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88671B1 - 정보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정보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88671B1
KR101088671B1 KR1020090022459A KR20090022459A KR101088671B1 KR 101088671 B1 KR101088671 B1 KR 101088671B1 KR 1020090022459 A KR1020090022459 A KR 1020090022459A KR 20090022459 A KR20090022459 A KR 20090022459A KR 101088671 B1 KR101088671 B1 KR 101088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job
user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2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271A (ko
Inventor
마사히토 야마모토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00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8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8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4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with a server, e.g. an internet ser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7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printing apparatus, e.g. a laser beam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34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nother still picture apparatus, e.g. hybrid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6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browsers, i.e. interfaces based on mark-up langu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74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functional options, e.g. scan, copy or 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82Output means outputting a plurality of job set-up options, e.g. number of copies, paper size or resolu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50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 H04N1/32523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in systems having a plurality of input or output devices a plurality of outpu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7Initiating, continuing or ending a single-mode communication; Handshaking therefor
    • H04N1/32765Initiating a communication
    • H04N1/32771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 H04N1/32776Initiating a communication in response to a request, e.g. for a particular document using an interactive, user-operated device, e.g. a computer terminal, mobile tele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13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connected apparatus by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08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 H04N2201/0034Details of the connection, e.g. connector, interface
    • H04N2201/0037Topological details of the connection
    • H04N2201/0039Connection via a network

Abstract

정보처리장치는 화상처리장치와 통신 가능하다. 정보처리장치는 화상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잡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유닛과,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 시에 잡의 송신처를 자동적으로 상기 화상처리장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유닛과,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 완료 후에 상기 잡의 송신처를, 상기 잡의 송신처를 전환하기 전의 설정으로 되돌리도록 구성된 유닛을 구비한다.
Figure R1020090022459
정보처리장치, 화상처리장치, 잡의 송신처, 복합기

Description

정보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서로 통신 가능한 정보처리장치와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나 복합기(MFP:multi-functional peripheral) 등의 화상처리장치가, 클라이언트 컴퓨터 등의 정보처리장치를 리모트 데스크탑(remote desktop)에 의해 조작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화상처리장치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가 실행된다. 한편, 정보처리장치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의 소프트웨어가 실행된다. 화상처리장치상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로부터 정보처리장치상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에 접속함으로써, 유저는 화상처리장치의 조작부를 사용하여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47338호에는, 화상처리장치가 정보처리장치의 조작 지시 화면과 같은 조작 지시 화면을 표시하고, 이 정보처리장치가 화상처리장치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해서 화상처리장치측으로부터 원격 조작되는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42309호에는, 유저가 정보처리장치를 떠나서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중에, 정보처리장치상에서 가동하는 에이전트 프로그램이 화상처리장치에 대하여 원격조작요구를 발행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47338호에 기재된 종래기술에서는,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화상처리장치로 화상처리 잡(job)을 출력하고 싶은 경우에, 유저는 많은 가능한 선택사항 중에서 적절한 화상처리장치를 찾아내서 선택해야 한다. 화상처리장치와 정보처리장치의 조합의 수가 많아지면, 유저는 적절한 화상처리장치를 찾아내서 선택함에 있어서 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6-42309호에 개시되어 있는 선행 기술에서는, 정보처리장치의 주도로 원격 조작이 개시되기 때문에, 화상처리장치의 주도로 정보처리장치를 원격 조작할 수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처리장치를 조작 단말로서 이용해서 화상처리 잡을 갖는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해서, 화상처리장치 내의 화상처리 잡을 실행한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화상처리장치와 통신 가능한 정보처리장치는, 화상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잡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유닛과,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 시에, 잡의 송신처를 자동적으로 상기 화상처리장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유닛과,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 완료 후, 상기 잡의 송신처를, 상기 잡의 송신처를 전환하기 전의 설정으로 되돌리도록 구성된 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국면에 따른 외부장치와 통신가능한 화상처리장치는,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도록 구성된 조작유닛과, 상기 외부장치로부터 잡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유닛과,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잡을 송신하도록 상기 조작유닛이 접수한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장치를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 예로부터 밝혀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 실시 예에 있어서의 구성요소, 수치표현 및 수치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전제 기술]
우선, 본 발명의 실시 예의 전제가 되는 기술에 관하여 설명한다. 분산 협조형의 정보 환경에 있어서, 생활이나 사회의 도처에 컴퓨터들이 존재하고, 이 컴퓨터들이 자율적으로 연계 동작해서 서비스를 제공하여 인간의 생활을 지원하고 있다. 유비쿼터스 컴퓨팅(ubiquitous computing)의 개념은 분산 협조 시스템 환경과 관련된다. 이러한 컴퓨팅 환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정보처리장치들이 서로 연계하는 분산 협조 시스템과, 정보처리장치와 삽입 시스템으로서의 화상처리장치 간의 연계가 중요해지고 있다. 삽입 시스템으로서의 화상처리장치들의 연계에 근거하는 분산 협조 시스템도 상당히 중요해지고 있다.
분산 협조 시스템 환경에 의한 서비스의 제공은, 실제로는 네트워크에 접속 된 복수의 정보처리장치와 화상처리장치 중의 어느 하나에서 가동하는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된다. 동일한 서비스를 복수의 장치상의 소프트웨어가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복수의 장치상에 분산해서 가동하는 프로그램군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분산 협조 시스템 환경 중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및 그것들을 조작하는데 필요한 조작단말기능을 제공하는 장치군은, 서로 다른 플랫폼, 즉 서로 다른 하드웨어 구성과 서로 다른 오퍼레이팅 시스템을 채용하고 있다. 서비스의 내용과 그 조작 순서는 상세한 레벨에서는 일반적으로 불가분하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의 측에 그 서비스 고유의 조작 순서를 실현하는 알고리즘도 국소화되므로, 조합의 자유도가 증가한다. 특정의 서비스에 특화한 프로토콜에 따라 통신하는 전용의 소프트웨어를 각각의 장치에 준비하는 방법에서는, 다양한 플랫폼을 지원하는데 많은 개발 비용이 필요하다. 알고리즘을 국소화하는데 유연한 시스템이 소망되고 있다. 서비스의 확장 및 개량에 필요한 변경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에만 적용되어야 하므로, 그러한 시스템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측에서 그 서비스 고유의 조작 순서를 실현한다. 조작 단말측 장치상의 소프트웨어는 특정한 서비스 고유의 조작과는 독립적인 프리미티브(primitive) 프로토콜에 따라 서비스의 제공측 장치와 접속하게 된다.
(분산 협조 시스템에 포함된 복수의 장치의 조합의 다양화)
최근, 로컬 에어리어(local area) 네트워크에는 복수의 정보처리장치와 복수의 화상처리장치가 접속되는 경우가 많다. 유저로부터의 지시나 소정의 알고리즘에 따라, 이들 장치들이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분산 시스템을 구성한다. 그 결과, 서로 연계하는 정보처리장치와 화상처리장치의 조합이 복잡해지고 있다. 한층 더, 복합기(MFP)라고 불리는 화상처리장치는 단체라도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에 해당하는 복수의 기능을 제공한다. 이들 기능은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조합될 수 있기 때문에, 조합의 수가 증가한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와 서비스를 이용하는 장치의 조합)
정보처리장치가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구성이 알려져 있다. 한 예에 있어서는, 정보처리장치가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해서 디지털 데이터를 종이 매체에 프린트한다. 다른 예에 있어서는, 정보처리장치가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해서 종이매체를 스캔해서 디지털 데이터를 얻는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가 화상처리장치에 디지털 데이터를 공급하고, 팩스를 통해서 또는 다른 각종 프로토콜에 따라서 그 데이터를 송신시키도록 제어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가 화상처리장치 내의 스토리지(박스 기능)에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화상처리장치 내의 스토리지로부터 데이터를 리트리브(retrieve)한다. 또 다른 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상에서 복수의 화상처리장치가 제공하는 복수의 서비스를 이용해서 조합하는 소프트웨어가 가동한다. 또한, 또 다른 예에서는, 정보처리장치 상에서, 다른 정보처리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화상처리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해서 조합하는 소프트웨어가 가동한다.
정보처리장치와 화상처리장치가 서로 연계하고, 화상처리장치가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하는 구성을 포함하는 분산 협조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화상처리장치가 종이매체를 스캔했을 때 얻은 화상의 디지털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에 송신하는, 푸시 스캔(push scan) 동작의 예가 있다.
엄청난 양의 정보처리 자원을 필요로 할 경우에, 화상처리장치가 행하는 일련의 처리를, 정보처리장치에 위양하는 예도 있다. 화상처리장치가 다루는 문서 데이터를 정보처리장치에 축적하는 예가 있다. 또한, 검색이나 검사를 위해서, 화상처리 잡(job)의 카피(copy) 화상 데이터를 포함한 로그(log) 정보를 정보처리장치에 축적하는 예가 있다. 이들의 예에 있어서, 정보처리장치는, 검색을 위한 인덱스 작성의 일환으로서, 래스터(raster) 화상 데이터의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처리나 벡터화, 및 화상 특징량 산출 처리를 실행한다. 화상처리장치가 정보처리장치에 위양하는 처리의 다른 예로서는, 멀티유저에 대응한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유저를 특정하기 위한 유저 인증과, 유저마다의 액세스 제어의 인가 정보 관리를,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를 이용해서 행하는 예가 있다.
화상처리장치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행하는 일련의 처리를 다른 화상처리장치에 위양함으로써, 1대의 화상처리 장치로는 실현될 수 없는 처리를 실현할 수 있고, 부하 분산을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MFP가 1대이상의 MFP와 연계하고, 하나의 MFP가 스캔한 화상 데이터를 다른 MPF로 프린트하는 "리모트 카피" 기능과 "탠덤(tandem) 카피" 기능이 제품화되어 있다.
(분산 협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조작의 편재)
한편, 유비쿼터스 분산 시스템 환경의 실현은, 어디에서든지 조작이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유비쿼터스 조작을 실현하기 위해서, 몇몇의 어프로치(approaches)가 알려져 있다. 하나의 어프로치는, 유저가 PDA, 휴대전화, 랩탑 컴퓨터, 웨어러블(wearable) 컴퓨터 등의 모바일 단말로부터, 분산 협조 시스템 환경이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게 한다. 또 다른 어프로치는, 유저가 유저의 환경에 존재하는 다양한 장치의 표시수단과 조작 입력수단을 조작단말로서 사용하여, 그 장치 자체가 제공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분산 협조 시스템 환경이 제공하는 다양한 다른 서비스도 조작할 수 있게 한다. 후자의 어프로치에 의하면, 유저가 유저의 위치에 관계없이 바로 이웃의 장치의 조작부를 사용해서 환경이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 중의 원하는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조작수단을 편재시키기 위해서는, 분산 협조 시스템 환경이 제공하는 각종 서비스 중의 임의의 서비스를, 조작 단말 등, 임의의 장치를 사용해서 원격 조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와 서비스를 조작하는 장치의 조합의 다양화)
임의의 장치를 조작 단말로서 사용해서 원하는 장치를 원격 조작하기 위해서는, 양립할 수 있는 크로스 플랫폼(cross-platform)이면서 그 결과로서 조합의 자유도가 높은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이들 장치를 접속하는 것이 유효하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와 서비스를 조작하는 장치가 분리되어 있는 분산 시스템을 실현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 있고, 조합의 자유도가 높은, 크로스 플랫폼 통신 프로토콜의 예로서는, 리모트 데스크탑과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이 알려져 있다.
리모트 데스크탑 기술은, 어떤 컴퓨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화면의 표시 출력 데이터 및 조작 입력 데이터를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전송하고, 다른 컴퓨터가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그 컴퓨터의 GUI를 원격 조작하는 기술이다. 화면 표시 데이터는 픽셀 맵(pixel map)과 묘화 명령 등의 비교적 프리미티브하고 보편적인 데이터 표현을 갖고, 조작 입력 데이터도 키보드, 포인팅 디바이스 등이 발생하는 프리미티브하고 보편적인 데이터다. 그 때문에, 이 기술은 플랫폼으로부터의 독립성이 높고, 다양한 조작단말과 조작 대상을 조합하는데도 적합하다. 이 기술의 예로서, 플랫폼 독립이고 단순한, RFB라고 불리는 디스플레이 프로토콜에 근거하는 VNC(Virtual Network Computing)이라고 하는 경량의 리모트 데스크탑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VNC에 관해서는, Tristan Richardson, Quentin Stafford-Fraser, Kenneth R.Wood and Andy Hopper, “Virtual Network Computing”참조. (IEEE Internet Computing, Volume 2, Number 1, January/February 1998, pp.33-38)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은, HTML 등의 마크업(markup) 언어를 유저 인터페이스의 기술에 사용하고, 원격의 웹 브라우저 위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층을 구성하는 분산 애플리케이션이다.
각종의 다른 장치로부터 각종의 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다양한 어프로치가 있다. 이들 어프로치는,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하는 것;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화상처리장치를 조작하는 것;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하는 것; 다른 화상처리장치로부터 화상처리장치를 조작하는 것을 포함한다.
(다른 정보처리장치로부터 정보처리장치를 조작)
정보처리장치로부터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리모트 데스크탑 기술에 이용해서 조작하기 위해서, 조작단말측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가 가동하고, 조작대상측의 정보처리장치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의 소프트웨어가 가동한다. 대개의 경우,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는 정보처리장치의 비트맵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데스크탑 스크린과 동등한 표시를,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는 특정한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의 GUI에 대응하는 표시만을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에 전송해도 된다.
정보처리장치가 다른 정보처리장치를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이용해서 조작하는 경우, 조작단말측의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웹 브라우저의 소프트웨어가 가동하고, 조작대상측의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웹 서버의 소프트웨어가 가동한다.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화상처리장치를 조작)
유저가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화상처리장치를 리모트 데스크탑 기술을 이용해서 조작하는 경우, 정보처리장치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의 소프트웨어가 가동하고,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삽입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의 소프트웨어가 가동한다. MFP에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 기능을 삽입하고, MFP의 조작부를 컴퓨터상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가 원격 조작할 수 있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는 화상처리장치의 조작부의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조작 화면과 동등한 표시를,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에 전송한다.
조작 단말로서 사용하는 화상처리장치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장치를 크로스 플랫폼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서 접속할 경우, 조합의 자유도가 높아진다. 그 결과, 입력, 출력, 기억 기능의 역할을 달성하기 위해서 통신에 등장하는 화상처리장치의 선택사항의 수도 증가한다. 예를 들면,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원격조작대상을 조작하는 중, 유저가 원격조작대상의 장치로부터 유저의 앞에 있는 화상처리장치에 프린 트 지시를 발행하기 원하는 경우, 유저는 많은 가능한 선택사항 중에서 유저의 앞에 있는 화상처리장치를 찾아내서 선택해야 한다. 이것은, 분산 협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연계 중에서, 장치가 프린트 지시 등의 출력처의 장치로서의 역할을 다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입력원, 업로드처, 다운로드원 등의 역할을 다하는 경우에도 어려울 수가 있다. 즉, 조작 단말과 조작 대상장치의 가능한 조합의 수가 방대해져, 분산 협조 시스템의 서비스의 실현에 있어서 연계의 한 부분을 지닌 화상처리장치의 선택사항의 수가 증가하면, 유저가 입력장치, 출력장치, 기억장치 등을 선택하는 것이 어렵다.
유저가 정보처리장치로부터 화상처리장치를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이용해서 조작할 경우, 정보처리장치에서는 웹 브라우저의 소프트웨어가 가동하고,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삽입 웹 서버의 소프트웨어가 가동한다. MFP의 삽입 웹 서버 상에 구축되고, 웹 브라우저로부터 MFP의 컨트롤러의 각종 기능에 액세스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을 삽입해도 된다. 예를 들면, 유저가 "리모트 UI"라고 불리는 MFP에 삽입된 웹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서 컴퓨터상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MFP의 각종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유저가 장치나 기능의 설정을 관리하거나, 장치나 기능의 상태를 감시 및 변경하거나, 장치 내에 저장된 데이터를 표시, 익스포트(export), 및 임포트(import)하거나 할 수 있다.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정보처리장치를 조작)
유저가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정보처리장치를 리모트 데스크탑 기술을 이용해서 조작하는 경우,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삽입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의 소프트 웨어가 가동한다. 화상처리장치상의 삽입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가 정보처리장치상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에 접속하고, 유저는 화상처리장치의 조작부를 사용해서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할 수 있다.
유저가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정보처리장치를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이용해서 조작할 경우, 화상처리장치에서는 삽입 웹 브라우저의 소프트웨어가 가동한다. 화상처리장치상의 삽입 웹 브라우저가 정보처리장치상의 웹 서버에 접속하고, 유저는 화상처리장치의 조작부를 사용해서 정보처리장치상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조작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 웹 브라우저를 MFP에 삽입하고, 유저는 조작부의 LCD 스크린과 터치 패널을 사용해서 웹 서버에 액세스한다. 정보처리장치측에서 가동하는 웹 서버상에서는, 각종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다.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해서 화상 문서를 다루는 작업을 포함한 워크플로(workflow)를 설치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유저가 그 화상처리장치의 삽입 웹 브라우저로부터 액세스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이퍼텍스트 트랜스퍼 프로토콜(HTTP)에 근거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세션 중에, 화상처리장치 고유의 화상처리기능을 이용한 처리 공정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웹 애플리케이션의 세션이란, 웹 브라우저로부터 웹 서버로의 HTTP 요구와, 웹 서버로부터 웹 브라우저로의 HTTP 응답의 반복에 의해 실행되는 일련의 처리다.
예를 들면, 문서 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고, 장표(帳票)의 입력, 처리, 축적 등을 행하는 워크플로 시스템을 실장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MFP의 삽입 웹 브라우저로부터 유저가 액세스한다. 이 경우, 시스템에 장표 문서를 입력하는 공정에 있어서, 유저가 웹 브라우저를 조작하고 있는 MFP의 스캐너에 의해 장표의 종이 매체를 스캔함으로써 판독된 화상 데이터를 웹 서버에 HTTP를 통해서 업로드할 수 있다.
워크플로를 구성하는 일련의 처리를 정보처리장치측의 웹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제어할 수 있으므로, 여러 가지의 워크플로의 요구에 유연하게 대응하는 것이 용이하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정보처리장치상의 소프트웨어는 화상처리장치상의 펌웨어(firmware)보다도 비교적 많은 이용 가능한 계산기 자원(CPU나 기억장치 등)을 갖고 또 유연성과 확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렇게 조합하는 것으로, 각각의 장치의 특성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고, 여러 가지의 솔루션에 대응하기 쉬운 분산 협조 시스템을 구성할 수 있다.
