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91326B1 -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 - Google Patents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91326B1
KR101091326B1 KR1020040014829A KR20040014829A KR101091326B1 KR 101091326 B1 KR101091326 B1 KR 101091326B1 KR 1020040014829 A KR1020040014829 A KR 1020040014829A KR 20040014829 A KR20040014829 A KR 20040014829A KR 101091326 B1 KR101091326 B1 KR 1010913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liquid storage
liquid container
storage ba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4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897A (ko
Inventor
이시자와다쿠
세이노다케오
기무라히토토시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8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913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913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k Jet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Pack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단순한 구조로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는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액체 용기로서의 잉크 카트리지(11)는 복수의 잉크 팩(12)과, 잉크 팩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케이스(13)를 포함한다. 각 잉크 팩(12)은 백 부분상에 장착되는 잉크 공급 포트를 구비하는 잉크 출구 부재(15)를 포함한다. 용기 케이스(13)는 실질적으로 박스형 케이스 본체 부분(21)과, 개구를 커버하는 뚜껑 케이스(22)를 구비한다. 잉크 카트리지(11)에 있어서, 잉크 팩(12)은 용기 케이스(13)에 대해 각도(θ)로 경사져 있으며, 잉크 팩(12)은 잉크 팩(12)에 인접한 일부분과 중첩되는 상태로 수납된다.

Description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LIQUID CONTAINER, LIQUID EJECTION DEVICE AND LIQUID CONTAINER CASE}
도 1은 잉크 카트리지가 내부에 장착된 프린터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잉크 카트리지의 상부 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 4는 상부 케이스가 잉크 카트리지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잉크 카트리지의 하부 케이스의 사시도,
도 6은 잉크 카트리지의 전형적인 정면도,
도 7은 잉크 카트리지의 조립 방법을 설명하는 과정의 사시도,
도 8은 변형 형태로 개시된 잉크 카트리지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잉크 카트리지 12 : 잉크 팩
13 : 용기 케이스 15 : 잉크 출구 부재
16 : 백 부분 17 : 라벨
21 : 케이스 본체 부분 22 : 뚜껑 케이스
23 : 지지 부분 28 : 홈
40 : 프린터 본체 43 : 카트리지 장착 부분
44 : 돌기 부분
본 발명은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액체 분사 장치로서의 잉크젯 프린터는 잉크가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인쇄를 실행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의 프린터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기록 헤드와, 기록 헤드를 구비하는 캐리지를 포함하고 있다. 캐리지의 왕복운동 이동에 따라, 잉크가 노즐로부터 분사되어 인쇄를 실행한다. 노즐에 공급된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카트리지는 이러한 형태의 프린터에 있어서 교체가능한 액체 용기로서 제공된다.
대형 종이 시트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의 경우에, 많은 양의 잉크가 사용되어 많은 양의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카트리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잉크 카트리지가 캐리지상에 장착되어 이동되는 경우에, 상당한 정도의 부하가 구동 부분에 가해진다. 따라서, 대형 종이 시트를 인쇄하기 위한 프린터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는 캐리지상에 장착되지 않는다(이 구성을 이른바 오프 캐리지 타입(off carriage type)이라고 한다).
오프 캐리지 타입에 이용되는 잉크 카트리지는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팩과, 잉크 팩을 저장하기 위한 케이스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보다 상세하게, 잉크 팩은, 잉크 출구 포트를 구비하는 출구 부재가 적층 필름의 2개 시트 사이에 압착되고 그리고 필름의 주변부가 서로 용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케이스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며, 외측으로 돌출된 출구 부재를 구비한 잉크 팩을 저장한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20382 호 및 제 2000-296626 호 공보에 개시됨). 일본 특허 공개 제 2002-120382 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하나의 잉크 팩이 하나의 케이스에 저장된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칼라의 잉크를 포함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는 칼라의 개수에 대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칼라를 포함하는 프린터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를 제공하기 위한 공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곤란하다.
한편,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296626 호 공보에 개시된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각각 잉크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의 저장 부분을 구비하는 하나의 잉크 팩이 하나의 케이스에 수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296626 호에 개시된 잉크 팩은, 복수의 저장 부분이 필름의 2개 시트를 용접함으로써 규정되며 그리고 상이한 칼라의 잉크가 각 저장 부분에 저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제 2000-296626 호 공보의 잉크 카트리지에 있어서, 각 칼라의 잉크를 저장하는 각 저장 부분의 간격은 용접된 부분의 사이즈에 따라 결정된다. 그 결과, 잉크 카트리지의 사이즈를 더 감소시키기가 곤란하다. 상이 한 칼라의 잉크가 하나의 잉크 팩에 저장되기 때문에, 특정 칼라의 잉크가 소비되는 경우에 그 칼라의 잉크만을 교체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전체 잉크 팩을 교체해야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잉크 팩에 저장된 잉크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뤄진 것이며, 액체 용기에 저장된 액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단순한 구성으로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는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는, 액체 출구 포트를 구비하는 액체 출구 부재와, 가요성 필름 재료로 형성된 액체 저장 포트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액체 저장 백과; 액체 출구 포트가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액체 출구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한 지지 부분을 구비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를 포함한다. 적어도 4개의 액체 저장 백은,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이 액체 용기 케이스의 내부의 액체 용기 케이스의 기부를 따라서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과 중첩되게 서로로부터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인접한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공간은 액체 출구 포트의 배열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진행할 때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액체 용기 케이스의 내부는 액체 저장 백의 부분적으로 중첩하는 배열에 의해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즉, 액체 저장 백은,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이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과 중첩되어 액체 용기 케이스에 수납된다. 따라서, 액체 용기는 액체 저장 백의 중첩 부분만큼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인접한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공간은 액체 출구 포트의 배열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중앙쪽으로 진행할 때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이에 의해 각 액체 저장 백에 의해 인접한 액체 저장 백에 가해진 압력이 액체 용기내의 액체 저장 백의 위치와 상관없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각 액체 저장 백에 저장된 액체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가, 액체 출구 포트를 포함한 액체 출구 부재와, 가요성 필름 재료로 형성된 액체 저장 부분을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액체 저장 백과; 기부를 갖는 케이스 본체와, 기부에 교차하는 측벽과, 액체 출구 포트를 외측으로 노출시키도록 액체 출구 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측벽상에 형성된 지지 부분과, 기부에 대향된 개방 면과, 개방 면을 밀봉하기 위한 뚜껑 부재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를 포함한다. 적어도 4개의 액체 저장 백은,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이 액체 용기 케이스의 기부를 따라서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과 중첩된 상태로 서로로부터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인접한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공간은 액체 출구 포트의 배열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진행할 때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액체 저장 백은,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이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과 중첩된 상태로 액체 용기 케이스에 수납된다. 따라서, 액체 용기는 액체 저장 백의 중첩 부분만큼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개방 면을 밀봉하는 뚜껑 부재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에 있어서, 인접한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공간은 액체 출구 포트의 배열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중앙쪽으로 진행할 때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따라서, 인접한 액체 저장 백에 가해진 각 액체 저장 백의 압력이 액체 용기내의 액체 저장 백의 위치와 상관없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그 결과, 각 액체 저장 백에 저장된 액체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에 있어서, 각 액체 저장 백은 가요성 필름의 2개 시트의 4개 측면을 용접함으로써 형성된다. 따라서, 액체가 백내에 저장되는 경우에, 액체 저장 백은, 가요성 필름의 중앙 부분이 가장 팽창되는 스핀들과 유사하게 형성된다. 즉, 형성된 액체 저장 백과 가요성 필름의 단부에 근접한 액체 용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이 액체 저장 백의 가요성 필름의 단부의 형상에 유사하게 된다. 따라서, 액체 저장 백과 액체 용기 케이스 사이의 공간에서,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보다 많은 부분은, 액체 저장 백과 인접한 액체 저장 백 사이의 중첩부가 액체 용기 케이스의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하도록 증가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액체 용기는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액체 용기를 포함한 액체 분사 장치의 사이즈가 더 감소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 용기에서, 액체 용기 케이스는 액체 저장 백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포트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액체 출구 포트의 중앙 축이 모두 동일한 수평 평면에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의 중앙 축이 동일한 수평 평면에 있기 때문에, 각 액체 저장 백은 동일한 액체 레벨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액체 저장 백의 액체 레벨의 높이에 좌우되는 압력 수두가 균일하게 되어, 각 액체 저장 백으로부터 공급된 액체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압력을 가질 수 있다.
