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421B1 - 표시장치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421B1
KR102659421B1 KR1020180143425A KR20180143425A KR102659421B1 KR 102659421 B1 KR102659421 B1 KR 102659421B1 KR 1020180143425 A KR1020180143425 A KR 1020180143425A KR 20180143425 A KR20180143425 A KR 20180143425A KR 102659421 B1 KR102659421 B1 KR 102659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iece
flat
display device
we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3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9347A (ko
Inventor
유진영
이상윤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3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421B1/ko
Priority to US16/578,886 priority patent/US11245215B2/en
Priority to CN201911138888.4A priority patent/CN111200198B/zh
Publication of KR20200059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9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4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8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with identically-shaped contact, e.g. for hermaphroditic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4Structural association of two or more printed circuits
    • H05K1/142Arrangements of planar printed circuit boards in the same plane, e.g. auxiliary printed circuit insert mounted in a main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7Pads along the edge of rigid circuit boards, e.g. for pluggable connect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11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 H05K1/118Printed elements for providing 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printed circuits specially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e.g. using folded por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5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by abutting, i.e. without alloying proce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0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computer peripher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145Edge 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145Edge details
    • H05K2201/09163Slotted edg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20Details of printed circuits not provided for in H05K2201/01 - H05K2201/10
    • H05K2201/209Auto-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a component and a PCB or between two PC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태블릿이나 스마트 폰 등의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연성회로기판(FPC)을 인쇄회로기판(PCB)에 접속할 때 외관상 접속 불량을 검출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는, 연성회로기판(FPC)의 일단에 배치된 갈고리(gaff)형 제1 접속부; 및 인쇄회로기판(PCB)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갈고리형 제1 접속부에 정합(conformity)되는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장치용 커넥터{Display device type connector}
본 발명은 표시장치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태블릿(Tablet)이나 스마트 폰(Smart Phone) 등의 표시장치에 이용되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을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접속시키는 표시장치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등의 평판 표시 장치는 화상이 구현되는 표시 패널 위에 터치부를 온-셀(On-cell) 타입으로 형성하거나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 장치는 터치부의 입력 신호를 구동 IC에 전달하기 위하여 터치부에 연결된 연성회로기판(Touch-FPC)을 커넥터를 통해 구동 IC를 포함하는 인쇄회로기판(PCB)에 접속한다.
이러한 커넥터는 주로 ZIF(Zero Insertion Force) 타입을 사용했으나, 커넥터 빠짐이나 몰드(mold) 빠짐으로 인해 B-to-B(Board to Board) 타입으로 변경하여 사용하고 있다.
터치 연성회로기판(Touch-FPC)의 경우에는 B-to-B 타입 커넥터를 적용하여 인쇄회로기판(PCB)에 체결을 한 상태로 출하를 하기 때문에 검사 이후에 발생하는 외관 불량에 대해서 확인할 수 없다.
또한, B-to-B 타입 커넥터는 헤더와 소켓으로 체결되는 방식이므로 외관상 불량 검출이 불가능하고, 제품 출하 이후에 작동 오류에 따라 커넥터를 탈착해 보면 불량이 발생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품 출하 이전에 터치 연성회로기판(T-FPC)을 인쇄회로기판(PCB)에 접속할 때 접속 불량을 외관상으로 검출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태블릿이나 스마트 폰 등의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연성회로기판(FPC)을 인쇄회로기판(PCB)에 접속할 때 외관상 불량 검출이 가능한 표시장치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는, 연성회로기판(FPC)의 일단에 배치된 갈고리(gaff)형 제1 접속부; 및 인쇄회로기판(PCB)의 일단에 배치되고 갈고리형 제1 접속부에 정합(conformity)되는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갈고리형 제1 접속부는, 연성회로기판(FPC)에서 연장된 제1 웹부편; 제1 웹부편에서 절곡된 제1 플랜지편; 및 제1 플랜지편에서 절곡된 제2 웹부편을 포함할 수 있다.
갈고리형 제2 접속부는, 인쇄회로기판(PCB)에서 연장된 제3 웹부편; 제3 웹부편에서 절곡된 제2 플랜지편; 및 제2 플랜지편에서 절곡된 제4 웹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웹부편, 제1 플랜지편 및 제2 웹부편은 제3 웹부편, 제2 플랜지편 및 제4 웹부편과 서로 정합할 수 있다.
제1 웹부편, 제1 플랜지편 및 제2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돌출된 제1 철부를 갖고, 제3 웹부편, 제2 플랜지편 및 제4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제1철부와 정합되는 제1 요부를 가질 수 있다.
