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3318B1 -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3318B1
KR101173318B1 KR1020067022328A KR20067022328A KR101173318B1 KR 101173318 B1 KR101173318 B1 KR 101173318B1 KR 1020067022328 A KR1020067022328 A KR 1020067022328A KR 20067022328 A KR20067022328 A KR 20067022328A KR 101173318 B1 KR101173318 B1 KR 101173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plate portion
stopper
stopping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12679A (ko
Inventor
아서 에드워드 라멘즈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아메리카 잉크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아메리카 잉크,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쓰네 아메리카 잉크
Publication of KR20070012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3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3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50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 A47B88/57Safety devices or the like for drawers preventing complete withdrawal of the drawer

Landscapes

  • Drawers Of Furniture (AREA)
  • Bearings For Parts Moving Linearly (AREA)

Abstract

제 1 레일(2)의 평판부(2a)의 앞끝단부에는, 걸어멈춤 판부(2d,2d)가 형성된다. 제 2 레일(3)의 평판부(3a)에는, 스토퍼부재(7)가 설치된다. 스토퍼부재(7)의 경사판부(7b)에는, 걸어멈춤 구멍(7d)과 탄성편(7e,7e)이 설치된다. 걸어멈춤 구멍(7d)은, 제 2 레일(3)이 소정의 위치까지 전방으로 이동했을 때에 걸어멈춤 판부(2d,2d)와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과 대향했을 때, 탄성편(7e)은, 그 탄성력과 경사판부(7b)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판부(7b)의 앞끝단부를 평판부(2a)측으로 변위시킨다. 이것에 의해, 걸어멈춤 판부(2d,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상대적으로 삽입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STOPPER DEVICE FOR SLIDE RAIL}
이 발명은, 몸체와 서랍의 사이 등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슬라이드 레일은,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을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의 각 제 1 레일은, 그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몸체의 수용부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고정된다. 한편,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의 제 2 레일은, 몸체의 수용부에 수용된 서랍의 좌우 양측부에 각각 고정된다. 게다가, 각 제 2 레일은, 각 제 1 레일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 결과, 서랍이 몸체의 수용부에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을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슬라이드 레일의 제 1 레일과 제 2 레일의 사이에는, 스토퍼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장치는, 예를 들면 제 2 레일이 제 1 레일에 대해서 소정위치 이상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고, 그것에 의해서 서랍이 몸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 1 레일의 제 2 레일과의 대향면(내면)에 제 2 레일측으로 돌출하도록 하여 설치된 걸어멈춤부와, 제 2 레일의 제 1 레일과의 대향면(내면)에 설치된 스토퍼부재를 가지고 있다.
스토퍼부재는, 탄성을 갖는 금속성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제 2 레일에 고정되는 설치부와, 이 설치부의 앞끝단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제 1 레일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경사판부(판부)와, 이 경사판부의 앞끝단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제 2 레일에 접근하도록 경사진 가이드부를 가지고 있다. 경사판부의 앞끝단부에는, 걸어멈춤부가 출몰 가능하게 파고 들어가는 걸어멈춤 구멍(걸어멈춤 오목부)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는, 제 2 레일이 전방으로 향하여 소정의 제 1 위치까지 이동하면 걸어멈춤부에 부딪친다. 따라서, 제 2 레일이 더 전방으로 이동하면, 가이드부가 걸어멈춤부 위를 미끄럼운동한다. 그 결과, 경사판부가 제 2 레일에 접근하도록 탄성 변형되게 된다. 그 후, 제 2 레일이 소정의 제 2 위치까지 이동하면, 걸어멈춤 구멍이 걸어멈춤부와 대향한다. 그렇게 하면, 경사판부의 앞끝단부가 제 1 레일측으로 이동하도록 경사판부가 탄성적으로 복귀변위하여, 걸어멈춤부가 걸어멈춤 구멍에 삽입된다. 걸어멈춤부가 걸어멈춤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 2 레일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면, 걸어멈춤 구멍의 뒤끝단면이 걸어멈춤부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 제 2 레일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상기 종래의 스토퍼장치에 있어서, 제 2 레일이 소정의 제 2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히 저지하기 위해서는, 제 2 레일이 제 2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걸어멈춤부가 걸어멈춤 구멍에 확실히 삽입되고, 또한 그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스토퍼부재의 탄성계수, 특히 경사판부의 탄성계수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이 하면, 경사판부가 복귀할 때의 탄 성력을 크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걸어멈춤부를 걸어멈춤 구멍에 확실히 삽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경사판부의 탄성계수를 크게 하여 그 탄성 복귀력을 크게 하면, 가이드부에 의해서 경사판부가 제 2 레일측으로 탄성변형되게 되었을 때에 경사판부에 큰 응력이 발생한다. 특히, 경사판부와 설치부의 교차부에 큰 응력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스토퍼부재가 경사판부와 설치부의 교차부에서 조기에 파손할 우려가 있었다.
또, 경사판부의 탄성계수를 작게 하면, 경사판부에 발생하는 응력을 작게 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스토퍼부재의 조기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그와 같이 하면, 경사판부가 제 2 레일측으로 작은 힘으로도 탄성변위되어 버리기 때문에, 제 2 레일에 전방으로의 힘이 작용하면, 걸어멈춤부가 걸어멈춤 구멍으로부터 용이하게 빠져 나와 버릴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이 소정의 제 2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히 저지하는 것이 곤란해져 버린다.
특허문헌 1 :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41480호 공보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스토퍼부재가 조기에 파손되는 것이다.
