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199B1 -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기 위한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으로 이루어진 용접 접합부 - Google Patents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기 위한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으로 이루어진 용접 접합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199B1
KR101012199B1 KR1020087010092A KR20087010092A KR101012199B1 KR 101012199 B1 KR101012199 B1 KR 101012199B1 KR 1020087010092 A KR1020087010092 A KR 1020087010092A KR 20087010092 A KR20087010092 A KR 20087010092A KR 101012199 B1 KR101012199 B1 KR 101012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welding
weld
coated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0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3395A (ko
Inventor
신지 코다마
히데끼 하마따니
노부오 미즈하시
케니찌 아사이
마나부 미즈모또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3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 C22C38/4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 C22C38/5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hromium with nickel with more than 1.5% by weight of mangane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5/00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 B23K35/22Rods, electrodes, materials, or media, for use in soldering, welding, or cutting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
    • B23K35/24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 B23K35/30Selection of soldering or welding materials proper with the principal constituent melting at less than 1550 degrees C
    • B23K35/3053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 B23K35/308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 B23K35/3086Fe as the principal constituent with Cr as next major constituent containing Ni or 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 B32B15/01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all layers being exclusively metallic one layer being formed of an iron alloy or steel, another layer being formed of a metal other than iron or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18/00Alloys based on zinc
    • C22C18/04Alloys based on zinc with aluminium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01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93Composite; i.e., plural, adjacent, spatially distinct metal components [e.g., layers, joint, etc.]
    • Y10T428/12771Transition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85Group IIB metal-base component
    • Y10T428/12792Zn-base component
    • Y10T428/12799Next to Fe-base component [e.g., galvanize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rc Welding In General (AREA)
  • Nonmetallic Welding Material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용접 접합부 및 용접 접합부에 대한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 조성물을 기재하였다. 상기 조성물 및 그로부터 만들어진 용접 접합부는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용접은 내부식성 및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에 대한 내성이 우수하다. 이것은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을 사용하여 아연 기재 합금 코팅 강판을 용접할 때,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억제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용접 접합부는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으로 만들어진 용접 금속의 용접부위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 금속은 질량 퍼센트 (%)로 C: 0.01 - 0.1; Si: 0.1 - 1; Mn: 0.5 - 2.5; Ni: 5 - 11; 및 Cr: 17 - 25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철 및 잔여 불순물이고, 여기서 하기 식들이 충족된다: -0.81 x Cr 당량 + 23.2 ≤ Ni 당량 ≤ 0.95 x Cr 당량 - 8.1...(1); Ni 당량 = Ni + 30 x C + 0.5 x Mn + 30 x N...(2); Cr 당량 = Cr + Mo + 1.5 x Si...(3).
용접 접합부,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 아연 기재 합금 코팅 강판, 내부식성,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

Description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기 위한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으로 이루어진 용접 접합부 {WELD JOINT FORMED WITH STAINLESS STEEL-BASED WELD METAL FOR WELDING A ZINC-BASED ALLOY COATED STEEL SHEET}
이 출원은 2005년 9월 28일, 2006년 5월 16일에 각각 일본에서 출원된 일본 출원번호 JP 2005-282712 및 JP 2006-136897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상기 출원들의 전 내용은 본원에 참고문헌으로 도입되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에 대한 용접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 이 용접 접합부는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으로 이루어지고, 건축용 자재 또는 차량용 자재에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용접 접합부는 용접부위에서의 내부식성 및 액체-금속 취성화 (LME) 균열에 대한 내성이 뛰어나다.
구조재로서 양호한 내부식성 때문에,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이 건축용 자재 및 차량용 자재로서 널리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코팅하지 않은 부재를 용접한 후, 용접한 부재를 아연 기재 합금 배스에 담근다. 이것은 철강 부재 및 용접부위의 표면에 아연 기재 합금을 도포하여, 용접된 구조물 전부에 내부식성을 확보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코팅이 용접 공정 후에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낮은 생산성을 제공한다. 코팅 배스와 같은 추가적인 설비가 필요하기 때문에, 제조 단가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양호한 내부식성 및 고생산성을 가지는 구조재를 제조하기 위해,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여 용접한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JP2000-64061은 Zn-Al-Mg-Si 기재 합금과 같은 아연 기재 합금이 코팅된, 아연 기재 합금 코팅 강판을 기재하고 있다. Zn-Al-Mg-Si 기재 합금 코팅은 통상적인 아연 코팅 강판에 비해 내부식성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여 구조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 금속부위의 코팅된 부분이 기화되기 때문에 내부식성이 저하된다. 이 관점에서, 통상적으로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은 먼저 탄소강 용접 물질을 사용하여 용접하고, 그 다음 용접부위를 솔칠 또는 분무로 코팅한다. 이 추가적인 코팅 공정은 구조재의 제조에서의 생산성을 저하한다.
양호한 내부식성을 필요로 하는 스테인레스강 구조물의 용접에 있어서, 스테인레스강 용접 물질은 스테인레스강 사이 또는 스테인레스강 및 탄소강 사이의 접합부에서 양호한 내부식성을 가지는 용접 금속을 형성하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아연 기재 합금 코팅 강판을 용접하는데 있어서, 스테인레스강 용접 물질을 사용한다면, 액체-금속 취성화 때문에 균열이 일어난다. 이것은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철강을 용접하는 경우, 용융된 코팅 때문에 스테인레스강 성분의 용접부위에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주요 원인은 아연 기재 합금 코팅 성분이 강판에 용융된 채로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것은 용접 금속부위에 열 수축에 의해 야기되는 인장 응력이 가해질 때, 결정입계에서 부서질 수 있다. 이것이 취성의 원인이다. 따라서,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을 스테인레스강 용접 물질을 사용하여 용접할 때에는 미리 아연 기재 코팅을 제거해야 하는 것이 상식이다.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과 유사한 현상은 스테인레스강판 및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과 같은 상이한 물질이 용접될 때 일어난다. 따라서,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거나 또는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물질로 아연-코팅 및 스테인레스강을 용접하는 시도는 거의 없었다.
JP09-267177A는 양호한 내부식성을 가진 강철문의 제조 방법을 기재한다. 이 방법에 있어서, 둘 모두 약 2mm 두께인 스테인레스강판 및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은 상대적으로 높은 Ni 함유량을 가진 필러 와이어를 사용하여 맞대기 용접하였다. 오스테나이트를 분산하고, 열등한 연성을 갖는 마르텐사이트를 형성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Ni 함유량은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의 용접 금속의 Ni 당량을 미리 정해진 값보다 더 크게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것은 용접 후 굽힘에 의해 생겨나는 균열을 예방한다.
JP09-267177A의 기재에 있어서, 스테인레스강판 및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을 맞대기 용접한 직후 보통 일어나는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 (아연 취성화 균열)에 대한 기재가 없다. JP09-267177A의 기재에 있어서, 아연 코팅의 용융점이 높은 용융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을 강판의 두께가 2mm이고 용접부위에서의 결합력이 약한 조건에서 용접하였다. 이것은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 (아연 취성 균열)이 스테인레스강판 및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을 맞대기 용접할 때 일어나지 않는 이유로 보인 다.
