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05798U - 무대용 수납장 - Google Patents

무대용 수납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05798U
KR20110005798U KR2020090015767U KR20090015767U KR20110005798U KR 20110005798 U KR20110005798 U KR 20110005798U KR 2020090015767 U KR2020090015767 U KR 2020090015767U KR 20090015767 U KR20090015767 U KR 20090015767U KR 20110005798 U KR20110005798 U KR 2011000579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ge
screw
storage
storage cart
slid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57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59819Y1 (ko
Inventor
백흠학
Original Assignee
백흠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흠학 filed Critical 백흠학
Priority to KR2020090015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9819Y1/ko
Publication of KR2011000579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579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98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98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24Constructional features of stages
    • E04H3/28Shiftable or portable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ultimedia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납장을 동력을 이용하여 수납 및 인출하게 되므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물품의 정리와 배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무대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무대의 하방 바닥면에 세워지는 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하는 활주레일과, 상기 활주레일에 물품을 보관하는 수납공간을 가지고 설치되는 수납대차와, 상기 수납대차의 저면에 장착하는 바퀴와, 상기 대차프레임의 전면에 무대와 이질감이 없도록 고정하는 마감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수납대차를 활주레일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활주 시켜 수납 및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인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출수단은 지지프레임의 상부 또는 수납대차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스크류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수납대차에 고정되어 스크류와 결합 되는 스크류블럭과, 상기 스크류의 후미에 설치하여 스크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납대차가 활주레일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이다.
Figure P2020090015767
무대, 수납장, 수납, 인출

