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1120B1 -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1120B1
KR101031120B1 KR1020090024808A KR20090024808A KR101031120B1 KR 101031120 B1 KR101031120 B1 KR 101031120B1 KR 1020090024808 A KR1020090024808 A KR 1020090024808A KR 20090024808 A KR20090024808 A KR 20090024808A KR 101031120 B1 KR101031120 B1 KR 10103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wirings
input
regio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4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663A (ko
Inventor
무츠미 마츠오
야스히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90102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서 지시 위치를 검출함에 있어서, 배선에 기생하는 용량의 배선마다의 격차를 압축함으로써, 검출 감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정전 용량형의 입력 장치(100)에 있어서, 제 1 배선 영역(955)은 입력 영역(10a)의 X방향에서의 한쪽의 끝변(10s)으로부터 끝변(10s)을 따르도록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까지 연장하고 있고, 그 양쪽에는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이 연장하고 있다.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은 입력 영역(10a)의 끝변(10t)으로부터 끝변(10u)을 따르도록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까지 연장하고 있고, 이러한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의 바깥쪽 단부(端部)를 따르도록 제 1 보조 배선(971)이 연장하고 있다.

Description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ELECTRICAL CAPACITANCE INPUT DEVICE, DISPLAY APPARATUS WITH INPUT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본 발명은 손가락의 접촉 위치를 정전 용량의 변화로서 검출 가능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카 네비게이션, 퍼스널 컴퓨터, 티켓 발매기, 은행의 단말 등의 전자기기에서는, 최근, 액정 장치 등의 표면에 태블릿형의 입력 장치가 배치되고, 액정 장치의 화상 표시 영역에 표시된 지시 화상을 참조하면서, 이 지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개소에 손가락 등을 접촉함으로써, 지시 화상에 대응하는 정보의 입력을 행할 수 있는 것이 있다.
이러한 입력 장치(터치 패널)에는 저항막형, 정전 용량형 등이 있지만, 저항막형의 입력 장치는 필름과 유리의 2장 구조이고 필름을 눌러서 단락시키는 구조이기 때문에, 동작 온도 범위의 좁음이나,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 약하다고 하는 결점을 갖고 있다.
이에 반하여, 정전 용량형의 입력 장치는 1장의 기판에 투광성 도전막을 형성하면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정전 용량형의 입력 장치에서는, 예컨대,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전극 패턴을 연장시키고, 손가락 등이 접촉 또는 근접했을 때, 전극간의 정전 용량이 변화되는 것을 검지하여 입력 위치를 검출한다(예컨대, 특허 문헌 1).
이러한 정전 용량형의 입력 장치에서는,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의 면내 방향에서 서로 교차하는 방향을 X방향 및 Y방향으로 했을 때, 기판의 입력 영역(10a)에, X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과, Y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이 형성되어 있고, 기판에서 입력 영역(10a)의 바깥쪽의 주변 영역(10e)에는, 복수의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제 1 배선(911~919)이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까지 서로 병렬하여 연장하는 제 1 배선 영역(955)과, 복수의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제 2 배선(921~926, 929)이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까지 서로 병렬하여 연장하는 제 2 배선 영역(근거리 제 2 배선 영역(961) 및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은 본원발명과의 대비를 위해서 본원 발명자가 안출한 것이고, 종래 기술은 아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337773호 공보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있어서는,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출하기 때문에, 배선에 기생하는 용량이 배선마다 틀린 경우, 검출 회로 등에서의 보정으로는 흡수할 수 없어서, 검출 감도가 현저히 저하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지만, 도 9에 나타내는 구성에서는, 이하에 설명하는 이유 때문에 배선에 기생하는 용량이 배선마다 틀리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이 입력 영역(10a)에 대하여 Y방향에서의 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제 1 배선 영역(955)은 입력 영역(10a)의 X방향에서의 한쪽의 끝변(10s)으로부터 끝변(10s)을 따르도록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까지 연장해 있다. 또한,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은 입력 영역(10a)에 대하여 Y방향에서의 한쪽 측에 배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수의 점에서의 지시를 검출할 수 있도록, 입력 영역(10a)이 Y방향에서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 측에 위치하는 제 1 입력 영역(101a)과, Y방향에서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과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 2 입력 영역(102a)으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 제 2 입력 영역(102a)의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에 접속하는 복수의 제 2 배선(921~926)은, 입력 영역(10a)에 대하여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 측과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끝변(10t)으로부터 입력 영역(10a)의 X방향에서의 한쪽의 끝변(10u)을 따르도록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까지 연장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복수의 제 1 배선(911~919) 사이에서는, 배선의 길이가 크게 틀리기 때문에, 인접하는 배선 사이에 기생하는 용량이 제 1 배선(911~919)마다 크게 틀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제 2 입력 영역(102a)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제 2 배선(921~926)에서도 배선의 길이가 크게 틀리기 때문에, 인접하는 배선의 사이에 기생하는 용량이 제 2 배선(921~926)마다 크게 틀리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과제는,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해서 지시 위치를 검출함에 있어서, 배선에 기생하는 용량의 배선마다의 격차를 압축함으로써, 검출 감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입력 영역의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 전극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영역의 바깥쪽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으로부터 복수의 제1 단자까지 연장하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복수의 제2 단자까지 연장하는 복수의 제2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하나의 배선과, 상기 하나의 배선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배선과 병렬하고 있는 길이가 다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의 배선 중 길이가 긴 배선은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 상기 하나의 배선과의 간격이 넓고,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의 배열 방향의 양단의 배선 중 한쪽의 배선의 바깥쪽에는, 해당 배선과의 사이에 기생 용량을 생성하는 제1 보조 배선이 연장하고, 상기 제1 보조 배선은, 정전위가 인가됨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된 2개의 단자 중 한쪽의 단자로부터 상기 입력 영역,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이 연장하고 있는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이 연장하고 있는 영역의 바깥쪽을 따라 다른쪽의 단자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배선이 병렬하는 배선 영역에서는 인접하는 배선 사이에 용량이 생성되어 있지만, 배선 영역의 단부(端部)에서 연장하는 배선에서는 한쪽에만 인접하는 배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생 용량이 작다. 