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0406B1 -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 Google Patents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0406B1
KR101020406B1 KR1020100095385A KR20100095385A KR101020406B1 KR 101020406 B1 KR101020406 B1 KR 101020406B1 KR 1020100095385 A KR1020100095385 A KR 1020100095385A KR 20100095385 A KR20100095385 A KR 20100095385A KR 101020406 B1 KR101020406 B1 KR 10102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pper
case
interlocking
guide rail
faste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5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순보
Original Assignee
장순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순보 filed Critical 장순보
Priority to KR1020100095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0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0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49/00Other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73Braking devices, e.g. linear or rotational dampers or friction brakes; Buffers; End stops
    • A47B88/477Buffers; End st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61C3/02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with electric accum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6Rail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30/00Transportation of goods or passengers via railways, e.g. energy recovery or reducing air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박스나 케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과 그 가이드롤의 체결구조로서, 이들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가 의도치 않은 경우에 연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슬라이딩식 레일이나 절첩식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가 레일의 끝단으로 이동을 하면, 돌출되는 스톱퍼유닛이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롤을 락킹하여 의도치 않은 연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stopper of box case}
본 발명은 다양한 박스나 케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과 그 가이드롤의 체결구조로서, 이들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가 의도치 않은 경우에 연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슬라이딩식 레일이나 절첩식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가 레일의 끝단으로 이동을 하면, 돌출되는 스톱퍼유닛이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롤을 락킹하여 의도치 않은 연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타고 수납함이나 케이스를 전방으로 빼내어 사용을 하고, 불필요할 경우에 다시 내장시킬 때, 사용될 수 있는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과 같은 연동방지 스톱퍼는 케이스를 필요시에만 가이드레일을 타고 빼내어 사용되는 것으로, 사용 중 작업자나 사용자가 불필요한 터치나 가압을 통해서 케이스가 다시 내장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서처럼, 종래의 경우 철도차량 즉, 전철(K)의 하단에 장착되는 배터리(D) 박스(A)는, 필요시 작업자가 전방으로 빼내고, 수리나 유지 보수 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집어넣어, 차량(K)의 바퀴(W)측 하단에 장착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D) 케이스(2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첫째,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서 상기 배터리 케이스(20)를 전철(K)의 외부로 빼내게 되는데, 이러한 작업 중에 작업자가 케이스의 전방을 가압하게 되면 후방으로 밀려 전철(K)의 하단으로 다시 내장된다. 작업을 계속해야 하는데 조그마한 힘에 의해서도 의도치 않게 연동하여 작업을 힘들게 하는 것이다.
둘째, 혹시 작업을 하다가 후방으로 작용되는 힘이 있다면, 이 힘에 의해서 케이스(20)는 후방으로 밀리게 되고, 이러한 연동작동에 의해서 소망하던 작업을 하기 어렵다. 이를 위해서 한 사람은 케이스(20)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잡고 다른 한 사람이 배터리(D)나 그 케이스(20)에 필요한 작업을 수행하기에 어려움이 많다.
본 발명은 다양한 박스나 케이스를 이동시키기 위한 가이드레일과 그 가이드롤의 체결구조로서, 이들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가 의도치 않은 경우에 연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슬라이딩식 레일이나 절첩식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가 레일의 끝단으로 이동을 하면, 돌출되는 스톱퍼유닛이 상기 케이스의 가이드롤을 락킹하여 의도치 않은 연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는,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20)의 가이드롤(30) 외곽으로 둘러싸는 지지관(31);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서 가이드레일(10)을 상하로 관통된 연동공(15)에 설치되는, 스톱퍼유닛(40);이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20)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돌출된 후, 가이드롤(30)의 지지관(31)이 스톱퍼유닛(40)에 걸려 의도치 않는다면, 케이스(20)가 내부로 연동되는 것을 방지시킨다.
