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2873B1 -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2873B1
KR100952873B1 KR1020070134429A KR20070134429A KR100952873B1 KR 100952873 B1 KR100952873 B1 KR 100952873B1 KR 1020070134429 A KR1020070134429 A KR 1020070134429A KR 20070134429 A KR20070134429 A KR 20070134429A KR 100952873 B1 KR100952873 B1 KR 1009528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screen
operation display
user
layo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4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8526A (ko
Inventor
가즈토시 나가오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78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8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2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28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6Software aspects at AT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휠체어 이용자가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대하여 몸을 비틀어 안내 표시의 확인과 조작을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이용자에 대한 조작 안내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조작 표시부 (1) 와,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 (7) 와,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주 제어부 (6) 를 갖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있어서, 조작 표시부 (1) 의 조작 표시 화면에 그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버튼을 형성하여, 그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 주 제어부 (6) 가 통상 표시에 대하여 90 도 또는 0 ∼ 90 도 범위에서 임의의 각도 회전시킨 레이아웃의 조작 표시 화면을 조작 표시부 (1) 에 표시하도록 하였다.
고객 조작, 레이아웃, 조작 표시

Description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CUSTOMER MANIPULATION TERMINAL}
본 발명은, 금융 기관 등에 설치되는 자동 거래 장치 등의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의 예로서,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 은 종래의 자동 거래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1 에 있어서, 101 은 이용자에 대한 조작 안내의 표시를 하고, 이용자의 조작 입력을 수용하는 조작 표시부로서,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102 는 캐시 카드의 처리와 거래 명세표의 발행을 실시하는 카드/영수증 처리부, 103 은 통장의 기장(記帳) 처리를 실시하는 통장 기장부이고, 104 는 지폐의 입금 처리·출금 처리를 실시하는 지폐 입출금부이다. 105 는 근접 센서로서,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의 전방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검지한다. 106 은 자동 거래 장치의 주 제어부로서,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한다. 107 은 자동 거래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이나 거래 이력 등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이다.
도 22 는 종래의 자동 거래 장치의 동작 플로우차트이다.
현금의 인출 동작을 예로 들어, 도 21 의 블록도 및 도 22 의 동작 플로우차 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 거래 장치는 거래를 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조작 표시부 (101) 의 화면 표시를 삭제하고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단계 S101, 이하 단계의 문자는 생략한다). 근접 센서 (105) 는, 항상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 앞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있어 (S102), 이용자가 거래를 실시하기 위하여 자동 거래 장치 앞에 위치하면, 이용자의 존재를 검지하여 주 제어부 (106) 에 통지한다.
주 제어부 (106) 는, 근접 센서 (105) 로부터 이용자의 존재가 통지되면, 자동 거래 장치의 동작 상태를 대기 상태에서 운용 상태로 이행시켜, 조작 표시부 (101) 에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거래 선택 화면을 표시하고 (S103), 거래 버튼이 눌러지기를 기다린다 (S104). 여기서 이용자가 거래 선택 화면에서 희망하는 거래 버튼 (여기에서는 「인출」버튼) 을 누르면,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01) 에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카드 삽입 화면을 표시하고 (S105), 카드 예를 들어 캐시 카드가 삽입되기를 기다린다 (S106).
다음으로 이용자가 카드/영수증 처리부 (102) 의 카드 삽입구로 카드를 삽입하면,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01) 에 도 2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S107), 비밀 번호가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S108). 여기서 이용자가 미리 등록된 비밀 번호의 입력을 완료하면,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01) 에 도 2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거래 금액 입력 화면을 표시하고 (S109), 금액이 입력되기를 기다린다 (S110).
다음으로 이용자가 인출하고자 하는 금액을 입력하면, 자동 거래 장치는 조 작 표시부 (101) 에 도 2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처리 중 화면을 표시하고 (S111), 지폐 입출금부 (104) 는 입력된 금액의 지폐의 출금 준비를 한다. 자동 거래 장치는, 카드/영수증 처리부 (102) 에서 카드의 반환과, 거래 명세표의 인쇄를 완료하면, 조작 표시부 (101) 에 도 2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카드 반환/명세표 발행 화면을 표시하고 (S112), 카드와 명세표가 수취되기를 기다린다 (S113). 여기서 이용자가 카드/영수증 처리부 (102) 의 배출구로부터 카드와 명세표를 수취하면, 자동 거래 장치는 지폐 출금구를 열어, 조작 표시부 (101) 에 도 2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지폐 출금 화면을 표시하고 (S114), 지폐가 수취되기를 기다린다 (S115).