제1 철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제1 요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제1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1 접속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1 접속단자 및 다수의 제1 접속 홈은, 다각 기둥 형상, 원 기둥 형상, 반원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제1 접속단자 및 다수의 제1 접속 홈은, 전도성 재질의 금속이 도포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접속단자의 두께는, 제1 웹부편, 제1 플랜지편 및 제2 웹부편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제1 웹부편, 제1 플랜지편 및 제2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함몰된 제2 요부를 가질 수 있다.
제3 웹부편, 제2 플랜지편 및 제4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돌출되어 제2 요부와 정합되는 제2 철부를 가질 수 있다.
제2 철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제2 요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제2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2 접속 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웹부편, 제1 플랜지편 및 제2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면에 함몰된 제4 요부를 가질 수 있다.
제3 웹부편, 제2 플랜지편 및 제4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돌출되어 제4 요부와 정합되는 제4 철부를 가질 수 있다.
제4 철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4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제4 요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제4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4 접속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4 접속단자는, 제3 웹부편, 제2 플랜지편 및 제4 웹부편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는, 연성회로기판(FPC)에 배치된 제1 접속부; 및 인쇄회로기판(PCB)에 배치되어 제1 접속부에 정합(conformity)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하나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3 철부를 포함하고, 제1 접속부 및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는 제3 철부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는 판형상 및 갈고리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제1 접속부는, 연성회로기판(FPC)에서 연장되어 판형상을 갖는 확장편; 및 확장편 상에서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3 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부는, 인쇄회로기판(PCB)에서 연장된 제3 웹부편; 제3 웹부편에서 절곡된 제2 플랜지편; 제2 플랜지편에서 절곡된 제4 웹부편; 및 제3 웹부편과 제2 플랜지편, 제4 웹부편 상에서 제3 철부를 수용하는 관통홀을 포함하여, 제3 철부는 관통홀과 서로 정합할 수 있다.
제3 철부는 확장편 상에서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3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관통홀은 일정한 간격으로 관통되어 다수의 제3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3 접속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는, 적어도 일측에 일정 간격마다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5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플랫형 제1 접속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용홈의 내부로 다수의 제5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다수의 제6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2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5 접속단자는, 일측과 타측에 교번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제5 접속단자의 높이와 폭은, 제6 접속단자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할 수 있다.
플랫형 제1 접속부는, 수용홈보다 더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플랫형 제1 접속부의 두께는, 수용홈의 깊이 이상일 수 있다.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플랫형 제2 접속부 중 하나에 돌출된 체결부;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플랫형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체결부를 수용하는 체결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는, 플랫형 제1 접속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서포터; 및 서포터에서 연장되어 플랫형 제1 접속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탄성 체결편을 가질 수 있다.
서포터는 체결홀 내에 배치되고, 탄성 체결편은 플랫형 제2 접속부의 일면에서 돌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는, 접촉감지패널이 적용된 표시장치의 제조 시에 연성회로기판(FPC)과 인쇄회로기판(PCB)의 외관상 접속 불량을 현장에서 즉시로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불량 발생 시에 접속 불량이 없는 연성회로기판으로 교체하여 정상 동작이 가능한 표시장치용 커넥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가 적용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에서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플랫형 제1 접속부와 플랫형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플랫형 제1 접속부와 플랫형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형 제1 접속부와 플랫형 제2 접속부의 정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소자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그에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 1, 제 2, 제 3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들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 등으로 명명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 제 2 또는 제 3 구성 요소도 교호적으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도 1 내지 도 13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가 적용된 표시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1000)는,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FPC, 40)에 배치된 갈고리형(gaff type) 제1 접속부(100); 및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 20)에 배치되어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에 정합(conformity)되는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연성회로기판(40)은 접촉 감지 신호를 전달하는데 이용되는 접촉감지패널(Touch Screen Panel: TSP)용 연성회로기판(40)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터치 연성회로기판(40) 또는 연성회로기판(40)이라 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1000)가 적용된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10)과, 인쇄회로기판(20), 메인 연성회로기판(30), 연성회로기판(40) 및 표시장치용 커넥터(1000)를 포함한다.
표시 영역(10)은 표시 패널(미도시) 위에 터치부(미도시)를 온-셀(On-cell) 타입으로 형성하고, 터치부를 통해 터치 신호를 입력받는다. 표시 영역(10)은 다수의 화소들이 형성되어 화상을 표시한다.
