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3455B1 -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광파이버 절단방법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광파이버 절단방법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3455B1
KR101123455B1 KR1020097022817A KR20097022817A KR101123455B1 KR 101123455 B1 KR101123455 B1 KR 101123455B1 KR 1020097022817 A KR1020097022817 A KR 1020097022817A KR 20097022817 A KR20097022817 A KR 20097022817A KR 101123455 B1 KR101123455 B1 KR 101123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fiber
blade
delete delete
coating
cut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6110A (ko
Inventor
가쓰키 스에마쓰
가즈유 미즈노
히로시 다지마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16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6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4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45Removing protective coverings of light guides before coup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Preparing the ends of light guides for coupling, e.g. cut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1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 G02B6/3825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of the ferrule type, e.g. fibre ends embedded in ferrules, connecting a pair of fibres with an intermediate part, e.g. adapter, receptacle, linking two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38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using grooves for light gu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02B6/387Connector plugs comprising two complementary members, e.g. shells, caps, covers, locked togeth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73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 G02B6/3874Connectors using guide surfaces for aligning ferrule ends, e.g. tubes, sleeves, V-grooves, rods, pins, balls using tubes, sleeves to align ferrules
    • G02B6/3877Split slee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10Metho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25/00Severing by tearing or breaking
    • Y10T225/30Breaking or tearing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Abstract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제 1 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제 1 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제 1 부재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는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제 1 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Description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광파이버 절단방법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OPTICAL FIBER CUTTING BLADE, OPTICAL FIBER CUTTING DEVICE, OPTICAL FIBER CUTTING METHOD, OPTICAL FIBER STRIPPING/BENDING COMPONENT, AND OPTICAL FIBER STRIPPING/BENDING METHOD}
본 발명은,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단한 조작으로 광파이버가 절단되어 벽개면(劈開面)을 얻을 수 있고, 또한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는,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절단방법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파이버 절단기에는 고성능형과 간이형이 있다. 간이형은 광파이버를 휨판에 얹어놓고, 그 끝을 클램프하여 절단 위치에 흠집을 내어, 휨판마다 광파이버를 만곡시켜 쪼개는 구조로, 양호한 절단 각도를 얻기 위해서는 조작자에게 배워 익혀 숙달하는 것이 필요하지만, 염가이기 때문에 넓게 사용되고 있다. 낮은 접속 손실로 광파이버를 접속하기 위해서는, 융착, 커넥터 등으로 접속하는 메커니컬 스플라이스를 불문하고 양호한 광파이버의 절단단부(절단각도, 단면 거침 등)로 절단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작업자의 숙련에 의하지 않고 양호한 절단단부를 얻을 수 있는 고성능형이 주류였다.
각 수요가까지 광파이버를 부설하는 FTTH(Fiber To The Home)의 보급에 수반하여, 융착기에는 전주(電柱)상이나 수요가 등에서 간편하게 취급할 수 있는 간이타입이 나타났지만, 광파이버 절단기는 융착 접속이나 메커니컬 스플라이스시의 접속 손실의 요구 레벨이 높아지고 있어, 주로 고성능형이 이용되고 있었다. 고성능형의 것은 조작자의 숙련에 의하지 않고 양호한 광파이버의 절단단부를 얻을 수 있고, 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1-112206호 혹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1-126601호에 개시되어 있다.
근년, 각 수요가에게의 광파이버의 부설 공사는 많아지고 있어, 다수의 부설 공사 개소에 대해서 다수의 광파이버 절단기가 필요해져 오고 있다. 그런데 고성능형의 것은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각각의 부설 공사 개소에 대해서 다수의 고성능형의 광파이버 절단기를 배치하게 되면 비용은 매우 고액이 된다. 따라서, 고성능형과 비교하여 비용이 들지 않는 간이형의 광파이버 절단기에 대해서도 조작자의 숙련에 의하지 않고 양호한 광파이버의 절단단부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요구되도록 되어 왔다.
예를 들면, 전주 근방에 배치된 클로져내에 수납된 광파이버의 단부에 광커넥터 등의 접속부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광파이버를 절단할 때, 종래는 금속제의 날이 설치된 공구(커터)를 이용하고 있었다.
이 공구는, 광파이버에, 광파이버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먼저 흠집을 넣고 나서, 이것을 쪼개어 절단하는 것으로, 어느 정도의 숙련이 필요 하고, 작업자에 의해서는 능숙하게 절단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화62-231203호에는, 종래의 간이형의 광파이버 절단기가 개시되어 있다. 도 33은, 종래의 광파이버 절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광파이버 심선은 광파이버 절단기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배치된다. 종래의 광파이버 절단기는, 지지판(112)의 브래킷(112a)에 축으로 지지되어 도시하지 않는 광파이버를 누르는 클램프 레버(114)와, 브래킷(112a)에 축으로 지지되어 바이트 블록(116)이 부착된 바이트 암(146)과, 지지판(112)에 부착된 인장 휨응력 부여수단(120)을 구비하고 있다. 이 광파이버 절단기에 의해서 다음과 같이 광파이버 심선이 절단된다.
절단해야 할 부분이 표면 박리에 의해서 노출된 광파이버를 광파이버 받이부재(136)의 걸어넣음홈(152)에 걸어넣고, 클램프레버(114)를 스프링(126)에 저항하여 들어 올려 심선을 클램프 레버(114)의 고무판(124)과 지지판(112)의 고무판 (122)과의 사이에 끼운다. 이어서, 바이트 암(146)을 스프링(128)에 저항하여 눌러 내려 바이트 블록(116)내의 바이트(칼날)를 심선을 사이에 두고 고무층(142)의 위에 내리 누른다. 이것에 의해서 심선에 절삭 깊이가 만들어지고, 이어서, 광파이버와 함께 파이버 받이부재(136)를 지지축(132)을 중심으로 스프링(138)에 저항하여 하향으로 피봇운동시킨다. 따라서, 심선은 롤러(140)를 지점으로 하여 휨이 주어지고 인장 응력이 주어져 심선이 절단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화62-231203호
특허문헌 2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1-112206호
특허문헌 3 :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성1-126601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를 부설하는 공사가 증가하여, 간이형의 광파이버 절단기에 대해서도 조작자의 숙련에 의하지 않고 양호한 광파이버의 절단단부를 얻을 수 있는 것이 요구되도록 되어 왔다. 그것에 따라서, 종래의 간이형의 광파이버 절단기에 있어서는,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기 위한 금속날, 다이아몬드날이 부착되어 있었지만, 이들 금속날을 사용하면, 광파이버에 과도한 흠집이 나서 사용에 적합하지 않거나, 예를 들면 어두운 곳에서의 조작시에는 작업이 곤란하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광파이버의 절단과 합하여 광파이버의 피복의 제거를 동시에 용이하게 행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안정하게 조작할 수 있고, 조작자의 숙련에 의하지 않고 양호한 광파이버의 절단단부를 얻을 수 있는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광파이버 절단방법, 또한,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는,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열심히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금속 또는 다이아몬드의 날 대신에, 합성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날을 사용하면, 광파이버에 날을 내리 눌렀을 때에, 날 자체가 변형되어, 소정의 흠집이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부착되어, 이 광파이버를, 흠집이 난 부위를 흠집과 반대측으로 구부리면, 컷면 상태가 좋고, 접속할 때에, 소정의 접속 손실로 접속할 수 있음으로 해서, 조작자의 숙련에 의지하지 않고 용이하게 안정하게 광파이버를 절단할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광파이버 절단날과는 별도로 피복 광파이버를 끼우도록 대응하는 2개의 피복 제거날을 마찬가지로 수지재료로 형성하고, 광파이버 절단날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피복 제거날을 배치하면, 상술한 광파이버 절단날의 동작과 연계하여, 피복 제거날에 의해서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의 일부가 잘려져, 흠집이 난 부위를 흠집과 반대측으로 구부리면, 광파이버가 절단되고, 또한, 피복이 제거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광파이버 절단날과는 별도로,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각각에, 홈 안에 수용된 피복 광파이버를 끼우도록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접촉시켰을 때, 대응하도록 배치된 각 1쌍의 피복 제거날도 마찬가지로 수지재료로 형성하고, 광파이버 절단날로부터 소정간격을 두고 피복 제거날을 배치하면, 상술한 광파이버 절단날의 동작과 연계하여, 피복 제거날에 의해서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의 일부가 잘려져, 광파이버 절단날에 의해서 흠집이 난 부위를 흠집과 반대측으로 구부리면, 광파이버가 절단되고, 또한, 피복이 제거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페룰을 수용하는 공동부를 구비한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사용하고,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광파이버 부품의 공동부에, 페룰을 삽입하고, 끼워맞춤시키는 것에 의해서 간단하게 광파이버 커넥터를 얻을 수 있는 것이 판명되었다.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접속할 때에, 광파이버 어댑터에, 각각의 중심 위치를 어긋나게 한 돌기부 및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압압력 발생기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페룰이 서로 소정의 압압력을 받아서 서로 마주하여, 베어 파이버(bare fiber)가 힘이 가해져 접속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 발명은, 상기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날의 제 1 형태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초대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을 구비한 광파이버 절단날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날의 제 2 형태는, 상기 날의 선단부의 각도가 10에서 45도의 범위내인 광파이버 절단날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날의 제 3 형태는, 상기 수지재료가, 유리 필러 60% 이상을 함유하는 에폭시계, 또는,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는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날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장치의 제 1 형태는, 광파이버를 수납하는 홈부를 길이방향에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직방체의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의 상기 홈부에 직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을 구비한 광파이버 절단장치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장치의 제 2 형태는, 상기 홈부가 평평한 저면, 및, 상기 저면으로부터 기초대의 표면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경사진 양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날이 상기 홈부내에 위치하고, 날의 정수리부가 기초대의 표면과 대체로 일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장치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장치의 제 3 형태는, 상기 날의 선단부의 각도가 10에서 45도의 범위내인 광파이버 절단장치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방법의 제 1 형태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초대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을, 상기 날 자체가 변형될 때까지,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 상기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고,
