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5504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5504B1
KR101065504B1 KR1020090035387A KR20090035387A KR101065504B1 KR 101065504 B1 KR101065504 B1 KR 101065504B1 KR 1020090035387 A KR1020090035387 A KR 1020090035387A KR 20090035387 A KR20090035387 A KR 20090035387A KR 101065504 B1 KR101065504 B1 KR 1010655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ress
main body
plug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5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979A (ko
Inventor
히로카즈 호시노
유스케 시무라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26720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6550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117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5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2Coupling device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7Soldering or weld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바닥 면적이 작고 접촉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해결 수단
한쪽의 프린트 기판의 윗면에 실장한 소켓(20)에, 다른 쪽의 프린트 기판의 하면에 실장한 플러그(50)를 끼워 맞추어 전기접속하는 커넥터이다. 그리고, 상기 소켓(20)의 소켓 본체(20)의 양단에 장착되고, 또한, 한쪽의 상기 프린트 기판에 고정한 제 1 지지금구(40)에, 상기 플러그(50)의 플러그 본체(51)의 양단에 장착되고, 또한, 다른 쪽의 상기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 2 지지금구(70)를, 계합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 특히, 대향하는 프린트 기판끼리를 전기접속(電氣接續)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면, 한쪽의 프린트 기판의 윗면에 실장한 소켓에, 다른 쪽의 프린트 기판의 하면에 실장한 플러그를 끼워 맞추어(嵌合), 상기 프린트 기판끼리를 서로 전기접속한 것이 있다(특허문헌1 참조).
특허문헌1 : 일본 특개2004-55463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커넥터에서는, 플러그인 헤더(40)의 보디(41)의 단변으로부터 돌출하는 보강 금구(46)의 돌기(47)를, 소켓(20)의 보디(21)측의 로크용 걸어 맞춤 오목부에 걸어 맞추어(係合), 빠짐 방지한다. 이 때문에, 헤더(40)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고, 결과로서 커넥터 전체의 바닥 면적이 커진다.
또한, 한쪽의 프린트 기판에 솔더링되는 헤더(40)의 보강 금구(46)는, 소켓(20)의 보디(21)에 걸어 맞추고 있지만, 상기 소켓(20)은 다른 쪽의 프린트 기판에 솔더링되는 보강 금구(32)를 인서트 성형하고 있다. 즉, 한쪽의 프린트 기판에 솔더링된 보강 금구(32)는, 다른 쪽의 프린트 기판에 솔더링된 보강 금구(46)에, 소켓(20)의 보디(21)를 통하여 접속된다. 이 때문에,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의 편차에 의해, 상기 프린트 기판의 대향면 사이의 거리에 편차가 생기기 쉽다. 이 결과, 소켓(20)과 헤더(40)와의 접속 상태에 편차가 생기기 쉽고, 접촉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바닥 면적이 작고 접촉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쪽의 프린트 기판의 윗면에 실장한 소켓에, 다른 쪽의 프린트 기판의 하면에 실장한 플러그를 끼워 맞추어 전기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소켓의 소켓 본체의 양단에 장착되고, 또 한, 한쪽의 상기 프린트 기판에 고정한 제 1 지지금구(支持金具)에,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본체의 양단에 장착되고, 또한, 다른 쪽의 상기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 2 지지금구를, 걸어 맞추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지지금구 및 제 2 지지금구가 서로 걸어 맞춤으로써, 빠짐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제 1 지지금구의 판두께만 커넥터의 길이 치수가 커진다. 이 때문에, 종래예보다도 바닥 면적이 작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에 고정한 제 1 지지금구 및 제 2 지지금구를 직접 걸어 맞추고 있기 때문에, 부품 정밀도, 조립 정밀도의 편차에 의한 영향이 작아진다. 