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872B1 - 피플 무버 - Google Patents

피플 무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872B1
KR101173872B1 KR1020067020779A KR20067020779A KR101173872B1 KR 101173872 B1 KR101173872 B1 KR 101173872B1 KR 1020067020779 A KR1020067020779 A KR 1020067020779A KR 20067020779 A KR20067020779 A KR 20067020779A KR 101173872 B1 KR101173872 B1 KR 101173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conveyor
frame
plates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0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398A (ko
Inventor
에스코 얼란코
조르마 무스탈라흐티
마르크 오쎈도르프
Original Assignee
코네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네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코네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12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16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 B66B23/18Means allowing tensioning of the endless member for 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Finger-Pressure Massag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및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피플 무버는 컨베이어(1)를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프레임 부(7)와 제 1 프레임 부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프레임 부(8)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프레임 부가 연이어 배열되어 있는 프레임(6)을 포함하고 있다. 수송 플랫폼(11)은 제 1 구동 요소(9) 및 제 2 구동 요소(10)에 고정되고, 상기 구동 요소들은 무한 요소이다. 제 1 인장 장치(16)는 제 1 구동 요소(9)를 인장시키고 제 2 인장 장치(17)는 제 2 구동 요소(10)를 인장시키고, 및 각각의 인장 장치는 제 1 프레임 부(7)와 제 2 프레임 부(9) 사이에서 작동한다. 컨베이어(1)는 제 1 인장 장치(16)와 제 2 인장 장치(17) 사이에서 제 1 및 제 2 인장 운동의 스트로크 길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기계식 전동 요소(18)를 포함하고 있다.
Figure 112006072470943-pct00001
피플 무버, 컨베이어, 인장 장치, 전동 요소, 스트로크

Description

피플 무버{PEOPLE MOVER}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정의되어 있는 바와 같은 피플 무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서,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있는 트래블레이터(travelator), 무빙 램프(moving lamp) 또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피플 무버가 알려져 있다.
컨베이어는,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프레임 부 및 제 1 프레임 부에 대하여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프레임 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 및 제 2 프레임 부가 연이어 장착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컨베이어의 제 1 측부에 위치되고 무한 루프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 1 구동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컨베이어는 제 1 구동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제 1 구동 요소에 평행하게 컨베이어의 제 2 측부에 배치되고 무한 루프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 2 구동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연이어 배열되고 제 1 구동 요소 및 제 2 구동 요소에 고정되는 팔레트 또는 계단과 같은 다수의 컨베이어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제 1 측의 컨베이어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프레임 부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는 제 1 휠을 더 포함하고 있고, 제 1 구동 요소가 상기 제 1 휠 위로 통과된다. 컨베이어는 컨베이어의 제 1 측부의 제 2 단부에 배치되고 제 2 프레임 부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는 제 2 휠을 더 포함하고 있고, 제 1 구동 요소가 상기 제 2 휠 위로 통과된다. 컨베이어는 제 2 측부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프레임 부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는 제 3 휠을 더 포함하고 있고, 제 2 구동 요소가 상기 제 3 휠 위로 통과된다. 컨베이어는 제 2 측부의 제 2 단부에 배치되고 제 2 프레임 부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는 제 4 휠을 더 포함하고 있고, 제 2 구동 요소가 상기 제 4 휠 위로 통과된다. 컨베이어는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제 1 프레임 부와 제 2 프레임 부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어 제 1 휠과 제 2 휠을 서로 이격되도록 가요성 있게 가압하여 제 1 인장 운동으로 제 1 구동 요소를 인장시키는 제 1 인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컨베이어는 제 2 측부에 배치되고 제 1 인장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고 제 1 프레임 부와 제 2 프레임 부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어 제 3 휠과 제 4 휠을 서로 이격되도록 가요성 있게 가압하여 제 2 인장 운동으로 제 2 구동 요소를 인장시키는 제 2 인장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구동 요소를 인장 시킴으로써, 컨베이어의 작동에 대한 적합한 구동 요소 인장력이 유지된다.
하지만, 최근 수송 거리가 매우 길고 구동 요소의 휠들 사이의 거리도 매우 긴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및/또는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요구가 있다. 예를 들면, 매우 긴 트래블레이터에 있어서, 휠들 사이의 거리는 예를 들어 약 100m 정도로 길 수 있다.
또한, 트래블레이터의 프레임 및 기계 장치를 매설해서 장착하기 위한, 빌딩의 플로어와 같은 고정 구조물에 형성되는 특정 피트(pit)를 가지지 않고서, 플로 어와 같은 고정 기초부에 직접 장착되도록 설계된 낮은 구조의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및 에스컬레이터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고정 기초부에 장착되는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낮은 구조의 프레임 구조물 내에는, 컨베이어의 구동 장치를 위한 공간이 아주 작아서, 휠의 직경이 매우 작아야 하며 그에 따라 체인은 작은 피치(예를 들면 15~20mm)를 가져야만 한다. 따라서, 체인 전체 길이에 걸쳐 마모되는 체인 링크의 수는 아주 많아져야 되고 체인은 통상보다 훨씬 큰 신장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인장 장치가 매우 긴 스트로크(예를 들면 300~ 400mm)를 가져야만 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각각의 체인에서의(불균일한 하중 등으로 인한) 신장의 차이는 매우 크다. 수송 플랫폼이 체인에 체결되어 있으므로, 체인의 신장 차이는 수송 플랫폼이 이동중일 때 일직선 상태에 있지 않은 것을 의미하고 이는 컨베이어의 작동에 문제를 초래한다.
