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19688B1 - 정보 관리 방법,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관리 장치 - Google Patents

정보 관리 방법,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관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9688B1
KR101119688B1 KR1020050052548A KR20050052548A KR101119688B1 KR 101119688 B1 KR101119688 B1 KR 101119688B1 KR 1020050052548 A KR1020050052548 A KR 1020050052548A KR 20050052548 A KR20050052548 A KR 20050052548A KR 101119688 B1 KR101119688 B1 KR 1011196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production
content
management
per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2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9632A (ko
Inventor
다쓰야 이노쿠치
쓰토무 이치노세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60049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9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68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 G11B20/0069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prevent a specific kind of data access said measures preventing that data are read from the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74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 G11B20/00789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can be expressed as a specific number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number of functional copies, which can be accessed at a time, e.g. electronic bookshelf concept, virtual library, video rentals or check-in/check ou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818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signal quality, e.g. by low-pass filtering of audio signals or by reducing the resolution of video signals
    • G11B20/0082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limits the signal quality, e.g. by low-pass filtering of audio signals or by reducing the resolution of video signals wherein a spoiler signal is added to degrade the signal qual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G11B20/00847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wherein the usage restriction is defined by a licence f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35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xternal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7Establishing a secure communication between the client and a peripheral device or smart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7Rights management associated to the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08Magnetic discs
    • G11B2220/2516Hard dis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0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28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adding a copy protection signal to the video signal the copy protection signal being a copy management signal, e.g. a copy generation management signal [C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 H04N2005/91364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the video signal being scrambl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1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disk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8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 H04N5/85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optical recording on discs or dru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07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static stores, e.g. storage tubes or semiconductor memo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67Systems rendering the television signal unintelligible and subsequently intelligible
    • H04N7/1675Providing digital key or authorisation information for generation or regeneration of the scrambling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Management Or Editing Of Information On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과제] 저작권 보호된 컨텐츠를, 그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이한 기록 매체에 복수 회 이동 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편리성이 높은 정보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해결 수단] 비디오 레코더(1)의 HDD(19)에 컨텐츠 데이터(191)를 기록했을 때, 그 컨텐츠 데이터(191)를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를 분리하여, 불휘발성 메모리(18) 내의 재생 관리 정보(181)에서 관리한다. 그리고 이 라이센스 정보와, 저비트 레이트화한 컨텐츠 데이터, 컨텐츠 ID를 휴대 단말기(2)에 인도하는(스텝 S11) 것에서, 컨텐츠 데이터(191)가 가상적으로 이동된다. 또한, 컨텐츠 ID와 라이센스 정보가 비디오 레코더(1)에 되돌려지는(스텝 S21) 것에 의하여, HDD(19) 내의 컨텐츠 데이터(191)를 다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져, 오리지널의 품질의 디지털 컨텐츠를 다시 재생할 수 있다.
비디오 레코더, 컨텐츠 데이터, 라이센스 정보, 불휘발성 메모리, 재생 관리 정보

Description

정보 관리 방법,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관리 장치{INFORMATION MANAGEMENT METHOD, INFORMATION PLAYBACK APPARATUS, AND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재생 관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비디오 레코더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이동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방송에 의해 수신한 비디오 컨텐츠를 HDD에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5는 HDD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에 이동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6은 과거에 이동한 비디오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로부터 HDD에 다시 이동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처리예를 적용한 경우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서의 이동 시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가상 이동 대상의 등록 시에 비디오 레코더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0은 비디오 레코더 측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이 재생되는 때의 비디오 레코더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1은 비디오 레코더 측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이 재생되는 때의 ID 모듈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2는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의 재생 허락 계속 수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3은 ID 모듈에 있어서의 계속 재생 감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ID 모듈 측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이 재생되는 경우의 ID 모듈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가상 이동 대상으로부터 복귀시킬 때의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처리예를 적용한 경우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서 이동 시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저작권 보호된 컨텐츠의 재생의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재생 장치, 정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컨텐츠를 기록 매체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경우의 편리성이 향상된 정보 관리 방법,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관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비디오나 오디오 등의 디지털 컨텐츠가 널리 이용되고 있고, 또 이들 디지털 컨텐츠를 기록?재생하는 것이 가능한 레코더나 플레이어의 보급도 진행되어 있다. 예를 들면, 방송 컨텐츠를 기입 가능한 DVD(Digital Versatile Disk)나 HDD(Hard Disk Drive) 등에 디지털 데이터로서 보존하는 것이 가능한 비디오 레코더가 급속히 보급되어 있다. 또, 방송위성을 사용한 디지털 방송에 이어, 최근에는 지상파에 의한 디지털 방송도 개시되어 있다. 이들 디지털 방송에서는, 종래의 방송보다 고해상도인 HDTV(High Definition TeleVision) 영상이 제공되어 있고, 이와 같은 방송 컨텐츠를 그대로의 화질로 광디스크 등에 기록 가능한 비디오 레코더의 개발도 진행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품질의 디지털 컨텐츠를 이동 가능형의 기록 매체에 용이하게 보존 가능하게 됨에 따라,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현재의 비디오 컨텐츠에서는, 컨텐츠의 데이터에 카피의 여부를 나타내는 카피 제어 정보(CCI: Copy Control Information)를 첨부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카피 제어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각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에 대하여, 카피를 제한하지 않는 상태(카피 프리, Copy Free), 1회만의 카피를 허가하는 상태(카피 원스, Copy Once), 카피를 금지하는 상태(카피 네버, Copy Never) 등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디지털 방송에서는 현재, 모든 컨텐츠에 대하여 "카피 원스"를 나타내는 카피 제어 정보가 첨부되어 있고, 비디오 레코더는 통상, 이와 같은 컨텐츠를 "카피 네버"로 하여 기록 매체에 기록한다.
또, "카피 네버"로 되어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는 그 기록 매체의 데이터를 소거(또는 무효화)하는 것을 조건으로, 다른 기록 매체에 카피하는 것이 허가된다. 이와 같이, 원래의 데이터를 소거하여 다른 기록 매체에 카피하는 동작은 "이동(Move)"으로 불리며 예를 들면 디지털 방송 등을 통해 수신하고, 비디오 레코더의 HDD에 기록한 비디오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가 장기 보존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을 때는, DVD 등의 이동 가능형의 기록 매체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의 편리성 향상과 부정한 대량 카피의 방지가 양립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 시의 컨텐츠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CD(Compact Disc)의 음악 컨텐츠 등을 서버로부터 메모리 카드에 이동할 때, 이동된 악곡의 정보를 이동 이력 관리 데이터로서 메모리 카드에 기억함으로써, 메모리 카드로부터 서버에 컨텐츠를 되돌릴(이동할) 때에, 되돌린 컨텐츠를 다시 같은 곡순으로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 있었다(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 2001-76464호 공보, 단락 번호 [0200]~[0202], 도 36)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의 저작권 보호에 대하여는 정비되어 있지만, 그 한편으로, 사용자의 디지털 컨텐츠의 시청 환경은 확대를 보이고 있다.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나 소형 HDD 등을 기록매체로서 사용한 휴대형 플레이어가 실현되고, 퍼스널 컴퓨터(PC) 등에 축적한 디지털 컨텐츠를 휴대형 플레이어에 전 송하고, 밖에서 즐기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이한 시청 환경하에서는 각각에 바람직한 기록 매체가 사용되므로, 사용자는 시청 환경에 맞추어 디지털 컨텐츠를 다른 기록 매체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카피 원스"로 된 디지털 컨텐츠를 다양한 기록 매체로 이용하는데 있어서는, 이하와 같은 3가지의 문제점이 생각할 수 있다. 먼저, 예를 들면, 자택의 거치형 레코더에 기록한 컨텐츠를 휴대형 플레이어로 이동하여 외출한 경우를 생각하면, 밖에서 그 컨텐츠를 마지막까지 시청할 수 없었기 때문에, 자택에서 그 계속을 시청하려고 생각하면, 그 컨텐츠의 데이터를 자택의 레코더에 다시 이동시켜야 한다. 특히 비디오 컨텐츠 등은 데이터 용량이 크기 때문에, 컨텐트의 이동에는 어느 정도의 시간을 필요하다. 이와 같이, 종래에 없었던 수고를 사용자에게 강요하는 것이 제1 문제점이다.
제2 문제점으로서는, 이동을 반복하는 과정에서 컨텐츠의 품질을 저하시켜 버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DVD나 HDD를 사용한 거치형 비디오 레코더는 기록 용량이 비교적 크기 때문에, 비디오 컨텐츠의 기록 시에는 그 화질이 중시되고, 그 결과, 기록되는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량도 큰 것이 된다. 이에 대하여 휴대형의 비디오 플레이어에서는, 메모리 카드 등의 비교적 기억 용량이 작은 기록 매체가 사용되고, 또 표시 화면도 작은 것으로부터, 화질을 떨어뜨린 데이터량이 작은 비디오 컨텐츠가 기록된다.
따라서, 거치형의 비디오 레코더로부터 휴대형의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하여는, 화질을 떨어뜨려 데이터량을 작게 한 컨텐츠가 이동되게 되고, 그 후에 거치형 의 비디오 레코더에 컨텐츠를 다시 이동한 경우에는, 화질이 떨어진 상태의 컨텐츠 밖에 재생할 수 없게 된다. 즉, 이동을 반복하면, 컨텐츠는 그 과정에서 가장 성능의 낮은 기기에 최적인 품질로 변화해 버리는 것이 문제로 된다.
또한, 제3 문제점으로서 원하는 컨텐츠의 데이터가 현재 어느 기록 매체 상에 존재하는지를 사용자가 항상 파악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특히 향후, 예를 들면 거치형의 비디오 레코더나 PC, 메모리 카드 등을 사용한 전용 플레이어,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휴대형 정보 기기와 같이, 개인이 다수의 기기에서 디지털 컨텐츠를 이용하려고 하는 기회가 증가한 경우에, 재생 가능한 컨텐츠가 기록된 기기를 항상 파악하는 것은 용이한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카피 원스"로 된 디지털 컨텐츠는 이동에 의해 다른 기록 매체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그러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해 버릴 경우가 있는 것이 문제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저작권 보호된 컨텐츠를 그 품질을 손상시키지 않고 상이한 기록 매체에 복수 회 이동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 편리성이 높은 정보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정보 재생 장치, 정보 관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작권 보호된 컨텐츠의 재생의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재생 관리 수단이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에 대한 무효화 요구를 받아들이면, 해당 컨텐츠를 재생 불가능 상태로 하여 재생 관리 정보에 등록하는 무효화 스텝과,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기록 매체 내의 컨텐츠의 재생 요구를 받아들이면, 상기 재생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컨텐츠가 재생 불가능 상태가 아닌 경우에만 재생을 허가하는 재생 처리 스텝과,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이 재생 불가능 상태의 컨텐츠에 대응하는 재생 허락 정보를 취득하면, 해당 컨텐츠의 재생 불가능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재생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무효화 해제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정보 관리 방법에서는, 무효화 스텝에서, 기록 매체 상의 컨텐츠의 중 무효화 요구 대상의 것을 재생 불가능 상태로 하여 재생 관리 정보에 등록하고, 재생 처리 스텝에서는, 재생 관리 정보에 있어서 재생 불가능 상태로 된 컨텐츠가 재생할 수 없게 되므로, 1회만 카피 가능한 컨텐츠를 다른 기록 매체로 이동시킬 때, 원래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소거하지 않고, 그 컨텐츠를 가상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무효화 해제 스텝에서, 재생 허락 정보를 취득한 경우에는 재생 관리 정보가 갱신되어, 대응하는 컨텐츠가 다시 재생 가능해지므로, 그 컨텐츠를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가상적으로 원래의 기록 매체로 이동시켜, 무효화되어 있던 원래의 컨텐츠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발명에서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1개 이상의 정보 재생 장치와, 상기 정보 재생 장치와 통신하여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컨텐츠의 재생 허락을 관리하는 정보 관리 장치를 사용하여, 저작권 보호된 컨텐츠의 재 생의 여부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재생 관리 수단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에 대한 무효화 요구를 받아들이면, 해당 컨텐츠를 재생 불가능 상태로 하여 상기 정보 재생 장치 내의 재생 관리 정보에 등록하는 무효화 스텝과,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재생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컨텐츠 중 재생 불가능 상태가 아닌 것에 대한 재생 요구를 받아들이면,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허가하는 제1 재생 처리 스텝과,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재생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컨텐츠 중 재생 불가능 상태에 있는 것에 대한 재생 요구를 받아들이면,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의 재생 허락을 요구하는 재생 허락 요구 스텝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이 상기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의 재생 허락 요구를 받아들이면, 해당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로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재생을 허락하기 위한 일시 허락 정보를 회신하는 일시 허락 송신 스텝과,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일시 허락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록 매체 내의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허가하는 제2 재생 처리 스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관리 방법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정보 관리 방법에서는, 무효화 스텝에서, 기록 매체 상의 컨텐츠의 중 무효화 요구 대상의 것을 재생 불가능 상태로 하여 재생 관리 정보에 등록하고, 제1 재생 처리 스텝에서는, 재생 관리 정보에 있어서 재생 불가능 상태로 된 컨텐츠가 재생할 수 없게 되므로, 1회만 카피 가능한 컨텐츠를 다른 기록 매체로 이동시킬 때, 원래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의 데이터를 소거하지 않고, 그 컨텐츠를 가상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재생 허락 요구 스텝, 일시 허락 송신 스텝 및 제2 재생 처리 스텝에서는, 정보 재생 장치와 정보 관리 장치 사이에 통신을 해 재생 불가능 상태로 된 컨텐츠의 재생 허락 요구가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되면, 정보 관리 장치는 해당 컨텐츠가 다른 정보 재생 장치로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재생을 허락한다. 이로써, 복수의 정보 재생 장치에 무효화된 같은 식별 정보를 가지는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 정보 관리 장치하에서만 1개의 정보 재생 장치만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해져, 가상적인 컨텐츠의 이동이 실현된다.