조작 대상측의 장치에 의해 서비스들이 실현될 때, 조작 단말측의 장치가 어떤 연계의 역할을 하는 경우, 유저가 언제나 바로 옆의 장치를 선택하기 위한 단순한 조작이 요구된다. 조작단말측의 장치는 종이 원고를 스캔해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조작 대상측의 장치에 화상 데이터를 업로드하는, 입력장치로서의 역할을 한다.
이것은, 조작 단말과 조작 대상과의 사이에서 원격조작의 제어에 사용하는 프로토콜과, 분산 시스템의 장치간 연계에 사용하는 프로토콜이 동일한 HTTP에 한정되고, 원격조작의 세션 중에서 연계를 위한 통신이 완결되는 경우에만 유효하다. 분산 협조 시스템의 최적의 장치연계용의 프로토콜을 자유롭게 사용할 있는 경우, 가능한 연계의 조합의 수가 증가하고, 또 일반적으로 고효율의 연계를 실현하기 쉽 다. 예를 들면, 출력장치에 프린트 지시를 발행하기 위해서는, 유저는 일반적으로 프린트용으로서 사용되는 LPR이나 인터넷 프린팅 프로토콜(IPP) 등을 사용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혹은, 기억장치에 데이터를 기억하거나 기억장치로부터 데이터를 리트리브(retrieve)하기 위해서는, 유저가 네트워크 파일 시스템(NFS)이나 파일 트랜스퍼 프로토콜(FTP)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이들의 예와 같이, 분산 시스템의 연계의 성질에 따라 각종의 최적 프로토콜이 있기 때문에, 최적 프로토콜이 선택될 것이다. 또한, 원격조작을 위한 세션과, 분산 협조 시스템의 장치 간 연계의 세션을, 독립적인 세션으로서 자유롭게 구성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왜냐하면, 분산 협조 시스템의 서비스를 실현하는데 필요한 장치 간의 연계에 있어서는, 조작 단말측 장치가 아닌 다른 장치도 연계 중에 임의의 역할을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다른 화상처리장치로부터 화상처리장치를 조작)
유저가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다른 화상처리장치를 조작하는 경우에는, 조작 단말측과 조작대상측의 화상처리장치에, 전용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과 전용의 서버 애플리케이션을 배치해도 되고, 조작 단말측에 조작 대상측의 고유 정보를 기억해도 된다.
(조작이 편재한 시스템을 보다 효율화하는 컨텍스트 어웨어니스(context awareness))
유저가 정보처리장치를 떠나서 화상처리장치를 이용하는 중에, 정보처리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조작하는 경우, 정보처리장치상에서 가동하는 에이 전트 프로그램은 화상처리장치에 원격조작요구를 발행한다.
화상 처리 시스템 내에 포함된 분산 협조 시스템에 있어서는, 유저의 작업의 흐름(워크플로)에 따라, 유저가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분산 협조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유저도 종이도 네트워크 시스템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이다. 유저가 오피스 등의 물리공간 주위에서 이동하고, 어떤 시점에서 화상처리장치의 앞에 서서, 종이 원고를 스캔함으로써 얻은 데이터를 시스템 환경의 디지털 공간에 입력하고, 또 시스템 환경의 디지털 공간으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데이터가 프린트된 종이를 회수한다. 유저 및 종이는 화상처리장치를 통해서 분산 시스템 환경과 상호작용한다. 따라서, 유저의 작업의 흐름(워크플로)에 따라, 화상처리장치는, 유저가 분산 협조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작하는 최적의 장소가 되는 경우가 있다.
조작의 편재가 달성되고, 특히,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유저가 분산 협조 시스템이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게 되면, 어떤 시점에서 유저가 화상처리장치의 앞에 서서, 원격의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한다고 하는 상황을 잘 활용하게 된다.
이상의 전제를 근거로 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1 실시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에 있어서, 화상처리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거쳐서 서로 통신가능한 화 상처리장치 110, 120, 130과, 데스크탑 컴퓨터(101), 및 서버 컴퓨터(102)로 구성된다. 네트워크는, 예를 들면 LAN(Local Area Network)(100)로 구성된다.
화상처리장치 110은, 화상 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 113, 화상 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 114, 제어유닛 111, 및 유저 인터페이스인 조작부 112로 구성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화상처리장치는, MFP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화상을 처리할 수 있는 장치이면 어떠한 장치든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린터 단체, 스캐너 단체, FAX 장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스캐너 113, 프린터 114, 및 조작부 112는 제어유닛 111에 접속되고, 제어유닛 111로부터의 명령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유닛 111은, LAN(100)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처리장치 120 및 130은, 화상처리장치 11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화상처리장치 120은, 스캐너 123, 프린터 124, 및 조작부 122로 구성되고, 그들은 제어유닛 121에 접속되어 있다. 화상처리장치 130은, 스캐너 133, 프린터 134, 및 조작부 132로 구성되고, 그들은 제어유닛 131에 접속되어 있다.
데스크탑 컴퓨터(101)는, 유저가 정규적으로 사용하는 정보처리장치이며, 유저가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나 유저의 데이터 등을 저장하고 있다. 데스크탑 컴퓨터(101)는, 또한 화상처리장치 110, 120, 130이나, 서버 컴퓨터(102)등과 LAN(100)을 거쳐서 연계하여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도 있다.
서버 컴퓨터(102)는, 복수의 유저가 공용하는 정보처리장치이며, 데스크탑 컴퓨터(101)와 화상처리장치 110, 120, 130에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이들을 조합해 서 서로 연계시키거나 한다.
도 2는, 화상처리장치 110, 120, 130의 각각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유저 인터페이스(UI) 모듈(201)은, 오퍼레이터가 화상처리장치에 대한 각종 조작·설정을 행할 때에, 화상처리장치와 유저 조작과의 중개를 행하는 모듈이다. 이 UI 모듈(201)은,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각종 모듈에 입력 정보를 전송하고, 모듈에 요구하여 처리의 실행 또는 데이터의 설정 등을 행하다.
어드레스 북(Address-Book) 모듈(202)은, 데이터의 송부처, 통신처 등을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 모듈이다. 또한, 어드레스 북 모듈(202)에 의해 관리되는 데이터에 대해서는, UI 모듈(201)로부터의 조작 지령에 따라 데이터의 추가, 삭제, 취득이 이루어진다. 어드레스 북 모듈(202)로부터, 오퍼레이터의 조작에 따라, 각 모듈에 데이터의 송부 또는 통신처 정보가 공급된다.
웹 서버 모듈(203)은, 웹 클라이언트(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101))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삽입 웹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삽입 웹 애플리케이션은, 통합 송신(Universal Send) 모듈(204) 및 리모트 카피 스캔(Remote-Copy-Scan) 모듈(209)을 포함한다. 삽입 웹 애플리케이션은, 리모트 카피 프린트 모듈(210), 제어 API(218) 등과 통신함으로써 장치의 기능, 설정, 상태 등에 액세스한다. 삽입 웹 애플리케이션은 HTTP 모듈(212), TCP/IP 통신 모듈(216), 및 네트워크 드라이버(217)를 거쳐서 웹 클라이언트와 통신한다.
통합 송신 모듈(204)은 데이터의 분배를 제어하는 모듈이다. 이 통합 송신 모듈(204)은, UI 모듈(201)을 거쳐서 오퍼레이터에 의해 지시된 데이터를, 통신(출력)처에 배포한다. 오퍼레이터가, 본 장치의 스캐너 기능을 사용하는 배포 데이터의 생성을 지시한 경우에는, 통합 송신 모듈(204)은 제어 API(218)를 거쳐서 본 장치를 동작시켜, 데이터를 생성한다.
P550 모듈(205)은, 통합 송신 모듈(204) 내에 포함되고, 출력처로서 프린터가 지정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모듈이다. 이메일 모듈(206)은 통합 송신 모듈(204) 내에 포함되고, 통신처로서 이메일 어드레스가 지정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모듈이다. DB 모듈(207)은, 통합 송신 모듈(204) 내에 포함되고, 출력처로서 데이터베이스가 지정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모듈이다. DP 모듈(208)은, 통합 송신 모듈(204) 내에 포함되고, 출력처로서 본 장치와 같은 화상처리장치가 지정되었을 때에 실행되는 모듈이다.
리모트 카피 스캔 모듈(209)은, 화상처리장치의 스캐너 기능을 사용해서 화상정보를 판독하고, 판독한 화상정보를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다른 화상처리장치에 출력함으로써, 원래 단체로 실현되는 카피 기능을, 복수의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해서 실현한다.
리모트 카피 프린트 모듈(210)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다른 화상처리 장치에 의해 취득된 화상정보를, 본 화상처리장치의 프린트 기능을 사용해서 출력함으로써, 원래 단체로 실현되는 카피 기능을, 복수의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해서 실현한다.
웹 브라우저(211)는, 인터넷 또는 인트라넷 상의 각종 웹 사이트(홈페이지) 와 웹 애플리케이션의 정보를 로드해서 조작부 122에 로드된 정보를 표시하고, 조작부 122로부터의 조작입력 정보를 웹 사이트와 웹 애플리케이션에 송신한다. 웹 브라우저의 상세한 구성은 후술한다.
HTTP 모듈(212)은, 화상처리장치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에 의거한 통신을 행할 때에 사용된다. HTTP 모듈(212)은 TCP/IP 통신 모듈(216)을 사용하는 웹 서버(203)와 웹 브라우저(211)에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이 HTTP 모듈(212)은, HTTP 등의 인터넷상에서 사용되는 각종 프로토콜에 대응하고, 특히 시큐리티(security) 대응의 프로토콜에 의거한 통신기능도 제공한다.
LPR 모듈(213)은, TCP/IP 통신 모듈(216)을 이용하는 통합 송신 모듈(204) 내의 P550 모듈(205)에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SMTP 모듈(214)은, TCP/IP 통신 모듈(216)을 이용하는 통합 송신 모듈(204) 내의 이메일 모듈(206)에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SLM(Salutation-Manager) 모듈(215)은, TCP/IP 통신 모듈(216)을 이용하는 통합 송신 모듈(204) 내의 DB 모듈(207), DP 모듈(208), 및 리모트 카피 스캔 모듈(209), 및 리모트 카피 프린트 모듈(210)에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TCP/IP 통신 모듈(216)은, 네트워크 드라이버(217)를 사용하여, 전술의 각종 모듈에 네트워크 통신기능을 제공한다. 네트워크 드라이버(217)는, 네트워크에 물리적으로 접속되는 모듈을 제어한다.
제어 API(218)는, 통합 송신 모듈(204) 등의 상류 모듈에, 잡 매니저(Job-manager) 모듈(219) 등의 하류 모듈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 모듈에 의 해, 상류 및 하류의 모듈 간의 의존관계가 경감되어, 각각의 유용성을 높일 수 있다.
잡 매니저 모듈(219)은, 전술의 각종 모듈로부터 제어 API(218)를 거쳐서 지시되는 여러가지 처리를 해석하고, 각 모듈 220, 224, 226에 지시를 주는 것이다. 잡 매니저 모듈(219)은, 화상처리장치 내에서 실행되는 하드웨어 처리를 일괄 관리하는 것이다.
CODEC 매니저 모듈(220)은, 잡 매니저 모듈(219)이 지시하는 처리 중에서, 데이터의 각종 압축·신장 처리를 관리·제어하는 것이다.
FBE 인코더 모듈(221)은, 잡 매니저 모듈(219)과 스캔 매니저 모듈(224)에 의해 실행된 스캔 처리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를, FBE 포맷을 사용해서 압축하는 것이다.
JPEG CODEC 모듈(222)은, 잡 매니저 모듈(219)과 스캔 매니저 모듈(224)에 의해 실행된 스캔 처리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의 JPEG 압축을 실행한다. 또는, 이 모듈은 프린트 매니저 모듈(226)에 의해 실행된 인쇄 처리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의 JPEG 전개 처리를 행한다.
MMR CODEC 모듈(223)은, 잡 매니저 모듈(219) 및 스캔 매니저 모듈(224)에 의해 실행된 스캔 처리에 의해 판독된 데이터의 MMR 압축을 실행한다. 또는 이 모듈은 프린트 매니저 모듈(226)에 의해 실행된 인쇄 처리에 있어서, 인쇄 데이터의 MMR 신장 처리를 실행한다.
정보 삽입 화상 CODEC(IEI-CODEC) 모듈(229)은 잡 매니저 모듈(219)과 스캔 매니저 모듈(224)에 의해 실행된 스캔 처리에 의해 판독된 화상 데이터에 삽입된 정보를 디코드한다. IEI-CODEC 모듈(229)은 프린트 매니저 모듈(226)에 의해 실행된 인쇄 처리에 있어서, 인쇄 화상 데이터에 정보를 삽입한다. 바코드나 디지털 워터마킹(watermarking) 등의 인코딩 기술을 사용해서 화상 데이터에 정보를 삽입한다. 또한, 이 모듈은 블록 분리와 OCR 기술에 의해 화상 데이터의 화상 중의 문자를 인식하여,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인식을 일종의 복호화기술로서 서포트한다. 한층 더, 이 모듈은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aster image processor)를 사용하여 텍스트로부터 화상 데이터로의 변환과, 변환한 화상 데이터와 오리지널 화상 데이터의 오버레이를, 일종의 인코딩 기술(정보 삽입 기술)로서 서포트한다.
스캔 매니저 모듈(224)은, 잡 매니저 모듈(219)이 지시하는 스캔 처리를 관리·제어하는 것이다.
SCSI 드라이버(225)는 스캔 매니저 모듈(224)과 화상처리장치에 내부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스캐너부와의 사이의 중개자이다.
프린트 매니저 모듈(226)은, 잡 매니저 모듈(219)이 지시하는 인쇄 처리를 관리·제어하는 것이다.
엔진 I/F 모듈(227)은, 프린트 매니저 모듈(226)과 인쇄부와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패러럴 포트 드라이버(228)는, 패러럴 포드를 거쳐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출력 기기에 데이터를 출력할 때의 Ⅰ/F를 제공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230)(이후,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라고도 말한 다)는,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의 클라이언트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기능한다. 즉,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는 원격장치의 조작 화면 데이터(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데스크탑 화면)을 취득하여, 조작부 122에 표시한다. 또한,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는 조작부 122에 유저의 조작 입력을 원격장치에 대한 조작 입력 데이터로서 송신한다.
리모트 프레임 버퍼(RFB) 프로토콜 처리 모듈(231)은, 널리 이용되고 있는 리모트 데스크탑 시스템 중의 하나인 VNC에 있어서의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따른 네트워크 통신제어를 행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232)는,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의 서버 애플리케이션으로서 기능한다. 즉,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232)는, 원격장치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되면, 조작부 122에 표시되어야 할 조작 화면 데이터를 클라이언트에 송신한다. 또한,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232)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한 조작 입력 데이터에 따라, 조작부 122에 있어서 조작 입력이 행해졌을 경우와 동등한 조작 입력 이벤트를 발생한다.
도 3은, 화상처리장치 1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화상처리장치 120, 130도 같은 구성을 갖는다.
제어유닛 111은, 화상 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 113와 화상 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 114와 접속되고, 또한 LAN(100)과 공중회선(WAN)과 접속됨으로써, 화상정보와 디바이스 정보의 입출력을 행하는 컨트롤러다.
CPU(301)는, 제어유닛 111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다. RAM(302)은, CPU(301)의 동작을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 워크 메모리이다. RAM(302)은, 화상 데이터를 일시 기억하기 위한 화상 메모리이기도 하다. ROM(303)은, 시스템의 부트(boot)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부트 ROM이다. HDD(304)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이며, 시스템 소프트웨어 및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다.
조작부 I/F(306)는, 조작부(UI) 112와의 인터페이스를 제어하고, 조작부 112에 표시해야 할 화상 데이터를 조작부 112에 출력한다. 또한, 조작부 I/F(306)는 사용자가 조작부 112를 거쳐서 입력한 정보를, CPU(301)에 전해주는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8)는, LAN(100)과의 접속을 제어하고, LAN(100)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모뎀(309)은, 공중회선과의 접속을 제어하고, 공중회선에 대하여 정보의 입출력을 행한다. 이상의 디바이스가 시스템 버스(307)에 접속된다.
이미지 버스 I/F(305)는, 시스템 버스(307)와 화상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화상 버스(310)를 접속하고, 데이터 구조를 변환하는 버스 브리지다. 화상 버스(310)는, PCI 버스 또는 IEEE1394로 구성된다.
화상 버스(310)에는 이하의 디바이스가 배치된다. 래스터 이미지 프로세서(RIP)(311)는, 네트워크로부터 송신된 PDL 코드를 비트맵 이미지 데이터에 전개한다. 디바이스Ⅰ/F(312)는, 화상 입출력 디바이스인 스캐너 113와 프린터 114를 제어유닛 111에 접속하여, 화상 데이터의 동기계/비동기계의 변환을 행한다.
스캐너 화상 처리부(313)는, 입력 화상 데이터를 보정, 가공, 편집한다. 프린터 화상 처리부(314)는, 프린트 출력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프린터 114의 성능 에 따라 보정, 해상도 변환 등을 행한다. 화상 회전부(315)는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킨다. 화상 압축부(316)는, 다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JPEG 압축/신장 처리를 행하고, 2치 화상 데이터에 대해서는 JBIG, MMR, MH의 압축/신장 처리를 행한다.
도 4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이하, 화상처리장치 110에 관해서 설명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화상처리장치 120 및 130은 동등한 외관을 갖고, 같은 동작을 수행한다.
화상 입력 디바이스인 스캐너 113은, 원고가 되는 용지 위의 화상을 조명하고, CCD 라인 센서(도시 생략)를 주사함으로써, 래스터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한다.
사용자가 원고 용지를 원고 피더(feeder)(405)의 트레이(406)에 세트하고, 조작부 112에서 스캔 기동을 지시한다. 그러면, 제어유닛 111의 CPU(301)가 스캐너 113에 지시를 주고, 트레이(406)에 세트된 원고 용지는 1장씩 공급되고, 스캐너 113은 원고 화상을 스캔한다.
화상 출력 디바이스인 프린터 114는, 래스터 이미지 데이터를 용지에 인쇄한다. 이 인쇄방식은, 감광체 드럼이나 감광체 벨트를 사용하는 전자사진방식, 미소 노즐 어레이로부터 잉크를 토출함으로써 용지 위에 직접 화상을 인쇄하는 잉크젯 방식 등을 포함하지만, 이들 방식의 어느 방식이든 사용해도 된다. 또한, 프린트 동작은 CPU(301)로부터의 지시에 응답해서 기동된다.
