제 1의 공급위치(31)에 인접하는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1의 공급위치(31)의 주회 이동 경로에 따른 배열간격이 넓게 되도록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를 배치하였다.

Description

묘식기{Seedling transplanter}
본 발명은, 모이식부를 좌우에 배열한 묘식기의 기술 분야에 속한다.
종래, 기체의 좌우 경사를 수평 센서로 검출하여 기체를 좌우 방향으로 수평이 되도록 제어하여 모 이식작업을 행하는 묘식기가 있다.
[특허문헌 1] 특개 2002-46661호 공보
본 발명은, 상하이동기구에 의해 소정의 작동 궤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밭표면에 모종을 심는 모이식부를 좌우에 배열한 묘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이식부로 모종을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모 공급장치는, 모종을 수용하는 루프모양으로 배치한 복수의 모 수용체와,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를 각각의 모이식부의 위쪽을 순차 통과하도록 주회 이동시키는 이동기구와, 상기 이동기구에 의해 모 수용체가 모이식부의 위쪽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모 수용체에 수용된 모종을 상하 이동 기구에서 상동한 모이식부로 낙하시키는 모 공급기구를 갖추고, 상기 모 공급장치는 각각의 모이식부에 대응하는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에서 모종을 낙 하시키는 구성으로 함에 대하여 모 수용체가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를 직렬적으로 통과하면서 모이식부에 대하여 모 공급 누락이 발생하지 않고 모종을 공급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급위치를 통과한 후에 모종이 공급되지 않았던 모 수용체가 발생하지 않게 남김없이 모이식부에 대하여 모종을 공급할 수 있게 되며, 모 공급작업이 여유를 가지고 행해지며, 또한 모이식부에 대하여 확실하게 모종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 공급위치에 있어서 대응하는 모이식부의 위쪽 위치에서 적확하게 모종을 공급할 수 있도록, 공급위치를 주회 이동 경로의 주회 이동 위쪽으로 약간 옮겨서 설정하는 것이 있지만, 그 때문에 일부의 공급위치가 대응하는 모이식부의 위치에 대하여 약간 옮겨, 상기 모 이식부로 적확하게 모종을 공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기체의 경량화 및 코스트 다운이 도모되면서, 모 수용체로부터의 모종을 모이식부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적 수단을 강구했다.
즉, 청구항 제 1항과 관련되는 발명은, 상하이동기구(21)에 의해 소정의 작동 궤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밭 표면에 모종을 심는 모이식부(20)를 좌우에 배열한 묘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이식부(20)로 모종을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6)를 설치하고, 상기 모 공급장치(6)는, 모종을 수용하는 루프모양으로 배치한 복수의 모 수용체(22)와,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22)를 각각의 모이식부(20)의 위쪽을 순차 통과하도록 주회 이동시키는 이동기구(23)와, 상기 이동기구(23)에 의해 모 수용체(22)가 모이식부(20)의 위쪽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모 수용체(22)에 수용된 모종을 모이식부(20)로 낙하시키는 모 공급장치를 갖추고, 상기 모 공급장치는 각각의 모이식부(20)의 상하 위치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22) 중,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와, 제 2의 공급위치(32)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와, 제 3의 공급위치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를 설정하고, 이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와, 제 2의 공급위치(32)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와, 제 3의 공급위치(33)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를 각각 1개씩 갖추어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경로 상에서 서로 인접시킨 모 수용체(22)로 이루어지는 모수용 유닛을 구성하고, 이동기구(23)에 의해 복수의 모수용 유닛을 동일한 상기 주회 이동 경로에서 주회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수용 유닛의 주회 이동 경로를 평면시에서 좌우 방향으로 늘어나는 직선모양부분(28)의 끝에서 앞쪽 또는 뒤쪽에 원호모양으로 구부려지는 원호모양부분(29)을 갖춘 구성으로 하고, 상기 직선모양부분(28)에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2, 33)를 배치하고, 상기 원호모양부분(29)에 제 1의 공급위치(31)를 배치하고,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3의 공급위치(33)의 주회 이동 경로에 따른 배열간격보다 제 1의 공급위치(31)에 인접하는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1의 공급위치(31)의 주회 이동 경로에 따른 배열간격이 넓어지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3의 공급위치(33)의 서로의 간격이,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1의 공급위치(31)의 서로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를 배치한 묘식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묘식기는, 이동기구(23)에 의해 모종을 수용하는 복수의 모 수용체(22)가 주회 이동하고, 이 주회 이동 경로에 설정된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에, 상기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에 대응하는 모 수용체(22)가 도달하면, 상기 모 수용체(22)로부터 아래쪽의 모이식부(20)로의 모종을 공급하고, 상기 모이식부(20)가 상하 이동 기구(21)에 의해 아래로 이동하여 밭 표면에 모종을 이식한다. 또한,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에 대응하는 모 수용체(22)를 각각 1개씩 갖추고 주회 이동 경로에서 서로 인접시킨 모 수용체(22)로 이루어지는 모수용 유닛을 구성하고, 주회 이동에 있어서 모종이 모이식부(20)로 공급된다. 그리고, 상기 직선모양부분(28)에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2, 33)를 배치하고, 상기 원호모양부분(29)에 제 1의 공급위치(31)를 배치하고,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3의 공급위치(33)의 상기 주회 이동 경로에 따른 배열간격보다 제 1의 공급위치(31)에 인접하는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1의 공급위치(31)의 상기 주회 이동 경로에 따른 배열간격이 넓게 되도록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를 배치하여,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의 서로의 간격이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관련된 발명은, 모 수용체(22)의 저면덮개(27)가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 열려 상기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의 공급위치(31)에 모 수용체(22)에서 모이식부(20) 측으로 모종을 안내하는 안내도구를, 모 공급장치(6)측에서 지지하여 설치하고, 상기 안내도구는,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방향의 위쪽에서 열린 상기 저면덮개(27)의 개방동작에 간섭하지 않고, 한편 개방동작된 상기 저면덮개(27)의 기울기와 같은 방향으로 되도록,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방향으로 경사하는 구성으로 한 청구항 1에 기재한 묘식기로 한 것이다.
  따라서, 청구항 2에 기재한 묘식기는,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의 각 작용에 더하여, 제 1의 공급위치(31)가 대응하는 모이식부(20)의 위치에 대하여 벗어나는 경우, 제 1의 공급위치(31)에 모 수용체(22)로부터 모이식부(20) 측으로 모종을 안내하는 안내도구를 설치함으로써, 모 수용체(22)로부터의 모종을 모이식부(20) 측으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 안내도구는, 모 공급장치(6)측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하 이동 기구(21)에서 상하시키는 부분의 중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모 이식부(20)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청구항 1에 기재한 묘식기에 의하면, 동일한 주회 이동 경로에서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로 모 수용체(22)를 공급할 수 있는 동시에,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의 서로의 간격이 대략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 청구항 2에 기재한 묘식기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한 묘식기의 효과에 더하여, 제 1의 공급위치(31)가 대응하는 모이식부(20)의 위치에 대하여 벗어나는 경우에도, 안내도구로 공급되는 모종을 모이식부(20) 측으로 안내할 수 있으며, 상기 안내도구는 필요하게 되는 제 1의 공급위치(3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기체의 경량화 및 코스트 다운이 도모된다. 또, 안내도구는,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방향의 위쪽에서 열린 상기 저면덮개(27)의 개방동작에 간섭하지 않고, 한편 개방동작된 상기 저면덮개(27)의 기울기와 같은 방향으로 되도록,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방향으로 경사하는 구성으로 했으므로, 모종을 안내도구 상에서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 안내도구는, 모 공급장치(6)측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상하 이동 기구(21)에서 상하시키는 부분의 중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모 이식부(20)의 상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인 묘식기(1)를 이하에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조종핸들(2)을 배치한 측을 뒤로하고, 그 반대측, 즉 엔진(3)을 배치한 측을 앞으로 한다. 그리고, 기체앞 측을 향하여 오른쪽 측을 우(右)라 하고, 왼쪽측을 좌(左)라고 한다.