그런데, 본 발명에서는, 배선 영역의 배선의 배열 방향의 단부를 따르도록, 그 단부에서 연장하는 배선과의 사이에 기생 용량을 생성하는 보조 배선이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단부의 배선에서도 다른 배선과 마찬가지의 용량이 기생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기생하는 용량이 동등하기 때문에,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하나의 배선과 상기 하나의 배선의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배선과 병렬하고 있는 길이가 상이한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양쪽의 배선 중 병렬하고 있는 길이가 긴 배선 측에서는, 병렬하고 있는 길이가 짧은 배선 측에 비해서, 상기 하나의 배선과의 간격이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 배선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배선과의 대향 거리가 긴 만큼 기생 용량이 크지만, 그만큼, 인접하는 배선의 간격을 넓게 하고 있기 때문에, 기생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기생하는 용량을 동등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길이가 상이한 배선을 포함하고, 배선 길 이가 긴 배선에서는, 배선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서, 적어도 일부분의 폭 치수가 넓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긴 배선에 대해서는, 전기 저항이 커지지만, 그만큼, 배선의 적어도 일부를 폭 넓게 했기 때문에, 복수의 배선의 전기 저항이 동등하다. 그 때문에,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조 배선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의 배열 방향의 양단의 배선의 바깥쪽에, 상기 양단의 배선의 각각과의 사이에 기생 용량을 생성하는 제 1 보조 배선 및 제 2 보조 배선이 연장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1 보조 배선 및 제 2 보조 배선에 의해서, 배선 영역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배선에 기생 용량을 부가할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기생하는 용량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은, 상기 입력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의 한쪽의 끝으로부터 상기 입력 영역의 끝변을 따르도록 상기 복수의 제 1 단자까지 연장하고, 상기 보조 배선으로서,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에 있어서 그 복수의 제 1 배선의 배열 방향의 양단의 배선의 바깥쪽에, 상기 양단의 배선의 각각과의 사이에 기생 용량을 생성하는 제 1 보조 배선 및 제 2 보조 배선이 연장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상기 제 1 보조 배선은, 상기 입력 영역을 외주 측에서 둘러싸는 실드선을 구성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은, 상기 표시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의 양쪽의 끝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 2 단자까지 연장하고,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의 양쪽의 끝 중, 한쪽의 끝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은, 다른쪽의 끝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과 길이가 상이하고, 상기 보조 배선은, 상기 양쪽의 끝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 중, 적어도, 상기 배선의 길이가 긴 쪽의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에서의 상기 배선의 배열 방향의 양단의 배선 중, 상기 입력 영역과 반대쪽의 배선의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 입력 영역으로부터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을 향하는 제 2 배선 영역의 양단부 중, 입력 영역 측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배선은,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과 병렬하고,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과의 사이에 기생 용량이 생성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영역 측과는 반대쪽의 단부에만 보조 배선을 마련하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입력 영역에,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 1 전극과,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 2 전극을 구비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역의 바깥쪽에는, 상기 복수의 제 1 전극으로부터 복수의 제 1 단자까지 서로 병렬하여 연장하는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 2 전극으로부터 복수의 제 2 단자까지 서로 병렬하여 연장 하는 복수의 제 2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 및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의 한쪽 또는 양쪽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은 하나의 배선과 상기 하나의 배선의 양쪽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배선과 병렬하고 있는 길이가 상이한 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양쪽의 배선 중 병렬하고 있는 길이가 긴 배선 측에서는, 병렬하고 있는 길이가 짧은 배선 측에 비해서, 상기 하나의 배선과의 간격이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긴 배선에 대해서는, 인접하는 배선과의 대향 거리가 긴 만큼 기생 용량이 크지만, 그만큼, 인접하는 배선의 간격을 넓게 하고 있기 때문에, 기생 용량을 작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기생하는 용량이 동등하기 때문에,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면과는 반대쪽에 화상 생성 장치가 겹쳐서 배치된다.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는, 휴대 전화, 전자 수첩, POS 단말 등의 단말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에 이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에 기생하는 용량의 배선마다의 격차를 압축하여,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기생하는 용량이 동등하게 함으로써,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참조하는 도면에 있어서는, 각 층이나 각 부재를 도면 상에서 인식 가능한 정도의 크기로 하기 때문에, 각 층이나 각 부재마다 축척을 상이하게 하고 있다.
(전체 구성)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및 이 입력 장치가 부착된 표시 장치의 평면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또한, 도 2에서,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이나 배선의 수 등에 대해서 줄여서 표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본 형태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는, 대략, 화상 생성 장치로서의 액정 장치(50)와, 이 화상 생성 장치에 있어서 표시광을 출사하는 쪽의 면에 겹쳐서 배치된 패널 상의 입력 장치(10)(터치 패널)를 갖고 있다. 액정 장치(50)는 투과형, 반사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의 액티브 매트릭스형의 액정 패널(50a)을 구비하고 있고, 투과형 또는 반투과 반사형의 액정 패널의 경우, 표시광의 출사 측과는 반대쪽에 백라이트 장치(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된다. 또한, 액정 장치(50)에 있어서는, 액정 패널(50a)에 대하여 위상차판이나 편광판(도시하지 않음)이 겹쳐서 배치된다. 액정 패널(50a)은 소자 기판(51)과, 소자 기판(51)에 대하여 대향 배치된 대향 기판(52)과, 대향 기판(52)과 소자 기판(51) 사이에 보지(保持)된 액정층을 구비하고 있고, 소자 기판(51)에 있어서, 대향 기판(52)의 테두 리로부터 돌출한 영역에는 가요성 기판(53)이 접속되어 있다. 소자 기판(51)에는 구동용 IC이 COG 실장되는 것도 있다. 어느 쪽의 경우도, 액정 장치(50)는 동화상이나 정지 화상을 표시 가능하며, 입력 장치(10)에 대한 입력을 행할 때,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지시 화상을 표시한다. 따라서, 이용자는 입력 장치(10)에서 표시된 지시 화상을 손가락으로 접촉하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입력 장치(10)는 정전 용량형의 터치 패널로서, 투광성 기판(15)과, 이 투광성 기판(15)에 후술하는 점착제층(투광성 수지층)을 통해서 접합된 투광성의 커버 기판(40)과, 투광성 기판(15)의 단부에 접속된 가요성 기판(19)을 구비하고 있다. 가요성 기판(19)에는, 입력 장치(10)에 있어서 입력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구동 회로(도시하지 않음)가 접속되어 있고, 가요성 기판(19)과 투광성 기판(15)의 접속 영역이 후술하는 신호 입출력 영역으로 된다. 입력 장치(10)에 있어서는, 커버 기판(40)의 상면에 의해서 입력면(10b)이 구성되어 있고, 커버 기판(40)의 대략 중앙 영역이 손끝에 의한 입력이 행해지는 입력 영역(10a)으로 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광성 기판(15)의 입력면(10b) 측의 면 중, 입력 영역(10a)에 상당하는 영역에는, 화살표 X로 표시하는 제 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열의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과, 화살표 Y로 표시하는 제 1 방향과 교차하는 제 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열의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입력 장치(10)에서는, 복수의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복수의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에 순차적으로 전압 인가하여, 전하를 부여했을 때, 입력 영역(10a)에서의 어느 하나의 개소에 전도체인 손가락이 닿으면, 제 1 투 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과, 손가락과의 사이에서도 용량을 가지고, 그 결과로서 정전 용량이 저하되기 때문에, 어느 쪽의 개소에 손가락이 닿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입력 영역의 구성)
