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9113Y1 - 창고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창고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9113Y1
KR200489113Y1 KR2020180000464U KR20180000464U KR200489113Y1 KR 200489113 Y1 KR200489113 Y1 KR 200489113Y1 KR 2020180000464 U KR2020180000464 U KR 2020180000464U KR 20180000464 U KR20180000464 U KR 20180000464U KR 200489113 Y1 KR200489113 Y1 KR 2004891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rod
fixedly connected
cylinder body
projection
cyli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4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흐샤오 왕
치-유안 천
Original Assignee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이윈 테크놀로지스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20201800004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91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91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91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08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 F15B15/14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motor unit of the straight-cylinder type
    • F15B15/1423Component parts; 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67Pall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70Output members, e.g.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or control therefor
    • F15B2211/71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 F15B2211/7107Multiple output members, e.g. multiple hydraulic motors or cylinders the output members being mechanically lin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창고 이송장치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한 베이스시트; 제1측과 제2측을 구비하며, 상기 제1측이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 연결되는 신축 슬라이딩레일; 상기 제2측에 고정 연결되고, 돌출부를 구비한 파렛트; 제1 실린더 몸체와 제1 푸시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푸시로드가 상기 제1 돌출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1 동력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 몸체를 고정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제2 실린더 몸체와 제2 푸시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2 실린더 몸체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푸시로드가 상기 제2 돌출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2 동력 실린더를 포함한다. 본 고안은 이송기구가 반드시 인출장치로 완전히 복귀할 수 있고, 이송기구의 행정이 길며, 이송기구의 부피 감소 및 제작 비용의 효과적인 절감 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창고 이송장치{A LOAD MOVING DEVICE USED IN RETRIEVAL SYSTEM}
본 고안은 자동화 창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창고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공지능이 지속적으로 발전함에 따라, 로봇 과학기술 역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종래의 창고 설비는 인력 자원의 감소 및 자재의 반응시간에 제한을 받기 때문에, 이미 점차 자동화 창고 시스템(Automated Warehousing System)으로 대체되고 있다.
예를 들어 중화민국 실용신안 특허 제M538035가 공개한 바에 따르면, 일반적인 자동화 창고 시스템에 통상적으로 랙 및 인출장치를 포함하며, 그 중, 랙은 위에서 아래로 각각 물건을 올려놓기 위한 복수의 트레이가 설치된다. 인출장치는 즉 랙의 일측에 설치되어, 인출장치의 승강기구를 이용하여 인출장치를 필요한 트레이의 위치로 상하 이동시킨 다음, 인출장치의 이송기구 중의 파렛트를 랙에 인입시켜 트레이를 인출/적재한다.
상기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창고의 인출장치는 랙의 일측에서 랙을 따라 상하로 이동해야 하므로, 인출장치의 이송기구는 이송기구가 인출장치의 이동경로로 돌출되어 랙과 간섭이 발생하면서 인출장치가 상하로 이동 시 랙과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반드시 인출장치로 완전히 복귀하여야 한다. 이밖에, 이송기구의 파렛트가 이동할 수 있는 행정이 길수록 좋으나, 단 이송기구의 부피가 감소해야만 동일한 랙 및 동일한 인출장치의 이동 행정에서 이동 가능한 트레이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이미 관련 인출장치의 구조가 출현하였으며, 이하 일부 이송기구를 소개한다.
중화민국 제191459호인 '신축 이동대차의 2배 행정 신구조'는 슬라이딩레일, 체인 스프라켓과 이층의 이동대차가 추가된 구동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대차가 측변에 다수의 베어링이 설치된 고정 시트에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움직도르래의 원리를 이용하여 구성부재의 행정이 두 배에 이르는 효과를 달성한다.
중화민국 제I349325호 "기판 이송장치 및 기판 이송방법 및 진공처리장치'는 구동장치(모터+벨트+풀리+고정부재)와 다층의 슬라이딩레일을 포함하는 판상 암을 이용하여, 지지대가 2배 이상의 행정에 이르도록 하는 효과를 얻는다.