다음으로 이용자가 지폐 출금구로부터 지폐를 수취하면, 자동 거래 장치는 지폐 출금구를 닫고, 조작 표시부 (101) 에 도 3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거래 종료 화면을 표시한다 (S116).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01) 에 거래 종료 화면을 표시한 후,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근접 센서 (105) 에 의해 검지하여, 조작 표시부의 화면 표시를 삭제하고, 대기 상태로 된다 (S117).
이러한 종래의 자동 거래 장치에서는, 도 3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표시부 (101) 의 화면은, 정상인이 자동 거래 장치의 정면에 서서 조작할 때에 안내 표시가 보기 쉽고, 조작 버튼이 조작하기 쉽도록 레이아웃되어 있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가, 도 3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휠체어를 화살표 X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다음으로 화살표 Y 방향으로 뒤로 이동시켜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옆 방향 으로 위치시켰을 경우, 화면 표시가 옆 방향이 되어 안내 표시가 이해하기 어렵고, 조작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는, 도 3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정면을 향하기 위하여 몸을 비틀어 조작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자동 거래 장치 등의 정보 단말 장치에 있어서, 휠체어 이용자나 신장이 작은 이용자를 위하여, 표시 조작부의 위치를 상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이 경우에도,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몸을 비틀어 안내 표시의 확인과 조작을 하는 문제점은 해결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345356호
휠체어 이용자가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대하여 몸을 비틀어 안내 표시의 확인과 조작을 하는 불편함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이용자에 대한 조작 안내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조작 표시부를 갖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있어서, 조작 표시부의 조작 표시 화면에 그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버튼을 형성하여, 그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 통상 표시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킨 레이아웃의 조작 표시 화면을 조작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작 표시부의 조작 표시 화면에 그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 통상 표시에 대하여 소정 각도 회전시킨 레이아웃의 조작 표시 화면을 표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가 휠체어를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위치시켜도, 몸을 비틀지 않고 상기 버튼을 누름으로써 안내 표시의 확인과 조작을 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용자에 대한 조작 안내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조작 표시부와,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와,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있어서, 조작 표시부의 조작 표시 화면에 그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버튼을 형성하여, 그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 제어 수단이 통상 표시에 대하여 90 도 또는 0 ∼ 90 도 범위에서 임의의 각도 회전시킨 레이아웃의 조작 표시 화면을 조작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휠체어 이용자가 몸을 비트는 일 없이 안내 표시의 확인과 조작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시예 1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블록도이고,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의 예로서 자동 거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자동 거래 장치의 하드웨어로는 도 21 에 나타낸 종래의 자동 거래 장치와 기본적으로는 동일하다.
조작 표시부 (1) 는 이용자에 대한 조작 안내의 표시를 하고, 이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터치 패널 등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조작 표시부 (1) 에 나타나는 각종 조작 화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종래와 상이하다.
카드/영수증 처리부 (2), 통장 기장부 (3), 지폐 입출금부 (4) 및 근접 센서 (5) 는 종래와 동일하다.
주 제어부 (6) 는 자동 거래 장치의 각 유닛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으로서, 조작 화면을 제어하여 표시하고,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각 유닛을 동작시키는 제어의 면에서 종래와 상이하다.
또한, 기억 장치 (7) 는 자동 거래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이나 거래 이력 등을 저장하는 것으로서, 저장하는 동작 프로그램이 종래와 상이하다.
도 2 는 실시예 1 의 동작 플로우차트 (1), 도 3 은 실시예 1 의 동작 플로우차트 (2), 도 4 는 실시예 1 에 의한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5 는 실시예 1 에 의한 회전된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6 은 실시예 1 에 의한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 ∼ 도 13 은 레이아웃 변경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의 각 조작에 있어서의 안내 화면이다.