상기 흠집이 난 광파이버의 부위에 장력을 부가하고, 흠집과 반대측으로 구부려, 광파이버를 절단하는, 광파이버 절단방법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방법의 제 2 형태는, 상기 광파이버가 피복 광파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방법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방법의 제 3 형태는, 상기 광파이버가 피복을 제거한 광파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방법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 형태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피복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과 간격을 멀리하여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 1 부재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는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2 형태는, 상기 중간부의 상기 각 굴절부가 두께가 작은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서 제 1 부재의 한쪽의 부재 및 다른쪽의 부재, 및, 제 2 부재의 한쪽의 부재 및 다른쪽의 부재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3 형태는, 상기 연결부의 두께가, 0.4에서 2.0mm의 범위내인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4 형태는,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를 대향 배치했을 때에,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각 한쪽의 부재에서의,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과 상기 피복 제거날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5 형태는,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대향하는 각각의 대향면을 접촉시켰을 때에,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은, 상기 날 자체가 변형될 때까지 상기 홈부에 수납된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져 상기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는 높이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각 피복 제거날의 간격은, 상기 광파이버 심선의 직경에 대체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6 형태는, 상기 홈부가 각각 평평한 저면, 및, 상기 저면으로부터 경사진 양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이 상기 홈부내에 위치하고, 날의 정수리부가 상기 제 2 부재의 홈부내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7 형태는, 상기 피복 제거날의 상기 간격이 0.128에서 0.140mm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8 형태는, 상기 제 2 부재의 한쪽의 부재가, 다른쪽의 부재에 대향하는 대향면측에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9 형태는,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 및/또는 상기 피복 제거날이 설치되지 않은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의 각각의 부분의 홈부내의 대응하는 적어도 1개의 부위에, 피복 광파이버를 유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0 형태는, 상기 돌기부의 높이가 0.01에서 0.05mm의 범위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1 형태는, 상기 제 2 부재의 홈부내에서의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에 대항하는 부위에, 스테이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방법의 제 1 형태는,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 1 부재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는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를 대향 배치하고,
상기 홈부에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하고,
상기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와 상기 상부재를 소정의 힘으로 누르고,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을, 상기 날 자체가 변형될 때까지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 상기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고,
상기 굴절부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에 의해서 흠집이 난 광파이버의 부위에 장력을 부가하고, 흠집과 반대측으로 구부려, 광파이버를 절단하고, 동시에, 상기 피복 제거날에 의해서,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2 형태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과 간격을 멀리하여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 1 부재의 1쌍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여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3 형태는,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1쌍의 피복 제거날은 그 단부에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1쌍의 피복 제거날은, 상기 제 1 부재의 상기 테이퍼부에 대응하는 단부에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4 형태는, 상기 중간부의 상기 각 굴절부가 두께가 작은 연결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서 제 1 부재의 한쪽의 부재 및 다른쪽의 부재, 및, 제 2 부재의 한쪽의 부재 및 다른쪽의 부재가 각각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5 형태는, 상기 공간부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6 형태는, 상기 공간부는, 제 2 부재에만 형성되어 있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7 형태는, 상기 제 2 부재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는,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로부터 상기 피복 제거날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8 형태는, 상기 제 1 부재에 형성된 상기 공간부는,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로부터 상기 피복 제거날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제 19 형태는, 상기 제 2 부재의 한쪽의 부재가, 다른쪽의 부재에 대향하는 대향면측에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방법의 제 2 형태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피복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과 간격을 멀리하여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 1 부재의 1쌍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여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를 대향 배치하고,
상기 홈부에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하고,
상기 중앙부에 있어서, 상기 하부재와 상기 상부재를 소정의 힘으로 누르고,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을, 상기 날 자체가 변형될 때까지,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 상기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고,
상기 굴절부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에 의해서 흠집이 난 광파이버의 부위에 장력을 부가하고, 흠집과 반대측으로 구부려, 광파이버를 절단하고, 동시에, 대향 배치된 각 1쌍의 상기 피복 제거날에 의해서,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제 1 형태는,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두께가 작은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굴절부와, 공동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 1 부재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는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와, 상기 제 1 부재의 공동부와 대응하는 공동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상기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광파이버 부품과,
피복이 제거된 부분과 피복된 부분의 일부를 그 안에 수납하고, 상기 광파이버 부품의 상기 공동부에 수용되는 페룰을 구비한 광파이버 커넥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제 2 형태는, 상기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의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는, 각각, 상기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된 한쪽의 부재 및 다른쪽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 및, 상기 피복 제거날을 구비하지 않은 쪽의 부재가 상기 굴절부에 근접하여, 상기 공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광파이버 커넥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제 3 형태는, 상기 페룰이 머리부 및 다리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다리부에 고리 형상 홈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파이버 부품의 상기 공동부는 대체로 원통 형상의 벽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면의 일부에 상기 다리부의 고리 형상 홈부에 대응하는 고리 형상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광파이버 커넥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제 4 형태는, 상기 페룰은, 상기 피복이 제거된 광파이버 및 상기 피복된 광파이버를 수납하는 관통구멍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되어 피복이 제거된 광파이버가 상기 머리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관통구멍부에 광파이버가 수납?유지되는 광파이버 커넥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제 5 형태는, 상기 페룰은, 페룰 대기 치구에 상기 머리부가 임시 걸어멈춤되어 있고, 상기 다리부를 상기 공동부에 삽입했을 때에, 상기 고리 형상 돌기부가 상기 고리 형상 홈부에 끼워맞춤하고, 원터치로 광파이버 부품에 부착되어, 페룰 대기 치구가 상기 머리부로부터 개방되는 광파이버 커넥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1 형태는, 내부의 홈부에 피복 광파이버가 수용되어, 접어 구부림 가능한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상기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일부의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단되어 형성된, 공동부를 구비한 광파이버 부품과, 피복이 제거된 베어 파이버 부분과 피복된 부분의 일부를 그 안에 수납하고, 상기 광파이버 부품의 상기 공동부에 수용된 페룰로 이루어지는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대향하여 유지하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어댑터로서,
상기 광파이버 어댑터는, 머리부 및 다리부를 구비한 상기 페룰의 각각의 머리부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중앙 부분과, 상기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상기 중앙부를 향하여 누르면서 유지하는 압압력 발생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페룰로부터 돌출한 각각의 상기 베어 파이버 부분의 선단이 힘이 가해져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각각의 상기 페룰을 대향하여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2 형태는, 상기 광파이버 어댑터는, 양단부로부터 상기 광파이버 커넥터가 삽입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중앙부는 내부의 대체로 그 중앙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중앙 부분은, 상기 페룰의 머리부를 그 바깥둘레부로부터 단단히 조여서 유지하는 원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압압력 발생기구는 상기 광파이버 어댑터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와 상기 광파이버 커넥터의 바깥둘레부에 형성된 상기 돌기부에 대응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져 있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3 형태는, 상기 압압력 발생기구는 상기 중앙 부분에 관해서 대칭으로 설치되고, 상기 돌기부의 중심과 상기 오목부의 중심이 어긋나서 설치되고, 상기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상기 중앙부를 향하여 누르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4 형태는, 상기 광파이버 어댑터의 상기 돌기부 중심간의 거리를 D2, 상기 광파이버 어댑터내에 대향 배치된 상기 광파이버 커넥터의 상기 오목부 중심간의 거리를 D1, 광파이버 어댑터 재료 팽창계수 α2, 광파이버 커넥터 재료 팽창계수 α1로 할 때,
상온시에는, D2<D1,
고온 환경시(상온+70℃)에는,
D2+D2×α2×70℃<D1+D1×α1×70℃
저온 환경시(상온 -70℃)에는,
D2-D2×α2×70℃<D1-D1×α1×70℃
인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5 형태는, 상기 중앙 부분은, 상기 페룰로부터 돌출한 각각의 상기 베어 파이버 부분의 선단부에 굴절률 정합제를 구비하고 있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6 형태는, 상기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은,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두께가 작은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굴절부와, 공동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 1 부재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는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와, 상기 제 1 부재의 공동부와 대응하는 공동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져 있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7 형태는, 상기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의 상기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부재는, 각각, 상기 연결부에 의해서 연결된 한쪽의 부재 및 다른쪽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 및 상기 피복 제거날을 구비하지 않은 쪽의 부재가 상기 굴절부에 근접하여, 상기 공동부를 구비하고 있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8 형태는, 상기 페룰의 상기 다리부에 고리 형상 홈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광파이버 부품의 상기 공동부는 대체로 원통 형 상의 벽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벽면의 일부에 상기 다리부의 고리 형상 홈부에 대응하는 고리 형상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9 형태는, 상기 페룰은, 상기 피복이 제거된 광파이버 및 상기 피복된 광파이버를 수납하는 관통구멍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절단되어 피복이 제거된 광파이버가 상기 머리부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하고, 상기 관통구멍부에 광파이버가 수납?유지되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제 10 형태는, 상기 제 1 부재와 상기 제 2 부재의 대향하는 각각의 대향면을 접촉시켰을 때에,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은, 상기 날 자체가 변형될 때까지 상기 홈부에 수납된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져 상기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는 높이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각 피복 제거날의 간격은, 상기 광파이버 심선의 직경에 대체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제 11 형태의 형태는, 단부의 피복이 제거되어 베어 파이버가 노출된 광파이버가 수용된 페룰을 구비한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대향하여 유지하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어댑터로서, 상기 광파이버 어댑터는, 상기 페룰의 각각의 접속부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중앙 부분과, 상기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상기 중앙부를 향하여 누르면서 유지하는 압압력 발생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페룰로부터 돌출한 각각의 상기 베어 파이버 부분의 단면이 힘이 가해져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각각의 상기 페룰을 대향하여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발명의 효과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이용하여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광커넥터를 조립하고, 굴절률 정합제를 접속단면에 도포하여 접속한 바, 1.0dB 이하의 접속 손실을 실현할 수 있었다. 또한,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할 수 있었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에 의하면, 보다 확실히, 소정의 길이에 걸쳐서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하여, 광파이버의 절단을 행할 수 있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이용하여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광커넥터를 조립하고, 굴절률 정합제를 접속단면에 도포하여 접속한 바, 1.0dB 이하의 접속 손실을 실현할 수 있었다.
