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3592B1 -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에 의한 화상 투사 방법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에 의한 화상 투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3592B1
KR101163592B1 KR1020110018364A KR20110018364A KR101163592B1 KR 101163592 B1 KR101163592 B1 KR 101163592B1 KR 1020110018364 A KR1020110018364 A KR 1020110018364A KR 20110018364 A KR20110018364 A KR 20110018364A KR 101163592 B1 KR101163592 B1 KR 10116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hutter
input
image sign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8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1062A (ko
Inventor
타카시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01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1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3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Liquid Crystal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프로젝터에 있어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신호 이외의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으면, 셔터의 위치에 따라서 당해 다른 화상 신호로 전환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에 의한 화상 투사 방법{PROJECTOR AND METHOD FOR PROJECTING AN IMAGE BY USING THE PROJECTOR}
본 발명은 입력되는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및 화상 투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로젝터는 일반적으로 복수의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많으며,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유저가 리모컨 조작 등으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입력 단자를 다른 입력 단자로 전환하면, 투사하고 있는 화상이 이 입력 전환 조작에 의해 새로이 선택된 입력 단자로부터의 화상 데이터에 따른 화상으로 전환된다.
또한, 프리젠테이션의 도중 등에서 다음의 화상을 준비하기 위해 화상의 투사를 일시적으로 뮤트(mute) 상태로 하는 기능이 사용되고 있다. 뮤트 상태에 있어서는 흑(黑)화상을 투사하는 방법 외에, 특허문헌 2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의 투사 렌즈 전면(前面)에 슬라이드식의 셔터를 배치하여, 차광(light-blocking)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323168호 일본공개특허공보 2007-240551호
그러나, 종래의 프로젝터에서는, 화상의 투사를 일시적으로 정지하는 뮤트 상태로 해도, 어떠한 조작이 행해지면 뮤트 상태가 바로 해제되어 화상의 투사가 재개되어 버리기 때문에, 뮤트 상태인 채로는 리모컨 조작 등을 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프리젠테이션 등의 도중에 입력 단자의 전환 조작 등을 행할 때에, 조작 중의 화면이 시청자에게 보여지게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프로젝터에서는 셔터를 닫은 차광 상태에서는 투사되지 않기 때문에, 한번 셔터를 열어 투사 상태로 하고 난 후가 아니면 입력 단자의 전환 조작을 행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의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형태 또는 적용예로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적용예 1] 본 적용예에 따른 프로젝터는, 당해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복수의 화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부와, 상기 투사부로부터의 투사광을 차단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당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화상 신호 이외의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상기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셔터의 위치에 따라서, 당해 다른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적용예에 의하면, 프리젠테이션의 도중에 셔터를 닫아 차광 상태로 했을 때에 다음의 화상 신호로의 전환 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재차 셔터를 열었을 때에 다음의 화상 신호의 화상이 투사되는 상태가 된다. 즉, 투사광을 차광하기 위한 셔터의 개폐 조작에 연동하여 화상 신호의 전환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투사하는 화상의 전환을 신속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중의 화면이 시청자에게 보여지는 일 없이, 스무드하게 프리젠테이션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적용예에 의하면, 셔터를 닫아 차광 상태로 했을 때에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것을 검출한 경우, 재차 셔터를 열어 투사 상태로 했을 때에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신호 또는 다른 화상 신호로의 전환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리젠테이션의 전환 등에서, 목적하는 화상 신호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입력 전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적용예에 의하면, 셔터를 닫은 차광 상태에 있어서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젠테이션의 전환시에 아직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셔터를 열어, 투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적용예에 의하면, 셔터의 개폐 동작에 연동한 화상 신호의 입력 선택 순서가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의 개폐 동작만으로 차광 동작 및, 화상 신호의 입력 전환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간단한 조작으로 차광 상태를 사이에 둔 입력 전환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체 조작 패널로부터 입력 전환 키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적용예에 의하면, 셔터의 이동 조작의 차이에 의해, 선택된 화상 신호를 보지(保持; holding)한 채 투사광을 차광하는 조작과, 셔터의 개폐에 연동하여 화상 신호를 전환하는 조작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사용 목적에 따른 셔터에 의한 차광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적용예 7] 본 적용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의한 화상 투사 방법은, 입력되는 복수의 화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부와, 상기 투사부로부터의 투사광을 차단하는 셔터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 의한 화상 투사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되어 있는 상기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사하고, 상기 셔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화상 입력 선택 공정에 있어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 신호 이외의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검출된 상기 셔터의 위치에 따라서, 당해 다른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적용예의 화상 투사 방법에 의하면, 프리젠테이션의 도중에 셔터를 닫아 차광 상태로 했을 때에 다음의 화상 신호로의 전환 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재차 셔터를 열었을 때에 다음의 화상 신호의 화상이 투사되는 상태가 된다. 즉, 투사광을 차광하기 위한 셔터의 개폐 조작에 연동하여 화상 신호의 전환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투사하는 화상의 전환을 신속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중의 화면이 시청자에게 보여지는 일 없이, 스무드하게 프리젠테이션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도 1은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로젝터의 부분 평면도로, 도 2(a)는 케이스체(2) 상면의 슬릿 주변의 부분도이고, 도 2(b)는 케이스체(2) 상면의 입력 조작부 주변의 부분도이다.