일반적으로 트래블레이터 및 에스컬레이터에 사용되는 체인은 긴 피치의 구동 체인(대체로 100~200mm인 피치를 갖는)이다. 컨베이어의 길이 전체에 걸쳐 마모되는 링크의 수가 비교적 적으므로, 신장이 비교적 작다. 그러므로, 체인 인장 장치는 긴 스트로크를 가질 필요가 없고(대체로 < 100mm) 각 체인의 신장은 비교적 작다. 따라서, 신장을 보상할 필요성이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들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목적은 구동 요소 인장 장치들의 스트로크들을 서로 동일하게 만들도록 구동 요소 인장 장치들의 스트로크들이 동기화될 수 있는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또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피플 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특히 낮은 구조의 피플 무버 장치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긴 스트로크의 인장 장치를 갖는 피플 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청구항 1의 특징 부분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기타 실시예들은 기타 청구항들에 그 특징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설명 및 도면에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어 있다. 본 출원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내용은 청구 범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내용은 몇 개의 개별적인 발명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을 명시적인 또는 암시적인 하위 작업에 비추어 고려하거나, 유리한 점들 또는 유리한 점들의 집합들과 관련하여 고려할 때에 특히 그러하다. 이 경우, 청구범위에 포함되어 있는 속성들 가운데 일부는 개별 발명의 관념에 비추어 볼 때 불필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관념의 테두리 안에서, 본 발명의 상이한 실시예들의 특징은 다른 실시예들과 함께 적용될 수 있다.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및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본 발명의 피플 무버는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와, 길이방향의 제 1 측부 및 길이방향의 제 2 측부를 가지는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프레임 부, 및 제 1 프레임 부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프레임 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와 제 2 프레임 부가 연이어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컨베이어의 제 1 측부에 위치되고 무한 루프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 1 구동 요소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컨베이어는, 제 1 구동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평행하게 컨베이어의 제 2 측부에 배치되고 무한루프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 2 구동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연이어 배열되고 제 1 구동 요소 및 제 2 구동 요소에 고정되는 팔레트 또는 계단과 같은 다수의 컨베이어 플랫폼을 더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제 1 측부의 컨베이어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프레임 부 상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고, 제 1 구동 요소가 상기 제 1 휠 위로 통과되는 제 1 휠을 더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제 1 측부의 컨베이어의 제 2 단부에 배치되고 제 2 프레임 부 상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고, 제 1 구동 요소가 상기 제 2 휠 위로 통과되는 제 2 휠을 더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제 2 측부의 제 1 단부에 배치되고 제 1 프레임 부 상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고, 제 2 구동 요소가 상기 제 3 휠 위로 통과되는 제 3 휠을 더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제 2 측부의 제 2 단부에 배치되고 제 2 프레임 부 상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고, 제 2 구동 요소가 상기 제 4 휠 위로 통과되는 제 4 휠을 더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제 1 측부에 배치되고 제 1 프레임 부와 제 2 프레임 부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어 제 1 휠 및 제 2 휠을 서로 이격되도록 가요성 있게 가압하여 제 1 인장 운동으로 제 1 구동 요소를 인장시키는 제 1 인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다. 또한, 컨베이어는, 제 2 측부에 배치되고 제 1 인장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고 제 1 프레임 부와 제 2 프레임 부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어 제 3 휠 및 제 4 휠을 서로 이격되도록 가요성 있게 가압하여 제 2 인장 운동으로 제 2 구동 요소를 인장시키는 제 2 인장 장치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제 1 및/또는 제 2 구동 요소를 인장시킴으로써, 구동 요소들의 신장 및/또는 마모로부터 초래된 구동 요소의 가동 길이 변화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지고 구동 요소의 적합한 인장력이 유지된다. 본 명세는 구동 요소의 신장에 의해 야기된 변화의 보상을 설명하는 것에 주로 초점이 맞추어지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구동 요소와 구동 요소에 배열된 가동 트랙의 길이 변화가 서로 상이함으로 인해 야기된 구동 요소 인장의 변화를 보상하는 것도, 이들 변화가 신장, 마모, 팽창, 수축 또는 다른 요인 때문인지 아닌지 상관없이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컨베이어는 제 1 및 제 2 인장 운동의 스트로크 길이를 동일하게 유지시키도록 제 1 인장 장치와 제 2 인장 장치 사이에 기계식 전동(傳動)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식 전동 요소는 양자의 인장 장치의 스트로크 길이가 짧게 신장된 구동 요소에 의해 요구된 인장 스트로크의 길이에 따라 결정되게 하므로, 길게 신장된 구동 요소의 인장 스트로크는 다소 짧게 되고 상기 길게 신장된 구동 요소는 약간 헐거워진다. 길게 신장된 측부로부터 짧게 신장된 측부로 가압력을 전동함으로써, 체인의 마모가 또한 감소된다. 동일한 인장 스트로크 때문에, 수송 플래폼이 항상 일직선 상태로 이동한다. 인장 장치들 사이의 기계식 전동 요소는 간단하고, 저렴하며 신뢰할 수 있고 보수가 거의 필요치 않다.
