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8946B1 -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 - Google Patents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8946B1
KR101018946B1 KR1020077002821A KR20077002821A KR101018946B1 KR 101018946 B1 KR101018946 B1 KR 101018946B1 KR 1020077002821 A KR1020077002821 A KR 1020077002821A KR 20077002821 A KR20077002821 A KR 20077002821A KR 101018946 B1 KR101018946 B1 KR 101018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oride
carbon electrode
carbon
electrode
trifluorid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2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6100A (ko
Inventor
아키마사 다사카
마사시 고다마
우다이 다나카
히토시 다케바야시
데츠로 도조
아츠히사 미모토
Original Assignee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도요탄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도요탄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쯔이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6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8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8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42Electrodes formed of a single material
    • C25B11/043Carbon, e.g. diamond or graphene
    • C25B11/044Impregnation of 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1/00Nitrogen; Compounds thereof
    • C01B21/08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 C01B21/083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nd non-metals and optionally metals containing one or more hal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24Halogens or compounds thereof
    • C25B1/245Fluorine; Compound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 Inert Electrodes (AREA)

Abstract

특정의 금속 불화물을 탄소재료와 혼합하여 소성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만으로 조직에 기공이 적은 비교적 기계적 강도가 높은 탄소전극을 제작하고, NH4F-KF-HF계, NH4F-HF계 중 어느 것이어도 탄소전극이 분극하지 않고 긴수명을 나타내는 삼불화질소 가스 제조용 탄소전극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은 평균 기공 직경이 0.5㎛ 이하의 치밀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또한 탄소질 재료와 상기 탄소질 재료의 소성 온도 이상의 융점을 갖는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상기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의 함유율은 3~10wt%인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CARBON ELECTRODE FOR GENERATION OF NITROGEN TRIFLUORIDE GAS}
본 발명은 삼불화질소 가스(이하, NF3라고도 함) 발생용 탄소전극에 관한 것이다.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 및 이를 사용한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장치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9508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95086호의 것은 탄소질 재료와, 불화리튬과, 탄소질 재료의 소성 온도 이상의 융점을 갖는 금속 불화물로 이루어진 불소 가스 또는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으로서, 상기 불화리튬과 상기 금속불화물로 이루어진 2성분계 금속불화물의 함유률이 0.1~5질량%인 불소가스 또는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이다.
또한, 탄소전극에 불화리튬, 불화나트륨, 불화알루미늄, 불화마그네슘 등의 금속 불화물을 함침함으로써 탄소전극의 분극을 억제하는 방법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5194호에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95086호에서의 금속불화물은 불화리튬과 불화칼슘의 공정계(共晶系)로 이루어진다. 이 공정계의 금속 불화물은 불화리튬 및 불화칼슘을 각각의 융점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용융시키고, 또한 생성된 공정계의 금속 불화물을 분쇄하는 공정과 그것을 탄소재료와 혼합하여 소성하는 공정이 필요해져, 번거롭고 비용이 상승된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5-5194호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불화리튬을 함유한 탄소전극에서는 하기 화학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공유 결합성의 불화 그래파이트의 생성이 억제되고,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불소-흑연층간 화합물의 생성반응이 주로 일어난다. 또한, 상기 전극 표면에 생성되는 공유 결합성 불화 그래파이트는 분극(그 매우 낮은 표면 에너지 때문에 양극 효과를 발생시킨다)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불화리튬은 분극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지만, 불화칼슘을 포함한 탄소전극은 탄소전극의 기공이 커지고 탄소전극의 조직 자체도 다공질이고 그 강도도 낮다. 따라서, 전해를 실시하고 있으면, 점점 전극이 붕괴되는 일이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NF3 발생용 전해욕은 NH4F-HF계가 사용된다. 상기 전해욕은 점도가 낮고 또한 HF의 활량이 높다. 이 때문에 전술한 불화칼슘을 포함한 탄소전극에서는 그 빈 구멍 내에 HF가 침투하고, 미세 구멍 내 전해가 진행되고, 그 때 하기 화학식 1 내지 화학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불소-흑연층간 화합물(제 1 스테이지)이 발생한다. 또한, 제 1 스테이지 화합물이라는 것은 흑연층의 각 층에 인터커런트(intercalant)가 삽입되는 것으로, 재료가 크게 팽윤하여 조직의 붕괴를 초래하게 된다.