이 묘식기는, 기체를 전진 주행 가능하도록 하는 주행차체(4)와 상기 주행차체(4)의 후부에 설치한 보행 조종용의 조종핸들(2)과 밭에 모종을 이식하는 모이식 장치(5)와 상기 모이식장치(5)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6)를 갖추고 있다.
주행차체(4)는, 도시예에서는, 엔진(3)과 상기 엔진(3)의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 회전하는 좌우 한 쌍의 구동 차바퀴인 뒷바퀴(7)와 상기 뒷바퀴(7)의 전방으로 전동 자재로 지지한 좌우 한 쌍의 앞바퀴(8)를 갖추고 있다.
엔진(3)의 후측에는 미션케이스(9)를 배치하고, 그 미션케이스(9)는, 그 좌측부로부터 엔진(3)의 좌측방향으로 신장하는 케이스 부분을 가지며, 이것이 엔진(3)의 좌측부와 연결하고 있다. 이 케이스 부분에 엔진(3)의 출력축이 안으로 들어가 미션케이스(9) 내의 전동 기구에 동력이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미션케이스(9)의 좌우 양측부에는, 전후에 긴 주행용의 좌우 전동케이스(10)의 앞부분을 회동자재로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주행용의 전동케이스(10)의 앞부분의 기체내측부에, 상기 전동케이스(10)와 일체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 엑슬케이스(axlecase)(11)를 설치되고, 이 엑슬케이스(11)를 미션케이스(9)의 좌우 양측부에 회동자재로 설치하고, 주행용의 좌우의 전동케이스(10)를 미션케이스(9)의 좌우 양측부에 마주하여 각각 회동자재로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이 주행용의 전동케이스(10)의 후부 측방에 돌출시켜 뒷바퀴 차축(12)에 뒷바퀴(7)를 장착하고 있다. 전동케이스(10)의 앞 부분의 회동 축심 위치에는, 미션케이스(9)로부터 좌우 양 외측방향으로 연장시킨 차바퀴 구동축의 선단이 안으로 들어가고, 미션케이스(9) 내의 주행부계 변속 전동부를 거친 주행용의 동력이 전동케이스(10) 내의 전동 기구에 전달하고 있다. 그리고, 주행용의 동력은 전동케이스(10) 내의 전동 기구를 통하여, 전동케이스(10)의 후단측의 뒷바퀴차축(12)에 전동하여, 뒷바 퀴(7)가 구동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미션케이스(9) 내에 설치한 좌우 각각의 사이드 클러치(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좌우 각각의 뒷바퀴(7)의 구동을 끊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체를 선회시킬 때에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에 의해 선회 안쪽이 되는 좌우 한쪽의 뒷바퀴(7)를 비 구동상태로 하여 부드럽게 선회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주행용의 전동케이스(10)에는, 상기 전동케이스(10)의 앞부분 측을 회동지점으로서 뒷바퀴(7)를 상하시키도록 상하 회동하는 구동수단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동케이스(10)의 미션케이스(9)로의 부착부에는, 위쪽으로 신장하는 암(13)을 일체적으로 설치하고 있고, 이것이 미션케이스(9)에 고정된 승강용 유압실린더(도시하지 않음)의 피스톤 로드 선단에 설치된 연결체의 좌우 양측부와 연결되어 있다. 좌우 일방측(우측)은, 로드로 연결하여, 타방측(좌측)은, 기체의 경사에 따라 신축 작동 가능한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도시하지 않음)로 연결되어 있다.
승강용 유압실린더가 작동하여 그 피스톤 로드가 기체 후방으로 돌출하면, 좌우의 상기 암(13)은 전방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전동케이스(10)가 아래방향으로 회동하여, 기체가 상승한다. 반대로, 승강용 유압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기체 전방으로 이동하여 실린더 내로 들어가면, 좌우의 상기 암(13)은 전방으로 회동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전동케이스(10)가 위쪽으로 회동하고, 기체가 하강한다. 이 승강용 유압 실린더는, 밭두둑에 접지하여 기체와 밭두둑과의 상하 간격의 변동에 따라 동작하는 센서(14)에 의해서 작동한다. 센서(14)의 동작은 기 체에 대한 밭두둑 상면 높이를 검출하는 동작으로 되며, 그 센서(14)의 검출 동작에 근거하여 기체를 밭두둑 표면 높이에 대응하여 설정 높이가 되도록 승강용 유압실린더가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조종핸들(2) 근방에 배치된 이식·승강조작구(15)의 인위 조작에 의해 기체를 수동 상승 혹은 하강시키도록 승강용 유압실린더가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이식·승강조작구(15)는 모 이식장치(5) 및 모 공급장치(6)의 구동을 넣거나 차단해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가 신축 작동하면, 그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와 연결하는 좌측의 암(13)이 회동하고, 좌측의 뒷바퀴(7)만을 상하 이동시켜, 기체를 좌우로 경사시킨다. 이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는, 후술하는 밭두둑의 좌우 경사를 검출하는 좌우경사센서(C)의 검출 결과에 근거하여 기체를 밭두둑의 좌우 경사에 평행하게 되도록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좌우 앞바퀴(8)는, 엔진(3) 하부의 좌우 중앙 위치에서 전후방향의 축심 둘레에 회동자재로 설치된 횡프레임(16)의 좌우 양측부에, 상하로 긴 세로프레임(17)을 설치하여 그 하단부 측면에 고착된 앞바퀴 차축(18)에 회전 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좌우 앞바퀴(8)는, 기체의 좌우 중앙의 전후방향의 축심 둘레에 롤링 이동자재로 되어 있다. 횡프레임(16)의 좌우 양측부에 대해서 세로프레임(17)을 상하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하고 있고, 앞바퀴(8)의 높이 조절을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조종핸들(2)은, 기체 후부에 설치되어 있고, 뒷바퀴(7)의 뒷바퀴차 축(12)보다 기체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션케이스(9)에 전단부를 고정한 기체프레임(19)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기체프레임(19)은, 기체의 좌우 중앙에서 후방으로 신장하고, 또, 전후 중간부로부터 기울기 후상방으로 신장하고 있다. 조종핸들(2)은, 기체프레임(19)의 후단부에서 좌우에 후방으로 신장되어 그 각 후단부를 조종핸들(2)의 그립부(2a)로 하고 있다. 조종핸들(2)의 좌우의 그립부(2a)는, 작업자가 그 그립부(2a)를 편리하게 손으로 잡을 수 있도록 적당높이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면예에서는 그립부(2a)를 좌우로 나누어진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조종핸들(2)의 좌우의 후단부를 서로 좌우로 연결하여 그 연결 부분을 그립부라고 해도 좋다.
또한, 상기 주행차체(4)는, 접지하여 구동 회전하는 주행 구동부를, 전후 차바퀴를 구비한 사륜식의 주행 구동부의 구성으로 한 것이지만, 좌우 크롤러 주행 장치를 설치한 크롤러식의 주행 구동부의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모 이식장치(5)는, 선단이 하부로 향하는 부리형상의 모이식부(20)와, 상기 모이식부(20)의 하단부가 밭표면보다 상부로 되는 위치와 밭표면보다 하부로 되는 위치에 모이식부(20)를 상하이동시키는 상하이동기구(21)와, 부리형상의 모이식부(20)의 하단부를 닫아서 상방으로부터 모종을 받아들여 안쪽에 모종을 수용 가능 한 닫힌 상태와 모이식부(20)의 하단부가 좌우로 열려 안쪽에 수용한 모종을 하부에 방출 가능한 열린 상태로 모이식부(20)를 개폐하는 개폐기구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모 공급장치(6)는, 모종을 상방으로부터 받아들여 안쪽에 모종을 수용하는 복수의 모 수용체(22)와, 상기 모 수용체(22)를 모이식부(20)의 상방을 통 과하도록 주회 이동시키는 이동기구(23)와, 모이식부(20)의 상방 위치에서 모 수용체(22)의 저부를 개방하여 안쪽에 수용한 모종을 낙하시켜 모이식부(20)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가 되는 개방기구를 갖추고 있다.
