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3548B1 - 약제불출장치 - Google Patents

약제불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3548B1
KR101003548B1 KR1020047019898A KR20047019898A KR101003548B1 KR 101003548 B1 KR101003548 B1 KR 101003548B1 KR 1020047019898 A KR1020047019898 A KR 1020047019898A KR 20047019898 A KR20047019898 A KR 20047019898A KR 101003548 B1 KR101003548 B1 KR 10100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ensing
cassette
drug
roto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9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8543A (ko
Inventor
쇼지 유야마
신지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48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8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07F11/24Rotary or oscillatory memb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0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magazines the articles are stored one vertically above the other
    • G07F11/16Deliver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약제(D)가 정렬하여 수용되는 카세트(2)와, 이 카세트(2) 내의 약제(D)를 일단측을 향하여 부세(付勢)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카세트(2)의 일단부에 설치되어지고, 약제(D)를 보지오목부(保持凹部)(18)에 보지하여 회전함으로써 1개씩 불출(拂出)하는 불출부재(16)를 구비한 구성이다. 이것에 의해,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처방수량을 확실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약제불출장치{DRUG DISPENSER}
본 발명은, 약제를 1개씩 불출(拂出)하는 것이 가능한 약제불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제는, 보관선반에 인출 가능하도록 설치한 카세트 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보관선반으로부터 카세트를 인출하고, 해당하는 약제가 불출된다.
그러나, 상기 보관선반에서는, 인출한 카세트의 상방 개구부로부터 약제를 파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카세트의 배치 설치 위치에 따라서는 수용한 약제의 취출(取出)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그리고, 카세트 내의 약제의 수용 개수가 많아지면, 카세트의 인출 자체가 곤란해질 뿐 아니라, 카세트의 구석에 수용한 약제를 취출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예를 들면, 항암제 등의 사용이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는 약제의 경우, 이 약제를 자유롭게 취출시키기에는 문제가 있다. 한편, 시정(施錠;정제 분배)하는 등의 구성으로 하는 것은, 작업성의 악화를 초래하고, 시정이 확실하게 행하여져 있는가의 여부 확인도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처방수량만큼 확실하게 불출할 수 있는 약제불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약제불출장치를, 약제가 정렬하여 수용되는 카세트와, 이 카세트 내의 약제를 일단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부세수단과, 상기 카세트의 일단부에, 수취위치와 취출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불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불출부재는, 상기 수취위치로 회전한 시점에서, 상기 부세수단에 의해 부세된 약제를 1개만 보지하고, 상기 취출위치로 회전한 시점에서, 보지한 약제를 카세트의 외부로부터 취출 가능하도록 보지상태를 유지하는 보지오목부와, 이 보지오목부와는 반대측으로 형성되고, 상기 취출위치에 회전하였을 때, 다음의 약제를 지지가능한 지지면을 가지는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구성에 의해, 필요 최소한의 동작으로, 약제를 항상 같은 취출위치에서 불출할 수 있다. 그리고, 불출부재의 보지오목부를 취출위치에 회전시킨 상태에서, 약제의 확인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약제를 카세트 내로 되돌리는 경우에는, 보지오목부가 수취위치까지 이동하도록 불출부재를 회전시키는 것만으로 좋다. 이 경우, 보지오목부와는 반대측에 형성한 지지면이 다음의 약제를 지지하여 있기 때문에, 보지오목부에 보지한 약제는 스무스하게 카세트 내로 되돌려진다. 이것에 의해, 약제의 취출 및 수용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불출부재가 취출위치에 위치할 때, 보지오목부에서의 약제의 유무를 검출하는 약제검출수단과, 처방데이터 및 상기 약제검출수단에서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불출부재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면, 원하는 수량의 약제를 자동적으로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 다.
상기 불출부재를 회전 불능하게 하는 록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처방데이터에 근거하는 처방수량의 불출이 완료한 시점에서, 상기 록크수단에 의해 배출부재를 수취위치에 록크하면, 사람 손에 의하지 않고, 자동적으로, 약제의 부정한 불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불출부재는, 보지오목부를 구성하는 대향벽에 약제를 파지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홈(切欠)을 구비하면, 약제의 불출을 보다 더 용이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부세수단은, 카세트에 수용하는 약제의 수량에 구애되지 않고, 일정하중을 부가 가능한 구성으로 하면, 약제의 불출을 보다 더 스무스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카세트 내의 약제의 수량을 검출하는 약제수량검출수단을 구비하고, 이 약제수량검출수단은, 상기 카세트 내에 약제를 수용하고 있지 않은 초기상태에서의 부세수단에 의한 부세위치를 검출하는 센서와, 이 센서로 검출되는 초기상태로부터 카세트 내에 약제가 수용됨으로써 부세수단에 의한 약제의 부세위치의 변화를 검출하는 엔코더를 구비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불출수단은, 로우터로 이루어지고, 이 로우터의 외주면은, 다음의 약제를 지지함과 동시에, 회전에 의해 다음의 액제의 위치를 변위시키지 않도록 형성하여도 좋다.
상기 불출수단은, 로우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로우터가 불출위치에서 소정시간 경과함으로써, 대기위치로 자동 복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카세트는, 수용한 약제가 수평방향으로 병렬 설치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수용한 약제를, 순차적으로, 1개씩 일단측으로부터 배출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카세트는, 수용한 약제가 수직방향으로 병렬 설치되도록 배치하고, 상기 배출수단에 의해, 수용한 약제를, 순차적으로, 1개씩 상단으로부터 배출 가능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카세트는, 약제가 수용되고 상방 개구부가 덮개로 폐쇄된 바이알 병을, 세운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병렬 설치하여 수용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상기 불출수단은, 로우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카세트는, 보관선반의 각 수용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수용부로부터 취외하였을 때, 상기 로우터의 회전을 저지하는 록크부재를 구비하여도 좋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불출장치의 개략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세트의 일례를 도시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의 카세트에 채용 가능한 로우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B는 도 1의 카세트에 채용 가능한 로우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하는 카세트의 측면도이다.
도 4B는 로우터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C는 스텝핑 모터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A에 도시하는 카세트의 약제불출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6은 도 4A에 도시하는 카세트의 록크 상태를 도시하는 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하는 수용부의 전면측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하는 수용부의 배면측의 일부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불출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불출장치의 처리내용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11A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11B는 도 11A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의 회전구동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3A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엔코더를 구비한 카세트의 평면도이다.
도 13B는 도 13A의 정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의 회전구동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5A, 도 15B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불출기구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16A, 도 16B는 로우터의 축부의 위치의 차이에 의한 지지면의 이동궤적을 비교한 개략도이다.
도 17A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의 회전구동기구로서, 수용부에 카세트를 장착한 후의 기어측의 측면도이다.
도 17B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의 회전구동기구로서, 수용부에 카세 트를 장착하기 전의 측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카세트의 로우터 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과는 반대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0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수용부를 도시하는 부분사시도이다.
도 21A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의 회전구동기구로서, 수용부에 카세트를 장착하기 전의 록크부재측의 측면도이다.
도 21B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의 회전구동기구로서, 수용부에 카세트를 장착한 후의 측면도이다.
도 22A는 카세트에 장착되는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22B는 도 22A의 단면도이다.