이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길이방향으로 상대이동할 수 있게 연결된 제 1, 제 2 레일을 구비한 슬라이드 레일의 상기 제 1 레일의 상기 제 2 레일과 대향하는 내면의 앞끝단부에 상기 제 2 레일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걸어멈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레일의 상기 제 1 레일과 대향하는 내면의 뒤끝단부에 탄성을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부재가, 그 기초끝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레일의 내면에 고정되는 설치부와, 이 설치부의 앞끝단부에 연달아 설치되고, 상기 제 2 레일의 내면으로부터 멀어진 상태에서 상기 제 2 레일의 앞끝단측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판부와, 이 판부의 앞끝단부에 연달아 설치되어, 상기 제 2 레일이 그 앞끝단측으로 향하여 소정의 제 1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걸어멈춤부에 부딪치고, 상기 제 2 레일의 상기 제 1 위치에서 앞끝단측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상기 걸어멈춤부 위를 미끄럼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판부를 그 기초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2 레일측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판부의 앞끝단부에는 상기 제 2 레일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더 앞끝단측으로 향하여 소정의 제 2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걸어멈춤부와 대향하는 걸어멈춤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걸어멈춤 오목부에 상기 걸어멈춤부가 대향하면, 상기 판부가 상기 제 2 레일측으로 탄성적으로 복귀 변위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2 레일이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상기 판부에, 상기 제 2 레일측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제 2 레일에 형성된 접촉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판부를 상기 제 1 레일의 내면측에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는 탄성편이 설치되고,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삽입되었을 때의 상기 제 1, 제 2 레일의 내면 끼리의 대향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탄성편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거리가, 상기 걸어멈춤부의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로의 삽입거리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의 뒤끝단면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레일이 그 앞끝단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어도 좋고,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의 앞끝단면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레일이 그 뒤끝단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 탄성편이, 상기 가이드부로서 겸용되도록, 상기 판부의 앞끝단부로부터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제 2 레일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게 되고, 게다가 상기 제 2 레일이 그 앞끝단측으로 향하여 상기 제 1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상기 탄성편의 상기 제 1 레일측을 향하는 면이 상기 걸어멈춤부에 부딪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레일에 상기 탄성편의 앞끝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안둘레면과 상기 제 2 레일의 내면과의 교차부에 상기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을 상기 제 1, 제 2 레일의 길이방향과 일치시킨 고정레일 및 가동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레일이 상기 고정레일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어, 상기 가동레일에 상기 제 1 레일이 고정되고 있어도 좋다.
이 발명의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에서는, 제 2 레일이 제 2 위치로 이동하면, 스토퍼부재의 판부가 제 2 레일측으로 탄성적으로 복귀 변위한다. 그 결과, 걸어멈춤부가 걸어멈춤 오목부에 삽입된다. 이때, 판부는, 그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복귀 변위할 뿐만 아니라, 탄성편의 탄성력에 의해서 복귀 변위되게 된다. 따라서, 걸어멈춤부를 걸어멈춤 오목부에 확실히 삽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걸어멈춤부가 걸어멈춤 오목부에 삽입된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이 소정의 위치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판부가, 그 자체의 탄성력뿐만 아니라, 탄성편의 탄성력에 의해서 제 2 레일측으로 복귀 변위되기 때문에, 판부의 탄성계수를 비교적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스토퍼부재가 조기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형태의 사용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의 주요부를, 제 2 레일이 제 1 위치로 전진했을 때의 상태에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 2 레일이 제 2 위치로 전진했을 때의 상태에 있어서의 도 3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5는 걸어멈춤 판부가 걸어멈춤 구멍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의 도 3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6은 걸어멈춤 판부를 걸어멈춤 구멍으로부터 탈출시킨 상태에 있어서의 도 3과 같은 단면도이다.
도 7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이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이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슬라이드 레일 1' : 슬라이드 레일
1A : 슬라이드 레일 1B : 슬라이드 레일
1C : 슬라이드 레일 2 : 제 1 레일
2d : 걸어멈춤 판부(걸어멈춤부) 2f : 걸어멈춤 볼록부(걸어멈춤부)
3 : 제 2 레일 3d : 교차부(접촉부)
6 : 스토퍼장치 7 : 스토퍼부재
7A : 스토퍼부재 7B : 스토퍼부재
7a : 설치판부(설치부) 7b : 경사판부(판부)
7c : 조작판부(가이드부) 7d : 걸어멈춤구멍(걸어멈춤 오목부)
7e : 탄성편 7f : 걸어멈춤 오목부
7g : 탄성편 8 : 고정레일
9 : 가동레일
제 2 레일을 소정의 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스토퍼부재의 조기파손을 방지한다고 하는 목적을 최소의 부품 개수로 실현되었다.