프린터 114는, 다른 용지 사이즈 및 다른 용지 방위를 선택할 수 있게 복수의 급지단을 갖고, 거기에 대응한 용지 카세트 401, 402, 403을 포함한다. 배지 트레이(404)는, 인쇄된 용지를 받는다.
도 5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조작부 112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다. 또한, 화상처리장치 120 및 130의 조작부도 동등한 구성을 구비한다는 점에 유념한다.
LCD(501)는, 터치 패널(502)을 포함한다. LCD(501)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조작 화면 및 소프트 키를 표시한다. 표시된 키 중 하나를 눌렀을 경우에는, LCD(501)는 눌러진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정보를 제어유닛 111의 CPU(301)에 전한다.
스타트 키(505)는, 유저가 원고 화상의 스캔 동작을 시작하기 원하는 경우에 눌러진다. 스타트 키(505)의 중앙부는, 녹색과 적색을 갖는 2색 LED 표시부(506)를 포함하고 있고, 그 색에 의해 스타트 키(505)를 조작할 수 있는 상태인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스톱 키(503)는, 유저가 가동 중의 화상처리장치 110의 동작을 멈추고 싶을 경우에 눌러진다. ID 키(507)는, 유저가 유저 ID를 입력할 때에 눌러진다. 리셋 키(504)는, 유저가 조작부 112상의 설정을 초기화하기 원할 때 조작된다.
도 6은, 화상처리장치 110의 조작부 112 및 조작부 Ⅰ/F(306)의 내부 구성을 제어유닛 111의 내부구성과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블럭도다. 이하, 화상처리장치 110에 관해서 설명하지만, 화상처리장치 120 또는 130에도 적용가능하다는 점에 유념한다.
조작부 112는, 조작부Ⅰ/F(306)을 거쳐서 시스템 버스(307)에 접속된다. 시스템 버스(307)에는, CPU(301), RAM(302), ROM(303), 및 HDD(304)가 접속되어 있다. CPU(301)는, ROM(303)과 HDD(304)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 등에 의거하여 시스템 버스(307)에 접속되는 각종 디바이스와의 액세스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CPU(301)는, 디바이스Ⅰ/F(312)을 거쳐서 접속되는 스캐너 113으로부터 입력 정보를 로드하고, 또 디바이스 Ⅰ/F(312)을 거쳐서 접속되는 프린터 114에 출력 정보로서의 화상신호를 출력한다. RAM(302)은 CPU(301)의 주메모리, 워크 에어리어(work area) 등으로서 기능한다.
터치 패널(502)과 각종 하드웨어 키 503, 504, 505, 507로부터의 유저 입력 정보는, 입력 포트(601)를 거쳐서 CPU(301)에 전달된다. CPU(301)은, 유저 입력 정보의 내용과 제어 프로그램에 의거하여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하고, 화면 출력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출력 포트(602)를 거쳐서, LCD(501)에 표시 화면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CPU(301)는 필요에 따라 2색 LED 표시부(506)를 제어한다.
도 7은, 화상처리장치 110의 조작부 112에 표시되는 표준적인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최상부(701)에 나열되어 있는 버튼군은 화상처리장치 110이 제공하는 각종 기능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된 버튼군이다. 카피 기능은, 스캐너 113에 의해 스캔되어 판독되는 원고 화상 데이터를 프린터 114를 이용해서 프린트해서 원고의 복사물을 얻기 위해서 사용된다.
송신 기능은, 스캐너 113으로 판독한 원고 화상 데이터와 HDD(304)에 축적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를 각종 출력처에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출력처로서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8)를 통해서 각종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가능한 각종의 출력처, 및 모뎀(309)을 통해서 팩스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신가능한 각종의 출력처가 있다. 이 기능에 의해 이들 출력처로부터 복수의 출력 처를 선택해서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박스 기능은, HDD(304)에 축적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와 코드 데이터 등의 문서 파일을 열람, 편집, 프린트, 및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HDD(304)에는 여러가지 문서 파일이 축적된다. 예를 들면, 그러한 문서 파일은 스캐너 113으로 판독한 원고 화상 데이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8)를 경유해서 다운로드한 데이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8)를 경유해서 수신한 프린트 데이터, 모뎀(309)을 경유해서 수신한 팩스 데이터 등을 포함한다. 박스 기능은, 오피스 환경에 있어서 전자적인 메일 박스로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박스 기능은 유저가 패스워드를 입력할 때까지 용지에의 프린트 출력을 지연시킴으로써, PDL 프린트 잡의 기밀성(confidentiality)을 향상시키는 시큐어드(secured) 프린트 기능으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확장기능은, 스캐너 113을 외부장치로부터 이용하기 위해서 록킹(locking)하는 등, 각종의 확장기능을 호출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브라우저 기능은 웹 사이트를 열람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도 7의 중간부분(702)에서는, 카피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의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있다. 최하부(703)는 스테이터스 표시 영역이며, 최상부(701)에서 선택된 기능에 관계없이 화상처리장치 110의 각 기능이나 장치 자체의 정보 등을 포함하는 각종의 메시지를 유저에게 표시한다.
(웹 브라우저에 의한 분산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웹 브라우저(211)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프로토콜 처리부(801)는, HTTP 모듈(212)을 거쳐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그 노드와 통신한다. 이 통신에 있어서, 프로토콜 처리부(801)는 URL에 의해 기술된 리소스에 대하여 HTTP 요구를 발행하고, 그 응답을 얻는다. 이 과정에서, 프로토콜 처리부(801)는 각종 인코딩 형식에 따른 통신 데이터를 인코딩 또는 디코딩한다.
콘텐츠 파서(contents parser)(802)는, 프로토콜 처리부(801)로부터 HTML, XML, XHTML 등의 표현 형식으로 표현된 콘텐츠 데이터를 받아서, 자구해석 및 구문해석을 행하여 해석목(parse tree)을 생성한다.
DOM 구축부(803)는, 콘텐츠 파서(802)로부터 해석목을 받아서, 콘텐츠 데이터의 구조에 대응한 DOM(Document Object Model)을 구축한다. 즉, 종래의 HTML은 문법상 여러가지의 생략을 허가하고, 폭 넓은 배리에이션(variations)의 어레이를 포함한다. 한층 더, 실제로 운용되고 있는 콘텐츠는 타당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DOM 구축부(803)는, 다른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와 마찬가지로, 문법적으로 타당하지 않은 콘텐츠 데이터의 올바른 논리 구조를 추론하고, 타당한 DOM의 구축을 시도한다.
DOM 처리부(804)는, DOM 구축부(803)가 구축한 DOM을, 오브젝트(오브젝트)군의 집합(nested) 관계를 표현하는 트리(tree) 구조로서 메모리 위에 유지 및 관리한다. 웹 브라우저의 각종 처리는 이 DOM을 중심으로 실현된다.
레이아웃 엔진(807)은, DOM 처리부(804)가 유지하는 오브젝트군의 트리 구조에 따라 각 오브젝트의 표시상의 표현(프리젠테이션)을 재귀적으로 결정하고, 결과 적으로 문서 전체의 레이아웃을 얻는다. 각 오브젝트의 표시상의 표현은, 문서 내에 삽입된 기술 또는 문서로부터 링크된 독립적인 파일에의 기술에 의해, CSS(Cascading Style Sheet) 등의 스타일 시트(style sheet) 형식으로 명시적으로 지정되는 경우가 있다.
스타일 시트 파서(style sheet parser)(806)는, 콘텐츠의 문서와 관련된 스타일 시트를 해석한다.
레이아웃 엔진(807)은, 스타일 시트의 해석 결과를 반영해서 문서의 배치를 결정한다.
렌더러(renderer)(808)는, 레이아웃 엔진(807)이 결정한 문서의 레이아웃에 따라, LCD(501)(도 5)에 표시하기 위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데이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GUI 데이터는, UI 모듈(201)에 의해 LCD(501) 상에 표시된다.
이벤트 처리부(809)는, 조작부 112상의 터치 패널(502)과 각 키 등에 대하여 유저가 행한 조작의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벤트에 대응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벤트 처리부(809)는 또한 제어 API(218)로부터 장치나 잡 등의 상태 천이 이벤트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벤트에 대응한 처리를 수행한다. DOM 처리부(804)가 관리하는 DOM의 트리 구조에는, 오브젝트의 클래스마다, 그리고 오브젝트 인스턴스(instance)마다, 각종 이벤트에 대응하는 이벤트 핸들러(handler)가 등록되어 있다. 이벤트 처리부(809)는, 발생한 이벤트에 따라, DOM 처리부(804)가 관리하는 오브젝트군 중에서 그 이벤트의 처리를 담당해야 할 오브젝트를 결정하고, 이벤트를 그 오브젝트에 송신한다. 송신된 이벤트를 수신한 오브젝트는, 그 이벤트에 대응하 는 이벤트 핸들러의 알고리즘에 따라, 각종의 처리를 실행한다. 이벤트 핸들러의 처리는, DOM 처리부(804)가 유지하는 DOM의 갱신, 레이아웃 엔진(807)에 대한 재묘화 지시, 프로토콜 처리부(801)에 대한 HTTP 요구 발행의 지시, 제어 API(218)의 호출에 의한 화상처리장치 기능의 제어 등을 포함한다.
스크립트 인터프리터(805)는, JavaScript(ECMA Script) 등의 스크립트를 해석해서 실행한다. 스크립트는, 문서에 삽입되거나, 문서로부터 링크된 독립된 파일 중에 기술되고, DOM에 대한 조작 등을 행한다. 콘텐츠의 제공자는, 스크립트를 이용해서 제공되는 문서의 동적인 거동을 프로그램할 수 있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LCD(501)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탭(901)은, 웹 브라우저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탭을 선택함으로써, 표시 화면을 다른 기능(카피, 박스, 송신, 확장)의 화면에서 웹 브라우저 기능의 화면으로 바꿀 수 있다.
URL 입력 필드(902)는, 유저가 원하는 리소스의 URL을 입력할 때 사용된다. 해당 필드를 유저가 누르면,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된 가상적인 풀 키보드(full-keyboard)(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가 표시된다. 유저는, 가상적인 풀 키보드 위에 배치되어 키 톱(key top)을 시뮬레이트하는 소프트 키를 이용해서 원하는 문자열을 입력할 수 있다.
OK 버튼(903)은, URL 입력 필드(902)에 입력된 URL 문자열을 확정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키다. URL이 확정되면, 웹 브라우저(211)가 지정된 리소스의 취득을 행 하기 위한 HTTP 요구를 발행한다. 프로그레스 바(progress bar: 904)는 HTTP 요구 응답에 의거한 콘텐츠 취득 처리의 진척 상황을 나타낸다. 콘텐츠 표시 영역(905)은, 취득한 리소스를 표시한다.
백 버튼(back button;906)은 소프트웨어 키이며, 콘텐츠 표시의 이력을 거슬러 올라가서, 현시점에서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의 앞에 표시한 콘텐츠를 다시 표시하기 위해서 눌러진다. 넥스트 버튼(next button;907)은 소프트웨어 키이며, 콘텐츠 표시의 이력을 거슬러 올라가서 콘텐츠를 표시할 때에, 현시점에서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의 뒤에 표시된 콘텐츠의 표시로 돌아가기 위해서 눌러진다. 리로드 버튼(reload button;908)은 소프트웨어 키이며, 현시점에서 표시되어 있는 콘텐츠의 재취득과 재표시를 행하기 위해서 눌러진다. 중지 버튼(909)은 소프트웨어 키이며, 실행 중의 콘텐츠 취득 처리를 중지하기 위해서 눌러진다.
스테이터스 영역(910)(최하부 703)은, 화상처리장치 110의 각종 기능으로부터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스테이터스 영역(910)은 웹 브라우저 화면의 표시중이라도, 스캐너 113이나 프린터 114나 다른 기능 등으로부터 유저의 주의를 끄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또한, 마찬가지로, 스테이터스 영역(910)은 웹 브라우저 기능으로부터의 메시지도 표시한다. 웹 브라우저 기능으로부터는, 링크처의 URL 문자열, 콘텐츠의 타이틀 문자열, 스크립트에 의해 지시된 메시지 등이 전해진다.
도 10은, 클라이언트(1001)에 의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 HTTP 요구와, 서버(1002)로부터의 응답을 나타내는 시퀸스 차트다.
클라이언트(1001)는, HTTP 요구를 송신하고, HTTP 응답을 수신하는 소프트웨 어다. 클라이언트(1001)는 화상처리장치 110, 120, 130에 삽입된 웹 브라우저나, PC, PDA, 휴대전화 등에서 가동하는 일반적인 웹 브라우저나, 한층 더 웹 브라우저와 같은 방법으로 웹 서버에 액세스해서 서비스의 이용 또는 중계를 행하는 각종의 소프트웨어에 해당한다. 서버(1002)는, HTTP 요구를 수신해서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한층 더 HTTP 응답을 회신하는 소프트웨어다. 서버(1002)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프로바이더의 소프트웨어나, 인트라넷에 구축된 서버 소프트웨어나, 데스크탑 컴퓨터(101)상에서 가동하는 웹 애플리케이션형 소프트웨어 등 각종 HTTP 서버에 해당한다.
클라이언트(1001)는 서버(1002)에 대하여, 원하는 리소스에 대한 GET 요구를 포함하는 HTTP 요구(1003)를 송신한다. 리소스는 일반적으로 URI(특히 URL) 형식으로 지정된다.
서버(1002)는, GET 요구에 의해 지정된 리소스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취득 또는 생성하고, HTTP 응답(1004)을 이용해서 데이터를 반송한다. 지정된 리소스가 정적인 파일에 대응할 경우, 서버(1002)는 그 파일 시스템으로부터 해당하는 파일을 판독해서 그 데이터를 취득한다. 한편, 지정된 리소스가 CGI 프로그램이나 서블릿(Servlet) 등의 처리에 대응할 경우, 서버(1002)는 해당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처리는 요구에 대한 응답을 생성하지만, 소정의 서비스를 달성하기 위해서 필요한 비지니스 로직의 실행과 백엔드(backend) DBMS에의 액세스 등의 부작용을 포함한다. 그리고나서, 서버(1002)는, 그 처리의 결과로서 생성된 데이터를 반송한다.
HTTP 응답(1004)으로서 취득된 데이터가 표시가능한 형식일 경우, 클라이언 트(1001)는 그 콘텐츠를 표시한다.
또한, 취득한 데이터가 HTML 문서 등이면, 유저가, 웹 브라우저 위에 표시된 문서에 하이퍼텍스트로서 삽입된 링크 정보를 선택하는 경우, 차례로 새로운 리소스의 취득 및 표시가 반복된다.
HTTP 요구(1005)는 POST 요구다. HTML 문서는, 클라이언트(1001)측의 유저에게 데이터의 입력을 요구하기 위해 사용된 폼(form)을 포함할 수 있다. HTML 문서에서는, 폼이 다른 폼을 포함하고, 그 방법으로서 "POST"가 지정되어 있을 경우, 유저가 그 폼을 서브미트(submit)하면, 지정된 리소스에 대한 POST 요구가 송신된다. POST 요구로서, 서버(1002)를 향해서 데이터를 송신한다(응답에 의해 서버(1002)로부터 클라이언트(1001)로 데이터의 회신도 행해진다). 웹 브라우저에 표시된 폼에 유저가 입력한 정보가 부호화되어서, POST 요구에 의해 서버(1002)에 송신된다. 서버(1002)의 지정 리소스는, 클라이언트(1001)로부터 보내진 데이터를 수신해서 처리하고, HTTP 응답(1006)을 생성해서 회신한다.
HTTP 응답(1006)은 HTTP 응답(1004)과 같다. 취득한 데이터가 표시가능한 형식일 경우, 클라이언트(1001)는 그 콘텐츠를 표시한다. 취득한 데이터가 HTML 문서 등이면, 유저가 웹 브라우저 위에 표시된 문서에 하이퍼텍스트로서 삽입된 링크 정보만을 선택하는 경우 차례로 새로운 리소스의 취득 및 표시가 반복된다.
따라서, 서버(1002)측에서 가동하는 각종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클라이언트(1001)측으로부터 조작하기 위해 사용된 유저 인터페이스를, HTML 등의 마크업(markup) 언어를 이용해서 기술할 수 있다. 즉, 서버측 애플리케이션 로직의 상 태를 표시하는 기술과 애플리케이션 로직으로의 입력을 요구하는 기술을 결합한 콘텐츠를, 클라이언트(1001)측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반복 취득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나서, 서버(1002)측의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클라이언트(1001)측에서 조작하는 분산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1은, 도 5에 나타낸 LCD(501)에 있어서 VNC 뷰어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탭(1101)은, VNC 뷰어 기능을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탭을 선택함으로써, 다른 기능(카피, 박스, 송신, 또는 브라우저)의 화면에서 VNC 뷰어 기능의 화면으로 표시 화면을 바꿀 수 있다.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취득한 원격장치의 조작 화면 데이터(예를 들면,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데스크탑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해야 할 화면 데이터의 표시 화소의 수가 이 영역의 화소 수를 초과할 경우, 화면 데이터의 표시가능한 일부를 이 영역에 표시하고, 한층 더 횡방향과 종방향의 스크롤 바를 표시한다. 유저는 스크롤 바를 이용한 스크롤 조작에 의해, 화면 데이터의 원하는 부분을 볼 수 있다. 유저가 축소 버튼(1103) 또는 확대 버튼(1104)을 지정하는 경우, 원격장치의 데스크탑 화면의 해상도와,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의 해상도와의 대응관계를 1:1 이외의 관계(즉, 화면 데이터를 확대 또는 축소)로 표시할 수도 있다. 선택된 확대율(또는 축소율)로 원격장치의 데스크탑의 일부만이 이 영역에 표시되는 경우에도, 스크롤 바를 표시함으로써 유저는 스크롤 조작에 의해 데스크탑 화면의 원하는 부분을 선택적으로 표시 할 수 있다.
축소 버튼(1103)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취득한 원격장치의 조작 화면 데이터에 대하여 해상도 변환을 실행해서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때의 축소율의 추가를 지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유저가 축소 버튼(1103)을 몇 번 누르면,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에 표시되는 화면은 단계적으로 축소되고, 따라서 보다 넓은 범위가 표시될 수 있다. 원격장치의 조작화면이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보다도 큰 화소 수로 규정되어 있을 경우, 조작화면을 축소함으로써, 유저는 스크롤 조작의 필요성을 생략해서 화면의 전모를 쉽게 인식하는 것 등을 기대할 수 있다.