도 3은 프로젝터의 정면도로, 셔터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프로젝터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 1의 프로젝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은 변형예 1의 프로젝터의 입력 선택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7은 변형예 1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변형예 4의 프로젝터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이하의 실시 형태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따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특징의 조합 모두가 발명의 해결 수단에 필수라고는 한정할 수 없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는, 장치 본체가 케이스체(2)에 의해 덮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케이스체(2)의 전면(2f)에는 개구부(3)가 있고, 케이스체(2)의 상면(2t)에는, 유저에 의해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복수의 조작 키를 구비한 입력 조작부(22)가 구비되고, 입력 조작부(22)의 근방에는, 프로젝터(1)의 동작 상태를 알리기 위한 LED(Light emitting diode) 알림부(23)가 구비되어 있다.
케이스체(2)의 전면(2f)에는, 개구부(3)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3)의 후방에는, 전방을 향하여 화상광을 투사하는 투사 렌즈(13)가 구비되어 있다. 개구부(3)에는, 커버 부재로서의 셔터(4)가 개폐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개구부(3)를 셔터(4)로 폐색함으로써, 투사 렌즈(13)를 보호함과 함께 투사광을 차광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셔터(4)는 합성 수지제이고 대략 직사각형의 판 형상체이며, 그 하나의 모서리부에는, 개폐 조작을 행하기 위한 조작 손잡이(4a)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3 참조). 조작 손잡이(4a)는, 케이스체(2)의 상면(2t)에 형성된 슬릿(5)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그 슬릿(5)을 따라 조작 손잡이(4a)를 좌우로 슬라이드 조작함으로써, 셔터(4)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조작 손잡이(4a)는, 케이스체(2)의 상면(2t)보다도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어, 슬라이드 조작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도 2는 프로젝터(1)의 부분 평면도로, 도 2(a)는 케이스체(2) 상면(2t)의 슬릿(5) 주변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2(b)는 케이스체(2) 상면(2t)의 입력 조작부(22) 주변의 부위를 부분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3(a)~(c)는, 프로젝터(1)의 부분 정면도로, 셔터(4)의 개폐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릿(5)은 케이스체(2)의 전면(2f)과 대략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셔터(4)는, 조작 손잡이(4a)가 슬릿(5)의 좌단부(전방(사출 방향)을 향했을 때 좌측의 단부)(5a)에 접하는 위치와, 조작 손잡이(4a)가 슬릿(5)의 우단부(전방(사출 방향)을 향했을 때 우측의 단부)(5c)에 접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조작 손잡이(4a)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슬릿(5)의 좌단부(5a)로 이동시키면, 셔터(4)는,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3)를 폐색하고, 투사 렌즈(13)를 덮어 그 사출면을 보호함과 함께 차광 상태로 한다. 다음으로 조작 손잡이(4a)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슬릿(5)의 우단부(5c)로 이동시키면, 셔터(4)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사 렌즈(13)의 전방(사출 방향)으로부터 이동하여, 개구부(3)를 개방시킨다. 이 결과, 개구부(3)로부터 투사 렌즈(13)가 노출되어, 화상광이 투사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또한, 슬릿(5)에는 좌단부(5a)와 우단부(5c)의 사이에 위치(5b)가 있고,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손잡이(4a)를 슬라이드 조작하여, 셔터(4)를 슬릿(5)의 우단부(5c)로부터 위치(5b)로 이동시킴으로써, 좌단부(5a)까지 이동시키지 않아도, 셔터(4)가 개구부(3)를 폐색하여, 투사 렌즈(13)를 덮어 화상광을 차광 상태로 할 수 있다. 또한, 이 이후, 조작 손잡이(4a)를 슬릿(5)의 좌단부(5a)로 이동시켰을 때의 셔터(4)의 위치를 「닫힘 위치」라고 부르고, 조작 손잡이(4a)를 슬릿(5)의 우단부(5c)로 이동시켰을 때의 셔터(4)의 위치를 「열림 위치」라고 부르고, 조작 손잡이(4a)를 슬릿(5)의 위치(5b)로 이동시켰을 때의 셔터(4)의 위치를 「입력 전환 위치」라고 부른다. 즉, 셔터(4)는, 도시하지 않은 슬라이드 기구에 의해 전면(2f)을 따라 횡 방향으로 접동(slide) 가능하게 되어 있어, 투사 렌즈(13)의 투사측 부분(13a)을 프로젝터(1)의 외부에 노출시킴으로써 투사광을 차단하지 않은 열림 위치와, 개구부(3)에 배치된 투사 렌즈(13)의 투사측 부분(13a)을 셔터(4)로 덮음으로써 투사광을 차단하는 닫힘 위치와의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전면(2f)에는, 위치 검출부로서의 셔터 위치 검출부(15)(도 4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셔터 위치 검출부(15)는,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위치 검출부로서의 한 쌍의 센서(44a, 44b)가 매입되어 있고, 이들 센서(44a, 44b)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셔터(4)가 열림 위치에 있어 열림 상태로 되어 있는지, 셔터(4)가 닫힘 위치에 있어 닫힘 상태로 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셔터 위치 검출부(15)에는, 셔터(4)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의 입력 전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2 위치 검출부로서의 입력 전환 위치 검출 센서가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이 입력 전환 위치 검출 센서에 의해, 셔터(4)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의 입력 전환 위치에 있는 것을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는 프로젝터(1)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1)는, 투사부로서의 화상 투사부(10), 셔터 위치 검출부(15), 제어부(20), 기억부(21), 입력 조작부(22), LED 알림부(23), 화상 입력 선택부로서의 입력 선택부(24), 화상 입력 단자(25), 화상 처리부(26), OSD 처리부(27), 신호 검출부(28), 광원 제어부(29), 전원부(30), 전원 단자(31)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케이스체(2)(도 1 및 도 2)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다.