실시예 1
이하, 이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우선, 이 발명에 관한 스토퍼장치(6)(도 3 내지 도 6 참조)가 설치된 슬라이드 레일(1)에 대해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레일(1)은, 제 1 레일(2)과, 이 제 1 레일(2)과 대향하여 배치된 제 2 레일(3)과, 제 2 레일(3)을 제 1 레일(2) 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하는 슬라이더(4)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레일(2)은, 강성을 갖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이루는 평판부(2a)를 가지고 있다. 평판부(2a)는, 그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몸체(A)(도 2 참조)의 수용부(A1)의 한 측면에 비스(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물론, 수용부(A1)의 다른 측면에는, 다른 슬라이드 레일(1)의 제 1 레일(2)의 평판부(2a)가 고정되어 있다. 평판부(2a)의 상하의 양측부에는, 제 2 레일(3)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궤도부(2b,2b)가 평판부(2a)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궤도부(2b)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을 이루고, 바깥쪽(도 2에서 위쪽 및 아래쪽)을 향하여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궤도부(2b,2b)의 서로 대향하는 내면의 앞끝단부(선단부)에는, 가이드부재(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평판부(2a)의 뒤끝단부에는, 제 2 레일(3)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스토퍼 판부(2c)가 형성되어 있다. 평판부(2a)의 제 2 레일(3)과 대향하는 내면의 앞끝단부에는, 평판부(2a)의 일부를 잘라내는 것에 의해, 제 2 레일(3)측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걸어멈춤 판부(걸어멈춤부)(2d,2d)가 형성되어 있다. 걸어멈춤 판부(2d,2d)는,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갖고 서로 떨어져 있고, 또한 상하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제 2 레일(3)은, 강성을 갖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늘고 긴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이루는 평판부(3a)를 가지고 있다. 평판부(3a)는, 수용부(A1)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수용된 서랍(B)(도 2 참조)의 한 측면에,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비스(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물론, 서랍(B)의 다른 측면에는, 다른 슬라이드 레일(1)의 제 2 레일(3)의 평판부(3a)가 고정되어 있다. 평판부(3a)는, 고정레일(2)의 평판부(2a)와 좌우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평판부(2a)와 상하방향에 있어서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평판부(3a)의 상하방향의 폭은, 평판부(2a)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좁게 되어 있다. 평판부(3a)의 상하의 양측부에는, 제 1 레일(2)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궤도부(3b,3b)가 형성되어 있다. 궤도부(3b)는, 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을 이루고, 안쪽을 향하여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궤도부(3b,3b)는, 각각의 바깥면이 제 1 레일(2)의 궤도부(2b,2b)의 내면과 상하방향에 있어서 각각 대향하도록, 궤도부(2b,2b)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궤도부(3b,3b)는, 그 뒤끝단부를 앞으로 한 상태에서 제 1 레일(2)의 궤도부(2b,2b) 사이에 그 앞끝단부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그 경우, 궤도부(3b,3b)의 바깥면을 가이드부재(5,5)에 각각 접촉시켜 가이드 시키는 것에 의해, 궤도부(3b,3b)를 궤도부(2b,2b)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슬라이더(4)는, 강성을 갖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볼유지체(4a)를 가지고 있다. 이 볼유지체(4a)의 상하의 양측부에는, 강철구슬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볼(4b)이 전후방향에 일렬로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볼(4b)은, 볼유지체(4a)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게다가, 각 볼(4b)은, 궤도부(2b,3b)의 대향면, 즉 궤도부(2b)의 내면과 궤도부(3b)의 바깥면에 구름 운동할 수 있게 접촉하고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4)는, 제 1 레일(2)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는 한편, 제 2 레일(3)을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하고 있다. 이 결과, 제 2 레일(3)이 제 1 레일(2)에 슬라이더(4)를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게 지지되고, 나아가서는 서랍(B)이 몸체(A)에 한 쌍의 슬라이드 레일(1,1)을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슬라이더(4)는, 스토퍼 판부(2c)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뒤쪽으로의 이동범위가 규제되어 있고, 평판부(2a)의 내면의 앞끝단측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스토퍼 돌기부(2e)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전방으로의 이동범위가 규제되고 있다. 제 2 레일(3)은, 스토퍼 판부(2c)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후방으로의 이동범위가 규제되고 있고, 이 발명에 관한 스토퍼장치(6)에 의해서 전방으로의 이동범위가 규제되고 있다.
스토퍼장치(6)는, 상기 한 쌍의 걸어멈춤 판부(2d,2d)와, 제 2 레일(3)에 설치된 스토퍼부재(7)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부재(7)는, 탄성을 갖는 금속제의 판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평판부(3a)의 평판부(2a)와 대향하는 내면의 뒤끝단부에 비스(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서 고정된 설치판부(설치부)(7a)와, 이 설치판부(7a)의 앞끝단부(선단부)에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경사판부(판부)(7b)와, 이 경사판부(7b)의 앞끝단부에 일체로 연달아 설치되어, 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는 조작판부(7c)를 가지고 있다.
경사판부(7b)는, 설치판부(7a)에 대해서 굴곡진 상태에서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설치판부(7a)가 평판부(3a)의 평판부(2a)와 대향하는 내면에 설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제 1 레일(2)의 평판부(2a)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 경사판부(7b)의 앞쪽의 끝단부에는, 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걸어멈춤 구멍(걸어멈춤 오목부)(7d)이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멈춤 구멍(7d)은, 제 2 레일(3)이 전방으로 향하여 도 5에 나타내는 제 2 위치까지 이동하면, 걸어멈춤 판부(2d)와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걸어멈춤 구멍(7d)은, 두 개의 걸어멈춤 판부(2d,2d)가 동시에 출몰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3)이 제 2 위치로 이동한 상태에서, 경사판부(7b)의 앞끝단부가 기초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제 1 레일(2)의 평판부(2a)측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변위하면, 두 개의 걸어멈춤 판부(2d,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파고 들어간다.
경사판부(7b)의 상하의 양측부에서 걸어멈춤 구멍(7d)으로부터 약간 전방측의 개소에는, 탄성편(7e)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7e)은,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평판부(3a)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고, 그 앞끝단부가 기초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여 제 1, 제 2 레일(2,3)의 평판부(2a,3a)의 대향방향(좌우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탄성 변형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탄성편(7e)은, 제 2 레일(3)이 도 3에 나타내는 제 1 위치까지 전방으로 이동하면, 탄성편(7e)의 평판부(2a)측을 향하는 면이 걸어멈춤 판부(2d)의 앞끝단면{걸어멈춤판부(2d)의 기립방향에 있어서의 앞끝단면}의 뒤끝단부에 부딪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3)이 제 1 위치로부터 더 전방으로 이동하면, 각 탄성편(7e,7e)이 걸어멈춤 판부(2d,2d)의 앞끝단 위를 미끄럼운동한다. 이때, 탄성편(7e)이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평판부(3a)에 접근하도록 경사져 있으므로, 제 2 레일(3)이 제 1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하면, 그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편(7e)이 걸어멈춤 판부(2d)에 의해서 평판부(3a)측으로 눌려진다. 이것에 의해, 경사판부(7b)의 앞끝단부가 기초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평판부(3a)측으로 회전운동 변위 하도록, 경사판부(7b)가 탄성 변형되게 된다. 이것으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탄성편(7e)이 가이드부로서 겸용되어 있다. 또, 경사판부(7b)의 앞끝단부가 평판부(3a)측으로 향하여 변위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탄성편(7e)이 평판부(3a)측으로 변위한다.