이 때문에, 프린트 기판의 대향면 사이 거리의 편차가 작아지고, 소켓과 플러그와의 접속 상태에 있어서의 편차를 생기게 하지 않아, 접촉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실시 형태로서는, 제 1 지지금구의 대향하는 내측면중, 적어도 한쪽의 내측면에 마련한 결합고정(係止) 받이부에, 제 2 지지금구의 적어도 편측 연부(緣部)로부터 연재되는 탄성 암부의 자유단에 마련한 결합고정 폴을, 결합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특히, 제 1 지지금구의 대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마련된 결합고정 받이부에, 제 2 지지금구의 양측 연부로부터 연재되는 탄성 암부의 자유단에 마련한 결합고정 폴을, 결합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커넥터의 4구석에서 결합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휨이나 비틀림에 의한 플러그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어,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 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제 2 지지금구의 결합고정 폴이, 제 1 지지금구의 결합고정 받이부에 클릭감촉을 얻을 수 있도록 결합고정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러그를 소켓에 끼워 맞출 때에 생기는 클릭감촉에 의해, 양자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고, 안심감을 줄 수 있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제 2 지지금구에 돌출 가공을 시행하여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의 양측 연부에, 플러그 본체에 걸어 맞추어 빠짐 방지할 수 있는 위치 결정용 돌기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러그 본체에 제 2 지지금구를 강고하게 고정할 수 있고, 접촉 신뢰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본 발명에 관한 다른 실시 형태로서는, 제 2 지지금구에 돌출 가공을 시행하여 상하로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한 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중, 하방측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상방측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보다도 폭을 좁게 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플러그 본체의 가이드홈에 제 2 지지금구의 한 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가 조립하기 쉬워져, 생산성이 높은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
전기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자의 압입량과, 빠짐 방지하기 위한 제 1 지지 금구의 압입량이 동일하게 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기접속과 빠짐 방지 작업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커넥터를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8의 첨부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10)의 윗면에 접속한 소켓(20)과, 프린트 배선 기판(11)의 하면에 접속한 플러그(50)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소켓(20)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켓 본체(21)의 대향하는 개구 연부에 따라 복수의 제 1 접속자(30)를 병설함과 함께, 그 저면의 양단 연부에 제 1 지지금구(40)를 조립한 것이다.
상기 소켓 본체(21)는 바닥이 낮은 상자 형상을 가지며,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개구 양단 연부에 가이드용 테이퍼면(22)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대향하는 측벽에 후술하는 제 1 접속자(30)를 압입하기 위한 개략 U자형의 압입홈(23)을 소정의 피치로 병설하고 있다. 특히, 도 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압입홈(23)중, 외방측에 위치하는 대향하는 내측면에 한 쌍의 빠짐 방지용 리브(24)를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용 테이퍼면(22)은 아르(R)면이라도 좋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소켓 본체(21)는, 그 저면 중앙에 평면 직사각형의 칸막이벽(25) 을 돌설하고 있다. 상기 칸막이벽(25)은, 그 외주면중, 상기 압입홈(23)에 대응하는 위치에, 상기 압입홈(23)에 연통하는 개략 L자 형상의 끼워 맞춤 홈(26)을 병설하고 있다. 특히, 상기 끼워 맞춤 홈(26)은, 제 1 접속자(30)의 탄성 접촉편(33)보다도 폭이 넓다.
또한, 상기 소켓 본체(21)는, 도 5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저면의 양단 연부에 후술하는 제 1 지지금구(40)를 삽입하기 위한 평면 개략 ㄷ자 형상의 삽입홈(27)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삽입홈(27)은, 그 양단부가 상기 소켓 본체(21) 내에 연통하고 있다(도 6의 (C)).
