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2339B1 -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의복 - Google Patents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의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2339B1
KR101172339B1 KR1020057016476A KR20057016476A KR101172339B1 KR 101172339 B1 KR101172339 B1 KR 101172339B1 KR 1020057016476 A KR1020057016476 A KR 1020057016476A KR 20057016476 A KR20057016476 A KR 20057016476A KR 101172339 B1 KR101172339 B1 KR 101172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yarns
absorption
fabric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6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1286A (ko
Inventor
사토시 야스이
세이지 미조하타
다케시 야마구치
겐고 다나카
Original Assignee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40430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16322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08038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5264389A/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화이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1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12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2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2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7/00Selection of special materials for und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A41D31/145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using layer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7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multicomponent, e.g. blend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shirts, underwear, baby linen or handkerchief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1B2400/60Moisture handling or wicking func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10B2201/22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made from cellulose solutions
    • D10B2201/24Visc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20Cellulose-derived artificial fibres
    • D10B2201/28Cellulose esters or ethers, e.g. cellulose acetat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 D10B2321/022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olefins polypropylen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06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e.g. polyvinyl alcohol, or of their acetals or ket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2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10B232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polymers of unsaturated nitriles, e.g. polyacrylonitrile, polyvinylidene cyanid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2Moisture-responsive characterist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4Heat-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46Shape recovering or form memor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1Surface features
    • D10B2403/011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 D10B2403/0114Dissimilar front and back faces with one or more yarns appearing predominantly on one face, e.g. plated or paralleled yarn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3Fabric with at least two, predominantly unlinked, knitted or woven plies interlaced with each other at spaced locations or linked to a common internal co-extensive yarn system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3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31Three dimensional fabric, e.g. forming or comprising cavities in or protrusions from the basic planar configuration, or deviations from the cylindrical shape as generally imposed by the fabric forming process with one or more convex or concave portions of limited extension, e.g. domes or pouch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5Nap typ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06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313Strand material formed of individual filaments having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54Sheath-core multicomponent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46Strand material is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10T442/3163Islands-in-sea multicomponent strand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179Woven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ther than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or warp/weft pick count is specifi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30Woven fabric [i.e., woven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3976Including strand which is stated to have specific attributes [e.g., heat or fire resistance, chemical or solvent resistance, high absorption for aqueous composition, water solubility, heat shrinkability,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25Including strand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438Strand material formed of individual filaments having different chemical composi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44Strand is a monofilament composed of two or more polymeric materials in physically distinct relationship [e.g., sheath-core, side-by-side, islands-in-sea, fibrils-in-matrix, etc.] or composed of physical blend of chemically different polymeric materials or a physical blend of a polymeric material and a fill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5Knit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knit pattern other than open knit fabric or a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is specified

Abstract

흡수?자기 신장성이 서로 상이한 2종의 사조로 구성되고, 습윤에 의해 통기성이 향상되는 직편 포백은 그 포백 중에 함유되는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의 평균 길이 (A) 와, 그것과 동일 방향에 배치되고 상기 사조 (1) 보다 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평균 길이 (B) 와의 비 A/B 가 0.9 이하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WOVEN OR KNITTED FABRIC CONTAINING TWO DIFFERENT YARNS AND CLOTHING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두 개의 이종 사조 (絲條) 함유 직편 (織編) 포백 (佈帛)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은 수분의 흡수에 의해 포백 조직의 공극률이 증대함으로써 통기성이 향상되고, 건조에 의해 포백 조직의 공극률이 감소되어 통기성이 저하되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은 착용시에 발한으로 인한 의복의 젖음, 및 통기성 저하에 따른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다.
종래, 합성 섬유나 천연 섬유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편 포백을, 착용시에 발한을 수반하는 용도, 예를 들어 스포츠 웨어나 속옷 등으로 사용하면, 땀으로 인한 젖음 및 통기성 저하에 따른 불쾌감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발한으로 인해 발생되는 불쾌감을 해소하는 수단으로서, 발한시에 의복 내의 습도가 상승하면 직편물의 통기성이 향상되어 의복 내에 체류하는 수분을 효과적으로 방출시키는 반면, 발한이 정지되어 의복 내의 습도가 떨어지기 시작하 면 직편물의 통기성이 저하되어 수분의 지나친 방산으로 인한 한기를 억제하여 항상 착용감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통기성 자기 조절형 직편 포백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3-213518호에는 폴리에스테르층과 폴리아미드층의 이질 폴리머를 접합한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를 사용한 직편 포백이 제안되어 있다. 이질 폴리머의 흡습차를 이용하여 고흡습시에 섬유 자체를 변형시켜, 의복의 젖음 및 통기성 저하를 해소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이드-바이-사이드형 복합 섬유만으로는 고흡습시의 섬유 형상의 변화량이 작아 충분히 그 성능이 발현되지 않았다. 또한, 2종의 폴리머를 동시에 방사하기 때문에 특별한 제조 설비가 필요하여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0-77544호에는 흡습성 폴리머로 형성된 사조에 가연을 실시하고, 이 흡습성 가연 사조를 사용하여 구성된 직편 포백이 제안되어 있다. 흡습시에 꼬임 토크를 발생시켜, 직편물의 평면적인 조직 형상을 입체적인 조직 형상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통기량을 크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직편 포백에서는 흡습시에 직편 포백이, 평면 형상에서 입체 형상으로 크게 변화되기 때문에 직편물의 치수가 불안정해질 우려가 있었다. 또한, 연사 공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든다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 흡수에 의해 직편 포백의 공극률이 증대하여 통기성이 향상되고, 건조시에 직편 포백의 공극률이 저하되어 통기성이 저하되지만, 직편 포백의 치수 형상에는 변화가 적은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 의복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시키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흡수?자기 신장성이 서로 상이한 2종의 사조를 사용하여, 직편 포백을 제직편할 때에, 상기 두 개의 이종 사조에, 특정 사족차 (絲足差) 를 형성함으로써, 얻어진 직편 포백의, 흡수 및 건조에 의한 치수 변화를 적게 하고, 더구나 흡수 (흡습) 에 의해 직편 포백의 공극률이 증대하여 통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건조시에 직편 포백의 공극률이 감소되어 통기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이 지견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은 흡수?자기 신장성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2종의 사조를 포함하는 직편 포백으로서,
상기 직편 포백을, 20℃ 의 온도 및 65% 의 상대 습도를 갖는 분위기 중에 있어서, 치수를 안정화시키고, 또한 경사 또는 웨일 방향 30cm, 및 위사 또는 코스 방향 30cm 의 치수로써 채취된 시험편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및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가, 하기 식:
A/B≤0.9 (1)
〔단, 식 (1) 중, A 는 상기 직편 포백 시험편으로부터 채취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의 평균 길이를 나타내고, B 는 상기 직편 포백 시험편으로부터 채취되고, 또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동일 방향에 배치되어 있던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평균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각 사조의 길이는 그 사조가 200% 이하의 파단 신도를 나타내는 비탄성 사조일 때에는 1.76mN/dtex 의 하중 하에서 측정되고, 그 사조가 200% 보다 높은 파단 신도를 나타내는 탄성 사조일 때에는 0.0088mN/dtex 의 하중 하에서 측정됨〕
에 의해 표시되는 요건을 만족하고, 또한 습윤에 의해서, 통기성이 증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2종의 사조 (1) 및 (2) 의 각각을, 하기 흡수?자기 신장률의 측정,
즉, 상기 사조의 각각을, 틀 둘레: 1.125m 의 실패 틀에, 하중 0.88mN/dtex 를 가하면서 감아, 감기 수 10 의 실패를 형성하고, 이 실패 실을 상기 실패 틀로부터 떼어내어,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환경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건조시키고, 이 건조 실패 실에, 그것이 200% 이하의 파단 신도를 갖는 비탄성사일 때에는, 그것에 1.76mN/dtex 의 하중을 가하고, 또한 그것이 200%보다 높은 파단 신도를 갖는 탄성사일 때에는 0.0088mN/dtex 의 하중을 가하여, 그 건조사 길이 (Ld,mm) 를 측정하고, 이 실패 실을, 수온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한 후에, 물 속에서 끌어올리고, 이 습윤 실패 실에, 그 파단 신도에 따라, 상기와 동일한 하중을 가하여, 그 습윤사 길이 (Lw,mm) 를 측정하고, 하기 식:
사조의 자기 신장률 (%)=(Lw-Ld)/(Ld)×100
에 의해 각 사조의 자기 신장률을 측정하였을 때,
상기 2종의 사조 중의 일방의 사조 (1) 가 +5% 이상의 평균 자기 신장률을 나타내는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이고, 타방의 사조 (2) 가 +5% 미만의 자기 신장률을 나타내는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사조 (1) 의 흡수?자기 신장률 (E(1)) 과 상기 사조 (2) 의 자기 신장률 (E(2)) 과의 차 (E(1)-E(2)) 가 5~4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가 겹쳐져 있어, 상기 편성 조직 중에 있어서, 복합사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직성 조직을 갖고,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가 겹쳐져 있어, 상기 직성 조직의 경사 및 위사의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의 복합사 또는 겹침사와 사조 (2) 가, 상기 직편 포백의 직성 조직의 경방향 및 위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에, 또는 편성 조직의 웨일 방향 및 코스 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에, 적어도 1개앞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의 각각의 적어도 1개가 서로 합사되어 복합사조를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를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세그먼트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를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의 시료를,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복수의 건조 시료를 조제하고, 또한 상기 직편 포백의 별도의 시료를, 온도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물 속에서 끌어올려, 1쌍의 여과지 사이에 끼우고, 490N/㎡ 의 압력을 1분간 가하여, 시료 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복수의 습윤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건조 시료 및 습윤 시료의 각각에 대해서, 그 표면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배율 20 으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지는 공극률:
공극률 (%)=(사조 사이의 공극의 합계 면적)/(관찰 면적)×100
의 평균치를 구하고, 하기 식:
공극 변화율 (%)=〔(습윤 시료의 평균 공극률)-(건조 시료의 평균 공극률) 〕/(건조 시료의 평균 공극률)×100
에 의해, 상기 습윤 시료의 평균 공극률 및 건조 시료의 평균 공극률로부터, 공극 변화율 (%) 을 산출하였을 때, 상기 공극 변화율이 적어도 1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의 시료를,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복수의 건조 시료를 조제하고, 또한 상기 직편 포백의 별도의 시료를, 온도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물 속에서 끌어올려, 1쌍의 여과지 사이에 끼우고, 490N/㎡ 의 압력을 1분간 가하여, 시료 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복수의 습윤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건조 시료 및 습윤 시료의 각각에 대해서, 그 통기도를, JIS L 1096-1998, 6.27.1, A 법 (프라질형법) 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건조 시료의 평균 통기도 및 습윤 시료의 평균 통기도를 산출하고, 또한 하기 식:
통기도 변화율 (%)=〔(습윤 시료의 평균 통기도)-(건조 시료의 평균 통기도) 〕/(건조 시료의 평균 통기도)×100
에 의해 통기도 변화율을 산출하였을 때, 이 통기도 변화율이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의 시료를,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복수의 건조 시료를 조제하고, 또한 상기 직편 포백의 별도의 시료를, 온도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물 속에서 끌어올려, 1쌍의 여과지 사이에 끼우고, 490N/㎡ 의 압력을 1분간 가하여, 시료 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복수의 습윤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건조 시료 및 습윤 시료의 각각의 직편 조직 중에 형성되어 있는 산부 (H1) 및 골부 (H2) 의 두께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표시되는 요철률:
요철률 (%)=〔(산부의 두께 (H1))-(골부의 두께 (H2)〕/(골부의 두께 (H2))×100
〔단, 산부의 두께 (H1) 는 면적 1mm×1mm 의 산부의 평균 두께이고, 골부의 두께 (H2) 는 직경 방향 또는 코스 방향에,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산부의 거의 중앙에 있는 면적 1mm×1mm 의 골부의 평균 두께임〕
를 산출하고, 또한 하기 식에 의해 표시되는 요철률 변화율:
요철률 변화율=〔(습윤 시료의 요철률)-(건조 시료의 요철률) 〕×100
을 산출하였을 때, 이 요철률 변화율이 적어도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직성 조직을 갖고, 상기 직성 조직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경사군 (W(1)) 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복합사 또는 겹침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경사군 (W(1+2)) 이 교대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위사군 (F(1)) 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의 복합사 (1+2) 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위사군 (F(1+2)) 이 교차하고 있어, 그것에 의하여 상기 경사군 (W(1+2)) 과 상기 위사군 (F(1+2)) 의 교차에 의해 형성되는 고흡수?자기 신장성을 갖는 복수의 부분 영역이, 경?위사 양방향에, 서로 이간하여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실린더측 니트층과, 다이얼측 니트층을 포함하고, 이 2층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턱되어 있는 2중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실린더측 니트층이,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얼측 니트층에는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복합사 또는 겹침사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이,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실린더측 니트층과, 다이얼측 니트층과, 그 중간에 배치된 니트층을 갖고, 이들의, 인접하는 2층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턱되어 있는, 3중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중간 니트층이,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얼측 니트층 및 실린더측 니트층의 각각에는,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복합사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이,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로 구성된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편성 조직이 하기 식:
Co×We≥2000
〔단, 상기 식 중, Co 는 상기 편성 포백의 가로 방향 2.54cm 당 코스수를 나타내고, We 는 상기 편성 포백의 세로 방향 2.54cm 당 웨일수를 냄〕
를 만족하는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의 한 면이 기모 가공에 의해 기모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있어서, JIS L 1096-1998, 6.27, A 법 (프라질형법) 에 의한 통기도 측정에 제공되었을 때, 50ml/㎠?s 이하의 통기도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그 경사 및 위사의 어느 일방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와, 적어도 1개의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로 구성된 복합사 또는 겹침사와, 상기 경사 및 위사의 타방을 구성하는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로 이루어지는 직성 조직을 갖고, 또한 1800~2800 의 커버 팩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가, 그 심부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와, 상기 심부의 주변의 초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에 의해 통기도가 증대하는 의복은 상기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흡수에 의해 통기성이 증대하는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겨드랑이부, 측부, 흉부, 등부, 및 어깨부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부분이 상기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에 의해 통기성이 증대하는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이 속옷용 의복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흡수에 의해 통기성이 증대하는 의복에 있어서, 상기 의복이 스포츠용 의복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 있어서, 도 1 의 (A) 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일례로서, 두 개의 이종 사조로 이루어지는 겹침사에 의해 형성된 건조시의 환편 조직 (루프)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1 의 (B) 는 도 1 의 (A) 에 나타낸 겹침사 환편 조직 (루프) 의, 흡수 습윤시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2 에 있어서, 도 2 의 (A) 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 백의 다른 예로서, 두 개의 이종 사조로 이루어지는 겹침사에 의해 형성된 건조시의 평직 조직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2 의 (B) 는 도 2 의 (A) 에 나타낸 겹침사의 흡수 습윤시의 평직 조직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3 에 있어서, 도 3 의 (A) 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다른 예로서, 두 개의 이종 사조를, 교대로 배치하여 형성된 건조시의 환편 조직 (루프) 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3 의 (B) 는 도 3 의 (A) 의 환편 조직 (루프) 의 흡수 습윤시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4 에 있어서, 도 4 의 (A) 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다른 예로서, 두 개의 이종 사조를, 각각 경사 및 위사로 형성된 평편 조직의 건조시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4 의 (B) 는 도 4 의 (A) 의 평직 조직의 흡수 습윤시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다른 예로서, 직편 포백 중에 흡수 습윤시에, 공극률의 증대가 가장 큰 부분 영역이, 서로 이간하여 복수의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조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6 에 있어서, 도 6 의 (A) 는 도 5 에 나타낸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직편 조직에 있어서, 단층 구조를 갖는 직편 포백의 건조시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고, 도 6 의 (B) 는 도 6 의 (A) 에 나타낸 직편 포백의 흡수 습윤시의 단면 설명도이고,
도 7 에 있어서, 도 7 의 (A) 는 도 5 에 나타낸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직편 조직에 있어서, 2중층 구조를 갖는 직편 포백의 건조시 의 단면 형상을 나타내는 단면 설명도이고, 도 7 의 (B) 는 도 7 의 (A) 의 직편 포백의 흡수 습윤시의 단면 설명도이고,
도 8 은 도 5 에 나타낸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일례로서, 2중 편성 조직을 갖는 편성 포백의 편성 조직도이고,
도 9 에 있어서, 도 9 의 (A) 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으로서, 직포 조직을 갖는 다른 예의 건조시의 평직 조직을 나타내는 평면 설명도이고, 도 9 의 (B) 는 도 9 의 (A) 의 평직 조직의 흡수 습윤시의 평면 설명도이고,
도 10 은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을 포함하는 의복의 일례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 11 은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을 포함하는 의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 12 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을 포함하는 의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을 포함하는 의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배면 설명도이고,
도 14 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을 포함하는 의복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정면 설명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은 흡수?자기 신장성에 있어 서, 서로 상이한 2종의 사조를 포함하는 직편 포백이다.
상기 직편 포백은 그것을 20℃ 의 온도 및 65% 의 상대 습도를 갖는 분위기 중에 있어서, 치수를 안정화시키고, 이 치수 안정화된 직편 포백으로부터, 경사 방향 또는 웨일 방향의 길이 30cm, 및 위사 방향 또는 코스 방향의 길이 30cm 의 치수를 갖는 시험편을 채취하였을 때, 이 시험편 중의,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및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가, 하기 식:
A/B≤0.9 (1)
〔단, 식 (1) 중, A 는 상기 직편 포백 시험편으로부터 채취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의 평균 길이를 나타내고, B 는 상기 직편 포백 시험편으로부터 채취되고, 또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동일 방향에 배치되어 있던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평균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각 사조의 길이는 그 사조가 200% 이하의 파단 신도를 나타내는 비탄성 사조일 때에는 1.76mN/dtex 의 하중 하에서 측정되고, 그 사조가 200% 보다 높은 파단 신도를 나타내는 탄성 사조일 때에는 0.0088mN/dtex 의 하중 하에서 측정됨〕
에 의해 표시되는 요건을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서, 그럼으로써, 상기 직편 포백은 흡수 습윤되었을 때, 포백의 공극률이 증대하고, 따라서 통기성이 증대되고, 건조되었을 때, 포백의 공극률이 감소되어 통기성이 저하되는 특성을 발휘한다. 상기 평균 길이의 측정에 사용하는 사조의 시료수 n 은 5~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편 포백에 있어서,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및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평균 길이 비 A/B 는 상기한 바와 같이 0.9 이 하이고, 0.2~0.9 인 것이 바람직하고, 0.3~0.8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비 A/B 의 값이 0.9 보다 커지면, 직편 포백의 건조시와 흡수 습윤시 사이의 통기율의 변화가 불충분해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흡수?자기 신장성 사조는 탄성 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또는 비탄성 섬유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탄성 신장 및 수축을 나타내는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탄성 사조는 200% 보다 높은 파단 신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탄성 섬유로 이루어지는 사조의 파단 신도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고, 200% 이하의 파단 신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흡수?자기 신장성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2종의 사조 (1) 및 (2) 는 하기 요건을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2종의 사조 (1) 및 (2) 의 각각에 대해서, 하기 흡수?자기 신장률의 측정에 제공하였을 때, 즉 상기 사조의 각각을, 틀 둘레: 1.125m 의 실패 틀에, 하중 0.88mN/dtex 를 가하면서 감아, 감기 수 10 의 실패를 형성하고, 이 실패 실을 상기 실패 틀로부터 떼어내어,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환경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건조시키고, 이 건조 실패 실에, 그것이 200% 이하의 파단 신도를 갖는 비탄성사일 때에는, 그것에 1.76mN/dtex 의 하중을 가하고, 또한 그것이 200%보다 높은 파단 신도를 갖는 탄성사일 때에는 0.0088mN/dtex 의 하중을 가하여, 그 건조사 길이 (Ld,mm) 를 측정하고, 이 실패 실을, 수온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한 후에, 물 속에서 끌어올리 고, 이 습윤 실패 실에, 그 파단 신도에 따라, 상기와 동일한 하중을 가하여, 그 습윤사 길이 (Lw,mm) 를 측정하고, 하기 식:
사조의 자기 신장률 (%)=(Lw-Ld)/(Ld)×100 에 의해 각 사조의 자기 신장률을 측정하였을 때,
상기 2종의 사조 중의 일방의 사조 (1) 가 +5% 이상의 평균 자기 신장률을 나타내는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이고, 타방의 사조 (2) 가 +5% 미만의 자기 신장률을 나타내는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인 것이 바람직하고, 사조 (1) 및 (2) 의 평균 자기 신장률이, 각각 +6% 이상 및 +4%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8~+30% 및 0~+3%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에 사용되는 시료수 n 은 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종 사조 (1) 및 (2) 의 자기 신장률 (E(1)) 및 (E(2)) 의 차 (E(1)-E(2)) 가 5~4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7~3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3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자기 신장률의 차 (E(1)-E(2)) 가 5% 미만이면, 얻어지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건조시와 흡수 습윤시의 공극률의 차가 불충분해져, 흡수 습윤시의 통기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그것이 40% 를 초과하면, 흡수 습윤시의 통기도가 너무 커지는 경우가 있거나, 또는 건조시의 통기도가 너무 작아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직편 포백에 있어서,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그것이 낮은 사조 (2) 의 함유 질량비는 편성 포백의 경우, 10:90~70:30 인 것이 바 람직하고, 15:85~50:5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편성 포백의 경우 10:90~60:40 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50:50 이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일 실시태양에 있어서, 그것이 편성 조직, 예를 들어 환편 조직을 갖고,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가 서로 겹쳐진 겹침사로서 사용되고 있다.