액체 용기에서, 액체 저장 백의 중첩 부분은 가요성 필름의 상호 용접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체 저장 백의 가요성 필름의 상호 용접 부분, 즉 액체를 저장하고 있지 않은 부분은 액체 용기내의 인접한 액체 저장 백과 중첩된다. 따라서, 액체 저장 백이 회전될지라도, 액체 저장 백은 인접한 액체 저장 백상에 영향을 덜 준다. 따라서, 액체 저장 백내의 액체는 규정된 압력으로 거의 항상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에서,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은 액체 용기 케이스의 기부에 대해서 규정된 경사 각도로 수납된다.
따라서,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은 규정된 경사 각도로 수납되며, 이에 의해 액체 저장 백과 액체 용기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서,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이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특히, 가요성 필름의 2개 시트의 4개 측면을 용접하여 형성된 스핀들과 유사하게 형성된 액체 저장 백의 경우에, 액체 저장 백의 단부의 양 측면(상부 및 하부 측면)상에서 액체 저장 백과 액체 용기 케이스 사이에 대체로 형성된 공간은 액체 저장 백을 경사지게 함으로써 하나의 큰 공간으로서 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이 보다 큰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에, 액체 저장 백과 인접한 액체 저장 백 사이의 중첩 부분이 확대되어, 액체 용기내의 공간이 더욱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에서, 액체 용기 케이스는 액체 저장 백을 규정된 각도로 경사진 자세로 유지하기에 적합한 자세 유지 부재를 구비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액체 저장 백은 자세 유지 부재에 의해 규정된 각도로 경사진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분사 장치상에 장착되기 전에,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 백의 자세가 붕괴되어, 액체 저장 백에 저장된 액체의 압력이 다른 액체 저장 백에 가해져 액체 저장 백으로부터 방출된 다른 액체의 압력을 크게 변경시킬 가능성이 거의 없다. 즉, 액체 저장 백의 자세가 유지되기 때문에, 다른 액체 저장 백의 방출 압력에 어떠한 영향을 발휘할 가능성이 거의 없어서, 액체가 규정된 압력으로 실질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에서, 자세 유지 부재가 액체 용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자세 유지 부재가 액체 용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며, 이에 의해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저렴하게 되며, 자세 유지 부재는 이동되지 않고 규정된 위치로 항상 넣어질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저장 백은 액체 용기에 쉽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에서, 역삽입 방지 부재 및/또는 오삽입 방지 부재가 제공된다. 역삽입 방지 부재는, 액체 저장 백내의 액체를 액체 분사 헤드로부터 분사하기 위한 액체 분사 장치에 액체 용기가 규정된 자세 이외의 자세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오삽입 방지 부재는, 액체 용기가 규정된 형상을 갖고 있지 않은 부적절한 액체 분사 장치내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역삽입 방지 부재가 제공되어, 규정된 자세 이외의 자세로 액체 저장 백이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오삽입 방지 부재가 제공되어, 액체 분사 장치에 적합한 액체를 저장하는 액체 저장 백을 구비하는 액체 용기가 액체 분사 장치에만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용기는 액체 분사 장치 에 잘못된 자세로 장착될 수 없으며, 액체 분사 장치에 적합하지 않은 액체 용기는 액체 분사 장치상에 장착될 수 없으며, 그 결과 규정된 액체가 액체 분사 장치의 규정된 부분에 공급되어 규정된 액체를 액체 분사 장치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에서, 역삽입 방지 부재 및/또는 오삽입 방지 부재가 액체 용기 케이스에 제공된다. 역삽입 방지 부재 및/또는 오삽입 방지 부재는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의 벽 표면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와 벽 표면 사이에 제공되며, 이에 의해 역삽입 방지 부재 및/또는 오삽입 방지 부재가 제공될지라도, 액체 용기의 사이즈는 증가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에서, 역삽입 방지 부재 및/또는 오삽입 방지 부재는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의 최외측 단부에 배치된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와 기부에 교차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의 하나의 벽 표면 사이에서 액체 용기 케이스에 제공된다.
따라서, 역삽입 방지 부재 및/또는 오삽입 방지 부재는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의 최대 하나의 벽 표면 및 기부에 교차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의 상기 하나의 벽 표면상에 배치되며, 이에 의해 역삽입 방지 부재 및/또는 오삽입 방지 부재가 제공될지라도, 액체 용기의 사이즈는 증가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는 액체 용기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부분을 구비하는 회로 기판을 포함하며, 이 회로 기판은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의 최외측 단부에 배치된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와, 기부와 교차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의 하나의 벽 표면 사이에서 액체 용기 케이스에 제공된다. 따라서, 액체 용기 케이스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되어 소형 액체 용기 케이스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에서, 역삽입 방지 부재 및/또는 오삽입 방지 부재, 및 회로 기판은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의 최외측 단부에 배치된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와, 기부와 교차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의 하나의 벽 표면 사이에서 액체 용기 케이스에 제공된다.
따라서, 역삽입 방지 부재 및/또는 오삽입 방지 부재, 및 회로 기판의 양자 또는 모두가 제공되며, 이에 의해 그 내측의 액체 저장 백에 어떠한 영향을 주지 않고 액체 용기 케이스에 필요한 기능을 효율적으로 집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액체 용기에서, 액체 저장 백은, 액체 용기 케이스에 넣어진 액체 저장 백과 함께 액체 저장 백에 저장된 액체에 관한 액체 정보를 확인하도록 액체에 관한 정보를 갖는 정보 표시 부재를 구비한다.
따라서, 액체에 관한 액체 정보는 액체 용기 케이스에 수납된 액체 저장 백과 일치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액체 용기를 액체 분사 장치에 장착하기 전에, 규정된 액체 저장 백이 액체 용기에 확실하게 넣어지는 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용기내의 규정된 액체 이외의 액체를 실수로 저장할 가능성이 적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분사 장치는 액체 용기를 수납하는 수납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액체 용기의 사이즈가 감소되며, 이에 의해 액체 용기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 부분을 포함하는 액체 분사 장치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액체 용기에서, 인접한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공간은 액체 출구 포트의 배열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중앙쪽으로 점진적으로 증가되며, 이에 의해 액체 용기에 저장된 액체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용기 케이스는 액체 출구 포트를 구비하고 가요성 필름에 부착된 출구 부재를 각각 구비하는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을 저장하기에 적합하며, 액체 용기 케이스는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이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과 중첩된 상태로 액체 저장 백을 저장하도록 출구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지지 부분을 포함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종래의 것과 동일한 체적을 갖는 액체 저장 백을 수납하는데 필요한 공간이 감소되어, 액체 용기 케이스의 사이즈가 감소되고 액체 용기의 사이즈가 감소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이 구현되는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의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체 용기로 작용하는 잉크 카트리지(11)는 직사각형 평행육면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도 4에 도시된 잉크 카트리지(11)는 액체 저장 백으로서 작용하는 복수의 잉크 팩(12)과, 잉크 팩을 저장하기 위한 용기 케이스(13)를 포함한다.
우선, 잉크 팩(12)을 설명한다. 잉크 팩(12)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출구 부재(15) 및 백 부분(16)으로 제조된다.
잉크 출구 부재(15)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그 내측에는 잉크 공급 포트(15a)가 제공되어 있다. 잉크 팩(12)에 저장된 잉크는 잉크 공급 포트(15a)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환형 홈(15b)과, 이 환형 홈(15b)에 인접하여 제공된 환형 돌기(15c)는 잉크 출구 부재(15)의 외주연 표면의 실질적으로 중앙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잉크 공급 포트(15a)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 기구를 구비하며, 이 밸브 기구는 잉크가 공급되는 경우에만 개방되며, 이에 의해 백 부분(16)내의 잉크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액체 저장 부분(16)으로서의 백 부분(16)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가스 차단 특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필름상에 알루미늄을 부착시켜서 각각 형성된 적층 필름의 2개 시트가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적층 필름의 4개 측면은 열에 의해 용접되어 백 부분을 형성한다. 보다 상세하게, 적층 필름의 2개 시트는 하나가 다른 하나상에 중첩되며, 적층 필름의 3개 측면을 용접 부분(16a, 16b, 16c)으로서 취하여 열에 의해 용접한다. 나머지 하나의 측면은 용접 부분(16d)으로서 취급하여, 그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잉크 출구 부재(15)와 함께 열로 용접하여 백형 형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잉크 팩(12)은 소프트 케이스(소위 베개 형태)와 유사하게 형성되며, 잉크는 그 내부에 봉입된 상태로 밀봉식으로 저장된다. 본 실시예의 잉크 팩(12)은 각기 동일한 외곽 형상 및 동일한 잉크 저장 용량을 가지며, 잉크 팩은 동일한 잉크 충전 양으로 충전된다.
정보 표시 부재로서의 라벨(17)은 백 부분(16)의 상부 표면에 부착되어 있다. 라벨(17)은 저장된 잉크의 양, 칼라의 정보(액체 정보에 대응함)나, 물감 또는 안료가 있는가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다.
