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669B1 - 조리기 - Google Patents

조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669B1
KR101061669B1 KR1020070087120A KR20070087120A KR101061669B1 KR 101061669 B1 KR101061669 B1 KR 101061669B1 KR 1020070087120 A KR1020070087120 A KR 1020070087120A KR 20070087120 A KR20070087120 A KR 20070087120A KR 101061669 B1 KR101061669 B1 KR 101061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ooker
handle
main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7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4692A (ko
Inventor
다케시 나이토
아키오 호키모토
나오키 스기모토
다이스케 오카모토
테츠야 마츠오카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 콘슈머 일렉트로닉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46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46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8Pressure-cookers; Lids or lock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47J27/0804Lock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02Selection of specific materials, e.g. heavy bottoms with copper inlay or with insulating inla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0/00Receptacles
    • Y10S220/912Cookware, i.e. pots and p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위쪽이 개구하고 바닥이 있는 통 모양 용기로 이루어지는 냄비와, 냄비가 수용되는 개구를 위쪽에 가지고, 냄비 안의 피취반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 수단이 설치된 취반기 본체와, 냄비 및 취반기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일단이 취반기 본체에 피봇 지지되며 타단이 취반기 본체에 덮개 잠금 기구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걸어맞춰진 덮개를 구비한 취반기에 있어서, 취반기 본체의 개구부의 바깥 둘레는 프레임 커버로 가려져 있고, 프레임 커버 및 덮개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강성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조리기{COOK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리기에 관한 것이고, 특히 냄비 안의 압력을 높여 조리하는 압력식의 조리기에 적합한 조리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의 일종으로서 전기 취반기(炊飯器)(이하, 취반기라고 한다)가 있다. 취반기는 일반 가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여러 가지의 타이프의 것이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 취반기에는 취반시에 냄비 안의 압력을 상압(常壓) 상태로 밥을 하는 것 및 소정의 압력으로 승압하여 밥을 하는 것이 있다.
후자의 취반기는 취반시에 냄비 안의 피취반물(被炊飯物)(쌀과 물)을 고온으로 가열함과 동시에, 고압, 예를 들면 1.2 기압 정도로 승압하여 취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압력식 취반기는 피취반물을 수용하는 냄비와, 이 냄비를 수용하는 취반기 본체와, 냄비 및 취반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덮개를 가진다. 취반기 본체 및 덮개의 외각(外殼)은, 통상,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수지 성형체로 제작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의 일단은 취반기 본체에 피봇(pivot) 지지되고, 타단은 잠금 기구로 취반기 본체에 걸어맞춰져, 취반시에 덮개가 부주의하게 열리는 것을 잠금 기구로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수지 성형체로 제작한 취반기 본체 및 덮개의 외각은 취반시에 고열에 노출되고, 동시에 고압이 가해지면 열 변형 및 기계적 변형을 일으킨다. 이러한 변형에 의해 잠금 기구가 어긋나 돌연 덮개가 열려, 냄비 안의 고온의 피취반물이 비산하여 사람에게 화상을 입히는 등의 위험성이 있다. 이와 같은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압력식 취반기에서는 여러 가지의 연구·개량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취반기는 냄비 안이 가압 상태가 되어도 덮개가 변형하거나 혹은 덮개의 잠금 기구가 부주의하게 어긋나거나 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 취반기는 냄비를 수용하는 취반기 본체와, 취반기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를 구비하고, 덮개는 상판과 하판으로 이루어지며, 상판와 하판의 사이에 보강판이 배치되고, 보강판의 일측이 취반기 본체에 피봇 지지되며, 타측이 본체에 봉하여 막는 기구에 의해 고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취반기에 의하면, 취반시에 냄비 안의 압력이 상승하여 덮개를 위쪽으로 밀어올려도 보강판의 양단이 직접 취반기 본체에 피봇 지지 및 봉하여 막아져 있으므로, 밀어올리는 힘은 보강판에 의해 저지되고, 동시에 덮개 전체에 분산된다. 그 결과, 덮개가 부주의하게 혹은 봉하여 막는 기구가 어긋나지 않게 된다. 또한 특허문헌 1의 취반기는 본 출원인의 출원에 관한 것으로, 그 후, 이와 같은 덮개 보강부재를 설치한 취반기가 여러 가지 개발되어 특허 공보에서도 많이 소개되고 있다. 그 예를 아래와 같이 특허문헌 2 ~ 4에 나타낸다.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취반기의 덮개 보강판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한 대략 사각형의 보강부재로 이루어지고, 이 보강부재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를 세워 올려 한 쌍의 측벽이 형성되고, 이 측벽 부분에 덮개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덮개 보강판에 의해, 덮개의 전후방향의 강도가 큰 폭으로 향상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덮개 보강판과는 별도로 덮개의 전방 부분에 덮개 보강판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보강축을 배치하여, 덮개의 폭 방향의 보강을 하는 기술도 소개되어 있다.
특허문헌 3에 기재된 취반기는 내부 덮개의 상면에 금속제의 덮개 보강판을 설치한 것으로, 이 덮개 보강판은 내부 덮개의 중앙부를 커버하는 평탄부와, 그 양측에 위쪽으로 굴곡진 전후방향의 측벽을 가지고, 그 측벽의 외측에 보강부재가 볼트로 고정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취반기에 의하면, 내부 덮개는 보강판 및 보강부재로 보강되므로, 내부 덮개의 성형시의 일그러짐을 흡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덮개의 전체의 강도가 높아진다.
특허문헌 4에 기재된 보강판은 그 일측을 취반기 본체에 피봇 지지시키고, 타측을 봉하여 막는 부분과 스톱퍼로 봉하여 막아 냄비 안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봉하여 막는 부분이 서서히 스톱퍼에 대해서 죄어들어 봉하여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 특개평9-103358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 특개2005-4039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특허 특개2000-37286호공보
[특허문헌 4]
일본특허 제286938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 ~ 4에 기재된 취반기는 모두 덮개가 보강부재로 보강되므로, 냄비 안의 압력 상승에 수반하여, 덮개의 잠금 기구가 어긋나 덮개가 부주의하게 개방되는 것이 없어진다.
