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4073B1 -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4073B1
KR101494073B1 KR20130026628A KR20130026628A KR101494073B1 KR 101494073 B1 KR101494073 B1 KR 101494073B1 KR 20130026628 A KR20130026628 A KR 20130026628A KR 20130026628 A KR20130026628 A KR 20130026628A KR 101494073 B1 KR101494073 B1 KR 101494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portions
connection
peripheral region
transparent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26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1297A (ko
Inventor
기요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111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12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4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4073B1/ko

Links

Images

Abstract

(과제) 특히, 좌표 입력이나 제스처 조작의 응답성이 우수함과 함께 종래와 비교하여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해결 수단) 투명 기재 (2) 와, 투명 기재의 입력 영역 (11) 에 형성된 투명 전극 (4, 5) 과, 투명 전극의 단부로부터 입력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 (25) 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배선부 (6) 와,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 (15, 17) 를 갖는 센서 기판 (9), 및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을 구비한다. 배선부는 투명 전극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제 1 배선부 (6a) 와 제 2 단부로부터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제 2 배선부 (6b) 를 구비하고, 제 1 단자부 (15) 는 제 1 배선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배선부와 상기 제 2 배선부는, 주변 영역에서 배선 접속부 (18)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CAPACITIVE INPUT DEVICE}
본 발명은, 입력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에 형성되는 배선 구조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에는, 센서 기판에 형성된 각 전극의 양측에서부터 배선부가 인출 (引出) 되고, 각 배선부 선단의 단자부끼리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내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인용문헌 1 의 도 5 참조).
특허문헌 1 과 같이 전극의 양측에서부터 배선부를 인출하여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에 접속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고, 전하의 차지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128676호
그러나 전극의 양측에서부터 배선부를 인출하여, 각 배선부의 단부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의 접속용 단자로 하고 있기 때문에,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센서 기판측에서의 단자부의 수가 늘어나, 그 결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 1 에서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내부에서 센서 기판의 전극으로부터 인출된 단자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고 있는데, 스루 홀 등을 형성하여 접속시키는 복잡한 적층 구조를 필요로 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의 사이즈가 커지고,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내에서 적층 구조가 필요하게 되어, 생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좌표 입력이나 제스처 조작의 응답성이 우수함과 함께 종래와 비교하여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는,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입력 영역에 형성된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의 단부로부터 상기 입력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배선부와, 상기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를 갖는 센서 기판, 및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투명 전극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제 1 배선부와, 상기 투명 전극의 상기 제 1 단부와 상이한 제 2 단부로부터 상기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제 2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 1 배선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 1 단자부를 갖고,
상기 제 1 배선부와 상기 제 2 배선부는 상기 주변 영역에서 제 1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제 1 배선부와 제 2 배선부 사이를 센서 기판측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지 않고, 각 배선부의 단부에 배선 기판과의 접속용 단자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제 1 배선부와 제 2 배선부를 센서 기판측에서 제 1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단자부를 제 1 배선부의 단부에 형성하기만 하면 충분하여, 단자 수를 반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기판의 사이즈를 종래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배선 기판측을 적층화할 필요도 없다. 이상으로부터, 생산 비용을 종래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투명 전극, 상기 제 1 단자부, 상기 제 1 배선부, 상기 제 2 배선부 및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는 각각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선부 및 상기 제 2 배선부는, 같은 상기 투명 전극으로부터 인출된 배선끼리가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는, 평면시 (平面視) 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배선부의 수가 늘어나도, 센서 기판측에서 적절하게 배선 접속부에 의해 같은 상기 투명 전극으로부터 인출된 배선끼리를 평면적으로 접속할 수 있어, 센서 기판의 박형화와 함께 입력 영역 이외의 주변 영역의 기생 용량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투명 전극의 양측에서부터 인출된 제 1 배선부와 제 2 배선부가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고, 전하의 차지 시간을 빠르게 함으로써, 좌표 입력이나 제스처 조작의 응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평면시로 직교하는 2 방향을 X1-X2 방향 및 Y1-Y2 방향으로 했을 때,
각 제 1 배선부는, 상기 입력 영역의 X1 측에 위치하는 X1 측 주변 영역에서부터 상기 입력 영역의 Y1 측에 위치하는 Y1 측 주변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각 제 2 배선부는, 상기 입력 영역의 X2 측에 위치하는 X2 측 주변 영역에서부터 상기 Y1 측 주변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 1 배선부의 단부에 제 1 단자부가 형성되고, 각 제 1 단자부가, 상기 Y1 측 주변 영역에서 X1-X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고,
