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4206B1 - 겔상 흡수재 - Google Patents

겔상 흡수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4206B1
KR101144206B1 KR1020067026379A KR20067026379A KR101144206B1 KR 101144206 B1 KR101144206 B1 KR 101144206B1 KR 1020067026379 A KR1020067026379 A KR 1020067026379A KR 20067026379 A KR20067026379 A KR 20067026379A KR 101144206 B1 KR101144206 B1 KR 1011442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l
water
tamarind seed
absorbent
m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6064A (ko
Inventor
유키코 오이
케이이치 오야마
유지 우즈하시
마사아키 코지마
Original Assignee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 오일리오그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6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6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20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5Alcohols; Metal alcoholates
    • C08K5/053Polyhydroxylic 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04Containers for bait; Preparation of bait
    • A01K97/045Preparation of bait;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B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Preparation of polysaccharid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B1/00 - C08B35/00;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6Heteroglycans, i.e. polysaccharides having more than one sugar residue in the main chain in either alternating or less regular sequence; Gellans; Succinoglycans; Arabinogalactans; Tragacanth or gum tragacanth or traganth from Astragalus; Gum Karaya from Sterculia urens; Gum Ghatti from Anogeissus latifolia; Derivatives thereof
    • C08B37/0087Glucomannans or galactomannans; Tara or tara gum, i.e. D-mannose and D-galactose units, e.g. from Cesalpinia spinosa; Tamarind gum, i.e. D-galactose, D-glucose and D-xylose units, e.g. from Tamarindus indica; Gum Arabic, i.e. L-arabinose, L-rhamnose, D-galactose and D-glucuronic acid units, e.g. from Acacia Senegal or Acacia Seyal;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2Agar or agar-agar, i.e. mixture of agarose and agaropecti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14Hemicellulose;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9/00Compositions of prote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thereof
    • C08L89/04Products derived from waste materials, e.g. horn, hoof or hair
    • C08L89/06Products derived from waste materials, e.g. horn, hoof or hair derived from leather or skin, e.g. gela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eed For Specific Animal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 Jellies, Jams, And Syr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연성, 탄력성이 풍부하고, 보존에 의한 겔의 강도변화가 적으며, 졸의 점도가 낮아 가공이 용이하고, 이수가 매우 적은 물성을 가지며, 또한 흡수성 및 수용성의 기능을 갖는 수성 겔 재료를 제공한다. 식물섬유 90% 이상, 단백질 1% 이하, 회분 1% 이하의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와, 다가 알콜 및 수용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수용성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흡수재이다.
겔상 흡수재,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수용성 유기물질, 방향제, 소취제

