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7907B1 -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에 기초한조성물, 이의 제조 및 용도 - Google Patents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에 기초한조성물, 이의 제조 및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7907B1
KR100947907B1 KR1020047021625A KR20047021625A KR100947907B1 KR 100947907 B1 KR100947907 B1 KR 100947907B1 KR 1020047021625 A KR1020047021625 A KR 1020047021625A KR 20047021625 A KR20047021625 A KR 20047021625A KR 100947907 B1 KR100947907 B1 KR 10094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rop
dimethyl
formula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1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9818A (ko
Inventor
쟈밀라 나지브
꺄린느 꼬몽-베르트랑
Original Assignee
장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피트 filed Critical 장피트
Publication of KR2005001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9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7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61K31/05Phenols
    • A61K31/055Phenols the aromatic ring being substituted by halog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romatic groups, e.g. sulindac, 2-aryl-propionic acids, ethacryn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21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 A61K31/215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 A61K31/216Esters, e.g. nitroglycerine, selenocyanates of carboxylic acids of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benactizyne, clofib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6Antihyperlipidem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2Antihyperten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2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doubly-bound oxygen atom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5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51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 C07C323/5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s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the carbon skeleton the carbon skeleton being acyclic and saturate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40Unsaturated compounds
    • C07C59/76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 C07C59/90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containing singly bound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67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saturated acids
    • C07C69/708Ethers
    • C07C69/712Ethers the hydroxy group of the ester being etherified with a hydroxy compound having the hydroxy group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73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unsaturated acids
    • C07C69/738Esters of keto-carboxylic acids or aldehydo-carboxylic acids

Abstract

본 발명은 치료 용도로 고안된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특히 심혈관 질환, X 증후군, Ia 재협착, 당뇨, 비만, 고혈압, 염증 질환, 암 또는 종양(양성 또는 악성 종양), 신경변성, 피부 질환 및 산화적 스트레스를 치료 또는 예방 및 일반적인 노화 및 예컨대 피부 노화, 특히 화장품 분야에서(주름 등의 발생)의 노화 효과를 예방 및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염증, 노화, 지질, 글루코스, 신경변성, 산화 스트레스, 약제학적 조성물, 피부

Description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에 기초한 조성물, 이의 제조 및 용도{Composition based on substituted 1,3-diphenylprop-2-en-1-one derivatives,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본 발명은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특히 인간 및 가축의 건강 분야에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약리학적 항산화 성질 및 PPARα및 PPARγ활성제 성질을 갖는데 이는 유용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상기 화합물의 서로 다른 용도 및 이를 포함하는 약제 및 화장 조성물을 기술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특히 심혈관 질환, X 증후군, 재협착, 당뇨, 비만, 고혈압, 염증 질환, 암 또는 종양(양성 또는 악성 종양), 신경변성, 피부질환 및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장애를 예방 및 치료, 일반적인 노화 및 예컨대 피부 노화의 효과, 특히 화장학 분야에서(주름발달 등)의 효과를 예방 및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유도체 및/또는 조성물은 특히 PPARα 및 PPARγ를 발현하는 조직과 관련된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이들은 서로다른 기관 및 조직을 해치는 염증성, 증식성, 변성 질환 또는 병리, 특히 병적인 혈관생성 또는 신생혈관증식과 연관된 질환 및 산화적 스트레스와 연관된 어떠한 병리 또는 장애(예컨대 연령과 관련된)가 치료되도록 한다. 유리한 방식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병인론적 성분과 관계없이 조직 및/또는 기관을 해치는 질병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PPAR류, 즉, "페록시좀 증식제-활성화 수용체(peroxisome proleferator activated receptors)" 란 하기 리간드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사인자들의 상위 과(科)로부터의 핵 수용체이다: 스테로이드/티로이드 호르몬/레티노이드. 지금까지 세가지 동형의 PPAR이 마우스와 인간에서 클로닝되었다: PPARα, PPARβ/δ및 PPARγ. PPARβ/δ 발현은 인간에서 도처에 편재하는 한편, PPARα와 PPARγ는 상이한 조직 분포를 보인다(Braissant and Wahli, 1998). PPARα는 높은 지방산 이화 활성을 갖는 세포 및 높은 페록시좀 활성을 갖는 세포(간세포, 심근세포, 신 근위관, 장점막)에서 발현된다. PPARβ/δ는 대부분의 조직에서 편재하여 풍부하게 발현된다. PPARγ 발현에 관한 한, 이는 지방조직, 특정 면역계 세포 및 망막으로 주로 한정되고 다른 기관에는 흔적량 정도만이 존재한다(Braissant and Wahli, 1998).
