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4643B1 - 기록재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기록재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기록재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4643B1
KR101044643B1 KR20080055221A KR20080055221A KR101044643B1 KR 101044643 B1 KR101044643 B1 KR 101044643B1 KR 20080055221 A KR20080055221 A KR 20080055221A KR 20080055221 A KR20080055221 A KR 20080055221A KR 101044643 B1 KR101044643 B1 KR 101044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st
recording material
processing
image forming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55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8292A (ko
Inventor
히로아키 아와노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8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8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4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82Special processing for irreversibly adding or changing the sheet copy material characteristics or its appearance, e.g. stamping, annotation printing, punch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38Devices for collating sheet copy material, e.g. sorters, control, copies in staples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5/00Folding thin material
    • B65H45/12Folding articles or webs with application of pressure to define or form crease lines
    • B65H45/18Oscillating or reciprocating blade f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65Apparatus which relate to the handling of copy material
    • G03G15/6552Means for discharging uncollated sheet copy material, e.g. discharging rollers, exit t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24Post -processing devices
    • B65H2801/27Devices located downstream of office-type machin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1Discharging tray, e.g. devices stabilising the quality of the copy medium, postfixing-treatment, inverting, sor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367The feeding path segment where particular handling of the copy medium occurs, segments being adjacent and non-overlapping. Each segment is identified by the most downstream point in the segment, so that for instance the segment labelled "Fixing device" is referring to the path between the "Transfer device" and the "Fixing device"
    • G03G2215/00417Post-fixing device
    • G03G2215/00426Post-treatment device adding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produ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22Binder, e.g. glueing device
    • G03G2215/00827Stapl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362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relating to the copy medium handling
    • G03G2215/00789Adding properties or qualities to the copy medium
    • G03G2215/00877Folding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기록재 후처리 장치는,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가 배출 가능하게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부설되고,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형성된 기록재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이다. 그 기록재 후처리 장치는 화상 형성 장치의 한쪽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와, 화상 형성 장치의 다른 쪽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Figure R1020080055221
기록재 후처리 장치, 분기 반송로, 확장 부속 장치, 화상 형성부

Description

기록재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기록재 처리 장치{RECORDING MATERIAL POST-PROCESSING DEVICE AND RECORDING MATERIAL PROCESS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록재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기록재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서의 기록재 처리 장치에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를 조립한 것이 이미 제공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에 대해서 어느 한쪽의 트레이를 착탈 가능하게 하고, 그 트레이에 용지의 바인딩(binding) 기구, 접는 기구 및 천공(穿孔) 기구 중 어느 하나의 후처리 기구를 조립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사전에 접는 선을 내고, 그 후에 중앙 바인딩을 행하는 후처리 장치가 화상 형성 장치 내에 내장되어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처리 트레이에 시트를 일시적으로 적재하고, 적재된 시트 다발의 중앙에 중앙 바인딩 처리를 행하는 중앙 바인딩 유닛과, 중앙 바인딩된 시트 다발을 중앙에서 접기 처리하는 중앙 접기 유닛을 구비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허 제3577894호 공보(발명의 실시예, 도 1)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4-277036호 공보(발명의 실시예, 도 3)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5-154080호 공보(발명의 실시예, 도 1)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후처리 기능의 추가를 간단히 실현하는 것이 가능한 기록재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기록재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1] 발명의 한 측면에 의하면, 기록재 후처리 장치는,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가 배출 가능하게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부설되고,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형성된 기록재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한쪽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와, 화상 형성 장치의 다른 쪽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2]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기록재 후처리 장치는, 기록재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로서,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가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를 갖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와, 한쪽 분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와, 다른 쪽 분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1] 또는 [2]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추가 후처리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에 착탈(着脫) 가능한 추가 부속 장치에 조립되어 있어도 좋다.
[4] [1] 또는 [2]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추가 후처리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반송 제어 수단은 한쪽 분기 반송로에 기록재를 반송한 후,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부에 기록재의 일단(一端)을 배출하고 기록재의 타단(他端)을 배출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여,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해도 좋다.
[5] [1]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는 외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배출되는 기록재가 수용되는 기록재 수용 받침을 가져도 좋으며, 추가 후처리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의 외측에 또한 상기 기록재 수용 받침의 상방에 배치되어도 좋다.
[6] [1] 또는 [2]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후처리 기구가 조립되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에 설치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기록재 배출부 위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7] [1] 또는 [2]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후처리 장치 케이스에는 또 다른 확장 후처리 기구가 조립된 확장 부속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해도 좋다.
[8] [3]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추가 부속 장치는, 추가 후처리 기구에 기록재가 위치 맞춤된 상태로 반송 가능한 위치 맞춤 반송 부재를 가져도 좋 다.
[9] [1] 또는 [2]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송 제어 수단은,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기록재의 후단(後端)이 분기 반송로의 분기점을 넘어서 후처리 기구측의 분기 반송로에 도달한 후에, 후속하는 기록재를, 추가 후처리 기구측의 분기 반송로에 유도하도록 반송해도 좋다.
[10]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기록재 처리 장치는,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가 배출 가능하게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와,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재 후처리부는, 상기 한쪽의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와, 다른 쪽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11] [10]의 기록재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반송로는 화상 형성부 내에 있어도 좋다.
[12] [10]의 기록재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반송로는 기록재 후처리부 내에 있어도 좋다.
[13] [10]의 기록재 처리 장치에 있어서, 반송 제어 수단은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기록재의 후단(後端)이 분기 반송로의 분기점을 넘어서 후처리 기구측의 분기 반송로에 도달한 후에, 후속하는 기록재를, 추가 후처리 기구측의 분기 반송로에 유도하도록 반송해도 좋다.
[14]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의하면, 기록재 처리 장치는,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재 후처리 장치는,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가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를 갖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와, 한쪽 분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와, 다른 쪽 분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1]에 의하면, 후처리 기능의 추가를 간단히 실현할 수 있다.
[2]에 의하면, 기록재 후처리 장치 단독으로, 후처리 기능의 추가를 실현할 수 있다.
[3]에 의하면, 후처리 기능의 추가를 보다 간단히 구축할 수 있다.
[4]에 의하면, 추가 후처리 기구를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등의 외측에 배치하는 경우라도,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유효하게 실현할 수 있다.
[5]에 의하면, 기록재 수용 받침이 점유하는 스페이스를 추가 후처리 기구의 설치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6]에 의하면, 기록재 후처리 장치의 설치 스페이스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7]에 의하면,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의한 후처리 기능을 보다 많이 취급할 수 있다.
[8]에 의하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정밀도 좋게 행할 수 있다.
[9]에 의하면, 연속하는 기록재에 대해서 효율적으로 추가 후처리, 통상 후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10], [11], [12] 또는 [13]에 의하면, 후처리 기능의 추가를 간단히 실현할 수 있는 기록재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14]에 의하면, 기록재 후처리 장치 단독으로 후처리 기능의 추가를 실현할 수 있는 기록재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 실시예의 개요
우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개요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화하는 실시예의 대표 모델(1)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기록재 처리 장치는, 기록재(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10)와,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대표 모델에서,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 내에 화상 형성부(12)를 내장한 것이면, 그 화상 형성 방식은 전자 사진 방식을 비롯하여, 잉크젯 방식 등 적절히 선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로서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의 상방에 오목부(14)를 통해서 화상 판독부(15)를 배치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화상 판독부(15)가 없는 형태도 포함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설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기록재 후처리 장치(1)를 배열 설치하는 형태로서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의 상부에 기록재 후처리 장치(1)의 후처리 장치 케이스(2)를 배치하고,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의 설치 스페이스 내에서 화상 형성부(12)에서 형성된 화상 형성 완료 기록재(S)를 기록재 후처리 장치(1)에 유도하도록 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기록재(S)는 화상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좋고, 용지는 물론, 코팅층이 설치된 특수지, 나아가서는 OHP 시트 등을 널리 포함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대표 모델(1)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0)는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S)가 배출 가능하게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a, 6b)를 갖고 있다. 이 분기 반송로(6(6a, 6b))는 분기 전의 기록재 반송로에 대해서 대략 T자 형상으로 연결되어 있고, 분기점에는 분기 반송로(6)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수단(6c)이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기록재 후처리 장치(1)로서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한쪽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a)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S)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 는 후처리 기구(3)와, 화상 형성 장치(10)의 다른 쪽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b)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S)에 대해서 후처리 기구(3)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4)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4)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3)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S)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5)을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대표 모델(2)의 기록재 처리 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의 대표 모델(1)과 거의 동일하고, 기록재(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10)와, 이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1)를 구비하고 있다.
단, 본 대표 모델(2)에서는, 대표 모델(1)과 달리, 화상 형성 장치(10)측에 두 갈래로 분기된 분기 반송로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고, 기록재 후처리 장치(1)는,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S)가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a, 6b)를 갖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2)와, 한쪽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a)에 반송되는 기록재(S)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3)와, 다른 쪽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b)에 반송되는 기록재(S)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3)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4)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4)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3)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S)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5)을 구비하는 것이다.
그리고, 대표 모델(2)의 기록재 처리 장치는, 주로 화상 형성 장치(10)에 부설되는 것을 대상으로 하지만, 화상 형성 장치(10)와는 별개 독립으로 설치되는 것 도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수단에서, 분기 반송로(6(6a, 6b))는 화상 형성 장치(10)(구체적으로는 화상 성형 장치 케이스(11))나 기록재 후처리 장치(1)(구체적으로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2))에 설치되지만, 원래 설치되어 있으면 그것을 이용하면 좋고,또는, 추가 후처리 기구(4)를 설치할 때에, 새롭게 분기 반송로(6)를 부가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후처리 기구(3)로서는 후처리 기구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라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후처리 기구는 표준 장비된 것이면 좋고, 단(端) 바인딩(binding) 기구, 중앙 바인딩 기구 등 적절히 선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추가 후처리 기구(4)도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라도 좋다. 여기서 말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4)는, 후처리 기구(3)와는 별도로 후처리 기능으로서 추가하고 싶은 것이면 적절히 선정해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후처리 기구(3)가 단 바인딩 기구나 중앙 바인딩 기구일 경우에, 추가하고 싶은 기능으로서 예를 들면, 중앙 라이닝(lining) 기구나 천공(穿孔) 기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후처리 기구(3)와 추가 후처리 기구(4)는 두 갈래의 분기 반송로(6)를 사이에 끼고 각각 배치되는 것이면 적절히 선정해도 상관없다.