제 1 접속자(3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31)로부터 연재된 부분을 개략 Ω자 형상으로 굴곡하여 제 1 압입부(3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압입부(32)는, 그 내방측에 위치하고, 또한, 경사한 외주면을 제 1 접점부(32a)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압입부(32)의 내방측의 단부(端部)로부터 연재된 부분을 구부려 세워서 탄성 접촉편(33)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탄성 접촉편(33)은, 제 1 압입부(32)측으로 만곡시킨 자유단부의 대향면에, 트윈 딤플 구조의 제 2 접점(33a, 33a)을 돌출하고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제 2 접점부(33a)는 상기 제 1 접점부(32a)와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압입부(32)의 외방측의 양측 연부에 빠짐 방지용 돌기(35, 35)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압입부(32)의 외방측의 베이스부에는 솔더의 오름을 방지하기 위해 Ni 도금(도시 생략)을 행하고 있다.
제 1 지지금구(40)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면 개략 ㄷ자 형상이고, 대향하는 암부(41)의 하변 연부로부터 제 1 고정부(42)가 연재되어 있음과 함께, 그것과 이웃하는 위치에 제 2 고정부(43)가 연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암부(41)는, 그 대향면에 클릭 느낌용 돌기(44)를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그 선단면에 걸어 맞춤 돌기(45)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 1 지지금구(40)는, 그 중앙부에 한 쌍의 걸어 맞춤 돌기(46, 46)를 대향하도록 마련하고 있다.
그리고, 도 9,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 본체(21)의 압입홈(23)에 제 1 접속자(30)의 제 1 압입부(32)를 압입함에 의해, 빠짐 방지용 돌기(35)가 압입홈(23)의 빠짐 방지용 리브(24, 24)에 결합고정하여 빠짐 방지된다(도 9의 (A)). 또한, 상기 소켓 본체(21)의 삽입홈(27)에 제 1 지지금구(40)를 삽입함에 의해, 걸어 맞춤 돌기(45, 46)가 소켓 본체(21)에 걸어 맞춤으로써, 빠짐 방지된다(도 9의 (C)).
또한, 소켓 본체(21)에 조립된 상기 제 1 접속자(30)의 제 2 접점부(33a)는, 상기 소켓 본체(21)의 끼워 맞춤 홈(25) 내에서 유동 가능하게 끼운(遊嵌) 상태이다(도 10). 이 때문에, 상기 제 1 접속자(30)는, 탄성 접촉편(33)의 자유단부가 탄성 변형 가능함과 함께, 미소각도라면 회동 가능하다. 이 결과, 플러그(30)의 부품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가 낮은 경우라도, 탄성 접촉편(33)의 탄성 변형 등에 의해 위치 조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소켓(20) 및 플러그(50)에 높은 부품 정밀도 및 조립 정밀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생산이 쉬워지고, 수율이 개선된다는 이점이 있다.
상기 플러그(50)는,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본체(51)의 대향하는 하면 개구 연부에 따라 후술하는 복수의 제 2 접속자(60)를 병설함과 함께, 그 상면의 양단부에 제 2 지지금구(70)를 조립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본체(51)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소켓 본체(21) 내에 접합 가능한 바닥이 낮은 상자 형상이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 본체(51)는, 그 하면의 양단 연부에 가이드용 테이퍼면(52)을 형성하고 있음과 함께, 대향하는 측벽에 후술하는 제 2 접속자(60)를 압입할 수 있는 개략 U자 형상의 압입홈(53)을 소정의 피치로 병설하고 있다. 상기 압입홈(53)의 외방측 및 내방측의 베이스부에는 한 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54, 54)를 대향하도록 돌설하고 있다. 또한, 상기 플러그 본체(51)의 윗면의 양단부에는, 제 2 지지금구(70)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홈(55)을 마련하고 있다. 상기 삽입홈(55)의 내측면중, 내방측의 내측면의 중앙에 가이드홈(56)을 형성하고 있다.
제 2 접속자(60)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접속부(61)로부터 연재되고, 또한, 굴곡한 개략 U자 형상의 제 2 압입부(62)를 갖고 있다. 상기 제 2 압입부(62)는, 제 2 접속부(61)측의 외측면에 클릭 느낌용 돌기(63)를 돌출 가공으로 마련하고 있음과 함께, 그 자유단부의 양측 연부에 위치 결정용 폴부(64, 64)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압입부(62)의 베이스부에는 솔더의 오르을 방지하기 위한 Ni 도금(도시 생략)이 시행되어 있다.