도 4 에 있어서, 조작 표시 화면인 거래 선택 화면 (10) 에는, 주지의 「인출」, 「예금」, 「잔액 조회」등의 거래 (선택) 버튼과, 조작 표시부의 표시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변경 버튼 A (11) 와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12) 가 형성되어 있다. 버튼 11 은 90 도 좌회전용이고, 버튼 12 는 90 도 우회전용이다.
실시예 1 에 대하여, 현금의 인출 동작을 예로 들어, 도 1, 도 4 ∼ 도 13 을 참조하면서 도 2 및 도 3 의 동작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자동 거래 장치는 거래를 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도 1 에 나타낸 조작 제어부 (1) 의 표시 화면을 삭제하고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S1). 근접 센서 (5) 는, 항상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 앞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있어 (S2),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 앞에 서거나,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 앞에 옆 방향으로 위치하면, 근접 센서 (5) 가 이용자를 검지하여 주 제어부 (6) 에 통지하고, 주 제어부 (6) 는 조작 표시부 (1) 에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거래 선택 화면 (10) 을 표시한다 (S3). 조작 표시부 (1) 는, 거래 선택 화 면 (10) 을 표시하면,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11), B (12) 가 눌러지거나 (S4), 거래 버튼이 눌러지기를 기다린다 (S7).
여기서 거래 선택 화면 (10) 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의 정면에 서서 조작할 때에 안내 표시가 보기 쉽고, 조작 버튼이 조작하기 쉽도록 레이아웃되어 있어, 이용자가 정상인인 경우에는, 이 화면에서 거래 버튼 (여기에서는 「인출」버튼) 을 누르고, 이후에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동작을 한다 (S8 ∼ S19 는 도 22 의 S105 ∼ S116 에 각각 대응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휠체어 이용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휠체어 이용자는, 전술한 거래 선택 화면 (10) 에 있어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11) 또는 B (12) 를 누른다. 주 제어부 (6) 는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11), B (12) 가 눌러지면, 눌러진 버튼이 A 인지 B 인지를 판정하여 (S5), A 이면 거래 선택 화면 (13) 을 표시하고 (S6A), B 이면 거래 선택 화면 (14) 을 표시한다 (S6B). 여기서 거래 선택 화면 (13) 은 통상 표시의 거래 선택 화면 (10) 에 대하여 90 도 좌회전시킨 레이아웃이 되는 도 5(a) 와 같이 표시하고, 거래 선택 화면 (14) 은 통상 표시의 거래 선택 화면 (10) 에 대하여 90 도 우회전시킨 레이아웃이 되는 도 5(b) 와 같이 표시한다.
또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11), B (12) 는,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옆으로 위치하였을 때의 몸의 방향에 맞추어 선택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6(a) 의 방향 E 로 휠체어를 위치시켰을 경우에는 (주로 오른손잡이를 상정),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11) 를 선택하고, 도 6(b) 의 방향 F 로 휠체어를 위치시켰을 경우에는 (주로 왼손잡이를 상정),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12) 를 선택한다. 이로써 휠체어 이용자는, 몸을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옆으로 향한 (도 6 의 각 화살표 E, F 의 방향) 채로 화면의 안내 표시를 확인하고, 거래 버튼 (여기에서는 「인출」버튼) 을 누를 수 있다.
또한, 여기서 잘못된 방향의 레이아웃 변경 버튼을 눌러 버렸을 경우에는, 「취소」버튼 (15) 을 누름으로써 원래의 거래 선택 화면 (10) 으로 복귀할 수 있지만, 오조작을 방지하고자 하는 특정 조작 버튼 예를 들어 「취소」버튼 (15) 은 이용자가 잘못하여 누르지 않도록 레이아웃 변경시에 이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된다 (도 5 참조).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는, 거래 버튼이 눌러지면 (S7A, S7B), 조작 표시부 (1) 에 카드 삽입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카드 삽입 화면은, S5 에 있어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가 눌러졌으면, 90 도 좌회전된 레이아웃이 되는 도 7(a) 의 카드 삽입 화면 (16) 을 표시하고 (S8A),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가 눌러졌으면, 90 도 우회전된 레이아웃이 되는 도 7(b) 의 카드 삽입 화면 (17) 을 표시한다 (S8B).