화상 투사부(10)는, 광원(11), 광변조 장치로서의 3개의 액정 라이트 밸브(liquid crystal light valve; 12R, 12G, 12B), 투사 광학계로서의 투사 렌즈(13), 액정 구동부(14) 등을 포함하고 있다. 화상 투사부(10)는 표시부에 상당하는 것으로, 광원(11)으로부터 사출된 빛을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로 변조해 화상광을 형성하여, 이 화상광을 도시하지 않은 합성용 프리즘으로 합성하고, 합성된 화상광을 복수의 렌즈로 이루어지는 투사 렌즈(13)로부터 투사함으로써 스크린(SC) 등에 화상을 표시한다.
광원(11)은, 초고압 수은 램프나 메탈 할라이드 램프(metal halide lamp)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전형의 광원 램프(11a)와, 광원 램프(11a)가 방사한 빛을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측에 반사하는 리플렉터(11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광원(11)으로부터 사출된 빛은, 도시하지 않은 인티그레이터 광학계(optical integration system)에 의해 휘도 분포가 대략 균일한 빛으로 변환되고, 도시하지 않은 색분리 광학계에 의해 빛의 3원색인 적색(R), 녹색(G), 청색(B)의 각 색 광성분으로 분리된 후, 각각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에 입사된다.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는, 한 쌍의 투명 기판 간에 액정이 봉입된 액정 패널 등에 의해 구성된다.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에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화소(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고, 액정에 대하여 화소마다 구동 전압을 인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액정 구동부(14)가,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따른 구동 전압을 각 화소에 인가하면, 각 화소는 화상 정보에 따른 광투과율로 설정된다. 이 때문에, 광원(11)으로부터 사출된 빛은, 이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를 투과함으로써 변조되어, 화상 정보에 따른 화상광이 색광마다 형성된다. 형성된 각 색의 화상광은, 도시하지 않은 색합성 광학계에 의해 화소마다 합성되어 컬러의 화상광이 된 후, 투사 렌즈(13)에 의해 스크린(SC) 등에 확대 투사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11)으로서 광원 램프(11a)를 이용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1)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은 광원으로서 LED 광원이나 레이저 광원 등을 이용하여 투사하는 프로젝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실시 형태에서는, 화상 투사부(10)는, 광원(11), 광변조 장치로서의 3개의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를 이용한 투과형 액정 방식의 투사 광학계를 예시했지만, 표시 원리에 대해서는, 반사형 액정 표시 방식이나 마이크로 미러(mirror) 디바이스 방식(라이트 스위치(light switch) 표시 방식) 등, 다른 표시 방식을 채용해도 좋다.
제어부(2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나, 각종 데이터 등의 일시 기억에 이용되는 RAM(Random Access Memory) 등을 구비하고, 기억부(21)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 프로그램(도시하지 않음)에 따라 동작함으로써 프로젝터(1)의 동작을 통괄 제어한다. 즉, 제어부(20)는 기억부(21)와 함께 컴퓨터로서 기능한다.
기억부(21)는 플래시 메모리나 FeRAM(Ferroelectric RAM: 강유전체 메모리) 등의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의 메모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21)에는 프로젝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나, 프로젝터(1)의 동작 조건 등을 규정하는 각종 설정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설정 데이터로서, 셔터(4)의 위치 및 신호 검출부(28)의 검출 결과에 수반하여 화상 입력 단자(25)의 입력 전환을 행할지의 입력 전환 플래그, 화상 입력 단자(25)를 전환하는 입력 선택 순서 및, 화상 입력 단자(25)를 전환하는 입력 선택 후보 등이 기억되어 있다.