피플 무버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인장 장치는 제 1 기어 휠; 제 1 프레임 부에 고정되고, 한쪽이 제 1 기어 휠과 맞물리는 제 1 기어 치형부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인장 프레임; 제 2 프레임 부에 고정되고, 제 1 기어 치형부와 동일하며 제 1 기어 치형부에 대해 반대 쪽면에 제 1 기어 휠과 맞물리는 제 2 기어 치형부를 포함하고 있는 제 2 인장 프레임; 및 제 1 인장 프레임과 제 2 인장 프레임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된 제 1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제 2 인장 장치는 기어 치형부가 제 1 기어 휠에 대해 동일한 제 2 기어 휠; 제 1 프레임 부에 고정되고, 제 1 기어 치형부와 동일하며 한쪽이 제 2 기어 휠과 맞물리는 제 3 기어 치형부를 포함하고 있는 제 3 인장 프레임; 제 2 프레임 부에 고정되고, 제 1 기어 치형부와 동일하며 제 3 기어 치형부에 대해 반대 쪽면에 제 2 기어 휠과 맞물리는 제 4 기어 치형부를 포함하고 있는 제 4 인장 프레임; 및 제 3 인장 프레임과 제 4 인장 프레임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된 제 2 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기어 휠과 제 2 기어 휠은 동일한 샤프트 상에 장착된다. 샤프트, 제 1 기어 휠, 제 2 기어 휠, 제 1 기어 치형부, 제 2 기어 치형부, 제 3 기어 치형부 및 제 4 기어 치형부는 전술한 기계식 전동 요소를 구성한다. 이런 식으로, 고정 기초부에 장착되는 낮은 구조의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및 에스컬레이터에서의 사용에 특히 잘 적합한 낮은 구조의 긴 스트로크 인장 장치를 형성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인장 장치는 가압 출력이 인장 장치들 사이에 분배되는 공동의 스프링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스프링/다수의 스프링보다 다른 수단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인장 웨이트(weight)를 사용하여 인장력을 유지시키는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하지만, 스프링은 공간 활용에 관한 유용한 해결방법이다.
피플 무버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인장 프레임은 서로 동일하게 신장된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 1 플레이트들의 각각은 제 1 기어 치형부 및 제 1 탑 에지를 가지고 있다. 제 2 인장 프레임은 서로 동일한 다수의 제 2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 2 플레이트들의 각각은 제 2 기어 치형부 및 제 2 탑 에지를 가지고 있다. 제 1 플레이트들 및 제 2 플레이트들은 서로 교호로 겹쳐져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직립 상태로 있는 하나의 팩(pack)으로써 배열되고, 제 1 플레이트들의 제 1 기어 치형부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제 2 플레이트들의 제 2 기어 치형부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그리고 제 1 플레이트의 제 1 탑 에지는 제 2 플레이트의 제 2 탑 에지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고, 제 1 탑 에지와 제 2 탑 에지는 함께 평면의 제 1 지지면을 형성한다.
피플 무버의 일 실시예에서, 제 3 인장 프레임은 서로 동일한 다수의 제 3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 3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 3 기어 치형부 및 제 3 탑 에지를 가지고 있다. 제 4 인장 프레임은 서로 동일한 다수의 제 4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 4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 4 기어 치형부 및 제 4 탑 에지를 가지고 있다. 제 3 플레이트들 및 제 4 플레이트들은 서로 교호로 겹쳐져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직립 상태로 있는 하나의 팩으로써 배열되고, 제 3 플레이트들의 제 3 기어 치형부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제 4 플레이트들의 제 4 기어 치형부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및 제 3 플레이트의 제 3 탑 에지가 제 4 플레이트의 제 4 탑 에지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고, 제 3 탑 에지와 제 4 탑 에지는 함께 평면의 제 2 지지면을 형성한다.
피플 무버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컨베이어는 무한 트랙을 따라 이동하고 있는 수송 플랫폼을 안내하기 위한 베어링 레일을 포함하고 있고, 이 무한 트랙은 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입구 단부인 컨베이어의 제 1 단부로부터, 수송 방향에서의 출구 단부인 제 2 단부로 승객을 수송시키기 위한 상부, 및 제 2 단부로부터 제 1 단부로 수송 플랫폼을 되돌려 복귀시키기 위한 하부를 가지고 있다. 플레이트의 상측 에지에 의해 형성된 제 1 지지면 및 제 2 지지면은 수송 플랫폼 트랙의 상부의 일부를 구성한다.
피플 무버의 일 실시예에서, 기어 치형부의 길이는 인장 운동의 스트로크 길이가 10~60cm 정도가 되도록 맞추어진다.
피플 무버의 일 실시예에서, 제 1 구동 요소 및 제 2 구동 요소는 링크 체인이다.
피플 무버의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는 제 1 휠 및 제 2 휠을 구동시키기 위해 컨베이어의 제 1 단부에 배열된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인장 장치 및 제 2 인장 장치는 컨베이어의 제 2 단부 근처에 배치되어 있다.
피플 무버의 일 실시예에서, 컨베이어는 제 1 휠과 제 3 휠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제 1 단부에 배열되는 제 1 동기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제 2 휠과 제 4 휠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컨베이어의 제 2 단부에 배열되는 제 2 동기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피플 무버의 일 실시예에서, 피플 무버는 플로어 또는 기타 지지물과 같은 고정 기초부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낮은 구조의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또는 에스컬레이터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 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트래블레이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기계식 전동에 의해 연결된 제 1 인장 장치 및 제 2 인장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제 1 인장 장치를 도시하는, 컨베이어의 제 2 단부에서 트래블레이터의 제 1 측부 일부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3의 일부를 확대한 형상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의 횡단면 V-V를 도시한다, 및
도 6은 컨베이어의 제 2 단부에서 트래블레이터의 제 2 측부 및 제 2 인장 장치를 도시하는, 도 4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1 : 컨베이어 2 : 제 1 단부
3 : 제 2 단부 4 : 제 1 측부
5 : 제 2 측부 6 : 프레임
7 : 제 1 프레임 부 8 : 제 2 프레임 부
9 : 제 1 구동 요소 10 : 제 2 구동 요소
11 : 수송 플랫폼 12 : 제 1 휠
13 : 제 2 휠 14 : 제 3 휠
15 : 제 4 휠 16 : 제 1 인장 장치
17 : 제 2 인장 장치 18 : 전동 장치 요소
19 : 제 1 기어 휠 20 : 제 1 인장 프레임
21 : 제 1 기어 치형부 22 : 제 2 인장 프레임
23 : 제 2 기어 치형부 24 : 제 1 스프링
25 : 제 2 기어 휠 26 : 제 3 인장 프레임
27 : 제 3 기어 치형부 28 : 제 4 인장 프레임
29 : 제 4 기어 치형부 30 : 제 2 인장 스프링
31 : 샤프트 32 : 제 1 플레이트
33 : 제 1 탑 에지 34 : 제 2 플레이트
35 : 제 2 탑 에지 36 : 제 1 지지면
37 : 제 3 플레이트 38 : 제 3 탑 에지
39 : 제 4 플레이트 40 : 제 4 탑 에지
41 : 제 2 지지면 42 : 베어링 레일
43 : 상부 44 : 하부
45 : 구동부 46 : 제 1 동기화 수단
47 : 제 2 동기화 수단 48 : 슬롯
49 : 상측 내부 에지 50 : 하측 내부 에지
51 : 슬롯 52 : 상측 내부 에지
53 : 하측 내부 에지 54 : 가이드 피스
55 : 가이드 피스
도 1에 도시된 피플 무버는 플로어 또는 기타 지지물과 같은 고정 기초부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낮은 구조의 트래블레이터이다. 이하에 설명되는 본 발명의 원리는 무빙 램프 및 에스컬레이터에도 적용될 수 있다.