확대 버튼(1104)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취득한 원격장치의 조작 화면 데이터에 대하여 해상도 변환을 실행해서 표시 화면 데이터를 생성할 때의 확대율의 추가를 지시하기 위해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유저가 확대 버튼(1104)을 몇 번 누르면,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에 표시되는 화면은 단계적으로 확대된다. 따라서, 유저는, 축소 버튼(1103)을 눌러서 사이즈가 작아져 보기 어려워진 문자들을 볼 수 있다.
접속 버튼(1105)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원격장치의 원격조작 세션을 시작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유저가 접속 버튼(1105)을 선택하면,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230)는 원격장치 접속 다이얼로그 윈도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 위에 표시한다. 원격장치 접속 다이얼로그 윈도우에서는, 유저는 원격 조작해야 할 원격장치의 IP 어드레스, 디폴 트값과 다른 경우의 포트 번호, 유저 인증을 위한 유저 이름 및 패스워드 등의 정보를 입력 및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이 윈도우에 의해 유저는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의 동작상의 상세 파라미터(인코딩 방식 등) 등의 원격 조작 세션과 관련된 각종 설정을 입력 및 선택할 수 있다. 접속처의 어드레스 등을 포함한 원격조작 세션과 관련된 각종 설정 정보는, 장치마다 또는 유저마다 미리 등록될 수도 있고, 또는 과거의 접속 이력을 호출하거나 선택사항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설정될 수도 있다. 유저가 원격장치 접속 다이얼로그 윈도우에 필요한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한 후에 OK 버튼을 선택하면,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230)는 지정된 원격장치에 접속해서 원격 조작 세션을 시작한다. 복수의 세션을 동시에 확립하고, 유저는 확립된 세션군으로부터 조작하는 세션을 선택할 수도 있다.
조작부 112의 ID 키(507) 등의 각 물리적인 버튼에 대하여, 혹은 LCD(501)에 표시되는 소프트웨어 키(도면에 나타내지 않음) 등에 대하여, 매크로 기능을 할당해도 된다. 이 경우, 유저가 매크로 기능을 선택하면(예를 들면 카피 기능을 위한 다른 화면의 표시 중에도), 그 기능이 VNC 뷰어 기능으로 바뀌고, 할당된 원격조작 세션 설정 정보에 따른 접속이 개시된다.
절단 버튼(1106)은, 접속된 원격 조작 세션의 종료를 지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원격 조작 세션이 종료하고, 접속된 세션이 없을 때에는,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230)는 원격장치 접속 다이얼로그 윈도우를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 위에 표시한다.
인쇄 버튼(1107)은, 접속된 원격 조작 세션의 스크린 샷(shot)의 프린트를 지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230)는, 프린터 114를 사용하여 원격조작 중의 원격장치의 데스크탑의 스크린 샷을 프린트한다.
확장 버튼(1108)은, 확장 메뉴 다이얼로그 윈도우를 호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확장 메뉴 다이얼로그 윈도우에서, 유저는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230)와 관련된 각종의 환경설정을 편집하거나 확장기능을 조작할 수 있다.
커서 좌측 이동 버튼(1109)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거쳐서 커서의 좌측 방향 이동 이벤트를 송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원격장치측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는, 좌측 이동 이벤트를 수신하면, 조작 입력 수단인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좌측방향의 조작에 해당하는 내부 이벤트를 OS 레벨에서 생성한다. 이 결과, 원격장치측의 조작 화면상에서 예를 들면 마우스 커서가 이동한다. 갱신된 원격장치의 조작 화면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취득되고,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 상에 표시된다. 즉,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 상에 표시된 커서도 좌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커서 아래 이동 버튼(1110)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거쳐서 커서의 아래 이동 이벤트를 송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원격장치측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는, 아래 이동 이벤트를 수신하면, 조작 입력 수단인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아래방향 조작에 해당하는 내부 이벤트를 OS 레벨에서 생성한다. 이 결과, 원격장치측의 조작 화면상에서 예를 들면 마우스 커서가 이동한다. 갱신된 원격장치의 조작 화면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 토콜에 의해 취득되고,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 상에 표시된다. 즉,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 상에 표시된 커서도 아래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커서 위 이동 버튼(1111)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거쳐서 커서의 위 이동 이벤트를 송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원격장치측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는, 위 이동 이벤트를 수신하면, 조작 입력 수단인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위방향 조작에 해당하는 내부 이벤트를 OS 레벨에서 생성한다. 이 결과, 원격장치측의 조작화면상에서 예를 들면 마우스 커서가 이동한다. 갱신된 원격장치의 조작 화면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취득되고,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에 표시된다. 즉,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에 표시된 커서도 위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커서 우측 이동 버튼(1112)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거쳐서 커서의 우측 이동 이벤트를 송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원격장치측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는, 좌측 이동 이벤트를 수신하면, 조작 입력수단인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우측방향 조작에 해당하는 내부 이벤트를 OS 레벨에서 생성한다. 이 결과, 원격장치측의 조작 화면상에서 예를 들면 마우스 커서가 이동한다. 갱신된 원격장치의 조작 화면 데이터는, 필요에 따라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취득되고,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에 표시된다. 즉,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에 표시된 커서도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클릭 버튼(1113)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거쳐서 마우스의 클릭 이벤트를 송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원격장치측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는, 마우스 클릭 이벤트를 수신하면, 조작 입력수단인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클릭의 조작에 해당하는 내부 이벤트를 OS 레벨에서 생성한다.
더블 클릭 버튼(1114)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거쳐서 마우스의 클릭 이벤트를 연속적으로 2회 송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터치 패널상의 소프트웨어 키로는, 유저가 더블 클릭 조작으로서 판정된 연속적인 클릭 조작을 달성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그렇지만, 더블 클릭 버튼으로 유저는 이 조작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달성한다. 또한, 같은 방법으로, 마우스의 드래그(dragging) 조작(마우스 버튼을 계속해서 누르면서 마우스를 이동시키는 조작)과 마우스 해제 조작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튼과, 마우스의 우측 버튼의 클릭에 해당하는 이벤트를 생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버튼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포인팅 디바이스에 의한 조작 입력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버튼 1109 내지 1114 대신에, 마우스, 타블렛(tablet), 트랙볼(trackball) 등의 물리적인 포인팅 디바이스를 화상처리장치에 접속해도 된다.
키보드 버튼(1115)은, LCD(501) 위에 스크린 키보드 다이얼로그 윈도우의 표시를 지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스크린 키보드 다이얼로그 윈도우(도면에 나타내지 않음)에는, 소위 QWERTY 또는 JIS의 풀 키보드(full-keyboard) 등에 해당하는 소프트웨어 키가 배치된다. 유저가 키보드상의 키를 선택하면, 그 키에 대응하는 키 코드 이벤트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송출된다. 원격장치측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는, 키 코드 이벤트를 수신하면, 조작 입력 수단인 키보드에 의한 키 입력 조작에 해당하는 내부 이벤트를 OS 레벨에서 생성한다. 또 한, 스크린 키보드 다이얼로그 대신에 사용하는 화상처리장치에 물리적 키보드를 접속해도 된다.
도 12는, 본 실시 예의 원격 조작의 대상인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이하, 데스크탑 컴퓨터(101)상에서 가동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과 그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은,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유저에 각종의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은 예를 들면,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spreadsheet), 프리젠테이션, 문서관리, 데이터 관리, 그룹웨어(groupware), 파일 조작, 네트워크 감시 등의 여러가지의 응용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포함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스크탑 컴퓨터(101)상에서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이 동시에 동작한다.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은, 오퍼레이팅 시스템(OS)과 기반 소프트웨어군으로 이루어진 소프트웨어 플랫폼에 의해 제공되는 각종의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설치된다. 소프트웨어 플랫폼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모듈군을 포함한다.
묘화 라이브러리(rendering library;120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이,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표시장치에 유저 인터페이스를 묘화하거나, 종이에 프린트되는 화상을 묘화하거나 하기 위한 묘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라이브러리는 도형이나 화상이나 폰트 등을 묘화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Windows(등록상표)의 경우에는 WIN32, Mac OS X(등록상표)의 경우에는 Carbon 및 Cocoa, 또는 UNIX계 OS의 경우에는 X11/X1ib 등 의 기반 소프트웨어가 묘화 라이브러리를 제공한다.
표시 제어부(1203)는, 묘화 라이브러리(1202)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표시장치의 화면에 표시해야 할 묘화를 제어하기 위한 모듈이다. 데스크탑 컴퓨터(101)상에서 동시에 가동하는 복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부터 발행된 복수의 묘화 요구는, 표시 제어부(1203)의 윈도우 시스템 등에 의해 통합된다.
그래픽 프로세서(1024)는, 표시장치를 제어하고, 표시 제어부(1203)의 제어 하에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표시장치의 화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프린트 서브시스템(1205)은,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으로부터의 프린트 출력을 서포트하는 모듈이다.
프린터 드라이버(1206)는, 프린트 서브시스템(1205)에 포함되고, 묘화 라이브러리(1202)로부터의 묘화요구에 응답해서 프린트 잡 데이터를 생성하는 모듈이다. 프린터 드라이버(1206)는, 예를 들면 묘화요구에 따라 프린터용의 페이지 기술언어(PDL)을 생성한다.
프린트 프로토콜 통신부(1207)는, 프린트 서브시스템(1205)에 포함되고, 프린터와 통신해서 프린트 잡 데이터를 프린터에 송신하는 모듈이다. 프린트 프로토콜 통신부(1207)는, 복수의 프린터로부터 프린터를 선택하고, 선택한 프린터에 대하여 프린트 잡을 송신할 수 있다. 프린트 프로토콜 통신부(1207)는,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로컬 인터페이스(USB나 IEEE1394 등)에 접속된 프린터에 대하여 프린트 잡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프린트 프로토콜 통신부(1207)는, 네트워크 를 경유해서 접속된 원격의 화상처리장치 110, 120, 130 등에 대하여 프린트 잡 데이터를 송신할 수도 있다. 유저는, 프린트 처리를 실행할 때에 명시적으로 프린터를 선택할 수 있다. 유저가 명시적으로 어떠한 프린터도 선택하지 않은 경우에는, 디폴트 프린터로서 설정되어 있는 프린터가 선택된다.
이벤트 입력(1208)은, 유저에 의한 입력 이벤트나 시스템에서 생긴 이벤트를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에 공급하기 위한 모듈이다. 유저에 의한 입력 이벤트에는 마우스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의 조작 입력과 키보드의 조작 입력 등이 있다. 동시에 가동하고 있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중의 적절한 몇 개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이벤트를 전달하기 위해서, 이벤트 입력(1208)은 표시 제어부(1203) 내의 윈도우 매니저와 윈도우 시스템과 연계한다.
키보드/마우스 드라이버(1209)는, 키보드 및 포인팅 디바이스(마우스, 타블렛, 트랙볼 등) 등의 조작 입력 기구를 제어하는 모듈이다. 스캐너 드라이버(1210)는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이, 이미지 스캐너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입력 기구로부터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이용할 수 있는 API로서는 TWAIN, SANE, 및 ISIS 등이 있다. 스캐너 드라이버(1210)는, 복수의 화상입력장치로부터 화상입력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선택한 화상입력장치로부터 화상을 판독할 수 있다. 즉, 스캐너 드라이버(1210)는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로컬 인터페이스(USB나 IEEE1394 등)에 접속된 화상입력장치로부터 화상을 판독할 수 있다. 또한, 스캐너 드라이버(1210)는 네트워크를 경유해서 접속된 원격의 화상처리장치 110, 120, 130등으로부터 화상을 판독할 수도 있 다. 유저는 실제로 화상 입력 조작을 행할 때에 화상입력장치를 명시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유저가 명시적으로 화상입력장치를 선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디폴트 화상입력장치로서 설정되어 있는 화상입력장치가 선택된다.
네트워크 공유 파일 시스템(1211)은,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모듈이다. 이 모듈에 의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네트워크 파일 공유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다른 장치가 공개하는 원격의 파일 시스템을 마치 로컬의 파일 시스템인 것처럼 마운트할 수 있다. 네트워크 파일 공유 프로토콜은 NFS 및 CIFS(또는 SMB)를 포함한다. 네트워크 파일 전송 프로토콜(FTP, HTTP 등)에 의한 파일 취득과 파일 송신을 투과적으로 조합함으로써, 네트워크 파일 공유 프로토콜과 거의 동등의 파일 공유를 실현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공유 파일 시스템(1211)은 복수의 장치가 공개하는 복수의 원격의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수 있다. 유저는 원격의 공유 파일 시스템을 명시적으로 마운트할 수 있다. 또한, 디폴트 파일 시스템을 설정해 두고,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기동시나 유저의 로그 온시에 자동적으로 그러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수 있다.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라이브러리(1212)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이, 각종의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다른 장치에 데이터를 송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은,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을 위해서 외부장치와 연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브시스템군이다.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은 프린트 서브시스템(1205), 스캐너 드라이버(1210), 네트워크 공유 파일 시스템(1211), 및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라이브러리(1212)를 포함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원격의 장치가 데스크탑 컴퓨터(101)를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원격 조작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 모듈이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그래픽 프로세서(1204)에 표시하기 위해서 표시 제어부(1203)가 생성한 표시 데이터를 취득하고, 취득한 데이터를 원격의 장소에서 원격의 데스크탑 클라이언트에 공급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원격의 장소에서 원격의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로부터 전해진 이벤트를, 예를 들면 키보드/마우스 드라이버(1209)가 생성한 이벤트와 마찬가지로, 이벤트 입력(1208)에 공급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에 포함된 각 모듈을 간섭함으로써, 연계해야 할 외부장치의 설정을 변경할 수 있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에 의한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에의 간섭의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또한, 도 12에 의해 설명한 원격 조작의 대상인 장치는 데스크탑 컴퓨터(101)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화상처리장치 120이나 130이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경우, 화상처리장치의 기본 기능(카피, 박스 등)을 달성하는 삽입 애플리케이션(UI 모듈(201)에 포함)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에 해당한다. 또한, 통합 송신 모듈(204), 리모트 카피 스캔 모듈(209), 리모트 카피 프린트 모듈(210), 웹 브라우저(211), 및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230) 등의 삽입 애플리케이션군도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에 대응한다. 화상처리장치에 포함된 삽입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232)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에 해당하고, UI 모 듈(201)의 조작 표시 및 조작입력과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거한 통신과의 사이의 중계를 행한다.
도 13a 및 13b는 원격조작의 대상인 장치에 있어서 가동하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의 환경설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를 나타낸다. 이하, 데스크탑 컴퓨터(101)상에서 가동하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 설정 다이얼로그 윈도우(1301)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의 환경설정을 표시 및 편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이얼로그 윈도우다.
접속원 클라이언트 설정 테이블(1302)은, 원격의 조작원이 되는 각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마다 설정 레코드를 기억한 테이블을 표시하고 있다. 설정 레코드는,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등의 비휘발성 기억장치에 기억된다.
"선택" 열(1303)은,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설정 레코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라디오 버튼(radio button)을 포함한다.
"호스트명 또는 어드레스" 열(1304)은, 각 설정 레코드와 관련된 접속원 클라이언트의 호스트명 또는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디폴트(특정의 설정이 없는 접속원)"라고 기재된 행은 특별한 설정 레코드를 나타내고, 다른 행에 특정한 설정이 명기되지 않은 호스트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로부터 접속되었을 때에, 이 레코드의 설정이 적용된다.
"프린터 연계" 열(1305), "스캐너 연계" 열(1306), "파일 공유" 열(1307), "송신처 연계" 열(1308)은,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에 의한 외부장치 연계 서브 시스템군(1213)에 대한 간섭의 설정을 포함한다.
편집 버튼(1309)은, 해당하는 "선택" 라디오 버튼에 의해 선택된 레코드의 내용을 편집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이 버튼을 누르면, 접속원 클라이언트 설정 편집 다이얼로그 윈도우(1321)가 열린다.
신규 추가 버튼(1310)은, 새로운 설정 레코드를 추가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이 버튼을 누르면, 접속원 클라이언트 설정 테이블(1302)에 새로운 행이 추가되고, 그 설정 레코드와 관련된 접속원 클라이언트 설정 편집 다이얼로그 윈도우(1321)가 열린다.
OK 버튼(1311)은,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 설정 다이얼로그 윈도우(1301)의 확인 버튼이다. 이 버튼을 누르면,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 설정 다이얼로그 윈도우(1301)가 닫힌다.
접속원 클라이언트 설정 편집 다이얼로그 윈도우(1321)는, 원격의 조작원이 되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마다 그 설정 레코드를 편집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이얼로그 윈도우다.
"호스트명 또는 어드레스" 입력 필드(1322)는, 그 설정 레코드와 관련된 접속원 클라이언트의 어드레스(호스트명 또는 IP 어드레스)를 입력 및 편집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디폴트(특정의 설정이 없는 접속원)"의 설정 레코드를 선택함으로써 다이얼로그 윈도우를 열었을 경우에는, 이 필드는 편집할 수 없다.
"프린터 연계 자동 전환" 체크 박스(1323)는, 그 접속원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원격 조작시에,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가 프린트 서브시스템(1205)을 간섭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체크 박스가 체크되었을 경우에는, 그 접속원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원격조작 중에,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가 프린트 서브시스템(1205)의 디폴트 프린터 설정을 전환할 수 있다. 디폴트 프린터는 유저가 명시적으로 프린터를 선택하지 않고, 각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으로부터의 프린트 지시를 입력했을 경우에 프린트 잡이 전해지는 프린터이다. 일반적인 설정에 있어서,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디폴트 프린터를, 그 접속원 클라이언트의 어드레스로 전환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예를 들면, 화상처리장치 110을 조작해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1201)으로부터의 프린트 지시를 입력할 때,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에 프린트 출력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세 설정 버튼(1324)은, 프린터 연계 자동 전환과 관련된 상세한 설정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다이얼로그 윈도우를 호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상세한 설정에서는, 유저가 디폴트 프린터로서 전환되는 프린터를, 접속원 클라이언트 대신에 소망의 프린터로 설정하거나, 프린트 잡을 투입하기 위해서 복수의 프로토콜을 이용할 수 있는 경우에 이용하는 프로토콜을 선택하거나 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은, 스캐너 연계 자동 전환, 파일 공유 자동 마운트, 및 송신처 연계 자동 전환 선택에도 적용가능하다.
설정 레코드 삭제 버튼(1331)은, 선택되어 있는 설정 레코드를 설정 레코드 테이블로부터 삭제하기 위해서 눌러지는 소프트웨어 키다.