입력 조작부(22)는 유저로부터의 입력 조작을 접수하는 것으로, 유저가 프로젝터(1)에 대하여 각종 지시를 행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 키를 구비하고 있다. 입력 조작부(22)가 구비하는 조작 키로서는, 도 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원의 온?오프를 교대로 전환하기 위한 전원 키(22a), 복수의 화상 입력 단자(25)를 전환하기 위한 입력 전환 키(22b), 각종 설정을 행하기 위한 설정 메뉴를 중첩 표시시키는 메뉴 키(22c), 메뉴로부터 유저가 설정 항목을 선택하는 4개의 방향 키(22d), 결정 키(22e), 이스케이프 키(escape key; 22f) 등이 있다. 유저가 입력 조작부(22)의 각종 조작 키를 조작하면, 입력 조작부(22)는 유저의 조작 내용에 따른 조작 신호를 제어부(20)에 출력한다. 또한, 각 조작 키는 리모트 컨트롤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서도 조작되어도 좋다. 리모트 컨트롤러는, 예를 들면 유저에 의해 휴대 가능한 크기의 무선 통신 단말로, 리모트 컨트롤러 본체 표면에 각종 상기 조작 버튼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 조작 버튼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상 입력 단자(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화상 입력 단자(25a, 25b, 25c)를 구비하고 있고, 각 화상 입력 단자(25)에는, 비디오 재생 장치나 퍼스널 컴퓨터 등, 외부의 화상 출력 장치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을 통하여 화상 정보가 입력된다. 각 화상 입력 단자(25)에 입력된 화상 정보는, 화상 입력 선택부인 입력 선택부(24)에 공급된다.
화상 입력 선택부인 입력 선택부(24)는, 복수의 화상 입력 단자(25; 25a, 25b, 25c) 중,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선택된 하나의 화상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화상 처리부(26) 및 신호 검출부(28)에 출력한다. 유저가 입력 조작부(22)에 구비되는 입력 전환 키(22b)를 조작하여 소망하는 하나의 화상 입력 단자를 지정하면, 제어부(20)는, 하나의 화상 입력 단자에 입력되는 화상 정보가 화상 처리부(26)에 출력되도록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한다.
신호 검출부(28)는 입력 선택부(24)에 의해 선택된 화상 입력 단자(25)로부터 유효한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의 검출 결과를 제어부(20)에 통지한다.
LED 알림부(23)는 LED(발광 다이오드)를 구비한 인디케이터(indicator)로,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그 표시 상태를 전환함으로써, 유저에게 프로젝터(1)의 동작 상태(전원의 온?오프나 이상(異常) 발생, 신호 검출 등)를 알린다. 또한, LED 알림부(23)는, 그 표시 상태, 즉 점등, 점멸, 소등, 발광색 등을 적절히 전환함으로써, 다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화상 처리부(26)는 입력 선택부(24)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의 각 화소의 계조(gradation)를 나타내는 화상 정보로 변환한다. 여기에서, 변환된 화상 정보는, R, G, B의 색광별로 되어 있고, 각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의 모든 화소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소값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화소값이란, 대응하는 화소의 광투과율을 정하는 것으로, 이 화소값에 의해, 각 화소를 투과하여 사출하는 빛의 강약(계조)이 규정된다.
액정 구동부(14)가 OSD 처리부(27)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따라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를 구동하면, 액정 라이트 밸브(12R, 12G, 12B)는 화상 정보에 따른 화상을 형성하여, 이 화상이 투사 렌즈(13)로부터 투사된다.
OSD 처리부(27)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입력 화상상에 메뉴 화상이나 메시지 화상 등의 OSD(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화상을 중첩시키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OSD 처리부(27)는 도시하지 않은 OSD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어, OSD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도형이나 폰트 등을 나타내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다. 제어부(20)가 OSD 화상의 중첩을 지시하면, OSD 처리부(27)는 필요한 화상 데이터를 OSD 메모리로부터 읽어내어, 지정된 OSD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OSD 화상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입력 화상상의 소정의 위치에 OSD 화상이 중첩되도록, 화상 처리부(26)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이 OSD 화상 정보를 합성한다. OSD 화상 정보가 합성된 화상 정보는 액정 구동부(14)에 출력된다. 또한, 제어부(20)로부터 OSD 화상을 중첩시키라는 취지의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OSD 처리부(27)는 화상 처리부(26)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를, 그대로 액정 구동부(14)에 출력한다.
전원부(30)에는, 전원 단자(31)를 통하여 AC 100V 등의 전원이 외부로부터 공급된다. 전원부(30)는 전원(교류 전원)을 소정의 전압의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여, 광원 제어부(29)를 비롯하여 프로젝터(1)의 각부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전원부(30)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화상의 투사에 필요한 전력(동작 전력)을 각부에 공급하는 상태(전원 온 상태)와, 동작 전력의 공급을 정지하고, 전원을 온으로 하기 위한 조작을 대기하는 상태(스탠바이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광원 제어부(29)는, 제어부(20)의 지시에 기초하여, 광원(11)에 대한 전력의 공급과 정지를 제어하여, 광원(11)의 점등 및 소등을 전환한다.
셔터(4)의 위치 검출부인 셔터 위치 검출부(15)는, 셔터(4)를 조작 손잡이(4a)로 슬라이드 이동했을 때의 위치가 열림 위치, 닫힘 위치, 입력 전환 위치 중 어느 위치에 있는지를 검출하여, 그 검출 결과를 제어부(20)에 출력한다.
셔터(4)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 또는 입력 전환 위치로 이동한 것을 셔터(4)의 위치 검출부인 셔터 위치 검출부(15)가 검출하면, 제어부(20)는 화상 투사부(10)의 투사를 중단시켜 뮤트 상태로 한다. 또한, 이때 제어부(20)는 뮤트 화상을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대신하여 화상 투사부(10)에 투사시킨다. 셔터(4)가 열림 위치로 이동한 것을 셔터 위치 검출부(15)가 검출하면, 제어부(20)는 뮤트 상태를 해제하여, 입력 화상 신호에 기초하는 화상을 화상 투사부에 투사시킨다.