또한 본 발명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에 따른, 스톱퍼유닛(40)은, 가이드레일(10)의 연동공(15)에 설치하되 상기 연동공(15) 관통하고,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하는 연동바(41); 상기 연동바(41)의 끝단에 장착되는 스톱퍼블럭(42); 상기 연동바(41)가 상하방향으로 연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가이드레일(10)의 하단에 체결되는 지지프레임(4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스(20)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동하면, 연동바(41)가 상승하여 케이스(20)의 가이드롤(30) 지지관(31) 내측으로 삽입되어 케이스(20)가 연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 지지프레임(43)의 외측까지 관통하여 돌출되는 연동바(41)의 끝단에는 연동바(41)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으로 체결되는 손잡이블럭(44); 연동바(41)의 외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며, 지지프레임(4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탄성스프링(45); 상기 탄성스프링(45)의 끝단에 면접하도록 상기 연동바(41)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스톱퍼링(46);이 결합하여, 상기 탄성스프링(45)의 탄성력이 스톱퍼링(46)을 밀어, 항상 연동바(41)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며 : 연동바(41)의 끝단에 체결되는 스톱퍼블럭(42)은, 타고 내려오는 가이드롤(30)의 방향으로는 테이퍼진 테이퍼면(48)을 형성하여 지지관(31)이 연동바(41)를 밀어 연동바(41)를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에 따른,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는 가이드레일(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되는 스톱퍼플레이트(51); 상기 스톱퍼플레이트(51)에 체결되는 충격 흡수를 위한 저지패킹(52);을 체결하여 가이드롤(30)의 지지관(31)이 저지패킹(52)에 면접하여 케이스(20)가 더 이상 돌출되는 현상을 차단하고 : 가이드레일(10)은, 제1가이드레일(11)의 끝단에 힌지(13)를 통해서 체결되는 제2가이드레일(12)을 형성하여, 절첩식 형태의 가이드레일(10)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철도차량의 배터리 케이스가 필요시에만 돌출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며, 작업자에 의해서 의도치 않은 상태에서 다시 수납되어 수리와 유지 보수의 작업을 힘들게 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철도차량의 절첩식 가이드레일에 적용되어 레일을 펼친 후, 배터리 케이스를 빼내고 배터리 수리와 유지 및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기존의 철도차량의 가이드레일에 간단하게 체결하여 작업자에 의해서 의도치 않게 케이스가 내장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나 본 발명의 일반적인 전철의 배터리 박스와 케이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박스의 체결형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케이스가 돌출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유닛을 전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유닛을 단면하여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톱퍼유닛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박스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을 사용하는 다양한 박스, 함, 서랍 및 케이스가 가이드레일을 타고 연동되는 현상을 방지시키기 위한 연동방지 스톱퍼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과 그 작용을 도시된 도 2 내지 8을 통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20)의 가이드롤(30) 외곽으로 둘러싸는 지지관(31)이 있고,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서 가이드레일(10)을 상하로 관통된 연동공(15)에 설치되는, 스톱퍼유닛(40)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20)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돌출된 후, 가이드롤(30)의 지지관(31)이 스톱퍼유닛(40)에 걸려 의도치 않는다면, 케이스(20)가 내부로 연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사실상 전철의 배터리(D) 케이스(20)를 가이드하고, 그 케이스(20)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창안된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본 발명의 스톱퍼 구조는 다양한 함, 서랍, 케이스에 적용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일반적인 가구의 서랍 가이드레일에 적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주요한 특징은 서랍이 일단 전진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고 나면, 이 상태를 작업자나 사용자가 의도한 시간까지 유지시킬 수 있는 스톱퍼이어야 한다. 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대상에는 모두 본 발명의 스톱퍼가 장착되어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보다 세밀한 설명을 위해서 전철(K)의 배터리(D) 케이스(20)를 실례로 아래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경우, 전철(K)의 배터리(D) 박스(A)나 케이스(20)에 적용되어 사용된다. 전철(K)의 경우 전력을 통해서 작동되는 차량이다. 간혹 정전이나 전력이 떨어진 구간을 지날 때에는 전력의 공급이 끊어지기에 차량의 동력을 얻기 힘들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전철(K)의 경우, 전철(K) 차량의 바퀴(W) 사이에 별도의 배터리(D)를 장착한 상태에서 운행을 한다. 이 배터리(D)는 만일에 발생될 수 있는 전력이 공급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전력 공급을 위해서 장착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터리(D) 박스(A)는 차량의 운행이 중지된 경우에 다음의 운행을 위해서 유지와 보수를 위한 검사의 절차를 거쳐야만 하는데, 이때는 도시된 도 2에서처럼, 케이스(20)를 빼내고 검사를 한다. 지하철(전철)의 경우 지하철역에서 정차하고 승객을 태우고 내리는 과정을 반복해야만 한다. 사실상 검사와 유지 보수를 위해서는 상기 배터리(D) 케이스(20)를 빼내야만 하지만, 운행 중에는 항상 케이스(20)를 지하철의 바닥 하단인 바퀴(W)와 동일 수준으로 수납한 상태로 운행되어야만 하는 것이다.
