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875B1 - 선박 상부구조물 및 그 배열 방법 - Google Patents

선박 상부구조물 및 그 배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875B1
KR101123875B1 KR1020087013280A KR20087013280A KR101123875B1 KR 101123875 B1 KR101123875 B1 KR 101123875B1 KR 1020087013280 A KR1020087013280 A KR 1020087013280A KR 20087013280 A KR20087013280 A KR 20087013280A KR 101123875 B1 KR101123875 B1 KR 101123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ship
superstructure
crew
bri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3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908A (ko
Inventor
베렌드 프루인
Original Assignee
베르트질레 쉽 디자인 저매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트질레 쉽 디자인 저매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르트질레 쉽 디자인 저매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80081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4Anchors
    • B63B21/30Anchors rigid when in use
    • B63B21/32Anchors rigid when in use with one flu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32Arrangements of propulsion power-unit exhaust uptakes; Funnels peculiar to vess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Revetment (AREA)
  • Transition And Organic Metals Composition Catalysts For Addition Polymerization (AREA)
  • Catalyst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크루 모듈, 선교 모듈 및/또는 퍼넬 모듈로서, 몇 개의 모듈을 가지는 선박의 상부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모듈은 호환성 있는 크기를 가지며, 자립한다. 선박의 주 갑판 부근에 크루 모듈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평면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평면의 좌현 및/또는 우현 쪽에, 좌현 및 우현 모듈 사이의 자유 공간을 가지는 크루 모듈이 쌓이고, 자유 공간은 화물을 수용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선박 상부구조물의 건조를 위한 방법에 관련되어 있다.

Description

선박 상부 구조물{SHIP SUPERSTRUCTURE}
본 발명은 몇몇 모듈(module)로 쌓아 올린 선박 상부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모듈은 예를 들면 크루 모듈(crew modules), 선교 모듈(bridge modules) 또는 퍼넬 모듈(funnel module)일 수 있다.
선박의 상부구조물은 전통적으로 먼저 집의 건축물 뼈대(building shell)와 비교되는 중간 갑판(intermediate deck)을 끌어당기면서 상부 구조물의 외벽을 세우는 방법으로 건조(建造)된다. 그 다음 결과 영역이 세우진 후에, 벽을 더 잡아당김으로서 중간 갑판의 내부 작업을 한다. 중간 갑판이 각각의 영역으로 나눠진 후에 영역 또는 공간이 선박 공급 시스템과 연결된다. 이 작업은 연속적인 방법으로만 수행되어서, 전반적으로 건조 시간이 길어질 수밖에 없다.
DE 196 37 549는 개개의 모듈로 갑판실(deckhouses)을 건조하는 것을 공지한다. 갑판실의 외부 뼈대 등의 몸체가 먼저 생성되고 갑판과 기둥의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그러고 나서 개개의 모듈이 갑판실 몸체에 삽입되고 갑판과 기둥에 용접된다.
DE 195 17 235에 갑판실의 모듈-유사 건조물이 또 개시된다. 거기에, 먼저 개별 모듈이 삽입되는 외부 하우징이 건조된다. 그러고 나서 모듈이 외부 하우징에 연결된다. 몇가지 기본적인 요소들을 다른 것 위에 배열하기 위해, 각각의 기본적인 요소들을 보강시킬(stiffen) 필요가 있고 보강된 대들보가 또한 하우징에 제공된다.
DE 197 07 217에도 유사한 건조물에 대해 기술되어 있다. 조립식(prefabricated) 챔버 모듈이 쉘 샤프트(shell shaft)에 삽입되며, 개개의 챔버 모듈은 다른 치수로 만들어진 단일 모듈이다.
쉘 샤프트 없이 제조될 수 있는 모듈식의 갑판실의 건조물이 DE 299 07 386 U1에 공지되어 있다.
이 갑판실 또는 선박 상부구조물은 선박의 전체 폭에 전통적으로 제조된 선박 상부구조물과 같은 방식으로 연장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여객선의 경우 최대 수의 선실을 수용하는데 바람직하다. 그러나, 컨테이너 선박 등과 같은 화물선의 경우에는 선박에 최대량의 화물을 수용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른 선박 유형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고 잠재적인 선적 표면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는, 선박 상부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을 가지는 선박 상부구조물에 의해 달성될 것이다.