제 2 지지금구(70)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양측 연부로부터 연재된 한 쌍의 탄성 암부(71, 71)의 선단에 클릭 느낌용 결합고정 폴(72)을 각각 형 성한 것이다. 또한, 제 2 지지금구(70)는, 그 상변 연부로부터 한 쌍의 고정부(73, 73)를 상방으로 돌설함과 함께, 상기 탄성 암부(71)보다도 하방측의 양측 연부에 위치 결정용 돌기(74, 74)를 각각 마련하고 있다. 또한, 상기 제 2 지지금구(70)는, 그 중앙부에 돌출 가공을 시행함에 의해, 위치 결정용 돌기부(75, 76)를 상하 방향으로 병설하고 있다. 상기 위치 결정용 돌기부(75)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76)보다도 폭이 좁기 때문에, 상기 플러그 본체(51)의 가이드홈(56)에 삽입하기 쉽다.
그리고, 도 15,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플러그 본체(51)의 압입홈(53)에 제 2 접속자(60)의 제 2 압입부(62)를 압입하여 조립함에 의해, 플러그 본체(51)의 위치 결정용 돌기(54)에 제 2 접속자(60)가 결합고정하고, 빠짐 방지된다(도 16의 (B)). 또한, 소켓 본체(51)의 삽입홈(55)에 제 2 지지금구(70)를 삽입한다. 그리고, 소켓 본체(51)의 가이드홈(56)에 제 2 지지금구(70)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75, 76)를 순차적으로, 끼워 맞추어 압입함에 의해, 위치 결정용 돌기(74, 74)를 소켓 본체(51)에 결합고정하고, 빠짐 방지한다(도 16의 (C)).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 2 접속단자(60)의 제 2 접속부(61)의 상단면과, 제 2 지지금구(70)의 고정부(73)의 상단부가 같은 면이 되어, 플러그(50)를 프린트 기판(11)에 강고하게 솔더링할 수 있다.
또한, 위치 결정용 돌기부(75)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76)보다도 폭이 좁아, 가이드홈(56)에 감합하기 쉽기 때문에, 제 2 지지금구(70)의 조립 작업이 용이하다.
또한, 위치 결정용 돌기부(76)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75)보다도 폭 치수가 크고, 가이드홈(56)의 내측면에 밀착하기 때문에, 제 2 지지금구(70)의 횡(橫)으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계속해서, 상기 소켓(20)과 상기 플러그(50)를 접속하는 경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린트 배선 기판(10)의 윗면에 실장한 소켓(20)의 상방에, 프린트 배선 기판(11)의 하면에 실장한 플러그(50)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소켓 본체(21)의 개구 연부에 마련한 가이드용 테이퍼면(22)과, 상기 플러그 본체(51)의 외주 연부에 마련한 가이드용 테이퍼면(52)을 맞닿게 함으로써, 개략적인 위치 결정을 행한다. 또한, 상기 플러그(50)를 하강시켜서, 제 2 접속자(60)의 제 2 압입부(62)로 제 1 접속자(30)의 탄성 접촉편(33)을 밀어 넓히면서, 상기 플러그(50)를 압입한다. 이로써, 제 2 접속자(60)의 클릭 느낌용 돌기(63)가 팽출하는 제 1 접점부(32a)를 타고 넘는 동시에, 제 2 지지금구(70)의 클릭 느낌용 결합고정 폴(72)이, 제 1 지지금구(40)의 클릭 느낌용 돌기(44)를 타고 넘는다. 그리고, 제 1 접속자(30)의 제 1 접점부(32a) 및 제 2 접점부(33a)가, 제 2 접속자(60)의 제 2 압입부(62)에 각각에 압접하고, 접속 작업이 완료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2 접속자(60)의 제 2 압입부(62)의 양단부가 플러그 본체(41)의 압입홈(53)에 마련한 한 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54)에 걸어 맞추어 빠짐 방지된다. 이 때문에, 제 2 접속단자(60)는 탈락하는 일이 없고, 위치 정밀도가 높다. 이 결과, 제 1 접속자(30)와 제 2 접속자(60)의 접점압이 균일하게 된다. 또한, 제 2 압입부(62)가 횡으로 흔들리지 않기 때문에, 이웃하는 제 2 압입부(62, 62)끼리가 접촉할 우려가 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도 18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클릭 느낌용 돌기(63)를 구비한 제 2 접속자(60)의 제 2 압입부(62)가 제 1, 제 2 접점(32a, 33a) 사이로 압입된다. 또한, 클릭 느낌용 결합고정 폴(72)을 구비한 제 2 지지금구(70)가 제 1 지지금구(40)의 클릭 느낌용 돌기(44)를 넘어서 계합한다. 이 때문에, 플러그(50)의 발거력(拔去力)이 큼과 함께, 접속 상태를 클릭 느낌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에게 안심감을 준다.