제 2 레일(3)이 더 전방으로 이동하고, 걸어멈춤 판부(2d)가 탄성편(7e)의 기초끝단부를 상대적으로 타고 넘으면, 그 다음은 경사판부(7b)가 두 개의 걸어멈춤 판부(2d,2d)의 앞끝단면의 뒤끝단부 위를 미끄럼운동한다. 경사판부(7b)가 걸어멈춤 판부(2d) 위를 미끄럼운동하는 경우에는, 경사판부(7b)가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평판부(2a)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고 있으므로, 경사판부(7b)는, 제 2 레일(3)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에 수반하여 경사판부(7b)의 앞끝단부가 평판부(2a)에 접근하도록 탄성적으로 복귀 변형한다. 그 후, 제 2 레일(3)이 도 5에 나타내는 제 2 위치까지, 전방으로 이동하면, 걸어멈춤 판부(2d,2d)가 걸어멈춤구멍(7d)과 대향한다. 이때에는, 경사판부(7b)가 평판부(3a)측으로 탄성 변형되어진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 판부(2d,2d)가 걸어멈춤 구멍(7d)과 대향하면, 경사판부(7b)가 탄성변형하고 있는 분만큼 그 앞끝단부가 평판부(2a)에 접근하도록 복귀 변위한다. 그 결과, 걸어멈춤 판부(2d,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상대적으로 파고 들어간다. 이 경우, 경사판부(7b)가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평판부(2a)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고 있으므로, 걸어멈춤 판부(2d)의 걸어멈춤 구멍(7d)에 파고 들어간 삽입거리는, 걸어멈춤 판부(2d)의 뒤끝단부에서 가장 작고, 앞끝단부에서 가장 커지고 있다. 경사판부(7b)가 그것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연상태 가 될 때까지 복귀 변위했을 때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걸어멈춤판부(2d)의 뒤그끝단부가 걸어멈춤 구멍(7d)에 대해서 삽입거리 L1만큼 삽입된다.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 2 레일(3)이 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걸어멈춤 구멍(7d)의 뒤끝단면이 걸어멈춤 판부(2d)의 뒤끝단면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서, 제 2 레일(3)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반대로, 제 2 레일(3)이 후방으로 이동하려고 하면, 걸어멈춤 구멍(7d)의 앞끝단면이 걸어멈춤 판부(2d)의 앞끝단면에 부딪친다. 이것에 의해서, 제 2 레일(3)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게다가, 걸어멈춤 판부(2d)와 걸어멈춤 구멍(7d)과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길이가, 서로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오목부(7d)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제 2 레일(3)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일은 거의 없다.
탄성편(7e,7e)의 각 앞끝단부는, 스토퍼부재(7)가 자연상태가 되어 있을 때, 제 2 레일(3)의 평판부(3a)에 형성된 관통구멍(3c,3c)에 틈새를 갖고 각각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도, 탄성편(7e)이 평판부(3a)의 내면 및 관통구멍(3c)의 안둘레면에 대해서 서로 떨어져 있다.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삽입되어 있을 때에는, 스토퍼부재(7)가 자연상태가 되어 있기 때문이다. 탄성편(7e)과, 평판부(3a)의 내면과 관통구멍(3c)의 안둘레면과의 교차부 사이의 좌우방향{평판부(2a,3a)의 대향방향}의 간격은, 관통구멍(3c)의 안둘레면의 뒤끝단부와 평판부(3a)의 내면과의 교차부(접촉부)(3d)에서 가장 좁아지고 있다. 지금, 탄성편(7e)과 교차부(3d)의 좌 우방향에 있어서의 이간거리를 L2로 하면, 상기 삽입거리 L1과 이간거리 L2는 다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다.
L1>L2
따라서, 제 2 레일(3)이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측으로 향하여 소정의 중간위치까지 소정거리{탄성편(7e)의 경사각도와 이간거리 L2에 대응한 후방으로의 거리}만큼 이동하면, 탄성편(7e)이 평판부(3a)를 향하여 거리 L2만큼 이동되게 되므로, 탄성편(7e)의 평판부(3a)측을 향하는 면의 앞끝단부가 교차부(3d)에 접촉되게 된다. 그 후, 탄성편(7e)의 기초끝단부{탄성편(7e)과 경사판부(7b)의 교차부}가 걸어멈춤 판부(2d)를 타고 넘을 때까지는, 제 2 레일(3)의 전방으로의 이동에 수반하여 탄성편(7e)이 교차부(3d)에 더 강하게 접촉되게 된다. 탄성편(7e)의 기초끝단부가 걸어멈춤 판부(2d)를 타고 넘은 후에는, 상기와 같이 경사판부(7b)가 평판부(2a)측으로 향하여 복귀 변형하고, 그것에 수반하여 탄성편(7e)도 평판부(2a)측으로 복귀 변형한다. 그러나, 탄성편(7e)은, 제 2 레일(3)이 제 2 위치에 이르렀을 때도, 교차부(3d)에 접촉함과 동시에, 탄성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3)이 제 2 위치까지 전진하여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대향하면, 경사판부(7b)는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서 평판부(2a)측으로 복귀 변위할 뿐만 아니라, 탄성편(7e)의 탄성에 의해서도 복귀 변위되게 된다. 경사판부(7b)가 거리(L1-L2)만큼 복귀 변위하면, 탄성편(7e)이 교차부(3d)로부터 멀어진다. 따라서, 그 다음은 경사판부(7b)가 그 자체의 탄성만으로 복귀 변위한다.