그렇지만, 이와 같이 덮개에 보강부재를 장착하기 위해서, 먼저, 덮개를 보강부재의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설계해야 한다. 그리고, 이것에 적합한 형상의 보강부재를 준비해야 한다. 이것에 의해, 각각의 덮개에 적합한 보강부재가 필요하고, 덮개의 부품을 포함하면 덮개를 구성하는 부품수가 많아진다. 그 결과, 조립·조정 등이 번거롭게 된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보강판은 덮개의 상하판에 배치되므로, 덮개 및 보강판의 특수가공이나 섬세한 조정을 수반하는 조립 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특허문헌 2의 보강판은 전후방향으로 연장하는 대략 사각형의 부재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 부분을 세워 올리는 구조로 하여 수지제의 덮개에 조립해야 되므로, 특허문헌 1의 보강판과 같은 문제가 잠재하고 있다. 특허문헌 3의 덮개는 보강판 및 보강부재가 필요하게 되어, 부품수가 많아진다. 특허문헌 4에 기재한 것은 특수한 기구가 필요하다.
또, 이러한 보강부재는 덮개에 조립되지만, 덮개 자체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 부분에 열 변형 및 기계적 변형이 일어나고, 또한 경년(經年) 변화도 가해지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여, 덮개의 잠금 기구에 문제를 가져오는 일이 있다. 또한, 덮개 및 취반기 본체는 사용할 때마다 각종의 세제로 세척되지 만, 이 세제에 의해서 수지 부분이 변색해 버리는 일이 있다. 또 수지 부분에는 상처 등이 생기기 쉽고, 이와 같은 상처 등이 생기면 볼품없는 것이 되어 버리게 된다.
덧붙여, 최근의 압력식 취반기는 취반시의 압력이 1.2 기압보다 더 높은 2.0 기압 혹은 그 이상의 압력으로 취반을 행하는 것이 등장하기 시작하고 있다. 이런 종류의 압력식 취반기의 안전기준은 한층 높게 설정되는 것이 예상되며, 이와 같은 높은 안전기준이 제정되면 지금까지의 보강부재로의 대응이 곤란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취반기에 있어서는, 통상, 취반기 본체의 개구부에 설치되는 프레임 커버는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그렇지만, 프레임 커버를 수지재로 구성한 경우, 취반시의 열 등에 의한 팽창·수축에 의해 취반기 본체의 크기가 변화하기 때문에, 덮개의 잠금 기구가 충분히 기능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 팽창·수축을 흡수하도록 덮개의 잠금 기구를 구성하면, 그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 및 향후의 안전기준의 개정 등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기계적 강도가 강하며 내구성 및 안전성이 높은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빈번히 세척하는 덮개 및 프레임 커버를 세제 등에 강하고 세척하여도, 상처, 변색이나 상처에 의한 미관의 저하 등이 억제되어, 세척 하기 쉽고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조리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조리기는 상면이 개구한 바닥이 있는 통 모양 용기로 이루어지는 냄비와, 상기 냄비가 수용되는 개구부를 상면에 가지고, 상기 냄비 안의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 수단이 설치된 조리기 본체와, 상기 냄비 및 조리기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일단이 상기 조리기 본체에 피봇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조리기 본체에 잠금 기구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걸어맞춰진 덮개를 구비한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의 개구부의 주위는 프레임 커버로 덮여 있고, 상기 프레임 커버 및 상기 덮개는 적어도 한쪽이 강성(剛性)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덮개와 프레임 커버의 적어도 한쪽의 부재가 강성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증대하고, 게다가 내열성, 내유성 및 내약품성을 가지게 되며, 특히 세제로 씻어도 변색 등을 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로 덮개 및 프레임 커버를 합성수지재로 형성한 것에 비해, 열 변형, 균열 등이 생기기 어려워지고, 게다가 각종 세제 등에서 강하여 세척하여도 변색하지 않아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어 내구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특히, 덮개 및 프레임 커버의 쌍방을 강성 금속재로 하는 것에 의해, 쌍방의 강도가 증대하여, 압력식 조리기에 있어서의 조리 압력 증대 경향에 효과적으로 대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조리기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내부 덮개 커버와, 이 내부 덮개 커버의 상면을 덮는 화장(化粧) 커버를 가지고, 상기 내부 덮개 커버가 상기 강성 금속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덮개의 안에 내부 덮개 커버를 강성 금속재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필요로 하고 있던 덮개 보강부재가 불필요하게 된다. 그리고 덮개 보강부재가 불필요하게 되는 것에 의해, 덮개의 제작이 지극히 간단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커버의 외주연부의 일단에는 힌지 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덮개 잠금 기구가 장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의 개구 주연부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 기구가 피봇 지지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덮개 잠금 기구가 장착되는 부착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내부 덮개 커버의 외주연부의 일단에 힌지 기구, 타단에 덮개 잠금 기구가 고정되는 고정부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힌지 기구 및 덮개 잠금 기구의 장착이 견고하게 되고, 조리기 본체와의 고정 및 잠금이 견고하게 된다. 또, 프레임 커버의 개구 주연부의 일단에 덮개의 힌지 기구가 피봇 지지되는 고정부, 타단에 덮개 잠금 기구가 장착되는 부착 부분을 설치하는 것에 의해, 특별한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덮개와의 축 지지를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커버는 그 하면에 상기 냄비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내부 덮개가 고정 수단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 덮개 커버의 하면에 내부 덮개를 고정 수단으로 착 탈이 자유롭게 장착하는 것에 의해, 냄비의 개구부를 내부 덮개에서 간단하게 폐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커버에는 압력밸브 개방기구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 덮개의 상면에 상기 압력밸브 개방기구에 의해서 작동되는 압력밸브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 덮개 커버의 상면에 압력밸브 개방기구, 내부 덮개의 상면에 압력밸브 개방기구에 의해서 작동되는 압력밸브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해, 압력식 조리기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강성 금속재 중 적어도 일부의 외관표면이 거울면 가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성 금속재 중 적어도 일부의 외관표면을 거울면 가공하는 것에 의해, 거울면 가공이 실시된 부분의 청소성이 좋아짐과 동시에 청결감 및 고급감을 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커버와 상기 화장 커버 사이에는 상기 내부 덮개 커버 냉각용 팬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성 금속재로 형성된 내부 덮개 커버와 화장 커버 사이에 팬을 설치함으로써, 조리시에 고온이 되는 내부 덮개 커버를 냉각할 수 있고, 덮개 