그러나 판의 두께가 3mm 이상이고, 용접부위의 결합력이 필렛 용접만큼 높은 조건하에서, JP09-267177A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여 합금 처리를 하지 않은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맞대기 용접하는 경우,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과 유사한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생각된다.
용접될 판의 두께는 3mm 이상이고, 결합력이 더 높을 때,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과 유사한 현상이 더 쉽게 일어나는 이유는 판 두께의 증가 및/또는 결합력의 증가가 용접 금속의 열 수축에 의해 야기되는 인장 응력을 또한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이것은 표면상에 용융된 채로 남아있는 아연 기재 합금 코팅 성분이 용접 금속의 결정입계에서 용이하게 부서지게 만든다.
스테인레스강판을 맞대기 용접할 때, 지연 균열이 용접후에 일어날 수도 있다. JP2001-9589A는 높은 Cr 함유량의 스테인레스강을 용접할 때, 용접 후에 지연 균열을 예방하는 방법을 기재하고 있다.
상기의 관점에서,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물질을 사용하여 용접할 때, 용접부위에서 우수한 내부식성을 가지는 용접 구조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이해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한 용접 접합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물질은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는데 특히 적합하고, 용접부위에서의 우수한 내부식성 및 액 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내성을 야기한다. 이것은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할 때,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억제하여 달성한다.
발명자들은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는데 있어서,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물질을 사용하여 용접부위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부지런히 연구하였다. 발명자들은 또한 스테인레스강 기재 금속 성분 및 아연 기재 합금 코팅의 용접에 의해 야기되는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억제를 향상시키는 것을 부지런히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발생이 고체화 메카니즘 및 구조에 의존함을 발견하였다. 용접 금속 중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을 억제하고, 페라이트 형성을 촉진하기 위해 Ni 당량 및 Cr 당량에 기초하여 성분 조성을 조절함으로써,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얻은 지식을 토대로 만들어졌고, 발명의 요점은 하기에 기재되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은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물질 조성물 및 그것으로부터 만들어진 용접 접합부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접 접합부는 용접부위의 내부식성 및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에 대한 내성이 우수한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위한 것이다. 상기 용접 접합부는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으로 만들어진 용접 금속의 용접부위를 포함하는데, 상기 용접 금속은 질량 퍼센트 (%)로:
C: 0.01 - 0.1;
Si: 0.1 - 1;
Mn: 0.5 - 2.5;
Ni: 5 - 11; 및
Cr: 17 - 25
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 및 잔여 불순물이고,
하기 (1), (2) 및 (3)의 식;
-0.81 x Cr 당량 + 23.2 ≤ Ni 당량 ≤ 0.95 x Cr 당량 - 8.1 ...(1)
Ni 당량 = Ni + 30 x C + 0.5 x Mn + 30 x N ...(2)
Cr 당량 = Cr + Mo + 1.5 x Si ...(3)
를 만족하고, 여기서, Ni, C, Mn, N, Cr, Mo 및 Si 각각은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 중에 함유하는 각 성분 원소의 함유량 (질량 %)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있어서, 상기에 기재된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은 추가로 질량 (%)로:
Mo: 0.5 - 2; 및
N: 0.05 - 0.15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의 조성은 고체 와이어 또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의해 조절되고, 상기 고체 와이어 또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총 와이어 질량당 질량 (%)로:
C: 0.01 - 0.05;
Si: 0.1 - 1;
Mn: 0.5 - 3;
Ni: 7 - 12;
Cr: 24 - 30, 및
Mo: 2 이하 또는 N: 0.1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금속 성분을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 및 잔여 불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있어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총 와이어 질량당 질량(%)로:
TiO2: 0.5 - 2.5;
SiO2: 1.5 - 3.5; 및
ZrO2: 0.5 - 2.5
를 슬래그 성분으로 함유하고, 슬래그 성분의 총량은 6.5 내지 9.5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서, 아연 기재 합금 코팅은 질량 (%)로:
Al: 2 - 19;
Mg: 1 - 10; 및
Si: 0.01 - 2
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아연 및 잔여 불순물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서는,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물질을 사용하여 아 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는 경우에 있어서,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의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것은 균열 결함이 없는 용접 금속을 가진 내부식성이 우수한 용접 접합부를 제공한다. 따라서, 건축 및/또는 자동차의 붕괴 내구성 및/또는 안전성은 건축 및/또는 자동차 산업에서 용접한 부재에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에 대한 상기 용접 접합부를 적용하여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비드 온 플레이트 용접 시험 표본의 예시 도면이다.
도 2는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형상 도면이다.
도 3은 비드 온 플레이트 용접 시험을 사용하여 Cr 당량 및 Ni 당량을 기초로한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평가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필렛 용접 접합부 시험 샘플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하기에 기재되어있다.
통상적인 지식에 따르면,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와이어를 사용하여 용접하는 경우, 용접 금속이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 조성물을 가지기 때문에 취성 균열의 민감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용융 아연 기재 합금 코팅에 의해 야기되는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이 두드러지게 되는 것으로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와이어를 사용하여 아연 기재 합금 코팅 강판을 아크 용접하는 것은 시도되지 않았다.
발명자들은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는데 있어서,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물질을 사용하여 용접부위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부지런히 연구하였다. 발명자들은 또한 스테인레스강 기재의 금속 성분 및 아연 기재 합금 코팅을 용접함으로써 야기되는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억제시키는 것을 부지런히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로,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의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발생은 고체화 형태학 및 구조에 의존하는 것을 알아냈다. Ni 당량 및 Cr 당량에 기초한 성분 조성의 조절은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억제할 수 있다. 이것은 용접 금속 중에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고, 페라이트의 형성을 촉진한다.
"아연-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은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 및 다른 것으로 코팅한 강판, 예를 들어,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Al, Mg, Si를 아연 코팅에 첨가하여 만들어진 Zn-Al-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판, Zn-Al-Mg-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판 및 Zn-Al-Mg-Si-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판을 포함하는 총칭이다.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의 용접 금속 중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원인을 조사하기 위해, 발명자들은 상이한 성분 조성물의 스테인레스강 기재 와이어를 사용하여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의 용접을 수행하였다. 발명자들은 용접부위에 형성된 용접된 물질의 성분의 조성 및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형상 사이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물질은 C: 0.04 %, Si: 0.2 %, Mn: 2.1 %, Ni: 5-12 %, Cr: 16-36 %, Mo: 0-3 %를 포함한다.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은 C: 0.08 %, Si: 0.02 %, Mn: 1.2 %를 Zn: 85.8 %; Al: 3 %; Mg: 0.2 %의 합금 코팅과 함께 거기에 Si를 함유하는 SS400 기재 강판 (6mm 두께)을 포함한다. 용접을 위해, 이산화탄소 기체 아크 용접, 100 - 150 A의 용접 전류, 18 - 20 V의 아크 전압, 및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비드 온 플레이트 분 당 40 cm의 용접 속도가 사용되었다.
