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584B1 - 파일 직물 - Google Patents

파일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584B1
KR100988584B1 KR1020057000904A KR20057000904A KR100988584B1 KR 100988584 B1 KR100988584 B1 KR 100988584B1 KR 1020057000904 A KR1020057000904 A KR 1020057000904A KR 20057000904 A KR20057000904 A KR 20057000904A KR 100988584 B1 KR100988584 B1 KR 1009885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fiber
short
fabric
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0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897A (ko
Inventor
구로다미노루
시부카와요시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Publication of KR20050019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5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5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27/00Woven p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4Fur garments; Garments of fur substitu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29Edge feature or configured or discontinuous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29Edge feature or configured or discontinuous surface
    • Y10T428/23936Differential pile length o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57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of pi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93Composition of pile or adhes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소프트한 감촉을 가지면서도 볼륨감 및 리카버리성이 뛰어난, 매우 천연 모피에 유사한 촉감을 갖는 파일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Figure R1020057000904
파일 직물, 소프트한 감촉, 볼륨감, 리카버리성, 천연 모피.

Description

파일 직물{PILE FABRIC}
본 발명은 천연 모피같은 촉감을 갖는 파일 직물 제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 모피는, 밑 부분에 비해 선단(先端)이 가는 섬유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볼륨감(voluminous touch) 및 리카버리성(recovery property)이 있는 비교적 표면의 감촉이 소프트(soft)하다는 모촉감특성이 뛰어난 독특한 감촉을 가지고 있다. 이전부터 이러한 천연 모피에 가까운, 즉 표면의 촉감은 소프트하면서, 눌렀을 때에는 볼륨감이 있고, 반발성도 뛰어난 파일 제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고 있다.
합성 섬유 중에서도 특히 유연한 감촉을 얻기 쉬우므로 아크릴 섬유 또는 아크릴계 섬유(양자를 합하여, 이하, "아크릴계 섬유"로 대표하여 기재함)를 사용하는 천연 모피에 유사한 파일 제품이 종래부터 많이 시판되고 있지만, 길이 방향으로 균일한 굵기를 갖는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그 경우, 섬유의 굵기를 천연 모피의 밑과 같은 굵기로 하면 레질리언스(resilience)는 있지만 거친 감촉으로 되며, 한편으로 천연 모피의 선단과 같은 굵기로 하면 레질리언스가 없는 감촉으로 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로 충분히 천연 모피같은 파일 제품은 얻을 수 없음이 현상이다.
지금까지 천연 모피에 보다 가까운 감촉의 합성 섬유를 사용한 파일 제품을 얻는 기술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55-16906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폴리에스테르 제품으로 이루어지는 파일 제품의 파일 선단부를 알칼리 수용액에 침지하여 가수분해하여 선예화(先銳化)하는 기술이나 일본 특개소56-134272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은 수속(收束)한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일단을 알칼리 수용액 중에 침지하여 선예화하는 기술을 들 수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1-51564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부가 할섬(割纖)하는 Y자 단면 섬유를 이용하여, 섬유의 단면에 힘을 가해 선단부를 할섬시켜, 밑 부분의 굵기에 비해서는 촉감이 소프트한 독특한 감촉을 갖는 기술, 또, 특개평 10-158959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섬유의 섬유 단면 형상을 이형 단면 형상으로 하고, 이 섬도를 콘트롤한 섬유를 자모(刺毛) 부분에 사용하여, 그 결과, 특정의 두께-압축 응력 특성을 나타내는 파일 직물을 얻음으로써 이들 문제를 해결하려는 보고를 들 수 있다.
일본 특개평8-260289호 공보에서는, 0.230 이하의 섬유-섬유간의 정마찰계수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를 갖는 수축성 섬유와 편평(扁平) 또는 타원 단면을 갖는 비수축성 섬유로 파일 직물을 구성함으로써 소프트감, 블루밍성 및 입모상(立毛狀) 모두를 만족시킬 수 있는 기술, 또한, 일본 특개2000-144557호 공보에서는 자모(bristle) 및 중간모(middle hair) 및 면모(nap)로 이루어지는 아크릴 섬유를 사용한 파일 조성물에 있어서, 중간모 및/또는 면모의 섬유 단면 형상을 원형, 신장형(kidney shape), 타원형, 누에고치형(cocoon shape), 편평형의 1종류 이상으로 함으로써 벌키성(bulkiness)과 레질리언스감을 개량한 파일 상품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으로, 일본 특개평2-139476호 공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모 섬유를 포함하는 단섬유 복수 가닥을 접착제를 사용하여 1 집합 단위로 하고, 이 집합 단위가 붓끝 모양(筆先狀)으로 접착됨으로써 천연 모피에 나타나는 테이퍼드(tapered) 구조를 모방한 기술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방법으로 얻어진 파일 직물 또는 이들 방법으로 얻어진 섬유를 자모 부분으로 한 인공 모피를 제조해도 천연 모피에 가까운 성질을 갖지 않거나, 제조하는데 고가(高價)라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소프트한 감촉을 가지면서 볼륨감 및 리카버리성이 뛰어난, 즉 파일 직물로서의 모촉감특성이 뛰어난, 매우 천연 모피에 유사한 촉감을 갖는 파일 직물을 염가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단(短)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를 장(長)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보다도 크게 하고, 이 때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단면 형상을 편평형으로 함으로써, 소프트한 감촉을 가지면서도 볼륨감 및 리카버리성이 뛰어난 파일 직물이 얻어지는 것, 또한,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와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구성 가닥수(즉 혼률(混率))의 관계나,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와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파일 길이의 차(差)도 중요한 요인임을 알아, 예의 검토를 행하였다.