각 제 1 배선 접속부가, 상기 Y1 측 주변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단자부의 Y1 측 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 2 배선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회 (引回) 되어 상기 각 제 2 배선부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각 제 1 배선 접속부의 표면은 제 1 절연층으로 덮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각 제 1 단자부를 컴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는 것과 함께, 각 제 1 단자부 사이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배선 기판의 전기 접속부와 각 제 1 단자부를 확실히 접속할 수 있는 것과 함께, 배선 기판의 전기 접속부와 제 1 배선 접속부의 단락을 제 1 절연층에 의해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 및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에 접속되는 상기 제 1 배선부 및 상기 제 2 배선부는, 상기 입력 영역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각 제 1 배선 접속부를 좁은 영역 내에서 평면적으로 효율적이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상기 투명 전극은, X1-X2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면서 또한 Y1-Y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보다 센서 기판의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상기 투명 전극은,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과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을 제 1 연결부를 개재하여 X1-X2 방향으로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 연결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연결체는 Y1-Y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제 2 투명 전극을,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이간된 위치에 형성하고 제 2 연결부를 개재하여 Y1-Y2 방향으로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 연결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 연결체는 X1-X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제 1 투명 전극부 사이의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각 제 2 투명 전극부 사이의 상기 제 2 연결부가 제 2 절연층을 개재하여 평면시로 교차되어 있고,
상기 각 제 1 전극 연결체의 X1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단부 및 X2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 1 배선부 및 상기 제 2 배선부가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센서 기판의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제 2 전극 연결체의 상기 Y1 측의 제 3 단부로부터 제 3 배선부가 상기 Y1 측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고, 상기 각 제 2 전극 연결체의 상기 Y2 측의 제 4 단부로부터 제 4 배선부가 상기 Y2 측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며, 상기 제 4 배선부는 상기 Y2 측 주변 영역에서부터 상기 Y1 측 주변 영역까지 인회되어 있고,
상기 각 제 2 전극 연결체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 3 배선부와 상기 제 4 배선부가, 상기 제 3 배선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 2 단자부를 개재하여 제 2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배선부 및 상기 제 4 배선부가 제 1 배선부 및 제 2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을 Y1-Y2 방향으로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각 제 2 전극 연결체에 대해서도, Y1-Y2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배선부를 인출하여 제 2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어, 좌표 입력이나 제스처 조작에 대한 응답성이 보다 우수한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제 2 배선 접속부는 상기 각 제 1 배선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각 제 2 배선 접속부는 상기 제 1 절연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상기 제 2 배선 접속부의 표면은 제 3 절연층으로 덮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 1 배선 접속부와 제 2 배선 접속부의 절연성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배선 기판의 전기 접속부와 각 제 2 단자부를 확실히 접속할 수 있음과 함께, 배선 기판의 전기 접속부와 제 2 배선 접속부의 단락을 제 3 절연층에 의해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배선부 및 상기 제 2 배선부와, 제 2 배선 접속부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할 수 있다. 이로써, 제 2 배선 접속부를 갖는 부분에서는 적층 구조가 되지만, 센서 기판의 다른 영역에서의 프로세스와 동일 공정을 이용하여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배선 기판측을 적층화하는 것보다 생산 비용의 저감을 효과적으로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일방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또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과 별개체로 접속된 브리지 배선을 구성하고,
상기 브리지 배선과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 또는 상기 브리지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 접속부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에 의하면, 제 1 배선부와 제 2 배선부를 센서 기판측에서 제 1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제 1 단자부를 제 1 배선부의 단부에 형성하기만 하면 충분하여, 단자부의 수를 반감할 수 있다. 따라서, 배선 기판의 사이즈를 종래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배선 기판측을 적층화할 필요도 없다. 또, 동일한 투명 전극의 양측에서부터 인출된 제 1 배선부와 제 2 배선부가 제 1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고, 전하의 차지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좌표 입력이나 제스처 조작의 응답성을 빠르게 할 수 있다. 이상으로부터, 좌표 입력이나 제스처 조작의 응답성이 우수함과 함께, 생산 비용을 종래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터치 패널) 의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에 나타내는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전 용량식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1(c) 는 도 1(b) 와는 일부 상이한 정전 용량식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a) 는 도 1(a) 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전 용량식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와는 상이한 배선부에서 배선 접속부에 걸친 패턴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터치 패널) 의 평면도이고, 도 3(b) 는 도 3(a) 에 나타내는 B-B 선을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a) 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전 용량식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5(a)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투명 전극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5(b) 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5(c) 는 도 5(b) 와는 일부 상이한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a)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터치 패널) 의 평면도이고, 도 1(b) 는 도 1(a) 에 나타내는 A-A 선을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정전 용량식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1(c) 는 도 1(b) 와는 일부 상이한 정전 용량식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2(a) 는 도 1(a) 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전 용량식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3(a)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터치 패널) 의 평면도이고, 도 3(b) 는 도 3(a) 에 나타내는 B-B 선을 따라 절단하여 화살표 방향에서 본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또한, 도 4 는 도 3(a) 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정전 용량식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5(a)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투명 전극의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 확대 평면도이고, 도 5(b) 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고, 도 5(c) 는 도 5(b) 와는 일부 상이한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의 평면도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투명」「투광성」이란 가시광선 투과율이 50 %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 이상) 인 상태를 가리킨다. 그리고 헤이즈값이 6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1) 는, 센서 기판 (9) 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배선 기판) (21) 을 갖고 구성된다.