피플 무버는 제 1 단부(2), 제 2 단부(3)와 길이방향의 제 1 측부(4) 및 길이방향의 제 2 측부(5)를 구비하는 컨베이어(1)를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는 프레임(6)을 포함하고 있다. 프레임(6)은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프레임 부(7) 및 제 1 프레임 부(7)에 대하여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제 2 프레임 부(8)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프레임 부들은 연이어 배열된다. 각각의 프레임 부(7, 8)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가로축의 브래킷에 의해 함께 연결되는 2개의 상호 평행한 연장 프레임 하프들로 이루어진다.
컨베이어(1)의 제 1 측부(4)에는 컨베이어의 제 1 단부(2)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된 제 1 휠(12)과 컨베이어의 제 2 단부(3)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된 제 2 휠(13) 위로 통과하는 무한 루프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 1 구동 요소(9)가 있다. 대응하게, 컨베이어의 제 2 측부(5)에 제 1 구동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고 컨베이어의 제 1 단부(2)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된 제 3 휠(14)과 컨베이어의 제 2 단부(3)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된 제 4 휠(15) 위로 통과하는 무한 루프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 2 구동 요소(10)가 있다. 제 1 구동 요소(9) 및 제 2 구동 요소(10)는 링크 체인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2개의 팔레트만 도시되어 있는, 도 1에서 팔레트인 다수의 수송 플랫폼(11)은 연이어 배열되고 제 1 구동 요소(9) 및 제 2 구동 요소(10)에 체결된다.
컨베이어의 제 1 측부(4)에 제 1 인장 장치(16)가 있고, 이 인장 장치는 제 1 구동 요소의 신장을 보상하기 위해 제 1 인장 운동으로 제 1 구동 요소(9)를 인장시키도록 제 1 프레임 부(7)와 제 2 프레임 부(8) 사이에 작동하여 제 1 스프링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제 1 휠(12) 및 제 2 휠(13)을 가요성 있게 가압한다. 컨베이어의 제 2 측부(5)에 제 2 인장 장치(17)가 있고, 이 인장 장치는 제 1 인장 장치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있고 제 2 구동 요소의 신장을 보상하기 위해 제 2 인장 운동으로 제 2 구동 요소(10)를 연장시키도록, 제 1 프레임 부(7)와 제 2 프레임 부(8) 사이에 작동하도록 배열되어 제 2 인장 스프링(30)에 의해 서로 이격되도록 제 3 휠(17) 및 제 4 휠(18)을 가요성 있게 가압한다. 제 1 인장 장치(16) 및 제 2 인장 장치(7)는 제 1 인장 운동 및 제 2 인장 운동의 스트로크 길이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기계식 전동 요소(18)에 의해 함께 연결된다.
도 1에서, 인장 장치(16, 17)가 대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인장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 1 인장 장치(16)는 제 1 기어 휠(19)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인장 프레임(20)은 제 1 프레임 부(7)에 체결된다. 제 1 인장 프레임(20)은 컨베이어의 길이 방향으로 선형으로 뻗은 제 1 기어 치형부를 포함하고 있어, 기어 랙을 형성한다. 제 1 기어 치형부(21)는 그 한쪽이 도 1에서는 기어 휠의 하측에서, 도 2 내지 도 5에서는 기어 휠의 상측에서 제 1 기어 휠과 맞물린다.
제 2 인장 프레임(22)은 제 1 프레임 부(8)에 체결된다. 제 2 인장 프레임(22)은 제 1 기어 치형부(21)와 동일한 제 2 기어 치형부(23)를 포함하고 있다. 제 2 기어 치형부(23)는 제 1 기어 치형부(21)에 대해 반대 쪽면에, 즉 도 1에서는 기어 휠의 상측에서, 도 2 내지 도 5에서는 기어 휠의 하측에서 제 1 기어 휠(19)과 맞물린다. 제 1 스프링(24)은 제 1 인장 프레임(20)과 제 2 인장 프레임(22) 사이에서 작동하여, 양 프레임들을 서로 더 이격되게 이동시킨다.
제 2 인장 장치(17)는 제 1 인장 장치(16)와 동일하다. 제 2 인장 장치(17)는 제 2 기어 휠(25)을 포함하고 있고, 이 제 2 기어 휠 상에는 제 1 기어 휠(19)에 대하여 동일한 기어 치형부가 있다. 제 3 인장 프레임(26)은 제 3 기어 치형부(27)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 3 기어 치형부는 제 1 및 제 2 기어 치형부와 동일하고, 그 한쪽이 도 1에서는 기어 휠의 하측에서, 도 2 내지 도 5에서는 기어 휠의 상측에서 제 2 기어 휠(25)과 맞물린다.