PPAR류는 상이한 성질을 갖는 수개의 영역을 포함한다. DNA 결합 영역(DBD)은 반응 인자라 불리고 그 표적 유전자의 조절 구역에 위치하는 특이 서열을 인식한다. 다른 핵 수용체들 처럼, PPAR류도 리간드 결합 영역을 포함하고, 그 리간드에 의한 PPAR류의 활성화로 프로모토 구역에 있는 특이 PPAR 반응 인자(PPRE)를 포함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한다. 표적 유전자의 전사를 활성화하기 위해, 활성화된 PPAR류는 다른 핵 수용체인 RXR(Retinoid-X-Receptor)와 이종이합체화 되어야만 한다. PPARα의 예를 들면, 그 작용은 지질-저하 효과를 갖는 피브레이트와 같 은 화합물류에 의해 매개된다. 예컨대 지방산, 에이코사노이드(류코트리엔 B4) 및 8(S)-하이드록시에이코사테트라에노산(Kliewar, Sundseth et al. 1997)과 같은 천연 리간드도 확인되었다.
PPAR류는 일차적으로 지질 및 글루코스 대사와 연관되어 왔다. 피브레이트와 같은 PPAR 활성제는 PPARα활성화를 통해 혈장 콜레스테롤과 트리글리세리드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Hourton, Delerive et al. 2001). 피브레이트 요법은 간에서 지방산의 산화가 증가되도록 한다. 피브레이트는 또한 트리글리세리드의 합성과 발현을 감소시킨다(Staels and Auwerx 1998). PPARα 활성제는 고혈당증과 인슐린 농도를 보정할 수도 있다. 피브레이트는 또한 음식 섭취 및 렙틴 유전자 발현과 독립된 기전을 통해 지방 조직량을 감소시킨다(Guerre-Millo, Gervois et al. 2000).
PPARγ 효능제의 치료 관심은 제2형 당뇨 치료에서 널리 조사되어 왔다(Spiegelman 1998). PPARγ 효능제는 제2형 당뇨 동물 모델 및 인간 모델 양자에서 표적 조직에서 인슐린 감도를 회복시키고 혈장 글루코스, 지질 및 인슐린 농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다(Ram VJ 2003).
리간드에 의한 PPAR의 활성화는, 염증, 혈관생성, 세포증식 및 세포분화, 아폽토시스 및 iNOS, MMPase 및 TIMPs 활성과 같은 과정에 참여하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데에도 역할을 한다. 각질세포에서 PPARα의 활성화는, 분화와 관련된 유전자의 발현 및 증식이 중단하는 결과를 가져온다(Komuves, Hanley et al. 2000). PPAR류는, NF-κB와 같은 다른 전사 인자 또는 (STAT) 및 AP-1과 같은 전자 활성제 가 관여하는 전자 기전을 네가티브하게 간섭하기 때문에 항-염증 성질을 갖는다(Desvergne and Wahli 1999). 상기 항-염증 및 항-증식 성질은 PPAR류(특히 PPARα)를 혈관폐색성질환(죽상경화증 등), 고혈압, 신생혈관생성(당뇨성 망막증 등), 염증 질환(염증성 결장염, 건선 등) 및 종양 질환(발암)과 같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흥미로운 치료 표적으로 만든다.
유리 라디칼은, 알러지, 종양 개시 및 촉진, 심혈관 질환(죽상경화증, 허혈), 유전 및 대사 장애(당뇨), 감염 및 변성 질환(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프리온 등) 및 안 장애을 포함하는 매우 넓은 범위의 병리에서 특정 역할을 한다(Mates, Perez-Gomez et al. 1999).
반응성 산소종(ROS)은 정상 세포 기능중에 발생한다. ROS는 하이드록실 라디칼(OH), 수퍼옥시드 음이온(O2-), 과산화수소(H2O2) 및 일산화질소(NO)를 포함한다. 상기 종류들은 매우 불안정하고 높은 화학 반응성으로 인해 세포들의 생물학적 기능에 위험이 된다. 여기에는 지질 과산화, 어떤 효소의 산화 및 그들의 분해로 이끄는 매우 강한 단백질 산화가 포함된다. 호기성 생물들에서 지질 과산화에 대한 보호는 필수적 과정인데 이는 과산화 생성물이 DNA 손상을 유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천연 항산화 방어계에 의한 라디칼 종들의 생성, 처리 및 제거간의 균형이 변형되거나 이상(deregulation)이 생기면 세포 또는 생물에 해로운 과정을 만들게 된다.