또한, 만곡면에 따라 마련한 제 1 접점부(32a)에 제 2 접속자(60)의 클릭 느낌용 돌기(63)가 정접(正接)하여, 발거력이 보다 한층 증대한다.
또한, 제 1 접속자(30)의 탄성 접촉편(33)이 제 2 접속자(60)의 제 2 압입부(62)를 외방으로 가세하기 때문에, 상기 제 2 압입부(62)의 클릭 느낌용 돌기(63)가 제 1 접점부(32a)에 걸어 멎추면서, 보다 강하게 접촉하여, 접촉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도 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자(30)의 제 2 접점부(33a)가 트윈 딤플 구조인 한편, 제 2 접속자(60)의 제 2 압입부(62)의 접촉면이 평활면이다. 이 때문에, 탄성 접촉편(33)과 제 2 압입부(62)가 폭 방향으로 서로 횡으로 어긋나도, 2점 접촉을 항상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접촉 신뢰성이 높다.
또한, 상기 제 1 접속자(30)의 탄성 접촉편(33)이 탄성 변형 가능하고, 미소 각도라면 회동 가능하다. 또한, 제 2 압입부(62)의 하단부가 제 2 접점부(33a)에 맞닿은 후, 더욱 깊게 압입하기 때문에, 트윈 딤플 구조의 제 2 접점부(33a)에 와이핑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는 경질 프린트 배선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경우로 한하지 않고, 경질 및/또는 연질의 프린트 배선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프린트 기판에 장착한 소켓 및 플러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프린트 기판에 장착한 소켓 및 플러그를 도시하는 다른 각도의 사시도.
도 3의 (A) 및 (B)는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접속 후 및 접속 전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에 관한 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5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소켓 본체의 부분 사시도, 부분 정면도 및 다른 각도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6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소켓 본체의 부분 평면도, 도 6의 (A)에서의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7의 (A) 내지 (D)는, 각각, 도 4에서 도시한 제 1 접속자의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8의 (A) 내지 (D)는, 각각, 도 4에서 도시한 제 1 지지금구의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9의 (A) 내지 (C)는, 각각, 제 1 접속자 및 제 1 지지금구를 조립한 소켓 본체의 부분 사시도, 부분 정면도 및 다른 각도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10의 (A) 내지 (C)는, 각각, 소켓 본체에 제 1 접속자 및 제 1 지지금구를 조립한 소켓의 부분 평면도, 도 10의 (A)에서의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11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플러그 본체의 부분 사시도, 부분 정면도 및 다른 각도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12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소켓 본체의 부분 평면도, 도 12의 (A)에서의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13의 (A) 내지 (D)는, 각각, 도 4에서 도시한 제 2 접속자의 사시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정면도,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14의 (A) 내지 (D)는, 각각, 도 4에서 도시한 제 2 지지금구의 사시도, 평면도, 정면도 및 다른 각도에서 본 사시도.
