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55B1 - 연료송출관 - Google Patents

연료송출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355B1
KR100981355B1 KR1020047011597A KR20047011597A KR100981355B1 KR 100981355 B1 KR100981355 B1 KR 100981355B1 KR 1020047011597 A KR1020047011597 A KR 1020047011597A KR 20047011597 A KR20047011597 A KR 20047011597A KR 100981355 B1 KR100981355 B1 KR 100981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uel delivery
cross
sect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9930A (ko
Inventor
마사요시 우수이
에이지 와타나베
히카리 쓰치야
요시유키 세리자와
가즈테루 미즈노
고이치 하야시
데쓰오 오가타
Original Assignee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수이 고쿠사이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69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9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9/00Low-pressure fuel-injection apparatus ; Apparatus with both continuous and intermittent injection; Apparatus injecting different types of fuel
    • F02M69/46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covered by groups F02M69/02 - F02M69/44
    • F02M69/462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 F02M69/465Arrangement of fuel conduits, e.g. with valves for maintaining pressure in the pipes after the engine being shut-down of fuel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31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 F02M2200/315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hydraulic pressure fluctuations damping elements for damping fuel pressure fluctu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분사노즐에 의한 연료분사시의 압력맥동을 저감시키고, 바닥아래 배관에서의 맥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하고, 연료송출본체로부터의 방사음을 작게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연료송출본체(1)의 벽면에 마련된 가요성의 흡수벽면(10)은 내압의 변화에 의해 휘어지고 연료송출본체(1)의 내용적을 증가할 수 있게 한다. 연료송출본체(1)를 유동하는 연료의 음속 αL과 연료송출본체(1)의 내용적 V로부터 결정되는
Figure 112004033510594-pct00054
Figure 112004033510594-pct00055
이고, 고주파역에서의 등가음속 αH와 연료의 음속 αL과의 비
Figure 112004033510594-pct00056
Figure 112004033510594-pct00057
로 된다. 또한 연료송출본체(1)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을 대략 절구형, 대략 플라스크형, 대략 사다리꼴, 대략 고글형 등으로 형성한다.
Figure R1020047011597
압력맥동, 방사음, 연료송출관, 단면형상, 흡수벽면

Description

연료송출관{Fuel delivery pipe}
본 발명은 전자연료분사식 자동차용엔진의 연료가압펌프로부터 송급된 연료를 엔진의 각 흡기통로 또는 기통내로 직접 분사하는 연료인젝터(분사노즐)를 통하여 공급하기 위한 연료송출관에 관한 것으로, 연료분사에 의한압력맥동 및 방사음을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연료통로를 포함하는 연료송출관의 단면구조 및 연료송출관의 외부구조 또는 연료송관의 압력맥동 및 방사음의 저감기구(메카니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분사노즐을 설치하여 엔진의 복수의 기통에 가솔린 등의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송출관이 알려져 있다. 이 연료송출관은 연료탱크로부터 도입된 연료를 복수의 분사노즐로부터 순차로 엔진의 복수의 흡기관 또는 기통내에 분사하고 이 연료를 공기와 혼합시켜 이 혼합기체를 연소시켜 엔진의 출력을 발생시킨다.
이 연료송출관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바닥아래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로부터 공급된 연료를 분사노즐로부터 엔진의 흡기관 또는 기통에 분사하기 위한 것이지만, 공급된 연료가 연료송출관내에 여분으로 공급된 경우 이 여분의 연료를 압력조절기에 의해 연료탱크로 되돌리는 회로를 포함하는 방식인 리턴형의 연료송출관이 존재한다. 또한, 이 리턴형의 연료송출관과는 달리 공급된 연료를 연료탱크로 되돌리는 회로를 가지지 않는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관이 존재한다.
연료송출관에 여분으로 공급된 연료를 연료탱크로 되돌리는 방식은 연료송출관내의 연료의 양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연료분사에 수반되는 압력맥동도 발생하기 어려운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고온의 엔진기통에 근접하여 배치하고 있는 연료송출관에 공급된 연료는 고온화되고 이 고온화된 여분의 연료를 연료탱크로 되돌리는 것에 의해 연료탱크내의 가솔린의 온도가 상승한다. 이 온도상승에 의해 가솔린이 기화하고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것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이 여분의 연료를 연료탱크로 되돌리지 않는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관이 제안되었다.
이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관은 분사노즐로부터 흡기관 또는 기통으로의 분사가 이루어졌을 경우, 여분의 연료를 연료탱크로 되돌리는 배관이 없기 때문에 연료송출관 내의 연료의 압력변동이 크게 되어 큰 압력파를 발생하고 압력맥동의 발생도 리턴형의 연료송출관에 비교하면 크게 된다.
본 발명은 압력맥동이 발생하기 쉬운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관을 이용한 것이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엔진의 흡기관 또는 기통으로의 분사노즐로부터의 연료분사에 의해 연료송출관의 내부가 감압되면 이 급격한 감압과 연료분사의 정지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파가 연료송출관의 내부에 압력맥동을 생기게 하는 것으로 된다. 이 압력맥동은 연료송출관 및 그 연료송출관에 접속한 접속관으로부터 연료탱크측까지 전파된 후, 연료탱크내의 압력조정밸브로부터 반전되어 되돌아가고, 접속관을 통하여 연료송출관까지 전파된다. 연료송출관에는 복수의 분사노즐이 설 치되어 있어 이 복수의 분사노즐이 순차로 연료의 분사를 실시하고 압력맥동을 발생시킨다.
그 결과, 바닥아래의 배관을 바닥아래에 고정시키는 클립을 통하여 차내에 소음으로 전파되고 이 소음이 운전자나 승차자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종래, 이와 같은 압력맥동에 의한 폐해를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고무의 다이어프램이 들어간 맥동댐퍼를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관에 배치하여, 발생하는 압력맥동 에너지를 이 맥동댐퍼에 의해 흡수하거나, 연료송출관으로부터 연료탱크측까지의 바닥아래에 배설되는 바닥아래 배관을 진동흡수용의 클립을 통해 바닥아래에 고정하는 것에 의해 연료송출관 또는 탱크까지의 바닥아래 배관에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할 수 있다. 이들 방법은 비교적 유효한 것으로 압력맥동의 발생에 의한 폐해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맥동댐퍼나 진동흡수용의 클립은 비싸고 부품수를 늘리거나 비용이 높아지며 설치공간의 확보에도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그래서 이들 맥동댐퍼나 진동흡수용의 클립을 사용하지 않고 압력맥동을 저감시키는 목적으로 연료송출관에 압력맥동을 흡수할 수 있는 맥동흡수기능을 구비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압력맥동의 흡수기능을 포함하는 연료송출관들로서,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329030호, 제2000-320422호, 제2000-329031호, 평11-37380호, 평11-2164호에 기재된 발명 등이 알려져 있다. 압력맥동흡수기능을 포함하는 이들 연료송출관은 연료송출관의 외벽에 가요성의 흡수면을 형성하여 연료분사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압력을 받아 흡수면이 휘어지게 변형하는 것에 의해 압력맥동을 흡수저감하고 연료 송출관, 그 외의 부품의 진동에 의한 소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에서는 압력맥동의 흡수효과는 있지만 연료분사시의 분사노즐의 개폐에 따라 분사노즐의 스풀이 밸브자리 등에 놓여질 때에 발생하는 부딪히는 소리 등, 수 ㎑이상의 고주파역에 있는 소리는, 흡수면이 스피커효과를 발휘하여 외부로 방사되는 불량을 발생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 등은 상기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0-329030호「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연료송출본체의 외벽을 가용성의 흡수면으로 하여 맥동을 흡수시키는 것을 제안했다. 도 46은 연료송출관의 연료송출본체(81)의 상자형 단면의 전체를 가요성의 흡수면으로 하여 맥동을 흡수시키도록 한 예이다. 연료송출본체(81)의 저면에는 복수의 소켓(82)이 고정되고, 연료통로(83)로부터 소켓(82)의 연료유입구(84)를 통해 분사노즐(미도시) 내에 연료가 공급된다. 연료송출본체(81)의 종횡치수는 예를 들면, 판두께 1.2㎜의 탄소강재로, 높이 H를 32㎜, 폭 W를 20㎜정도로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이 연료송출본체(81) 내에 10기압의 압력이 작용한 경우를 상정하고, 저면에 연료송출본체(81)의 고정용 브래킷(도 1 참조)과 소켓(82)을 고정한 조건으로, FEM(유한요소매트릭스)해석을 실시하여 내용적(內容積) 증가율을 산출함과 동시에 단면형상의 변화상황을 변형률을 확대하여 도 47에 표시했다.