내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부품에 악영향을 주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커버의 상면에는 단열재 및 차열판의 적어도 한쪽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내부 덮개 커버의 상면에 단열재 혹은 차열판이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 덮개 커버에 생기는 열이 덮개 내의 다른 구성부품에 이르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의 측면에 그 양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U자 모양의 손잡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리기 본체의 손잡이를 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 것에 의해, 내부 덮개 커버 및/또는 프레임 커버가 강성 금속재로 형성되어 중량이 증대한 조리기를 운반할 때에도 손잡이가 파손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의 측면에 그 양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U자 모양의 손잡이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는 그 양단부로부터 서로 마주 보게 돌출하는 회전축을 상기 조리기 본체 측면의 손잡이 부착구멍에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은 열쇠 모양, 상기 손잡이 부착구멍은 열쇠구멍 모양으로 하여, 상기 회전축은 상기 손잡이가 특정 각도에 있을 때만 상기 손잡이 부착구멍으로의 삽입 또는 상기 손잡이 부착구멍으로부터의 빼냄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상기 조리기 본체의 외장 케이스에는 조리기 본체 조립 후의 단계에서 상기 손잡이가 상기 특정 각도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일단 조리기 본체를 조립한 후는 스톱퍼를 제거하지 않는 한 손잡이가 어긋나지 않기 때문에, 운반중에 손잡이가 어긋나 조리기 본체가 낙하한다고 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착구멍은 상기 강성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 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조리기 본체 중에서도 지극히 견뢰(堅牢)한 부분에 손잡이가 장착되므로, 조리기 본체의 중량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손잡이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강성 금속재는 다이캐스트 성형체, 프레스 가공에 의한 성형체,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한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성 금속재를 다이캐스트 성형체, 프레스 가공에 의한 성형체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한 성형체로 하는 것에 의해, 내부 덮개 커버 및/또는 프레임 커버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구성의 취반기에 있어서, 상기 강성 금속재는 스텐인리스강,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강성 금속재가 알루미늄 혹은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표면에 산화 방지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강성 금속재로서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했기 때문에, 미려한 금속면의 외관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이 강성 금속재 표면을 클리어 코트층으로 피복 하는 등, 공지의 산화 방지 가공을 하도록 이루짐으로써, 내부 덮개 커버 및/또는 프레임 커버의 내유성·내약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조리기 본체의 개구부의 주위를 덮는 프레임 커버와, 상기 조리기 본체의 개구부 및 그것에 수용되는 냄비를 폐색하는 덮개의 적어도 한쪽을 강성 금속재로 형성함으로써, 강성 금속재의 개소에 대해서는 기계적 강도, 내유성, 내열성, 내약품성이 증대한다. 이것에 의해 조리기의 내구성을 높여 미관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 조리기(1)의 구조를 설명한다. 조리기(1)는 취반기로서 설계된 것이다.
조리기(1)는 압력식 조리기이고, 조리로서 취반을 실시하는 경우는 냄비 안의 압력을 예를 들면 1.2 기압 정도로 승압하여 취반한다. 조리기(1)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면이 개구한 비교적 깊은 바닥의 통 모양 용기로 이루어지는 냄비(2)와, 상면이 개구하고 이 개구부로부터 냄비(2)를 수용하여 냄비(2) 내의 피조리물을 가열하는 가열 수단을 가지는 조리기 본체(3)와, 냄비(2) 및 조리기 본체(3)의 개구부를 덮는 개폐가 자유로운 덮개(14)를 가지고 있다.
냄비(2)는 열전도성이 높은 재료, 예를 들면 동(銅) 혹은 알루미늄 등으로 이루어지는 내층과, 자성 재료, 예를 들면 스테인리스강으로 이루어지는 외층을 가지고, 내층의 표면이 불소 수지 등으로 피복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조리기 본체(3)는 냄비(2)가 끼워 맞춤하는 크기의 개구부를 상면에 가지는 바닥이 있는 것으로 냄비(2)의 외형과 대략 같은 형상의 내부 케이스(5)와, 이 내부 케이스(5)의 개구부의 주위를 덮는 프레임 커버(6)와, 내부 케이스(5) 등의 외측을 덮는 외장 케이스(4)를 가지고 있다. 내부 케이스(5) 및 외장 케이스(4)는 합성수지재의 성형체이다.
프레임 커버(6)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케이스(5)의 개구부의 주위를 가림과 동시에, 덮개(14)가 고정된다. 프레임 커버(6)는 냄비(2)의 구경보다 약간 큰 개구(6A)와, 개구(6A)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하여 외장 케이스(4)에 이르는 길이의 주연부(6B)를 가진다. 주연부(6B)에는 개구(6A)의 주변에 냄비(2)의 플랜지 부분(2A)이 실어 놓이는 실어놓음부(6B1)가 설치되고, 이 실어놓음부(6B1)에 근접한 개소의 일단에 덮개(14)가 피봇 지지되는 고정부(6C)가 설치되며, 타단에는 덮개(14)의 잠금 기구가 걸어맞춤하는 걸어맞춤부(6D)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 커버(6)는 강성 금속재로 형성된다. 프레임 커버(6)가 강성 금속재으로 하는 것은 프레임 커버(6)를 통상의 박판 프레스 성형체가 아니라, 소정의 두께, 예를 들면 1 ~ 3mm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중 어느 한 재료로 하는 다이캐스트 성형체로 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알루미늄의 경우는 용해한 알루미늄을 금형에 주입하여, 냉각·응고시켜 다이캐스트 성형체로 한다. 다이캐스트 성형체는 덮개(14)에 대향하는 주연부(6B)의 상면이 연마 등에 의해 거울면 가공되어 있으면 미관상 바람직하다.
프레임 커버(6)를 강성 금속재로 형성하는 수법은 다이캐스트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1 ~ 3mm정도의 두께의 알루미늄판이나 스테인레스판을 프레스 가공한 것 혹은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강을 절삭 가공한 것으로 하여도 좋다. 어느 하나의 수법으로 형성된 것에 있어서도, 프레임 커버(6)는 외관표면 중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는 덮개(14)에 대향하는 주연부(6B)의 상면이 연마 등에 의해 거울면 가공되어 있으면 미관상 바람직하다.
프레임 커버(6)로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상면을 산화 방지용의 클리어 코트층으로 피복 하거나 혹은 산화 방지제를 도장하거나 하는 것으로 알루미늄의 산화를 억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레임 커버(6)의 실어놓음부(6B1)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폭 길이 및 평탄면을 가지는 링 모양을 이루고 있고, 평탄면에 링 모양의 패킹 부재(P)가 장착되어 있다. 고정부(6C)는 주연부(6B)의 표면 위쪽으로부터 돌출한 브래킷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걸어맞춤부(6D)는 덮개 잠금 기구(23)의 걸어맞춤 손톱(23A)이 걸어맞춤하도록 갈고리 모양으로 되어 있다. 프레임 커버(6)의 주연부(6B)는 덮개(14)에 대향한다.