Figure 112007010569912-pct00001
Figure 112007010569912-pct00002
Figure 112007010569912-pct00003
그래서, 본 발명은 특정의 금속 불화물을 탄소재료에 혼합하여 소성하는 공정을 거치는 것만으로 조직에 기공이 적은 비교적 기계적 강도가 높은 탄소전극을 제작하고, NH4F-KF-HF계, NH4F-HF계 중 어느 것이어도 탄소전극이 분극하지 않고 긴수명을 나타내는 탄소전극을 창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탄소전극에 함유시키는 금속 불화물의 종류 및 그 함유량에 대해서 검토를 거듭함으로써, 상기 과제 즉 탄소전극 기공 내부로의 전해욕(액)의 침입방지, 분극작용의 억제라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탄소전극을 얻을 수 있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평균 기공 직경이 0.5㎛ 이하의 치밀한 조직으로 이루어진 탄소전극을 요지로 한다. 평균 기공 직경이 0.5㎛ 보다도 커지면, 전해욕이 탄소전 극 내부에 침입하여 전극을 붕괴시키는 원인이 된다. 탄소전극의 평균 기공 직경은 수은 압입법에 의해 측정하고, 누적 기공 용적의 반에 상당하는 값을 나타내는 기공 반경을 평균 기공 직경으로 했다.
또한, 본 발명의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은 탄소질 재료와, 상기 탄소질 재료의 소성 온도 이상의 융점을 갖는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으로 이루어진다.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을 탄소전극 중심부까지 함유시키면, 미시적으로 본 경우에 탄소전극을 구성하는 흑연층 사이에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이 트랩되고 적절한 스테이지의 흑연층간 화합물을 형성하여 분극작용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지금까지 오로지 분극억제제로서 사용되어 온 고가의 불화리튬을 대체할 수 있다는 의미에서도 경제적으로 유리하다. 또한,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불화마그네슘이나 불화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불화물(MFm)이 전극표면에 존재할 때, 금속불화물은 하기 화학식 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고차 산화 상태의 금속불화물이 된다. 상기 고차 산화 상태 금속불화물은 하기 화학식 5의 활성 복합체를 형성하고, 또한 그 활성 복합체는 불소-흑연층간 화합물이 되고, 금속불화물은 촉매적으로 원래대로 되돌아간다).
Figure 112007010569912-pct00004
Figure 112007010569912-pct00005
Figure 112007010569912-pct00006
또한, 본 발명은 전해욕으로 NH4F-KF-HF계를 사용하고 있다. 불화칼륨을 NH4F-HF계 전해욕에 첨가함으로써, 전해욕의 점도를 상승시키고, 전해욕의 탄소기공 중으로의 침투를 제어하고, 그 결과 탄소기공 내에서의 HF 활량을 저하시키고 전해시에서의 전극의 붕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의 함유율이 3~10wt%이다. 상기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의 함유율이 3wt% 보다도 낮으면 금속불화물의 불소-흑연층간 화합물 생성의 촉매 작용으로서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것의 함유율이 10wt%를 초과하면 전극자체의 강도가 저하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공정계의 금속 불화물을 조제하는 공정이 없으므로, 매우 간편하고 저렴하게 전극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불화 칼슘을 포함하는 탄소전극보다도, 전극의 물리적 강도는 향상되고 있고, 한층 더한 전극의 긴수명화 및 전해의 장기 계속이 가능해졌다. 일원계(一元系)에서도 이온 결합성 및 반공유 결합성의 C-F 결합을 갖는 불소-탄소층간 화합물 생성의 촉매작용이 있고, 양극 효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적절하게 진행하면 전극 재료 표면의 극성 증대에 기여하고, 전해욕과 전극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고, 전극의 분극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스테이지 화합물을 생성하면 재료가 팽윤하여 붕괴에 이른다. LiF에 비해, 불소-흑연층간 화합물 생성 반응에 대한 촉매 능력이 온화한 AlF3, MgF2를 첨가함으로써 제 3 스테이지 화합물에 고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의해, 전해욕과 전극의 젖음성을 유지할 수 있고, 전극의 붕괴를 초래하지 않고 불소-흑연층간 화합물의 분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AlF3, MgF2을 첨가해도 전극의 강도를 저하시키지 않는다. 