도 23A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의 회전구동기구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23B는 도 23A의 분해평면도이다.
도 24A는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의 회전구동기구의 정면단면도이다.
도 24B는 도 24A의 정면도이다.
도 24C는 도 24B로부터 로우터를 회동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도 25는 지문인증화면이다.
도 26은 OK/NG선택화면이다.
도 27은 각종업무화면이다.
도 28은 자동/수동화면이다.
도 29는 처리환자일람화면이다.
도 30은 불출업무화면이다.
도 31은 조회업무메뉴화면이다.
도 32는 처방이력조회화면이다.
도 33은 약품투여검색화면이다.
도 34는 약품사용량화면이다.
도 35는 충전업무화면이다.
도 36은 의사별 약품사용량화면이다.
도 37은 병동별 약품사용량화면이다.
도 38은 관리약품사용량화면이다.
도 39는 마스터 메인터넌스화면이다.
도 40은 약품마스터화면이다.
도 41은 일보메뉴화면이다.
도 42는 충전일보화면이다.
도 43은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카세트의 로우터부분의 사시도이다.
도 44A는 도 43에 도시하는 회전구동기구의 록크해제위치에 있어서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44B는 도 44A의 부분 상세 사시도이다.
도 45A는 도 43에 도시하는 회전구동기구의 기준위치에 있어서의 개략설명도이다.
도 45B는 도 43에 도시하는 회전구동기구의 록크해제위치에 있어서의 개략설 명도이다.
도 45C는 도 43에 도시하는 회전구동기구의 로우터를 불출위치로 회전시킨 상태에서의 개략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약제불출장치를 도시한다. 이 약제불출장치에서는, 보관선반(1)에 복수의 카세트(2)가 매트릭스형상으로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보관선반(1)의 전면에는 조작표시패널(200)이 설치되고, 소정의 입력 및 표시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보관선반(1)은, 카세트(2)를 착탈 가능한 복수의 수용부(3)를 구비한다. 각 수용부(3)를 구성하는 저면에는, 카세트(2)를 착탈방향을 따라서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미도시)이 병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용부(3)를 구성하는 상면측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2) 내에 수용되는 약제(D)를 보관선반(1)의 전면측을 향하여 송출하기 위한 부세부재(4)가 설치되어 있다. 부세부재(4)는, 대향면에 설치한 가이드부재(30, 31)를 따라서 이동하는 평판형상의 슬라이드부재(5)와, 이 슬라이드부재(5)를 보관선반(1)의 전면측을 향하여 부세(付勢)하는 정하중스프링(6)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부재(30, 31)의 대향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돌기(7)가 형성되고, 이 돌기(7)의 상하면을 슬라이드부재(5)의 베어링(8)이 전동(轉動)한다. 그리고, 일방의 가이드부재(30)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카세트 누름부(9)가 형성되고, 수용부(3)에 카세트 (2)를 장착하였을 때, 후술하는 덮개(17)를 누르고 약제(D)가 카세트(2)로부터 부상(浮上)하는 것을 방지한다. 정하중스프링(6)은, 보관선반(1)의 배면측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회전축(10)에 엔코더(11)와 함께 일체화되어 있다. 엔코더(11)는 원반형상으로, 외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서 소정피치로 복수의 슬릿이 형성되고, 각 슬릿이 잔량센서(12)에 의해 검출되고, 회전위치가 카운팅됨으로써, 수용부(3)에 장착한 카세트(2)내의 약제(D)의 수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정하중스프링(6)의 스프링부에는 와이어(13)가 접속되어 있다. 이 와이어(13)는, 일방의 가이드부재(30)에 형성한 사각형공(30a)을 통하여 보관선반(1)의 전면측에 인출되고, 롤러(14)를 통하여 슬라이드부재(5)에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드부재(5)가 보관선반(1)의 전면측을 향하여 그 이동 장소에 구애되지 않고 항상 일정한 힘으로 부세된다. 롤러(14)의 근방에는 원점리셋센서(15)가 취부되어 있다. 수용부(3)에 카세트(2)를 미장착한 상태에서는, 정하중스프링(6)의 작용에 의해 와이어(13)를 통하여 슬라이드부재(5)는 보관선반(1)의 전면측에 위치한다. 원점리셋센서(15)는, 카세트(2)의 미장착시에 전면측에 이동한 슬라이드부재(5)를 검출하고, 엔코더(11)에 의한 카운터 수를 리셋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즉, 1개분의 약제가 카세트(2)의 길이방향으로 차지하는 치수(앰플에서는 직경, 약제상자에서는 폭 치수)와 엔코더(11)에서의 출력펄스수를, 미리 대응시켜서 기억하여 둔다. 그리고, 카세트(2)를 장착할 때, 슬라이드부재(5)가 수용한 약제(D)로 밀려서 배면측에 이동할 때의 출력펄스에 근거하여 약제(D)의 수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약제(D)를 불출하는 경우에는, 카세트(2)를 장착할 때에 기억한 출력펄스수로부터, 검출되는 엔코더 (11)의 출력펄스수를 감산함으로써, 카세트(2)내에 잔류하는 약제(D)의 수량을 산출한다.
각 카세트(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에 개구하는 홈형상으로, 그 일단부에는 불출부재인 로우터(16)가 설치되고, 약제(D)를 한 개씩 불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2)에는, 상면 개구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일부를 덮는 덮개(17)가 폐쇄방향으로 부세된 상태로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카세트(2)내에는 약제(D)가 정렬상태로 수용되고, 수용된 약제(D)의 일부는 상기 카세트 누름부(9)(도 7참조)에 의해, 눌려져 있다. 그리고, 카세트(2)의 저면에는 걸림오목부(係止凹部)(미도시)가 형성되고, 보관선반(1)측에 설치한 훅크(미도시)가 걸리고, 카세트(2)를 장착할 때의 클릭감이 얻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카세트(2)의 전면측, 즉 로우터(16)가 설치되는 측벽에는 오목부(2a)(도 2에서는 미도시)가 형성되고, 보관선반(1)으로부터 카세트(2)를 인출할 때에 손가락으로 집기 쉽게 되어 있다.
로우터(16)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앰플 등을 불출하기 위한 소형의 것이나,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이알(vial) 병에 수용한 상자 등을 불출하기 위한 대형의 것 등이 있다. 이들 로우터(16)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약제(D)를 보지하기 위한 보지오목부(18)를 구비하여 있다. 보지오목부(18)를 구성하는 양측면에는 절개홈(19)이 각각 형성되고, 약제(D)의 취출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로우터(16)의 적어도 우단측 외주부(좌단측 외주부에 설치하여도 좋다.)에는, 보지위치로, 상기 카세트(2)에 형성한 오목부(2a)에 연속하는 오목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오목부(16a)는, 카세트(2)가 소형이기 때문에 상기 오목부(2a)만으로는 손가락에 의한 파지상태가 불충분하게 되는 경우에 설치한다. 그리고, 로우터(16)의 단면중앙부에는 축부(20)가 돌출하고, 카세트(2)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축부(20)에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기어(21)가 일체화되고, 거기에는 카세트(2)에 설치한 제2기어(22)가 맞물려 있다. 제2기어(22)의 외주부에는, 길이가 긴 판 형상의 제1링크(23)의 일단부가 회전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제1링크(23)는, 그 타단부에, 카세트(2)에 지축(24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설치한 대략 V자형의 제2링크(24)의 일단부에 의해 가압 가능한 돌기(23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기(23a)의 근방에는 걸림용 절개홈부(23b)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용 절개홈부(23b)에는, 카세트(2)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한 걸림편(미도시)이 걸리거나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걸림편은,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정역회전하고, 걸림용 절개홈부(23b)에의 걸림 상태에서, 제1링크(23)가 이동 불능이 되어 로우터(16)는 록크 상태로 보지된다.