내부 케이스(5)와 외장 케이스(4) 사이에는 소정의 틈새(SP)가 형성되어 있고, 이 틈새(SP)가 부품 부착 공간 및 통풍 공간 스페이스로 되어 있다. 틈새(SP)에는 팬 모터(12)나 제어 기판(도시 생략) 등이 장착되어 있다. 틈새(SP)를 설치하 는 것에 의해, 내부 케이스(5)와 외장 케이스(4) 사이를 단열할 수 있고, 또, 팬 모터(12)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제어 기판 등이 냉각된다.
프레임 커버(6)의 주연부(6B)에 있어서, 고정부(6C) 및 걸어맞춤부(6D)가 설치되지 않은 위치에서 대향하는 측 가장자리부에는 소정 길이 아래쪽으로 늘어뜨린 연재부(延在部)(6E)가 형성되어 있다. 연재부(6E)에는 그것을 수평으로 관통하는 손잡이 부착구멍이 형성되고, 이 손잡이 부착구멍에 회전축(4b)을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대략 U자 모양의 손잡이(4a)가 부착되어 있다.
손잡이(4a)의 부착 수법을 도 7 ~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연재부(6E)에 형성되는 손잡이 부착구멍(6F)은 도 8,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열쇠구멍 모양이다. 단 그 열쇠구멍 형상은 볼록부를 바로 아래로 향하지 않고, 소정 각도 경사를 향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손잡이(4a)의 회전축(4b)은 손잡이(4a)의 양단부로부터 1개씩 서로 마주 보게 돌출한다. 2개의 회전축(4b)은 공통의 수평축선 위에 정렬하고 있고, 손잡이(4a)의 회전의 중심이 된다. 회전축(4b)은 손잡이(4a)에 일체 성형되고, 손잡이(4a)와 함께 회전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회전축(4b)은 계단식으로 되어 있어, 얇은 쪽 부분은 손잡이 부착구멍(6F)을 어떻게든 빠져나가지만, 굵은 쪽 부분은 빠져나갈 수 없다. 얇은 쪽 부분은 선단에 돌기(4c)를 가지고, 축단에서부터 보면 열쇠 모양으로 되어 있다. 돌기(4c)는 손잡이(4a)가 그 가운데에 위치하는 평면과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다.
손잡이(4a)를 프레임 커버(6)에 부착할 때는 손잡이(4a)의 U자형 모양을 바깥쪽으로 여는 경향으로 하여,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잡이 부착구멍(6F)의 열쇠구멍 형상의 각도로 회전축(4b)의 열쇠 형상의 각도를 맞추고, 회전축(4b)의 얇은 쪽 부분을 손잡이 부착구멍(6F)에 삽입한다. 그 때 손잡이(4a)는, 도 9에 H-H로 나타내는 수평선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경사지게 된다. 이 때의 손잡이(4a)의 각도를 「특정 각도」라고 한다.
특정 각도인 손잡이(4a)를 도 8과 같이 수평으로 당겨 일으키면, 돌기(4c)가 손잡이 부착구멍(6F)의 가장자리에 걸어맞춤하고, 회전축(4b)은 손잡이 부착구멍(6F)으로부터 빠져나갈 수 없게 된다. 외장 케이스(4)에는 수평으로 돌출하는 스톱퍼(4d)를 형성하고, 조리기 본체(3)를 조립한 후, 손잡이(4a)가 특정 각도로 변위하려고 하는 것을 저지시킨다.
손잡이(4a)는 강성 금속재로 형성된 프레임 커버(6)라고 하는, 조리기 본체(3) 안에서도 매우 견뢰한 부분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조리기 본체(3)의 중량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손잡이 구조를 얻을 수 있다. 또, 일단 조리기 본체(3)를 조립한 후는 스톱퍼(4d)를 제거하지 않는 한 손잡이(4a)는 어긋나지 않으므로, 운반중에 손잡이(4a)가 어긋나 조리기 본체(3)가 낙하한다고 하는 사고를 막을 수 있다.
스톱퍼(4d)는 외장 케이스(4)의 주부(主部)에 일체 성형하여도 좋지만, 주부와는 다른 부품으로 해두면 더욱 좋다. 다른 부품으로 해 두면, 대략 조립한 조리기 본체(3)에 손잡이(4a)를 부착하고, 그 후 스톱퍼(4d)를 부착하는 것에 의해, 조 리기 본체(3)를 완성 상태로 할 수 있다. 또, 스톱퍼(4d)를 제거하면, 조리기 본체(3)의 다른 부분을 분해하지 않고, 손잡이(4a)만을 떼어낼 수 있다.
손잡이 부착구멍(6F)의 열쇠구멍 형상과, 회전축(4b)의 열쇠 형상은 둥근 조각 측에서부터 사각형이 돌출하는 형태로 되어 있지만, 1개의 원 양측에서부터 사각형이 돌출하는 형상을 채용할 수도 있다.
손잡이(4a)는 조리기(1) 자체의 중량에 견딜 수 있도록, 강성 부재로 형성한다. 강성 부재로서는, 예를 들면 금속을 선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 의해, 프레임 커버(6)가 강성 금속재로 형성되고,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내부 덮개 커버(15)도 강성 금속재로 형성되어 중량이 증대한 조리기(1)를 운반할 때에도, 손잡이(4a)가 파손하지 않는다.
내부 케이스(5)는 냄비(2)의 외형과 대략 같은 형상을 가지는 깊은 바닥의 통 모양 용기로 되고 있다. 내부 케이스의 바닥부(5A)에 그 중심부에 소정 크기의 개구(5A')가 형성되고, 이 개구(5A')에는 냄비 바닥의 온도를 검지하는 온도센서(9)가 설치되어 있다. 온도센서(9)에 의해 냄비(2)의 바닥부의 온도를 검지하는 것으로 냄비(2) 내의 조리물의 양 등이 검출된다. 또, 바닥부(5A)의 외부 바닥 벽면에는 동심원 상태로 나뉘어 감긴 복수의 전자유도 코일(도시 생략)이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전자유도 코일에 의해, 냄비(2)에 소용돌이 전류가 야기되어 냄비(2) 자체가 자기 발열한다. 또한, 내부 케이스(5)의 통부에는 스페이스(7)가 형성되고, 이 스페이스(7)에 보조 가열 코일(8)이 설치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4)는 내부 케이스(5) 사이에 소정의 틈새(SP)가 형성되고, 내부 케이스(5)보다 큰 외형을 가지는 화장 박스로 되어 있다. 외장 케이스(4)의 전면(前面)에는 조작 패널(10)이 장착되어 있다. 조작 패널(10)에는 각종의 조작 스위치류와, 조작 스위치류에 의해서 설정되는 설정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장치(11)가 설치되어 있다(도 1참조).