도 47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내압을 받는 것에 의해 연료송출본체(81)의 내벽면의 좌측벽(85) 및 우측벽(86)은 파선으로부터 실선과 같이 가로방향으로 휘어져 팽창하지만, 상부벽(87) 및 하부벽(88)에 관해서는 각각 내측을 향해서 휘어져 수 축하는 결과가 되고, 내용적의 증가율은 0.55%정도에 그친다는 것을 알았다.
다음으로 연료송출본체(81)의 축방향에 직각인 단면형상을 상자형 단면으로부터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절구형상, 북형상, 플라스크형상, 도립플라스크형상, 사다리꼴형상, 도립사다리꼴형상(도 1, 2, 4 내지 30, 37내지 42 참조) 등으로 변화시키면서 동일한 해석을 실시한 결과 내용적의 증가율이 1.1 내지 1.8%로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았다. 이것은 이들의 형상에서는 좌우가 최초부터 곡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곡면이 압력을 받아 그 곡율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지는 결과, 좌우방향이 휘어짐을 흡수하여 상하면은 크게 변형하지 않고 내용적의 증대량이 크게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FEM해석은 컴퓨터를 이용한 수치해석이지만, 실물을 이용한 재현시험의 결과를 피드백하면서 더구나 수정도 가하기 때문에 그 신뢰성은 상당히 높은 것이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소60-240867호 「내연기관용 연료분사장치의 연료공급도관」에는 연료송출본체의 벽면들 중의 적어도 하나를 연료의 맥동을 감소시키도록 탄성적으로 구성하는 것과 대략 삼각형의 단면을 한 연료송출본체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종래발명에서는 압력맥동의 감쇠효과는 얻을 수 있었지만 고주파역에 있어서의 소리의 저감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것이고 분사노즐에 의한 연료분사시의 압력맥동을 저감시켜 바닥아래 배관에서의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하는 동시에 연료송출본체로부터의 방사음을 작게할 수 있는 연료송출관을 얻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이 압력맥동이나 방사음의 저감효과가 높은 제품을 맥동댐퍼나 진동흡수용의 클립 등의 비싼 부품을 사용하지 않고 제조하여 비용을 삭감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연료송출본체를 외경치수를 증대시키지 않고 형성하여 엔진실 내 등의 한정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게 한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은 압력맥동 감쇠효과를 발휘시켜 방사음을 저하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외경치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연료송출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1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해 연료탱크로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이 대략 직사각형의 2개의 장변측 벽면이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된 형상의 대략 절구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평탄한 2개의 단변측 벽면 또는 2개의 장변측 벽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소켓들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2개의 장변측 벽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상기 2개의 장변측 벽면의 중앙부근에 각각 평탄부분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제2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의 꼭대기변에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플라스크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플라스크 단면의 저면 또는 상면 또는 2개의 측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플라스크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제3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의 꼭대기변에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플라스크형상이고 또한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부가 원호형으로 굴곡된 형상의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플라스크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플라스크 단면의 저면 또는 2개의 측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이 대략 플라스크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용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제4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는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변에 도립사다리꼴이 놓여진 도립플라스크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도립플라스크 단면의 저면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도립플라스크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제5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변이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되고,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저면 또는 상면 또는 2개의 경사변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변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여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제6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사다리꼴 형상이고 사다리꼴의 꼭대기부분이 원호형으로 굴곡된 형상의 돔 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변이 각각 내측을 향하여 굴곡되고,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저면 또는 2개의 경사변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 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변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제7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도립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도립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변이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되고, 도립사다리꼴 단면의 저면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도립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변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여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빠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제8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변에 그 직사각형보다도 좁은 폭의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열쇠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열쇠형단면의 저면 또는 상면 또는 2개의 측면중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에 고정되어 있어 대략 열쇠형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제9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로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변에 그 직사각형보다도 좁은 폭의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열쇠형상이고 좁은 폭측의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부분은 원호형으로 굴곡된 형상의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열쇠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열쇠형 단면의 저면 또는 2개의 측면 중 어는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열쇠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시키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제10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는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이 대략 직사각형의 2개의 장변측 벽면의 어느 한쪽의 대략 중앙부를 내측을 향해 오목구모양으로 굴곡시켜 대략 고글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다른 쪽의 대략 평탄한 장변측 벽면 또는 평탄한 2개의 단변측 벽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대략 중앙부가 오목구형으로 굴곡된 한쪽의 장변측 벽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2개의 장변측 벽면은 평행해도 좋다.
또한 2개의 장변측 벽면의 한 쪽은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연료송출본체의 단면형상의 네개의 모서리는 적어도 하나를 원호형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제11발명은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연료송출본체의 벽면에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형성하고 내압의 변화에 의한 흡수벽면이 휘어짐으로써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을 증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연료송출본체를 유동하는 연료의 음속αL과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 V로부터 결정되는
Figure 112008049252789-pct00001
Figure 112008049252789-pct00002
이고, 연료송출본체 내를 유동하는 연료의 고주파역에서의 등가음속 αH과 상기 연료의 음속 αL과의 비
Figure 112008049252789-pct00003
Figure 112008049252789-pct00004
로 하여 이루어지는 연료송출관이다.
또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05
Figure 112008049252789-pct00006
이고,
Figure 112008049252789-pct00007
Figure 112008049252789-pct00008
이어도 좋다.
또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09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0
이고,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1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2
이어도 좋다.
또한, 흡수벽면은 연료송출본체의 벽면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으로 굴곡형성하고 내압의 변화에 의해 굴곡부분이 외측으로 휘어지게 하는 것에 의해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을 증가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제1 내지 제10발명과 같은 연료송출관에서는 종래와 동일한 압력을 받은 경우 용적변화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가요성의 흡수벽면에 의한 맥동흡수효과가 높게 되며 방사음 등의 이음의 전달, 전파, 방사가 억제되어 진다. 연료송출본체의 외형치수는 거의 증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연료송출관과 치환해도 엔진실 내의 한정된 공간 내에 수납할 수 있고 부품으로서의 호환성이 유지된다.
흡수벽면에 의한 맥동흡수의 이론적인 근거로는 분사노즐의 개폐시에 발생하는 충격파가 소켓의 연료유입구로 유입 또는 순간적인 역류에 의해 유출되는 때에 가요성의 흡수벽면의 휘어짐에 의해 충격이나 맥동이 흡수되는 것과 스프링정수가 비교적 작은 얇은 두께의 부재가 휘어져 변형되는 것에 의해 내용적이 변화하여 연료의 압력변동을 흡수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1 내지 제10발명은 하기와 같은 각종의 단면형상을 채용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1) 연료송출본체의 축방향에 직각인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이 대략 직사각형의 2개의 장변측 벽면을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시킨 형상의 대략 절구형 단면.
(2) 절구형 단면의 2개의 장변측 벽면의 중앙부근에 각각 평탄부분이 형성된 대략 북형 단면.
(3)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의 꼭대기변에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플라스크 단면.
(4)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의 꼭대기변에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플라스크형상이고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부분이 원호형으로 굴곡된 형상의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플라스크 단면.
(5)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 변에 도립사다리꼴이 놓여진 도립플라스크 단면.
(6)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사다리꼴인 단면.
(7)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이고 사다리골의 꼭대기가 원호모양으로 굴곡된 형상의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사다리꼴 단면.
(8)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도립사다리꼴형상이고 2개의 경사변이 각각 내측을 향하여 굴곡된 형상의 도립사다리꼴 단면.
(9)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변에 그 직사각형보다도 좁은 폭의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열쇠형 단면.
(10)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열쇠형상으로서 협폭측의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부분이 원호형으로 굴곡된 형상의 돔지붕이 붙어 있는 대략 열쇠형 단면.
(11)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이 대략 직사각형의 2개의 장변측 벽면 중 어느 한 쪽이 대략 중앙부가 내측을 향해 오목구상으로 굴곡된 형상의 대략 고글형 단면.