그리고,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 이외의 다른 화상 입력 단자(25)의 어느 쪽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것을 신호 검출부(28)가 뮤트 상태에 있어서 검출하면, 제어부(20)는 입력 선택부(24)에 지시하여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다른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한다. 바꾸어 말하면 입력 선택부(24)는, 입력 선택부(24)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화상 신호 이외의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셔터 위치 검출부(15)에 의해 검출된 셔터(4)의 위치에 따라서, 다른 화상 신호를 선택한다.
다음으로, 본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1)의 동작을 도 5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투사 동작 중의 프로젝터(1)의 셔터(4)를 개폐 조작했을 때의 동작 플로우의 일 예를 나타낸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프로젝터(1)의 투사 동작 중에 셔터(4)가 슬라이드 조작되어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면, 셔터 위치 검출부(15)는 그 취지를 제어부(20)에 통지한다(스텝 S101). 그리고 제어부(20)는 화상 투사부(10)의 투사를 중단시켜 뮤트 상태로 한다(스텝 S102).
다음으로 제어부(20)는, 기억부(21)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전환 플래그를 참조하여, 입력 전환 동작이 유효한지의 판단을 행한다(스텝 S103). 그리고, 입력 전환 동작이 유효인 경우에는 스텝 S104로 이행하고, 입력 전환 동작이 무효인 경우는 스텝 S108로 이행한다.
스텝 S10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21)에 보존하고, 스텝 S105로 이행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하여 다음의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신호 검출부(2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한 화상 입력 단자(25)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 판단을 행한다(스텝 S106).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는 스텝 S107로 이행한다. 선택한 화상 입력 단자(25)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선택한 화상 입력 단자(25)가 마지막 화상 입력 단자인지 아닌지, 즉 모든 화상 입력 단자로 전환했는지를 조사하여(스텝 S110), 마지막 화상 입력 단자인 경우는, 스텝 S111로 이행한다. 마지막 화상 입력 단자가 아닌 경우는 스텝 S105로 되돌아온다.
스텝 S107에서는 제어부(20)는,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하여, 스텝 S106에서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것이 검출된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하고, 스텝 S108로 이행한다.
스텝 S111에서는 제어부(20)는,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하여, 스텝 S104에서 기억부(21)에 보존한 정보에 기초하여, 최초로 선택되어 있던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하고, 스텝 S108로 이행한다.
스텝 S108에서는 제어부(20)는, 셔터(4)가 열림 위치로 이동한 것을 셔터 위치 검출부(15)가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109로 이행한다. 셔터(4)가 열림 위치로 이동하여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8을 반복한다.
스텝 S109에서는 제어부(20)는, 뮤트 상태를 해제하여 화상 투사부(10)의 투사 동작을 재개하여,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의 화상 신호를 화상 투사부(10)가 투사하게 한다. 이상에 의해 본 동작 플로우는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프로젝터(1)에 의하면, 셔터(4)를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시켰을 때에, 뮤트 상태로 함과 동시에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 이외의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를 검색하여, 입력 전환 동작을 행한다. 즉, 투사광을 차광하여 뮤트 상태로 하기 위한 셔터(4)의 개폐 조작에 연동하여 입력 전환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에 따라, 투사하는 화상 입력 단자(25)의 전환을 신속히 행할 수 있음과 함께 조작 중의 화면이 시청자에게 보여지는 일 없이, 스무드하게 프리젠테이션의 전환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1)
또한,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와 같이 변경해도 좋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뮤트 상태에 있어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 외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것이 검출된 화상 입력 단자(25)로 입력 전환 동작을 행하고 있지만, 뮤트 상태에 있어서 모든 화상 입력 단자(25)를 조사하여,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복수의 화상 입력 단자(25)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하고, 뮤트 상태 해제시에 화상 입력 단자(25)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표시시켜, 입력 조작부(22)의 방향 키(22d), 결정 키(22e)를 조작하여 선택시키도록 해도 좋다. 도 7(a)~(c)는 이때의 동작 화면을 나타낸다.
본 변형예의 동작을 도 6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프로젝터(1)의 투사 동작 중에 셔터(4)가 슬라이드 조작되어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면, 셔터 위치 검출부(15)는 그 취지를 제어부(20)에 통지한다(스텝 S201). 그리고 제어부(20)는 화상 투사부(10)의 투사를 중단시켜 뮤트 상태로 한다(스텝 S202).
다음으로 제어부(20)는 기억부(21)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전환 플래그를 참조하여 입력 전환 동작이 유효한지의 판단을 행한다(스텝 S203). 그리고, 입력 전환 동작이 유효한 경우에는 스텝 S204로 이행하고, 입력 전환 동작이 무효인 경우는 스텝 S215로 이행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21)의 입력 선택 후보에 보존하고, 스텝 S205로 이행한다.
스텝 S20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하여 다음의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신호 검출부(2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한 화상 입력 단자(25)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것을 검출했는지 판단한다(스텝 206).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는,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것을 검출한 화상 입력 단자(25)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21)의 입력 선택 후보에 추가 보존하고(스텝 S207), 스텝 S208로 이행한다. 선택한 화상 입력 단자(25)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08로 이행한다.
