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79333A -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 및 배치방법 - Google Patents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 및 배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79333A
KR20040079333A KR1020040015284A KR20040015284A KR20040079333A KR 20040079333 A KR20040079333 A KR 20040079333A KR 1020040015284 A KR1020040015284 A KR 1020040015284A KR 20040015284 A KR20040015284 A KR 20040015284A KR 20040079333 A KR20040079333 A KR 200400793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deck
ship
transvers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8097B1 (ko
Inventor
단 베스터룬트
에사 일리넨
Original Assignee
크바에르너 마사-야아드스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바에르너 마사-야아드스 오이 filed Critical 크바에르너 마사-야아드스 오이
Publication of KR20040079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9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80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80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9/00Accommodation for crew or passeng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9/02Cabins or other living spaces; Construction or arrangement thereof
    • B63B29/025Modular or prefabricated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2035/004Passenger vessels, e.g. cruise vessel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09Common features for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019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415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 B65G2812/02613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with load-carrying surfaces supported by traction means the load-carrying surfaces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e.g. individual load c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Floor Finish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선박의 실제적인 선체(1)의 뱃전 위의 적어도 대부분의 면적에 배치되는 갑판구조물(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갑판구조물에는 바람직하게는 가능한한 사전에 제작된 이동가능한 선실유니트(4)가 구비되고 상호간에 위아래로 중첩된 다수개의 선실갑판(3)들이 포함되며, 선박의 측방향으로, 그의 중앙부분에서, 각 선실갑판(3)에는 적어도 한 개의 선실복도(5) 및 기계실 공간(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방향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 기계실 공간에는, 적어도 대부분의 선박의 난방, 상하수도, 환기 및 전기시설 및/또는 선실갑판상의 선실유니트를 위한 대응하는 시스템들이 설치되는 대형 여객선내에 선실갑판을 배치하는 방법. 선실유니트(4)들은 갑판의 횡방향 칸막이 벽(7)의 피치에 따른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상기 길이방향의 공간의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횡방향 칸막이 벽과 평행한 선실유니트(4)의 벽의 하부들은 상기 횡방향 칸막이 벽과 결합하여 갑판(3)에 부착된다. 선실유니트(4)의 벽의 상부는 상기 횡방향 칸막이 벽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횡방향 칸막이 벽의 플랜지부(7a)를 위한 홈(4a) 또는 그와 유사한 공간이 마련된다. 기계실공간(6)내의 상기 시스템들은 선박에 대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있는 배관, 덕트 또는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횡방향 칸막이(7) 사이의 선실유니트(4)에 접속된다.

Description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 및 배치방법{METHOD AND CABIN DECK ARRANGEMENT IN A LARGE PASSENGER VESSEL}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의 서문부에 따른 대형 여객용 선박내의 선실갑판 배치방법 및, 실제적으로 그 방법을 적용하기 위한 특허청구의 범위 제 5항의 서문부에 따른 선실갑판의 배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순항 유람선사업에 있어서는, 많은 승객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선박이 가장 효용가치가 높은 것을 경험적으로 알게 되었다. 대형의 순항유람선 사업에 있어서 한가지 실제적인 고려점 중의 하나는 파나마 운하를 이용할 수 있는 지의 여부에 관한 것이다. 일단 하나의 여객선이 파나마 운하의 조건들을 만족시키면, 그의 순항범위가 상당히 확대된다. 소위 파나맥스(Panamax) 라고 불리우는 순항유람선은, 파나마 운하내에서 조종할 수 있도록 허용되는 선박에 대한 최대길이 및 폭등으로 그의 전체 규격이 제한된다. 선박의 높이에 관하여는, 선박건조에 관련된 기술적인 요인에 의하여 제한된다. 만약 선박의 높이가, 예를 들어 갑판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증가되면, 선박의 중량도 증가될 것이며, 중심의 레벨도 상승하게 되고, 따라서 선박의 안정성이 훼손되며, 그에 의하여 선박은 소위 솔라스(SOLAS) 규정에 부합되지 못하게 된다. 선박의 중량 및 무게중심의 레벨은 또한 파나맥스 순항유람선에 있어서는 중요한 문제이다. 선박의 안정성을 약하게 하는 다른 요인은 선박 측면에 있는 강풍구역 (WIND AREA)으로서, 이는 선박의 높이가 증가함에 따라 확장된다.