또, 단면형상은 정확히 좌우대칭형일 필요는 없다. 또한 연료송출본체에 접속된 소켓은 벽면의 상면, 저면, 2개의 측면 중 어느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고 이 소켓을 접속한 벽면이 하방을 향하도록 연료송출본체를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각 단면을 형성하는 소재는,
(A) 원형관으로부터 형성가공한 이음매 없는 관(단 원형관제조시의 이음매는 제외)
(B) 2개의 채널재를 합쳐서 이음매를 용접한 관
(C) 프레스가공에 의해 일부를 겹친 관
등 주지의 가공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소정의 단면형상을 가지는 연료송출본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10발명에 있어서, 연료송출본체의 외벽부나 흡수벽면의 판두께, 종횡의 비율, 구성부재의 재질이나 강도 등은 특히 엔진의 유휴시에 진동이나 맥동이 가장 작은 값으로 되도록 실험이나 분석에 의해 정해 질 수 있다.
제1 내지 제10발명에 의한 연료송출관은 브래킷의 설치 치수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종래의 연료송출관에 대해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11발명은 압력맥동의 저감 및 방사음저감의 기구(메카니즘)에 관한 것이고 분사노즐로부터의 연료의 분사에 따라 압력맥동이 발생한다면 그 압력 변동값은 연료송출관 내를 유동하는 연료의 음속 αL과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과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어 그 관계는 하기 수학식1에 제시하는 비례식으로 된다.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3
P : 압력변동값, αL : 연료송출본체중의 연료의 음속,
V :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
따라서, 연료송출본체내를 유동하는 연료의 음속 αL을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압력맥동 P를 작게할 수 있다. 이 연료의 음속 αL에 대해서는 연료에 대한 운동량의 법칙 및 연속식에 의한 하기 수학식2가 성립한다. 또한 체적탄성율의 정의에 의해 하기 수학식3이 성립한다.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4
삭제
ρ : 연료의 밀도, Kf : 연료의 체적탄성율,
Kr : 연료송출본체내의 체적탄성율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5
Δp : 연료송출본체내의 내압변화값,
ΔV : 내압부가시의 연료송출본체의 용적탄성값
상기 수학식을 이용하여, FEM 등의 수치해석에 의해 연료송출본체를 유동하는 연료의 음속 αL을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연료의 음속 αL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Kr 즉, 연료송출본체내의 체적변화율을 작게하면 좋고, 이 Kr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내압부가시의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을 증대시키면 좋다. 여기서 본 발명의 연료송출관은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형성하고 내압의 변화에 의해 흡수벽면이 외측으로 휘어짐으로써 내용적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압력맥동의 흡수효과가 높고, 바닥아래 배관 등의 맥동이나 소음의 전달, 전파를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분사노즐의 스풀이 밸브자리 등에 놓여질 때에 발생하는 부딪히는 소리, 그 외의 방사음에서 문제가 되는 수 ㎑이상의 고주파역에서의 등가음속 αH는 연료송출본체 내의 기주진동의 모드와 그 주파수를 구하는 것으로 산출할 수 있다. 즉, 기주진동모드는 양단폐쇄단의 기주의 조건이 적합하고, 하기 수학식 4와 같은 관계가 성립한다.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6
f : 주파수, n : 기주진동의 모드차수, 1 : 연료송출본체의 기주길이
상기 수학식4로부터 고주파역에 따른 등가음속 αH 는 하기의 수학식 5에 의해 구해 질 수 있다.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7
상기 수학식에 의해, 종래의 연료송출관의 고주파역에 있어서의 등가음속 αH를 계산한 바, 상기 연료의 음속 αL과 거의 동일하고, 압력맥동을 저감하기 위한 αH를 작게 하고, αH도 작게 되고, 방사음이 크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료송출관은 방사음에서 문제가 되는 고주파역에서의 맥동에서 흡수벽면이 다수의 배와 절을 가지는 모드형상으로 되고 휘어지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고주파역에서의 흡수벽면의 휘어짐은 작게된다. 이 때문에 연료의 음속 αL을 작게 한 경우에도 고주파역에 따른 등가음속 αH가 작게 되지 않고 큰 방사음의 발생을 바람직하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자 등이 행한 수치해석 및 실험의 결과, 연료의 음속 αL과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 V로부터 결정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8
Figure 112008049252789-pct00019
이고, 고주파역에 따른 등가음속 αH와 연료의 음속 αL과의 비가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0
로 되는 구조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압력맥동의 흡수효과 및 방사음의 방지효과 모두의 효과가 높은 연료송출관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은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1
로 하기에는 αL을 작게 하거나 또는 V를 크게 할 필요가 있다. αL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 V를 크게 증대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는 벽면의 두께를 얇게 할 필요가 있어, 연료분사시의 맥동에 대한 연료송출본체의 내구성이 저하한다. 또한 내용적 V를 크게 하기 위해서는 연료송출본체의 형성폭과 높이 및 길이를 크게 할 필요가 있어, 내용적 V가 지나치게 크게 부풀어 차체의 레이아웃성이 저하한다. 반대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2
이면, 내압에 의한 내용적 V의 증가비율이 적어지게 되어 맥동흡수성이 낮은 제품이 되고 바닥아래 배관을 진동시키게 된다.
또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3
인 경우, 연료의 음속 αL을 작게 하여 맥동흡수성을 높이려고 하면, 이들에 비례하여 고주파역에서의 등가음속 αH도 작게 되어 방사음이 크게 되고 방사음의 억제효과가 미흡한 제품이 되며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연료송출관에서는 분사노즐로부터의 연료분사에 의한 압력맥동의 흡수효과가 높고 바닥아래 배관에서의 맥동이나 소음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분사노즐의 스풀이 밸브자리 등에 놓여질 때의 부딪히는 소리 등, 고주파영역에서의 소리의 방사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맥동댐퍼나 진동흡수용의 클립 등의 비싼 부품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제조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며, 부피가 커지지 않고 외경치수의 증대를 억제하며, 엔진룸 등의 한정된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고 레이아웃성이 양호한 제품을 얻을 수 있게 되며 기존의 연료송출관과 치환이 가능하고 부품으로서의 호환성도 유지된다.
또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4
을,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5
으로 하고,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6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7
로 하면, 4기통 등의 비교적 작은 엔진(660 내지 1000cc의 경우)을 탑재하고, 압력맥동의 저감효과가 비교적 작아도 양호한 소형차 등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것으로 된다.
또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8
을,
Figure 112008049252789-pct00029
으로 하고,
Figure 112008049252789-pct00030
Figure 112008049252789-pct00031
로 하면, 방사음의 방지효과나 압력맥동의 흡수성이 특히 우수한 것이 되고, 4 내지 6기통 또는 이들 이상의 대형 엔진(1300 내지 2500cc경우)을 탑재하고, 큰 압력맥동의 저감효과가 요구되는 차량 등에서의 사용에 바람직하게 된다.