도 3(a), (b), (c)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장치에 형성한 투광성 전극 패턴의 평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 입력 장치를 A2-A2′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했을 때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투광성 전극 패턴과 금속 배선과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또한, 도 3(a)에서는,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의 일부를 발췌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 도 2 및 도 3(a),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형태의 입력 장치(10)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과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은 투광성 기판(15)의 동일면 상에 동일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입력 영역(10a)에서,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과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은 투광성 기판(15)의 동일면 상에 동일층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과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의 교차 부분(18)이 복수 존재한다. 그래서,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교차 부분(18)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 중 한쪽의 전극 패턴은, 교차 부분(18)에서도 연결되어 있는 한편, 다른쪽의 전극 패턴은 도중에 끊겨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 다. 본 형태에서는, 복수의 교차 부분(18)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도,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이 연결되어 있는 한편,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은 도중에 끊겨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의 상층 측에는, 투광성의 층간 절연막(4b)이 입력 영역(10a) 대략 전체, 및 입력 영역(10a)의 바깥쪽의 주변 영역(10e)에 형성되고, 이러한 층간 절연막(4b)의 상층에는, 층간 절연막(4b)의 콘택트 홀(4c)을 사이에 두고, 교차 부분(18)에서 도중에 끊겨 있는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끼리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투광성의 중계 전극(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은 Y방향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은 각각, 교차 부분(18)에 의해 끼워진 영역에 능형 형상의 대면적의 패드부(11a, 12a)(대면적 부분)를 구비하고 있고,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에 있어서 교차 부분(18)에 위치하는 접속 부분(11c)은 패드부(11a)보다 폭이 좁은 세폭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중계 전극(5a)도 패드부(11a, 12a)보다 폭이 좁은 세폭 형상의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투광성 기판(15)에 있어서,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이 형성되어 있는 쪽의 면에는, 입력 영역(10a)에 접착제층(30)에 의해 투광성의 커버 기판(40)이 접착되어 있다.
또한, 투광성 기판(15)에 있어서 입력 영역(10a)의 외측 영역(주변 영역(10e))에는,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의 각각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복수의 금속 배선(9a)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금속 배선(9a)의 단부는, 가요성 기판(19)을 접속하기 위한 단자(19a)를 구성하고 있다. 이들 금속 배선(9a)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하는 제 1 배선(911~919), 및 제 2 배선(921~926, 929)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입력 장치(10)에 있어서, 본 형태에서는,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과,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의 반사율의 차이에 기인하여,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의 존재가 보이게 되어, 미관을 훼손시킨다. 그래서, 본 형태에서는, 이러한 미관의 훼손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광학 간섭을 이용한 반사 방지 기술에 근거하여,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의 재질 및 두께를 설정하고 있다. 광학 간섭을 이용한 반사 방지 기술이란, 입사광이 박막의 표면, 및 기판과 박막의 계면에서 반사했을 때, 이 표면 반사광과 계면 반사광의 위상을 역전시켜서 상쇄시킴으로써 반사광을 경감하는 기술이다. 즉, 공기층의 굴절률(n0)과, 박막의 굴절률(n1)과 막두께(d1)와, 기판의 굴절률(n2)이 하기의 식
(n1)2=n0×n2
n1×d1=λ/4
를 만족시키는 경우, 파장 λ(nm)에서의 반사율이 0%로 된다. 이러한 반사 방지 기술을 이용하면,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이 형 성되어 있는 영역과,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과의 반사율의 차가 해소되어,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의 존재를 보이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래서, 본 형태에서는,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을 ITO막(3a)에 의해 형성하고,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과 투광성 기판(15)과의 층간,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과 투광성 기판(15)과의 층간에는 반사 방지 구조를 실현하기 위한 다층막(2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다층막(20)으로서는, 예컨대, ITO막(1a)과 실리콘 산화막(2a)과의 적층막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및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은 IZO(Indium Zinc Oxide)막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배선의 설치 구조)
다시 도 2에 있어서, 본 형태에서는, 투광성 기판(15)에 있어서 입력 영역(10a)의 바깥쪽의 주변 영역(10e)에는, 복수의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제 1 배선(911~919)이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까지 서로 병렬하여 연장하는 제 1 배선 영역(955)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은 입력 영역(10a)에 대하여 Y방향에서의 한쪽 측에 배치되고, 제 1 배선 영역(955)은 복수 개소에서 굴곡하면서, 입력 영역(10a)의 X방향에서의 한쪽의 끝변(10s)으로부터 끝변(10s)을 따르도록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까지 연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제 1 배선 영역(955)(제 1 배선(911~919))은, 주변 영역(10e)에서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으로부터 X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부위(955d)와, 부위(955d)로부터 입력 영역(10a)의 끝변(10s)을 따르도록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서 연장하는 부위(955c)와, 부위(955c)로부터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과 입력 영역(10a)에 의해 끼워진 영역을 향해서 X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55b)와, 부위(955b)로부터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을 향해서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55a)를 갖고 있다.
또한, 투광성 기판(15)에 있어서 입력 영역(10a)의 바깥쪽의 주변 영역(10e)에는, 복수의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으로부터 연장하는 복수의 제 2 배선(921~926, 929)이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까지 연장하고 있다.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도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과 마찬가지로, 입력 영역(10a)에 대하여 Y방향에서의 한쪽 측에 배치되고,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과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은 투광성 기판(15)의 기판 변을 따르도록 직선 형상으로 나란히 늘어서 있다.
여기서, 입력 영역(10a)은 Y방향에서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 측에 위치하는 제 1 입력 영역(101a)과, Y방향에서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 측과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제 2 입력 영역(102a)으로 분할되고, 그에 따라,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도 제 1 입력 영역(101a)과 제 2 입력 영역(102a) 사이에서 분할되어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으로부터 연장하는 배선의 배선 영역(제 2 배선 영역)은 2개로 분할되어 있고, 이러한 배선 영역 중, 제 1 입력 영역(101a)으로부터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을 향해서 연장하는 제 2 배선(929) 이 병렬하는 근거리 제 2 배선 영역(961)에 대해서는, 제 2 배선(929)끼리가 대략 동등한 길이 치수를 갖고 충분한 간격을 두고서 연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 2 배선(929)에 대해서는 배선 저항 및 기생 용량이 틀리더라도, 그 자신의 레벨이 낮기 때문에 지장이 없다.