실제 접합부를 사용하지 않고도 용접성을 평가하는 가장 기초적인 방법인 비드 온 플레이트 (bead-on-plate) 용접은 용접 비드 (2)를 강판 (1)의 표면상에 놓는 것을 말한다. 보통의 용접 접합부에 있어서, 용접부위 상에 작용하는 결합력은 접합부의 형태에 의존한다. 예를 들어, 완전 침투로 수행하는 맞대기 용접 접합부에 비해, 부분 침투로 수행하는 필렛 용접 접합부는 용접된 부위 (기판의 용융되지 않은 부분)를 둘러싼 영역에서 더 높은 결합력을 가진다. 따라서, 균열은 필렛 용접에서 더욱 용이하게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 높은 결합력의 필렛 용접에 더 가까운 조건에서 균열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두꺼운 (6mm) 기판 (플레이트)이 비드 온 플레이트 용접에서 사용된다. 이것은 왜냐하면, 두꺼운 판이 용접 라인 방향으로 열 수축에 따라 기판에 발생하는 결합 응력으로 인해 더 높은 결합력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도 2는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형상의 도면이다.
도 2에서 보인 바와 같이, 강판 (1)의 표면에 형성된 용접 비드 (2)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 (3)은 용접 비드 라인의 모서리로부터 용접 비드 라인에 거의 수직인 방향으로 생긴다. 일반적으로, 용접 후에 야기되는 두 개의 방향성 열 수축, 즉, 용접 라인을 따른 방향의 수축 (종방향 수축), 용접 라인과 수직인 방향의 수축 (횡방향 수축)이 있다.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의 용접된 물질 중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에 있어서, 균열은 종방향 수축과 용접부위 (기판의 용융되지 않은 부분)를 둘러싼 영역으로부터의 수축에 대항하는 결합력의 결과로 생겨나는 것으로 보인다.
용접성의 평가는 또한 시판되는 309 유형 용접 금속을 사용하여 검사한다. 이 평가에 있어서,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의 샘플은 균열이 있고, 코팅을 제거한 샘플은 균열이 없다. 이 관점에서, 상기 평가는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평가에 있어서 적합한 것이다.
도 3은 비드 온 플레이트 용접 시험을 사용하여 Cr 당량 및 Ni 당량을 기초로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평가를 보이는 그래프이다.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은 색 검사 방법 (액체 침투제 검사 방법)을 사용하여 확증한다. X는 용접된 물질 상에서 균열이 가시적인 경우를 나타내고, O은 용접된 물질 상에 균열이 보이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의 구조를 조절하는 합금 원소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두 군, 즉, 페라이트 상을 형성하는 원소들, 예를 들어, Cr, Si, 및 Mo; 및 오스테나이트 상을 형성하는 원소들, 예를 들어, Ni, C, N 및 Mn이 있다.
페라이트 상 또는 오스테나이트 상을 형성하기 위한 각 원소의 기여도를 고려하여, 하기 식(2)가 정의한 Ni 당량 및 하기 식(3)이 정의한 Cr 당량을 계산한다. 당량 데이터를 지수로 사용하고, 델롱 평형도 (Delong equilibrium diagram)를 기초로 하여, Ni 당량 및 Cr 당량과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 사이의 관계 뿐만 아니라 용접 금속의 Ni 당량 및 Cr 당량과 용접 금속의 구조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Ni 당량 ≤ - 0.81 x Cr 당량 + 23.2 (도 3 중 III 구역: 낮은 Ni 당량, 낮은 Cr 당량)의 경우에 있어서, 용접 금속 중에 다량의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고, 경도가 증가되고, 연성이 감소한다. 이것은 용접 금속 중의 균열을 발생시킨다.
Ni 당량 > 0.95 x Cr 당량 - 8.1 (도 3 중 II 구역: 높은 Ni 당량, 낮은 Cr 당량)의 경우에 있어서, 마르텐사이트 형성을 억제하고, 용접 금속의 연성을 유지한다. 그러나 낮은 Cr 당량 때문에 용접 금속 중의 페라이트 양이 감소하였고, 또한 높은 Ni 당량 때문에 오스테나이트 결정립은 다량의 조립질 오스테나이트로 성장한다. 따라서, 용융된 아연 코팅은 조립질의 오스테나이트 결정 입계에서 용이하게 부서져서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형성한다.
JP09-267177A에 따라, 도 3 중 II 구역은 스테인레스강 및 코팅한 철강의 맞대기 용접 접합부를 굽힐 때 보통 형성되는 용접부위에서의 균열을 피하기 위한 구역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발명자들이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와이어를 사용하여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여 만든 샘플 표본의 평가에서는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이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 중에 생겼음을 보여준다. 이 사실은 JP09-267177A에 기재된 스테인레스강 및 코팅한 철강의 맞대기 용접 접합부의 굽힘에 의한 균열의 메커니즘은 본 발명의 대상 물질인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과는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Ni 당량이 하기의 식 (1) (즉, 도 3 중 I 구역: 높은 Cr 당량, 중간 Ni 당량)을 충족하는 경우에 있어서, 용접 금속 중의 마르텐사이트의 형성은 억제되고, 용접 금속의 연성은 유지되고, 페라이트 상은 15 % 이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용융된 아연 코팅이 용접 금속으로 침투하는 것을 막아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 억제를 초래한다.
-0.81 x Cr 당량 + 23.2 ≤ Ni 당량 ≤ 0.95 x Cr 당량 - 8.1 ...(1)
Ni 당량 = Ni + 30 x C + 0.5 x Mn + 30 x N ...(2)
Cr 당량 = Cr + Mo + 1.5 x Si ...(3)
여기서, Ni, C, Mn, N, Cr, Mo 및 Si 각각은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 중에 함유하는 각 성분 원소의 함유량 (질량 %)을 나타낸다.
상기에서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의 용접 금속이 스테인레스강 기재 성분의 용접 금속으로 만들어진 용접부위를 가진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에 대한 용접 접합부에 있어서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이 형성되는 것을 막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은 상기의 식 (1)을 만족하는 용접 금속을 제조하고, 용접 방법에 따라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 용접 와이어 및 용접 플럭스의 적합한 조합의 선택을 통해 피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접 금속의 성분 조성물은 다음과 같이 정의되었다. 이것은 용접 금속의 세기의 확보, 취성 억제, 및 용접 결함, 예를 들어, 고온 균열 및 기공의 억제를 통해 더 나은 질을 가진 용접 금속을 형성하기 위해 행해졌다. 또한 이것은 상기 식 (1)을 만족하여 용접된 물질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확실하게 피하기 위해 행해졌다.
여기서 사용된 퍼센트 %는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질량 %를 의미한다.
탄소 (C)는 용접 금속의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원소이다. 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0.01 % 이상의 양으로 C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C의 함유량이 0.1 %를 초과하는 경우, 고온 균열을 야기할 수도 있고, 페라이트 상 함유량을 낮추어,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야기할 수도 있다.
규소 (Si)는 페라이트 상을 형성하고, 용접 금속에 항산화제로 작용하기 위한 원소이다. 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용접 금속 중에 0.1 % 이상의 양으로 Si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i의 함유량이 1 %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 금속 중의 금속간 화합물이 생겨나고, 이에 따라 강도가 열악해진다. 따라서, Si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 %이다.