조작판부(7c)는, 경사판부(7b)에 대해서 굴곡진 상태에서 연달아 설치되어 있고,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평판부(3a)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 조작판부(7c)는, 평판부(2a,3a)와 평행하게 형성해도 좋다. 조작판부(7c)는, 그 폭이 한 쌍의 걸어멈춤 판부(2d,2d)의 간격보다 약간 좁게 되어 있고, 제 2 레일(3)이 제 1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한 쌍의 걸어멈춤 판부(2d,2d) 사이에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파고들어가고 있다. 게다가, 조작판부(7c)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레일(3)이 제 2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평판부(2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따라서, 조작판부(7c)는 예를 들면 손가락으로, 평판부(3a)측으로 눌러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조작판부(7c)를 평판부(3a)측으로 눌러 경사판부(7b)를 평판부(3a)측으로 탄성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 판부(2d)를 걸어멈춤 구멍(7d)으로부터 탈출시킬 수 있다. 조작판부(7c)의 앞끝단부가 평판부(3a)에 부딪치기 직전까지 조작판부(7c)를 평판부(3a)측으로 누르면,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으로부터 빠져 나온다. 따라서, 조작판부(7c)의 앞끝단부가 평판부(3a)에 부딪칠 때까지, 조작판부(7c)를 평판부(3a)측으로 누르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 판부(2d)를 걸어멈춤 구멍(7d)으로부터 확실히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스토퍼장치(6)를 갖는 슬라이드 레일(1)에 있어서, 지금 제 2 레일(3)이 제 1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그 상태로부터 제 2 레일(3)을 전진시켜 제 1 위치까지 이동시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편(7e)이 걸어멈춤 판부(2d)의 앞끝단면의 뒤끝단부에 부딪친다. 제 2 레일(3)을 더 전진이동시키면, 탄성편(7e)이 걸어멈춤 판부(2d)에 의해서 평판부(3a)측으로 눌려진다. 그것에 의해, 경사판부(7b)의 앞끝단부가 평판부(3a)에 접근하도록 경사판부(7b)가 탄성 변형되게 된다. 경사판부(7b)가 탄성 변형하면, 그것에 수반하여 탄성편(7e)이 교차부(3d)에 접근이동한다. 그 후, 제 2 레일(3)이 중간위치에 이르면, 경사판부(7b)가 평판부(3a)측으로 더 탄성 변형되게 됨과 동시에, 탄성편(7e)이 교차부(3d)에 접촉되게 된다. 그 후, 탄성편(7e)이 걸어멈춤 판부(2d)를 타고 넘을 때까지는, 제 2 레일(3)의 전진이동에 수반하여 경사판부(7b) 및 탄성편(7e)의 탄성변형량이 점차 증대한다. 그 후, 제 2 레일(3)이 제 2 위치에 이를 때까지는, 경사판부(7b) 및 탄성편(7e)의 탄성변형량이 점차 감소하지만, 그것들은 탄성변형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도 4 참조). 게다가, 탄성편(7e)은 교차부(3d)에 부딪치고 있다.
제 2 레일(3)이 제 2 위치에 이르러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과 대향하면, 경사판부(7b) 및 탄성편(7e)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판부(7b)의 앞끝단부가 평판부(2a)에 접근하도록 변위되게 된다. 그 결과,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상대적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이, 제 2 레일(3)이 제 2 위치까지 전진했을 때, 경사판부(7b)는, 그 자체의 탄성력뿐만 아니라, 탄성편(7e)의 탄성력에 의해서 평판부(2a)측으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걸어멈춤 판부(2d)를 걸어멈춤 구멍(7d)에 확실히 삽입할 수 있다. 또,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제 2 레일(3)을 더 전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면, 걸어멈춤 판부(2d) 및 걸어멈춤 구멍(7d)의 뒤끝단면끼리가 부딪친다. 따라서, 제 2 레일(3)의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된다. 물론, 제 2 레일(3)의 후방으로의 이동도 걸어멈춤 판부(2d) 및 걸어멈춤 구멍(7d)의 앞끝단면끼리가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저지된다.
걸어멈춤 판부(2d)를 걸어멈춤 구멍(7d)으로부터 탈출시키는 경우에는, 경사판부(7b)가 평판부(3a)측으로 거리 L2만큼 변위하면, 탄성편(7e)이 교차부(3d)에 접촉한다. 따라서, 제 2 레일(3)을 제 2 위치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걸어멈춤 판부(2d)를 걸어멈춤 구멍(7d)으로부터 탈출시키려고 할 때에는, 경사판부(7b)를 경사판부(7b)의 탄성력 및 탄성편(7e)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거리(L1-L2)만큼 변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삽입된 상태가 확실히 유지된다. 한편, 제 2 레일(3)을 제 2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켜 걸어멈춤 판부(2d)를 걸어멈춤 구멍(7d)으로부터 탈출시키려고 할 때에는, 걸어멈춤 판부(2d)의 앞끝단의 걸어멈춤 구멍(7d)에 대한 삽입거리를 L3(도 5 참조)으로 하면, 경사판부(7b)를 경사판부(7b)의 탄성력 및 탄성편(7e)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거리(L3-L2)만큼 변위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경사판부(7b)가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평판부(2a)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고 있으므로,
L3>L2
가 되고 있다. 따라서, 제 2 레일(3)을 제 2 위치에서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삽입된 상태가 보다 한층 확실히 유지된다.