또한,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이 재생 불가능 상태로 된 상기 기록 매체 내의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귀 요구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복귀 요구 스텝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이 컨텐츠에 대한 상기 복귀 요구를 수신하면, 해당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로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락 정보를 회신하는 재생 허락 송신 스텝과,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이 상기 재생 허락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록 매체 내의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 불가능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재생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무효화 해제 스텝을 포함하도록 해도 된다.
이들 스텝에서도 마찬가지로, 재생 불가능 상태로 된 컨텐츠의 복귀 요구가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되면, 정보 관리 장치는 해당 컨텐츠가 다른 정보 재생 장치 로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만, 재생 허락 정보를 회신하여 그 컨텐츠의 재생 불가능 상태를 해제한다. 이로써, 그 컨텐츠를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가상적으로 원래의 기록 매체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실현되어, 무효화되어 있던 원래의 컨텐츠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각 실시예에서는, 디지털 컨텐츠의 일례로서 비디오 컨텐츠를 사용한 경우를 상정한다. 여기서, 비디오 컨텐츠에는, 비디오 컨텐츠와 이에 동기 재생되는 오디오 컨텐츠의 양쪽이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제1 실시예?
이하의 제1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이나 다른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재생기기의 일례로서, 디지털 방송의 수신 및 녹화가 가능한 비디오 레코더를 들고, 이 비디오 레코더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비디오 레코더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비디오 레코더(1)는 튜너부(11), 인코더/디코더(12), 그래픽 인터페이스 I/F(13), 오디오 I/F(14), CPU(Central Processing Unit)(15), ROM(Read Only Memory)(16), RAM(Random Access Memory)(17), 불휘발성 메모리 (18), HDD(19), 광디스크 드라이브(20), 메모리 카드 I/F(21), 입력 I/F(22), 및 암호 처리 회로(23)를 구비한다. 이 비디오 레코더(1)는 CPU(15)가 내부 버스(24)를 통하여 장치 내의 각 컴퍼넌트에 접속하여, 이들에 대한 통괄적인 제어를 실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튜너부(11)는 외부의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방송 전파의 입력을 받아, CPU(15)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소정의 반송 주파수의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한 수신 신호에 대하여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복조 및 에러 정정 처리를 수행한다. 그리고 처리 후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을 분리하여, CPU(15)의 지시에 따라 인코더/디코더(12)나 HDD(19) 등에 전송한다. 또,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는 또한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등의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 카피 제어 정보, 암호화를 위한 키 데이터 등의 라이센스 정보 등을 분리하여, 이것들을 CPU(15)에 전송한다.
인코더/디코더(12)는,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방식에 따라 비디오 및 오디오의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및 신장 복호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튜너부(11)나 HDD(19), 광디스크 드라이브(20), 메모리 카드 I/F(21) 등으로 공급된 비디오, 오디오의 각 부호화 데이터를 디코드하고, 처리 후의 비디오, 오디오의 데이터를 각각 그래픽 I/F(13) 및 오디오 I/F(14)에 출력한다. 그리고 실제로는 HDD(19)나 광디스크 드라이브(20), 메모리 카드 I/F(21)로부터의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는 암호 처리 회로(23)를 통하여 인코더/디코더(12)에 공급된다. 또, HDD(19)나 광디스크 드라이브(20)로부터 공급된 비디오, 오디오의 부호화 데이터 를, 해상도나 비트 레이트 등을 변경하여 재인코드하고, 암호 처리 회로(23)를 통해 메모리 카드 I/F(21) 등에 출력하는 것도 할 수 있다.
그래픽 I/F(13)는 인코더/디코더(12)에서 디코드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외부의 텔레비전 수상기 등에 출력한다. 이때, 디코드 처리된 비디오 데이터에, CPU(15)의 처리에 의해 생성된 GUI 화상 등의 OSD(On Screen Display) 화상 데이터를 합성 가능하게 해도 된다. 오디오 I/F(14)는 인코더/디코더(12)에서 디코드 처리된 오디오 데이터를 예를 들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텔레비전 수상기나 오디오 기기 등에 출력한다.
CPU(15)는 ROM(16) 등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비디오 레코더(1) 내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ROM(16)에는, OS(Operating System)나 BIOS(Basic Input/Output System),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그 외의 각종 데이터가 미리 저장된다. RAM(17)은 CPU(15)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의 적어도 일부나, 이 프로그램에 의한 처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한다.
불휘발성 메모리(18)는 예를 들면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등으로 이루어지고, CPU(15)에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나, 암호화?복호 등의 처리에 필요한 데이터가 미리 기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디오 컨텐츠를 이동할 때 필요한 라이센스 정보를 관리하는 재생 관리 정보가 기록되고, 비디오 컨텐츠의 기록 시나 이동 처리 시 등에 필요에 따라 재기입되도록 되어 있다.
HDD(19)는 장시간의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이 가능한, 예를 들면 100GByte 이라는 비교적 대용량의 기억 장치이며, CPU(15)에 의해 지정되는 커맨드나 어드레스 정보에 기초하여 데이터의 기입 및 판독의 동작을 행한다. HDD(19)에는,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나,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 등이 기록된다. 또, HDD(19)에는, CPU(15)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나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도 된다.
광디스크 드라이브(20)에는, DVD 등의 광디스크(20a)가 장착되고, 광디스크 드라이브(20)는 이 광디스크(20a)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한다. 광디스크(20a)에는, 이 비디오 레코더(1), 또는 다른 장치에 있어서 수신된 방송 컨텐츠의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메모리 카드 I/F(21)에는, 플래시 메모리를 내장하는 메모리 카드(21a)가 장착되고, 메모리 카드 I/F(21)는 이 메모리 카드(21a)를 사용하여 데이터의 판독?기입을 행한다. 메모리 카드(21a)에는, 예를 들면 HDD(19) 등으로 카피 또는 이동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입력 I/F(22)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회로나, 사용자가 조작하기 위한 조작 키 등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를 CPU(15)에 대하여 공급한다.
암호 처리 회로(23)는 저작권 보호된 비디오 컨텐츠를 이동할 때 등에 필요한 암호화, 복호의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HDD(19)나 광디스크(20a), 메모리 카드(21a)에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할 때의 암호화 처리나, 이들로부터 데이터를 판독할 때의 복호 처리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 비디오 레코더(1)에 있어서의 기본적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디지털 방송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때는, CPU(15)는 입력 I/F(22)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선국 정보를 튜너부(11)에 출력하고, 튜너부(11)는 입력된 선국 정보에 따른 반송 주파수의 수신 신호를 선국하여, 복조 및 에러 정정 처리를 수행하고, 처리 후의 트랜스포트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이나 오디오 스트림,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 카피 제어 정보, 라이센스 정보 등을 분리한다.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은 인코더/디코더(12)에 의해 디코드되어 디코드 후의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는 각각 그래픽 I/F(13) 및 오디오 I/F(14)에 공급된다. 이로써, 선국된 방송 컨텐츠가 외부의 도시하지 않은 텔레비전 수상기 등에서 재생 출력된다.
또, 튜너부(11)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방송용의 부가 정보는 입력 I/F(22)를 통한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 CPU(15)의 처리에 의해 생성되는 소정의 OSD 화상 데이터와 함께 그래픽 I/F(13)에 공급되고, 동화상과 동시에 표시된다.
또한, 수신한 방송 컨텐츠의 데이터를 예를 들면 HDD(19)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튜너부(11)에서 분리된 카피 제어 정보를 CPU(15)가 참조하고, 카피 가능한 컨텐츠로 판정한 경우에만, 튜너부(11)에서 분리된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이 HDD(19)에 공급되고, 기록된다. 이때, 각 스트림의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암호 처리 회로(23)의 처리에 의해 암호화되어, HDD(19)에 공급된다. 그리고 방송 컨텐츠를 광디스크(20a)에 직접 기록하는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카피 가능한 컨텐츠인 경우에만, 튜너부(11)로부터의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이 필요에 따라 암 호화되어 광디스크 드라이브(20)에 공급되고, 광디스크(20a)에 기록된다.
또, HDD(19)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HDD(19)로부터 비디오 컨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스트림 및 오디오 스트림이 판독되어, 인코더/디코더(12)에서 디코드되고, 디코드 후의 데이터가 그래픽 I/F(13) 및 오디오 I/F(14)에 공급되고,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가 외부에 출력된다. 또, HDD(19)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가 암호화되어 있는 경우는, 이 데이터는 암호 처리 회로(23)의 처리에 의해 복호된 후, 인코더/디코더(12)에 공급된다. 그리고 광디스크(20a)나 메모리 카드(21a)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의 처리가 행해진다.
다음에, 비디오 컨텐츠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면 방송 컨텐츠 등으로서 공급되는 저작권 보호된 비디오 컨텐츠에는, 1회만의 기록을 허가하는 "카피 원스"라는 카피 제어 정보가 부가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카피 원스"의 비디오 컨텐츠를 기록 매체에 일단 기록하면, 그 후에 다른 기록 매체에 기록할 때는, 원래의 기록 매체 상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이동"이라는 동작 밖에 허용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시에, 원래의 기록 매체 상의 컨텐츠의 데이터를 소거하지 않고 그대로 남기고, 그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만을 소거하며, 이동처의 기록 매체나 외부 기기 등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서, 라이센스 정보는 대응하는 컨텐츠를 재생하기 위한 허락을 주는 정보이며, 라이센스 정보가 소거됨으로써, 원래의 기록 매체 상의 컨텐츠가 재생 불가능 상태가 된다(무효화). 또, 한 번 다른 기록 매체에 이동한 컨텐츠가 원래의 기록 매체에 이동에 의해 되돌려지는 경우에는, 컨텐츠의 데이터 그 자체를 전송시키지 않고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만을 취득하고, 원래의 기록 매체 상의 무효화된 컨텐츠를 다시 재생 가능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원래의 기록 매체 상의 컨텐츠의 데이터를 소거하거나 변조하거나 하지 않고 저작권이 안전하게 보호되는, 가상적인 이동을 실현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레코더(1) 내에 있어서, "카피 원스"의 비디오 컨텐츠에 대하여는, 컨텐츠의 데이터 자체와 그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분리하고, 라이센스 정보를 불휘발성 메모리(18) 내의 「재생 관리 정보」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도 2는 재생 관리 정보의 데이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관리 정보(181)는 재생 허가 영역(181a)과 재생 불가 영역(181b)을 구비하고 있다. 재생 허가 영역(181a)에는, HDD(19)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 중, 재생이 허가되어 있는 상태의 것의 라이센스 정보가 저장된다. 구체적으로는, HDD(19) 내의 각 비디오 컨텐츠에 고유하게 할당되고 컨텐츠 ID와 그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에 필요한 라이센스 정보가 대응시켜 저장된다. 예를 들면, 도 2(a)에서는, "비디오 A"라는 컨텐츠 ID에 "라이센스 정보 A"가 대응하고 "비디오 B"라는 컨텐츠 ID에 "라이센스 정보 B"가 대응한다.
또, 재생 불가 영역(181b)은, HDD(19) 내에 기록되어 있으면서, 이동에 의해 무효화되어 있는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가 저장된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HDD(19) 내의 비디오 컨텐츠가 이동되는 때는,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가 재생 허가 영역(181a)으로부터 추출되어 이동처로 송신되는 동시에, 그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가 재생 불가 영역(181b)에 기록된다. 도 2(b)의 예에서는, "비디오 C"라는 컨텐츠 ID로 식별되는 비디오 컨텐츠의 이동이 수행되고, 이것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 C"가 메모리 카드(21a)에 전송되어, 재생 허가 영역(181a)의 대응하는 정보가 소거되는 동시에, "비디오 C"라는 컨텐츠 ID가 재생 불가 영역(181b)에 기록된다. 이로써, "비디오 C"로 식별되는 비디오 컨텐츠가 가상적으로 이동된 상태로 된다.
또한, 재생 불가 영역(181b)에 기록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가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HDD(19)에 다시 이동되는 경우에는, 이 비디오 컨텐츠의 라이센스 정보가 다시 재생 허가 영역(181a)에 기록되고, 재생 불가 영역(181b)의 대응하는 컨텐츠 ID가 소거된다. 이로써, HDD(19) 내의 무효화되어 있던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가 다시 재생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리고 라이센스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비디오 컨텐츠를 다른 기록 매체에 이동할 때의 암호화 처리에 사용되는 키 데이터, 이 키 데이터를 구성하는 데이터의 일부나 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정보, 시청을 허가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 시청 시간을 제한하는 정보, 재생 가능한 기기나 전송 가능한 기록 매체 등을 제한하기 위한 재생 제어 정보, 재생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은닉 정보(패스워드 등) 중, 1개 또는 복수의 정보를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예로서 HDD(19)와 메모리 카드(21a) 사이의 이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기서는 특히, 메모리 카드(21a)에 기록한 비디오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로 재생하 는 것을 상정한다.
도 3은 비디오 레코더와 휴대 단말기 사이의 이동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비디오 레코더(1)에서는, 저작권 보호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컨텐츠 데이터(191)가 HDD(19)에 기록되고, 이때,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가 불휘발성 메모리(18) 내의 재생 관리 정보(181)에 컨텐츠 ID 동시에 기록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비디오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21a)에 이동하는 경우를 생각한다.
여기서, 메모리 카드(21a)의 기억 용량은 HDD(19)와 비해 매우 작고, 또 휴대 단말기(2)의 표시 화면의 해상도는 비디오 레코더(1)에 접속되는 텔레비전 기기보다 낮기 때문에, 통상, HDD(19)의 비디오 컨텐츠는 화상 해상도를 저하시키는 등에 의해 저비트 레이트화 하여 데이터 용량을 작게 한 후, 메모리 카드(21a)에 기록된다. 이동 동작이 개시되면, HDD(19) 내의 컨텐츠 데이터(191)가 인코더/디코더(12)에서 일단 디코드된 후, 저비트 레이트화 하도록 재인코드되고, 재인코드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가 메모리 카드(21a)에 기록된다.
이와 동시에, 재생 관리 정보(181) 내의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 및 컨텐츠 ID가 메모리 카드(21a)에 기록된다(도면 중 스텝 S11). 또, 재생 관리 정보(181)의 재생 허가 영역(181a) 내의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는 소거되고, 이동된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가 재생 불가 영역(181b)에 기록된다(스텝 S12). 이로써, HDD(19) 내의 컨텐츠 데이터(191)는 재생 불가능으로 되고, 이 비디오 컨텐츠가 가상적으로 이동된 상태로 된다.