망간 (Mn)은 용접 금속에 항산화제로서 작용하고, 황 (S)을 거기에 융합시켜 무해하게 만드는 원소이다. 황은 유해할 수 있고, 고온 균열을 야기할 수 있는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상기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Mn을 용접 금속 중에 0.5 %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Mn의 함유량이 2.5 %를 초과하는 경우, 페라이트 상의 함유량이 줄어들 수 있고, 이는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로 이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Mn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5 %이다.
니켈 (Ni)은 용접 금속의 내부식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용접 금속의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하는 데 있어서, 및 오스테나이트 상 및 페라이트 상 사이의 균형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원소이다. 이것은 용접 금속의 강도를 유지한다. 이러한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용접 금속 중에 5 % 이상의 양으로 Ni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Ni의 함유량이 11 %를 초과하는 경우, 페라이트 상 함유량을 감소시켜,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초래한다. 따라서, Ni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1 %이다.
크롬 (Cr)은 용접 금속의 내부식성을 확보하고, 페라이트 상을 형성하여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피하기 위한 원소이다. 내부식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보면, Cr 함유량은 13 % 이상이면 충분하지만, 17 % 이상이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피하기 위해서 바람직하다. 그러나 Cr 함유량이 25 %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 금속 중에 금속간 화합물을 야기할 수도 있고, 이에 따라 강도를 약화시킨다.
또한, 용접 금속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몰리브덴 (Mo) 및/또는 질소 (N)는 상기의 기초 성분에 추가로 첨가할 수도 있다.
몰리브덴 (Mo)은 페라이트 상을 형성하고, 클로라이드 분위기하에서 Cr과 함께 사용하여 내부식성을 확보하기 위한 원소이다. 상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 용접 금속 중에 0.2 % 이상의 양으로 Mo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Mo의 초과량은 용접 금속의 세기를 향상시키고,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야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용접 금속 중의 Mo 함유량이 2 %를 초과하는 경우,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Mo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 %이다.
질소 (N)는 0.01 - 0.03 %의 양으로 대기 중에서 불가피하게 취해지고,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하여 내부식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또한 가능한 원소이다. 상기의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용접 금속 중에 N을 0.05 %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N의 초과량은 페라이트 함유량을 저하시켜,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생성한다. 예를 들어, 용접 금속 중의 N 함유량이 0.15 %를 초과하는 경우,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N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15 %이다.
상기에 기술된 원소가 본 발명의 용접 금속 중에 함유되는 주요 성분이지만, 말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용접 금속의 원하는 특성이 다른 원소에 의해 저해되지 않는 한 용접 금속 중에 다른 원소를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의 모재의 세기를 확보하기 위해 미량의 Nb, V, Ti 및/또는 Al이 첨가될 수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도중에 용접 금속에 혼합할 수 있다. 강도를 약화시키는 용접 금속 중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이러한 원소들 각각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1 %이다.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에 대한 모재로, 저합금강의 구조용강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접 금속의 성분들의 조정은 Ni, C, Mn, N, Cr, Mo, 및 Si를 합금 성분으로서 포함하도록 행해지고, 이에 따라 나머지는 철 및 불가피한 불순물일 수 있다. 용접으로 인한 강판의 용융된 모재에 의한 모재의 희석비가 10 - 40 %인 것을 고려하면, Ni 당량 및 Cr 당량이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도록 용접 물질의 성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와이어에 있어서, 고체 와이어 및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flux-cored wire) 모두가 사용될 수 있다.
고체 와이어는 전부 스테인레스강 와이어로 이루어진다.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합금 성분을 조절하기 위한 금속 분말 및 스테인레스강 와이어의 외부 쉘 내부에서 아크를 안정화하기 위한 슬래그 물질을 포함한다.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고체 와이어 뿐만 아니라 용접 금속의 구조 및 특성을 통제하는 것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슬래그 물질 때문에 용접 작동성을 향상시키고 양호한 용접 비드 형태 및 외관을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또한 플럭스는 용접시 고체화 슬래그를 형성하여 용접 금속의 표면을 덮음으로써, 그것의 산화를 막는다. 이것은 용접 금속의 표면상의 금속색을 아연 기재 합금 코팅과 유사하게 유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양호한 외관을 가진 용접 접합부를 제공한다.
반면, 고체 와이어는 고체화 슬래그를 형성하지 않기 때문에, 필러 와이어로서 TIG 아크 용접 및 플라스마 아크 용접에 적용할 수 있다. 하기에서 고체 와이어 및/또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 중에 함유되는 성분/조성물의 바람직한 범위를 보여준다.
탄소 (C)는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하는 원소이다. 용접 와이어 중의 0.01 % 이상의 탄소 함유량은 이 기능을 달성하는데 바람직하다. 그러나 C의 함유량이 0.05 %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 금속의 세기를 향상시키고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상의 용접부위의 모서리에서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용접 와이어 중의 C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5 % 이하이다.
규소 (Si)는 용접 금속에 항산화제로 작용하는 원소이다. 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용접 와이어 중에 0.1 % 이상의 양으로 Si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Si 함유량이 1 %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 금속 중 금속간 화합물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이는 강도를 약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Si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 %이다.
망간 (Mn)은 용접 금속에 항산화제로서 작용하고, 황 (S)을 거기에 융합시켜 무해하게 만드는 원소이다. 황은 유해할 수 있고, 고온 균열을 야기할 수 있는 불가피한 불순물이다. 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Mn을 용접 와이어 중에 0.5 % 이상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Mn의 함유량이 3 %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 금속의 내부식성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Mn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 %이다.
니켈 (Ni)은 용접 금속의 오스테나이트 상을 안정화하는 데 있어서, 및 오스테나이트 상 및 페라이트 상 사이의 균형을 조절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원소이다. 이러한 기능들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용접 와이어 중에 7 % 이상의 양으로 Ni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Ni의 함유량이 12 %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 금속의 강도를 감소시킬 수도 있다. 따라서, Ni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12 %이다.
크롬 (Cr)은 페라이트 상을 형성하고, 용접 금속 중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피하기 위한 주요한 원소이다. 상기의 기능들을 완전하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용접 와이어 중에 Cr을 24 %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와이어 중의 Cr 함유량이 30 %를 초과하는 경우, 용접 금속 중에 금속간 화합물을 생성하여 강도를 약화시킨다. 따라서, 크롬의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30 %이다.
몰리브덴 (Mo)은 용접 금속의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원소이다. 그러나 Mo의 초과량은 용접 금속의 세기를 향상시켜,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 와이어 중의 Mo 함유량이 2 %를 초과하는 경우,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Mo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2 %이다.
질소 (N)는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용접 금속의 오스테나이트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원소이다. 그러나 N 함유량의 증가는 용접 금속의 세기를 증가시켜,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접 와이어 중의 N 함유량이 0.17 %를 초과하는 경우,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N 함유량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0.17 %이다.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에 있어서, 슬래그 성분/조성물의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하기와 같이 정의해야만 한다.