인쇄회로기판(20)은 표시 영역(10)에 구동 신호를 인가하는 구동 IC(21)를 포함하고, 표시 영역(10)의 터치부로부터 터치 신호를 수신한다. 구동 IC(21)는 예를 들면, 패널 구동부, 터치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부는 펜 또는 사용자의 손가락 등의 터치 수단에 의한 터치를 인식하여 터치가 수행된 위치에 대응하는 신호를 터치 구동부로 전달한다. 터치부는 표시 영역(10)에 대한 입력 수단으로서 이용되며, 감압식 또는 정전 용량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메인 연성회로기판(30)은 표시 영역(10)과 인쇄회로기판(20)을 연결하고, 구동 IC(21)로부터의 구동 신호를 표시 영역(10)에 전달한다.
연성회로기판(40)은 표시 영역(10)의 터치부와 인쇄회로기판(20)을 표시장치용 커넥터(1000)를 통해 연결하고, 표시 영역(10)의 터치부로부터의 터치 신호를 인쇄회로기판(20)으로 전달한다.
즉, 표시장치용 커넥터(1000)는, 연성회로기판(40)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와 인쇄회로기판(20)의 갈고리 형상의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를 정합시켜 연성회로기판(40)과 인쇄회로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에서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는, 연성회로기판(40)에서 연장된 제1 웹부(web part)편(110); 제1 웹부편(110)에서 절곡된 제1 플랜지(flange)편(120); 및 제1 플랜지편(120)에서 절곡된 제2 웹부편(1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는, 연성회로기판(40)에서 연장된 제1 웹부편(110)의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제1 플랜지편(120)과 일체로 형성되고, 제1 플랜지편(120)의 단부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제2 웹부편(130)과 일체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는 제1 웹부편(110)과 제1 플랜지편(120) 및 제2 웹부편(130)을 직각으로 절곡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곡선이나 다른 형태로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에서, 제1 웹부편(110), 제1 플랜지편(120) 및 제2 웹부편(13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돌출된 제1 철부(prominence part)(140)를 가질 수 있다.
제1 철부(14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철부(140)는 제2 웹부편(130)의 측면 둘레에 다수 개의 제1 접속단자(141~146)를 일정 간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다수 개의 제1 접속단자(141~146)를 포함하는 제1 철부(140)는 제2 웹부편(130)의 측면 둘레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1 플랜지편(12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되거나, 제1 웹부편(110)의 내부 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철부(140)는, 제1 웹부편(110)의 내부 측면과 제1 플랜지편(120)의 내부 측면, 제2 웹부편(130)의 측면에 모두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한편,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는, 인쇄회로기판(20)에서 연장된 제3 웹부편(210); 제3 웹부편(210)에서 절곡된 제2 플랜지편(220); 및 제2 플랜지편(220)에서 절곡된 제4 웹부편(23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는, 인쇄회로기판(20)에서 연장된 제3 웹부편(210)의 단부에 제2 플랜지편(220)이 직각으로 형성되고, 제2 플랜지편(220)의 단부에 제3 웹부편(210)과 평행한 제4 웹부편(230)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1 웹부편(110), 제1 플랜지편(120) 및 제2 웹부편(130)은 제3 웹부편(210),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과 서로 정합할 수 있다.
제3 웹부편(210),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 중 적어도 하나는 제1 철부(140)와 정합되는 제1 요부(240)를 가질 수 있다.
제1 요부(24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1 접속 홈(241~246)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는 제3 웹부편(210),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의 마주보는 내측으로 제1 철부(140)의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에 접속하는 위치마다 다수의 제1 접속 홈(241~246)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 요부(240)는 제3 웹부편(210),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의 내측에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4 웹부편(230)의 외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제1 요부(240)는 제3 웹부편(210),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의 내측에 형성됨과 더불어 제4 웹부편(230)의 외측에도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 및 다수의 제1 접속 홈(241~246)을 사각 기둥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삼각 기둥 형상 등으로 실시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 및 다수의 제1 접속 홈(241~246)은 다각 기둥 형상, 원 기둥 형상, 반원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는 사각 또는 원형이 조합된 모양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제1 접속 홈(241~246)은 사각 또는 원형이 조합된 모양으로 함몰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 및 다수의 제1 접속 홈(241~246)은, 신호 전달을 위해 전도성 재질의 금속이 도포될 수 있다.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의 두께는, 제1 웹부편(110), 제1 플랜지편(120) 및 제2 웹부편(130)의 두께 이하일 수 있다. 즉,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는 제1 웹부편(110), 제1 플랜지편(120) 및 제2 웹부편(13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각각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제1 접속단자(141~146)는 다수의 제1 접속 홈(241~246)에 정확히 정합하기 위해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1 접속 홈(241~246)은 다수의 제1 접속 홈(241~246)과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1000)는,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에 제2 요부(340)를 갖고,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에 제2 철부(440)를 가질 수 있다.