결국 이러한 지하철의 배터리(D)와 그 케이스(20)는 필요시에는 돌출시켜 수리와 유지 보수를 하고 나서, 다시 차량의 바닥으로 내장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 상기 배터리(D) 케이스(20)는 항상 필요시에만 돌출될 수 있는 가이드레일(10)이 필요하며, 그 가이드레일(10)도 필요시 길이의 연장이 가능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가이드레일(10)을 사용함에 있어서,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돌출된 케이스(20)를 일정한 위치에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마련된 도구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 더하여, 상기 케이스(20)를 필요시에 항상 돌출시켜 작업을 하다가, 작업자가 기대거나 밀어 넣는 힘이 작용되면, 가이드레일(10)을 타고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이다.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는데, 조그마한 힘이나 의도치 않은 힘이 작용하여 케이스(20)가 연동하게 되면 작업이 어렵고, 필요한 작업에서 사용되는 힘이 케이스(20)를 밀어주는 방향으로 작용되면 케이스(20)가 전방과 후방으로 연동하기에 적절한 작업이 어렵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일단 케이스(20)를 적당한 위치로 돌출시키고, 이 위치를 어느 정도 고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스톱퍼는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 장착된다. 가이드레일(10)에는 회전을 통해서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이동될 수 있는 가이드롤(30)이 걸쳐지게 되는데, 이 가이드롤(10)은 케이스(20)의 일측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이다. 도시된 도 2 내지 4에서처럼, 가이드롤(30)은 케이스(20)의 상단 좌우측 전방과 후방에 4개가 장착된다. 필요할 경우에 6개나 8개가 장착될 수 있으며, 더 많은 량의 가이드롤(30)을 장착해도 무방하다. 이러한 케이스(20)의 가이드롤(30)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회전하면서 케이스(20)를 전방과 후방으로 연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스톱퍼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 체결되어 가이드레일(10)을 타고 돌출되는 케이스(20)의 가이드롤(30) 지지관(31)에 끼워져 위치 고정시키는 것이다.
다수의 가이드롤(30) 중 전방에 위치한 가이드롤(30)의 지지관(31)의 내부에 가이드레일(10)에서 돌출되는 스톱퍼유닛(40)이 끼워져 가이드롤(30)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의 케이스(20)는 일단 한 번 작업을 위해서 전방으로 돌출되고 나서는 작업자가 후 작업을 위해서 상기 스톱퍼유닛(40)을 제거하기 전까지 그 위치를 고수하게 된다. 작업자가 스톱퍼유닛(40)을 제거하고, 다시 상기 케이스(20)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케이스(20)는 전철(K)의 바퀴(W) 하단으로 끼어 들어가 내장되고, 전철(K)의 운행에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
그럼 본 발명에 따른 보다 상세한 실시예들을 도시된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그중 본 발명의 요부가 될 수 있는 상기 스톱퍼유닛(40)을 도시된 도 5 내지 7과 함께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톱퍼유닛(40)은, 가이드레일(10)의 연동공(15)에 설치하되 상기 연동공(15)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하는 연동바(41)가 있고, 상기 연동바(41)의 끝단에 장착되는 스톱퍼블럭(42)이 있으며, 상기 연동바(41)가 상하방향으로 연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가이드레일(10)의 하단에 체결되는 지지프레임(43)이 있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20)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동하면, 연동바(41)가 상승하여 케이스(20)의 가이드롤(30) 지지관(31) 내측으로 삽입되어 케이스(20)가 연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스톱퍼유닛(40)의 결합의 형태와 그 작동의 방식을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는 연동공(15)을 형성하고, 이 연동공(15)에 바 형태의 연동바(41)를 끼우게 된다. 