이들의 종합적인 효과로 KF를 첨가하여 점도를 상승시키고 NH4-HF계에서 NF3의 수율을 유지하면서 장기간 전해 가능한 전극을 얻을 수 있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탄소전극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탄소전극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탄소질 재료의 소성 온도 이상의 융점을 갖는, 불화 마그네슘(이하, MgF2라고 함), 불화알루미늄(이하, AlF3라고 함) 중에서 선택한다. 또는 이들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소정량 균일하게 혼합한다. 다음에, 탄소질 골재로서 메소카본 마이크로비즈에 상기 금속 불화물, 또는 금속 불화물의 혼합물을 3~10wt%를 혼합하고 성형, 소성한 탄소성형체를 형성한다. 상기 탄소성형체는 압력 80~100 MPa에서 CIP 성형을 실시하고, 800~1000℃에서 소성하여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전극에 대해서는 상기 제작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탄소전극은 탄소-흑연층간 화합물 생성에 촉매 작용을 갖는 금속 불화물로서 불화리튬을 사용하지 않고, 불화 마그네슘, 또는 불화알루미늄을 전극에 첨가함으로써, 양극효과의 발생을 억제한다. 또한, 전극의 강도가 불화리튬-불화칼슘을 포함하는 탄소전극보다도 크므로, 전극의 수명이 길어진다.
(실시예)
(실시예 1~7 및 비교예 1~7)
탄소질 골재로서 평균 입자 직경이 15㎛의 메소카본마이크로비즈에, 평균 입자 직경이 10 ㎛의 AlF3를 5.0wt% 첨가하고, 혼합기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혼합했다. 그 후, 90MPa에서 냉간 정수압 성형(CIP 성형)을 실시하고, 블럭 형상으로 성형한 후, 새거(sagger)에 채워 연속로(900℃)에서 소성했다. 상기 성형체를 소정의 크기로 가공하고, 실시예 1의 탄소전극으로 했다. 또한, 금속 불화물의 종류 및 첨가율의 조정 이외,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최종적으로 하기 표 1에 나타내는 물리 특 성을 갖는 실시예 2~7 및 비교예 1~7의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을 제작했다. 또한, 비교예 7에 대해서는 평균 기공 직경을 크게 하기 위해 성형압력을 40 MPa로 했다.
Figure 112007010569912-pct00007
상기 방법으로 제작된 표 1에 나타내는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을 사용하여, NH4F-KF-HF계의 전해욕을 전기 분해하여 삼불화질소 가스를 발생시켰다. 그 때의 삼불화질소 가스의 수율, 분극의 유무, 전극수명 등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표 1에 병기했다.
상기 표 1로부터, 평균 기공 직경이 0.5㎛ 이하인, 불화알루미늄, 불화마그네슘을 함유시킨 각 실시예의 탄소전극은 삼불화질소 가스의 수율, 분극작용을 발생시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예의 탄소전극은 전극수명도 각 비교예의 탄소전극에 비해 훨씬 수명이 긴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3)

  1. 평균 기공 직경이 0.5㎛ 이하의 조직으로 이루어지고,
    탄소질 재료와, 상기 탄소질 재료의 소성 온도 이상의 융점을 갖는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의 함유율이 3~10w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화마그네슘, 불화알루미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이상이 상기 조직 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
  3. 삭제
KR1020077002821A 2004-08-05 2005-08-03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 KR101018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9326A JP4339204B2 (ja) 2004-08-05 2004-08-05 三フッ化窒素ガス発生用炭素電極
JPJP-P-2004-00229326 2004-08-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100A KR20070046100A (ko) 2007-05-02
KR101018946B1 true KR101018946B1 (ko) 2011-03-07

Family

ID=3578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2821A KR101018946B1 (ko) 2004-08-05 2005-08-03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08235B2 (ko)
JP (1) JP4339204B2 (ko)
KR (1) KR101018946B1 (ko)
CN (1) CN101001981A (ko)
TW (1) TW200613583A (ko)
WO (1) WO2006013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37794B2 (ja) 2007-04-23 2014-03-12 三井化学株式会社 ガス生成装置、ガス生成方法およびガス生成用炭素電極の製造方法