ROS는 효소 성분과 비효소 성분으로 구성된 항산화계를 통해 처리된다.
효소계는 하기 특성을 갖는 수개의 효소들로 구성된다: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아제(SOD)는 수퍼옥시드 라디칼을 퍼옥시드로 변환시켜 파괴한다. 그 다음 퍼옥시드에 대해 다른 효소계가 작용한다. 호기성 호흡에 의해 저 농도의 SOD가 지속적으로 생산된다. 세 종류의 SOD가 인간에서 확인되었는데 그 각각은 조인자로서 Cu, Zn, Fe, Mn 또는 Ni를 함유한다. 세가지 형태의 인간 SOD는 다음과 같이 분포한다: 세포질 Cu-Zn SOD, 미토콘드리아 Mn-SO 및 세포외 SOD.
- 카탈라아제는 과산화수소를 물과 O2로 변환시키는데 매우 효율적이다. 과산화수소는 호기 생물에서 효소에 의해 이화된다. 카탈라아제는 다양한 수퍼옥시드(ROOH)의 감소에 촉매작용을 한다.
- 글루타티온 퍼옥시다아제는 조인자로서 셀레늄을 사용하여 글루타티온을 이용한 수퍼옥시드(ROOH 및 H2O2)의 감소를 촉매하고 이에 의해 세포를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보호한다.
비효소 항산화 방어계는 음식에서 합성되거나 제공되는 분자들을 포함한다.
항산화 분자들은 상이한 세포 구획에 존재한다. 예컨대 해독작용 효소 자유 라디칼을 제거하므로 세포일생에 필수적이다. 가장 중요한 세가지 형태의 항산화 화합물은 카로티노이드, 비타민 C 및 비타민 E이다(Gilgun-Sherki, Melamed et al. 2001).
본 발명자들은 놀라운 방식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이 PPARα효능제 활성 및 항산화 성질을 갖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따라서 이 발명 화합물은 특히 염증에서 활성화되는 적어도 두개의 신호경로를 방해할 수 있다: 시토킨 생성과 자유 라디칼 생성. 상승작용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증 관련 병리(죽상경화증, 알러지, 천식, 습진, 가려움증 등), 신경변성 관련 병리(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등), 지질 및/또는 글루코스 대사 이상 관련 병리(당뇨, 죽상경화증, 비만 등), 세포 증식/분화 관련 병리(발암 등) 및 노화 관련 장애(피부 또는 중추신경계 등)를 치료하는데 유리한 치료 수단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동시에 PPAR 활성제, 항산화제 및 항-염증 성질을 갖는다는 사실을 밝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를 포함하는, 염증, 신경변성, 지질 및/또는 글루코스 대사 이상(deregulation), 세포 증식 및/분화 및/또는 피부 또는 중추신경계 노화와 관련된 병리를 치료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그 목적으로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지지체내에 하기 화학식(I)로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 및 이의 광학이성체 및 기하이성체, 라세미체, 토우토머, 염, 수화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갖는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01
식중,
X1은 할로겐 또는 -R1 그룹 또는 식 -G1-R1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2는 수소원자, 티오니트로소 그룹, 하이드록시 그룹, 비치환된 알킬옥시 그룹, 알킬카보닐옥시 그룹, 티올 그룹, 알킬티오 그룹 또는 알킬카보닐티오 그룹을 나타내고, X2는 또한 2-페닐-4H-1-벤조피란-4-온 형태의 유도체를 형성하기 위해 프로펜 사슬의 3번 탄소원자에 결합된 산소 또는 황 원자일 수 있고(이 경우는 화학식 1에 점선으로 그려져 있다),
X3는 -R3 그룹 또는 식 -G3-R3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4는 할로겐, 티오니트로소 그룹,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5는 -R5 그룹 또는 식 -G5-R5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6은 산소원자 또는 질소원자로, X6이 질소원자인 경우 이는 수소원자, 하이드록실 그룹 또는 알킬그룹을 수반하고,
R1, R3, R4, R5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수소원자, 이하에서 정의되는 그룹 1 또는 그룹 2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그룹이고,
G1, G3, G4, G5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상기 X1, X3, X4 또는 X5 그룹중 적어도 하나는 식 -G-R에 해당하고,
상기 R1, R3, R4 또는 R5 그룹중 적어도 하나는, 그룹 1 또는 그룹 2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함유하는 알킬 그룹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알킬 그룹은 고리에 직접 결합되거나 식 -GR에 따라 그룹 G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는 식 -COOR6를 갖는 카복시 그룹 및 식 -CONR6R7을 갖는 카바모일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그룹 2로부터의 치환기는 설폰산(-SO3H) 및 식 -SO2NR6R7을 갖는 설폰아미드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6 및 R7은, 서로 상이 하거나 동일하게, 수소원자 또는 타입 1 또는 타입 2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 그룹이며,
단,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하기 화합물은 제외한다:
- X1, X2, X3 및 X5가 각각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6이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X4가 식 -O-CR8R9-COOR10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며 여기서 R8 및 R9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C1 내지 C2 알킬 그룹(하나 또는 두개의 탄소원자 함유)을 나타내고 R10은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C7 알킬 그룹을 나타내는 화합물,
- X2, X3, X5 각각이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은 할로겐 원자 또는 R1 또는 -G1R1 그룹을 나타내고 여기서 R1은 비치환된 C1 내지 C2 알킬그룹을 나타내고 G1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X6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X4는 식 -O-CR11R12COOR10을 나타내고 여기서 R11 및 R1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게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C2 알킬 그룹을 나타내고 R10은 수소원자 또는 C1 내지 C7 알킬그룹(하나 내지 일곱개의 탄소원자 포함)을 나타내는 화합물,
- X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이 -G1R1을 나타내며 여기서 G1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CH2COOH를 나타내는 화합물.
상기 조성물은 특히 염증, 신경변성, 지질 및/또는 글루코스 대사 이상, 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 및/또는 피부 또는 중추신경계 노화와 관련된 병리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투여대상에 투여된 후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로 전환하는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프로드럭 및/또는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과 유사한 치료 활성을 보이는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의 대사체를, 가능하게는 다른 치료제와 함께 포함하는, 염증, 신경변성, 지질 및/또는 글루코스 대사 이상, 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 및/또는 피부 또는 중추신경계 노화와 관련된 병리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조성물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범위에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유도체는 시스 또는 트랜스 구조를 채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따라서 시스 또는 트랜스 구조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해당하는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X3, X4 및 X5중 어느 것도 수소원자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 정의를 만족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반 화학식 2의 화합물을 구성한다.
유리하게는, X3, X4 및 X5중 하나 또는 두개의 그룹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은 비치환된 알킬 그룹이다. 이 정의를 만족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반 화학식 3을 구성한다.
유리하게는, X3, X4 및 X5중 하나 또는 두개의 그룹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2는 티오니트로소 그룹, 알킬카보닐옥시 그룹, 티올 그룹, 알킬티오 그룹 또는 알킬카보닐티오 그룹이고, X2는 2-페닐-4H-1-벤조피란-4-온 형태의 유도체를 형성하기 위해 프로펜 사슬의 C3에 결합된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낼 수 있다(이 경우는 화학식 1에 점선으로 그려져있다). 이 정의를 만족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반 화학식 4를 구성한다.
유리하게는, X3, X4 및 X5중 하나 또는 두개의 그룹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 X2, X3, X4 또는 X5 중 적어도 하나는 GR형태로 여기서 G는 황원자이다. 이 정의를 만족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반 화학식 5를 구성한다.
유리하게는, X3, X4 및 X5중 하나 또는 두개의 그룹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 X3, X4 또는 X5 중 적어도 하나는 -G-R 형태로 여기서 G는 산소원자이고 R은 R6이 수소원자가 아닌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알킬 그룹이다. 이 정의를 만족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반 화학식 6을 구성한다.
유리하게는, X3, X4 및 X5중 하나 또는 두개의 그룹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 X3, X4 또는 X5 중 적어도 하나는 GR 형태로 여기서 G는 산소원자이고 R은 앞 서 정의한 바와 같은 설폰아미드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다. 이 정의를 만족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반 화학식 7을 구성한다.