한편, 메모리 카드(21a)가 예를 들면 휴대 단말기(2)에 장착되는 것에서, 저 비트 레이트화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 컨텐츠 ID 및 라이센스 정보가 휴대 단말기(2)에 인도됨으로써, 휴대 단말기(2)에서는, 저비트 레이트화된 비디오 컨텐츠를 라이센스 정보를 사용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된 비디오 컨텐츠가 휴대 단말기(2)로부터 비디오 레코더(1)의 HDD(19)에 다시 이동되는 경우에는, 저비트 레이트화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나 라이센스 정보가 기록된 메모리 카드(21a)가 다시 비디오 레코더(1)에 장착된다. 이때, 비디오 레코더(1) 측에서는, 메모리 카드(21a) 내의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가 재생 관리 정보(181) 내의 재생 불가 영역(181b)에 기록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그것과 같은 컨텐츠 ID를 가지는 컨텐츠 데이터(191)가 무효화된 상태에서 HDD(19)에 기록되어 있는 것을 판별할 수 있다.
따라서, 비디오 레코더(1)는 메모리 카드(21a)로부터 컨텐츠 ID와 라이센스 정보만을 판독하고(스텝 S21), 이 라이센스 정보를 재생 관리 정보(181) 내의 재생 허가 영역(181a)에 기입, 대응하는 컨텐츠 ID를 재생 불가 영역(181b)으로부터 소거한다(스텝 S22). 그리고 이때 메모리 카드(21a) 내의 라이센스 정보는 소거된다. 또, 저비트 레이트화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도 소거해도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HDD(19) 내의 컨텐츠 데이터(191)가 재생 가능한 상태로 된다. 이 컨텐츠 데이터(191)는 메모리 카드(21a)로의 기록을 위해 저비트 레이트화 하기 전의 오리지널의 데이터이므로, 한 번 이동을 행한 후도 그 비디오 컨텐츠의 품질을 떨어뜨리지 않고, 비디오 레코더(1)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예를 들면 비디오 레코더(1)로부터 휴대 단말기(2)에 비디오 컨텐츠가 이동된 후, 또 다른 기기나 기록 매체에 복수 단계에 걸쳐 이동을 하여, 비디오 레코더(1)로 되돌려졌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원래의 품질의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한 번 이동한 비디오 컨텐츠를 비디오 레코더(1)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 자체를 전송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이동에 필요한 시간이 단축된다.
다음에, 비디오 컨텐츠의 기록 및 이동 시의 비디오 레코더(1)에 있어서의 처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는 예로서 방송에 의해 수신한 비디오 컨텐츠를 HDD(19)에 기록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101〕 튜너부(11)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가 차례로 수신되어 CPU(15)는 튜너부(11)의 출력하는 데이터를 차례로 받는다.
〔스텝 S102〕 수신 데이터로부터 카피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1회의 기록만이 허가된 데이터인 경우는 스텝 S104로 진행하고, 기록이 허가되지 않는 데이터였던 경우는 스텝 S1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3〕 수신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인코더/디코더(12)에 공급하여 디코드시켜, 컨텐츠를 재생 출력시킨다. 이때, 컨텐츠의 데이터는 기록 매체에 기록하지 않는다.
〔스텝 S104〕 튜너부(11)로부터의 데이터가 기록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인 경우는 스텝 S105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여기서는 라이센스 정보인 경우)는 스텝 S106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5〕 HDD(19)에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기록한다. 그리고 실제 로는,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는 암호 처리 회로(23)에 의해 암호화된 후, HDD(19)에 대하여 기록된다. 이때의 암호 키 데이터로서는, 예를 들면 HDD(19)에 고유하게 할당되고 디바이스 ID 등이 사용된다.
〔스텝 S106〕 불휘발성 메모리(18) 내의 재생 관리 정보(181)의 재생 허가 영역(181a)에, 라이센스 정보와 컨텐츠 ID를 대응시켜 기록한다. 그리고 기록한 비디오 컨텐츠에 컨텐츠 ID가 미리 부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고유한 컨텐츠 ID를 생성하여 기록한다. 또, 라이센스 정보는 암호 처리 회로(23)에 의해 암호화된 후에 재생 관리 정보(181)에 등록되어도 된다.
〔스텝 S107〕 기록 처리를 종료하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종료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104로 돌아온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이동이 가능한 비디오 컨텐츠에 대하여는, 그 컨텐츠 ID와 라이센스 정보가 재생 관리 정보(181)의 재생 허가 영역(181a)에 등록된다. 또, 라이센스 정보를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로부터 분리하여 관리함으로써, 이 후에 다른 기록 매체에 이동할 때나, 또 다른 기록 매체로부터 다시 이동되어 되돌려질 때, 그때마다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에 대하여 분리나 결합을 행할 필요가 없어, 처리를 효율화할 수 있다.
다음에, 도 5는 HDD(19)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21a)에 이동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201〕 CPU(15)는 입력 I/F(22)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 등에 의하여, HDD(19)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21a)에 이동하도록 지시되면, 먼저, 메모리 카드 I/F(21)에 장착되어 있는 메모리 카드(21a)에 기록된 환경 정보를 취득한다. 이 환경 정보로서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21a)의 기억 용량이나 비어 있는 용량, 재생에 사용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종류, 재생되는 기기의 종류나 이 기기로 재생 가능한 데이터 포맷, 화상 해상도 등이 사용된다.
〔스텝 S202〕 HDD(19) 내의 이동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에 부여된 카피 제어 정보를 추출하여, 이동이 허가된 데이터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허가되어 있는 경우는 스텝 S203으로 진행하고, 허가되어 있지 않은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203〕 스텝 S201에서 취득한 환경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의 비트 레이트나 데이터 용량 등의 품질이 메모리 카드(21a)로의 기록에 대하여 적합한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적합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04로 진행하고, 적합한 경우는 스텝 S205로 진행한다.
〔스텝 S204〕 이동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21a)로의 기록용으로 최적화한다. 구체적으로는, CPU(15)의 제어 아래에서, HDD(19)로부터 판독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는 암호 처리 회로(23)에 의해 복호된 후, 인코더/디코더(12)에 있어서 일단 디코드되고, 또한 저비트 레이트화 하도록 재인코드된다.
〔스텝 S205〕 HDD(19) 내의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또는 재인코드된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21a)에 전송한다. 이때, 실제로는 암호 처리 회로(23)에서 암호화된 후, 메모리 카드(21a)에 기록된다. 이때의 암호 키로서는, 메모리 카드(21a)에 고유하게 할당된 ID 등이 사용된다. 또, 암호 키의 일부로서, 또는 이것을 생성하는 데이터로서, 이 비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 또는 그 일부가 이용되어도 된다.
〔스텝 S206〕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05로 복귀하고, 완료한 경우에는 스텝 S207로 진행한다.
〔스텝 S207〕 불휘발성 메모리(18)의 재생 관리 정보(181)를 참조하고, 재생 허가 영역(181a) 내의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판독하여, 메모리 카드(21a)에 전송한다. 그리고 이때,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라이센스 정보도 암호 처리 회로(23)에서 암호화한 후에 메모리 카드(21a)에 기록해도 된다.
〔스텝 S208〕 라이센스 정보의 전송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207로 복귀하고, 완료한 경우에는 스텝 S209로 진행한다.
〔스텝 S209〕 재생 관리 정보(181) 내의 재생 허가 영역(181a)에 기록된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소거하고, 또, 재생 불가 영역(181b)에, 이동한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등록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HDD(19) 내의 비디오 컨텐츠는 그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고, 메모리 카드(21a)에 가상적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의 처리에 있어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21a)에 전송하기 전에, 메모리 카드(21a) 내의 동일한 컨텐츠 ID를 가지는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가 이미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문의하고,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라이센스 정보만을 전송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예를 들면 과거에 메모리 카드(21a)에 대하여 가상적인 이동을 행한 후에, 또한 HDD(19)에 가상적으로 되돌린( 즉, 메모리 카드(21a) 내의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소거하지 않고 라이센스 정보만 이동시킨) 일이 있는 비디오 컨텐츠가 존재하는 경우에, 이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재차 메모리 카드(21a)에 전송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음에, 도 6은 과거에 이동한 비디오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21a)로부터 HDD(19)에 다시 이동하는 경우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301〕 CPU(15)는 입력 I/F(22)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 등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21a)의 소정의 비디오 컨텐츠를 HDD(19)에 이동하도록 지시되면, 먼저, 지정된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메모리 카드(21a)로부터 취득한다.
〔스텝 S302〕 이동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가 HDD(19)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불휘발성 메모리(18)의 재생 관리 정보(181)를 참조하고, 스텝 S301에서 취득한 컨텐츠 ID가 재생 불가 영역(181b)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텝 S305로 진행하고,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S3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303〕 이동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메모리 카드(21a)로부터 판독하고, HDD(19)에 전송한다. 실제로는, 메모리 카드(21a) 내에 기록되어 있는 라이센스 정보나 메모리 카드(21a)에 고유의 ID 등을 복호 키로서 데이터를 복호하고, 또한 라이센스 정보나 HDD(19)에 고유의 디바이스 ID 등을 암호 키로서 데이터를 암호화한 후, HDD(19)에 기록한다.
〔스텝 S304〕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03으로 복귀하고, 완료한 경우에는 스텝 S305로 진행한다.
〔스텝 S305〕 이동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를 메모리 카드(21a)로부터 판독하여 불휘발성 메모리(18)에 전송하고, 재생 관리 정보(181)의 재생 허가 영역(181a)에, 컨텐츠 ID 동시에 등록한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21a) 내의 라이센스 정보가 암호화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이것을 복호하고, 또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암호화하고 나서 재생 관리 정보(181)에 등록해도 된다.
〔스텝 S306〕 라이센스 정보의 전송이 완료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완료하고 있지 않은 경우는 스텝 S305로 복귀하고, 완료한 경우에는 스텝 S307로 진행한다.
〔스텝 S307〕 재생 관리 정보(181) 내의 재생 불가 영역(181b)에, 이동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ID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즉, 스텝 S302에서 "Yes"라고 판정한 경우)에는, 그 컨텐츠 ID를 소거한다.
〔스텝 S308〕 전송이 완료한 메모리 카드(21a) 내의 라이센스 정보를 소거한다. 또, 메모리 카드(21a) 내의 이동 대상으로 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도 소거해도 된다.
이상의 처리에 의하여, 메모리 카드(21a)에 가상적으로 이동되어 있던 비디오 컨텐츠가 되돌려지는 경우에는, 재생 관리 정보(181) 내의 재생 불가 영역(181b)의 컨텐츠 ID에 따라 그 취지를 판단하고, 대응하는 라이센스 정보만을 HDD(19)에 전송함으로써 이동 동작이 완료한다. 그리고 이 경우에는, 이동에 필요 한 시간이 단축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이동을 행한 것에 의한 비디오 컨텐츠의 품질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처리는 상기의 비디오 레코더(1)에 있어서, 예를 들면, 광디스크(20a)와 메모리 카드(21a) 사이의 이동, 또는 HDD(19)와 광디스크(20a) 사이의 이동에도 마찬가지로 실행할 수 있다. 또, HDD(19)와 광디스크(20a) 사이의 이동 시에도, 인코더/디코더(12)에 의한 재인코드(비트 레이트의 변경)를 행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에도 이동에 의한 비디오 컨텐츠의 품질 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처리는 비디오 레코더(1)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의 통신 I/F를 통해 다른 기기에 이동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 접속되는 양쪽의 기기에, 상기와 같은 재생 관리 정보를 사용한 이동 동작의 제어 기능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비디오 리코더(1)와 휴대 단말기(2)가 USB(Universal Serial Bus) 방식 등의 통신 I/F를 통해 접속되고, 상기와 같은 재생 관리 정보를 사용한 이동 동작의 제어 기능을 양쪽의 기기가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3(a)와 같이, 비디오 레코더(1)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휴대 단말기(2)로 이동하면, 휴대 단말기(2) 내의 재생 관리 정보에 이동된 라이센스 정보가 등록된다. 그리고 도 3(b)와 같이, 휴대 단말기(2)로부터 비디오 레코더(1)에 그 비디오 컨텐츠가 이동되는 경우에는, 휴대 단말기(2)에서는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 자체가 소거되지 않고, 가상적인 이동을 한다.
따라서, 이 후에 같은 비디오 컨텐츠가 비디오 리코더(1)와 휴대 단말기(2) 사이에서 이동되는 때는,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 자체는 전송되지 않고, 라이센스 정보(와 컨텐츠 ID)만이 이동된다. 예를 들면, 이동 원래의 기기에서는, 이동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가 이동이 허가된 것으로 판별하면(도 5의 스텝 S202에 대응), 그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이동처의 기기에 통지하여, 대응하는 데이터가 이동처의 기기에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문의한다. 이동처의 기기에서는 이 문의에 따라 도 6에 상당하는 처리가 개시되어 대응하는 데이터를 구비하는 경우(도 6의 스텝 S302에 대응)에는 그 취지를 이동 원래의 기기에 통지한다. 이로써 이동 원래의 기기는, 라이센스 정보만을 전송(도 5의 스텝 S207에 대응)하면 되고, 데이터 전송 시간이 단축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높아진다.
또, 이때 각 기기에서는, 자체의 기기에 대하여 비트 레이트가 최적화된 비디오 컨텐츠가 기록되어 있으므로, 오리지널의 데이터의 품질을 유지하는 효과에 더하여, 각 기기에 있어서 최적화된 데이터를 라이센스 정보의 이동만으로 용이하게 재생 가능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도 생긴다.