또한, 경사판부(7b)가, 그 자체의 탄성력뿐만 아니라, 탄성편(7e)의 탄성력 에 의해서 평판부(2a)측으로 복귀 변위되게 되기 때문에, 경사판부(7b)의 탄성계수를 작게 하여 탄성변형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경사판부(7b)가 설치판부(7a)와의 교차부에서 조기에 파손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걸어멈춤 판부(2d)가 걸어멈춤 구멍(7d)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판부(7c)를 평판부(3a)측으로 눌러, 경사판부(7b)의 앞끝단부를 경사판부(7b)의 탄성력 및 탄성편(7e)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평판부(3a)측으로 변위시키는 것에 의해, 걸어멈춤 판부(2d)를 걸어멈춤 구멍(7d)으로부터 탈출시킬 수 있다. 걸어멈춤 판부(2d)를 걸어멈춤 구멍(7d)으로부터 탈출시키는 것에 의해, 제 2 레일(3)을 제 2 위치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 이하에 서술하는 실시형태에 관해서는, 상기의 실시형태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는 것으로 하고, 동일한 구성부분에는 동일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레일(1A)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형태의 스토퍼부재(7)를 대신하여 스토퍼부재(7A)가 이용되고 있다. 이 스토퍼부재(7A)에 있어서는, 걸어멈춤 구멍(7d)을 대신하는 한 쌍의 걸어멈춤 오목부(7f,7f)가 경사판부(7b)의 상하의 양측부에 형성되어 있다. 물론, 각 걸어멈춤 오목부(7f)는, 제 2 레일(3)이 제 2 위치까지 전진하면, 각 걸어멈춤 오목부(7f,7f)에 걸어멈춤 판부(2d,2d)가 각각 삽입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도 8은, 이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레일(1B)에 있어서는, 스토퍼부재(7)를 대신하여 스토퍼부재(7B)가 이용되고 있다. 이 스토퍼부재(7B)에 있어서는, 제 2 레일(3)이 제 1 위치까지 전진하면, 조작판부(7c)가 걸어멈춤 판부(2d)에 부딪친다. 그 후, 조작판부(7c)의 기초끝단부가 걸어멈춤 판부(2d)를 타고 넘을 때까지는, 제 2 레일(3)의 전진에 수반하여 조작판부(7c)가 걸어멈춤 판부(2d)에 의해서 평판부(3a)측으로 눌려지고, 그것에 의해서 경사판부(7b)가 평판부(3a)측으로 탄성변형되게 된다. 이것으로부터 분명하듯이, 이 슬라이드 레일(1B)에 있어서는, 조작판부(7c)가 가이드부로서 겸용되고 있다. 또한, 스토퍼부재(7B)에는, 두 개의 탄성편(7e,7e)을 대신하여 하나의 탄성편(7g)이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7g)은, 스토퍼부재(7B)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탄성편(7g)의 기초끝단부는, 경사판부(7b)의 걸어멈춤 구멍(7d)의 앞끝단부로 향하는 개소에 경사판부(7b)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탄성편(7g)의 앞끝단부는 슬라이드 레일(1B)의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게다가, 탄성편(7g)은,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평판부(3a)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게 되어 있다. 탄성편(7g)의 앞끝단부는, 탄성편(7g)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서 평판부(3a)의 내면에 누름 접촉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평판부(3a)의 내면 중의 탄성편(7g)이 누름 접촉하는 개소가 접촉부로 이루어진다. 탄성편(7g)은, 평판부(3a)에 항상 누름 접촉되게 되어 있지만, 반드시 항상 누름 접촉시킬 필요는 없고, 제 2 레일(3)이 중간위치와 제 2 위치와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을 때, 평판부(3a)에 누름 접촉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 탄성편(7g)은, 제 2 레일(3)이 제 2 위치 또는 그 근방에 위치하고 있을 때, 걸어멈춤 판부(2d,2d) 사이에 전후방향 및 좌우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파고 들어가 있다.
도 9는, 이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장치(1C)는, 제 1 실시형태의 슬라이드 장치(1)를 약간 변경한 슬라이드 장치(1') 전체를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즉, 슬라이드 장치(1C)는, 슬라이드 장치(1')에 더하여, 고정레일(8), 가동레일(9) 및 슬라이더(10)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레일(8)은, 그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수용부(A1)(도 2 참조)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레일(9)은, 그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을 향하고, 또한 고정레일(8)과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고정레일(8)에 슬라이더(10)를 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가동레일(9)에는, 길이방향을 전후방향으로 향한 제 1 레일(2)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 1 레일(2)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슬라이드 장치(1') 전체가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 장치(1')의 제 1 레일(2)에는, 걸어멈춤 판부(2d)를 대신하여 걸어멈춤 볼록부(걸어멈춤부)(2f)가 설치되어 있다. 걸어멈춤 볼록부(2f)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걸어멈춤 판부(2d,2d) 사이의 공간을 메우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과 동일한 형상, 치수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걸어멈춤 볼록부(2f)는, 걸어멈춤 구멍(7f)에 출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슬라이드 장치(1') 외의 구성은 슬라이드 장치(1)와 같다.
또, 이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판부로서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평판부(2a)측을 향하도록 경사진 경사판부(7b)를 채용하고 있지만, 이러한 경사판 부(7b)를 대신하여, 설치판부(7a)의 앞끝단부에서 평판부(2a)측으로 거의 직각으로 굴곡하여 평판부(2a)측에 접근한 후, 거의 직각으로 굴곡하여 평판부(2a)에 따라서 전방으로 연장되도록, 계단형상으로 굴곡한 형상을 이루는 판부를 이용해도 좋다.
또한, 제 1,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경사판부(7b)가 자연상태가 되어 있을 때에 탄성편(7e)의 전단부가 교차부(3d)에 대해서 이간시켜져 있지만, 경사판부(7b)가 자연스러운 상태가 되어 있을 때에도 탄성편(7e)의 앞끝단부를 교차부(3d)에 접촉시키고 있어도 좋다.
또한,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탄성편(7e) 또는 조작판부(7c)를 가이드부로서 겸용하고 있지만, 탄성편(7e) 및 조작판부(7c)에 대해서 독립한 가이드부를 스토퍼부재(7)에 설치해도 좋다.