또한, 카드 삽입 화면 (16, 17) 에서는, 카드 삽입구 등은 장치로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화면 (18) 은 회전시키지 않고, 안내문만을 회전시켜 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 에 카드 삽입 화면을 표시한 후, 카드가 삽입되기를 기다리고 (S9A, S9B), 이용자가 카드를 삽입하여 카드/영수증 처리부 (2) 에서 처리되면, 조작 표시부 (1) 에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한 다. 여기서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은, S5 에 있어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가 눌러졌으면 도 8(a) 의 비밀 번호 입력 화면 (19) 을 표시하고 (S10A),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가 눌러졌으면 도 8(b) 의 비밀 번호 입력 화면 (20) 을 표시한다 (S10B). 또한, 비밀 번호 입력 화면 (19, 20) 에 있어서, 비밀 번호를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에 누르는 「취소」버튼 (15) 은 오조작하지 않도록 레이아웃 변경시에 이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입력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누르는 「완료」버튼 (21) 은 조작하기 쉽도록 레이아웃 변경시에 이용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빈번하게 조작하는 특정 조작 버튼으로는 「완료」버튼 외에 「확인」버튼 등이 있다.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 에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한 후, 비밀 번호가 입력되기를 기다리고 (S11A, S11B), 이용자가 비밀 번호의 입력을 완료하면, 조작 표시부 (1) 에 거래 금액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거래 금액 입력 화면은, S5 에 있어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가 눌러졌으면, 도 9(a) 의 거래 금액 입력 화면 (22) 을 표시하고 (S12A),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가 눌러졌으면, 도 9(b) 의 거래 금액 입력 화면 (23) 을 표시한다 (S12B). 또한 거래 금액 입력 화면 (22, 23) 에 있어서, 금액을 잘못 입력하였을 경우에 누르는 「취소」버튼 (15) 은 오조작하지 않도록 이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입력이 완료되었을 경우에 누르는 「완료」버튼 (21) 은 조작하기 쉽도록 이용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다.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 에 거래 금액 입력 화면을 표 시한 후, 금액이 입력되기를 기다리고 (S13A, S13B), 이용자가 금액의 입력을 완료하면, 지폐 입출금부 (4) 에서 지폐의 출금 처리를 개시하고, 조작 표시부 (1) 에 처리 중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처리 중 화면은, S5 에 있어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가 눌러졌으면, 도 10(a) 의 처리 중 화면 (24) 을 표시하고 (S14A),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가 눌러졌으면, 도 10(b) 의 처리 중 화면 (25) 을 표시한다 (S14B).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는, 지폐의 출금 준비가 갖추어지면, 카드/영수증 처리부 (2) 로부터 카드의 반환과 명세표의 발행을 실시함과 함께, 조작 표시부 (1) 에 카드 반환/명세표 발행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카드 반환/명세표 발행 화면은, S5 에 있어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가 눌러졌으면, 도 11(a) 와 같은 카드 반환/명세표 발행 화면 (26) 을 표시하고 (S15A),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가 눌러졌으면, 도 11(b) 와 같은 카드 반환/명세표 발행 화면 (27) 을 표시한다 (S15B).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 에 카드 반환/명세표 발행 화면을 표시한 후, 카드와 명세표가 수취되기를 기다리고 (S16A, S16B), 카드와 명세표를 수취하면, 지폐 출금구를 여는 것과 함께 조작 표시부 (1) 에 지폐 출금 화면을 표시하여, 이용자에게 지폐의 수취를 재촉한다. 여기서 지폐 출금 화면은, S5 에 있어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가 눌러졌으면, 도 12(a) 와 같은 지폐 출금 화면 (28) 을 표시하고 (S17A),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가 눌러졌으면, 도 12(b) 와 같은 지폐 출금 화면 (29) 을 표시한다 (S17B). 이 경우, 지폐 출금구는 장치 로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의 화면 (30) 은 회전시키지 않고 안내문만을 회전시켜 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 에 지폐 출금 화면을 표시한 후, 지폐가 수취되기를 기다리고 (S18A, S18B), 이용자가 지폐를 수취하면, 지폐 출금구를 닫고, 조작 표시부 (1) 에 거래 종료 화면을 표시한다. 여기서 거래 종료 화면은, S5 에 있어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가 눌러졌으면, 도 13(a) 와 같은 거래 종료 화면 (31) 을 표시하고 (S19A),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가 눌러졌으면, 도 13(b) 와 같은 거래 종료 화면 (32) 을 표시한다 (S19B).