일반적으로, 목표로 하는 것은 갑판의 높이를 최소화하는 것인데, 왜냐하면 그것이 중심을 낮추는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갑판의 높이는 갑판상에서 필요로 하는 자유고(自由高)에 의존하며, 이는 사람의 동선과 다양한 구조적인 측면의 양자 및, 또한 특히 선박의 길이방향에서의 공간과 선박에 필요한 여러 가지 시스템에 필요한 공간에 의하여 규정된다. 또한 철골구조는 그 자체의 공간도 필요로 한다. 특히, 프로펠러의 여기주파수가 고려될 필요가 있는 규격내에서의 구조물, 즉 빔(BEAM)을 지지하는 횡방향의 칸막이와, 파이프, 덕트 및 케이블과 같은 선박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관통구조물들도 수직공간을 필요로 한다.
무엇보다도, 일단 상술한 여러 가지 측면이 고려되어 갑판의 공간이 결정된 후에도, 선박의 장비에 있어서 예를 들면 허니컴 보드와 같이 경량구조를 사용하거나, 선체구조에 있어서 강철대신에 알루미늄을 사용하거나, 선박의 하부에 밸러스트(BALLAST)를 더하는 등에 의하여 무게중심에 악영향을 받을 수도 있다.
알루미늄과 경량 장비재료등을 많이 사용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비용이 증가하게 되므로, 따라서 이들의 사용은 무게중심의 관점에서 효율적인 곳, 즉 선박의 상부구조와 같은 영역에서만 사용을 제한하도록 목표를 정하게 된다. 밸러스트를 가능한한 바닥에 근접하게 사용하면 선박의 무게중심은 낮아지게 되지만, 동시에 선박의 중량 및 배수량을 증가시키며, 따라서 선박의 운송기계부분의 크기도 증가하게 되고, 더 많은 힘을 필요로 하게 된다. 가용한 빈 탱크용적이 없음으로 인하여 종종 밸러스트가 강철제로서 선체에 덧붙여질 필요가 있으며, 이 또한 조선비용을 증가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의 배치구조에 관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 방법은 선실갑판의 수를 용이하고도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증가시킬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파나맥스 순항유람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대형 여객선이라 함은, 그의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100미터를초과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여객선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2는 도 1의 Ⅱ-Ⅱ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횡방향 칸막이의 사이에서 선실갑판상에 선실유니트들이 배치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체 2 : 갑판구조물
3 : 갑판 4 : 선실유니트
4a : 홈 5 : 선실복도
6 : 기계실 공간 7 : 횡방향 빔(BEAM)
7a : 플랜지부 8 : 시스템용 배관
9 : 선실복도(5)의 자유고(自由高)
본 발명의 목적은 특허청구의 범위 제 1 항 및 기타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실유니트들이, 갑판의 횡방향 칸막이의 피치(PITCH)에 따라서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상기 길이방향의 공간의 양측에 배치되며, 따라서 횡방향의 칸막이와 평행한 상태인 선실유니트의 벽의 하부가 상기 횡방향 칸막이와 결합하여 갑판에 부착되고, 선실유니트의 벽의 상부는 상기 횡방향 칸막이의 사이에 배치되면서, 횡방향 칸막이의 플랜지부용 홈이나 그와 유사한 공간이 마련된다. 부가적으로, 기술적인 영역에서 상기 시스템들은 배관, 덕트 또는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횡방향 칸막이들의 사이에서 선실유니트에 접속되며, 이들은 적어도 선박에 관하여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이다.
예를 들어, 파나맥스 순항유람선에 있어서는, 전형적으로 4 - 6 개의 선실갑판이 선박의 상부구조에 통상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수단에 의하면, 각 선실갑판의 높이는 용이하게 낮추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선실갑판의 수가 증가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몇 개의 여분의 갑판이 선박에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에 의하여 선박의 무게중심이 낮추어지고, 철골구조가 경량으로 됨에 따라 각 갑판의 중량이 감소되며, 그에 의하여 재료비가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3가지 방식으로 갑판의 높이에 있어서의 간격을 감소시키는데: 횡방향 빔의 높이를 낮추고, 선박의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시스템의 배선을 선실유니트의 복도 및 선실구역으로부터 배제시키고, 높은 선실유니트를 갑판사이의 낮아진영역내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이를 달성한다. 횡방향 빔의 높이는, 빔의 공진주파수에 영향을 미치는 빔의 강도 및, 빔의 하중에 의하여 결정된다. 예외없이, 빔의 강도는 수치책정에 있어서의 요소이며, 주로 빔의 높이에 의하여 요건이 규정된다. 이 배치에 있어서, 갑판상에 탑재되고, 그의 벽이 빔의 상부에 위치되고 갑판에 고정되는 사전에 제작된 강고한 모듈선실은, 빔의 강도를 실질적으로 증가시키고 빔을 낮추며, 그에 의하여 선실의 갑판도 낮추게 되는데, 이는 횡방향 빔이 하중에 근거하여 치수가 정해지기 때문이다.