즉, 본 발명은, 적어도 장파일부와 단파일부로 구성되는 단차(段差) 파일 직물에서, 단면 형상이 편평인 섬유를 단파일부로서 파일부 전체에 대하여 30∼7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와 단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의 차가 1∼5mm로서,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L)가 0.7∼8데시텍스(이하, "dtex"로 표시함)의 범위이며,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S)와의 비가 0.1<DL/DS<1.0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직물에 관한 것이다.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L)가 1.5∼6dtex의 범위인 상기 파일 직물에 관한 것이다.
더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단면의 편평비가 5∼15이며,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5∼12dtex인 상기 파일 직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는 건열수축률이 10∼40%인 수축성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일 직물에서,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부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가 12∼25mm인 파일 직물로서, 또한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가 아크릴로니트릴에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35∼98중량%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섬유인 파일 직물에 관한 것이다.
도 1(파일 구성 부분)은, 단차 파일 직물에서의 단차를 나타낸 도면. 도면 중, a는 장파일부, b는 단파일부를 나타낸다. 또한, 도면 중, c는 장파일의 파일 길이(즉, 파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의 밑에서 파일부의 선단까지의 길이)를, d는 파일 생지(生地)를 나타낸다. 또한, 단파일부의 파일 길이는, 단파일부의 밑에서 선단까지의 길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 발명의 파일 직물은, 적어도 장파일부와 단파일부로 구성되는 단차 파일 직물로서, 단면 형상이 편평인 섬유를 단파일부로서 파일부 전체에 대하여 30∼7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와 단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의 차가 1∼5mm로서,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L)가 0.7∼8데시텍스의 범위이며,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S)와의 비가 0.1<DL/DS<1.0의 관계식을 만족함이 중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차 파일 직물이란, 하이 파일(high pile)의 것을 의미한다. 하이 파일은, 보아(boa)와 비교하여, 파일 길이의 변화가 많고, 무늬를 넣고 짤 수 있는 등 상품으로서의 기획의 폭이 넓고, 생지(生地)의 드레이프성이나 스트레치성이 양호하며, 파일 균열(pile cracking)이 없고,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 요건을 만족하는 본 발명의 파일 직물은, 파일 표면에 닿았을 때의 촉감이 소프트하면서, 볼륨감이 있고, 리카버리성도 뛰어난 것으로 된다.
지금까지 알려져 있는 일반 파일 직물은,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가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와 같거나 그보다 크고, 또한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단면 형상은 원형, 타원형, 누에고치형, 아령(dog bone)형이 일반적으로 생각되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에서는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를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보다 작게 하고, 또한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단면 형상을 편평형으로 함으로써, 섬유 밀도가 작은 모선(毛先) 부분은 소프트하고 유연한 촉감을 가지며, 또, 모의 길이 방향에서의 중간∼밑 부분은, 단파일부에 장파일부보다도 큰 섬도를 사용한 효과로써, 볼륨감 및 리카버리성이 뛰어나며, 파일 직물 전체로서는 모촉감특성이 양호한 촉감을 준다. 이들은 천연 모피의 테이퍼드(tapered) 구조를 모방한 것이며, 또한 이들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구성 가닥수와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가닥수(즉 혼률)가 중요하며, 한편,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와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평균 파일 길이 차도 중요한 인자이다.
이하, 본 발명의 파일 직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차 파일 직물에서는,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L)는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S)보다 작은 것이 최대의 특징이며, 그 섬도비 DL/DS는, 0.1<DL/DS<1.0의 관계식을 만족할 필요가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15<DL/DS<0.80이며, 더 바람직하게는 0.35<DL/DS<0.75의 범위이다. DL/DS가 0.1 미만인 경우에 있어서, DL이 작은 경우에는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단섬유끼리의 수속(收束) 및 볼륨감이 저하함으로써, 또한, DS가 큰 경우에는 소프트감을 잃어버림으로써 파일 직물의 품질이 저하한다. 한편, 1.0을 넘으면 종래의 2층 구조를 갖는 파일 직물과 차이가 없어져 본 발명의 테이퍼드 효과가 발휘되지 않고 양호한 모촉감특성을 갖는 파일 직물을 얻을 수 없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L)는 0.7∼8dtex의 범위이며, 특히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은 1.5∼6dtex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3∼6dtex의 범위이다. 섬도(DL)가 0.7dtex 미만에서는, 카딩(carding) 등의 가공성 및 파일 직물로 한 때의 단섬유끼리의 수속에 의한 품질 저하가 문제가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한편, 8dtex를 넘으면 파일 직물에서의 소프트함이 저하함과 동시에 본 발명의 테이퍼드 효과가 충분히 발휘될 수 없다.