이에 반하여, 제 2 입력 영역(102a)으로부터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을 향해서 연장하는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은, 입력 영역(10a)에 대하여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 측과는 반대쪽에 위치하는 끝변(10t)으로부터, 복수 개소에서 굴곡하면서, 입력 영역(10a)의 X방향에서의 끝변(10s)과는 반대쪽의 끝변(10u)을 따르도록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까지 굴곡하면서 연장하고 있다. 이 때문에, 본 형태에서는,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제 2 배선(921~926))은,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12)의 연장선 상에서 입력 영역(10a)의 끝변(10t)으로부터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부위(962e)와, 부위(962e)로부터 끝변(10t)과 평행하게 X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위(962d)와, 부위(962d)로부터 입력 영역(10a)의 끝변(10u)을 따르도록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서 연장하는 부위(962c)와, 부위(962c)로부터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과 입력 영역(10a)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을 향해서 X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62b)와, 부위(962b)로부터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을 향해서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62a)를 갖고 있다.
(기생 용량 및 배선 저항의 격차 대책)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배선 영역(955)은 입력 영역(10a) 의 X방향에서의 한쪽의 끝변(10s)으로부터 끝변(10s)을 따르도록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까지 연장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배선 영역(955)에서는 각 제 1 배선(911~919)의 길이 치수가 크게 틀리고, 또한, 배선끼리가 근접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구성대로는, 복수의 제 1 배선(911~919)에 있어서, 인접하는 배선과의 사이에 기생하는 용량이나 배선 저항이 배선마다 크게 틀리다. 또한, 제 1 배선(911~919) 중, 배선의 배열 방향(제 1 배선 영역(955)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 1 배선(911, 919)에서는, 한쪽에만 인접하는 배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생 용량이 작다.
또한,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은 입력 영역(10a)의 끝변(10t)으로부터 끝변(10u)을 따르도록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까지 연장하고 있고, 이러한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에서는 각 제 2 배선(921~926)의 길이 치수가 크게 틀리고, 또한, 배선끼리가 근접해 있다. 그 때문에, 이러한 구성대로는, 복수의 제 2 배선(921~926)에 있어서, 인접하는 배선과의 사이에 기생하는 용량이나, 배선 저항이 배선마다 크게 틀리다. 또한, 제 2 배선(921~926) 중, 배선의 배열 방향(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바깥쪽 단부(입력 영역(10a)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배선(926)에서는, 한쪽에만 인접하는 배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생 용량이 작다. 또한, 제 2 배선(921~926) 중, 안쪽 단부(입력 영역(10a)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위치하는 제 2 배선(921)은,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의 삼각형으로 분할된 패드 부분의 저변부와 병렬하고 있기 때문에,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의 폭방향에서의 안쪽을 지나는 제 2 배 선(922~925)에 가까운 기생 용량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기생 용량의 배선마다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 본 형태에서는, 먼저, 제 1 배선 영역(955)의 양단부의 각각을 따르도록, 양단부에서 연장하는 제 1 배선(911, 919)과의 사이에 기생 용량을 생성하는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이 연장하고 있다. 이러한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 중 제 1 보조 배선(971)은, 제 1 배선 영역(955)(제 1 배선(911~919))과 마찬가지로, 주변 영역(10e)에서 X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부위(955d)와, 부위(955d)로부터 입력 영역(10a)의 끝변(10s)을 따르도록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서 연장하는 부위(955c)와, 부위(955c)로부터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과 입력 영역(10a)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을 향해서 X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55b)와, 부위(955b)로부터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에 인접하는 위치를 향해서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55a)를 갖고 있다. 또한, 제 2 보조 배선(972)도, 제 1 배선 영역(955)(제 1 배선(911~919))과 마찬가지로, 주변 영역(10e)에서 X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부위(955d)와, 부위(955d)로부터 입력 영역(10a)의 끝변(10s)을 따르도록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서 연장하는 부위(955c)와, 부위(955c)로부터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과 입력 영역(10a)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을 향해서 X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55b)와, 부위(955b)로부터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에 인접하는 위치를 향해서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55a)를 갖고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에서도, 제 1 배선 영 역(955)과 마찬가지로, 바깥쪽의 단부를 따르도록, 이 단부에서 연장하는 제 2 배선(926)과의 사이에 기생 용량을 생성하는 제 1 보조 배선(971)이 연장하고 있다. 따라서, 제 1 보조 배선(971)은, 제 2 배선 영역(962)(제 2 배선(921~926))과 마찬가지로, Y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하는 부위(962e)와, 부위(962e)로부터 끝변(10t)에 평행하게 X방향으로 연장하는 부위(962d)와, 부위(962d)로부터 입력 영역(10a)의 끝변(10u)을 따르도록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려서 연장하는 부위(962c)와, 부위(962c)로부터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과 입력 영역(10a)에 의해서 끼워진 영역을 향해서 X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62b)와, 부위(962b)로부터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을 향해서 Y방향으로 직각으로 구부린 부위(962a)를 갖고 있다.
여기서, 제 1 보조 배선(971)은 제 2 보조 배선(972)에 비해서 입력 영역(10a)으로부터 먼 위치를 지나고 있고, 입력 영역(10a)을 외주 측에서 둘러싸는 외주측 실드선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2 보조 배선(972)은 제 1 보조 배선(971)과 동일 전위로 보지되고 있고, 본 형태에서는,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에 정전위(그라운드 전위)가 인가되어 있다.