0K 버튼(1332)은, 접속원 클라이언트 설정 편집 다이얼로그 윈도우(1321)의 확인 버튼이다. 이 버튼을 누르면, 접속원 클라이언트 설정 편집 다이얼로그 윈도우(1321)가 닫힌다.
도 14는, 데스크탑 컴퓨터(101)에 있어서 실행되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의 세션 시작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원격의 장소에서 리모트 데스크탑 뷰어(230)로부터 원격조작 세션의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때, 이 처리가 호출된다.
스텝 1401에서는, 접속 요구원의 어드레스를 취득한다.
스텝 1402에서는, 접속원 클라이언트 설정 테이블(1302)에 해당하는 설정 레코드의 기억으로부터 접속 요구원의 어드레스를 검색한다.
스텝 1403에서는, 접속 요구원에 대응하는 설정 레코드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1404로 진행되지만, 접속 요구원에 대응하는 설정 레코드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처리는 스텝 1405로 진행된다.
스텝 1404에서는, 검색한 설정 레코드를 선택한다. 그리고나서, 이 처리는 스텝 1406으로 진행된다.
스텝 1405에서는, 접속원 클라이언트 설정 테이블(1302)의 디폴트 행에 해당하는 설정 레코드를 선택한다.
스텝 1406에서는, 설정 레코드의 프린터 연계의 설정에 의거해서, 접속 요구원이 프린터 연계를 요구하는 원격조작 클라이언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접속 요구원이 프린터 연계를 요구하는 원격조작 클라이언트인 경우, 처리는 스텝 1407로 진행된다. 접속 요구원이 프린터 연계를 요구하지 않는 원격 조작 클라이언트인 경우, 처리는 스텝 1408로 진행된다.
스텝 1407에서는, 설정 레코드의 프린터 연계 자동 전환 설정에 따라 프린트 서브시스템(1205)의 디폴트 프린터 설정을 전환한다. 이때, 전환 전의 설정을 대피해 두고, 이 원격조작 세션이 종료했을 때 대피한 설정을 복원한다. 즉, 통신시에 전환된 송신처 설정을, 통신 종료 후에 전환 전의 설정으로 되돌린다.
스텝 1408에서는, 설정 레코드의 스캐너 연계 설정에 따라, 접속 요구원이 스캐너 연계를 요구하는 원격 조작 클라이언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접속 요구원이 스캐너 연계를 요구하는 원격 조작 클라이언트인 경우, 처리는 스텝 1409로 진행된다. 접속 요구원이 스캐너 연계를 요구하지 않는 원격 조작 클라이언트인 경우, 처리는 스텝 1410으로 진행된다.
스텝 1409에서는, 설정 레코드의 스캐너 연계 자동 전환 설정에 따라, 스캐너 드라이버(1210)의 설정을 전환한다. 이 경우에, 전환 전의 설정을 대피해 두고, 이 원격 조작 세션이 종료했을 때 대피한 설정을 복원한다. 즉, 통신시에 전환된 송신처 설정을, 통신 종료 후에 전환 전의 설정으로 되돌아간다.
스텝 1410에서는, 설정 레코드의 파일 공유의 설정에 따라, 접속 요구원이 파일 공유 연계를 요구하는 원격 조작 클라이언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접속 요구원이 파일 공유 연계를 요구하는 원격조작 클라이언트인 경우, 처리는 스텝 1411로 진행된다. 접속 요구원이 파일 공유 연계를 요구하지 않는 원격 조작 클라이언트인 경우, 처리는 스텝 1412로 진행된다.
스텝 1411에서는, 설정 레코드의 파일 공유 자동 마운트 설정에 따라 네트워 크 공유 파일 시스템(1211)이 설정된 공유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를 지시한다. 자동으로 마운트된 공유 파일 시스템은 이 원격조작 세션이 종료했을 때 언마운트(unmount)된다.
스텝 1412에서는, 설정 레코드의 송신처 연계의 설정에 따라, 접속 요구원이 송신처 연계를 요구하는 원격 조작 클라이언트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접속 요구원이 송신처 연계를 요구하는 원격 조작 클라이언트인 경우, 처리는 스텝 1413으로 진행된다. 접속 요구원이 송신처 연계를 요구하지 않는 원격 조작 클라이언트인 경우, 일련의 절차를 완료한다.
스텝 1413에서는, 설정 레코드의 송신처 연계 자동 전환의 설정에 따라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라이브러리(1212)의 디폴트 송신처 설정을 전환한다. 이때, 전환 전의 설정을 대피해 두고, 후에 이 원격 조작 세션이 종료했을 때 대피한 설정을 복원한다. 즉, 통신시에 전환된 송신처 설정을, 통신 종료 후에 전환 전의 설정으로 되돌아간다. 그 후에, 일련의 절차를 완료한다.
도 15는, 원격 조작원과 조작 대상과의 사이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나타내는 타임 라인의 일례다. 도 15는 화상처리장치 110이 조작원이 되고, 데스크탑 컴퓨터(101)가 조작 대상이 되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시간의 경과에 따르는 상호작용을 나타내고 있다. 원격 조작을 달성하는 상호작용은, 리모트 데스크탑 시스템의 하나인 VNC의 RFB 프로토콜에 의해 실장될 수 있다.
스텝 1에서는, 화상처리장치 110 상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가, 데스크탑 컴퓨터(101) 상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에 대하여 RFB 프로토콜을 이용한 접속을 요구한다.
스텝 2에서는, 데스크탑 컴퓨터(101) 상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가, 도 14에 나타낸 플로차트의 알고리즘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101) 상의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에 대한 간섭을 행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독자의 프로세스간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과 통신하여, 각 서브시스템이 유지하는 디폴트 입출력처 설정의 전환 등을 요구한다. 이러한 요구를 수신한 각 서브시스템은, 디폴트의 입출력처를 전환하거나 공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한다.
스텝 3에서는,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의 서브시스템군이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에 대하여 설정의 전환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로 응답한다.
스텝 4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에 접속 요구에 대한 응답을 되돌려 보낸다.
스텝 5 및 스텝 6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와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RFB 프로토콜에 따라 원격조작을 위한 요구와 응답을 교환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의 유저가 조작을 완료하거나, 아이들(idle) 시간이 소정의 타임아웃 시간에 도달하거나, 소정의 조건 하에서 원격조작 세션을 닫기 전에, 원격 조작 통신의 상호작용은 반복된다.
스텝 7에서는, 원격 조작 세션을 닫기 위해서,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가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에 대하여 RFB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절단을 요구한다.
스텝 8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가 독자의 내부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과 통신한다. 그리고나서, 각 서브시스템의 디폴트 입출력처와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상태 등을, 원격 조작 세션의 시작 시점과 같도록 복원한다.
스텝 9에서는,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이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에 대하여 설정의 전환이 완료한 것을 나타내는 통지로 응답한다.
스텝 10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에 절단 요구에 대한 응답을 되돌려보내서, 원격 조작 세션을 닫는다.
도 1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유저(1600)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앞에 서서, 조작부로부터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를 조작한다. 유저(1600)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장치군 중 어느 장치를 원격 조작할지 선택하고, 데스크탑 컴퓨터(101)를 고른다. 이 결과,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와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와의 사이에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한 리모트 데스크탑 접속(1601)이 확립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접속원이 화상처리기능을 갖는 장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화상처리장치 110이 프린트 기능, 스캐너 기능, 화상 보존 기능(박스 기능), 및 송신 기능을 갖는다고 판정한다. 따라서,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OS 및 디바이스 드라이버로 구성되는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에 포함된 각 서브시스템에 있어서, 디폴트의 화상처리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을 설정한다. 이 설정이 유효한 기간 중에, 데스크탑 컴퓨터(101)에서 가동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화상처리 잡을 행할 때에, 화상처리장치(110)는 디폴트의 장치로서 자동 설정된다.
이 결과, 만약 유저가 디폴트 설정을 변경하지 않은 경우에,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프린트 지시를 할 때는, LPR 등의 프린트 프로토콜이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트 기능에 대하여 프린트 잡을 입력한다(1602). 마찬가지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화상을 스캔할 때는, 네트워크 TWAIN 등의 스캐너 제어 프로토콜이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 기능에 대하여 스캔 잡(풀 스캔)을 입력한다(1603). 또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화상 파일을 기억 또는 리트리브(retrieve)할 때는, 네트워크 파일 공유 프로토콜이 화상처리장치 110의 박스 기능을 마운트하여, 데이터 파일을 기억 또는 리트리브한다(1604). 마찬가지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팩스나 IFAX 송신을 행할 때는, PC 팩스 송신 프로토콜이 화상처리장치 110의 팩스 기능에 대하여 팩스 송신 잡을 입력한다(1605).
또한, 유저는 이들의 디폴트 설정을 변경해서 다른 화상처리장치를 선택해도 된다.
리모트 데스크탑 접속(1601)이 절단된 후에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에 설정된 디폴트 설정을, 설정 이전의 상태로 복원한다.
도 17은,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조작 패널에서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 기능을 이용해서 원격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유저가 프린트 처리를 지시한 상태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도 11을 이용해서 이미 설명한 영역을 나타내는 것으로, 그것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취득한 원격장치의 조작 화면 데이터를 표시한다. 이 조작 화면에 의해, 유저는 화상처리장치 110으로부터, 원격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기동하거나, 참조하거나, 데이터를 편집하거나, 인쇄 등의 동작을 지시하거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정지하거나 할 수 있다.
인쇄 다이얼로그(1701)는, 원격장치상에서 가동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표시된다. 이 프린트 다이얼로그는 원격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의해 원격장치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된다. 화상처리장치 110으로부터, 원격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대하여 인쇄 등의 동작을 지시했을 때, 이 다이얼로그 윈도우가 리모트 데스크탑 표시 영역(1102)에도 표시된다.
일반적으로, 원격장치는 복수의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선택된 특정한 화상처리장치에 대하여 프린트 잡 등을 입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인쇄 다이얼로그(1701)에는 선택가능한 복수의 화상처리장치의 리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15에 나타낸 순서에 따라, 데스크탑 컴퓨터(101)(즉 원격장치)상의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가 외부장치 연계 서브시스템군(1213)의 디폴트 입출력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을 설정하고 있다. 따라서, 인쇄 다이얼로그(1701)에 리스트 되는 선택가능한 복수의 화상처리장치 중에서 화상처리장치 110에 대응하는 프린터가 자동으로 선택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 110이 프린트 기능, 스캐너 기능, 박스 기능, 및 송신 기능을 갖는 구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외부의 기능 연계 요구를 접수하는 것이 가능한 화상처리장치 110의 화상처리기능 중, 유저는 요구를 접수하는 연계 기능의 허가/금지를 선택해도 된다. 연계 요구를 접수하도록 허가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연계 기능은,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가 송신하는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로 표현되고, 데스크탑 컴퓨터(101)에 전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외부의 정보처리장치를 조작하기 위해서, 조작단말측에 삽입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를, 조작대상측에 삽입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와 조합했다. 그러나,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사용해서 그러한 시스템을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단말측에 삽입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를, 조작대상측에 삽입 웹 서버를 구비하는 정보처리장치와 조합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화상처리장치 110상에서 동작하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가 원격장치를 원격 제어할 때에,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가 원격장치의 디폴트 입출력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을 설정한다. 그 결과, 원격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프린트 처리, 이미지 스캔 처리, 문서 파일링 처리 등을 위해서 사용하는 화상처리장치로서, 원격조작을 하고 있는 유저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이 자동 선택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리모트 데스크탑 기술은 조합의 자유도가 높은 크로스 플랫폼 기술이다. 따라서, 다양한 화상처리장치군과 정보처리장치군의 많은 조합에 있어서,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를 포함하고 있는 장치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를,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장치로부터 조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2 실시 예에 따른 화상처리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제2 실시 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로서의 MFP로부터 원격 조작하려고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의 일부는, 제 1 실시 예와 다르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 제 1 실시 예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8은, 본 실시 예의 원격조작의 대상인 정보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8에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 12와 동일한 부분을 나타내므로, 그것의 설명을 생략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가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디폴트 연계 외부장치로서 동작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을 설정한다.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1214)는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접속에 응답해서 가상 아이콘 프로그램(1801)을 기동하고, 유저가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를 경유해서 가상 아이콘을 원격 조작할 수 있게 한다.
가상 아이콘 프로그램(1801)은, 리모트 데스크탑 프로토콜에 의해 원격 조작되는 데스크탑 컴퓨터(101)의 조작 화면에, 가상적인 아이콘 이미지를 겹쳐서 표시 하는 프로그램이다.
가상 아이콘의 예를 도 19a, 도 19b, 도 20a, 도 20b에 나타낸다. 이들의 도면은, 프린터 아이콘(1901), 스캐너 아이콘(1902), My Tray 아이콘(2001), 팩스 송신 아이콘(2002) 등을 나타낸다.
도 19a의 프린터 아이콘(1901)은, 프린트 서브시스템(1205)을 사용한 프린트 출력을 간단하게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유저가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상의 파일 아이콘을 프린터 아이콘(1901)에 드래그 앤드 드롭(drag and drop)하면, 가상 아이콘 프로그램(1801)은 디폴트 프린터를 사용해서 해당 파일을 프린트한다. 예를 들면,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로부터의 접속 중에는, 그 프린트 처리가 화상처리장치 110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19b의 스캐너 아이콘(1902)은, 스캐너 드라이버(1210)를 사용한 스캔 화상 입력을 간단하게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유저가 스캐너 아이콘(1902)을 더블 클릭해서 열면, 가상 아이콘 프로그램(1801)은 디폴트 스캐너를 사용해서 화상 스캔 처리를 행한다. 한층 더, 가상 아이콘 프로그램(1801)은 화상 스캔 처리에 의해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폴더(디렉토리) 내의 파일로서 기록하고,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상에서 그 폴더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연다. 예를 들면,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230)로부터의 접속 중에는, 그 스캔 처리가 화상처리장치 110에 의해서 실행된다.
도 20a의 My Tray 아이콘(2001)은, 네트워크 공유 파일 시스템(1211)을 사용하여 파일의 기억 및 리트리브 처리를 간단하게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유저가 My Tray 아이콘(2001)을 더블 클릭해서 열면, 가상 아이콘 프로그램(1801)은 디폴트의 네트워크 공유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하고, 그 마운트 포인트에 대응하는 폴더에 대응하는 윈도우를 연다. 유저가 드래그 앤드 드롭에 의해, 이 윈도우로부터 파일 아이콘을 추출하거나, 이 윈도우상에서 파일 아이콘을 이동하거나 하면, 이들 파일의 취득과 보존은 화상처리장치 110의 하드 디스크에서 실행된다.
도 20b의 팩스 송신 아이콘(2002)은,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라이브러리(1212)를 사용한 데이터 전송을 간단하게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유저가 그래피컬 유저 인터페이스상의 파일 아이콘을 팩스 송신 아이콘(2002)에 드래그 앤드 드롭하면, 가상 아이콘 프로그램(1801)은 디폴트의 데이터 전송처에 데이터를 전송한다. 그 데이터 전송은 화상처리장치 110에 대하여 PC 팩스 송신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행해지므로, 화상처리장치 110을 팩스 송신 서버로서 사용하는 팩스 송신이 실행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 1 실시 예의 구성뿐 아니라,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로부터의 접속 중에, 외부장치 연계를 행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가상 아이콘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기동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에 표시되는 유저 인터페이스 화면에 외부장치 연계를 상징하는 아이콘을 표시한다. 이 때문에, 유저가 화상처리장치상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로부터 원격 조작하고 있을 때, 조속하고 간편하게 화상처리를 수반하는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화상처리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제 3 실시 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로서의 MFP로부터 원격 조작하려고 하는 정보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가, 제 1 실시 예와 다르다. 그 외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제 2 실시 예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정보처리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웹 애플리케이션(2101)은, 웹 서버(2102)가 제공하는 프레임워크에서 동작하는 분산형의 애플리케이션이며, 원격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접속되어 조작된다. 웹 애플리케이션(2101)은, 애플리케이션 로직(2104),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 및 유저 에이전트 판정부(2106)를 포함한다.
웹 서버(2102)는, 네트워크 드라이버(2103)를 거쳐서, 원격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수신한 HTTP 요구를 웹 애플리케이션(2101)에 전송한다. 그리고나서, 웹 애플리케이션(2101)이 동적으로 생성한 HTML 문서 등의 마크업(markup) 문서와, 화상을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파일을 HTTP 응답으로서 원격의 웹 브라우저에 송신한다. 웹 서버(2102)와 웹 애플리케이션(2101)과의 사이의 인터페이스는, 잘 알려진 커몬 게이트웨이 인터페이스(common gateway interface)나 Java Servlet 사양 등에 따라 이행된다. 특히, 웹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플랫폼으로서 구성되는 웹 서버(2102)는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 또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라고 불린다.
네트워크 드라이버(2103)는, 서버 컴퓨터(102)와 LAN(100)과의 네트워크 접속을 제어하는 디바이스 드라이버이다. 이 네트워크 드라이버(2103)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으로서 TCP/IP 등의 프로토콜 제어를 행하고, 소켓(socket) 인 터페이스 등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를 웹 서버(2102)에 제공한다.
애플리케이션 로직(2104)은, 화상처리를 포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의 알고리즘의 중추다. 애플리케이션 로직(2104)은 서비스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부분적인 화상처리 잡을 행하도록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을 제어한다.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은, 애플리케이션 로직(2104)을 위해서 외부장치와 연계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브시스템군을 포함한다.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의 서브시스템군은, 프린트 서브시스템(1205), 스캐너 드라이버(1210), 네트워크 공유 파일 시스템(1211), 및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 라이브러리(1212)에 대응하는 서브시스템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 로직(2104)으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각각의 서브시스템과 연계하는 화상처리장치는 네트워크에 접속된 화상처리장치군으로부터 선택가능하다. 또한,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은 연계하는 장치가 특히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 사용되는 연계 장치의 디폴트 설정도 유지하고 있다. 한층 더,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은 유저 에이전트 판정부(2106)로부터의 지시에 따라, 연계장치의 디폴트 설정을 변경할 수도 있다.
유저 에이전트 판정부(2106)는, 웹 서버(2102)가 웹 브라우저로부터 수신한 HTTP 요구를 해석함으로써, 원격 조작원의 장치가, 연계에 사용하는 화상처리기능 중의 어느 하나를 제공할 수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원격 조작원의 장치가 연계에 사용하는 화상처리기능을 제공하는 경우, 유저 에이전트 판정부(2106)는 그 조작원의 장치를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의 대응하는 서브시스템군에 유지되어 있는 연계 화상처리장치의 디폴트로서 설정한다.