이산화 티탄 (TiO2)은 농후하고 용이하게 벗겨지는 슬래그를 형성하여, 아크를 안정화한다. 그러나 TiO2 함유량이 0.5 % 이하이면 만족스럽게 기능하지 않고, TiO2 함유량이 2.5 % 이상이면 슬래그의 유동성의 저하를 초래하여, 열등한 외관을 가진 용접부위 돌출 표면을 형성한다. 따라서 TiO2 함유량의 한계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를 범위로 한다. 원료로서 금홍석, 티탄 슬래그, 일루미니트 및 티탄산염, 예를 들어, 티탄산 칼륨, 및 티탄산 나트륨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산화 규소 (SiO2)는 캡슐화 슬래그를 형성하는데 필수적 성분이다. 그러나 SiO2 함유량이 1.5 % 미만인 경우, 충분한 양의 캡슐화를 달성할 수 없을 것이고, 이는 용접 금속에 대한 항산화의 기능을 저하시킴으로써 양호한 외관을 제공하지 않게 된다. SiO2 함유량이 3.5 %를 초과하는 경우, 슬래그는 건식 연소하는 경향이 있고, 박리성이 심해지고, 용접 슬래그가 증가한다. 따라서, SiO2 함유량의 한계는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를 범위로 한다. SiO2에 대한 원료로서, 실리카사, 실리카, 규회석, 지르콘사 및 칼륨장석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산화 지르코늄 (ZrO2)은 슬래그에 유동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ZrO2 함유량이 0.5 % 미만인 경우, 유동성이 불충분해진다. ZrO2 함유량이 2.5 % 초과인 경우, 슬래그는 경직되고, 박리성이 심해지고 용접 슬래그가 증가한다. 따라서, SiO2 함유량의 한계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 %를 범위로 한다. 원료로서 산화 지르코늄, 지르코늄화 (zirconium flower), 및 질콘(Zilcon)사가 사용될 수도 있다.
플럭스 중의 총 슬래그 성분의 함유량이 6.5 % 미만인 경우, 슬래그 캡슐화는 충분하지 않다. 플럭스 중의 총 슬래그 성분의 함유량이 9.5 % 초과이면, 용접 슬래그는 증가하고, 슬래그 봉입체를 가지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플럭스 중의 총 슬래그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5 %를 범위로 한다.
본 발명은 코팅한 강판, 예를 들어, 아연으로 코팅한 강판, Zn-Al-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 Zn-Al-Mg-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 및 Zn-Al-Mg-Si-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에 적용할 수 있다. 코팅량은 내부식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표면당 50g/m2 이상, 용접 작업성의 측면에서 표면당 150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부식이 없는 용접 접합부를 만들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더 큰 내부식성을 가진 판, 예를 들어, Zn-Al-Mg-Si-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사용해야만 한다. 그러한 판에 있어서, Al 함유량은 2 - 19 %, Mg 함유량은 1 - 10 %, Si 함유량은 0.01 - 2 %이고, 나머지는 Zn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저합금 구조용 강은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에 대한 모재로서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용접 동안 용접 물질의 성분/조성물을 본 발명에서 정의한 범위에서 벗어나도록 희석하지 않는 한, 그러한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의 모재의 성분/조성을 정의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이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이한 물질 사이의 용접 접합부, 예를 들어, 아연 기재로 코팅한 강판 및 스테인레스강 기재 강판의 용접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렛 접합부, 랩 필렛 접합부 또는 맞대기 접합부 같은 임의의 형태의 용접 접합부에 적용할 수 있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은 특히 결합력을 용접부위에 적용할 때 일어난다. 따라서, 3mm 이상의 두께를 가진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의 필렛 용접에 의해 만들어진 결합력이 매우 강한 필렛 용접 접합부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 더욱 의미 있다.
용접하는 방법으로는, MIG 아크 용접, MAG 아크 용접 및 이산화탄소 기체 아크 용접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할 수 있다. 용접 조건으로, 특별한 한정 조건은 없다. 그러나 강판의 모재의 용융은 용접 금속의 성분/조성을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하기 조건들에 따라 용융된 모재에 의한 희석의 불필요한 증가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열은 바람직하게는 10 KJ/cm 이하이고, 모재의 희석비는 바람직하게는 10 - 40 %이다. 모재의 희석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모재의 희석비 = (모재의 각 용융된 성분)/(모재의 각 용융된 성분 + 용접 물질의 각 용융된 성분) x 100 % (1)
용접에 대한 입열은 용접 전류, 용접 전압 및 용접 속도를 조절하여 바람직하게는 10 KJ/cm 이하로 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와이어를 필러 와이어로 사용하여 아크 용접 이외에 테일러 블랭크 용접에 적용할 수 있다.
하기 표 1에 (S1), (S2), (S11), 및 (S12)로 지정된 합금 성분을 함유하는 고체 와이어 및 (F3) - (F10)으로 지정된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용접 물질로 사용하였다.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하기 슬래그 성분을 포함한다: 총 와이어 무게당 TiO2: 1.7 %, SiO2: 2.5 % 및 ZrO2: 1.6 %. (S12)는 보통 강재에 대한 용접 와이어이다.
표 2는 사용한 아연 기재 합금 강판의 성분/조성 및 코팅 무게를 보여준다. 코팅한 강판 A는 아연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으로, 등급이 590 MPa이고, 두께는 6 mm이다. 코팅한 강판 B는 Zn-Al-Mg-Si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으로, 등급이 400 MPa이고, 두께는 3 mm이다.
도 4에서 보이는 필렛 용접 접합부는 용접 물질 및 상기에 기재된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접합부는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 및 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의 내부식성이 평가되었다.
도 4에서 보인 시험 샘플은 다음과 같이 제조되었다.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 (4)를 수평으로 설치된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 (1) 상에 수직으로 놓았다. 그 다음 필렛 용접 (5)을 스테인레스강 기재 와이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용접부위를 냉각한 후, 필렛 용접 (6)을 수행하여 시험 샘플을 완성했다. 필렛 용접 (5) 및 (6)은 유사한 침투 형태를 가졌고, 이것은 필렛 용접 (5) 및 (6)에서의 모재의 희석비가 실질적으로 유사함을 나타낸다.
필렛 용접 (5)의 용접 조건은 용접 전류: 200-220 A, 아크 전압: 25-28 V, 용접 속도: 40 - 50 cm/분, 차폐 가스: 고체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아르곤 + 2 % 산소)의 혼합 기체를 사용하고,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아르곤 + 20 - 50 % 이산화탄소)의 혼합 기체를 사용하거나, 또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사용하는 경우, 이산화탄소 기체를 사용하였다. 이러한 용접 조건 하에서, 용접 도중의 모재의 희석비를 차폐 가스의 종류에 의해 대략적으로 결정하였다. 차폐 가스로 (아르곤 + 2 % 산소)를 사용할 때, 모재의 희석비는 약 15 %였다. (아르곤 + 20-50 % 이산화탄소)를 사용할 때, 혼합 기체 중의 이산화탄소 기체 비 율이 20에서 50 %로 변함에 따라, 희석비는 20 내지 35 %를 범위로 한다.
용접 금속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의 평가로 색 검사 (액체 침투제 검사 방법)를 수행하였다. 균열이 맨눈으로 관측되지 않는 경우, 평가는 "양호"이다
내부식성의 평가는 JASO-규정 혼합 사이클 부식 시험으로 수행하였다. 시험의 한 사이클은 다음과 같다. (1) 염수 (5 % NaCl) 분무, 35 ℃, 2시간; (2) 건조 (습도 30 %), 60 ℃, 4시간, 및 (3) 습윤 조건 (습도 95 %), 50 ℃, 2시간. 총 120 사이클을 수행하였고, 적색 녹은 매 20 사이클마다 검사하였다. 적색 녹이 최초 20 사이클에서 관측되지 않는 경우, 부식의 평가는 "양호"이다.