도 1 (도 1 의 (A) 및 도 1 의 (B)) 에 있어서, 2종의 사조 (1) 및 (2) 가 건조 상태에서 겹쳐진다. 이 때 흡수 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1 가 기계적으로 신장 (드래프트) 된 상태에서, 흡수 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2 와 겹쳐지고, 편성 공정에 제공된다. 편성 공정 후, 건조 사조 (1) 1 에 부여되어 있던 장력이 제거되면, 사조 (1) 1 은 수축되지만, 흡수 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2 는 실질적으로 수축되지 않는다. 얻어진 편성 구조에 있어서, 사조 (1) 1 의 평균 길이 A 의 사조 (2) 2 의 평균 길이 B 에 대한 비 A/B 는 0.9 이하로 컨트롤되기 때문에 사족이 긴 사조 (2) 2 가, 사조 (1) 1 의 주변에 달라붙은 상태가 되고, 이 겹침사의 외관 굵기가 증대한다. 이 때 편성 포백 전체 표면적에서 차지하는 공극 (3) 의 면적비, 즉 공극률은 비교적 낮은 것이 된다. 도 1 의 (A) 에 나타낸 건조 편성 포백이 흡수 습윤 상태가 되면, 도 1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조 (1) 1 는 흡수하여 자기 신장되고, 그에 따라, 사조 (2) 2 도, 대략 긴장된 상태로 되어 겹침사의 외관 굵기가 작아지고, 도 1 의 (B) 의 흡수 습윤 포백의 공극률은 도 1 의 (A) 의 건조 포백의 공극률보다 커져 통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다른 실시태양에 있어서, 그 것이 직성 조직, 예를 들어 평직 조직을 갖고 있고, 그 경사 및 위사는 각각,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1 와, 그것이 낮은 사조 (2) 2 와의 겹침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겹침사를 경사 및 위사로서 직성할 때에,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1 는 건조 상태에서 기계적으로 장력을 부가하여 신장 (드래프트) 한 상태에서, 건조 상태의 사조 (2) 2 에 겹쳐져, 직성 공정에 제공된다. 직성 공정이 완료된 후, 상기 장력이 제거되면, 사조 (1) 1 은 기계적으로 수축되고, 사조 (2) 2 는 실질적으로 수축되지 않는다. 얻어진 직성 구조에 있어서, 사조 (1) 1 의 평균 길이 A 의, 사조 (2) 2 의 평균 길이 B 에 대한 비 A/B 는 0.9 이하로 컨트롤되기 때문에, 도 2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족이 긴 사조 (2) 2 는 사족이 짧은 사조 (1) 1 의 주변에서 권축된 상태가 되어, 겹침사의 외관 굵기가 증대한다. 이 때문에, 얻어진 건조 상태의 직성 포백에 있어서의 공극률은 비교적 낮은 것이 된다. 이 직성 포백이 흡수 습윤되면, 도 2 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조 (1) 1 은 흡수?자기 신장되고, 그에 따라, 사조 (2) 2 도 긴장 상태가 되기 때문에, 습윤 포백의 공극률은 건조 포백의 공극률보다 높아져 통기성이 향상된다. 도 1 및 2 에 나타낸 직편 포백에 사용되는 사조 (1)/사조 (2) 겹침사를 사용하는 직성 방법 및 편성 방법에 관해서는 뒤에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건조 상태 및 습윤 상태에 있어서의 공극률 및 건조 상태로부터 습윤 상태로 변화함에 따른 포백의 공극률의 변화율은 하기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시험용 직편 포백의 시료를,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복수의 건조 시료를 조제하고, 또한 상기 직편 포백의 별도의 시료를, 온도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물 속에서 끌어올려, 1쌍의 여과지 사이에 끼우고, 490N/㎡ 의 압력을 1분간 가하여, 시료 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복수의 습윤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건조 시료 및 습윤 시료의 각각에 대해서, 그 표면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배율 20 으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지는 공극률:
공극률 (%)=(사조 사이의 공극의 합계 면적)/(관찰 면적)×100
의 평균치를 구하고, 하기 식:
공극 변화율 (%)=〔(습윤 시료의 평균 공극률)-(건조 시료의 평균 공극률) 〕/(건조 시료의 평균 공극률)×100
에 의해, 상기 습윤 시료의 평균 공극률 및 건조 시료의 평균 공극률로부터, 공극 변화율 (%) 을 산출한다. 상기 측정 시료수 n 은 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건조 및 습윤 상태 사이의 공극 변화율은 적어도 10%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200% 이다. 공극 변화율이 10% 미만일 때에는 직편 포백의 흡수 습윤 상태에 있어서의 통기도가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평균 통기도 및 건조 상태와 습윤 상태 사이의 통기도 변화율은 하기 측정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시험용 직편 포백의 시료를,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복수의 건조 시료를 조제하고, 또한 상기 직편 포백의 별도의 시료를, 온 도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물 속에서 끌어올려, 1쌍의 여과지 사이에 끼우고, 490N/㎡ 의 압력을 1분간 가하여, 시료 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복수의 습윤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건조 시료 및 습윤 시료의 각각에 대해서, 그 통기도를, JIS L 1096-1998, 6.27.1, A 법 (프라질형법) 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건조 시료의 평균 통기도 및 습윤 시료의 평균 통기도를 산출하고, 또한 하기 식:
통기도 변화율 (%)=〔(습윤 시료의 평균 통기도)-(건조 시료의 평균 통기도) 〕/(건조 시료의 평균 통기도)×100
에 의해 통기도 변화율을 산출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그 통기도 변화율은 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3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 시료수 n 은 5~2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건조시, 특히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분위기 중에 있어서의 통기도 (JIS L 1096-1998, 6.27, A 법 (프라질형법) 에 의해 측정) 가 50ml/㎠?sec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48ml/㎠?sec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러한 통기도를 갖는 건조 포백은 실용상 충분한 방풍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로서 사용되는 섬유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예를 들어,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세그먼트와, 폴리옥시에틸렌글리 콜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밖의 사조 (1) 용 섬유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머에 폴리아크릴산금속염, 폴리아크릴산 및 그 공중합체, 폴리메타아크릴산 및 그 공중합체, 폴리비닐알코올 및 그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아미드 및 그 공중합체, 폴리옥시에틸렌계 폴리머 등을 배합한 폴리에스테르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5-술포이소프탈산 성분을 공중합한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이 예시된다. 그중에서도, 이러한 흡수 자기 신장 탄성 섬유로서,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 블록을 하드 세그먼트로 하고,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블록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드 세그먼트용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는 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 단위를 적어도 70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 세그먼트의 함유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이다. 하드 세그먼트 구성 폴리머용 산성분은 테레프탈산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지만, 소량의 다른 디카르복시산 성분을 공중합해도 되고, 또한 글리콜 성분은 테트라메틸렌글리콜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이고, 다른 글리콜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하드 세그먼트용 폴리머 형성에 사용되는 테레프탈산 이외의 디카르복시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나프탈렌디카르복시산, 이소프탈산, 디페닐디카르복시산, 디페닐키시에탄디카르복시산, β-히드록시에톡시벤조산, p-옥시벤조산, 아디프산, 세바스 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시산과 같은 방향족, 지방족의 디카르복시산 성분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의 달성이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과 같은 3관능성 이상의 폴리카르복시산을 공중합성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하드 세그먼트용 폴리머의 형성에 사용되는 테트라메틸렌글리콜 이외의 디올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메틸렌글리콜, 에틸렌글리콜, 시클로헥산-1,4-디메탄올, 네오펜틸글리콜과 같은 지방족, 지환족, 방향족의 디올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의 달성이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과 같은 3관능성 이상의 폴리올을 공중합 성분으로서 사용해도 된다.
한편, 소프트 세그먼트용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은 옥시에틸렌글리콜 단위를 적어도 70몰%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시에틸렌글리콜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몰% 이상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달성이 실질적으로 손상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옥시에틸렌글리콜 이외에 프로필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을 공중합시켜도 된다.
소프트 세그먼트용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의 수 평균 분자량은 400~8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중에서도 1000~60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테레프탈산디메틸,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및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을 함유하는 원료를, 에스테르 교환 촉매의 존재 하에서 에스테르 교환 반응시켜 비스(ω-히드록시부틸)테레프탈레이트 모 노머 및/또는 올리고머를 형성시키고, 그 후, 이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를 중축합 촉매 및 안정제의 존재 하에서 고온 감압 하에서 용융 중축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에 있어서의 하드 세그먼트/소프트 세그먼트의 질량 비율은 30/70~70/3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조 (1) 용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머에, 유기술폰산금속염이 공중합되어 있으면, 더욱 우수한 흡수 자기 신장 성능이 얻어진다.
사조 (1) 용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는 상기 폴리에테르에스테르를, 통상의 용융 방사 구금으로부터 용융하여 밀어내고, 인취 속도 300~1200m/분 (바람직하게는 400~980m/분) 으로 인취하고, 권취 드래프트율을 나아가 그 인취 속도의 1.0~1.2 (바람직하게는 1.0~1.1) 로 권취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사용되는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에 사용되는 섬유는 목면, 마 등의 천연 섬유나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오스계 화학 섬유, 나아가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대표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아크릴니트릴,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섬유를 포함한다. 이들의 중에서도, 통상 (비탄성) 의 폴리에스테르 섬유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직편 포백에 사용되는 사조 (1) 및 (2) 를 구성하는 섬유에는 필요에 따라 윤기 제거제 (2산화티탄), 미세 구멍 형성제 (유기술폰산금속염), 착색 방지제, 열 안정제, 난연제 (3산화2안티몬), 형광 증백제, 착색 안료, 제전제 (술 폰산금속염), 흡습제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 항균제, 그 밖의 무기입자의 1종 이상을 함유시켜도 된다.
사조 (1) 및 (2) 를 구성하는 섬유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장섬유 (멀티필라멘트) 및, 단섬유 중 어느 것이나 되지만, 유연한 질감을 얻기 위해서는 장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사용되는 사조 (1) 및 (2) 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단섬유 방적사일 수도 있고, 멀티필라멘트사조일 수도 있다. 섬유의 단면 형상도 한정되지 않고, 원형, 삼각형, 편평형, 십자형, 6엽형, 중공 등 종래의 단면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사조 (1) 및 (2) 의 각각의 총 섬도, 단일 섬유 섬도, 필라멘트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질감이나 생산성 관점에서 총 섬도 30~300dtex, 단일 섬유 섬도 0.1~10dtex, 바람직하게는 0.6~3dtex, 필라멘트수 1~300개, 바람직하게는 20~150개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직편 포백을 구성하는 사조 (1) 의 사조 (2) 에 대한 질량비로서, 본 발명의 주목적인, 습윤시의 공극률 향상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서, 10:90~60:4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80~50:50 이다.
습윤에 대하여 통기성이 향상되지 않는 본 발명의 직편 포백의 조직에도 한정은 없다. 예를 들어, 직성 포백의 직조직으로서는 평직, 사문직, 주자직 등의 3원 조직, 변화 조직, 변화 사문직 등의 변화 조직, 세로 이중직, 가로 이중직 등의 편2중 조직, 세로 빌로오드 등이 예시된다. 편성 포백의 종류는 가로 편 물이어도 되고 세로 편물이어도 된다. 가로 편조직으로서는 평편, 고무편, 양면편, 펄편, 턱편, 부상편, 편반편, 레이스편, 첨모편 등이 바람직하게 예시되고, 세로 편조직으로서는 싱글 덴비편, 싱글 아틀라스편, 더블 코드편, 하프 트리코트편, 이모편, 자카드편 등이 예시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다른 실시태양에 있어서, 2종의 사조 (1) 및 (2) 의 복합사 또는 겹침사와 사조 (2) 가, 상기 직편 포백의 직성 조직의 경방향 및 위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에, 또는 편성 조직의 웨일 방향 및 코스 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에, 적어도 1개앞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사조 (1) 및 (2) 의 복합사 또는 겹침사와 사조 (2) 의 상기 각 방향에서의 배열 개수비는 1:1 일 수도 있고, 1:(1~5), 2:1, 2:(2~5), 3:1, 3:(2~5), (4~5):(1~5) 등일 수도 있다.
도 3 (도 3 의 (A) 및 도 3 의 (B)) 에 나타낸 편성 조직에 있어서,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1 및 그것이 낮은 사조 (2) 2 를, 건조 상태에서 웨일 방향에 1개앞 교대로 편성하고, 도 3 의 (A) 에 나타낸 편성 조직을 형성하여, 이것을 흡수 습윤시키면, 사조 (1) 1 은 흡수?자기 신장하여,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편성 조직을 형성하고, 얻어지는 습윤 포백의 공극률은 건조 포백의 공극률보다 증대하고, 그럼으로써 통기성은 향상된다.