한편,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S)는, 상기 섬도비의 관계식을 만족하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5∼12dtex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S)가 5dtex 미만에서는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를 지탱하지 않아 본 발명의 테이퍼드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고, 한편, 12dtex를 넘으면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는 지탱되지만 하드(hard)한 촉감으로 되어 버려 파일 직물 전체로서의 소프트감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파일 직물에서는,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가 30∼70중량%,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가 70∼30중량%의 비율로 포함되어 있는 것이 필요하다. 단파일을 구성하는 섬유가 30중량% 미만에서는,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를 지탱하지 않아 볼륨감 및 리카버리성에 흠이 있는 파일 직물로 되며, 한편, 단파일을 구성하는 섬유가 70중량%을 넘으면 모촉감특성이 현저하게 저하하고 장파일부가 가는 저품질의 것 밖에 얻을 수 없다. 또한, 이들 섬유의 혼률로서는 바람직하게는 각각 40∼60중량%의 범위인 것이 최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와 단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의 차는 1∼5mm이며, 2∼4mm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평균 파일 길이 차가 1mm 미만에서는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와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단차가 작아 모촉감특성의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한편, 5mm 이상에서는 장파일부를 지탱하는 단파일부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지 않고, 소프트한 촉감을 주지만 리카버리성에 흠이 있는 파일 직물로 되어 버린다.
또 본 발명에서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는 편평 단면인 것이 중요하지만, 그 편평비는 5∼15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7∼13이다. 편평비가 15 이상에서는 볼륨감 및 리카버리성이 부족하게 되어 버리며, 한편, 편평비가 5 미만에서는 종래의 수축성 섬유와 다른 바가 없고, 소프트한 촉감과 볼륨감 및 리카버리성이 양립하는 효과를 얻기 어렵다. 또한, 편평비란 장축폭을 단축폭으로 나눈 값이며, 장축폭은 섬유 단면에 외접하는 평행한 2가닥의 직선간의 최대 거리를 말하며, 단축이란, 장축 즉 최대폭 방향으로 평행한 2가닥의 선 사이에 낀 섬유 단면폭을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단면 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편평 단면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구체적인 예로서는, 둥근형, 타원형, 아령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장파일부와 단파일부만으로 이루어지는 2단 파일 직물뿐만 아니라, 중파일부가 존재하는 것 같은 3단 이상의 파일 직물이라도 상관없다. 그 경우, 중파일부는 단파일부 또는 장파일부의 일부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차 직물을 얻는 방법으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로서 수축성 섬유를 사용하고, 파일 직물 제작시의 열처리에 있어서 단파일부만을 수축시켜 단차를 발현시키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때의 열처리는 백(back) 코팅 처리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에서는 수축성 섬유의 수축율을 건열수축률(乾熱收縮率)로 나타낸다. 건열수축률이란, 우선 수축 전의 섬유를 8.83×10-3cN/dtex 하중 하에서 시료 길이(Lb)를 측정하고, 다음에 그 섬유 시료를 무하중 하의 상태에서 균열(均熱) 오븐 중에서 130℃×20분의 처리를 행하고, 이 때의 수축 후의 시료 길이를 마찬가지로 하중 하에서 측정하여 La로 하여, 다음 식으로부터 산출되는 것이다.
건열수축률(%)=[(Lb-La)/Lb]×100
파일 직물로 한 경우의 장파일부와의 단차 효과 및 벌키성 등을 충분히 발휘하는 점에서, 이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건열수축률은 10∼40%인 것이 바람직하고, 18∼2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건열수축률이 10% 미만이면 단차 파일 직물로서 충분한 단차 효과를 얻을 수 없으므로 소프트한 촉감을 얻을 수 없다. 한편, 40%를 넘으면 장파일부와의 단차가 명확하게 되어 리카버리성에 흠이 있는 것으로 되어 버린다. 물론, 다른 방법으로 단차를 발현시키는 경우는 이러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의 파일 직물에서,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오르가노폴리 실록산을 부착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가 현저하게 된다. 이 경우, 단파일을 구성하는 섬유에는 그 오르가노실록산을 부착시키든 부착시키지 않든 어느 쪽이라도 상관 없다. 상기 오르가노실록산으로서는, 디메틸폴리실록산, 아미노변성실리콘, 에폭시변성실리콘, 카르복시변성실리콘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처리액의 형태로 섬유 표면에 부착시키지만, 처리액을 부착시킨 후에 90℃ 이상의 온도로 처리함으로써 유연 효과를 더 발휘할 수 있으며, 이 처리 온도의 더 바람직한 온도 범위는 100℃ 이상이다. 또한, 상기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주체로 하는 처리액은 그 점도 조절과 경시안정성 면에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수중에 유화한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이 유화상 처리액은 섬유와의 친화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500cp(상온) 이하의 점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섬유 표면으로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부착량은 섬유 중량에 대하여 0.01∼0.7중량%, 바람직하게는 0.03∼0.5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0.01중량% 미만에서는 매끄러운 감이 작아 천연 모피같은 감촉을 주기 어렵고, 한편, 0.7중량%을 넘으면 끈적거리는 감이 생겨 감촉을 훼손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파일 직물에서,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의 바람직한 범위는 12∼25mm로서, 더 바람직하게는 14∼22mm이다. 장파일부의 파일 길이가 12mm 미만에서는 가령 유의한 단차가 있다 해도 본 발명의 충분한 테이퍼드 효과를 얻기 어렵고 소프트감에 흠이 있는 파일 직물로 되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25mm를 넘으면 파일 직물의 원면(原綿) 구성이 상기 조건을 만족해도 리카버리성에 흠이 있는 파 일 직물로 되어 버리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파일부란, 파일 직물(입모 직물)의 기포(基布)(지사(地絲) 부분) 부분을 제외한 입모 부분을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파일 길이란 상기의 입모 부분의 밑에서 선단까지의 길이를 말한다.