이 발명에 관한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는, 책상에 설치되는 제 1 레일과 서랍에 설치되는 제 2 레일을 구비하여, 서랍을 책상에 이동할 수 있게 연결하는 슬라이드 레일에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길이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된 제 1, 제 2 레일을 구비한 슬라이드 레일의 상기 제 1 레일의 상기 제 2 레일과 대향하는 내면의 앞끝단부에 상기 제 2 레일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걸어멈춤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 2 레일의 상기 제 1 레일과 대향하는 내면의 뒤끝단부에 탄성을 갖는 판재로 이루어지는 스토퍼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부재가, 그 스토퍼부재의 기초끝단부에 설치된 설치부와, 이 설치부의 앞끝단부에 연달아 설치된 판부와, 이 판부의 앞끝단부에 연달아 설치된 가이드부를 갖고, 상기 설치부가 상기 제 2 레일의 내면에 고정되며, 상기 판부가 상기 제 2 레일의 내면으로부터 멀어진 상태로 상기 제 2 레일의 앞끝단측으로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제 2 레일이 그 앞끝단측을 향하여 제 1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걸어멈춤부에 부딪치고, 상기 제 2 레일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앞끝단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걸어멈춤부 위를 미끄럼운동하는 것에 의해, 상기 판부가 그 판부의 기초끝단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2 레일측으로 탄성 변위하게 되며, 상기 판부의 앞끝단부에는 걸어멈춤 오목부가 형성되고, 이 걸어멈춤 오목부는, 상기 제 2 레일이 상기 제 1 위치로부터 더 앞끝단측으로 향하여 제 2 위치까지 이동하면, 상기 걸어멈춤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가 상기 걸어멈춤부와 대향하면, 상기 판부가 상기 제 1 레일측으로 탄성적으로 복귀 변위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삽입되고,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걸어맞춤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2 레일이 그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상기 판부에, 상기 제 2 레일측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상기 제 2 레일에 형성된 접촉부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서 상기 판부를 상기 제 1 레일의 내면측으로 탄성적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걸어멈춤부를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삽입시키는 탄성편이 설치되고,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에 삽입되어 있을 때의 상기 제 1, 제 2 레일의 내면끼리의 대향방향으로의 상기 탄성편과 상기 접촉부 사이의 이간거리가, 상기 걸어멈춤부의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로의 삽입거리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의 뒤끝단면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레일이 그 앞끝단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멈춤부가 상기 걸어멈춤 오목부의 앞끝단면에 부딪치는 것에 의해, 상기 제 2 레일이 그 뒤끝단측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이, 상기 가이드부로서 겸용되도록, 상기 판부의 앞끝단부에서 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제 2 레일에 접근하도록 경사지게 되고, 게다가 상기 제 2 레일이 그 앞끝단측으로 향하여 상기 제 1 위치까지 이동했을 때에 상기 탄성편의 상기 제 1 레일측을 향하는 면이 상기 걸어멈춤부에 부딪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일에 상기 탄성편의 앞끝단부가 삽입되는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이 관통구멍의 안둘레면과 상기 제 2 레일의 내면과의 교차부에 상기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길이방향을 상기 제 1, 제 2 레일의 길이방향과 일치시킨 고정레일 및 가동레일을 더 구비하고, 상기 가동레일이 상기 고정레일에 그 길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연결되고, 상기 가동레일에 상기 제 1 레일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KR1020067022328A 2004-03-30 2005-03-07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KR1011733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813584 2004-03-30
US10/813,584 US6942307B1 (en) 2004-03-30 2004-03-30 Stopper apparatus for slide rail
PCT/JP2005/003845 WO2005096887A1 (ja) 2004-03-30 2005-03-07 スライドレールのストッパ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679A KR20070012679A (ko) 2007-01-26
KR101173318B1 true KR101173318B1 (ko) 2012-08-10

Family

ID=34912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328A KR101173318B1 (ko) 2004-03-30 2005-03-07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42307B1 (ko)
JP (1) JP4324611B2 (ko)
KR (1) KR101173318B1 (ko)
CN (1) CN1937935B (ko)
HK (1) HK1098313A1 (ko)
TW (1) TWI255171B (ko)
WO (1) WO20050968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4244B2 (en) * 2003-05-14 2008-04-2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User-controllable latching carrier rail system
TWM244716U (en) * 2003-08-06 2004-09-21 Hon Hai Prec Ind Co Ltd Latch device for slide members
MX2008002009A (es) * 2005-08-11 2008-03-27 Accuride Int Ltd Mejoras en o con relacion a soportes deslizantes.