또한 고주파역에서의 등가음속 αH의 값은 연료송출본체 내의 연료의 원래의 음속을 초과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고,
Figure 112008049252789-pct00032
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연료의 음속αL을 작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들은 변형량을 크게 하기 위해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을 의미하며 내구성의 저하로 이어진다. 이 때문에 사용시의 내압에 의한 연료송출본체의 파손을 회피하는 동시에 αL의 값이 제한 되는 것으로부터
Figure 112008049252789-pct00033
는 0.35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수벽면은 내압을 받아 휘어지는 것으로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면 어떤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지만 연료송출본체의 벽면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으로 굴곡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비교적 큰 곡률반경에서 완만하게 휘어지게 흡수벽면을 형성하면, 내압의 변화에 의해 휘어진 부분이 외측으로 휘어지는 것에 의해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흡수벽면의 효과로서, 내측으로 휘어진 벽면을 가지지 않는 흡수벽면의 경우는 흡수벽면이 외측으로 휘어질 때에 반대로 비흡수벽면 부분이 안쪽으로 수축하는 일이 있어 내용적을 크게 증가시키기 어렵다. 그러나, 벽면을 내측으로 휘어지게 해서 흡수벽면을 형성한 경우는 굴곡부분이 외측으로 휘어져 직선적으로 되어 흡수벽면의 양 점간의 거리가 길게 되기 때문에 이 흡수벽면과 연결되는 비흡수벽 면이 안쪽으로 수축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로 외측으로 확장한 것으로 되어,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의 증가율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연료송출관의 경사도이다. 도 2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제1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의 내압에 의해 흡수벽면이 휘어져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이 변화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고 단면형상을 절구형을 가로로 놓은 형상이다. 제5도는 제3실시예의 플라스크형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제6도는 제4실시예의 열쇠형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제5 내지 제11실시예의 절구형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9는 제12 내지 제17실시예의 고글형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20 내지 도 23은 제18 내지 제21실시예의 열쇠형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24는 제22실시예의 절구형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또한 도 25 내지 도 27은 제23 내지 제25실시예의 플라스크형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28은 제26실시예의 사다리꼴형상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29는 제27실시예에서 복수의 성형된 판재를 조합시켜 형성한 플라스크형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30은 제28실시예에서, 프레스가공에 의해 판재의 일부를 겹쳐서 형성한 플라스크형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31은 FEM해석에 의한 제1, 제2실시예의 절구형의 연료송출본체의 4㎑ 부근의 주파수에서의 기주진동모드에서의 배와 절의 상황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32는 FEM해석에 의한 제3실시예의 플라스크형상의 연료송출본체의 4㎑ 부근의 주파수에서의 기주진동모드에서의 배와 절의 상황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또한, 도 33은 제2 내지 제6종래예의 평평한 모양의 연료송출본체의 4㎑부근의 주파수에서의 기주진동모드에서의 배와 절의 상황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이 도 31 내지 도 33에 따른 A 내지 I는 연료송출본체의 어떤 위상에 따른 내압변화를 보여준다.
또한, 도 34는 제1 내지 제4종래예 및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에서의 주파수역에 따른 기주진동모드수와 그 주파수와의 상관그래프이다. 도 35는 제1 내지 제4종래예 및 제1 내지 제4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에 따른, 모드자수 2이후의 선형근사그래프이다. 도 36은 맥동흡수성이 동등한 제1실시예와 제6종래예의 각 연료송출본체의 방사음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37은 사다리꼴형상의 연료송출본체의 도중에 볼록하게 돌출부를 마련한 제29실시예의 단면경사도이다. 도 38은 제30실시예에서,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플라스크 단면을 가지는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39는 제31실시예에서,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사다리꼴 단면을 가지는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40은 제32실시예에서,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열쇠형 단면을 가지는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다. 도 41은 도립플라스크형상의 제33실시예, 도 42는 도립사다리꼴 형상의 제34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의 주요단면도이고 또한 복수의 성형된 판재를 조합시켜 형성된다. 도 43은 장변측 벽면의 중앙부에 평탄부분을 마련하지 않고 매끈한 원호로 된 절구형의 연료송출본체가 내압을 받는 것에 의해 내용적이 변화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4는 대략 플라스크형상의 연료송출본체가 내압을 받는 것에 의해 내용적이 변화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5는 도 립플라스크형상의 연료송출본체가 내압을 받는 것에 의해 내용적이 변화한 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6은 종래의 연료송출관에 따른 연료송출본체와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47은 종래의 연료송출본체의 변형상태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48은 실험에서 사용한 제2 내지 제6종래예의 평평한 형상의 연료송출본체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25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에서의 연료의 음속 αL(m/s), 단면적 A(㎟), 내용적 V(㎣),
Figure 112008049252789-pct00034
, 고주파역에서의 등가음속 αH(m/s),
Figure 112008049252789-pct00035
및 두께(㎜)를 하기 표 1에 표시했다. 또한 비교를 위해 흡수벽면을 가지지 않는 사각형상의 연료송출본체(제1종래예), 흡수벽면을 마련한 평평한 형상의 연료송출본체(제2 내지 제6종래예)에 관한 데이터도 보여진다.
Figure 112004033510594-pct00036
상기 제1종래예의 연료송출본체는 표 1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폭 16㎜, 높이 16㎜로 한 대략 정사각형의 단면형상으로 하고 두께를 1.2㎜, 관 길이를 325㎜로 하고 있다. 또한, 제2 내지 제6종래예는 도 48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연료송출본체(81)의 단면형상을 평평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제2종래예는 폭 28㎜, 높이 10.2㎜로 한 평평한 형상의 단면형상으로 하고 두께를 1.2㎜, 관 길이를 325㎜로 하고 있다. 또한, 제3종래예는 폭 34㎜, 높이 10.2㎜의 평평한 형상의 단면형상으로 하고 두께를 1.2㎜, 관 길이를 325㎜로 하고 있다. 또한, 제4종래예는 폭 34㎜, 높이 10.2㎜의 평평한 형상의 단면형상으로 하고 두께를 1.2㎜, 관 길이를 175㎜로 하고 있다. 또한 제5종래예는 폭 28㎜, 높이 10.2㎜의 평평한 형상의 단면형상으로 하고 두께를 1.2㎜, 관 길이를 175㎜로 하고 있다. 또한 제6종래예는 폭 32.7㎜, 높이 10.2㎜의 평평한 형상의 단면형상으로 하고, 두께를 1.0㎜, 관 길이를 325㎜로 하고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연료송출본체는 원형 단면의 탄소강, 스테인레스강 등의 관을 롤포밍가공에 의해 형성한 특수형상 단면으로 만들어져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보이는 제1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1)은 연료송출본체이고 그 한 면에 분사노즐(미도시)을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소켓(2)이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4기통 엔진의 경우에는 4개의 소켓(2)이 소망 간격과 각도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연료송출본체(1)는 양단이 엔드캡(12)으로 봉지되고 이 중 한 단에 연로도입관(3)이 납땜이나 용접으로 접속 고정되며 이 연료도입관(3)은 바닥아래 배관(미도시)을 통해 연료탱크(미드시)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연료송출본체(1)의 다른 단 또는 측면에는 연료탱크로 되돌리기 위한 되돌림관을 설치할 수 있지만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관에는 되돌림관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이 연료탱크의 연료는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도입관(3)에 이송되고, 도 1의 화살표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연료도입관(3)으로부터 연료송출본체(1)로 유동하고 소켓(2)에 접속된 분사노즐을 통해 흡기통로 또는 기통내에 직접 분사된다. 