다음으로 자동 거래 장치는, 조작 표시부 (1) 에 거래 종료 화면을 표시한 후,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근접 센서 (5) 에 의해 검지하여, 조작 표시부 (1) 의 화면 표시를 삭제하고, 대기 상태로 된다 (S20).
이상과 같이, 실시예 1 에 의하면, 조작 표시부의 화면 상에 표시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버튼이 눌러졌을 때에 조작 표시 화면을 통상 표시에 대하여 90 도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킨 레이아웃으로 표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가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를 이용할 때에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위치시킨 경우라도, 상기 버튼을 눌러 표시 레이아웃을 변경함으로써, 몸을 비트는 일 없이 휠체어의 정면을 향한 채로 안내 표시의 확인과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조작 표시부에 통상 표시에 대하여 회전시킨 레이아웃의 조작 표시 화면을 표시할 때, 오조작을 방지하고자 하는 특정 조작 버튼 예를 들어 「취소」버 튼을 이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하고, 빈번하게 조작하는 특정 조작 버튼 예를 들어 「완료」버튼을 이용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함으로써, 더욱 사용하기 쉬워져 이용자의 편리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2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동작 플로우차트 (1), 도 15 는 실시예 2 의 동작 플로우차트 (2), 도 16 은 실시예 2 의 동작 플로우차트 (3), 도 17 은 실시예 2 에 의한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18 및 도 19 는 실시예 2 에 의한 회전된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 은 실시예 2 에 의한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 에 있어서, 조작 표시 화면인 거래 선택 화면 (33) 에는, 주지의 「인출」, 「예금」, 「잔액 조회」등의 거래 버튼과,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표시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11) 와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12) 가 형성되어 있다.
실시예 2 에서는, 추가로 0 ∼ 90 도 범위에서, 임의 각도 좌회전시키기 위한 레이아웃 변경 버튼 C (34) 와 임의 각도 우회전시키기 위한 레이아웃 변경 버튼 D (35) 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1 점 쇄선으로 그려진 원부 (36) 는 회전시켜 표시하는 화면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실시예 2 에 대하여,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현금의 인출 동작을 예로 들어, 도 1, 도 17 ∼ 20 을 참조하면서, 도 14 ∼ 도 16 의 동작 플로우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자동 거래 장치는 거래를 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도 1 에 나타낸 조작 표시부 (1) 의 화면 표시를 삭제하고 대기 상태로 되어 있다 (S21). 근접 센서 (5) 는 항상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 앞에 위치하고 있는지 여부를 검지하고 있어 (S22),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 앞에 서거나,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위치하면, 근접 센서 (5) 가 이용자를 검지하여 주 제어부 (6) 에 통지하고, 주 제어부 (6) 는 조작 표시부 (1) 에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거래 선택 화면 (33) 을 표시한다 (S23). 조작 표시부 (1) 는, 거래 선택 화면 (33) 을 표시하면, 레이아웃 변경 버튼이 눌러지거나 (S24), 거래 버튼이 눌러지기를 기다린다 (S28).
여기서 거래 선택 화면 (33) 은,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로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의 정면에 서서 조작할 때에 표시 내용이 보기 쉽고, 조작하기 쉽도록 레이아웃되어 있어, 이용자가 정상인이면, 이 화면에서 거래 버튼 (여기에서는 「인출」버튼) 을 누르고, 이후에는 종래 기술과 동일한 동작을 한다 (S29 ∼ S40 은 도 22 의 S105 ∼ S116 에 각각 대응한다).
다음으로 이용자가 휠체어 이용자인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휠체어 이용자는 전술한 거래 선택 화면 (33) 에 있어서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 D 중 어느 하나를 누른다. 여기서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옆 방향으로 위치하는 경우에는,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또는 B 를 누르고 (S25), 실시예 1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90 도 좌회전 또는 90 도 우회전의 레이아웃으로 이후의 조작 안내가 표시된다 (실시예 1 의 S6A, S6B 이후와 동일).