또한, 평균 파일 길이란, 파일 직물의 파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를 모(毛)의 늘어섬이 가지런하도록 수직으로 세우고, 파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의 밑(파일 직물 표면의 밑)에서 장파일부 혹은 단파일부의 선단까지의 길이의 측정을 10개소에 대하여 행하여, 그 평균치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는 아크릴계 섬유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파일의 섬유가 장파일부의 섬유를 지탱하여 입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염화비닐 섬유,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은 아크릴계 섬유보다 비중이 높기 때문에 벌키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파일의 신도(elongation)가 부족한 중대한 결점이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섬유를 단파일부에 사용하면 파일 직물의 모촉감특성이 저하한다. 또한 이 경우,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종류는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말하는 아크릴계 섬유란 아크릴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섬유를 말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을 35∼98중량%, 아크릴로니트릴과 공중합 가능한 다른 비닐계 모노머를 65∼2중량% 및 이들과 공중합 가능한 설폰산기 함유 비닐계 모노머 0∼10중량%을 함유하는 모노머로부터 얻어지는 공중합체로서, 더 바람직하게는, 아크릴로니트릴의 함유량은 35∼90중량%이다. 상기 아크릴로니트릴과 공 중합 가능한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브롬화비닐, 브롬화 비닐리덴 등으로 대표되는 할로겐화비닐 및 할로겐화비닐리덴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으로 대표되는 불포화카르본산류 및 이들의 염류, 아크릴산메틸이나 메타크릴산메틸로 대표되는 아크릴산에스테르나 메타크릴산에스테르,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등으로 대표되는 불포화카르본산의 에스테르류, 초산비닐이나 부티르산비닐로 대표되는 비닐에스테르류, 아크릴아미드나 메타크릴아미드로 대표되는 비닐계 아미드류, 메타크릴설폰산이나 기타 비닐피리딘이나 메틸비닐에테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 공지의 비닐 화합물이 있으며,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라도 좋다.
또한, 상기 설폰산기 함유 비닐계 모노머로서는, 스티렌설폰산, 파라스티렌설폰산, 알릴설폰산, 메타크릴설폰산, 파라메타크릴로일옥시벤젠설폰산, 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설폰산, 또는 이들의 금속염류 및 아민염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파일 직물은 소프트한 감촉과 볼륨감 및 리카버리성이 뛰어나며, 매우 천연 모피에 유사한 촉감을 가지므로, 봉제 인형 완구 이외, 특히 모조 모피 같은 의료 용도에 최적인 하이 파일 분야에서 그 진가를 발휘하는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하등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의 기재에 앞서, 분석 조건, 측정 조건, 및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A) 섬도 측정
섬도는 오토바이브로식(auto vibro type) 섬도 측정기 Denior Computer DC-11(서치제어전기사제)를 사용하여 측정하고, 샘플수 n=25의 평균치를 사용했다.
(B) 편평비 측정
S-3500N 주사전자현미경(히타치제작소제)을 사용하여, 이온 코터 IB-3형(에이코·엔지니어링사제)로 Au 증착한 섬유 단면을 관찰하고, 섬유 단면의 장축폭과 단축폭을 측정했다. 장축폭 및 단축폭은 n=25의 평균치를 사용했다. 이 장축폭 및 단축폭으로부터 편평비=장축폭/단축폭을 구했다.
(C) 하이 파일 직물의 작성
얻어진 섬유에 대하여, 유제 부여, 기계 크림프 부여 및 컷 등의 필요한 처리, 조작을 행하였다. 이 때의 기계 크림프란, 기어 크림프법(gear crimping method)이나 스터핑박스법(stuffing box method) 등의 공지 방법으로 얻어진 크림프를 말하며, 특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한 크림프 형상으로서는, 권축도 4∼15%, 바람직하게는 5∼10%. 크림프의 수로서는 6∼15크림프/인치, 바람직하게는 8∼13크림프/인치의 범위인 것이 좋다. 상기한 권축도란 JIS-L1074로 대표되는 측정법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다.