덮개(1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리기 본체(3)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크기의 덮개 커버(15)와, 내부 덮개 커버(15)의 상면을 소정의 틈새를 두고 덮는 화장 커버(16)와, 내부 덮개 커버(15)의 하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냄비(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내부 덮개(17)를 가지고 있다. 화장 커버(16)의 표면에는 웅덩이(16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웅덩이(16A)에 화장 커버(16)와 내부 덮개 커버(15)를 연통하는 증기 빠짐 구멍을 가지는 증기 덮개(14a)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어 있다.
내부 덮개(17)는 냄비(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크기의 금속제 원반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덮개(17)의 상면의 대략 중앙부에는 압력밸브 개방기구(18)를 구성하는 압력밸브 및 그 부속 부품 또한 안전판(25)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 덮개(17)의 주연에는 내부 덮개 커버(15)에 맞닿는 씰 부재(P2)가 장착되어 있다. 내부 덮개(17)의 주위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내부 덮개 커버(15)에 설치된 고정 수단(도시 생략)에 착탈이 자유롭게 걸어맞춰진 걸어맞춤 부재(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내부 덮개 커버(15)는, 도 2 ~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151)에는 조리기 본체(3)와의 고정부 및 잠금 기구(23)와, 냄비(2) 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밸브 개방기구(18)가 설치되고, 뒷부분에는 내부 덮개(17)를 착탈이 자유롭게 고정하는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 덮개 커버(15)는 프레임 커버(6)와 마찬가지로, 전체가 소정의 두께, 예를 들면 1 ~ 3mm의 두께를 가지는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 중 어느 한 재료로 하는 다이캐스트 성형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이캐스트 성형체의 재료로 알루미늄을 이용한 경우는 용해한 알루미늄을 금형에 주입하여, 냉각·응고시키는 것에 의해 다이캐스트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덮개(14) 중에서도 강성 금속재로 형성된 내부 덮개 커버(15)는 외관표면 중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는 프레임 커버(6)에 대향하는 이면(152)이 연마 등에 의해 거울면 가공되어 있으면 미관상 바람직하다.
내부 덮개 커버(15)도 프레임 커버(6)와 마찬가지로, 다이캐스트 성형체로 한정하지 않고, 강성 금속재의 프레스 가공 혹은 절삭 가공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또, 프레임 커버(6)와 동일하게,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산화 방지용의 클리어 코트층에 의한 피복 혹은 산화 방지제의 도장에 의한 코팅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덮개 커버(15)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151)의 뒷부분에 위치하는 일단에 프레임 커버(6)의 고정부(6C)에 피봇 지지되는 피봇 지지부(15A)가 설치되고, 앞부분에 위치하는 타단에는 프레임 커버(6)의 걸어맞춤부(6D)에 걸어맞춤하는 덮개 잠금 기구(23)가 부착되는 부착 부분(15B)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 덮개 커버(5)의 중앙부에는 압력밸브 개방기구(18)가 설치되어 있다.
피봇 지지부(15A)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의 브래킷(15A1, 15A2)으로 형성되어 있다. 브래킷(15A1, 15A2)에는 지축(支軸)(21)을 삽통(揷通)하는 삽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지축(21)은 브래킷(15A1, 15A2) 사이에 스프링체(22)를 통하여 장착된다. 스프링체(22)는 덮개(14)의 개방시에 개방을 빨리하는 방향으로 덮개(14)를 가압함과 동시에, 개방된 후는 덮개(14)의 자중에 의해 닫히지 않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부착 부분(15B)은 내부 덮개 커버(15)의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브래킷(15B1, 15B2)과, 덮개 잠금 기구(23)의 걸어맞춤 손톱(23A)이 삽통되는 구멍(15B0)(도 2 참조)을 가진다. 구멍(15B0)은 걸어맞춤 손톱(23A)을 이동할 수 있도록 걸어맞춤 손톱(23A)의 두께 및 폭 길이에 비해 그 개구가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 각 브래킷(15B1, 15B2)에는 지축(24)을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하는 부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지축(24)은 걸어맞춤 손톱(23A)과, 걸어맞춤 손톱(23A)에 일단이 고정되고, 해제 버튼(23B)의 가압에 맞추어 요동하는 작동편(23C)에 삽통되며, 이것들을 지지하고 있다. 즉 덮개 잠금 기구(23)는 걸어맞춤 손톱(23A), 해제 버튼(23B) 및 작동편(23C)으로 구성되고, 작동편(23C)이 지축(24)에서 피봇 지지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내부 덮개 커버(15)의 하면(이면)에는 내부 덮개(17)를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할 수 있는 고정 수단(도시 생략)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 덮개 커버(15)를 다이캐스트 성형체로 형성하면, 기계적 강도가 강해져, 프레임 커버(6) 사이의 결합 및 걸어맞춤이 견고하게 된다. 특히, 내부 덮개 커버(15) 및 프레임 커버(6)의 쌍방을 다이캐스트 성형체로 하는 것에 의해, 양 부분재의 기계적 강도가 강해지므로, 취반시에 냄비(2) 내의 압력이 과도하게 상승하거나, 온도가 과도하게 고온이 되거나 해도 그것들에 견딜 수 있다. 따라서, 종래 필요로 하고 있던 덮개의 보강부재가 불필요하게 되고, 게다가 덮개 잠금 기구(23)로의 악영향이 없어진다. 또, 다이캐스트 성형체는 세제로 씻어도 변색 등 하지 않는다는 내세제성을 가지는 것 외, 상처 등도 생기기 어려운 내구성도 있다. 또한, 내부 덮개 커버(15)의 이면(152), 즉 프레임 커버(6)와 대향하는 면을 거울면 가공하는 것에 의해, 청소성이 좋아짐과 동시에, 미관이 향상하여, 고급감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내부 덮개 커버(15)의 표면(151)에는 압력밸브 개방기구(18)를 구성하는 플런져(plunger)(20) 및 그 부속 부품이 설치되어 있다. 이하, 도 2를 참조하면서 압력밸브 개방기구(18)를 설명한다.