제2링크(24)는, 기어(25a)를 통하여 전달되는 스텝핑 모터(25)의 구동력에 근거하여 정역회전 구동한다. 지축(24a)에는 3개소에 마그넷(미도시)이 설치되고, 각각 센서(26)에 의해 검출됨으로써, 제2링크(24)를 대기위치(도 4A 참조), 작동위치(도 5 참조), 및 록크위치(도 6 참조)에 각각 정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2링크(24)가 대기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제1링크(23), 제2기어(22), 및 제1기어(21)를 통하여 로우터(16)는, 도 4B의 점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보지오목부(18)에 카세트(2)내의 약제(D)를 보지하는 보지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때, 카세트(2)에 형성한 오목부(2a)와 로우터(16)에 형성한 오목부(16a)가 연속한 위치가 되고, 이 부분에 손가락을 걸어 보관선반(1)으로부터 카세트(2)를 취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링크(24)를 도 5에 도시하는 작동위치로 회동시키면, 제1링크(23)로부터 제2기어(22) 및 제1기어(21)를 통하여 로우터(16)가 도 5중 점선으로 도시하는 취출위치까지 회전하고, 보지오목부(18)에 보지한 약제(D)를 취출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제2링크(24)를 도6에 도시하는 록크위치까지 회동시키면, 로우터(16)는 회전 불능하게 된다. 로우터(16)가 취출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보지오목부(18)에 약제(D)가 보지되어 있는지의 여부는 도시하지 않은 약제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다.
로우터(16)의 외면에는, 도 3A,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보지오목부(18)에 약제(D)를 보지하여 회전하였을 때, 다음의 약제(D)를 지지하는 지지면(27a)과, 약제명을 인쇄한 라벨을 부착(貼着)하기 위한 평탄면(27b)이 형성되어 있다.
로우터(16)의 외면형상은 다음과 같이 하여 결정한다. 우선, 약제(D)를 꼭 맞게 수용 가능한 보지오목부(18)를 구비한 원주(圓柱)를 가정하고, 그 축심을 약제(D)의 중심위치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로우터(16)의 단면(端面)에, 상기 원주의 축심에 대하여 하방측이며, 또한, 일단측보관선반(1)의 전면측에 축부(20)를 돌출 설치한다. 그리고, 이 축부(20)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상에 지지면(27a)을 형성한다. 그리고, 로우터(16)가 보지위치에 위치할 때, 전면측으로부터 직접 눈으로 보기 쉬운 위치에, 지지면(27a)에 연속하여 평탄면(27b)을 형성한다.
그런데, 로우터(16)가 회전하였을 때의 지지면(27a)의 궤적이, 다음의 약제(D)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축부(20)를 가능한 한 하방으로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축부(20)가 약제(D)의 맨 아래쪽(最下部), 즉, 카세트(2)의 저면과 동일평면 내에 있으면, 로우터(16)가 회전하여도 다음의 약제(D)가 전후로 이동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축부(20)를 하방으로 위치시키면, 로우터(16)의 점유스페이스의 관계상, 상하로 적층 배치되는 카세트(2)의 집적도를 높이는 것은 어렵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20)를 약제(D)의 중심(C)에 대하여 하방으로의 변위를 억제하고, 전면측에의 변위를 크게 취하여 있다.
이것에 의해, 카세트(2)의 상하방향에 있어서의 로우터(16)의 점유스페이스를 억제하면서, 로우터(16)가 보지위치로부터 불출위치까지 회전할 때의 지지면(27a)의 궤적로우터(16)와 다음의 약제(D)와의 간섭을 고려하여, 보지오목부(18)로부터 약제(D)가 약간 돌출하도록 보지하는 경우에는, 보지오목부(18)에 보지된 약제(D)의 각부(角部)의 궤적은, 카세트(2) 내에 수용한 약제(D)의 정렬방향에 대하여 거의 변화하는 일은 없고, 다음의 약제(D)의 위치 어긋남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로우터(16)가 회전할 때, 지지면(27a)과 다음의 약제(D)와의 사이의 마찰력이, 다음의 약제(D)를 들어올리는 힘으로서 작용되지만, 덮개(17)에 의해 약제(D)가 부상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로우터(16)의 축부(20)는 지지면(27a)측에 어긋나게 위치시켜 설치하면 좋고, 예를 들면, 약제(D)의 불출방향을, 전술한 반시계방향으로부터 시계회전방향으로 하는 경우에는, 축부(20)는 전면 상방측에 어긋나게 위치시키면 좋다.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잔량센서(12), 원점리셋센서(15), 및 약제검출센서(26)로부터의 입력신호나 처방데이터 외에, 사용자인증장치(32)의 입력신호가 제어장치(33)에 입력된다. 제어장치(33)는, 입력신호에 근거하여 스텝핑 모터(25) 등을 구동 제어한다. 사용자인증장치(32)로서는, 사용자ID와 패스워드, 지문인증, 홍채인증 등, 여러 가지의 인증수단이 채용 가능하다. 그리고, 미리 등록한 약제불출권한을 가지는 사람의 인증이 행하여진 경우에만, 스텝핑 모터(25) 등을 구동하여 약제(D)의 취출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약제불출장치의 동작을 도 10의 플로우 차트에 따라서 설명한다. 이 정제불출장치에서는, 각 카세트(2) 내에 약제(D)가 1열로 정렬된 상태로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수용한 약제(D)에는, 슬라이드부재(5)를 통하여 정하중스프링(6)의 부세력이 작용되고, 맨 앞쪽(最前部)에 위치하는 약제(D)가 수취위치에 위치하는 로우터(16)의 보지오목부(18)에 보지된다.