이 연동바(41)의 끝단에는 스톱퍼블럭(42)이 체결되는데, 연동바(41)가 연동하여 이 스톱퍼블럭(42)이 상하 방향으로 연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연동바(41)와 스톱퍼블럭(42)이 연동공(15)의 내부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동하면서 위치를 확보할 수 있도록 연동공(15)의 타측방향 즉, 가이드레일(10)의 하단에는 지지프레임(43)이 체결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전철(K)의 바닥판 하단에서 케이스(20)를 빼내게 되면, 상기 케이스(20)는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전방으로 돌출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단에 가이드롤(30)이 얹혀진 상태이고, 상기 가이드롤(30)은 그 외곽으로 둘러싼 지지관(31)을 통해서 상기 케이스(20)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상기 가이드롤(30)이 가이드레일(10)의 상단면을 타고 회전하며 이동하는 것이다. 가이드롤(30)이 가이드레일(10)의 끝단까지 회전하여 전진을 하면, 상기 케이스(20)도 전철(K)의 외곽으로 돌출되며 배터리(D)를 빼내게 되는데, 이때 가이드레일(10)의 연동공(15)에 내장된 연동바(41)가 상승하여 가이드롤(30)을 감싸는 지지관(31)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20)가 후방으로 가압되는 힘을 받게 되어도, 가이드레일(10)에서 상부로 돌출되는 스톱퍼블럭(42)이 가이드롤(30) 지지관(31)에 끼워진 상태이기에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된다. 물론 작업자가 의도하여 상기 케이스(20)를 수납하고자 하면, 상기 연동바(15)를 하단으로 잡아당기고, 지지관(31)에 끼인 스톱퍼블럭(42)을 제거하게 되면, 용이하게 수납이 가능하다. 이 작용에 따라 작업자는 편리하게 수리와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 중 케이스(20)에 기대게 되어도 후방으로 밀리는 일이 발생되지 않는다.
그럼 이러한 상기 스톱퍼유닛(40)에서 상기 연동바(15)가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하향하여 락킹을 해제하기 위한 구성과 그 작용을 살펴본다.
즉, 이러한 작용을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프레임(43)의 외측까지 관통하여 돌출되는 연동바(41)의 끝단에는 연동바(41)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으로 체결되는 손잡이블럭(44)을 형성하고, 연동바(41)의 외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며, 지지프레임(4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탄성스프링(45)을 두고, 상기 탄성스프링(45)의 끝단에 면접하도록 상기 연동바(41)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스톱퍼링(46)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들이 결합하여, 상기 탄성스프링(45)의 탄성력이 스톱퍼링(46)을 밀어, 항상 연동바(41)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는 것이다.
연동바(41)는 항상 상승하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받기 위해서 도시된 도 5 내지 7에서처럼, 그 외주면에 탄성스프링(45)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탄성스프링(45)은 가이드레일(10) 하단에 체결된 지지프레임(43)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며, 연동바(41)의 외주면에 체결된 스톱퍼링(46)에 일측이 면접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상기 탄성스프링(45)은 그 인장력이 항상 발휘되어 연동바(41)를 상승시킨다. 탄성스프링(45)의 일측단은 지지프레임(43)의 내측에 일측단을 면접하고, 타측단은 연동바(41)의 외주면에 체결된 스톱퍼링(46)과 면접한다. 따라서 탄성스프링(45)의 인장력은 스톱퍼링(46)을 밀어 상승시키는 것이다. 스톱퍼링(46)은 연동바(41)의 외주면에 체결된 상태이기에 결국 상기 연동바(41)가 상승하고, 그 연동바(41)의 끝단에 고정된 스톱퍼블럭(42)이 상승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발명의 스톱퍼블럭(42)과 연동바(41)는 항상 상승하는 힘을 받고 있으며, 필요시에만 상기 연동바(41)의 하단에 체결된 손잡이블럭(44)을 잡고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작용은 상당히 중요하다.