스텝 S208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모든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했는지 안했는지 조사하여, 모든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한 경우는, 스텝 S209로 이행한다. 모든 화상 입력 단자로 전환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05로 되돌아온다.
스텝 S209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셔터 위치 검출부(15)의 검출 결과를 조사하여, 셔터(4)가 열림 위치로 이동한 것을 셔터 위치 검출부(15)가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210으로 이행한다. 셔터(4)가 열림 위치로 이동하여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09를 반복한다.
스텝 S210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뮤트 상태를 해제하고, 화상 투사부(10)의 투사 동작을 재개시켜, 기억부(21)에 보존되어 있는 입력 선택 후보를 참조하여, 화상 입력 단자(25)가 2개 이상 등록되어 있는지 조사한다(스텝 S211). 2개 이상의 화상 입력 단자(25)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는(스텝 S211: Y), 제어부(20)는 도 7(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화상 입력 단자를 선택하기 위한 선택 화면을 화상 투사부(10)가 투사하게 하고(스텝 S213), 스텝 S214로 이행한다. 입력 단자의 후보 리스트(입력 선택 후보)에 화상 입력 단자(25)가 하나밖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 즉 원래의 화상 입력 단자밖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스텝 S211: N), 스텝 S212로 이행한다.
스텝 S21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입력 조작부(22)에 입력된, 화상 입력 단자를 선택하는 조작에 기초하여,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하여 선택된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한다.
스텝 S21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하여 기억부(21)의 입력 선택 후보에 보존된 정보에 기초하여, 원래의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한다.
스텝 S21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셔터 위치 검출부(15)의 검출 결과를 조사하여, 셔터(4)가 열림 위치로 이동한 것을 셔터 위치 검출부(15)가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216으로 이행한다. 셔터(4)가 열림 위치로 이동하여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215를 반복한다.
스텝 S216에서는 제어부(20)는, 뮤트 상태를 해제하고, 화상 투사부(10)의 투사 동작을 재개시켜,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의 화상 신호를 화상 투사부(10)가 투사하게 한다. 이상에 의해 본동작 플로우는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서는 뮤트 상태로부터 재차 셔터(4)를 열어 화상 투사 상태로 했을 때에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 또는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다른 화상 입력 단자(25)로의 전환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프리젠테이션의 전환 등에서,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목적하는 입력 단자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입력 전환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2)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뮤트 상태에서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 외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것을 검출했을 때에 LED 알림부(23)에 의해 알리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으로 하면, 셔터(4)를 닫은 뮤트 상태에 있어서 다른 화상 입력 단자(25)에 화상 신호가 입력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리젠테이션의 전환시에 아직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셔터(4)를 열어, 투사되어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3)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기억부(21)에, 셔터(4)를 닫았을 때의 화상 입력 단자(25)의 입력 선택 순서를 기억해 두도록 해도 좋다. 이때, 화상 입력 신호의 검출의 유무에 관계없이 입력을 전환함으로써, 셔터(4)를 닫음과 동시에 입력 조작부(22)의 입력 전환 키(22b)를 조작한 것과 동일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조작으로 뮤트 상태를 사이에 둔 입력 전환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입력 조작부(22)로부터 입력 전환 키(22b)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해져, 간이한 구성의 프로젝터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변형예 4)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화상 투사 상태로부터 셔터(4)를 닫힘 위치까지 이동시키지 않고 입력 전환 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 후 셔터(4)를 열림 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는, 다른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하고, 셔터(4)를 닫힘 위치까지 이동시킨 다음에 셔터(4)를 열림 위치까지 이동시킨 경우는, 화상 입력 단자(25)의 입력 전환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해도 좋다.
본 변형예의 동작을 도 8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프로젝터(1)의 투사 동작 중에 셔터(4)가 슬라이드 조작되어, 셔터(4)가 열림 위치로부터 입력 전환 위치 또는 닫힘 위치로 이동한 것을 검출하면, 셔터 위치 검출부(15)는 그 취지를 제어부(20)에 통지한다(스텝 S301). 그리고 제어부(20)는 화상 투사부(10)의 투사를 중단시켜 뮤트 상태로 한다(스텝 S302).
다음으로 제어부(20)는 기억부(21)에 기억되어 있는 입력 전환 플래그를 참조하여 입력 전환 동작이 유효한지의 판단을 행한다(스텝 S303). 그리고, 입력 전환 동작이 유효한 경우에는 스텝 S304로 이행하고, 입력 전환 동작이 무효인 경우는 스텝 S308로 이행한다.
스텝 S304에 있어서 제어부(20)는,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를 나타내는 정보를 기억부(21)에 보존하고, 스텝 S305로 이행한다.
스텝 S305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하여 다음의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제어부(20)는 신호 검출부(28)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선택한 화상 입력 단자(25)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지의 판단을 행한다(스텝 S306). 선택한 화상 입력 단자(25)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는 스텝 S307로 이행한다. 선택한 화상 입력 단자(25)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선택한 화상 입력 단자(25)가 마지막 화상 입력 단자인지 아닌지 조사하여(스텝 S310), 마지막 화상 입력 단자인 경우는(스텝 S310: Y), 스텝 S311로 이행한다. 마지막 화상 입력 단자가 아닌 경우는(스텝 S310: N), 스텝 S305로 되돌아온다.