또한, 반송 제어 수단(5)으로서는, 기록재(S)에 대해서 추가 후처리 기구(4)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는 데 있어서, 추가 후처리 기구(4)에 연결되는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b)에 기록재(S)를 직접 유도하도록 해도 좋고, 또는, 일단 한쪽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a)에 기록재(S)를 유도한 후에 스위치백 동작으로 다 른 쪽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b)로 유도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추가 후처리 기구(4)의 조립을 간략화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2)에 착탈 가능한 추가 부속 장치(7)에 추가 후처리 기구(4)가 조립되어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추가 후처리 기구(4)의 레이아웃에 대해서는 적절히 선정해도 상관없지만, 예를 들면, 추가 후처리 기구(4)가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2)의 외측에 배치되는 형태에 있어서는, 반송 제어 수단(5)은 한쪽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a)에 기록재(S)를 반송한 후,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2)의 외부에 기록재(S)의 일부를 배출한 상태로 유지하고, 추가 후처리 기구(4)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에 외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배출되는 기록재(S)가 수용되는 기록재 수용 받침(13)을 갖는 형태에서는, 기록재 수용 받침(13)의 외부 돌출 스페이스는 원래 화상 형성 장치(10)의 설치 스페이스로서 확보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추가 후처리 기구(4)의 설치 스페이스를 불필요하게 넓히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보면,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의 외측에 또한 기록재 수용 받침(13)의 상방에 추가 후처리 기구(4)가 배치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11)에 오목부(14)로 이루어지는 기록재 배출부를 구비한 형태에서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1)의 설치 스페이스를 불필요하게 넓히지 않는다는 관점에서 보면, 오목부(14)로 이루어지는 기록재 배출부를 이용해서 기록재 후처리 장치(1)를 조립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록재 후처리 장치(1)의 후처리 기능을 확장할 경우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2)에 또 다른 확장 후처리 기구(8a)가 조립된 확장 부속 장치(8)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하면 좋다. 본 형태에서는, 두 갈래로 분기된 분기 반송로(6(6a, 6b))에 한정되지 않고, 이 이외의 반송로에 대해서도 확장 부속 장치(8)를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추가 부속 장치(7)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추가 후처리 기구(4)에 의한 후처리 정밀도를 보다 양호하게 유지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추가 후처리 기구(4)에 기록재(S)가 위치 맞춤된 상태에서 반송 가능한 위치 맞춤 반송 부재(9)를 갖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또한, 반송 제어 수단(5)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두 갈래로 분리된 분리 반송로(6(6a, 6b))를 소위 버퍼 패스로서 이용하는 기록재(S)의 반송 시퀀스를 구축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런 종류의 반송 시퀀스로서는, 추가 후처리 기구(4)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기록재(S)의 후단이 분기 반송로(6)의 분기점을 넘어서 후처리 기구(3)측의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a)에 도달한 후에, 후속하는 기록재(S)를, 추가 후처리 기구(4)측의 분기 반송로(6)(예를 들면, 6b)로 유도하도록 반송하면 좋다.
이하, 첨부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 실시예 1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록재 처리 장치의 실시예 1을 나타낸다.
-기록재 처리 장치의 개요-
본 실시예에서,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21)와, 이 화상 형성 장치(21)에 미리 착탈 가능하게 조립되고 또한 기록 완료된 기록재(S)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가 실시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21)는, 화상 형성부(40)가 내장된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이하, 장치 케이스라고 함)(30)를 가지며, 이 장치 케이스(30)의 상부의 폭방향 일측에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31)를 설치하는 동시에, 이 장치 케이스(30)의 돌출부(31)의 상방에 화상 판독 장치(32)를 배열 설치하고, 이 화상 판독 장치(32)와 장치 케이스(30)의 돌출부(31) 이외의 정상부의 사이에 통 내 공간부로서의 오목부(33)를 확보한 것이다. 또한, 화상 판독 장치(32)의 배열 설치 형태로서는, 예를 들면, 장치 케이스(30)와는 별도의 지지대(도시 생략) 위에 화상 판독 장치(32)를 직접 놓도록 해도 좋고, 또는, 장치 케이스(30)에 직접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화상 판독 장치(32)는 화상 판독면에 원고를 자동적으로 공급하는 자동 원고 공급 기구(35)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후처리를 위한 기록재(S)가 반송되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를 가지며, 화상 형성 장치(21)의 통 내 공간부(33)에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를 수용하는 동시에,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일부에는 통 내 공간부(33)로부터 장치 케이스(30)의 외부로 약간 돌출하는 기록재 배출 부(101)를 돌출 형성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
도 3에서, 화상 형성 장치(21)는, 장치 케이스(30) 내부에 화상 형성부(40)를 배열 설치하고, 이 화상 형성부(40)의 하부에는 예를 들면, 하나의 기록재 공급 장치(50)를 설치하는 한편, 이 기록재 공급 장치(50)로부터 화상 형성부(40)에는 대략 연직(鉛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록재 반송로(51)를 설치한 것이다.
여기서, 화상 형성부(40)는, 예를 들면, 전자 사진 방식을 채용한 것으로서, 토너상을 형성 유지하는 감광체 드럼(41)과, 이 감광체 드럼(41)을 대전(帶電)하는 대전 롤 등의 대전 장치(42)와, 대전된 감광체 드럼(41)에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레이저 주사(走査) 장치 등의 노광 장치(43)와, 감광체 드럼(41)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해서 가시상화하는 현상 장치(44)와, 감광체 드럼(41) 위의 토너상을 기록재 공급 장치(50)로부터 공급된 기록재(S) 위에 전사하는 전사 롤 등의 전사 장치(45)와, 감광체 드럼(41) 위의 잔류 토너를 청소하는 청소 장치(46)를 주요부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록재 공급 장치(50)는 기록재(S)가 퇴적 수용되는 용기(501)를 가지며, 용기(501) 내의 기록재(S)를 피더(502)로 1매씩 분리하면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 반송로(51) 중 화상 형성부(40)의 전사 부위 상류측에는 기록재(S)를 일단 위치 맞춤한 후에 반송하는 위치맞춤 롤(55)이 설치되고, 기록재 반송로(51) 중 화상 형성부(40)의 전사 부위 하류측에는 정착 장치(56)가 배열 설치 되어 있다.
또한, 이 기록재 반송로(51)의 정착 장치(56)의 하류측에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측 및 장치 케이스(30)의 외부를 각각 향하는 분기 반송로(52)(구체적으로는 52a, 52b)가 설치되어 있고, 기록재 반송로(51)와 분기 반송로(52)의 경계부에는 전환 클로(53)가 설치되고, 또한, 한쪽 분기 반송로(52)(예를 들면, 52a)의 하류단 근방에는 배출 롤(58)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 반송로(51)의 정착 장치(56)의 하류측에는 장치 케이스(30)의 외부에 연결되는 분기 배출로(60)가 설치되어 있고, 이 분기 배출로(60)의 출구 근방의 장치 케이스(30)의 외측에는 기록재 수용 받침(61)이 외방으로 돌출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부호 62는 기록재 배출 받침(61)으로의 배출 롤, 63은 기록재 반송로(51)에 설치되는 적절한 수의 반송 롤 또는 이것에 상당하는 반송 부재이다.
-기록재 후처리 장치(표준 장비 형태)-
도 3은 화상 형성 장치(21)에 조립된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개요를 나타내고, 도 4는 그 상세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통 내 공간부(33)에 삽입 배치되어 있고, 그 선단부가 돌출부(31)의 통 내 공간부(33) 측면에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에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분기 반송로(52)에 통한 개소에 입구 개구를 갖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록재 반송로(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반송로(110)에는 반송 롤(116)이 설치되는 동시에, 기록재 반송로(110)의 반송 롤(116)의 하방에는 복수의 기록재(S)를 일시적으로 위치 결정하여 수용하는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에는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수용된 기록재(S) 다발을 기록재 배출부(101)에 배출 반송하는 배출 롤(11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 반송로(110)의 하방에는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된 기록재(S)의 단부(端部)를 철하는 후처리 기구로서의 단(端) 바인딩 기구(17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위치 결정 수용 받침-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을 도 4에 나타낸다.
도 4의 (a) (b)에서,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은, 기록재 반송로(110)의 반송 롤(116)로부터 배출된 기록재(S)가 자연 낙하 가능한 정도로 기록재(S)의 배출 방향과 반대측을 하방으로 하여 경사 배치되어 있고, 그 하단부에 위치 결정부로서의 위치 결정벽(151)을 형성하는 동시에, 이 위치 결정벽(151)에 인접한 측테두리에도 위치 결정부로서의 측테두리 위치 결정벽(152)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의 위치 결정벽(151) 근방에는 복수(본 예에서는 3개)의 회전 조절 부재(153)가 설치되는 동시에, 측테두리 위치 결정벽(152)에 대향한 부위에는 기록재(S)를 가압하는 누름 조절 부재(156)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조절 부재(153)는 회전축(154)의 주위에 복수의 탄성 날개(155)를 직경 방향으로 배치한 것으로, 회전 동작시에 탄성 날개(155)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놓인 기록재(S)를 위치 결정벽(151)을 향해서 맞추는 것이다.
또한, 누름 조절 부재(156)는, 기록재(S)의 사이즈에 따라 도시 외의 구동 기구로 소정 위치에 이동 배치되어, 가압 스프링(158)으로 가압되는 누름판(157)으로 측테두리 위치 결정벽(152)측에 기록재(S)를 가압하는 것이다.
-배출 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배출 롤(117)의 지지 구조를 도 5에 나타낸다.
도 5의 (a) (b)에서, 배출 롤(117)의 지지 구조는, 위치가 고정된 지지축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구동 롤(161)과, 이 구동 롤(161)에 대해서 접합 분리 가능하고 또한 구동 롤(161)의 사이에서 기록재(S) 다발을 삽입할 때에 구동 롤(161)에 대해서 종동 회전하는 접합 분리 롤(162)을 구비하고 있다.
이 때, 접합 분리 롤(162)에는 접합 분리 기구(16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접합 분리 기구(163)로서는, 예를 들면, 구동 액추에이터(164)의 직선 이동하는 작동 막대(165)에 일단이 연결된 연결 부재(166)를 회전축(16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이 연결 부재(166)의 회전축(167)의 회전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암(arm)부재(168)로 상기 접합 분리 롤(162)을 구동 롤(16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또한, 접합 분리 롤(162)은 도시 외의 가압 스프링으로 구동 롤(161)측에 소정의 가압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러한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 및 배출 롤(117)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기록재(S)가 수용되는 과정에서는,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출 롤(117)의 접합 분리 롤(162)이 구동 롤(161)로부터 이간 배치되어 있고, 반송 롤(116)로부터 배출된 기록재(S)는, P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동한 후, 기록재(S)의 후단이 반송 롤(116)로부터 벗어난 시점에서 낙하하여,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을 따라 P2에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해 가서, 회전 조절 부재(153) 및 누름 조절 부재(156)로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 수용된다.
이 후, 후술하는 단 바인딩 기구(170)로 단 바인딩 처리가 행해지면, 배출 롤(117)이 기록재(S)를 끼워 반송하고, 단 바인딩 완료된 기록재(S) 다발은, P3의 방향을 향해서 반송된다.
-단 바인딩 기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단 바인딩 기구(170)의 상세를 도 6, 도 7에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단 바인딩 기구(17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S)의 한 코너부를 철하는 코너용 단 바인딩 기구(170a)와, 주로 기록재(S)의 한 측테두리부를 철하는 측테두리용 단 바인딩 기구(170b)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의 단 바인딩 기구(170(170a, 170b))는 안내 궤도(17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구동 기구(175)(예를 들면, 구동 벨트에 추종해서 이동하는 기구 등을 사용)로 적절한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안내 궤도(171)는 기록재(S)의 한 코너부에 대응한 부위에 원호 형상의 만곡 궤도부(172)와 기록재(S)의 한 측테두리를 따라 직선 궤도부(173)를 갖고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코너용 단 바인딩 기구(170a)는 초기 위치로서 만곡궤도부(172)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고, 측테두리용 단 바인딩 기구(170b)는 초기 위치로서 직선 궤도부(173) 중 만곡 궤도부(172)로부터 이간된 부위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기록재(S)의 한 측테두리를 2개소에서 철하는 단 바인딩 2개소 모드의 경우에는, 기록재(S)의 사이즈에 맞춘 위치에 측테두리용 단 바인딩 기구(170b)를 순차적으로 이동시켜서 2개소에 단 바인딩하도록 해도 좋고, 또는, 코너용 단 바인딩 기구(170a)와 측테두리용 단 바인딩 기구(170b)를 함께 사용하여 2개소에 단 바인딩하도록 해도 좋고, 적절히 설계 변경해도 상관없다.