제 4 인장 프레임(28)은 제 2 프레임 부(8)에 체결된다. 제 4 인장 프레임(28)은 제 1 기어 치형부(21)와 동일한 제 4 기어 치형부(29)를 포함하고 있다. 제 4 기어 치형부(29)는 제 3 기어 치형부(27)에 대해 반대 쪽면에, 즉 도 1에서는 기어 휠의 상측에서, 도 2 내지 도 5에서는 기어 휠의 하측에서 제 2 기어 휠(25)과 맞물린다.
제 2 스프링(30)은 제 3 인장 프레임(26)과 제 4 인장 프레임(28) 사이에서 작동하여, 양 프레임들을 서로 더 이격되게 이동시킨다.
제 1 스프링(24) 및 제 2 스프링(30)은 예를 들면 가스 스프링 또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스프링(24, 30)의 가압력은 2kN 정도이다.
제 1 기어 휠(19) 및 제 2 기어 휠(25)은 자유 회전가능한 동일 샤프트(31) 상에 장착된다. 샤프트(31), 제 1 기어 휠(19), 제 2 기어 휠(25), 제 1 기어 치형부(21), 제 2 기어 치형부(23), 제 3 기어 치형부(27) 및 제 4 기어 치형부(29)는 인장 장치(16, 17)의 인장 운동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기계식 전동 요소(18)를 구성한다.
기어 랙(21, 23, 27, 29)의 길이는 인장 운동의 스트로크 길이가 10~60cm 정도일 수 있도록 적용된다.
제 1 인장 장치의 상세한 구조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되고 제 1 인장 장치에 대해 동일한 제 2 인장 장치(17)의 상세한 구조가 도 6에 도시된다.
도 3 내지 도 5에서, 특히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 1 인장 프레임(20)은 서로 동일하게 신장된 다수의 제 1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32)는 제 1 기어 치형부(21) 및 제 1 탑 에지(33)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32)에는 치형부(21)가 형성되어 있는 상측 내부 에지(52) 및 평탄한 하측 내부 에지(53)를 가지는 길이방향의 슬롯(48)이 제공된다.
제 2 인장 프레임(22)은 서로 동일하게 신장된 다수의 제 2 플레이트(34)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 2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 2 기어 치형부(23) 및 제 2 탑 에지(35)를 가지고 있다. 각각의 플레이트(34)에는 평탄한 상측 내부 에지(49) 및 치형부(23)가 형성되어 있는 하측 내부 에지(50)를 가지는 길이방향의 슬롯(51)이 제공된다. 플레이트(32, 34)는 2~4mm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플레이트(32)들 및 제 2 플레이트(34)들은 서로 교호로 겹쳐져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직립 상태로 있는 하나의 팩으로써 결합된다. 제 1 플레이트(32)들의 제 1 기어 치형부(21)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제 2 플레이트(34)들의 제 2 기어 치형부(23)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및 제 1 플레이트(32)들의 제 1 탑 에지가 제 2 플레이트(34)들의 제 2 탑 에지(32)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고, 제 1 탑 에지와 제 2 탑 에지는 함께 평면의 제 1 지지면(36)을 형성하고, 이 제 1 지지면 상으로 수송 플랫폼(11)의 휠이 인장 장치(16) 위로 굴러갈 수 있다.
제 1 플레이트들로 이루어진 팩은, 제 2 플레이트(34)의 슬롯(51)을 통과하고 슬롯(51)의 상측 내부 에지(49) 및 하측 내부 에지(50)를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피스(54)에 의해 한데 유지된다. 제 2 플레이트들로 이루어진 팩은, 제 1 플레이트(32)의 슬롯(48)을 통과하고 슬롯(48)의 상측 내부 에지(52) 및 하측 내부 에지(53)를 따라 미끄럼 운동할 수 있는 가이드 피스(55)에 의해 한데 유지된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인장 장치(17)는 도 4의 제 1 인장 장치(16)와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제 3 인장 프레임(26)은 서로 동일하게 신장된 다수의 제 3 플레이트(37)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 3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 3 기어 치형부(27) 및 제 3 탑 에지(38)를 가지고 있다. 제 4 인장 프레임(28)은 서로 동일하게 신장된 다수의 제 4 플레이트(39)를 포함하고 있고, 이 제 4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 4 기어 치형부(29) 및 제 4 탑 에지(40)를 가지고 있다. 제 3 플레이트(37)들 및 제 4 플레이트(39)들은 서로 교호로 겹쳐져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것과 같은 방식으로 직립 상태로 있는 팩으로서 배열되고, 제 3 플레이트들의 제 3 기어 치형부(37)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제 4 플레이트들의 제 4 기어 치형부(29)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및 제 3 플레이트들의 제 3 탑 에지가 제 4 플레이트들의 제 4 탑 에지(40)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고, 제 3 탑 에지와 제 4 탑 에지는 함께 평면의 제 2 지지면(41)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수송 플랫폼(11)은 각각의 측부에 수송 방향에 대해 평행한 휠을 구비하고 있고, 이 휠은 베어링 레일(42)에 의해 지지된다. 베어링 레일(42)은 무한 구동 요소(9, 10)에 고정된 수송 플랫폼(11)에 대한 무한 트랙을 형성한다. 이 트랙은 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입구 단부인 컨베이어의 제 2 단부(3)로부터, 수송 방향에서의 출구 단부인 제 1 단부(2)로 승객을 수송시키기 위한 상부(43), 및 제 1 단부로부터 제 2 단부로 수송 플랫폼을 되돌려 복귀시키기 위한 하부(44)를 포함하고 있다. 컨베이어의 제 1 측부(4)의 제 1 지지면(36) 및 컨베이어의 제 2 측부(5)의 제 2 지지면(41)은 트랙의 상부(43)의 일부를 단절 없이 연속으로 구성한다.