US20080012199A1 (en) * 2006-07-14 2008-01-17 Young-Min Kim Paper cassette having manual paper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7731312B2 (en) * 2007-04-05 2010-06-08 King Slide Works Co., Ltd. Retaining mechanism for a slide assembly
CN201048713Y (zh) * 2007-06-07 2008-04-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轨装置
JP4981591B2 (ja) * 2007-09-07 2012-07-25 日本アキュライド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
US8147011B2 (en) * 2009-12-04 2012-04-03 King Slide Works Co., Ltd. Slide assembly
KR101020406B1 (ko) * 2010-09-30 2011-03-08 장순보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CN102548331B (zh) * 2010-12-09 2016-02-03 青岛橡胶谷知识产权有限公司 滑轨固定装置
DE102011051138A1 (de) 2011-06-17 2012-12-20 Schock Metallwerk Gmbh Auszugführung
CN102846046B (zh) * 2011-07-01 2014-03-26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滑轨总成的连接构造
CN102883578A (zh) * 2011-07-13 2013-01-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轨卡锁装置
DE102011052524A1 (de) * 2011-08-09 2013-02-14 Schock Metallwerk Gmbh Auszugführung
TWI461164B (zh) * 2011-08-19 2014-11-21 King Slide Works Co Ltd 具有連動定位構造的滑軌總成
CN102949018B (zh) * 2011-08-23 2015-02-25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连动定位构造的滑轨总成
US8528999B2 (en) * 2011-09-06 2013-09-10 King Slide Works Co., Ltd. Slide assembly with positioning device
US8876232B2 (en) 2011-10-27 2014-11-04 Rsi Home Products Management, Inc. Drawer glide mechanism
JP5820829B2 (ja) * 2013-01-24 2015-11-24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9313914B2 (en) * 2013-03-13 2016-04-12 Jonathan Manufacturing Corporation Slide assembly
JP6156193B2 (ja) * 2014-02-28 2017-07-05 日本電気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および機器搭載ラック
WO2015171945A1 (en) 2014-05-09 2015-11-12 Rsi Home Products Management, Inc. Drawer glide mechanism
JP6396132B2 (ja) * 2014-09-12 2018-09-26 日本アキュライド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のブレーキ装置
TWI548367B (zh) * 2015-08-31 2016-09-11 King Slide Works Co Ltd 滑軌總成
CN106880197B (zh) * 2015-12-10 2019-01-04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滑轨总成
KR102496370B1 (ko) 2016-03-07 2023-0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일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DE102016217940A1 (de) * 2016-09-20 2018-03-22 BSH Hausgeräte GmbH Haushaltsgeschirrspülmaschine
CN111132495B (zh) * 2018-10-30 2021-09-10 川湖科技股份有限公司 滑轨总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769A (ja) 2000-03-30 2001-10-09 Nippon Akyuraido Kk スライドレール
JP2003299537A (ja) 2002-04-10 2003-10-21 Nippon Akyuraido Kk スライドレールにおける部材取付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77702A (en) * 1940-12-14 1942-03-31 Kennedy Mfg Company Slide suspension
US3650578A (en) * 1969-09-10 1972-03-21 Instrument Systems Corp Quick disconnect slide structure
DE3009095A1 (de) * 1980-03-10 1981-09-17 Birkel, Hans Ernst, 5461 Hümmerich Vorrichtung zur loesbaren befestigung eines aus einem gestell ausziehbaren traegers
JPS5843256U (ja) * 1981-09-17 1983-03-23 日本アキユライド株式会社 抽斗等のレ−ルのストツパ−装置
JPS59130549U (ja) * 1983-02-22 1984-09-01 日本アキユライド株式会社 抽斗等のレ−ルのストツパ−装置
JPS6059821U (ja) * 1983-09-30 1985-04-25 プルトンチエン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ル
JPS60125936U (ja) * 1984-01-30 1985-08-24 吉田殖産相互株式会社 引出しの抜け止め装置
JPH0517952Y2 (ko) * 1987-06-19 1993-05-13
JPH02134044U (ko) * 1989-04-14 1990-11-07
US4998828A (en) * 1989-10-02 1991-03-12 General Devices Co., Inc. Over and under telescoping slide assembly
JPH0664542U (ja) * 1993-02-23 1994-09-13 スカイテクノ株式会社 スライドレールのストッパ装置
JP2541480B2 (ja) 1993-10-06 1996-10-09 日本電気株式会社 擬似乱数発生装置
US6373707B1 (en) * 2000-06-02 2002-04-16 Astec International Limited Module mounting slide clamp mechanism
CN2428019Y (zh) * 2000-06-23 2001-05-02 盈达滑轨股份有限公司 抽屉滑轨的改进结构
CN2501374Y (zh) * 2001-09-07 2002-07-24 川湖工厂股份有限公司 具有后段栓锁的滑轨
US6585337B1 (en) * 2002-02-19 2003-07-01 King Slide Works Co., Ltd. Forward pull type latch structure of a slide
JP2003325256A (ja) * 2002-05-09 2003-11-18 Nippon Akyuraido Kk スライドレー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769A (ja) 2000-03-30 2001-10-09 Nippon Akyuraido Kk スライドレール
JP2003299537A (ja) 2002-04-10 2003-10-21 Nippon Akyuraido Kk スライドレールにおける部材取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942307B1 (en) 2005-09-13
JP4324611B2 (ja) 2009-09-02
HK1098313A1 (en) 2007-07-20
TWI255171B (en) 2006-05-21
TW200534811A (en) 2005-11-01
CN1937935B (zh) 2011-12-21
CN1937935A (zh) 2007-03-28
JPWO2005096887A1 (ja) 2008-02-21
KR20070012679A (ko) 2007-01-26
WO2005096887A1 (ja) 2005-10-20
US20050218762A1 (en)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318B1 (ko)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JP4246208B2 (ja) ロック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US8020905B2 (en) Engaging and fixing structure and engaging and fixing method
US7946872B2 (en) Cable connector
US10827836B2 (en) Slide rail assembly
EP3505007B1 (en) Slide rail assembly
JPH06169823A (ja) ラッチ装置
CN100349328C (zh) 卡连接器
JP6724075B2 (ja) スライドレールアセンブリ
US20030062730A1 (en) Latch and drawer device using latch
EP1439326A1 (en) Rack-and-pinion gear mechanism
JP7078827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JP3420010B2 (ja) カードコネクタの誤挿入防止装置
JP7078828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JP3697128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ロック装置
JP6668652B2 (ja) 直動案内装置、直動案内装置用エンドキャップ
US7275938B2 (en) Socket for semiconductor package
JPH0664542U (ja) スライドレールのストッパ装置
JP4699705B2 (ja) スライドレールの収納時保持装置
US20240115043A1 (en) Slide rail assembly
CN115299721A (zh) 滑轨总成
JP2021029486A (ja) スライドレールのストッパー装置
JPH084538B2 (ja) 抽斗等のスライドレール
JP5038799B2 (ja) スライドスイッチの可動盤
JP2930064B1 (ja) プリント基板の脱落防止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