작업자가 케이스(20)를 잡고 전방으로 돌출시키게되면, 가이드롤(30)이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가이드롤(30)의 지지관(31)이 가이드레일(10)의 끝단 스톱퍼유닛(40)이 설치된 위치까지 밀려나오게 되면, 상기 스톱퍼블럭(42)이 지지관(31)의 내측으로 끼워진다. 모두 자동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모두 상기 탄성스프링(45)의 탄성력에 의해서 발생된다. 항상 탄성스프링(45)의 인장력에 의해서 스톱퍼유닛(40)의 연동바(41)와 스톱퍼블럭(42)은 상승하려는 힘들 받고 있고, 굴러 나오는 가이드롤(30)의 외곽 지지관(31)이 상기 스톱퍼블럭(42)을 밀어주게 되면 그 힘에 의해서 탄성스프링(45)은 가압되면서 연동바(41)가 하향으로 한다. 그리고 하향되어 그 탄성스프링(45)의 인장력이 작용하여 다시 돌출되면서 지지관(31)의 내측으로 끼워지며 락킹을 달성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용이하게 하는 수단은 도시된 도 5 내지 7과 같은 테이퍼면(48)인데, 후술한다. 아무튼 이러한 작동으로 배터리(D) 케이스(20)를 외부로 빼고 나서 작업을 완성한 후, 작업자는 연동바(41)의 하단 즉, 가이드레일(10)의 하단으로 돌출된 손잡이블럭(44)을 잡고 연동바(41)를 하향시켜 스톱퍼블럭(42)을 지지관(31)의 내측에서 빼내고 난 후, 케이스(20)를 밀어 전철(K)의 바닥 아래로 수납시키게 된다.
결국 간단한 작동만으로 본 발명은 케이스(20)의 수리와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전술된 것처럼, 연동바(41)의 자동 승하강을 보다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된 도 5에서처럼, 다음과 같은 실시예를 창안했다. 즉, 연동바(41)의 끝단에 체결되는 스톱퍼블럭(42)은, 타고 내려오는 가이드롤(30)의 방향으로는 테이퍼진 테이퍼면(48)을 형성하여 지지관(31)이 연동바(41)를 밀어 연동바(41)를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스톱퍼블럭(42)의 일측면을 사선으로 절개하여 테이퍼면(48)을 형성하면, 수평방향으로 작용되는 지지관(31)의 가압력을 수직방향의 연동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유리하다. 지지관(31)이 스톱퍼블럭(42)의 테이퍼면(48)을 가압하면, 상기 테이퍼면(48)을 비스듬하게 밀면서 연동바(41)를 하향시키는 것이다. 이 작용에 따라 연동바(41)는 용이하게 하향하고, 다시 탄성스프링(45)의 탄성력을 통해서 상승하여 락킹 작용을 수행할 수 있다.
도시된 도 2 내지 7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즉,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20)의 전방 돌출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케이스(20)는 항상 돌출되어 작업을 수행하고, 수납되어 운행되는 방식을 추구한다. 그리고, 이 케이스(20)는 절첩식이나 슬라이딩식 가이드레일(10)을 타고 항상 이동하여야 한다. 너무 많이 전방으로 돌출되면 지면 방향으로 강한 토오크가 작용하여 내구성을 떨어트릴 소지가 있다. 결국 절첩식이나 슬라이딩식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서는 항상 고정된 위치를 확보해야만 한다. 전술된 것처럼 본 발명은 이를 위해서 스톱퍼유닛(40)을 구성하고 있지만, 보다 근원적으로 차단하는 보조적인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추가하여 목적을 달성하였다.
즉,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는 가이드레일(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되는 스톱퍼플레이트(51)을 형성하고, 상기 스톱퍼플레이트(51)에 체결되는 충격 흡수를 위한 저지패킹(52)을 체결하여 가이드롤(30)의 지지관(31)이 저지패킹(52)에 면접하여 케이스(20)가 더 이상 돌출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것이다.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 상기 가이드레일(10)의 상부로 돌출되는 스톱퍼플레이트(51)를 체결하고, 상기 스톱퍼플레이트(51)에 저지패킹(52)을 장착하는 것이다. 상기 저지패킹(52)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20)와 대항하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20)가 이동하여 가이드레일(10)의 끝단으로 오게 되면, 상기 저지패킹(52)이 케이스(20)의 전방과 면접하면서 더 이상의 전방이동을 차단하게 된다. 더 이상의 이동거리를 차단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전술된 스톱퍼유닛(40)은 상기 지지관(31)의 내측에 스톱퍼블럭(42)을 끼워 케이스(20)의 움직임을 차단하기에 이중적인 락킹의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의 출원인이 실시한 상기 스톱퍼유닛(40)은 사실상 도시된 도 2 내지 4에서처럼, 절첩식의 가이드레일(10)을 위해 실시하였다. 물론 이는 슬라이딩식 가이드레일(10)에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실시예의 가이드레일(10) 중 절첩 방식의 가이드레일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실시예를 설명하자면, 도 2 내지 4에서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이드레일(10)은, 제1가이드레일(11)의 끝단에 힌지(13)를 통해서 체결되는 제2가이드레일(12)을 형성하여, 절첩식 형태의 가이드레일(10)로 형성된다.