또한 연료송출본체(1)는 소켓(2)의 설치측에 연료송출본체(1)를 엔진본체에 접속하여 고정하기 위해 두껍고 견고한 브래킷(4)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1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1)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평탄한 2개의 단변측 벽면과 내측으로 굴곡된 2개의 장변측 변면을 가진 대략 절구형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상기 평탄한 단변측 벽면의 한 쪽인 저면을 하부벽(5)으로 하고 소켓(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하부벽(5)과 대향한 단변측 벽면의 다른 쪽인 상면을 상부벽(6)으로 하고 있다. 이 상부벽(6)과 하부벽(5)을 연결하는 장변측 벽면인 좌측벽(7)과 우측벽(8)은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부벽(6) 및 하부벽(5)의 연결부를 원호형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평탄한 직선변과 한 쌍의 경사변으로 이루어지는 사다리꼴형상으로 내측으로 굴곡형성하여, 한 쌍의 휘어질 수 있는 흡수벽면(10)을 구성하고, 단면 형상을 대략 북모양의 절구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분사노즐로부터 연료분사시 내압의 변화에 의해 내측으로 굴곡된 흡수벽면(10)이 외측으로 휘어지게 변형하는 것에 의해 연료송출본체(10)의 내용적을 증대시킬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제1실시예의 절구형의 연료송출본체(1)는 상부벽(6)과 하부벽(5) 및 이들과 호상(弧狀)의 곡부(11)를 통해 연결되는 좌측벽(7) 및 우측벽(8)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좌측벽(7)과 우측벽(8)을 내측으로 사 다리꼴형상으로 굴곡시켜 높이 33.6㎜의 흡수벽면(10)으로 하고, 이 흡수벽면(10)을 외경최대거리 22㎜로 대향시키는 동시에 이 흡수벽면(10)의 대략 직선변의 길이를 10.2㎜, 이 직선부분에서의 좌측벽(7)과 우측벽(8)과의 외경거리를 15.2㎜로 하고 있다. 또한,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두께를 1.2㎜로 하여 연료송출본체(1)내부의 단면적 A를 468㎟로 함과 동시에 관 길이를 325㎜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용적 V를 150879㎣으로 하고, 도 2에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벽(5)에 분사노즐의 소켓(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4에 보이는 제2실시예에서는 상부벽(6)과 하부벽(5)과의 형성폭을 33.6㎜로 하고, 이것들과 호상의 곡부(11)를 통해 연결되는 좌측벽(7)과 우측벽(8)의 높이를 22㎜로 한 가로가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부벽(6)과 하부벽(5)을 각각 내측으로 사다리꼴형상으로 굴곡시켜 한 쌍의 흡수벽면(10)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한 쌍의 흡수벽면(10)의 대략 직선변의 길이를 10.2㎜로 하고, 이 직선부분에서의 상부벽(6)과 하부벽(5)과의 외경거리를 15.2㎜로 하고 있다. 그리고,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두께를 1.2㎜로 하고, 연료송출본체(1) 내부의 단면적 A를 468㎟로 함과 동시에, 관 길이를 325㎜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용적 V를 150879㎣로 하고, 도 4에 2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벽(5)에 분사노즐의 소켓(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외의 다른 제3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1)는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의 꼭대기변에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플라스크 형상으로, 상부벽(6)과 하부벽(5)을 내측으로 굴곡형성하여 흡수벽면(10)으로 하고, 좌측벽(7)과 우측 벽(8)을 대략 직선변으로 하여 단면 형상을 가로로 긴 플라스크 형상으로 하고있다. 그리고, 좌측벽(7)의 높이를 9.4㎜로 하고, 우측벽(8)의 높이를 22㎜로 하고, 좌측벽(7) 및 우측벽(8)과의 외경거리를 32㎜로 하고 있다. 또한, 이 좌측벽(7) 및 우측벽(8)을 호상의 곡부(11)를 통해 대략 직선변과 경사변으로 이루어진 상부벽(6)과 하부벽(5)으로 연결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상부벽(6)과 하부벽(5)은 좌측벽(7)측의 대략 직선변의 길이를 16.24㎜로 하고 있다. 또한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두께를 1.2㎜로 하는 것으로 연료송출본체(10) 내부의 단면적 A를 289㎟로 함과 동시에 관 길이를 325㎜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용적 V를 93097㎣으로 하고, 도 5에 1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벽(5)의 대략 직선변측에 분사노즐의 소켓(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이외의 다른 제4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1)는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크고 작은 2개의 대략 직사각형을 조합시킨 열쇠 형상으로 하고, 상부벽(6)과 하부벽(5)을 내측으로 굴곡형성하여 흡수벽면(10)으로 하고, 좌측벽(7)과 우측벽(8)을 대략 직선변으로 하여 단면 형상을 가로가 긴 열쇠형으로 배치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좌측벽(7)의 높이를 6.4㎜로 하고, 우측벽(8)의 높이를 13.6㎜으로 하고, 상부벽(6)과 하부벽(5)의 형성폭을 32㎜로 하고 있다. 또한 상부벽(6)과 하부벽(5)은 좌측벽(7)측에 마련된 길이 12.73㎜의 대략 직선변과 우측벽(8)측에 마련된 길이 9㎜의 대략 직선변을 경사변으로 연결하여 형성되고 양 단부를 호상의 곡부(11)를 통해 상부벽(6)과 하부벽(5)에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표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두께를 1.2㎜로 하는 것으로, 연료송출본체(1) 내부의 단면적 A를 205㎟로 함과 동시 에 관 길이를 325㎜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용적 V를 66155㎣로 하고, 하부벽(5)의 우측벽(8)측의 길이를 9㎜로 한 대략 직선변에 분사노즐의 소켓(2)을 설치한다. 또한 제3실시예에서는 가로가 긴 플라스크형, 제4실시예에서는 가로가 긴 열쇠형으로 배치한 경우의 데이터를 표 1에 보여주고 있지만, 도 4, 도 5의 2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좌측벽(7) 또는 우측벽(8)에 소켓(2)을 설치하고 이 벽면을 하방으로 하여 세로가 긴 플라스크형, 열쇠형으로 배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도 5의 제3실시예에 있어서, 좌측벽(7)에 소켓(2)을 설치한 경우는 연료송출본체(1)는 도립플라스크형으로 된다.
이하 도 7 내지 도 13은 제5실시예 내지 제11실시예이고, 모두 절구형 연료송출본체(1)이다. 한편, 도 11에 보이는 제9실시예는 장변측 벽면의 중앙을 원호형으로 한 절구형이고, 도 7 내지 도 10, 도 12, 도 13에 보이는 제 5 내지 제8, 제10, 제11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장변측 벽면의 중앙에 평탄한 직선변을 마련한 대략 북모양의 절구형이다. 각 도면에 단면 형상과 각 외경치수가 보여지고 그 두께나 단면적 A, 내용적 V, 관 길이는 표 1에 보이는 대로이다. 또한, 이들 제5 내지 제11실시예에서는 각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가로가 길게 배치되어 상부벽(6)과 하부벽(5)에 흡수벽면(10)을 배치하고, 1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벽(5)에 분사노즐의 소켓(2)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표 1에 보이는 음속 등의 계측을 실시한다. 그러나, 상하로 길이가 길게 배치되어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 경우는 2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우측벽(8) 또는 좌측벽(7) 중 어느 한 쪽에 소켓(2)을 설치하고, 이 소켓(2)을 설치한 벽면을 하방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 이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9에 보이는 제12 내지 제17실시예는 2개의 장변측 벽면과 2개의 단변측 벽면으로 된 대략 직사각형이고, 2개의 장변측 벽면의 한 쪽에 있는 상부벽(6)의 중앙부를 내측으로 오목구형으로 휘어지게 형성하여 흡수벽면(10)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단면이 고글형인 연료송출본체(1)로 되어 있다. 각 도면에 단면형상과 외경치수를 표시하고, 두께, 단면적 A, 내용적 V, 관 길이를 표1에서 보여주고 있다. 여기서, 도 19에 보이는 제17실시예는 도 15에 보이는 제13실시예와 외경치수는 동일하지만 표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13실시에는 두께가 1.2㎜이고 단면적 A를 234㎟, 내용적 V를 78993㎣으로 하고, 제17실시예는 두께를 1.0㎜으로 하고 단면적 A를 250㎟, 내용적 V를 84567㎣로 하고 있다. 각 실시예에서는 도면에 보이는 바와 같이 오목구형의 휘어진 측을 마련한 상부벽(6)과는 반대측의 하부벽(5)에 1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분사노즐의 소켓(2)을 설치하고 있다. 또한 고글형의 연료송출본체(1)의 경우도 상하방향으로 세로가 길게 배치하여 사용되어도 좋고 이 경우도 2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우측벽(8) 또는 좌측벽(7)의 어느 한 쪽에 소켓(2)을 설치하고, 이 소켓(2)을 설치한 벽면을 하방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또한, 도 14 내지 도 17 및 도 19의 고글형의 연료송출본체(1)에서는 장변측 벽면인 상부벽(6)과 하부벽(5)을 평행하게 형성하고 있지만, 도 18에 보이는 제16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1)에서는 장변측 벽면의 한 쪽의 하부벽(5)을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시켜 형성하고 있다.