도 4 (도 4 의 (A) 및 도 4 의 (B)) 에 나타낸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다른 실시태양은 직성 조직을 갖고, 그 경사 방향 및 위사 방향의 각각에 있어서, 사조 (1) 1 및 사조 (2) 2 가, 1개앞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그 직성 공정에 있어서, 건조 경사 및 위사에 부가된 장력 하에서, 사조 (1) 1 가 사조 (2) 2 보다 신장량이 높은 경우, 직성 완료 후, 장력이 제외되면, 사조 (1) 1 은 사조 (1) 2 보다도 높은 수축량으로 수축되기 때문에, 포백 중의 사조 (2) 2 의 사족이 사조 (1) 1 의 사족보다 길어지고, 도 4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조 (2) 2 가, 눌려 오그라들어 권축되고, 사조 (2) 의 외관 굵기가 증대하여, 포백의 공극률이 비교적 작은 것이 된다. 이 건조 포백을 흡수 습윤시키면, 사조 (1) 1 은 흡수하여 자기 신장하기 때문에, 그에 따라, 사조 (2) 도 거의 긴장 상태가 되어, 포백의 공극률이 증대하여 통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그것이 낮은 사조 (2) 가, 혼섬사, 복합 가연 권축 가공사, 합연사, 및 커버링사 등의 복합사를 형성하고 있어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직성 포백 중에서 (예를 들어 도 1 및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조 (1) 와 사조 (2) 의 사족에 차를 생기게 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하기 직성 방법 (1), (2) 및 (3) 이 사용된다.
사족차가 있는 포백의 직성 방법 (1)
사조 (1) 로서, 상기 신장 탄성이 높은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고, 이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사조 (1) 를 드래프트 (신장) 하면서, 사조 (2) 와 겹쳐, 동일 급사구에 급사하여 직성 또는 편성한다. 이 때,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사조 (1) 의 드래프트율은 1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3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신장 탄성 사조의 드래프트율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할 수 있다.
드래프트율 (%)=〔(사조 인취 속도)-(사조 공급 속도)〕/(사조 공급 속도)×100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섬유는 신장 탄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직편성 공정에 있어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사조 (1) 에 장력을 부여하여 탄성 신장하고, 직편성 후에 장력을 제거하면, 사조 (1) 는 탄성 수축하여 사족이 감소된다. 이 직편성에 다른 사조 (2) 를 병용하면, 얻어지는 직편 포백 내에 있어서, 사조 (1) 와 사조 (2) 사이에 사족차를 발생시킨다.
사족차가 있는 포백의 직편성 방법 (2)
사조 (1) 및 사조 (2) 를 사용하여,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을 직편성할 때, 사조 (1) 로서, 그 비수(沸水) 수축률이 사조 (2) 의 비수 수축률보다 큰 것을 사용한다. 이러한 사조 (1) 및 사조 (2) 를 함유하는 직편 포백은 통상의 염색 가공에 제공하면, 포백 내의 사조 (2) 가 사조 (1) 보다 크게 수축하여 사족차가 있는 사조 (1) 및 사조 (2) 로 이루어지는 포백이 얻어진다.
사족차가 있는 포백의 직편성 방법 (3)
사조 (1) 와 사조 (2) 의 겹침사를 제작할 때, 사조 (2) 만을 오버 피드한 사조 (1) 와 겹치고, 이 겹침사를, 공기 혼련 공정, 연사 공정, 또는 커버링 공정을 실시하여 복합사를 조제한다. 이 복합사 중에 있어서, 사조 (1) 와 사조 (2) 사이에 사족차가 있고, 사조 (2) 의 사족이 사조 (1) 의 사족보다 길다. 이러한 사족차가 있는 겹침사가 얻어진다. 이 겹침사를 사용하여 원하는 포백 으로 직편성한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10) 에 있어서, 흡수 습윤에 의한 자기 신장하는 사조 (1) 의 함유율이 높은 복수의 부분 영역 (11) 이, 그것보다 사조 (1) 의 함유율이 낮은 연속 부분 (12) 중에, 서로 이간되어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러한 직편 포백을 사용하여 제작된 의복은 흡수 습윤시에, 주로 부분 영역 (11) 에 있어서 통기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의복이 피부에 접하는 면에 요철차를 발생시켜, 피부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발한으로 인한 불쾌감을 적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조 (1) 의 함유율이 높은 부분 영역 (11) 이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직편 포백은 단층 조직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복수층 조직이어도 된다.
도 6 (도 6 의 (A), 도 6 의 (B)) 에 나타낸 직편 포백 (10) 은 단층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의 함유율이 높은 부분 영역 (11) 이, 사조 (1) 의 함유율이 낮은 부분 영역 (12) 중에 섬 형상으로 분포 형성되어 있다. 이 포백을 흡수 습윤시키면, 부분 영역 (11) 내의 사조 (1) 는 흡수에 의해 자기 신장하고, 이 때문에, 부분 영역 (11) 의 면적 (또는 용적) 이 그 주위의 부분 영역 (12) 보다 커지고, 이 때문에, 부분 영역 (11) 은 포백의 어느 한 면측에, 돌출하여 볼록부를 형성한다. 이 때문에, 도 6 의 (A) 의 포백에 의해 조제된 의복이 습윤되었을 때, 의복의 일면 (피부에 접하는 면) 에는 다수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피부와 의복 이면의 접촉 면적이 감소되어 발한의 젖음에 의한 불쾌감을 적게 할 수 있다.
도 7 (도 7 의 (A), 도 7 의 (B)) 에는 2층 구조를 갖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단면이 기재되어 있다. 이 포백 (10) 은 적절한 사조에 의해 형성된 표면층 (13) 과,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으로 이루어지는 이면층 (14) 으로 구성되고, 이면층 (14) 에는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의 함유율이 높은 부분 영역 (11) 이, 사조 (1) 의 함유율이 낮은 부분 영역 (12) 중에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7 에 나타낸 포백 구조에 있어서는 사조 (1) 의 함유율이 높은 부분 영역 (11) 은 이면층 (14) 의 하면측에 형성되어 있고, 이 부분 영역에 있어서는 표면층 (13) 과 이면층 (14) 이 턱되어 있지 않다. 도 7 의 (A), (B) 에 나타내는 공간 (15) 은 이 부분에 있어서, 이면층 (14) 중의 부분 영역 (11) 이, 표면층 (13) 에 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 2층 구조 포백이 흡수?습윤되었을 때, 부분 영역 (11) 내의 사조 (1) 는 흡수?자기 신장하고, 이 때문에, 도 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분 영역 (11) 은 이면층 (14) 의 하면측으로 불거져 나와, 포백 (10) 의 이면측에 다수의 볼록부를 형성한다. 이 볼록부의 작용 효과는 도 6 에 기재된 포백의 경우와 동일이지만, 도 7 의 포백에 있어서는 이면층 (14) 의 부분 영역 (11) 이 표면층 (13) 에 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부분 영역 (11) 의, 포백 이면층 하측으로 돌출이 조장된다.
상기 부분 영역 (11) 의 각각의 치수는 한정되지 않지만 (3~15mm)×(3~15mm) 인 것이 바람직하고, 부분 영역 (11) 의 상호 간격은 경방향 (웨일 방향), 위방향 (코스 방향) 모두 2~1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조 (2) 의 함유율이 높고, 습윤시에 신장하는 부분 영역 (11) 을 갖는 포백은 착용시에 발한을 수반하는 용도, 예를 들어 스포츠 웨어 및 속옷용 의복에 적합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직편 조직 중에 형성되는 산부 및 골부의 두께 및 요철률, 그리고 흡수 습윤에 의한 요철률 변화율은 하기와 같이 측정할 수 있다.
시험용 직편 포백의 시료를,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복수의 건조 시료를 조제하고, 또한 상기 직편 포백의 별도의 시료를, 온도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물 속에서 끌어올려, 1쌍의 여과지 사이에 끼우고, 490N/㎡ 의 압력을 1분간 가하여, 시료 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복수의 습윤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건조 시료 및 습윤 시료의 각각의 직편 조직 중에 형성되어 있는 산부 및 골부의 두께를, 예를 들어 초고정밀 레이저 변위계 (키엔스사 제조, 모델 LC-2400) 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표시되는 요철률:
요철률 (%)=〔(산부의 두께 (H1))-(골부의 두께 (H2)〕/(골부의 두께 (H2))×100
〔단, 산부의 두께 (H1) 는 면적 1mm×1mm 의 산부의 평균 두께이고, 골부의 두께 (H2) 는 직경 방향 또는 코스 방향에,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산부의 거의 중앙에 있는 면적 1mm×1mm 의 골부의 평균 두께임〕
를 산출하고, 또한 하기 식에 의해 표시되는 요철률 변화율:
요철률 변화율=〔(습윤 시료의 요철률)-(건조 시료의 요철률) 〕×100
을 산출한다. 이 요철률 변화율은 적어도 5% 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측정 시료의 수 (n) 는 5~20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특히 도 5~7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은, 흡수?자기 신장률이 높은 사조 (1) 의 함유율이 높고, 흡수 습윤에 의해 볼록부를 형성하는 섬 형상 부분 영역을 갖는 포백에 있어서는 상기 요철률 변화율은 5%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7~1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사조 (1) 의 함유율이 높은 부분 영역을 갖는 직편 포백의 실시태양에 관해서 하기에 설명한다.
실시태양 (1) 에 있어서,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이 직성 조직을 갖고, 상기 직성 조직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경사군 (W(1)) 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복합사 또는 겹침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경사군 (W(1+2)) 이 교대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위사군 (F(1)) 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의 복합사 (1+2) 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위사군 (F(1+2)) 이 교차하 고 있어, 그것에 의하여 상기 경사군 (W(1+2)) 과 상기 위사군 (F(1+2)) 의 교차에 의해 형성되는 고흡수?자기 신장성을 갖는 복수의 부분 영역이, 경?위사 양방향에, 서로 이간하여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른 실시태양 (2) 에 있어서,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이, 실린더측 니트층과, 다이얼측 니트층을 포함하고, 이 2층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턱되어 있는 2중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실린더측 니트층이,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얼측 니트층에는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복합사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이,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실시태양 (1) 은 도 6 (도 6 의 (A), 도 6 의 (B)) 에 기재된 태양에 상응하고, 상기 실시태양 (2) 은 도 7 (도 7 의 (A),도 7 의 (B)) 에 기재된 태양에 상당한다.
또 다른 실시태양 (3) 에 있어서,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이, 실린더측 니트층과, 다이얼측 니트층과, 그 중간에 배치된 니트층을 갖고, 이들의, 인접하는 2층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턱되어 있는 3중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중간 니트층이,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얼측 니트층 및 실린더측 니트층의 각각에는,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복합사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이, 코스 방향, 및/또는 웨일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도 8 에는 상기 실시태양 (2) 에 대응하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편성 포백의 일례의 편성 조직이 나타나 있다. 이 편성 조직에 있어서, 신장 탄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를 심사로서 포함하고, 그 주위를, 비탄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로 이루어지는 초사를 둘러감아 얻어진 복합사 (커버링사; a) (사조 (1)/사조 (2) 복합 커버링사) 와, 비탄성 폴리에스테르 멀티필라멘트사조 (b) 가 사용되고 있다. 이 조직에서는 급사구 1~15 에 있어서는 커버링사 (a) 와 사조 (b) 가 교대로 급사되고 급사구 16~24 에 있어서는 사조 (b) 만 급사된다. 급사구 1~15 에 있어서, 커버링사 (a) 는 다이얼측 니트에 사용되고, 사조 (b) 는 실린더측 니트에 사용되고, 급사구 16~24 에 있어서는 다이얼측 니트 및 실린더측 니트에는 사조 (b) 가 사용되고 실린더 니트와 다이얼측 니트는 실린더측으로부터 턱되어 있다. 따라서, 얻어지는 편성 포백에 있어서, 급사구 1~15 에 대응하는 부분 영역에 있어서, 다이얼측 니트에, 흡수?자기 신장성 사조 (1) 가, 다른 부분 영역보다 높은 함유율로 분포한다.