제1가이드레일(11)의 끝단에 제2가이드레일(12)이 힌지(13)를 통해서 연결시키고, 케이스(20)를 빼낼 때, 그 가이드레일(10)을 연장시키기 위해서 상기 제2가이드레일(12)을 연동시켜 제1가이드레일(11)과 수평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케이스(20)를 잡고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전방으로 빼내는 것이다. 제1가이드레일(11)을 타고 전방으로 이동하던 케이스(20)는 힌지(13)를 통해서 연결된 제2가이드레일(12)을 타고 더 이동하여 그 이동거리를 연장시키게 된다. 이러한 절첩식 가이드레일(10)을 그 내구성이 더 뛰어나기에 본 발명을 실시한 지하철 배터리(D) 케이스(20)의 가이드레일(10)로 활용되기 유리하다.
마지막으로 도면에서 실시된 본 발명의 배터리 박스(A)의 구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이 실시된 배터리 박스(A)는 내측에 케이스(20)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전방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물론 배터리 박스(A)는 상단의 클램프(1)를 통해서 전철(K)의 바닥면에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이다. 전방의 상단으로는 도시된 걸이핀(2)이 형성되어 있기에 이 걸이핀(2)에 도어패널(B)의 걸림판(3)을 걸어 도어패널(B)을 장착할 수 있도록 한다.
10; 가이드레일 20; 케이스
15; 연동공 30; 가이드롤
31; 지지관 40; 스톱퍼유닛
41; 연동바 42; 스톱퍼블럭
43; 지지프레임 44; 손잡이블럭
45; 탄성스프링 46; 스톱퍼링
48; 테이퍼면 51; 스톱퍼플레이트
52; 저지패킹

Claims (6)

  1.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이동하는 케이스(20)의 가이드롤(30) 외곽으로 둘러싸는 지지관(31);
    가이드레일(10)의 연동공(15)에 설치하되 상기 연동공(15)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여 위치하는 연동바(41), 상기 연동바(41)의 끝단에 장착되는 스톱퍼블럭(42), 상기 연동바(41)가 상하방향으로 연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가이드레일(10)의 하단에 체결되는 지지프레임(43);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스(20)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동하면, 연동바(41)가 상승하여 케이스(20)의 가이드롤(30) 지지관(31) 내측으로 삽입되어 케이스(20)가 연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톱퍼유닛(40);이 결합하여 상기 케이스(20)가 가이드레일(10)을 타고 돌출된 후, 가이드롤(30)의 지지관(31)이 스톱퍼유닛(40)에 걸려 의도치 않는다면, 케이스(20)가 내부로 연동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프레임(43)의 외측까지 관통하여 돌출되는 연동바(41)의 끝단에는 연동바(41)의 지름에 비하여 큰 지름으로 체결되는 손잡이블럭(44);
    연동바(41)의 외부를 감싸도록 끼워지며, 지지프레임(43)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탄성스프링(45);
    상기 탄성스프링(45)의 끝단에 면접하도록 상기 연동바(41)의 외주면에 체결되는 스톱퍼링(46);이 결합하여, 상기 탄성스프링(45)의 탄성력이 스톱퍼링(46)을 밀어, 항상 연동바(41)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힘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4. 제1항 또는 3항에 있어서,
    연동바(41)의 끝단에 체결되는 스톱퍼블럭(42)은,
    타고 내려오는 가이드롤(30)의 방향으로는 테이퍼진 테이퍼면(48)을 형성하여 지지관(31)이 연동바(41)를 밀어 연동바(41)를 하향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레일(10)의 끝단에는 가이드레일(10)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체결되는 스톱퍼플레이트(51);
    상기 스톱퍼플레이트(51)에 체결되는 충격 흡수를 위한 저지패킹(52);을 체결하여 가이드롤(30)의 지지관(31)이 저지패킹(52)에 면접하여 케이스(20)가 더 이상 돌출되는 현상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6. 제1항에 있어서,
    가이드레일(10)은,
    제1가이드레일(11)의 끝단에 힌지(13)를 통해서 체결되는 제2가이드레일(12)을 형성하여, 절첩식 형태의 가이드레일(1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KR1020100095385A 2010-09-30 2010-09-30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KR10102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385A KR101020406B1 (ko) 2010-09-30 2010-09-30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5385A KR101020406B1 (ko) 2010-09-30 2010-09-30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20406B1 true KR101020406B1 (ko) 2011-03-08