유리하게는, X4는 티오니트로소 그룹 또는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이다. X3가 이 정의를 만족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반 화학식 8로 표현되는 유도체를 구성하고 여기서 G4 및 R4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유리하게는, X2는 티오니트로소 그룹, 하이드록실 그룹, 알킬옥시 그룹, 티올 그룹 또는 알킬티오 그룹이다. X2가 이 정의를 만족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일반 화학식 9로 표현되는 유도체를 구성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4가 티오니트로소 그룹,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X2가 티오니트로소 그룹, 하이드록시 그룹, 알킬옥시 그룹, 티올 그룹 또는 알킬티오 그룹이며 G4 및 R4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 화학식 10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1이 -R1 그룹 또는 식 -G1-R1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1이 그룹 1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1과 그룹 1의 치환기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 화학식 11을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1이 -G1-R1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11로 표현되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1이 -G1-R1 그룹이고 여기서 G1이 산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11로 표현되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1이 -R1 그룹 또는 식 -G1-R1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1이 그룹 2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1과 그룹 2의 치환기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 화학식 12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3이 -R3 그룹 또는 식 -G3-R3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3이 그룹 1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3과 그룹 1의 치환기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 화학식 13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3이 -R3 그룹 또는 식 -G3-R3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3이 그룹 2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3과 그룹 2의 치환기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 화학식 14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4가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4가 그룹 1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4와 그룹 1의 치환기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 화학식 15를 갖는다.
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4가 -G4-R4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15로 표현되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4가 -G4-R4 그룹이고 여기서 G4가 산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15로 표현되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4가 -G4-R4 그룹으로 여기서 G4가 산소원자이고, X3 또는 X5가 각각 한편으로는 R3 또는 G3R3 다른 한편으로는 R5 또는 G5R5이고, R3 또는 R5가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를 수반하는 알킬 그룹이 며, 상기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화학식 15로 표현되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4가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4가 그룹 2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4와 그룹 1의 치환기가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일반 화학식 16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1이 수소인 일반 화학식 17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1이 -R1 그룹이고 R1이 앞서 정의한 그룹 1 또는 그룹 2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않은 C1 내지 C4 알킬 그룹인 일반 화학식 18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1이 -G1-R1 그룹이고 R1이 앞서 정의한 그룹 1 또는 그룹 2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않은 C1 내지 C3 알킬 그룹인 일반 화학식 19를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1이 -R1 그룹이고 R1이 앞서 정의한 그룹 1 또는 그룹 2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5 내지 C24 알킬 그룹인 일반 화학식 20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현되는 다른 유리한 유도체는, X1이 -G1R1 그룹이고 R1이 앞서 정의한 그룹 1 또는 그룹 2의 일부인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C4 내지 C24 알킬 그룹인 일반 화학식 21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1, X3, X4 또는 X5가 OC(CH3)2COOR6이고 R6이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1, X3, X4 또는 X5가 SC(CH3)2COOR6이고 R6이 앞서 정의한 바와 같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유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알킬"이라는 용어는 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의, 할로겐화된 또는 할로겐화되지 않은, 보다 상세하게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t-부틸, 펜틸, 네오펜틸, n-헥실과 같이 1 내지 24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의 탄소원자를 갖는, 포화 탄화수소 작용기를 지칭한다.
티오니트로소라는 용어는 황원자를 통해 방향족 환에 결합된 니트로소 그룹을 말한다.
할로겐이란 용어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 또는 요오드원자 또는 불소원자를 말한다.
알킬옥시라는 용어는 산소원자를 통해 환에 결합된 알킬사슬을 지칭한다.