또한, 단 바인딩 기구(170)의 구성 예를 도 7을 이용하여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 단 바인딩 기구(170)는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의 위치 결정벽(151)측의 도시 외의 절결(切缺)에 대응한 개소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된다.
이 단 바인딩 기구(170)의 기본 구성은, 도 7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대로서의 하부 용기(181)에 의해 가동 암(182)의 기단(基端)을 회동축(183)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가동 암(182)에는 이 가동 암(182)과 동축으로 또한 도시 외의 가압 스프링으로 가동 암(182)측에 가압되는 상부 용기(184)를 설치하고, 이 상부 용기(184) 내에 바인딩 침(針) 수납부(185)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가동 암(182)의 선단에는 바인딩 침(190)을 박아넣기 위한 박아넣기 기구(186)를 설치하고, 구동 모터(187)의 구동력을 구동 전달 기구(188)(예를 들면, 벨트, 편심 부재 등을 사용)를 통하여 가동 암(182)에 전달함으로써, 단 바인딩 동작시에, 가동 암(182)을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도 7의 (b)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 용기(181)와 상부 용기(184)의 사이에 기록재(S) 다발을 삽입한 상태로, 가동 암(182)과 함께 하강하는 박아넣기 기구(186)로 바인딩 침(190)을 기록재(S) 다발의 단부에 박아넣도록 한 것이다. 또한, 부호 191은 지지대로서의 하부 용기(181)의 기록재(S)측의 선단부에 설치된 기록재 유무 검출기이며, 예를 들면, 반사형의 광학 소자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다.
-추가 부속 장치-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21)의 장치 케이스(30)의 돌출부(31) 외측에는 추가 부속 장치(3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 부속 장치(300)는 추가 부속 케이스(301) 내에 기록재 반송로(302)를 형성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302)의 일부에 추가 후처리 기구로서의 천공 기구(330)를 배열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 부속 케이스(301)의 장치 케이스(30)에의 부착면 상부에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걸음편(310)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추가 부속 케이스(301)의 부착면 하부에는 나사 등의 고정구가 유지 가능한 부착편(315)이 설치되는 한편, 이 추가 부속 케이스(301)가 부착되는 장치 케이스(30)에는 상기 걸음편(310)이 삽입되어 걸리는 지지 구멍(320)이 개설(開設)되는 동시에, 상기 부착편(315)에 대응한 부위에 부착 구멍(32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추가 부속 케이스(301)에는 기록재(S)를 받아들이기 위한 수용구(303)가 개설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 부속 케이스(301)의 걸음편(310)은, 지지 구멍(320)에의 삽입 방향으로 돌출하는 삽입편(311)과, 이 삽입편(311)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삽입편(311)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빠짐 방지 헤드부(312)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장치 케이스(30)의 지지 구멍(320)은, 상기 걸음편(310)이 삽입 가능한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의 삽입 구멍부(321)와, 이 삽입 구멍부(321)의 한 측방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311)이 끼워맞춤 가능하고 또한 삽입편(311)이 끼워맞춤된 상태로 빠짐 방지 헤드부(312)가 이탈 불가능하게 걸어 고정되는 걸음 및 고정 구멍부(32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장치 케이스(30)에 추가 부속 장치(300)를 장착하는 경우에는, 장치 케이스(30)의 지지 구멍(320)에 추가 부속 케이스(301)의 걸음편(310)을 삽입한 후에 횡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장치 케이스(30)의 부착 구멍(325)에 추가 부속 케이스(301)의 부착편(315)에 유지된 고정구(도시 생략)를 부착하여 고정하도록 하면 좋다. 이 때, 추가 부속 케이스(300)의 걸음편(310)은 장치 케이스(30)의 지지 구멍(320)에 빠지지 않고 걸어 고정되기 때문에, 추가 부속 장치(300)는 장치 케이스(30)에 빠지지 않고 고정된다.
또한, 장치 케이스(30)로부터 추가 부속 장치(300)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도시 외의 고정구를 제거한 후에 장치 개체(30)에 대해서 추가 부속 케이스(301)를 횡방향으로 조금 이동시키고, 지지 구멍(320)에 대한 걸음편(310)의 걸어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 후에, 장치 케이스(30)로부터 추가 부속 장치(300)를 떼어내도록 하면 좋다.
-천공 기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천공 기구(330)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의 (a)에서, 천공 기구(330)는, 기록재 반송로(302)를 끼고 상측에 유지 부재(331)를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기록재 반송로(302)의 하측에 받침대(338)를 설치하고, 상기 유지 부재(331)에는 관통 구멍(332)을 개설하고, 이 관통 구멍(332)에 대해서 천공 막대(333)를 출몰 가능하게 설치하는 동시에, 이 천공 막대(333)를 가압 스프링(334)으로 상방향으로 가압하고, 또한 구동 모터(335)로부터의 회전에 따라 편심 회전하는 편심 부재(336)의 편심 궤적 둘레면을 상기 천공 막대(333)의 정상부에 가압하고, 편심 부재(336)의 회전에 따라 천공 막대(333)를 가압 스프링(334)에 저항해서 상하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338)에는 천공 막대(333)에 대응한 받침 구멍(33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반송로(302) 중 천공 기구(330)의 상류측에는 위치 맞춤 롤(340)이 정역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기록재 반송로(302)의 위치 맞춤 롤(340)의 상류측에는 위치 검출기(34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의 천공 기구(330)에 의한 천공 처리는, 예를 들면, 기록재 반송로(302)의 위치 검출기(345)에서 기록재(S)의 선단 위치를 검출한 시점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 맞춤 롤(340)을 일단 정지시킨 상태로 기록재(S)의 단부를 충돌하고, 기록재(S)의 스큐(skew) 자세를 보정한 후, 이 위치 맞춤 롤(340)의 회 전량을 제어함으로써 소정의 천공 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재차 위치 맞춤 롤(340)을 정지시켜서, 천공 막대(333)에 의한 천공 동작을 행하게 하는 것이다. 그리고, 천공 막대(333)에 의한 천공이 완료된 단계에서 상기 위치 맞춤 롤(34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재(S)를 천공 기구(330)로부터 이간하는 원래의 방향으로 반송하도록 되어 있다.
-제어 시스템-
도 11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21)는, 기록재(S)의 사이즈, 부수, 천공 처리의 유무, 바인딩 모드의 유무 등을 조작하는 조작부(400)와, 이 조작부(400)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각 동작 대상물(모터·검출기 등)(420)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4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제어 장치(410)의 사이에서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제어 장치(430)를 가지며, 이 제어 장치(430)에서 각 동작 대상물(모터·검출기 등)(440)을 제어하는 것에 더해서, 전환 클로(53)의 전환 처리, 각 후처리 기구로서의 천공 기구(330), 단 바인딩 기구(170)의 후처리, 및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의 기록재 위치 결정 처리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기록재 처리 장치의 작동-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추가 부속 장치(300)를 장비한 기록재 처리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21)의 제어 장치(410) 및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제어 장치(430)는,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처리의 유무에 대해서 판단하고, 후처리로서 단 바인딩 모드는 있는지, 천공 모드는 있는지를 판단하고, 후처리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 모드를 실행하고, 또한 후처리의 모드에 따라,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 단 바인딩 모드(천공 없음), 또는, 천공 모드(단 바인딩 없음)를 실행한다.
-통상 모드-
이제, 기록재 처리 장치가 통상 모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예를 들면,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 공급 장치(50)로부터 공급된 기록재(S)에 화상 형성부(4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면,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정착 장치(56)를 거쳐서 분기 배출로(60)를 경유하여 기록재 수용 받침(61)에 배출 수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 모드시에는 기록재 수용 받침(61)에 기록재(S)를 배출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에서 후처리를 실시하지 않은 상태로 기록재 배출부(101)에 배출 수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화상 형성부(40)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52a)를 경유해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기록재 반송로(110)로 유도된 후, 반송 롤(116)을 거쳐서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 위치 결정된 후에 배출 롤(117)을 경과해서 기록재 배출부(101)에 반송 배출된다.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
다음에, 기록재 처리 장치가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의 양쪽을 실행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하면, 전환 클로(53)가 도 13의 (a)에 나타낸 A위치로 전환되어, 한쪽 분기 반송로(52a)를 선택한다.
이 상태에서, 기록재 공급 장치(50)로부터 공급된 기록재(S)에 화상 형성부(4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면, 도 13의 (a) (b)에 P1, P2로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정착 장치(56)를 경과해서 분기 반송로(52a)측으로 유도되고, 기록재(S)의 후단이 분기 반송로(52)의 분기점을 넘은 조건하에서 기록재(S)는 배출 롤(58)에 닙(nip)된 상태로 일단 정지한다.
이 후, 배출 롤(58)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전환 클로(53)가 B 위치로 전환되어 양쪽의 분기 반송로(52(52a, 52b))를 연결하는 위치로 변화하게 되고, 한쪽 분기 반송로(52a)로 유도된 기록재(S)는, 도 13의 (b)에 P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백 동작으로 다른 쪽 분기 반송로(52b)에 반송된 후, 추가 부속 장치(300)로 반송되어 간다.
그런 후, 추가 부속 장치(300)에서는, 기록재(S)의 진행 방향 단부에 대해서 천공 기구(330)에 의한 천공 처리가 실시된다. 그리고, 천공 처리가 실시된 기록재(S)는 추가 부속 장치(300)로부터 원래의 분기 반송로(52b, 52a)로 복귀되어, 도 13의 (b)에 P4로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후처리 장치 케이 스(100)의 기록재 반송로(110)로 유도된다.
그리고, 기록재(S)가 반송 롤(116)을 통과하면,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 위치 결정되고, 이 상태에서,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가 행해진다. 이 후, 배출 롤(117)에 의해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으로부터 기록재(S)가 기록재 배출부(101)에 반송 배출된다.
-단 바인딩 모드(천공 없음)-
또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단 바인딩 모드(천공 없음)가 선택되면, 전환 클로(53)가 한쪽 분기 반송로(52a)를 선택하도록 A 위치로 전환되고, 화상 형성부(40)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정착 장치(56)를 경과한 후, 한쪽 분기 반송로(52a)를 경유하여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로 유도된다.
그런 후, 기록재(S)는 도 13의 (b)에 P4, P5로 나타낸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 위치 결정된 후에,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가 행해지고, 배출 롤(117)에 의해 기록재 배출부(101)에 반송 배출된다.