페룰을 수용하는 공동부를 구비한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사용하여,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광파이버 부품의 공동부에, 페룰을 삽입하고, 끼워맞춤시키므로, 간단하게, 1.0dB 이하의 접속 손실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광파이버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도 1은, 이 발명의 기초대와 일체 성형된 광파이버 절단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광파이버 절단날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광파이버 절단날의 정면도이다. 도 1(c)는 광파이버에 광파이버 절단날을 내리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d)는 광파이버에 광파이버 절단날을 내리 눌러 절단날이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도 2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초대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을 구비한 광파이버 절단날을 사용하고,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도 3은, 광파이버의 표면에 난 흠집과, 절단하는 광파이버의 휨방향을 도시한다.
[도 4]도 4는,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장치의 1개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도 6은, 도 4에 점선의 동그라미로 도시한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도 7은,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 다.
[도 8]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하부재와 상부재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8(a)는 하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상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도 9는,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도 10은, 하부재 및 상부재에 형성된 홈부와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1]도 11은, 도 9에 점선의 동그라미로 도시하는 A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2]도 12는, 홈부내에 형성된 돌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도 13(a)는 광파이버 절단날의 정수리부가 제 2 부재의 홈부내에 돌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b)는, 광파이버 절단날에 대항하는 홈부내의 부위에 설치된 스테이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4]도 14는,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도 15는,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면이다.
[도 16]도 16은, 광파이버 절단날을 피복 광파이버에 내리 누른 상태를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17]도 17은, 대향 배치된 각 1쌍의 피복 제거날에 의해서 피복을 절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8]도 18은, 홈부내에 설치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19]도 19는, 공간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0]도 20은, 공간부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도 21은, 공간부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도 22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의 종단면도면이다.
[도 23]도 23은,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도 24는, 광파이버 부품(21)과 페룰(22)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5]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광파이버 부품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26]도 26은 페룰(22)이 광파이버 부품(21)의 공동부에 수용된 상태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7]도 27은, 페룰의 대기 치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도 28은,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가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에 의해서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9]도 29는, 도 28에 도시하는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가 접속되는 광파이버 어댑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0]도 30은, 한쪽의 광파이버 커넥터가 삽입된 광파이버 어댑터를 설명 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1]도 31은, 광파이버 어댑터의 중앙 부분과 광파이버 커넥터의 페룰의 끼워맞춤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32]도 32는, 압압력 발생기구에 의한 압압력의 발생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3]도 33은, 종래의 광파이버 절단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2 : 기초대, 하부재
3 : 수지재료의 날, 상부재
4 : 광파이버
4-1 : 홈부
4-1a, 4-2a : 광파이버 삽입부
5 : 날의 변형 부분, 굴곡부
6 : 흠집을 내는 부분
7 : 연결부
8 : 공간부
9 : 광파이버 절단날
10 : 광파이버 절단장치, 피복 제거날
11 : 기초대, 돌기부
12 : 홈부, 스테이지
13 : 수지재료의 날, 테이퍼부
13a : 날의 정수리 부분
14 : 홈부의 저면
15 : 홈부의 측면
13 : 테이퍼부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광파이버 절단방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은, 이 발명의 기초대와 일체 성형된 광파이버 절단날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a)은 광파이버 절단날의 측면도이고, 도 1(b)는 광파이버 절단날의 정면도이다. 도 1(c)은 광파이버에 광파이버 절단날을 내리 누른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1(d)은 광파이버에 광파이버 절단날을 내리 눌러 절단날이 변형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날(1)은,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초대(2)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 (3)을 구비한 광파이버 절단날이다.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4)의 축방향에 대해서, 이와 같이 성형된 수지재료의 날이 직각으로 닿는다.
기초대 및 날을 형성하는 수지재료가, 유리 필러 60% 이상을 함유하는 에폭시계, 또는,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면, 넓게 사용되고 있는 페룰용의 합성수지에 유리 필러를 혼입한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하는 날의 선단부의 각도 α는, 10에서 45도의 범위내이다. 날의 선단부의 각도 α가 10도 미만일 때는, 광파이버 절단날로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날이 구부러지기 쉬워, 성형이 곤란하다. 날의 선단부의 각도 α가 45도를 넘으면, 광파이버에 날을 눌러대도,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지 못하여, 광파이버를 절단할 수 없다.
상술한 범위내의 각도의 수지재료의 날을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에 대고 소정의 힘으로 날을 내리 누르면, 수지재료는 부드럽기 때문에, 도 1(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재료의 날(3) 자체가 변형되어 광파이버(4)에 내리 눌러진다. 날을 내리 눌렀을 때에, 수지재료내에 혼입되어 있는 유리 필러가 광파이버의 표면에 내리 눌러져서 흠집이 난다.
이와 같이, 수지재료의 날은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질 뿐이고, 수평 방향으로 끌어당기거나 누르거나 혹은, 회전키면 좋은 것은 아니다.
도 1(d)는, 광파이버에 날을 눌러 대고 흠집을 낸 후의 수지재료의 날의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재료의 날(3)에는,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져, 광파이버의 바깥둘레면을 따라서, 수지재료의 날 자체가 부호 5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형하고 있다.
도 2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초대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을 구비한 광파이버 절단날을 사용하고,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는 상태 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절단날은,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초대(2)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3)을 구비하고 있다. 광파이버(4)의 소정의 부분(6)에 수지재료의 날(3)을 눌러 댄다. 그 결과,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의 표면에 원하는 흠집을 낼 수 있다.
도 3은, 광파이버의 표면에 난 흠집과, 절단하는 광파이버의 휨방향을 도시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흠집이 난 부분과 반대측을 향하여 광파이버(4)를 구부려 쪼갠다.
다음에,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장치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장치는, 광파이버를 수납하는 홈부를 길이방향에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직방체의 기초대와, 상기 기초대의 상기 홈부에 직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을 구비한 광파이버 절단장치이다.
도 4는,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장치의 하나의 형태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절단장치(10)는, 광파이버를 수납하는 홈부(12)를 길이방향에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직방체의 기초대(11)와, 기초대(11)의 홈부(12)에 직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13)을 구비하고 있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점선의 동그라미 로 도시하는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장치에 있어서는, 홈부(12)가 평평한 저면(14), 및, 저면으로부터 기초대의 표면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경사진 양 측면(15)으로 이루어져 있고, 날(13)이 홈부내에 위치하고, 날의 정수리부(13a)가 기초대의 표면과 대체로 일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개의 형태에 있어서는, 홈부가 저면(14) 및 경사진 측면(15)으로 이루어지는 대체로 역사다리꼴 형상의 단면을 구비하고 있다.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재료의 날(13)이 홈부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날의 선단부의 각도가 10에서 45도의 범위내이다. 또한, 수지재료가, 유리 필러 60% 이상을 함유하는 에폭시계, 또는,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방법은,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초대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을, 날 자체가 변형될 때까지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고, 흠집이 난 광파이버의 부위에 장력을 부가하고, 흠집과 반대측으로 구부려, 광파이버를 절단하는, 광파이버 절단방법이다.
이 절단방법은, 광파이버가 피복 광파이버이더라도 좋고, 광파이버가 피복을 제거한 광파이버이더라도 좋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절단날을 이용하여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광커넥터를 조립하고, 굴절률 정합제를 접속단면에 도포하여 접속한 바, 1.0dB 이하의 접속 손실을 실현할 수 있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수지재료로 날을 일체적으로 성형하므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날은 수지재료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저비용이므로, 사용 후 버리게 되어도 좋다.