처방데이터의 입력이 있고(스텝S1), 또한, 사용자인증장치(32)에서의 인증이 적절하게 행하여지면(스텝S2), 처방데이터에 근거하여, 해당하는 약제(D)가 수용된 카세트(2)에서, 일정시간만큼 스텝핑 모터(25)가 구동하고, 제2링크(24)가 도4A에 도시하는 대기위치로부터 도 5에 도시하는 작동위치로 회동한다(스텝S3). 이것에 의해, 기어(25a)를 통하여 로우터(16)가 수취위치로부터 불출위치까지 회전하고, 보지오목부(18)에 보지된 약제(D)가 전면측의 불출 가능한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 경우, 로우터(16)에는 절개홈(19)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절개홈(19)을 통하여 약제(D)를 잡을 수 있고, 보지오목부(18)로부터의 약제(D)의 취출을 용이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여기에서, 약제검출센서(26)에서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보지오목부(18)로부터 약제(D)가 취출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고(스텝S4), 취출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핑 모터(25)를 역회전 구동하여 제2링크(24)를 도 5에 도시하는 작동위치로부터 도 4A에 도시하는 대기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스텝5), 로우터(16)를 수취위치까지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다음의 약제(D)가 보지오목부(18)에 보지된다. 이하, 마찬가지로 하여 소정 수량의 약제(D)의 불출이 행하여진다. 그 후, 소정 수량의 불출이 완료되고, 로우터(16)가 수취위치로 회전하면(스텝S6), 제2링크(24)를 도 4A에 도시하는 대기위치로부터 도 6에 도시하는 록크위치로 회동시킴으로써(스텝S7), 로우터(16)를 회전 불능하게 한다. 이것에 의해, 외부로부터 로우터(16)를 회전시키고, 함부로 약제(D)를 취출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마약이나 극약 등이라 하더라도,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적절하게 관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카세트(2) 내에 수용한 약제(D)의 수량은 엔코더(11) 및 잔량센서(12)에 의해 검출되기 때문에, 이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소정의 표시를 행하게 함과 동시에, 잔량이 적어지면 알리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스텝(S3)에서, 보지오목부(18)로부터 약제(D)가 취출되는 일없이, 소정시간이 경과하면, 로우터(16)를 역회전시켜서 약제(D)가 취출위치에 방치된 채로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그리고, 제2링크(24)의 형상은, 전술한 대략 V자형에 한하지 않고, 도 11A, 도 11B에 도시하는 대략 I자형으로 하여도 좋다. 도 11A, 도 11B중,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가 불출위치, 점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가 록크위치이다.
또한, 로우터(16)의 축부(20)에는 제1기어(21)를 설치하고, 제2기어(22)와 맞물리도록 하였는데, 이들 기어(21, 22)를 대신하여, 도 12에 도시하는 단절(途切 ; 원호 일부에만 치형이 형성된)치차(40, 41)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절치차(40)에는 치형부(40a)의 양측에 연속하여 회피오목부(40b, 40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절치차(41)에는, 기어(42)가 일체화되고, 순차적으로 기어(43∼46)가 맞물림으로써 모터(47)의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로우터(16)는, 단절치차(40, 41)의 치형부(40a, 41a)가 맞물려 있는 경우에만 회전한다. 그리고, 모터(47)가 정회전 구동하여 로우터(16)가 수취위치로부터 불출위치까지 회전하면, 단절치차(41)의 원호부(41b)가 단절치차(40)의 회피오목부(40b)를 미끄러지고, 그 이상의 회전이 확실하게 저지된다. 그리고, 모터(47)를 역회전 구동하면, 단절치차(40, 41)의 치형부(40a, 41a)가 다시 맞물리고, 로우터(16)는 불출위치로부터 수취위치까지 회전한다. 그리고, 단절치차(41)의 원호부(41b)가 단절치차(40)의 회피오목부(40c)를 미끄러짐으로써, 로우터(16)는 수취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모터(47)의 구동시간을 고정도(高精度)로 관리할 필요가 없고, 로우터(16)를 확실하게 불출위치와 수취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할 수 있다. 게다가, 원호부(41b)가 회피오목부(40b, 40c)에 위치할 때, 로우터(16)는 록크 상태로 되고, 외부로부터의 조작에 의해 회전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카세트(2)는, 상하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수평으로 배치하였는데, 수직으로, 혹은, 경사시켜서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것에 따르면, 보관선반(1)의 형상을 배치 설치 스페이스에 따라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관선반(1)의 배치 설치 스페이스가 하방측으로밖에 형성할 수 없는 경우에는, 카세트(2)를 수직으로 배치하고, 약제(D)를 상면측으로부터 취출하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카세트(2)를 옆으로 향하게 하고, 바이알 등을 덮개측이 상방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3A, 도 13B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엔코더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원반형상의 것을 대신하여, 길이가 긴 판 형상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즉, 전면측으로부터 배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슬라이드 샤프트(52)와 평행하게 소정간격으로 복수의 슬릿(50)이 형성된 엔코더(51)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샤프트(52)에, 정하중스프링(53)과 위치검출센서(54)가 슬라이드 자유롭게 취부되어 있다. 정하중스프링(53)의 스프링부(53a)는 전면측에 고정되고, 정하중스프링(53)에 일체화한 슬라이드부재(55)에 의해 카세트(2) 내의 약제(D)를 전면측을 향하여 가압한다. 위치검출센서(54)는, 엔코더(51)의 슬릿(50)을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는 슬라이드부재(55)의 위치 즉 카세트(2)내의 약제(D)의 수량을 특정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도 14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16)의 회전구동기구를 도시한다. 이 회전구동기구에서는, 피니언(60)을 도시하지 않은 솔레노이드 등으로 전후(도 14 중, 좌우방향)로 왕복이동시킴으로써, 랙(61)을 회전시키고, 스프링(62)의 부세력 에 저항하여 링크(63)를 통하여 로우터(16)(여기에서는 미도시)를 수취위치와 불출위치로 각각 위치 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5A, 도 15B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불출기구를 도시한다. 이 불출기구에서는, 상기 로우터(16)를 대신하여, 지축(7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로운 불출플레이트(71)가 설치되어 있다. 불출플레이트(71)는, 일단 가장자리에 맨 앞쪽에 위치하는 약제(D1)에 걸리는 제1걸림부(72)를 형성되고, 타단 가장자리에 다음의 약제(D2)를 지지 가능한 제2걸림부(73)를 형성되어 있다. 불출플레이트(71)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에 의해 기어(74)를 통하여 회동한다. 카세트(2)내의 약제(D)는, 배면측에 설치한 스프링(75)에 의해 전면측에 부세되어 있고, 전면측의 불출위치에는 경사플레이트(76)가 배치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불출기구에서는, 약제를 불출하는 경우, 도시하지 않은 모터를 구동하여 불출플레이트(71)를, 도 1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제1걸림부(72)에 의한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맨 앞쪽에 위치하는 약제(D1)가 경사플레이트(76)를 미끄러져 떨어진다. 