-천공 모드(단 바인딩 없음)-
또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천공 모드(단 바인딩 없음)가 선택되면, 도 13의 (a)에 P1, P2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환 클로(53)가 한쪽 분기 반송로(52a)를 선택하도록 A 위치로 전환되고, 화상 형성부(40)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정착 장치(56)를 경과한 후, 한쪽 분기 반송로(52a)를 경유해서 일단 배출 롤(58)에 닙된 상태로 정지한다.
그런 후, 배출 롤(58)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시에, 전환 클로(53)가 B 위치로 전환되어 양쪽의 분기 반송로(52(52a, 52b))를 연결하는 위치로 변화되게 되고, 한쪽 분기 반송로(52a)로 유도된 기록재(S)는, 도 13의 (b)에 P3로 나타낸 바와 같이 스위치백 동작으로 다른 쪽 분기 반송로(52b)에 반송된 후, 추가 부속 장치(300)에 반송되어 가서, 천공 기구(330)에 의한 천공 처리가 행해진다.
이 후, 천공된 기록재(S)는, 추가 부속 장치(300)로부터 원래의 분기 반송로(52(52a, 52b))를 경유해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측으로 유도된다. 그리고,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 위치 결정된 후에,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를 행하지 않고, 배출 롤(117)에 의해 기록재 배출부(101)에 반송 배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 부속 장치(300)를 장착한 형태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면, 추가 부속 장치(300)를 불필요로 하는 사용자에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 부속 장치(300)를 제거한 상태의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를 사용하여, 후처리로서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
이것은 이하의 실시예에서도 동일하다.
◎ 실시예 2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로, 기록 재(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21)와, 이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록 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21)는, 실시예 1과 달리, 장치 케이스(30)의 기록재 반송로(51)의 도중에서 분기하는 하나의 분기 반송로(65)를 가지며, 기록재 반송로(51)의 출구 및 분기 반송로(65)의 출구에는 각각 배출 롤(66, 67)을 설치하여, 분기 반송로(65)를 경유해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로 유도하고, 기록재 반송로(51)를 경유해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정상부에 설치된 기록재 배출부(102)에 기록재(S)를 유도하는 것이다.
한편,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장치 케이스(30)의 오목부(33)에 수용되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를 갖고 있지만, 이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는 오목부(33)의 대략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방향 케이스(103)와, 이 횡방향 케이스(103) 중 오목부(33)의 외측 부근의 일부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케이스(104)를 구비하고, 횡방향 케이스(103) 중 오목부(33)의 외측 단부에는 기록재(S)가 반송 배출 가능한 기록재 수용 받침(105)을 배열 설치한 것이다.
그리고, 이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 내에는 기록재 반송로(110)가 설치되고, 이 기록재 반송로(110)는 상기 돌출 케이스(104) 부근에서 두 갈래로 분기된 분기 반송로(120)(예를 들면, 120a, 120b)로 되어 있고, 한쪽 분기 반송로(120a)는 돌출 케이스(104) 중 오목부(33)의 외측을 향해서(도면 중 우방향) 연장되어 있고, 이 분기 반송로(120a)에는 반송 롤(115, 116)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다른 쪽 분기 반송로(120b)는 돌출 케이스(104) 중 오목부(33)의 내측을 향해서(도면 중 좌방향) 연장되어 있어, 돌출 케이스(104)의 외측면을 향한 위치까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분기 반송로(120)의 분기점에는 전환 클로(121)가 설치되어, 한쪽의 분기 반송로(120a)를 선택하는 위치(A 위치)와 양쪽의 분기 반송로(120a, 120b)를 연결하는 위치(B 위치)로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 케이스(104)의 한쪽의 분기 반송로(120a)의 하방에는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이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이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된 기록재(S)의 단부에 대해서 단 바인딩하는 단 바인딩 기구(170)가 설치되고,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된 기록재(S)는 배출 롤(117)을 통해서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반송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추가 부속 장치-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돌출 케이스(104)의 오목부(33)의 내측에 추가 부속 장치(3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 추가 부속 장치(300)는,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로, 추가 부속 케이스(301) 내에 기록재 반송로(302)를 설치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302)의 일부에 천공 기구(330)를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기록재 반송로(302)의 천공 기구(330)의 상류측에 위치 맞춤 롤(340)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추가 부속 장치(300)의 착탈 가능한 부착 구조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하다.
-장치 작동-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21)의 제어 장치(410) 및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제어 장치(430)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하며, 전환 클로(121), 천공 기구(330),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 및 단 바인딩 기구(170) 등을 제어하여,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한 기록재 처리 모드(통상 모드,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 단 바인딩 모드, 천공 모드)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 부속 장치(300)가 장비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를 구비한 기록재 처리 장치(20)에 의거하여 각종 기록재의 처리 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통상 모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통상 모드가 선택되면, 화상 형성부(40)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는, 정착 장치(56)를 경과해서 기록재 반송로(51)를 이동해 가서, 기록재 반송로(51)의 출구로부터 배출 롤(66)에 의해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정상부에 설치된 기록재 배출부(102)에 반송 배출된다.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가 선택되면,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65)를 경과해서 배출 롤(67)에 의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로 유도되어,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 내의 기록재 반송로(110)를 거쳐서 반송된다.
이 때, 분기 반송로(120)의 전환 클로(121)는 한쪽 분기 반송로(120a)를 선 택하는 위치(A 위치)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재(S)는 한쪽 분기 반송로(120a)측으로 유도되고, 기록재(S)의 후단이 분기 반송로(120)의 분기점을 넘은 시점에서 일단 정지된다.
이 후, 예를 들면, 반송 롤(115, 116)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재(S)는 다른 쪽 분기 반송로(120b)에 반송된 후, 추가 부속 장치(300)로 유도된다. 그리고, 기록재(S)에 대해서 추가 부속 장치(300)의 천공 기구(330)에 의한 천공 처리가 실시된다.
그런 후, 전환 클로(121)는 양쪽의 분기 반송로(120a, 120b)를 연결하는 위치(B 위치)로 전환되어, 추가 부속 장치(300)에서 천공 처리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120(120a, 120b))를 통해서 반송된 후,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 수용되고, 이어서,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가 행해져, 배출 롤(117)에 의해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반송 배출된다.
-천공 모드 또는 단 바인딩 모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천공 모드(단 바인딩 없음)가 선택되면, 상술한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의 동작 과정 중,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를 제외한 동작 과정이 행해진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단 바인딩 모드(천공 없음)가 선택되면, 상술한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의 동작 과정 중, 추가 부속 장치(300)의 천공 기구(330)에 의한 천공 처리를 제외한 동작 과정이 행해진다.
◎ 실시예 3
도 16은 실시예 3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로, 기록재(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21)와, 이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21)는 실시예 2와 거의 동일하다. 또한,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장치 케이스(30)의 측방에 나란히 설치되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를 가지며, 장치 케이스(30)의 오목부(33)의 저부(底部)에는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트랜스포트 유닛)(106)를 배열 설치하고,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를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106)를 통하여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로 유도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106)의 정상부가 장치 케이스(30)의 오목부(33) 내의 기록재 배출부(107)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106)는 기록재 반송로(110)를 갖는 동시에, 이 기록재 반송로(130)에는 복수의 반송 롤(131∼134)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는, 장치 케이스(30)의 오목부(33)의 외측에 면한 위치를 향해서 설치되어 있고, 내부에는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106)의 기록재 반송로(130)를 통하는 기록재 반송로(140)를 갖는 동시에, 그 외측면에는 배출되는 기록재(S)가 수용 가능한 기록재 수용 받침(105)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기록재 반송로(140)는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연장되고 또한 도중에서 두 갈래로 분기하는 분기 반송로(141)(예를 들면, 141a, 141b)를 갖는 대략 T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분기 반송로(141)의 분기점에는 분기 반송로(141)를 전환하기 위한 전환 클로(142)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기록재 반송로(140) 중 분기 반송로(141)의 앞쪽에는 복수의 반송 롤(135, 136)이 설치되어 있고, 또한 한쪽의 분기 반송로(141a)에는 복수의 반송 롤(137, 138)이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분기 반송로(141a)의 하방에는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이 배열 설치되는 동시에, 이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된 기록재(S)의 단부에 대해서 단 바인딩하는 단 바인딩 기구(170)가 설치되고,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된 기록재(S)는 배출 롤(117)을 통해서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반송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추가 부속 장치-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상기 장치 케이스(30)의 오목부(33)에 면한 측면에 추가 부속 장치(3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 추가 부속 장치(300)는,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로, 추가 부속 케이스(301) 내에 기록재 반송로(302)를 설치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302)의 일부에 천 공 기구(330)를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기록재 반송로(302)의 천공 기구(330)의 상류측에 위치 맞춤 롤(340)을 설치한 것이다. 또한, 추가 부속 장치(300)의 착탈 가능한 부착 구조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대략 동일하다.
-장치 작동-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21)의 제어 장치(410) 및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제어 장치(430)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하며, 전환 클로(142), 천공 기구(330),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 및 단 바인딩 기구(170) 등을 제어하여, 실시예 1과 거의 같은 기록재 처리 모드(통상 모드,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 단 바인딩 모드, 천공 모드)를 실행하도록 되어 있다.
이하에,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 부속 장치(300)가 장비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를 구비한 기록재 처리 장치(20)에 의거하여 각종 기록재의 처리 모드에 관하여 설명한다.
-통상 모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통상 모드가 선택되면, 화상 형성부(40)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는, 정착 장치(56)를 거쳐서 기록재 반송로(51)를 이동해 가서, 기록재 반송로(51)의 출구로부터 배출 롤(66)에 의해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106)의 정상부에 설치된 기록재 배출부(107)에 반송 배출된다.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가 선택되면,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65)를 거쳐서 배출 롤(67)에 의해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106)로 유도된 후,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에 반송된다.
이 때,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에서는, 분기 반송로(141)의 전환 클로(142)는 한쪽의 분기 반송로(141a)를 선택하는 위치(A 위치)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재(S)는 한쪽 분기 반송로(141a)측으로 유도되어, 기록재(S)의 후단이 분기 반송로(141)의 분기점을 넘은 시점에서 일단 정지된다.
이 후, 예를 들면, 반송 롤(137, 138)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재(S)는 다른 쪽 분기 반송로(141b)에 반송된 후, 추가 부속 장치(300)로 유도된다. 그리고, 기록재(S)에 대해서 추가 부속 장치(300)의 천공 기구(330)에 의한 천공 처리가 실시된다.
그런 후, 전환 클로(142)는 양쪽의 분기 반송로(141a, 141b)를 연결하는 위치(B 위치)로 전환되어, 추가 부속 장치(300)에서 천공 처리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141(141a, 141b))를 통해서 반송된 후,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 수용되고, 이어서,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가 행해져, 배출 롤(117)에 의해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반송 배출된다.
-천공 모드 또는 단 바인딩 모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천공 모드(단 바인딩 없음) 또는 단 바인딩 모드(천공 없음)가 선택되면, 상술한 천공 모드 및 단 바인딩 모드의 동작 과정 중,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 또는 추가 부속 장치(300)의 천공 기구(330)에 의한 천공 처리를 제외한 동작 과정이 행해진다.