표 3은 성분/조성, Cr 당량 및 Ni 당량, 식 (1)과의 관계, 및 각 용접 금속 시험 샘플의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 및 내부식성의 평가를 보여준다.
샘플 번호 1-8에 있어서, 이들은 Ni 당량의 상한 및 하한을 충족하였다. 액체-금속 취성화 균열이 관측되지 않았고, 내부식성은 양호하였다. 고체 와이어를 사용한 샘플 번호 1 - 2는 용접 스패터를 가지지만,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사용한 샘플 번호 3 - 8은 용접 스패터가 거의 없고, 양호한 용접성을 가진다.
샘플 번호 7은 Mo 및 N을 첨가한 샘플이었다. 40 사이클에서 적색 녹이 용접 금속 주변 영역에서 관측되었으나, 120 사이클을 초과할 때까지 용접된 금속 자체에는 적색 녹이 관측되지 않았다. 샘플 번호 3 및 8은 내부식성이 높은 코팅 Zn-Al-Mg-Si 합금을 적용한 샘플이었다. 이러한 샘플들은 용접부위 및 용접 부근의 영역 모두에서 우수한 내부식성을 보인다.
샘플 번호 9 - 15는 본 발명에서 정의한 범위를 벗어난 대조군이었다. 샘플 번호 9-12 중 어느 것도 식 (1)의 우측부 (Ni 당량의 상한)를 충족하지 않았고, 모두 취성 균열을 보였다. 샘플 번호 11은 Mo 및 N의 초과량을 가졌다.
샘플 번호 9 - 12는 JP09-267177A에 기재된 조건: -0.7 x Cr 당량 + 20 ≤ Ni 당량 (Ni의 하한)을 충족하였지만, 본 발명에서 정의한 Ni의 상한을 충족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샘플들은 용접 금속 중에 페라이트 상을 충분한 양으로 형성하지 않고, 이에 따라 취성 균열이 형성되었다.
샘플 번호 13은 식 (1)의 좌측부 (Ni 하한)를 충족하지 않고, 취성 균열이 관측되었다. 샘플 번호 4, 5 및 13은 동일한 용접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차폐 가스로 이산화탄소를 사용한 샘플 번호 13은 모재의 희석 증가를 야기하는 용접부위에서의 침투를 증가시키고, 따라서, 용접 금속의 최종 성분/조성은 본 발명에 의해 정의된 범위를 벗어났다.
샘플 번호 14 및 15는 보통 강재에 용접 와이어를 사용하였다. 말할 필요 없이, 용접 금속은 Cr 및 Ni가 결핍되었다. 따라서, 내부식성이 열등하고, 초기 단계에서 적색 녹이 형성되었다. 이 용접 금속은 연질 강재의 페라이트가 풍부한 용접 성분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취성 균열은 일어나지 않는다.
샘플 번호 3-11 및 샘플 번호 13은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용접 물질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샘플들에 있어서, 용접으로부터의 고체화 슬래그는 용접 금속의 표면을 덮어 산화를 억제함으로써, 금속 광택의 유지를 가능하게 한다.
Figure 112008030065321-pct00001
Figure 112008030065321-pct00002
Figure 112008030065321-pct00003
본 원에서 언급한 인용 특허, 간행물, 계류중인 출원 및 가출원 모두는 본 원에서 참고문헌으로 도입되었다.
이렇게 기재된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을 많은 방식으로 변형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그러한 변형은 발명의 본질에서 벗어난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범위의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고, 당업자에게 명확한 그러한 모든 변형은 하기의 청구항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도록 한다.

Claims (7)

  1.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제1 강판 (1);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제2 강판 (4); 및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제1 강판과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제2 강판을 접합하는 용접부위 (5,6)를 포함하고,
    상기 용접부위가 질량 퍼센트 (%)로:
    C: 0.01 - 0.1;
    Si: 0.1 - 1;
    Mn: 0.5 - 2.5;
    Ni: 5 - 11; 및
    Cr: 17 - 25;
    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 및 잔여 불순물이며,
    하기 식 (1), (2) 및 (3):
    -0.81 x Cr 당량 + 23.2 ≤ Ni 당량 ≤ 0.95 x Cr 당량 - 8.1 ... (1)
    Ni 당량 = Ni + 30 x C + 0.5 x Mn + 30 x N ... (2)
    Cr 당량 = Cr + Mo + 1.5 x Si ... (3)
    (여기서, Ni, C, Mn, N, Cr, Mo 및 Si 각각은 용접부위 중에 함유하는 각 성분 원소들의 함유량 (질량 %)을 나타냄)
    을 충족하는 용접 접합부.
  2.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제1 강판 (1) 및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제2 강판 (4)을 고체 와이어 또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를 사용하여 용접하여,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제1 강판과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제2 강판을 접합하는 용접부위 (5,6)를 형성하고,
    상기 고체 와이어 또는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는 총 와이어 질량당 질량 (%)로 하기의 금속 성분:
    C: 0.01 - 0.05;
    Si: 0.1 - 1;
    Mn: 0.5 - 3;
    Ni: 7 - 12;
    Cr: 24 - 30; 및
    Mo: 2 이하 또는 N: 0.17 이하 중 하나 이상
    을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 및 잔여 불순물이고,
    상기 용접부위는 질량 퍼센트 (%)로:
    C: 0.01 - 0.1;
    Si: 0.1 - 1;
    Mn: 0.5 - 2.5;
    Ni: 5 - 11;
    Cr: 17 - 25; 를 포함하고,
    나머지는 철 및 잔여 불순물이며,
    하기 식 (1), (2) 및 (3):
    -0.81 x Cr 당량 + 23.2 ≤ Ni 당량 ≤ 0.95 x Cr 당량 - 8.1 ... (1)
    Ni 당량 = Ni + 30 x C + 0.5 x Mn + 30 x N ... (2)
    Cr 당량 = Cr + Mo + 1.5 x Si ... (3)
    (여기서, Ni, C, Mn, N, Cr, Mo 및 Si 각각은 용접부위 중에 함유하는 각 성분 원소들의 함유량 (질량 %)을 나타냄)
    을 충족하는 것인, 용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럭스 코어드 와이어가 총 와이어 질량당 질량 (%)로 슬래그 성분:
    TiO2: 0.5 - 2.5;
    SiO2: 1.5 - 3.5; 및
    ZrO2: 0.5 - 2.5,
    를 포함하고, 상기 슬래그 성분의 총량은 6.5 내지 9.5를 범위로 하는 용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의 아연 기재 합금 코팅이 질량 (%)로:
    Al: 2 - 19;
    Mg: 1 - 10; 및
    Si: 0.01 - 2
    를 포함하고, 나머지가 아연 및 잔여 불순물인 용접 접합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이 3mm 이상의 두께를 가지고, 여기서 용접 접합부의 형태가 필렛 용접 접합부인 용접 접합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부위가 질량 퍼센트 (%)로:
    Mo: 0.5-2; 및
    N: 0.05-0.15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용접 접합부.