그에 따라 모듈은 호환성이 있는 모듈 크기 및 자립식 구조(self-supporting design)을 가진다. 필요한 기능으로서, 선박의 주 갑판(main deck) 부근에는, 크루 모듈(crew module)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그 이상의 특히 연속하는 평면(continuous plane) 또는 관통 평면(through plane)이 있다. 우현 쪽 모듈과 좌현-쪽 모듈 사이에 자유 공간을 가지는 크루 모듈이 적어도 하나, 특히 층에서의 좌현(port) 및/또는 우현(starboard) 쪽에 쌓이고, 상기 자유 공간은 화물, 특히 컨테이너 또는 혼합 화물을 수용하도록 예정되어 있다.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항에서 더 주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은 상호 호환성을 가지는 모듈 사이즈를 가지는 모듈의 사용을 통해, 선박 상부구조물이 표준화된 구성요소로부터 매우 유연한 방법으로 건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이것은 선체(hull)를 생산하는 동안에 모듈을 개별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면, 주 갑판을 선체에 고정하자마자, 모듈을 상기 갑판에 놓는다. 상부구조물을 선박의 몸체와 동시에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결과 선박의 건조시간이 상당히 감소할 수 있다. 상부구조물의 최종 조립을 위해 필요한 시간이 또한 감소한다.
다른 선박 및 선박 유형에 같은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모듈의 사용을 통해, 모듈을 더 많은 곳에서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모듈의 생산비가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본적인 사상은 상부구조물이 모든 갑판 또는 평면 위에서 좌현에서 우현으로 연속적으로 세워지지 않고, 대신에 우현 쪽 또는 좌현 쪽 또는 양쪽에서, 탑 같은(tower-like) 상부구조물로서 제공된다는 것이다. 이들 탑 같은 또는 원주의(columnar) 상부구조물은 예를 들면 얹어진(superimposed) 또는 싸여진(stack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크루 모듈이 사용되는 모듈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크루 모듈이 사용될 것이다. 결과적으로 탑 같은 상부구조물들 사이에, 화물, 특히 컨테이너 또는 혼합 화물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자유 공간이 있다. 이것은 특히 컨테이너 선박에 추가 적재 용량(loading capacity)을 더 만들고 좌현으로부터 우현까지 연속적으로 갑판실을 세울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이끌어낸다. 추가 적재 용량은 그런 선박의 경제성을 향상시킨다.
그와 같은 상부구조물 건조 결과로, 종래의 건조 절차와 비교하여 대략 34% 내지 58%의 무게 절감이 있을 수 있다. 게다가, 종래의 상부구조물과 비교하여 대략 42%의 비용 절약이 있다.
크루 모듈은 바람직하게 공동생활(living association), 서비스(service) 또는 공급 모듈(supply module)로서 건조된다. 다른 적용 분야에 크루 모듈의 표준화한 사용을 통해, 예를 들면 모듈의 외부 몸체를 표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고 그러고 나서 선박 상부구조물에서 말단 위치의 기능 및 예정된 사용으로서, 대응하는 내부 작업이 완성된다. 내부 작업 동안 모듈 안에 필요한 전류, 물, 냉난방 등을 위한 공급 라인(supply lines)을 연결할 준비가 된 방법으로(ready-to-connect manner) 설치할 수 있어서, 개개의 모듈 연결을 조립하고 나서 다음 라인들을 연결시키기만 하면 된다.
선박의 적재 표면을 더 증가시키기 위해, 크루 모듈 위에 화물을 쌓을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 그 결과로 크루 모듈 위의 공간은 또한 상품 수송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화물은 원칙적으로 불규칙적인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만약 표준화된 수송 컨테이너의 형상으로 제공된다면 유리할 것이다. 그러나, 예를 들면 혼합 화물을 위해 제공된, 호환성이 있는 모듈 사이즈를 가지는, 빈 모듈에 혼합 화물을 수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특별한 탱크 모듈은 액체 수송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례에서, 개별 모듈은 분리가능하게(detachably) 상호 연결되어 있다. 그 결과로 예를 들면 선박 정비 동안 계획된 방법으로 개개의 모듈을 교환할 수 있다. 모듈에 있는 장비가 결함이 있거나 새로운 규칙이 추가 장비를 설치할 것을 규정한다면 이것은 필요할 것이다. 모듈을 교체하는 것을 모듈에 설치된 개개 장비의 분해(disassembly) 또는 수선보다 훨씬 더 빨리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모듈의 계획된 교체는 시간 낭비를 줄인다. 또한 이것은 새로운 적용, 각각 새로운 방법에 선박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한다.