이 때, 제2걸림부(73)가 다음의 약제(D2)에 걸리기 때문에, 맨 앞쪽의 약제(D1)만을 확실하게 불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7 내지 도 22에,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16)의 회전구동기구의 예를 도시한다. 이 회전구동기구에서는, 카세트(2)에 설치한 로우터(16)의 양단면 중앙부로부터 돌출하는 축부(20)에 가이드돌출부(100)를 형성한 원판(101, 102)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원판(102)측에는, 도 21A, 도 21B에 도시하는 록크부재(103) 가 설치되어 있다. 록크부재(103)는, 스프링(104)에 의해 도면 중 왼쪽방향으로 부세된 록크 프레임(105)을 구비한다. 록크 프레임(105)의 일단측의 압입부(106)에는, 내면측에 돌기(107)가 형성되고, 이 돌기(107)와 카세트(2)의 측면에 형성한 홈부(108)내에서 상기 스프링(104)을 보지하여 있다. 그리고, 록크 프레임(105)의 타단부에는 상기 원판(102)의 가이드돌출부(100)에 걸리거나 해제하는 걸림맞춤(係合)홈(109)이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104) 및 록크 프레임(105)은, 카세트(2)에 고정되는 커버(110)에 의해 압입부(106)를 제외하고 덮어진다. 커버(110)에는, 상기 록크 프레임(105)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드홈(111)과, 상기 압입부(106)가 슬라이드 자유로운 제1회피오목부(112)와, 상기 원판(102)이 회전 자유로운 제2회피오목부(1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관선반(1)의 각 수용부(3)측에는, 도12에 도시하는 단절치차(40)를 대신하여,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상기 가이드돌출부(100)가 걸리거나 해제 가능한 걸림맞춤홈(114)을 형성한 구동치차(115)가 설치되어 있다. 단절치차(4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수용부(3)를 구성하는 일방의 측벽에는, 절개홈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치차(115)의 걸림맞춤홈(114)이 노출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수용부(3)에 카세트(2)를 장착하였을 때, 가이드돌출부(100)가 걸림맞춤홈(114)에 걸어 맞춤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수용부(3)의 측면에는, 카세트(2)를 장착함으로써, 상기 록크 프레임(105)의 압입부(106)가 당접(當接)하는 당접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도 23A, 도 23B에,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16)의 회전구동기구의 예를 도시한다. 이 회전구동기구는, 보관선반(1)의 각 수용부(3)에 장착되는 케이 싱(80)에 설치되어 있고, 모터(81)의 구동력이, 워엄 기어(82), 워엄 휠(83), 및, 중간기어(84)를 통하여 구동기어(85)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80)은, 상면 및 측면이 개구하고, 측면을 커버(86)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케이싱(80)의 일단면에는 관통공(80a)이 형성되고, 이 관통공(80a)에, 모터(81)의 베어링부(81a)가 고정되어 있다. 워엄기어(82)는, 모터(81)의 베어링부(81a)로부터 돌출하는 회전축(81b)에 고정되어 있고, 케이싱(8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워엄 휠(83), 중간기어(84), 및 구동기어(85)는, 상기 커버(86)에 회전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중간기어(84)는, 단절치차(84a)와 평치차(84b)를 일체화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평치차(84b)가 워엄 휠(83)과 맞물리고, 단절치차(84a)가 구동기어(85)와 맞물리게 되어 있다. 구동기어(85)에는, 단절치차가 사용되고, 회전축(85a)의 선단면(先端面)에는, 소정 간격으로 돌출하는 가이드편(85b)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80)에 커버(86)를 나사 고정 등에 의해 취부한 상태에서는, 워엄 휠(83), 중간기어(84), 및 구동기어(85)가 케이싱(80) 내에 위치하고, 워엄 휠(83)에 워엄 기어(82)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수용부(3)에 수용되는 카세트(2)는, 상기 도 18에 도시하는 구성과 마찬가지로, 일단측에 로우터(16)를 구비하여 있고, 그 양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축부(20)의 일방에는, 상기 구동기어(85)의 가이드편(85b)에 의해 가이드되는 가이드돌출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회전구동기구를 구비한 수용부(3)에서는, 카세트(2)를 장착하면, 로우터(16)로부터 돌출하는 가이드돌출부(100)가 상기 구동기어(85)의 가이드 편(85b)에 가이드된다. 이것에 의해, 모터(81)를 정역회전 구동하면, 상기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구동기어(85)에 전달된 동력이 축부(20)를 통하여 로우터(16)에 전달된다. 그리고, 로우터(16)가 불출위치와 수취위치로 회전함으로써, 카세트(2)내에 수용한 약제(D)가 순차적으로 불출된다. 이 경우, 로우터(16)가 소정위치까지 회전하면, 중간기어(84)의 단절치차(84a)의 치형부와 구동기어(85)의 치형부와는 맞물리지 않고, 그 이상의 회전은 저지된다. 따라서, 모터(81)의 구동시간을 고정도로 관리할 필요가 없고, 로우터(16)를 확실하게 불출위치와 수취위치에 각각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도 24A, 도 24B, 도 24C에,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16)의 회전구동기구의 예를 도시한다. 이 회전구동기구는, 보관선반(1)의 각 수용부(3)에 설치되어 있고, 회전력전달부재(90)를 구비하여 있다. 수용부(3)에 카세트(2)를 수용하면, 카세트(2)의 일단부에 설치한 로우터(16)의 축부(20)가, 상기 회전력 전달부재(90)와 걸어 맞추고, 일체적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회전력전달부재(90)에는, 제1기어(91)가 일체화되어 있고, 제2기어(92), 및 제3기어(93)를 통하여 슬라이더(94)가 연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1기어(91)는, 평치차(91a, 91b)를 일체화한 것이다. 제2기어(92)는, 제1기어(91)의 평치차(91a, 91b)에 각각 맞물리는 평치차(92a, 92b)를 일체화한 것이다. 평치차(92a)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회전축에 설치한 기어에 맞물리고, 평치차(92b)는 제3기어(93)에 맞물려 있다. 슬라이더(94)는, 스프링(95)의 부세력에 의해 로우터(16)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슬라이더(94)에는 걸림돌출부(94a)가 형성되고, 이 걸림돌출부(94a)에 래 치(96)가 걸림으로써, 로우터(16)는 도 24C에 도시하는 불출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제3기어(93)에는 댐퍼(97)가 설치되고, 래치(96)를 개방하였을 때의 스프링(95)의 부세력에 의한 급격한 회전이 완화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회전구동기구를 구비한 수용부(3)에서는, 카세트(2)를 장착하면, 로우터(16)가 회전력 전달부재(90)에 걸어 맞춘다. 이것에 의해, 회전력전달부재(90)의 돌출부분을 조작하면, 로우터(16)가 회전하고, 회전력전달부재(90)는 불출위치 또는 수취위치에 위치 결정되고, 카세트(2)에 수용한 약제(D)가 1개씩 불출된다. 로우터(16)가 불출위치로 회전한 상태에서는, 제1기어(91), 제2기어(92), 및 제3기어(93)가 회전하고, 슬라이더(94)가 도 24C에 도시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 위치에서 래치(96)가 걸림돌출부(94a)에 걸린다. 이것에 의해, 슬라이더(94)가 이동 불능하게 되고, 제3기어(93), 제2기어(92), 및 제1기어(91)를 통하여 회전력전달부재(90) 즉 로우터(16)가 불출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회전력전달부재(90)의 돌출부분을 더욱 하방으로 눌러서 래치(96)에 의한 걸림 상태를 해제하면, 슬라이더(94)는 스프링(95)의 부세력에 의해 도 24B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고, 제3기어(93)가 회전한다. 이 때, 댐퍼(97)의 작동에 의해 제3기어(93)의 급격한 회전이 방지된다. 따라서, 제2기어(92) 및 제1기어(91)를 통하여 회전하는 회전력전달부재(90)의 회전속도가 억제되고, 로우터(16)는 스무스하게 수취위치로 복귀한다.