또한, 도 20 내지 도 23에 보이는 제18 내지 제21실시예는 열쇠형, 도 24에 보이는 제22실시예는 절구형, 도 25 내지 도 27에 보이는 제23 내지 제25실시예는 플라스크형의 연료송출본체(1)이고, 각 도면에 단면 형상과 외경치수를 보이고, 두께, 단면적 A, 내용적 V, 관 길이를 표 1에 보이고 있다. 이들 제18 내지 제25실시에 있어서도 가로가 길게 배치되고, 1점쇄선으로 보이는 위치에 소켓(2)을 설치했을 경우의 데이터를 표 1에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길게 배치되어도 좋고 이 경우 2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우측벽(8)에 분사노즐의 소켓(2)을 설치하고, 이 우측벽(8)을 하방으로 배치하여 사용한다. 또한 제18, 제22, 제23, 제24, 제25실시예와 같이 좌측벽(7)이 비교적 긴 경우는 좌측벽(7)에 소켓(2)을 설치하고 이 좌측벽(7)을 하방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표 1에 보이는 제1 내지 제25실시예 및 제1 내지 제6종래예의 연료송출본체(1) 내를 유동하는 연료의 음속 αL은 상기 작용에 보이는 수식을 이용하여 FEM해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역에 따른 등가음속 αH는 연료송출본체(1) 내의 연료와 연료송출본체(1)를 연결하여 만들어진 모드해석을 실시하여, 방사음에서 문제로 되는 수 ㎑ 이상의 연료송출본체(1)내의 기주(氣柱)공명부분의 모드를 뽑아냈다. 도 34에 제1 내지 제4실시예 및 제1 내지 제4종래예에 대해, 모드수의 거듭제곱차수와 그 주파수의 상관그래프를 제시했다. 또한 이 도 34의 그래프를 기초로 도 35에는 제1 내지 제4실시예 및 제1 내지 제4종래예에 대해서 모드차수가 2 이상인 선형근사그 래프를 제시했다. 그리고, 이 그래프로부터 기울기(f/n)를 구하고, 상기 수학식5에 의해, 이 기울기에 각 연료송출본체(1)의 레일길이의 2배(21)를 곱하는 것에 의해, 고주파역에 따른 등가음속 αH를 구할 수 있다.
도 34, 도 35에 따라서, 종래예의 모드수의 거듭제곱차수는 거의 1이고, 모드차수가 2이상인 모드수와 주파수를 선형근사시키면, 거의 원점을 지난다. 즉, 연료의 음속 αL과 고주파역에 따른 등가음속 αH는 거의 동일하게 된다.
이에 대해, 실시예의 모드수의 거듭제곱차수는 거의 1보다 크고 모드차수 2이상의 모드수와 주파수를 선형근사시키면 X축과의 교점이 플러스측으로 크게 벗어나고, 원점을 지나지 않는다. 즉, 연료의 음속 αL보다도 고주파역에서의 등가음속 αH가 크게 되고,
Figure 112008049252789-pct00037
로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연료송출관에서의 맥동흡수 및 방사음 저감의 작용을 제1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분사노즐로부터의 연료의 분사에 따라 압력맥동이 발생하면, 연료송출본체(1)의 가요성의 흡수벽면(10)이 외측으로 휘어지게 변형하고 연료송출본체(1)의 내용적이 증대한다. 이 내용적의 증대상태를 FEM해석한 개략도가 도 3이고, 내용적의 증대전의 연료송출본체(1)의 내벽면을 점선으로 표시하고, 내용적의 증대시의 연료송출본체(1)의 내벽면을 실선으로 표시하고 있다. 이 도 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내압의 상승에 의해 가요성의 흡수벽면(10)이, 거리 イ부분을 각각 외측으로 휘어지게 변형하여 직선적으로 되는 것에 의해 도 3에 ロ로 보 여지는 각 흡수벽면(10)의 끝점간, 즉, 상부벽(6)과 하부벽(5) 사이의 거리도 길어지게 된다.
따라서, 연료송출본체(1)의 내용적이 크게 되는 증가(1.1%정도)가 가능하게 되고,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백 ㎐정도의 연료의 음속 αL을 작게 할 수 있고, 필연적으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38
로 작게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압력맥동의 흡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바닥아래 배관 등의 압력맥동이나 소음의 전달, 전파를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연료의 분사후에 분사노즐의 스풀이 밸브자리 등에 놓여졌을 때에 발생하는 부딪히는 소리 등 반사음에서 문제로 되는 수 ㎑이상의 고주파역서의 등가음속 αH의 경우, 종래 기술의 연료송출관에서는 휘어지기 쉽게 하는 것으로 연료의 음속 αL을 작게 하면, 도 33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필연적으로 고주파역에서도 휘어짐이 크게 되고, 모드수도 많게 된다. 이 때문에 표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고주파역에 따른 등가음속 αH도 작게 되고, 방사음을 억제하기 어렵게 되었다.
그러나, 제1실시예의 연료송출관은 도 3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고주파역에서는 흡수벽면(10)이 다수의 배와 절을 가진 모드형상으로 되고, 구부리기 어려운 형상으로 되기 때문에 흡수벽면(10)의 휘어짐은 작게 된다. 따라서, 연료의 음속 αL이 287m/s인 것에 대해서, 고주파역에서의 등가음속 αH가 663m/s로 되어 작게 되지 않고 종래예에 비해 방사음을 작게 억제할 수 있다.
도 36에
Figure 112008049252789-pct00039
가 근사하고 맥동흡수성은 동등한 제1실시예와 제6종래예의 연료송출관에 대해서, 방사음을 비교한 그래프를 제시했다. 이 그래프로부터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연료송출관은 제6종래예에 비해 방사음의 억제효과가 높은 것이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5실시예는 다른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좋고, 도 28에 보여지는 이외의 다른 제26실시예와 같이, 연료송출본체(10)를 상부벽(6)측을 폭이 좁게, 하부벽(5)측을 폭이 넓게 형성하고, 내측으로 원호모양으로 완만하게 휘어진 좌측벽(7)과 우측벽(8)을 마련하여 형성하고, 단면형상을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그리고, 1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벽(5)에 소켓(2)을 설치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상부벽(6)에 소켓(2)을 설치하고 이 상부벽(6)을 하방으로 배치하여 도립사다리꼴 형상으로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26실시예의 연료 송출본체(1)는 상기 롤포밍가공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연료송출본체(1)는 도 29에 보이는 제27실시예와 같이 상반부와 하반부를 각각 분리하여 형성한 후, 이 2개의 성형된 판재를 조합하여 납땜 또는 용접하는 등에 의해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30에 보이는 제28실시예와 같이, 프레스성형한 판재의 양단부를 이중으로 겹친 후 납땜 또는 용접하는 등에 의해 양단부를 고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이들의 경우도 세로가 긴 플라스크형상 또는 도립플라스크형상으로 되도록 배치하고 1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벽(5) 또는 상부벽(6)에 소켓(2)을 설치하고 이 소켓(2)을 설치한 벽면을 하방으로 배치하여 사용하여도 좋고, 2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우측벽(8)에 소켓(2)을 설치하고, 가로가 긴 플라스크형상으로 배치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도 2, 도 4 내지 도 30에 보이는 단면도는 각 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1)의 주요단면을 보여주는 것이고, 연료송출본체(1)의 길이방향의 선단으로부터 후단까지 반드시 동일한 단면형상으로 할 필요는 없고, 설치공간 등에 따라 일부를 주요단면과는 다른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37에 보이는 제29실시예와 같이 필요에 따라 연료송출본체(1)의 도중에 볼록하게 팽창부(13)를 설치해서 연료의 유량을 조정하거나 또는 도면에 나타나지는 않지만 도중을 축소시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방지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실시예에서는 네 개의 모서리에 호상의 곡부(11)를 설치하고 있지만, 이 네 개의 모서리는 반드시 호상으로 구부릴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도 37에 보이는 제29실시예와 같이 일부의 모서리를 각진 모양으로 형성하여, 성형을 용이하게 하여도 좋다. 그러나, 호상으로 휘어진 것이 분사노즐로부터의 연료분사시 내압의 변화에 의한 흡수벽면(10)의 변형대응성이 향상한다.
또한, 도 38은 대략 플라스크형상의 변형으로, 상부벽(6)을 원호형으로 형성한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플라스크 단면으로 한 제30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1)이다. 또한, 도 39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의 변형으로, 상부벽(6)을 원호형으로 형성한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사다리꼴 단면으로 한 제31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1)이다. 또한, 도 40은 대략 열쇠형상의 변형으로, 상부벽(6)을 원호형으로 형성한 돔 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열쇠 단면으로 한 제32실시예의 연료송출본체(1)이다.
이들 제30, 제31, 제32실시예의 경우도, 상하방향으로 세로로 길게 배치하고 평탄한 하부벽(5)에 1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소켓(2)을 설치해도 좋고, 가로로 길게 배치하여 하면으로 된 좌측벽(7) 또는 우측벽(8)에 2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소켓(2)을 설치해도 좋다.