압력밸브 개방기구(18)는 밸브 구멍(190)을 가지는 밸브 자리(191)와, 밸브 자리(191) 위에 자중에 의해 밸브 구멍(190)을 폐색하도록 실어 놓이는 금속성의 볼(192)과, 이 볼(192)을 덮는 커버(193)와, 볼(192)을 이동시키는 플런져(20)로 구성되어 있다. 압력밸브 개방기구(18)는 플런져(20)의 작동에 의해서 볼(192)을 이동시켜, 이 볼(192)의 이동에 의해 밸브 구멍(190)의 개폐를 제어한다. 플런져(20)는 로드와 실린더에 의해서 형성된 공지의 것으로, 도 5에 나타내는 제어 수단(30)으로부터의 지령을 받지 않을 때는 로드가 실린더로부터 돌출하여 밸브 구멍(190) 위의 볼(192)을 횡 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켜, 밸브 구멍(190)을 강제적으로 개방한다.
플런져(20)가 제어 수단(30)으로부터 지령을 받았을 때는 로드가 실린더 내로 끌여들여져, 볼(192)은 자중에 의해 밸브 구멍(190) 위로 돌아와서, 밸브 구멍(190)이 폐색된다. 이와 같이, 플런져(20)는 압력밸브 개방기구(18)로서 작동하고, 압력밸브 개방기구(18)는 취반 공정 중에 가압된 냄비(2) 내의 압력을 강제적으로 저하시킨다. 내부 덮개(17)에는 냄비(2) 내가 비정상적으로 가압되었을 때(예를 들면 취반 중에 압력밸브가 고장나 열리지 않을 때)에 자동적으로 개방하여 냄비(2) 내의 압력을 도피시키는 안전판(25)도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조리기(1)에서 취반 메뉴를 선택한 경우의 취반 공정을, 도 5의 블럭도 및 도 6의 특성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어 수단(3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출력부(311, 312), 제어부(31a), 연산부(31b), 계시부(計時部)(31c) 및 기억부(31d) 등을 가지는 마이크로 컴퓨터(31)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 컴퓨터(31)에는 조작 패널(10)에 설치한 취반 스타트 버튼, 메뉴 선택 버튼, 타이머 및 냄비 바닥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9) 등으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된다. 입력신호를 받아 마이크로 컴퓨터(31)는 가열 수단(유도 코일), 압력밸브 개방기구(18) 및 표시장치(11)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이러한 제어를 실시한다.
기억부(31d)에는 각종의 취반 메뉴, 예를 들면 백미·표준 취반 메뉴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메모리되어 있다. 각종의 취반기 메뉴는 각각의 취반 공정을 가지고 있다. 취반 공정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냄비(2) 내의 피취반물인 쌀에 물을 흡수시키는 흡수 공정, 흡수된 쌀을 단번에 가열하는 초동 가열 공정, 이 초동 가열 공정 후에 단시간으로 냄비(2) 내를 비등시켜 이 상태를 유지하는 비등 유지 공정, 이 비등 유지 공정 후에 다지어진 밥을 뜸들이고 뜸들여 1, 2공정 및 밥을 다시 짓는 공정으로 되어 있다. 이하, 취반 공정의 개요를 설명한다.
우선, 조작 패널(10) 위의 메뉴 선택 버튼에 의해서 취반 공정을 선택하고, 취반 스타트 버튼을 누른다. 그러면 내부 케이스(5)의 바닥부(5A)에 설치된 유도 코일에 고주파 전류가 흘러 냄비(2)에 소용돌이 전류가 발생하여, 냄비(2) 내의 쌀 및 물의 가열이 개시된다. 동시에 제어 수단(30)은 압력밸브 개방기구(18)를 작동시켜 볼(192)을 이동하게 하고, 밸브 구멍(190)을 열린 상태로 한다. 여기에서부터 흡수 공정에 들어간다. 흡수 공정이 시작되면, 계시부(31c)가 흡수 시간의 계시를 개시하고, 냄비 바닥 온도센서(9)는 냄비 바닥 온도를 계측한다. 냄비 바닥 온도의 계측은 소정의 온도, 예를 들면 55℃에 이를 때까지 행해진다. 흡수 공정은 소정의 흡수 시간, 예를 들면 10분간 계속된다. 흡수시간이 경과하면, 초동 가열 공정으로 이행한다.
초동 가열 공정에서는 단시간에 냄비(2) 내가 비등 상태가 되도록 가열 수단을 전가열(풀 파워 가열)한다. 동시에 제어 수단(30)은 압력밸브 개방기구(18)를 작동시켜 로드를 되돌린다. 그러면 볼(192)에 의해 밸브 구멍(190)이 폐쇄된다. 즉, 볼(192)이 자중에 의해 밸브 구멍(190) 위에 누워 이 밸브 구멍(190)을 폐색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냄비(2) 내의 압력은 소정의 압력치, 예를 들면 1.2 기압으로 상승할 때까지 승압된다.
초동 가열 공정에서는 증기온도가 증기온도 센서(도시 생략)에 의해 계측된다. 이 증기온도가 소정 온도, 예를 들면 75℃에 이르면, 쌀이 비등 현상을 일으키는 온도가 되어, 초동 가열 공정이 종료된다.
다음의 비등 유지 공정으로 이행하면, 냄비(2) 내의 압력은 대기압 이상의 소정 압력, 예를 들면 약 1.2기압이 되어, 피취반물은 이 압력에 대응하는 포화 온도로 비등하게 된다. 이 비등 유지 공정에서는 제어 수단(30)에 의해 압력밸브 개방기구(18)를 작동시켜 볼(192)을 이동시키는 것으로 밸브 구멍(190)의 개방 동작을 한다. 밸브 구멍(190)의 강제적 개방 동작에 의해, 냄비(2) 내의 압력이 대기압 근방까지 단번에 저하한다.
이와 같이 냄비(2) 내의 압력을 소정 비등 압력(약 1.2 기압)으로부터 단번에 대기압 근방까지 저하시키면, 냄비(2) 내는 격렬한 돌비(突沸) 상태가 된다. 이 돌비 상태가 되면, 냄비(2) 내에 거품이 발생하고, 이 거품에 의해서 쌀이 교반된 다. 그 결과, 쌀이 균일하게 가열되어 밥이 다 지어진다.
밸브 구멍(190)을 강제적으로 개방하는 소정 시간은 1회째의 밸브 구멍(190)의 강제 개방 동작에 의해 냄비(2) 내의 압력이 대략 대기압으로 돌아오는 정도의 시간(즉 4초 정도)으로 정해져 있다. 밸브 구멍(190)을 강제적으로 대기압에 개방하는 시간을 이와 같이 설정하는 것에 의해, 큰 교반 에너지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밸브 구멍(190)의 강제적인 개방을 상기 소정 시간(4초간) 지난 후, 압력밸브 개방기구(18)를 작동시켜 다시 밸브 구멍(190)을 닫은 상태로 하고, 소정 시간, 예를 들면 28초간 다시 가열한다.