한편, 용기 케이스(13)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팩(12)을 수납하기 위한 케이스 본체 부분(21)과, 뚜껑 케이스(22)를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부분(21)은 기부(S)(도 5 참조)와, 이 기부(S)에 교차하고 기부(S)에 대향 측면으로 개방된 측벽으로서의 전면(13a)을 구비한 실질적으로 박스 형상이다. 개방 부분은 뚜껑 케이스(22)에 의해 밀봉식으로 폐쇄되어 있다. 케이스 본체 부분(21)은 비가요성의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뚜껑 케이스(22)는 케이스 본체 부분(21)과 유사하게 비가요성의 단단한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 용기 케이스(13)의 전면(13a)은 각 잉크 출구 부재(15)를 저장하기 위한 지지 부분(23)을 구비하여 잉크 팩(12)의 잉크 공급 포트(15a)를 외측으로 노출시킨다. 지지 부분(23)은 저장된 잉크 팩(12)의 개수, 즉 본 실시예에서 6개와 동일한 개수로 제공되어 있다. 지지 부분(23)은 용기 케이스(13)의 기부(S) 및 전면(13a)에 평행한 직선 라인(L1)(도 4 참조)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지지 부분(23)은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실질적으로 중앙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각 지지 부분(23)은, 하부 반부를 구성하며 케이스 본체 부분(21)상에 장착된 하부 지지 부분(23a)과, 상부 반부를 구성하며 뚜껑 케이스(22)상에 장착된 상부 지지 부분(23b)을 포함한다. 따라서, 잉크 팩(12)의 잉크 출구 부재(15)가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하부 지지 부분(23a)상에 지지된 상태로 뚜껑 케이스(22)가 케이스 본체 부분(21)에 부착될 때, 하부 및 상부 지지 부분(23a, 23b)은 서로 정렬되어 지지 부분(23)을 형성하며, 이에 의해 잉크 팩(12)의 잉크 출구 부재(15)를 지지 및 고정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지지 부분(23a)은 반원호형 돌기(24)와, 반원호형 홈(25)을 포함하며, 이들 돌기(24) 및 홈(25)은 잉크 출구 부재(15)의 홈(15b) 및 돌기(15c)와 각각 결합된다. 상부 지지 부분(23b)은 도시되지 않은 돌기 및 도시되지 않은 홈을 구비하는 하부 지지 부분(23a)과 유사하다. 따라서, 잉크 팩(12)의 잉크 출구 부재(15)가 하부 및 상부 지지 부분(23a, 23b)에 끼워맞춰질 때, 잉크 팩(12)은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함이 없이 잉크 카트리지(11)내로 넣어진다.
지지 부분(23)이 잉크 출구 부재(15)와 결합될 때, 잉크 팩(12)중 하나의 일부분이 잉크 팩(12)중 인접한 하나의 일부분에 중첩된 상태로 잉크 팩(12)이 배치되는 위치에 지지 부분(23)이 제공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분(23) 사이의 공간(A, B, C)은 단부쪽으로 진행할 때 점진적으로 감소되어, 양 단부에서의 공간(A)은 중앙에 보다 근접한 공간(B)보다 작으며, 공간(B)은 중앙 공간(C)보다 작다. 즉, 각 지지 부분(23)은, 인접한 액체 출구 부재(15) 사이의 공간이 액체 출구 부재의 배열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중앙을 향해 진행할 때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공간(A, B, C)이 설정될 때, 각 잉크 팩(12)으로부터 배출된 잉크의 압력이 보다 균일하게 되는 것을 시험을 통해 발견했다. 그 이유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잉크 팩(12)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될 때, 단부에서의 잉크 팩(12)의 압력이 중앙으로 보다 근접하게 위치된 잉크 팩(12)의 압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중앙에 위치된 잉크 팩(12)은 단부에 위치된 잉크 팩보다 인접한 잉크 팩(12)의 압력에 의한 영향을 보다 더 받는 것으로 고려된다. 그 결과, 인접한 잉크 팩(12)에 가해진 잉크 팩(12)의 압력은 케이스 본체 부분(21)내의 잉크 팩(12)의 위치와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전면(13a)은 그 양단 부분에 인접한 위치설정 구멍(26)을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21)의 내측에는 3개의 리브(27)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리브(27)는 잉크 팩(12)의 자세를 결정하기 위한 자세 결정 수단으로서 좌측상의 전면(13a)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케이스(13)내에 넣어진 가장 좌측 잉크 팩(12)은 리브(27)를 따라 배치된다. 따라서, 잉크 팩(12)은 각 지지 부분(23)을 연결하는 직선 라인(L1)(그리고 용기 케이스(13)의 기부(S))에 대해 각도(θ)(본 실시예에 있어서 θ≒15)의 경사 자세를 유지한다. 또한, 지지 부분(23)이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높이의 실질적으로 절반의 위치에 제공되기 때문에, 각도(θ)의 경사 자세에서의 잉크 팩(12)은 뚜껑 케이스(22)상에 접촉하는 용접 부분(16a)과,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기부(S)상에 접촉하는 용접 부분(16c)을 구비한다.
또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하부 표면(13c)은 역삽입 방지 부재로서의 홈(28)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홈(28)은 기부(S)에 교차하고 리브(27) 아래의 하나의 벽 표면(M)에 근접하게 위치된다. 홈(28)은, 잉크 팩(12)이 배치되지 않고, 6개의 잉크 팩(12)의 벽 표면(M)에 가장 근접하게 위치된 잉크 팩(12)의 잉크 출구 부재(15)와 벽 표면(M)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이용하도록 형성된다. 홈(28)의 형성부는 전면(13a)으로부터 배면(13b)쪽으로 연장되고, 배면(13b)의 측면상에서 종료된다. 따라서, 전면(13a)은 홈(28)이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추가로 형성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반면에, 배면(13b)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으로 단순히 형성되어 있다(도 1 참조). 즉, 전면(13a) 및 배면(13b)은 형상이 상이하다. 또한,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배면(13b)은 뚜껑 케이스(22)와 맞물리는 맞물림 구멍(29)을 구비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28)은 오삽입 방지 부재로서 하방으로 돌출된 2개의 돌기(28a)를 구비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 돌기 부분(31)은 뚜껑 케이스(22)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 맞물림 돌기 부분(31)은 배면(13b)쪽으로 돌출된 돌기(31a)를 구비한다. 돌기 부분(31a)은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대응 맞물림 구멍(29)과 맞물리며, 이에 의해 케이스 본체 부분(21)에 뚜껑 케이스(22)를 일체식으로 고정하게 된다. 뚜껑 케이스(22)는 잉크 팩(12)의 자세를 고정시키기 위한 자세 고정 부재로서 우측상에 형성된 3개의 리브(32)를 구비한다. 리브(32)는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리브(27)와 형상이 동일하며, 이에 의해 가장 우측 측면에 넣어진 잉크 팩(12)을 규정된 각도(θ)의 경사의 자세로 유지한다.
잉크 카트리지(11)가 장착가능한 프린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린터 본체(40)는 화살표(X)의 방향으로 왕복이동하는 캐리지(41)를 구비한다. 캐리지(41)의 하부 표면은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는 액체 분사 헤드로서의 기록 헤드(42)를 구비한다.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은 프린터 본체(40)의 정면의 하나의 측면상에 제공된다. 저장 부분으로서의 잉크 카트리지(11)가 그 내로 삽입되는 삽입 개구(43a)는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상에 형성되어 있다. 삽입 개구(43a)는 직사각형 평행육면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삽입 개구(43a)내로 돌출된 돌기 부분(44)을 구비한다. 돌기 부분(44)은 잉크 카트리지(11)의 케이스 본체 부분(21)상에 형성된 홈(28)에 끼워맞춰진다. 홈(44a)은 돌기 부분(44)의 상부 표면상에 형성되어 있다. 홈(44a)은 잉크 카트리지(11)의 홈(28)의 각 돌기(28a)에 끼워맞춰진다.
따라서, 전면(13a)이 프린터 본체(40)쪽으로 배향된, 즉 홈(28)이 돌기 부분(44)과 직면한 경우에만, 카트리지(11)가 프린터 본체(40)로 장착된다. 돌기 부분(44)에 형성된 홈(44a)과 돌기(28a)의 형상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잉크 카트리지(11)는 프린터 본체(40)에 장착된다.