센서 기판 (9) 은, 투명 기재 (2) 와,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형성된 복수의 투명 전극 (4, 5) 및 복수의 배선부 (6) 를 구비한다. 도 5(b) 와 같이, 투명 기재 (2) 의 표면측에는 투명 패널 (3) 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도 1(a) 는 투명 패널 (3) 을 투시한 도면이라고 해도 된다. 또 투명 전극은 투명하기 때문에 시인할 수 없지만, 도 1 에서는 투명 전극의 외형을 나타내고 있다. 투명 기재 (2) 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등의 필름상 투명 기재나 유리 기재 등으로 형성된다. 또한 각 투명 전극 (4, 5) 은 ITO (Indium Tin Oxide) 등의 투명 도전 재료로 스퍼터나 증착에 의해 성막된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기판 (9) 의 입력 영역 (표시 영역) (11) 내에는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4) 과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5) 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4) 은, 도 1(a), 도 5(b) 에 나타내는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형성되고, 도 5(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투명 전극 (4) 은 가느다란 제 1 연결부 (7) 를 개재하여 X1-X2 방향 (제 1 방향) 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1-X2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 (4) 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 연결체 (8) 가 Y1-Y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각 제 1 투명 전극 (4) 과 각 제 1 연결부 (7) 는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5) 은, 도 1(a), 도 5(a) (b) 에 나타내는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 2 투명 전극 (5) 은 제 1 투명 전극 (4) 과 동일한 면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형성된다. 도 5(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2 투명 전극 (5) 은, 별개체로 형성된 가느다란 브리지 배선 (10) (제 2 연결부) 를 개재하여 Y1-Y2 방향 (제 2 방향) 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1-Y2 방향으로 연결된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5) 으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 연결체 (12) 가 X1-X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도 5(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투명 전극 (4) 사이를 연결하는 제 1 연결부 (7) 의 표면에는 절연층 (제 2 절연층) (20)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5(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리지 배선 (10) 은, 절연층 (20) 의 표면 (20a) 에서부터 절연층 (20) 의 Y1-Y2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 제 2 투명 전극 (5) 사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브리지 배선은, 각 제 2 투명 전극 (5)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다.
도 5(a) (b) 에 나타내는 구성에 의해, 제 1 투명 전극 (4) 과 제 2 투명 전극 (5) 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투명 전극 (4) 과 제 2 투명 전극 (5) 을 동일한 면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에 형성할 수 있어,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1) 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도 5 와 달리, 제 1 연결부 (7) 가 절연층 (20) 의 표면에 형성되는 별개체의 브리지 배선을 구성하고, 제 2 투명 전극 (5) 사이를 연결하는 제 2 연결부가 제 2 투명 전극 (5) 과 동일한 형성면에서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영역 (11) 의 주위는 액자상 주변 영역 (비입력 영역) (25) 으로 되어 있다. 입력 영역 (11) 은 투명, 투광성이지만, 주변 영역 (25) 은, 도 5(b) 에 나타내는 투명한 패널 (3) 의 이면 (3b) 에 형성되는 가식층 (加飾層) (도시 생략) 에 의해 불투명, 비투광성의 가식 영역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식층은, 배선부 (6), 단자부 (15, 17), 배선 접속부 (18) 를 조작자로부터 차폐하는 것과 함께, 조작자에게 심미성을 부여할 수 있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변 영역 (25) 에는, 각 제 1 전극 연결체 (8) 의 X1-X2 방향의 양측 단부로부터 인출된 복수 개의 배선부 (6)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배선부는, Cu, Cu 합금, CuNi합금, Ni, Ag 등의 금속 재료를 갖고 형성된다. 또, 각 배선부는, 각 투명 전극으로부터 ITO 가 일체적으로 인출되어, ITO 표면에 상기 금속 재료가 형성된 적층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각 제 1 전극 연결체 (8) 의 X1 측 단부 (제 1 단부) (8a) 로부터, 주변 영역 (25) 의 X1 측 주변 영역 (25a) 으로 인출된 배선부를 제 1 배선부 (6a) 로 하고, 각 제 1 전극 연결체 (8) 의 X2 측 단부 (제 2 단부) (8b) 로부터, 주변 영역 (25) 의 X2 측 주변 영역 (25b) 으로 인출된 배선부를 제 2 배선부 (6b) 로 한다. 또, 제 1 단부와 제 2 단부와는 상이한 단부로, 인출 방식에 따라 제 1 단부와 제 2 단부를 X1-X2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인출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 1 단부를 입력 영역의 X1 측 단부, 제 2 단부를 입력 영역의 Y1 측 단부로 할 수도 있다.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 1 배선부 (6a) 는, X1 측 주변 영역 (25a) 에서부터 Y1 측 주변 영역 (25c) 에 걸쳐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 2 배선부 (6b) 는, X2 측 주변 영역 (25b) 에서부터 Y1 측 주변 영역 (25c) 에 걸쳐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어 있다.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1 측 주변 영역 (25c) 에서, 각 제 1 배선부 (6a) 의 선단부는 제 1 단자부 (15) 를 구성하고 있다. 제 1 단자부 (15) 는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과의 접속용 단자이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부호 6b 를 제 1 배선부로 하고, 부호 6a 를 제 2 배선부로서 정의한 경우에는, 도 2 에 나타내는 배선부 (6b) 의 선단에 제 1 단자부 (16) 를 형성하고, 또한 그 때에는 절연층 (19) 으로부터 제 1 단자부 (16) 를 노출시킨다.