선실갑판의 낮아진 횡방향빔이 선실갑판의 자유고를 결정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덕트 및 배관에 관련된 모든 길이방향으로 지나가는 것들이 선실복도 및 선실유니트로부터 기계실영역의 중앙으로 이전되어야 한다. 이러한 기계실 영역은 각 선실유니트에 인접하여 위치되며 선실유니트에 의하여 필요로 되는 그 기계시스템은 기계영역으로부터 선실복도를 가로질러 선실유니트에 걸쳐치게 된다. 선실갑판상의 길이방향으로 지나가는 것들은 하이빔(HIGH BEAM)에 비하여는 횡방향 빔을 통하여 경미한 정도로 지나가도록 배치될 수 있는데, 이 횡방향 빔은 부하에 근거하여 수치가 결정되는 것이고 빔의 스템(STEM)에 있어서는 매우 단단한 구조를 요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에 있어서, 선실유니트는 그의 내부 높이가 그것을 지지하는 선실갑판과 횡방향 칸막이의 플랜지부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수치가 결정된다. 선박 건조상의 이유에서 선실복도나 선실의 홀의 높이는 선실 또는 기타 공공구역의 높이보다 낮아질 수 있다. 선실갑판의 간격은 선실영역의 복도에 따라 가능한한 작게 수치가 결정된다.
선박의 객실구역을 조립하는 단계에서, 선실유니트는 바람직하게는 선박의 횡방향으로 탑재될 수 있다. 선실유니트는 설치단계에서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행상 필요하게 되는 간격으로 결정되는 선실유니트의 자유도와, 예를 들면 에어컨디쇼너와 같이 선실지붕상에 배치되는 선실유니트의 기계장치, 또는 보다 나은 방음을 위하여 복도천정의 마감재보다 더 두껍게 만들어질 수 있는 천정내장재등이 갑판공간의 범위내에서 가능한한 대형으로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선박의 갑판건조시 선실유니트가 제 자리로 이동된 후에야, 선실의 천정이 제자리에 탑재되어 선실유니트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필요하다면 이미 선박위에 올려놓은 선실유니트라도, 이들을 최종위치에 탑재하기 전에, 횡방향 빔의 아래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한다.
전형적으로는 적어도 4개, 또는 바람직하게는 6 - 8 개의 선실갑판이 선박상에 배치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의 목적으로 본 발명을 기술한다.
(실시예)
도면중 참조부호 1 은 선박의 선체를 나타내며, 그의 상부에는 다수개의 갑판(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갑판구조물(2)을 가진다. 도 1 에 있어서, 각 갑판에는 2개의 외부로 향한 선실유니트(4)가 있으며, 그의 사이에는 선실복도(5) 및 기계실 공간(6)이 위치된다. 적어도 대부분의 선박의 난방, 상하수도, 배기 및 전기시스템 또는 기타 유사한 시스템(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음)들이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기계실 공간(6)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선실유니트(4)가 횡방향 빔(7)의 사이에 어떻게 탑재되며, 그에 의하여 선실유니트(7)의 높이가 상당히 증가됨으로써, 빔(7)의 높이에 의해서 결정되는 선실복도(5)의 자유고[파선(9) 참조]를 초과하게 되는 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배치구조에 있어서는, 부하의 근거하에 치수가 결정된 하부 횡방향 빔(7)들이 사용되었으며, 이들 빔들은 사용되는 설비를 위한 개구부를 거의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기계실 공간(6)내에 위치된 난방, 상하수도, 환기 및 전기설비 시스템등으로부터의 선박의 연결은 선실복도(5)를 가로질러 선실유니트(4)너머까지 선박의 횡방향으로 선실마다 배치되며, 이는 참조부호 (8)로 나타내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선박건조 수단으로서, 선실이 넓은 공간을 가진다는 인상을 확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이러한 배치구조는 선실갑판(3)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횡방향 빔(7)을 종래보다 낮게 함으로써, 재료의 절약도 가능하며, 비용도 감소된다.