도 22는, 서버 컴퓨터(102)에 있어서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2101)의 세션 시작 처리의 순서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원격의 웹 브라우저(211)로부터 원격 조작 세션의 접속 요구를 수신했을 때, 이 처리가 호출된다.
스텝 2201에서는, 유저 에이전트 판정부(2106)가 웹 서버(2102)가 수신한 HTTP 요구에 의거하여 요구원으로서의 유저 에이전트(웹 브라우저)의 정보를 검사한다.
스텝 2202에서는, 유저 에이전트가 화상처리기능을 제공하는 장치에 삽입된 삽입 웹 브라우저(21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판정의 논리는, HTTP 요구에 포함되는 HTTP 리퀘스트 헤더 필드(request header field)의 패턴 매칭에 의해 행해진다.
"유저 에이전트(User-Agent) 리퀘스트 헤더 필드"에 기재된 정보에 의거하여, 유저 에이전트(웹 브라우저 211)의 식별 정보와 실행 플랫폼 소프트웨어((웹 브라우저(211)의 경우에는 화상처리장치)의 식별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들의 식별 정보에 의거해서, 유저 에이전트가 화상처리장치에 삽입된 웹 브라우저(21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혹은, 웹 브라우저(211)가 발행하는 HTTP 리퀘스트에 있어서는, 유저 에이전트가 가동하는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화상처리기능의 종류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를 기재해 둘 수도 있다. 그러한 정보를, "엑셉트(Accept) 리퀘스트 헤더 필드"의 확장부나, "X-"로부터 시작되는 유저 정의 리퀘스트 헤더 필드에 기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들의 식별 정보에 의거해서, 유저 에이전트가 화상처리기능을 제 공할 수 있는 장치에 삽입된 웹 브라우저(211)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판정결과가 참이면, 처리는 스텝 2203으로 진행되고, 그 반대이면, 일련의 절차를 완료하고 이전의 루틴으로 복귀한다. 스텝 2203에서는, 이전 스텝의 판정 결과에 의거하여 유저 에이전트가 가동하는 접속원으로서의 화상처리장치를,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의 연계 장치 또는 디폴트 장치로서 설정한다. 그 후에, 일련의 절차를 완료한다.
도 2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유저 2300은 화상처리장치 110 앞에 서서, 조작부로부터 웹 브라우저(211)를 조작한다. 유저 2300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장치군 중에서 어느 장치를 원격 조작할지 선택하고, 서버 컴퓨터(102)를 고른다. 이 결과, 웹 브라우저(211)와 웹 서버(2102)와의 사이에 접속이 확립되어서 HTTP 요구와 응답이 교환된다.
웹 서버(2102)는, HTTP 요구를 웹 애플리케이션(2101)에 전송하고, 웹 애플리케이션(2101)으로부터의 응답을 웹 브라우저(211)에 전송한다.
애플리케이션 로직(2104)은, 데이터베이스 매니지먼트 시스템(DBMS)(2306) 등의 서버 컴퓨터(102)의 풍부한 컴퓨팅 자원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211)로부터 원격 조작 가능한 각종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웹 애플리케이션(2101)이 제공 가능한 서비스에는 문서관리 시스템과 워크플로 처리 시스템 등이 있다. 이들의 서비스는 일련의 처리 중에, 연계 장치에 위양하는 화상처리 잡을 포함하고 있다.
웹 애플리케이션(2101)은, 웹 브라우저로부터의 이용 세션마다 접속원이 화상처리기능을 갖는 장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 화상처리장치 110은 프린트 기능, 스캐너 기능, 박스 기능, 및 송신 기능을 갖는 화상처리장치라고 판정된다. 따라서, 웹 애플리케이션(2101)은,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의 각 화상처리기능과 관련해서 연계하는 화상처리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을 설정한다. 각 웹 브라우저로부터의 이용 세션이 계속되는 기간 중에, 화상처리장치 110은 웹 애플리케이션(2101)이 화상처리 잡을 행할 때에, 디폴트 연계장치로서 자동 설정되어 있다.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의 연계 장치설정은, 동시에 계속하는 복수의 웹 브라우저로부터의 이용 세션마다, 이들 이용 세션이 계속하는 기간 중에, 각각 유지된다.
이 결과, 만약 유저가 디폴트 설정을 변경하지 않으면, 웹 애플리케이션(2101)이 프린트 처리를 실행할 때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트 기능에 대하여 LPR 등의 프린트 프로토콜에 의해 프린트 잡이 투입된다(2302). 마찬가지로, 웹 애플리케이션(2101)이 화상을 스캔할 때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 기능에 대하여 네트워크 TWAIN 등의 스캐너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스캔 잡(풀 스캔)이 투입된다(2303). 마찬가지로, 웹 애플리케이션(2101)이 화상 파일의 기억이나 리트리브를 행할 때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박스 기능이 네트워크 파일 공유 프로토콜에 의해 마운트되어, 데이터 파일의 기억이나 리트리브가 이루어진다(2304). 마찬가지로, 웹 애플리케이션(2101)이 팩스 송신이나 IFAX 송신을 행할 때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팩스 기능에 대하여 PC 팩스 송신 프로토콜에 의해 팩스 송신 잡이 투입된다(2305).
또한, 유저는 이들의 디폴트 설정을 변경해서 다른 화상처리장치를 선택해도 된다는 점에 유념한다.
도 24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 상의 조작패널을 이용해서 삽입 웹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웹 애플리케이션(2101)으로서 실장된 문서 관리 시스템에 접속해서 문서 관리 시스템을 원격 조작하고 있는 경우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에 있어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 9를 이용해서 이미 설명한 영역을 나타내므로, 그것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콘텐츠 표시 영역(905)에는, 문서 관리 시스템 웹 애플리케이션의 조작 화면(2400)이 표시되어 있다.
문서 조작 영역(2401)은, 문서 관리 시스템이 다루는 문서 파일과, 이 문서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와 캐비넷을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문서 관리 서버 폴더 리스트(2402)는, 서버 컴퓨터(102) 내부의 DBMS(2306) 등에 저장된 문서 폴더군을 표시한다. 이 리스트를 선택하면, 문서 조작 영역(2401)에 있어서 그 폴더 내에 포함되는 문서와 폴더를 조작할 수 있다.
연계 장치 표시(2403)는,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 상의 삽입 웹 브라우저(211)로부터 조작하고 있으므로, 연계 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에 유저가 데스크탑 컴퓨터(101) 등의 화상처리기능을 갖지 않는 장치상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조작하고 있을 경우에는, 특정한 화상처리장치가 연계장치로서 설정되지 않고, 유저가 명시적으로 연계장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연계 장치 변경 버튼(2404)은,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는 화상처리장치를 변경 하기 위해서 눌러진다. 예를 들면, 유저는 연계 장치를 화상처리장치 130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연계 장치 폴더 리스트(2405)는, 화상처리장치와 연계하는 기능이다. 즉, 연계 장치 폴더 리스트(2405)는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이 제공하는 박스 기능(삽입 문서 관리 시스템 또는 삽입 화상 파일링 시스템)의 저장 영역을 마운트하고, 그 저장 영역에 저장된 문서 폴더군을 표시함으로써 표시된다. 이 리스트를 선택하면, 유저는 문서조작 영역(2401)에 있어서 그 폴더 내에 포함되는 문서와 폴더를 조작할 수 있다. 이들의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으로부터 박스 기능으로의 잡 요구(2304)에 의해 달성된다.
스캔 & 보존 버튼(2406)은, 화상처리장치와 연계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눌러진다. 즉, 스캔 & 보존 버튼(2406)을 누르면,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 기능을 사용해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문서조작영역(2401)상의 선택된 폴더 내에 보존한다. 이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으로부터 스캐너 기능으로의 잡 요구(2303)에 의해 달성된다.
문서 프린트 버튼(2407)은, 화상처리장치와 연계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눌러진다. 문서 프린트 버튼(2407)을 누르면,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트 기능을 사용하여, 문서조작영역(2401)에 선택되어 있는 문서를 프린트한다. 이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으로부터 프린트 기능으로의 잡 요구(2302)에 의해 달성된다.
장치간 문서 카피 버튼(2408)은, 화상처리장치와 연계하는 기능을 활성화하 기 위해서 눌러진다. 장치간 문서 카피 버튼(2408)을 누르면,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이 제공하는 박스 기능(삽입 문서 관리 시스템 또는 삽입 화상 파일링 시스템)에 대한 파일 전송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문서 파일을 전송한다. 이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으로부터 박스 기능으로의 잡 요구(2304)에 의해 달성된다. 업로드 요구의 경우에는, 서버 컴퓨터(102)측에 저장된 문서가, 화상처리장치측에 카피된다. 다운로드 요구의 경우에는, 화상처리장치 110측에 저장된 문서가, 서버 컴퓨터(102)측에 카피된다.
팩스 송신 문서 버튼(2409)은, 화상처리장치와 연계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눌러진다. 팩스 송신 문서 버튼(2409)을 누르면,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이 제공하는 송신 기능을 사용하여, 문서조작영역(2401)에 선택되어 있는 문서를 송신한다. 이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으로부터 송신 기능으로의 잡 요구(2305)에 의해 달성된다.
연계 장치가 선택되지 않을 때, 유저가 스캔 & 보존 버튼(2406) 또는 팩스 송신 문서 버튼(2409)을 클릭하면, 유저가 연계 장치 변경 버튼(2404)을 클릭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계 장치를 명시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촉구한다. 또는, 연계장치가 선택되지 않을 때에는, 스캔 & 보존 버튼(2406) 또는 팩스 송신 문서 버튼(2409)이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클릭되는 것이 금지될 수도 있다.
도 25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 상의 조작패널을 이용해서 삽입 웹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웹 애플리케이션(2101)으로서 실장된 워크플로 처리 시스템에 접속해서 그 시스템을 원격 조작하는 경우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있어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 9를 이용해서 이미 설명했으므로 그것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콘텐츠 표시 영역(905)에는, 워크플로 처리 시스템의 웹 애플리케이션(2101)의 조작화면(2500)이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는, 유저가 전체로서 5스텝으로 이루어지는 구매 신청 워크플로의 3번째의 스텝으로서, 날인 또는 사인된 종이의 견적서 등의 화상 데이터를 워크플로 처리 시스템에 등록하는 처리를 조작하려고 하고 있다.
연계 스캐너 표시(2501)는,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삽입 웹 브라우저(211)로부터 조작하고 있으므로, 연계 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에 유저가 데스크탑 컴퓨터(101) 등의 화상처리기능을 갖지 않는 장치상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조작하고 있을 경우에는, 특정한 화상처리장치가 연계장치로서 설정되지 않고, 유저가 명시적으로 연계장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스캐너 선택 버튼(2502)은,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는 화상처리장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눌러진다. 이 버튼으로, 연계 장치를 화상처리장치(130) 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스캔 시작 버튼(2503)은, 화상처리장치와 연계하는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눌러진다. 이 버튼을 누르면,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 기능을 사용해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해서, 해당 워크플로에 대응하는 DBMS 내의 레 코드에 보존한다. 이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105)으로부터 스캐너 기능으로의 잡 요구(2303)에 의해 달성된다.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보존한 후에, 워크플로 처리 시스템의 웹 애플리케이션(2101)은, 워크플로의 다음 스텝을 조작하기 위해 필요한 페이지의 HTML 응답을 돌려보낸다. 이 결과, 조작화면(2500)은 구매 신청 워크플로의 4번째의 스텝을 조작하기 위해서 필요한 화면으로 바뀐다.
연계 장치가 선택되지 않을 때, 유저가 스캔 시작 버튼(2503)을 클릭하면, 유저가 스캐너 선택 버튼(2502)을 클릭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연계장치를 명시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촉구한다. 연계 장치가 선택되지 않을 때에는, 스캔 시작 버튼(2503)이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거나 또는 클릭되는 것이 금지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 110이 프린트 기능, 스캐너 기능, 박스 기능, 및 송신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외부 기능 연계 요구를 접수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화상처리기능 중, 유저는 요구를 접수하는 연계 기능의 허가/금지를 선택할 수 있다. 연계 요구의 접수를 허가하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연계 기능은, 삽입 웹 브라우저(211)가 송신하는 HTTP 요구(2301)의 리퀘스트 헤더에 표현되어서, 서버 컴퓨터(102)에 전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상에서 동작하는 삽입 웹 브라우저로부터 원격장치를 원격 조작할 때에, 화상처리장치 110은 웹 애플리케이션(2101)과 연계하는 입출력처로서 설정된다. 그 결과, 원격장치상에서 동작하는 웹 애플리케이션이 프린트 처리, 이미지 스캔 처리, 문서 파일링 처리 등을 실행하 기 위해서 사용하는 화상처리장치로서, 원격 조작을 하고 있는 유저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이 자동으로 선택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은 조합의 자유도가 높은 크로스 플랫폼 기술이다. 따라서, 다양한 화상처리장치군과 정보처리장치군의 많은 조합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고 있는 모든 장치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 4 실시 예에 따른 화상처리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로서의 MFP로부터 별도의 화상처리장치를 원격 조작하는 시스템인 점에서, 제 1 실시 예와 다르다. 다른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예와 같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이하의 본 실시 예의 설명에서는, 화상처리장치 120은 박스 기능과 팩스 송신 기능을 포함하고, 화상처리장치 110은 박스 기능과 송신 기능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이들 기능을 이용하지 않는다. 이 구성은, 화상처리장치 110이 박스 기능과 팩스 송신 기능을 포함하지 않거나 또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이들의 기능이 고장으로 인해서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한다.
유저 2600은 화상처리장치 110 앞에 서서, 조작부로부터 웹 브라우저(211)를 조작한다. 유저 2600은 네트워크에 접속되는 장치군 중 어느 장치를 원격 조작할지 선택하고,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에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된 외부의 화상처 리장치(120)를 선택한다. 이 결과, 웹 브라우저(211)와 웹 서버(203)와의 사이에 접속(2601)이 이루어져서 HTTP에 의한 요구와 응답의 교환이 행해진다.
웹 서버(203)는, HTTP 요구를 웹 애플리케이션(2610)에 전송하고, 웹 애플리케이션(2610)으로부터의 응답을 웹 브라우저(211)에 전송한다.
웹 애플리케이션(2610)의 애플리케이션 로직(2611)은, 화상처리장치(120)의 풍부한 화상처리자원을 사용하여 웹 브라우저(211)로부터 원격 조작될 수 있는 각종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웹 애플리케이션(2610)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에는 연계 팩스 시스템과 연계 박스 시스템 등이 있다. 이들의 서비스는 그 일련의 처리 중에, 다른 연계 장치에 위양할 수도 있는 화상 처리 잡을 포함한다.
웹 애플리케이션(2610)은, 웹 브라우저로부터의 이용 세션마다 접속원이 화상처리기능을 갖는 장치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예에서, 화상처리장치 110은 프린트 기능 및 스캐너 기능을 갖는 화상처리장치로서 판정된다. 따라서, 웹 애플리케이션(2610)은, 디바이스 연계 로직(2612)의 프린트 기능과 스캔 기능과 관련해서 연계하는 화상처리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을 설정한다. 각 웹 브라우저로부터의 이용 세션이 계속하는 기간 중에, 웹 애플리케이션(2610)이 화상 처리 잡을 행할 때에, 디폴트 연계 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이 자동 설정되어 있다. 디바이스 연계 로직(2612)의 연계 장치 설정은, 동시에 계속하는 복수의 웹 브라우저로부터의 이용 세션마다 이들 이용 세션이 계속하는 기간 중에 각각 유지된다.
이 결과, 만약 유저가 디폴트 설정을 변경하지 않으면, 웹 애플리케이션(2610)이 프린트 처리를 행할 때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트 기능에 대하여 LPR 등의 프린트 프로토콜에 의해 프린트 잡이 투입된다(2602). 웹 애플리케이션(2610)이, 팩스 송신 대상 또는 박스에서의 보존 대상으로서의 원고 화상을 스캔하는 경우에도 같다. 즉,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 기능에 대하여 네트워크 TWAIN 등의 스캐너 제어 프로토콜에 의해 스캔 잡(풀 스캔)이 투입된다(2603).
또한, 웹 애플리케이션(2610)이 화상 파일의 기억 또는 리트리브를 행할 경우에는, 화상처리장치 120의 박스 기능이 사용되어서, 데이터 파일의 기억이나 리트리브가 이루어진다(2604). 마찬가지로, 웹 애플리케이션(2610)이 팩스 송신이나 IFAX 송신할 때는, 화상처리장치 120의 팩스 기능을 사용해서 팩스 송신 잡이 투입된다(2605).
유저는 이들의 디폴트 설정을 변경해서 다른 화상처리장치를 선택해도 된다.
도 27은,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 상의 조작패널을 이용해서 삽입 웹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화상처리장치 120상의 웹 애플리케이션(2610)으로서 이행된 연계 팩스 송신 기능에 접속해서 그 기능을 원격 조작하는 경우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있어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 9를 이용해서 이미 설명했기 때문에, 그것의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콘텐츠 표시 영역(905)에는, 연계 팩스 송신 기능의 웹 애플리케이션(2610)의 조작 화상(2700)이 표시되어 있다.