또한, 날을 광파이버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은 없기 때문에, 누구라도 간단하게 광파이버에 흠집을 넣어 절단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은 피복을 제거하기 전의 피복 광파이버에도 적용 가능하므로, 이 경우, 절단 후 불필요해지는 광파이버는 피복 광파이버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보기 어려운 베어 파이버(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이 제거된 것)가 손에 꽂혀 상처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다음에,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하나의 형태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피복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절단날, 및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과 간격을 멀리하여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 중앙부에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하부재와, 하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하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하부재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는 피복 제거날과, 중앙부에 상기 하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상부재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한편, 상하 각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날은, 상하 각 부재를 수지재료로 각각 성형할 때, 일체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7은,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하는 제 1 부재(즉, 하부재)와 제 2 부재(즉, 상부재)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8(a)는 하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b)는 상부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c)는, 도 8(a)의 단부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1)은,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하부재(2), 및,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상부재(3)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재(2)는 한쪽의 부재(즉, 좌하부재)(2a) 및 다른쪽의 부재(즉, 우하부재 )(2b)로 이루어져 있고, 상부재(3)는 한쪽의 부재(즉, 좌상 부재)(3a) 및 다른쪽의 부재(우상부재)(3b)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재 및 하부재에는, 각각, 대향하는 면에 광파이버를 수납하는 홈부(4)와 이 홈부(4)의 단부에 대략 원추를 반으로 나눈 형상으로 형성된 광파이버 삽입부(4-1a,4-2a)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8(c)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광파이버 삽입부(4a)는, 후술하는 우하부재 및 우상부재의 단부에 설치되고, 각 부재를 대향 배치했을 때에 대략 원추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부재의 중앙부에 테이퍼부를 갖는 굴절부(5)를 구비하고 있다. 테이퍼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좌측 부재가 접어 구부림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도 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재의 위 표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피복 광파이버가 수납되는 홈부(4-1)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재의 중앙부의 홈부내 에는 (도시하지 않은)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흠집을 내는 수지재료의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 제거날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재료로 형성된 상부재는 중앙부의 표면부에 테이퍼부를 갖는 굴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재의 하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도 8(a)에 도시한 홈부와 대응하는 홈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재의 홈부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하는 수지재료로 형성된 피복 제거날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은, 모두, 피복 광파이버(4)의 축방향에 대해서, 수지재료의 날이 직각으로 닿는다. 한편, 상부재(3)의 양 단부에는 돌출부 (3c)가 설치되고, 하부재(2)의 상부재(3)와의 대향면 4모퉁이에는, 상기 상부재(3)의 돌기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기둥(2c)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돌기부를 각각의 걸어맞춤기둥 사이에 걸어맞춤시켜 상부재(3)와 하부재(2)를 대향 배치하면, 상부재(3)와 하부재(2)와는 걸어맞춤기둥의 높이의 범위내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하부재, 상부재,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은, 모두 수지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이것들을 형성하는 수지재료가, 에폭시계, 또는,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면, 넓게 사용되어 있는 페룰용의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에 유리 필러를 혼입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이 경우, 광파이버 절단날은, 광파이버(피복이 없는 상태의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져서 변형했을 때, 수지에 함유되는 유리 필러가 상기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에 내리 눌러져서 클래드 표면부에 소정의 흠집을 낼 수 있다. 한편, 유리 필러를 60% 이상 함유시키면,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항상 양호한 흠집을 낼 수 있어, 광파이버의 컷면 상태도 좋고, 접속 손실을 더 억제하여 광접속을 할 수 있다.
도 9는,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은, 하부재 및 상부재에 형성된 홈부와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의 관계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재 및 상부재의 중앙부의 굴절부가 두께가 작은 연결부(7)로 이루어져 있고, 연결부(7)에 의해서 좌하부재(2a) 및 우하부재 (2b), 및, 좌상부재(3a) 및 우상부재(3b)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하부재 (2a) 및 좌상부재(3a)에는 광파이버를 끼우고 공간부(8)가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는 대체로 광파이버 절단날과 피복 제거날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도 11은, 도 9에 점선의 동그라미로 도시하는 A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좌하부재(2a)에는 광파이버 절단날(9)과, 피복 제거날(10-1)이 설치되어 있다. 좌상부재(3a)에는 피복 제거날(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복 제거날(10-2)이 설치되어 있다. 즉, 광파이버 절단날(9)은 좌하부재에만 설치되어 있고, 피복 제거날보다 광파이버의 중심에 대해 깊은 위치까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피복 제거날은 좌하부재 및 좌상 부재의 각각 대응하는 위치에 피복 광 파이버를 끼우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부(8)가 광파이버 절단날과 피복 제거날과의 사이에 걸쳐서, 좌하부재 및 좌상 부재에 형성되어 있다. 공간부는,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광파이버 절단날로 흠집을 내고, 피복 제거날로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절개한 후, 광파이버의 구부림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광파이버가 좌부재 및 우부재의 접합부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하의 피복 제거날의 사이의 간격 b는, 상부재(3)와 하부재(2)의 대향하는 각 대향면을 접촉시켰을 때에, 0.128mm에서 0.140mm의 범위내이다. 간격 b가 0.128mm미만의 경우에는, 광파이버의 클래드에 흠집이 날 가능성이 있다. 간격 b가 0.140mm를 넘는 경우에는, 피복의 제거를 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연결부의 두께 a는, 0.4mm에서 2.0mm의 범위내이다. 연결부의 두께 a가 0.4mm 미만에서는, 의도하지 않는 단계에서 조작 도중에 구부러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연결부의 두께 a가 2.0mm를 넘으면 구부러지기 어려워져 조작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재에 형성된 홈부(4-1)와 상부재에 형성된 홈부(4-2)가 대향하여 배치된다. 홈부(4-1)의 안에는, 피복 제거날(10-1) 및 광파이버 절단날(9)이 하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4-2)의 안에는, 피복 제거날(10-2)이 상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파이버 절단날(9)은, 피복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지면 피복을 찢고, 수지재료는, 예를 들면 석영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보다 부드럽기 때문에, 수지재료의 날(9)의 선단부 자체가 변형되어 광파이버(6)의 클래드 표면에 내리 눌러진다. 날(9)이 내리 눌러졌을 때에,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흠집이 난다. 이와 같이, 수지재료의 날은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질 뿐이고, 수평 방향으로 끌어당기거나 누르거나 혹은, 회전시키는 일 없이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흠집을 낼 수 있다.
피복 제거날(10)도 마찬가지로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석영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에 비교와 피복은 부드럽기 때문에, 날(10)을 피복 광파이버 내리 누르면 광파이버의 클래드에 흠집을 내는 일 없이, 피복을 절개해 간다.
광파이버 절단날(9), 피복 제거날(10)은, 모두 날의 선단부의 각도 α는, 10에서 45도의 범위내이다. 날의 선단부의 각도 α가 10도 미만일 때는, 광파이버 절단날로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날이 구부러지기 쉬워, 성형이 곤란하다. 날의 선단부의 각도 α가 45도를 넘으면,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에 날을 눌러대도, 광파이버의 클래드에 흠집을 내지 못하여, 광파이버를 절단할 수 없다, 또한, 피복에의 절삭 깊이도 불충분하다. 한편, 흠집이 난 부분과 반대쪽을 향하여 광파이버(6)를 구부려 쪼개어, 피복을 제거한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광파이버 절단날 및/또는 피복 제거날이 설치되지 않은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각각의 부분의 홈부내의 대응하는 적어도 1개의 부위에, 피복 광파이버를 유지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는, 홈부내에 형성된 돌기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2(a)는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하지 않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b)는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하고, 제 1 부재와 제 2 부재를 대향 배치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대향 배치된 제 1 부재(2)와 제 2 부재(3)의 홈부(4)내의 대응하는 부위에 대략 돔 형상의 선단부가 둥글게 된 돌기부(11-1,11-2)가 설치되어 있다.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기부(11-1,11-2)는 홈부내에 수용된 피복 광파이버의 바깥둘레면의 일부를 누르고, 피복 광파이버를 유지하여 그 자리에 고정한다. 적어도 1쌍의 돌기부가 제 1 부재, 제 2 부재의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소정의 간격을 멀리하여 복수쌍 형성되어도 좋다.
돌기부의 위치는, 제 1 부재, 제 2 부재의 홈부내의 각각 대응하는 위치가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기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광파이버 절단날, 피복 제거날이 존재하지 않은 쪽의 부재에 있어서, 피복 광파이버를 홈부내에 의해 확실히 유지할 수 있으므로, 광파이버의 절단, 피복의 제거시에, 홈부내에서, 피복 광파이버의 위치에 엇갈림이 생기는 일 없이,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이 용이하게 된다.
돌기부의 높이는, 홈부의 저면으로부터 0.01에서 0.05mm의 범위내이다. 돌기부의 높이가 0.01mm 미만에서는 홈부내에서의 피복 광파이버의 보다 확실한 유지가 불충분하여,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한편, 돌기부의 높이가 0.05mm를 넘으면, 제 1 부재와 제 2 부재의 대향면을 접촉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피복 광파이버가 홈부내에서 불안정한 상태가 되어, 피복 광파이버의 유지가 불충분하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홈부가 각각 평평한 저면, 및, 저면으로부터 경사진 양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광파 이버 절단날이 홈부내에 위치하고, 날의 정수리부가 제 2 부재의 홈부내에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3(a)은, 광파이버 절단날의 정수리부가 제 2 부재의 홈부내에 돌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부재 (2)의 홈부(4-1)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광파이버 절단날(9)의 정수리부가 제 1 부재의 표면(도면 중, 점선으로 도시한다)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여 제 2 부재의 홈부내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광파이버 절단날을 제 2 부재의 홈부내에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절단날이 광파이버에 의해 확실히 내리 눌러져서 절단이 보다 용이하고 확실하게 된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부재의 홈부내에서의 광파이버 절단날에 대향하는 부위에, 스테이지가 설치되어 있다. 도 13(b)은 광파이버 절단날에 대향하는 홈부내의 부위에 설치된 스테이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상술한 형태에 있어서는, 광파이버 절단날의 정수리 부분을 대향하는 홈부내에 돌출시키는 것에 의해서, 날의 정수리부분과 광파이버와의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여, 광파이버 절단날이 광파이버에 확실히 내리 눌러지도록 하였다. 이 형태에 있어서는, 제 2 부재의 홈부내에 스테이지를 설치하고, 상대적으로 날의 정수리부와 광파이버와의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여, 광파이버 절단날이 광파이버에 확실히 내리 눌러지도록 하고 있다.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4-1)내에 광파이버 절단날(9)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 1 부재(2)에 대향 배치되는 제 2 부재(3)의 홈부(4-2)내의, 광파이버 절단날(9)에 대응하는 부위에 스테이지(12)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광파이버 절단날(9)의 정수리부는 제 1 부재(2)의 표 면과 대체로 일치하여 형성된다. 스테이지(12)는 표면이 평평한 직사각형의 부재로 제 2 부재(3)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도 좋다. 스테이지(12)의 표면은 피복 광파이버의 바깥둘레와 대응하는 형상의 오목 형상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스테이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날의 정수리부와 광파이버와의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하여, 광파이버 절단날이 광파이버에 의해 확실히 내리 눌러진다.