모 이식장치(5)는, 모이식부(20)를 좌우로 대략 등간격이 되는 설정 간격으로 복수체 나열하여 배치한 복수조이식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모이식부(20)를 좌우에 설정간격으로 4체 나열하여 배치한 4조 이식의 구성으로 되어 있다.
4체의 모이식부(20)는, 미션케이스(9)로부터 전동되는 이식부용 전동케이스(26)의 좌우 양측부에 설치한 상하이동기구(21)에 2체씩 장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이식부용 전동케이스(26)는, 기체프레임(19)에 하부를 고정한 부착부재(25)의 상부에 고착되어 있다. 상기 상하이동기구(21)는, 이식부용 전동케이스(26)에 대하여 앞 부분을 상하 회동자재로 장착하여 후부를 모이식부(20)에 연결한 상측과 하측의 승강 링크를 갖추고 있다. 그리고, 별도 설치한 구동기구에 의해 이식용 전동케이스(26) 내로부터의 동력으로 상하의 승강 링크를 상하이동시켜, 좌우의 모이식부(20)가 상하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승 위치에서는 모이식부(20)의 하단부가 밭표면보다 위쪽에 위치하고, 하강 위치에서는 모이식부(20)의 하단부가 밭표면보다 하부에 위치한다. 모이식부(20)의 개폐기구는, 이식부용 전동케이스(26) 내로부터의 동력으로 작동하여, 상하이동기구(21)의 작동에 연동하고, 모이식부(20)가 하강 하단 위치에 이르면 상기 모이식부(20)의 하부측을 좌우로 열어 하부에 개방 상태로 하고, 모이식부(20)가 상승 상단 위치에 이 르면 상기 모이식부(20)의 하부측을 닫아 폐색 상태로 하는 구성이다.
4체의 모이식부(20) 중, 좌우 외측의 모이식부(20)는 좌우 안쪽의 모이식부(20)보다 후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좌우의 상하이동기구(21)는, 180도 위상을 다르게 하여 작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좌우 한쪽 외측의 모이식부(20)와 좌우 다른쪽 안쪽의 모이식부(20)가 밭표면에 있어서 같은 전후 위치에 모종을 이식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 묘식기는, 지그재그 모양으로 4조의 모종을 심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 공급장치(6)는, 상하에 개구된 통모양체와 상기 통모양체의 아래쪽의 개구부를 개폐하는 저면덮개(27)를 가지고 서로 루프형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모 수용체(22)와, 상기 모 수용체(22)를 상기 모이식부(20)의 상방 근방을 통과하는 상태로 기체 평면에서 보았을때 좌우로 긴 타원 형상의 루프 모양의 궤적으로 좌회전하여 주회회동시키는 이동기구(23)와, 상기 모 수용체(22)의 저면덮개(27)를 모이식부(20)의 상방위치에서 개방하는 개방 기구를 설치한 구성이다. 이 모 공급장치(6)는, 상기 모 수용체(22)의 외주에 원통 외주부를 형성하고, 상기 원통 외주부에 외측으로부터 회동자재로 계합하는 계합부(둥근구멍)를 가지고, 두 개의 모 수용체(22)를 연결하는 연결체를 복수 설치하여, 상기 연결체의 계합부를 모 수용체(22)의 원통 외주부에 회동자재로 계합하여 상기 원통 외주부를 회동 축으로 하여 근처의 모 수용체(22)가 회동자재로 연결하는 상태로서 복수의 모 수용체(22)를 서로 연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모 수용체(22)와 연결체에서 무단(無端) 체인과 같이 연결한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 모 수용체(22)는, 직선적으로 이동 하는 직선형부분(28)에서도 원호형으로 이동하는 원호형부분(29)에서도 인접하는 모 수용체(22)와의 간격이 변함없기 때문에, 모 수용체(22)로부터 모이식부(20)에 모종을 공급하는 곳으로 모 수용체(22)가 모이식부(20)에 대하여 위치 엇갈림이 생기기 어려워지므로 모종 공급이 적정하게 행해져 정확한 모종의 이식을 할 수 있다. 모 수용체(22)의 개수와 주회회동하는 범위를 설정한 후에, 모 수용체(22)의 상측 개구부를 가능한 한 넓게 형성할 수 있고, 기체의 컴팩트화를 도모하면서 모 수용체(22)에의 모종 보급 작업을 가능한 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된다.
모 공급장치(6)의 이동기구(23)는, 무단체인과 같이 서로 연결하는 모 수용체(22)를 좌우에 설치한 이동기구로서의 스프로켓(sprocket)(23)의 외주의 원호형 절결부에 계합시켜 감아, 이 좌우의 스프로켓(23)을 이식부용 전동케이스(26)내로부터 나온 동력으로 구동회전하는 것으로서, 각 모 수용체(22)를 주변회동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모 수용체(22)가 주회하는 주회(周回)이동경로는, 평면에서 보았을때 좌우 방향으로 신장하는 직선형부분과 스프로켓(23)에 의해 상술한 직선형부분(28)으로부터 앞측 또는 후측에 원호형으로 회전하는 원호형부분(29)을 갖춘 타원형이며, 좌우의 뒷바퀴(7)보다 기체내 측에 배치하고 있다. 또, 모이식부(20)는, 뒷바퀴(7)의 뒷바퀴차축(12) 위치보다 후측에 배치하고 있다.
모 공급장치(6)의 개방기구는, 모 수용체(22)의 주회 궤적하부에서 저면덮개(27)가 하부로 회동하지 않도록 저면덮개(27)를 하부로부터 지지하는 지지체가 되는 지지축(30)을 설치하여, 이 지지축(30)을 모이식부(20)의 상방위치에는 설치 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모이식부(20)의 상방위치를 모 수용체(22)가 통과할 때, 저면덮개(27)가 지지축(30)에 의한 지지 상태가 풀려 아래쪽으로 회동하여 모 수용체(22)내의 모종이 하방에 낙하 가능하게 되도록 개방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모 수용체(22)의 저면덮개(27)가 열리는 타이밍은, 모이식부(20)가 모 수용체(22)의 바로 아래까지 상승했을 때가 되도록 조정해 둔다. 또, 상기 구성에 대신하여, 모이식부(20)가 모 수용체(22)의 바로 아래까지 상승했을 때에, 모이식부(20)에 설치한 개방 작동 부재가, 모이식부(20)의 윗쪽에 위치하는 모 수용체(22)의 저면덮개(27)가 열리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 수단을 규제 해제 동작시키는 구성도 채용할 수 있다.