또한, 도 2(a) 에 나타내는 제 1 배선부 (6a) 의 선단부에 제 1 단자부 (15) 를 형성하는 것과 함께, 제 2 배선부 (6b) 의 선단에 더미인 단자부 (16) 를 형성해도 된다. 좌우 대칭적인 배선 구조로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단자부 (15) 를 제 1 배선부 (6a) 와 상이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지만, 동일 재질로 하여 각 제 1 단자부 (15) 와 각 배선부 (6a) 를 일체 형성하는 것이 제조 공정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부 (15) 의 폭은 제 1 배선부 (6a) 의 배선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또한,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1 측 주변 영역 (25c) 에는, 각 제 2 전극 연결체 (12) 의 Y1 측 단부 (제 3 단부) (12a) 로부터 인출된 복수 개의 제 3 배선부 (6c) 가 형성되어 있다. 각 제 3 배선부 (6c) 의 선단은 제 2 단자부 (17) 를 구성하고 있다.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단자부 (15) 및 제 2 단자부 (17) 는 X1-X2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일한 제 1 전극 연결체 (8) 의 양측에서 인출된 제 1 배선부 (6a) 와 제 2 배선부 (6b) 가 제 1 배선 접속부 (18)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2 배선부 (6b) 와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각 제 2 배선부 (6b) 와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의 경계를 엄밀하게 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각 제 1 배선부 (6a) 와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의 경계와 같은 위치로 규정할 수 있다.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는, 각 제 1 단자부 (15) 의 Y1 측 단부로부터 Y1 방향으로의 영역을 향하여 인출되고, 제 2 배선부 (6b) 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회되어 각 제 2 배선부 (6b) 와 일체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는, Y1 측 주변 영역 (25c) 으로서, 제 1 단자부 (15) 보다도 입력 영역 (11) 에서 떨어져 있는 영역 (제 1 단자부 (15) 보다 Y1 측 영역) 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배선부 (6a) 의 도중에서부터 패턴이 분기되어, 일방이 제 1 단자부 (15) 가 되고, 타방이 배선 접속부 (18) 를 개재하여 제 2 배선부 (6b) 에 연결되는 형태로 해도 되지만, 제 1 배선부 (6a) 의 도중에서 분기되는 형태로 하면, X1-X2 방향으로 배열하는 복수의 단자부 (15, 17) 사이의 매우 좁은 영역에 패턴을 통과시키는 것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단자부 (15) 의 Y1 측 단부로부터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를, 제 1 단자부 (15) 보다 Y1 측 영역을 향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의 표면은 절연층 (제 1 절연층) (19) 에 의해 덮여져 있다. 또, 제 1 단자부 (15) 및 제 2 단자부 (17) 의 표면은 절연층 (19) 으로 덮여 있지 않고 노출되어 있다.
도 1(b),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는 각 제 1 단자부 (15) 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배선부 (6a, 6b), 각 제 1 단자부 (15) 및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는 일체적으로 패턴 형성되어 있다.
또는 도 1(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와 제 1 단자부 (15) 를 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예를 들어 제 1 배선 접속부 (18) 를, 도 5 에서 나타낸 브리지 배선 (10) 과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로써, 배선 접속부 (18) 와 브리지 배선 (10) 을 동일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브리지 배선 (10) 및 제 1 배선 접속부 (18) 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Au, Au 합금이나 CuNi 등의 금속층의 단층 구조, 혹은, 금속층의 상면 또는 하면, 또는 그 쌍방에 ITO 를 구비하는 적층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일점쇄선은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배선 기판) (21) 을 나타내고 있다. 도 1(b) (c),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에는 센서 기판 (9) 과의 대향면측에 복수의 배선부 (23) 가 형성되고, 또한 각 배선부 (23) 의 선단에 전기 접속부 (22)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배선부 (23) 는, 전기 접속부 (22) 이외의 부분이 절연층 (24) 으로 덮여져 있다. 또 배선 기판은, 반드시 플렉시블한 프린트 기판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을 사용하는 것이 전기 기기에 대한 조립 용이성, 취급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의 각 전기 접속부 (22) 와, 센서 기판 (9) 의 각 제 1 단자부 (15) 및 각 제 2 단자부 (17)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전기 접속부 (22) 와 각 단자부 (15, 17) 사이는 예를 들어 이방성 접착제를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2) 의 표면 (2a) 측과 패널 (3) 사이가 광학 투명 점착층 (OCA ; Optical Clear Adhesive) (30) 를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패널 (3) 은 특별히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유리 기재나 플라스틱 기재가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광학 투명 점착층 (OCA) (30) 은 아크릴계 점착제나 양면 점착 테이프 등이다.
또한, 도 5(a)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명 기재 (2) 의 이면 (2b) 측에 각 투명 전극 (4, 5), 절연층 (20) 및 브리지 배선 (10) 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각 배선층, 각 단자부 및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도 투명 기재 (2) 의 이면 (2b) 측에 형성된다. 도 5(a) (c) 에서는, 투명 기재 (2) 의 이면 (2b) 에 광학 투명 점착층 (OCA) (28) 을 통해서 별도의 투명 기재 (26) 가 접합되어 있다.