다음에,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은, 다음의 스텝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 중앙부에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하부재와,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하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하부재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는 피복 제거날과, 중앙부에 상기 하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상부재를 대향 배치하고,
홈부에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하고,
중앙부에 있어서, 하부재와 상부재를 소정의 힘으로 누르고, 광파이버 절단날을, 날 자체가 변형될 때까지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고,
굴절부에 있어서, 광파이버 절단날에 의해서 흠집이 난 광파이버의 부위에 장력을 부가하고, 흠집과 반대측으로 구부려, 광파이버를 절단하고, 동시에, 피복 제거날에 의해서,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을 설명한다.
도 1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재와 상부재의 각각 홈부(4)가 형성된 면을 대향시킨 상태에서 걸어맞춤하고, 홈부(4)의 단부에 형성된 광파이버 삽입부에서 하부재와 상부재의 홈부에 단심(單芯)의 피복된 광파이버를 선단이 광파이버 절단날을 넘는 위치까지 삽입한다. 그리고, 하부재와 상부재 사이에 끼워 넣어 피복 광파이버를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1)에 장착한다.
이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엄지와 검지로 하부재와 상부재의 각 부재를 누르고, 또한 도면 중의 좌측의 부재인 좌하부재 및, 좌상 부재의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에 대응하는 부분을 손가락으로 누르고 하부재와 상부재의 각 대향면을 접촉시킨다. 이 때, 광파이버 절단날(9)은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찢어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에 접촉하여 변형되어 클래드 표면부에 흠집을 내고, 피복 제거날(10)은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절개하여 피복에 먹혀든다.
이어서, 도 1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절단날이 흠집을 낸 부위와 반대측(즉, 도면 중에서는 상방향)에 손으로 구부리는 것을 가한다. 이 단계에서, 좌측 부재와 우측 부재의 연결부에 있어서, 광파이버의 피복이 제거되어 베어 파이버가 노출되어 있다. 도 14(c)로부터 도 14(e)에 걸쳐 더 접어 구부러져 간다. 이 단계에서, 광파이버 절단날에 의해서 흠집이 난 부위에서 광파이버가 절단된다. 도 14(f)의 단계에서, 절단된 광파이버가 개방되고, 도 14(g)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복이 제거되어 베어 파이버가 노출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피복을 제거하고, 또한, 광파이버 절단날을 이용하여 절단된 광파이버를 사용하여 광커넥터를 조립하고, 굴절률 정합제를 접속단면에 도포하여 접속 한 바, 1.0dB 이하의 접속 손실을 실현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부재와 상부재를 손가락으로 눌러 소정의 힘으로 누르고 작업을 행할 수 있으므로, 일손에 의해 간단하게 피복 광파이버의 단말부를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공구를 이용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날을 광파이버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일은 없기 때문에, 누구라도 간단하게 광파이버에 흠집을 넣어 절단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수지재료로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을 일체적으로 성형하므로,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또한, 어느 쪽의 날도 수지재료로 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저비용이므로, 날이 형성되어 있는 부재는 사용후 버리게 되어도 좋다. 또한, 이 발명은 피복을 제거하기 전의 피복 광파이버에 적용되므로, 이 경우, 절단 후 불필요해지는 광파이버는 피복이 있는 피복 광파이버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시인이 어려운 베어 파이버(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이 제거된 것)가 손에 꽂혀 흠집을 입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의 벗겨 구부림 부품의 하나의 형태는, 길이방향으로 뻗어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과 간격을 멀리하여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길이방향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 1 부재 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 1 부재의 1쌍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여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한편, 상하 각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각각의 날은, 상하 각 부재를 수지재료로 각각 성형할 때, 일체 성형하여 형성할 수 있다.
광파이버 절단날은, 피복 광파이버(6)의 축방향에 대해서, 수지재료의 날이 하방으로부터 직각으로 닿는다. 소정의 간격을 멀리하여 상부재 및 하부재에 각각 형성된 1쌍의 피복 제거날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심선의 양측부에 위치하는 피복에 대해서, 상하로부터 수지재료의 날이 직각으로 닿는다. 한편, 상부재 (3)의 양단부에는 돌출부(3c)가 설치되고, 하부재(2)의 상부재(3)과의 대향면 4귀퉁이에는, 상기 상부재(3)의 돌기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기둥(2c)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돌기부를 각각의 걸어맞춤기둥 사이에 걸어맞춤시켜 상부재(3)와 하부재(2)를 대향 배치하면, 상부재(3)와 하부재(2)와는 걸어맞춤기둥의 높이의 범위내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도 15는,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날(9,10) 사이에서 하부재(2)의 저면 및 상부재(3)의 천정면이 광파이버에 접촉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다. 하부재에 있 어서의 공간부는 대체로 광파이버 절단날과 피복 제거날과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부재에 있어서의 공간부는 광파이버 절단날로부터 피복 제거날에 이르러 피복 제거날의 전방까지 더 늘어나 형성되어 있다. 좌하부재(2a)에는 광파이버 절단날(9)과 피복 제거날(10-1)이 설치되어 있다. 좌상부재(3a)에는 피복 제거날(10-1)에 대응하는 위치에 피복 제거날(10-2)이 설치되어 있다. 즉, 광파이버 절단날(9)은 좌하부재에만 설치되어 있다.
도 16은, 광파이버 절단날을 피복 광파이버에 내리 누른 상태를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복 광파이버(6)에 광파이버 절단날(9)이 하방으로부터 내리 눌러지고, 먼저 피복(6b)이 절단되어, 날(9) 자체가 더 변형될 때까지 광파이버(6a)의 클래드 표면에 내리 눌러져서 광파이버(6a)의 클래드 표면에 흠집을 낸다.
도 17은, 대향 배치된 각 1쌍의 피복 제거날에 의해서 피복을 절개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하부재에는, 하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1쌍의 피복 제거날(10-1)이 설치되어 있고, 상부재에는, 하부재의 1쌍의 피복 제거날에 대응하여 1쌍의 피복 제거날(10-2)이 상부재의 길이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되고 설치되어 있다.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홈부에 피복 광파이버(6)가 수용되고, 중앙부에 있어서 하부재(2)와 상부재(3)를 소정의 힘으로 누르면, 상부재에 설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10-2)과 하부재에 설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10-1)이, 상하로부터 피복(6b)을 절개하여, 선단부가 마주보게 된 상태에서 정지한다. 즉, 대향 배치되는 1쌍의 피복 제거날(10- 1,10-2)의 소정간격은 광파이버 심선의 직경에 대체로 일치시키고, 광파이버 심선의 단면의 양측부의 피복을 피복 제거날이 절개하여,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에 흠집이 나는 일이 없도록 미리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도 18은, 홈부내에 설치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을 설명하는 확대도이다. 도 18(a)은, 상부재에 형성된 소정간격을 두고 대항 배치하여 설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을 도시하고, 도 18(b)은, 하부재에 형성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항 배치하여 설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을 도시한다.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부재에는 하부재에 대향하는 면에, 피복 광파이버가 수용되는 홈부(4-2)에 연이어 접하여 공간부(8-2)가 설치되어 있다. 공간부에는 피복 광파이버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하여 1쌍의 피복 제거날(10-2)이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소정의 간격은 대체로 광파이버 심선에 일치하고 있다. 상부재에 설치된 공간부(8-2)는 1쌍의 피복 제거날(10-2)의 반대측에도 연신하여 설치되어 있다. 1쌍의 피복 제거날(10-2)의 선단부에는, 피복에의 절개가 용이하게 되도록 테이퍼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재에는 상부재에 대향하는 면에, 피복 광파이버가 수용되는 홈부(4-1)가 설치되고, 홈부내에 광파이버 절단날(9)이 설치되어 있다. 광파이버 절단날(9)은, 광파이버에 직각으로 날이 닿도록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홈부(4-1)에 연이어 접하여 공간부(8-1)가 설치되어 있다. 공간부 (8-1)는 대체로 광파이버 절단날과 피복 제거날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공간부 (8-1)에는, 1쌍의 피복 제거날(10-2)에 대응하고, 피복 광파이버에 대해서 소정의 간격을 멀리하여 1쌍의 피복 제거날(10-1)이 대항 배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간격은 대체로 광파이버 심선에 일치하고 있다. 1쌍의 피복 제거날(10-1)의 선단부에는, 피복에의 절개가 용이하게 되도록 테이퍼가 설치되어 있다. 도 18(a)에 도시하는 면과 도 18(b)에 도시하는 면이 맞대어져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피복 광파이버(6)에 광파이버 절단날(9)이 하방으로부터 내리 눌러지고, 먼저 피복(6b)이 절단되어, 날(9) 자체가 더 변형될 때까지 광파이버(6a)에 내리 눌러져서 광파이버(6a)에 흠집을 낸다. 상부재에 설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10-2)과 하부재에 설치된 1쌍의 피복 제거날 (10-1)이, 상하로부터 선단부가 마주보게 된 상태가 될 때까지 피복(6b)이 절개된다. 피복 제거날에 의해서 광파이버의 클래드에 흠집이 나는 일은 없다.