◎ 실시예 4
도 18의 (a)는 실시예 4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실시예 2와 거의 마찬가지로, 기록재(S)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21)와, 이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21)는 실시예 2와 거의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지만, 실시예 2와 달리, 화상 형성부(40)가 중간 전사 방식의 컬러 화상이 형성 가능한 형태를 채용한 것이다. 또한,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실시예 2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예에서, 화상 형성부(40)는, 토너상을 형성 유지하는 감광체 드럼(441)과, 이 감광체 드럼(441)을 대전(帶電)하는 대전 롤 등의 대전 장치(442)와, 대전된 감광체 드럼(441)에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레이저 주사(走査) 장치 등의 노광 장치(443)와, 감광체 드럼(41)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각 색 성분 토너로 순차적으로 현상해서 가시상화하는 회전식 현상 장치(444)와, 감광체 드럼(41) 위의 각 색 성분 토너상을 기록재에 전사하기 전에 중간적으로 전사하는 중간 전사체(445)와, 이 중간 전사체(445) 위에 다중 전사된 다중 토너상을 기록재 공급 장치(50)로부터 공급된 기록재 위에 전사하는 전사 롤 등의 전사 장치(446)와, 감광체 드럼(41) 위의 잔류 토너를 청소하는 청소 장치(447)를 주요부로서 구비하고 있다.
또한,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실시예 2와 거의 동일하 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기록재(S)의 중앙에 대해서 접는 선을 낸 후에 중앙 바인딩 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능을 추가, 확장하기 위해서, 도 18의 (b)에 나타낸 추가 부속 장치(300) 및 도 18의 (c)에 나타낸 확장 부속 장치(600)를 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추가 부속 장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의 (b)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돌출 케이스(104)의 오목부(33)의 내측에 추가 부속 장치(3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 추가 부속 장치(300)는 추가 부속 케이스(301) 내에 기록재 반송로(302)를 설치하여, 이 기록재 반송로(302)의 일부에 선 접기 기구(350)를 설치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추가 부속 장치(300)의 착탈 가능한 부착 구조에 관해서는 실시예 1과 거의 같다.
-선 접기 기구-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선 접기 기구(350)를 도 20에 나타낸다.
도 20의 (a)에서, 선 접기 기구(350)는, 중앙 바인딩 모드시에 중앙 바인딩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 기록재(S)의 반송 방향 중앙 위치에 사전에 접는 선을 내는 것이며, 기록재(S)에 사전에 접는 선을 내기 위한 한 쌍의 선 접기 롤(351(351a, 351b))과, 이 선 접기 롤(351)의 끼움 영역에 대해서 기록재 반송로(302)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이 끼움 영역측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접는 날(352)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선 접기 롤(351b)은 한쪽 선 접기 롤(351a)에 대해서 가압 스프링(356)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고, 또한 상기 선 접기 롤(351b)의 주위에는, 기록재 주행면에 대향하는 위치와 이 기록재 주행면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퇴피한 퇴피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롤 커버(35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 반송로(302)의 선 접기 기구(350)의 상류측에는 기록재(S)의 선단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305)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한 쌍의 선 접기 롤(351)의 한쪽 롤(351a)은 기록재 반송로(302)를 끼고 반송 롤(303)이 대향 배치되어 있고, 구동 모터(353)는 반송 롤(303) 및 선 접기 롤(351)을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 반송로(302)의 선 접기 기구(350)의 하류에 위치하는 한 쌍의 반송 롤(304)은 구동 모터(354)로 정역 회전 가능하게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접는 날(352)의 진퇴 동작은 독립의 구동원을 이용해도 좋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선 접기 롤(351)의 구동 모터(353)에 클러치를 통하여 접속하고, 클러치의 온 오프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 모터(353)로부터의 구동력을 이용해서 진퇴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위치 검출기(305)에 의한 기록재(S)의 선단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반송 롤(303), 반송 롤(304)을 소정량 이동시키고, 도 20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선 접기 롤(351)의 끼움 영역에 대응한 부위에 기록재(S)가 도달한 시점에서, 구동 모터(353)로 반송 롤(304)을 역회전시킨 상태로 선 접기 롤(351)을 회전시키는 동시에, 선 접기 롤(351)의 끼움 영역에 접는 날(352)을 진출 이동시키고, 선 접기 롤(351)쌍에 기록재(S)의 중앙부를 끌어넣으면서 기록재(S)의 중앙부에 선 접기(Sa)를 형성한 후, 구동 모터(353)로 반송 롤(303)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선 접기 롤(351) 사이에 끼워진 기록재(S)를 끼움 부위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되돌리는 동시에, 접는 날(352)을 원래 위치로 되돌리고, 반송 롤(303, 304)로 선 접기(Sa)가 형성된 기록재(S)를 순차적으로 반송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롤(303)이 정규 회전하고 있을 때에는, 롤 커버(355)가 퇴피 위치로부터 기록재 주행면에 대향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기록재(S)의 반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선 접기 롤(351b)의 표면에 기록재(S)가 접촉하지 않게 되어 있어, 접는 선을 내지 않는 경우의 기록재(S)의 반송 동작에 대해서 상기 선 접기 롤(351b)이 지장을 끼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확장 부속 장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8의 (c) 및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돌출 케이스(104)의 외측에 확장 부속 장치(6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이다.
이 확장 부속 장치(600)는 제본시에 필요한 중앙 바인딩 기구(620)를 구비한 것이며, 예를 들면,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 바인딩 기구(620)를 유지하는 확장 부속 케이스(601)를 가지며, 이 확장 부속 케이스(601)에는 기록재 반송로(602)를 설치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602)(도 21 참조)를 상하로 구획하는 상측 구획 부재(603)와 하측 구획 부재(604)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측 구획 부재(604)는, 상측 구획 부재(603)에 비교해서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로부터의 돌출 치수가 짧게 설정되어 있고, 하측 구획 부재(604)가 존재하지 않는 상측 구획 부재(603)의 하방 부분은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의 기록재(S) 다발의 배출 개구(605)로서 개구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하측 구획 부재(604)의 하방에는 가동 구획 부재(6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동 구획 부재(640)는, 예를 들면, 일부에 구동 기어(641)에 맞물리는 도시 외의 기어 이를 형성하고, 구동 기어(641)의 회전에 따라 하측 구획 부재(604)의 구획면을 따라서 적절히 연장하도록 이동하는 것이다.
이것은, 기록재(S)의 사이즈가 큰 경우에 가동 구획 부재(640)로 기록재(S)를 지지하고,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며, 가동 구획 부재(640)는 기록재(S)의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이동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확장 부속 케이스(601)에는 중앙 바인딩 기구(620) 및 반송 롤(607)이 조립되어 있다.
-중앙 바인딩 기구-
본 실시예에서, 중앙 바인딩 기구(620)는, 도 21 및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S)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폭 방향)에 대해서 한 쌍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측 구획 부재(603)에 설치되는 중앙 바인딩 기구 본체(621)와, 하측 구획 부재(604)의 일부에 기록재(S) 다발의 반송에 지장이 없도록 설치되는 대향 부재(630)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 중앙 바인딩 기구 본체(621)는, 상측 구획 부재(603)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622)를 가지며, 이 지지대(622)에 대해서 요동 가능한 가동 바인딩부(623)를 설치하고, 상측 구획 부재(603)의 일부에 개설한 박아넣기 개구(624)를 통해서 기록재 반송로(602) 중의 기록재(S) 다발에 바인딩 침을 박아넣는 것이다. 또한, 가동 바인딩부(623)는 바인딩 침을 박아넣는 기능을 구비한 것이며, 단 바인딩 기구(170)의 기본적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상기 대향 부재(630)는 경질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며, 가동 바인딩부(623)의 중간 바인딩 위치에 대응해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중앙 바인딩 기구(620)는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기록재(S)의 사이즈에 따라 중앙 바인딩 위치를 가변 설정한다는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한 쌍의 중앙 바인딩 기구(620)를 기록재(S)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가동 기구를 통하여 지지하도록 해도 상관없다.
또한, 반송 롤(607)은 하측에 구동 롤(611)을 갖는 동시에, 상측에 접합 분리 롤(612)를 갖고 있다.
여기서, 반송 롤(607)의 접합 분리 기구(도시 생략)로서는, 구동 롤(611)은 구동 모터(661)로부터의 구동력을 구동 전달 기구(662)를 통해서 지지축(663)에 전달하는 것이며, 한편, 접합 분리 롤(612)은 도시 외의 가압 스프링으로 구동 롤(611)측에 가압되고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반송 롤(607)은 한 쌍의 중앙 바인딩 기구(6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상측 구획 부재(603)의 롤 개구(625)를 통해서 양자가 대향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예를 들면,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행해진다.
즉, 선 접기 기구(350)로 접는 선이 형성된 기록재(S)는 순차적으로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배출된다.
이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는, 회전 조절 부재(153) 및 누름 조절 부재(156)로 기록재(S)가 인접하는 2방향에서 위치 결정 수용된다.
상기 동작을 소정 매수 반복하여, 소정 매수의 기록재(S)가 정렬된 상태에서, 배출 롤(117)이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 위치 결정 수용된 기록재(S)를 끼운 후, 기록재(S)의 사이즈에 따라 소정량(m), 구체적으로는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위치가 기록재(S) 중앙부가 되는 위치까지 반송한다(도 24의 (a) 참조).
이 후,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가 행해지고, 그런 후, 반송 롤(607)이 중앙 바인딩 완료된 기록재(S)를 끼워서 반송하여,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수용한다(도 24의 (b) 참조). 또한, 반송 롤(607)로 기록재(S)가 끼워져 반송된 경우에는, 기록재(S) 다발의 반송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상태에서 배출 롤(117)은 이간 배치되어 있다.
-확장 부속 장치의 부착 구조-
또한, 확장 부속 장치(600)의 부착 구조는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 있다.
동 도면에서, 확장 부속 케이스(601)의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측에 위치하는 부착면 상부에는 복수(본 예에서는 2개)의 걸음편(670)이 돌출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장 부속 케이스(601)의 부착면 하부에는 나사 등의 고정구가 유지 가능한 부착편(675)이 설치되는 한편,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에는 상기 걸음편(670)이 삽입되어 걸리는 지지 구멍(680)이 개설되는 동시에, 상기 부착편(675)에 대응한 부위에 부착 구멍(685)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부속 케이스(601)의 걸음편(670)은, 지지 구멍(680)에의 삽입 방향에 돌출하는 삽입편(671)과, 이 삽입편(671)의 선단부에 설치되고 또한 삽입편(671)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빠짐 방지 헤드부(672)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대해서,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지지 구멍(680)은, 상기 걸음편(670)이 삽입 가능한 예를 들면, 직사각형상의 삽입 구멍부(681)와, 이 삽입 구멍부(681)의 한 측방에 인접해서 설치되어 상기 삽입편(671)이 끼워맞춤 가능하고 또한 삽입편(671)이 끼워맞춰진 상태로 빠짐 방지 헤드부(672)가 이탈 불가능하게 걸어 고정되는 걸음 및 고정 구멍부(682)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에 확장 부속 장치(600)를 장착할 경우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지지 구멍(680)에 확장 부속 케이스(601)의 걸음편(670)을 삽입한 후에 횡방향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고, 이 상태에서,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부착 구멍(685)에 확장 부속 케이스(601)의 부착편(675)에 유지된 고정구(도시 생략)를 부착하여 고정하도록 하면 좋다. 이 때, 확장 부속 케이스(601)의 걸음편(670)은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지지 구멍(680)에 빠지지 않고 걸어 고정되기 때문에, 확장 부속 장치(600)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에 빠지지 않고 고정된다.
