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09625A - 대차용 훨 직립장치 - Google Patents

대차용 훨 직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09625A
KR20130109625A KR1020120031517A KR20120031517A KR20130109625A KR 20130109625 A KR20130109625 A KR 20130109625A KR 1020120031517 A KR1020120031517 A KR 1020120031517A KR 20120031517 A KR20120031517 A KR 20120031517A KR 20130109625 A KR20130109625 A KR 201301096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unit
rotating
upper por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현국
서태성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31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09625A/ko
Publication of KR201301096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6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02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 B65G7/08Devices adapted to be interposed between loads and the ground or floor, e.g. crowbars with means for assisting conveyance of loads for tilting the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3/00Types of bogies
    • B61F3/02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 B61F3/04Types of bogies with more than one axle with driven axle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차용 휠 직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차의 액슬에 휠을 조립하기 위해 눕혀진 상기 휠을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대차용 휠 직립장치로서, 상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힌지브래킷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종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에 상기 힌지브래킷에 삽입되는 힌지축를 구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일단에 내측이 개방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휠의 둘레를 삽입시켜 상기 회전부에 상기 휠을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와,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과 편심되게 하는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길이신축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로드를 구비하는 제1실린더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휠을 안착시켜고 안착된 상기 휠이 고정부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길이신축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는 제2로드를 구비하는 제2실린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눕혀진 휠을 세우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 능률이 종래보다 증대되면서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고, 종래보다 작업공간이 최소화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휠의 손상이 방지되어 휠의 품질이 향상되는 특출한 발명이다.