도 15의 (A) 내지 (C)는, 각각, 플러그 본체에 제 2 접속자 및 제 2 지지금구를 조립한 플러그의 부분 사시도, 부분 정면도 및 다른 각도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16의 (A) 내지 (C)는, 각각, 플러그 본체에 제 2 접속자 및 제 2 지지금구를 조립한 플러그의 부분 평면도, 도 16의 (A)에서의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 17의 (A) 내지 (C)는, 각각, 소켓에 플러그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 부분 정면도 및 다른 각도에서 본 부분 사시도.
도 18의 (A) 내지 (C)는, 소켓에 플러그를 조립한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평면도, 도 18의 (A)에서의 B-B선, 및, C-C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1 : 프린트 배선 기판 20 : 소켓
21 : 소켓 본체 22 : 가이드용 테이퍼면(가이드부)
23 : 압입홈 24 : 빠짐 방지용 리브
25 : 칸막이벽 26 : 끼워 맞춤 홈
27 : 삽입홈 30 : 제 1 접속자
31 : 제 1 접속부 32 : 제 1 압입부
32a : 제 1 접점부 33 : 탄성 접촉편
33a : 제 2 접점부 35 : 빠짐 방지용 돌기
40 : 제 1 지지금구 41 : 암부
42 : 제 1 고정부 44 : 클릭 느낌용 돌기
50 : 플러그 51 : 플러그 본체
52 : 가이드용 테이퍼면(가이드부) 53 : 압입홈
54 : 위치 결정용 돌기 55 : 삽입홈
56 : 가이드홈 60 : 제 2 접속자
61 : 제 2 접속부 62 : 제 2 압입부
63 : 클릭 느낌용 돌기 64 : 위치 결정용 폴부
70 : 제 2 지지금구 71 : 탄성 암부
72 : 클릭 느낌용 결합고정 폴 73 : 고정부
74 : 위치 결정용 돌기 75, 76 : 위치 결정용 돌기부

Claims (16)

  1. 한쪽의 프린트 기판의 윗면에 실장되고, 개구 연부에 따라 복수의 제 1 접속자를 병설한 소켓에, 다른 쪽의 프린트 기판의 하면에 실장되고, 개구 연부에 따라 복수의 제 2 접속자를 병설한 플러그를 끼워 맞추어 전기접속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소켓의 소켓 본체의 양단에 장착되고 또한 한쪽의 상기 프린트 기판에 고정한 제 1 지지금구에, 상기 플러그의 플러그 본체의 양단에 장착되고 또한 다른 쪽의 상기 프린트 기판에 고정된 제 2 지지금구를 걸어 맞추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지지금구의 대향하는 내측면중 적어도 한쪽의 내측면에 마련한 결합고정 받이부에, 제 2 지지금구의 적어도 편측 연부로부터 연재되는 탄성 암부의 자유단에 마련한 결합고정 폴을 결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1 지지금구의 대향하는 내측면에 각각 마련한 결합고정 받이부에, 제 2 지지금구의 양측 연부로부터 연재되는 탄성 암부의 자유단에 마련한 결합고정 폴을 결합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 지지금구의 결합고정 폴이, 제 1 지지금구의 결합고정 받이부에 클릭감촉을 얻을 수 있도록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3항에 있어서,
    제 2 지지금구의 결합고정 폴이, 제 1 지지금구의 결합고정 받이부에 클릭감촉을 얻을 수 있도록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 지지금구에 돌출 가공을 시행하여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의 양측 연부에, 플러그 본체에 걸어 맞추어 빠짐 방지할 수 있는 위치 결정용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3항에 있어서,
    제 2 지지금구에 돌출 가공을 시행하여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의 양측 연부에, 플러그 본체에 걸어 맞추어 빠짐 방지할 수 있는 위치 결정용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4항에 있어서,
    제 2 지지금구에 돌출 가공을 시행하여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위치 결정용 돌기부의 양측 연부에, 플러그 본체에 걸어 맞추어 빠짐 방지할 수 있는 위치 결정용 돌기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제 2 지지금구에 돌출 가공을 시행하여 상하에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한 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 중, 하방측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상방측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보다도 폭을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 3항에 있어서,
    제 2 지지금구에 돌출 가공을 시행하여 상하에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한 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 중, 하방측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상방측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보다도 폭을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 4항에 있어서,
    제 2 지지금구에 돌출 가공을 시행하여 상하에 형성되고 또한 플러그 본체의 가이드홈에 끼워 맞추는 한 쌍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 중, 하방측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를 상방측의 위치 결정용 돌기부보다도 폭을 좁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전기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자의 압입량과, 빠짐 방지하기 위한 제 1 지지금구의 압입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 3항에 있어서,
    전기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자의 압입량과, 빠짐 방지하기 위한 제 1 지지금구의 압입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 4항에 있어서,
    전기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자의 압입량과, 빠짐 방지하기 위한 제 1 지지금구의 압입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 5항에 있어서,
    전기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자의 압입량과, 빠짐 방지하기 위한 제 1 지지금구의 압입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 6항에 있어서,