한편, 상술한 공간부는,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광파이버 절단날로 흠집을 내고, 피복 제거날로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절개한 후, 광파이버의 구부림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광파이버가 좌부재 및 우부재의 접합부에서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1쌍의 피복 제거날의 사이의 간격은, 상부재 (3)와 하부재(2)의 대향하는 각 대향면을 접촉시켰을 때에, 0.128 mm에서 0.140mm의 범위내이다. 간격이 0.128mm 미만의 경우에는, 광파이버의 클래드에 흠집이 날 가능성이 있다. 간격이 0.140mm를 넘는 경우에는, 피복의 제거를 할 수 없는 우려가 있다. 연결부의 두께는, 0.4mm에서 2.0mm의 범위내이다. 연결부의 두께가 0.4mm 미만에서는, 의도하지 않는 단계에서 조작 도중에 구부러져 버릴 가능성이 있다. 연결부의 두께가 2.0mm를 넘으면 구부러지기 어려워져 조작이 곤란하게 될 우려가 있다.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재에 형성된 홈부(4-1)와 상부재에 형성된 홈부(4-2)가 대향하여 배치된다. 홈부(4-1) 내에 있어서 광파이버 절단날 (9)이 하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공간부(8-1)의 대체로 단부에는 피복 제거날 (10-1)이 하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홈부(4-2)에 연이어 접하여 설치된 공간부(8-2)는, 피복 제거날(10-2)이 상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파이버 절단날(9)은, 피복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지면 피복을 찢고, 수지재료는, 예를 들면 석영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보다 부드럽기 때문에, 수지재료의 날(9)의 선단부 자체가 변형되어 광파이버(6)의 클래드 표면에 내리 눌러진다. 날 (9)이 내리 눌러졌을 때에,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흠집이 난다. 이와 같이, 수지재료의 날은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질 뿐이고, 수평 방향으로 끌어당기거나 누르거나, 혹은, 회전시키는 일 없이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흠집을 낼 수 있다.
피복 제거날(10)도 마찬가지로 수지재료로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석영유리 등으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에 비교와 피복은 부드럽기 때문에, 각 1 쌍의 날 (10)을 상하로부터 피복 광파이버에 내리 누르면 광파이버의 클래드에 흠집을 내는 일 없이, 양단부의 피복이 절개된다.
광파이버 절단날(9), 피복 제거날(10)은, 모두 날의 선단부의 각도 α는, 10에서 45도의 범위내이다. 날의 선단부의 각도 α가 10도 미만일 때는, 광파이버 절단날로서 필요한 강도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한, 날이 구부러지기 쉬워, 성 형이 곤란하다. 날의 선단부의 각도 α가 45도를 넘으면,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에 날을 눌러대도, 광파이버의 클래드에 흠집을 내지 못하고, 광파이버를 절단할 수 없다. 또한, 피복에의 절삭 깊이도 불충분하다. 한편, 흠집이 난 부분과 반대측을 향하여 광파이버(6)를 구부려 쪼개고, 피복을 제거한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의 하나의 형태에 있어서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대향 배치했을 때에,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의 각 한쪽의 부재에서의, 광파이버 절단날과 피복 제거날의 사이에 소정의 공간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공간부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이다. 공간부는, 제 2 부재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9는, 공간부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9에 도시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광파이버 절단날과 피복 제거날의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8)는, 제 2 부재(3)에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부재(3)에 형성된 공간부(8)는, 광파이버 절단날로부터 피복 제거날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테이퍼부 (13)를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도 20에 도시하는 형태에 있어서는, 공간부(8)는 제 2 부재에만 설치되고, 상술한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21은, 공간부의 다른 형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간부는 제 1 부재로부터 제 2 부재에 걸쳐서 형성되고, 제 2 부재에 형성된 공간부는, 광파이버 절단날로부터 피복 제거날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제 1 부재에 형성된 공간부도, 제 2 부재와 같이, 광파이버 절단날로부터 피복 제거날을 향하여 위로 경사진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간부에 테이퍼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광파이버 절단 후, 피복은 더 용이하게 제거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대체로 마찬가지로,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이 행하여진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하나의 형태는, 피복 광파이버를 수용 가능한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두께가 작은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굴절부와, 공동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1 부재와, 상기 제 1 부재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피복 파이버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홈부에 대응하는 홈부와, 상기 홈부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상기 제 1 부재의 피복 제거날과 대응하는 피복 제거날과, 중간부에 상기 제 1 부재의 굴절부와 대응하는 굴절부와, 상기 제 1 부재의 공동부와 대응하는 공동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제 2 부재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상기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되어 형성된 광파이버 부품과,
피복이 제거된 부분과 피복된 부분의 일부를 그 안에 수납하고, 상기 광파이버 부품의 상기 공동부에 수용되는 페룰을 구비한 광파이버 커넥터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광파이버 부품은,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되어 형성된다.
우선, 이 발명의 광파이버 부품을 형성하는 근원이 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재의 위 표면 중앙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피복 광파이버가 수납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하부재의 중앙부의 홈부내에는(도시하지 않은)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흠집을 내는 수지재료의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하는 피복 제거날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지재료로 형성된 상부재는 중앙부의 표면부에 테이퍼부를 갖는 굴절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부재의 하부재와 대향하는 면에 도 22에 도시한 홈부와 대응하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재의 홈부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피복 광파이버의 피복을 제거하는 수지재료로 형성된 피복 제거날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은, 모두, 피복 광파이버(6)의 축방향에 대해서, 수지재료의 날이 직각으로 닿는다. 한편, 상부재(3)의 양단부에는 돌출부 (3c)가 설치되고, 하부재(2)의 상부재(3)와의 대향면 4귀퉁이에는, 상기 상부재(3)의 돌기부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기둥(2c)이 돌출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각 돌기부를 각각의 걸어맞춤기둥 사이에 걸어맞춤시켜 상부재(3)와 하부재(2)를 대향 배치하면, 상부재(3)와 하부재(2)는 걸어맞춤기둥의 높이의 범위내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거나 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하부재, 상부재,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은, 모두 수지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이것들을 형성하는 수지재료가, 에폭시계, 또는, PPS(폴리페닐렌 설파 이드)계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예를 들면, 넓게 사용되고 있는 페룰용의 합성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성수지에 유리 필러를 혼입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광파이버 절단날은, 광파이버(피복이 없는 상태의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져서 변형되었을 때, 수지에 함유되는 유리 필러가 상기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에 내리 눌러져서 클래드 표면부에 소정의 흠집을 낼 수 있다. 한편, 유리 필러를 60% 이상 함유시키면, 광파이버의 클래드 표면부에 항상 양호한 흠집을 낼 수 있어, 광파이버의 컷면 상태도 좋고, 접속 손실을 더 억제하여 광접속을 할 수 있다.
하부재 및, 상부재에 형성된 홈부와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과의 관계는,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다음에, 상술한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분리하여 광파이버 부품을 형성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대체로 같다. 이와 같이 피복을 제거하고, 또한, 광파이버 절단날을 이용하여 절단된 광파이버 부품을 사용하여 광커넥터를 조립한다.
도 23은,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광파이버 커넥터(20)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광파이버 절단날에 의해서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피복 제거날에 의해서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단되어 형성된 광파이버 부품(21)과, 피복이 제거된 부분(16)과 피복된 부분의 일부를 그 안에 수납하고, 광파이버 부품 (21)의 공동부에 수용된 페룰(22)로 이루어져 있다.
도 24는, 광파이버 부품(21)과 페룰(22)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4의 광파이버 부품(21)의 단부에는, 페룰이 수용되는 공동부(23)가 설치되고, 소정의 길이로 피복이 제거된 베어 파이버 부분(16)과 피복된 부분(6)이, 일부가 광파이버 부품으로부터 외부로 돌출한 상태로 공동부내에 배치되어 있다. 페룰 (22)은 머리부 및 다리부로 이루어져 있고, 다리부에는 고리 형상 홈부(27)를 구비하고 있다. 페룰(22)의 내부에는, 피복이 제거된 베어 파이버(16) 및 피복된 광파이버(6)를 수납하는 관통구멍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부품(21)은,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굴절부로 접어 구부려 분단된 채로의, 광파이버 절단날 및 피복 제거날을 갖지 않는 우하부재(2b) 및 우하부재(3b)로 이루어지는 우부재이다.
도 25는, 도 24에 도시하는 광파이버 부품 및 페룰의 종단면도이다. 도 25 (a)는 페룰을 도시하고, 도 25(b)는 광파이버 부품을 도시한다. 도 2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룰(22)은 머리부(25) 및 다리부(24)로 이루어져 있다. 페룰(22)의 내부에는, 베어 파이버(16) 및 피복된 광파이버(6)를 수납하는 관통구멍부(26)를 구비하고 있다. 도 2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구멍부(26)는, 베어 파이버 (16) 및 피복된 광파이버(6)에 대응하는 구멍 지름이 다른 2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다리부(24)에는 고리 형상 홈부(27)가 설치되어 있다.
도 2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접어 구부려 분단된 채로의 광파이버 부품(21)에는, 피복 광파이버(6)가 상부재 및, 하부재의 홈부내에 형성된 돌기부에 의해서 상하로부터 눌러져서 홈부내에 고정되어 있다. 광파이버 부품(21)의 페룰에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페룰이 수납되는 공동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공동부(23)는 대체로 원통 형상의 벽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고, 대체로 원통 형상의 벽면의 일부에, 다리부의 상술한 고리 형상 홈부에 대응하는 고리 형상 돌기부(28)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2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부품(21)의 페룰에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접어 구부려 분단된 굴절부의 일부가 남아 있다. 공동부의 대체로 중앙부에는, 상술한 관통구멍부에 대응하는 베어 파이버(16) 및 피복된 광파이버(6)가 그 벽면과 접촉하는 일 없이 위치하고 있다. 페룰(22)을 광파이버 부품 (21)의 공동부에 수용할 때에는, 페룰의 관통구멍부에 피복이 제거된 광파이버(16) 및 피복된 광파이버(6)가 수납되고, 피복이 제거된 베어 파이버(16)가 머리부(25)의 단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된다.