  7. 삭제
KR1020087010092A 2005-09-28 2006-09-25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기 위한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으로 이루어진 용접 접합부 KR101012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82712 2005-09-28
JP2005282712 2005-09-28
JP2006136897A JP5098217B2 (ja) 2005-09-28 2006-05-16 溶接部の耐食性および耐亜鉛脆化割れ性に優れた亜鉛めっき鋼板の溶接継手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JP-P-2006-00136897 2006-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3395A KR20080053395A (ko) 2008-06-12
KR101012199B1 true KR101012199B1 (ko) 2011-02-08

Family

ID=374789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092A KR101012199B1 (ko) 2005-09-28 2006-09-25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기 위한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으로 이루어진 용접 접합부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767314B2 (ko)
EP (1) EP1940582A1 (ko)
JP (1) JP5098217B2 (ko)
KR (1) KR101012199B1 (ko)
CN (1) CN101277781B (ko)
BR (1) BRPI0616709B1 (ko)
CA (1) CA2624140C (ko)
MY (1) MY146745A (ko)
RU (1) RU2410221C2 (ko)
TW (1) TWI310713B (ko)
WO (1) WO20070374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94586B2 (ja) 2006-07-05 2013-05-08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亜鉛めっき鋼板溶接用ステンレス鋼フラックス入り溶接ワイヤ
JP4377955B2 (ja) 2007-12-27 2009-12-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亜鉛めっき鋼板溶接用ステンレス鋼フラックス入り溶接ワイヤおよびこれを用いた亜鉛めっき鋼板のアーク溶接方法
JP5187833B2 (ja) * 2008-03-13 2013-04-24 日新製鋼株式会社 亜鉛系合金めっき鋼材の溶接方法
JP5410039B2 (ja) * 2008-06-03 2014-02-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テンレス鋼エレクトロガス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US8748008B2 (en) * 2008-06-12 2014-06-10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High performance coatings and surfaces to mitigate corrosion and fouling in fired heater tubes
CN101748344B (zh) * 2008-12-09 2011-11-23 山东远大模具材料有限公司 铁路轨道焊接钢及制造工艺
NZ593724A (en) 2008-12-26 2012-11-30 Nippon Steel Corp Stainless steel flux-cored welding wire for the welding of steel sheets with a composition to reduce cracking and increase corrosion resistance and ductility
JP5289999B2 (ja) * 2009-02-19 2013-09-11 日鐵住金溶接工業株式会社 二相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4968393B2 (ja) * 2010-05-18 2012-07-0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る溶接継手および原油タンク
KR101230137B1 (ko) * 2010-12-28 2013-02-05 주식회사 포스코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용접방법
JP5410466B2 (ja) * 2011-03-01 2014-02-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テンレス鋼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EP2832887A4 (en) 2012-03-28 2016-05-04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 CUSTOMIZED COATING FOR HOT COATING, HOT-PUTTED EL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CN102691019B (zh) * 2012-06-18 2016-01-06 上海加宁新技术研究所 一种控氮核级不锈钢的熔炼方法
US10543556B2 (en) 2012-08-28 2020-01-28 Hobart Brother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welding zinc-coated workpieces
US9999944B2 (en) 2012-08-28 2018-06-19 Hobart Brother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welding electrodes
EP2737972A1 (en) 2012-11-28 2014-06-04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Welding material for weld cladding
US20160144441A1 (en) * 2013-01-31 2016-05-26 Siemens Energy, Inc. Low heat flux mediated cladding of superalloys using cored feed material
EP3010680A4 (en) * 2013-06-18 2017-03-08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Filler for the welding of materials for high-temperature applications
JP6257193B2 (ja) * 2013-07-12 2018-01-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肉盛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EP3055101A2 (en) * 2013-10-09 2016-08-17 Hobart Brother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corrosion-resistant welding electrodes
US10300565B2 (en) 2014-10-17 2019-05-28 Hobart Brothers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welding mill scaled workpieces
KR101657839B1 (ko) * 2014-12-24 2016-09-20 주식회사 포스코 무도장 고내식 플럭스 코어드 아크 용접재료
KR101657837B1 (ko) * 2014-12-24 2016-09-20 주식회사 포스코 무도장 고내식 서브머지드 아크 용접재료
KR101657838B1 (ko) * 2014-12-24 2016-09-20 주식회사 포스코 무도장 고내식 용접이음부 및 그 제조 방법
WO2016156896A1 (en) 2015-03-31 2016-10-06 Arcelormittal Panel for vehicle comprising a coated steel sheet locally reinforced
JP6114785B2 (ja) * 2015-05-29 2017-04-12 日新製鋼株式会社 溶接部外観と溶接強度に優れた溶融Zn系めっき鋼板のアーク溶接方法、および溶接部材の製造方法
BR112017028547B1 (pt) * 2015-07-01 2022-03-15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Ab Um método de junção de uma liga de fecral com uma liga de fenicr utilizando um metal de preenchimento por soldagem
WO2017109544A1 (fr) * 2015-12-22 2017-06-29 Arcelormittal Procede de preparation d'une tole pre-revetue, avec enlevement du revetement a l'aide d'un faisceau laser incline; tôle correspondante
GB2545768B (en) * 2015-12-23 2018-04-25 Goodwin Plc A steel, a cast, forged or wrought product and a welded product
CN106944763B (zh) * 2016-01-06 2020-01-21 宝钢特钢有限公司 一种高强度锰系耐磨钢焊丝
JP2017148821A (ja) * 2016-02-22 2017-08-3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2相ステンレス鋼向けアーク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および溶接金属
US11318566B2 (en) 2016-08-04 2022-05-03 Honda Motor Co., Ltd. Multi-material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1339817B2 (en) 2016-08-04 2022-05-24 Honda Motor Co., Ltd. Multi-material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US10640854B2 (en) 2016-08-04 2020-05-05 Honda Motor Co., Ltd. Multi-material component and methods of making thereof
CN106425277A (zh) * 2016-12-07 2017-02-22 宝钢钢构有限公司 一种箱型钢构电渣焊焊缝缺陷的返修方法
CN107326269A (zh) * 2017-05-26 2017-11-07 太仓明仕金属制造有限公司 一种金属零部件用碳钢
BR112020006128A2 (pt) * 2017-10-24 2020-09-24 Arcelormittal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chapa de aço revestida, chapa de aço, junta soldada e uso de uma chapa de aço revestida
WO2019102255A1 (en) 2017-11-24 2019-05-31 Arcelormittal Method of producing a welded steel blank with the provision of a filler wire having a defined carbon content, associated welded blank, method of producing a welded part with hot press-formed and cooled steel part and associated part
RU2681072C1 (ru) * 2017-11-29 2019-03-0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очных приборов" (АО "НИИ ТП") Способ лазерной сварки алюминиевых сплавов
RU2681071C1 (ru) * 2017-11-29 2019-03-0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точных приборов" (АО "НИИ ТП")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конструкций из защитных алюминиевых сплавов лазерной сваркой
CN108311787A (zh) * 2018-01-18 2018-07-24 上海业识科技有限公司 基于连续激光、准连续激光的不锈钢面板表面焊接工艺
JP2020059059A (ja) * 2018-10-12 2020-04-16 株式会社三五 ガスシールドメタル溶接方法
MX2021011510A (es) * 2019-03-27 2021-10-22 Nippon Steel Corp Parte del chasis del automovil.