이러한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형성함에 있어서, 구체적으로는,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제 1 배선(911~919) 및 제 2 배선(921~926, 929)의 형성과 동시에 행하고,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과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에 병렬한 단자를 사이에 두고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외부와 접속하여, 외부로부터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에 그라운드 전위를 인가한다. 이러한 구성을 채용하면, 도 3(c)에 나타내는 금속 배선(9a)에 의해서, 제 1 배선(911~917), 및 제 2 배선(921~926, 929)과 함께,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공정을 추가하지 않더라도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형성함에 있어서는,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제 1 배선(911~919) 및 제 2 배선(921~926, 929)과는 다른 층으로 형성해도 좋다. 예컨대,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선(911~919) 및 제 2 배선(921~926, 929)을 층간 절연막(4b)으로 덮고, 또한, 층간 절연막(4b)의 상층에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형성하여,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950)과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960)에 병렬한 단자에 층간 절연막(4b)의 제거 영역을 통해서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접속해도 좋다. 이 경우도,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단자를 통해서 외부와 접속하여, 외부로부터 그라운드 전위를 인가하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이 제 1 배선(911~919)과 제 2 배선(921~926, 929)과 교차하도록 형성하더라도 단락하는 일이 없다. 그 때문에, 제 1 보조 배선(971)과 제 2 보조 배선(972)을 연결시킨 구성이나, 제 1 보조 배선(971)이 입력 영역(10a)의 외주 측을 전체 둘레에서 둘러싼 구성 등을 실현할 수 있다. 제 1 보조 배선(971)과 제 2 보조 배선(972)을 연결시킨 구성을 채용하면, 제 1 보조 배선(971)과 제 2 보조 배 선(972)에 그라운드 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단자의 수를 줄일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또한, 제 1 보조 배선(971)이 입력 영역(10a)의 외주 측을 전체 둘레에서 둘러싼 구성을 채용하면, 외부로부터 입력 영역(10a)에 노이즈가 침입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형태에서는, 제 1 배선 영역(955)에 형성된 제 1 배선(911~919)은, 인접하는 배선의 간격이, 배선 길이가 긴 배선에서는, 배선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 1 배선(911)으로부터 안쪽에 위치하는 배선을 향해서 차례로 배선 길이가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쪽에서 인접하는 배선끼리의 간격은, 안쪽에서 인접하는 배선끼리의 간격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제 1 배선 영역(955)에 형성된 제 1 배선(911~919)은, 배선 길이가 긴 배선에서는, 배선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폭 치수가 넓게 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 1 배선(911)으로부터 안쪽에 위치하는 배선을 향해서 차례로 배선 길이가 짧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쪽에 위치하는 배선은 안쪽에 위치하는 배선보다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에 형성된 제 2 배선(921~926)은, 인접하는 배선의 간격이, 배선 길이가 긴 배선에서는, 배선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안쪽에 위치하는 제 2 배선(921)으로부터 바깥쪽에 위치하는 배선을 향해서 차례로 배선 길이가 길 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쪽에서 인접하는 배선끼리의 간격은, 안쪽에서 인접하는 배선끼리의 간격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다. 또한,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에 형성된 제 2 배선(921~926)은, 배선 길이가 긴 배선에서는, 배선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폭 치수가 넓게 되어 있다. 본 형태에서는, 안쪽에 위치하는 제 2 배선(921)으로부터 바깥쪽에 위치하는 배선을 향해서 차례로 배선 길이가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바깥쪽에 위치하는 배선은 안쪽에 위치하는 배선보다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다.
(제 1 배선(911~919)의 구성예)
이러한 룰에 근거하여, 제 1 배선(911~919)을 구성한 예의 효과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장치(10)에 형성한 제 1 배선(911~919) 등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을 향하는 제 1 란, 제 2 란, 제 3 란, 제 4 란, 제 5 란, 제 6 란, 제 7 란에는 각각, 도 2에 나타내는 제 1 배선의 부호, 도 2에 나타내는 부위, 각 부위마다의 길이 치수, 각 부위마다의 폭 치수, 안쪽에 위치하는 제 1 배선과의 간격, 기생 용량, 배선 저항을 나타내고 있고, 기생 용량을 나타낸 제 6 란에서, 괄호의 수치는 안쪽에 위치하는 배선과의 사이에 기생하는 용량의 값이다. 또한, 제 1 배선(911~919) 등의 길이 치수나 폭 치수는, 도 2에 나타내는 부위(955a~955d)마다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입력 장치(10)에 형성한 제 1 배선(911~919)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형성하지 않고, 모든 제 1 배선(911~919)의 간격을 동등하게 한 예에 상당한다. 또한, 도 5의 제 1~7 란은 각각, 도 4의 제 1~7 란에 대응한다.
또한,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기생 용량은 배선의 주위를 덮는 절연층의 유전율, 배선폭, 배선끼리의 간격, 배선끼리의 대향 길이에 근거하여 계산한 값이다.
먼저, 도 4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배선(911~919)에 있어서, 양쪽에 위치하는 제 1 배선(911, 919)에는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이 형성되고, 또한, 제 1 배선(911)과 제 1 배선(912)의 간격은 부위(955b, 955c)에서 55㎛인 데 반하여, 제 1 배선(912)과 제 1 배선(913)의 간격은 부위(955b, 955c)에서 45㎛로 되어 있는 등, 인접하는 배선의 간격이, 배선 길이가 긴 배선에서는, 배선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배선(911)에 기생하는 용량값은 제 1 보조 배선(971)과 제 1 배선(912)과의 용량의 합으로서 4.88pF이고, 다른 제 1 배선(912~918)에 기생하는 용량값(4.83~5.04pF)과 동등하다. 또한, 제 1 배선(919)에 기생하는 용량값은 제 2 보조 배선(972)과 제 1 배선(918)과의 용량의 합으로서 4.82pF이며, 다른 제 1 배선(912~918)에 기생하는 용량값(4.83~5.04pF)과 동등하다.
또한, 제 1 배선(911~919)에 있어서, 가장 긴 제 1 배선(911)에서 가장 폭이 좁은 부위의 치수는 65㎛인 데 반하여, 제 1 배선(912)에서 가장 폭이 좁은 부위의 치수는 60㎛인 등, 배선 길이가 긴 배선에서는, 배선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폭 치수가 넓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1 배선(911)의 배선 저항이 375Ω이고, 다른 제 1 배선(912~919)의 전기 저항(389~531Ω)과 대략 동등하다. 이 금속 배선의 시트 저항은 0.2Ω/□이다.
이에 반하여, 도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룰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예컨대, 어느 쪽의 제 1 배선(911~919)에서도 배선 간격을 동등하게 한 경우, 제 1 배선(911~919)에 기생하는 용량값은 4.01~12.87pF으로 크게 틀리지만, 제 1 배선(911~919)의 배선 저항에 대해서는, 본 참고예에서도 배선폭을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233~307Ω으로 대략 동등하다.
또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개변을 행해도 좋다.