    전기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자의 압입량과, 빠짐 방지하기 위한 제 1 지지금구의 압입량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090035387A 2008-05-12 2009-04-23 커넥터 KR1010655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24708 2008-05-12
JP2008124708A JP5623694B2 (ja) 2008-05-12 2008-05-12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979A KR20090117979A (ko) 2009-11-17
KR101065504B1 true KR101065504B1 (ko) 2011-09-19

Family

ID=412672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5387A KR101065504B1 (ko) 2008-05-12 2009-04-23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45958B2 (ko)
JP (1) JP5623694B2 (ko)
KR (1) KR101065504B1 (ko)
CN (1) CN1015825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53129B2 (ja) 2008-12-19 2013-07-3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2532422A (ja) * 2009-06-29 2012-12-13 ヒューマ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基板対基板タイプのコネクタ
CN102237612B (zh) * 2010-03-31 2014-12-03 广濑电机株式会社 电路基板用电连接器
JP5498883B2 (ja) * 2010-04-27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97030B2 (ja) * 2010-05-28 2014-10-01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631074B2 (ja) 2010-06-28 2014-11-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2012018781A (ja) * 2010-07-07 2012-01-26 Jst Mfg Co Ltd コネクタ
US8292635B2 (en) * 2011-03-12 2012-10-23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assembly with robust latching means
US8183155B1 (en) * 2011-03-30 2012-05-2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Lower profile connector assembly
JP5935040B2 (ja) * 2011-08-31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5884036B2 (ja)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KR101316111B1 (ko) * 2012-08-01 2013-10-11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컨넥터 조립체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US9124011B2 (en) * 2013-02-27 2015-09-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and header and socket to be used in the same
US9537244B2 (en) 2013-02-27 2017-01-03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Connector having an attachment piece not aligned with a protrusion formed in a sidewall of the connector body
WO2014132283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JP6148952B2 (ja) 2013-03-14 2017-06-14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04957B1 (ja) 2013-06-24 2014-02-0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5772909B2 (ja) * 2013-09-19 2015-09-02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2015008116A (ja) * 2013-10-28 2015-01-15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WO2015063817A1 (ja) * 2013-10-31 201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その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その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
JP6245964B2 (ja) * 2013-12-02 2017-12-1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5887326B2 (ja) * 2013-12-12 2016-03-1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CN104795654B (zh) * 2014-01-17 2017-09-05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端子、电连接器、以及电连接器组件
JP6167997B2 (ja) * 2014-06-05 2017-07-26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セット及びコネクタ
JP6034339B2 (ja) * 2014-07-29 2016-11-30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473990B2 (ja) 2014-08-07 2019-02-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