도 8 에 기재된 기호의 의미는 하기와 같다.
1~24: 급사구 배열 번호
C: 실린더측
D: 다이얼측
a: 폴리에테르에스테르사조 (심)/폴리에스테르사조 (초) 커버링사
b: 폴리에스테르사조
○: 다이얼측 니트
×: 실린더측 니트
¥: 실린더측 턱
본 발명의 직편 포백에는 염색 가공 및 마무리 가공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염색 가공은 침염 가공 및 날염 가공을 포함한다. 마무리 가공은 포백의 한 면에 실시되어도 되고 또는 양면에 실시되어도 되고 발수 가공, 기모 가공, 자외선 차폐 가공, 항균 가공, 소취 가공, 방충 가공, 축광제 가공, 재귀 반사제 가공, 마이너스 이온 발생제 가공 등의 각종 기능 부여 가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있어서, 그 직편 포백이,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로 구성된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편성 조직이 하기 식:
Co×We≥2000
〔단, 상기 식 중, Co 는 상기 편성 포백의 가로 방향 2.54cm 당 코스수를 나타내고, We 는 상기 편성 포백의 세로 방향 2.54cm 당 웨일수를 냄〕
를 만족하는 밀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Co×We 의 값은 2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0~1000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Co×We 의 값이 2000 미만일 때에는 얻어지는 편성 포백의 건조시의 통기성이 충분히 감소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방풍성이 불충분해지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Co×We 의 값이 10000 을 초과하면, 습윤적으로, 충분한 통기성이 얻어지 지 않는 경우가 있다.
상기 편성 조성에 제한은 없고, 예를 들어, 경편 조직으로서, 하프, 새틴, W 덴비, 샤크스킨, 벨벳, 퀸즈코트 등의 조직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환편 조직으로서는 천축, 카노코, 스무드, 프리스, 폰티 로마, 밀라노 리브 등의 조직이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이들 중에서도, 편지의 방풍성 관점에서, 경편 조직으로서 하프, 새틴, 환편 조직으로서 천축, 스무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편지의 층수에도 제한은 없고, 단층일 수도 있고, 2층 이상의 다층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편성 포백을 제조할 때, 예를 들어, 경편지를 제조할 때, 2개 이상의 바디를 갖는 경편기를 사용하여, 예를 들어 사조 (1) 로서 상기 탄성을 갖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를 사용하여, 그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를 드래프트 (연신) 하면서 백 바디에 공급하고, 한편 다른 바디에 사조 (2) 를 공급하여 경편지를 편성해도 된다. 얻어진 편지에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섬유는 탄성 회복 (수축) 하여 그 실 길이가 짧아져, 타방의 사조 (2) 와의 실 길이차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편성 포백을 제조할 때, 상기 Co 의 값은 5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60~12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We 의 값은 4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8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은 그 직편 포백이, 그 경사 및 위사의 어느 일방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적어도 1개의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로 구성된 복합사 또는 겹침사와, 상기 경사 및 위사의 타방을 구성하는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로 이루어지는 직성 조직을 가질 때, 또한 1800~2800 의 커버 팩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2300~270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 팩터 (CF) 는 하기 식에 의해 표시되는 것이다.
CF=(DWp/1.1)1/2×MWp+(DWf/1.1)1/2×MWf
〔DWp 는 경사 총 섬도 (dtex) 를 나타내고, MWp 는 경사직 밀도 (개/3.79cm) 를 나타내고, DWf 는 위사 총 섬도 (dtex) 를 나타내고, MWf 는 위사직 밀도 (개/3.79cm) 를 나타낸다.〕
상기 복합사 또는 겹침사에 있어서, 그것에 포함되는, 단일 사조 당 사조 (1) 및 (2) 의 수에 제한은 없고 각각이 1개 이상이면 된다.
상기 복합사의 바람직한 일례로서, 그 심부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와, 상기 심부 주위의 초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로 구성되는 심초형 복합사 또는 커버링사를 들 수 있다.
복합사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인터레이스 공기 젯 가공, 타슬란 공기 가공, 커버링 가공, 복합 가연 권축 가공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중에서도, 흡수 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를 심사로서 사용하고, 그 주위에 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가 둘러감긴 커버링 가공에 의한 것을 사용하면, 명확한 심초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복합사에 높은 스트레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9 (도 9 의 (A), 도 9 의 (B)) 에는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의 일례로서,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로 이루어지는 경사 (16) 와,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 로 이루어지는 심사와, 그것이 낮은 사조 (2) 로 이루어지는 초사로 구성되는 복합사로 이루어지는 위사 (17) 로 구성되는 직성 조직이 나타나 있다. 도 9 의 (A) 에 나타낸 상기 구성의 건조시의 조직이, 흡수 습윤되면, 위사 (17) 를 구성하는 복합사 중의 사조 (1) 가 흡수 자기 신장하기 때문에, 위사 (17) 는 합체로서 위사 방향에 신장하고, 이 때문에, 경사 (16) 의 건조시의 상호 간격 L1 이 증대하여 L2 가 되고, 그 결과, 직성 조직의 공극률이 증대하여 통기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을 사용하여 흡수에 의해 통기성이 증대하는 각종 의복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의복은 속옷용 의복 예를 들어 내의일 수도 있고, 또는 셔츠, 트레이너 등의 스포츠용 의복일 수도 있고, 또는 스웨터 등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의복은 그 전부 또는 주요 부분이,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고, 또한, 그 겨드랑이부, 측부, 흉부, 등부, 및 어깨부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부분이 상기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의복의 대부분은 습윤에 의해 통기성이 향상되는 경우가 없는 직편 포백으로 구성되고, 신체의 발한하기 쉬운 부위에 대응하는 부분, 즉 도 10 에 나타낸 의복의 좌우 겨드랑이부 (21), 도 11 에 나타내는 좌우 소매 하부 (22), 및 좌우 몸통측 단 부 (23), 도 12 에 나타낸 가슴 중심부 (24), 도 13 에 나타낸 등 상 중심부, 및 도 14 에 나타내 좌우 어깨부 (26) 의 1군데 이상이, 상기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직편 포백에 의해 형성되는 부분의 합계 면적은 500~100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합계 면적의, 의복의 총 면적에 대한 비율이 5~70% 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60%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면적 비율이, 5% 미만이면, 의복이 발한 등에 의해 부분적으로 습윤되었을 때, 이 습윤 부분의 통기도 향상 효과의, 의복 전체의 통기성에 미치는 효과가 너무 작아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그것이 70% 보다 많아지면, 습윤시에, 의복 전체의 치수 변화가 너무 커지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더욱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원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에 있어서, 하기 측정이 행해졌다.
(1) 직편 포백 중의 사조의 건조시 및 습윤시의 길이 (사족)
전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2) 사조의 자기 신장률의 측정
전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3) 사조의 비수 수축률
JIS L 1013-1998,7.15 의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측정 시험편수 n 은 3 이었다.
(4) 직편 포백의 건조시 및 습윤시의 공극률 및 공극 변화율의 측정
전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5) 직편 포백의 건조시 및 습윤시의 통기도 및 통기도 변화율의 측정
전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6) 직편 포백의 건조시 및 습윤시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두께, 요철률, 그리고 요철률 변화율의 측정
전술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실시예 1
하드 세그먼트로서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를 49.8중량부, 소프트 세그먼트로서 수 평균 분자량 4000 의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50.2중량부로 이루어지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폴리머를, 230℃ 에서 용융하고, 모노필라멘트용 방사 구금으로부터 토출량 3.05g/분으로 압출하였다. 이 폴리머를 2개의 고데 롤을 통해 705m/분으로 인취하고, 다시 750m/분 (권취 드래프트 1.06) 으로 권취하고, 얀 카운트가 44dtex/1 필라멘트의, 고탄성 흡수 자기 신장성 사조 (1) 를 얻었다. 이 사조 (1) 의 흡수 습윤시의 섬유축 방향의 자기 신장률은 10% 이고, 비수 수축률은 8% 이었다.
한편, 비자기 신장 사조 (2) 로서, 비수 수축률이 10% 이고, 습윤시의 자기 신장률이 1% 이하인, 통상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사 (84dtex/24 필라멘트) 를 사용하였다.
28 게이지의 싱글 환편기를 사용하여, 상기 사조 (1) 를 드래프트율 50% 로 드래프트시키면서, 상기 사조 (2) (신장 없음) 와 겹쳐 편지에 급사하고, 47코스/2.54cm, 40웨일/2.54cm 의 편밀도로 천축 조직의 환편 포백을 편성하였다. 이 환편물에 염색 및 마무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환편 포백에 있어서, 도 1 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조 (1) 와 사조 (2) 에 의한 환편 복합 루프가 형성되고, 사족비 A/B 는 0.7 이었다. 또한 얻어진 환편 포백의 공극률은 건조시: 15%, 습윤시: 23% 이고, 공극 변화율은 53% 이고, 그 통기도는 건조시: 210ml/㎠?sec, 습윤시: 380ml/㎠?sec 이고 통기도 변화율은 81% 이었다. 상기 환편 포백에 있어서, 흡수 습윤에 의해, 그 공극률이 증대하여 통기성이 향상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흡수 자기 신장성 사조 (1) 를 심사로 하고, 비수 수축률이 10% 이고, 또한 습윤시의 자기 신장률이 1%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사조 (2) (33dtex/12 필라멘트) 를 초사로 하고, 심사의 드래프트율 30% (1.3배), 초사의 커버링수 350회/m (Z 방향) 의 커버링사 (복합사; a) 를 제작하였다. 이 커버링사와, 비수 수축률이 8% 이고, 습윤시의 자기 신장률이 1%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사조 (b; 84dtex/72 필라멘트) 를 24게이지 더블 환편기에 제공하여, 38코스/2.54cm, 32웨일/2.54cm 의 편밀도에 있어서, 도 8 에 나타내는 편성 조직의, 편성 포백을 편성하여, 이 편성 포백을 염색 공정 및 마무리 공정에 제공하였다. 이 편성 포백의 사족비 A/B 는 0.8 이었다.
이 편성 포백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도 7 의 (A) 에 나타내는 것으로서, 표면층은 비자기 신장 사조 (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사; b) 만으로 구성되고, 이면층에 있어서는 커버링사 (a; 흡수 자기 신장 사조 (1) 와 비자기 신장 사조 (2) 로 구성) 로 구성되고, 흡수?자기 신장성 사조 (1) 의 함유율이 가장 높은 부분은 표면층에 턱되어 있지 않았다. 이면층의 비자기 신장성 사조 (2) 만으로 이루어지는 부분 영역의 위사 방향폭은 약 7mm 이고, 사조 (1) 를 포함하는 부분 영역의 위사 방향의 폭은 약 7mm 이었다.
얻어진 편성 포백의 건조시의 공극률은 8% 이고, 통기도는 180ml/㎠?sec 이었다. 이 포백이 흡수 습윤되었을 때, 포백 전체적으로는 치수 (길이, 폭) 에 변화가 없었지만, 사조 (2) 함유 커버링사로 구성된 부분 영역은 이면측에 돌출된 볼록부를 형성하였다. 포백의 습윤시의 공극률은 10% (공극 변화율: 25%) 이고, 통기도는 240ml/㎠?sec (통기도 변화율: 33%) 이었다.
상기 포백의 건조 및 습윤 시료에 있어서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두께, 및 요철률 그리고 요철률 변화율을 표 1 에 나타낸다.