(제 2 배선(921~926)의 구성예)
본 발명에 따른 룰에 근거하여, 제 2 배선(921~926)을 구성한 예의 효과를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장치(10)에 형성한 제 2 배선(921~926) 등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에서,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을 향하는 제 1 란, 제 2 란, 제 3 란, 제 4 란, 제 5 란, 제 6 란, 제 7 란에는 각각, 도 2에 나 타내는 제 1 배선의 부호, 도 2에 나타내는 부위, 각 부위마다의 길이 치수, 각 부위마다의 폭 치수, 안쪽에 위치하는 제 1 배선과 간격, 기생 용량, 배선 저항을 나타내고 있고, 기생 용량을 나타낸 제 6 란에서, 괄호의 수치는 바깥쪽에 위치하는 배선과의 사이에 기생하는 용량의 값이며, *를 붙인 수치는 제 2 배선(921)과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사이에 기생하는 용량의 값이다. 또한, 제 2 배선(921~926) 등의 길이 치수나 폭 치수는, 도 2에 나타내는 부위(962a~962e)마다의 값을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입력 장치(10)에 형성한 제 2 배선(921~926)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2에 나타내는 구성에 있어서,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형성하지 않고, 모든 제 2 배선(921~926)의 간격을 동등하게 한 예에 상당한다. 또한, 도 7의 제 1~7 란은 각각, 도 6의 제 1~7 란에 대응한다.
또한,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기생 용량은 배선의 주위를 덮는 절연층의 유전율, 배선폭, 배선끼리의 간격, 배선끼리의 대향 길이에 근거하여 계산한 값이다.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2 배선(921~926)에 있어서,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는 제 2 배선(926)에는 제 1 보조 배선(971)이 형성되고, 또한, 제 2 배선(926)과 제 2 배선(925)의 간격은 부위(962b, 962c, 962d)에서 50㎛인 데 반하여, 제 2 배선(923)과 제 2 배선(922)의 간격은 부위(962b, 962c, 962d)에서 45㎛으로 되어 있는 등, 인접하는 배선의 간격이, 배선 길이가 긴 배선에서는, 배선 길 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넓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배선(926)에 기생하는 용량값은 제 1 보조 배선(971)과 제 2 배선(925)과의 용량의 합으로서 6.22pF이고, 다른 제 1 배선(922~925)에 기생하는 용량값(6.14~6.31pF)과 동등하다. 또한, 제 2 배선(921)에 기생하는 용량값은 4.68pF이고, *를 붙인 수치 1.61pF(제 2 배선(921)과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11) 사이에 기생하는 용량의 값)을 가미하면 6.29pF으로 되어, 다른 제 2 배선(922~925)에 기생하는 용량값(6.14~6.31pF)과 동등하다.
또한, 제 2 배선(921~926)에 있어서, 가장 긴 제 2 배선(926)에서 가장 폭이 좁은 부위의 치수는 70㎛인 데 반하여, 제 2 배선(922)에서 가장 폭이 좁은 부위의 치수는 65㎛인 등, 배선 길이가 긴 배선에서는, 배선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서, 길이 방향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폭 치수가 넓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제 2 배선(926)의 배선 저항은 511Ω이고, 다른 제 2 배선(921~925)의 전기 저항(418~484Ω)과 대략 동등하다.
이에 반하여, 도 7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룰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 제 2 배선(921~926)에 기생하는 용량값은 9.41~20.62pF으로 크게 틀리지만, 제 2 배선(921~926)의 배선 저항에 대해서는, 본 참고예에서도 배선 폭을 조정하고 있기 때문에 376~426Ω으로 대략 동등하다.
또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구성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개변을 행해도 좋다.
(본 형태의 주된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 1 배선 영역(955)이나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의 단부의 배선에서는, 한쪽에만 인접하는 배선이 존재하기 때문에 기생 용량이 작아지는 경향이 있지만, 본 형태에서는, 제 1 배선 영역(955)이나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의 단부를 따르도록 제 1 보조 배선(971) 및 제 2 보조 배선(972)을 연장시켰기 때문에, 단부의 배선에서도 다른 배선과 마찬가지의 용량이 기생한다. 이 때문에,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기생하는 용량이 동등하기 때문에,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어,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 1 보조 배선(971)에 의해서, 입력 영역(10a)을 외주 측에서 둘러싸는 실드선을 구성했기 때문에,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노이즈의 영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인접하는 배선의 간격이나 배선 폭을 배선 길이의 장단(長短)에 따라서 적정화했기 때문에, 복수의 배선의 각각에 기생하는 용량이나 배선 저항이 동등하다. 그 때문에, 용량 변화를 정확히 검출할 수 있고, 검출 감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형태에서는, 화상 생성 장치로서의 액정 장치(50)를 이용했지만, 유기 전기 발광 장치나 플라즈마 표시 장치를 화상 생성 장치로서 이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형태에서는,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에는 제 1 보조 배 선(971)만을 마련했지만, 레이아웃 등에 따라서는,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962)의 내주 측에 제 2 보조 배선(972)도 마련해도 좋다.
또한, 상기 형태에서는, 입력 영역(10a)이 분할되어 있는 예이지만, 입력 영역(10a)이 분할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도, 배선 사이에 기생 용량이나 배선 저항에 격차가 있는 경우에는 본 발명을 적용해도 좋다.
[전자기기로의 탑재예]
다음에, 상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를 적용한 전자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a)에,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모바일형의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다. 퍼스널 컴퓨터(2000)는 표시 유닛으로서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와 본체부(2010)를 구비한다. 본체부(2010)에는, 전원 스위치(2001) 및 키보드(2002)가 마련되어 있다. 도 8(b)에,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 전화기(3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3001) 및 스크롤 버튼(3002), 및 표시 유닛으로서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다. 스크롤 버튼(3002)을 조작함으로써,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에 표시되는 화면이 스크롤된다. 도 8(c)에,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를 적용한 정보 휴대 단말(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구성을 나타낸다. 정보 휴대 단말(4000)은 복수의 조작 버튼(4001) 및 전원 스위치(4002), 및 표시 유닛으로서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4002)를 조작하면, 주소록이나 스케줄 목록 등 의 각종 정보가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에 표시된다.