특정한 이점으로 공동(association) 및/또는 공급 영역이 적어도 하나, 특히 층에 제공되며 상기 영역은 특정 모듈의 형태일 수도 있다. 층은 좌현 쪽 및 우현 쪽에 두 개의 탑 같은 상부구조물을 연결한다. 층에 공동 및/또는 공급 영역이 유리하게 공급되는 것을 통해, 예를 들면, 용이하게 그리고 효율적으로 두 개의 탑 같은 상부구조물로 전류 또는 신선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층에서 난간(galley) 등과 같은 공동 영역을 제공하는 것은 또한 이런 공동으로 사용되는 공간 또는 영역이 두 탑 같은 상부구조물에서 용이하게 도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공동 영역은 또한 탑 같은 상부구조물 사이에서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게 된다.
상부구조물의 건조에서, 뼈대와 같은(framework-like) 건조물을 또한 가질 수 있는, 특히 무게-절감의 이점을 가지는, 특별한 지지 모듈(supporting module)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지지 모듈은 선교, 퍼넬 또는 상기 상기구조물의 일부를 지탱하는데 제공된다. 갑판의 수직 연결을 위해 지지 모듈 안에 공급 계단(supply staircases)을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지지 모듈을 추가로 사용하는 것을 통해, 선교 또는 퍼넬 등의 건조에 유연성이 증가할 것이다. 뼈대 같은 건조물 때문에, 입체(solid) 모듈 건조물에 비해, 무게를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이는 전체적인 무게에 긍정적인 효력을 가지며 따라서 선박의 연료 소비가 감소할 수 있고 각각 최대 가능한 추가 적재가 증가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종래부터 퍼넬 또는 더미(stack)는 상부구조물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특별한 퍼넬 모듈이 빈 관이 파묻힌 또는 고정된 지지 모듈의 형태로 제공된다면 유리할 것이다. 이 빈 관은 폐기 가스 또는 사용된 공기를 제거하는데 사용된다. 또한 엔진 또는 냉난방 시스템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다른 관 또는 파이프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지 모듈에 삽입된 관은 부가적으로 모듈을 보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런 건조물를 통해서 다시 한번 선박의 무게를 감소할 수 있다.
퍼넬 하부 부품(subassembly) 이외에, 공급 라인 또는 계단 등을 지지 모듈에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종래의 갑판실의 경우 선교는 상부 말단(upper termination)을 형성하고 갑판실 몸체에 직접 위치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선교는 크루 모듈 및/또는 지지 모듈 위에 적재된다.
크루 모듈 등에 선교를 위치시키는 것을 통해, 모듈이 없는 영역(module-free area)은 선교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형성된다. 만약 이 영역에 화물이 수용하도록 디자인된다면 특히 유리하다. 게다가 이는 적재 영역을 증가시켜서 결국 선박의 적재 용량을 증가시킨다. 예를 들면 대응하는 고정장치(fastening)가 표준 컨테이너 사이즈용으로 제공되는 방법으로 화물 수용장(cargo reception)이 건조될 수 있다.
선교를 위한 높이가 선박 자료와 유형의 기능으로 선택될 수 있다면 특히 유리하다. 가능한 자료는 예를 들면 최대 내하력(load carrying capacity), 최대 적재 높이 또는 선박 길이 등이다. 물론 몇몇 자료 및 매개변수는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선박 건조의 관점에서 선교의 고도가 지지 모듈 및/또는 선교 모듈을 통해 개조될 수 있다면 이 연결에서 유리하다. 예를 들면 그런 개조는 추가 지지 모듈이 크루 모듈 위에 건조되고 나서 선교가 상기 지지 모듈 위에 적당한 높이로 놓이는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중앙으로 연장하는 지지 모듈 위에 그리고 선박 가로 축(transverse axis)에 적당한 높이로 선교만 위치시키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상부구조물이 특정한 주위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개조될 수 있기 때문에, 높이를 유연하게 조정하는 것을 통해 모듈을 다른 유형의 선박에 사용할 수 있다.
만약 개개 모듈이 선박 유형에 따른 특정 방식으로 특히 선박의 주 갑판 위에, 통합되고, 부분적으로 분리되고 또는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면, 상부구조물의 위치에 매우 높은 자유도가 발생한다. 이것은 분리된 방식으로 대응하는, 바람직한 위치에 개개 모듈을 위치시키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따라서 예를 들면 공급 관점에서 선박의 중앙 영역에 크루 모듈을 수용하고, 반면에 엔진의 관점에서 선교가 후미 영역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개개 모듈의 넓은 사용 범위의 결과, 그들은 선박 유형에 상관없이 조립될 수 있어서, 생산된 모듈의 수가 증가한다. 이것은 다시 한번 모듈의 전체적인 비용을 줄일 수 있어서, 그런 선박의 상부구조물을 더 경제적으로 한다. 물론 혁신적인 건조물의 결과로서 선박 위에 몇 상부구조물을 또한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 중인(under construction) 종래의 갑판실과 건조가 완료된(over construction) 모듈의 조합도 또한 가능하다.