그리고 메모리 카드에는 메모리에 대한 제어 회로가 내장되어 있음으로써, 이 제어 회로에, 상기와 같은 재생 관리 정보를 사용한 이동 동작의 제어 기능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이, 디지털 컨텐츠의 이동 동작에 대하여는, 그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 자체를 이동하지 않고 라이센스 정보만 이동시킴으로써, 디지 털 컨텐츠의 데이터 품질을 떨어뜨리는 일 없이, 사용자의 편리성을 어느 정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려고 했을 때, 그 재생기기에 기록된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가 현재 재생 가능한지, 또는 무효화된 상태인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항상 파악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휴대형 플레이어 등, 개인이 다수의 재생기기를 사용하여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상황에서는, 상기와 같은 가상적인 이동 동작을 실현하는 기능을 각 기기가 구비하여 있는 경우에, 현재 어느 재생기기에 있어서 원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재생 가능한 상태에 있는지를 사용자가 항상 파악하여 두는 것은 용이하지 않으며, 불편을 초래하는 것이 문제로 된다.
그래서, 이하의 제2 실시예에서는, 어느 디지털 컨텐츠를 가상적인 이동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재생 불가능 상태로 된 때, 그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 허락을 1개의 재생기기에 대해서만 일시적으로 부여하도록, 외부의 관리 모듈로 관리한다. 그리고 각 재생기기로부터 관리 모듈에 액세스하는, 또는 관리 모듈 측으로부터 재생기기에 액세스함으로써 그 재생기기에서의 디지털 컨텐츠의 재생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예를 들면 각 재생기기와 관리 모듈이 근거리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경우에는, 재생기기로부터 무선 통신이 가능한 범위에 관리 모듈을 배치하고, 또, 유선 케이블을 통해 통신하는 경우에는, 재생기기와 관리 모듈을 통신 케이블이나 커넥터 등에 의해 접속함으로써,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사용하는 재생기기의 근방에 관리 모듈을 배치하여, 현재 재생 가능한 디지 털 컨텐츠를 관리 모듈에 의해 관리함으로써, 상기의 문제를 해결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관한 컨텐츠 재생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나타내는 컨텐츠 재생 시스템은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기기의 예로서의 비디오 레코더(3) 및 휴대형 플레이어(4)와 이들 재생기기에 있어서의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관리하는 ID 모듈(5)을 가지고 있다. 비디오 레코더(3)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나타낸 비디오 레코더(1)와 마찬가지로, 디지털 방송을 통해 수신한 방송 컨텐츠를 기록?재생하는 기능이나, 기록한 방송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6)에 카피(또는 이동)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 휴대형 플레이어(4)는 기록매체로서 메모리 카드(6)를 사용하고, 이 메모리 카드(6)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예로서, ID 모듈(5)은 비디오 레코더(3) 및 휴대형 플레이어(4) 사이에서,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예를 들면, 블루투스 등)을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지만, 이들 각 기기는 예를 들면 USB 등의 통신 방식에 따라 유선 통신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비디오 레코더(3)는 튜너부(31), 시스템 제어부(32), HDD(33), 기록 재생 엔진 칩(34), 메모리 카드 I/F(35), 및 입력부(36)가 내부 버스(37)를 통해서 서로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기록 재생 엔진 칩(34)에는, 무선 I/F(38)가 접속되어 있다.
튜너부(31)는 디지털 방송을 수신하여, 시스템 제어부(32)에 의해 지정된 프로그램의 방송 컨텐츠의 데이터나, 카피 제어 정보, 데이터 방송 등의 부가 데이터 를 내부 버스(37) 상에 출력한다. 시스템 제어부(32)는 CPU, ROM, RAM 등으로 이루어지고, 비디오 레코더(3)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HDD(33)에는,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나 그 외의 각종 프로그램, 데이터 등이 기록된다. 또, 튜너부(31)로 수신된 방송 컨텐츠나 각종 데이터, 메모리 카드(6)로부터 메모리 카드 I/F(35)를 통해 판독된 비디오 컨텐츠 등을 기록할 수도 있다.
기록 재생 엔진 칩(34)은 비디오 컨텐츠의 기록?재생 시나 카피, 이동 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부를 실행하는 처리 블록이며, 그 내부에는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인코더/디코더(341)와 기록 재생 시, 이동 시 등의 암호 처리를 실행하는 암호 처리 회로(342)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무선 I/F(38)를 통해 ID 모듈(5) 사이에서 통신할 때의 제어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메모리 카드 I/F(35)는 메모리 카드(6)를 사용한 데이터의 기입/판독을 행한다. 입력부(36)는 리모트 컨트롤러로부터의 적외선 신호의 수광부나, 각종 조작 키 및 이들과의 I/F 회로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를 내부 버스(37) 상에 출력한다.
무선 I/F(38)는 ID 모듈(5) 사이에서 무선 통신하기 위한 처리 블록으로, 데이터의 변복조나 패킷 생성?분리 처리, 통신 상대 사이의 상호 인증 처리 등을 행하는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비디오 레코더(3)는 예를 들면, 튜너부(31)에 의해 수신된 방송 컨텐츠(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HDD(33)에 기록할 수 있다. 또, HDD(33)나 메모리 카드(6)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인코더/디코더(341)에 의해 디코드 하고, 또한 출력용의 신호로 변환한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하고 외부의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출력함으로써,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저작권 보호된 비디오 컨텐츠(카피 제어 정보가 "카피 원스"로 된 것)에 대하여는, HDD(33)와 메모리 카드(6)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는, 후술하는 처리에 의하여, 원래의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소거하지 않고, 가상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가상적인 이동 상태로 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ID 모듈(5) 사이에서 무선 I/F(38)를 통해 무선 통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휴대형 플레이어(4)는 시스템 제어부(41), 메모리 카드 I/F(42), 재생 엔진 칩(43), 및 입력부(44)가 내부 버스(45)에 의해 서로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또, 재생 엔진 칩(43)에는, 무선 I/F(46), 표시부(47) 및 음성 출력부(48)가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41)는 CPU, ROM, RAM 등으로 이루어지고, 휴대형 플레이어(4)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메모리 카드 I/F(42)는 메모리 카드(6)를 사용한 데이터의 기입/판독을 행한다. 재생 엔진 칩(43)은 비디오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의 디코더(431), 재생 시, 이동 시 등의 암호 처리를 실행하는 암호 처리 회로(432) 등을 포함하고,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시나 카피, 이동 시에 있어서의 처리의 일부를 실행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무선 I/F(46)를 통해 ID 모듈(5) 사이에서 통신할 때의 제어 기능을 구비해도 된다.
입력부(44)는 각종 조작 키 및 이들과의 I/F 회로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를 내부 버스(45) 상에 출력한다. 무선 I/F(46)는 ID 모듈(5) 사이에서 무선 통신하기 위한 처리 블록에서, 데이터의 변복조나 패킷 생성?분리 처리, 통신 상대 사이의 상호 인증 처리 등을 행하는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표시부(47)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등의 표시 디바이스나 표시 처리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디코더(431)에 있어서 디코드된 비디오 데이터를 받아, 표시 디바이스에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 표시한다. 음성 출력부(48)는 스피커 또는 이어폰 출력 단자, 앰프 등의 음성 처리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디코더(431)에 의해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를 받아, 이 데이터에 따른 재생음 소리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휴대형 플레이어(4)는 메모리 카드(6)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디코더(431)에 의해 디코드하고, 표시부(47)나 음성 출력부(48)에 디코드 후의 데이터를 공급함으로써,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또, 가상적으로 이동 상태로 된 비디오 컨텐츠도 재생할 수 있고, 그때는 ID 모듈(5) 사이에서 무선 I/F(46)를 통해 무선 통신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재생기기에 있어서, 저작권 보호된 비디오 컨텐츠는 HDD(33)나 메모리 카드(6)로의 기록 시에 암호화된다. 비디오 레코더(3)에서는, 이때의 암호화의 처리는 암호 처리 회로(342)에 의해 실행되고, 재생 시에는 이들 기록 매체로부터의 판독 후에 암호 처리 회로(342)에 의해 복호된다. 또, 휴대형 플레이어(4)에서는, 메모리 카드(6) 내의 비디오 컨텐츠는 암호 처리 회로(432)에 의해 복호되는 것에서 재생 가능해진다. 또, 각 기기에 있어서, 암호 처리 회로(342 및 432)는 모두, 비디오 컨텐츠에 부가되는 라이센스 정보 등의 암호 처리나, ID 모듈(5)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데이터의 암호 처리도 실행한다.
또, ID 모듈(5)은 제어부(51), 무선 I/F(52), 입력부(53), 표시부(54), 및 불휘발성 메모리(55)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51)는 CPU, ROM, RAM이나 암호 처리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ID 모듈(5) 내의 각 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무선 I/F(52)는 비디오 레코더(3)나 휴대형 플레이어(4) 등의 재생기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하기 위한 처리 블록이며, 데이터의 변복조나 패킷 생성?분리 처리, 통신 상대 사이의 상호 인증 처리 등을 행하는 처리 회로 등을 포함하고 있다.
입력부(53)는 각종 조작 키나 이들과의 I/F 회로 등을 포함하고, 사용자에 의한 입력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를 제어부(51)에 공급한다. 표시부(54)는 예를 들면 LCD 등의 표시 디바이스나 표시 처리 회로 등으로 이루어지고, 제어부(51)에 의해 생성된 화상 신호에 따라 화상을 표시한다. 불휘발성 메모리(55)는 예를 들면 EEPROM 등으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재생기기 상에 있어서 가상적인 이동 상태로 된 비디오 컨텐츠의 현재의 재생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리스트 정보가 기억된다.
이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서는, 비디오 레코더(3) 또는 휴대형 플레이어(4) 등의 재생기기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ID 모듈(5)로부터 일시적인 재생 허락을 받지 않는 한 재생할 수 없는 상태로 된다. 이후, 이와 같은 재생 불가능 상태로 된 비디오 콘텐츠를 "가상 이동 대상"이라고 호칭한다. ID 모듈(5)은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하기 위한 등록이나 해제의 요구, 재생의 개시/종료 요구 등을, 무선 I/F(52) 를 통해 재생기 기로부터 받아들여 이들 요구에 따라 불휘발성 메모리(55)에 기록된 리스트 정보를 갱신함으로써, 그 재생 상태를 관리한다. 여기서, ID 모듈(5)의 리스트 정보에 기초하여, 가상 이동 대상이 된 비디오 콘텐츠를 다른 재생기기에 카피했을 때도, 단 하나의 재생기기 밖에 재생 허락을 주지 않게 함으로써, 각 재생기기 내의 비디오 콘텐츠의 데이터를 소거하지 않고, 실질적으로 이동과 동등한 저작권 보호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의 콘텐츠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적인 이동 동작을 실현하기 위한 2가지 방법의 처리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처리요>
도 8은 제1 처리예를 적용한 경우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서 이동 시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 처리예에서는, 재생기기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가상 이동 대상으로 했을 때, 그 비디오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ID를 ID 모듈(5)에 대하여 등록한다. 이로써, ID 모듈(5) 내의 컨텐츠 ID를 소거함으로써, 그 비디오 컨텐츠를 가상 이동 대상 상태보다 용이하게 해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 있어서 가상적인 이동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디오 레코더(3)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하여 등록하는 스텝(스텝 S30)을 행함으로써, 각 재생기기(여기서는 비디오 레코더(3) 및 휴대형 플레이어(4))에 있어서, ID 모듈(5)로부터 일시적인 재생 허락을 취득하여 가상 이동 대상을 재생하는(스텝 S40 및 S50)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이 후에, 비디오 컨텐츠를 가상 이동 대상으로부터 해제하여 원래의 상태로 되돌리는 것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ID 모듈(5)의 불휘발성 메모리(55)에는, 재생기기에 있어서 가상 이동 대상으로 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가 기록된다.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에는, 사용자를 식별하기 위한 사용자 ID에 대하여, 가상 이동 대상으로 되어 있는 비디오 컨텐츠를 식별하기 위한 컨텐츠 ID와 그 비디오 컨텐츠가 현재 하나의 재생기기에서 재생되어 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재생 상태 플래그가 관련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자 ID는 ID 모듈(5)마다 미리 부여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 ID는 ID 모듈(5)을 식별하는 모듈 ID와 동등으로 된다. 예를 들면, 비디오 컨텐츠를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사용자가 별개로 자신용의 ID 모듈(5)을 사용하는 경우 등은 이와 같은 사용자 ID의 할당을 행하여 두면 알기 쉽다. 역으로, 예를 들면 1개의 ID 모듈(5)을 복수 사용자에 의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자 ID를 가상 이동 대상의 등록 동작마다 생성하면 된다. 또한, 이들 어느 경우라도, 1개의 사용자 ID에 대하여 복수의 컨텐츠 ID를 등록해도 되고, 그 경우에는 컨텐츠 ID의 각각에 대하여 재생 상태 플래그가 개별적으로 설치되어도 된다.
먼저, 비디오 레코더(3)에 있어서, 방송을 통해 수신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컨텐츠 데이터(331a))가 HDD(33)에 기록된 경우를 생각했을 때, 이 컨텐츠 데이터(331a)를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하여 등록하기 위한 스텝은 도 8과 같이, 주로 ID 모듈(5)로부터 주어지고 사용자 ID를,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 (331a)에 대응하는 재생 관리 정보(332)에 부가하는 스텝(스텝 S31)과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하는 컨텐츠 데이터(331a)를 나타내는 컨텐츠 ID를, ID 모듈(5)의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에 등록하는 스텝(스텝 S3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재생 관리 정보(332)는 대응하는 컨텐츠 데이터(331a)가 ID 모듈(5)로부터의 일시적인 재생 허락을 얻을 수 없는 경우에는 재생 불가능이라는 재생 상의 조건을 부가하기 위한 정보이며, 재생 시에 정확한 ID 모듈(5)과 접속하기 위해 사용자 ID가 기록된다. 이 재생 관리 정보(332)는 예를 들면, 컨텐츠 데이터(331a)의 재생을 허락하기 위한 라이센스 정보의 일부로서 실현된다. 또, 가상 이동 대상의 등록 시에 컨텐츠 데이터(331a)를 암호화할 때의 암호 키 또는 그 일부로서, 사용자 ID 또는 그 관련 정보가 이용되어도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재생 관리 정보(332)는 비디오 컨텐츠마다 설치되고, 그 데이터 내에 일체로 부가되지만, 예를 들면, 기록 매체 내의 복수의 비디오 컨텐츠에 대하여 1개의 재생 관리 정보에 의해 일괄하여 관리하도록 해도 된다.