도 43 내지 도 45에, 또 다른 실시형태에 관한 로우터(16)의 회전구동기구의 예를 도시한다. 이 회전구동기구는, 보관선반(1)의 각 수용부(3)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수용부(3)에 카세트(2)를 장착한 상태에서는, 모터(120)의 구동력이, 그 회전축(120a)에 설치한 구동기어(121)로부터 제1중간기어(122) 및 제2중간기어(123)를 통하여 로우터(16)의 축부에 설치한 종동기어(124)에 전달함으로써, 로우터(16)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제1중간기어(122)는, 축부재(125)의 일단부에 설치되고, 축부재(125)의 타단부에는 캠(126)이 취부되어 있다. 캠(126)은, 가압편(127)을 구비하고, 축부재(125)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함으로써, 가압편(127)으로 제1링크(128)의 일단부를 가압하고, 이 제1링크(128)를 지축(128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킨다. 제1링크(128)는, 일단부에 연접오목부(連接凹部)(129)를 구비하고, 이 연접오목부(129)에는, 지축(130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자유롭게 설치한 제2링크(130)의 일단측에 형성한 연접부(131)가 슬라이드 이동 자유롭게 위치하여 있다. 제2링크(130)의 타단부에는 걸림부(132)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132)는, 카세트(2)의 저부에 형성한 걸림공(2b)에 걸리거나 해제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제2링크(130)는, 지축(130a)에 외장(外裝)한 스프링(133)에 의해 도 44A 중 반시계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제1중간기어(122)는, 헬리컬 기어로 이루어진 제1기어(122a)와, 평치차로 이루어진 제2기어(122b)를 일체화한 것이다. 제1기어(122a)는 구동기어(121)와 맞물려 있다. 제2중간기어(123)는, 제1중간기어(122)의 제1기어(122a)와 맞물리는 평치차로 이루어진 제1기어(123a)와, 단절치차로 이루어진 제2기어(123b)를 일체화한 것이다. 종동기어(121)는, 제2중간기어(123)의 제2기어(123b)와 마찬가지로 단절치차로 이루어지고, 제2중간기어(123)가 회전하는 소정각도의 범위 내에서만 연동하여 로우터(16)를 회전시킨다. 단절치차를 이용하여 로우터(16)를 회전시키는 구성은, 상기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상기 구성의 회전구동기구를 구비한 카세트(2)는, 수용부(3)에 장착하면, 도 4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카세트(2)의 걸림공(2b)에 제2링크(130)의 걸림부(132)가 걸린다. 그리고, 로우터(16)는, 종동기어(121)가 제2중간기어(123)의 제2기어(123b)와 부분적으로 맞물리고, 수동조작에 의한 회전을 방지된다.
카세트(2)로부터 약제를 불출하는 경우, 모터(120)를 정회전 구동하고, 상기 각 기어(121, 122, 123, 124)를 통하여 로우터(16)를 회전시킨다. 모터(120)의 정회전 구동에 의해, 제1중간기어(12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종동기어(124)는 도 45B에 도시하는 위치로부터 도 45C에 도시하는 위치까지 회전한다. 이 결과, 로우터(16)는, 카세트(2)내의 약제를 보지오목부(18)에 보지 가능한 수취위치로부터, 카세트(2)에서 약제를 불출하는 불출위치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로우터(16)의 보지오목부(18)에 보지된 약제가 불출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링크(128)의 일단부에 캠(126)의 가압편(127)이 당접하고, 제1링크(128)는 회동을 저지된다. 그래서, 제2링크(130)의 걸림부(132)가 카세트(2)의 걸림공(2b)에 걸린 상태를 유지하고, 약제의 불출작업 중에 수용부(3)로부터 카세트(2)가 탈락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된다.
약제의 불출이 끝나면, 모터(120)를 역회전 구동함으로써, 로우터(16)를 불출위치로부터 수취위치로 회전한다.
도 25∼도 42에 조작표시패널(200)에의 표시내용의 예를 도시한다. 도 25는, 상기 스텝(S2)에서의 지문인증화면을 도시한다. 지문인증을 행하면, 도 26에 도시하는 화면으로 전환되고, OK버튼을 조작하면, 도 27에 도시하는 각종 업무화면으로 이행하며, NG버튼을 조작하면, 지문인증화면으로 복귀한다.
각종 업무화면에서는, 항암제관리메뉴, 즉, 불출업무버튼, 마스터메인터넌스 버튼, 조회업무버튼, 충전업무버튼, 일보(日報)버튼, 종료버튼이 표시된다.
불출업무버튼을 조작하면, 도 28에 도시하는 자동/수동화면으로 전환된다. 자동버튼을 조작하면, 도 29에 도시하는 처리환자 일람화면으로 전환하고, 약제의 자동불출처리가 개시된다.
처리환자일람화면에서는, 처방전 정보를 판독하고 자동적으로 미처리 처방의 환자에 대하여, 환자ID, 환자명칭, 진료과, 병동이 일람 표시된다. 원하는 행(行)을 선택함으로써, 도 30에 도시하는 불출업무화면으로 전환되고, 선택된 환자의 정보(환자ID, 발행일자 등)와, 그 환자의 전체 처방내용이 표시된다. 여기에서, 불출량 등을 체크하고, 추가, 삭제, 정정 등을 행한다. 그리고, 불출버튼을 조작하면, 상방 행으로부터 순서대로 반전 표시되고 불출처리가 개시된다.
불출처리에서는, 해당하는 약제가 수용된 카세트(2)에서의 재고정보를 체크하고, 재고가 없으면, 그 취지를 표시하고, 미완료 정보로서 데이터를 축적하며, 다음의 약제의 재고 체크를 개시한다. 그리고, 재고가 있으면, 불출을 개시하고, 상기 불출업무화면의 해당하는 약품의 행에 불출의 경과를 알 수 있도록 상황을 표시한다(예를 들면, 몇% 종료했는지를 막대그래프로 표시한다.). 불출처리가 종료한 행은 빨강, 불출중인 행은 녹색, 미불출의 행은 하얀색이 된다. 그리고, 상기 자동/수동화면에서, 수동버튼을 조작한 경우에는, 직접 처리환자일람화면으로 전환하고, 각 항목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입력한 후, 상기 동일한 처리를 행한다.
불출처리의 도중에서 중단한 경우, 예를 들면, 중량센서에 의해 작업자가 자리를 뜨고 나서 소정시간 경과한 경우나, 에러 등으로 장치가 정지한 경우에는, 초기화면으로 돌아가고, 새로이 지문인증을 행하지 않으면 처리를 속행할 수 없도록 한다. 그리고, 나중에 처리를 행하고 싶은 경우에는, 도시하지 않은 보류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처리를 보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도, 중단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새로이 지문인증을 행하지 않으면 처리를 재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리고, 중단의 경우는, 동일 작업자라면, 강제적으로 전회(前回)의 도중의 처리가 재개된다(중단시의 화면으로 복귀한다.).
조회업무버튼을 조작하면, 도 31에 도시하는 조회업무메뉴화면으로 전환되고, 처방이력조회버튼, 약품투여검색버튼, 약품사용량버튼, 의사별 약품사용량 버튼, 병동별 약품사용량버튼, 관리약품별 사용량 버튼, 및 종료버튼이 표시된다. 처방이력조회버튼의 조작에 의해, 도 32에 도시하는 처방이력조회화면을 표시시키고 처방이력을 조회할 수 있다. 약품투여검색버튼의 조작에 의해, 도 33에 도시하는 약품투여검색화면을 표시시키고, 재고가 합치하지 않는 경우의 조사 등에 이용할 수 있다. 약품사용량버튼의 조작에 의해, 도 34에 도시하는 약품사용량화면을 표시시키고 투약일자에 의해 약품의 사용량을 일람 표시시킬 수 있다. 의사별 약품사용량버튼의 조작에 의해, 도 36에 도시하는 의사별 약품사용량 화면을 표시시키고, 어느 의사가 어느 약품을 어느 만큼 사용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병동별 약품사용량버튼의 조작에 의해 도 37에 도시하는 병동별 약품사용량을 표시시키고, 병동단위로 약품의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다. 관리약품별 사용량버튼의 조작에 의해, 도 38에 도시하는 관리약품별 사용량화면을 표시시키고, 향정신약 등의 관리가 의무화되어 있는 약품을, 그 약품단위로 조사할 수 있다.