그 후, 이들 섬유를 컷하고, 슬라이버 편기(sliver knitting machine)로 파일 직물을 편성했다. 다음에 120℃에서 프리-폴리싱(pre-polishing) 처리와 프리-쉬어링(pre-shearing) 처리를 행하여 파일 길이를 가지런히 한 뒤, 파일 이면에 아크릴산에스테르계 접착제로 백코팅을 행하였다. 그 후, 155℃의 폴리싱, 이어서 브러싱을 행하고, 또한 135℃, 120℃, 90℃에서 폴리싱(polishing)과 쉬어링 (shearing)을 조합하여 행하고(각 공정 2회씩), 입모 표층부의 크림프를 제거함으로써 일정한 파일 길이를 갖는 입모 직물을 작성했다.
(D) 파일 직물의 촉감 평가
상기와 같이 작성한 파일 직물에 대하여, 모촉감특성의 관점에서 4단계 평가에 의한 촉감 관능적 평가를 행하여,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모촉감특성이란, 파일 직물 전체로서, 소프트하고 유연한 감촉을 가지며, 또한 볼륨감과 리카버리성이 뛰어난 특성을 말한다.
◎: 뛰어난 모촉감특성을 가져 매우 천연 모피에 가까운 촉감을 준다.
○: 양호한 모촉감특성을 가져 천연 모피에 가까운 촉감을 준다.
△: 천연 모피와 비교하여 모촉감특성이 약간 뒤떨어진다.
×: 모촉감특성이 불충분하여 천연 모피로서 적합하지 않다.
(E) 평균 파일 길이 측정
파일 직물 중의 파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를 모의 늘어섬이 가지런하도록 수직으로 세워, 슬라이드 캘리퍼(slide caliper)를 사용하여, 파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섬유의 밑에서 장파일부 혹은 단파일부의 선단까지의 각각의 길이(파일 직물 이면부터의 길이가 아닌)의 측정을 10개소에 대하여 행하고, 그 평균치를 평균 파일 길이로 했다.
(F) 파일의 단차의 측정
파일의 단차란, 상기 방법에 의해서 측정된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와 단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의 차이며, 하기 식에 의해 산출했다.
단차(mm)=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mm) - 단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mm)
(제조예 1)
아크릴로니트릴 49중량부, 염화비닐 50중량부와 스티렌설폰산나트륨 1중량부로부터 얻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아세톤에 용해하고, 상기 아크릴계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티탄을 0.3중량부 더 첨가한 것을 방사 원액으로 하여 공경(孔徑) 0.04×0.65mm, 공수(孔數) 7133의 방사 구금을 통하여, 아세톤 농도가 30%인 수용액을 넣은 응고 욕조에 습식 방사하고, 다음에 아세톤 농도가 35%와 25%의 수용액인 2개의 욕조를 통하여 2.0배의 연신을 행하고, 그 후 90℃의 수세 욕조에서 상기의 연신과 합하여 3.0배의 1차 연신을 행하였다. 그 후, 얻어진 섬유에 유제를 부여한 후, 125℃의 분위기 하에서 건조시키고, 125℃에서 최종 드래프트 6.5배로 되도록 더 연신을 행하여 단섬유 섬도 7.8dtex의 수축성 섬유를 얻었다.
(제조예 2)
제조예 1과 같은 방사 원액을 사용하여 공경 0.04×0.24mm, 공수 16667의 방사 구금을 통하여, 제조예 1과 같은 조건으로 방사를 행함으로써 단섬유 섬도 3.3dtex의 수축성 섬유를 얻었다.
(제조예 3∼4)
아크릴로니트릴 93중량%, 초산 비닐 7중량%로부터 얻어지는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디메틸아세트아미드(이하 DMAc)에 용해하고, 또한 상기 아크릴계 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산화티탄을 0.3중량부 첨가한 것을 방사 원액으로 하여 공경 0.04×0.65mm, 공수 7133의 방사 구금를 통하여(제조예 3), 또, 공경 0.11mm, 공수 19500의 방사 구금를 통하여(제조예 4), DMAc 농도 60중량%의 수용액을 넣은 응고 욕조에 습식 방사하고, 또한 끓는 물 중에서 용제를 세정하면서 2.0배 연신을 하고, 계속하여 유제를 부착시켜 130℃의 열롤러로 건조시키고, 이 건조 사(絲)를 70℃의 열수(熱水) 중에서 2.0배로 더 연신을 행하여 7.8dtex(제조예 3) 및 5.6dtex(제조예 4)의 수축성 섬유를 얻었다.
(제조예 5)
제조예 1과 같은 방사 원액/방사 구금/방사 조건으로 섬유 형성을 행하고, 계속하여, 135℃의 분위기 하에서 최종 드래프트 6.5배로 되도록 열처리를 행함으로써 단섬유 섬도 7.8dtex의 수축성 섬유를 얻었다.
제조예 1∼5의 중합체 조성, AN 중량%(아크릴로니트릴 중량%), 용제, 섬도, 편평비, 및 수축율을 표 1에 나타낸다. 표 1 중의 중합체 조성에서, AN은 아크릴로니트릴을, VCL은 염화비닐을, 그리고 VAc는 초산비닐을 나타낸다.