또한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휠체어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위치시켰을 경우에는, 레이아웃 변경 버튼 C (34) 또는 D (35) 가 눌러진다. 주 제어부 (6) 는, 레이아웃 변경 버튼이 눌러지면, 눌러진 버튼이 C 인지 D 인지를 판정하여 (S26), C 이면 거래 선택 화면 (37) 을 표시하고 (S27C), D 이면 거래 선택 화면 (38) 을 표시한다 (S27D).
여기서 거래 선택 화면 (37) 은, 도 17 에 있어서의 거래 선택 화면 (33) 에 있어서, 원부 (36) 내에 레이아웃된 조작 안내 및 조작 버튼을, 원의 중심부 (39) 를 기준으로 좌회전 방향으로 θ 도 회전시킨 레이아웃이 되는 도 18(a) 와 같이 표시한다. 또한 레이아웃 변경 버튼 C (34) 는, 연속으로 누를 수 있어, 예를 들어 n 회 연속으로 누르면, 도 19(a) 와 같이 θ × n 도 좌회전시킨 레이아웃으로 거래 선택 화면 (40) 을 표시한다.
마찬가지로 거래 선택 화면 (38) 은, 우회전 방향으로 θ 도 회전시킨 레이아웃이 되는 도 18(b) 와 같이 표시하고, n 회 연속으로 누르면 도 19(b) 와 같이 θ × n 도 우회전시킨 레이아웃으로 거래 선택 화면 (41) 을 표시한다.
또한, 레이아웃 변경 버튼 C, D 는, 휠체어 이용자가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위치하였을 때의 몸의 방향에 맞추어 선택되는 것으로서, 예를 들어 도 20(a) 와 같이 비스듬한 좌방향 (주로 오른손잡이를 상정) 으로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레이아웃 변경 버튼 C (34) 를 선택하고, 도 20(b) 와 같이 비스듬한 우방향 (주로 왼손잡이를 상정) 으로 위치하였을 경우에는, 레이아웃 변경 버튼 D (35) 를 선택한다. 이로써 휠체어 이용자는, 몸을 자동 거래 장치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향한 (도 20 의 각 화살표 G, H 의 방향) 채로 화면의 안내 표시를 확인하고, 거래 버튼 (여기에서는 「인출」버튼) 을 누를 수 있다.
이후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한 동작을 실시하지만, 각 조작에 있어서의 안내는, S26 에서 눌러진 레이아웃 변경 버튼 C 또는 D 에 의해, θ × n 도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킨 레이아웃 (S29C, S31C, S33C, S35C, S36C, S38C, S40C, 또는 S29D, S31D, S33D, S35D, S36D, S38D, S40D) 으로 표시한다.
또한, 도 17 ∼ 20 에 있어서는, 오조작을 방지하고자 하는 특정 조작 버튼인 「취소」버튼, 빈번하게 사용하는 특정 조작 버튼인 「완료」버튼을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레이아웃 변경시에 「취소」버튼은 이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되고, 「완료」버튼은 이용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 2 에 의하면, 조작 표시부의 화면 상에 표시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버튼이 눌러졌을 때에 조작 표시 화면을 통상 표시에 대하여 0 ∼ 90 도 범위에서 임의의 각도 회전시킨 레이아웃으로 변경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휠체어 이용자가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를 이용할 때에, 휠체어를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위치시킨 경우라도, 상기 버튼을 눌러 몸의 방향과 표시 레이아웃의 방향을 맞춤으로써 몸을 비트는 일이 없기 때문에, 실시예 1 의 효과에 추가로 더욱 안내 표시가 확인하기 쉽고, 조작 버튼이 조작하기 쉬워진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 1, 2 에 있어서,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버튼은, 이용자가 정상인이든 휠체어 이용자이든 조작 표시부의 화면에 표시시키고 있지만, 예를 들어 캐시 카드의 자기 스트라이프부에 휠체어 이용자인 정보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입력해 두고, 카드의 판독시에 이 정보를 참조하여, 정상인의 경우에는, 레이아웃 변경 버튼을 표시시키지 않고, 휠체어 이용자에게만 표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실시예 1, 2 는, 자동 거래 장치를 예로 설명하였지만, 자동 거래 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테이블부에 조작 표시부를 갖는 고객 조작형 정보 단말 장치 전반에 대하여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의 블록도이다.