선박의 경도 방향(longitudinal direction)에서 고려해, 크루 모듈이 실질적으로 U 형상을 형성한다면 유리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이것은 대부분의 크루 모듈, 특히 선실을 가지는 크루 모듈이 일광에 자연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화물이 U의 내부 영역에 쌓일 수 있다. 두 개의 탑 같은 상부구조물이 특히 U의 하부를 통해서 특히 쉽게 연결되고 예를 들면, 직원 및 사람을 위한 분리 영역을 만들 수 있다.
화물이 모듈과 호환성이 있는 모듈 사이즈를 가지는 것이 특히 더 바람직하다. 이것은 만약에 화물이 상부구조물 모듈 위에 싸인다면, 화물을 조정 및/또는 고정시키기 위한 부가적인 어댑터(adapter) 장치 등이 필요 없다. 예를 들면, 이것은 또한 종래의 컨테이너 선교로 건조되는 동안에 선박 위로 모듈을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공급 라인을 수용하기 위해 만약 쌓인 모듈이 이중 바닥을 형성한다면 유리할 것이다. 예를 들면 이미 제공된 신선한 물/배수, 전력, 냉난방 등을 위한 개개의 공급라인을 연결하는 것은 이중 바닥의 결과로서 더 용이해 질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예와 도식 도면에 관하여 이하에서 더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혁신적인 상부구조물 및 컨테이너를 가지는 컨테이너 선박의 일부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부구조물의 후미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1의 상부구조물의 면을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상부구조물의 상부면을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선박의 개별적으로 위치한 상부구조물의 측면 부분도이다.
도 1은 혁신적인 상부구조물(1)을 가지는 컨테이너 선박의 일부를 우현 쪽에서 본 측면도이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 상부구조물(1)은 주 갑판(10)에서 시작한다. 그러나 상부구조물(1)이 주 갑판(10)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의 상부구조물과 본 발명의 혁신적인 구조물을, 예를 들면 종래의 상부구조물에 모듈을 위치시키는 것과 같이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크루 모듈(2), 선교 모듈(3), 몇 개의 지지 모듈(4) 및 또한 크루 모듈(2)에서 형성될 수 있는, 공급 지역(11)을 도시한다. 크루 모듈(2)로부터 선교 모듈(3)로 접근하도록 하기 위해, 지지 모듈(4)에 접근 계단(access staircase; 9)이 제공된다. 여기에 도시된 경우에, 접근 계단(9)은 외부 계단의 형태이다. 그러나, 상기 계단을 덮은 건조물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선교 모듈(3)에 안테나(antennas or aerial; 8)뿐만 아니라, 레이더 및 항해 장치(radar and navigation equipment; 7)가 제공된다. 선교 모듈(3) 위에 위치한 상기 장치는 안테나 컨테이너(51) 등과 같은 모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어서, 상기 장치가 모듈로서 선교 모듈(3) 위에서 조립될 수 있다. 항해 및 통신 장치뿐만 아니라 선박 및 엔지 모니터링 장치도 선교 모듈(3)에 위치할 수 있다. 조립된 모듈 안으로 통신 및 항해 장치를 통합하는 것을 통해, 많은 시간이 걸리는 내부 작업을 할 필요가 없게 된다. 만약 안테나 컨테이너(51)와 같은 것이 사용된다면, 상기 안테나 컨테이너(51)가 선교 모듈(3)에 연결될 수 있다.
몇 개의 지지 모듈(4)을 사용하는 것을 통해, 길이 또는 최대 적재 높이에 대응하는, 선박 유형에 따라 선교(3)의 높이를 임의로 개조할 수 있다. 적당한 선교 높이는 항해에 요구되는 일반적으로 필요한 225°전방 가시성(all-round visibility)을 가능하게 한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지지 모듈(4)의 옆에 위치한 크루 모듈(2) 위에 컨테이너(6)가 쌓인다. 크루 모듈(2) 위에 컨테이너(6)를 쌓을 수 있기 때문에, 더 많은 적재 및 수송 영역이 만들어지며, 이는 컨테이너 선박의 전체적인 수송 용량을 증가시킨다. 이와 같이, 크루 모듈이 화물 적재로 인한 무게를 더 흡수 또는 감당해야 하는 경우에, 충분한 최대 강도 또는 로드 베이링(load-bearing) 강도를 가지도록 크루 모듈을 건조할 필요가 있다.