[표 1]
Figure 112005002650473-pct00001
(실시예 1, 실시예 2)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수축성 섬유에 크림프 부여를 행한 후 38mm로 컷했다. 다음에, 이 수축성 섬유 40중량부와 시판의 비수축성 아크릴계 섬유(오르가노실록산에 의한 유제 처리를 한 것) 「가네카론(등록상표)」AH 3.3dtex, 38mm(가부시키 가이샤가네카제) 60중량부를 혼면(混綿)하여, 파일 직물을 작성했다. 이 때 사용한 AH 3.3dtex는, 충전밀도(packing density) 0.30g/cm3 로 오버 마이어(Ober Mayer) 염색기에 채워, 염색 처리를 행했다. 이 때의 처방은, Maxilon Golden Yellow GL 200% 0.173%omf, Maxilon Red GRL 200% 0.063%omf, Maxilon Blue GRL 300% 0.111%omf (이상, 치바·스패셜 티·케미컬즈사제)의 염료와 울트라 MT #100(미테지마화학사제) 0.3g/L의 염료 조제를 배합한 염색 처방으로 실온으로부터 3℃/분으로 승온하여 98℃에 이른 때 60분간 보온 염색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의 최종 면적당 무게는 570g/m2이며, 파일 직물 작성시의 최종 쉬어링(shearing) 공정에서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를 18mm로 잘라 가지런히 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천연 모피에 가까운 촉감을 갖는 것이었다(실시예 1).
또한,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수축성 섬유 50중량부와 시판의 비수축성 아크릴계 섬유「가네카론(등록상표)」 fmu(10) 1.5dtex, 32mm(가부시키가이샤가네카제) 50중량부를 혼면하여, 파일 직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의 최종 면적당 무게는 570g/m2이며, 파일 직물 작성시의 최종 쉬어링 공정에서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를 15mm로 잘라 가지런히 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천연 모피에 가까운 촉감을 갖는 것이었다(실시예 2).
(실시예 3)
제조예 2에서 얻어진 수축성 섬유에 크림프 부여를 행한 후 32mm로 컷했다. 다음에, 이 수축성 섬유 40중량부와 시판의 비수축성 아크릴계 섬유「가네카론(등록상표)」 fmu(10) 1.5dtex, 32mm(가부시키가이샤가네카제) 60중량부를 혼면하여 파일 직물을 작성했다. 최종 면적당 무게는 570g/m2이며, 파일 직물 작성시의 최종 쉬어링 공정에서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는 15mm로 잘라 가지런히 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천연 모피에 가까운 촉감을 갖는 것이었다.
(실시예 4)
제조예 3에서 얻어진 수축성 섬유에 크림프 부여를 행한 후 38mm로 컷했다. 다음에, 이 수축성 섬유 50중량부와 시판의 비수축성 아크릴계 섬유「가네카론(등록상표)」AH(740) 3.3dtex, 38mm(가부시키가이샤가네카제) 50중량부를 혼면하여 파일 직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의 최종 면적당 무게는 570g/m2이며, 파일 직물 작성시의 최종 쉬어링 공정에서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는 18mm로 잘라 가지런히 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매우 천연 모피에 가까운 촉감을 갖는 것이었다.
(비교예 1)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수축성 섬유에 크림프 부여를 행한 후 38mm로 컷했다. 다음에, 이 수축성 섬유 20중량부와 실시예 1에서 염색 처리를 행한 시판의 비수축성 아크릴계 섬유「가네카론(등록상표)」AH 3.3dtex, 38mm(가부시키가이샤가네카 제) 80중량부를 혼면하여 파일 직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의 최종 면적당 무게는 570g/m2이며, 파일 직물 작성시의 최종 쉬어링 공정에서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는 18mm로 잘라 가지런히 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촉감특성에 흠이 있는 것이었다.
(비교예 2)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수축성 섬유에 크림프 부여를 행한 후 38mm로 컷했다. 다음에, 이 수축성 섬유 60중량부와 시판의 비수축성 아크릴계 섬유「가네카론(등록상표)」RLM 12dtex, 44mm(가부시키가이샤가네카제) 40중량부를 혼면하여 파일 직물을 작성했다. 이 때의 파일 직물의 최종 면적당 무게는 635g/m2이었다. 또한, 파일 직물 작성시의 최종 쉬어링 공정에서, 파일 직물의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를 20mm로 잘라 가지런히 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프트감에 흠이 있어 천연 모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비교예 3)
시판의 수축성 아크릴계 섬유「르후넨(등록상표)」VJR 4.4dtex, 32mm(가네보합섬주식회사제) 50중량부와 시판의 비수축성 아크릴계 섬유「가네카론(등록상표)」AH(10) 5.6dtex, 38mm(가부시키가이샤가네카제) 50중량부를 혼면하여 파일 직물을 작성했다. 또한, VJR의 섬유 단면 편평비는 4.5이며, 건열수축률을 측정 한 바 28.7%이었다. 이 때의 파일 직물의 최종 면적당 무게는 570g/m2이었다. 또한, 파일 직물 작성시의 최종 쉬어링 공정에서, 파일 직물의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 를 14mm로 잘라 가지런히 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카버리성에 흠이 있어 천연 모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비교예 4∼5)
제조예 4에서 얻어진 수축성 섬유(비교예 4), 및, 제조예 5에서 얻어진 수축성 섬유(비교예 5)에 크림프 부여를 행한 후 38mm로 컷했다. 다음에, 이들 수축성 섬유 50중량부와 시판의 비수축성 아크릴계 섬유「가네카론(등록상표)」AH(740) 3.3dtex, 38mm(가부시키가이샤가네카제) 50중량부를 혼면하여 파일 직물을 작성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의 최종 면적당 무게는 570g/m2이며, 파일 직물 작성시의 최종 쉬어링 공정에서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는 18mm로 잘라 가지런히 했다. 얻어진 파일 직물은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두 소프트감에 흠이 있어 천연 모피로서 적합하지 않은 것이었다.