즉,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에서, 제1 웹부편(110), 제1 플랜지편(120) 및 제2 웹부편(13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함몰된 제2 요부(340)를 가질 수 있다. 제2 요부(34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제2 접속단자(441~446)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2 접속 홈(341~34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에서, 제3 웹부편(210),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요부(340)와 정합되는 제2 철부(440)를 가질 수 있다. 제2 철부(440)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2 접속단자(441~446)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2 접속 홈(341~346)은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에서 제1 웹부편(110), 제1 플랜지편(120) 및 제2 웹부편(13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외측 둘레에 형성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수의 제2 접속단자(441~446)는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에서 제4 웹부편(230)의 측면 둘레에 돌출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3 웹부편(210)의 내측면에 돌출되거나, 제2 플랜지편(220)의 내측면에 돌출되는 것으로 실시할 수 있다.
다수의 제2 접속단자(441~446) 및 다수의 제2 접속 홈(341~346)은, 다각 기둥 형상, 원 기둥, 반원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제2 접속단자(441~446)는 사각 또는 원형이 조합된 모양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제2 접속 홈(341~346)은 사각 또는 원형이 조합된 모양으로 함몰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접속단자(441~446) 및 다수의 제2 접속 홈(341~346)은, 신호 전달을 위해 전도성 재질의 금속이 도포될 수 있다.
다수의 제2 접속단자(441~446)는, 제3 웹부편(210),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각각의 두께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제2 접속단자(441~446)는 다수의 제2 접속 홈(341~346)에 정확히 정합하기 위해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 보다 더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2 접속 홈(341~346)은 다수의 제2 접속단자(441~446)와 동일한 형상과 동일한 두께를 갖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갈고리형 제1 접속부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에서, 제1 웹부편(110), 제1 플랜지편(120) 및 제2 웹부편(13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면에 함몰된 제4 요부(740)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에서, 제3 웹부편(210),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돌출되어 제4 요부(740)와 정합되는 제4 철부(840)를 가질 수 있다.
제4 철부(840)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4 접속단자(841~847)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4 접속단자(841~847)의 하부는, 바닥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이격되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4 요부(740)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다수의 제4 접속단자(841~847)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4 접속 홈(741~747)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4 철부(840)가 제4 요부(740)에 정합할 때, 다수의 제4 접속단자(841~847)는 다수의 제4 접속 홈(741~747)에 삽입되어, 갈고리형 제1 접속부(100)와 갈고리형 제2 접속부(200)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다수의 제4 접속단자(841~847) 및 다수의 제4 접속 홈(741~747)은,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전도성 재질의 금속이 도포될 수 있다.
다수의 제4 접속단자(841~847) 및 다수의 제4 접속 홈(741~747)은, 숫가락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각 기둥 형상, 원 기둥 형상, 반원 기둥 형상, 숫가락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제4 접속단자(841~847)는 사각 또는 원형이 조합된 모양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제4 접속 홈(741~747)은 사각 또는 원형이 조합된 모양으로 함몰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제1 접속부와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1000)는, 연성회로기판(40)에 배치된 제1 접속부(100); 및 인쇄회로기판(20)에 배치되어 제1 접속부에 정합(conformity)되는 제2 접속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접속부(100) 및 제2 접속부(200) 중 하나는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3 철부(540)를 포함하고, 제1 접속부(100) 및 제2 접속부(200) 중 다른 하나는 제3 철부(540)를 수용하는 수용홈(640)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속부(100)와 제2 접속부(200)는 판 형상 및 갈고리 형상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접속부(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2 접속부(200)는 갈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접속부(100)는 연성회로기판(40)에서 연장된 확장편(510); 및 확장편(510) 상에서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제3 철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확장편(510)은 예를 들면, 사각형 형상으로서 제2 접속부(200)와 중첩하는 일정한 넓이를 가질 수 있다. 확장편(510)은 도 9에서 사각형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원형이나 다각형 형상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제3 철부(540)는 확장편(510) 상에서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갈고리 형상을 이루는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접속부(200)는, 인쇄회로기판(20)에서 연장된 제3 웹부편(210); 제3 웹부편(210)에서 절곡된 제2 플랜지편(220); 제2 플랜지편(220)에서 절곡된 제4 웹부편(230); 및 제3 웹부편(210)과 제2 플랜지편(220), 제4 웹부편(230) 상에서 제3 철부(540)를 수용하는 수용홈(64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접속부(100)의 제3 철부(540)는 제2 접속부(200)의 수용홈(640)과 서로 정합할 수 있다.