프린터 본체(40)의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은 잉크 카트리지(11)에 대향 배치된 복수의 공급 니들(45)을 구비한다. 잉크 공급 니들(45)은, 잉크 카트리지(11)가 잉크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상에 장착될 때 각 공급 니들(45)이 잉크 카트리지(11)의 각 지지 부분(23)의 중앙에 위치되는데, 즉 잉크 팩(12)의 각 잉크 공급 포트(15a)에 삽입될 수 있게 위치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1)가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상에 장착되는 경우, 각 잉크 팩(12)내의 잉크는 대응 공급 튜브(46)를 통해서 기록 헤드(42)에 공급되고, 기록 헤드(42)로부터 종이(P)를 향해 분사된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의 양 측면, 즉 공급 니들(45)이 배치된 영역 외측의 영역상에는 한쌍의 위치설정 부재(47)가 제공되어 있다. 용기 케이스(13)가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상에 장착되는 경우, 위치설정 부재(47)는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구멍(26)에 각각 끼워맞춰지며, 이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1)의 위치를 고정한다. 위치설정 부재(47)는 공급 니들(45)보다 길게 형성되며, 이에 의해 공급 니들(45)이 잉크 공급 포트(15a)에 삽입되기 전에 위치설정이 실행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잉크 공급 포트(15a)내로 공급 니들(45)을 삽입하는 것이 확실하게 부드럽게 성취될 수 있다.
이제 잉크 카트리지(11)의 조립 및 장착을 설명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청록색 칼라의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팩(12)은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가장 좌측 측면상에 장착된다. 즉, 잉크 팩(12)이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가장 좌측 측면상의 하부 측면 지지 부분(23a)에 끼워맞춰진 상태로, 잉크 팩(12)은 케이스 본체 부분(21)상에 장착된다. 잉크 팩(12)은 규정된 각도(θ)의 경사의 자세로 넣어진다. 이때, 잉크 카트리지(11)의 상부 부분상에서 라벨(17)이 보인다.
그 결과, 소량의 청록색 칼라의 잉크를 저장하고 있는 잉크 팩(12)은, 잉크 출구 부재(15)가 좌측으로부터 제 2 하부 지지 부분(23a)과 맞물린 상태로 케이스 본체 부분(21)에 넣어진다. 잉크 팩(12)은 이전에 저장된 잉크 팩(1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자세를 취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때, 삽입된 잉크 팩(12)의 단부인 용접 부분(16a)은 이전에 저장된 잉크 팩(12)의 백 부분(16)의 중앙에서 가장 팽창된 부분상에 위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잉크 팩(12)은, 잉크 팩(12)의 실질적으로 절반이 인접한 잉크 팩(12)의 대략 절반과 중첩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이전에 저장된 잉크 팩(12)의 라벨(17)은 가려지지 않고 볼 수 있다.
그 후에, 유사하게 예를 들면 자홍색 칼라의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팩(12)은, 잉크 팩(12)의 잉크 출구 부재(15)가 좌측으로부터 제 3 하부 지지 부분(23a)상에 지지된 상태로 삽입된다. 그 결과, 예를 들면 소량의 자홍색 칼라의 잉크를 저장하고 있는 잉크 팩(12)은, 잉크 팩(12)의 잉크 출구 부재(15)가 좌측으로부터 제 4 하부 지지 부분(23a)상에 지지된 상태로 삽입된다. 또한, 유사하게 노랑색 칼라의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팩(12)은 좌측으로부터 다섯 번째 것상에 삽입되며, 마지막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흑색 칼라의 잉크를 저장하는 잉크 팩(12)은 가장 우측 측면상에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잉크 팩(12) 모두가 케이스 본체 부분(21)에 삽입되었을 때, 각 잉크 팩(12)의 라벨(17)은 상부 표면상에 나란하게 배치된다. 라벨(17)에 따라서, 종류가 다른 6개의 잉크 팩(12)이 잉크 카트리지(11)에 저장되어 있는가의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한다. 시각적 확인이 종료된 때, 뚜껑 케이스(22)의 맞물림 돌기 부분(31)은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맞물림 구멍(29)과 맞물리며, 케이스 본체 부분(21)이 뚜껑 케이스(22)에 끼워맞춰져서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개구를 커버한다. 따라서, 각 잉크 팩(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 케이스(22)에 의해 저장 및 유지된다. 뚜껑 케이스(22)의 리브(32)는 우측 단부에서 잉크 팩(12)의 우측 상부 부분상에 위치된다. 따라서, 가장 우측 잉크 팩(12)의 자세가 유지된다.
따라서, 뚜껑 케이스(22)는 케이스 본체 부분(21)에 끼워맞춰져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1)를 조립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1)는 돌기 부분(44)에 대향된 홈(28) 및 프린터 본체(40)에 대향된 정면(13a)과 함께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의 삽입 개구(43a)에 삽입된다. 배면(13b)의 형상이 정면(13a)의 형상과 상이하기 때문에, 배면(13b)이 프린터 본체(40)와 대면하는 종방향 반대 자세에서, 잉크 카트리지(11)는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상에 장착될 수 없다. 또한, 홈(28)이 돌기 부분(44)에 대향되지 않은 반전 자세의 경우에, 잉크 카트리지(11)는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상에 장착될 수 없다. 또한, 돌기(28a)와 홈(44a)의 형상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잉크 카트리지(11)는 프린터 본체(40)에 장착될 수 없다.
잉크 카트리지(11)가 삽입 개구(43a)에 삽입되고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상에 장착된 경우, 프린터 본체(40)의 위치설정 부재(47)가 구멍(26)에 끼워맞춰져서 잉크 카트리지(11)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또한, 카트리지 장착 부분(43)의 공급 니들(45)은 잉크 카트리지(11)의 각 지지 부분(23)의 중앙, 즉 잉크 팩(12)의 잉크 지지 포트(15a)에 삽입되며, 잉크 공급 포트(15a)의 각각내의 밸브 기구는 밸브를 개방한다. 따라서, 잉크는 대응하는 잉크 공급 니들(45) 및 공급 튜브(46)를 통해 서 잉크 카트리지(11)의 각 잉크 팩(12)으로부터 카트리지(41)의 기록 헤드(42)로 공급될 수 있다. 잉크는 기록 헤드(42)의 노즐로부터 종이(P)를 향해 분사되어 인쇄를 실행한다.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1)는 하기의 효과가 있다.
(1)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1)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팩(12)의 일부분이 인접한 잉크 팩(12)의 일부분과 중첩된 상태에서, 잉크 팩(12)은 용기 케이스(13)내에 넣어진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1)가 종래의 것과 동일한 용량을 갖는 복수의 잉크 팩(12)을 저장하고 있을 지라도, 잉크 카트리지(11)는 잉크 팩(12)의 중첩 부분에 대한 사이즈를 감소시킬 수 있다. 잉크 카트리지(11)내의 잉크 팩(13)이 단지 하나의 칼라의 잉크를 각각 저장하고 있기 때문에, 용기 케이스(13)는 복수의 잉크 팩(12)을 쉽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각 잉크 팩(12)은 간단히 교체될 수 있다.
(2)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1)에 있어서, 잉크 팩은, 인접한 잉크 출구 부재(15) 사이의 공간이 잉크 출구 부재(15)의 배열 방향에서 단부로부터 중앙쪽으로 진행할 때 점진적으로 증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각 잉크 팩에 가해진 압력이 용기 케이스(13)내의 잉크 팩(12)의 위치와 상관없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기록 헤드(42)로의 잉크 공급 특성이 잉크 팩(12)의 위치와 상관없이 균일하게 될 수 있어서, 기록 헤드(42)로부터의 잉크 방출 특성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출구 부재(15)가 배치되며, 이에 의해 잉크 카트리지(11)의 사 이즈가 인접한 잉크 팩(12) 사이에서 발생된 압력을 고려하여 인접한 잉크 팩(12)이 서로로부터 불필요한 공간이 필요없이 감소될 수 있다.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용량의 잉크 팩(12)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의 충전 양이 균일하게(예를 들면 최대 값 또는 규정된 값) 될 수 있는 경우에, 잉크 출구 부재(15)의 결정된 공간을 구비하는 잉크 카트리지(11)는 잉크 충전 양의 최대 값 또는 규정된 값을 초과하지 않은 범위에서 잉크의 소비 상태에 따라서 잉크의 충전 양이 상이한 잉크 팩(12)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에, 잉크 팩(12)에 가해진 압력은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될 수 있다.
중앙에 위치된 잉크 팩(12)의 잉크의 충전 비율이 다른 위치에 위치된 잉크 팩(12)의 잉크의 충전 비율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 인접한 잉크 출구 부재(15) 사이의 공간이 팽창되어 잉크 팩(12)에 가해진 압력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된다.
중앙에 위치된 잉크 팩(12)의 잉크의 충전 비율이 다른 위치에 위치된 잉크 팩(12)의 충전 비율보다 작은 경우에 있어서, 중앙 피치를 보다 작게 할 수 있다.