선실유니트(4)는, 예를 들면 횡방향 빔(7)의 사이에 자리잡을 위치로 삽입함으로써 선박건조시에 탑재된다. 이 경우에 , 선실유니트는 선박상에 완성된 조립체로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구조는, 선실유니트가 탑재될 때, 횡방향의 칸막이나, 운송로상의 빔 또는 기둥이없는 객실구조를 가질 것을 요구한다. 선택적으로, 선실의 천정은 선박의 갑판건조시에 선실유니트가 제자리로 이동된 후에 선실에 부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선실유니트는 필요하다면, 이들이최종위치에 탑재되기 전에, 횡방향 빔의 아래쪽으로, 선박상에서도 이동이 가능하다.
횡방향 칸막이 및 빔이 낮아지므로, 갑판에서의 강철의 하중은 감소한다. 갑판 빔(7)사이로 선실유니트(4)를 탑재하려면 선실유니트의 벽과 천정의 모서리내에 홈(4a) 또는 그와 유사한 공간배치구조를 필요로 하며, 이 홈내로는 빔(7)의 횡방향 플랜지(7a)가 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선실의 비용을 다소 증가시키게 되지만, 선실들이 상호간에 매우 근접하여 탑재될 수 있기 때문에, 갑판의 표면적을 효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선실유니트(4)의 단단한 벽들의 하부들은 빔(7)들의 옆 또는 빔들의 근처에서, 갑판(3)에 의하여 지지되는데, 즉 이들은 빔들과 함께 이들의 부분에서 갑판(3)을 강고하게 하는 접속을 이루게 된다.
갑판공간에 있어서의 감소는 무게중심을 직접적으로 낮추는 효과를 가지게 되며, 동시에 강철의 하중이 감소되며, 따라서 갑판의 비용이 감소된다. 미리 제작된 단단한 선실유니트를 사용하는 것은 수송의 관점에서조차 매우 유용한 것이며, 이에 의하여 선실유니트에 대한 강도의 요구 또한 실제로는 선실유니트의 하중을 증가시키지는 않도록 한다.
도 1에 따른 배치구조로 선박의 갑판을 건조하는 것은 명백히 선박의 실제적인 선체를 더 좁게 하며, 모든 선실유니트들은 갑판구조물의 모서리상에 위치하게 되며, 부가적으로, 선실들 사이에서 나타낸 단 한 개의 통일된 기계실 공간이 있게 되며,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종류의 배치구조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오히려, 본 발명에 따른 선실유니트는, 선박의 외부 이외에도, 선박의 어느 곳에나 위치될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1에서 나타낸 기계실 공간에 인접한 곳에 부분적으로 위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넓고 통일적인 공간으로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선내 및 선외선실을 위한 에어콘디셔닝 덕트 및 배관들은 관통되는 것이 아닌 방식으로 기계실 영역으로 도출될 수 있으며 선실유니트내로 도출되도록 하는 경우에만 관통되는 방식이 마련된다. 선택적으로, 선내 선실들은 선체의 중앙영역에 마련된 선실복도 및 기계실 공간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선내 선실유니트들은 낮게 만들어질 수 있거나, 또는 선외선실로의 덕트 및 파이프를 인출하기 위하여 천정내에 홈이 마련될 수 있다. 필요하다면, 예를 들어 발코니가 관련되는 경우에, 선실유니트가 확장될 수 있으며, 또한 어느정도는 선박의 현측으로도 확장될 수 있다. 필수적인 것은, 선실유니트가 본 발명의 충분한 전체적인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하나 또는 여러개의 충분히 큰 무리로 배열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의 배치구조에 관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길이가 100m 를 넘는 대형여객선의 선실갑판의 수를 용이하고도 비용효율적인 방식으로 증가시킬 수 있다.