수용홈(640)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은 예컨대, 사각 형상의 홈들을 이루고, 이 홈들을 통해 사각 기둥 형상을 갖는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를 수용한다. 또한,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은 제3 웹부편(210)과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에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에 대응되게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이 형성된 제3 웹부편(210)과 제2 플랜지편(220) 및 제4 웹부편(230)의 배면은 각 홈을 관통하지 않고 편평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제1 접속부(100)는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를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에 삽입시켜 제2 접속부(200)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것이다.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와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은, 전기적 접속을 위해 전도성 재질의 금속이 도포될 수 있다.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와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 기둥 형상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다르게 실시할 수 있다. 즉,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와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은, 다각 기둥 형상, 원 기둥 형상, 반원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는 사각 또는 원형이 조합된 모양으로 돌출되고,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은 사각 또는 원형이 조합된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의 두께는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의 깊이와 동일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제3 접속단자(541~546)를 다수의 제3 접속 홈(641~646)에 정확히 삽입하여 전기적인 접속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플랫형 제1 접속부와 플랫형 제2 접속부를 정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의 플랫형 제1 접속부와 플랫형 제2 접속부를 분리한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는, 플랫형 제1 접속부(100a) 및 플랫형 제2 접속부(200a)를 포함할 수 있다.
플랫형 제1 접속부(100a)는 적어도 일측에 일정 간격마다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5 접속단자(9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수의 제5 접속단자(910)는 일측과 타측에 교번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다수의 제5 접속단자(91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 플랫형 제1 접속부(100a)의 상면에서 측면으로 연장된 형태로 교번으로 일정 간격마다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교번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제5 접속단자(910)는, 플랫형 제1 접속부(100a)에서 폭 방향의 일측에 일정 간격마다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두 접속 단자 사이에 대향하는 다른 접속 단자를 폭 방향의 다른 측에 일정 간격마다 길이 방향으로 배열하는 것이다.
플랫형 제2 접속부(200a)는 플랫형 제1 접속부(100a)를 수용하는 수용홈(930)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수용홈(930)의 내부로 다수의 제5 접속단자(910)와 접촉되는 다수의 제6 접속단자(9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제5 접속단자(910) 및 다수의 제6 접속단자(920)에는 전도성 재질의 금속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제6 접속단자(920)는, 폭 방향의 일측에 일정 간격마다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두 접속 단자 사이에 대향하는 다른 접속 단자를 폭 방향의 다른 측에 일정 간격마다 길이 방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제5 접속단자(910)의 높이와 폭은, 전기적인 접속을 위해 제6 접속단자(920)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할 수 있다.
플랫형 제1 접속부(100a)는 수용홈(930)보다 더 큰 폭을 갖는다. 이는 플랫형 제1 접속부(100a)가 플랫형 제2 접속부(200a)에 정합한 후 정합 상태를 유지하고 분리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플랫형 제1 접속부(100a)는, 다수의 제5 접속단자(910)를 다수의 제6 접속단자(920)에 전기적으로 잘 접속시키기 위해 수용홈(930)의 깊이와 동일하거나, 수용홈(260)의 깊이보다 더 큰 두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표시장치용 커넥터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형 제1 접속부(100a)를 플랫형 제2 접속부(200a)에 수용한 상태를 고정하는 체결부(9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플랫형 제1 접속부와 플랫형 제2 접속부의 정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플랫형 제1 접속부(100a)는 수용홈(930)에 삽입되어 플랫형 제2 접속부(200a)와 정합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941)는 플랫형 제1 접속부(100a) 및 상기 플랫형 제2 접속부 중 하나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플랫형 제1 접속부(100a) 및 플랫형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체결부(941)를 수용하는 체결홀(94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체결부(941)는, 플랫형 제1 접속부(100a)의 일측에서 돌출된 서포터(941-1); 및 서포터(941-1)에서 연장되어 플랫형 제1 접속부(100a)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탄성 체결편(941-2)을 가질 수 있다.