알킬티오라는 용어는 황원자를 통해(티오에테르 결합) 방향족 환에 결합된 알킬사슬을 말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특정 양태에 따른 바람직한 화합물을 그 상응하는 식으로 기재한다: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 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02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페닐]-3-[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03
1-[2-메틸카보닐옥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메틸카보닐옥시페닐]-3-[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04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1-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프-2-엔 및 1-[2-하이드록시페닐]-3-[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1-하이드록시이미노프로프-2-엔:
Figure 112004062858232-pct00005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06
1-[2-하이드록시페닐]-3-[3-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4-하이드록시-5터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페닐]-3-[3-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 틸옥시-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07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4-하이드록시-5- 터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08
1-[2-하이드록시페닐]-3- [3-카복시디메틸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 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페닐]-3-[3-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09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카복시디메틸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 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0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톡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 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4- 클로로페닐]-3-[3,5-디메톡시-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 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1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톡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톡시-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2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3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4-디하이드록시-5-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4-디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2-프로펜-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4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 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5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6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 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7
1-[2-하이드록시페닐]-3-[3-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하이드록시페닐]-3-[3-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8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및 1- [2-하이드록시페닐]-3-[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 -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19
1-[2-멜캅토-4-메틸옥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2-멜캅토-4-메틸옥시페닐]-3-[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0
1-[4-헵틸페닐]-3-[3-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및 1-[4-헵틸페닐]-3-[3-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1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2,4-디하이드록시페닐]-3-1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카복실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4-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메틸티오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온,
1-[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브로모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메톡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메톡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2-(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7-클로로-4H-1-벤조피란-4-온,
2-(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7-클로로-4H-1-벤조피란-4-온,
1-[2-메틸옥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메틸옥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헵틸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헵틸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 페닐]프로프-2-엔-1-온,
이렇게 본 발명은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 특히, 알러지, 천식, 습진, 건선, 소양증,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당뇨, 죽상경화증, 비만, 발암 등과 같이, 염증, 신경변성, 지질 및/또는 글루코스 대사 이상, 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 및/또는 피부 또는 중추신경계 노화와 관련된 병리를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제고하기 위한 유리한 또는 바람직한 하나의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그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염기 매질 또는 산성 매질에서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A)의 화합물을 적어도 하나의 화학식(B)의 화합물과 접촉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2
식중, X1, X2, X3, X4 및 X5는 앞서 정의한 바와 같다.
산성 또는 염기성 매질에서 상기 반응을 수행하기 위한 조건은 당업자가 아는 범위내이고 광범위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두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화학량론비로 접촉한다. 접촉은 바람직하게는 실온(약 18℃ 내지 25℃) 및 대기압하에서 수행된다.
염기성 매질에서, 바람직하게는 수산화나트륨과 같은 수산화 알칼리 토금속 또는 소듐 에틸레이트와 같은 알칼리 금속 알콜레이트와 같은 강염기 존재하에서 반응이 수행된다.
산성 매질에서, 바람직하게는 염산과 같은 강산 존재하에서 반응이 수행된다.
반응도는 하기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3
염기성 매질에서의 합성은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1몰당량의 케톤(화합물 (A))과 1몰당량의 알데하이드(화합물 (B))를 20몰당량의 수산화나트륨의 하이드로알콜릭 용액에 용해시킨다. 혼합물을 약 18시간 동안 실온(18℃ 내지 25℃)에서 교반한다. 매질을 특히 염산으로 산성화(특히 약 pH2로)한다.