도 1(a) 에 나타내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1) 에서는, 도 5(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손가락 (F) 을 패널 (3) 의 조작면 (3a) 상에 접촉시키면, 손가락 (F) 과 손가락 (F) 에 가까운 제 1 투명 전극 (4) 의 사이 및 제 2 투명 전극 (5) 의 사이에서 정전 용량이 발생한다. 이 때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손가락 (F) 의 접촉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손가락 (F) 의 위치는, 제 1 투명 전극 (4) 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Y 좌표를 검지하고, 제 2 투명 전극 (5) 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 변화에 기초하여 X 좌표를 검지한다 (자기 용량 검출형). 또한, 제 1 투명 전극 (4) 과 제 2 투명 전극 (5) 중 일방의 제 1 투명 전극의 일렬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고, 타방의 제 2 투명 전극에 의해 손가락 (F) 과의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검지하여 제 2 투명 전극에 의해 X 위치를 검지하고, 제 1 투명 전극에 의해 Y 위치를 검지하는 상호 용량 검출형이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제 1 전극 연결체 (8) 의 양측으로부터 제 1 배선부 (6a) 및 제 2 배선부 (6b) 가 주변 영역 (25) 으로 인출되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에 접속된다. 이로써 전기 저항을 저감할 수 있고, 전하의 차지 시간을 빠르게 할 수 있어, 좌표 입력이나 제스처 조작에 대하여 양호한 응답성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종래에는, 센서 기판 (9) 측에서는 제 1 배선부 (6a) 와 제 2 배선부 (6b)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각 배선부 (6a, 6b) 의 단부를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과의 단자부로 할 필요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배선부 (6a) 와 제 2 배선부 (6b) 를 센서 기판 (9) 측에서 배선 접속부 (18)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센서 기판 (9) 측에서 제 1 배선부 (6a) 로부터 제 2 배선부 (6b) 에 이르는 연속된 배선 패턴을 형성할 수 있고, 따라서, 각 배선 패턴에 각각 하나씩 단자부 (15, 17) 를 형성하기만 하면 되어, 단자 수를 종래보다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의 사이즈를 종래와 비교하여 작게 형성할 수 있다.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의 폭치수 (t1) 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의 표면 (센서 기판 (9) 과의 대향면측) 에 복수의 배선부 (23) 및 전기 접속부 (22) 를 평면적으로 형성할 수 있어 (도 2(a) 참조), 종래와 같이 적층화할 필요도 없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1) 에 의하면, 종래와 비교하여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센서 기판 (9) 측에서 각 제 1 배선부 (6a) 와 각 제 2 배선부 (6b) 를 제 1 배선 접속부 (18) 에 의해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의 형성이나,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측과의 전기 절연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층 (19) 의 형성이 필요하게 되지만, 이들 층은 다른 층의 형성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 가능하여, 제조 공정이 번잡해지는 일이 없고,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측의 층 구성이나 크기를 변경하는 것보다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제 1 배선 접속부 (18) 가 형성되고,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가 평면시 (두께 방향 (Z)) 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평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배선 접속부 (18) 가 형성된 부분의 두께가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극단적으로 두꺼워지는 일이 없이, 센서 기판 (9) 의 박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는 각 제 1 단자부 (15) 의 Y1 측 단부로부터 주변 영역 (25) 의 Y1 측으로 인출되고, 제 2 배선부 (6b) 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회되어 각 제 2 배선부 (6b) 까지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제 1 단자부 (15) 에서 보아, 입력 영역 (11) 에서 멀어지는 측의 영역을 사용하여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를 형성함으로써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고,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가 두께 방향에서 겹치지 않도록 적절하면서 또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a), 도 2(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1 배선부 (6a) 는 Y1 측 주변 영역 (25c) 의 X1 측에 배열되고, 각 제 2 배선부 (6b) 는 Y1 측 주변 영역 (25c) 의 X2 측에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제 1 배선부 (6a) 및 각 제 2 배선부 (6b) 중, X1-X2 방향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 제 1 배선부 (6a1) 와 제 2 배선부 (6b1) (도 2(a) 에 부호를 붙여 나타내었다) 가 동일한 제 1 전극 연결체 (8) 로부터 인출된 짝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제 1 배선부 (6a1) 및 제 2 배선부 (6b1) 의 하나 바깥측에 배치된 제 1 배선부 (6a2) 와 제 2 배선부 (6b2) (도 2(a) 에 부호를 붙여 나타내었다) 가 동일한 제 1 전극 연결체 (8) 로부터 인출된 짝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제 1 배선부 (6a2) 및 제 2 배선부 (6b2) 의 하나 바깥측에 배치된 (가장 바깥측에 배치된) 제 1 배선부 (6a3) 와 제 2 배선부 (6b3) (도 2(a) 에 부호를 붙여 나타내었다) 가 동일한 제 1 전극 연결체 (8) 로부터 인출된 짝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가장 안쪽에 배치된 제 1 배선부 (6a1) 와 제 2 배선부 (6b1)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배선 접속부 (18a) 가 가장 안쪽에 배치되고, 제 1 배선부 (6a2) 와 제 2 배선부 (6b2)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1 배선 접속부 (18b) 가 상기 배선 접속부 (18a) 의 바깥측에 배치되며, 가장 바깥측에 배치된 제 1 배선부 (6a3) 와 제 2 배선부 (6b3) 사이를 접속하는 제 1 배선 접속부 (18c) 가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 (18b) 의 바깥측에 배치되어 각 배선 접속부 중에서는 가장 바깥측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는, X1-X2 방향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상기 짝에 대한 제 1 배선 접속부 (18a) 에서, X1-X2 방향의 가장 바깥측의 상기 짝에 대한 제 1 배선 접속부 (18c) 에 걸쳐서 순서대로 X1-X2 방향 및 Y1 방향으로 넓어지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각 제 1 배선부 (6a), 각 제 2 배선부 (6b) 및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를 배치함으로써 좌우 대칭인 패턴 형성을 가능하게 하고, 간단하면서 또한 적절하게 각 배선부 및 배선 접속부를 패턴 형성할 수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40) 는, 도 1 에 나타내는 제 1 실시형태의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1) 와 달리, 제 2 전극 연결체 (12) 의 Y1-Y2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배선부를 주변 영역 (25) 안으로 인출하고 있다. 또 도 3 에서는, 각 투명 전극, 각 제 1 배선부, 각 제 2 배선부, 제 1 배선 접속부의 구성은 특별히 도 1 과 변하지 않기 때문에 부호를 생략하였다.