또한, 도 41에 보이는 제33실시예는 도립플라스크형상의 연료송출본체(1)를 형성할 때에 평탄한 접시모양의 상부벽(6)과, 하부벽(5), 좌측벽(7) 및 우측벽(8)으로 이루어지는 굴곡한 단면이 컵형인 부재를 분리하여 형성한 후에, 서로 단부를 겹친 상태로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쌍방을 고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 42에 보이는 제34실시예는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연료송출본체(1)를 형성할 때에, 평탄한 접시형의 하부벽(5)과, 상부벽(6), 좌측벽(7) 및 우측벽(8)으로 이루어지는 굴곡한 부재를 분리하여 형성한 후에 서로의 끝부를 겹친 상태에서 용접 또는 납땜에 의해 쌍방을 고착하여 형성한 것이다.
또한, 도 43은 장변측 벽면의 중앙에 평탄부분을 설치하지 않고 매끄러운 원호형으로 형성한 절구형의 연료송출본체(1)에 있어서, 내압이 걸렸을 경우의 변형을 FEM 해석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 도 43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내압을 받는 것에 의해 연료송출본체(1)의 내압면은 점선으로부터 실선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팽창하지만, 가로방향의 이동량이 크기 때문에 상하에 관하여는 변형량이 극히 약간에 그치는 결과가 되고 내용적의 증가율이 1.1%정도로 되는 것을 알았다. 따라서, 도 43에 보이는 대략 절구형 단면의 연료송출본체(1)의 경우도 도 3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도 44는 대략 플라스크형상, 도 45는 도립플라스크형상의 연료송출본체(1)에 있어서의 내압이 걸리는 경우의 변형을 FEM해석한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이들의 경우에도 도 3의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연료송출본체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것으로,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을 절구형, 플라스크형, 사다리꼴, 열쇠형, 고글형 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종래와 동일한 압력을 받는 경우의 내용적 변화율이 큰 폭으로 증가하고 가요성의 흡수벽면에 의한 맥동흡수 효과를 높일 수 있어, 이음의 전달, 전파, 방사가 억제된다. 연료송출본체의 외형크기는 거의 증대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존의 연료송출관과 치환되어도 엔진실 내의 한정된 공간 내에 수납가능하고, 부품으로서의 호환성이 보존되는 등, 그 기술적 효과는 극히 현저한 것이다.
또한, 연료송출본체 내를 유동하는 연료의 음속 αL과 내용적 V로 결정되는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0
를 20×103 내지 85×103(m-0.5·sec-1)로 하고, 연료의 음속 αL과 고주파역에 따른 등가음속 αH의 비를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1
로 되도록 형성하는 것으로 흡수벽면의 휘어짐 변형에 의해 내압의 변화에 대응하여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을 종래에 비해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연료분사시의 압력맥동의 흡수효과가 높게 된다. 따라서, 바닥아래 배관 등에 저주파역에 따른 기계적 진동이 전파되기 어렵고, 소음의 발생을 양호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역에서의 맥동으로 연료송출관이 휘어지기 어렵고 고주파역에 따른 등가음속 αH가 작아지지 않고, 분사노즐의 스풀이 밸브자리 등에 놓여질 때의 부딪히는 소리 등 고주파역에 따른 소리가 외부로 방사되는 것을 양호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저주파역으로부터 고주파역까지의 소음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맥동댐퍼나 진동흡수용의 클립 등을 사용할 필요가 없고, 제조비용의 저감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8)

  1.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으로 이 대략 직사각형의 2개의 장변측 벽면이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된 형상의 대략 절구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평탄한 2개의 단변측 벽면 또는 2개의 장변측 벽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어, 상기 2개의 장변측 벽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서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장변측 벽면의 중앙부근에 각각 평탄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3.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의 꼭대기변에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플라스크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플라스크 단면의 저면 또는 상면 또는 2개의 측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플라스크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4.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사다리꼴의 꼭대기변에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플라스크 형상이고 또한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부가 원호모양으로 굴곡된 형상의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플라스크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플라스크 단면의 저면 또는 2개의 측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 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플라스크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5.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여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변에 도립사다리꼴로 놓여진 도립플라스크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도립플라스크 단면의 저면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 어 있고 도립플라스크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6.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변이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고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저면 또는 상면 또는 2개의 경사변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변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7.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이고 또한 사다리꼴의 꼭대기부가 원호형으로 굴곡된 형상의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사다리꼴 단면에 형성되고 이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가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고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저면 또는 2개의 경사변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가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8.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도립사다리꼴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도립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가 각각 내측을 향해 굴곡되고 도립사다리꼴 단면의 저면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도립사다리꼴 단면의 2개의 경사변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9.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변에 그 직사각형보다도 좁은 폭의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열쇠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열쇠형 단면의 저면 또는 상면 또는 2개의 측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 략 열쇠형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10.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변에 그 직사각형보다도 좁은 폭의 대략 직사각형이 놓여진 대략 열쇠 형상이고 좁은 폭측의 대략 직사각형의 꼭대기부가 원호형으로 굴곡된 형상의 돔지붕이 붙어있는 대략 열쇠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이 대략 열쇠형 단면의 저면 또는 2개의 측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대략 열쇠형 단면의 2개의 측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11.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하여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상기 연료송출본체의 축에 직각인 방향의 단면형상이 대략 직사각형이고 이 대략 사각형의 2개의 장변측 벽면의 어느 한 쪽의 대략 중앙부를 내측을 향하게 오목홈형상으로 굴곡시킨 대략 고글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다른 쪽의 대략 평탄한 장변측 벽면 또는 평탄한 2개의 단변측 벽면의 어느 한 쪽에 분사노즐접속용의 각 소켓이 고정되어 있고 적어도 상기 중앙부가 대략 오목홈형상으로 굴곡된 한 쪽의 장변측 벽면이 가요성의 흡수벽면을 제공하고 이 흡수벽면이 연료분사에 따른 압력을 받아 변형하는 것에 의해 맥동을 흡수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12. 제11항에 있어서, 2개의 장변측 벽면은 평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13. 제11항에 있어서, 2개의 장변측 벽면의 한 쪽은 외측으로 볼록하게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14. 제1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및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료송출본체의 단면형상의 네 개의 모서리는 적어도 1개를 원호형상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15. 분사노즐을 구비하며 연료탱크의 귀환회로가 설치되지 않은 리턴리스형의 연료송출본체에 연료도입관을 접속하고 이 연료도입관을 바닥아래 배관을 통해 연료탱크에 연결한 연료송출관에 있어서, 연료송출본체의 벽면에 가용성의 흡수벽면을 형성하여 내압의 변화에 의해 흡수벽면이 휘어져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을 증가할 수 있게 하고, 연료송출본체를 유동하는 연료의 음속 αL과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 V로부터 결정되는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2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3
    이고, 연료송출본체내를 유동하는 연료의 고주파역에서의 등가음속 αH와 상기 연료의 음속 αL과의 비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4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16. 제15항에 있어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6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7
    이고,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8
    Figure 112008049252789-pct00049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17. 제15항에 있어서,
    Figure 112008049252789-pct00050
    Figure 112008049252789-pct00051
    이고,
    Figure 112008049252789-pct00052
    Figure 112008049252789-pct0005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18.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제5항, 제6항, 제7항, 제8항, 제9항, 제10항, 제11항, 제12항, 제13항, 및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벽면은 연료송출본체의 벽면의 적어도 일부를 내측으로 굴곡형성하고, 내압의 변화에 의해 굴곡부분이 외측으로 휘어지는 것에 의해 연료송출본체의 내용적을 증가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송출관.