플랫형 제1 접속부(100a)가 플랫형 제2 접속부(200a)의 수용홈(930)에 삽입될 때, 서포터(941-1) 및 탄성 체결편(941-2)은 체결홀(942)에 삽입된다.
탄성 체결편(941-2)은 체결홀(942) 내에서 수축되었다가 체결홀(942)을 관통하여 플랫형 제2 접속부(200a)의 외부로 돌출된 후에 확장되어 체결홀(942)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체결부(941)는, 플랫형 제1 접속부(100a)를 플랫형 제2 접속부(200a)에 수용한 상태를 고정하게 된다.
이때, 서포터(941-1)는 체결홀(942) 내에 배치되고, 탄성 체결편(941-2)은 플랫형 제2 접속부(200a)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태블릿이나 스마트 폰 등의 표시 장치에 이용되는 연성회로기판(FPC)을 인쇄회로기판(PCB)에 접속할 때 외관상 접속 불량을 검출할 수 있는 표시장치용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표시 영역 20 : 인쇄회로기판
30 : 메인 연성회로기판 40 : 터치 연성회로기판
1000 : 표시장치용 커넥터 100 : 갈고리형 제1 접속부
110 : 제1 웹부편 120 : 제1 플랜지편
130 : 제2 웹부편 140 : 제1 철부
141~146 : 제1 접속단자 200 : 갈고리형 제2 접속부
210 : 제3 웹부편 220 : 제2 플랜지편
230 : 제4 웹부편 240 : 제1 요부
241~246 : 제1 접속 홈 340 : 제2 요부
341~346 : 제2 접속 홈 440 : 제2 철부
441~446 : 제2 접속단자 510 : 확장편
540 : 제3 철부 541~546 : 제3 접속단자
640 : 수용홈 641~646 : 제3 접속 홈
740 : 제4 요부 741~747 : 제4 접속 홈
840 : 제4 철부 841~847 : 제4 접속단자
100a : 플랫형 제1 접속부 200a : 플랫형 제2 접속부
910 : 제5 접속단자 920 : 제6 접속단자
930 : 수용홈 941 : 체결부
941-1 : 서포터 941-2 : 탄성 체결편
942 : 체결홀

Claims (24)

  1. 삭제
  2. 연성회로기판(FPC)의 일단에 배치된 갈고리(gaff)형 제1 접속부; 및
    인쇄회로기판(PCB)의 일단에 배치되고 상기 갈고리형 제1 접속부에 정합(conformity)되는 갈고리형 제2 접속부;
    을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형 제1 접속부는,
    상기 연성회로기판(FPC)에서 연장된 제1 웹부편; 상기 제1 웹부편에서 절곡된 제1 플랜지편; 및 상기 제1 플랜지편에서 절곡된 제2 웹부편을 포함하고,
    상기 갈고리형 제2 접속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PCB)에서 연장된 제3 웹부편; 상기 제3 웹부편에서 절곡된 제2 플랜지편; 및 상기 제2 플랜지편에서 절곡된 제4 웹부편을 포함하여,
    상기 제1 웹부편, 상기 제1 플랜지편 및 상기 제2 웹부편은 상기 제3 웹부편, 상기 제2 플랜지편 및 상기 제4 웹부편과 서로 정합하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부편, 상기 제1 플랜지편 및 상기 제2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돌출된 제1 철부를 갖고,
    상기 제3 웹부편, 상기 제2 플랜지편 및 상기 제4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1철부와 정합되는 제1 요부를 갖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철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1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요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1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1 접속 홈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용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접속단자 및 상기 다수의 제1 접속 홈은, 다각 기둥 형상, 원 기둥 형상, 반원 기둥 형상 중 어느 하나의 형상을 갖는, 표시 장치용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접속단자 및 상기 다수의 제1 접속 홈은, 전도성 재질의 금속이 도포된, 표시장치용 커넥터.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1 접속단자의 두께는, 상기 제1 웹부편, 상기 제1 플랜지편 및 상기 제2 웹부편의 두께 이하인 표시장치용 커넥터.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부편, 상기 제1 플랜지편 및 상기 제2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함몰된 제2 요부를 갖고,
    상기 제3 웹부편, 상기 제2 플랜지편 및 상기 제4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2 요부와 정합되는 제2 철부를 갖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철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2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요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2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2 접속 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웹부편, 상기 제1 플랜지편 및 상기 제2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상면에 함몰된 제4 요부를 갖고,
    상기 제3 웹부편, 상기 제2 플랜지편 및 상기 제4 웹부편 중 적어도 하나는 그 측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4 요부와 정합되는 제4 철부를 갖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철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되어 배열된 다수의 제4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4 요부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4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4 접속 홈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제4 접속단자는, 상기 제3 웹부편, 상기 제2 플랜지편 및 상기 제4 웹부편의 두께보다 작은 두께를 갖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13. 연성회로기판(FPC)에 배치된 제1 접속부; 및
    인쇄회로기판(PCB)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접속부에 정합(conformity)되는 제2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 중 하나는 복수의 제3 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속부 및 상기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제3 철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갖고,
    상기 제1 접속부와 상기 제2 접속부는 각각 판형상 및 갈고리형상이고,
    상기 제 1 접속부는 상기 연성회로기판(FPC)에서 연장되어 판형상을 갖는 확장편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PCB)에서 연장된 제3 웹부편; 상기 제3 웹부편에서 절곡된 제2 플랜지편; 상기 제2 플랜지편에서 절곡된 제4 웹부편; 및 상기 제3 웹부편과 상기 제2 플랜지편, 상기 제4 웹부편 상에서 상기 제3 철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을 포함하여,