Family

ID=43938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5385A KR101020406B1 (ko) 2010-09-30 2010-09-30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04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53B1 (ko) 2011-03-25 2013-03-1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배터리 이탈방지용 트레이
KR101296673B1 (ko) 2011-11-22 2013-08-14 주식회사 오성기전 철도차량용 축전지 보관함
GB2541258A (en) * 2015-08-11 2017-02-15 Vivarail Ltd Electric rail carriage
US11904707B2 (en) 2018-06-01 2024-02-20 First Greater Western Limited Rail transport vehicle electric energy storage and charg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906U (ko) * 1999-02-10 2000-09-25 구자홍 김치전용 냉장고용 롤러
KR100431034B1 (ko) 2002-04-04 2004-05-1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김치 저장고의 가이드 레일
KR20070012679A (ko) * 2004-03-30 2007-01-26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KR100700784B1 (ko) 2005-04-18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6906U (ko) * 1999-02-10 2000-09-25 구자홍 김치전용 냉장고용 롤러
KR100431034B1 (ko) 2002-04-04 2004-05-12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서랍식 김치 저장고의 가이드 레일
KR20070012679A (ko) * 2004-03-30 2007-01-26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 레일의 스토퍼장치
KR100700784B1 (ko) 2005-04-18 2007-03-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도어닫힘 방지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2153B1 (ko) 2011-03-25 2013-03-11 현대로템 주식회사 철도차량의 배터리 이탈방지용 트레이
KR101296673B1 (ko) 2011-11-22 2013-08-14 주식회사 오성기전 철도차량용 축전지 보관함
GB2541258A (en) * 2015-08-11 2017-02-15 Vivarail Ltd Electric rail carriage
WO2017025751A1 (en) * 2015-08-11 2017-02-16 Vivarail Ltd Electric rail carriage
US10899369B2 (en) 2015-08-11 2021-01-26 Vivarail Ltd. Electric rail carriage
GB2541258B (en) * 2015-08-11 2021-04-28 Vivarail Ltd Electric rail carriage
US11904707B2 (en) 2018-06-01 2024-02-20 First Greater Western Limited Rail transport vehicle electric energy storage and charg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406B1 (ko) 박스 케이스의 연동방지 스톱퍼
US6273435B1 (en) Trailer with non-tilting movable bed
KR101386726B1 (ko) 쓰레기 수거차량의 적재장치
CN201481857U (zh) 消毒柜或厨柜抽屉的自动抽拉提升装置
US8950732B2 (en) Toilet dolly
CN101714618B (zh) 车载电池箱的导向滑动机构
US4553727A (en) Extendible jack stand adapted for remote control
US4252492A (en) Detachable lift unit for pickup trucks
CN104495493B (zh) 节能型安全气囊折叠装置
CN206553845U (zh) 铁路待换新轨应力放散车
CN201532978U (zh) 车载电池箱的导向滑动机构
CN216835753U (zh) 一种建筑装修垃圾自动导向皮带输送机
CN212168781U (zh) 一种用于超宽折弯机上下料平台的翻转台面机构
CN211724459U (zh) 一种消防车用的抽拉踏板
CN108482525A (zh) 单车防盗收纳装置及其工作方法
KR20130109625A (ko) 대차용 훨 직립장치
CN206551959U (zh) 手动抽拉式导板的锁止机构
CN206685703U (zh) 充气柜、断路器装置及其高度锁紧机构
KR101154263B1 (ko) 트럭용 범퍼 스텝
KR20110005798U (ko) 무대용 수납장
CN202726904U (zh) 工具车
US4558846A (en) Mobile power unit for a jacking system
DE19944382C1 (de) Sitz- und Liegemöbel
CN216883722U (zh) 一种用于打开车门的工具
DE102017113197A1 (de) Transportbox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