CN102560530A (zh) * 2012-03-15 2012-07-11 中南大学 纳米镍质点增强的非石墨化导电碳阳极材料及其制备方法
CN106222688B (zh) * 2016-07-19 2018-01-09 浙江博瑞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氟化氢铵电解制取三氟化氮的方法
CN114213128A (zh) * 2021-12-28 2022-03-22 成都炭素有限责任公司 一种等静压成型制氟碳阳极板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0415A (en) * 1990-02-06 1992-11-03 Toyo Tanso Co., Ltd. Carbon electr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lectrolysis of a hydrogen fluoride-containing molten salt with the carbon electrod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3285A (en) * 1979-08-02 1981-03-05 Nobuatsu Watanabe Production of fluorine
JP2729254B2 (ja) * 1988-08-05 1998-03-18 信淳 渡辺 低分極性炭素電極
JP3550074B2 (ja) * 2000-04-07 2004-08-04 東洋炭素株式会社 フッ素ガスまたは三フッ化窒素ガス発生用炭素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フッ素ガスまたは三フッ化窒素ガス発生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0415A (en) * 1990-02-06 1992-11-03 Toyo Tanso Co., Ltd. Carbon electrode,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electrolysis of a hydrogen fluoride-containing molten salt with the carbon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6045625A (ja) 2006-02-16
US20070199828A1 (en) 2007-08-30
KR20070046100A (ko) 2007-05-02
TW200613583A (en) 2006-05-01
TWI341877B (ko) 2011-05-11
CN101001981A (zh) 2007-07-18
US7608235B2 (en) 2009-10-27
WO2006013888A1 (ja) 2006-02-09
JP4339204B2 (ja) 2009-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03931B2 (ja) 多孔質酸化物予備成形品の電解還元による金属フォームの製造方法
RU2378226C2 (ru) Тело, полученное спеканием,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Hasegawa et al. Facile preparation of monolithic LiFePO4/carbon composites with well-defined macropores for a lithium-ion battery
KR101018946B1 (ko) 삼불화질소 가스 발생용 탄소전극
JP2729254B2 (ja) 低分極性炭素電極
KR101659107B1 (ko) 금속 분말 제조 방법
KR101712678B1 (ko) 밸브 금속 및 밸브 금속 산화물의 응집체 분말, 및 이들의 제조 방법
RU2148681C1 (ru) Катодный блок диафрагменного электролизера и способ его получения
KR20190115059A (ko) 고용량 고에너지 캐소드를 갖는 알루미늄 이차 배터리 및 제조방법
US20130077207A1 (en) Porous carbon with high volumetric capacity, for double-layer capacitors, and production method
JP3089432B2 (ja) 炭素電極ならびにそれを用いるhf含有溶融塩の電解方法及び装置
JP2014203530A (ja) ナトリウム二次電池用炭素質負極材及びその製造方法
CN113943002A (zh) 一种利用氢离子辅助制备碳化钛水凝胶的方法
JP2001295086A (ja) フッ素ガスまたは三フッ化窒素ガス発生用炭素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フッ素ガスまたは三フッ化窒素ガス発生装置
JP3037464B2 (ja) 三弗化窒素ガスの製造方法
JPWO2018155680A1 (ja) 高純度炭酸カルシウム焼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高純度炭酸カルシウム多孔質焼結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4252531B2 (ja) 金属製造方法
JPH09175877A (ja) 銅含浸黒鉛材
CN1382548A (zh) 铌和/或钽粉的生产方法
JP2003327473A (ja) 多孔質炭素焼結体の製造方法
JP2003137517A (ja) ポリハロゲン化ビニリデン系炭素
JP2004087988A (ja) 電気二重層キャパシタ用炭素電極
JPH0353090A (ja) フッ素の製造方法
JP6196544B2 (ja) 窒化硼素の製造方法
JPS59184716A (ja) 長繊維状フツ化黒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