볼록부 두께
H1 (mm)
오목부 두께
H2 (mm)
요철률 (%) 요철 변화율 (%)
건조 시료 0.88 0.81 8.7 51.5
습윤 시료 1.33 0.83 60.2
실시예 2 의 편성 포백은 습윤시에 실용상 충분한 공극률의 증대, 통기도의 향상, 및 요철 형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것과 같은 흡수 자기 신장성 사조 (1) 와 비자기 신장성 사조 (1)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사) 를 사용하고, 28게이지의 싱글 환편기로, 드래프트하지 않고 같은 급사 속도 (같은 편보) 로, 40코스/2.54cm, 35웨일/2.54cm 의 편밀도로 천축 조직의 환편 포백을 편성하였다. 이어서, 이 환편 포백을 염색 마무리하였다. 얻어진 환편 포백에 있어서, 사조 (1) 및 (2) 에 의해서 복합 루프가 형성되어 있고, 사족비 A/B 가 1.0 이었다. 얻어진 환편 포백의 성능은 하기와 같았다.
건조시
공극률: 30%
통기도: 350ml/㎠?sec
습윤시
포백 전체적으로는 길이, 폭에 변화가 없었다.
공극률: 25%, 공극 변화율: -17%
통기도: 250ml/㎠?sec, 통기도 변화율: -29%
비교예 1 의 편성 포백은 습윤시에 실용상 유효한 공극률의 증대, 통기도의 향상, 요철의 형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비교예 2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편성 포백을 편성하여 염색 마무리를 실시하였다. 단, 사조 (1)/사조 (2) 커버링사 대신에, 사조 (1) 와 사조 (2) 를, 드래프트율: 0% 에 있어서 합연기에 의해 합연하여 얻어진 합연사를 사용하였다. 얻어진 환편 포백에 있어서, 합연사 중의 사조 (1) 와, 사조 (2) 의 사조비 A/B 는 1.0 이었다. 얻어진 환편 포백은 하기 성능을 갖고 있었다.
건조시
공극률: 14%
통기도: 230ml/㎠?sec
습윤시
포백 전체의 길이, 폭에 변화가 없었다.
공극률: 12%, 공극 변화율:-14%
통기도: 190ml/㎠?sec, 통기도 변화율: -17%
비교예 2 의 환편 포백은 습윤시의 공극률의 증대, 통기도의 향상 및 요철의 형성이 없고, 실용상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었다.
상기 포백의 건조 및 습윤 시료에 있어서의 오목부 및 볼록부의 두께, 및 요철률 그리고 요철률 변화율을 표 2 에 나타낸다.
볼록부 두께
H1 (mm)
오목부 두께
H2 (mm)
요철률 (%) 요철 변화율 (%)
건조 시료 0.85 0.81 4.9 4.9
습윤 시료 0.90 0.82 9.8
실시예 3
실시예 1 에 기재된 것과 동일한 흡수?자기 신장성 폴리에테르폴리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사조 (1) (44dtex/1 필라멘트) 를 사용하였다.
또한, 비자기 신장성 사조 (2) 로서, 흡수 자기 신장률이 1% 이하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 사조 (56dtex/72 필라멘트) 를 사용하였다.
사조 (1) 를, 100% 의 드래프트율로 신장하면서 정경하고, 풀 세트에 의해 28게이지 트리코트 경편기의 백 바디에 통과시켜, 사조 (2) 를 드래프트하지 않고, 정경하여, 풀세트에 의해 프론트 바디에 통과시키고, 기상 편밀도: 90코스/2.54cm, 28웨일/2.54cm 에 있어서, 하프 편조직 (백: 10/12, 프론트: 23/10 에 의한 편성) 의 경편 포백을 제조하고, 이것에 염색, 마무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경편 포백의 편성 밀도는 105코스/2.54cm, 58웨일/2.54cm 이고, 경편 포백에 있어서의 사족비 A/B 는 0.42 이었다. 이 경편 포백은 하기 성능을 갖고 있었다.
건조시
통기도: 35ml/㎠?sec
습윤시
통기도: 87ml/㎠?sec, 통기도 변화율: 149%
상기 경편 포백은 건조시에 우수한 방풍성 (저통기성) 을 나타내고, 습윤시에 높은 통기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4
실시예 3 과 동일한 흡수 자기 신장성 사조 (1) 및 비자기 신장성 사조 (2) 를 사용하였다.
사조 (1) 를 드래프트율 150% 로 드래프트하면서, 사조 (2) (드래프트 없음) 와 함께 28게이지의 싱글 환편기에 공급하고, 기상 편성 밀도: 92코스/2.54cm, 46웨일/2.54cm 에 있어서, 천축 조직의 환편 포백에 편성하고, 이것에 염색, 마무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환편 포백의 편성 밀도는 106코스/2.54cm, 60웨일/2.54cm 이고, 이 환편 포백 중의 사족비 A/B 는 0.54 로서, 이 환편 포백의 통기성은 하기와 같았다.
건조시
통기도: 45ml/㎠?sec
습윤시
통기도: 92ml/㎠?sec, 통기도 변화율: 104%
얻어진 환편 포백은 건조시에 양호한 방풍성 (저통기성) 을 나타내고, 습윤시에 높은 통기성을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경편 포백을 제작하였다. 단, 사조 (1) 에 드래프트를 가하지 않고, 사조 (2) 와 함께, 36게이지의 싱글 환편기에 제공하고, 기상 편성 밀도: 74코스/2.54cm, 61웨일/2.54cm 의 스무드편 조직의 환편 포백을 제작하고, 이것에 염색 및 마무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환편 포백의 편성 밀도는 78코스/2.54cm, 75웨일/2.54cm 이고, 포백의 사조 (1) 와 사조 (2) 의 사족비 A/B 는 0.98 이었다. 이 환편 포백의 통기성은 하기의 같았다.
건조시
통기도: 46ml/㎠?sec
습윤시
통기도: 31ml/㎠?sec
통기도 변화율: -33%
상기 환편 포백은 건조시에 양호한 방풍성 (저통기성) 을 나타내었지만, 습윤시의 통기성이 낮아 만족스럽지 못한 것이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 과 동일한 흡수?자기 신장성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사조 (1) (44dtex/1 필라멘트) 를 사용하였다. 단, 그 흡수 자기 신장률은 25% 이고, 비수 수축률은 20% 이었다.
또한, 비자기 신장성 사조 (2a) 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가연 권축 가공 사조 (56dtex/144 필라멘트, 비수 수축률: 10%, 흡수 자기 신장률: 1% 이하) 를 사용하였다.
상기 사조 (1) 와 사조 (2a) 를, 커버링사 제조기에 제공하여, 사조 (1) 를 심사로 하고, 사조 (2) 를 초사로 하여, 사조 (1) 에 대한 드래프트율: 300%, 사조 (2) 의 커버링수: 1000회/m (S 방향) 에 의해, 신축 탄성 복합사 (커버링사) (80dtex/144 필라멘트) 를 제작하였다. 이 복합사 내에서의 사조 (1) 의 사조 (2a) 에 대한 사족비 A/B 는 0.29 이었다.
상기 복합사를 위사로서 사용하고, 경사로서 비자기 신장성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 사조 (2b) (흡수 자기 신장률: 1% 이하, 84dtex/72 필라멘트) 를 사용하였다.
상기 사조 (2b) 로 이루어지는 경사와 복합사조 (사조 (1) +(2a)) 로 이루어지는 위사를, 경사 밀도: 130개/3.79cm, 위사 밀도: 126개/3.79cm 에 있어서 평직 조직으로 제직하고, 얻어진 포백에 염색, 마무리를 실시하였다. 얻어진 편성 포백의 커버 팩터 (CF) 는 2400 이고, 통기성은 하기와 같았다.
건조시
통기도: 3.8ml/㎠?sec
습윤시
통기도: 11.0ml/㎠?sec
통기도 변화율: 189%
상기 평직 포백은 습윤시에 높은 통기도를 나타내어 실용상 만족스러운 것이었다.
실시예 6
실시예 1 과 동일한 흡수 자기 신장성 사조 (1) 및 비자기 신장성 사조 (2) 를 사용하여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환편 포백을 제조하였다.
별도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멀티필라멘트 가연 권축 가공사 (56dtex/72 필라멘트, 흡수 자기 신장률: 1% 이하) 를, 28게이지 더블 환편기에 제공하여, 편성 밀도 45코스/2.54cm, 41웨일/2.54cm 의 스무드 조직의 환편 포백을 편성하고, 이것에 염색, 마무리를 실시하였다. 이 환편 포백의 건조시와 습윤시 사이의 통기도 변화율은 5% 미만이었다. 이 환편 포백을 재단 봉제하여 반소매 셔츠를 제작하였다.
이 반소매 셔츠의 좌우 양 겨드랑이부 (도 10 의 겨드랑이 (21)) 를 커트 제거하고, 상기 사조 (1) 및 사조 (2) 함유 환편 포백에 의해 상기 커트 부분을 보전 봉제하였다. 이 사조 (1), (2) 함유 환편 포백에 의한 합계 보전 면적은 1050㎠ 이고, 반소매 셔츠의 총 면적에 대한 면적 비율은 10% 이었다. 이 반소매 셔츠를 착용 시험에 제공하고, 착용자가 런닝을 하여 발한한 바, 좌우 겨드랑이부의 통풍성이 좋아 사용감이 쾌적하였다. 발한 습윤에 의한 반소매 셔츠의 치수 변화는 실질적으로 관찰되지 않았다.
비교를 위해, 좌우 양 겨드랑이부를 커트 제거하지 않은 반소매 셔츠에 대해서, 상기와 동일한 착용 시험을 행하고, 발한에 의해, 좌우 겨드랑이부가 습윤된 결과, 통풍성이 불량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불량하였다.
본 발명의, 습윤에 의해서 통기성이 증대하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은 습윤에 의한 치수 변화가 비교적 적음에도 불구하고, 통기성이 향상되어, 의복용 포백, 특히 속옷용 및 스포츠 웨어용 포백으로서 유용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은 고가의 복합 섬유 또는 특수 가공사의 사용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실용성이 우수하다.