(3)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11)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어서, 프린터 본체(40)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4) 본 실시예에 있어서, 기부(S)에 교차하며 리브(27) 아래의 하나의 벽 표면(M)에 근접한 케이스 본체(21)의 하부 표면(13c)의 일부분은 역삽입 방지 부재로서 형성된 홈(28)과, 오삽입 방지 부재로서 형성된 2개의 돌기(28a)를 구비한다. 따라서, 만일 역삽입 방지 부재 및 오삽입 방지 부재가 제공될지라도, 잉크 카트리지(11)의 사이즈는 증가되지 않는다.
(5) 본 실시예의 잉크 팩(12)에 있어서, 용접 부분(16a, 16b, 16c)으로서, 2개의 가요성 필름의 4개 측면이 용접된다. 잉크 팩(12)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저장 상태에서 가요성 필름의 중앙 부분이 가장 팽창된 스핀들형 액체 저장 백으로 형성된다. 즉, 용기 케이스(13)와 잉크 팩(12) 사이의 공간의 형상은 잉크 팩(12)의 단부에서 용접 부분(16a, 16c)으로부터 중앙 부분까지 잉크 팩(12)의 형상에 유사하다. 따라서, 인접한 잉크 팩(12)의 일부분은 잉크 팩(12)과 용기 케이스(13) 사이의 공간내로 삽입되어 중첩 부분을 증가시키며, 이에 의해 용기 케이스(13) 내의 공간이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의 사이즈는 감소될 수 있다.
(6)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1)에서, 잉크 팩(12)의 잉크 공급 포트(15a)의 중앙 축(ax)은 동일한 수평 평면상의 직선 라인(L1)상에 배치되며, 잉크 공급 포트(15a)는 동일한 높이로 배치된다. 즉, 각 잉크 팩(12)의 높이에 따라 압력 수두가 동일하게 되기 때문에, 공급 튜브(46)를 통해 각 잉크 팩(12)으로부터 캐리지(41)로 공급된 액체의 압력이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될 수 있다.
(7)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11)내에 넣어진 잉크 팩(12)은, 잉크 팩(12)의 평면(PL)이 잉크 공급 포트(15a)의 직선 라인(L1), 즉 용기 케이스(13)에 대해서 규정된 각도(θ)로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영역에서 가장 팽창된 잉크 팩(12)이 규정된 각도(θ)로 경사진 경우에, 잉크 팩(12)의 용접 부분(16c)의 상부 및 하부 측면상에 형성된 공간은 용접 부분(16c) 의 상부 측면상에 분할된 하나의 큰 공간으로 형성된다. 다른 잉크 팩(12)은 용접 부분(16c)의 상부 측면상에 분할된 공간에 배치된다. 따라서, 잉크 팩(12) 및 인접한 잉크 팩(12)의 중첩 부분이 더 증가되어, 잉크 카트리지(11)의 내부 공간이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게 하여 잉크 카트리지(11)의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8)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1)에 있어서, 리브(27)는 케이스 본체 부분(21)상에 제공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1)내에 넣어진 제 1 잉크 팩(12)은 리브(27)에 의해 그 경사 자세를 유지한다. 삽입될 다음 잉크 팩(12)은 이전에 삽입된 잉크 팩(12)에 의해 그 경사 자세를 유지한다. 또한, 각 잉크 팩(12)은 뚜껑 케이스(22)에 의해 경사 자세를 유지한다. 따라서, 각 잉크 팩(12)은 자세를 손상시킴이 없이 규정된 각도(θ)로 경사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9)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브(32)는 리브(27)에 추가로 제공되며, 이에 의해 잉크 팩(12)은 흔들리기가 보다 어렵게 된다. 따라서, 용기 케이스(13)와의 충돌로 인한 잉크 팩(12)의 손상의 염려가 거의 없다.
(10) 본 실시예에 있어서, 리브(27)는 케이스 본체 부분(21)과 일체로 형성되며, 리브(32)는 뚜껑 케이스(32)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잉크 팩(12)의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리브(27, 32)는 별개의 부재로 제공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부품의 개수가 감소되어 잉크 카트리지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위치설정 부재는 이동되지 않게 규정된 위치에 항상 유지된다. 따라서, 잉크 팩(12)은 잉크 카트리지(11)에 규정된 자세로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11) 본 실시예에 있어서, 잉크 카트리지(11)는 도 2에서 좌측 하부 측면에 배치된 홈(28)을 구비한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잉크 카트리지(11)는, 잉크 카트리지(11)의 정면(13a)이 프린터 본체(40)와 대면하고 그리고 홈(28)이 프린터 본체(40)의 돌기 부분(44)에 삽입되는 경우의 자세에서만 프린터 본체(40)의 삽입 개구(43a)에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1)는 상술한 이외의 자세로 프린터 본체(40)에 장착될 수 없다. 즉, 규정된 칼라의 잉크만이 공급 튜브(46)를 통해 기록 헤드(42)의 규정된 부분에 공급될 수 있기 때문에, 프린터 본체(40)는 규정된 칼라의 잉크를 보다 확실하게 분사할 수 있다.
(12)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홈(28)은 돌기(28a)를 구비하며 그리고 돌기 부분(44)은 홈(44a)을 구비하며, 이에 의해 돌기(28a) 및 홈(44a)이 그 형상이 서로 일치하는 경우에만, 잉크 카트리지(11)가 프린터 본체(40)상에 장착되며, 이에 의해 상이한 잉크 카트리지가 장착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전체 형상이 동일한 잉크 카트리지(11)의 경우 조차도, 홈(28)상에 형성된 돌기(28a)의 형상을 단지 변경시킴으로써 프린터 본체(40)에 장착되지 않아야 되는 잉크 카트리지(11)가 삽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13) 본 실시예에 있어서, 역삽입 방지 부재로서의 홈(28) 및 오삽입 방지 부재로서의 돌기(28a)는 잉크 팩(12)과 케이스 부분(2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제공된다. 즉, 잉크 카트리지(11)의 내부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되기 때문에, 역삽입 방지 부재로서의 홈(28) 및 오삽입 방지 부재로서의 돌기(28a)가 제공될지라도, 액체 용기의 사이즈는 증가되지 않을 것이다.
(14) 본 실시예의 잉크 카트리지(11)에 있어서, 6개의 잉크 팩이 잉크 팩(12)에 배치되며, 잉크 공급 포트(15a)의 단부 사이의 공간(C)은 중앙에 보다 근접한 공간(B)보다 작으며, 공간(B)은 중앙에 보다 근접한 공간(A)보다 작다. 따라서, 공간(A)이 설정되며, 이에 의해 각 잉크 팩(12)으로부터 방출된 잉크의 압력이 균일하게 될 수 있다.
(15) 본 실시예에 있어서, 라벨(17)은 잉크 팩(12)이 용기 케이스(13)에 넣어지는 경우 볼 수 있는 위치에 부착된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1)에 저장된 잉크 팩(12)이 뚜껑 케이스(22)가 케이스 본체 부분(21)에 끼워맞춰지기 전에 라벨(17)을 확인함으로써 확실하게 배치되었는지 또는 그렇지 않은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카트리지(11)내의 규정된 잉크가 아닌 잉크를 실수로 저장할 가능성이 거의 없다.
(16) 본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 케이스(13)내의 잉크 팩(12) 모두가 동일한 경사 각도(θ)로 배치된다. 따라서, 각 잉크 팩(12)으로부터 방출된 압력은 균일하게 될 수 있다.
변형된 형태
각 실시예는 하기와 같이 변형될 수 있다.
· 전면(13a) 뿐만 아니라 다른 측벽이 실시예의 용기 케이스(13)내의 케이스 본체 부분(21)상에 모두 제공되었지만, 정면(13a) 이외의 측벽의 일부분이 뚜껑 케이스(22) 측면상에 제공되는 용기 케이스의 경우일지라도 상기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이뤄질 수 있다.
· 지지 부분(23)의 하부 반부를 구성하는 하부 지지 부분(23a)이 케이스 본 체 부분(21)상에 제공되고 그리고 상부 반부를 구성하는 상부 지지 부분(23b)이 상기 실시예에서 뚜껑 케이스(22)상에 제공되었지만, 기부(S)로부터 돌출된 리브 등이 지지 부분(23)으로서 이용되는 경우일지라도 상기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이뤄질 수 있다. 즉, 지지 부분(23)은 케이스 본체 부분(21)상에 완전히 제공될 수도 있다.
· 상기 실시예의 용기 케이스(13)가 뚜껑 부재로서 뚜껑 케이스(22)를 구비하고 있지만, 뚜껑 케이스(22)가 없는 용기 케이스일지라도 상기 실시예의 것과 유사한 효과가 이뤄질 수 있다.