모 공급장치(6)는, 4체의 모이식부(20)에 대하여 모 수용체(22)가 일회전으로 주회 이동하여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4체의 모이식부(20)에 대해서 모 수용체(22)가 일회전으로 주회 이동하여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했을 경우에는, 각각의 모이식부(20)에 대응하여 낙하하는 모종을 수용하는 모 수용체(22)를 각별히 설치하고, 이 각별의 모 수용체(22)를 각각 1개씩 갖추어 주회이동 경로에서 인접시킨 4개의 모 수용체(22)로이루어지는 모종 수용 유니트를 구성하여(도 3·도 4에 나타내듯이,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 모 수용체(22)의 부호 G를 상술한 저면덮개(27)가 열리고, 제 2의 공급위치(32)에서 모 수용체(22)의 부호 E를 상술한 저면덮개(27)가 열리고, 제 3의 공급위치(33)에서 모 수용체(22)의 부호 F를 상술한 저면덮개(27)가 열리고, 제 4의 공급위치(34)에서 모 수용체(22)의 부호 H를 상술한 저면덮개(27)가 열리는 구 성으로 되어 있어 이 부호 E내지 H를 상술한 저면덮개(27)를 가지는 4개의 모 수용체(22)가 1개의 모종 수용 유니트를 구성하여, 상기 묘수용 유니트가 연속해서 설치되어 주회 이동하는 루프 모양의 모종 수용 유니트가 형성되어 있다), 이동기구(23)에 의해 상기 모종 수용 유니트를 동일한 주회이동경로에서 복수조(6조) 주회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여, 합계 24개의 모 수용체(22)를 주회이동시킨다.
따라서, 4체의 모이식부(20)에 대응하는 4개소의 공급위치(31, 32, 33, 34)를, 모 수용체(22)의 동일한 주회 이동 경로 상에 설정하고 있다.
또, 좌우 일방측의 2체의 모이식부(20)가 상하이동기구(21)에 의해 상사점 위치까지 위로 이동했을 때, 상기 모이식부(20)에 낙하하는 각각의 모 수용체(22)가 대응하는 공급위치에 동시에 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있어, 지금부터 상하이동기구(21)가 반주기 작동하여 좌우 타방측의 2체의 모이식부(20)가 상사점 위치까지 위로 이동했을 때, 상기 모이식부(20)에 낙하하는 각각의 모 수용체(22)가 대응하는 공급위치에 동시에 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엄밀하게는, 모이식부(20)가 상사점 위치에 도달하는 바로 앞의 타이밍에서 모 수용체(22)의 저면덮개(27)가 열리기 시작하여 모이식부(20)가 상사점 위치에 도달했을 때에는 상기 저면덮개(27)가 확실히 열린 상태가 되도록 설정하고 있어, 모이식부(20)에의 모종 공급이 정확하게 행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모이식장치(5)의 상하이동기구(21)의 작동과 이동기구(23)에 의한 모종 수용 유니트의 이동과는 같은 주기로 행해져 이 반주기의 작동으로 모 수용체(22)가 그 배열의 2 피치분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모 수용체(22)가 4개소의 공급위치(31, 32, 33, 34)를 직렬적으로 통과하면서, 4체의 모이식부(20)에 대해서 모종 공급 누락이 생기지 않고 모종을 공급할 수 있고, 또한 4개소의 공급위치(31, 32, 33, 34)를 통과한 후에 모종이 공급되지 않았던 모 수용체(22)가 생기지 않도록 남기지 않고 모이식부(20)에 대해서 모종을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모 공급작업을 여유를 가지고 행할 수 있고, 또한 4체의 모이식부(20)에 대해서 확실하게 모종을 공급할 수 있다.
또, 적어도, 모 수용체(22)의 주회이동방향 아래쪽의 모이식부(20)에 낙하하는 모 수용체(22)가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방향 위쪽의 모이식부(20)의 상방을 통과할 때는, 그 모 수용체(22)에 대해서는 개방동작 되지 않도록 하는 개방기구를 설치하고 있다.
이 개방기구에 대해 설명하면, 모 수용체(22)의 저면덮개(27)에 돌기(35)를 설치하고, 이 돌기(35)를 당해 모 수용체(22)의 공급위치(32, 33, 34)보다 주회 이동 방향 상측의 공급위치(31, 32, 33)를 통과할때 하방에서 지지하는 지지축(30)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저면덮개(27)는, 주회 이동 방향 하측의 회동지점축 둘레에 회동하여 주회 이동 방향 상측에서 열리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나듯이, 각각의 공급위치(31, 32, 33, 34)에 대응하는 모 수용체(22)마다 저면덮개(27)의 돌기(35)의 형상을 다르게 하고, 이 돌기(35)는, 모 수용체(22)의 주회 외측에 짧게 돌출하는 것, 모 수용체(22)의 주회 안쪽에 짧게 돌출하는 것, 모 수용체(22)의 주회 안쪽에 길게 돌출하는 것 및 모 수용체(22)의 주회 외측에 길게 돌출하는 것의 4 종류를 공급위치(31, 32, 33, 34) 에 대응하여 설정하고 있다.
한편, 지지축(30)은,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경로를 따라서 신장하여, 저면덮개(27)의 돌기(35)의 종류에 대응하여 상기 돌기(35)를 지지할 수 있도록, 모 수용체(22)의 주회 내측에서 외측까지 위치를 다르게 한 4 종류의 것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주회 이동 방향 상측(좌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1, 32, 33, 34)로 정의하면,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는 주회 내측으로부터 3번째의 지지축(30)을 결여시키고, 제 2의 공급위치(32)에서는 주회 내측으로부터 2번째의 지지축(30)을 결여시키고, 제 3의 공급위치(33)에서는 주회 내측으로부터 1번째의 지지축(30)을 결여시키고, 제 4의 공급위치(34)에서는 주회 내측으로부터 4번째의 지지축(30)을 결여시키고 있다. 또한, 주회 내측으로부터 3번째의 지지축(30)은 제 4의 공급위치(34)에서도 결여하고, 주회 내측으로부터 2번째의 지지축(30)은 제 3의 공급위치(33)에서도 결여하여, 제 3 및 제 4의 공급위치(33, 34)에서 상술한 2 및 3번째의 지지축(30)이 당해 공급위치(33, 34)에서 열려야 할 저면덮개(27)의 개방의 지장이 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한, 주회 이동 경로의 앞쪽의 직선형부분(28) 등, 모종 보급을 위해서 모든 저면덮개(27)를 닫아둘 필요가 있는 구역에서는, 1 내지 4번째의 지지축(30)을 모두 배치하여도 좋지만, 저면덮개(27)의 중앙 부근을 지지하는 공통의 공통지지축(30a)을 설치한 구성으로 한다면, 구성이 간단하게 된다.
제 1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1, 32, 33, 34) 중, 제 2 및 제 3의 공급위 치(32, 33)는 주회 이동 경로의 직선형부분(28)에 위치하고, 제 1 및 제 4의 공급위치(31, 34)는 주회 이동 경로의 원호형부분(29)에서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2, 33)가 위치하는 직선형부분(28)과는 전후 반대측(앞측)의 직선형부분(28)에 가까운 위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인접하는 공급위치(31, 32, 33, 34)의 상기 주회 이동 경로에 따르는 서로의 배열간격을 다르게 함과 동시에, 상기 서로의 배열간격 중 좁은 배열간격이 상기 직선형부분(28)에 위치하여 넓은 배열간격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원호형부분(29)에 위치하도록 제 1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1, 32, 33, 34)가 설정되고,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1, 32, 33, 34)의 서로의 간격이 대략 동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 2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2, 33, 34)에 있어서 대응하는 모이식부(20)의 상방 위치에서 정확하게 모종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제 1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1, 32, 33, 34)를 주회 이동 경로의 좌우 중앙에 마주하여 주회이동 상측으로 약간 옮겨서 설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 1의 공급위치(31)가 대응하는 좌단의 모이식부(20)의 위치에 대하여 약간 어긋나서, 상기 모이식부(20)에 정확하게 모종을 공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제 1의 공급위치(31)에만, 모 수용체(22)로부터의 모종을 모이식부(20)측에 안내하는 안내도구가 되는 모종슈터를 설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일부의 공급위치(31)에만 모종 슈터를 설치하는 것으로, 기체의 경량화 및 비용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모종 슈터는,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방향(후방)으로 경사하여 설치되어, 주회 이동 방향 상측에서 열리는 저면덮개(27)의 개방동작에 간섭하지 않고, 또 저면덮개(27)의 회동으로 주회 이동 방향 상측으로 약간 기울지만, 그 기울기와 같은 방향으로 모종 슈터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모종을 모종 슈터 상에서 원활히 안내할 수 있다.