도 3(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2 전극 연결체 (12) 의 Y1 측 단부 (제 3 단부) (12a) 로부터 제 3 배선부 (6c) 가 인출되고, 각 제 2 전극 연결체 (12) 의 Y2 측 단부 (12b) 로부터 제 4 배선부 (6d) 가 인출되고 있다. 각 제 4 배선부 (6d) 는 Y2 측 주변 영역 (25d) 에서 X1 측 주변 영역 (25a) 또는 X2 측 주변 영역 (25b) 을 통과하여, Y1 측 주변 영역 (25c) 까지 인출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3 배선부 (6c) 의 선단에 위치하는 각 제 2 단자부 (17) 의 Y1 측 단부로부터 제 2 배선 접속부 (42) 가 Y1 방향으로 인출되고, 제 4 배선부 (6d) 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회되어 제 4 배선부 (6d) 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 4 배선부 (6d) 는, 각 단자부 (15, 17) 의 Y1 측 단부의 위치 부근까지 인출되어 있다.
도 3(b),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배선 접속부 (42) 는, 절연층 (19) 의 표면 (19a) 에 형성된다.
도 3(b),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배선 접속부 (42) 는 제 2 단자부 (17)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배선 접속부 (42) 는, 절연층 (19) 에 형성된 스루 홀 (19b) 을 통해서 제 4 배선부 (6d) 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각 제 2 배선 접속부 (42) 는, 제 1 배선부 (6a) 로부터 제 2 배선부 (6b) 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와 절연층 (19) 을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로 되어 있다. 각 제 2 배선 접속부 (42) 는 각 제 1 배선 접속부 (18) 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면, 도 3(a), 도 4 이외의 패턴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또한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제 2 배선 접속부 (42) 의 표면은 제 3 절연층 (43) 에 의해 덮여 있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 (5) 을 Y1-Y2 방향으로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각 제 2 전극 연결체 (12) 에 대해서도, Y1-Y2 방향의 양측에서부터 배선부 (6c, 6d) 를 인출하여, 제 2 배선 접속부 (42) 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수 있다. 이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좌표 입력이나 제스처 조작에 대한 응답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제 2 배선 접속부 (42) 와 제 1 배선 접속부 (18) 사이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킬 필요가 있어, 도 3(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 구조가 되지만, 센서 기판 (9) 의 다른 영역에서의 프로세스와 동일 공정을 이용하여 적층 구조를 형성할 수 있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1) 측을 적층화하는 것보다 생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도 4 의 구성에서는, 절연층 (19) (제 1 절연층) 을 도 5 에 나타내는 절연층 (20) (제 2 절연층) 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또한 제 2 배선 접속부 (42) 를, 도 5 에 나타내는 브리지 배선 (10) 과 동일 공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에서 나타낸 입력 영역 (11) 내에 형성되는 투명 전극 (4, 5) 의 구성은 일례로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6 과 같이, X1-X2 방향으로 가늘고 긴 복수의 투명 전극 (45) 이 Y1-Y2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각 투명 전극 (45) 의 X1-X2 방향의 양측에서부터 주변 영역 (25) 안으로 제 1 배선부 (46) 와 제 2 배선부 (47) 가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고, 각 제 1 배선부 (46) 와 각 제 2 배선부 (47) 가 제 1 배선 접속부 (48) 를 개재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6 의 구성에서는 입력 영역 (11) 내에 Y1-Y2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투명 전극이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Y1-Y2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투명 전극은 별도의 투명 기재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 에 나타내는 투명 기재와 Y1-Y2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는 투명 전극을 구비한 별도의 투명 기재가 광학 투명 점착층 (OCA) 을 통해서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 1(a), 도 3(a),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센서 기판의 대략 중앙에 크게 형성된 입력 영역뿐만 아니라, 센서 기판의 단부 부근이나 모서리쪽에 작게 형성된 소입력 영역이 형성되는 구성에 있어서, 소입력 영역 내에 형성된 하나 또는 2 이상의 투명 전극에 대하여 양측에서부터 배선부를 인출하고, 인출된 각 배선부를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접속할 수 있다.