Description

겔상 흡수재{Gel-form Water-Absorbing Material}
본 발명은, 유연성, 탄력성이 풍부하고, 가공성이 우수하며, 또한 강도의 변화가 적고 흡수성을 갖는 겔상 흡수재에 관한 것이다.
수성 겔 재료는 의약품, 의료기구, 의약재료, 화장품, 생활잡화 건축재료, 도료, 화학품, 사진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수성 합성 고분자나 천연 고분자 등을 원료로 하고 있다. 수용성 합성 고분자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폴리비닐알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가교체 등이 있다.
한편, 천연 고분자의 대표적인 것으로는 한천, 카라기난, 젤라틴, 젤란검 등이 있으며, 이들은 점성 또는 점탄성이 있는 수용성 조성물을 만드는 천연 다당류로서 식품으로의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다당류는 방향제 또는 소취제 등에 배합되며, 겔화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참조: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4).
최근, 폐기물의 환경에 대한 책임의 문제로부터 폐기하여도 생분해되는 것이나 재활용하여 가공할 수 있는 것 등 장점이 있는 재료의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생분해성을 갖는 물질로서 유산이나 아미노산의 폴리머 등의 고분자제 재료의 개발이나 재활용한다는 점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가 점점 이용되고 있다.
또한, 물을 포함하는 재료로서 이용되고 있는 것으로는 폴리비닐알콜이나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가교체를 대표로 다양한 겔화제가 이용되며, 그 중에서 특히 천연계의 재료는 폐기한 경우의 생분해성을 갖는 점이나 인체에의 안전성 등으로 환경 문제에 있어서 우위에 있을 뿐만 아니라 의미가 있다. 화학 합성에 의해 발생되는 폐수, 폐가스, 폐용제 등의 환경으로의 책임을 고려할 필요 없이 산업상의 어떠한 분야에 있어서도 안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범용성이 큰 물질이다.
특허문헌 1: 특개소 제 61-185541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평 제 1-40542호 공보
특허문헌 3: 특개평 제 1-74239호 공보
특허문헌 4: 특개평 제 10-248505호 공보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그러나, 천연 다당류는 상기와 같이 주로 식품으로의 응용이 어느 정도 시도되고 있지만, 종래로부터 기제로 사용되고 있는 카라기난, 젤란검은 파단 강도를 올리기 위하여 배합량을 증가하면, 수득되는 수성 조성물은 이수(離水)가 현저하여 유연성이 결핍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칼슘이나 마그네슘 등의 금속 이온과 반응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반응은 불가역적으로 재이용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한천의 겔도 이수가 많아, 파단 강도는 높고 견고한 물성을 나타내지만 유연성이 부족하고 딱딱하며 부서지기 쉽다. 또한, 젤라틴은 유연한 겔을 생성하지만 강도는 약하며, 또한 40℃ 이상에서 겔이 용융해 버리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이들 천연계의 겔화제로 수득된 수성의 겔 재료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산에 의해 수분이 방출되지만 흡수성은 없다. 따라서, 흡수를 목적으로 한 용도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더구나 수분을 방출한 후에 흡수시켜 재이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언급하는 흡수성은 물과 접촉한 경우에 물을 흡수하는 기능이 있다는 의미이며, 소위, 공기 중에 방치한 경우의 흡습성과는 다르다. 상기 흡수성의 장점으로서는 수성 겔이 공기 중에서 수분을 증산한 후에 다시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겔이 흡수하고 복원하여 재이용이 가능하게 된다는 것이며 자원의 절약과 폐기물 감량의 목적이 크다.
한편, 갈락토만난류와 잔탄검을 병용하면, 이수가 거의 없는 견고한 겔을 형성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특개 제 2002-06054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유연성, 흡수성 등, 수성 겔로서 우수한 성상을 갖는 한편으로, 가온하여도 졸의 점도가 높기 때문에 제조시의 취급이 매우 나쁘며, 가공?충진의 생산 라인에서 가압이나 감압 등의 기계적 조작이 필요하게 되는 등 그 사용에 제한이 있다. 통상, 가공하는 데는 80~90℃로 가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휘발성이 높은 물질이나 열에 불안정한 성분의 배합을 할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이 물질은 흡수성은 가지지만 그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재가공이 번거롭다. 또한, 이들 수용성 고분자 재료는 상온에서 수용성을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배수로 흘려서 처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이들을 폐기하는 경우는 젖은 쓰레기나 가연 쓰레기로 폐기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유연성, 탄력성이 풍부하고, 보존에 의한 겔의 강도 변화가 적으며, 졸의 점도가 낮아 가공이 용이하고, 이수가 매우 적은 물성을 가지며 또한 흡수성 및 수용성의 기능을 갖는 겔상 흡수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어떤 특정의 타마린드(tamarind) 종자 다당류 및 수용성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 겔 재료가 유연성?탄력성이 풍부하고, 겔의 보존에 의한 강도변화가 작으며, 졸의 점도가 낮아 가공이 용이하고 이수가 매우 적으며, 또한 흡수성 및 수용성의 기능 모두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지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식물섬유 90% 이상, 단백질 1% 이하, 회분 1% 이하의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와, 다가 알콜 및 수용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수용성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흡수재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는 상기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가 식물섬유 92% 이상, 단백질 0.5% 이하, 회분 0.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2~50%, 상기 수용성 유기물질 3~50%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또한, 휘발성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겔상 흡수재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물질은 2~5가의 다가 알콜 및 HLB값 10~20의 수용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겔상 흡수재를 기재로 하여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제, 소취제, 제습제, 첩포제 및 낚시도구용 인조미끼를 제공한다.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는 인도?버마 등 동남아시아 대에 생식하는 다년생 콩과 식물 타마린다스?인디카의 종자로부터 추출된 다당류이다. 일반적으로는 80℃이상으로 가열함으로써 물에 완전 용해한다. 그 수용액은 거의 뉴턴 점성이며, 내산?내열?내염성이 우수하여, 식품 분야에 있어서 널리 범용되고 있다. 또한 설탕이나 물엿과 같은 당이나, 에탄올의 공존 하에서 수성 겔을 형성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지만, 일반의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는 탄성은 있지만, 유연성이 약하여 수성 겔로부터 이수하는 수분이 많으며, 흡수성은 가지지만 약한 점이나 또한 보존 중에 겔의 파단강도의 변화가 현저하기 때문에 다양한 산업 분야의 재료로서 이용되는 경우는 적으며, 산업 분야로서는 식감으로서 이수가 바람직한 젤리 형태의 식품이나, 화장품에 있어서는 겔화제로서가 아니라 보습제로서만 사용되어 왔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유연성, 탄력성이 풍부하고, 보존에 의한 강도변화가 작으며, 졸의 점도가 낮아 가공이 용이하고, 이수가 매우 적으며, 흡수성 및 수용성의 기능을 갖는 겔상 흡수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는 흡수성이 우수하므로 겔 재료로서 사용하고 수분을 방출하여도 그 후 흡수시켜 재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는 수용성을 가지므로 파기하는 경우, 물에 용해시켜 배수하여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는 이러한 특징으로, 의약품, 의료용구, 의약재료, 가정용품, 가정용 잡화뿐만 아니라, 재료로서 건축, 농약, 사료, 비료, 도료, 잉크, 세라믹, 수지 또는 접착제 등의 공업 분야에 폭넓게 이용할 수 있으며, 성형이 자유롭기 때문에 구상, 각상, 봉상, 필름상 등 다양한 형태로 이용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는 기본적으로는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및 수용성 유기물질로 구성된다.