가상 이동 대상의 등록은 비디오 레코더(3) 측 또는 ID 모듈(5) 측 중 어느 것의 사용자에 의한 조작 입력에 따라 실행되면 된다. 이하의 도 9에서는, 예로서 비디오 레코더(3) 측에서의 조작 입력에 따라 실행되는 경우의 처리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9는 가상 이동 대상의 등록 시에 있어서의 비디오 레코더(3)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401〕 입력부(36)로부터의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하여, HDD(33)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 중,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하는 것의 선택을 받아 등록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 입력을 받는다. 시스템 제어부(32)는 이와 같은 입력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의 등록을 위한 프로그램을 기동하고, 이하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S402〕 무선 I/F(38)를 통해 접속 가능한 거리 내에 존재하는 ID 모듈(5)을 검색하고, 검색된 ID 모듈(5)에 대하여 접속을 요구한다.
〔스텝 S403〕 무선 I/F(38)는 접속 상대의 ID 모듈(5) 사이에서 상호 인증 처리를 행한다.
〔스텝 S404〕 정확하게 상호 인증을 했을 때는, ID 모듈(5) 사이에서 무선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다음에 사용자 ID의 송신을 요구하여, 이것을 수신한다.
〔스텝 S405〕 스텝 S401에서 선택한 비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재생 관리 정보(332)에, ID 모듈(5)로부터 수신한 사용자 ID를 부가하고, 이 재생 관리 정보(332)에 대하여, ID 모듈(5)로부터의 재생 허락을 받지 않는 한 재생 불가능인 것을 나타내는 재생 조건을 기입한다. 이로써, 사용자 ID가 부가된 비디오 컨텐츠는 가상 이동 대상으로 된다.
그리고 이때 사용자 ID나 이에 관련되는 정보를 암호 키 또는 그 일부로서 내장하고,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암호화해도 된다. 또,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가 예를 들면 HDD(33)의 디바이스 ID 등으로 이미 암호화되어 있었을 경우에는, 암호 처리 회로(342)의 처리에 의해 일단 복호한 후, 사용자 ID 등을 키 정보로서 사용하여 다시 암호화하면 된다.
〔스텝 S406〕 사용자 ID를 부가한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ID 모듈 (5)에 송신한다. ID 모듈(5)은 비디오 레코더(3)로부터 컨텐츠 ID를 수신하면, 그 ID를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 내의 대응하는 사용자 ID에 대응 지어 등록한다. 또, 이때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를 "0"으로 하고, 그 후에 비디오 레코더(3)에 대하여, 등록이 완료한 것을 통지한다.
〔스텝 S407〕 ID 모듈(5)로부터의 등록 완료 통지를 수신하고, 가상 이동 대상의 등록 처리가 종료한다.
그리고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한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 불가능으로 하기 위하여, 스텝 S405에서 이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암호화했을 때의 키 정보 또는 그 일부를, ID 모듈(5)의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에만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가상 이동 대상이 된 비디오 컨텐츠의 은닉성이 향상된다.
또, 스텝 S402에서 복수의 ID 모듈이 검색되었을 경우에는, 비디오 레코더(3)에서는 검색된 각 ID 모듈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선택하게 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경우에 스텝 S403에서 정확하게 인증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검색된 것 중 다른 ID 모듈에 자동적으로 액세스하여, 다시 인증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여기서, 도 8로 돌아와 설명하면, 이상의 도 9의 순서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이 된 컨텐츠 데이터(331a)는 거기에 부가된 재생 관리 정보(332)와 함께(즉, 컨텐츠 데이터(331a)에 사용자 ID가 부가된 상태에서), 다른 기록 매체에 자유롭게 카피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것은 이 컨텐츠 데이터(331a)가 ID 모듈(5)로부터 재생 허락을 주어지고 없는 한 재생 불가능이기 때문이다. 도 8에서는, 이 컨텐츠 데 이터(331a) 및 재생 관리 정보(332)를 메모리 카드(6)에 카피하고, 이 메모리 카드(6)를 휴대형 플레이어(4)에 장착함으로써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하도록 하고 있다. 또, 컨텐츠 데이터(331a) 및 재생 관리 정보(332)는 사용자가 특히 조작하지 않고, 비디오 레코더(1)로부터 다른 기록 매체에 자동적으로 카피하게 하는 경우도 가능하며, 이 경우는 사용자에게 취한 편리성이 더 향상시킨다.
그리고 통상, 비디오 레코더(3)의 HDD(33)내의 컨텐츠 데이터(331a)를 메모리 카드(6)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인코더/디코더(341)의 처리에 의해 화상 해상도를 저하시켜 컨텐츠 데이터(331a)를 저비트 레이트화?저용량화해 메모리 카드(6)에 기록한다(도 8에서는, 저비트 레이트화 한 것을 컨텐츠 데이터(331b)로 하고 있다).
또, 비디오 레코더(3)나 휴대형 플레이어(4)에서는, 사용자 ID를 장치 내부의 불휘발성 메모리 등에 별도로 기록하도록 해도 된다. 이 방법은 특정한 재생 장치를 한 명의 사용자가 점유하는 경우 등에 매우 적합하다. 이 경우, 특정한 재생 장치로 재생하는 비디오 컨텐츠는 모두 같은 ID 모듈(5)을 사용하여 가상 이동 대상으로 된 것으로 되어, 예를 들면, 분리할 수 없는 HDD 등을 비디오 컨텐츠용의 기록매체로서 구비하는 휴대형 플레이어 등에 적용가능하다.
이 방법에 의하면,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한 비디오 컨텐츠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를 구비하는 휴대형 플레이어에 카피할 때, 잘못해서 다른 사용자 ID가 부가된 비디오 컨텐츠를 카피하여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또, 휴대형 플레이어가, 다른 기록 매체(또는 재생기기)에 기록되어 있는 가상 이동 대상으로 된 비디오 컨텐츠 의 중에서, 타겟의 사용자 ID가 부가되어 있는 것만큼을 자동적으로 카피한다는 기능을 실현하는 것도 할 수 있다.
다음에, 비디오 레코더(3) 내의 컨텐츠 데이터(331a)를 재생하는 경우(스텝 S40)에는, 비디오 레코더(3)와 ID 모듈(5) 사이에서 무선 통신 채널을 확립한 후, ID 모듈(5)이 유지하는 사용자 ID와 컨텐츠 데이터(331a)에 대응하는 재생 관리 정보(332)에 기록된 사용자 ID가 대조된다(스텝 S41).
그리고 이들 사용자 ID가 일치한 경우에는, 비디오 레코더(3)는 컨텐츠 데이터(331a)의 컨텐츠 ID를 ID 모듈(5)에 송신한다(스텝 S42). ID 모듈(5)은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를 참조하여, 수신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가 "0"인 경우에, 비디오 레코더(3)에 대하여 일시적인 재생 허락을 준다(스텝 S43). 또 이때,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의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를 "1"으로 한다.
이상의 순서에 따라, 재생 허락을 주어지고 비디오 레코더(3)는 컨텐츠 데이터(331a)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재생 허락은 일시적으로 부여되는 것이며, 비디오 레코더(3)에서는, 예를 들면 ID 모듈(5)로부터 그 후에 일정 시간마다 재생 허락을 받는 등에 의하여, 재생을 계속할 수 있다.
한편, 휴대형 플레이어(4)에 있어서 메모리 카드(6) 내의 컨텐츠 데이터(331b)를 재생하는 경우(스텝 S50)도, 마찬가지의 수순을 행한다. 즉, ID 모듈(5)의 유지하는 사용자 ID와 재생 관리 정보(332)에 기록된 사용자 ID가 대조되고(스텝 S51), 사용자 ID가 일치한 경우에는, 컨텐츠 ID가 ID 모듈(5)에 송신된다(스텝 S52). ID 모듈(5)에서는, 수신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가 "0"인 경우에만, 휴대형 플레이어(4)에 대하여 일시적인 재생 허락을 준다(스텝 S53).
여기서, ID 모듈(5)에서는,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의 재생 상태 플래그를 사용하여, 단 하나의 재생기기에서만 컨텐츠 데이터의 재생을 허락함으로써, 이동 동작이 가상적으로 실현된다. 또, 비디오 레코더(3)에서는,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한 비디오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6)에 카피한 후에도, HDD(33) 내에는 저비트 레이트화 하기 전의 오리지널의 컨텐츠 데이터(331a)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 이동 동작의 실행에 의한 비디오 컨텐츠의 품질 저하가 방지된다.
그리고 예를 들면 비디오 레코더(3)에 기록한 컨텐츠를 휴대형 플레이어(4)로 이동해서 재생한 후, 다시 비디오 레코더(3)로 재생 가능하게 한다는 상황은 종래에는 컨텐츠 데이터를 복수 회 이동함으로써 실현되는 것이었다. 본 실시예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서는, 실제의 컨텐츠 데이터의 1회의 이동과 ID 모듈(5)에 의한 재생 허락의 관리에 의하여, 상기와 같은 실질적인 복수회의 이동이 실현되고, 종래에는 이와 같이 이동을 반복함으로써 반드시 발생하는 컨텐츠 데이터의 품질 열화라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하, 가상 이동 대상의 재생 시의 처리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비디오 레코더(3) 측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이 재생되는 때의 비디오 레코더(3)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501〕 입력부(36)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하여, 재생하는 비디오 컨텐츠의 선택 입력을 받아들인다.
〔스텝 S502〕 선택된 비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재생 관리 정보(332)에 기술된 재생 조건을 참조하여, ID 모듈(5)로부터의 재생 허락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정한다. 필요한 경우는 스텝 S503으로 진행하고,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스텝 S512로 진행한다.
〔스텝 S503〕 선택된 비디오 컨텐츠에 대응하는 재생 관리 정보(332)로부터, 사용자 ID를 판독한다.
〔스텝 S504〕 무선 I/F(38)를 통해 접속 가능한 거리 내에 존재하는 ID 모듈(5)을 검색하고, 검색된 ID 모듈(5)에 대하여 접속을 요구한다.
〔스텝 S505〕 무선 I/F(38)는 접속 상대의 ID 모듈(5) 사이에서 상호 인증 처리를 행한다.
〔스텝 S506〕 정확하게 상호 인증을 했을 때는, ID 모듈(5) 사이에서 무선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다음에 사용자 ID의 송신을 요구하여, 이것을 수신한다.
〔스텝 S507〕 수신한 사용자 ID와 스텝 S503에서 판독한 사용자 ID를 대조하고, 이들이 일치한 경우는 스텝 S508로 진행한다. 또,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5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508〕 사용자 ID가 일치한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판독하고, ID 모듈(5)에 송신한다.
〔스텝 S509〕 ID 모듈(5)로부터의 응답을 감시하고, 스텝 S508에서 송신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가 다른 재생기기로 재생 중인 것이 통지되었 을 경우에는 스텝 S514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5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510〕 ID 모듈(5)로부터 일시적인 재생 허락이 수신된 경우에는 스텝 S511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509로 돌아와 ID 모듈(5)로부터의 응답을 감시한다.
〔스텝 S511〕 ID 모듈(5)로부터의 재생 허락에 따라, 예를 들면 비디오 컨텐츠를 암호 처리 회로(342)에 의해 복호한 후, 인코더/디코더(341)에 의해 디코드하여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처리를 개시하고, 이후, 재생 허락을 계속해서 수신함으로써 재생을 계속한다. 그리고 이 스텝 S511에 대하여는, 후의 도 12에서 설명한다.
〔스텝 S512〕 ID 모듈(5)로부터의 재생 허락이 필요하지 않은 비디오 컨텐츠에 대하여는, 그대로 재생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재생 관리 정보(332) 내의 키 정보를 사용하여 비디오 컨텐츠를 복호한 후, 또한 인코더/디코더(341)에 의해 디코드한다. 이 후, 도시하지 않지만,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재생 중지가 지시될 때까지 재생이 계속된다.
〔스텝 S513〕 사용자 ID에 의한 대조에 실패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ID 모듈(5)에 대하여 통지하여, 스텝 S514로 진행한다.
〔스텝 S514〕 접속된 텔레비전 기기의 표시 화면에, 재생 불가능인 취지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예를 들면 다른 ID 모듈에 무선 접속하여 재차 재생 허락을 요구해도 된다.
그리고 휴대형 플레이어(4)에도, 마찬가지의 처리에 의해 메모리 카드(6) 내 의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한편, 도 11은 비디오 레코더(3) 측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이 재생되는 때의 ID 모듈(5)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601〕 무선 I/F(52)를 통하여, 재생기기(여기서는 예로서 비디오 레코더(3)로 하지만, 휴대형 플레이어(4)의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로부터의 액세스를 받는다.
〔스텝 S602〕 무선 I/F(52)는 액세스를 받은 비디오 레코더(3) 사이에서 상호 인증 처리를 행한다.
〔스텝 S603〕 정확하게 상호 인증을 하면, 비디오 레코더(3)로부터의 정보를 감시하고, 사용자 ID의 송신 요구를 받으면,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에 기록되어 있는 사용자 ID를 회신한다. 그리고 복수 사용자 ID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들을 모두 비디오 레코더(3)에 송신하고, 비디오 레코더(3) 측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선택시켜도 된다.
〔스텝 S604〕 스텝 S603에서 회신된 사용자 ID를 사용하여, 비디오 레코더(3)에서는 대조 처리(도 10의 스텝 S507에 대응)가 실행되고, ID 모듈(5)에서는, 대조 결과에 따라 발행되는 정보를 감시한다. 대조에 실패한 경우에는 그 취지가 통지되고(도 10의 스텝 S513에 대응), ID 모듈(5)에서는 그 통지를 받으면, 처리를 종료한다. 또, 통지를 받지 않는 경우는 스텝 S605로 진행한다.
〔스텝 S605〕 대조에 성공한 경우에는, 등록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가 송신되고(도 10의 스텝 S508에 대응), ID 모듈(5)에서는, 컨텐츠 ID를 수 신한 경우에는 스텝 S606으로 진행하고, 수신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604로 돌아와, 비디오 레코더(3)로부터의 정보를 감시한다.
〔스텝 S606〕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를 참조하여, 스텝 S605에서 수신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가 "0"인 경우는 스텝 S607로 진행하고, "1"인 경우는 스텝 S6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607〕 재생 상태 플래그를, 재생 중을 나타내는 "1"로 변경한다.