또한,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로부터 확장 부속 장치(600)를 떼어내는 경우에는, 도시 외의 고정구를 제거한 후에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에 대해서 확장 부속 케이스(601)를 횡방향으로 조금 이동시키고, 지지 구멍(680)에 대한 걸음편(670)의 걸어 고정된 상태를 해제한 후에,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로부터 확장 부속 장치(600)를 떼어내도록 하면 좋다.
-제어 시스템-
도 25는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21)는, 기록재(S)의 사이즈, 부수, 천공 처리의 유무, 바인딩 모드의 유무 등을 조작하는 조작부(400)와, 이 조작부(400)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각 동작 대상물(모터·검출기 등)(420)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4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제어 장치(410)의 사이에서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제어 장치(430)를 가지며, 이 제어 장치(430)에서 각 동작 대상물(모터·검출기 등)(440)을 제어하는 것에 더해서, 전환 클로(121)의 전환 처리, 각 후처리 기구로서의 선 접기 기구(350), 단 바인딩 기구(170),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각각의 후처리 및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의 기록 재 위치 결정 처리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기록재 처리 장치의 작동-
다음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록재 처리 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화상 형성 장치(21)의 제어 장치(410) 및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제어 장치(430)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처리의 유무에 대해서 판단하고, 후처리가 단 바인딩 모드인지,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인지, 단순 중앙 바인딩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후처리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 모드를 실행하고, 또한 후처리의 모드에 따라, 단 바인딩 모드,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 또는, 단순 중앙 바인딩 모드인지를 실행한다.
-통상 모드-
이제, 기록재 처리 장치가 통상 모드에서 실행되고 있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기록재 공급 장치(50)로부터 공급된 기록재(S)에 화상 형성부(40)에 의해 화상이 형성되면,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정착 장치(56)를 거쳐서 배출 롤(58)을 통해서 기록재 배출부(102)에 배출 수용된다.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
기록재 처리 장치가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이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선 접기 모드 및 중앙 바인딩 모드가 선택되면,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로 유도되어, 기록재 반송로(110)를 따라 반송 롤(111∼114)에 의해 반송되어 간다.
이 때, 분기 반송로(120)의 전환 클로(121)는 한쪽 분기 반송로(120a)를 선택하는 위치(A 위치)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재(S)는 한쪽 분기 반송로(120a)측으로 유도되어, 기록재(S)의 후단이 분기 반송로(120)의 분기점을 넘은 시점에서 일단 정지된다.
이 후, 예를 들면, 반송 롤(115, 116)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기록재(S)는 다른 쪽 분기 반송로(120b)에 반송된 후, 추가 부속 장치(300)에 유도된다. 그리고, 기록재(S)에 대해서 추가 부속 장치(300)의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가 실시된다.
그런 후, 전환 클로(121)는 양쪽의 분기 반송로(120a, 120b)를 연결하는 위치(B 위치)로 전환되고, 추가 부속 장치(300)에서 선 접기 처리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120(120a, 120b))를 통해서 반송된 후,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 수용되고, 이어서, 배출 롤(117)에 의해 확장 부속 장치(600)에 반송 배출된다.
이 확장 부속 장치(600)에서는, 위치 결정된 접는 선이 부가된 기록재(S)의 단부에는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가 실시된 후, 반송 롤(607)에 의해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반송 배출된다.
-단순 중앙 바인딩 모드-
이것은,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를 거치지 않고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를 행하는 것이다.
이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단순 중앙 바인딩 모드(선 접기 없음)가 선택되면, 상술한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의 동작 과정 중,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를 제외한 동작 과정이 행해진다.
즉, 기록재 후처리 장치(22) 내에서는, 기록재(S)는 추가 부속 장치(300)의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를 거치지 않고,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의한 위치 결정 처리, 확장 부속 장치(600)의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가 행해진다.
-단 바인딩 모드-
이제,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단 바인딩 모드가 선택되면,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에 유도된다.
이 때, 분기 반송로(120)의 전환 클로(121)는 한쪽 분기 반송로(120a)를 선택하는 위치(A 위치)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에 반송된 기록재(S)는, 기록재 반송로(110)로부터 한쪽 분기 반송로(120a)를 거쳐서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위치 결정 수용되고, 그런 후,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가 행해져, 배출 롤(117)에 의해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반송 배출된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확장 부속 장치(600)가 설치되어 있지만, 배출 롤(117)로부터 배출되는 기록재(S)는,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를 받지 않고, 확장 부속 케이스(601)의 기록재 반송로(602)를 경과한 후에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반송 배출된다.
또한,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에 확장 부속 장치(600)를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하도록 해도 좋으며, 이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확장 부속 장치(600)를 사용하지 않는 후처리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는, 확장 부속 장치(600)를 예를 들면,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배출 롤(117)로부터 배출되는 기록재(S)를 직접 반송 배출시키도록 해도 좋다.
◎ 실시예 5
도 27의 (a)는 실시예 5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실시예 1과 거의 동일한 화상 형성 장치(21) 및 후처리 기록 장치(22)(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 및 단 바인딩 기구(170)를 구비)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도 27의 (b) (c) 및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21)의 장치 케이스(30)에 추가 부속 장치(300)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에 확장 부속 장치(600)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것이다.
여기서, 추가 부속 장치(300)는 장치 케이스(30)의 분기 반송로(52b)에 대응하는 부위에 설치되고, 실시예 4와 거의 동일하게, 추가 부속 케이스(301)에 기록재 반송로(302)를 설치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302)에 선 접기 기구(350)를 배열 설치한 것이다.
한편, 확장 부속 장치(600)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배출 롤(117)에 대응한 부위에 설치되고, 실시예 4와 거의 동일하게, 확장 부속 케이스(601)에 기록재 반송로(602)(도 21 참조)를 설치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602)에 중앙 바인딩 기구(620)(중앙 바인딩 기구 본체(621), 대향 부재(630))를 배열 설치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예를 들면, 통상 모드시에는,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는 분기 배출로(60)를 거쳐서 기록재 수용 받침(61)에 반송 배출된다.
또한,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시에는,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는, 우선 추가 부속 장치(300)에서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가 행해지고, 이어서,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 위치 결정된 후에, 확장 부속 장치(600)의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가 행해져,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기록재 배출부(101)에 배출 수용된다.
또한, 단순 중앙 바인딩 모드에서는,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의 처리 과정 중, 추가 부속 장치(300)의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를 제외한 동작 과정이 행해진다.
또한, 단 바인딩 모드에서는, 추가 부속 장치(300)의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 및 확장 부속 장치(600)의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를 행하지 않고,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의한 위치 결정 처리 및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가 행해진다.
◎ 실시예 6
도 29는 실시예 6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실시예 3과 거의 동일한 화상 형성 장치(21) 및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 및 단 바인딩 기구(170)를 구비)를 구비하고 있다.
단,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가 상하로 분할되어 있고, 상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a)에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이나 단 바인딩 기구(170)가 수용되는 동시에, 기록재 반송로(140)에는 하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b)를 향해서 분기되는 분기 반송로(145)가 설치되고, 이 분기 반송로(145)의 일부에 반송 롤(146)이 설치되는 한편, 하측 후처리 케이스(1OOb)는 상측 후처리 케이스(1OOa)의 지지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상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a)와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106)에 인접한 부위에 추가 부속 장치(30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고, 또한, 도 29의 하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b) 대신에, 확장 부속 장치(600)가 상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여기서, 추가 부속 장치(300)는, 실시예 4, 5와 거의 마찬가지로, 추가 부속 케이스(301) 내에 기록재 반송로(302)를 설치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302)에 선 접기 기구(350)를 배열 설치한 것이다.
한편, 확장 부속 장치(600)는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 부속 케이스(601) 내에 경사 하방으로 연장되는 기록재 반송로(602)를 설치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602)에 중앙 바인딩 기구(620)(중앙 바인딩 기구 본체(621), 대향 부재(630))를 배열 설치하는 동시에, 기록재 반송로(602)의 중앙 바인딩 기구(620)의 상류측에는 기록재(S)를 중앙에서 중앙을 접는 중앙 접기 기구(700)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재 반송로(602)의 중앙 접기 기구(700) 배열 설치 부위에는 기록재 반송로(602)로부터 분기하는 분기 반송로(690)가 설치되고, 이 분기 반송로(690)에는 적절 수의 반송 롤(691)이 배열 설치되고, 이 분기 반송로(690)의 출구에 대응한 확장 부속 케이스(601)의 외측에는 중앙 바인딩·중앙 접기된 기록재(S)가 배출 수용되는 기록재 수용 받침(69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 반송로(602)의 중앙 접기 기구(700)의 상류측에는 정역 회전 가능한 반송 롤(696)이 설치되고, 이 반송 롤(696)의 직후에는 기록재(S)의 선단 또는 후단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69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앙 접기 기구(700)는, 예를 들면, 도 31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S)의 반송 방향 중앙부를 중앙 접기하기 위한 한 쌍의 중앙 접기 롤(701)과, 이 중앙 접기 롤의 끼움 영역에 대해서 기록재 반송로(602)의 반대측에 설치되고, 소정의 타이밍에서 중앙 접기 롤(701)의 끼움 영역측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접는 날(70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중앙 접기 기구(700)의 중앙 접기 처리는, 도 31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록재(S)의 반송 방향 중앙이 중앙 접기 기구(700)의 중앙 접기 위치에 도달한 상황에서, 중앙 접기 롤(701)을 기록재(S)를 끌어들이는 방향으로 회전 시키고, 또한, 접는 날(702)을 중앙 접기 롤(701)측을 향해서 진출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상기 위치 검출기(697)는,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기록재(S) 의 중앙 바인딩 위치 및 중앙 접기 기구(700)에 의한 기록재(S)의 중앙 접기 위치에 기록재(S)의 반송 방향 중앙부가 도달한 것을 정하기 위해서 기록재(S)의 통과 타이밍을 검출하는 것이다.
-제어 시스템-
도 25에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화상 형성 장치(21)는 조작부(400)와, 이 조작부(400)로부터의 정보에 의거하여 각 동작 대상물(모터·검출기 등)(420)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41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제어 장치(410)의 사이에서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제어 장치(430)를 가지며, 이 제어 장치(430)에서 각 동작 대상물(모터·검출기 등)(440)을 제어하는 것에 더해서, 전환 클로(121)의 전환 처리, 각 후처리 기구로서의 선 접기 기구(350), 단 바인딩 기구(170), 중앙 바인딩 기구(620), 중앙 접기 기구(700)에 의한 각각의 후처리 및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의 기록재 위치 결정 처리 등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제어 장치(410) 및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제어 장치(430)는 후처리의 유무에 대해서 판단하고, 후처리가 단 바인 딩 모드인지,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중앙 접기 모드인지를 판단하고, 후처리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 모드를 실행하고, 또한, 후처리의 모드에 따라, 단 바인딩 모드,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중앙 바인딩 모드를 실행한다.