[표 2]
Figure 112005002650473-pct00002
본 발명에 의한 파일 직물에 의하면, 천연의 모피가 갖는 양호한 모촉감특성을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장파일부와 단파일부로 구성되는 단차 파일 직물에 있어서, 단면 형상이 편평인 섬유를 단파일부로서 파일부 전체에 대하여 30∼70중량%의 비율로 함유하고,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와 단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의 차가 1∼5mm이고,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L)가 0.7∼8데시텍스의 범위이며,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S)와의 비가 0.1<DL/DS<1.0의 관계식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L)가 1.5∼6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유 단면의 편평비가 5∼1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직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DS)가 5∼12데시텍스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직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가, 건열수축률이 10∼40%인 수축성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직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장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의 표면에,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이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직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장파일부의 평균 파일 길이가 12∼2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직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단파일부를 구성하는 섬유가, 아크릴로니트릴에 유래하는 반복 단위를 35∼98중량% 함유하는 아크릴로니트릴계 폴리머로 이루어지는 아크릴계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직물.
KR1020057000904A 2002-07-19 2003-07-11 파일 직물 KR1009885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11542 2002-07-19
JPJP-P-2002-00211542 2002-07-19
PCT/JP2003/008867 WO2004009891A1 (ja) 2002-07-19 2003-07-11 パイル布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897A KR20050019897A (ko) 2005-03-03
KR100988584B1 true KR100988584B1 (ko) 2010-10-18

Family

ID=30767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00904A KR100988584B1 (ko) 2002-07-19 2003-07-11 파일 직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60093781A1 (ko)
EP (1) EP1536047A4 (ko)
JP (1) JPWO2004009891A1 (ko)
KR (1) KR100988584B1 (ko)
CN (1) CN1668795A (ko)
WO (1) WO2004009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312701B1 (en) * 2000-07-28 2008-09-17 Kaneka Corporation Step pile fabric
JP4443218B2 (ja) * 2001-07-05 2010-03-31 株式会社カネカ 獣毛調の外観を有するパイル布帛
US20070074353A1 (en) * 2003-12-26 2007-04-05 Minoru Kuroda Step pile fabric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20070298210A1 (en) * 2004-11-12 2007-12-27 Kohei Kawamura Pile Fabric With Height Differen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U2470099C1 (ru) * 2009-02-18 2012-12-20 Канека Корпорейшн Ворсовый трикотажный материал и сшитое изделие, в котором использован ворсовый трикотажный материал
JP5810486B2 (ja) * 2010-08-04 2015-11-11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パイル布帛
US9227543B2 (en) * 2011-06-16 2016-01-05 International Automotive Components Group North America, Inc. Textile structure with improved backing
US9212440B2 (en) 2012-03-30 2015-12-15 Deckers Outdoor Corporation Natural wool pile fabric and method for making wool pile fabric
CN105220392B (zh) * 2015-10-28 2017-08-15 海宁市金佰利纺织有限公司 一种可调节绒长的割绒布加工设备及其运作方法
US10801139B2 (en) 2017-01-27 2020-10-13 Deckers Outdoor Corporation Sheared wool fleece and method for making sheared wool fleece utilizing yarn knitting
US11713524B2 (en) 2017-01-27 2023-08-01 Deckers Outdoor Corporation Sheared wool fleece and method for making sheared wool fleece utilizing yarn knitting
CN108588972A (zh) * 2017-12-07 2018-09-28 滨州亚光家纺有限公司 一种持久柔软毛巾的生产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958A (ja) * 1996-11-19 1998-06-1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パイル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パイル用収縮性繊維及びパイル用繊維組成物
US5976693A (en) * 1997-05-08 1999-11-02 Kaneka Corporation Synthetic fiber of acrylic series with animal-hair feeling