중화민국 제I338665호 "자동 창고 양방향 이송 2배 연장 기구'는 구동장치(모터+전동부재+풀리+종동부재)에 기어랙과 체인 스프라켓을 결합하여, 이층의 이동대차가 고정 시트에서 전후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2배 이상의 행정에 이르는 효과를 얻는다.
중화민국 제M365347호 '급송 시스템 동기화 장치'는 구동장치(모터)에 이층의 이동대차와 스크류, 나사 슬리브를 결합하여, 이동대차가 고정 시트에서 이동 가능하도록 하였으나, 단 본 장치는 2배 이상의 행정에 이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중화인민공화국 제CN203903242U호 "자동 물류 보관 인출 시스템에 응용되는 통로적재기 장치'는 모터에 감속기를 추가하여 스크류를 구동시킴으로써 이층의 이동대차가 베이스시트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단 본 장치는 2배 이상의 행정에 이르는 효과를 달성할 수 없다.
상기 선행 기술을 종합해보면, 관련 인출장치의 구조는 이송기구가 반드시 완전히 인출장치로 복귀할 수 있어야 하고, 이송기구의 행정이 길며, 이송기구의 부피 감소 및 제작 비용의 효과적인 절감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데 있어서 여전히 보강의 여지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주요 목적은 이송기구가 반드시 인출장치로 완전히 복귀할 수 있고, 이송기구의 행정이 길며, 이송기구의 부피 감소 및 제작 비용의 효과적인 절감 목표를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창고 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이 제공하는 창고 이송장치에 따르면, 이는 제1 돌출부를 구비한 베이스시트; 제1측과 제2측을 구비하며, 상기 제1측이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 연결되는 신축 슬라이딩레일; 상기 제2측에 고정 연결되고, 제2 돌출부를 구비한 파렛트; 제1 실린더 몸체와 제1 푸시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푸시로드가 상기 제1 돌출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1 동력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 몸체를 고정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제2 실린더 몸체와 제2 푸시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2 실린더 몸체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푸시로드가 상기 제2 돌출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2 동력 실린더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이송기구가 반드시 인출장치로 완전히 복귀할 수 있고, 이송기구의 행정이 길며, 이송기구의 부피 감소 및 제작 비용의 효과적인 절감 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입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도이다.
본 고안의 기술 특징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결합하여 설명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제공하는 창고 이송장치(10)는 베이스시트(11), 신축 슬라이딩레일(12), 파렛트(13), 제1 동력 실린더(14), 연결부재(15) 및 제2 동력 실린더(16)를 포함한다.
그 중, 상기 베이스시트(11)는 물체를 상기 베이스시트(11)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제1 돌출부(111)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베이스시트(11)는 자동화 창고 시스템(90)의 랙(91)측의 승강기구(92)에 위치한다.
상기 신축 슬라이딩레일(12)은 시판되는 제품이므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제1측(121)과 제2측(122)을 구비하여, 상기 제1측(121)은 상기 베이스시트(11)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측(122)은 상기 베이스시트(11)로부터 상기 랙(91)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파렛트(13)는 물체를 적재하기 위해 상기 제2측(122)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파렛트(13)는 물체를 상기 파렛트(13)에 고정 연결시키기 위한 제2 돌출부(131)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동력 실린더(14)는 제1 실린더 몸체(141)와 제1 푸시로드(142)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푸시로드(142)는 상기 제1 돌출부(111)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연결부재(15)는 상기 제1 실린더 몸체(141)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제2 동력 실린더(16)는 제2 실린더 몸체(161)와 제2 푸시로드(162)를 구비하며, 상기 제2 실린더 몸체(161)는 상기 연결부재(15)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푸시로드(162)는 상기 제2 돌출부(131)에 고정 연결된다.