행선지 입력 필드(2701)는, 팩스나 IFAX나 이메일 송신 등의 송신 행선지의 전화번호나 어드레스를 입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행선지 테이블 버튼(2702)은, 행선지 테이블 데이터베이스에 미리 보존된 복 수의 행선지로부터 송신 행선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판독 설정 영역(2703)은, 원고 입력용 스캐너의 제어 파라미터를 표시 및 설정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영역의 체크 박스와 버튼을 이용해서, 원고의 양면을 판독할 것인지 아닌지, 원고 급지 장치에 구비된 스탬프(도면에 나타내지 않음)를 이용해서 판독한 원고의 용지에 "OK" 스탬프를 찍을 것인지 아닌지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원고 입력용 스캐너 표시(2704)는, 송신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캐너 기능을 제공하는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유저가 연계 가능한 스캐너 기능을 갖는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삽입 웹 브라우저(211)로부터 조작하고 있으므로, 연계 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에 유저가 데스크탑 컴퓨터(101) 등의 연계 가능한 스캐너 기능을 갖지 않는 장치상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조작하고 있을 경우에는, 연계 장치로서 특정한 화상처리장치가 설정되지 않고, 유저가 명시적으로 연계장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스캐너 선택 버튼(2705)은, 송신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스캐너 기능을 제공하는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는 화상처리장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연계 장치를 화상처리장치 130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연계 장치를 웹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 120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다만,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 이외의 장치를 선택했을 경우, 유저는 원고의 물리적인 용지를 스캐너에 세트하기 위해서 이들 선택된 장치의 장소까지 이동해야만 한 다. 일반적으로, 용지를 판독하는 스캐너 기능의 처리는, 웹 브라우저(21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를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연계에 최적인 스캐너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송신 리포트용 프린터 표시(2706)는, 송신 결과 리포트를 프린트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유저가 연계가능한 프린트 기능을 갖는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삽입 웹 브라우저(211)로부터 조작하고 있으므로, 연계 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에 유저가 데스크탑 컴퓨터(101) 등의 연계가능한 프린트 기능을 갖지 않는 장치상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조작하고 있을 경우에, 연계 장치로서 특정한 화상처리장치가 설정되지 않고, 유저가 명시적으로 연계장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프린터 선택 버튼(2707)은, 송신 결과 리포트를 프린트하기 위한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는 화상처리장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예를 들면, 연계 장치를 화상처리장치 130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연계장치를 웹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 120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 이외의 장치를 선택했을 경우, 유저는 프린트 출력의 물리적인 용지를 프린터의 배지 트레이로부터 회수하기 위해서 선택된 장치의 위치까지 이동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용지를 출력하는 프린트 기능의 처리는, 웹 브라우저(21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연계에 최적인 프린터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시작 버튼(2708)은, 팩스 송신 잡을 기동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시작 버튼이 클릭되면, 화상처리장치 120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연계 팩스 송신 기능으로서의 웹 애플리케이션(2610)은, 연계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 기능을 사용해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즉, 이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612)으로부터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 기능으로의 스캔 잡(2603)에 의해 위양된다. 스캔 잡(2603)에 있어서, 판독 설정 영역(2703)에 설정된 판독 파라미터를 지정한다. 그리고나서, 웹 애플리케이션(2610)은 화상처리장치 120의 송신 기능을 사용하여,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그리고나서, 웹 애플리케이션(2610)은 연계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트 기능을 사용해서 통신 결과 리포트를 출력한다. 즉, 이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612)으로부터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트 기능으로의 프린트 잡(2602)에 의해 위양된다.
연계 장치가 선택되지 않을 때, 유저가 시작 버튼(2708)을 클릭하면, 유저가 스캐너 선택 버튼(2705)을 클릭했을 경우와 마찬가지로 연계 장치를 명시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촉구한다. 연계 장치가 선택되지 않을 때에는, 시작 버튼(2708)은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거나 클릭되는 것이 금지되어도 된다.
도 28은,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 상의 조작 패널을 이용해서 삽입 웹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화상처리장치 120 상의 웹 애플리케이션(2610)으로서 실장된 연계 박스 기능에 접속해서 그 박스 기능을 원격 조작하는 경우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 있어서의 동일한 참조번호는 도 9를 이용해서 이미 설명되었던 영역을 나타내므로, 그것의 반복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콘텐츠 표시 영역(905)에는, 연계 박스 기능의 웹 애플리케이션(2610)의 조작 화면(2800)이 표시되어 있다.
박스 문서 리스트(2801)는, 화상처리장치 120의 박스 기능에 축적된 문서 파일의 리스트다. 리스트의 각 문서에 대응하는 체크 박스를 체크하면, 문서 조작의 대상문서를 선택할 수 있다.
모든 선택 버튼(2802)은, 리스트 내의 모든 문서를 문서조작의 대상문서로서 선택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문서 조작 버튼군(2803)은, 선택된 문서에 대한 조작을 행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상세 정보 버튼을 이용해서, 선택 문서의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고, 선택된 문서의 문서명을 변경할 수 있다. 소거 버튼을 이용해서, 선택된 문서를 소거할 수 있다. 이동/복제 버튼을 이용해서, 선택된 문서를 다른 박스로 이동하거나 복제하거나 할 수 있다. 편집 버튼을 이용해서, 선택된 문서의 화상을 표시하거나, 복수의 선택 문서를 결합 및 보존하거나, 문서 삽입 및 페이지 소거를 할 수 있다.
원고 입력용 스캐너 표시(2804)는, 박스에 보존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해 사용되는 스캐너 기능을 제공하는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유저가 연계가능한 스캐너 기능을 갖는 화상처리장치 110 상의 삽입 웹 브라우저(211)로부터 조작하고 있으므로, 연계 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에 유저가 데스크탑 컴퓨터(101) 등의 연계가능한 스캐너 기능을 갖지 않는 장치상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조작하는 경우에, 연계 장치로서 특정한 화상처리장치를 설정하지 않고, 유저가 명시적으로 연계장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스캐너 선택 버튼(2805)은, 박스에 보존되는 원고의 화상을 판독하기 위한 스캐너 기능을 제공하는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는 화상처리장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연계 장치를 예를 들면 화상처리장치 130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연계장치를 웹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 120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다만,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 이외의 장치를 선택했을 경우, 유저는 원고의 물리적인 용지를 스캐너에 세트하기 위해서 선택된 장치의 위치까지 이동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용지를 판독하는 스캐너 기능의 처리는, 웹 브라우저(21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를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연계에 최적인 스캐너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문서 프린트용 프린터 표시(2806)는, 선택 문서를 프린트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의 식별 정보를 표시하고 있다. 이 예에서는, 유저가 연계가능한 프린트 기능을 갖는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삽입 웹 브라우저(211)로부터 조작하고 있으므로, 연계 장치로서 화상처리장치 110이 자동적으로 설정되어 있다. 만약에 유저가 데스크탑 컴퓨터(101) 등의 연계 가능한 프린트 기능을 갖지 않는 장치상의 웹 브라우저로부터 조작하고 있을 경우에는, 연계 장치로서 특정한 화상처리장치를 설정하지 않고, 유저가 명시적으로 연계장치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프린터 선택 버튼(2807)은, 선택 문서를 프린트하기 위한 연계 장치로서 선택되는 화상처리장치를 변경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연계 장치를 예를 들면 화상처 리장치 130등으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연계장치를 웹 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 120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다만,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 이외의 장치를 선택했을 경우, 유저는 프린트 출력의 물리적인 용지를 프린터의 배지 트레이로부터 회수하기 위해서 선택된 장치의 위치까지 이동해야만 한다. 일반적으로, 용지를 출력하는 프린트 기능의 처리는, 웹 브라우저(211)를 조작하고 있는 유저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터를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연계에 최적인 프린터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프린트 버튼(2808)은, 선택 문서를 프린트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버튼이 클릭되면, 화상처리장치 120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연계 박스 기능으로서의 웹 애플리케이션(2610)은, 연계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트 기능을 사용해서 선택 문서를 출력한다. 이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612)으로부터 화상처리장치 110의 프린트 기능으로 송신된 프린트 잡(2602)에 의해 위양된다.
원고 판독 버튼(2809)은, 원고의 화상을 스캔해서 그 화상 데이터를 문서로서 박스에 보존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이 버튼이 클릭되면, 화상처리장치 120상에서 동작하고 있는 연계 박스 기능으로서의 웹 애플리케이션(2610)은, 연계처로서 선택되어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 기능을 사용해서 원고의 화상 데이터를 판독한다. 이 처리는 디바이스 연계 로직(2612)으로부터 화상처리장치 110의 스캐너 기능으로 스캔 잡(2603)에 의해 위양된다. 그리고나서, 웹 애플리케이션(2610)은 화상처리장치 120의 박스 기능을 사용하여,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박스에 보존한다.
송신 버튼(2810)은, 선택 문서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웹 애플리케이션(2610)은 화상처리장치 120의 송신 기능을 사용하여 판독한 화상 데이터를 송신한다.
연계 장치가 선택되지 않을 때, 프린트 버튼(2808)을 클릭하면, 유저가 스캐너 선택 버튼(2805)을 클릭했을 때와 마찬가지로 연계 장치를 명시적으로 설정하는 것을 촉구한다. 또는, 연계 장치가 선택되지 않을 때에는, 프린트 버튼(2808)은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거나 클릭되는 것이 금지되어도 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 110이 송신 기능과 박스 기능을 포함하고 있지 않다. 화상처리장치 110 및 120 간의 기능 연계와 원격조작은 도움이 된다. 예를 들면, 화상처리장치 110의 이들의 기능이 일시적으로 부조한 경우를 상정해도 된다. 또는, 통신 요금이 싸고, 통신 요금의 요금 부과를 1대의 장치에 집중하고, 고속, 고품위, 고기능, 송신 기능의 이용 권한이 화상처리장치 120에만 부여되어 있는 등, 화상처리장치 120의 송신 기능이 화상처리장치 110보다도 유저 2600의 니즈(needs)에 일치하고 있는 경우를 상정해도 된다. 또는, 유저가 문서를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의 박스 기능에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원격의 화상처리장치 120의 박스 기능에 보존하고 싶은 경우를 상정해도 된다. 또는, 유저가 이미 화상처리장치 120에 보존되어 있는 문서를,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 110으로부터 조작하고 싶을 경우를 상정해도 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 110이 프린트 기능과 스캐너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을 설명했다. 그러나, 외부의 기능 연계 요구를 접수할 수 있는 화상 처리장치 110의 화상처리기능 중, 유저는 그 요구를 접수하는 연계 기능의 허가/금지를 선택해도 된다. 연계 요구의 접수를 허가하고 있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연계 기능은, 삽입 웹 브라우저(211)에 의해 송신되고, 삽입 웹 브라우저(211)에 의해 송신된 HTTP 요구의 리퀘스트 헤더에 표현되어서, 화상처리장치 120에 전해진다.
본 실시 예에서는, 화상처리장치로부터 다른 화상처리장치를 조작하기 위해서, 조작 단말측에 삽입 웹 브라우저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와, 조작 대상측에 삽입 웹 서버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를 조합한다. 그렇지만, 그러한 시스템을 구성하는 대신에 리모트 데스크탑 기술을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조작 단말측에 삽입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와, 조작 대상측에 삽입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를 구비하는 화상처리장치를 조합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의하면, 팩스 송신 유닛을 갖지 않은 화상처리장치 등으로 스캔해서 읽어낸 화상 데이터를, 팩스 송신 유닛을 구비하는 다른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해서 팩스 송신할 수 있다. 송신 결과 리포트 등의 프린트아웃을 자동적으로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박스 기능을 갖지 않는 화상처리장치 등으로 스캔해서 읽어낸 문서 데이터를 다른 화상처리장치의 박스 기능에 기억할 수 있다. 다른 화상처리장치의 박스 기능을 원격 조작해서 문서를 프린트할 경우에는, 문서를 자동적으로 바로 옆의 화상처리장치에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조합의 자유도가 높은 크로스 플랫폼 기술인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을 사용했다. 따라서, 다양한 화상처리장치군과 정보처리장치군의 많 은 조합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를 포함하는 모든 장치로부터 웹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하는 장치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조작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복수의 기기로 구성되는 시스템에 적용해도 되고, 또한 하나의 디바이스로 구성되는 장치에 적용해도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시스템 또는 장치에 직접 또는 원격으로 공급하고, 그 시스템 또는 장치가, 공급된 프로그램을 판독해서 실행함으로써도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해서, 컴퓨터에 인스톨되는 프로그램 코드 자체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그 경우, 프로그램의 형태는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프로그램의 기능을 갖고 있으면, 오브젝트 코드, 인터프리터(interpreter)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OS에 공급하는 스크립트 데이터 등을 사용해도 된다.
프로그램을 공급하기 위한 기록 매체로서는, 예를 들면 플로피(등록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디스크, 광자기 디스크가 있다. 또한, MO, CD-ROM, CD-R, CD-RW,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의 메모리 카드, ROM, DVD(DVD-ROM, DVD-R)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다른 이용방법으로서, 클라이언트 PC의 브라우저를 사용해서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고,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 자체 혹은 더욱 자동 인스톨 기능을 포함하는 파일을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에 다운로드해도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복수의 파일로 분할하고, 각각의 파일을 다른 홈페이지로부터 다운로드해도 된다. 즉, 본 발명의 기능 처리를 컴퓨터로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을 복수의 유저에게 다운로드시키는 WWW 서버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암호화해서 CD-ROM 등의 기억매체에 기억시켜서 유저에게 배포해도 된다. 소정의 조건을 클리어(clear)한 유저에 대하여, 인터넷을 거쳐서 홈페이지로부터 프로그램을 해독하는 열쇠 정보를 다운로드시키고, 그 열쇠정보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해독한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인스톨시켜서 본 발명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 예의 기능은, 프로그램의 지시에 근거하여, 컴퓨터상에서 가동하고 있는 OS 등에 의해 실행되는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에 의해도 실현될 수 있다.
한층 더, PC의 기능 확장 유닛의 메모리에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그 프로그램에 근거하여, 그 기능 확장 유닛에 구비된 CPU 등이 실제의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실행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처리장치를 조작 단말로서 사용해서, 정보처리장치를 용이하게 원격 조작함으로써, 화상처리 잡의 실행 대상을, 그 조작 단말로서의 화상처리장치에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이 예시적인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청구범위는 모든 변경, 균등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화상 처리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는, 화상처리장치 110, 120, 130의 각각으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은 화상처리장치 110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4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다.
도 5는 화상처리장치 110의 조작부 112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다.
도 6은, 화상처리장치 110의 조작부 112 및 조작부 I/F(306)의 내부구성을 제어유닛 111의 내부구성과 대응시켜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7은, 화상처리장치 110의 조작부 112에 표시되는 표준적인 조작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낸 웹 브라우저 211의 내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5에 나타낸 LCD 표시부 501에 있어서 웹 브라우저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클라이언트에 의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한 HTTP 요구와, 서버로부터의 응답을 나타내는 시퀸스 차트다.
도 11은, 도 5에 나타낸 LCD 표시부 501에 있어서 VNC 뷰어 기능이 선택되었을 경우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제 1 실시 예에 따른 원격조작의 대상인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3a는, 원격조작 대상인 장치에 있어서 가동하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의 환경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13b는, 원격조작 대상인 장치에 있어서 가동하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의 환경 설정 유저 인터페이스의 예이다.
도 14는, 데스크탑 컴퓨터 101에 있어서 실행되는 리모트 데스크탑 서버 1214의 세션 시작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15는, 원격 조작원과 리모트 조작대상과의 사이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타임라인의 일례다.
도 16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도 17은,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조작패널을 이용해서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 기능으로부터 원격장치상의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에 프린트 처리 지시를 발생한 상태의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원격조작 대상인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9a는, 프린터 아이콘을 포함한 가상 아이콘 애플리케이션을 접수하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조작 화면을, 화상처리장치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서 원격 조작하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b는, 스캐너 아이콘을 포함한 가상 아이콘 애플리케이션을 접수하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조작화면을, 화상처리장치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를 사용 해서 원격 조작하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a는, My Tray 아이콘을 포함한 가상 아이콘 애플리케이션을 접수하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조작 화면을, 화상처리장치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서 원격 조작하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b는, 팩스 송신 아이콘을 포함한 가상 아이콘 애플리케이션을 접수하는 데스크탑 컴퓨터의 조작화면을, 화상처리장치의 리모트 데스크탑 클라이언트를 사용해서 원격 조작하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원격 조작 대상인 장치의 소프트웨어 구조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22는, 서버 컴퓨터 102에 있어서 실행되는 웹 애플리케이션 2101의 세션 시작 처리의 시퀀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다.
도 23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도 24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조작패널에서 삽입 웹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웹 애플리케이션 2101로서 실장된 문서 관리 시스템에 접속해서, 문서 관리 시스템을 원격 조작하고 있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는, 유저가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조작패널에서 삽입 웹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웹 애플리케이션 2101로서 실장된 워크플로 처리 시스템에 접속해서 워크플로 처리 시스템을 원격 조작하고 있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의 상호작용을 설명하는 블럭도다.
도 27은,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조작패널에서 삽입 웹 브라우저 기능에 의 해, 화상처리장치 120 상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실장된 연계 팩스 송신 기능에 접속해서 연계 팩스 송신 기능을 원격 조작하고 있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화상처리장치 110상의 조작패널에서 삽입 웹 브라우저 기능에 의해, 화상처리장치 120상의 웹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실장된 연계 박스 기능에 접속해서 연계 박스 기능을 원격 조작하고 있는 화면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16)

  1. 화상처리장치와 통신 가능한 정보처리장치로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유닛과,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시에, 잡의 송신처를 자동적으로 상기 접속 요구가 송신된 상기 화상처리장치로 전환하도록 구성된 전환유닛과,
    상기 송신처로 화상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잡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유닛과,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 완료 후에, 상기 잡의 송신처를, 상기 잡의 송신처를 전환하기 전의 설정으로 되돌리도록 구성된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시에, 상기 잡의 송신처를 자동적으로 상기 화상처리장치로 전환할 것인지 아닌지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유닛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설정유닛에 대한 설정에 따라, 상기 잡의 송신처를 자동적으로 상기 화상처리장치로 전환할 것인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프린트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시에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할 프린터로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스캐너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시에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스캔 잡을 송신하고 스캔한 화상의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패시밀리 송신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스캐너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시에,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스캔 잡을 송신하고 팩시밀리 송신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한 화상의 데이터를 수신해서 패시밀리 송신하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처리장치는, 화상 보존 기능을 포함하고,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스캐너 기능을 포함하며,
    상기 전환유닛은,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시에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스캔 잡을 송신하고 화상 보존 기능을 이용하여 스캔한 화상의 데이터를 수신해서 보존하도록 설정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처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정보처리장치와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방법으로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시에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잡의 송신처를 자동적으로 상기 접속 요구가 송신된 상기 화상처리장치로 전환하는 것과,
    상기 송신처로 화상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잡을 송신하는 것과,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 완료 후에, 잡의 송신처를, 상기 잡의 송신처를 전환하기 전의 설정으로 되돌리는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6. 컴퓨터에 정보처리장치와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 처리를 실행시키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상기 화상처리장치로부터 송신된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것과,
    상기 정보처리장치와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시에 상기 정보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잡의 송신처를 자동적으로 상기 접속 요구가 송신된 상기 화상처리장치로 전환하는 것과,
    상기 송신처로 화상처리의 실행을 요구하는 잡을 송신하는 것과,
    상기 화상처리장치와의 통신 완료 후에, 잡의 송신처를, 상기 잡의 송신처를 전환하기 전의 설정으로 되돌리는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억매체.