〔스텝 S608〕 수신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의 일시적인 재생 허락을 송신한다. 이로써, 등록을 요구한 비디오 컨텐츠에 대하여, 통신 상대의 비디오 레코더(3)에서 재생이 개시된다.
〔스텝 S609〕 재생을 허락한 비디오 컨텐츠가 그 후 재생되어 계속하는지 여부를 계속적으로 감시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처리에 대하여는, 후의 도 13에 있어서 설명한다.
〔스텝 S610〕 재생 상태 플래그가 "1"인 경우, 등록을 요구한 비디오 컨텐츠가 다른 재생기기에 있어서 현재 재생 중이므로, 재생 중인 취지를 재생기기에 통지한다. 이 통지를 수신한 비디오 레코더(3)에서는, 재생 불가능인 취지를 표시한다(도 10의 스텝 S514).
이상의 도 10 및 도 11의 처리에 의하여, 비디오 레코더(3)에서는 가상 이동 대상으로 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할 수 있다. 그 후, 재생을 계속하는 동안, 비디오 레코더(3)와 ID 모듈(5) 사이의 통신은 속행되어 이하의 도 12 및 도 13의 처리가 행해진다. 한편, 현재 재생 중의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이 요구된 경우 에는, ID 모듈(5)에 의해 거부되어 비디오 컨텐츠의 저작권이 확실하게 보호된다. 이와 동시에, 사용자는 현재 재생 가능한 비디오 컨텐츠를 평상 시부터 특별히 파악하고 있을 필요가 없고, 단지 비디오 레코더(3)로부터 재생 개시를 요구하면 되므로, 편리성이 높은 가상적인 이동 동작이 실현된다.
도 12는 비디오 레코더(3)에 있어서의 재생 허락 계속 수신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701〕 재생이 허락된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가 인코더/디코더(341)에 의해 디코드되어 재생 신호가 차례로 출력된다.
〔스텝 S702〕 일정 시간(예를 들면 10초)의 경과를 감시한다. 여기서, 그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S7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703〕 재생 중의 비디오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ID 모듈(5)에 송신하고, 재생 중인 취지를 통지한다.
〔스텝 S704〕 ID 모듈(5)로부터, 재생 계속 허락을 수신한다. 이로써, 또한 일정 시간 경과후까지 재생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스텝 S705〕 스텝 S702에서의 일정 시간 경과까지의 사이에,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재생을 중지하도록 지시된 경우는 스텝 S706으로 진행하고, 지시가 없는 경우에는 스텝 S701로 돌아와, 재생 처리를 계속한다.
〔스텝 S706〕 재생의 중지를 지시한 경우에는, 재생을 중지하는 취지를 ID 모듈(5)에 대하여 통지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도 13은 ID 모듈(5)에 있어서의 계속 재생 감시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 차트이다.
〔스텝 S801〕 무선 I/F(52)를 통하여, 재생기기(여기서는 비디오 레코더(3)로부터의 정보를 감시하고, 재생 중인 것의 통지를 받았을 경우(도 12의 스텝 S703에 대응)는 스텝 S802로 진행한다. 이때 동시에, 재생 중의 비디오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ID도 수신한다. 또, 그와 같은 통지를 받지 않은 경우는 스텝 S804로 진행한다.
〔스텝 S802〕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를 참조하여, 수신한 컨텐츠 ID가 존재하고, 또한 재생 상태 플래그가 "1"인 것을 확인한다.
〔스텝 S803〕 통신 앞의 비디오 레코더(3)에 대하여 재생 계속 허락을 송신한다. 이 재생 계속 허락을 수신한 비디오 레코더(3)에서는, 그 후에 다시 재생 계속 허락을 요구할 때까지,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을 계속하는 것이 가능해진다(도 12의 스텝 S704에 대응).
〔스텝 S804〕 비디오 레코더(3)로부터, 재생 중지의 통지를 수신한 경우에는 스텝 S806으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805로 진행한다.
〔스텝 S805〕 일정 시간의 경과를 감시하고, 그 시간이 경과했을 때 비디오 레코더(3)로부터 어떤 정보도 수신하지 못한 경우에는, 재생이 중지된(또는 비디오 레코더(3)와 ID 모듈(5)와의 거리가 떨어진) 것으로 판단되므로, 스텝 S806으로 진행한다. 또, 그렇지 않은 경우는 스텝 S801로 돌아와, 비디오 레코더(3)로부터의 정보를 감시한다.
〔스텝 S806〕 재생 중으로 되어 있던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 그를 "0"으로 되돌린다.
이상의 도 12 및 도 13의 처리에 의하여, 비디오 레코더(3)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ID 모듈(5)로부터 재생 계속 허락을 수신함으로써, 가상 이동 대상의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을 계속할 수 있다. 또, 재생이 계속되는 사이, ID 모듈(5)의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에서는,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가 "1"로 되어 다른 재생기기에 의한 재생 요구가 거부되어 가상적인 이동 동작이 실현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도 12 및 도 13에서는, ID 모듈(5)이 재생기기에서의 재생 동작을 항상 감시하고 있었지만, 이 외에, 가상 이동 대상의 재생 허락을 최초에 요구하였을 때, 그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시간과 동등 또는 그보다 긴 시간만큼 재생을 허락하고, 그 사이는 다른 재생기기에 대하여 재생 허락을 주지 않도록 해도 된다.
그런데 상기의 도 10 및 도 11에서는, 비디오 레코더(3) 측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이 재생될 때의 처리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재생을 위한 조작 입력은 ID 모듈(5)에 있어서 행해져도 된다.
도 14는 ID 모듈(5) 측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이 재생되는 경우의 ID 모듈(5)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901〕 입력부(53)를 통한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의해 가상 이동 대상의 재생 요구를 하면, 제어부(51)는 무선 I/F(52)를 통해 접속 가능한 거리 내에 존재하는 재생기기를 검색하고, 검색된 재생기기에 대하여 접속을 요구한다. 그리고 복수의 재생기기가 검색되었을 경우에는, 접속 가능한 재생기기의 일람을 표시 부(54)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한 선택 입력을 받아들이도록 하면 된다.
〔스텝 S902〕 무선 I/F(52)는 접속 상대의 재생기기 사이에서 상호 인증 처리를 행한다.
〔스텝 S903〕 상호 인증이 정확하게 행해진 경우에는, 접속 상대의 재생기기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의 일람을 나타내는 컨텐츠 ID의 리스트를 요구한다. 요구를 받은 재생기기는 자체의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를 검색하여, 그들의 컨텐츠 ID의 리스트를 회신한다. ID 모듈(5)은 그 리스트를 수신한다.
〔스텝 S904〕 수신한 컨텐츠 ID 중,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에 존재하고, 또한 재생 상태 플래그가 "0"인 것의 비디오 컨텐츠 이름을 표시부(54)에 일람표시한다.
〔스텝 S905〕 표시된 비디오 컨텐츠의 중으로부터 재생시키는 것을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에 의한 선택 입력을 입력부(53)를 통해 받아들인다.
〔스텝 S906〕 선택 입력에 따른 컨텐츠 ID와 대응하는 사용자 ID를 재생기기에 송신한다. 이들 정보를 수신한 재생기기는,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관리 정보(332)로부터 사용자 ID를 판독하고, 수신한 사용자 ID와 대조하여, 대조 결과를 ID 모듈(5)에 회신한다.
〔스텝 S907〕 재생기기로부터의 대조 결과를 수신하고, 대조에 성공하고 있었을 경우는 스텝 S908로 진행하고, 실패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스텝 S911로 진행한다.
〔스텝 S908〕 대조에 성공하고 있었을 경우, 스텝 S906에서 송신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를 "1"로 변경한다.
〔스텝 S909〕 재생기기에 대하여 재생 허락을 송신한다. 이로써, 사용자가 지정한 비디오 컨텐츠가 재생기기에 있어서 재생된다.
〔스텝 S910〕 도 13에서 나타낸 처리와 마찬가지의 계속 재생 감시 처리가 실행되고, 이로써 재생기기에서의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이 계속된다.
〔스텝 S911〕 스텝 S907에서 대조에 실패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지정된 비디오 컨텐츠가 재생 불가능인 취지를 표시부(54)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스텝 S912〕 사용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따라, 다른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하기 위한 처리를 계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계속하는 경우는 스텝 S904로 복귀하고, 계속하지 않는 경우는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ID 모듈(5) 측에서의 사용자 조작에 의하여, 무선 접속된 재생기기 상의 가상 이동 대상을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사용자는 예를 들면, ID 모듈(5)의 표시부(54)에 있어서,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한 비디오 컨텐츠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재생 가능한 비디오 컨텐츠를 평상 시는 특별히 파악하고 있을 필요가 없어,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에, 재생 장치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가상 이동 대상으로부터 복귀시키기 위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가상 이동 대상으로부터 복귀시킬 때의 비디오 레코더(3)에 있어서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다.
〔스텝 S1001〕 입력부(36)로부터의 사용자의 입력 조작에 의하여, HDD(33)내의 가상 이동 대상으로 된 비디오 컨텐츠 중, 가상 이동 대상으로부터 복귀시키는 것의 선택을 받아 등록해제 처리를 개시하기 위한 지시 입력을 받는다.
〔스텝 S1002〕 선택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관리 정보(332)에 부가된 사용자 ID를 판독한다.
〔스텝 S1003〕 무선 I/F(38)를 통해 접속 가능한 거리 내에 존재하는 ID 모듈(5)을 검색하고, 검색된 ID 모듈(5)에 대하여 접속을 요구한다.
〔스텝 S1004〕 무선 I/F(38)는 접속 상대의 ID 모듈(5) 사이에서 상호 인증 처리를 행한다.
〔스텝 S1005〕 정확하게 상호 인증을 했을 때는, ID 모듈(5) 사이에서 무선 통신 링크를 확립하고, 다음에 사용자 ID의 송신을 요구하여, 이것을 수신한다.
〔스텝 S1006〕 수신한 사용자 ID와 스텝 S1002에서 판독한 사용자 ID를 대조하고, 이들이 일치한 경우는 스텝 S1007로 진행한다. 또,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스텝 S1010으로 진행한다.
〔스텝 S1007〕 대조가 성공한 일의 통지와 등록해제를 요구하는 컨텐츠 ID를 ID 모듈(5)에 송신한다.
ID 모듈(5)은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1)를 참조하고, 수신한 컨텐츠 ID에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가 "0"인 경우에 등록해제가 가능한 것으로 판단하고, 해당 컨텐츠 ID를 소거하여 등록을 해제하고, 등록해제 허락을 비디오 레코더(3)에 송신한다. 또, 재생 상태 플래그가 "1"인 경우에는, 이 비디오 컨텐츠가 현재 다른 재생기기로 재생 중이므로, 등록해제가 불가능인 것을 비디오 레코더(3)에 통지한다.
〔스텝 S1008〕 비디오 레코더(3)는 ID 모듈(5)로부터 등록해제의 허락을 받았을 경우에는, 스텝 S1009로 진행한다. 또, 등록해제가 불가능인 취지가 통지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S1011로 진행한다.
〔스텝 S1009〕 등록해제의 허락을 받았을 경우는, ID 모듈(5)로부터의 항구적인 재생 허락을 얻을 수 있게 되어, 해제할 대상으로 선택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관리 정보(332)로부터 사용자 ID를 소거하고, ID 모듈(5)로부터 재생 허락을 받지 않고 재생이 가능하도록, 가상 이동 대상으로부터 복귀시킨다. 예를 들면, 재생 허락없이 재생이 가능하도록 재생 관리 정보(332) 내의 재생 조건을 재기입한다. 또, ID 모듈로부터 키 정보 또는 그 일부를 수신하여, 해당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일단 복호하고, HDD(33)의 디바이스 ID 등, ID 모듈(5)과 관계가 없는 정보를 키 정보로서 사용하여 다시 암호화해도 된다.
〔스텝 S1010〕 사용자 ID의 대조에 실패한 경우에는, 그 취지를 ID 모듈(1010)에 통지하고, 스텝 S1011로 진행한다.
〔스텝 S1011〕 등록의 해제가 불가능인 것을 표시시켜, 사용자에게 통지한 후, 처리를 종료한다.
그리고 이상의 처리에서는, 재생기기 측에서의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가상 이동 대상으로부터 복귀하는 처리가 실행된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으나, ID 모듈(5) 측에서의 사용자의 조작 입력에 따라 복귀시키는 경우도 가능하다.
여기서, 도 8로 돌아와, 가상 이동 대상으로부터 복귀시켰을 때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상 이동 대상으로 된 컨텐츠 데이터(331a)는 예를 들면 메모리 카드(6) 등의 기록 용량의 작은 기록 매체에 카피될 때는 저비트 레이트화된 컨텐츠 데이터(331b)가 카피된다. 그러나 비트 레이트 변환을 하고 있지 않은 오리지널의 컨텐츠 데이터(331a)나 원래의 재생기기(비디오 레코더(3)로부터 소거되지 않고, 이 후에 전술한 복귀 처리를 행함으로써, 원래와 같이 ID 모듈(5)로부터의 재생 허락을 받지 않고 재생 가능한 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상적인 이동을 행한 후도, 복귀 시에는 오리지널의 품질 저하가 없는 데이터를 원래대로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복귀 시는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 자체의 전송을 하지 않기 때문에, 그 처리 시간도 짧아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제1 처리예)에서는, 이동 동작에 따른 데이터 전송 시간의 길이나 품질 저하라는 문제가 개선되는 동시에, 재생 가능한 컨텐츠의 관리를 특별히 사용자가 인식할 필요가 없어지므로, 사용자에 의해 편리성이 높은 이동 동작이 실현된다.
<제2 처리예>
도 16은 제2 처리예를 적용한 경우의 컨텐츠 재생 시스템에서 이동 시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에 나타낸 제2 처리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제1 처리예와 마찬가지로, 가상적인 이동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비디오 레코더(3)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하여 등록하는 수순(스텝 S60)을 행하고, 그 후에 각 재 생기기(여기서는 비디오 레코더(3) 및 휴대형 플레이어(4))에 있어서 ID 모듈(5)로부터 일시적인 재생 허락을 취득하여 가상 이동 대상을 재생한다(스텝 S70 및 S80).