Claims (9)

  1. 선박의 실제적인 선체(1)의 뱃전 위의 적어도 대부분의 면적에 배치되는 갑판구조물(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갑판구조물에는 바람직하게는 가능한한 사전에 제작된 이동가능한 선실유니트(4)가 구비되고 상호간에 위아래로 중첩된 다수개의 선실갑판(3)들이 포함되며, 선박의 측방향으로, 그의 중앙부분에서, 각 선실갑판(3)에는 적어도 한 개의 선실복도(5) 및 기계실 공간(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방향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 기계실 공간에는, 적어도 대부분의 선박의 난방, 상하수도, 환기 및 전기시설 및/또는 선실갑판상의 선실유니트를 위한 대응하는 시스템들이 설치되는 대형 여객선내에 선실갑판을 배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실유니트(4)들은 갑판의 횡방향 칸막이(7)의 피치에 따른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상기 길이방향의 공간의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횡방향 칸막이와 평행한 선실유니트(4)의 벽의 하부들은 상기 횡방향 칸막이와 결합하여 갑판(3)에 부착되고, 선실유니트(4)의 벽의 상부는 상기 횡방향 칸막이들의 사이에 배치되고, 횡방향 칸막이의 플랜지부(7a)를 위한 홈(4a) 또는 그와 유사한 공간이 마련되며, 기계실공간(6)내의 상기 시스템들은 선박에 대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있는 배관, 덕트 또는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횡방향 칸막이(7)들 사이의 선실유니트(4)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선실유니트(4)는, 그의 내부 높이가 그를 지지하는 선실갑판(3)과 횡방향 칸막이의 플랜지부(7a)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수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선실유니트(4)는 선박의 갑판구조물(2)의 객실조립단계에서 선박의 횡방향으로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선실유니트(4)의 천정은 선실유니트(4)가 선박의 갑판구조물(2)내의 제 자리로 이동한 후에만 제 자리에 탑재되고 선실유니트(4)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상기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4개, 바람직하게는 6 - 8 개의 선실갑판(3)들이 선박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선박의 실제적인 선체(1)의 뱃전 위의 적어도 대부분의 면적에 배치되는 갑판구조물(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이들 갑판구조물에는 사전에 제작된 이동가능한 선실유니트(4)가 구비되고 상호간에 위아래로 중첩된 다수개의 선실갑판(3)들이 포함되며, 선박의 측방향에는, 그의 중앙부분에서, 각 선실갑판(3)에는 적어도 한 개의 선실복도(5) 및 기계실 공간(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나의 길이방향의 공간이 마련되고, 이 기계실 공간에는, 적어도 대부분의 선박의 난방, 상하수도, 환기 및 전기시설 및/또는 선실갑판상의 선실유니트를 위한 대응하는 시스템들이 설치되는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에 있어서,
    선실유니트(4)들은 갑판의 횡방향 칸막이(7)의 피치에 따른 선박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상기 길이방향의 공간의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횡방향 칸막이와 평행한 선실유니트(4)의 벽의 하부들은 상기 횡방향 칸막이와 결합하여 갑판(3)에 부착되고, 선실유니트(4)의 벽의 상부는 상기 횡방향 칸막이들 사이에 배치되고, 횡방향 칸막이의 플랜지부(7a)를 위한 홈(4a) 또는 그와 유사한 공간이 마련되며, 기계실공간(6)내의 상기 시스템들은 선박에 대하여 적어도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있는 배관, 덕트 또는 케이블에 의하여 상기 횡방향 칸막이(7) 사이의 선실유니트 (4)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갑판 배치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선실유니트(4)는, 그의 내부 높이가 그를 지지하는 선실갑판(3)과 횡방향 칸막이의 플랜지부(7a) 사이의 간격보다 크게 되도록 수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갑판 배치구조.
  8. 제 6 항에 있어서, 선실유니트(4)의 자유고(自由高)가 선실복도(5)의 자유고보다 적어도 약 100mm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갑판 배치구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선박상에 적어도 4개, 바람직하게는 6 - 8 개의 선실갑판(3)들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실갑판 배치구조.