도 2 는, 실시예 1 의 동작 플로우차트 (1) 이다.
도 3 은, 실시예 1 의 동작 플로우차트 (2) 이다.
도 4 는, 실시예 1 에 의한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는, 실시예 1 에 의한 회전된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실시예 1 에 의한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실시예 1 에 의한 카드 삽입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은, 실시예 1 에 의한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는, 실시예 1 에 의한 거래 금액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실시예 1 에 의한 처리 중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실시예 1 에 의한 카드 반환/명세표 발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실시예 1 에 의한 지폐 출금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실시예 1 에 의한 거래 종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실시예 2 의 플로우차트 (1) 이다.
도 15 는, 실시예 2 의 동작 플로우차트 (2) 이다.
도 16 은, 실시예 2 의 동작 플로우차트 (3) 이다.
도 17 은, 실시예 2 에 의한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 은, 실시예 2 에 의한 회전된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 는, 실시예 2 에 의한 회전된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 은, 실시예 2 에 의한 조작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 은, 종래의 자동 거래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2 는, 종래의 동작 플로우차트이다.
도 23 은, 종래의 거래 선택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 는, 종래의 카드 삽입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 는, 종래의 비밀 번호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 은, 종래의 거래 금액 입력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 은, 종래의 처리 중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 은, 종래의 카드 반환/명세표 발행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 는, 종래의 지폐 출금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0 은, 종래의 거래 종료 화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 은, 정상인의 조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 는, 휠체어 이용자의 이동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3 은, 종래의 휠체어 이용자의 조작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부호의 설명
1 : 조작 표시부
2 : 카드/영수증 처리부
3 : 통장 기장부
4 : 지폐 입출금부
5 : 근접 센서
6 : 주 제어부
7 : 기억 장치
10, 13, 14 : 거래 선택 화면
11 : 레이아웃 변경 버튼 A
12 : 레이아웃 변경 버튼 B
15 : 취소 버튼
16, 17 : 카드 삽입 화면
18 : 카드 삽입구 화면
19, 20 : 비밀 번호 입력 화면
21 : 완료 버튼
22, 23 : 거래 금액 입력 화면
24, 25 : 처리 중 화면
26, 27 : 카드 반환/명세표 발행 화면
28, 29 : 지폐 출금 화면
30 : 지폐 출금구 화면
31, 32 : 거래 종료 화면
33, 37, 38, 40, 41 : 거래 선택 화면
34 : 레이아웃 변경 버튼 C
35 : 레이아웃 변경 버튼 D
36 : 원부
39 : 중심부
S1 ∼ S41, S6A ∼ S19A, S6B ∼ S19B, S27C ∼ S40C, S27D ∼ S40D : 단계

Claims (5)

  1. 이용자에 대한 조작 안내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조작 표시부와,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표시부의 조작 표시 화면에 상기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90 도 회전시켜서 상기 조작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2. 이용자에 대한 조작 안내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조작 표시부와,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표시부의 조작 표시 화면에 상기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0 ∼ 90 도 범위에서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조작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3. 이용자에 대한 조작 안내를 표시하고, 이용자가 조작 입력을 실시하는 조작 표시부와, 장치의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와, 상기 동작 프로그램에 따라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갖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표시부의 조작 표시 화면에 상기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변경하는 제 1 버튼과 제 2 버튼을 형성하여, 상기 제 1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90 도 회전시켜서 상기 조작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제 2 버튼이 눌러졌을 경우에는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0 ∼ 90 도 범위에서 임의의 각도로 회전시켜서 상기 조작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표시부에 상기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회전시켜서 표시할 때, 오조작을 방지하고자 하는 특정 조작 버튼을 이용자로부터 먼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표시부에 상기 조작 표시 화면의 레이아웃을 회전시켜서 표시할 때, 빈번하게 조작하는 특정 조작 버튼을 이용자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KR1020070134429A 2007-02-22 2007-12-20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KR100952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7-00042129 2007-02-22