· 상기 실시예의 뚜껑 케이스(22)가 케이스 본체 부분(21)의 것과 유사한 재료인 비가요성 재료로 형성되었지만, 이것은 필름과 같은 가요성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다.
· 상기 실시예의 설명은 동일한 잉크 저장 용량을 가지며 그리고 백 부분(16)에 동일한 잉크 충전 양이 충전된 잉크 팩(12)의 백 부분(16)에 대해서 관련되어 있지만, 동일한 잉크 저장 용량을 갖는 백 부분(16)의 잉크 충전 비율이 상이한 경우에도 유사한 효과가 이뤄질 수 있다.
· 잉크 팩(12)의 개수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것과 상이한 개수일 수 있다.
· 잉크 팩(12)의 경사 자세를 유지하기 위한 자세 유지 부재로서의 리브(27, 32)는 케이스 본체 부분(21) 및 뚜껑 케이스(22)와 별개로 제공될 수 있다.
· 오삽입 방지 부재는 홈(28) 대신에 돌기 부분일 수 있다. 홈(28)은 케이 스 본체 부분(21)의 하부 표면상이 아닌 측면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뚜껑 케이스(22)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11)가 규정된 자세 및 배향으로 프린터 본체(40)에 장착되는 경우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칩[정보(잉크 잔류 량, 잉크 타입 및 제조 일자 등등)를 저장하는 저장 부분으로서 EEPROM과 같은 반도체 저장 요소인 저장 요소와, 프린터 본체(40)의 접점에 접촉하기에 적합한 접점을 구비하는 인쇄 기판]은 잉크 카트리지(11)의 소정의 부분에 제공될 수도 있다.
· 라벨(17)은 바 코드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뚜껑 케이스(22)가 케이스 본체 부분(21)에 끼워맞춰지기 전에 라벨(17)을 가시적으로 확인하는 대신에 컴퓨터에 의해 확인된다. 케이스 본체 부분(21)은 투명한 케이스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라벨(17)은 기부로부터 볼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거나, 라벨(17)은 배면으로부터 확인할 수도 있다.
· 잉크 팩(12)의 형상은 가요성 필름의 2개 시트의 4개 측면이 용접된 베개 형태가 이외의 모든 형상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가요성 필름의 4개 시트가 용접되는 소위 간행물 타입일 수 있다.
· 잉크 카트리지(11)는 가압된 공기 입구 포트를 구비하도록 그리고 잉크 카트리지(11)가 프린터 본체(40)에 장착될 때 밀폐식으로 밀봉된 상태를 설정하도록 변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가압된 공기는 잉크 카트리지(11)의 내부에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을 실현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미국 특허 출원 공개 제 2001-24225A1 호에 개시된 구조체가 본 발명에 따른 잉크 카트리지(11)에 이용될 수 있다.
· 6개의 잉크 팩(12)의 벽 표면(M)에 가장 근접하게 배치된 잉크 팩(12)의 잉크 출구 부재(15)와 벽 표면(M) 사이에 잉크 팩(12)이 배치되지 않은 공간을 이용하여 형성된 홈(28)에서, 잉크 팩(12)상의 정보(잉크 잔류 량, 잉크 타입 및 제조 일자 등등)를 저장하는 저장 부분으로서 EEPROM과 같은 반도체 저장 요소의 저장 부분으로서의 저장 요소(D)와, 프린터 본체의 접점에 접촉하기에 적합한 접점을 구비하는 인쇄 기판 IC가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이러한 회로 기판 IC가 그 위에 배치되는 잉크 카트리지(11)의 하부 측면으로부터 취한 사시도이다.
변형된 형태에 따르면, 잉크 카트리지(11)의 공간이 효율적으로 이용되어 소형 잉크 카트리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잉크 카트리지는 오삽입 방지 부재로서 2개의 돌기(28a)를 구비하며, 이에 의해 보다 효율적이고 필요한 기능이 내부 잉크 팩(12)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침이 없이 컴팩트로 집합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된 형태로부터 파악되는 기술적인 요점을 하기의 효과에 기술한다.
(a)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되고, 액체 출구 포트를 갖는 출구 부재를 구비하며, 액체를 저장하는 복수의 액체 저장 백과;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을 수납하기 위한 액체 용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에 있어서, 액체 저장 백은 인접한 액체 저장 백에 중첩되는 상태로 액체 용기 케이스에 넣어지며, 최고 팽창된 부분은 액체를 봉입한 상태에서 액체 저장 백에 인접한 액체 저장 백에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가장 팽창된 부분에 중첩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a)에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액체 저장 백은, 가장 팽창된 부분이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가장 팽창된 부분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며, 이에 의해 액체 용기 케이스내의 공간이 액체 저장 백을 배치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치될지라도, 수납하는데 필요한 공간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액체 용기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용기가 장착된 액체 분사 장치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b)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되고, 액체 출구 포트를 갖는 출구 부재를 구비하며, 액체를 저장하는 복수의 액체 저장 백과;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을 수납하기 위한 액체 용기 케이스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에 있어서, 액체 용기 케이스는 직사각형 평행육면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은 액체 저장 케이스의 기부에 대한 규정된 경사 각도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b)에 개시된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은 직사각형 평행육면체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형성된 액체 용기 케이스에 대해 규정된 경사 각도로 수납되며, 이에 의해 인접한 액체 저장 케이스가 액체 저장 백과 액체 용기 케이스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액체 저장 백이 액체 용기 케이스에 양호한 용적 효율로 배치되어 액체 용기의 사이즈를 감소시킨다. 또한, 액체 용기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액체 용기가 장착되는 액체 분사 장치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다.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이 하나의 액체 용기 케이스에 넣어지기 때문에, 규정된 액체의 액체 저장 백만이 쉽게 교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액체 용기에 저장된 액체가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체 저장 백은, 가장 팽창된 부분이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가장 팽창된 부분과 중첩되지 않게 배치되며, 이에 의해 액체 용기 케이스내의 공간이 액체 저장 백을 배치하는데 효율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액체 저장 백이 상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배치될지라도, 수납하는데 필요한 공간의 용량이 감소될 수 있으며, 액체 용기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에 따라, 액체 용기가 장착된 액체 분사 장치의 사이즈가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8)

  1. 액체 용기(11)에 있어서,
    액체 출구 포트(15a)를 구비하는 액체 출구 부재(15)와, 가요성 필름 재료로 형성된 액체 저장 부분(16)을 각각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액체 저장 백과,
    기부(S) 및 지지 부분(23)을 포함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13)로서, 상기 지지 부분(23)은, 상기 액체 출구 포트(15a)가 액체 용기 케이스(13)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액체 출구 부재(15)를 고정하는,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4개의 액체 저장 백(12)은, 상기 액체 저장 백(12)의 일부분이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의 기부(S)를 따라 인접한 상기 액체 저장 백(12)의 일부분과 중첩되는 상태로 서로로부터 이동되도록 배치되며,
    인접한 액체 출구 포트(15a) 사이의 공간은 액체 출구 포트(15a)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단부로부터 중앙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액체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는,
    기부(S)와, 상기 기부와 교차하며 지지 부분을 갖는 측벽과, 상기 기부에 대향하는 개방 면을 구비하는 케이스 본체(21)와,
    상기 개방 면을 덮는 뚜껑 부재(22)를 포함하는
    액체 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백(12)은 2개 시트의 가요성 필름의 4개 측면을 용접함으로써 형성되는
    액체 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출구 포트(15a)의 중앙 축은 모두 동일한 수평 평면 상에 배치되는
    액체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저장 백(12)은 규정된 경사 각도로 저장되는
    액체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는, 규정된 각도로 경사진 자세로 상기 액체 저장 백(12)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자세 유지 부재(27, 32)를 더 포함하는
    액체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 유지 부재는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와 일체로 형성되는
    액체 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역삽입 방지 부재(28) 및 오삽입 방지 부재(28a)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역삽입 방지 부재(28)는, 상기 액체 용기가 액체 저장 백 내의 액체를 액체 분사 헤드로부터 분사하기 위한 액체 분사 장치에 규정된 자세 이외의 자세로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오삽입 방지 부재(28a)는, 상기 액체 용기가 규정된 형상을 갖지 않는 액체 분사 장치 내에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액체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삽입 방지 부재(28) 및 상기 오삽입 방지 부재(28a)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 상에 배치되는
    액체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역삽입 방지 부재(28) 및 상기 오삽입 방지 부재(28a)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적어도 4개의 액체 저장 백 중 최외측 단부에 배치된 액체 저장 백(12)의 액체 출구 포트(15a)와, 상기 기부(S)와 교차하는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의 하나의 벽면 사이에서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 상에 배치되는
    액체 용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부분(D)을 갖는 회로 기판(IC)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로 기판(IC)은 상기 적어도 4개의 액체 저장 백 중 최외측 단부에 배치된 액체 저장 백(12)의 액체 출구 포트(15a)와, 상기 기부(S)와 교차하는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의 하나의 벽면 사이에서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 상에 배치되는
    액체 용기.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부분(D)을 갖는 회로 기판(IC)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역삽입 방지 부재(28) 및 상기 오삽입 방지 부재(28a)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회로 기판(IC)은 상기 적어도 4개의 액체 저장 백 중 최외측 단부에 배치된 액체 저장 백(12)의 액체 출구 포트(15a)와, 상기 기부(S)와 교차하는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의 하나의 벽면 사이에서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 상에 배치되는
    액체 용기.