    상기 제3 철부는 상기 수용홈과 서로 정합하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14. 삭제
  15. 삭제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철부는 상기 확장편 상에서 돌출되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3 접속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홈은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상기 다수의 제3 접속단자를 수용하는 다수의 제3 접속 홀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17. 삭제
  18. 적어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5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로 상기 다수의 제5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다수의 제6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2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접속단자는 일측과 타측에 교번하여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표시장치용 커넥터.
  19. 적어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5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로 상기 다수의 제5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다수의 제6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2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5 접속단자의 높이와 폭은, 상기 제6 접속단자의 높이 및 폭과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표시장치용 커넥터.
  20. 적어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5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로 상기 다수의 제5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다수의 제6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2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는, 상기 수용홈보다 더 큰 폭을 갖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21. 적어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5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로 상기 다수의 제5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다수의 제6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2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의 두께는, 상기 수용홈의 깊이 이상인, 표시장치용 커넥터.
  22. 적어도 일측에 길이 방향으로 배열된 다수의 제5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홈의 내부로 상기 다수의 제5 접속단자와 접촉되는 다수의 제6 접속단자를 포함하는 플랫형 제2 접속부;
    를 포함하고,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상기 플랫형 제2 접속부 중 하나에 돌출된 체결부;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 및 상기 플랫형 제2 접속부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되어 상기 체결부를 수용하는 체결홀;
    을 더 포함하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는,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의 일측에서 돌출된 서포터; 및
    상기 서포터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랫형 제1 접속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작아지는 직경을 갖는 탄성 체결편을 갖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24.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터는 체결홀 내에 배치되고,
    탄성 체결편은 상기 플랫형 제2 접속부의 일면에서 돌출되어 있는,
    표시장치용 커넥터.
KR1020180143425A 2018-11-20 2018-11-20 표시장치용 커넥터 KR102659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25A KR102659421B1 (ko) 2018-11-20 2018-11-20 표시장치용 커넥터
US16/578,886 US11245215B2 (en) 2018-11-20 2019-09-23 Connector for display device
CN201911138888.4A CN111200198B (zh) 2018-11-20 2019-11-20 用于显示设备的连接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3425A KR102659421B1 (ko) 2018-11-20 2018-11-20 표시장치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9347A KR20200059347A (ko) 2020-05-29
KR102659421B1 true KR102659421B1 (ko) 2024-04-22

Family

ID=7072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3425A KR102659421B1 (ko) 2018-11-20 2018-11-20 표시장치용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45215B2 (ko)
KR (1) KR102659421B1 (ko)
CN (1) CN111200198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969A1 (en) 2007-07-20 2009-02-19 Nitto Denko Corporation Wired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wired circuit boards
US20090280658A1 (en) * 2008-05-12 2009-11-12 Omron Corporation Connector
US20120149246A1 (en) * 2010-12-09 2012-06-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onnector assembly and male-side connector
US20160126685A1 (en) 2014-10-31 2016-05-05 Chong Ch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38791A1 (de) * 1969-07-30 1971-02-11 Chico Gonzalez Jesus Blockartiges elektrisches Anschluss- und Isolierelement
US5110298A (en) * 1990-07-26 1992-05-05 Motorola, Inc. Solderless interconnect
JP3706463B2 (ja) * 1997-07-18 2005-10-12 ファナック株式会社 基板に実装されたコネクタの接続方法
JP2004241187A (ja) * 2003-02-04 2004-08-26 Alps Electric Co Ltd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接続方法