마스터 메인터넌스 버튼을 조작하면, 도 39에 도시하는 마스터 메인터넌스화면으로 전환되고, 환자마스터버튼, 약품마스터버튼 등이 표시된다. 약품마스터버튼을 조작하면, 도 40에 도시하는 약품마스터화면으로 전환되고, 약품정보를 일람 표시시킬 수 있다. 화면 중, 기준재고량은, 재고 가능한 약제의 최대량을 나타내고, 적정 재고량은 보충이 필요하게 되는 최저재고량을 나타낸다.
충전업무버튼을 조작하면, 도 35에 도시하는 충전업무화면으로 전환되고, 각 카세트(2)별로 충전수, 충전 전의 약제수량, 충전 후의 약제수량을 일람 표시시킬 수 있다.
일보버튼을 조작하면, 도 41에 도시하는 일보메뉴화면으로 전환되고, 불출일보버튼, 충전일보버튼이 표시된다. 충전일보버튼을 조작하면, 도 42에 도시하는 충전일보화면으로 전환되고, 출력을 희망하는 일자를 입력함으로써, 약제의 충전상환을 일람 표시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충전 미스 등을 체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약제가 정렬하여 수용되는 카세트와,
    이 카세트 내의 약제를 일단측을 향하여 부세하는 부세부재와,
    상기 카세트의 일단부에, 수취위치와 취출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한 불출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불출부재는, 상기 수취위치로 회전한 시점에서, 상기 부세부재에 의해 부세된 약제를 1개만 보지하고, 상기 취출위치로 회전한 시점에서, 보지한 약제를 카세트의 외부로부터 취출 가능하도록 보지상태를 유지하는 보지오목부와, 이 보지오목부와는 반대측에 형성되고, 상기 취출위치로 회전하였을 때, 다음의 약제를 부세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 가능한 지지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재가 취출위치에 위치할 때, 보지오목부에서의 약제의 유무를 검출하는 약제검출부재와, 처방데이터 및 상기 약제검출부재에서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불출부재의 구동을 가능하게 하는 제어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재를 회전 불가능하게 하는 록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재는, 처방데이터에 근거하는 처방수량의 불출이 완료한 시점에서, 상기 록크부재에 의해 배출부재를 수취위치에 록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6.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재는, 보지오목부를 구성하는 대향벽에 약제를 파지 용이하게 하기 위한 절개홈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7.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카세트는 약제의 정렬방향이 수평방향이 되도록 배치되며, 상하방향으로 병렬 설치되는 것이며,
    상기 불출부재의 회전 중심은 회전방향이 보지오목부를 상기 카세트의 저면측으로부터 취출위치로 향하게 하는 구성에서는 저면과 동일평면 내에 위치시키며, 천장면측으로부터 취출위치로 향하게 하는 구성에서는 천장면과 동일평면 상에 위치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8. 제 3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불출부재의 회전 중심은 지지면측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불출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047019898A 2002-08-05 2003-08-05 약제불출장치 KR101003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227071 2002-08-05
JP2002227071 2002-08-05
JP2002305166 2002-10-18
JPJP-P-2002-00305166 2002-10-1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504A Division KR101052611B1 (ko) 2002-08-05 2003-08-05 약제불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8543A KR20050048543A (ko) 2005-05-24
KR101003548B1 true KR101003548B1 (ko) 2010-12-30

Family

ID=314976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504A KR101052611B1 (ko) 2002-08-05 2003-08-05 약제불출장치
KR1020047019898A KR101003548B1 (ko) 2002-08-05 2003-08-05 약제불출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4504A KR101052611B1 (ko) 2002-08-05 2003-08-05 약제불출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34704B2 (ko)
EP (3) EP2034459A3 (ko)
JP (2) JP4473728B2 (ko)
KR (2) KR101052611B1 (ko)
CN (1) CN1655751B (ko)
CA (1) CA2495526A1 (ko)
NO (1) NO20051163L (ko)
TW (1) TWI290898B (ko)
WO (1) WO20040126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1920B2 (ja) * 2003-09-26 2010-02-24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
JP4468729B2 (ja) * 2003-10-16 2010-05-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CN1976671B (zh) * 2004-05-19 2011-02-09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品分配装置
US20080204668A1 (en) * 2004-05-21 2008-08-28 Figla Co., Ltd. Bathroom Projector System and Projector
US7080755B2 (en) 2004-09-13 2006-07-25 Michael Handfield Smart tray for dispensing medicaments
JP4520814B2 (ja) * 2004-10-15 2010-08-1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払出装置
US8468777B2 (en) * 2005-02-16 2013-06-25 Yuyama Mfg. Co., Ltd. Tablet filling device
JP4629476B2 (ja) * 2005-03-30 2011-02-09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品充填業務支援システム
JP5044906B2 (ja) * 2005-08-25 2012-10-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JP4961791B2 (ja) * 2006-03-27 2012-06-27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ート
JP5266919B2 (ja) * 2008-07-14 2013-08-21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複連アンプル払出装置
US8271128B1 (en) 2008-07-30 2012-09-18 Kirby Lester, Llc Pharmacy workflow management system including plural counters
JP5564868B2 (ja) * 2008-09-19 2014-08-0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JP5888369B2 (ja) * 2008-09-19 2016-03-2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US8588966B2 (en) 2009-01-09 2013-11-19 Automed Technologies, Inc. Cabinet system
US8103379B2 (en) 2009-01-09 2012-01-24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tion cabinetry
US9121197B2 (en) 2009-01-09 2015-09-01 Automed Technologies, Inc. Cabinet system with improved drawer security
US8744621B2 (en) 2009-01-09 2014-06-03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l cabinet access belt optimization system
JP5668685B2 (ja) * 2009-08-12 2015-02-12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払出装置
US8746908B2 (en) 2010-01-27 2014-06-10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l supply cabinet with lighting features
JP2012018560A (ja) * 2010-07-08 2012-01-26 Panasonic Corp 薬剤取揃支援システム
KR101293099B1 (ko) * 2011-03-15 2013-08-12 (주)제이브이엠 약품공급장치
CN102602639B (zh) * 2012-03-15 2014-04-16 江苏迅捷装具科技有限公司 基于盒装物品最大侧面相接触排列的储存配发装置及方法
CN103387063B (zh) * 2012-05-07 2015-04-29 郝荣华 医疗针剂的调配包装装置
US20140102859A1 (en) 2012-10-12 2014-04-17 Mckesson Automation Inc.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dispens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in a healthcare facility