크루 모듈(2)에 표시된 점선은 크루 모듈(2) 위에 다른 크루 모듈(2)을 올리는 방식으로 몇 개의 크루 모듈을 조립할 때 생기는 이중바닥(13), 즉 상하로 연속하는 크루 모듈 사이의 공간을 표시한다. 상기 이중바닥 안에 공급 라인 등을 놓을 수 있고 다른 모듈(2, 3, 4, 5)에서도 이런 이중바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주 갑판(10) 바로 위에 쌓인 크루 모듈(2)은 연속하는 층(12)을 형성된다. 원칙적으로, 몇 개의 층(12)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부구조물(1)의 혁신적인 건조를 위해 연속하는 층(12)을 가지는 것이 절대 필요한 것은 아니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 직접 주 갑판(10) 위에 층(12)을 건조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면 예를 들면 크루 모듈(2)은 상기 종래의 건조물 위에 쌓일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따라 상부구조물의 뒤에서 본 것이다. 도. 2에서, 층(12)이 공급 지역(11)에 의해 감춰져서, 크루 모듈(2)에 의해 형성된 U-형상이 전체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게다가, 크루 모듈(2)로부터 좌현 및 우현 쪽 위에 두 개의 탑 같은 상부구조물(21, 22)가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관련하여 기술된 것처럼, 크루 모듈(2) 위에 추가 컨테이너(6)가 쌓일 수 있다. 선교 모듈(3)은 지지 모듈(4) 및 퍼넬 모듈(5) 위에 적재된다.
퍼넬 모듈(5)은 퍼넬(funnel)을 위한 중공 튜브(hollow tube)가 설치된 또는 고정된 지지 모듈이다. 퍼넬(funnel)은 굴뚝(chimney)의 조선 용어이다. 예를 들면, 퍼넬 또는 배기 덕트(exhaust air duct) 모듈(5)은 뼈대 같은 지지 모듈(4)에 고정된 퍼넬 또는 배기 덕트 하부부품(43)을 포함한다. 또한 좌현 및 우현 쪽의 양쪽 위에 선교(3)가 측면 선박(lateral shipboard)(14) 위에서 보호되도록 추가 지지 모듈(4)이 있다. 선교는 또한 크루 모듈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선박의 특성에 따라 선교 높이를 개조하기 위해 크루 모듈과 선교 사이에 지지 모듈(4)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 3은 면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 1에 따른 상부구조물(1)의 층(12)을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1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상부구조물(1)은 전후 양쪽에서 컨테이너들에 의해 만들어진다. 층(12)의 하부에 바람직하게 공동(31), 서비스(32) 및 공급 영역(33)이 위치하고, 이들은 대응하는 특정한 모듈로 제공된다. 또한 층(12)의 상하에 갑판에 접근하기 위한 계단 및 엘리베이터(34)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공급 영역(33)은 전력 공급, 신선한 물 공급, 배수 공급 및/또는 오수 처리를 위해 사용된다. 개개 갑판의 수직 연결 또한 고려될 수 있다. 개개 모듈 또는 영역이 이중바닥(13)에 의해 수평 연결된다. 다른 공급 시스템의 통로 외에, 공급 영역(33)은 또한 신선한 물을 위한 대응하는 생산 또는 처리 장치 또는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된 서비스 영역(32)은 지급과 기내식(catering)을 위한 영역, 특히 부엌 및 관련 저장 영역이다. 공동 영역(31)의 예는 직원 또는 사람들을 위한 식당(mess)이다. 예를 들면, 선박의 사무실, 조종사를 위한 세탁실이 이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따른 상부 구조물(1)의 상부에 위치한 평면을 위에서 본 단면도이다. 크루 모듈의 우현 쪽 탑 및 좌현 쪽 탑 사이의 자유 공간에서, 컨테이너(6)가 이 평면에 위치한다. 추가 적재 용량을 가지는 상부 구조물(1)의 혁신적인 배열의 결과로, 예를 들면 부분적으로 도시된 컨테이너 선박에 대략 백 개의 추가 컨테이너를 수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크루 모듈(2)을 두 분리된 영역으로 다시 나누기 위한 한 가능성은 사람들을 위한 생활영역(41) 및 더 고급 선원(officer)을 위한 생활영역(42)으로 크루 모듈을 다시 나누는 것이다. 상기 평면에 거주구역(living quarter)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추가 여객을 위한 영역도 생각할 수 있다.