또, 상기 모종 슈터는, 모 공급장치(6) 측의 프레임으로부터 지지되어 있고, 모이식장치(5)측에 설치하지 않기 때문에, 상하이동기구(21)에서 상하이동시키는 부분의 중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모이식부(20)의 상하이동을 원활히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 1의 공급위치(31)가 대응하는 좌단의 모이식부(20)의 위치에 대해서 약간 어긋나고, 상기 모이식부(20)에 정확하게 모종을 공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상례에서는 모종 슈터를 설치하는 예를 설명했지만, 도 7에 나타나듯이, 제 1의 공급위치(31)에 대응하는 좌단의 모이식부(20)에 모종을 공급하는 모 수용체(22)내에 하단의 모낙하구멍(22b)이 편심(偏心)한 소경슬리브(sleeve)(22a)를 끼우고, 모종을 모이식부(20)내에 원활히 안내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묘식기는, 모이식부(20)가 이식한 모종에 대하여 복토진압하기 위한 복토진압바퀴(37)를 각 모이식부(20)의 모이식자리의 각 후방 좌우 양측 근방 위치에 설치하고 있다. 즉, 4개의 모이식부(20)에 대해서 좌우 방향으로 4조의 복토진압바퀴(37)를 나열하여 배치하고 있다.
이 복토진압바퀴(37)는, 전동바퀴이다. 그 구성은, 기체에 고정된 부착부재(25)에 파이프재(38a)를 고정하여, 그 내부를 관통하여 회동자재로 좌우 방향의 회동지축(38)을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우측의 모이식부(20)에 대한 복토진압바퀴(37)는, 회동지축(38)에 선단측을 고정한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 프레임(39a)에 유전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또, 다른 3개의 모이식부(20)에 대한 복토진압바퀴(37)는, 회동지축(38)에 선단측을 회동자재로 장착한 내부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b·39c)과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에 각각 유전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39b·39c·39d)은, 평면에서 보았을때 앞쪽(회동지축(38)측)이 개방하도록 U자형이며, 파이프 프레임을 적당하게 접어 구부려 구성되어 있다. 이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39b·39c·39d)의 후단부에는 각 이식조마다 상하 방향으로 신장하는 로드(40)의 하단을 연결하여, 각 이식조의 로드(40)(합계 4개)의 상단을 좌우로 늘어나는 파이프 모양의 좌우 프레임(41)의 적당 위치에서 관통시켜, 전후방향의 핀으로 상기 좌우 프레임(41)에 대해서 로드(40)가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우측의 모이식부(20)에 대한 복토진압바퀴(37)를 장착한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에 고착된 회동지축(38)의 좌단부는,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의 왼쪽 외측부까지 연장하여 설치되고 후방으로 향하여 설치한 검출부재(308c)의 기초부가 고착되어 있다.
한편,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에는 왼쪽 외측방향을 향하여 설 치한 판체(39d')의 기초부가 고착되어 있어, 상기 판체(39d')에 이너와이어의 선단을 고착하고, 상기 검출부재(38c)에 아우터와이어의 선단을 고착하여 밭표면(밭두둑 표면)의 좌우 경사를 검출하는 센서와이어(S)가 설치되어 있다.
즉, 회동지축(38)에 고착된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과 검출부재(38c)와는 상하 방향으로 같은 움직임을 하고,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은 회동지축(38)에 회동자재로 장착되고 있으므로, 밭표면(밭두둑 표면)에 좌우 경사가 있으면 검출부재(38c)와 판체(39d')와의 간격(L)이 변동하여, 그 변동을 센서와이어(S)가 검출한다. 이와 같이, 가장 우측의 모이식부(20)에 대한 복토진압바퀴(37)와 가장 좌측의 모이식부(20)에 대한 복토진압바퀴(37)를 좌우경사센서(C)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센서와이어(S)의 타단은, 상기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를 신축 작동시키는 롤링 제어밸브에 연재되어 있어, 예를 들면 밭표면(밭두둑 표면)의 우측이 좌측보다 높아졌을 경우에는,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에 장착된 복토진압바퀴(37)는 밭표면(밭두둑 표면)에 따라서 위로이동하므로,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도 위로 이동하여, 회동지축(38)을 통하여 검출부재(38c)도 위로 회동하고, 검출부재(38c)와 판체(39d')와의 간격(L)이 소정값보다 넓어지는 방향으로 변동하여, 그 변동에서 센서와이어(S)의 이너와이어가 잡아당겨져서 롤링제어밸브가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를 축소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좌측의 뒷바퀴(7)는 위로 이동하기 때문에 기체는 좌측이 낮아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그리고, 밭표면(밭두둑 표면)에 따른 상태까지 기체가 기울어지면, 검출부재(38c)와 판체(39d')와의 간격(L)이 소정값으로 돌아오므로, 센서와이어(S)에서 롤링제어밸브는 중립이 되어,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의 작동은 정지한다.
반대로, 밭표면(밭두둑 표면)의 좌측이 우측보다 높아졌을 경우에는,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에 장착된 복토진압바퀴(37)는 밭표면(밭두둑 표면)을 따라서 위로 이동하므로,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도 위로 이동하고, 판체(39d')도 위로 이동해 검출부재(38c)와 판체(39d')와의 간격(L)이 소정값보다 좁아지는 방향으로 변동하고, 그 변동에서 센서와이어(S)의 이너와이어가 밀려 롤링 제어밸브가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를 신장 작동시키는 방향으로 전환된다.
그러면, 좌측의 뒷바퀴(7)는 아래로 이동하기 때문에 기체는 좌측이 높아지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그리고, 밭표면(밭두둑 표면)에 따른 상태까지 기체가 기울어지면, 검출부재(38c)와 판체(39d')와의 간격(L)이 소정 값으로 돌아오므로, 센서와이어(S)에서 롤링 제어밸브는 중립이 되어,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의 작동은 정지한다.
이와 같이, 좌우 양측의 복토진압바퀴(37)의 높이 변동에 의해 밭표면(밭두둑 표면)의 경사를 검출하고, 기체를 밭표면(밭두둑 표면)의 경사에 따르도록 제어하는 구성으로 하면, 적정한 밭표면(밭두둑 표면)의 경사 검출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밭표면(밭두둑 표면)에 복수조(이 실시예에서는 4조) 이식하는 묘식기에서도, 밭표면(밭두둑 표면)의 경사 상태에 따라 각 조의 이식이 적정하게 행해지므로, 양호한 이식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좌우 일단측의 복토진압바퀴(37)를 장착한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에 고착된 회동지축(38)을 다른 복토진압바퀴(37)를 장착한 내부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b·39c)과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의 회동 지축으로서 이용하여, 회동지축(38)을 좌우 반대측이 되는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의 외측부까지 연장하여 설치하고,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의 외측부에 경사를 검출하는 검출부(D)(검출부재(38c)·판체(39d')·센서와이어(S))를 설치한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간결한 구성으로 복토진압바퀴(37)를 이용한 좌우경사센서(C)가 생긴다.