Description

무대용 수납장{A BUILT IN CABINET FOR STAGE}
본 고안은 무대용 수납장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대의 하방에 출입 가능한 수납장을 설치하여 무대 또는 무대 주변에서 사용한 물품의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무대용 수납장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강당이나 체육관 또는 주민이나 특정단체에서 공동으로 사용하도록 구축된 회관 등과 같은 곳의 전방에는 행사의 진행 등을 위하여 바닥면보다 높게 돌출된 형태의 무대를 가지게 된다.
종래에도 이러한 무대의 하방에 수납 및 인출되면서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무대용 수납장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를 도 5를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무대용 수납장(1)은 무대의 하방 바닥면에 세워지는 서포터(4)로 유지되는 다수개의 횡바(5)로 지지프레임(6)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6)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무대의 선단에서 후측 방향)으로 활주레일(7)을 고정한다.
상기 활주레일(7)에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대차(8)를 설치하여 무대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납대차(8)는 수직바(9)와 수평바(10)로 구성되고 바닥과 사방측면을 판재(11)로 마감하여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대차프레임(12)을 구비한다.
상기 대차프레임(12)의 저면에는 활주레일(7)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바퀴(13)를 장착하여 구성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무대용 수납장은 주로 학교의 강당 또는 체육관에 구비되는 무대에 많이 설치되어 행사과정에 사용되는 의자 또는 체육과정에서 사용하는 운동용구를 수납하여 보관한 상태에서 필요 시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수납장에 수납되는 물품의 양이 많기 때문에 상당한 무게를 가지게 되고, 바퀴를 장착하여 수납장이 활주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나 학생들이 손으로 밀고 당겨서 수납장을 무대 아래의 공간으로 수납 및 인출시키기에는 상당한 무리가 따른다.
특히 중,고등학생들의 경우에는 거의 성인에 가까운 힘을 발휘하기 때문에 여러명이 협조할 경우에는 수납장을 수납하고 인출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으나, 초등학생들이 강당 또는 체육관을 이용한 후 정리하기 위하여 수납장을 사용할 경우에는 여러 명이 함께 수납장을 밀고 당기게 되더라도 수납된 물품의 무게 때문에 쉽게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성인이라 하여도 행사가 주기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혼자서 많은 양의 물품을 정리하여 수납하고, 수납된 물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배치하는 동작을 반복하여야 하므로 피로가 가중되고 이로 인하여 작업의 진척도가 느려지는 등의 문제를 야기한다.
또한 수납장을 인출하고 수납하는 과정에서 수납대차와 무대 하방에 형성하 는 공간 사이의 틈에 사용자의 발이나 손과 같은 신체가 끼여 손상되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높은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무대의 하방 바닥면에 세워지는 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하는 활주레일과, 상기 활주레일에 물품을 보관하는 수납공간을 가지고 설치되는 수납대차와, 상기 수납대차의 저면에 장착하는 바퀴와, 상기 대차프레임의 전면에 무대와 이질감이 없도록 고정하는 마감판으로 구성하고;
상기 수납대차를 활주레일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활주 시켜 수납 및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인출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출수단은 지지프레임의 상부 또는 수납대차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스크류와, 상기 지지프레임 또는 수납대차에 고정되어 스크류와 결합 되는 스크류블럭과, 상기 스크류의 후미에 설치하여 스크류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납대차가 활주레일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수납장을 동력을 이용하여 수납 및 인출하게 되므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면서 효율적으로 물품의 정리와 배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본 고안은 수납장을 구성하는 수납대차가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인출수단에 의하여 이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무대 하방 공간으로 수납 및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효율적인 작업을 가능하게 하면서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수납장 의 품질을 높여 대외적인 경쟁력의 우위에 있을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을 도시한 1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의 중요 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통상적인 무대용 수납장(100)은 무대(101)의 하방 바닥면(102)에 세워지는 서포터(103)에 다수개의 횡바(104)를 유지시켜 지지프레임(105)을 구성하고, 상기 지지프레임(105)의 양측에는 길이 방향(무대의 선단에서 후단 방향)으로는 활주레일(106)을 고정한다.
상기 활주레일(106)은 본 고안에서는 단면이 L형상으로 된 것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고 산형, 봉 또는 바타입 또는 평판타입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활주레일(106)에는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수납공간을 가지는 수납대차(107)를 설치하여 무대(101) 하방의 공간으로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수납대차(107)는 수직바(108)와 수평바(109)로 구성되고 바닥과 사방측면을 판재(110) 로 마감하여 상부가 개방된 형태의 대차프레임(111)을 구비한다.
상기 대차프레임(111)의 저면에는 활주레일(10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바퀴(112)를 장착하고, 상기 대차프레임(111)의 전면에는 무대(101)와 이질감이 없도록 무대(101)와 동일한 재질의 마감판(113)을 고정하여 구성한다.
본 고안에서는 상기 수납대차(107)를 활주레일(106)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활주시켜 수납 및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인출수단(12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출수단(120)은 지지프레임(105)의 중앙 양단에 베어링서포터(121)로 유지되는 스크류(122)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스크류(122)에는 수납대차(107)의 저면 후미 중앙에 고정되는 스크류블럭(123)을 결합한다.
물론, 상기 스크류(122)를 수납대차(107)의 저면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하고, 스크류블럭(123)을 지지프레임(105)에 고정하여 스크류(122)와 결합 되게 구성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스크류(122)의 후미 바닥면(102)에는 스크류(122)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납대차(107)가 활주레일(106)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구동수단(125)을 설치한다.
상기 구동수단(125)의 동력은 구동수단(125)의 구동축(126)과 스크류(122)에 설치되는 동력연결수단(127)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동력연결수단(127)은 체인기어와 체인조합, 풀리와 밸트조합, 타이밍풀리와 타이밍밸트조합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할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05)의 전,후단에는 리미트스위치(128)를 구비하고 수납대차(107)의 선측 또는 후측에는 스위치바(129)를 구비하여, 스위치바(129)가 리미트스위치(128)를 터치함으로써 구동수단(125)의 작동이 정지되어 수납대차(107)가 정 위치에 인출 및 수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리미트스위치(128)와 스위치바(129)의 위치를 수납대차(107)와 지지프레임(105)에 구비하는 형태로 위치를 바꾸어도 무방할 것이다.
물론, 상기 구동수단(125)의 작동은 수납대차(107)의 전방에 고정되는 마감판(113)에 구비되는 작동스위치(130)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구동수단(125)과 리미트스위치(128) 및 작동스위치(130)의 유기적인 연결과 작동은 콘트롤러(미도시)에 의하여 이루어짐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인출수단(120)의 다른 예로서는 지지프레임(105)과 수납대차(107)를 유압 또는 공압실린더로 연결하여 구성하거나, 바퀴(112)에 감속기 일체형 정,역모터를 설치하는 구성, 구동수단에 의하여 정,역회전하는 체인기어와 체인조합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등 다양한 형태로 실시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100)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무대용 수납장(100)이 무대(101) 하방의 공간에 수납대차(107)가 수납된 상태를 초기상태로 하였을 때, 무대(101) 하방에 수납된 수납대차(107)를 인출하고자 할 경우에는 수납대차(107)의 전면에 고정된 마감판(113)에 구비되는 작동스위치(130)를 조작하면 인출수단(120)에 의하여 수납대차(107)가 무대(101)로 부터 인출된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작동스위치(130)를 인출수단(120)을 구성하는 구동수단(125)이 작동하여 스크류(122)를 정회전시키고 스크류(122)와 스크류블럭(123)으로 결합 된 수납대차(107)가 무대(101)의 전방으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인출된 수납대차(107)에 물품을 수납하거나 또는 수납된 물품은 인출하면 되며, 물품의 수납 또는 인출이 완료된 후에는 다시 작동스위치(130)를 조작하면 스크류(122)를 역회전시키게 되므로 수납대차(107)는 무대(101) 하방으로 수납되는 것이다.
물론, 수납대차(107)가 무대(101) 하방에서 인출 또는 수납될 때에는 지지프레임(105)의 전,후단에 구비되는 리미트스위치(128)를 수납대차(107)의 하방에 구비되는 스위치바(129)가 터치하여 접점 하게 되므로 정방향(인출)과 역방향(수납)에 대한 동작을 수행하는 구동수단(125)의 동작이 정지시켜 정 위치에 멈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수납대차(107)가 무대(101)의 하방에서 인출되고 수납될 때에는 수납대차(107)의 하방에 설치되는 바퀴(112)가 지지프레임(115)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활주레일(106)을 따라 활주하게 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무대(101) 하방에 구비되는 수납장(100)에 물품을 수납한 상태에서 동력을 이용하여 수납 및 인출하게 되므로 작업자의 피로를 덜어주면서 안전사고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효율적으로 물품의 정리와 배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을 도시한 1 실시 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의 중요 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을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을 도시한 B - B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5는 종래 기술이 적용된 무대용 수납장을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0; 무대용 수납장
105; 지지프레임
106; 활주레일
107; 수납대차
111; 대차프레임
120; 인출수단
122; 스크류
125; 구동수단