KR1020090022459A 2008-03-19 2009-03-17 정보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 KR1010886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72220A JP5137641B2 (ja) 2008-03-19 2008-03-19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JP-P-2008-072220 2008-03-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271A KR20090100271A (ko) 2009-09-23
KR101088671B1 true KR101088671B1 (ko) 2011-12-01

Family

ID=40750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2459A KR101088671B1 (ko) 2008-03-19 2009-03-17 정보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356084B2 (ko)
EP (1) EP2104328A1 (ko)
JP (1) JP5137641B2 (ko)
KR (1) KR101088671B1 (ko)
CN (1) CN1015408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3738B2 (ja) * 2007-10-18 2010-04-21 ソニー株式会社 ファイル転送方法、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4557071B2 (ja) * 2008-09-19 2010-10-0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の転送方法
US20100083122A1 (en) * 2008-10-01 2010-04-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s, methods and computer products for controlling multiple machines using a seamless user-interface to a multi-display
US9665383B2 (en) * 2008-12-30 2017-05-30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nteracting with an imaging device
US20110099481A1 (en) * 2009-10-26 2011-04-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nchoring a remote entity in a local display
CN103281470B (zh) * 2009-10-30 2015-07-29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电气设备、动作控制系统和动作控制方法
JP5441646B2 (ja) * 2009-12-02 2014-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プログラム
JP2011134018A (ja) * 2009-12-22 2011-07-07 Canon Inc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74821B2 (en) 2010-01-27 2016-03-01 Vmware, Inc. Independent access to virtual machine desktop content
US9009219B2 (en) 2010-01-27 2015-04-14 Vmware, Inc. Native viewer use for service results from a remote desktop
US20120297341A1 (en) * 2010-02-16 2012-11-22 Screenovate Technologies Ltd. Modified Operating Systems Allowing Mobile Devices To Accommodate IO Devices More Convenient Than Their Own Inherent IO Devices And Methods For Generating Such Systems
CN102473065B (zh) * 2010-04-13 2015-04-08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截图显示控制装置、截图显示控制方法、截图显示控制用集成电路、服务器装置
GB2479756B (en) * 2010-04-21 2013-06-05 Realvnc Ltd Virtual interface devices
JP5665590B2 (ja) * 2010-04-28 2015-02-04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クライアント、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1242854A (ja) 2010-05-14 2011-12-01 Ricoh Co Ltd 画像処理装置、機器連携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プログラム
JP5576713B2 (ja) 2010-05-18 2014-08-20 株式会社Pfu 画像読取ユニット及びオーバーヘッド型画像読取装置
US10868926B2 (en) 2010-06-29 2020-12-15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isplay of two functions of device used with data processing apparatus
EP2402860B1 (en) 2010-06-29 2020-10-0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ing apparatus
JP5252019B2 (ja) * 2010-07-15 2013-07-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
JP5709429B2 (ja) * 2010-08-06 2015-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20120025054A (ko) * 2010-09-06 2012-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539126B2 (ja) * 2010-09-09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161280B2 (ja) * 2010-09-27 2013-03-13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操作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5683218B2 (ja) * 2010-11-10 2015-03-1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087646A2 (en) * 2010-12-22 2012-06-28 Intel Corporation A system and method to protect user privacy in multimedia uploaded to internet sites
JP5664230B2 (ja) * 2010-12-28 2015-02-04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読み込みシステムおよび読み込み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2199647A (ja) * 2011-03-18 2012-10-18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設定用プログラム
JP2012213144A (ja) * 2011-03-18 2012-11-01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機器連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804819B1 (en) 2011-04-19 2014-08-12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using data frequency
US8705620B1 (en) 2011-04-28 2014-04-22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anchor frame by encoding features using layers
US8681866B1 (en) 2011-04-28 2014-03-25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by downsampling frame resolution
US9749638B1 (en) 2011-04-28 2017-08-29 Googl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coding video with dynamic quality improvement
US9106787B1 (en) 2011-05-09 2015-08-11 Google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transmission bandwidth control using bandwidth estimation
JP2012236327A (ja) 2011-05-11 2012-12-06 Canon Inc 印刷装置、印刷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2166133A1 (en) * 2011-06-01 2012-12-0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anaging printer dry time
JP5839846B2 (ja) * 2011-06-08 2016-01-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684653B2 (ja) 2011-06-13 2015-03-18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
JP5723687B2 (ja) 2011-06-15 2015-05-27 株式会社Pfu 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698612B2 (ja) 2011-06-15 2015-04-08 株式会社Pfu オーバーヘッド型画像読取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751947B2 (ja) * 2011-06-15 2015-07-22 株式会社Pfu 画像読取システム
JP5929210B2 (ja) 2011-06-24 2016-06-0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
US9621406B2 (en) 2011-06-30 2017-04-11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browsing session management
US8706860B2 (en) 2011-06-30 2014-04-22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browsing session management
WO2013003631A2 (en) * 2011-06-30 2013-01-03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browsing session management
US8577963B2 (en) 2011-06-30 2013-11-05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browsing session between client browser and network based browser
US10976981B2 (en) 2011-07-15 2021-04-13 Vmware, Inc. Remote desktop exporting
US10983747B2 (en) 2011-07-15 2021-04-20 Vmware, Inc. Remote desktop mirroring
US8489680B1 (en) 2011-08-18 2013-07-16 Google Inc. Transmission of input values using an unreliable communication link
JP5812758B2 (ja) * 2011-08-22 2015-11-17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9195768B2 (en) 2011-08-26 2015-11-24 Amazon Technologies, Inc. Remote browsing session management
US10089403B1 (en) 2011-08-31 2018-10-02 Amazon Technologies, Inc. Managing network based storage
JP5879889B2 (ja) * 2011-10-04 2016-03-0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連携方法および連携プログラム
US20130097298A1 (en) * 2011-10-18 2013-04-18 OneScreen Inc. Standardized adapter interface for multiple browser-based devices
WO2013058732A1 (en) 2011-10-18 2013-04-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Image acquisition
US9015021B2 (en) * 2011-10-25 2015-04-21 Cellco Partnership Multiple client simulator for push engine
CN102420851B (zh) * 2011-11-10 2015-05-0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Http服务监控方法及系统
JP5868138B2 (ja) * 2011-11-18 2016-02-2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5805519B2 (ja) * 2011-12-21 2015-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受信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9235313B2 (en) 2012-01-11 2016-01-12 Google Inc. Efficient motion estimation for remote desktop sharing
JP5870714B2 (ja) * 2012-01-31 2016-03-0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画面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929399B2 (ja) * 2012-03-26 2016-06-0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9952811B1 (en) * 2012-05-10 2018-04-24 Majid Amani System for providing an alternative control interface to specialty devices
CN102752281B (zh) * 2012-05-28 2015-06-17 福建升腾资讯有限公司 Twain协议的远程重定向方法及系统
US9705729B2 (en) 2012-06-01 2017-07-11 Dell Products L.P. General client engine with load balancing for client-server communication
US8774536B1 (en) 2012-07-03 2014-07-08 Google Inc. Efficient processing of streams of images within a moving window session
CN102819500B (zh) * 2012-07-20 2016-01-20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创建外部设备控制界面的方法及装置
JP5445637B2 (ja) * 2012-07-25 2014-03-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制御方法
WO2014024257A1 (ja) * 2012-08-07 2014-02-1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情報処理方法
JP6012332B2 (ja) * 2012-08-08 2016-10-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デバイス管理装置、デバイス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011167B2 (ja) 2012-09-03 2016-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中継プログラム、及び、通信中継装置
US20140098391A1 (en) * 2012-10-08 2014-04-10 Siow Kiat Tan Game server in a multifunction printer
US20140098392A1 (en) * 2012-10-08 2014-04-10 Siow Kiat Tan Photo editor in a multifunction printer
CN102929610B (zh) * 2012-10-12 2017-03-15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vnc和jnlp协议实现远程桌面的方法
JP6011247B2 (ja) * 2012-10-29 2016-10-1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
JP6167502B2 (ja) * 2012-10-31 2017-07-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中継プログラム、通信中継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
JP6015360B2 (ja) * 2012-11-02 2016-10-2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JP6079161B2 (ja) * 2012-11-16 2017-02-15 株式会社リコー 印刷処理装置、印刷処理方法、及び印刷処理プログラム
JP5763615B2 (ja) * 2012-12-28 2015-08-1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並びにこれを構成する画像形成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
US9311692B1 (en) 2013-01-25 2016-04-12 Google Inc. Scalable buffer remote access
US9225979B1 (en) 2013-01-30 2015-12-29 Google Inc. Remote access encoding
JP2014153776A (ja) * 2013-02-05 2014-08-25 Canon Inc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JP6132617B2 (ja) * 2013-03-26 2017-05-24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した画像データをフォルダに格納する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811124B2 (ja) * 2013-03-27 2015-11-1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リモート端末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並びに制御方法
JP6020353B2 (ja) 2013-05-29 2016-11-0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形成装置、遠隔操作方法、遠隔制御方法、遠隔操作プログラムおよび遠隔制御プログラム
US9300669B2 (en) 2013-06-14 2016-03-29 Dell Products L.P. Runtime API framework for client-server communication
US9716740B2 (en) * 2013-06-14 2017-07-25 Dell Products L.P. Web-based transcoding to clients for client-server communication
US9407725B2 (en) 2013-06-14 2016-08-02 Dell Products L.P. Generic transcoding service for client-server communication
CN103414890B (zh) * 2013-07-08 2016-12-28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远程桌面的实现方法及装置
US9503320B2 (en) * 2013-07-30 2016-11-2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Operation image manager
EP3037962B1 (en) * 2013-08-20 2020-09-16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CN103595715B (zh) * 2013-11-08 2017-02-15 腾讯科技(成都)有限公司 用于桌面直播的信息共享方法及装置
JP2015114865A (ja) * 2013-12-12 2015-06-2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中継コンピュータ、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JP6226736B2 (ja) * 2013-12-17 2017-11-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244937B2 (ja) * 2014-01-23 2017-12-1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6362386B2 (ja) * 2014-04-08 2018-07-25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65096B2 (ja) * 2014-04-15 2017-07-1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6717016B (zh) * 2014-07-18 2020-01-03 惠普发展公司,有限责任合伙企业 一种非瞬变机器可读存储介质、计算设备的系统和用于创建统一资源标识符的方法
DE102014114586B4 (de) * 2014-10-08 2020-08-20 Canon Production Printing Germany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edienfelds für ein Produktionssystem sowie Steuervorrichtung für ein Produktionssystem
JP6451238B2 (ja) * 2014-11-17 2019-0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映像を送信または受信する装置、装置を制御する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
JP6101247B2 (ja) * 2014-12-26 2017-03-22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携帯端末及び画像結合プログラム
US11159603B2 (en) 2015-04-15 2021-10-26 Hyland Switzerland Sàrl Cross-platform module for loading across a plurality of device types
JP6669379B2 (ja) * 2015-08-25 2020-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サーバ、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サーバの制御方法、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65643B2 (ja) * 2015-12-01 2019-08-2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121761A (ja) * 2016-01-08 2017-07-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印刷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05700929A (zh) * 2016-01-15 2016-06-22 浪潮(北京)电子信息产业有限公司 一种控制操作系统配置参数的方法及系统
JP6592368B2 (ja) * 2016-01-26 2019-10-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画像形成装置、印刷制御装置、端末装置、及びそれら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CN107733947A (zh) * 2016-08-11 2018-02-23 中国移动通信集团江苏有限公司 图像获取方法、装置及系统
US10104249B2 (en) 2016-09-15 2018-10-16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ing a plurality of setting screen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using the same,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using the same
US10445037B2 (en) * 2016-09-26 2019-10-15 Fuji Xerox Co.,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2019095873A (ja) * 2017-11-20 2019-06-20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8229460A (zh) * 2018-01-09 2018-06-29 佛山科学技术学院 一种水印图像ocr识别方法及其系统
JP2019181756A (ja) * 2018-04-05 2019-10-2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CN110557510A (zh) * 2018-05-31 2019-12-10 京瓷办公信息系统株式会社 图像形成装置、图像形成系统及通信处理方法
JP6816750B2 (ja) * 2018-10-18 2021-01-2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デバイス制御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制御方法
US10848629B2 (en) * 2018-11-20 2020-11-24 Ricoh Company, Ltd.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web browser program
JP7395982B2 (ja) 2018-11-30 2023-12-12 株式会社リコー データ管理サーバ、通信システム、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965832B2 (en) 2018-12-25 2021-03-30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saving fax transmission settings for redisplay
CN109951726B (zh) * 2019-03-08 2021-09-10 视联动力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远程控制方法和装置
JP7275760B2 (ja) * 2019-03-29 2023-05-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
JP6748754B2 (ja) * 2019-04-04 2020-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19034B2 (ja) * 2019-04-04 2021-08-1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設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10841A (ja) * 2020-06-29 2022-01-1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スキャン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スキャナ装置
JP7254999B2 (ja) * 2020-07-27 202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155355B2 (ja) * 2020-07-27 2022-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263502B1 (en) * 2020-10-29 2022-03-01 Tilia Labs Inc. Method for multifunctional graphical user interface file indicia movement, and system, terminal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the same
CN113032744B (zh) * 2021-03-29 2023-05-09 吉林省吉时宇飞电子信息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数字水印一体机系统
CN114554179B (zh) * 2022-02-24 2023-08-15 北京蜂巢世纪科技有限公司 基于目标模型的自动拍摄方法、系统、终端及存储介质
US20240022670A1 (en) * 2022-07-18 2024-01-18 Vmware, Inc. Scanning preview method in scanner redirection
US20240020136A1 (en) * 2022-07-18 2024-01-18 Vmware, Inc. Method to realize scanner redirection between a client and an agent
US20240020137A1 (en) * 2022-07-18 2024-01-18 Vmware, Inc. Method to realize scanner redirection between a client and an agent using different scanning protocols
US11750749B1 (en) 2022-08-29 2023-09-05 Vmware, Inc. Method to use native scanning properties dialog to scan in scanner redirection
CN117173304A (zh) * 2023-06-05 2023-12-05 北京虹宇科技有限公司 三维内容多人协同方法、装置、系统及设备
US11960779B1 (en) * 2023-06-08 2024-04-16 Vmware, Inc. Document printing in a virtualized computing environ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072B1 (ko) * 2004-06-18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린터 설정정보 자동 설정방법 및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5078A (en) * 1992-04-16 1998-12-01 Hitachi, Ltd. Network integrated construction system, method of installing network connection machines, and method of setting network parameters
JP3167917B2 (ja) 1996-03-13 2001-05-2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2001154822A (ja) * 1999-11-25 2001-06-08 Ricoh Co Ltd 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プリンタシステム
JP4454767B2 (ja) * 2000-03-13 2010-04-21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US7269656B2 (en) * 2000-12-28 2007-09-11 Xerox Corporation Remote order entry system and method
US20030078965A1 (en) * 2001-08-22 2003-04-24 Cocotis Thomas A. Outpu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enabling printing via wireless devices
US20030231328A1 (en) * 2002-06-07 2003-12-18 Xerox Corporation Multiple printer driver
US20040036912A1 (en) * 2002-08-20 2004-02-26 Shih-Ping Liou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documents in environments with limited connection speed, storage, and screen space
US7365872B2 (en) * 2003-01-03 2008-04-29 Microsoft Corporation Client computer system, method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comprising executable instructions for rendering printable documents in a native printer language on the network
US7603442B2 (en) * 2003-06-20 2009-10-13 Microsof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aintaining service dependency relationships in a computer system
US7408667B2 (en) 2004-02-06 2008-08-0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ull printing where rendering is initiated at the printer
US8237952B2 (en) * 2004-06-18 2012-08-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of setting default printer in a host device
JP4500718B2 (ja) * 2004-06-23 2010-07-14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並びに遠隔操作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US8006176B2 (en) 2004-10-08 2011-08-2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device-based form field management
US8018610B2 (en) * 2004-10-08 2011-09-13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imaging device remote application interaction
PT1844390E (pt) 2005-01-31 2012-10-09 Cortado Ag Processo e disposição para imprimir através de um servidor de aplicação assim como um programa de computador correspondente e um meio de armazenamento legível por computador correspondente
US8225232B2 (en) * 2005-02-28 2012-07-17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 configuration of unified messaging state changes
JP4453594B2 (ja) * 2005-03-30 2010-04-2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レイアウト表示システム
JP4577176B2 (ja) * 2005-09-29 2010-11-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制御方法
KR100765768B1 (ko) * 2005-12-07 2007-10-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네트워크상에서의 연결 자동 설정 방법 및 장치,그를 이용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
US7590762B2 (en) * 2005-12-07 2009-09-15 Microsoft Corporation API for network discovery
US7688466B2 (en) * 2006-01-26 2010-03-30 Microsoft Corporation Smart display printer
US7711800B2 (en) * 2006-01-31 2010-05-04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connectivity determination
US8160062B2 (en) * 2006-01-31 2012-04-17 Microsoft Corporation Network connectivity determination based on passive analysis of connection-oriented path information
US20070290038A1 (en) * 2006-06-19 2007-12-20 Katrika Woodcock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data using a wireless device
US20080013109A1 (en) * 2006-07-11 2008-01-17 Yen-Fu Chen Method for Selecting Printers Based On Paper Availability Or Paper Congestion
US8112552B2 (en) * 2008-02-25 2012-02-07 Microsoft Corporation Default peripheral device selection based on loca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072B1 (ko) * 2004-06-18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오퍼레이팅 시스템의 프린터 설정정보 자동 설정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37641B2 (ja) 2013-02-06
US8356084B2 (en) 2013-01-15
JP2009230253A (ja) 2009-10-08
US20090237728A1 (en) 2009-09-24
CN101540815A (zh) 2009-09-23
KR20090100271A (ko) 2009-09-23
EP2104328A1 (en) 2009-09-23
CN101540815B (zh) 2011-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8671B1 (ko) 정보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
US842767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timely notifying user of change in state, control method thereof, and image processing system
US10026029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thereof
JP4819311B2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811141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of, and program
US7433068B2 (en) Digital transmitter device
JP4745866B2 (ja) デバイス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070139698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US200801440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rving documents from a multifunction peripheral
JP2010021896A (ja) 情報処理装置と画像入力装置、文書配信システムとそれらの制御方法
US8384934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100208300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server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JP4123726B2 (ja)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
JP2008271091A (ja) 画像配信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9130493A (ja) ネットワーク対応画像処理装置
JP5284135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30158909A1 (en) Composite image generation
JP4202094B2 (ja) 情報処理装置、データ送信方法、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10182272A (ja) 画像処理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3890288B2 (ja) ウエブサーバ機能付き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