1 …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2 … 투명 기재
3 … 패널
4, 5 … 전극
6a, 46 … 제 1 배선부
6b, 47 … 제 2 배선부
6c … 제 3 배선부
6d … 제 4 배선부
7 … 제 1 연결부
8 … 제 1 전극 연결체
9 … 센서 기판
10 … 브리지 배선
11 … 입력 영역
12 … 제 2 전극 연결체
15 … 제 1 단자부
17 … 제 2 단자부
18 … 제 1 배선 접속부
19, 20, 43 … 절연층
21 …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
25 … 주변 영역
42 … 제 2 배선 접속부
48 … 제 1 배선 접속부

Claims (12)

  1. 투명 기재와, 상기 투명 기재의 입력 영역에 형성된 투명 전극과, 상기 투명 전극의 단부로부터 상기 입력 영역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배선부와, 상기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단자부를 갖는 센서 기판, 및 상기 단자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배선 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배선부는, 상기 투명 전극의 제 1 단부로부터 상기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제 1 배선부와, 상기 투명 전극의 상기 제 1 단부와 상이한 제 2 단부로부터 상기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된 제 2 배선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제 1 배선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 1 단자부를 갖고,
    상기 제 1 배선부는 상기 주변 영역에서 제 1 배선 접속부에 의해 상기 제 2 배선부와 서로 배선접속되어 있고,
    상기 투명 전극, 상기 제 1 단자부, 상기 제 1 배선부, 상기 제 2 배선부 및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는 각각 복수 형성되고,
    상기 제 1 배선부 및 상기 제 2 배선부는, 같은 상기 투명 전극으로부터 인출 (引出) 된 배선끼리가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는, 평면시 (平面視) 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시로 직교하는 2 방향을 X1-X2 방향 및 Y1-Y2 방향으로 했을 때,
    각 제 1 배선부는, 상기 입력 영역의 X1 측에 위치하는 X1 측 주변 영역에서부터 상기 입력 영역의 Y1 측에 위치하는 Y1 측 주변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각 제 2 배선부는, 상기 입력 영역의 X2 측에 위치하는 X2 측 주변 영역에서부터 상기 Y1 측 주변 영역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제 1 배선부의 단부에 제 1 단자부가 형성되고, 각 제 1 단자부가, 상기 Y1 측 주변 영역에서 X1-X2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열되어 있고,
    각 제 1 배선 접속부가, 상기 Y1 측 주변 영역 내에서, 상기 제 1 단자부의 Y1 측 단부로부터 인출되어 상기 제 2 배선부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인회 (引回) 되어 상기 각 제 2 배선부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각 제 1 배선 접속부의 표면은 제 1 절연층으로 덮어져 있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 및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에 접속되는 상기 제 1 배선부 및 상기 제 2 배선부는, 상기 입력 영역에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투명 전극은, X1-X2 방향으로 연장되어 나오면서 또한 Y1-Y2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투명 전극은, 복수의 제 1 투명 전극과 복수의 제 2 투명 전극을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 1 투명 전극을 제 1 연결부를 개재하여 X1-X2 방향으로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제 1 전극 연결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극 연결체는 Y1-Y2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상기 제 2 투명 전극을, 상기 제 1 투명 전극과 이간된 위치에 형성하고 제 2 연결부를 개재하여 Y1-Y2 방향으로 연결시켜 이루어지는 제 2 전극 연결체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전극 연결체는 X1-X2 방향으로 서로 이간되어 복수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제 1 투명 전극부 사이의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각 제 2 투명 전극부 사이의 상기 제 2 연결부가 제 2 절연층을 개재하여 평면시로 교차되어 있고,
    상기 각 제 1 전극 연결체의 X1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1 단부 및 X2 측에 위치하는 상기 제 2 단부로부터 각각, 상기 제 1 배선부 및 상기 제 2 배선부가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2 전극 연결체의 상기 Y1 측의 제 3 단부로부터 제 3 배선부가 상기 Y1 측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고, 상기 각 제 2 전극 연결체의 상기 Y2 측의 제 4 단부로부터 제 4 배선부가 상기 Y2 측 주변 영역으로 연장되어 나와 형성되며, 상기 제 4 배선부는 상기 Y2 측 주변 영역에서부터 상기 Y1 측 주변 영역까지 인회되어 있고,
    상기 각 제 2 전극 연결체로부터 인출된 상기 제 3 배선부와 상기 제 4 배선부가, 상기 제 3 배선부의 단부에 형성된 제 2 단자부를 개재하여 제 2 배선 접속부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3 배선부 및 상기 제 4 배선부가, 제 1 배선부 및 제 2 배선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2 배선 접속부는, 상기 각 제 1 배선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 2 배선 접속부는, 상기 제 1 절연층을 개재하여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고, 상기 제 2 배선 접속부의 표면은 제 3 절연층으로 덮여져 있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일방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또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과 별개체로 접속된 브리지 배선을 구성하고,
    상기 브리지 배선과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 또는 상기 브리지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 접속부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일방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또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과 별개체로 접속된 브리지 배선을 구성하고,
    상기 브리지 배선과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 또는 상기 브리지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 접속부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의 일방이 상기 제 1 투명 전극 또는 상기 제 2 투명 전극과 별개체로 접속된 브리지 배선을 구성하고,