JP6068405B2 (ja) * 2014-08-27 2017-01-2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91517B2 (ja) * 2015-03-30 2018-09-1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6378642B2 (ja) 2015-04-23 2018-08-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USD774464S1 (en) * 2015-08-26 2016-12-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JP2017162774A (ja) * 2016-03-11 2017-09-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857073B2 (ja) * 2017-04-07 2021-04-14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US10608361B2 (en) * 2017-05-19 2020-03-31 Molex, Llc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JP6851937B2 (ja) * 2017-08-09 2021-03-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26025B2 (ja) * 2018-08-24 2022-02-2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JP6643641B2 (ja) * 2018-11-13 2020-0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ソケットおよびソケットと回路基板との接続構造
KR102659421B1 (ko) * 2018-11-20 2024-04-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용 커넥터
CN111009760B (zh) * 2018-11-21 2021-09-17 富鼎精密工业(郑州)有限公司 电连接器
JP7202866B2 (ja) * 2018-12-03 2023-01-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基板接続コネクタ向けの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製造方法
JP2021064470A (ja) * 2019-10-11 2021-04-22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2494410B1 (ko) * 2020-10-13 2023-02-06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소켓 커넥터
JP2022105811A (ja) * 2021-01-05 2022-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KR102409569B1 (ko) * 2021-12-06 2022-06-22 (주)연호엠에스 플러그 커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463A (ja) 2002-07-23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KR200347660Y1 (ko) * 2003-12-31 2004-04-13 (주)마루스솔루션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JP2007134091A (ja) 2005-11-08 2007-05-31 Fci Asia Technology Pte Ltd 電気コネクタ
KR20080029771A (ko) * 2006-09-29 2008-04-0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40387B2 (ja) * 2003-07-29 2007-07-0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4219308B2 (ja) * 2004-08-18 2009-02-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ロック機能付き補強金具及びそれを備えたコネクタ
JP2006100240A (ja) * 2004-08-31 2006-04-13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4287825B2 (ja) * 2005-01-28 2009-07-01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TWM317694U (en) * 2006-12-11 2007-08-21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4555329B2 (ja) * 2007-11-08 2010-09-2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319142B2 (ja) * 2008-03-24 2013-10-16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55463A (ja) 2002-07-23 2004-02-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コネクタ
KR200347660Y1 (ko) * 2003-12-31 2004-04-13 (주)마루스솔루션 접속력 향상구조를 갖는 전기접속기용 커넥터
JP2007134091A (ja) 2005-11-08 2007-05-31 Fci Asia Technology Pte Ltd 電気コネクタ
KR20080029771A (ko) * 2006-09-29 2008-04-03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582542A (zh) 2009-11-18
US7845958B2 (en) 2010-12-07
US20090280658A1 (en) 2009-11-12
JP5623694B2 (ja) 2014-11-12
CN101582542B (zh) 2012-06-27
JP2009277365A (ja) 2009-11-26
KR20090117979A (ko) 2009-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5504B1 (ko) 커넥터
JP4978313B2 (ja) コネクタ
JP4858050B2 (ja) コネクタ
KR101020389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접속체
JP4901944B2 (ja) 電気コネクタ
JP4802959B2 (ja) コネクタ
TWI384691B (zh) Electrical connector
JP5358615B2 (ja)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WO2011142132A1 (ja)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JP5958583B1 (ja) 電気コネクタ
JP4240401B2 (ja) コネクタ
US7604483B2 (en) Intermediate electrical connector device and its connecting structure
JP7476808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JP7407687B2 (ja) 平型導体付電気コネクタ
JP5587807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7438076B2 (ja) 相手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5581983B2 (ja) 基板用コネクタ
JP4267641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20090090247A (ko) 접속용 소켓
JP5959704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6335362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167205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KR200465415Y1 (ko) 기판실장형 커넥터
JPH1174016A (ja) コネクタ
TW202401921A (zh) 扁平型導體用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