여기서, 제1 처리예와의 차이는 가상 이동 대상의 등록 시에는, 컨텐츠 데이터(331a)의 재생 관리 정보(332)에 사용자 ID를 부가하는(스텝 S61) 만큼으로, 컨텐츠 ID를 ID 모듈(5)에 등록하지 않는 점이다. 그러므로 ID 모듈(5)이 불휘발성 메모리(55) 내에 유지하는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2)에는, 사용자 ID에 대하여 재생 상태 플래그만이 대응 지을 수 있다.
이와 같은 등록 방법은 재생기기가 HDD와 같이 분리 불가능한 기록 매체를 구비하고, 그 기록 매체 내의 모든 디지털 컨텐츠를 1개의 사용자 ID를 사용하여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하는 경우 등에 적용되는 것으로, 컨텐츠마다의 재생 상태의 관리를 행하지 않고 재생기기마다의 관리에 특화함으로써, 관리를 위한 처리를 간략화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은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2)를 사용하여, 각 재생기기의 디지털 컨텐츠를 관리하는 경우에는, 한 번 가상 이동 대상으로 하여 등록한 디지털 컨텐츠는 복귀시킬 수가 없다.
단, 이 후에 복귀의 요구가 있는 디지털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ID 모듈(5)에서 유지하고 계속하는 것으로, 복귀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복귀한 디지털 컨텐츠의 컨텐츠 ID는 ID 모듈(5)의 불휘발성 메모리(55) 내에 있어서, 복귀 컨텐츠 리스트(553)에 관리된다.
즉, 재생기기는 ID 모듈(5) 사이에서 사용자 ID의 대조가 성공된 후, 가상 이동 대상으로부터 복귀시키는 디지털 컨텐츠의 컨텐츠 ID를 ID 모듈(5)에 통지한다. ID 모듈(5)은 재생 상태 관리 플래그에 따라, 이 디지털 컨텐츠가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는, 컨텐츠 ID를 복귀 컨텐츠 리스트(553)에 기록하여, 재생기기에 대하여 등록해제를 허락한다. 이로써, 디지털 컨텐츠는 ID 모듈(5)로부터의 재생 허락을 받지 않아도 재생 가능한 상태로 복귀한다. 또, 복귀 컨텐츠 리스트(553) 내의 컨텐츠 ID는 이후, 그에 대응하는 디지털 컨텐츠가 재차 가상 이동 대상으로서 등록될 때까지 항상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안 된다.
또, 도 16을 참조하여, 이와 같은 관리 방법이 채용된 경우의 재생 시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비디오 레코더(3) 내의 가상 이동 대상으로 된 컨텐츠 데이터(331a)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비디오 레코더(3)와 ID 모듈(5) 사이에서 무선 통신 채널을 확립한 후, ID 모듈(5)이 유지하는 사용자 ID와 컨텐츠 데이터(331a)에 대응하는 재생 관리 정보(332)에 기록된 사용자 ID가 대조된다(스텝 S71).
그리고 이들 사용자 ID가 일치한 경우에는, 비디오 레코더(3)는 컨텐츠 데이터(331a)의 컨텐츠 ID를 ID 모듈(5)에 송신한다(스텝 S72). ID 모듈(5)은 복귀 컨텐츠 리스트(553)를 참조하여, 수신한 컨텐츠 ID가 그 중에 기록되어 있지 않고, 또한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2) 내의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가 "0"인 경우에, 비디오 레코더(3)에 대하여 일시적인 재생 허락을 준다(스텝 S73). 또 이때, 재생 상태 관리 리스트(552)의 대응하는 재생 상태 플래그를 "1"로 한다. 이로써, 비디오 레코더(3) 내의 컨텐츠 데이터(331a)가 재생되면 모두, 다른 재생기기에서는 같은 디지털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불가능으로 된다.
그리고 휴대형 플레이어(4)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의 처리(스텝 S81~S83)를 하는 것으로, 메모리 카드(6) 내의 컨텐츠 데이터(331b)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의 제2 처리예에서는, 디지털 컨텐츠의 가상적인 이동 동작을 재생기기 단위로 관리하는 경우에 매우 적합하고, 제1 처리 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동 동작에 따른 문제점이 해소되어 사용자에 의해 편리성이 높은 이동 동작이 실현된다.
그리고 이상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상 이동 대상의 ID 모듈로의 등록 시에, ID 모듈측이 유지하는 키 정보에 의해 비디오 컨텐츠를 암호화한 경우에는, 이 비디오 컨텐츠를 메모리 카드 등의 다른 기록 매체에 카피할 때, 이대로는 저비트 레이트화를 위한 재인코드를 할 수 없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도 비디오 레코더를 ID 모듈에 일단 접속하고, 허락을 받도록 하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비디오 레코더에 접속하여 사용자 ID의 대조에 성공한 경우, 또는 대조 후에 또한 대상이 되는 컨텐츠 ID를 ID 모듈(5)에 송신하여 재생 중으로 판정되지 않은 경우에, ID 모듈(5)로부터 허락을 받으면 모두, 복호 키를 취득하여 비디오 컨텐츠의 데이터를 복호한다. 또한, 디코더에 의해 신장 복호화 한 후, 소정의 비트 레이트로 되도록 압축 부호화하고, ID 모듈로부터의 암호 키 등으로 암호화 하고 나서, 메모리 카드 등에 전송한다. 이때, 암호화된 비디오 컨텐츠에는, 원래의 비디오 컨텐츠에 부가되어 있던 사용자 ID가 부가된다. 이로써, 비디오 컨텐츠를 카피한 메모리 카드를, 비디오 레코더와 같은 가상적인 이동 제어 기능을 구비하는 다른 플레이어에 장착하고, ID 모듈과 접속하여 메모리 카드 내의 비디오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이상의 각 실시예에서는, 기록 매체에 기록된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이나 다른 기록 매체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한 재생기기의 일례로서, 디지털 방송의 수신 및 녹화가 가능한 비디오 플레이어에 대하여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디지털 컨텐츠의 기록 재생기기 및 재생기기의 모두에게 적용할 수 있다. 또, 디지털 컨텐츠로서, 비디오 컨텐츠만이 아니라, 오디오 컨텐츠, 텍스트 컨텐츠 등, 다양한 것이 생각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컨텐츠의 데이터의 카피나, 장착된 이동 가능형의 기록 매체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통신 I/F를 통해 접속된 다른 재생기기의 기록 매체에 대하여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매체 상의 컨텐츠를 다른 기록 매체로 이동한 경우에도 원래의 컨텐츠의 데이터가 소거되지 않고, 이 컨텐츠가 원래의 기록 매체로 이동되었을 때 원래의 컨텐츠의 품질을 떨어뜨리는 일 없이 재생할 수 있다. 또는, 다른 기록 매체에 가상적으로 이동하여, 이 컨텐츠가 복수의 정보 재생 장치에 기록하여 어느 1개를 재생 가능할 때, 원래의 컨텐츠의 품질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컨텐츠의 이동을 복수 회 행한 경우에도, 원래의 컨텐츠의 품질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한 번 다른 기록 매체로 이동한 컨텐츠를 원래의 기록 매체로 되돌리는 경우 등에, 컨텐츠의 데이터를 전송할 필요가 없어져, 이동 처리의 시간 이 단축되어 사용자의 편리성이 향상시킨다.
또한, 정보 재생 장치의 외부에 컨텐츠의 재허락을 관리하는 정보 관리 장치를 설치한 경우에는, 정보 재생 장치 내의 컨텐츠를 재생 불가능 상태로 된 때, 정보 관리 장치와 통신하여, 다른 정보 재생 장치로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만, 그 컨텐츠의 재생이나 복귀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가상적으로 기록 매체 사이에서 이동시킨 컨텐츠 중, 어떤 것이 현재 재생 가능한지에 대하여 사용자가 항상 파악하고 있을 필요가 없어져, 사용자는 재생기기와 정보 관리 장치를 통신에 의해 접속하는 만큼으로, 그 재생기기에서 컨텐츠를 재생시키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의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Claims (35)

  1.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1개 이상의 정보 재생 장치와, 상기 정보 재생 장치와 통신하여 정보 재생 장치에서 컨텐츠의 재생 허락을 관리하는 정보 관리 장치를 이용하여, 저작권 보호된 컨텐츠의 재생의 가부(可否)를 관리하기 위한 정보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재생 관리 수단이,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에 대한 무효화 요구를 접수하면, 해당 컨텐츠를 재생 불능 상태로 하여 상기 정보 재생 장치 내의 재생 관리 정보에 등록하는 무효화 스텝과,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재생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컨텐츠 중 재생 불능 상태가 아닌 것에 대한 재생 요구를 접수하면,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허가하는 제1 재생 처리 스텝과,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재생 관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기록 매체의 컨텐츠 중 재생 불능 상태인 것에 대한 재생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의 재생 허락을 요구하는 재생 허락 요구 스텝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이, 상기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의 컨텐츠의 재생 허락 요구를 접수하면, 해당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재생을 허락하기 위한 일시 허락 정보를 회신하는 일시 허락 송신 스텝과,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이,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의 상기 일시 허락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록 매체 내의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허가하는 제2 재생 처리 스텝
    을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화 스텝에서는,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이,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으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재생 관리 정보에 대하여, 재생 불능 상태로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는 동시에,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이, 송신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재생 상태 관리 정보에 등록하는, 정보 관리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 처리 스텝에서는, 또한 상기 재생 관리 정보에 있어서 재생 허락을 요구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일치한 경우에,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허가하는, 정보 관리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허락 송신 스텝에서는, 재생 허락 요구를 접수한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지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마다 관리하는, 정보 관리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무효화 스텝에서는, 또한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이, 재생 불능 상태로 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고,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이, 수신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에 관련지어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정보에 등록하는, 정보 관리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허락 송신 스텝에서는, 재생 허락 요구를 접수한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지 여부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마다 관리하는, 정보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이, 재생 불능 상태로 된 상기 기록 매체 내의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귀 요구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는 복귀 요구 스텝과,
    상기 정보 관리 장치의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이, 컨텐츠에 대한 상기 복귀 요구를 수신하면, 해당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락 정보를 회신하는 재생 허락 송신 스텝과,
    상기 정보 재생 장치의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이, 상기 재생 허락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기록 매체 내의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 불능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재생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무효화 해제 스텝을 더 포함하는, 정보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허락 송신 스텝에서는, 상기 복귀 요구의 대상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를 복귀 컨텐츠 정보에 등록하고,
    상기 일시 허락 송신 스텝에서는, 재생 허락 요구의 대상의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이 아니고, 또한, 해당 컨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가 상기 복귀 컨텐츠 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일시 허락 정보를 회신하는, 정보 관리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재생 처리 스텝에서는, 또한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정기적으로 액세스하여 상기 일시 허락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컨텐츠의 재생이 계속되는, 정보 관리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허락 송신 스텝에서 송신되는 상기 일시 허락 정보는,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시간과 동등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시간보다 긴 시간만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허락하는 정보인, 정보 관리 방법.
  11.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의 재생 허락을 관리하는 정보 관리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에 대한 무효화 요구를 접수하면, 해당 컨텐츠를 재생 불능 상태로서 재생 관리 정보에 등록하는 재생 관리 수단과,
    상기 기록 매체 내의 컨텐츠의 재생 요구를 접수하면, 상기 재생 관리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컨텐츠가 재생 불능 상태가 아닌 경우에는 재생을 허가하고, 재생 불능 상태인 경우에는,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대하여 해당 컨텐츠의 재생 허락을 요구하여, 재생을 일시적으로 허락하는 일시 재생 허락을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때에, 상기 기록 매체 내의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허가하는 재생 제어 수단
    을 구비하는 정보 재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은, 재생 허락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상기 기록 매체 내의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 불능 상태를 해제하도록 상기 재생 관리 정보를 갱신하는, 정보 재생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은, 상기 무효화 요구를 접수한 때,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취득하고, 상기 재생 관리 정보에 대하여, 재생 불능 상태로 된 컨텐츠를 식별하는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기록하고,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재생 불능 상태의 컨텐츠의 재생 요구를 접수한 경우에, 재생 요구 대상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에 대응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와,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가 일치하고, 또한, 상기 일시 재생 허락을 수신한 경우에,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일시적으로 허가하는, 정보 재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관리 수단은, 상기 무효화 요구를 접수한 때, 재생 불능 상태로 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송신하고, 해당 컨텐츠 식별 정보와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관련지어 등록시키는, 정보 재생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상기 일시 재생 허락을 수신한 뒤,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정보 관리 장치에 정기적으로 액세스하여 상기 일시 허락 정보를 더 수신함으로써 컨텐츠의 재생을 계속시키는, 정보 재생 장치.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일시 허락 정보는,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시간과 동등하거나 또는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시간보다 긴 재생 허가 시간 내만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허락하는 정보이고,
    상기 재생 제어 수단은, 상기 일시 재생 허락을 수신한 뒤, 상기 재생 허가 시간이 경과한 때에, 해당 컨텐츠의 재생을 불허가로 하는, 정보 재생 장치.