더욱이,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의 외측부에 검출부(D)(검출부재(38c)·판체(39d')·센서와이어(S))를 배치하고 있으므로, 기체 측방으로부터 상기 검출부(D)의 조정이나 메인터넌스를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또한, 상기의 기체에 앞부분을 회동자재로 지지한 좌우의 전동케이스(10)의 선단부에 각각 설치한 좌우의 구동 차바퀴인 뒷바퀴(7)와 다른쪽의 왼쪽의 전동케이스(10)를 회동시켜 다른쪽의 왼쪽의 뒷바퀴(7)를 상하 이동시키는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와 좌우경사센서(C)의 검출에 근거해 좌우경사제어용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는 롤링제어밸브에 의하여, 좌우경사센서(C)의 모이식 밭표면의 좌우 방향의 높낮이 차이의 검출에 근거해 좌우 최외측의 모이식부(20)의 밭표면에 대한 높 이를 소정의 높이로 제어하는 제어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도 8은, 복토진압바퀴(37)의 지지 구성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전례의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과 내부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b·39c)과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의 좌우의 복토진압바퀴(37)를 각각 단독으로 상하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해, 각각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39b·39c·39d)을 좌우의 복토진압바퀴(37)마다 분리하여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가장 우측의 모이식부(20)에 대한 좌우의 복토진압바퀴(37)의 내부의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37)를 파이프재(38a)에 회동자재로 지지된 회동지축(38)에 고정한 오른쪽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우편(39a-1)에 회전 자재로 장착하여, 왼쪽의 복토진압바퀴(37)를 회동지축(38)에 회동자재로 장착한 오른쪽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좌편(39a-2)에 회전 자재로 장착하고 있다. 또, 다른 3개의 모이식부(20)에 대한 좌우의 복토진압바퀴(37)는, 모두 각 오른쪽내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우편(39b-1)·오른쪽내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좌편(39b-2), 왼쪽내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우편(39c-1)·왼쪽내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좌편(39c-2), 왼쪽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우편(39d-1)·왼쪽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좌편(39d-2)에 독립하여 상하이동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오른쪽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우편(39a-1)에 고착한 회동지축(38)을 좌우 반대측의 왼쪽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좌편(39d-2)의 외측부까지 연장하여 설치하고, 왼쪽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좌편(39d-2)의 외측부에 경사를 검출하는 검출부(D)(검출 부재(38c)·판체(39d-2')·센서와이어(S))를 설치한 구성으로서 좌우경사센서(C)를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모든 좌우의 복토진압바퀴(37)를 각각 독립하여 상하이동 자재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반원기둥형의 밭두둑(밭두둑 표면이 원호형으로 형성된 밭두둑)에서도 적절하게 이식한 모종의 진압 작업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어 양호한 모종의 이식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 프레임(41)은, 기체프레임(19)에 고착된 좌우 방향의 회동축(42) 주변으로 전후 내지 상하에 회동하는 회동암(43)에 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동축(42)은 기체프레임(19)으로부터 좌우에 연장하여 설치되고, 상기 회동축(42)의 양단부에 회동암(43)을 좌우 각각 설치하여 좌우 각각의 회동암(43)이 좌우 프레임(41)의 적당 위치를 지지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회동암(43)을 연결하도록 U자 모양의 회동레버(44)를 고착하여 설치하고 있어, 상기 회동레버(44)가 좌우의 회동암(43)에 일체로 회동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레버(44)를 회동 조작함으로써, 좌우의 회동암(43)을 회동시켜 모든 이식조(합계 4조분)의 복토진압바퀴(37)를 동시에 상하이동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39b·39c·39d), 로드(40), 좌우 프레임(41), 회동암(43) 및 회동레버(44)등에 의해, 복토진압바퀴 지지 기구를 구성하고 있다.
조종핸들(2) 근방에는 기체를 주행시키지 않고 모이식장치(5) 및 모 공급장치(6) 만을 구동시키기 위한 빈 모이식레버(45)를 설치하고 있어 상기 빈 모이식레버(45)에 의해 모이식장치(5) 및 모 공급장치(6) 만을 구동시켜 이러한 장치(5, 6) 의 작동의 확인이나 점검을 행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빈 모이식레버(45)를 하향되도록 조작하면, 빈 모이식기능이 오프가 되어 이식·승강조작구(15)의 조작으로 기체를 주행시키면서 모이식장치(5) 및 모 공급장치(6)를 작동시키는 통상의 이식을 행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빈 모이식레버(45)를 상향되도록 조작하면, 빈 모이식기능이 온이 되어 주행 정지상태로 모이식장치(5) 및 모 공급장치(6) 만이 작동한다.
이 묘식기(1)는,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자가 승차하여 모종 보급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작업자가 앉는 작업자용 좌석(46)을 설치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모 공급장치(6)의 앞쪽이 되는 기체 좌우중앙위치에 후방향으로 작업자용 좌석(46)을 배치하고 있다.
이 좌석(46)에 앉는 작업자는, 모 공급장치(6)의 앞측부로 향해 후측 방향 자세로 착석하고, 모 공급장치(6)의 앞측부, 특히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앞측의 직선형부분(28)에 대하여 모종 보급 작업을 실시한다. 또, 본예의 묘식기(1)는, 밭홈을 주행하는 뒷바퀴(7)의 뒤측에서 기체 후부에 설치한 조종핸들(2)의 좌우 방향 외측에, 작업자가 서서 앞으로 걸으면서 모 공급장치(6)의 후측부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작업 공간(W)을 형성하고 있고, 이 작업 공간(W)에 서있는 작업자로부터 모 공급장치(6)의 후측부에 마주하여 모종 보급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좌석(46)을 지지하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신장하는 좌석프레임(47)을 설치하여 좌석(46)은 상기 좌석프레임(47)에 대하여 후측의 회동지점축 주변에 후 방으로 회동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고, 상기 좌석프레임(47)보다 그 근방에 위치하는 연료 탱크의 급유캡(48)이 낮은 위치에 있다. 이것에 의해, 연료 탱크에 연료를 보급할 때에는, 좌석(46)을 후방으로 회동시켜, 좌석프레임(47)에 연료를 수용하는 보급 탱크 등을 두고, 수동 펌프 등에 의해 용이하게 연료 탱크에 연료를 보급할 수 있다.
작업자용 좌석(46)의 후측 및 좌우 양측에는, 스텝(49)을 설치하고 있다. 이 스텝(49)은, 기체 측면에서 보면 작업자용 좌석(46)의 하방 위치로부터 앞바퀴(8)의 상방 위치 즉 기체전단 근방에 걸쳐서 연장하여 설치하고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기체 전방을 통하여 상기 스텝(49)에 승강할 수 있다. 뒷바퀴(7)는 대경 차바퀴로, 앞바퀴(8)는 소경 차바퀴이며, 기체 측면에서 보면, 이 소경 차바퀴의 앞바퀴(8)의 위쪽에 스텝(49)의 전측 부분이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주행용의 전동케이스(10)를 하부 회동시켜 뒷바퀴(7)를 하강시키면, 기체가 앞쪽 아래로 기울어져 상기 스텝(49)도 앞쪽으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기체 전방과 상기 스텝(49)과의 사이에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다. 또, 뒷바퀴(7)를 하강시켜도, 기체 전방의 지면과 상기 스텝(49)과의 사이의 단차가 별로 커지지 않기 때문에, 용이하게 승강할 수 있다.
작업자용 좌석(46)의 좌우 양측에서 기체 측면에서 보면 뒷바퀴(7)의 뒷바퀴차축(12)의 상방위치에, 모 공급장치(6)에 보급하는 모종을 수용 가능한 묘재대(50)를 설치하고 있다.