컨베이어(1)는 제 1 휠(12) 및 제 2 휠(14)을 구동시키기 위해 컨베이어의 제 1 단부(2)에 배열된 구동부(45)를 포함하고 있어, 제 1 단부(2)는 구동 단부이다. 제 1 인장 장치(16) 및 제 2 인장 장치(17)는 컨베이어의 비구동 제 2 단부(3)에 근접하여 배치된다.
구동 요소(9, 10)의 운동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하여, 컨베이어(1)는 제 1 휠(12)과 제 3 휠(14)를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제 1 단부(2)에 배열되는 제 1 동 기화 수단(46), 및 제 2 휠(14)과 제 4 휠(15)를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컨베이어의 제 2 단부(3)에 배열되는 제 2 동기화 수단(47)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정의되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1)

  1. 제 1 단부(2), 제 2 단부(3) 및 길이방향의 제 1 측부(4)와 길이방향의 제 2 측부(5)를 가지는 컨베이어(1)를 포함하고 있는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또는 에스컬레이터와 같은 피플 무버로서,
    상기 컨베이어가,
    - 고정 구조물에 고정되는 제 1 프레임 부(7) 및 상기 제 1 프레임 부에 대해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제 2 프레임 부(8)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7)와 상기 제 2 프레임 부(8)가 연이어 장착되어 있는 프레임,
    -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제 1 측부(4)에 위치되고 무한 루프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 1 구동 요소(9),
    - 상기 제 1 구동 요소로부터 이격되어 평행하게 상기 컨베이어의 상기 제 2 측부(5)에 배치되고 무한 루프로서 형성되어 있는 제 2 구동 요소(10),
    - 연이어 배열되고 상기 제 1 구동 요소(9) 및 상기 제 2 구동 요소(10)에 고정되는 팔레트 또는 계단과 같은 다수의 컨베이어 플랫폼(11),
    - 상기 제 1 측부(4)의 상기 제 1 단부(2)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프레임 부(7) 상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고, 상기 제 1 구동 요소(9)가 위로 통과되는 제 1 휠(12),
    - 상기 제 1 측부(4)의 상기 제 2 단부(3)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 부(8) 상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고, 상기 제 1 구동 요소(9)가 위로 통과되는 제 2 휠(13),
    - 상기 제 2 측부(5)의 상기 제 1 단부(2)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프레임 부(7) 상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고, 상기 제 2 구동 요소(10)가 위로 통과되는 제 3 휠(14),
    - 상기 제 2 측부(5)의 상기 제 2 단부(3)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프레임 부(8) 상에 베어링과 함께 장착되고, 상기 제 2 구동 요소(10)가 위로 통과되는 제 4 휠(15),
    - 상기 제 1 측부(4)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7)와 상기 제 2 프레임 부(8)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 1 휠(12) 및 상기 제 2 휠(13)을 서로 이격되도록 가요성 있게 가압하여 제 1 인장 운동으로 상기 제 1 구동 요소(9)를 인장시키는 제 1 인장 장치(16), 및
    - 상기 제 2 측부(5)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인장 장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제 1 프레임 부(7)와 상기 제 2 프레임 부(8)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어 상기 제 3 휠(14) 및 상기 제 4 휠(15)을 서로 이격되도록 가요성 있게 가압하여 제 2 인장 운동으로 상기 제 2 구동 요소(10)를 인장시키는 제 2 인장 장치(17)를 포함하고 있는 피플 무버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는 상기 제 1 인장 장치(16)와 상기 제 2 인장 장치(17) 사이에 제 1 인장 운동과 제 2 인장 운동의 스트로크 길이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기계식 전동 요소(1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장 장치(16)는,
    - 제 1 기어 휠(19),
    - 상기 제 1 프레임 부(7)에 고정되고, 한쪽면에 상기 제 1 기어 휠과 맞물리는 제 1 기어 치형부(21)를 포함하고 있는 제 1 인장 프레임(20),
    - 상기 제 2 프레임 부(8)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기어 치형부(21)와 동일하고 상기 제 1 기어 치형부(21)에 대해 반대 쪽면에 상기 제 1 기어 휠(19)과 맞물리는 제 2 기어 치형부(23)를 포함하고 있는 제 2 인장 프레임(22); 및
    - 상기 제 1 인장 프레임과 상기 제 2 인장 프레임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는 제 1 스프링(24)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인장 장치(17)는,
    - 기어 치형부가 상기 제 1 기어 휠(19)과 동일한 제 2 기어 휠(25),
    - 상기 제 1 프레임 부(7)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기어 치형부(21)와 동일하고 한쪽면에 상기 제 2 기어 휠과 맞물리는 제 3 기어 치형부(27)를 포함하고 있는 제 3 인장 프레임(26),
    - 상기 제 2 프레임 부(8)에 고정되고, 상기 제 1 기어 치형부(21)와 동일하고 상기 제 3 기어 치형부(27)에 대해 반대 쪽면에 상기 제 2 기어 휠(25)과 맞물리는 제 4 기어 치형부(29)를 포함하고 있는 제 4 인장 프레임(28), 및