Description

대차용 훨 직립장치{wheel erect device for bogie}
본 발명은 대차용 휠 직립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차의 액슬에 휠을 조립하기 위해 눕혀진 상기 휠을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대차용 휠 직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차는 차체의 중량을 지지하고, 견인 및 제동을 발생시키며, 상기 차체와 자유롭게 유동하여 철도차량의 주행을 원활하게 하는 장치이다.
따라서 철도차량용 대차에는 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설치되는 윤축과, 상기 윤축의 양단부를 지지하는 저널박스와, 상기 프레임과 저널박스의 사이에 진동을 감쇄하는 1차 현가장치 등이 장착된다.
또, 윤축은 대차의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지지가 되는 액슬과 상기 액슬의 양측에 고정되어 레일을 따라 구동하는 휠이 설치된다.
상기 대차용 휠은 철도차량 주행중에 발생하는 다양한 하중에 대해 안전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엄격한 기준에 따라 설계 제조되어야 하기 때문에 탄소강이 주로 많이 이용되고, 주행중 휠의 마모 및 손상이 발생함으로 정기적으로 또는 부정기적으로 휠의 답면을 절삭하여 답면 형상을 설계형상으로 복원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새로 제조하거나 복원된 휠은 공간활용을 위해 적치장에 눕혀진 상태로 적층되어 보관되므로, 대차의 액슬에 휠을 조립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으로 적층된 휠을 빼내 바닥에 눕혀 놓는 작업과, 눕혀진 휠을 다시 수직으로 세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종래에 눕혀진 휠을 세우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휠의 둘레를 후크로 물린 다음, 상기 후크에 와이어로 연결된 크레인을 통해 휠을 들어올려 수직으로 세우는 방법이었다.
그러나 종래 방법은 후크의 설치 및 분리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크레인 주변에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고, 휠을 세우는 과정에서 휠이 바닥에 끌려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대차의 액슬에 휠을 조립하기 위해 눕혀진 휠을 수직으로 세울 때,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휠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대차의 액슬에 휠을 조립하기 위해 눕혀진 상기 휠을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대차용 휠 직립장치로서, 상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힌지브래킷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종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에 상기 힌지브래킷에 삽입되는 힌지축를 구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일단에 내측이 개방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휠의 둘레를 삽입시켜 상기 회전부에 상기 휠을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와,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과 편심되게 하는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길이신축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로드를 구비하는 제1실린더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휠을 안착시켜고 안착된 상기 휠이 고정부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길이신축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는 제2로드를 구비하는 제2실린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 및 이송부 사이에는 상기 이송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레일과,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더가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맞닿도록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회전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감지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에는 개방된 내측의 양단을 각각 막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양단으로 상기 휠이 이탈되지 않게 하는 이탈방지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는 상기 이송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에 안착하는 상기 휠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눕혀진 휠을 세우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 능률이 종래보다 증대되면서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고, 종래보다 작업공간이 최소화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휠의 손상이 방지되어 휠의 품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대차의 액슬에 휠을 조립하기 위해 눕혀진 휠을 수직으로 세우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휠 직립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 4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휠 직립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 7, 8, 9는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휠 직립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대차용 휠 직립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먼저, 상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힌지브래킷(110)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00)이 하부에 사각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종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휠(H)을 회전시키며 일단에 상기 힌지브래킷(110)에 삽입되는 힌지축(210)를 구비하는 회전부(200)가 형성된다.
또, 상기 회전부(200)의 일단에는 "ㄷ"자 형상으로 내측이 개방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휠(H)의 둘레를 삽입시켜 상기 회전부(200)에 상기 휠(H)을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300)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300)에는 개방된 내측의 양단을 각각 막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300)의 양단으로 상기 휠(H)이 이탈되지 않게 하는 이탈방지구(31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축(210)의 단부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210)과 편심되게 하는 연결부(40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부(200)를 회전시키며 내측에 길이신축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연결부(400)에 연결되는 제1로드(510)를 구비하는 제1실린더부(5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00)의 상부에는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휠(H)을 안착시켜 상기 고정부(300)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는 이송부(600)가 형성된다.
상기 이송부(600)의 상부에는 상기 이송부(600)와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600)에 안착하는 상기 휠(H)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부재(610)가 더 구비되되, 상기 탄성부재(610)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회전부(200)의 상부에는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이송부(600)를 이동시키기 위해 내측에 길이신축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이송부(60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로드(710)를 구비하는 제2실린더부(70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200) 및 이송부(600) 사이에는 상기 이송부(600)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200)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게 횡 방향으로 고정되는 레일(220)과, 상기 이송부(600)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220)에 삽입되는 슬라이더(620)가 각각 더 구비된다.
또, 상기 회전부(200)의 타단에는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체결되어 상기 베이스부에 맞닿아 상기 회전부(200)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구(800)가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200)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6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감지부(630)를 감지하여 상기 이송부(600)의 이동을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부(910, 920)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눕혀진 휠(H)을 수직으로 세울 경우, 먼저 작업자는 적치장에 눕혀진 상태로 적층된 휠(H)을 들어올려 이송부(600)의 상부에 올려 안착시킨다.
이때, 이송부(600)의 상부에는 탄성부재(610)가 일체로 고정되었기 때문에, 상기 탄성부재(610)는 금속의 휠(H) 및 이송부(600) 간에 마찰로 인한 휠(H)의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송부(600)에 상부에 휠(H)이 눕혀져 안착되면, 회전부(200)의 상부에 설치된 제2실린더부(700)가 작동되어 상기 제2실린더부(700)의 제2로드(710)가 길이 수축하면서 상기 이송부(600)를 고정부(300) 쪽으로 당기게 된다.
따라서 이송부(600)는 하부에 형성된 슬라이더(620)를 통해 상기 회전부(200)의 레일(220)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이송부(600)에 눕혀져 안착된 휠(H)은 둘레가 고정부(300)의 개방된 내측에 삽입되면서 회전부(200)에 고정된다.
이때, 이탈방지구(310)는 상기 고정부(300)의 개방된 양단을 각각 막아 고정구(300)에 삽입된 휠(H)이 회전부(200)의 측면으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
또한, 제1 및 제2 센서부(910, 920)는 이송부(600)의 일측에 형성된 감지부(630)를 통해 이송부(600)의 이동을 감지함으로써, 만약 이송부(600)가 이동하지 않으면, 다음으로 진행되어야할 작동이 모두 중지된다.
그러므로 고정부(300)에 휠(H)이 삽입되면, 베이스부(10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제1실린더부(500)가 작동되어 상기 제1실리더부(500)의 제1로드(510)가 길이 신장하면서 연결부(400)를 밀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400)를 통해 제1실린더부(500)와 연결된 회전부(200)는 힌지축(210)을 중심으로 상부방향으로 90도 회전하게 되므로, 회전부(200)에 고정부(300)를 통해 고정된 휠(H)도 상부방향으로 90도 회전하여 수직으로 세워지게 된다.
이후, 휠(H)을 조립하는 작업이 끝나면, 회전부(200)가 제1실린부(500)의 제1로드(510)에 길이 수축으로 하방으로 회전하여 원위치하게 되고, 이송부(600) 또한 제2실리더부(700)의 제2로드(710)에 길이 신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눕혀진 휠(H)을 세우는 과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작업시간의 단축으로 작업 능률이 종래보다 증대되면서 안전사고도 예방할 수 있고, 종래보다 작업공간이 최소화되어 공간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100: 베이스부 110: 힌지브래킷
200: 회전부 210: 힌지축
220: 레일 300: 고정부
310: 이탈방지구 400: 연결부
500: 제1실린더부 510: 제1로드
600: 이송부 610: 탄성부재
620: 슬라이더 630: 감지부
700: 제2실린더부 710: 제2로드
800: 처짐방지구 910: 제1센서부
920: 제2센서부 H: 휠