  13.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액체 저장 백(12)은 내부에 저장된 액체에 관한 정보를 갖는 정보 표시 부재를 구비하는
    액체 용기.
  14. 액체 분사 장치에 있어서,
    제 1 항에 따른 액체 용기(11)를 수납하기 위한 수납부를 포함하는
    액체 분사 장치.
  15. 복수의 액체 저장 백(12)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액체 용기 케이스(13)에 있어서,
    각각의 액체 저장 백은, 액체 출구 포트(15a)를 구비하며 가요성 필름에 부착된 출구 부재(15)를 포함하고,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는, 상기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이 인접한 액체 저장 백의 일부분과 중첩되는 상태로 상기 액체 저장 백을 저장하도록 상기 출구 부재를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부분(23)을 포함하며,
    인접한 지지 부분 사이의 공간은 지지 부분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 단부로부터 중앙쪽으로 진행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되는
    액체 용기 케이스.
  16. 액체 용기(11)에 있어서,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갖는 가요성 액체 저장 부분(16)과 상기 액체 저장 부분에 부착된 액체 출구 부재(15)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및 제 2 액체 저장 백(12)으로서, 상기 액체 출구 부재(15)는 상기 액체 저장 부분의 내부와 유체 연통되는 액체 출구 포트(15a)를 갖는, 상기 제 1 및 제 2 액체 저장 백(12)과,
    바닥 표면을 한정하는 기부(S)와, 상기 기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부재를 수납하는 제 1 측벽(13a)을 포함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13)와,
    상기 바닥 표면에 대해서 경사진 제 1 경사 표면을 한정하는 제 1 경사 부재(27)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16)의 하부 표면은 상기 경사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16)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1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액체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갖는 가요성 액체 저장 부분(16)과 상기 액체 저장 부분에 부착된 액체 출구 부재(15)를 각각 포함하는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12)으로서, 상기 액체 출구 부재(15)는 상기 액체 저장 부분의 내부와 유체 연통되는 액체 출구 포트(15a)를 가지며 상기 측벽에 의해 수납되는, 상기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1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16)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16)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16)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16)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액체 용기.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는 상기 제 2 및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보다 짧은
    액체 용기.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및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는 상기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보다 짧은
    액체 용기.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액체 저장 백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액체 저장 용량을 갖는
    액체 용기.
  2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은 동일한 형상 및 동일한 액체 저장 용량을 갖는
    액체 용기.
  2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 중 하나에 충전된 액체의 양이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 중 다른 하나에 충전된 액체의 양과 상이한
    액체 용기.
  23.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재(27)는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의 기부(S) 상에 형성된 일체형부재인
    액체 용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부재(27)는 복수의 리브를 포함하며, 각각의 리브는 상기 액체 용기의 기부와 일체인
    액체 용기.
  25.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측벽(13a)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제 1 측벽으로부터 연장되는 홈(28)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홈(28)은 상기 경사 표면과, 상기 기부 및 상기 제 1 측벽과 교차하며 상기 제 1 측벽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측벽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액체 용기.
  26.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액체 저장 백의 각각의 액체 저장 부분은, 4개 측면이 열 용접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으로 형성되는
    액체 용기.
  27.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12)의 액체 출구 포트(15a)의 축은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의 기부(S)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라인 상에 배열되는
    액체 용기.
  28. 제 27 항에 있어서,
    각각의 액체 저장 백(12)은,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이 만나는 측부와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이 만나는 대향 측부를 연결하며 또한 상기 액체 출구 포트의 축을 포함하는 가상 평면을 한정하고, 각각의 액체 저장 백의 가상 평면은 액체 출구 포트의 축들이 배열되는 라인에 대해서 15° 경사져 있는
    액체 용기.
  2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경사 표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 2 경사 표면을 한정하는 제 2 경사 부재(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2 경사 부재는 상기 제 1 경사 부재(27)에 대해서 횡방향으로 대향 위치에 배치되는
    액체 용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는, 상기 제 2 경사 부재(32)를 구비하며 상기 기부(S)로부터 대향 배치된 뚜껑 부재(22)를 더 포함하는
    액체 용기.
  31.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홈(28) 내에는 복수의 돌기(28a)가 배치되는
    액체 용기.
  32.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홈(28) 내에는 메모리 및 전기 접점을 구비한 회로 기판이 배치되는
    액체 용기.
  3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액체 저장 백의 상부 표면에서 상기 제 2 액체 저장 백의 하부 표면과 접촉하게 되지 않는 위치에 라벨이 부착되는
    액체 용기.
  34. 액체 용기(11)에 있어서,
    가요성 액체 저장 부분(16)과 상기 액체 저장 부분에 부착된 액체 출구 부재(15)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12)으로서, 상기 액체 출구 부재(15)는 상기 액체 저장 부분의 내부와 유체 연통되는 액체 출구 포트(15a)를 갖는,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12)과,
    기부(S)와 상기 기부에 교차하는 제 1 측벽(13a)을 구비하는 액체 용기 케이스(13)로서, 상기 제 1 측벽(13a)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가 소정의 순서로 배치되도록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부재를 수납하는, 상기 액체 용기 케이스(13)를 포함하며,
    상기 소정의 순서는,
    상기 제 1 및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가 상기 제 2 및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보다 짧으며,
    상기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가 상기 제 2 및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보다 짧은 것인
    액체 용기.
  35.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는 상기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와 동일한
    액체 용기.
  36. 제 34 항에 있어서,
    가요성 액체 저장 부분(16)과 상기 액체 저장 부분에 부착된 액체 출구 부재(15)를 각각 포함하는 제 5 및 제 6 액체 저장 백(12)으로서, 상기 액체 출구 부재(15)는 상기 액체 저장 부분의 내부와 유체 연통되는 액체 출구 포트(15a)를 갖는, 상기 제 5 및 제 6 액체 저장 백(1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 1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는 상기 제 5 및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는 상기 제 3 및 제 6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5 및 제 1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는 상기 제 1 및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보다 짧으며,
    상기 제 4 및 제 6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는 상기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출구 포트 사이의 축대 축 거리보다 짧은
    액체 용기.
  37. 제 3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및 제 4 액체 저장 백의 각각의 가요성 액체 저장 부분(16)은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기부(S)는 바닥 표면을 한정하며,
    상기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1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액체 용기.
  38.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제 3, 제 4, 제 5 및 제 6 액체 저장 백의 각각의 가요성 액체 저장 부분(16)은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을 가지며,
    상기 기부(S)는 바닥 표면을 한정하며,
    상기 액체 용기는 상기 바닥 표면에 대해서 경사져 있는 경사 표면을 한정하는 경사 부재(27)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 5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경사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 1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5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1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2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3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며,
    상기 제 6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하부 표면은 상기 제 4 액체 저장 백의 액체 저장 부분의 상부 표면 및 상기 바닥 표면에 부분적으로 접촉하는
    액체 용기.
KR1020040014829A 2003-03-05 2004-03-05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 KR1010913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59020 2003-03-05
JP2003059020 2003-03-05
JP2004031293A JP4193719B2 (ja) 2003-03-05 2004-02-06 液体収容体、液体噴射装置及び液体収容ケース
JPJP-P-2004-00031293 2004-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897A KR20040078897A (ko) 2004-09-13
KR101091326B1 true KR101091326B1 (ko) 2011-12-07

Family

ID=32828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4829A KR101091326B1 (ko) 2003-03-05 2004-03-05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2) US7097294B2 (ko)
EP (2) EP1454753B1 (ko)
JP (1) JP4193719B2 (ko)
KR (1) KR101091326B1 (ko)
CN (1) CN1317131C (ko)
AT (2) ATE361840T1 (ko)
AU (1) AU2004200945B2 (ko)
CA (1) CA2459616A1 (ko)
DE (2) DE602004013623D1 (ko)
ES (2) ES2306301T3 (ko)
HK (1) HK1067338A1 (ko)
PL (1) PL1685965T3 (ko)
PT (1) PT1685965E (ko)
SG (1) SG115626A1 (ko)
TW (1) TW20050803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38400B2 (en) * 2003-07-16 2008-10-21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liquid ejecting device, and method of checking arrangement of liquid storing packs
US7384133B2 (en) * 2003-08-08 2008-06-10 Seiko Epson Corporation Liquid container capable of maintaining airtightness
MXPA04012988A (es) * 2003-12-22 2005-10-18 Seiko Epson Corp Aparato para montar/desmontar un cartucho de tinta, aparato de registro, aparato para expulsion de liquidos y contenedor de liquidos.