-통상 모드-
예를 들면, 통상 모드시에는,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는 기록재 반송로(51)를 거쳐서 배출 롤(66)에 의해 기록재 배출부(107)에 반송 배출된다.
-중앙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중앙 접기 모드-
이 모드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조작부(400)에서 중앙 선 모드, 중앙 바인딩 모드 및 중앙 접기 모드의 전부를 선택하는 것이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S)는,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106)를 통해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에 수용된다.
이 때, 전환 클로(142)는 한쪽 분기 반송로(141a)를 선택하는 위치(A 위치)로 전환되어 있기 때문에, 기록재(S)는 기록재 반송로(140)로부터 한쪽 분기 반송로(141a)로 유도된 후, 전환 클로(142)가 양쪽의 분기 반송로(141a, 141b)를 연결하는 위치(B 위치)로 전환되고, 반송 롤(137, 138)에 의한 스위치백 동작으로 추가 부속 장치(300)에 유도된다.
그리고, 추가 부속 장치(300)에서 기록재(S)에는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가 실시되고, 접는 선이 부가된 기록재(S)는 추가 부속 장치(300)로부터 원래의 분기 반송로(141b)를 통해서 한쪽 분기 반송로(141a)까지 되돌아간다.
이 후, 전환 클로(142)가 재차 A 위치로 전환되고, 반송 롤(137, 138)의 스위치백 동작으로 기록재(S)는 기록재 반송로(140)측을 향해서 반송된 후, 하측에 연결되는 분기 반송로(145)를 통해서 확장 부속 장치(600)에 유도된다.
이 확장 부속 장치(600)에서는, 기록재(S)는 도 30 및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롤(696)에 의해 기록재 반송로(602)를 따라 소정량 반송되고, 기록재(S)의 반송 방향 중앙이 중앙 바인딩 기구(620)의 중앙 바인딩 위치에 도달한 상황에서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가 행해지고, 이어서, 반송 롤(696)에 의해 기록재(S)가 기록재 반송로(602)를 소정량 반대 방향으로 되돌리고, 기록재(S)의 반송 방향 중앙이 중앙 접기 기구(700)의 중앙 접기 위치에 도달한 상황에서 중앙 접기 기구(700)에 의한 중앙 접기 처리가 행해지고, 중앙 바인딩·중앙 접기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690)를 거쳐서 반송 롤(691)에 의해 반송되어, 기록재 수용 받침(695)에 배출 수용된다.
-단 바인딩 모드-
또한, 단 바인딩 모드에서는, 추가 부속 장치(300)의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 및 확장 부속 장치(600)의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 중앙 접기 기구(700)에 의한 중앙 접기 처리를 행하지 않고,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에 수용된 기록재(S)는, 한쪽 분기 반송로(141a)측으로 유도된 후,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의한 위치 결정 처리 및 단 바인딩 기구(17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가 행해진다.
◎ 실시예 7
도 32는 실시예 7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실시예 5와 거의 동일한 화상 형성 장치(21) 및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 및 단 바인딩 기구(170)를 구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5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 화상 형성 장치(21)는 기록재 반송로(51)의 레이아웃이 실시예 5와 다르고, 또한 화상 형성부(40)는 전자 사진 방식을 채용하고 있지만, 실시예 5와 달리, 대략 수평 방향으로 반송되는 기록재(S)에 대해서 화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장치 케이스(30)의 외측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실시예 5와 거의 동일한 구성 요소(단, 반송 롤(116)은 복수 구비)를 갖고 있지만, 실시예 1과 구성 요소의 레이아웃이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어,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측부에는 기록재 수용 받침(10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21)의 장치 케이스(30)의 돌출부(31)의 오목부(33)측에는 추가 부속 장치(3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한편,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의 기록재 수용 받침(105)측에는 확장 부속 장치(60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 부속 장치(300)는 실시예 5와 거의 마찬가지로, 추가 부속 케이스(301) 내에 기록재 반송로(302)를 설치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302)에 선 접기 기구(350)를 배열 설치한 것이지만, 실시예 5의 형태와는 구성 요소가 좌우 대칭인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다.
한편, 확장 부속 장치(600)는 실시예 5와 거의 마찬가지로, 확장 부속 케이스(601) 내에 중앙 바인딩 기구(620)를 배열 설치한 것이지만, 실시예 5의 형태와는 구성 요소가 좌우 대칭인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가 부속 장치(300), 확장 부속 장치(600)를 구비한 기록재 처리 장치(20)에서는, 실시예 5와 거의 마찬가지로, 통상 모드, 접는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 단순 중앙 바인딩 모드 또는 단 바인딩 모드를 실현할 수 있다.
단, 추가 부속 장치(300) 및 확장 부속 장치(600)의 레이아웃이 실시예 5와 반대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전환 클로(53)는 최초 한쪽의 분기 반송로(52a)를 선택하는 위치(A 위치)로 전환되지만,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기록재 반송로(51)로부터 한쪽 분기 반송로(52a)를 거쳐서 추가 부속 장치(300)에 유도되어, 이 추가 부속 장치(300)의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가 행해진다. 그런 후, 전환 클로(53)는 양쪽의 분기 반송로(52(52a, 52b))를 연결하는 위치(B 위치)로 전환되고, 추가 부속 장치(300)의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52)를 거쳐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에 유도되어, 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의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서 위치 결정된 후, 배출 롤(117)에 의해 확장 부속 장치(600)에 유도되고, 이 확장 부속 장치(600)의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가 행해진 후, 기록재 수용 받침(105)에 반송 배출된다.
또한, 단순 중앙 바인딩 모드에서는,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의 동작 과정 중, 추가 부속 장치(300)의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를 제외한 동작 과정을 행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단 바인딩 모드에서는, 추가 부속 장치(300) 및 확장 부속 장치(600)에 의한 후처리를 행하지 않고,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의한 위치 결정 처리 및 단 바인딩 기구(15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
◎ 실시예 8
도 34는 실시예 8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개요를 나타낸다.
동 도면에서,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처리 장치(20)는, 실시예 5와 거의 동일한 화상 형성 장치(21) 및 실시예 6과 거의 동일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 및 단 바인딩 기구(170)를 구비)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5, 6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관해서는 실시예 5, 6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 표준 장비 형태의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화상 형성 장치(21)의 장치 케이스(30)의 오목부(33)에 면하고 있지 않은 외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는 상하로 분할 가능한 후처리 장치 케이 스(100)(상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OOa), 하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OOb))를 갖고 있고, 상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OOa)에는, 대략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록재 반송로(11O)가 설치되고, 이 기록재 반송로(11O)에는 적절 수(본 예에서는 2개)의 배출 롤(116)이 설치되고, 또한 이 기록재 반송로(110)로부터 분기하는 분기 반송로(145)가 하방을 향해서 설치되고, 기록재 반송로(110)와 분기 반송로(145)의 분기점에는 전환 클로(147)가 설치되는 동시에, 분기 반송로(145)에는 적절 수(본 예에서는 2개)의 반송 롤(146)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재 반송로(110)의 하방에는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 및 단 바인딩 기구(17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측 후처리 케이스(1OOb)는 상측 후처리 케이스(1OOa)의 지지대로서 기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예 6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록재 반송용 케이스(106)는 사용되지 않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21)의 장치 케이스(30)의 돌출부(31)의 오목부(33)측에는 추가 부속 장치(300)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한편, 도 34의 하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00b) 대신에, 확장 부속 장치(600)가 상측 후처리 장치 케이스(1OOa)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 부속 장치(300)는, 실시예 6과 거의 동일하게, 추가 부속 케이스(301) 내에 기록재 반송로(302)를 설치하고, 이 기록재 반송로(302)에 선 접기 기구(350)를 배열 설치한 것이지만, 실시예 6의 형태와는 구성 요소가 좌우 대칭인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다.
한편, 확장 부속 장치(600)는, 실시예 6과 거의 마찬가지로, 확장 부속 케이스(601) 내에 중앙 바인딩 기구(620) 및 중앙 접기 기구(700)를 배열 설치한 것이지만, 실시예 6의 형태와는 구성 요소가 좌우 대칭인 레이아웃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추가 부속 장치(300), 확장 부속 장치(600)를 구비한 기록재 처리 장치(20)에서는, 실시예 6과 거의 마찬가지로, 통상 모드,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중앙 접기 모드 또는 단 바인딩 모드를 실현할 수 있다.
단, 추가 부속 장치(300) 및 확장 부속 장치(600)의 레이아웃이 실시예 6과 반대이기 때문에, 예를 들면, 접는 선이 부가된 중앙 바인딩 모드를 실행하는 경우에는, 전환 클로(53)는 최초 한쪽의 분기 반송로(52a)를 선택하는 위치(A 위치)로 전환되지만, 화상 형성 장치(21)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기록재 반송로(51)로부터 한쪽 분기 반송로(52a)를 거쳐서 추가 부속 장치(300)로 유도되어, 이 추가 부속 장치(300)의 선 접기 기구(350)에 의한 선 접기 처리가 행해진다. 그런 후, 전환 클로(53)는 양쪽의 분기 반송로(52(52a, 52b))를 연결하는 위치(B 위치)로 전환되어, 추가 부속 장치(300)의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52)를 거쳐서 기록재 후처리 장치(22)로 유도된다.
이 기록재 후처리 장치(22)에서는, 전환 클로(147)가 분기 반송로(145)를 선택하는 위치로 전환되어 있고, 접는 선이 부가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145)를 거쳐서 확장 부속 장치(600)로 유도된다.
이 확장 부속 장치(600)에서는, 기록재(S)는 도 3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송 롤(696)에 의해 기록재 반송로(602)를 따라 소정량 반송되고, 기록재(S)의 반송 방향 중앙이 중앙 바인딩 기구(620)의 중앙 바인딩 위치에 도달한 상황에서 중앙 바인딩 기구(620)에 의한 중앙 바인딩 처리가 행해지고, 이어서, 반송 롤(696)에 의해 기록재(S)가 기록재 반송로(602)를 소정량 반대 방향으로 되돌아오고, 기록재(S)의 반송 방향 중앙이 중앙 접기 기구(700)의 중앙 접기 위치에 도달한 상황에서 중앙 접기 기구(700)에 의한 중앙 접기 처리가 행해지고, 중앙 바인딩·중앙 접기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690)를 거쳐서 반송 롤(691)에 의해 반송되어, 기록재 수용 받침(695)에 배출 수용된다.