    - 상기 제 3 인장 프레임과 상기 제 4 인장 프레임 사이에서 작동하도록 배열되는 제 2 스프링(30)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기어 휠(19) 및 상기 제 2 기어 휠(25)은 동일한 샤프트(31) 상에 장착되고, 상기 샤프트(31), 상기 제 1 기어 휠(19), 상기 제 2 기어 휠(25), 상기 제 1 기어 치형부(21), 상기 제 2 기어 치형부(23), 상기 제 3 기어 치형부(27) 및 상기 제 4 기어 치형부(29)가 상기 기계식 전동 요소(19)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장 프레임(20)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게 신장된 다수의 제 1 플레이트(32)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 1 기어 치형부(21) 및 제 1 탑 에지(33)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2 인장 프레임(22)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게 신장된 다수의 제 2 플레이트(34)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 2 기어 치형부(23) 및 제 2 탑 에지(35)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32)들 및 상기 제 2 플레이트(34)들은 서로 교호로 겹쳐져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직립 상태로 있는 하나의 팩으로써 배열되고, 상기 제 1 플레이트들의 상기 제 1 기어 치형부(21)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제 2 플레이트들의 상기 제 2 기어 치형부(23)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 플레이트의 상기 제 1 탑 에지(33)는 상기 제 2 플레이트의 상기 제 2 탑 에지(35)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제 1 탑 에지와 상기 제 2 탑 에지는 함께 평면의 제 1 지지면(36)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인장 프레임(26)은 서로 동일하게 신장된 다수의 제 3 플레이트(37)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 3 기어 치형부(27) 및 제 3 탑 에지(38)를 가지고 있고; 상기 제 4 인장 프레임(28)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하게 신장된 다수의 제 4 플레이트(39)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각각은 제 4 기어 치형부(29) 및 제 4 탑 에지(40)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 3 플레이트(37)들 및 상기 제 4 플레이트(39)들은 서로 교호로 겹쳐져 서로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방식으로 직립 상태로 있는 하나의 팩으로써 배열되고, 상기 제 3 플레이트들의 상기 제 3 기어 치형부(27)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제 4 플레이트들의 상기 제 4 기어 치형부(29)는 서로 정렬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제 3 플레이트의 상기 제 3 탑 에지(38)는 상기 제 4 플레이트의 상기 제 4 탑 에지(40)와 동일한 높이로 정렬되어 있고, 상기 제 3 탑 에지와 상기 제 4 탑 에지는 함께 평면의 제 2 지지면(41)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는 무한 트랙을 따라 이동하고 있는 수송 플랫폼을 안내하기 위한 베어링 레일(42)을 포함하고 있고, 이 무한 트랙은 수송 방향에서 보았을 때 입구 단부인 컨베이어의 상기 제 1 단부(2)로부터, 수송 방향에서의 출구 단부인 상기 제 2 단부(3)로 승객을 수송시키기 위한 상부(43), 및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상기 제 1 단부로 수송 플랫폼을 복귀시키기 위한 하부(44)를 가지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 지지면(36) 및 상기 제 2 지지면(41)은 상기 트랙의 상부(43)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21, 23, 27, 29)의 길이는 상기 인장 운동의 상기 스트로크 길이가 10~60cm 정도가 되도록 맞추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구동 요소(9) 및 상기 제 2 구동 요소(10)는 링크 체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는 상기 제 1 휠(12) 및 상기 제 2 휠(14)을 구동시키도록 컨베이어의 상기 제 1 단부(2)에 배열된 구동부(45)를 포함하고 있고; 그리고 상기 제 1 인장 장치(16) 및 상기 제 2 인장 장치(17)는 컨베이어의 상기 제 2 단부(3) 근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는 상기 제 1 휠(12)과 상기 제 3 휠(14)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 1 단부(2)에 배열되는 제 1 동기화 수단(46)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1)는 상기 제 2 휠(13)과 상기 제 4 휠(15)을 상호 동기화시키기 위해 상기 제 2 단부(3)에 배열되는 제 2 동기화 수단(47)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플 무버는 플로어 또는 기타 지지물과 같은 고정 기초부에 장착되도록 설계된 낮은 구조의 트래블레이터, 무빙 램프 또는 에스컬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플 무버.
KR1020067020779A 2004-04-22 2005-03-29 피플 무버 KR101173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40564A FI117241B (fi) 2004-04-22 2004-04-22 Henkilökuljetuslaite
FI20040564 2004-04-22
PCT/FI2005/000166 WO2005102902A2 (en) 2004-04-22 2005-03-29 People mo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398A KR20070012398A (ko) 2007-01-25
KR101173872B1 true KR101173872B1 (ko) 2012-08-14

Family

ID=32104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0779A KR101173872B1 (ko) 2004-04-22 2005-03-29 피플 무버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500549B2 (ko)
EP (1) EP1737779B1 (ko)
JP (1) JP4685858B2 (ko)
KR (1) KR101173872B1 (ko)
CN (1) CN1942390B (ko)
AT (1) ATE469858T1 (ko)
AU (1) AU2005234956A1 (ko)
CA (1) CA2559728A1 (ko)
DE (1) DE602005021627D1 (ko)
DK (1) DK1737779T3 (ko)
EA (1) EA008637B1 (ko)
ES (1) ES2343468T3 (ko)
FI (1) FI117241B (ko)
TW (1) TW200604087A (ko)
WO (1) WO200510290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1783B (fi) * 2008-09-22 2011-04-15 Kone Corp Henkilökuljetin
JP4745427B2 (ja) * 2009-07-14 2011-08-10 富士通株式会社 物品保持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ラック装置
CN102311038B (zh) * 2011-08-18 2014-07-16 昆山通祐电梯有限公司 自动扶梯扶手驱动装置
ES2370896B1 (es) * 2011-09-19 2012-08-03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A. Pasillo móvil bidireccional.