KR100549657B1 (ko) * 2001-07-05 2006-02-08 카네카 코포레이션 동물모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 파일 패브릭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3158B2 (ja) * 1984-03-27 1994-08-17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パイル組成物
US5525393A (en) * 1988-06-29 1996-06-11 Raab; Hans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a plush-type cleaning cloth and cleaning cloth or cleaning glove thereby obtained
JP2723302B2 (ja) * 1988-08-31 1998-03-09 鐘淵化学工業株式会社 毛皮調パイル布帛およびその製法
US6066687A (en) * 1994-06-24 2000-05-23 Solutia Inc. Acrylic fiber with high optical brightness
JP3525510B2 (ja) * 1994-09-05 2004-05-10 東洋紡績株式会社 立毛布帛
JPH08260289A (ja) * 1995-01-25 1996-10-0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パイル製品及びパイル組成物
JPH09302554A (ja) * 1996-05-16 1997-11-25 Mitsubishi Rayon Co Ltd パイル布帛
CN1161507C (zh) * 1996-05-31 2004-08-11 钟渊化学工业株式会社 用于制备绒毛制品的梳条、绒毛制品及其制备方法
JPH10137103A (ja) * 1996-09-13 1998-05-26 Maekawa Shikimono:Kk 意匠性に優れたカーペットの製造方法
JPH10140464A (ja) * 1996-09-13 1998-05-2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意匠性に優れた立毛繊維製品の製造方法
JP3207775B2 (ja) * 1996-12-13 2001-09-10 帝人株式会社 長短パイルを生起可能な立毛布帛
JP3767995B2 (ja) * 1998-02-05 2006-04-19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超光沢扁平アクリル系繊維及びその繊維製品
WO2000070133A1 (fr) * 1999-05-18 2000-11-23 Kaneka Corporation Fibre creuse thermoretractable pour tissu a poils, procede de production de celle-ci et produit a poils
KR100658124B1 (ko) * 1999-10-13 2006-12-15 가부시키가이샤 가네카 다공질 아크릴계 섬유 및 그것으로 되는 직물, 및 그제조방법
EP1312701B1 (en) * 2000-07-28 2008-09-17 Kaneka Corporation Step pile fabric
WO2003057953A1 (fr) * 2001-12-28 2003-07-17 Mitsubishi Rayon Co., Ltd. Fibre acrylique a retrecissement eleve, composition de velours en contenant et tissus duvetes fabriques a partir de telles compositions
US20050119562A1 (en) * 2003-05-23 2005-06-02 Senorx, Inc. Fibrous marker formed of synthetic polymer stran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8958A (ja) * 1996-11-19 1998-06-16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パイル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パイル用収縮性繊維及びパイル用繊維組成物
US5976693A (en) * 1997-05-08 1999-11-02 Kaneka Corporation Synthetic fiber of acrylic series with animal-hair feeling
KR100549657B1 (ko) * 2001-07-05 2006-02-08 카네카 코포레이션 동물모와 유사한 외관을 갖는 파일 패브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36047A1 (en) 2005-06-01
WO2004009891A1 (ja) 2004-01-29
JPWO2004009891A1 (ja) 2005-11-17
KR20050019897A (ko) 2005-03-03
US20060093781A1 (en) 2006-05-04
CN1668795A (zh) 2005-09-14
EP1536047A4 (en) 2008-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584B1 (ko) 파일 직물
JP5817942B2 (ja) 高収縮性アクリル繊維と同繊維を含む紡績糸と同紡績糸を用いた段差パイル布帛
KR100403981B1 (ko) 볼륨성이우수한인공모발용섬유
JP3865731B2 (ja) 高収縮性アクリル系繊維及び該繊維を含むパイル組成物並びに該パイル組成物を用いた立毛布帛
EP0511388B1 (en) Leather-touch pile fabric and method of making said fabric
JP4122582B2 (ja) 紡績糸およびそれを用いてなる布帛
KR20020015059A (ko) 아크릴로니트릴계 합성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3365141B2 (ja) 人工毛髪用異形断面繊維
JPWO2005064057A1 (ja) 段差パイル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8260289A (ja) パイル製品及びパイル組成物
JP4734246B2 (ja) 立毛布帛
JP2007002343A (ja) 段差に優れたパイル布帛
JPH09132813A (ja) 風合の改良された人工毛髪用繊維及び繊維束
EP0761845B1 (en) Flat filaments provided with ribs and raw fibres for pile fabrics
KR20190000291A (ko) 3차원 권축을 가지는 편평 아크릴로나이트릴계 섬유 및 이 섬유를 사용한 파일 포백
JP2004036039A (ja) 嵩高捲縮加工糸
JP5810486B2 (ja) パイル布帛
KR100199847B1 (ko) 리브가 구비되어 있는 플랫 필라멘트 및 파일 직물용 원료 섬유
JPH06346316A (ja) 菱形断面を有するアクリル系繊維および該アクリル繊維を用いて得られるパイル地
JPS62117851A (ja) チンチラ調人工毛皮
JP2001181926A (ja) 捲縮除去性に優れた立毛布帛用アクリル系合成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20045183A1 (ja) アクリロニトリル系繊維、該繊維を含有するパイル布帛及び該布帛を含有する繊維製品
WO2019187451A1 (ja) パイル布帛
JPS5994647A (ja) 立毛製品
JP4895286B2 (ja) アクリル系繊維およびパイル布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