가열시간(28초간)은 냄비(2) 내의 압력이 전술의 소정 압력(약 1.2 기압)까지 회복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다. 이 시간은 미리 실험적으로 요구된다.
28초간의 가열의 후, 다시 플런져(20)를 작동시켜 상술한 돌비를 일으키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압력밸브 개방기구(18)에 의한 압력밸브의 강제적 개방은 복수 회, 예를 들면 6회 반복된다.
밸브 구멍(190)을 복수 회 개방하는 조작을 끝내면, 압력밸브 개방기구(18)의 제어가 정지되어, 밸브 구멍(190)은 닫힌 상태로 된다. 그리고, 가열 수단에 의한 비등 상태를 계속하여, 냄비 바닥 온도가 계측된다.
냄비 바닥 온도가 소정 온도, 예를 들면 130℃가 되면, 냄비(2) 내의 물이 말라 강제 드라이 업이 종료한 것으로 판단되므로, 가열 수단에 의한 가열 작용이 정지된다. 이어서, 뜸들여 1공정이 개시되고, 뜸들이는 시간의 계시가 개시된다. 소정의 뜸들이는 시간이 소정 시간, 예를 들면 4분 경과하면, 압력밸브 개방기구(18)에 의해 압력밸브의 밸브 자리(191)가 강제적으로 개방되어, 밥을 다시 짓는 공정으로 이행된다.
밥을 다시 짓는 공정에 들어가면, 가열 수단에 의해 재가열하여 쌀의 표면에 부착한 물을 증발시킴과 동시에, 발을 다시 짓는(재가열) 시간의 계측을 실시한다. 그리고, 소정의 밥을 다시 짓는 시간, 예를 들면 3분이 경과하면, 가열 수단에 의한 가열 동작이 정지되고, 뜸들여 2공정으로 이행되어, 뜸들이는 시간이 계시된다. 그리고, 뜸들이는 시간이 소정 시간, 예를 들면 5분 경과하면, 취반이 종료되고, 보온 공정으로 이행되어 표준 취반 공정이 종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리기에 의하면, 프레임 커버(6)와 내부 덮개 커버(15)를 강성 금속재로 형성한 것에 의해, 냄비(2)의 개구부에 발생하는 압력에 의해서 덮개(14)가 변형하지 않고, 게다가 내부 덮개 커버(15)에 보강부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프레임 커버(6)와 내부 덮개 커버(15)의 양쪽 모두를 강성 금속재로 형성한 것에 대해 설명했지만, 어느 한쪽만을 강성 금속재로 형성하고, 다른 쪽을 다른 부재로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변 경을 가하여 실시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냄비로 취사하는 조리기 전반에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조리기를 덮개를 개방한 상태로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리기에 있어서 덮개를 닫은 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조리기의 덮개 커버의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조리기의 덮개 커버의 저면도.
도 5는 제어 수단의 블럭도.
도 6은 일련의 취반 공정에 있어서의 온도·압력 변화 및 압력밸브 개방기구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특성도.
도 7은 손잡이 설치 개소의 부분 단면도.
도 8은 손잡이를 부착한 구조를 나타내는 제1 설명도.
도 9는 손잡이를 부착한 구조를 나타내는 제2 설명도.
<부호의 설명>
1 조리기
2 냄비
3 조리기 본체
4 외장 케이스
4a 손잡이
4b 회전축
4c 돌기
4d 스톱퍼
5 내부 케이스(수용 케이스)
6 프레임 커버
6A 개구
6B 주연부
6C 고정부
6D 걸어맞춤부
6F 손잡이 부착구멍
9 온도센서
10 키보드
11 표시장치
14 덮개
15 내부 덮개 커버
16 화장 커버
17 내부 덮개
18 압력밸브 개방기구
23 (덮개)잠금 기구
30 제어 수단

Claims (13)

  1. 위쪽이 개구하고 바닥이 있는 통 모양 용기로 이루어지는 냄비(2)와, 상기 냄비(2)가 수용되는 개구를 위쪽에 가지고, 상기 냄비(2) 안의 피조리물을 가열 조리하는 가열 수단이 설치된 조리기 본체(3)와, 상기 냄비(2) 및 조리기 본체(3)의 개구부를 폐색하고, 일단이 상기 조리기 본체(3)에 피봇(pivot) 지지되며 타단이 상기 조리기 본체(3)에 잠금 기구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걸어맞춰진 덮개(14)를 구비한 조리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3)의 개구부의 주위는 프레임 커버(6)로 가려져 있고, 상기 프레임 커버(6) 및 상기 덮개(14)는 적어도 어느 한쪽이 강성(剛性)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덮개(14)는 상기 조리기 본체(3)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내부 덮개 커버(15)와, 이 내부 덮개 커버(15)의 상면을 덮는 화장(化粧) 커버(16)를 가지고,
    상기 내부 덮개 커버(15)는 그 하면에 상기 냄비(2)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내부 덮개(17)가 고정 수단에 의해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내부 덮개 커버(15)에는 압력밸브 개방기구(18)가 설치되고, 상기 내부 덮개(17)의 상면에 상기 압력밸브 개방기구(18)에 의해서 작동되는 압력밸브 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커버(15)의 외주연부의 일단에는 힌지 기구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덮개 잠금 기구가 장착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 커버(6)의 개구 주연부의 일단에는 상기 힌지 기구가 피봇 지지되는 고정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상기 덮개 잠금 기구가 장착되는 부착 부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성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 커버(6) 및 상기 덮개(14)는, 적어도 한편에 있어서의 다른편에 대향하는 면이 거울면 가공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커버(15)는 상기 강성 금속재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덮개 커버(15)와 상기 화장 커버(16) 사이에는 상기 내부 덮개 커버(15) 냉각용 팬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덮개 커버(15)의 상면에는 단열재 및 차열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3)의 측면에 그 양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된 강성 부재로 이루어지는 U자 모양의 손잡이(4a)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리기 본체(3)의 측면에 그 양단부가 회동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U자 모양의 손잡이(4a)를 구비하고, 상기 손잡이(4a)는 그 양단부로부터 서로 마주 보게 돌출하는 회전축(4b)을 상기 조리기 본체(3) 측면의 손잡이 부착구멍(6F)에 삽입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4b)은 열쇠모양, 상기 손잡이 부착구멍(6F)은 열쇠구멍 모양으로서, 상기 회전축(4b)은 상기 손잡이(4a)가 특정 각도에 있을 때만 상기 손잡이 부착구멍(6F)으로의 삽입 또는 상기 손잡이 부착구멍(6F)으로부터의 빼냄이 가능해지는 것이며, 상기 조리기 본체(3)의 외장 케이스에는 조리기 본체(3) 조립 후의 단계에서 상기 손잡이(4a)가 상기 특정 각도로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는 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부착구멍(6F)은 상기 강성 금속재로 형성된 상기 프레임 커버(6)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성 금속재는 다이캐스트 성형체, 프레스 가공에 의한 성형체 또는 절삭 가공에 의한 성형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강성 금속재는 스테인리스강,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강성 금속재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표면에 산화 방지 가공이 실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70087120A 2007-02-09 2007-08-29 조리기 KR1010616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030421A JP2008194135A (ja) 2007-02-09 2007-02-09 炊飯器