반응 매질 증발 후 침전 또는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 예상 화합물인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이 수득된다. 그 다음에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또 는 결정화에 의해 정제될 수 있다.
산성 매질에서의 합성은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1몰당량의 케톤(화합물(A))과 1몰당량의 알데하이드(화합물(B))를 기체상 염산으로 포화시킨 에탄올 용액에 용해시킨다. 혼합물을 약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용매를 특히 진공증발에 의해 제거한다.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이 특히 실리카겔상에서의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다.
이렇게 본 발명은 인체 또는 동물체를 치료 또는 예방하는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한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합물 또는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약제학적 조성물 또는 화합물은 유리하게는 염증, 신경변성, 지질 및/또는 글루코스 대사 이상, 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 및/또는 피부 또는 중추신경계 노화와 관련된 병리,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알러지, 천식, 습진, 건선, 소양증,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당뇨, 죽상경화증, 비만, 발암 등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사실, 놀랍게도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이 항산화제 및 PPARα 및 PPARγ활성화제로서의 유리한 약리학적 성질을 갖는다고 밝혀졌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신경변성, 지질 및/또는 글루코스 대사 이상, 세포증식 및/또는 분화 및/똔느 피부 또는 중추신경계 노화와 관련된 병리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목적되는 경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경우에 따라서는 X2가 수소 원자이고, X1이 -G1R1이고 이때 G1이 산소원자이고 R1이 CH2COOH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합물은 제외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염증, 신경변성, 세포증식 및/또는 분화 및/또는 피부 또는 중추신경계 노화,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알러지, 천식, 습진, 건선, 소양증,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 잘환 또는 발암과 관련된 병리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해 목적되는 경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은 경우에 따라서는 하기와 같은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 X1, X2, X3, 및 X5가 수소원자이고, X6이 산소원자이고, X4가 식 -O-CR8R9COOR10에 상응하는 그룹을 나타내며 이때 R8 및 R9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C1-C2 알킬그룹(하나 또는 두개의 탄소원자를 포함)이고 R10은 수소원자 또는 C1-C7 알킬그룹이며,
- X2, X3 및 X5는 수소원자이고, X1은 할로겐 원자 또는 R1 또는 -G1R1 그룹이고, 이때 R1은 비치환된 C1-C2알킬그룹이고 G1은 산소원자이며, X6은 산소원자이고, X4는 식 -O-CR11R12-COOR10에 상응하는 그룹을 나타내며 이때 R11 및 R12는, 서로 동일 또는 상이하게, 수소원자 또는 C1-C2알킬그룹이고, R10은 수소원자 또는 C1-C7 알킬그룹(하나 또는 일곱개의 탄소원자 포함)이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 특히 인간에게 유효량의 일반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또는 앞서 정의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염증, 신경변성, 지질 및/또는 글루코스 대사 이상, 세포 증식 및/또는 분화 및/또는 피 부 또는 중추신경계 노화와 관련된 병리, 보다 상세하게는 하나 이상의 알러지, 천식, 습진, 건선, 소양증,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당뇨, 죽상경화증, 비만, 발암과 관련된 병리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리하게는 하나 이상의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운반체를 포함한다. 예로는, 약제학적 용도에 부합되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식염수, 생리용액, 등장용액, 완충용액과 같은 것이 포함된다. 상기 조성물은 분산제, 용해제, 안정화제, 보존제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제 또는 운반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형(액제 및/또는 주사가능한 및/또는 고형제)에 사용될 수 있는 제제 또는 운반체로는 특히 메틸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오스,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 폴리소르베이트 80, 만니톨, 젤라틴, 락토오스, 식물유, 아카시아 등이 있다. 상기 조성물은 가능하게는 방출지연 및/또는 방출연장을 보장하는 약제학적 제형 또는 장치에 의해 주사용 현탁제, 겔제, 오일제, 정제, 좌제, 산제, 캅셀제, 겔룰제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제형을 위해, 셀룰로오스, 카보네이트 또는 전분과 같은 제제가 유리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서로다른 경로 및 서로다른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 또는 정맥, 근육, 피하, 경피, 동맥내 경로 등과 같이 전신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주사용으로는,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액체 현탁제로 제형화되고 이는 예컨대 주사기를 통해 또는 주입으로 투여될 수 있다. 주입속도 및/또는 주입량은 당업자가 화자, 병리, 투여방법 등에 따라 조절할 수 있 는 것으로 이해된다. 전형적으로, 화합물은 1㎍ 내지 2g, 바람직하게는 0.1mg 내지 1g에 걸친 용량으로 투여된다. 상황에 따라 매일 투여될 수도 있고 하루에 수회 투여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추가적으로 다른 활성 성분 또는 제제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잇점은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명백할 것인데, 이 실시예는 예시목적으로 제공되며 제한목적이 아니다.
도 1-1, 1-2, 1-3: 구리에 의한 LDL 산화에 대한 화합물 2, 화합물 3, 화합물 12, 화합물 14 및 화합물 17의 항산화 성질 평가
도 1-1은 경시적으로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을 측정하는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10-4M 농도의 시험화합물과 LDL을 함께 항온배양하면 디엔 형성을 지연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LDL이 화합물 3, 화합물 12, 화합물 14 및 화합물 17과 함께 항온배양되었을 때 지체기(lag phase)가 각각 132, 145, 134 및 203분인 것에 비하여 구리 단독인 경우의 지체기는 111분이었다. LDL을 화합물 2와 항온배양하였을 때는 지체기가 480분을 넘었다.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에서의 지체기는 항산화제의 특성이다.
도 1-2는 서로다른 처리후의 디엔 형성률을 보여준다. 구리 존재하에서 화합물과 LDL을 항온배양하면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 속도를 늦추었다. 이 속도는 구리 단독일 때는 2nmol/min/LDLmg, LDL이 10-4M 농도의 화합물 17 존재하에 항온배 양되었을 때는 1.7nmol/min/LDLmg 이었고 10-4M 농도의 화합물 2일 때는 측정되지 않았다(너무 낮아서 측정될 수 없었슴).
도 1-3은 경시적으로 형성된 컨쥬게이트된 디엔의 최대량을 보여준다. LDL과 구리의 항온배양은 컨쥬게이트된 디엔이 348nmol/LDLmg 이었고; 10-4M 농도의 화합물 2와의 항온배양은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이 84% 감소(54.5nmol/LDLmg)하였다. 화합물 3 및 17 존재하에서는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이 각각 303 및 327nmol/LDLmg 이었다.