언급해두어야 할 점으로, 상기 제1 동력 실린더(14)와 상기 제2 동력 실린더(16)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전동실린더이며, 모두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조를 통해, 본 고안의 창고 이송장치(10)는 이송기구가 반드시 인출장치로 완전히 복귀할 수 있고, 이송기구의 행정이 길며, 이송기구의 부피 감소 및 제작 비용의 효과적인 절감 목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행정 길이에 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상기 제1 동력 실린더(14)와 상기 제2 동력 실린더(16)는 동일한 동력 실린더를 사용하며, 서로 반대되는 방향에 설치되고, 또한 상기 제1 실린더 몸체(141)의 말단과 상기 제2 푸시로드(162) 말단이 정렬된 경우,
X: 상기 제1 실린더 몸체(141)의 말단과 상기 제2 푸시로드(162) 말단의 거리차값.
A: 제2 동력 실린더(16) 전방 부분의 무효 행정.
B: 제2 동력 실린더(16) 후방 부분의 무효 행정.
S: 제2 동력 실린더(16)의 유효 행정(제2 푸시로드의 신장량).
L0: 제1, 2 동력 실린더(14), (16)가 수축 상태일 때, 제1 푸시로드(142) 말단에서 제2 푸시로드(162) 말단까지의 거리.
L1: 제1, 2 동력 실린더(14), (16)가 신장 상태일 때, 제1 푸시로드(142) 말단에서 제2 푸시로드(162) 말단까지의 거리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 몸체(141) 말단과 상기 제2 푸시로드(162) 말단이 정렬 시, X=0이고, 또한 S≥A+B인 조건에서,
L1/L0=(3S+A+B)/(S+A+B)≥2이며,
즉 신장 상태일 때의 L1은 수축 상태일 때의 L0의 2배 이상이다.
(2) 상기 제1 실린더 몸체(141) 말단과 상기 제2 푸시로드(162) 말단에 거리가 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실린더 몸체(141) 말단과 상기 제2 푸시로드(162) 말단에 거리가 있는 경우, X>0이고, 또한 X≤S-A-B인 조건에서,
L1/L0=(3S+A+B+X)/(S+A+B+X)≥2이다.
즉 신장 상태일 때의 L1은 수축 상태일 때의 L0의 2배 이상이다.
전술한 설명을 통해, 제1 실린더 몸체(141) 말단과 상기 제2 푸시로드(162) 말단에 거리가 있는지 여부를 막론하고, 설정 조건하에서 모두 신장 상태일 때의 L1이 수축 상태일 때의 L0의 2배 이상에 이를 수 있어, 행정이 길어지는 효과를 달성한다.
이밖에, 본 고안의 제1 동력 실린더(14)와 제2 동력 실린더(16)를 크기가 동일한 동력 실린더로 선택하기 때문에, 동일한 평면에 설치하여 부피를 감소시키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10: 창고 이송장치 11: 베이스시트
12: 신축 슬라이딩레일 13: 파렛트
14: 제1 동력 실린더 15: 연결부재
16: 제2 동력 실린더 90: 자동화 창고 시스템
91: 랙 92: 승강기구
111: 제1 돌출부 121: 제1측
122: 제2측 131: 제2 돌출부
141: 제1 실린더 몸체 142: 제1 푸시로드
161: 제2 실린더 몸체 162: 제2 푸시로드

Claims (2)

  1. 창고 이송장치에 있어서,
    제1 돌출부를 구비한 베이스시트;
    제1측과 제2측을 구비하며, 상기 제1측이 상기 베이스시트에 고정 연결되는 신축 슬라이딩레일;
    상기 제2측에 고정 연결되고, 제2 돌출부를 구비한 파렛트;
    제1 실린더 몸체와 제1 푸시로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푸시로드가 상기 제1 돌출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1 동력 실린더;
    상기 제1 실린더 몸체를 고정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제2 실린더 몸체와 제2 푸시로드를 구비하여, 상기 제2 실린더 몸체가 상기 연결부재에 고정 연결되고, 상기 제2 푸시로드가 상기 제2 돌출부에 고정 연결되는 제2 동력 실린더
    를 포함하는 창고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력 실린더와 상기 제2 동력 실린더는 공압실린더, 유압실린더 또는 전동실린더인, 창고 이송장치.