CN110722254B (zh) * 2019-10-24 2021-08-03 武汉一冶钢结构有限责任公司 具有裂纹缺陷的奥氏体不锈钢焊缝缺陷试板的制作方法
CN110732800B (zh) * 2019-10-25 2021-09-03 神华神东煤炭集团有限责任公司 用于中部槽修复的铁基合金组合物及中部槽的修复方法
US11511375B2 (en) 2020-02-24 2022-11-29 Honda Motor Co., Ltd. Multi component solid solution high-entropy alloys
KR102402239B1 (ko) * 2020-12-21 2022-05-26 주식회사 포스코 내균열성이 우수한 용접 구조 부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789481B (zh) * 2021-09-13 2023-04-07 江阴法尔胜泓昇不锈钢制品有限公司 一种不锈钢丝及其制备方法和不锈钢弹簧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5673A1 (de) * 1972-11-14 1974-05-22 Suedwestfalen Ag Stahlwerke Verwendung einer ferritisch-austenitischen crnimon-stahl-legierung als werkstoff zur herstellung geschweisster bauteile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98929B (de) 1970-05-15 1972-05-25 Boehler & Co Ag Geb Schweißzusatzmaterial zur Herstellung von kornzerfallbeständigen, stabil-austenitischen, unmagnetisierbaren Schweißungen
DE2154048A1 (de) 1971-10-29 1973-05-03 Kobe Steel Ltd Nichtrostender gusstahl
DE2644039B1 (de) 1976-09-30 1978-01-26 Suedwestfalen Ag Stahlwerk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geschweissten, ferritisch-austenitischen gegenstaenden
JPS59218295A (ja) * 1983-05-24 1984-12-08 Sumitomo Metal Ind Ltd 2相ステンレス鋼溶接用溶加材
JPS60148693A (ja) * 1984-01-13 1985-08-05 Sumitomo Metal Ind Ltd ステンレス鋼用ガスシ−ルドア−ク溶接ワイヤ
JPH01143793A (ja) * 1987-11-27 1989-06-06 Hitachi Ltd 高温用高強度溶接材料
JP2687033B2 (ja) 1990-03-12 1997-12-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高耐食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JPH0788684A (ja) 1993-09-17 1995-04-04 Nippon Steel Corp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用溶接材料および溶接方法
CN1041642C (zh) * 1994-06-17 1999-01-13 株式会社日立制作所 高韧性13Cr5Ni系不锈钢及其用途
JPH08141783A (ja) * 1994-11-14 1996-06-04 Honda Motor Co Ltd 硬化肉盛り用溶接材料及びその成分決定方法
JP3672666B2 (ja) 1996-03-29 2005-07-20 日新製鋼株式会社 耐食性に優れた鋼製ドアの製造方法
DE69709308T2 (de) * 1996-09-13 2002-08-08 Sumitomo Metal Ind Schweissmaterial für nichtrostenden stahl
JPH10146691A (ja) * 1996-11-18 1998-06-02 Nippon Steel Corp 高Cr鋼の溶接方法
JPH11256234A (ja) 1998-03-10 1999-09-21 Nippon Steel Corp 高デルタフェライトステンレス線材の製造方法
JP2002514513A (ja) * 1998-05-08 2002-05-21 スウエイジロク・カンパニー フェライト−オーステナイトステンレス鋼を用いた溶接方法
JP3561421B2 (ja) 1998-08-18 2004-09-0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食性の優れた塗装鋼板
JP2000102891A (ja) * 1998-09-30 2000-04-11 Toyo Eng Corp 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材料
JP3454354B2 (ja) 1999-06-25 2003-10-06 日鐵住金溶接工業株式会社 オーステナイト・フェライト系二相ステンレス鋼溶接材料およびそれを用いた高Cr鋼の溶接方法
JP3934399B2 (ja) * 2001-11-05 2007-06-20 新日鐵住金ステンレス株式会社 凝固結晶粒を微細にするオーステナイト系ステンレス鋼溶接用フラックス入りワイヤ
WO2003095693A1 (fr) * 2002-05-08 2003-11-20 Nippon Steel Corporation Fil d'acier inoxydable tres solide aux bonnes qualites de tenacite a la ductilite et module de rigidite, et procede de production
RU2243071C2 (ru) 2002-07-01 2004-12-27 От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АВТОВАЗ" Способ контактной точечной сварки оцинкованных стальных листов
JP4303655B2 (ja) 2004-07-29 2009-07-2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部の耐食性および耐亜鉛脆化割れ性に優れた亜鉛めっき鋼板の溶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55673A1 (de) * 1972-11-14 1974-05-22 Suedwestfalen Ag Stahlwerke Verwendung einer ferritisch-austenitischen crnimon-stahl-legierung als werkstoff zur herstellung geschweisster baute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10713B (en) 2009-06-11
CA2624140C (en) 2011-12-06
CN101277781A (zh) 2008-10-01
RU2410221C2 (ru) 2011-01-27
US20090158889A1 (en) 2009-06-25
US7767314B2 (en) 2010-08-03
CA2624140A1 (en) 2007-04-05
JP5098217B2 (ja) 2012-12-12
TW200720006A (en) 2007-06-01
RU2008116610A (ru) 2009-11-10
WO2007037447A9 (en) 2007-05-24
MY146745A (en) 2012-09-14
WO2007037447A1 (en) 2007-04-05
BRPI0616709A2 (pt) 2012-12-25
EP1940582A1 (en) 2008-07-09
CN101277781B (zh) 2012-06-13
JP2007118077A (ja) 2007-05-17
KR20080053395A (ko) 2008-06-12
BRPI0616709B1 (pt)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199B1 (ko) 아연 기재 합금으로 코팅한 강판을 용접하기 위한스테인레스강 기재 용접 금속으로 이루어진 용접 접합부
TWI399445B (zh) 具有熔劑核心且用以焊接鍍鋅鋼板之不銹鋼線
JP4377955B2 (ja) 亜鉛めっき鋼板溶接用ステンレス鋼フラックス入り溶接ワイヤおよびこれを用いた亜鉛めっき鋼板のアーク溶接方法
KR101231949B1 (ko) 아연 도금 강판 용접용 스테인리스강 플럭스 내장 용접 와이어 및 이것을 사용한 아연 도금 강판의 아크 용접 방법
JP5372217B2 (ja) アーク溶接構造部材の製造法
JP4303655B2 (ja) 溶接部の耐食性および耐亜鉛脆化割れ性に優れた亜鉛めっき鋼板の溶接方法
JP6080391B2 (ja) Zn−Al−Mg系めっき鋼板アーク溶接構造部材の製造法
JP2014133259A (ja) アーク溶接構造部材の製造法
JPH06210490A (ja) 亜鉛系めっき鋼板の溶接ワイヤおよび溶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