우선, 본 발명의 겔상 흡수재의 성분인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는 식물섬유 90% 이상, 단백질 1% 이하, 회분 1% 이하의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이며, 범용의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에 비하여 물에 대한 불용 성분을 제거 또는 저감한 정제도가 높은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섬유 92% 이상, 단백질 0.5% 이하, 회분 0.5% 이하의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를 이용하면 좋다.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의 배합량은 수성 겔 재료 중의 2~50%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40%,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20%이다.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에 포함되는 식물섬유의 분석방법의 예로서는 효소 중량법(Prosky-AOAC법)이 있다. 또한, 마찬가지로 단백질의 분석방법의 일례로서, 식품 첨가물 공정서 기재의 질소 정량법으로서의 세미마이크로켈달법이 있다. 검체 0.5g 중의 질소(N)의 양을 측정하고, 이에 5.7을 곱하여 구하면 된다(0.01N 황산 1mL=0.1401mgN). 또한, 마찬가지로 회분의 분석방법의 일례로서, 식품 첨가물 공정서 기재의 다음 방법이 있다. 검체 1g을 채취하고, 조용히 가열하여 탄화하고, 계속해서 탄화물이 보이지 않게 되는 항량에 이를 때까지 500~600℃로 가열하여 잔류물의 양을 구하면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연성이나 탄력성이 풍부하고, 겔의 보존에 의한 강도변화가 작으며, 졸의 점도가 낮아 가공이 용이하고, 이수가 매우 적으며, 또한 흡수성의 기능을 구비하는 수성 겔 재료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중의 수 불용성분의 일부, 또는 전부가 분해 및/또는 제거 처리된 것을 이용하면 좋다. 수 불용성분의 분해 처리에는 알칼리, 산에 의한 가수분해,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제거 처리에는 규조토, 백토, 활성탄, 기타의 점토나 세라믹류 등의 흡착제 처리가 실시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예를 들어 특개 제 2003-82003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정제를 수행한 타마린드검은 시판품으로 입수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닛신 오이리오(주) 제품인 노무코트 EP-2를 사용하여 수득된 수성 겔 재료는 탄력성이나 유연성, 보존에 의한 강도변화가 작고, 이수가 적은 물성, 또한 흡수성 및 수용성이 높은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일반적인 정제도가 낮은 타마린드 종자검은 유연성이나 겔의 안정성, 이수성, 흡수성, 수용성의 기능 면에서 만족스러운 것은 얻을 수 없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의 성분인 수용성 유기물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수용성 유기물질은 다가 알콜 및 수용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일반적으로 시판 및 유통되고 있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가 알콜로서는 예를 들어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1,2-부틸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1,2-펜탄디올, 1,2-헥산디올, 에리스리톨,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트리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펜타에리스리톨, 디펜타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2~5가의 다가 알콜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타 물질로서,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알킬글루코시드 등의 수용성을 나타내는 HLB값이 10~20의 계면활성제를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들 수 있으며, 상기 수용성 유기물질을 함유하지 않은 경우는 겔이 생성되지 않으며 수용액으로 되어 버린다.
유연성 및 탄력이 풍부하며, 보존에 의한 강도변화가 작고, 이수가 매우 적으며, 또한 흡수성의 기능을 갖는 겔상 흡수재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수용성 유기물질의 배합량의 총량은 수성 겔 재료 중의 3~50중량%가 바람직하고, 10~40중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20~35중량%가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는 수용액이나 수중 유형 유화물 등의 수상에, 고분자 화합물이 팽윤함으로써 3차원 가교 구조를 형성하고, 한천이나 젤라틴의 겔 처럼 유동성이 없는 탄력을 가지면서도 고체상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는 가온 시의 졸 상태의 점도가 낮기 때문에 열에 불안정한 것이나 휘발성이 높은 물질의 배합에 있어서 불필요한 열이력이 걸림 없이 배합할 수 있으며, 또한 겔로부터 졸로 변화하는 온도는 50℃ 이하로 보존온도나 수송 중에 성상의 변화함이 적은 온도 범위이기 때문에 범용성은 넓고, 예를 들어, 방향제, 소취제, 첩포제, 인조미끼, 제습제 등에서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수성 겔 재료는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및 수용성 유기물질 이외에 추가로 휘발성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휘발성 유효성분으로서는 예를 들어, 휘발하여 사람이나 다른 생물에 대하여 어떤 작용?유효성을 갖는 성분(물질 및/또는 혼합물) 등이 있으며, 기피 방충제, 살균제나 소취제 및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성 겔 재료에 기타의 성분으로서, 수용성 고분자, 계면활성제, 고체?반고체?액상의 유제, 무기염, 유기염, 방부?항균제, 산화방지제, 향료 등을 목적의 물성에 따라 배합하여도 좋다. 또한, 기타 성분을 배합하는 것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특성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라면 여하 문제는 없다.
각각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몇몇 예를 들면, 수용성 고분자로서는 로커스트콩검, 아라비아 고무, 구아검, 카라기난, 펙틴, 마르메로 등의 식물계 고분자, 잔탄검, 덱스트란, 숙시노글루칸, 플루란, 카드란 등의 미생물계 고분자, 콜라겐, 카제인, 젤라틴 등의 동물계 고분자, 메틸셀룰로스, 에틸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셀룰로스계 고분자; 폴리비닐메틸에테르, 카르복시비닐폴리머 등의 비닐계 고분자; 폴리아크릴산염, 폴리메타크릴산염, 폴리에틸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미드 등의 아크릴계 고분자 등이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솔비톨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프로필렌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는 스테아르산나트륨이나 팔미트산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산 비누, 알킬벤젠술폰산염, 알킬에테르카르복시산 및 그의 염, 아미노산과 지방산의 축합 등의 카르복시산염, 알킬술폰산염, 디알킬설포숙신산염, 지방산에스테르의 술폰산염, 지방산아미드의 술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황산에스테르염, 알킬인산염, N-아실아미노산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유제로서는,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 탄화수소유,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유, 실리콘유 등이 있지만, 천연 동식물 유지류 및 반합성 유지로서는 아보카도유, 아마인유, 아몬드유, 올리브유, 카나우바 왁스, 칸델릴라 왁스, 우지, 우각지, 우골지, 경화우지, 소맥배아유, 참깨유, 쌀배아유, 미강유, 홍화유, 대두유, 동백유, 월견초유, 옥수수유, 채종유, 말기름, 팜유, 팜핵유, 파마자유, 경화 피마자유, 해바라기유, 호호바유, 마카데미아넛 유, 밀랍, 밍크유, 면실유, 야자유, 경화 야자유, 낙화생유, 라놀린, 액상 라놀린, 환원 라놀린, 라놀린알콜, 라놀린 지방산 이소프로필, POE라놀린 알콜에테르, 라놀린 지방산 폴리에틸렌글리콜, POE 수소첨가 라놀린 알콜 에스테르 등; 탄화수소로서는 스쿠알란, 스쿠알렌, 세레신, 파라핀, 파라핀 왁스, 유동 파라핀, 미세결정 왁스, 바세린 등; 고급 지방산으로서는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베헨산, 운데실렌산,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렌산, 이소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 에스테르유로서는 아디프산 디이소부틸, 아디프산 2-헥실데실, 아디프산 디-2-헵틸운데실, 이소스테아르산 이소스테아릴, 트리이소스테아르산 트리메틸올프로판, 2-에틸헥산산세틸, 디-2-에틸헥산산 네오펜틸글리콜, 트리-2-에틸헥산산 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2-에틸헥산산 펜타에리스리톨, 옥탄산세틸, 올레인산 올레일, 올레인산 옥틸도데실, 올레인산 데실, 디카프린산 네오펜틸글리콜, 숙신산 2-에틸헥실, 스테아르산 이소세틸, 스테아르산 부틸, 세바스산 디이소프로필, 유산세틸, 유산미리스틸, 팔미트산 2-에틸헥실, 팔미트산 2-헥실데실, 팔미트산 2-헵틸운데실, 12-히드록시 스테아르산 콜레스테릴, 말산 디이소스테아릴 등; 글리세라이드 유로서는 트리이소옥탄산 글리세라이드, 트리이소스테아르산 글리세라이드, 트리이소팔미트산 글리세라이드, 트리 2-에틸헥산산 글리세라이드, 트리미리스트산 글리세라이드 등; 실리콘 유로서는 디메틸 폴리실록산, 메틸페닐 폴리실록산, 메틸하이드로젠 폴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시클로헥사실록산, 스테아록시 실리콘 등의 고급 알콕시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에스테르 변성 실리콘, 고급 지방산 에테르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무기염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염화나트륨, 염화칼륨, 염화칼슘, 염화마그네슘, 황산나트륨, 황산마그네슘,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인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1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유기염으로서는, 구연산나트륨, 말산나트륨, 글루콘산나트륨, 유산나트륨, 숙신산나트륨, 주석산나트륨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방부?