모 공급장치(6)의 상방부에는 전방이 낮아지도록 경사하여 배치한 후부모재 대(51)가 배치되어 있다. 이 후부모재대(51)는 지지프레임(52)에 의해 모 공급장치(6)의 프레임부에 고정지지되어 있고, 셀 트레이(T)를 긴 방향이 좌우 방향으로 향하도록하여 2개 재치하여 조금 스페이스(SP)가 있는 전후 길이로 한 재치대부(53)와 셀 트레이(T)의 전후방향의 탈락을 방지하는 전후벽부(54)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재치대부(53)의 후반부분(53a)은 회동지축(54a)을 회동지점으로서 화살표 가 - 나 방향으로 회동 고정 자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식작업자가 혼자서 작업자용 좌석(46)에 착석해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재치대부(53)의 후반부분(53a)을 화살표 가 방향으로 위로 이동시킨 실선의 상태로 하고, 2개 재치된 셀 트레이(T) 중 바로앞(하부측)에 위치하는 셀 트레이(T)로부터 모종을 꺼내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한다. 그리고, 바로 앞(하부측)에 위치하는 셀 트레이(T)의 모종이 없어져, 바로 앞(하부측)에 위치하는 셀 트레이(T)를 후부 모재대(51)로부터 취하면, 위쪽에 있는 셀 트레이(T)가 자동적으로 하부로 미끄러져 떨어져 오고, 모종 보급 작업이 용이한 위치가 된다. 따라서, 효율적으로 모종의 이식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식작업자가 두 명 혹은 세 명으로 작업자용 좌석(46)에 착석하여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하는 작업자와 밭홈을 주행하는 뒷바퀴(7)의 뒤측에서 기체 후부에 설치한 조종핸들(2)의 좌우 방향 외측의 작업 공간(W)에 서서 앞으로 걸으면서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자가 있는 경우에는, 재치대부(53)의 후반부분(53a)을 화살표 b 방향으로 아래로 이동시킨 점선 상태로 하면, 재치대부(53)의 전반 부분은 전방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상태이고, 후반 부 분은 후방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되며, 작업자용 좌석(46)에 착석하여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하는 작업자는 재치대부(53)의 전반 부분의 전방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재치된 셀 트레이(T)로부터 모종을 꺼내어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고, 작업 공간(W)에 서서 앞으로 걸으면서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자는 후반 부분의 후방이 낮아지도록 기울어진 상태로 재치된 셀 트레이(T)로부터 모종을 꺼내어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면, 그 작업성이 매우 좋아서 효율적으로 모종의 이식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좌우 최외측의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 및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의 좌우 외측부에는, 각각 좌우사이드마커(5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좌우사이드마커(55)는, 각각 좌우 이동 조절 및 상하 이동 조절 자재로 구성되어 있어, 모이식 작업시에 모를 심고 있는 밭두둑의 좌우 외측 위치에 맞추고, 작업자용좌석(46)에 착석하여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하는 작업자가 밭두둑의 좌우 외측 위치에 좌우사이드마커(55)가 위치하고 있는지 눈으로 확인하고, 기체가 밭두둑을 따라서 주행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좌우사이드마커(55)는 좌우최외측의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 및 왼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의 좌우 외측 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눈에 잘 보여서 작업성이 매우 좋다.
또, 밭두둑의 구석에서 기체를 선회시킬 때에, 회동레버(44)를 회동 조작하여 모든 이식조의 복토진압바퀴(37)를 동시에 위로 이동시키지만, 이때, 좌우사이드마커(55)는 좌우최외측이 되는 오른쪽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a) 및 왼쪽 의 복토진압바퀴 지지프레임(39d)의 좌우 외측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좌우사이드마커(55)도 동시에 위로 이동하고, 선회시의 방해가 되지않고 선회 작업도 양호하게 행할 수 있어 작업성이 좋다.
이상과 같이, 상기의 묘식기(1)는, 좌우 한 쌍의 앞바퀴(8)와 좌우 한 쌍의 뒷바퀴(7)가 밭두둑을 걸친 상태로 전진 주행하면서, 모이식부(20)가 밭표면에 지그재그 모양으로 4조로 모종을 심는다. 모 공급장치(6)는 모이식부(20)에 모종을 공급한다. 작업자는, 작업자용 좌석(46)에 착석하여 모 공급장치(6)에 모종을 보급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에서는,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제 1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1, 32, 33, 34)의 서로의 간격에 있어서, 좌우 양외측부의 각각의 간격을 X피치, 좌우 중앙부의 간격을 Y피치로 하면, X=1+4 n, Y=3+4 m(n, m는 0이상의 정수로 한다)이면, 제 1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1, 32, 33, 34)로 각각 대응하는 모 수용체(22)로부터 모이식부(20)에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는 것을 개시하였지만, 그 밖에, X=2+4 n, Y=3+4 m의 형태라도, 제 1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1, 32, 33, 34)로 각각 대응하는 모 수용체(22)로부터 모이식부(20)에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경로의 좌우 중앙부에 원호상 부분이 위치할 때 등, 상기 주회 이동 경로에 따라 소망의 이식조간 혹은 지그재그 이식의 경우에는 전후방향의 지그재그 간격을 얻을 수 있도록, 주회 이동 경로에 있어서의 제 1 내지 제 4의 공급위치(31, 32, 33, 34)의 서로의 간격을 설정하면 좋다.
또한, 상술에서는, 좌우 2대씩의 모이식부(20)가 반주기 위상을 어긋나도록 작동하여, 제 1 및 제 2의 공급위치(31, 32)와 제 3 및 제 4의 공급위치(33, 34)로 낙하하는 모종을 공급하는 모 수용체(22)가 도달하는 타이밍이 다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모든 모이식부(20)가 같은 시기에 작동하여 모든 공급위치(31, 32, 33, 34)에 동시에 모종을 공급하는 구성이라고 해도 좋다. 이때, 공급위치(31, 32, 33, 34)의 서로의 간격은, X=2+4 n, Y=1+4 m의 형태 또는 X=3+4 n, Y=1+4 m의 형태인 것이 좋다.
또, 상술에서는, 저면덮개(27)의 돌기(35)를, 모 수용체(22)의 주회 외측에 짧게 돌출하는 것, 모 수용체(22)의 주회 안쪽에 짧게 돌출하는 것, 모 수용체(22)의 주회 안쪽에 길게 돌출하는 것 및 모 수용체(22)의 주회 외측에 길게 돌출하는 것의 4종류를 설정한 것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구성에 의하면, 각각의 저면덮개(27)가 개방되는 타이밍은 주회 이동에 있어서 공급위치(31, 32, 33, 34)에서 1회밖에 없고, 그 후 제 4의 공급위치(34)에 도달할 때까지 저면덮개(27)가 닫히지 않기 때문에, 보행하면서 주회 이동 경로의 원호형부분(29)이나 후측의 직선형부분(28)으로 모종 보급할 때에, 모종 보급할 필요가 있는 모 수용체(22)를 판별하기 쉽고, 모종 보급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이 구성에 의하면,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2, 33)에서는 저면덮개(27)가 열리지 않도록 지지축을 추가하고, 한편 모이식장치(5)의 상하이동기구(21)의 작동에 대해서 이동기구(23)의 작동 속도를 2배로 증속하면, 제 1 및 제 4의 공급위치(31, 34)에서만 모종이 공급되게 되므로, 이식조 간의 넓은 2조 이식을 행할 수 있다.
도 1은, 묘식기의 전체 측면도이다.
도 2는, 묘식기의 전체 평면도이다.
도 3은, 저면덮개의 돌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저면덮개의 돌기와 지지축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복토진압바퀴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작용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 6은, 복토진압바퀴의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작용 설명용 측면도이다.