Claims (7)

  1. 대차의 액슬에 휠을 조립하기 위해 눕혀진 상기 휠을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대차용 휠 직립장치로서,
    상면에 서로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힌지브래킷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종 방향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일단에 상기 힌지브래킷에 삽입되는 힌지축를 구비하는 회전부와,
    상기 회전부의 일단에 내측이 개방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휠의 둘레를 삽입시켜 상기 회전부에 상기 휠을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와,
    상기 힌지축의 단부에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고정되어 상기 힌지축과 편심되게 하는 연결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길이신축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1로드를 구비하는 제1실린더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횡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휠을 안착시켜고 안착된 상기 휠이 고정부에 삽입되도록 이동하는 이송부와,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내측에 길이신축가능하게 수용되어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는 제2로드를 구비하는 제2실린더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휠 직립장치.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 및 이송부 사이에는 상기 이송부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회전부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게 고정되는 레일과, 상기 이송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레일에 삽입되는 슬라이더가 각각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휠 직립장치.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타단에는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맞닿도록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전부의 처짐을 방지하는 처짐방지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휠 직립장치.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는 상부로 돌출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이송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감지부를 감지하는 제1 및 제2 센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휠 직립장치.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개방된 내측의 양단을 각각 막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의 양단으로 상기 휠이 이탈되지 않게 하는 이탈방지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휠 직립장치.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상부에는 상기 이송부와 일체를 이루도록 고정되어 상기 이송부에 안착하는 상기 휠의 손상을 방지하는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휠 직립장치.
  7.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우레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차용 휠 직립장치.
KR1020120031517A 2012-03-28 2012-03-28 대차용 훨 직립장치 KR201301096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17A KR20130109625A (ko) 2012-03-28 2012-03-28 대차용 훨 직립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517A KR20130109625A (ko) 2012-03-28 2012-03-28 대차용 훨 직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625A true KR20130109625A (ko) 2013-10-08

Family

ID=49631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517A KR20130109625A (ko) 2012-03-28 2012-03-28 대차용 훨 직립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0962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3970A (zh) * 2018-06-23 2018-11-02 芜湖乾凯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异形工件抛光机
KR200489113Y1 (ko) * 2018-01-30 2019-05-02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창고 이송장치
KR102623292B1 (ko) * 2023-10-27 2024-01-09 김상현 개방 프레임의 자동작동 시스템을 갖는 주조용 코어 자동 성형장치 및 제어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113Y1 (ko) * 2018-01-30 2019-05-02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창고 이송장치
CN108723970A (zh) * 2018-06-23 2018-11-02 芜湖乾凯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多角度异形工件抛光机
KR102623292B1 (ko) * 2023-10-27 2024-01-09 김상현 개방 프레임의 자동작동 시스템을 갖는 주조용 코어 자동 성형장치 및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91460B (zh) 夹轨器与轨道行走机构
CN201825610U (zh) 用于实现浅底坑电梯的井道底部维修空间的安全装置
CN112678728B (zh) 一种高适应度的导轨式液压升降平台
JP5412513B2 (ja) 天井クレーンのトロリー
KR20130109625A (ko) 대차용 훨 직립장치
KR101473245B1 (ko) 레일용 절연 사다리차
KR101647989B1 (ko) 터널 안전 점검시설
CN102837705B (zh) 一种钢箱内运输小车
CN202879487U (zh) 一种钢箱内运输小车
CN205044740U (zh) 一种磁悬浮轨道无动力检修车
KR101374540B1 (ko) 고가 사다리차
CN101495358A (zh) 维修车辆
KR101001095B1 (ko) 철도차량 이탈방지구
CN107522075A (zh) 一种用于施工电梯门的自动启闭装置
CN208181084U (zh) 一种有轨电瓶车的防溜车装置
CN201620315U (zh) 铁路施工机械用护轨器及换轨作业车护轨器
CN110937555A (zh) 轨道检修车
JP6520591B2 (ja) 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キャブガード
JP6610088B2 (ja) 移動式クレーンに備えられたステップ機構
JP7083491B2 (ja) 橋マクラギ交換用補助装置及び橋マクラギ交換方法
KR100932287B1 (ko) 작업대차 장치
JP4832632B2 (ja) 軌道走行車両
CN205713944U (zh) 一种铁路接触网作业车的防倾覆装置及作业车
KR102553292B1 (ko) 전차선로 보수용 절연 사다리차
CN105731219B (zh) 楼道电梯及其轨道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