스텝 S307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하여 스텝 S306에서 화상 신호가 검출된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하고, 스텝 S312로 이행한다.
스텝 S311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입력 선택부(24)에 지시를 하여, 스텝 S304에서 기억부(21)에 보존된 화상 입력 단자(25)로 전환하고, 스텝 S308로 이행한다.
스텝 S312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셔터 위치 검출부(15)의 검출 결과를 조사하여, 셔터(4)가 닫힘 위치에 있는 것을 셔터 위치 검출부(15)가 검출한 경우(스텝 S312: Y)에는 스텝 S311로 이행한다. 셔터(4)가 닫힘 위치에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스텝 S312: N)는 스텝 S313으로 이행한다.
스텝 S313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셔터 위치 검출부(15)의 검출 결과를 조사하여, 셔터(4)가 열림 위치에 있는 것을 셔터 위치 검출부(15)가 검출한 경우는(스텝 S313: Y) 스텝 S309로 이행하고, 셔터(4)가 닫힘 위치에 없는 것을 검출한 경우, 즉 닫힘 위치, 열림 위치 중 어느 쪽도 아닌 경우는(스텝 S313: N), 스텝 S312로 되돌아온다.
스텝 S308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셔터 위치 검출부(15)의 검출 결과를 조사하여, 셔터(4)가 열림 위치로 이동한 것을 셔터 위치 검출부(15)가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309로 이행한다. 셔터(4)가 열림 위치로 이동하여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308을 반복한다.
스텝 S309에 있어서 제어부(20)는, 뮤트 상태를 해제하고, 화상 투사부(10)의 투사 동작을 재개시켜, 현재 선택되어 있는 화상 입력 단자(25)의 화상 신호를 화상 투사부(10)가 투사하게 한다. 이상에 의해 본 동작 플로우는 종료된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투사 렌즈(13)의 투사측 부분(13a)의 돌기량(突起量)이 크지 않지만, 예를 들면 투사측 부분(13a)이 크게 튀어 나와 있는 타입의 경우, 투사측 부분(13a)을 셔터(4)로 덮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되기 때문에, 투사 렌즈(13)의 후방(사출 방향의 반대측)이나 내부, 즉 투사 렌즈(13)와 합성용의 프리즘과의 사이, 또는 투사 렌즈(13)의 복수의 렌즈 사이에 셔터(4)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변형예에 의하면, 셔터(4)의 개폐의 순서만으로, 뮤트 동작만 행하는 경우 및, 뮤트 동작 및 입력 전환 동작의 양쪽을 행하는 경우를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유저의 목적에 따른, 셔터(4)에 의한 뮤트 조작을 용이하게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화상 입력 단자(25)에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것을 검출했지만, 기록 매체(USB 메모리나 SD 메모리 카드)가 삽입되어 있는지를 검출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경우, 화상 입력 단자(25)에 기록 매체가 접속되어 있는 것도 검지할 수 있기 때문에, 셔터(4)의 개폐의 순서만으로,뮤트 동작만 행하는 경우 및, 뮤트 동작 및 기록 매체 등으로의 입력 전환 동작의 양쪽을 행하는 경우도 용이하게 선택 가능해진다.
1 : 프로젝터
2 : 케이스체
3 : 개구부
4 : 셔터
4a : 조작 손잡이
5 : 슬릿
10 : 화상 투사부(투사부)
11 : 광원
12R, 12G, 12B : 액정 라이트 밸브
13 : 투사 렌즈
13a : 투사측 부분
14 : 액정 구동부
15 : 셔터 위치 검출부(제1 위치 검출부 및 제2 위치 검출부)
20 : 제어부
21 : 기억부
22 : 입력 조작부
23 : LED 알림부
24 : 입력 선택부(화상 입력 선택부)
25 : 화상 입력 단자
26 : 화상 처리부
27 : OSD 처리부
28 : 신호 검출부
29 : 광원 제어부
30 : 전원부
31 : 전원 단자
44a, 44b : 센서

Claims (7)

  1. 프로젝터로서,
    당해 프로젝터에 입력되는 복수의 화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부와,
    상기 투사부로부터의 투사광을 차단하는 셔터와,
    상기 셔터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
    를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당해 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어 있는 화상 신호 이외의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상기 위치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셔터의 위치에 따라서, 당해 다른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부는, 상기 셔터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상기 셔터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다른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신호의 전환 조작을 하는 입력 조작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셔터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상기 셔터가 닫힘 위치로부터 열림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상기 입력 조작부의 전환 조작에 기초하여 선택되어 있는 상기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된 것을 알리는 알림부를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입력 선택 순서를 기억하는 기억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셔터가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기억부에 기억된 입력 선택 순서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화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검출부는 상기 셔터가 열림 위치 또는 닫힘 위치에 있는 것을 검출하는 제1 위치 검출부와, 상기 셔터가 열림 위치와 닫힘 위치 사이의 입력 전환 위치인 것을 검출하는 제2 위치 검출부를 갖고,
    상기 선택부는, 상기 셔터가 열림 위치로부터 입력 전환 위치로 이동한 후에 닫힘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열림 위치로 이동했을 때, 상기 다른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
  7. 입력되는 복수의 화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부와,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상기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사하는 투사부와, 상기 투사부로부터의 투사광을 차단하는 셔터를 구비하는 프로젝터에 의한 화상 투사 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화상 신호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선택되어 있는 상기 화상 신호에 따른 화상을 투사하고,
    상기 셔터의 위치를 검출하고,
    선택되어 있는 화상 신호 이외의 다른 화상 신호가 입력되고 있는 경우, 검출된 상기 셔터의 위치에 따라서, 당해 다른 화상 신호를 선택하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투사 방법.