항균제로서는 파라옥시안식향산 알킬에스테르,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소르빈산, 소르빈산칼륨, 페녹시에탄올류, 살리실산류, 염화벤잘코늄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로서는 토코페롤,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등을 들 수 있다.
향료로서 구체적으로, α-아밀신남알데히드, 안트라닐산메틸, 이소오이게놀, γ-운데카락톤, 에틸바닐린, 오이게놀, 쿠마린, 계피알콜, 계피알데히드, 계피산 메틸, 계피에틸, 글라니올, 아세트산글라닐, 아세트산시트로넬릴, 아세트산신나밀, 아세트산테르피닐, 아세트산페닐에틸,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아밀, 아세트산 1-메틸, 아세트산리나닐, 살리실산메틸, 시트로네롤, 시트로네랄, 데실알데히드, γ-노나락톤, 바닐린, 파라메틸아세토페논,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피페로날, 페닐에틸알콜, 페닐아세트산에틸, 벤질알콜, 메틸페닐폴리실록산, 1-멘톨, 요논, 리나놀, 시트랄, 보르네올, 테레피네롤, 네롤린, 디페닐옥사이드, 애시닉알데히드, dl-캄플, 테레빈유, 유칼리유, 육두구유, 삼나무잎유, 사향, 용연향, 라벤다유, 티몰 등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또한, 단순히 향기를 방출할 뿐만 아니라 향기를 맡음으로써 예를 들어, 라벤다유와 같이 정신적으로 이완시키는 효과를 가진 것, 예를 들어 유칼리유나 시트로넬라유와 같이 잠을 깨우는 효과를 가진 것, 예를 들어 1-멘톨과 같이 머리를 맑게 해주는 효과를 가진 것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수성 겔 재료의 제조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수용성 유기물질을 포함하는 수중에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를 프로펠러 등을 이용하여 분산시키고, 그 후 60℃ 이상 95℃ 미만으로 가열하여 용해시킨 후, 목적의 배합성분을 성분의 특성에 따른 온도(통상 40~90℃)로 하여 첨가하고, 원하는 형에 부어 넣어 10~30℃까지 냉각함으로써 수성 겔 재료를 수득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이를 건조기 등으로 수분을 증산시켜 수분량을 조정함으로써 수득할 수도 있다. 또한, 향료나 열에 불안정한 물질, 휘발성 물질 등의 열을 꺼리는 물질은 매우 낮은 온도에서 가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겔상 흡수재의 응용예로서는 방향제, 소취제, 건조제, 첩포제의 기재, 여성, 유아, 노인 간호에 이용하는 위생용구의 흡수 수지, 생분해성이 요구되는 유아 용구류, 생체의 탄성을 가지는 인조재료 등이 있다.
본 발명을 이하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어떠한 제한을 받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의 배합량은 질량%이다.
(1)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의 제조
우선, 시판의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다이닛폰 제약(주): 표 1의 샘플 No. 4) 를 이하와 같이 처리함에 따라 표 1에 도시된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를 수득하였다. 즉,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분말 100g을 물 10리터에 분산하고, 가열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활성탄 처리 후, 정밀 여과하였다. 또한 이 용액에 침전이 발생할 때까지 알콜을 가하고 수득된 침전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샘플을 수득하였다. 이때 첨가하는 활성탄의 양을 변경함으로써 샘플 No. 1~3 및 5를 수득하였다. No. 1~3의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하고, No. 4 및 5의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는 비교예에 사용하였다.
표 1:
No 식물섬유(%) 단백질(%) 회분(%)
본 발명품용의
타마린드 종자검
1 93.0 0.3 0.2
2 92.7 0.3 0.6
3 92.1 0.6 0.9
비교품용의
타마린드 종자검
4 87.4 2.0 3.9
5 90.4 1.1 2.1
(2) 수성 겔 재료의 제조
표 2~표 4의 배합 조성에 따라 25℃에서 전체 성분을 혼합, 교반하면서 가온을 개시하여 80℃에서 30분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각각 전량 500g의 실시예 1~9와 비교예 1~6의 겔상 흡수재에 이용하는 졸 용액을 수득하였다.
표 2:
No.
실시예
1 2 3 4 5
성분 (%)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1 3 4 5 - -
타마린드 종자검 No 2 - - - 3 -
타마린드 종자검 No 3 - - - - 5
타마린드 종자검 No 4 -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5 - - - - -
로커스트콩검 (주1) - - - - -
잔탄검 (주2) - - - - -
한천 (주3) - - - - -
젤라틴 (주4) - - - - -
글리세린 30 - - - -
1,3-부틸렌글리콜 - 20 - - -
프로필렌글리콜 - - 20 - -
에탄올 - - - 10 -
솔비톨 - - - - 28
폴리솔베이트 20 (주5) - - - - -
알킬벤젠술폰산 나트륨 (주6) - - - - -
모노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
(주7)
- - - - -
정제수 나머지
100
주 1) 공시품(이나식품 제조 이나겔 L-85)
주 2) 시판품(CP 켈코사 제품 에코 검)
주 3) 공시품(이나식품 제조 이나한천 S-7)
주 4) 시판품
주 5) 시판품(카오제품 레오돌 슈퍼-TW-L120 HLB 16.7)
주 6) 시판품(카오제품 네오펠렉스 F-65)
주 7) 시판품(타이요카가꾸 제품 샌소프트 Q-17S)
표 3:
No.
실시예
6 7 8 9
성분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1 5 5 5 5
타마린드 종자검 No 2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3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4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5 - - - -
로커스트콩검 - - - -
잔탄검 - - - -
한천 - - - -
젤라틴 - - - -
글리세린 - - - -
1,3-부틸렌글리콜 20 - 20 20
프로필렌글리콜 - - - -
에탄올 - - - -
솔비톨 - - - -
폴리솔베이트 20 3.5 3.5 - -
알킬벤젠술폰산 나트륨 - - 5 -
모노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 - - - 5
정제수 나머지
100
표 4:
No.
실시예
1 2 3 4 5 6
성분 (%) (%)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1 4 -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2 - -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3 - -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4 - 4 - - - -
타마린드 종자검 No 5 - - 4 - - -
로커스트콩검 - - - 1.5 - -
잔탄검 - - - 1.5 - -
한천 - - - - 1 -
젤라틴 - - - - - 2
글리세린 - - - - - -
1,3-부틸렌글리콜 - 20 20 - - -
프로필렌글리콜 - - - - - -
에탄올 - - - - - -
솔비톨 - - - - - -
폴리솔베이트 20 - - - - - -
알킬벤젠술폰산 나트륨 - - - - - -
모노올레인산폴리글리세릴-10 - - - - - -
정제수 나머지
100
(3) 졸의 점도 측정과 평가
(2)에서 조정한 겔상 흡수재(실시예 1~9와 비교예 1~6)의 용액의 점도를 60℃, BL형 점도계(동기산업사 제품), 12rpm, 1분 후에 읽은 값을 환산함으로써 점도값을 측정하였다. 용액의 점도가 10000mPa?s를 하회할 때는 작업이 용이(조작이 용이)하며, 역으로 30000mPa?s를 상회하면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평가는 ○(10000mPa?s 미만), Δ(10000~30000mPa?s 미만), ×(30000mPa?s 이상)로 하였다. 이들 측정 결과 및 평가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5:
No.
실시예
1 2 3 4 5 6 7 8 9