US9150119B2 (en) 2013-03-15 2015-10-06 Aesynt Incorporated Apparatuses, systems, and methods for anticipating and delivering medications from a central pharmacy to a patient using a track based transport system
JP5673779B2 (ja) * 2012-11-20 2015-02-18 キヤノンマーケティングジャパン株式会社 分包システム、錠剤供給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KR102274422B1 (ko) * 2013-01-18 2021-07-07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품 불출 장치, 약품 불출 방법, 약품 불출 프로그램, 기록 매체
KR102049273B1 (ko) * 2013-02-13 2020-01-08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불출 장치
TWI582026B (zh) * 2013-04-03 2017-05-11 Jung Hua Shao Acupuncture administration
JP6159135B2 (ja) * 2013-04-26 2017-07-05 パナソニックヘルスケア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薬剤収納カセットおよびこれを備えた薬剤払出装置
KR102114901B1 (ko) * 2013-10-02 2020-05-25 (주)제이브이엠 약제 불출 장치
US9977871B2 (en) 2014-01-14 2018-05-22 Capsa Solutions Llc Cassette control including presence sensing and verification
JP6143700B2 (ja) * 2014-03-31 2017-06-0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薬剤登録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5982446A (zh) * 2015-01-29 2016-10-05 Hmh株式会社 药品匣以及包括药品匣的药品柜
CN106144378B (zh) * 2016-06-29 2018-09-14 苏州信亨自动化科技有限公司 瓶装药剂自动发药装置
CN107497713B (zh) * 2017-08-29 2024-02-02 信远德怡医疗科技(北京)有限公司 一种药瓶自动分拣装置
US10517799B2 (en) * 2017-08-31 2019-12-31 Omnicell, Inc. Unit dose dispensing mechanisms
CN112773709A (zh) * 2021-02-01 2021-05-11 天津山岩科技有限公司 一种应急药盒
JP7217307B2 (ja) * 2021-03-15 2023-02-02 株式会社バンダイ 物品収容装置及び物品供給装置
CN113213033B (zh) * 2021-04-08 2023-03-28 深圳市瑞意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药物补取控制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5137594B (zh) * 2022-07-05 2023-06-16 东莞职业技术学院 一种社区医疗卫生护理用移动配药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11332A (en) * 1972-09-13 1978-09-05 Hurst Kerney J Article counting device
US4018358A (en) * 1975-09-18 1977-04-19 Pharmaceutical Innovators, Ltd. Cassette pill storing, dispensing and counting machine
US4674652A (en) 1985-04-11 1987-06-23 Aten Edward M Controlled dispensing device
US4697721A (en) * 1985-06-24 1987-10-06 Pharmaceutical Innovators Ltd. Pill storage and dispensing cassette
JP2693431B2 (ja) 1987-03-17 1997-12-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ンビネーシヨン磁気ヘツド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228406A (ja) 1988-07-19 1990-01-30 Tokyo Shokai:Kk オーダによる注射アンプル自動供給装置及ぎその供給方法
JPH04278933A (ja) * 1991-03-07 1992-10-05 Canon Inc カメラ
JP2695732B2 (ja) * 1992-02-17 1998-01-14 正二 湯山 薬液入り容器の貯留供給装置
US5337919A (en) * 1993-02-11 1994-08-16 Dispensing Technologies, Inc. Automatic dispensing system for prescriptions and the like
US5431299A (en) * 1994-01-26 1995-07-11 Andrew E. Brewer Medication dispensing and storing system with dispensing modules
JP2804884B2 (ja) * 1994-03-28 1998-09-30 正二 湯山 薬液容器の収納ケース及びそのケースを用いた容器貯留装置
JP3170579B2 (ja) 1994-04-18 2001-05-28 株式会社エム・シー・エー アンプル払い出し装置
US5797515A (en) * 1995-10-18 1998-08-25 Adds, Inc. Method for controlling a drug dispensing system
JP2987124B2 (ja) 1997-06-23 1999-12-06 正二 湯山 薬液入り容器供給装置
US5860563A (en) * 1997-06-23 1999-01-19 Scriptpro, Llc Medicine vial dispenser
US6112502A (en) * 1998-02-10 2000-09-05 Diebold, Incorporated Restocking method for medical item dispensing system
JP2000072204A (ja) * 1998-09-01 2000-03-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注射薬自動払出装置
US6170230B1 (en) * 1998-12-04 2001-01-09 Automed Technologies, Inc. Medication collecting system
JP4163806B2 (ja) 1999-03-04 2008-10-08 株式会社湯山製作所 定量払出し用のアンプル収納容器およびアンプル定量供給装置
JP2000255717A (ja) * 1999-03-10 2000-09-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製品の残数管理方法および製品取出装置
US6189727B1 (en) * 1999-03-24 2001-02-20 S&S X-Ray Products, Inc. Pharmaceutical dispensing arrangement
US6216910B1 (en) * 1999-04-28 2001-04-17 Allen Numerick Automatic article dispenser
US6370841B1 (en) * 1999-12-03 2002-04-16 Automed Technologies, Inc. Automated method for dispensing bulk medications with a machine-readable code
JP4462689B2 (ja) * 2000-01-18 2010-05-12 株式会社トーショー 薬品収納装置
AU2002342196A1 (en) * 2001-05-15 2002-11-25 E-Medication Aps A medicine dispenser
JP3082647U (ja) 2001-05-29 2001-12-21 サンコースプリング株式会社 載置物品押出具
JP4436581B2 (ja) 2001-09-14 2010-03-2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注射薬自動払出装置
JP4467850B2 (ja) 2001-09-14 2010-05-2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注射薬自動払出装置
US7228198B2 (en) * 2002-08-09 2007-06-05 Mckesson Automation Systems, Inc. Prescription filling apparatus implementing a pick and place method
TWI295573B (en) * 2002-10-18 2008-04-11 Yuyama Mfg Co Ltd Feeding device of dr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52611B1 (ko) 2011-07-29
US7434704B2 (en) 2008-10-14
KR20050048543A (ko) 2005-05-24
EP1541114A1 (en) 2005-06-15
US20060113314A1 (en) 2006-06-01
EP2251842A1 (en) 2010-11-17
CN1655751B (zh) 2012-10-10
CA2495526A1 (en) 2004-02-12
JP5051194B2 (ja) 2012-10-17
JPWO2004012647A1 (ja) 2006-09-21
CN1655751A (zh) 2005-08-17
KR20100087405A (ko) 2010-08-04
JP2010000369A (ja) 2010-01-07
TW200403174A (en) 2004-03-01
EP2034459A2 (en) 2009-03-11
JP4473728B2 (ja) 2010-06-02
WO2004012647A1 (ja) 2004-02-12
NO20051163L (no) 2005-03-30
EP1541114A4 (en) 2007-11-07
TWI290898B (en) 2007-12-11
EP2034459A3 (en)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3548B1 (ko) 약제불출장치
AU2020226996B2 (en) Unit dose dispensing systems and methods
EP1552805B1 (en) Device for dispensing medicine
US7178688B2 (en) Portable medication dispenser
US6019249A (en) Apparatus for dispensing medical items
AU2018324397A1 (en) Unit dose dispensing mechanisms
JP7342262B2 (ja) 予め充填された注射器用の払出システムおよ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