JP2007042129A JP5056062B2 (ja) 2007-02-22 2007-02-22 顧客操作型端末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8526A KR20080078526A (ko) 2008-08-27
KR100952873B1 true KR100952873B1 (ko) 2010-04-13

Family

ID=39781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4429A KR100952873B1 (ko) 2007-02-22 2007-12-20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56062B2 (ko)
KR (1) KR100952873B1 (ko)
CN (1) CN101251937B (ko)
TW (1) TWI35424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324423B (zh) * 2012-03-21 2018-11-13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一种终端及其用户界面显示方法
JP6388466B2 (ja) * 2012-11-22 2018-09-1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取引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671A (ja) * 1993-01-11 1994-07-26 Hitachi Ltd 操作案内装置
JPH09212716A (ja) * 1996-02-02 1997-08-15 Brother Ind Ltd 端末装置
JPH09282534A (ja) * 1996-04-12 1997-10-31 Omron Corp 取引処理装置
KR20030013720A (ko) * 2001-08-09 2003-02-15 (주)이지투게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68266A (ja) * 1984-02-13 1985-08-31 Nec Corp 窓口処理装置の表示方式
JPH04336695A (ja) * 1991-05-14 1992-11-24 Hitachi Ltd 双方向操作形自動取引装置
JPH08194863A (ja) * 1995-01-17 1996-07-30 Hitachi Ltd 自動取引装置
JPH0991495A (ja) * 1995-09-21 1997-04-04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JPH09147182A (ja) * 1995-11-28 1997-06-06 Toshiba Corp 対面式自動取引装置
JPH09218985A (ja) * 1996-02-07 1997-08-19 Nitsuko Corp Pos端末装置
JP3548437B2 (ja) * 1997-10-09 2004-07-2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US6448956B1 (en) * 1997-10-31 2002-09-10 Eastman Kodak Company Systems and methods for direct image manipulation
JP2006133922A (ja) * 2004-11-04 2006-05-25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自動取引装置の表示方法
KR100606744B1 (ko) * 2005-05-17 2006-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지화상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이용한 정지화상 디스플레이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8671A (ja) * 1993-01-11 1994-07-26 Hitachi Ltd 操作案内装置
JPH09212716A (ja) * 1996-02-02 1997-08-15 Brother Ind Ltd 端末装置
JPH09282534A (ja) * 1996-04-12 1997-10-31 Omron Corp 取引処理装置
KR20030013720A (ko) * 2001-08-09 2003-02-15 (주)이지투게더 사용자 인터페이스 표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51937B (zh) 2013-08-14
JP2008204337A (ja) 2008-09-04
CN101251937A (zh) 2008-08-27
TW200836134A (en) 2008-09-01
JP5056062B2 (ja) 2012-10-24
TWI354245B (en) 2011-12-11
KR20080078526A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50605A (en) Automated transaction apparatus
KR100952873B1 (ko) 고객 조작형 단말 장치
JP4876499B2 (ja) 自動取引装置
KR102214283B1 (ko) 금융 자동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JPH11110608A (ja) 自動取引装置とこの取引履歴表示方法
JP4735154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情報管理サーバ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6503653B2 (ja) 取引装置
JP2008046919A (ja) 自動取引装置、自動取引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4742684B2 (ja) 自動取引装置
JP2007316960A (ja) 自動取引装置
JP4570835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システム
JP2001143158A (ja) 自動取引装置および自動取引方法
JP2009064119A (ja) 自動取引装置
JP2009169582A (ja) 取引処理装置
JP5228477B2 (ja) 自動取引装置
JP5458736B2 (ja) 自動取引システム
JP2717327B2 (ja) 自動取引装置
JP5988914B2 (ja) 自動取引装置及び自動取引方法
JPH0684052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4895789B2 (ja) 自動取引装置
JP3588478B2 (ja) 自動取引装置
JP3853404B2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5605872B2 (ja) 自動取引装置
JPH07262283A (ja) 自動取引処理装置
JP2001250150A (ja) 連続取引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