JPJP-P-2007-00030421 2007-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4692A KR20080074692A (ko) 2008-08-13
KR101061669B1 true KR101061669B1 (ko) 2011-09-01

Family

ID=39753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7120A KR101061669B1 (ko) 2007-02-09 2007-08-29 조리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8194135A (ko)
KR (1) KR101061669B1 (ko)
CN (1) CN101238949B (ko)
HK (1) HK11199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16508B (zh) * 2010-02-11 2012-05-23 美的集团有限公司 一种能显示用电量的电饭煲的控制方法
CN104414438B (zh) * 2013-09-02 2017-02-08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压力锅及电压力锅的控制装置和控制方法
CN103536194B (zh) * 2013-10-09 2016-05-04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压力锅的控制方法和电压力锅
CN103784024B (zh) * 2014-01-24 2016-09-07 美的集团股份有限公司 电饭煲上盖、电饭煲和电饭煲内压力的控制方法
CN104523138A (zh) * 2014-12-31 2015-04-22 东莞市西芹电器有限公司 一种食物快速蒸煮装置及其快速蒸煮方法
CN106136940B (zh) * 2015-04-03 2018-09-0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装置和烹饪器具
CN104814667B (zh) * 2015-04-30 2017-05-31 广州斯腾电子实业有限公司 一种双内胆电饭锅
CN106551619B (zh) * 2015-09-25 2018-12-18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电饭煲及电饭煲的煮饭控制方法
CN105919411B (zh) * 2016-07-15 2018-06-05 山东多星电器有限公司 一种密封式电饭锅
CN109938612A (zh) * 2019-05-08 2019-06-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盖体及设有其的烹饪器具
FR3097732B1 (fr) 2019-06-27 2022-12-16 Seb Sa Appareil de cuisson pour cuire des aliments avec ou sans pres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092A (ja) 1997-01-29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0070127A (ja) 1998-08-27 2000-03-07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KR200208875Y1 (ko) * 1998-10-30 2001-01-15 이종수 전기밥통의 단열 및 보온장치
KR200255308Y1 (ko) 2001-09-05 2001-12-01 이명재 압력 밥솥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9013U (ja) * 1981-08-19 1983-02-25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気調理器の掛止装置
JPH074314B2 (ja) * 1989-12-20 1995-01-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気炊飯器の消泡装置
JP2713129B2 (ja) * 1993-12-28 1998-02-16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JP3413981B2 (ja) * 1994-09-06 2003-06-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炊飯器
JP3139933B2 (ja) * 1995-03-17 2001-03-05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調理器
JP2768400B2 (ja) * 1995-03-31 1998-06-25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調理器
JPH1043045A (ja) * 1996-07-31 1998-02-17 Toshiba Home Technol Corp 炊飯器
JP2869388B2 (ja) * 1996-10-29 1999-03-10 三洋電機株式会社 圧力式電気炊飯器
JPH10337248A (ja) * 1997-06-05 1998-12-22 Toshiba Home Technol Corp ジャー炊飯器
JPH11299641A (ja) * 1998-04-20 1999-11-02 Sanyo Electric Co Ltd 炊飯器
JP3530470B2 (ja) * 2000-08-23 2004-05-24 シャープ株式会社 電気調理器
JP2002142971A (ja) * 2000-11-09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3589209B2 (ja) * 2001-08-23 2004-11-17 タイガー魔法瓶株式会社 電気炊飯器
JP4013890B2 (ja) * 2003-11-11 2007-11-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炊飯器
CN1689491A (zh) * 2004-04-28 2005-11-02 三洋电机株式会社 煮饭器
JP2006167170A (ja) * 2004-12-16 2006-06-29 Tiger Vacuum Bottle Co Ltd 電気圧力炊飯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11092A (ja) 1997-01-29 1998-08-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炊飯器
JP2000070127A (ja) 1998-08-27 2000-03-07 Toshiba Home Technology Corp 炊飯器
KR200208875Y1 (ko) * 1998-10-30 2001-01-15 이종수 전기밥통의 단열 및 보온장치
KR200255308Y1 (ko) 2001-09-05 2001-12-01 이명재 압력 밥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8949A (zh) 2008-08-13
KR20080074692A (ko) 2008-08-13
CN101238949B (zh) 2012-02-08
JP2008194135A (ja) 2008-08-28
HK1119922A1 (en) 200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1669B1 (ko) 조리기
TWI600398B (zh) Pressure cooker
JP5007443B2 (ja) 圧力調理器
CN102133035A (zh) 食物的电烹饪设备
JP2008284388A (ja) 炊飯器
JP2007064585A (ja) 加熱調理器
JP2011217769A (ja) 炊飯器
JP2007075412A (ja) 炊飯器
JP6111826B2 (ja) 炊飯器
JP4443488B2 (ja) 加熱調理器
JP2011062412A (ja) 電気炊飯器
JP6583724B2 (ja) 圧力式炊飯器
JP6473948B2 (ja) 炊飯器
JP2008000180A (ja) 炊飯器
JP2008194360A (ja) 調理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前記調理容器を使用した調理器
JP2009291512A (ja) 電気炊飯器
JP4522740B2 (ja) 炊飯器
JP5909630B2 (ja) 炊飯器および炊飯方法
JP2007075411A (ja) 炊飯器
JP2003135269A (ja) 炊飯器
JP5778602B2 (ja) 加熱調理器
JP5582202B2 (ja) 炊飯器
JP5471671B2 (ja) 炊飯器
JP2010162060A (ja) 電気炊飯器
JP6109678B2 (ja) 加熱機器の蓋補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