점도
판정

3300

5600

8240

4250

8060

8800

9040

8600

9800
파단시험
보존시험
보존전
보존후
판정

576
720

1695
2000

1882
1998

876
1207

1773
1985

1777
1910

698
854

1858
1988

1678
1967
이수현상
수분량
판정

0

0.2

0.5

0

0

0

0.5

0

0
흡수성
수분량
판정

95

85

83

90

80

98

90

98

98
건조물 흡수성
판정









겔 용해성
판정









비고
표 6:
No.
비교예
1 2 3 4 5 6

점도
판정

6000

5230

4900

53000
×

12

20
파단시험 - ×
보존시험
보존전
보존후
판정

-
-
-

866
1360
Δ

905
1720
Δ

953
988

406
1490
×

152
108
×
이수현상
수분량
판정

-
-

5
Δ

8
Δ

0

30
×

20
×
흡수성
수분량
판정

-
-

70
Δ

79
Δ

46
Δ

0
×

0
×
건조물 흡수성
판정

-

Δ

Δ

Δ

Δ

Δ
겔 용해성
판정

-

Δ

Δ

Δ

×

×
비고 겔화
하지
않음
(4) 겔의 파단 시험과 평가
(1)에서 조정한 겔상 흡수재(실시예 1~9와 비교예 1~6)의 용액을 심형 샤알레(60mmφ×60mm)에 약간 넘칠 정도로 분주한 후, 25℃에서 24시간 정치하여 수성 겔 재료를 수득하였다. 그 후, 샤알레로부터 튀어 나온 부분을 나이프로 평평하게 절단하여 샘플로 하였다. 파단 시험은 레오미터(레오테크사 제품: FUDOH 레오미터 D?D시리즈)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시작품을 직접 압출하는 어댑터로서 직경 10mm 원반형을 설치하고, 압축속도 30cm/분으로 하여 20mm 압축하고, 파단하는지 안하는지를 관찰하여 파단하지 않는 경우 ○, 파단한 경우 ×로 하였다. 이들의 측정결과 및 평가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5) 겔의 보존 시험과 평가
(3)과 동일한 방법으로 겔상 흡수재를 2 샘플 제조하고, 그 중 하나를 동일한 조건으로 겔을 압축하여 파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다른 하나는 수분이 증산하지 않도록 50℃에서, 1주간 방치한 후, 25℃에서 24시간 방치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겔의 파단 강도를 측정하였다. 파단 강도의 변화율에 관해서는 보존 전 초기값과 비교하여, ○(0~150%), Δ(151~300%), ×(300% 이상, 또는 0% 미만)로 평가하였다. 이들 측정결과 및 평가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6) 수성 겔 재료의 이수현상 평가
(3)과 동일하게 제조한 겔상 흡수재를 샤알레로부터 취출하고, 수분 증산을 막기 위하여 공간이 거의 남지 않을 정도의 밀봉할 수 있는 비닐 봉투에 넣어 25℃, 1주간 방치한 후 육안에 의해 평가하였다. 이수하여 쌓인 수분을 피펫으로 빨아들이고 빨아들인 수분 중량의 겔에 대한 비에 의해 ○(이수가 없거나 또는 1중량% 미만), Δ(이수량이 1~10중량% 미만), ×(이수량이 수성 겔 재료에 대하여 10중량% 이상)으로 하였다. 본 발명품, 비교품의 측정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이들 측정 결과 및 평가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7) 흡수성의 측정 및 평가(수성 겔 재료의 흡수성)
(3)과 동일하게 제조한 겔상 흡수재를 샤알레로부터 취출하고, 그 작은 단편 10g과 물 5g을 100mL 비커에 넣고, 흡수성의 유무와 1시간 후의 수분량에 의해 흡 수성의 속도를 측정하여, 흡수성을 ○(수분을 80~100% 흡수한다), Δ(수분을 10~80% 미만 흡수한다), ×(수분을 10% 미만 흡수하거나 전혀 흡수하지 않는다)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품, 비교품의 측정 결과 및 평가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8) 흡수성의 측정 및 평가(건조물의 흡수성 평가)
(1)에서 제조한 겔상 흡수재의 용액을, 스테인레스 배트(vat)에 부어넣고 40℃의 항온조 내 24시간 건조시킨 후, 시트상의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이를 건조시키기 전의 중량이 되도록 가수시켰을 때의 모습을 관찰하고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다시 흡수 후 겔로 복원한 것(○), 일부 흡수는 하지만 원래의 겔로 복원하지 않는 것(Δ), 흡수하지 않는 것(×)으로 평가하였다. 본 발명품, 비교품의 평가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9) 흡수성의 측정 및 평가(수성 겔 재료의 용해성)
(3)과 동일하게 제조한 수성 겔 재료를 샤알레로부터 취출하고, 그 작은 단편 10g과 물 1000g을 2리터 비이커에 넣고, 흡수성의 유무와 1시간 후의 수분량에 의해 용해성의 속도를 측정하고, 용해성을 ○(전부 용해한다), Δ(일부 용해되지 않은 부분이 있다), ×(용해되지 않는다)로 평가하고, 용해성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품, 비교품의 평가를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다.
(10) 종합 평가
각 항목 중, 하나라도 ×가 있었던 경우는 ×로 하고, Δ가 있었던 경우는 Δ으로 하였다. 전부 ○의 경우만을 ○으로 하여, 본 발명품, 비교품의 평가를 표 5 및 표 6으로 나타내었다.
이하에 본 발명의 겔상 흡수재를 이용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0(방향제)
25℃, 날개형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표 7에 나타낸 배합으로 다가 알콜 중에 타마린드 종자검을 서서히 첨가하고 분산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가온을 개시하고 80℃에서 30분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기타 향료 이외의 성분을 첨가하고, 50℃까지 조온한 후 향료를 첨가하였으며, 적당한 틀에 부어넣고 냉각함으로써 실시예 10에 따른 겔상 방향제를 수득하였다.
표 7:
정제수 66.4
타마린드 종자검 No. 1 2
에마논 CH-60 ※1 1
글리세린 30
향료 0.5
방부제 0.1
※1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카오(주) 제품) HLB: 14