또한,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100)가 적용되는 전자기기로서는, 도 8에 나타내는 것 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 액정 텔레비전, 카 네비게이션 장치, 페이저, 전자 수첩, 전자 계산기, 워드 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텔레비전 전화, POS 단말 등의 단말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장치가 부착된 표시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장치가 부착된 표시 장치의 평면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 3(a), (b), (c)는 각각,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장치에 형성한 투광성 전극 패턴의 평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이 입력 장치를 A2-A2′선에 상당하는 위치에서 절단했을 때의 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및 투광성 전극 패턴과 금속 배선과의 접속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장치에 형성한 제 1 배선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형성한 제 1 배선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을 적용한 입력 장치에 형성한 제 2 배선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입력 장치에 형성한 제 2 배선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장치가 부착된 표시 장치를 이용한 전자기기의 설명도,
도 9는 본 발명의 참고예에 따른 입력 장치가 부착된 표시 장치의 평면적인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설명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입력 장치, 10a: 입력 영역, 10e: 주변 영역, 11: 제 1 투광성 전극 패턴, 12: 제 2 투광성 전극 패턴, 15: 투광성 기판, 11a, 12a: 패드부(대면적 부분), 50: 액정 장치(화상 생성 장치), 100: 입력 장치가 부착된 표시 장치, 101a: 제 1 입력 영역, 102a: 제 2 입력 영역, 911~919: 제 1 배선, 921~926, 929: 제 2 배선, 950: 제 1 신호 입출력 영역, 955: 제 1 배선 영역, 960: 제 2 신호 입출력 영역, 961: 근거리 제 2 배선 영역(제 2 배선 영역), 962: 원거리 제 2 배선 영역(제 2 배선 영역), 971: 제 1 보조 배선, 972: 제 2 보조 배선

Claims (10)

  1. 입력 영역의 제1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1 전극과,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제2 전극을 구비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로서,
    상기 입력 영역의 바깥쪽에는,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으로부터 복수의 제1 단자까지 연장하는 복수의 제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으로부터 복수의 제2 단자까지 연장하는 복수의 제2 배선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하나의 배선과, 상기 하나의 배선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하나의 배선과 병렬하고 있는 길이가 다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양측의 배선 중 길이가 긴 배선은 길이가 짧은 배선에 비해 상기 하나의 배선과의 간격이 넓고,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의 배열 방향의 양단의 배선 중 한쪽의 배선의 바깥쪽에는, 해당 배선과의 사이에 기생 용량을 생성하는 제1 보조 배선이 연장하고,
    상기 제1 보조 배선은, 정전위가 인가됨과 함께,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된 2개의 단자 중 한쪽의 단자로부터 상기 입력 영역,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이 연장하고 있는 영역 및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이 연장하고 있는 영역의 바깥쪽을 따라 다른쪽의 단자까지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길이가 다른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길이가 다른 배선에 있어서, 배선 길이가 긴 배선에 있어서 배선 폭이 최소인 부분의 배선 폭 치수는, 배선 길이가 짧은 배선에 있어서 배선 폭이 최소인 부분의 배선 폭 치수에 비해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의 배열 방향의 양단의 배선 중 다른 쪽의 배선의 바깥쪽에는, 해당 배선과의 사이에 기생 용량을 생성하는 제2 보조 배선이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은, 상기 입력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1 전극의 한쪽의 끝으로부터 상기 입력 영역의 끝변을 따르도록 상기 복수의 제1 단자까지 연장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배선의 배열 방향의 양단의 배선 중, 상기 입력 영역과는 반대측의 배선에 상기 제1 보조 배선이 병렬하고, 상기 입력 영역 측의 배선에 상기 제2 보조 배선이 병렬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상기 입력 영역의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의 양쪽의 끝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2 단자까지 연장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전극의 양쪽의 끝 중, 한쪽의 끝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은 다른 쪽의 끝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과 길이가 다르고,
    상기 양쪽의 끝으로부터 연장하는 상기 복수의 제2 배선 중, 상기 배선의 길이가 긴 쪽의 상기 복수의 제2 배선의 바깥쪽에 상기 제1 보조 배선이 연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를 구비한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에 있어서의 입력면과는 반대측에 화상 생성 장치가 겹쳐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7. 제6항에 기재된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90024808A 2008-03-26 2009-03-24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KR101031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79906A JP4582169B2 (ja) 2008-03-26 2008-03-26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8-079906 2008-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63A KR20090102663A (ko) 2009-09-30
KR101031120B1 true KR101031120B1 (ko) 2011-04-27

Family

ID=41116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4808A KR101031120B1 (ko) 2008-03-26 2009-03-24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31409B2 (ko)
JP (1) JP4582169B2 (ko)
KR (1) KR101031120B1 (ko)
CN (2) CN101546243B (ko)
TW (1) TWI4073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073B1 (ko) 2012-03-30 2015-02-16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3254B2 (ja) * 2008-04-16 2012-12-1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静電容量方式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る画面入力型表示装置
JP2009265748A (ja) * 2008-04-22 2009-11-12 Hitachi Displays Ltd 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5033078B2 (ja) * 2008-08-06 2012-09-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JP2010108222A (ja) * 2008-10-30 2010-05-13 Kyocera Corp タッチパネルおよびタッチパネル型表示装置
JP5113773B2 (ja) * 2009-01-20 2013-01-0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表示装置
JP5106471B2 (ja) * 2009-04-24 2012-12-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082607B1 (ko) 2009-10-16 2011-11-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패널용 면상 부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611906B1 (ko) * 2009-10-27 2016-04-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을 갖는 입체 영상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5537915B2 (ja) 2009-12-01 2014-07-02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
JP2011128674A (ja) * 2009-12-15 2011-06-30 Sony Corp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73215B1 (ko) * 2010-03-05 2011-10-1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평판표시장치
TWI471798B (zh) * 2010-03-12 2015-02-01 Alps Electric Co Ltd Input device
JP5520093B2 (ja) * 2010-03-16 2014-06-1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KR101101053B1 (ko) * 2010-03-16 2011-12-29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CN102200866B (zh) * 2010-03-24 2015-11-2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互电容触摸感应装置及其检测方法、触摸显示装置
US8363034B2 (en) 2010-04-14 2013-01-29 Panasonic Corporation Touch panel device
CN102221945B (zh) * 2010-04-14 2015-06-10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摸屏、液晶显示器及驱动检测方法
TWI420362B (zh) 2010-04-19 2013-12-21 Au Optronics Corp 觸控面板
CN101882021A (zh) * 2010-06-08 2010-11-10 苏州瀚瑞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板的布图方法
KR101333000B1 (ko) * 2010-07-22 2013-11-25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입력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20026123A1 (en) * 2010-07-30 2012-02-02 Grunthaner Martin Paul Compensation for Capacitance Change in Touch Sensing Device