KR1020040015284A 2003-03-07 2004-03-06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 및 배치방법 KR1010780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30352 2003-03-07
FI20030352A FI116971B (fi) 2003-03-07 2003-03-07 Menetelmä ja hyttikansijärjestely suuressa matkustaja-aluksessa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9333A true KR20040079333A (ko) 2004-09-14
KR101078097B1 KR101078097B1 (ko) 2011-10-28

Family

ID=8565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5284A KR101078097B1 (ko) 2003-03-07 2004-03-06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 및 배치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1454824B1 (ko)
JP (1) JP4443268B2 (ko)
KR (1) KR101078097B1 (ko)
AT (1) ATE362870T1 (ko)
DE (1) DE602004006545T2 (ko)
ES (1) ES2286566T3 (ko)
FI (1) FI116971B (ko)
HR (1) HRP20040221A2 (ko)
PL (1) PL1454824T3 (ko)
PT (1) PT1454824E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498A (ko) * 2009-01-23 2011-10-11 에스티엑스 핀란드 오와이 부유 구조물, 해양선박류
KR101123875B1 (ko) * 2005-12-06 2012-03-16 베르트질레 쉽 디자인 저매니 게엠베하 선박 상부구조물 및 그 배열 방법
KR20150055967A (ko) 2013-11-14 2015-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여객선의 승객 공용실 케이블 포설 구조 및 케이블 포설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21992B (fi) * 2005-04-21 2011-07-15 Stx Finland Oy Menetelmä ja rakentamisjärjestelmä kelluvan rakenteen valmistamiseksi
KR100914346B1 (ko) 2007-04-20 2009-08-2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벌크 운반선의 t­타워형 갑판실 구조
US7617790B2 (en) * 2007-10-17 2009-11-17 Crystal Cruises, In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mproved passenger amenities on a cruise ship
FR3024972B1 (fr) * 2014-08-20 2016-09-02 Stirling Design Int Superstructures hybrides de navires a passagers
CN206914574U (zh) * 2017-07-10 2018-01-23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舱室用顶槽结构的固定结构
CN108931066B (zh) * 2018-09-11 2024-07-02 海宁格洛纳斯电子商务有限公司 太阳能水箱内胆
CN111874179B (zh) * 2020-07-27 2022-02-18 中船邮轮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组合式客船建造方法
CN114394197B (zh) * 2022-01-29 2024-05-24 招商局工业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船舶上建区域结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81532C (fi) 1981-10-13 1993-09-08 Waertsilae Oy Ab Passagerarfartyg. passagerarfartyg
JPS62184990A (ja) * 1986-02-07 1987-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船体上部居住区画の諸室コンテナ式建造法
FI84999C (fi) * 1986-02-11 1992-02-25 Masa Yards Oy Fartygskonstruktion.
JPH04224497A (ja) * 1990-12-25 1992-08-13 Mitsubishi Heavy Ind Ltd 客船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3875B1 (ko) * 2005-12-06 2012-03-16 베르트질레 쉽 디자인 저매니 게엠베하 선박 상부구조물 및 그 배열 방법
KR20110111498A (ko) * 2009-01-23 2011-10-11 에스티엑스 핀란드 오와이 부유 구조물, 해양선박류
KR20150055967A (ko) 2013-11-14 2015-05-2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여객선의 승객 공용실 케이블 포설 구조 및 케이블 포설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4006545T2 (de) 2008-01-31
HRP20040221A2 (en) 2005-02-28
KR101078097B1 (ko) 2011-10-28
PL1454824T3 (pl) 2007-10-31
FI20030352A (fi) 2004-09-08
JP4443268B2 (ja) 2010-03-31
DE602004006545D1 (de) 2007-07-05
EP1454824A2 (en) 2004-09-08
FI20030352A0 (fi) 2003-03-07
EP1454824B1 (en) 2007-05-23
ES2286566T3 (es) 2007-12-01
ATE362870T1 (de) 2007-06-15
PT1454824E (pt) 2007-07-03
EP1454824A3 (en) 2005-10-05
FI116971B (fi) 2006-04-28
JP2004268908A (ja) 2004-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5193C (en) Cabin unit arrangement
FI124620B (fi) Huonetilajärjestely, laiva, rakennus ja menetelmä huonetilajärjestelyn rakentamiseksi
FI84999B (fi) Fartygskonstruktion.
KR101078097B1 (ko) 대형 여객선내의 선실갑판 배치구조 및 배치방법
JP2009518218A (ja) 船舶上部構造
KR101283799B1 (ko) 부유 구조물의 제조를 위한 방법 및 건조체
JP2000118486A (ja) 船用のプレハブ式キャビン及び該キャビンを船に設置する方法。
JP4381986B2 (ja) 船舶又は他の船舶類に組立て式室ユニットを設置かつ連結する方法及びシステム
EP4146532B1 (en) Pleasure craft having an improved deck construction
CN218751350U (zh) 腹壁风道及船舶通风系统
JP2002521275A (ja) 可動プラスティック内部壁を使用した船舶構造
FI62647B (fi) Passagerarutrymme foer fartyg
EP1613528A1 (en) Floating structure and method for producing said floating structure comprising prefabricated room units and a method of forming prefabricated room units and said prefabricated room units
JP2004082880A (ja) 客船の甲板構造
NO171284B (no) Rommodul, saerlig en kabin eller lugar paa et sk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