  17. 기록 매체에 기록된 컨텐츠를 재생하는 1개 이상의 정보 재생 장치에 대한 컨텐츠의 재생 허락을 관리하는 정보 관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보 재생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수단과,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 불능 상태로 된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락 요구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해당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만, 일시적으로 재생을 허락하기 위한 일시 허락 정보를 회신하는 재생 상태 관리 수단
    을 구비하는 정보 관리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은,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가 재생 불능 상태로 된 때에,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해당 정보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동시에, 송신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재생 상태 관리 정보에 등록하고,
    상기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재생 허락 요구를 수신한 때에, 요구 대상의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지 여부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마다 판정하는, 정보 관리 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은,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컨텐츠가 재생 불능 상태로 된 때에,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해당 정보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동시에, 재생 불능 상태로 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해당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와 송신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관련지어 재생 상태 관리 정보에 등록하고,
    상기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재생 허락 요구를 수신한 때에, 요구 대상의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지 여부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마다 판정하는, 정보 관리 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은, 또한,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재생 불능 상태로 된 컨텐츠를 재생 가능하게 하기 위한 복귀 요구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해당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면, 해당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만, 해당 컨텐츠에 대한 재생 허락 정보를 회신하는, 정보 관리 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은,
    재생 관리 대상에 등록하는 컨텐츠의 지시를 받아, 사용자를 식별하는 사용 자 식별 정보를 상기 통신 수단을 통하여 해당 정보 재생 장치에 송신하는 동시에, 재생 불능 상태로 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해당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수신한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와 송신한 상기 사용자 식별 정보를 관련지어 재생 상태 관리 정보에 등록하고,
    상기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재생 허락 요구를 수신한 때에, 요구 대상의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지 여부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마다 판정하고,
    상기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 상기 복귀 요구를 수신한 때에, 요구 대상의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인지 여부에 대하여,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마다 판정하고, 재생 중이 아닌 경우에는, 해당 컨텐츠에 대한 상기 재생 허락 정보를 회신하는 동시에, 대응하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를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정보로부터 삭제하는, 정보 관리 장치.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은,
    상기 복귀 요구를 수신한 때에는, 그 대상의 컨텐츠를 나타내는 컨텐츠 식별 정보를 복귀 컨텐츠 정보에 등록하고,
    상기 재생 허락 요구를 수신한 때에는, 그 대상의 컨텐츠가 다른 상기 정보 재생 장치에서 재생 중이 아니고, 또한, 해당 컨텐츠를 나타내는 상기 컨텐츠 식별 정보가 상기 복귀 컨텐츠 정보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일시 허락 정보를 회신하는, 정보 관리 장치.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 상태 관리 수단은, 상기 일시 허락 정보를 송신한 뒤, 일정 시간 마다 송신처의 상기 정보 재생 장치로부터의 상기 재생 허락 요구를 감시하고,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컨텐츠의 재생을 불허가로 하는, 정보 관리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KR1020050052548A 2004-06-18 2005-06-17 정보 관리 방법,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관리 장치 KR1011196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81371 2004-06-18
JP2004181371A JP4438527B2 (ja) 2004-06-18 2004-06-18 情報管理方法、情報再生装置および情報管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9632A KR20060049632A (ko) 2006-05-19
KR101119688B1 true KR101119688B1 (ko) 2012-03-15

Family

ID=34858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2548A KR101119688B1 (ko) 2004-06-18 2005-06-17 정보 관리 방법,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관리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270811B2 (ko)
JP (1) JP4438527B2 (ko)
KR (1) KR101119688B1 (ko)
CN (1) CN100479046C (ko)
DE (1) DE102005028207A1 (ko)
GB (1) GB2415525B (ko)
TW (1) TW20061416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24320A (ja) * 2004-07-09 2006-01-26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053074B2 (ja) * 2004-09-29 2008-02-27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装置及び方法
US20060143132A1 (en) * 2004-11-30 2006-06-29 Valenti William L Method and apparatus to enable a market in used digital content
JP2006185016A (ja) * 2004-12-27 2006-07-13 Hitachi Ltd コンテンツ移動制御装置及び方法
JP4566060B2 (ja) * 2005-05-02 2010-10-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映像記録システム
JP4769513B2 (ja) 2005-08-15 2011-09-07 キヤノン株式会社 再生制御方法及び再生制御装置
CN101199013A (zh) * 2005-12-28 2008-06-11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内容数据记录再现装置
US8671452B2 (en) 2006-01-26 2014-03-11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oving rights object from one device to another device via server
US20070189711A1 (en) * 2006-01-30 2007-08-16 Ash Noah B Device and method for data exchange between content recording device and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JP4584176B2 (ja) * 2006-04-07 2010-11-1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転送システム、携帯型情報処理装置、情報転送方法、情報転送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7329833A (ja) 2006-06-09 2007-12-20 Sony Corp 情報処理システム、記録再生装置、再生端末、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336094A (ja) * 2006-06-13 2007-12-27 Canon Inc 視聴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視聴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JP4293213B2 (ja) * 2006-09-11 2009-07-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8067333A (ja) * 2006-09-11 2008-03-21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785687B2 (ja) 2006-09-15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映像制御装置及びその方法
JP4270252B2 (ja) * 2006-09-15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ダウンロード方法、ダウンロード中断方法、ダウンロード再開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90179170A1 (en) * 2006-10-09 2009-07-16 Bassett H Eugene Semispherical Valve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and Pumps
JP4896161B2 (ja) * 2007-02-08 2012-03-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情報記録再生方法、情報記録再生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ピュータに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8234354B2 (en) 2007-03-09 2012-07-3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ile transfer method and file transfer system
US20080263648A1 (en) * 2007-04-17 2008-10-23 Infosys Technologies Ltd. Secure conferencing over ip-based networks
JP5140888B2 (ja) * 2007-11-05 2013-02-13 Kddi株式会社 デジタルデータ再生装置
US8166508B2 (en) 2008-01-04 2012-04-24 Apple Inc. Content rental system
US8677430B2 (en) * 2008-01-04 2014-03-18 Apple, Inc. Content rental system
US20090232481A1 (en) * 2008-03-11 2009-09-17 Aaron Baalberge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content playback
US8584025B2 (en) * 2008-05-02 2013-11-1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irtual world teleportation
KR101370340B1 (ko) * 2008-10-30 2014-03-06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및 그 소프트웨어 활성화 방법
WO2010073737A1 (ja) * 2008-12-26 2010-07-01 シャープ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および情報記録媒体
US20120124674A1 (en) * 2009-06-03 2012-05-17 Pioneer Corporation Right management apparatus, right management program, and content playback system
JP2011139337A (ja) * 2009-12-28 2011-07-14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コンテンツ複製方法
JP5012944B2 (ja) * 2010-04-12 2012-08-29 富士通株式会社 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方法及び装置
JP5874200B2 (ja) * 2011-05-27 2016-03-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05482B2 (ja) * 2011-10-24 2014-05-28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制御装置
CN102938853B (zh) * 2012-10-12 2016-06-15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数字电视中视频文件的播放方法及装置
CN102984148A (zh) * 2012-11-23 2013-03-20 华为技术有限公司 内容访问控制的方法、装置和系统
KR20180060804A (ko) * 2016-11-29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전자장치의 제어방법 및 기록매체
CN109996020B (zh) * 2017-12-29 2021-08-1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视频录制方法及装置
US11663300B2 (en) * 2020-10-09 2023-05-30 Capital One Service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localized file transfer with file degrad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207A (ko) * 1999-10-29 2001-05-15 이데이 노부유끼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90669A (ko) * 2000-04-10 2001-10-19 윤동현 인터넷을 통한 다중모드음악 시스템 및 그 판매방법
US20040097143A1 (en) * 2002-09-27 2004-05-20 Shiro Iwasaki Content-transmitting apparatus, content-receiving apparatus, content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method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35236B1 (fr) 1995-06-09 1997-09-19 Bertin & Cie Procede et dispositif de determination du pouvoir calorifique d'un gaz par voie optique
JPH1133795A (ja) 1997-07-18 1999-02-09 Aida Eng Ltd プレス機械
JP4022976B2 (ja) 1998-03-06 2007-12-19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システム
JPH11259971A (ja) 1998-03-10 1999-09-24 Sony Corp ダビングシステム、ダビング方法
JPH11328851A (ja) 1998-05-19 1999-11-30 Sony Corp 端末装置及び再生方法
JPH11328033A (ja) 1998-05-20 1999-11-30 Fujitsu Ltd ライセンス委譲装置
JP3835655B2 (ja) * 1998-06-09 2006-10-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信号再生装置、情報信号処理装置、情報信号再生方法および情報信号出力方法
JP4749522B2 (ja) 1999-03-26 2011-08-17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00272063A (ja) * 1999-03-23 2000-10-03 Asahi Chem Ind Co Ltd 多層延伸フィルム
JP3773697B2 (ja) 1999-04-09 2006-05-10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メディア固有化情報を移動可能にする情報記録方法
EP1045388A1 (en) 1999-04-16 2000-10-18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egal usage of multimedia content
EP1045386B1 (en) 1999-04-16 2007-12-19 Deutsche Thomson-Brandt Gmbh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illegal use of multimedia content
JP4329181B2 (ja) 1999-09-29 2009-09-09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DE10005923C2 (de) 2000-02-10 2002-06-27 Draeger Safety Ag & Co Kgaa Infrarotoptische Gasmessvorrichtung und Gasmessverfahren
JP4310879B2 (ja) * 2000-02-23 2009-08-12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並びに、コンテンツの再生要求装置及び一時再生装置
JP2001236261A (ja) 2000-02-24 2001-08-31 Mitsubishi Electric Corp 構造化文書閲覧システム及び構造化文書閲覧方法及びサーバ装置及び閲覧装置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及びプロキシサーバ装置
JP3281920B2 (ja) * 2000-03-14 2002-05-13 東北大学長 アリルフラン化合物の製造方法
JP2002150165A (ja) * 2000-09-01 2002-05-24 Sony Computer Entertainment Inc コンテンツの料金管理方法および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2002108827A (ja) * 2000-10-03 2002-04-12 Ntt Docomo Inc コンテンツの提供方法、提供側設備、及び使用側設備
JP2002269913A (ja) * 2001-03-08 2002-09-20 Pioneer Electronic Corp 情報再生装置及び情報再生方法
JP3678164B2 (ja) 2001-04-13 2005-08-03 ソニー株式会社 データ転送システム、データ転送装置、データ記録装置、データ転送方法
JP2002334559A (ja) 2001-05-11 2002-11-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記録媒体、情報管理装置および著作権保護方法
WO2002097693A2 (en) 2001-05-29 2002-12-0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Rights management unit
JP2003110984A (ja) 2001-09-28 2003-04-11 Toshiba Corp 記録再生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3151242A (ja) 2001-11-08 2003-05-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3323351A (ja) 2002-02-27 2003-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著作権管理システム、著作権管理方法、ホスト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JP2004087075A (ja) 2002-04-01 2004-03-18 Sony Corp 記録方法および記録装置、ならびに、編集方法
JP2003319370A (ja) 2002-04-25 2003-11-07 Oki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提供方法及び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端末、コンテンツ再生装置、コンテンツ管理システム並びに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の制御用プログラム
JP2005524188A (ja) * 2002-04-25 2005-08-1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データを記録する装置、記録担体及びデータを記録する方法
JP2004005816A (ja) 2002-05-31 2004-01-08 Toshiba Corp 情報記録再生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方法
JP2004139581A (ja) 2002-09-27 2004-05-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ンテンツ送信装置、コンテンツ受信装置、コンテンツ送受信システム及びそれらの方法並びに記録媒体
GB0303639D0 (en) 2003-02-18 2003-03-19 Rolls Royce Plc A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mass flow through an engine
JP2004357275A (ja) * 2003-05-07 2004-12-16 Nec Corp 映像記録装置、記録媒体、映像記録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0483535C (zh) * 2003-06-11 2009-04-29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再现装置,方法,集成电路
KR101052746B1 (ko) * 2003-08-11 2011-08-01 소니 주식회사 정보처리장치 및 통신 방법
US20050053361A1 (en) * 2003-08-16 2005-03-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formation storage medium having data structure for being reproduced adaptively according to player profile information, apparatus for reproducing AV data in interactive mode
EP1735939A1 (en) 2004-03-29 2006-12-27 Smart Internet Technology Crc Pty Limited Digital license sharing system and method
US7222537B2 (en) 2004-07-20 2007-05-29 Martin Lehmann Method of monitoring pressure of a gas species and apparatus to do so
US7706692B2 (en) * 2004-09-29 2010-04-27 Finisar Corporation Consumer electronics with optical communication interfa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0207A (ko) * 1999-10-29 2001-05-15 이데이 노부유끼 데이터 기록재생장치 및 그 방법
KR20010090669A (ko) * 2000-04-10 2001-10-19 윤동현 인터넷을 통한 다중모드음악 시스템 및 그 판매방법
US20040097143A1 (en) * 2002-09-27 2004-05-20 Shiro Iwasaki Content-transmitting apparatus, content-receiving apparatus, content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methods,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5641B (ko) 2009-01-21
CN100479046C (zh) 2009-04-15
GB2415525A (en) 2005-12-28
KR20060049632A (ko) 2006-05-19
GB2415525B (en) 2007-12-19
JP4438527B2 (ja) 2010-03-24
GB0512305D0 (en) 2005-07-27
TW200614166A (en) 2006-05-01
US8270811B2 (en) 2012-09-18
US20050281540A1 (en) 2005-12-22
DE102005028207A1 (de) 2005-12-29
CN1767036A (zh) 2006-05-03
JP2006004543A (ja) 2006-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688B1 (ko) 정보 관리 방법, 정보 재생 장치 및 정보 관리 장치
KR101018526B1 (ko) 휴대 통신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5923753B2 (ja) 記録装置及びコンテンツ伝送システム
JP4554473B2 (ja) コンテンツサーバ装置
US20060222177A1 (en) Information network system and information apparatus
US20080310819A1 (en) Recording/Reproducing Device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JP2008034891A (ja) 暗号化コンテンツ再生装置、暗号化コンテンツ再生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8218944B2 (en) Recording/reproduction device
US20070027764A1 (en) Information managing apparatus, information managing method, and information managing system
JP4460470B2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移動方法
JP2003224822A (ja) ディジタル信号受信装置、ディジタル信号受信方法、ディジタル信号受信システム
JP4525361B2 (ja) 個人用コンテンツの配信装置
JP2008305463A (ja) 記録再生装置
JP4595361B2 (ja) コンテンツの記録・再生装置及びシステム
JP4826671B2 (ja) 情報管理方法および情報再生装置
JP2008041137A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および記録再生方法
JP2005276282A (ja) 情報記録再生装置、コンテンツ管理方法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JP5025448B2 (ja) 映像記録装置、コピー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1427202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 video data
JP2002290905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7325186A (ja) コンテンツ記録再生装置
JP5143304B2 (ja) 映像記録装置、コピー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262231A (ja) 情報記録媒体並びに情報記録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再生装置及び方法並びに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9266303A (ja) 記録再生装置、記録媒体
JP2006295515A (ja) 録画再生端末装置及び録画コンテンツの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