US9499376B2 (en) 2012-11-01 2016-11-22 Otis Elevator Company Turnaround mechanism for passenger conveyors
CN104444712B (zh) * 2014-12-01 2017-05-24 太仓市微贯机电有限公司 一种采用特殊齿条的升降机
WO2017108048A1 (en) * 2015-12-22 2017-06-29 Beumer Group A/S Line sorter with adjustable track length
EP3257804B1 (en) 2016-06-15 2023-09-27 Otis Elevator Company Belt-driven people conveyor
CN107777526A (zh) * 2016-08-31 2018-03-09 江苏金刚文化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游乐设备上下站台传输机构
US10543989B2 (en) 2017-07-06 2020-01-28 KSi Conveyor, Inc. Belt conveyor with automated in-line tension control system
CN108528558B (zh) * 2018-05-17 2023-09-12 香港中文大学(深圳) 一种缆索攀爬机器人
CN115340041B (zh) * 2022-10-14 2023-02-03 道仁(昆山)智能装备有限公司 一种锂电池用提升装置及其提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9181A (en) 1948-06-01 1953-08-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ving stairwa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000A (en) * 1880-04-27 Fishing-reel
US2270000A (en) 1940-05-10 1942-01-13 Hugo M Danker Belt adjusting device
US3365051A (en) * 1964-06-25 1968-01-23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ving walk
US3419127A (en) * 1966-07-11 1968-12-31 Otis Elevator Co Tension carriage for passenger conveyors
JPS4915674Y1 (ko) * 1969-09-11 1974-04-19
JPS52111186U (ko) * 1976-02-20 1977-08-24
JPS5834867Y2 (ja) * 1979-04-24 1983-08-05 オンキヨー株式会社 スピ−カ−用ボイスコイル
DE3412995C2 (de) * 1984-04-06 1994-09-01 Westfalia Becorit Ind Tech Spannrahmen für Kettenkratzförderer, insbesondere für Untertagebetriebe
JPH0610804B2 (ja) * 1987-06-26 1994-02-0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かな漢字変換装置
JP2750622B2 (ja) * 1989-10-30 1998-05-13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出入口特定型物品収納棚
JPH0489791A (ja) * 1990-08-02 1992-03-23 Mitsubishi Denki Bill Techno Service Kk 乗客コンベヤ用管理装置
DE19634668C2 (de) * 1996-08-28 1999-06-24 O & K Rolltreppen Gmbh Hydraulisches Spannsystem für Personenförderanlagen, insbesondere für Rolltreppen und Rollsteige
KR100186366B1 (ko) * 1996-10-22 1999-04-15 이종수 이동보도 및 에스컬레이터의 종동터미널
EP1575854A1 (en) * 2002-11-07 2005-09-21 Siemens Aktiengesellschaft Adjustable length conveyor bed
DE10308417B4 (de) * 2003-02-27 2006-03-09 Kone Corp. Rollstei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49181A (en) 1948-06-01 1953-08-18 Westinghouse Electric Corp Moving stairw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34956A1 (en) 2005-11-03
JP2007533575A (ja) 2007-11-22
DK1737779T3 (da) 2010-07-19
JP4685858B2 (ja) 2011-05-18
FI20040564A (fi) 2005-10-23
CN1942390B (zh) 2010-05-26
FI117241B (fi) 2006-08-15
ES2343468T3 (es) 2010-08-02
FI20040564A0 (fi) 2004-04-22
ATE469858T1 (de) 2010-06-15
CA2559728A1 (en) 2005-11-03
CN1942390A (zh) 2007-04-04
US7500549B2 (en) 2009-03-10
DE602005021627D1 (de) 2010-07-15
TW200604087A (en) 2006-02-01
WO2005102902A2 (en) 2005-11-03
EP1737779A2 (en) 2007-01-03
WO2005102902A3 (en) 2006-01-26
EA008637B1 (ru) 2007-06-29
US20070082772A1 (en) 2007-04-12
EA200601936A1 (ru) 2007-02-27
EP1737779B1 (en) 2010-06-02
KR20070012398A (ko) 2007-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872B1 (ko) 피플 무버
US10214389B2 (en) Drive chain and drive chain mechanism and conveyor comprising such a drive chain mechanism
US20120168277A1 (en) Truss construction for a passenger conveyor
US7665595B2 (en) Drive system with step chain or pallet chain for a transportation device and transportation device with a corresponding drive system
JP2007533575A5 (ko)
CN1910106B (zh) 活动人行道、活动坡道和扶梯
KR20170013235A (ko) 이동 보도 또는 에스컬레이터의 링크 체인
US10829346B2 (en) Moving walkway
KR101953400B1 (ko) 사람 운송 장치
CN102123933B (zh) 载人工具以及在使用载人工具中的方法
RU2007149302A (ru) Транспортная установк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грузов
RU2473811C1 (ru) Пластинчатый конвейер
US20080087522A1 (en) Shock Absorbing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s
JP5074793B2 (ja) 乗客コンベアの改造方法及びその改造方法に用いる走行ローラユニット
US10065838B2 (en) Truss construction for a passenger conveyor comprising a drawer mechanism
JP6123511B2 (ja) 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工法及び該工法に用いる搬送台車
DE502004004429D1 (de) Gegengewicht für einen Vertikalaufzug
JPH1120923A (ja) 無端駆動体使用の搬送設備
RU2223214C2 (ru) Лестница эскалаторного действия
EP1915314A1 (en) Travelator or moving ramp and method for servicing a travelator or moving ramp
CN111410111A (zh) 导轨接驳结构及输送装置
JPH0313492A (ja) 螺施状エスカレータ
IT9021977U1 (it) Impianto di trasporto di materiale comprendente carrelli motorizzati s u rotaie sospesa
JPS6127888A (ja) 曲線形乗客コンベヤの従動鎖歯車装置
TH72177A (th) เครื่องขนส่ง บันไดเคลื่อนที่หรือบันไดเลื่อ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