Claims (24)

  1. 흡수?자기 신장성에 있어서, 서로 상이한 2종의 사조(絲條)(상기 2 종의 사조 중의 일방으로서 타방보다 높은 흡수?자기 신장성을 갖는 사조를 이하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로 기재하고, 타방의 사조를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로 기재한다)를 포함하는 직편 (織編) 포백 (佈帛) 으로서,
    (1)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 (1)가,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이고,
    (2) 상기 직편 포백을, 20℃ 의 온도 및 65% 의 상대 습도를 갖는 분위기 중에 있어서, 치수를 안정화시키고, 또한 경사 또는 웨일 방향 30cm, 및 위사 또는 코스 방향 30cm 의 치수로써 채취된 시험편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및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가, 하기 식:
    A/B≤0.9 (1)
    〔단, 식 (1) 중, A 는 상기 직편 포백 시험편으로부터 채취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의 평균 길이를 나타내고, B 는 상기 직편 포백 시험편으로부터 채취되고, 또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와 동일 방향에 배치되어 있던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평균 길이를 나타내고, 상기 각 사조의 길이는 그 사조가 200% 이하의 파단 신도 (伸度) 를 나타내는 비탄성 사조일 때에는 1.76mN/dtex 의 하중 하에서 측정되고, 그 사조가 200% 보다 높은 파단 신도를 나타내는 탄성 사조일 때에는 0.0088mN/dtex 의 하중 하에서 측정됨〕
    에 의해 표시되는 요건을 만족하고,
    (3) 상기 직편 포백이 하기 요건 (i) 또는 (ii) 또는 (iii) 또는 (iv):
    (i) 상기 직편 포백이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가 겹쳐져 있어, 상기 편성 조직 중에 있어서, 복합사 루프를 형성하고 있는 것,
    (ii) 상기 직편 포백이 직성 조직을 갖고,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가 겹쳐져 있어, 상기 직성 조직의 경사 및 위사의 적어도 일방을 구성하고 있는 것,
    (iii)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의 복합사 또는 겹침사와 사조 (2) 가, 상기 직편 포백의 직성 조직의 경방향 및 위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에, 또는 편성 조직의 웨일 방향 및 코스 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에, 적어도 1개앞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것, 또는
    (iv)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의 각각의 적어도 1개가 서로 합사되어 복합사조를 구성하고 있는 것
    을 만족하고, 또한,
    (4) 상기 직편 포백이 습윤에 의해서, 통기성이 증대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및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각각을, 하기 흡수?자기 신장률의 측정,
    즉, 상기 사조의 각각을, 틀 둘레: 1.125m 의 실패 틀에, 하중 0.88mN/dtex 를 가하면서 감아, 감기 수 10 의 실패를 형성하고, 이 실패 실을 상기 실패 틀로부터 떼어내어,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환경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건조시키고, 이 건조 실패 실에, 그것이 200% 이하의 파단 신도를 갖는 비탄성사일 때에는, 그것에 1.76mN/dtex 의 하중을 가하고, 또한 그것이 200%보다 높은 파단 신도를 갖는 탄성사일 때에는 0.0088mN/dtex 의 하중을 가하여, 그 건조사 길이 (Ld,mm) 를 측정하고, 이 실패 실을, 수온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한 후에, 물 속에서 끌어올리고, 이 습윤 실패 실에, 그 파단 신도에 따라, 상기와 동일한 하중을 가하여, 그 습윤사 길이 (Lw,mm) 를 측정하고, 하기 식:
    사조의 자기 신장률 (%)=(Lw-Ld)/(Ld)×100
    에 의해 각 사조의 자기 신장률을 측정하였을 때,
    상기 모노필라멘트 사조 (1) 가 +5% 이상의 평균 자기 신장률을 나타내는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사조이고, 타방의 사조 (2) 가 +5% 미만의 자기 신장률을 나타내는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인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필라멘트 사조 (1) 의 흡수?자기 신장률 (E(1)) 과 상기 사조 (2) 의 자기 신장률 (E(2)) 과의 차 (E(1)-E(2)) 가 5~40% 의 범위 내에 있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를 구성하는 모노필라멘트가, 폴리부티렌테레프탈레이트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하드 세그먼트와, 폴리옥시에틸렌글리콜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소프트 세그먼트를 포함하는 폴리에테르에스테르 엘라스토머로 형성된 폴리에테르에스테르 모노필라멘트인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를 구성하는 섬유가, 폴리에스테르 섬유에서 선택되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의 시료를,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복수의 건조 시료를 조제하고, 또한 상기 직편 포백의 별도의 시료를, 온도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물 속에서 끌어올려, 1쌍의 여과지 사이에 끼우고, 490N/㎡ 의 압력을 1분간 가하여, 시료 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복수의 습윤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건조 시료 및 습윤 시료의 각각에 대해서, 그 표면을, 광학 현미경에 의해 배율 20 으로 확대하여 관찰하고, 하기 식에 의해 구해지는 공극률:
    공극률 (%)=(사조 사이의 공극의 합계 면적)/(관찰 면적)×100
    의 평균치를 구하고, 하기 식:
    공극 변화율 (%)=〔(습윤 시료의 평균 공극률)-(건조 시료의 평균 공극률) 〕/(건조 시료의 평균 공극률)×100
    에 의해, 상기 습윤 시료의 평균 공극률 및 건조 시료의 평균 공극률로부터, 공극 변화율 (%) 을 산출하였을 때, 상기 공극 변화율이 적어도 10% 인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의 시료를,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복수의 건조 시료를 조제하고, 또한 상기 직편 포백의 별도의 시료를, 온도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물 속에서 끌어올려, 1쌍의 여과지 사이에 끼우고, 490N/㎡ 의 압력을 1분간 가하여, 시료 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복수의 습윤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건조 시료 및 습윤 시료의 각각에 대해서, 그 통기도를, JIS L 1096-1998, 6.27.1, A 법 (프라질형법) 에 준거하여 측정하여, 건조 시료의 평균 통기도 및 습윤 시료의 평균 통기도를 산출하고, 또한 하기 식:
    통기도 변화율 (%)=〔(습윤 시료의 평균 통기도)-(건조 시료의 평균 통기도) 〕/(건조 시료의 평균 통기도)×100
    에 의해 통기도 변화율을 산출하였을 때, 이 통기도 변화율이 30% 이상인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의 시료를,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24시간 방치하여 복수의 건조 시료를 조제하고, 또한 상기 직편 포백의 별도의 시료를, 온도 20℃ 의 물 속에 5분간 침지하고, 이것을 물 속에서 끌어올려, 1쌍의 여과지 사이에 끼우고, 490N/㎡ 의 압력을 1분간 가하여, 시료 내 섬유 사이에 존재하는 물을 제거하고, 복수의 습윤 시료를 조제하고, 상기 건조 시료 및 습윤 시료의 각각의 직편 조직 중에 형성되어 있는 산부 (H1) 및 골부 (H2) 의 두께를 측정하고, 하기 식에 의해 표시되는 요철률:
    요철률 (%)=〔(산부의 두께 (H1))-(골부의 두께 (H2)〕/(골부의 두께 (H2))×100
    〔단, 산부의 두께 (H1) 는 면적 1mm×1mm 의 산부의 평균 두께이고, 골부의 두께 (H2) 는 직경 방향 또는 코스 방향에, 서로 인접하는 2개의 산부의 중앙에 있는 면적 1mm×1mm 의 골부의 평균 두께임〕
    을 산출하고, 또한 하기 식에 의해 표시되는 요철률 변화율:
    요철률 변화율=〔(습윤 시료의 요철률)-(건조 시료의 요철률) 〕×100
    을 산출하였을 때, 이 요철률 변화율이 적어도 5% 인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직성 조직을 갖고, 상기 직성 조직에 있어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경사군 (W(1)) 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복합사 또는 겹침사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경사군 (W(1+2)) 이 교대로 배열되고, 또한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위사군 (F(1)) 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의 복합사 (1+2) 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위사군 (F(1+2)) 이 교차하고 있어, 그것에 의하여 상기 경사군 (W(1+2)) 과 상기 위사군 (F(1+2)) 의 교차에 의해 형성되는 고흡수?자기 신장성을 갖는 복수의 부분 영역이, 경?위사 양방향에, 서로 이간하여 섬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실린더측 니트층과, 다이얼측 니트층을 포함하고, 이 2층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턱되어 있는 2중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실린더측 니트층이,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얼측 니트층에는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복합사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이, 코스 방향 및 웨일 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실린더측 니트층과, 다이얼측 니트층과, 그 중간에 배치된 니트층을 갖고, 이들의, 인접하는 2층의 어느 일방에서 타방으로 턱되어 있는, 3중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중간 니트층이,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구성되고, 상기 다이얼측 니트층 및 실린더측 니트층의 각각에는,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과,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와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의 복합사로 구성되어 있는 부분 영역이, 코스 방향 및 웨일 방향의 적어도 일 방향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상기 2종의 사조 (1) 및 (2) 로 구성된 편성 조직을 갖고, 상기 편성 조직이 하기 식:
    Co×We≥2000
    〔단, 상기 식 중, Co 는 상기 편성 포백의 가로 방향 2.54cm 당 코스수를 나타내고, We 는 상기 편성 포백의 세로 방향 2.54cm 당 웨일수를 냄〕
    을 만족하는 밀도를 갖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13.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의 한 면이 기모 가공에 의해 기모되어 있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온도 20℃, 상대 습도 65% 의 공기 중에 있어서, JIS L 1096-1998, 6.27, A 법 (프라질형법) 에 의한 통기도 측정에 제공되었을 때, 50ml/㎠?s 이하의 통기도를 나타내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1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편 포백이, 그 경사 및 위사의 어느 일방을 구성하는, 적어도 1개의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와, 적어도 1개의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로 구성된 복합사 또는 겹침사와, 상기 경사 및 위사의 타방을 구성하는 상기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로 이루어지는 직성 조직을 갖고, 또한 1800~2800 의 커버 팩터를 갖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사가, 그 심부에 위치하는 1개 이상의 흡수?자기 신장성이 높은 모노필라멘트 사조 (1) 와, 상기 심부의 주변의 초부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흡수?자기 신장성이 낮은 사조 (2) 로 구성되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1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을 포함하는, 흡수에 의해 통기도가 증대하는 의복.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의 겨드랑이부, 측부, 흉부, 등부, 및 어깨부에서 선택된 적어도 1개의 부분이 상기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의복.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이 속옷용 의복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복.