KR2020180000464U 2018-01-30 2018-01-30 창고 이송장치 KR2004891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64U KR200489113Y1 (ko) 2018-01-30 2018-01-30 창고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464U KR200489113Y1 (ko) 2018-01-30 2018-01-30 창고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9113Y1 true KR200489113Y1 (ko) 2019-05-02

Family

ID=6653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464U KR200489113Y1 (ko) 2018-01-30 2018-01-30 창고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911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5091A (zh) * 2019-07-26 2019-09-20 江苏景泽环保科技有限公司 气缸多级输送装置
CN113044451A (zh) * 2019-12-26 2021-06-29 苏州微比特自动化有限公司 一种取放机构
CN113247571A (zh) * 2021-04-29 2021-08-13 广东安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料盘移送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898A (ko) * 2006-01-10 2006-02-03 코리아테크노(주) 포토마스크 무인 운반장치
KR20130021860A (ko) * 2011-08-24 2013-03-06 임석규 안정된 상하이동이 보장된 듀얼 가이드형 반도체 소자용 픽업실린더
KR20130109625A (ko) * 2012-03-28 2013-10-08 현대로템 주식회사 대차용 훨 직립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1898A (ko) * 2006-01-10 2006-02-03 코리아테크노(주) 포토마스크 무인 운반장치
KR20130021860A (ko) * 2011-08-24 2013-03-06 임석규 안정된 상하이동이 보장된 듀얼 가이드형 반도체 소자용 픽업실린더
KR20130109625A (ko) * 2012-03-28 2013-10-08 현대로템 주식회사 대차용 훨 직립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55091A (zh) * 2019-07-26 2019-09-20 江苏景泽环保科技有限公司 气缸多级输送装置
CN113044451A (zh) * 2019-12-26 2021-06-29 苏州微比特自动化有限公司 一种取放机构
CN113247571A (zh) * 2021-04-29 2021-08-13 广东安达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料盘移送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113Y1 (ko) 창고 이송장치
CN107878989B (zh) 一种仓储自动取料机
CN107840059B (zh) 一种双向仓储自动取料机
CN110884817A (zh) 一种铜排自动移栽仓库
CN112777204A (zh) 自带缓存区的双工作位堆垛机及其对接区工作方法
US20170305029A1 (en) Scanning Systems for Lumber Retrieval Equipment
CN112777205A (zh) 一种智能仓库
CN112849890A (zh) 一种自带缓存区的堆垛机
ITGE970072A1 (it) Macchina per la movimentazione di oggetti quali materiali grezzi, semilavorati, parti finite, ed in particolare lamiere metalliche o
CN109733854B (zh) 一种料箱连续输送装置
CN108438844B (zh) 一种新型托盘移载装置
JP2000238904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110203596B (zh) 夹具切换系统
JP5111144B2 (ja) 搬送装置
CN112573051A (zh) 物品传送装置
CN221092295U (zh) 取物装置及搬运机器人
CN221069574U (zh) 一种取物装置及搬运机器人
JPH06321343A (ja) パレット台車循環搬送設備
WO2024011954A1 (zh) 分拣设备和仓储系统
CN116199162B (zh) 一种仓储物流搬运叉车
CN219179933U (zh) 一种用于箱式堆垛机的变截距货叉结构
CN221026197U (zh) 一种送料机的分流机构
CN221069575U (zh) 取物机构及搬运机器人
CN219216789U (zh) 编组设备及码垛系统
CN216859767U (zh) 一种夹取装置及夹取机器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