KR1020110018364A 2010-03-05 2011-03-02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에 의한 화상 투사 방법 KR101163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48858A JP5573240B2 (ja) 2010-03-05 2010-03-05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による画像投射方法
JPJP-P-2010-048858 2010-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1062A KR20110101062A (ko) 2011-09-15
KR101163592B1 true KR101163592B1 (ko) 2012-07-06

Family

ID=44530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8364A KR101163592B1 (ko) 2010-03-05 2011-03-02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에 의한 화상 투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10216047A1 (ko)
JP (1) JP5573240B2 (ko)
KR (1) KR101163592B1 (ko)
CN (1) CN102193290B (ko)
TW (1) TW20113749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34746B2 (ja) * 2011-10-12 2015-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3125166A (ja) * 2011-12-15 2013-06-24 Seiko Epson Corp 照明装置
JP6035743B2 (ja) * 2012-01-06 2016-11-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出力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686408A (zh) * 2013-12-05 2014-03-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投射资源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JP6528357B2 (ja) 2014-03-31 2019-06-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7027804B2 (ja) * 2017-10-26 2022-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20095344A (ja) * 2018-12-10 2020-06-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表示装置
JP7160018B2 (ja) * 2019-11-07 2022-10-25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設置状態検知方法、および設置状態検知プログラム
JP2022059236A (ja) * 2020-10-01 2022-04-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システム、および、什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4814A (ja) 1997-08-20 1999-03-05 Fujitsu General Ltd 多機能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7171885A (ja) 2005-12-26 2007-07-05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
JP2007248603A (ja) 2006-03-14 2007-09-27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
JP2009296404A (ja) 2008-06-06 2009-12-17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及びプロジェ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395A (ja) * 1995-11-09 1997-05-20 Sony Corp 映像表示装置
JP3335948B2 (ja) * 1999-05-24 2002-10-21 エヌイーシー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映像表示装置の入力切替方法
JP2003195415A (ja) * 2001-12-21 2003-07-09 Nec Viewtechnology Ltd プロジェクタ、プロジェクタにおける画像切替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4259486B2 (ja) * 2005-03-08 2009-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ソースの探索支援方法、当該探索支援方法を用いた映像表示装置、プロジェクタ
JP5017836B2 (ja) * 2005-09-29 2012-09-0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4710657B2 (ja) * 2006-03-03 2011-06-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2007248589A (ja) * 2006-03-14 2007-09-27 Pioneer Electronic Corp 映像表示装置及び方法
JP4609456B2 (ja) * 2007-06-04 2011-01-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9075305A (ja) * 2007-09-20 2009-04-09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135877A (ja) * 2007-10-30 2009-06-18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9271226A (ja) * 2008-05-02 2009-11-19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プロジェクタ、及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0078634A (ja) * 2008-09-24 2010-04-08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4814A (ja) 1997-08-20 1999-03-05 Fujitsu General Ltd 多機能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7171885A (ja) 2005-12-26 2007-07-05 Funai Electric Co Ltd プロジェクタ
JP2007248603A (ja) 2006-03-14 2007-09-27 Brother Ind Ltd 画像表示装置
JP2009296404A (ja) 2008-06-06 2009-12-17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及びプロジェ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573240B2 (ja) 2014-08-20
CN102193290B (zh) 2014-01-22
TW201137494A (en) 2011-11-01
JP2011186029A (ja) 2011-09-22
KR20110101062A (ko) 2011-09-15
US20110216047A1 (en) 2011-09-08
CN102193290A (zh) 2011-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3592B1 (ko) 프로젝터 및 프로젝터에 의한 화상 투사 방법
US10027936B2 (en) Projector and control method for projector
JP2009075305A (ja) プロジェクタ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2215756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6069942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US20140085272A1 (en) Projector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the projector system
JP5834746B2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1197385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による画像投射方法
CN110865500B (zh) 投影仪和投影仪的控制方法
JP2016008999A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0217489A (ja) プロジェクター
JP5625950B2 (ja) 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1189249B2 (en) Operation method for head-mounted display device and head-mounted display device
JP2010256753A (ja) プロジェクター
JP6171379B2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6095438A (ja) 電子機器
JP2012252133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2230291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5215479A (ja) 演台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システム
JP2012220599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1022235A (ja) プロジェクター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4126760A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5141212A (ja) 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2012159706A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JP2012242580A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