  2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의복이 스포츠용 의복으로부터 선택되는 의복.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KR1020057016476A 2003-06-23 2004-06-17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의복 KR101172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177763 2003-06-23
JP2003177763 2003-06-23
JPJP-P-2003-00363176 2003-10-23
JP2003363176 2003-10-23
JPJP-P-2003-00404302 2003-12-03
JP2003404302A JP2005163225A (ja) 2003-12-03 2003-12-03 湿潤時に通気性が向上する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JP-P-2004-00080380 2004-03-19
JP2004080380A JP2005264389A (ja) 2004-03-19 2004-03-19 湿潤時に通気性が向上する織物および繊維製品
PCT/JP2004/008904 WO2004113601A1 (ja) 2003-06-23 2004-06-17 二異種糸条含有織編布帛及びそれを含む衣服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1286A KR20060021286A (ko) 2006-03-07
KR101172339B1 true KR101172339B1 (ko) 2012-08-14

Family

ID=33545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6476A KR101172339B1 (ko) 2003-06-23 2004-06-17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의복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842628B2 (ko)
EP (2) EP1860217A3 (ko)
KR (1) KR101172339B1 (ko)
CA (1) CA2522075A1 (ko)
TW (1) TWI339226B (ko)
WO (1) WO2004113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50335A4 (en) * 2003-07-29 2006-10-04 Teijin Fibers Ltd WOVEN OR KNITTED ETOFFE CONTAINING TWO DIFFERENT YARNS CHARACTERIZED, IN WET CONDITION, BY LESSER INTERSTITIAL FITTING
CA2539780A1 (en) * 2003-10-22 2005-04-28 Teijin Fibers Limited Stretchable composite fabric and clothing product therefrom
US20050204448A1 (en) * 2004-03-19 2005-09-22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US9700077B2 (en) 2004-03-19 2017-07-1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variable air permeability
US8555414B2 (en) * 2004-05-06 2013-10-15 Nike, Inc. Article of apparel utilizing zoned venting and/or other body cooling features or methods
US20050208857A1 (en) * 2004-03-19 2005-09-22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US7437774B2 (en) 2004-03-19 2008-10-21 Nike, Inc. Article of apparel incorporating a zoned modifiable textile structure
US20100242151A1 (en) * 2009-03-26 2010-09-30 Nike, Inc. Article Of Apparel With Variable Air Permeability
US7820571B2 (en) * 2004-06-01 2010-10-26 Mitsubishi Rayon Co., Ltd. Woven or knitted fabric exhibiting reversibly changeable air permeability
JP2006112009A (ja) * 2004-10-15 2006-04-27 Teijin Fibers Ltd 湿潤により凹凸が発現する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EP1852249A1 (en) * 2005-02-23 2007-11-07 Teijin Fibers Limited Composite fabric material undergoing three-dimensional structure change upon water absorption and textile product
WO2007004589A1 (ja) 2005-07-05 2007-01-11 Mitsubishi Rayon Co., Ltd. 通気可逆性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1978150B1 (en) * 2006-01-26 2017-06-2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Cellulose fiber blended fabric
GB2435048B (en) * 2006-02-08 2011-01-26 Umbro Internat Ltd Fabric
US8187984B2 (en) 2006-06-09 2012-05-29 Malden Mills Industries, In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US8389100B2 (en) 2006-08-29 2013-03-05 Mmi-Ipco, Llc Temperature responsive smart textile
JP2008057099A (ja) 2006-08-29 2008-03-13 Mmi-Ipco Llc 感温性スマートテキスタイル
JP2008060044A (ja) * 2006-09-04 2008-03-13 Canon Inc 燃料電池システム
AU2008351908A1 (en) 2008-02-28 2009-09-03 Mmt Textiles Limited A material
US8371339B2 (en) * 2008-12-19 2013-02-12 Taiwan Textile Research Institute Fabric structure
WO2011090845A1 (en) * 2010-01-19 2011-07-28 Mmi-Ipco, Llc Composite textile fabrics
TWI533814B (zh) 2010-01-22 2016-05-21 Kowa Co Elbow support belt
US8424118B2 (en) 2010-07-30 2013-04-23 Longworth Industries, Inc. Undergarment
US8959666B2 (en) 2010-07-30 2015-02-24 Longworth Industries, Inc. Undergarment
CN103052742A (zh) * 2010-08-02 2013-04-17 帝人富瑞特株式会社 多层结构布帛和纤维制品
JP5822289B2 (ja) 2010-08-23 2015-11-24 倉敷紡績株式会社 詰め物体
US20130101781A1 (en) * 2011-10-24 2013-04-25 Bestkey Textiles Limited Woven and knitted fabrics with improved properties and core spun yarns for producing the same
JP5667548B2 (ja) * 2011-11-01 2015-02-12 東洋紡Stc株式会社 通気性に優れた編地
US9763482B2 (en) * 2011-12-21 2017-09-19 Under Armour, Inc. Neck gaiter
CN103205859B (zh) * 2012-01-16 2014-08-06 杜邦公司 包括聚对苯二甲酸丙二酯的经编织物
JP5596081B2 (ja) * 2012-06-11 2014-09-24 セーレン株式会社 伸縮性コーティング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US9090998B2 (en) * 2012-06-22 2015-07-28 Nike, Inc. Environmentally responsive fibers and garments
DE102012105510A1 (de) * 2012-06-25 2014-02-20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Artikel, insbesondere Antriebsriemen, mit einer Textilauflage
ES2689307T3 (es) 2012-12-17 2018-11-13 Teijin Frontier Co., Ltd. Tela y producto de fibra
CN105189841A (zh) * 2013-01-16 2015-12-23 英威达技术有限公司 具有多种弹性纱线的拉伸纱线和织物
US9936751B1 (en) 2013-03-14 2018-04-10 Francesco Mignone Towel/absorptive arm sleeve and means of hands free toweling
US10441994B2 (en) * 2014-01-09 2019-10-15 Moshe Ore Protecting net
US10391740B2 (en) 2015-02-19 2019-08-27 Nike, Inc. Adaptive material article system
US10814514B2 (en) 2015-05-22 2020-10-27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apparel having dynamic vent-slits
US20160338435A1 (en) 2015-05-22 2016-11-24 Nike, Inc. Lower body article of apparel having dynamic vent-slit structure
CN105167268B (zh) * 2015-05-25 2017-07-11 丹阳市斯鲍特体育用品有限公司 一种击剑防护服用轻质高强面料及其制备工艺
US11174577B2 (en) * 2015-07-30 2021-11-16 Mitsukawa & Co., Ltd. Brushed circular knitted fabric
US10925339B2 (en) * 2015-08-31 2021-02-23 Teijin Frontier Co., Ltd. Cloth and fibrous product
JP6630556B2 (ja) * 2015-11-30 2020-01-15 旭化成株式会社 セルロース混用丸編地
US11297888B2 (en) 2016-01-15 2022-04-12 Nike, Inc. Garment with integral wipe zones
US10973268B2 (en) * 2016-08-25 2021-04-13 Nike, Inc. Garment with zoned insulation and variable air permeability
WO2018074285A1 (ja) * 2016-10-20 2018-04-26 旭化成株式会社 弾性丸編地
US11412796B2 (en) * 2016-11-16 2022-08-16 Nike, Inc. Garment with wipe zones
US11280031B2 (en) 2017-07-14 2022-03-22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ctive knit compression garment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CN109385728B (zh) * 2017-08-11 2021-08-31 东莞超盈纺织有限公司 具有环境水分响应能力的纺织面料设计及制备方法
WO2019108794A1 (en) * 2017-11-29 2019-06-06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nnesota Active fabrics, garments, and materials
US11564430B2 (en) 2018-05-30 2023-01-31 Nike, Inc. Lightweight, permeable garment formed from monofilament yarns
US11889877B2 (en) * 2018-05-31 2024-02-06 Nike, Inc. Garment with adaptive ventilation
EP3845693A4 (en) 2018-08-28 2021-10-20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WEFT KNIT
CN109349691B (zh) * 2018-12-10 2021-06-01 张子杨 一种可外穿轻塑功能针织内衣的生产方法及应用
EP3956506A1 (en) * 2019-04-17 2022-02-23 Nike Innovate C.V. Lightweight knitted upper, an article of footwear and a method of manufacture
CN109957869A (zh) * 2019-05-06 2019-07-02 三六一度(中国)有限公司 一种布料及服装
CN110250606A (zh) * 2019-05-31 2019-09-20 浙江博尼时尚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凉爽型吊带衫
CN114423308A (zh) * 2019-09-26 2022-04-29 东丽株式会社 衣物
JP6695582B1 (ja) * 2019-12-03 2020-05-20 株式会社finetrack 撥水性編地、撥水性編地の製造方法、撥水性編地で構成される衣類およびその衣類を含むレイヤリング
CN113089168B (zh) * 2021-04-14 2022-08-09 太原理工大学 一种阻燃隔热玄武岩-阻燃纤维三维间隔机织物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0323A (ja) * 2000-12-11 2002-06-26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セテー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織編物
JP2003041462A (ja) * 2001-07-24 2003-02-13 Teijin Ltd 通気性自己調節織編物
JP2003082553A (ja) * 2001-09-05 2003-03-19 Teijin Ltd 透湿防水性自己調節布帛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1096A (en) * 1980-08-06 1982-07-27 Kayser-Roth Hosiery, Inc. Sock with triple layer fabric in foot and method
US4500679A (en) * 1982-08-09 1985-02-19 Monsanto Company Polyblends of thermoplastic copolyetheresters styrene-maleic anhydride polymers, and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CA1235044A (en) * 1983-05-04 1988-04-12 Fumio Shibata High density, water-repellent textile fabric
US4733546A (en) * 1984-02-24 1988-03-29 Toray Industries, Inc. Knitted fabric for clothing
JPH03213518A (ja) 1990-01-16 1991-09-18 Kuraray Co Ltd 調湿性繊維
US5095548A (en) * 1991-01-31 1992-03-17 Wigwam Mills, Inc. Moisture control sock
JPH05311567A (ja) * 1992-05-07 1993-11-22 Unitika Ltd 伸縮性布帛の製造法
JPH06200438A (ja) * 1993-01-06 1994-07-19 Unitika Ltd 被覆弾性糸の製造方法
JPH08232133A (ja) * 1995-02-28 1996-09-10 Unitika Ltd 被覆弾性糸の製造方法
JPH08325874A (ja) * 1995-05-26 1996-12-10 Unitika Ltd 被覆弾性糸の製造方法
US5735145A (en) * 1996-05-20 1998-04-07 Monarch Knitting Machinery Corporation Weft knit wicking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me
JP3704827B2 (ja) 1996-09-05 2005-10-12 東レ株式会社 編織物
ES2267252T3 (es) * 1998-03-24 2007-03-01 Unitika Ltd. Fibra sintetica capaz de absorber y desorber la humedad, hilo enmarañado y mezclado que utiliza dicha fibra, articulos de punto y tejidos que utilizan dicha fibra y tela no tejida que la utiliza.
TW507028B (en) * 1999-02-12 2002-10-21 Asahi Chemical Ind A moisture-absorbable synthetic fiber with an improved moisture-release property
DE69909331T2 (de) * 1999-05-10 2004-05-27 THE SECRETARY OF STATE FOR DEFENCE Whitehall Intelligenter poröser film oder intelligentes poröses material
DE19923575C1 (de) * 1999-05-21 2001-03-22 Deotexis Inc Flächiges Textilmaterial
DE60212109T2 (de) * 2001-03-19 2007-01-04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Unterwäsche
JP2003082555A (ja) 2001-09-06 2003-03-19 Teijin Ltd 透湿防水性自己調節布帛
JP2003082543A (ja) 2001-09-06 2003-03-19 Teijin Ltd 複合仮撚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通気性自己調節布帛
JP2003239101A (ja) 2002-02-13 2003-08-27 Yamaki Co Ltd シャツ
JP3847648B2 (ja) * 2002-03-29 2006-11-22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伸縮性芯鞘型複合糸及び伸縮性織編物
JP3834018B2 (ja) 2003-06-30 2006-10-18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可逆通気性布帛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80323A (ja) * 2000-12-11 2002-06-26 Mitsubishi Rayon Co Ltd アセテート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の織編物
JP2003041462A (ja) * 2001-07-24 2003-02-13 Teijin Ltd 通気性自己調節織編物
JP2003082553A (ja) * 2001-09-05 2003-03-19 Teijin Ltd 透湿防水性自己調節布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40488A1 (en) 2006-03-29
EP1640488A4 (en) 2006-07-26
EP1860217A3 (en) 2010-10-20
EP1640488B1 (en) 2018-04-25
US20060223400A1 (en) 2006-10-05
US7842628B2 (en) 2010-11-30
US20090260124A1 (en) 2009-10-22
EP1860217A2 (en) 2007-11-28
CA2522075A1 (en) 2004-12-29
KR20060021286A (ko) 2006-03-07
TW200506122A (en) 2005-02-16
WO2004113601A1 (ja) 2004-12-29
TWI339226B (en) 2011-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2339B1 (ko)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 직편 포백 및 그것을 포함하는의복
US10130129B2 (en) Insulated composite fabric
US20190281909A1 (en) Insulated Composite Fabric
JP3992687B2 (ja) 湿潤時に通気性が向上する織編物
KR101075108B1 (ko) 폴리에스테르 직물
JP3214172U (ja) 両面面ファスナー織物
WO2006090808A1 (ja) 吸水により立体的に構造変化する複合布帛材料および繊維製品
JP3853175B2 (ja) 保温編地
KR20060089225A (ko) 신축성 복합 포백 및 그 의류제품
KR20060038916A (ko) 습윤에 의해 공극률이 저하되는 두 개의 이종 사조 함유직편 포백
CN1756864B (zh) 含有两个不同种类丝条的编织布帛以及包含其的衣服
JP2008297657A (ja) キルテイング生地および寝具およびダウンジャケット
KR102597193B1 (ko) 다층 구조 패브릭 및 그 제조 방법 및 섬유 제품
JP2005264389A (ja) 湿潤時に通気性が向上する織物および繊維製品
JP2006265757A (ja) 吸水により立体的に構造変化する布帛および繊維製品
JP4287292B2 (ja) 感湿通気性向上衣服
JP3967317B2 (ja) ストレッチ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JP4187661B2 (ja) 制電性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4213048B2 (ja) 湿潤時に空隙率が低下する織編物
JP2005330603A (ja) 湿潤時に凹凸が現れる二層構造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JP2005163225A (ja) 湿潤時に通気性が向上する編地および繊維製品
JP2009174067A (ja) 快適性編物
JP2006207057A (ja) 耐針織物
JP2008303477A (ja) 制電性織物および防塵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