다음, 실시예 10에 따른 방향제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 방향제에 관하여, 건조 흡수성에 대해서는 25℃, 습도 50% 이하의 실내에서 2주간 방치하여, 중량이 50%까지 감량한 것에 원래 중량이 될 정도의 수분을 보정하여 흡수시키면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하였다. 그 후, 방향제로 사용하였는데, 향기에 대해서는 복원하기 전보다 약간 열등하였으나, 사용하는 데는 충분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2주간 후, 사용을 종료한 시점에서 싱크의 배수구에 폐기하여 매분 3리터의 물을 흘린 결과, 30분 후에는 용해 소실하였다. 상기 방향제는 재료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환경 상품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방향제를 표 5 및 표 6과 동일한 평가방법으로 시험을 수행한 결과, 전체 시험에 있어서 합격이었다.
실시예 11( 첩포제 )
25℃, 날개형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표 8에 나타낸 배합으로 다가 알콜 중에 타마린드 종자검을 서서히 첨가하고 분산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가온을 개시하고 80℃에서 30분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멘톨 이외의 기타 성분을 첨가하고 용해하였으며, 40℃까지 온도를 조절한 후 멘톨을 첨가하고, 적당한 틀에 부어 넣어 냉각함으로써 실시예 11에 따른 평판상의 첩포 시트제를 수득하였다.
표 8:
정제수 66.2
타마린드 종자검 No. 1 3
에마논 CH-60 0.5
글리세린 10
1,3-부틸렌글리콜 20
멘톨 0.1
향료 0.1
방부제 0.1
(%)
다음, 실시예 11에 따른 첩포제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 첩포제에 대하여, 건조 흡수성에 대해서는 인체에 25℃, 습도 50% 이하의 실내에서 24시간 첩포하고, 중량이 80%까지 감량한 것에 원래 중량이 될 정도의 수분을 보정하여 흡수시키면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하였다. 그 후, 24시간 첩포하여 사용하였지만, 멘톨의 청량감에 대해서는 복원하기 전보다 열등하였으나, 냉각 효과는 사용하는데 충분하였다. 또한, 사용을 종료한 시점에서 싱크의 배수구에 폐기하여 매분 3리터의 물을 흘린 결과, 10분 후에는 용해 소실하였다. 상기 첩포제는 재료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환경 상품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첩포제와 동일한 배합물을, 건조 흡수성 이외의, 표 3과 동일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 전체 시험에 있어서 합격이었다.
실시예 12(유아용 놀이기구)
25℃, 날개형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표 9에 나타낸 배합으로 다가 알콜 중에 타마린드 종자검을 서서히 첨가하고 분산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가온을 개시하고 80℃에서 30분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색소 이외의 기타 성분을 첨가하고 용해하였으며, 60℃까지 온도를 조절한 후 멘톨을 첨가하고, 적당한 인형 틀에 부어 넣어 냉각함으로써 실시예 12에 따른 유아용 놀이기구를 수득하였다.
표 9:
정제수 51.2
타마린드 종자검 No. 1 8
샌소프트 Q-17S 0.5
글리세린 30
프로필렌글리콜 10
천연색소 0.1
향료 0.1
방부제 0.1
(%)
다음, 실시예 12에 따른 유아용 놀이기구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 유아용 놀이기구에 관하여, 건조 흡수성에 대해서는 인체에 25℃, 습도 50% 이하의 실내에서 1주간 방치하고, 중량이 60%까지 감량한 것에 원래 중량이 될 정도의 수분을 보정하여 흡수시키면 원래의 모양으로 복원하였다. 그 후, 1주간 방치하여 2회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였지만, 동일하게 복원하였다. 그 후 욕실 목욕물의 나머지에 12시간 부유시킨 결과, 용해 소실하였다. 상기 놀이기구는 재료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환경 상품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상기 놀이기구와 동일한 배합물을, 건조 흡수성 이외의, 표 5와 동일한 시험을 수행한 결과, 전체 시험에 있어서 합격이었다.
실시예 13(낚시용 인조미끼)
25℃, 날개형 교반기로 교반하면서 표 10에 나타낸 배합으로 다가 알콜 중에 타마린드 종자검을 서서히 첨가하고 분산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가온을 개시하고 80℃에서 30분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천연색소, 유인제 이외의 기타 성분을 첨가하고 용해하였으며, 40℃까지 온도를 조절한 후 천연색소, 유인제를 첨가하고, 적당한 틀에 부어 넣어 냉각하여, 벌레 모양의 성형물을 수득하였다. 그 후에 40℃에서 48시간 건조시키고, 수분을 50% 정도 증산시킴으로써, 실시예 13에 따른 낚시도구용 인조미끼를 수득하였다(실질적인 타마린드 종자검의 함량은 12%).
표 10:
정제수 62.6
타마린드 종자검 No. 1 6
샌소프트 Q-17S(타이요카가꾸(주) 제품) 0.5
글리세린 20
프로필렌글리콜 10
천연색소 0.1
어린박 0.5
유인제 0.1
방부제 0.2
(%)
다음, 실시예 13에 따른 낚시도구용 인조미끼에 대하여 평가하였다. 이 낚시도구용 인조미끼를 낚시 바늘에 부착하고, 고기가 없는 바다 중의 활어조에 투입하였다. 1시간 후에 끌어올려 중량을 측정한 결과, 흡수하여 원래 중량의 배로 되었지만, 3시간 후에는 완전히 용해하였다. 상기 인조미끼는 재료 특성이 우수하며, 또한 환경 상품으로서도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 후 고기가 있는 활어조에 상기 인조미끼를 3회 투입한 결과, 3분 이내에 고기가 물렸다. 유산 폴리머로 동량의 유인제를 혼합하여도 3회 모두 고기가 물때까지 10분 이상 시간을 필요로 했기 때문에 적당한 용해성이 유인제를 용출하여 고기가 유인되기 쉬워진다는 장점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0)