도 4에서 모일 수 있는 것처럼, 두 개의 고급 선원의 선실의 크기는 정확하게 세 개의 선원 선실의 크기와 대응한다. 개개 모듈이 호환성 있는 모듈크기로 유지된 결과, 주로 표준화된 구성요소가 건조물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개 모듈 사이에서 형성된 접촉 영역 및 간격은 발포체(foam)로 채워져서 방음 및 단열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도면에 기초하여, 어떻게 퍼넬 모듈(5)이 지지 모듈(4)에 퍼넬 하부 부품(43)을 고정하는 것에 의해 세워지는지를 추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 모듈(4)에 다른 공급 라인이 고정될 수 있고 이런 방법으로 수직 공급이 허용된다.
공급 영역(11)은 또한 통합된 퍼넬 모듈(5) 외에, 선교(3)의 부가적인 수직 접근 및 공급을 제공하기 위한 영역을 수용하는 크루 모듈(2)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여기서 계단, 파이프, 케이블, 엘리베이터 또는 냉난방 시스템을 위한 라인을 제공할 수 있다.
다른 모듈이 서로 통합된, 이미 도시된 상부구조물(1)에서와 달리, 도 5에 도식적으로 도시된 것처럼, 개개의 모듈을 분리할 수 있게 또는 부분적으로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다. 크루(2), 선교(3) 및 퍼넬 또는 퍼넬들(5)을 위한 개개의 모듈은 주 갑판(10)에 분리되어 설치된다. 다시 선교 모듈(3)이 지지 모듈(4)에 의해 지탱된다. 이 도면에 안테나 컨테이너(51)가 선교 모듈(3) 위에 도시되어 있다. 안테나 컨테이너(51)의 사용을 통해 선교 모듈(3) 위의 상부구조물은 건조를 가속화하기 위하여 표준화될 수 있다. 개개 모듈(2, 3, 4, 5)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통해, 모듈이 다른 선박 유형에 특히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사용가능성을 상당히 확대한다.
따라서, 혁신적인 선박 상부구조물은 선박 상부구조물의 건조 시간을 줄이고 부가적인 적재 용량을 만들어 내기 위해 간단하고 유연한 개념을 제안한다.

Claims (14)

  1. 주 갑판(10)을 가지는, 선박용 선박 상부구조물(1)로서,
    적어도 하나의 크루 모듈(2), 적어도 하나의 선교 모듈(3), 적어도 하나의 지지 모듈(4) 및 적어도 하나의 퍼넬 모듈(5)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호환성 있는 모듈 사이즈 및 자립식 구조(self-supporting design)를 가지고,
    상기 크루 모듈(2)은 선박의 상기 주 갑판(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12)을 형성하며,
    상기 크루 모듈(2)은 상기 주 갑판(10)의 우현(starboard) 쪽 및 좌현(port) 쪽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12)을 형성하여, 우현 쪽에서 쌓인 모듈(21)과 좌현 쪽에서 쌓인 모듈(22) 사이에 자유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자유 공간은 컨테이너(6) 및 혼합 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물을 수용하며,
    상기 퍼넬 모듈(5)에 퍼넬(funnel: 43) 또는 상기 퍼넬(funnel; 43)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 모듈(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루 모듈(2)은 생활 모듈, 공동 모듈(31), 서비스 모듈(32) 또는 공급 모듈(33)로서 건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은 상기 크루 모듈(2) 위에 쌓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2, 3, 4, 5)은 분리가능하게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5. 제1항에 있어서,
    공동 모듈(31) 및 공급 모듈(33)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하나의 상기 층(12)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모듈(4)은 상기 선교 모듈(3) 및 상기 상부 구조물의 일부 중 적어도 하나를 지탱하도록 제공되며, 또한 계단(9, 34)의 통합 수용을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교 모듈(3)은 상기 크루 모듈(2) 및 상기 지지 모듈(4) 중 적어도 하나 위에 적재되며,
    상기 화물을 수용하기 위해 모듈이 없는 영역이 상기 선교 모듈(3)의 전면 및 상기 선교 모듈(3)의 아래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8. 제1항에 있어서,
    선교의 고도는 최대 내하력 및 선박의 적재 높이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선택될 수 있고,
    선교의 고도는 상기 지지 모듈(4) 및 상기 선교 모듈(3) 중 적어도 한 종의 모듈을 쌓는 높이에 따라 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9.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크루 모듈(2), 상기 선교 모듈(3), 및 상기 퍼넬 모듈 (5)은 선박 위에 통합되거나, 부분적으로 분리되거나 또는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10. 제1항에 있어서,
    선박을 위에서 볼 때, 상기 크루 모듈은 U자-형상 배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2, 3, 4, 5)은 컨테이너(6) 또는 혼합 화물을 포함하는 화물과 호환성 있는 모듈 사이즈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12. 제1항에 있어서,
    쌓인 상기 모듈(2, 3, 4, 5)은 이중바닥(13)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
  13. 주 갑판을 가지는, 선박 위의 선박 상부구조물의 배열 방법으로서,
    상부구조물은 적어도 하나의 크루 모듈(2), 적어도 하나의 선교 모듈(3), 적어도 하나의 퍼넬 모듈(5)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 모듈(4)을 포함하며, 상기 모듈은 호환성 있는 모듈 크기 및 자립식 구조(self-supporting design)를 가지며,
    상기 크루 모듈(2)은 선박의 상기 주 갑판(10)에서 적어도 하나의 층(12)을 형성하며,
    상기 크루 모듈(2)은 우현(starboard) 쪽 및 좌현(port) 쪽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층(12)을 형성하여, 우현 쪽에서 쌓인 모듈(21)과 좌현 쪽에서 쌓인 모듈(22) 사이에 자유 공간을 가지며,
    상기 자유 공간은 컨테이너(6) 및 혼합 화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화물을 수용하며,
    상기 퍼넬 모듈(5)에 퍼넬(funnel: 43) 또는 상기 퍼넬(funnel; 43)의 일부를 수용하는 지지 모듈(4)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상부구조물의 배열 방법.