US7357498B2 (en) * 2003-12-24 2008-04-15 Seiko Epson Corporation Method of filling liquid into liquid containing member, liquid fi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pecting liquid containing member
DE602005021730D1 (de) * 2004-08-23 2010-07-22 Konica Minolta Med & Graphic Tintenstrahlpatrone für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Tintenstrahlaufzeichnungsgerät und Tintenversorgungsverfahren
CN100411874C (zh) * 2004-09-25 2008-08-20 珠海天威技术开发有限公司 置换式恒压墨盒及其使用方法
US7488059B1 (en) * 2004-11-02 2009-02-10 Nu-Kote International, Inc. Enclosure for ink reservoir bag
JP4918823B2 (ja) 2006-08-11 2012-04-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の製造方法
JP4645682B2 (ja) * 2007-06-20 2011-03-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7959268B2 (en) 2007-06-20 2011-06-14 Seiko Epson Corporation Installing fluid container in fluid ejection device
WO2008156203A1 (ja) 2007-06-20 2008-12-24 Seiko Epson Corporation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0918337A (en) 2007-06-20 2009-05-01 Seiko Epson Corp Fluid jetting apparatu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766011B2 (ja) 2007-06-20 2011-09-0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流体噴射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78387B1 (ja) * 2007-06-29 2008-04-23 ワールドネットワーク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US8544994B2 (en) 2010-12-28 2013-10-01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Ink cartridge
KR101215197B1 (ko) * 2012-03-21 2012-12-24 김영숙 잉크공급장치 및 잉크팩 수납케이스
WO2013165353A1 (en) * 2012-04-30 2013-11-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supply
US9162468B2 (en) 2012-04-30 2015-10-20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iquid supply
US8608299B1 (en) * 2012-12-21 2013-12-17 Jetbest Corporation Ink cartridge with replaceable ink bag
JP6330275B2 (ja) * 2013-08-29 2018-05-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6384031B2 (ja) 2013-09-04 2018-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及び液体噴射システム
JP6323091B2 (ja) * 2014-03-14 2018-05-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2016055446A (ja) * 2014-09-05 2016-04-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体と電気接続体および液体消費装置
CN107953674B (zh) * 2016-10-17 2020-11-06 精工爱普生株式会社 液体容纳体
EP3687804B1 (en) 2018-07-13 2022-06-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lamp plates with wedge-shaped fork ends for a print liquid supply
EP3687810B1 (en) 2018-07-13 2023-04-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liable print liquid supply reservoirs with offset spout
US11198299B2 (en) 2018-07-13 2021-1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llar for fluid barrier
CN112041173B (zh) * 2018-07-13 2022-03-08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耦接系统
EP3687812B1 (en) 2018-07-13 2022-11-0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pouts with angled clamp flanges for a print liquid supply
WO2021025670A1 (en) * 2019-08-02 2021-02-1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ntermediate tank for continuous fluid delivery
JP2023149340A (ja) * 2022-03-31 2023-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容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1682A (en) * 1981-06-08 1982-12-10 Canon Inc Ink cassette
JPS60154134U (ja) * 1984-03-23 198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容器
US5710585A (en) * 1995-05-04 1998-01-20 Calcomp Inc. Ink source for an ink delivery system
EP0927638A2 (en) * 1998-01-05 1999-07-07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device with subtank between ink reservoir and recording head
JP2001287379A (ja) * 2000-01-31 2001-10-1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装着可能な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3053984A (ja) * 2001-08-09 2003-02-26 Canon Inc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これに収納する液体収納袋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4786A1 (de) 1990-03-16 1991-09-19 Mannesmann Ag Tintenvorratsbehaelter fuer tintendruckeinrichtungen
JP3110872B2 (ja) * 1992-06-24 2000-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920018A (ja) 1995-07-06 1997-01-21 Brother Ind Ltd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9249228A (ja) 1996-03-14 1997-09-22 Dainippon Printing Co Ltd 交換容器の正否識別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交換容器
JP3624927B2 (ja) * 1996-10-07 2005-03-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JPH10217499A (ja) * 1997-02-10 1998-08-18 Seiko Epson Corp インク供給容器
CN1205274A (zh) * 1997-07-14 1999-01-20 欧文斯-伊利诺伊封闭物有限公司 带有改进流体控制阀的盛液和排液装置
US6220702B1 (en) * 1998-12-24 2001-04-24 Seiko Epson Corporation Ink bag for ink jet type recording apparatus and package suitable for packing such ink bag
JP2000296626A (ja) 1999-04-15 2000-10-24 Seiko Epson Corp インク収納容器、その製造方法、及びインクカートリッジ
KR100389444B1 (ko) * 2000-04-11 2003-06-27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기록 장치용 잉크 카트리지
JP4032628B2 (ja) 2000-10-17 2008-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バッグセット、それを装着するようにしたプリンタ及びプリンタシステム並びにそれを用いた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01682A (en) * 1981-06-08 1982-12-10 Canon Inc Ink cassette
JPS60154134U (ja) * 1984-03-23 1985-10-14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容器
US5710585A (en) * 1995-05-04 1998-01-20 Calcomp Inc. Ink source for an ink delivery system
EP0927638A2 (en) * 1998-01-05 1999-07-07 Seiko Epson Corporation Ink-jet recording device with subtank between ink reservoir and recording head
JP2001287379A (ja) * 2000-01-31 2001-10-16 Seiko Epson Corp 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それを装着可能な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2003053984A (ja) * 2001-08-09 2003-02-26 Canon Inc 液体収納容器およびこれに収納する液体収納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1685965T3 (pl) 2008-09-30
EP1685965B1 (en) 2008-05-07
DE602004006326D1 (de) 2007-06-21
ES2285291T3 (es) 2007-11-16
CN1317131C (zh) 2007-05-23
EP1685965A1 (en) 2006-08-02
KR20040078897A (ko) 2004-09-13
US7097294B2 (en) 2006-08-29
HK1067338A1 (en) 2005-04-08
JP4193719B2 (ja) 2008-12-10
DE602004013623D1 (de) 2008-06-19
US20040218021A1 (en) 2004-11-04
CN1526559A (zh) 2004-09-08
JP2004284353A (ja) 2004-10-14
CA2459616A1 (en) 2004-09-05
ATE361840T1 (de) 2007-06-15
AU2004200945B2 (en) 2009-10-29
US20070115332A1 (en) 2007-05-24
AU2004200945A1 (en) 2004-09-23
ES2306301T3 (es) 2008-11-01
SG115626A1 (en) 2005-10-28
US7488067B2 (en) 2009-02-10
DE602004006326T2 (de) 2008-01-03
EP1454753B1 (en) 2007-05-09
PT1685965E (pt) 2008-06-19
ATE394232T1 (de) 2008-05-15
EP1454753A1 (en) 2004-09-08
TW200508039A (en) 2005-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91326B1 (ko) 액체 용기, 액체 분사 장치 및 액체 용기 케이스
JP4268683B2 (ja) 構造が効率的な高性能インク容器
ES2382127T3 (es) Cartucho de tinta para uso con aparato de registro y aparato de registro de inyección de tinta
US9033479B2 (en) Liquid storage container mounted on liquid ejecting apparatus
JP4341688B2 (ja) 液体収容容器
JP2002512572A (ja) 多機能シャシを有するインク容器
JP2003072103A (ja) メモリチップを備える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組立て方法
JP4655503B2 (ja) 液体収容体
CN111469559B (zh) 墨水补充容器和墨水补充系统
CN211868927U (zh) 墨水补充容器和墨水补充系统
JP4189690B2 (ja) 液体収容容器
JP2019209534A (ja) 液体収容体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2002001979A (ja) 記録装置用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108501537B (zh) 液体容纳体
CN100379564C (zh) 液体容器、液体喷射装置及液体储存袋的排列检查方法
JP2004249511A (ja) 液体収容袋、液体カートリッジ、液体噴射装置
CN101024343A (zh) 液体容器,液体喷射装置和液体容器壳体
JP5617881B2 (ja) キャップおよび液体収容容器
CN113942310B (zh) 液体存储容器
JP2005186477A (ja) 液体噴射装置
KR200184690Y1 (ko)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 카트리지
JP5958441B2 (ja) カバー及び液体収容容器
JP2014040081A (ja) カートリッ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