  1. 식물섬유 90질량% 이상, 단백질 1질량% 이하, 회분 1질량% 이하 및 수불용 성분의 분해 또는 제거 처리 후의 잔여 성분을 포함하는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와,다가 알콜 및 수용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수용성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흡수재.
  2. 제 1항에 있어서,
    식물섬유 92질량% 이상, 단백질 0.5질량% 이하, 회분 0.5질량% 이하 및 수불용 성분의 분해 또는 제거 처리 후의 잔여 성분을 포함하는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및 수용성 유기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흡수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마린드 종자 다당류 2~50질량%, 상기 수용성 유기물질 3~50질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흡수재.
  4. 제1항에 있어서,
    추가로 휘발성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흡수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유기물질은 2~5가의 다가 알콜 및 HLB값 10~20의 수용성 계면활성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겔상 흡수재.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겔상 흡수재를 기재로 한 방향제.
  7.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겔상 흡수재를 기재로 한 소취제.
  8.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겔상 흡수재를 기재로 한 제습제.
  9.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겔상 흡수재를 기재로 한 첩포제.
  10.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겔상 흡수재를 기재로 한 낚시도구용 인조미끼.
KR1020067026379A 2004-06-29 2005-05-16 겔상 흡수재 KR1011442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190756A JP4395016B2 (ja) 2004-06-29 2004-06-29 ゲル状吸水用組成物
JPJP-P-2004-00190756 2004-06-29
PCT/JP2005/008857 WO2006001132A1 (ja) 2004-06-29 2005-05-16 ゲル状吸水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6064A KR20070036064A (ko) 2007-04-02
KR101144206B1 true KR101144206B1 (ko) 2012-05-10