  14. 삭제
KR1020087013280A 2005-12-06 2006-11-16 선박 상부구조물 및 그 배열 방법 KR101123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05019071.3 2005-12-06
DE202005019071U DE202005019071U1 (de) 2005-12-06 2005-12-06 Schiffs-Aufbauten
PCT/EP2006/011013 WO2007065545A2 (de) 2005-12-06 2006-11-16 Schiffs-aufbaut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908A KR20080081908A (ko) 2008-09-10
KR101123875B1 true KR101123875B1 (ko) 2012-03-16

Family

ID=35853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3280A KR101123875B1 (ko) 2005-12-06 2006-11-16 선박 상부구조물 및 그 배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957354B1 (ko)
JP (1) JP5070218B2 (ko)
KR (1) KR101123875B1 (ko)
CN (1) CN101321663B (ko)
AT (1) ATE457260T1 (ko)
DE (2) DE202005019071U1 (ko)
DK (1) DK1957354T3 (ko)
ES (1) ES2340715T3 (ko)
PL (1) PL1957354T3 (ko)
WO (1) WO2007065545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1224A (zh) * 2015-06-24 2015-12-16 李洁梅 一种烟囱单元吊装的工艺方法
KR20190119289A (ko) * 2018-04-12 2019-10-22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54749A (en) * 2007-11-17 2009-05-20 David Michael Turner Bridge module for installation onto a standard ship base
FI20095145A (fi) * 2009-02-17 2010-08-18 Stx Finland Cruise Oy Kelluva rakenne, alus, erityisesti yksirunkoinen risteilyalus, tai vastaava
KR101462298B1 (ko) * 2010-11-12 2014-1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드릴쉽의 헬리데크 서포트
KR101985451B1 (ko) * 2012-11-28 2019-06-0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거주구 구조
CN104670420A (zh) * 2013-11-27 2015-06-03 中国舰船研究设计中心 隐身型一体式上层建筑结构
CN103612713B (zh) * 2013-12-09 2016-03-30 江苏科技大学 水面无人艇的左右对称四柱支撑式上层建筑
KR101644451B1 (ko) * 2014-04-14 2016-08-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및 화물 적재 방법
KR101644453B1 (ko) * 2014-11-05 2016-08-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KR101668458B1 (ko) * 2014-11-12 2016-10-2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 선박
CN105775047A (zh) * 2014-12-23 2016-07-20 中集船舶海洋工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集装箱船及其支撑结构
JP6002813B1 (ja) * 2015-05-29 2016-10-05 株式会社大島造船所 船舶
CN105216967A (zh) * 2015-09-28 2016-01-06 上海船舶研究设计院 一种超大型矿砂船的桥翼结构
KR101689657B1 (ko) * 2016-09-02 2016-12-2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이동식 거주구를 구비한 선박
RU187699U1 (ru) * 2018-10-09 2019-03-14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Росморпорт" Надстройка баржи
CN109625157B (zh) * 2018-10-31 2021-01-19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大型集装箱船翼桥分段一体化建造的方法
CN111409767B (zh) * 2020-03-13 2021-06-11 上海外高桥造船有限公司 大型船舶上层建筑
CN111874179B (zh) * 2020-07-27 2022-02-18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组合式客船建造方法
CN112758243A (zh) * 2021-02-07 2021-05-07 上海外高桥造船海洋工程有限公司 船舶上层建筑及包含其的lng双燃料散货船
CN113247175A (zh) * 2021-06-08 2021-08-13 上海外高桥造船海洋工程有限公司 预制隔舱及包含其的船舶上层建筑及其安装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4824A2 (en) * 2003-03-07 2004-09-08 Kvaerner Masa-Yards Oy A method and a cabin deck arrangement in a large passenger vesse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1532C (fi) * 1981-10-13 1993-09-08 Waertsilae Oy Ab Passagerarfartyg. passagerarfartyg
JPS604482A (ja) * 1983-06-24 1985-01-10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居住区構造