KR1020047011597A 2002-10-11 2003-10-08 연료송출관 KR1009813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2298165 2002-10-11
JPJP-P-2002-00298165 2002-10-11
JPJP-P-2003-00051323 2003-02-27
JP2003051323 2003-02-27
JP2003138178 2003-05-16
JPJP-P-2003-00138178 2003-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9930A KR20050069930A (ko) 2005-07-05
KR100981355B1 true KR100981355B1 (ko) 2010-09-10

Family

ID=32096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597A KR100981355B1 (ko) 2002-10-11 2003-10-08 연료송출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185636B2 (ko)
EP (3) EP2333300B1 (ko)
JP (1) JP4275134B2 (ko)
KR (1) KR100981355B1 (ko)
AU (1) AU2003272943A1 (ko)
DE (2) DE10393459B4 (ko)
WO (1) WO20040338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5134B2 (ja) * 2002-10-11 2009-06-10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794871B2 (ja) * 2005-01-24 2011-10-19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258518B2 (ja) * 2005-03-09 2009-04-30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成膜方法、成膜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7032374A (ja) * 2005-07-25 2007-02-08 Usui Kokusai Sangyo Kaisha Ltd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FR2891875A3 (fr) * 2005-10-07 2007-04-13 Renault Sas Dispositif d'injection a rampe commune pour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t injection de carburant
JP4533298B2 (ja) * 2005-11-04 2010-09-01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US7347190B1 (en) * 2007-02-13 2008-03-25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injector rail assembly for direct injection of fuel
US7493892B1 (en) 2007-12-27 2009-02-24 Robert Bosch Gmbh Self-damping fuel rail
JP5572351B2 (ja) * 2009-09-25 2014-08-13 マルヤス工業株式会社 ダンパー機能を備えた燃料デリバリパイプ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247132A (ja) * 2010-05-25 2011-12-08 Maruyasu Industries Co Ltd ダンパー機能を備えた燃料デリバリパイプ
US20110308653A1 (en) * 2010-06-18 2011-12-22 Zdroik Michael J Damper for use in a fluid delivery system
US8251047B2 (en) * 2010-08-27 2012-08-28 Robert Bosch Gmbh Fuel rail for attenuating radiated noise
DE102010064115A1 (de) 2010-12-23 2012-06-28 Robert Bosch Gmbh Injektoranordnung, die vorzugsweise für Erdgas dient
US9074565B2 (en) 2012-07-16 2015-07-07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Damped fuel delivery system
JP2014092077A (ja) * 2012-11-05 2014-05-19 Otics Corp デリバリパイプ
JP6230407B2 (ja) * 2013-12-19 2017-11-15 マルヤス工業株式会社 直噴エンジン用高圧燃料デリバリパイプアセンブリ
US20150315666A1 (en) * 2014-04-30 2015-11-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duction annealing as a method for expanded hydroformed tube formability
JP6256918B2 (ja) * 2014-09-30 2018-01-1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インジェクタ組付体
JP6330721B2 (ja) * 2015-05-11 2018-05-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供給装置
DE102015219419B3 (de) * 2015-10-07 2017-02-23 Continental Automotive Gmbh Pumpeinrichtung sowie Kraftstoff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und Misch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DE102015219415B4 (de) 2015-10-07 2020-07-09 Vitesco Technologies GmbH Kraftstoffhochdruckpumpe sowie Kraftstoffversorgungseinrichtung für eine Verbrennungskraftmaschine, insbesondere eines Kraftwagens
EP3232046A1 (en) * 2016-04-12 2017-10-18 Continental Automotive GmbH Fuel rail and fuel rail assembly
DE102020134014B3 (de) * 2020-12-17 2022-03-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Kraftstoff-Rail eines Kraftstoffeinspritz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622A (ja) * 1995-03-24 1996-12-10 Toyoda Gosei Co Ltd 燃料圧力脈動減衰装置
JPH10331743A (ja) 1997-05-29 1998-12-15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分配管構造
JP2000320423A (ja) 1999-05-14 2000-11-21 Usui Internatl Ind Co Ltd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2000329031A (ja) 1999-02-18 2000-11-28 Usui Internatl Ind Co Ltd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370A (en) * 1912-12-10 1913-08-05 C T Ham Mfg Company Tubular lantern.
US4519368A (en) 1982-05-04 1985-05-28 Sharon Manufacturing Company Fuel injection rail assembly
DE3432727A1 (de) * 1984-05-10 1985-11-14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Kraftstoffversorgungsleitung
JPS60240867A (ja) 1984-05-10 1985-11-29 ローベルト・ボツシユ・ゲゼルシヤフト・ミツト・ベシユ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内燃機関用燃料噴射装置の燃料供給導管
US4649884A (en) * 1986-03-05 1987-03-17 Walbro Corporation Fuel ra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DE3728576A1 (de) 1987-08-27 1989-03-09 Opel Adam Ag Kraftstoffeinspritzanlage
US5056489A (en) * 1989-07-10 1991-10-15 Siemens-Bendix Automotive Electronics L.P. Fuel rail for v-type engine
US5477829A (en) * 1994-08-08 1995-12-26 Ford Motor Company Automotive returnless fuel system pressure valve
US5617827A (en) * 1995-12-26 1997-04-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Fuel rail
JP3538798B2 (ja) 1997-06-13 2004-06-14 マルヤス工業株式会社 フュエルデリバリ
JP3389833B2 (ja) 1997-07-17 2003-03-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デリバリパイプ
JP2000032903A (ja) 1998-07-17 2000-02-02 Fuji Oil Co Ltd 大豆食品素材を用いたクッキー様食品
DE10006894A1 (de) * 1999-02-18 2000-08-24 Usui Kokusai Sangyo Kk Kraftstoffzufuhrleitungsanordnung
JP4068262B2 (ja) 1999-05-13 2008-03-26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2000329030A (ja) 1999-05-18 2000-11-28 Usui Internatl Ind Co Ltd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US6189510B1 (en) * 1999-07-09 2001-02-20 Brunswick Corporation Fuel distribution system with flexible metallic conduits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2106438A (ja) * 2000-10-02 2002-04-10 Usui Internatl Ind Co Ltd 燃料配管系の脈動吸収システム
US6371083B1 (en) * 2000-11-20 2002-04-16 Robert Bosch Corporation Self-damping manifold
US6640783B2 (en) * 2001-02-15 2003-11-04 Delphi Technologies, Inc. Composite fuel rail with integral damping and a co-injected non-permeation layer
US6513500B2 (en) * 2001-04-02 2003-02-04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rail damping device
CN1464940B (zh) * 2001-08-15 2010-10-06 臼井国际产业株式会社 对置式或直列式发动机中脉动共振点发生范围的控制方法
JP4032385B2 (ja) * 2002-04-22 2008-01-16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275134B2 (ja) * 2002-10-11 2009-06-10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US6802297B2 (en) * 2003-01-27 2004-10-12 Delphi Technologies, Inc. Fuel rail damping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6622A (ja) * 1995-03-24 1996-12-10 Toyoda Gosei Co Ltd 燃料圧力脈動減衰装置
JPH10331743A (ja) 1997-05-29 1998-12-15 Suzuki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分配管構造
JP2000329031A (ja) 1999-02-18 2000-11-28 Usui Internatl Ind Co Ltd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2000320423A (ja) 1999-05-14 2000-11-21 Usui Internatl Ind Co Ltd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5474A1 (en) 2011-05-25
US7721714B2 (en) 2010-05-25
DE10393459T5 (de) 2005-09-01
WO2004033894A1 (ja) 2004-04-22
DE10393459B4 (de) 2022-06-02
AU2003272943A1 (en) 2004-05-04
US20050257774A1 (en) 2005-11-24
US20070169754A1 (en) 2007-07-26
US7185636B2 (en) 2007-03-06
EP2333300A1 (en) 2011-06-15
KR20050069930A (ko) 2005-07-05
EP1550805A4 (en) 2007-04-04
EP1550805A1 (en) 2005-07-06
EP1550805B1 (en) 2010-08-25
JPWO2004033894A1 (ja) 2006-02-09
EP2325474B1 (en) 2014-09-17
EP2333300B1 (en) 2014-08-13
JP4275134B2 (ja) 2009-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355B1 (ko) 연료송출관
US7188609B2 (en) Fuel delivery pipe
JP4641387B2 (ja) 流体継手
US6901913B1 (en) Fuel pressure pulsation suppressing system
JP2004137977A (ja) 燃料配管系の脈動低減システム
JP4032385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2007032374A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US6918375B2 (en) Method of controlling pulsation resonance point generating area in opposed engine or in-line engine
JP4152294B2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5056838B2 (ja) 流体継手
JP2003106238A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148861B2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029424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3997512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029423B2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4173464B2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2002106438A (ja) 燃料配管系の脈動吸収システム
JP4324514B2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CN218509613U (zh) 一种高压输油组件和车辆
JP2002089402A (ja) 燃料通路における圧力変動低減構造
CN100420847C (zh) 燃料输送管
JP2004092571A (ja) フュ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JP2003343377A (ja) 燃料配管系の脈動吸収システム
JP2003097381A (ja) フユーエルデリバリパイ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