Family

ID=357765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379A KR101144206B1 (ko) 2004-06-29 2005-05-16 겔상 흡수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501209B2 (ko)
EP (1) EP1767575B1 (ko)
JP (1) JP4395016B2 (ko)
KR (1) KR101144206B1 (ko)
CN (1) CN1976989B (ko)
WO (1) WO200600113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68307A (zh) * 2006-02-21 2006-11-29 梁嘉臻 一种鱼饵
JP5134778B2 (ja) 2006-03-10 2013-01-30 日清オイリオグループ株式会社 ゲル組成物及び該ゲル組成物を使用したパック化粧料
GB2448483B (en) * 2006-10-20 2011-04-27 Preston Innovations Ltd Hookable fishing bait pellets and methods of production thereof
JP5511319B2 (ja) * 2009-11-10 2014-06-04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乾燥ゲルシートおよびその利用
JP2011177157A (ja) * 2010-03-04 2011-09-15 Hokkaido Research Organization えびかご漁業用の人工蝟集餌料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3053980A1 (en) * 2011-10-12 2013-04-18 Muhsin Demirci Agent for pai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aint with the agent
JP5020415B1 (ja) * 2012-01-19 2012-09-05 牛乳石鹸共進社株式会社 ゲル状洗浄料
KR101440024B1 (ko) * 2012-10-19 2014-09-17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생고분자와 나노점토를 포함하는 생체적합성 생분해성 흡습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5993980B1 (ja) * 2015-05-25 2016-09-21 マイティ株式会社 ゲル状組成物
JP2018090709A (ja) * 2016-12-05 2018-06-14 エステー株式会社 貼付用ゲル状薬剤含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709160B (zh) * 2017-03-31 2022-12-27 三荣源有限公司 乳液组合物
JP6490322B1 (ja) * 2018-09-27 2019-03-27 Dsp五協フード&ケミカル株式会社 ゲル化エアゾール製品及びゲル形成キット
TR201906799A2 (tr) * 2019-05-07 2020-11-23 Biolive Biyolojik Ve Kimyasal Teknolojiler Sanayi Ve Ticaret Anonim Sirketi Zeyti̇n çeki̇rdeği̇ atiğindan (pri̇nadan) bi̇yoplasti̇k granül üreti̇m yöntemi̇
CN112876793B (zh) * 2021-03-02 2022-08-12 北京林业大学 一种复合液膜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3331147B (zh) * 2021-06-04 2023-02-24 浙江师范大学 一种快粘型钓鱼诱饵的制备方法
KR102380868B1 (ko) * 2021-11-29 2022-04-01 채효진 제습 책갈피
CN114181329B (zh) * 2021-12-27 2022-11-15 青岛琛蓝海洋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提取罗望子种子中木葡聚糖的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5541A (ja) 1984-12-14 1986-08-19 マ−ス ジ−.ビ−.リミテツド ゲル系
JPS6440542A (en) * 1987-08-06 1989-02-10 Kobayashi Pharma Clear gel composition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99189A (en) * 1966-02-25 1968-08-27 Nat Dairy Prod Corp Tamarind extract
US4074043A (en) 1976-03-15 1978-02-14 General Mills Chemicals, Inc. Purification of tamarind gum
JPS56139572A (en) 1980-03-31 1981-10-31 Takeda Chem Ind Ltd Production of vegetable seed gum
JPS6422901A (en) * 1987-07-16 1989-01-25 Shikibo Ltd Production of polysaccharide from tamarind seed
JP2562913B2 (ja) 1987-09-14 1996-12-11 小林製薬株式会社 透明ゲル状組成物
US5073387A (en) * 1990-01-24 1991-12-17 Lafayette Applied Chemistry, Inc. Method for preparing reduced calorie foods
JPH04210639A (ja) 1990-11-30 1992-07-31 Dainippon Pharmaceut Co Ltd 電解質含量を低減化した食物繊維
IT1283911B1 (it) * 1996-02-05 1998-05-07 Farmigea Spa Soluzioni oftalmiche viscosizzate con polisaccaridi della gomma di tamarindo
JP3495875B2 (ja) 1997-03-14 2004-02-09 日本ミルクコミュニティ株式会社 透明ゲル及びその製造法
JP2000354460A (ja) 1999-06-15 2000-12-26 Dainippon Pharmaceut Co Ltd ガラクトキシログルカンの増粘・ゲル化方法
US7658942B2 (en) * 2000-04-12 2010-0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osmetic devices
AU2001278751A1 (en) 2000-08-16 2002-02-25 Ina Food Industry Co., Ltd. Transparent, aqueous elastomer
JP2002060546A (ja) 2000-08-23 2002-02-26 Nisshin Oil Mills Ltd:The 透明水性弾性体
WO2002059214A1 (fr) * 2001-01-26 2002-08-01 Nippon Shokubai Co., Ltd. Agent d'absorption d'eau et procede de production correspondant, et article absorbant l'eau
JP2003082003A (ja) 2001-07-05 2003-03-19 Mitsubishi Rayon Co Ltd 水溶性種子系多糖類の精製方法
JP2003212747A (ja) * 2002-01-15 2003-07-30 Nisshin Oillio Ltd 油中水型乳化皮膚外用剤
CN1473704A (zh) * 2003-07-01 2004-02-11 刘君才 水凝胶复合绝热材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85541A (ja) 1984-12-14 1986-08-19 マ−ス ジ−.ビ−.リミテツド ゲル系
JPS6440542A (en) * 1987-08-06 1989-02-10 Kobayashi Pharma Clear gel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08920A (ja) 2006-01-12
US20080279798A1 (en) 2008-11-13
WO2006001132A1 (ja) 2006-01-05
JP4395016B2 (ja) 2010-01-06
EP1767575A4 (en) 2009-07-08
EP1767575A1 (en) 2007-03-28
CN1976989A (zh) 2007-06-06
EP1767575B1 (en) 2011-07-06
US8501209B2 (en) 2013-08-06
CN1976989B (zh) 2010-05-05
KR20070036064A (ko) 200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4206B1 (ko) 겔상 흡수재
CN101919827B (zh) 多糖胶囊及其制备方法
JP2006008920A5 (ko)
Tampau et al. Biodegradability and disintegration of multilayer starch films with electrospun PCL fibres encapsulating carvacrol
KR101873336B1 (ko) 해조류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 팩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하이드로겔 팩
JP5977997B2 (ja) 農業用マルチ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WO2006009259A1 (ja) アラビアガム由来のハイドロゲル成分含有組成物
US8663615B2 (en) Bio-polymer air effector delivery systems
CN103891791A (zh) 一种宠物驱避剂
CN105851092A (zh) 一种环保无毒的固态精油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Škoc et al.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Sustainable Coatings on Cellulose Fabric and Nonwoven for Medical Applications
JP2024506753A (ja) バイオプラスチック組成物、それを含むバイオプラスチック生産物および関連する生産プロセス
Jiang et al. Injectable Methylcellulose and Hyaluronic Acid Hydrogel containing silver nanoparticles for their effective anti-microbial and wound healing activity in nursing care for burn injuries in children
CN104782683A (zh) 一种环境友好型聚乳酸驱蚊片及制备方法
ITTO990199A1 (it) Articoli per masticazione di animali.
CN101156956B (zh) 生物蛋白凝胶清香剂及其制作方法
CN114145311B (zh) 一种除虫脲颗粒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621641B1 (ko) 재사용이 가능하며 생분해성이 우수한 친환경 고양이 모래 조성물
JP2005247891A (ja) 保水性の改善された吸水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水性物品
JP2006249058A (ja) 動物忌避性材質とその製造方法
JP2989049B2 (ja) キトサン構造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実験動物飼育用床敷
CN117122717A (zh) 一种高香凝胶型芳香剂及制备方法和用途
JP2004083629A (ja) 粉石鹸
JPH0565384A (ja) 崩壊性抗菌性高分子組成物
JPH02282320A (ja) 賦香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