KR100608830B1 (ko) * 2004-11-09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접지스프링핑거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29436B1 (ko) * 2005-05-23 2012-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4252066B2 (ja) 2006-01-20 2009-04-0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US7281954B1 (en) 2006-01-20 2007-10-1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Socket connector improved in adaptability to a terminal position of a connection object
KR20070113838A (ko) * 2006-05-26 2007-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용 인쇄회로기판 및 이를 구비한 평판표시장치
CN101273494B (zh) * 2006-10-27 2012-02-22 株式会社旭电化研究所 电连接构造
US7845985B2 (en) * 2008-03-04 2010-12-07 Molex Incorporated Co-edge connector
JP5455034B2 (ja) * 2009-12-09 2014-03-26 ホシデン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配線基板
US9095069B2 (en) * 2010-09-23 2015-07-28 Buddy A. Stefanoff Direct mechanical/electrical printed circuit board interface
KR101164362B1 (ko) 2011-02-21 2012-07-16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와이어 투 보드 커넥터
JP5945766B2 (ja) 2011-03-08 2016-07-0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ならびに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およびヘッダ
JP5884036B2 (ja) 2011-08-31 2016-03-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ヘッダならびに当該ヘッダを用いたコネクタ
US20140017940A1 (en) * 2012-07-11 2014-01-16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Layered connec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layered connector
DE102014101665A1 (de) * 2014-02-11 2015-08-1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Elektrische Leiterplattensteckverbindung
US10249978B2 (en) 2015-07-29 2019-04-02 Molex, Llc Modular connector with carrier having an aperture formed on cross member
KR102478668B1 (ko) * 2015-10-06 2022-1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KR20170077604A (ko) * 2015-12-28 2017-07-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연성 케이블 커넥터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US9991616B2 (en) * 2016-03-18 2018-06-05 Apple Inc. SMT connection of rigid and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s
CN105931717B (zh) * 2016-06-08 2017-10-03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柔性扁平电缆
CN205880426U (zh) * 2016-08-11 2017-01-1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EP3435490B1 (en) * 2017-07-24 2019-11-20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Connection assisting member and circuit board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44969A1 (en) 2007-07-20 2009-02-19 Nitto Denko Corporation Wired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wired circuit boards
US20090280658A1 (en) * 2008-05-12 2009-11-12 Omron Corporation Connector
US20120149246A1 (en) * 2010-12-09 2012-06-1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Connector assembly and male-side connector
US20160126685A1 (en) 2014-10-31 2016-05-05 Chong Ch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1792A1 (en) 2020-05-21
CN111200198A (zh) 2020-05-26
KR20200059347A (ko) 2020-05-29
CN111200198B (zh) 2023-11-28
US11245215B2 (en) 2022-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78357B (zh) 塑料面板和使用该塑料面板的平板显示设备
CN104007866B (zh) 触控面板及其电路结构
US10180761B2 (en) Touch-panel-equipped display device including side surface electrodes
US20140210738A1 (en) Display device integrated with touch screen panel
CN103578358B (zh) 塑料显示面板和使用该塑料显示面板的平板显示设备
US7029330B1 (en) Non-grounded electric connector
US8414307B2 (en) Connection structure having a printed circuit board with a protrusion engaging a receiving portion of a second circuit board
US9715298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sensor layer
US20100326705A1 (en) Flexible-circuit-board cable with positioning structure for insertion
US8947389B1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160356840A1 (en)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Detecting Device, Detect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Thereof
US20160091930A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launching touch panel of touch display device
US11258203B2 (en) Connector device
US9236200B2 (en) Touch window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659421B1 (ko) 표시장치용 커넥터
TWM466446U (zh) 電性連接組件
CN205407776U (zh) 一种显示装置电路板
CN108803910B (zh) 触控基板及其制作方法、触控显示装置
KR101598604B1 (ko) 필름형 프로브 유닛
KR102071938B1 (ko) 유니버셜 링크를 제공하는 누액 감지 필름 센서 연결용 커넥터 장치
US20130309878A1 (en) Plug extraction test apparatus
CN101170096A (zh) 电子组件及其基板
CN113282193B (zh) 一种柔性线路板和电容式触摸屏的检测方法
KR102656427B1 (ko) 표시 모듈 검사 장치
JP4314246B2 (ja)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測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