    상기 브리지 배선과 상기 제 1 배선 접속부, 또는 상기 브리지 배선과 상기 제 2 배선 접속부가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KR20130026628A 2012-03-30 2013-03-13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KR101494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81911 2012-03-30
JP2012081911A JP6029842B2 (ja) 2012-03-30 2012-03-30 静電容量式入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1297A KR20130111297A (ko) 2013-10-10
KR101494073B1 true KR101494073B1 (ko) 2015-02-16

Family

ID=49367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6628A KR101494073B1 (ko) 2012-03-30 2013-03-13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029842B2 (ko)
KR (1) KR101494073B1 (ko)
CN (1) CN103365514B (ko)
TW (1) TWI4754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95275B2 (ja) * 2014-05-13 2017-09-13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入力装置の製造方法
JP6249899B2 (ja) * 2014-07-29 2017-12-2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2105607B1 (ko) 2016-04-19 2020-04-29 알프스 알파인 가부시키가이샤 정전 용량식 센서
US10620743B2 (en) 2016-10-21 2020-04-14 Japan Display Inc. Detection apparatus and display apparatus
JP6723901B2 (ja) * 2016-10-21 2020-07-15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検出装置及び表示装置
TWI672626B (zh) * 2017-11-01 2019-09-21 日商阿爾卑斯阿爾派股份有限公司 靜電電容式感測器
CN108319370B (zh) * 2018-02-02 2021-11-23 合肥鑫晟光电科技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TWI698784B (zh) * 2018-03-14 2020-07-11 日商阿爾卑斯阿爾派股份有限公司 透明電極構件、層積透明電極構件及靜電電容式感測器
JP2022015049A (ja) * 2020-07-08 2022-01-21 オー・エイチ・ティー株式会社 容量センサ及び容量センサの製造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120B1 (ko) 2008-03-26 2011-04-27 소니 주식회사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KR20110132532A (ko) * 2010-06-02 2011-12-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 장치
KR20110134683A (ko) * 2010-06-09 2011-12-1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10136089A (ko) * 2010-06-14 2011-12-21 일진디스플레이(주) 정전용량 터치 센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19170D0 (en) * 2005-09-20 2005-10-26 Philipp Harald Capacitive touch sensor
US7932898B2 (en) * 2005-09-20 2011-04-26 Atmel Corporation Touch sensitive screen
TWM344544U (en) * 2007-12-25 2008-11-11 Cando Corp Sensory structure of touch panel
JP4711149B2 (ja) * 2008-06-18 2011-06-29 ソニー株式会社 フレキシブルプリント配線板、タッチパネル、表示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5133204B2 (ja) * 2008-11-06 2013-01-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タッチパネル
TWM364912U (en) * 2008-12-18 2009-09-11 Shinan Snp Taiwan Co Ltd Capacitor-type touch panel
TWM383160U (en) * 2009-12-31 2010-06-21 Chunghwa Picture Tubes Ltd Touch panel
TW201102698A (en) * 2010-01-26 2011-01-16 Mastouch Optoelectronics Technologies Co Ltd Single-layer projected capacitive touch panel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US8970508B2 (en) * 2010-02-11 2015-03-03 L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1120B1 (ko) 2008-03-26 2011-04-27 소니 주식회사 정전 용량형 입력 장치, 입력 기능을 갖는 표시 장치 및 전자기기
KR20110132532A (ko) * 2010-06-02 2011-12-08 가부시키가이샤 히타치 디스프레이즈 표시 장치
KR20110134683A (ko) * 2010-06-09 2011-12-15 삼성전기주식회사 터치패널
KR20110136089A (ko) * 2010-06-14 2011-12-21 일진디스플레이(주) 정전용량 터치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365514B (zh) 2016-05-04
KR20130111297A (ko) 2013-10-10
JP2013210938A (ja) 2013-10-10
CN103365514A (zh) 2013-10-23
TWI475461B (zh) 2015-03-01
JP6029842B2 (ja) 2016-11-24
TW201342176A (zh) 2013-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4073B1 (ko)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JP5997146B2 (ja) タッチパネル
TWI664560B (zh) 層疊構造體、觸摸面板、帶觸摸面板的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US9354756B2 (en)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JP5498811B2 (ja) 静電容量式の入力装置
KR101562487B1 (ko) 입력 장치
JP6002047B2 (ja) 入力装置
JP5865819B2 (ja) 入力装置
US10746770B2 (en) Capacitive sensor suppressing breakage of electrode linking parts due to electrostatic discharge
CN103941932A (zh) 触控感应结构
JP2016514873A (ja) 透明電極パターン積層体及びこれを備えた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
WO2018110123A1 (ja) 静電容量式センサおよび機器
KR101181056B1 (ko) 터치 패널
US20140190808A1 (en) Bridging structure for signal transmission of touch panel
TWM354119U (en) Improved capacitance touch sensor structure
KR20150046668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5075287B1 (ja) 入力装置
US9342171B2 (en) Touch panel with first and second electrodes extending in the same direction but on opposite surfaces of a substrate
KR101114024B1 (ko) 터치 패널
JP2015011492A (ja)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80267652A1 (en) Touch panel
KR101976606B1 (ko) 터치 패널
WO2019031062A1 (ja) 入力装置
KR20150046669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JP2013164828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