도 26은, 페룰(22)이 광파이버 부품(21)의 공동부에 수용된 상태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부품(21)의 공동부(23)에는, 페룰의 다리부(24)가 삽입되고, 공동부의 벽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 돌기부(28)가, 다리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 홈부에 끼워맞춤 되고, 광파이버 부품(21)에 페룰(22)이 고정된다. 공동부(23)의 단부를 형성하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의 굴절부의 일부가 페룰(22)의 머리부(25)에 접촉되어 있다. 페룰의 관통구멍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 파이버(16) 및 피복된 광파이버(6)가 수납되고, 피복이 제거된 베어 파이버(16)의 단면이 머리부(25)의 단면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된다.
도 27은 페룰의 대기 치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a)은 페룰이 떼어내진 상태를 도시하고, 도 27(b)은 페룰이 부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룰의 대기 치구(30)는, 페룰의 머리부를 임시 걸어멈춤하는 임시 걸어멈춤부(31)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임시 걸어멈춤부(31)의 중앙부에는, 페룰이 부착되었을 때에, 피복이 제거된 광파이버의 선단부가 수납되는 구멍부(32)를 구비하고 있다. 도 2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굴절부의 일부가 수납되는 오목부(29)를 구비한 머리부(25)가 임시 걸어멈춤부에 의해서 임시 걸어멈춤되어 있다. 머리부의 중앙으로부터 관통구멍부(26)를 구비한 다리부(24)가 돌출하여, 페룰의 대기 치구(30)내에 넣어져 있다.
도 2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페룰 대기 치구내에 임시 걸어멈춤된 페룰이, 그대로 광파이버 부품의 공동부내에 삽입되고, 페룰의 다리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 홈부가 공동부의 벽면에 형성된 고리 형상 돌기부에 끼워맞춤되면, 페룰의 대기 치구가 뽑아 내져, 도 23, 도 26에 도시하는 커넥터화된 상태가 된다.
다음에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에 대해 설명한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의 하나의 형태는, 내부의 홈부에 피복 광파이버가 수용되어, 접어 구부림 가능한 굴절부를 구비한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상기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일부의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단되어 형성된, 공동부를 구비한 광파이버 부품과, 피복이 제거된 베어 파이버 부분과 피복된 부분의 일부를 그 안에 수납하고, 상기 광파이버 부품의 상기 공동부에 수용된 페룰로 이루어지는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 를 대향하여 유지하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광파이버 어댑터로서,
상기 광파이버 어댑터는, 머리부 및 다리부를 구비한 상기 페룰의 각각의 머리부를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중앙 부분과, 상기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상기 중앙부를 향하여 누르면서 유지하는 압압력 발생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페룰로부터 돌출한 각각의 상기 베어 파이버 부분의 선단이 힘이 가해져서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각각의 상기 페룰을 대향하여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는, 상술한 바와 같이,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접속한다. 한편, 광파이버 커넥터는 광파이버 부품과 페룰로 이루어져 있다. 광파이버 부품은,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굴절부로 접어 구부리고, 광파이버를 절단하여, 피복을 제거한 상태에서 분리되어 형성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광파이버 부품을 형성한다. 이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으로부터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가 형성된다.
도 28은,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가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에 의해서 접속된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20)가 광파이버 어댑터 (40)의 양단부로부터 삽입되고, 상술한 피복이 제거된 광파이버가 접속된다. 도 29는, 도 28에 도시하는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가 접속되는 광파이버 어댑터의 종단면도이다.
도 30은, 한쪽의 광파이버 커넥터가 삽입된 광파이버 어댑터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31은, 광파이버 어댑터의 중앙 부분과 광파이버 커넥터의 페룰의 끼워맞춤 상태를 설명하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28로부터 도 31을 참조하여,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를 설명한다.
도 3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발명의 광파이버 어댑터(40)는, 머리부 및 다리부를 구비한 페룰(22)의 각각의 머리부를 소정 위치에 서로 마주하여 유지하는 중앙 부분(41)과,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중앙 부분을 향하여 누르면서 유지하는 압압력 발생기구(42)를 구비하고 있다.
즉, 광파이버 어댑터(40)는, 양단부로부터 광파이버 커넥터(21)가 삽입되는 예를 들면 각기둥 형상의 케이싱(43)으로 이루어져 있고, 중앙 부분(41)은 내부의 대체로 그 중앙부에 구비되고, 페룰의 머리부를 그 바깥둘레부로부터 단단히 조여서 유지하는 원통형상부를 구비하고 있다. 중앙 부분은 예를 들면 미리 슬릿을 설치한 분할 슬리브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중앙 부분은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의 페룰의 머리부를 각각의 베어 광파이버의 접속이 용이하도록 조심(調心)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광파이버 어댑터(40)는, 중앙 부분에 관해서 대칭이 되도록, 케이싱의 내벽에 돌기부(42)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광파이버 커넥터(21)는, 바깥둘레부의 상술한 돌기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부(29)를 구비하고 있다. 후술하는 특정의 위치 관계에 있는 광파이버 어댑터의 돌기부(42)와 광파이버 커넥터의 오목부(29)가 상술한 압압력 발생기구를 형성하고 있다.
한편, 광파이버 어댑터 케이싱의 내벽에 오목부를 설치하고, 광파이버 커넥터에 돌기부를 설치하고 압압력 발생기구를 형성해도 좋다.
도 3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커넥터(21)의 공동부(23)의 내벽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 돌기부(28)에, 페룰의 다리부의 바깥둘레부에 형성된 고리 형상 홈부(27)가 끼워맞춤되어 페룰이 고정되어 있다. 페룰의 관통구멍부에는 피복된 광파이버 부분의 일부와 피복이 제거된 베어 광파이버가 수납되고, 페룰의 머리부로부터 소정의 길이만큼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광파이버 커넥터 (21)가 광파이버 어댑터(40)에 삽입되고, 페룰(22)의 머리부(25)가 중앙 부분(41)의 소정 위치에 단단히 조여져 고정된다.
도 32를 참조하여, 압압력 발생기구에 의한 압압력의 발생 상황을 설명한다. 도 3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어댑터(40)의 내벽의 상하에 형성된 돌기부 (42)가 광파이버 커넥터(21)의 바깥둘레부의 상하에 형성된 오목부(29)에 끼워맞춤되어 있다. 광파이버 어댑터의 돌기부의 중심 위치(Ac)와, 광파이버 커넥터의 오목부의 중심 위치(Cc)가 어긋남을 발생시켜 형성되어 있다. 즉, 돌기부와 오목부가 끼워맞춤할 때에 돌기부의 경사면이 오목부의 경사면을 누르고, 광파이버 커넥터가 광파이버 어댑터의 중앙부를 향하여 나아가도록 압압력이 발생한다. 이와 같이 돌기부 및 오목부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서, 스프링의 기능을 하게 하므로, 스프링 등의 다른 탄성 부재를 부착할 필요는 없고, 광파이버 어댑터(40)에 각 광파이버 커넥터(21)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각각의 광파이버 커넥터(21)의 접속 단면이 적당한 부세력으로 서로 힘이 가해져서, 양호한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압압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광파이버 어댑터의 벽면에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돌기부 중심간의 거리를 D2, 상기 광파이버 어댑터내에 대향 배치된 상기 광파이버 커넥터의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 2개의 오목부 중심간의 거리를 D1, 광파이버 어댑터 재료 팽창계수 α2, 광파이버 커넥터 재료 팽창 계수 α1로 할 때, 상온시에는, D2<D1,
고온 환경시(상온 +70℃)에는,
D2+D2×α2×70℃<D1+D1×α1×70℃
저온 환경시(상온 -70℃)에는,
D2-D2×α2×70℃<D1-D1×α1×70℃
인 광파이버 어댑터이다.
예를 들면, 상온(23℃)시의 D1=8.2mm, D2=8.0mm, 커넥터 재료(하이 필러 저수축 PPS)의 팽창계수 α1=2.0×10-5, 어댑터 재료(범용 PPS)의 팽창계수 α2=4.0×10-5일 때 누름이 걸린다.
한편, 고온 환경시(약 +93℃)의 D2=8.0224mm, D1=8.2115mm이고, D2<D1이 되어, 압압력은 손상되지 않는다. 저온 환경시(약 -47℃)의 D2=7.9776mm, D1=8.1885mm이고, D2<D1이 되어, 압압력은 손상되지 않는다.
도 29를 참조하여, 광파이버 어댑터에 접속된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를 설명한다. 도 2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광파이버 어댑터(40)의 양단부로부터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21)가 각각 삽입되어 중앙 부분(41)의 대체로 중앙에 있어서 페룰의 머리부로부터 일부가 돌출된 베어 광파이버가 굴절률 정합제(시트)를 사이에 두고 힘이 가해져서 접속된다. 광파이버 어댑터의 내벽에 형성된 돌기부(42)가 광파이버 커넥터(29)의 대응하는 오목부에 끼워맞춤되고, 돌기부와 오목부의 각각의 중심 위치의 어긋남에 의해서 광파이버 커넥터가 중앙 부분을 향하여 눌러진다. 1쌍의 광파이버 커넥터에 가해지는 상술한 압압력에 의해서, 페룰의 머리부끼리가 내리 눌러지고, 상술한 바와 같이 베어 광파이버가 힘이 가해져서 접속된다. 이 때, 페룰의 관통구멍부의 지름이 피복 광파이버의 지름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있으므로, ○로 둘러싼 z영역내에서, 광파이버 심선이 미소하게 좌굴하여 파이버에 누름이 걸려, 베어 광파이버의 중심 위치는 그대로의 상태에서 변동 부분이 흡수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광파이버 어댑터에 적용 가능한 광파이버 커넥터는, 단부의 피복이 제거되어 베어 파이버가 노출된 광파이버가 수용된 페룰을 이용하여 설치된 광파이버 커넥터이면 어떠한 광파이버 커넥터이라도 좋고,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을 사용하는 일 없이 설치된 광파이버 커넥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발명에 의하면, 예를 들면 어두운 곳과 같은 작업 조건이 안 좋은 곳에서도 안정하게 조작할 수 있어, 조작자의 숙련에 의하지 않고, 피복이 제거된 양호한 광파이버의 절단부를 얻을 수 있는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광파이버 절단방법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을 제공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치가 높다.