도 7은, 모종 수용체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작용 설명용 일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복토진압바퀴의 다른 지지 구성을 나타내는 주요부의 작용 설명용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묘식기 6. 모 공급장치
20. 모이식부 21. 상하이동기구
22. 모 수용체 23. 이동기구
28. 직선모양부분 29. 원호모양부분
31. 제 1의 공급위치 32. 제 2의 공급위치
33. 제 3의 공급위치

Claims (2)

  1. 상하이동기구(21)에 의해 소정의 작동 궤적으로 상하 이동하여 밭 표면에 모종을 심는 모이식부(20)를 좌우에 배열한 묘식기에 있어서, 상기 모이식부(20)로 모종을 공급하는 모 공급장치(6)를 설치하고, 상기 모 공급장치(6)는, 모종을 수용하는 루프모양으로 배치한 복수의 모 수용체(22)와,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22)를 각각의 모이식부(20)의 위쪽을 순차 통과하도록 주회 이동시키는 이동기구(23)와, 상기 이동기구(23)에 의해 모 수용체(22)가 모이식부(20)의 위쪽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모 수용체(22)에 수용된 모종을 모이식부(20)로 낙하시키는 모 공급장치를 갖추고, 상기 모 공급장치는 각각의 모이식부(20)의 위쪽 위치로 이루어지는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모 수용체(22) 중,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와, 제 2의 공급위치(32)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와, 제 3의 공급위치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를 설정하고, 이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와, 제 2의 공급위치(32)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와, 제 3의 공급위치(33)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모 수용체(22)를 각각 1개씩 갖추어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경로 상에서 서로 인접시킨 모 수용체(22)로 이루어지는 모수용 유닛을 구성하고, 이동기구(23)에 의해 복수의 모수용 유닛을 동일한 상기 주회 이동 경로에서 주회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모 수용체 유닛의 주회 이동 경로를 평면시에서 좌우 방향으로 늘리는 직선모양부분(28)과 상기 직선모양부분(28)의 끝에서 앞쪽 또는 뒤쪽에 원호모양으로 구부러지는 원호모양부분(29)을 갖춘 구성으로 하고, 상기 직선모양부분(28)에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2, 33)를 배치하고, 상기 원호모양부분(29)에 제 1의 공급위치(31)를 배치하고,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3의 공급위치(33)의 주회 이동 경로에 따른 배열간격보다 제 1의 공급위치(31)에 인접하는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1의 공급위치(31)의 주회 이동 경로에 따른 배열간격이 넓어지며,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3의 공급위치(33)의 서로의 간격이,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제 2의 공급위치(32)와 제 1의 공급위치(31)의 서로의 간격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 1, 제 2 및 제 3의 공급위치(31, 32, 33)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식기.
  2. 제 1항에 있어서,
    모 수용체(22)의 저면덮개(27)가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 열려 상기 제 1의 공급위치(31)에서 모종을 낙하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제 1의 공급위치(31)에 모 수용체(22)에서 모이식부(20) 측으로 모종을 안내하는 안내도구를, 모 공급장치(6)측에서 지지하여 설치하고, 상기 안내도구는,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방향의 위쪽에서 열린 상기 저면덮개(27)의 개방동작에 간섭하지 않고, 한편 개방동작된 상기 저면덮개(27)의 기울기와 같은 방향으로 되도록, 모 수용체(22)의 주회 이동 방향으로 경사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묘식기.
KR1020090023239A 2006-11-28 2009-03-18 묘식기 KR1011756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20434A JP5003122B2 (ja) 2006-11-28 2006-11-28 苗植機
JPJP-P-2006-320434 2006-11-28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930A Division KR20080048403A (ko) 2006-11-28 2007-11-26 묘식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889A KR20090031889A (ko) 2009-03-30
KR101175670B1 true KR101175670B1 (ko) 2012-08-22

Family

ID=3955719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930A KR20080048403A (ko) 2006-11-28 2007-11-26 묘식기
KR1020090023239A KR101175670B1 (ko) 2006-11-28 2009-03-18 묘식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930A KR20080048403A (ko) 2006-11-28 2007-11-26 묘식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003122B2 (ko)
KR (2) KR20080048403A (ko)
CN (1) CN1014015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98686B2 (ja) * 2008-07-28 2013-09-25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5018683B2 (ja) * 2008-08-05 2012-09-05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5391668B2 (ja) * 2008-11-26 2014-01-15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5445111B2 (ja) * 2009-12-22 2014-03-19 井関農機株式会社 苗植機
JP5652000B2 (ja) * 2010-05-28 2015-01-14 井関農機株式会社 移植機
CN102523801A (zh) * 2010-12-21 2012-07-04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自动钵苗移栽机的投苗装置
CN102523802A (zh) * 2010-12-21 2012-07-04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自动钵苗移栽机
KR101269923B1 (ko) * 2011-07-01 2013-06-18 근우테크 주식회사 높낮이 및 속도 조절이 용이한 모종이식기
JP5785516B2 (ja) * 2012-04-12 2015-09-30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CN103416139B (zh) * 2012-11-15 2015-09-30 华中农业大学 一种藜蒿扦插机
CN106550635B (zh) * 2015-09-29 2019-04-26 井关农机株式会社 移植机
CN106550637B (zh) * 2015-09-30 2020-06-09 株式会社久保田 移植作业机
JP6536494B2 (ja) * 2016-06-17 2019-07-0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6481675B2 (ja) * 2016-11-24 2019-03-13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JP6953294B2 (ja) * 2017-11-30 2021-10-27 株式会社クボタ 移植機
CN109496508B (zh) * 2018-12-03 2021-08-31 潍坊宏图环保设备有限公司 新能源插秧机高效率气动插值结构
JP7025728B2 (ja) * 2018-12-28 2022-02-25 井関農機株式会社 苗移植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6661A (ja) 2000-08-03 2002-02-12 Iseki & Co Ltd ハンド農作業機、及びハンド苗植作業機
JP2002119108A (ja) 2000-10-18 2002-04-23 Iseki & Co Ltd 苗植機の苗供給装置
JP2002360013A (ja) 2001-06-12 2002-12-17 Iseki & Co Ltd 苗植機の苗供給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6617B2 (ja) * 1992-02-28 2000-07-17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野菜移植機
JP2001211713A (ja) * 2000-02-04 2001-08-07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野菜移植機
JP2006067861A (ja) * 2004-08-31 2006-03-16 Iseki & Co Ltd 苗植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6661A (ja) 2000-08-03 2002-02-12 Iseki & Co Ltd ハンド農作業機、及びハンド苗植作業機
JP2002119108A (ja) 2000-10-18 2002-04-23 Iseki & Co Ltd 苗植機の苗供給装置
JP2002360013A (ja) 2001-06-12 2002-12-17 Iseki & Co Ltd 苗植機の苗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1889A (ko) 2009-03-30
CN101401502A (zh) 2009-04-08
JP5003122B2 (ja) 2012-08-15
CN101401502B (zh) 2012-06-13
JP2008131893A (ja) 2008-06-12
KR20080048403A (ko) 200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5670B1 (ko) 묘식기
KR100923239B1 (ko) 복수조 이식 묘식기
KR101333910B1 (ko) 이식기
KR101196463B1 (ko) 작업기
JP6222442B2 (ja) 移植機
JP2015139438A (ja) 移植機
KR20200026088A (ko) 이식기
JP6295872B2 (ja) 移植機
KR100805347B1 (ko) 복수조식 묘식기
JP5561394B2 (ja) 苗植機
JP5348222B2 (ja) 苗植機
KR100723977B1 (ko) 모종이식기
JP5034415B2 (ja) 苗植機
JP5359049B2 (ja) 苗移植機
JP2013048570A (ja) 移植機
JP2008054581A (ja) 苗植機
KR100651029B1 (ko) 승용형 모종이식기
JP5679379B1 (ja) 移植機
JP4157431B2 (ja) 野菜移植機
JP2011030451A (ja) 移植機
CN213152889U (zh) 移植机
KR100432087B1 (ko) 모종 이식기
JP2009153472A (ja) 苗移植機
JP2014000044A (ja) 複数条植付機
JP4796440B2 (ja) 移植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