KR101323004B1 (ko) * 2010-10-01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323052B1 (ko) * 2010-10-01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KR101323033B1 (ko) 2010-10-20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JP5730551B2 (ja) * 2010-12-01 2015-06-10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による指示位置を検出するための検出センサ、指示体位置検出装置および検出センサの製造方法
CN103430134B (zh) * 2011-01-19 2017-03-29 Lg伊诺特有限公司 触摸板及其制造方法
KR101908492B1 (ko) 2011-04-12 2018-10-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일체형 표시 장치
JP2012238066A (ja) 2011-05-10 2012-12-06 Japan Display East Co Ltd 静電容量方式の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KR101868473B1 (ko) * 2011-08-11 2018-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스크린 일체형 표시 장치
KR101475106B1 (ko) * 2011-08-23 2014-12-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 방식 터치 스크린 패널 및 그 제조방법
US9259904B2 (en) * 2011-10-20 2016-02-16 Apple Inc. Opaque thin film passivation
KR101197460B1 (ko) * 2012-01-27 2012-11-12 크루셜텍 (주) 기생 정전 용량을 저감시키는 터치 검출 장치 및 그 방법
JP5865819B2 (ja) * 2012-02-10 2016-02-1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
JP5876351B2 (ja) * 2012-03-29 2016-03-02 三菱製紙株式会社 光透過性電極
WO2013145464A1 (ja) * 2012-03-29 2013-10-03 京セラ株式会社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032794B2 (ja) * 2012-06-08 2016-11-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KR101968929B1 (ko) * 2012-09-11 2019-04-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센서 기판,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센싱 표시 패널
KR101628724B1 (ko) * 2012-11-13 2016-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일체형 표시장치
JP2014102747A (ja) * 2012-11-21 2014-06-05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装置の制御方法
US9379704B2 (en) * 2012-12-24 2016-06-28 Htc Corporation Touch panel
JP5722954B2 (ja) 2013-06-23 2015-05-27 日本写真印刷株式会社 押圧検出機能付タッチパネル
KR102037515B1 (ko) * 2013-08-29 2019-10-2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CN105706029B (zh) * 2013-10-08 2019-09-13 株式会社村田制作所 触觉提示装置
KR102211863B1 (ko) * 2013-10-15 2021-02-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JP6502012B2 (ja) * 2013-11-22 2019-04-17 株式会社Vtsタッチセンサー 透明導電性積層体、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CN104750888A (zh) * 2013-12-30 2015-07-01 北京华大九天软件有限公司 一种版图中两组垂直端口之间直角等宽度连接的布线方法
CN103970393A (zh) * 2014-05-23 2014-08-06 山东华芯富创电子科技有限公司 跨桥式电容式触控面板结构及其制作方法
KR101867971B1 (ko) 2014-06-12 2018-06-15 미쓰비시 세이시 가부시키가이샤 광투과성 도전재료
JP2016009213A (ja) * 2014-06-20 2016-01-18 ホシデン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TWI615749B (zh) * 2014-11-28 2018-02-21 Sharp Kk 具有位置輸入功能之顯示裝置
US20180011575A1 (en) * 2015-01-21 2018-01-11 Lg Innotek Co., Ltd. Touch window
JP2016162305A (ja) * 2015-03-03 2016-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456230B2 (ja) * 2015-04-21 2019-01-23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6562706B2 (ja) * 2015-05-13 2019-08-21 三菱電機株式会社 面デバイス、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液晶表示装置
JP5981005B2 (ja) * 2015-09-02 2016-08-31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5446533B (zh) * 2015-11-19 2018-08-31 业成光电(深圳)有限公司 触控面板之线路结构
CN106066740B (zh) 2016-08-02 2019-02-12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和触控显示装置
JP6240278B2 (ja) * 2016-08-10 2017-11-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パネル内蔵型液晶表示装置
US10976581B2 (en) * 2017-02-06 2021-04-13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KR102421927B1 (ko) * 2017-06-01 2022-07-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디스플레이 장치
WO2019114913A2 (ar) * 2017-12-14 2019-06-20 محمد أحمد الجميل، استعادة الطاقة فى الأجهزة السعوية التى تعمل بصفة تكرارية
KR102502274B1 (ko) * 2018-02-21 2023-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150881B1 (ko) 2019-03-21 2020-09-0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 및 이를 형성하는 노광 마스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694A (ja) * 1993-04-13 1994-10-28 Nec Corp 半導体装置
KR20070006609A (ko) * 2005-07-08 2007-01-11 필립 해럴드 2차원 위치센서
JP2007184125A (ja) * 2006-01-05 2007-07-19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および画像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40934A (ja) * 1988-11-21 1990-05-30 Nec Corp 半導体装置
JP2002237188A (ja) * 2001-02-13 2002-08-23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記憶装置
JP2004030086A (ja) * 2002-06-25 2004-01-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半導体集積回路の設計方法
JP4435622B2 (ja) * 2004-05-25 2010-03-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静電容量式の検出装置
TWI271645B (en) * 2005-04-19 2007-01-21 Elan Microelectronics Corp Capacitive touchpad with a physical key function
JP2007018226A (ja) * 2005-07-07 2007-01-25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タッチパネルセンサー
JP2007122326A (ja) * 2005-10-27 2007-05-17 Alps Electric Co Ltd 入力装置および前記入力装置を使用した電子機器
US20070268272A1 (en) * 2006-05-19 2007-11-22 N-Trig Ltd. Variable capacitor array
US20080047764A1 (en) * 2006-08-28 2008-02-28 Cypress Semiconductor Corporation Temperature compensation method for capacitive sensors
JP5380723B2 (ja) * 2007-08-07 2014-01-08 Nlt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面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2694A (ja) * 1993-04-13 1994-10-28 Nec Corp 半導体装置
KR20070006609A (ko) * 2005-07-08 2007-01-11 필립 해럴드 2차원 위치센서
JP2007184125A (ja) * 2006-01-05 2007-07-19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および画像印刷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4073B1 (ko) 2012-03-30 2015-02-16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663A (ko) 2009-09-30
CN102087568B (zh) 2013-11-13
TW200945157A (en) 2009-11-01
CN101546243B (zh) 2011-09-21
JP2009237673A (ja) 2009-10-15
TWI407353B (zh) 2013-09-01
CN102087568A (zh) 2011-06-08
CN101546243A (zh) 2009-09-30
JP4582169B2 (ja) 2010-11-17
US20090244021A1 (en) 2009-10-01
US8531409B2 (en) 201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1120B1 (ko)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JP4720857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
JP4506785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
JP4998919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
JP4888589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300640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および入力装置付き電気光学装置
CN103176674B (zh) 触控面板及触控显示面板
CN107422931B (zh)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US9086766B2 (en)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panel
JP5370723B2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CN102707831B (zh) 触摸板和具有该触摸板的触摸屏
KR101410584B1 (ko) 터치 패널 및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WO2010016174A1 (ja) 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9259203A (ja)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72858B2 (ja) タッチスイッチ
JP2010061384A (ja) 入力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携帯情報処理装置
US9459735B2 (en) Electrode pattern structure of a capacitive touch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13156949A (ja) タッチパネル
US10306758B2 (en) Enhanced conductors
JP2020149563A (ja)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20022108A1 (ja) タッチセンサ
JP2012221477A (ja) 入力装置、表示装置、および携帯端末
KR20130104845A (ko) 표시장치용 정전용량식 터치 감지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