Claims (2)

  1. 무대(101)의 하방 바닥면(102)에 세워지는 서포터(103)에 다수개의 횡바(104)를 유지시켜 구성하는 지지프레임(105)과;
    상기 지지프레임(105)의 양측에 길이 방향으로 고정하는 활주레일(106)과;
    상기 활주레일(106)에 물품을 보관하는 수납공간을 가지고 설치되는 수납대차(107)와;
    상기 수납대차(107)는 수직바(108)와 수평바(109)로 구성되고 바닥과 사방측면을 판재(110)로 마감하여 상부가 개방되게 구비하는 대차프레임(111)과;
    상기 대차프레임(111)의 저면에 활주레일(106)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착하는 바퀴(112)와;
    상기 대차프레임(111)의 전면에 무대(101)와 이질감이 없도록 무대(101)와 동일한 재질로 고정하는 마감판(113)으로 구성하고;
    상기 수납대차(107)를 활주레일(106)에 대하여 기계적으로 활주 시켜 수납 및 인출하도록 하기 위한 인출수단(120)을 더 구비하고;
    상기 인출수단(120)은 지지프레임(105)의 상부 또는 수납대차(107)의 저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설치하는 스크류(122)와;
    상기 지지프레임(105) 또는 수납대차(107)에 고정되어 스크류(122)와 결합 되는 스크류블럭(123)과;
    상기 스크류(122)의 후미에 설치하여 스크류(122)를 정,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수납대차(107)가 활주레일(106)을 따라 활주할 수 있도록 하는 구동수단(12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수납장.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105) 또는 수납대차(107)의 전,후단에 리미트스위치(128)를 구비하고;
    상기 수납대차(107) 또는 지지프레임(105)의 선측 또는 후측에 스위치바(129)를 구비하여 스위치바(129)가 리미트스위치(128)를 터치함으로서 구동수단(125)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대용 수납장.
KR2020090015767U 2009-12-04 2009-12-04 무대용 수납장 KR2004598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67U KR200459819Y1 (ko) 2009-12-04 2009-12-04 무대용 수납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5767U KR200459819Y1 (ko) 2009-12-04 2009-12-04 무대용 수납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5798U true KR20110005798U (ko) 2011-06-10
KR200459819Y1 KR200459819Y1 (ko) 2012-04-18