JPS6018077U (ja) * 1983-07-15 1985-02-0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船舶
JPS62178291U (ko) * 1986-05-02 1987-11-12
JPH07215268A (ja) * 1994-01-31 1995-08-1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における艤装工法
JPH08239086A (ja) * 1995-03-06 1996-09-17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カーフェリーにおける集合型ケーシング装置
DE19517235C2 (de) 1995-05-15 1999-04-08 Thyssen Nordseewerke Gmbh Deckshaus für Schiffe
DE19637549C1 (de) 1996-09-14 1998-01-29 Neptun Ind Rostock Gmbh Modulares Deckshaus für Schiffe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9707217A1 (de) 1997-02-24 1998-08-27 Thyssen Nordseewerke Gmbh Aufbauten für Schiffe sowie Montageverfahren
DE19901053B4 (de) * 1999-01-14 2006-09-21 Nordseewerke Gmbh Schiff zum Transport von Containern
DE102004060266B4 (de) * 2004-12-15 2006-10-12 Imawis Maritime Wirtschafts- Und Schiffbauforschung Gmbh Deckshau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54824A2 (en) * 2003-03-07 2004-09-08 Kvaerner Masa-Yards Oy A method and a cabin deck arrangement in a large passenger vessel
KR20040079333A (ko) * 2003-03-07 2004-09-14 크바에르너 마사-야아드스 오이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 및 배치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51224A (zh) * 2015-06-24 2015-12-16 李洁梅 一种烟囱单元吊装的工艺方法
KR20190119289A (ko) * 2018-04-12 2019-10-22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KR102434966B1 (ko) * 2018-04-12 2022-08-22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02006006131D1 (de) 2010-03-25
EP1957354A2 (de) 2008-08-20
CN101321663A (zh) 2008-12-10
DK1957354T3 (da) 2010-05-31
ES2340715T3 (es) 2010-06-08
ATE457260T1 (de) 2010-02-15
CN101321663B (zh) 2010-05-26
JP2009518218A (ja) 2009-05-07
JP5070218B2 (ja) 2012-11-07
EP1957354B1 (de) 2010-02-10
WO2007065545A3 (de) 2007-07-26
PL1957354T3 (pl) 2010-07-30
DE202005019071U1 (de) 2006-02-02
KR20080081908A (ko) 2008-09-10
WO2007065545A2 (de)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875B1 (ko) 선박 상부구조물 및 그 배열 방법
EP1984243B1 (en) Double-walled floor segment for a means of locomotion for accommodating system components
CN101426680B (zh) 船舶用舱室模块
FI84999B (fi) Fartygskonstruktion.
US20080121160A1 (en) Method and Building System for Manufacture a Floating Structure
AU702412B2 (en) Multihull navigating structure
KR101702994B1 (ko) 해양선박
JP6606999B2 (ja) 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海洋構造物、海洋構造物における居住区構造体の建造方法、及び、海洋構造物の建造方法
EP1454824B1 (en) A method and a cabin deck arrangement in a large passenger vessel
KR20010051861A (ko) 선박용 설비
GB2121452A (en) Steel structure of superimposed modules
PL171422B1 (pl) Statek, zwlaszcza statek handlowy PL PL PL
JP2022170560A (ja) 貨物船
WO2016147103A2 (en) Modular floating platform
US20110030603A1 (en) Reconfigurable ocean-going vessel
FI116049B (fi) Menetelmä ja järjestelmä esivalmistettujen huoneyksiköiden asentamiseksi ja liittämiseksi alukseen tai muuhun vesikulkuneuvoon
EP2268535A2 (en) Reconfigurable ocean-going vessel
EP0930225B1 (en) Ship building method
KR20170130868A (ko) 분리형 거주구 및 이를 포함하는 화물 적재 선박
CN113247175A (zh) 预制隔舱及包含其的船舶上层建筑及其安装方法
CN117485473A (zh) 双燃料集装箱船甲醇舱结构
WO1999055580A1 (en) Floating offshore platform
KR20170036312A (ko) 부유식 해양 구조물의 선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