Claims (46)

  1.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초대에 일체적으로 성형된 광파이버 절단용의 날로서, 상기 날이, 광파이버에 접촉하여 소정의 힘으로 내리누르면 변형하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지재료에 유리 필러가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재료가, 유리 필러 60% 이상을 함유하는 에폭시계, 또는, PPS(폴리페닐렌 설파이드)계 합성수지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의 선단부의 각도가 10에서 45도의 범위내인, 광파이버 절단날.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광파이버 절단날을 포함하고, 상기 광파이버 절단날이 상기 광파이버와 직각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는 광파이버 절단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광파이버 절단날과 일체적으로 성형된 상기 기초대는 광파이버를 수납하는 홈부를 길이방향으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가 평평한 저면, 및, 상기 저면으로부터 기초대의 표면을 향하여 넓어지도록 경사진 양 측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날이 상기 홈부내에 위치하고, 날의 정수리부가 기초대의 표면과 대체로 일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장치.
  7.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기초대에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고 유리 필러를 함유하는 수지재료로 이루어지는 날을, 상기 날 자체가 변형될 때까지 광파이버에 내리 눌러 상기 광파이버에 흠집을 내고,
    상기 흠집이 난 광파이버의 부위에 장력을 부가하고, 흠집과 반대측으로 구부려, 광파이버를 절단하는, 광파이버 절단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가 피복 광파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파이버가 피복을 제거한 광파이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 절단방법.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KR1020097022817A 2007-04-25 2007-04-25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광파이버 절단방법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 KR101123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7/058911 WO2008136100A1 (ja) 2007-04-25 2007-04-25 光ファイバ切断刃、光ファイバ切断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並びに光ファイバ剥き折り部品および光ファイバ剥き折り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6110A KR20100016110A (ko) 2010-02-12
KR101123455B1 true KR101123455B1 (ko) 2012-03-23

Family

ID=39943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817A KR101123455B1 (ko) 2007-04-25 2007-04-25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광파이버 절단방법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831391B2 (ko)
EP (2) EP2154554B1 (ko)
KR (1) KR101123455B1 (ko)
CN (1) CN101657743B (ko)
WO (1) WO20081361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2678B2 (ja) * 2005-11-02 2011-08-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刃、光ファイバ切断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KR101124633B1 (ko) * 2010-04-22 2012-03-20 고려오트론(주) 광케이블 커팅장치와 이를 이용한 광케이블 커팅방법
US8792764B1 (en) * 2010-12-22 2014-07-29 Lee Technologies, Inc. Optical fiber cleaver
US8677861B2 (en) * 2011-03-31 2014-03-25 Corning Cable Systems Llc Bladeless stripping device
US9453964B2 (en) 2013-02-28 2016-09-27 Corning Optical Communications LLC Stripping apparatus and methods for optical fibers
CA3027667C (en) * 2016-06-16 2023-08-22 Technologies O' Fiberty Inc. Fiber cleaver
JP6698582B2 (ja) * 2016-11-22 2020-05-27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カッ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624A (ko) * 1999-10-20 2002-07-13 무라다 가오루 광파이버의 피복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59892A (en) * 1974-06-19 1977-11-29 Raychem Corporation Deformable wire stripper
US4711517A (en) * 1985-05-31 1987-12-08 Fentress Vern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fiber optic cables
JPS621987A (ja) 1985-06-27 1987-01-0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窓枠
GB8601765D0 (en) * 1986-01-24 1986-02-26 Abeco Ltd Stripping tool
JPS62231203A (ja) 1986-03-31 1987-10-09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切断器
JPH0750218B2 (ja) * 1987-02-20 1995-05-31 日本電気株式会社 光フアイバコネクタフエル−ル
JPH0734046B2 (ja) 1987-10-24 1995-04-1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アイバの切断方法
JPH0778563B2 (ja) 1987-11-11 1995-08-23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アイバの切断装置
JPH01198911A (ja) 1988-02-01 1989-08-10 Honda Motor Co Ltd 除雪機の動力伝達装置
JPH01198912A (ja) 1988-02-03 1989-08-10 Hitachi Ltd 除貝装置
US4880494A (en) * 1988-10-07 1989-11-14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of making a fiber optic array
JPH02142803U (ko) * 1989-04-28 1990-12-04
FR2657697B1 (fr) * 1990-01-29 1993-05-07 Radiall Sa Connecteur pour fibres optiques.
US5179608A (en) * 1990-09-28 1993-01-12 Adc Telecommunications, Inc. Connector for optical fiber
JPH08294871A (ja) * 1995-04-25 1996-11-12 Disco Abrasive Syst Ltd 吸水性ポリマー混入砥石
JP3550282B2 (ja) 1997-10-01 2004-08-04 京セラ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保護膜除去用ストリッパ
US6273990B1 (en) * 1998-06-30 2001-08-14 Corning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 protective coating from an optical fiber and inhibiting damage to same
US6264374B1 (en) * 1998-09-09 2001-07-24 Amphenol Corporation Arrangement for integrating a rectangular fiber optic connector into a cylindrical connector
JP4014776B2 (ja) * 2000-01-06 2007-11-2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JP2001290047A (ja) * 2000-02-04 2001-10-19 Seiko Instruments Inc つば部材及びフェルール
JP2002118922A (ja) 2000-10-03 2002-04-19 Oputeru:Kk 光ファイバ被覆材剥離装置
CA2353371A1 (en) * 2001-01-29 2002-07-29 Robert J. Mcleod Apparatus for stripping a coating from an optical fibre
JP2004045805A (ja) * 2002-07-12 2004-02-12 Yazaki Corp 光ファイバ接続用のフェルール及び光ファイバとフェルールの溶着方法
JP2004347832A (ja) 2003-05-22 2004-12-09 Fujikura Ltd 光ファイバ心線及び光ファイバ心線被覆除去器
US7669744B2 (en) * 2003-08-04 2010-03-0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cleaving optical fibers
JP2005185827A (ja) * 2003-12-03 2005-07-14 Izumi Products Co ロータリー式電気かみそり
US7352935B2 (en) * 2004-08-17 2008-04-01 Kabushiki Kaisha Toshiba Optoelectronic conversion header, LSI package with interface module, method of manufacturing optoelectronic conversion header, and optical interconnection system
JP4762678B2 (ja) 2005-11-02 2011-08-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切断刃、光ファイバ切断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624A (ko) * 1999-10-20 2002-07-13 무라다 가오루 광파이버의 피복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657743A (zh) 2010-02-24
US20100215318A1 (en) 2010-08-26
KR20100016110A (ko) 2010-02-12
CN101657743B (zh) 2013-09-25
EP2154554A1 (en) 2010-02-17
EP2154554B1 (en) 2013-06-05
US20140338508A1 (en) 2014-11-20
WO2008136100A1 (ja) 2008-11-13
US8831391B2 (en) 2014-09-09
EP2631689A1 (en) 2013-08-28
EP2154554A4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3455B1 (ko) 광파이버 절단날, 광파이버 절단장치 및 광파이버 절단방법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부품 및 광파이버 벗겨 구부림 방법
US8876405B2 (en) Field terminable optical connector with splice element for jacketed cable
US7556438B2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fiber connecting system
JP4099228B2 (ja) 劈開/面取りされた端部を有するファイバ用の光ファイバコネクタ
US8998506B2 (en) Field terminable ST format optical fiber connector
US8480311B2 (en) Optical connector, method of attaching the optical connector to coated optical fiber, and optical connection member
US20080013891A1 (en) Optical fiber connector, optical fiber connecting method, and, connector converter
US20140037250A1 (en) Field installed optical fiber connector for jacketed fiber cable and termination method
EP3443395A1 (en) Field installable optical fiber connector for fiber optic cables with rigid strength members
US8292514B2 (en) Optical connecting member and method of fitting the same
US4643520A (en) Method of terminating fiber optic connector without polishing optical fiber
JP2011519064A (ja) スプライス要素を有する、現場終端処理可能lc形光コネクタ
CN112083531B (zh) 一种光纤活动连接器
EP3379309B1 (en) Optical connector and optical connector manufacturing method
TW201610494A (zh) 光連接器之製造方法、光連接器、及光纖插入裝置
WO2010058475A1 (ja) 光ファイバの端末加工方法および端末加工部材
JP4969887B2 (ja) 光ファイバコネクタ
JP4969889B2 (ja) 光ファイバアダプタ
JP4948013B2 (ja) 光ファイバ剥き折り部品および光ファイバ剥き折り方法
JP4999045B2 (ja) 光ファイバ剥き折り部品および光ファイバ剥き折り方法
JPS6155644B2 (ko)
JP5065340B2 (ja) 光ファイバ接続器
JP4762678B2 (ja) 光ファイバ切断刃、光ファイバ切断装置および光ファイバ切断方法
JP2008020869A (ja) メカニカルスプライス
JP2006317877A (ja) 光接続部材および光接続部材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