Family

ID=46607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5767U KR200459819Y1 (ko) 2009-12-04 2009-12-04 무대용 수납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981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485A (zh) * 2014-06-27 2014-10-08 长兴百叶龙演出有限公司 一种柱光区架
KR20190017194A (ko) 2017-08-10 2019-02-20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랜딩 장치
KR102228677B1 (ko) * 2020-09-25 2021-03-17 (주)비에이치 자동 인출식 수거함이 구비된 골절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76257B2 (ja) * 1992-07-01 1999-11-10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平台式移動観覧席装置
JP2770128B2 (ja) * 1994-07-05 1998-06-25 株式会社岡村製作所 平台式観覧席の移動装置
KR100485693B1 (ko) * 2003-05-17 2005-04-28 주식회사 시공테크 문화재 전시용 4면 독립형 진열장
KR100943337B1 (ko) * 2007-10-05 2010-02-19 주식회사 프라코인터내셔날 장애인석이 설치된 수납식 관람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88485A (zh) * 2014-06-27 2014-10-08 长兴百叶龙演出有限公司 一种柱光区架
KR20190017194A (ko) 2017-08-10 2019-02-20 주식회사 에니텍시스 랜딩 장치
KR102228677B1 (ko) * 2020-09-25 2021-03-17 (주)비에이치 자동 인출식 수거함이 구비된 골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59819Y1 (ko) 2012-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49138B2 (en) Integrated folding mechanism of a treadmill
KR200484018Y1 (ko) 안전성 및 견고함을 구비한 다단 서랍장
KR200459819Y1 (ko) 무대용 수납장
CN106786081A (zh) 一种中置式高压开关通用转移装置
EP2946689B1 (en) A desk with vertically adjustable table top
CN110949426A (zh) 一种铁路轨道维护用轨道小车
CN202930800U (zh) Gck抽屉单元转运小车
CN203244340U (zh) 一种可伸缩式吊篮
CN105449943B (zh) 电机抽芯检修平台
CN108158733A (zh) 一种担架用电动同步伸缩导轨
CN106477462A (zh) 重物的台阶起重装置及台阶起重方法
CN202085953U (zh) 一种可伸缩的桌子
KR101176630B1 (ko) 수납식 관람석의 인출 및 수납 보조장치
CN203920819U (zh) 多功能静音书车
CN110077444B (zh) 一种多功能购物车
CN209443380U (zh) 桥梁修建用的辅助支撑装置
CN209750302U (zh) 升降式鞋柜
CN207683557U (zh) 一种升降型单元周转架
CN104890712B (zh) 多功能搬运车
CN109729670A (zh) 一种同步抬升机构
DE2753158C2 (de) Hochschrank, insbesondere Küchenhochschrank
CN213475295U (zh) 一种道路施工用升降梯
CN211769183U (zh) 一种抗拉透明输送带的牵引设备
CN210363967U (zh) 一种辅助搬运模具的装置
CN104640407A (zh) 工业计算机机柜及其双向滑轨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