또한, 통상 모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 완료된 기록재(S)는, 분기 반송로(65)를 거쳐서 배출 롤(67)에 의해 장치 케이스(30)의 오목부(33)의 저부를 기록재 배출부로 하여 반송 배출된다. 또한, 단 바인딩 모드에서는, 추가 부속 장치(300) 및 확장 부속 장치(600)에 의한 후처리를 행하지 않고, 위치 결정 수용 받침(150)에 의한 위치 결정 처리 및 단 바인딩 기구(150)에 의한 단 바인딩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현화한 기록재 처리 장치의 실시예의 대표 모델 1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을 구현화한 기록재 처리 장치의 실시예의 대표 모델 2의 개요를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4의 (a)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의 후처리 기구로서의 단 바인딩 기구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b)는 (a)중 B-B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의 (a) (b)는 접합 분리 가능한 반송 롤의 구성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단 바인딩 기구의 배치 관계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의 (a)∼(c)는 단 바인딩 기구의 구성 및 동작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추가 부속 장치를 부가한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9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추가 부속 장치의 부착 구조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1O의 (a) (b)는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추가 부속 장치에 조립되는 천공 기구 및 그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1은 실시예 1에서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
도 12는 도 11의 제어 시스템에서의 기록재 처리 제어 과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13의 (a) (b)는 기록재의 후처리 과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5는 실시예 2에 따른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추가 부속 장치를 부가한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6은 실시예 3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17은 실시예 3에 따른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추가 부속 장치를 부가한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18의 (a)는 실시예 4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b)는 추가 부속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c)는 확장 부속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19는 실시예 4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에 추가 부속 장치 및 확장 부속 장치를 부가한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0의 (a)는 실시예 4에서 사용되는 추가 부속 장치의 추가 후처리 기구로서의 선 접기 기구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b)는 그 선 접기 형성 동작시의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1은 실시예 4에서 사용되는 확장 부속 장치의 확장 후처리 기구로서의 중앙 바인딩 기구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도 22는 도 21 중 XXII 화살표 방향에서 본 도면.
도 23은 도 21의 중앙 바인딩 기구의 부착 구조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24의 (a) (b)는 중앙 바인딩 기구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설명도.
도 25는 실시예 4에서 사용되는 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설명도.
도 26은 도 25의 제어 시스템에서의 기록재 처리 제어 과정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27의 (a)는 실시예 5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b)는 추가 부속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c)는 확장 부속 장치의 일례를 나타낸 설명도.
도 28은 실시예 5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에 추가 부속 장치 및 확장 부속 장치를 부가한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29는 실시예 6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30은 실시예 6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에 추가 부속 장치 및 확장 부속 장치를 부가한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1의 (a)는 실시예 6에서 사용되는 확장 후처리 기구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b)는 확장 후처리 기구의 한 요소인 중앙 접기 기구의 동작예를 나타낸 설명도.
도 32는 실시예 7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33은 실시예 7에 따른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추가 부속 장치를 부가한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 34는 실시예 8에 따른 기록재 처리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도 35는 실시예 8에 따른 기록재 후처리 장치에 추가 부속 장치 및 확장 부속 장치를 부가한 형태를 나타낸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록재 후처리 장치 2 : 후처리 장치 케이스
3 : 후처리 기구 4 : 추가 후처리 기구
5 : 반송 제어 수단 6(6a, 6b) : 분기 반송로
6c : 전환 수단 7 : 추가 부속 장치
8 : 확장 부속 장치 8a : 확장 후처리 기구
9 : 위치 맞춤 부재 10 : 화상 형성 장치
11 :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12 : 화상 형성부
13 : 기록재 수용 받침 14 : 오목부
15 : 화상 판독부 S : 기록재

Claims (14)

  1.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가 배출 가능하게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부설되고, 화상 형성 장치에서 형성된 기록재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로서,
    화상 형성 장치의 한쪽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와,
    화상 형성 장치의 다른 쪽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추가 후처리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반송 제어 수단은 한쪽 분기 반송로에 기록재를 반송한 후,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부에 기록재의 일단(一端)을 배출하고 기록재의 타단(他端)을 배출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여,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
  2. 기록재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로서,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가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를 갖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와,
    한쪽 분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와,
    다른 쪽 분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추가 후처리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반송 제어 수단은 한쪽 분기 반송로에 기록재를 반송한 후,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부에 기록재의 일단을 배출하고 기록재의 타단을 배출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여,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추가 후처리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에 착탈(着脫) 가능한 추가 부속 장치에 조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는 외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배출되는 기록재가 수용되는 기록재 수용 받침을 가지며,
    추가 후처리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의 외측에 또한 상기 기록재 수용 받침의 상방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후처리 기구가 조립되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에 설치된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기록재 배출부 위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후처리 장치 케이스에는 또 다른 확장 후처리 기구가 조립된 확장 부속 장치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추가 부속 장치는, 추가 후처리 기구에 기록재가 위치 맞춤된 상태로 반송 가능한 위치 맞춤 반송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반송 제어 수단은,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기록재의 후단(後端)이 분기 반송로의 분기점을 넘어서 후처리 기구측의 분기 반송로에 도달한 후에, 후속하는 기록재를, 추가 후처리 기구측의 분기 반송로에 유도하도록 반송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
  10.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가 배출 가능하게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와,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부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재 후처리부는,
    상기 한쪽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와,
    다른 쪽 분기 반송로로부터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추가 후처리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반송 제어 수단은 한쪽 분기 반송로에 기록재를 반송한 후,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부에 기록재의 일단을 배출하고 기록재의 타단을 배출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여,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처리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반송로는 화상 형성부 내에 있는 기록재 처리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반송로는 기록재 후처리부 내에 있는 기록재 처리 장치.
  13. 제 10 항에 있어서,
    반송 제어 수단은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기록재의 후단(後端)이 분기 반송로의 분기점을 넘어서 후처리 기구측의 분기 반송로에 도달한 후에, 후속하는 기록재를, 추가 후처리 기구측의 분기 반송로에 유도하도록 반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처리 장치.
  14. 기록재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와,
    이 화상 형성 장치에서 화상 형성된 기록재에 후처리를 실시하는 기록재 후처리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기록재 후처리 장치는,
    두 갈래로 분기하여 기록재가 반송되는 분기 반송로를 갖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와,
    한쪽 분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소정의 후처리를 실시하는 후처리 기구와,
    다른 쪽 분기 반송로에 반송되는 기록재에 대해서 상기 후처리 기구와는 다른 추가된 후처리를 실시하는 추가 후처리 기구와,
    이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한 후에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도록 기록재를 반송 제어하는 반송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추가 후처리 기구는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측에 배치되고,
    반송 제어 수단은 한쪽 분기 반송로에 기록재를 반송한 후, 화상 형성 장치 케이스 또는 후처리 장치 케이스의 외부에 기록재의 일단을 배출하고 기록재의 타단을 배출하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여, 추가 후처리 기구에 의한 후처리를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 처리 장치.
KR20080055221A 2007-11-09 2008-06-12 기록재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기록재 처리 장치 KR101044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92050A JP4513853B2 (ja) 2007-11-09 2007-11-09 記録材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材処理装置
JPJP-P-2007-00292050 2007-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292A KR20090048292A (ko) 2009-05-13
KR101044643B1 true KR101044643B1 (ko) 2011-06-29

Family

ID=406234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55221A KR101044643B1 (ko) 2007-11-09 2008-06-12 기록재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기록재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8706019B2 (ko)
JP (1) JP4513853B2 (ko)
KR (1) KR101044643B1 (ko)
CN (1) CN10143051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39247B2 (ja) * 2012-06-04 2016-12-07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002640B2 (ja) * 2013-03-18 2016-10-05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ユニット連結体
US9919890B2 (en) * 2015-08-28 2018-03-20 Canon Finetech Nisca Inc. Apparatus for processing sheets and apparatus for forming images provided with the same
JP6142939B1 (ja) * 2016-03-29 2017-06-07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170285550A1 (en) * 2016-03-29 2017-10-05 Fuji Xerox Co., Ltd. Image forming system
JP7400223B2 (ja) * 2019-06-18 2023-12-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520A (ja) * 2001-04-11 2002-10-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5343661A (ja) * 2004-06-04 2005-12-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7265A (en) * 1989-03-06 1992-08-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post-processing apparatus
JP2854611B2 (ja) * 1989-07-07 1999-02-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H09142728A (ja) * 1995-09-19 1997-06-03 Minolta Co Ltd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フィニッシャ
EP0849639B1 (en) * 1996-12-18 2006-02-01 Sharp Kabushiki Kaisha Image-forming device
JP3577894B2 (ja) 1997-06-18 2004-10-2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後処理装置
JP3592138B2 (ja) * 1999-06-28 2004-11-2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紙折り装置
JP3571986B2 (ja) * 1999-07-06 2004-09-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
JP2001310859A (ja) * 2000-04-27 2001-11-06 Canon Inc シート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6647243B2 (en) * 2000-10-16 2003-11-11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treating apparatus, method of mounting sheet treat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3684168B2 (ja) * 2001-04-12 2005-08-17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450881B2 (en) * 2002-04-18 2008-11-11 Krdc Co., Ltd. Finishing apparatus of image forming apparatus
JP3991891B2 (ja) * 2003-03-13 2007-10-1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シート綴じ方法およびシート後処理装置
JP3956874B2 (ja) 2003-03-13 2007-08-08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シート綴じ方法およびシート後処理装置
JP2005154080A (ja) 2003-11-26 2005-06-16 Canon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333446B2 (ja) * 2004-03-31 2009-09-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262159B2 (ja) * 2004-07-20 2009-05-13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4039431B2 (ja) * 2005-03-08 2008-01-3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7022800A (ja) * 2005-07-21 2007-02-01 Canon Finetech Inc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915679A (zh) 2005-08-18 2007-02-21 株式会社理光 纸处理装置,纸处理系统及图像形成装置
EP1755006A1 (en) * 2005-08-18 2007-02-21 Ricoh Company, Ltd. Data transmission between sheet post-processing modules
JP4557846B2 (ja) * 2005-09-08 2010-10-06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US7658372B2 (en) * 2005-09-08 2010-02-09 Canon Finetech Inc.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739739B1 (ko) * 2005-10-13 2007-07-13 삼성전자주식회사 용지후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기
JP4694401B2 (ja) * 2006-03-31 2011-06-08 キヤノンファイン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8520A (ja) * 2001-04-11 2002-10-23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2005343661A (ja) * 2004-06-04 2005-12-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8292A (ko) 2009-05-13
US9201373B2 (en) 2015-12-01
CN101430515A (zh) 2009-05-13
US20090122355A1 (en) 2009-05-14
JP2009113975A (ja) 2009-05-28
US20140147185A1 (en) 2014-05-29
CN101430515B (zh) 2012-09-05
US8706019B2 (en) 2014-04-22
JP4513853B2 (ja) 2010-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62159B2 (ja) シート処理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US8002256B2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sheet processing method
KR101044643B1 (ko) 기록재 후처리 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기록재 처리 장치
US20110198794A1 (en) Sheet finisher,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sheet finishing method
JP2007084257A (ja) 紙葉類処理装置
JP2009120304A (ja) 記録材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6032556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5370525B2 (ja) 記録材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材処理装置
JP4775151B2 (ja) バッファ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シート処理装置
JP2009120306A (ja) 記録材後処理装置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141358B2 (ja) 用紙綴じ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08156045A (ja) 記録材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材処理装置
JP4057950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495655B2 (ja) 紙葉類処理装置
JP5018080B2 (ja) 記録材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材処理装置
JP2004168447A (ja) 用紙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4919049B2 (ja) 記録材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材処理装置
JP5370526B2 (ja) 記録材後処理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記録材処理装置
JP4858028B2 (ja) シート処理装置
JP2004018161A (ja) 用紙後処理装置
JP2005324932A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4124075B2 (ja) 用紙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ならびに用紙の搬送方法
JP2004184930A (ja) 後処理装置
JP4229010B2 (ja) 冊子積載装置、後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012128462A (ja) 記録材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