도 1-4, 1-5, 1-6: 구리에 의한 LDL 산화에 대한 화합물 18, 화합물 19, 화합물 21, 화합물 22의 항산화 성질 평가
도 1-4는 10-4M 농도의 시험화합물과 LDL을 함께 항온배양하면 디엔 형성이 지연된다는 것을 보여준다. LDL이 화합물 18, 화합물 19, 화합물 22와 함께 항온배양되었을 때 지체기가 각각 241, 182 및 241분(실험 측정에 의해)인 것에 비하여 구리 단독인 경우의 지체기는 178분이었다. LDL을 화합물 21과 항온배양하였을 때는 지체기가 480분을 넘었다.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에서의 지체기는 항산화제의 특성이다.
도 1-5는 서로다른 처리후의 디엔 형성률을 보여준다. 구리 단독과 LDL을 항온배양하면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 속도가 1.6nmol/min/LDLmg, LDL이 10-4M 농도의 화합물 18 존재하에 항온배양되었을 때는 1.4nmol/min/LDLmg 이었고, 화합물 22 존재하에서 LDL을 항온배양되었을 때는 1.3nmol/min/LDLmg 이었으며, 10-4M 농도의화합물 21에 대해서는 측정되지 않았다(너무 낮아서 측정될 수 없었슴).
도 1-6은 경시적으로 형성된 컨쥬게이트된 디엔의 최대량을 보여준다. LDL과 구리의 항온배양은 컨쥬게이트된 디엔이 353nmol/LDLmg이었다. 10-4M 농도의 화합물 21과의 항온배양에서는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을 억제하였다. 화합물 18, 19 및 22 존재하에서의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은 각각 305, 345 및 345nmol/LDLmg 이었다.
도 1-7, 1-8: 구리에 의한 LDL 산화에 대한 화합물 25 및 화합물 28의 항산화 성질 평가
도 1-7은 경시적으로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을 측정하는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10-4M 농도의 시험화합물과 LDL을 함께 항온배양하면 디엔 형성을 지연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LDL이 화합물 25, 화합물 29와 함께 항온배양되었을 때 지체기는 각각 120 및 135분인 것에 비하여 구리 단독인 경우의 지체기는 82분(실험으로부터 측정)이었다.
도 1-8은 경시적으로 형성된 최대량의 컨쥬게이트된 디엔을 보여준다. LDL을 구리와 함께 항온배양하면 393nmol/LDLmg의 컨쥬게이트된 디엔이 형성되었다. 화합물 25 존재하에서는 이 값은 378nmol/LDLmg 이었다.
도 1-9, 도 1-10, 도 1-11: 구리에 의한 LDL 산화에 대한 화합물 33, 화합물 35의 항산화 성질 평가
도 1-9는 경시적으로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을 측정하는 실험 결과를 보여준다. 10-4M 농도의 시험화합물과 LDL을 함께 항온배양하면 디엔 형성을 지연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LDL이 화합물 31, 화합물 33 및 화합물 35와 함께 항온배양되었을 때 지체기가 각각 139, 247 및 149분인 것에 비하여 구리 단독인 경우의 지체기는 80분이었다.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에서의 지체기는 항산화제의 특성이다.
도 1-10은 서로다른 처리후의 디엔 형성률을 보여준다. 구리 존재하에서 화합물과 LDL을 항온배양하면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 속도를 늦추었다. 이 속도는 구리 단독일 때는 1.9nmol/min/LDLmg, LDL이 10-4M 농도의 화합물 31 존재하에 항온배양되었을 때는 1.6nmol/min/LDLmg 이었고, 10-4M 농도의 화합물 33 존재하에 항온배양되었을 때는 0.8nmol/min/LDLmg 이었으며, 화합물 35 존재하에 항온배양되었을 때는 1.5nmol/min/LDLmg 이었다.
도 1-11은 경시적으로 형성된 컨쥬게이트된 디엔의 최대량을 보여준다. 화합물 33 존재하에서의 257nmol/LDLmg에 비하여 LDL과 구리의 항온배양은 컨쥬게이트된 디엔이 298nmol/LDLmg 이었다.
도 1-12, 도 1-13, 도 1-14: 구리에 의한 LDL 산화에 대한 화합물 37, 화합물 38 및 화합물 41의 항산화 성질 평가
도 1-12는 경시적으로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을 측정하는 실험 결과를 보여 준다. 10-4M 농도의 시험화합물과 LDL을 함께 항온배양하면 디엔 형성을 지연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LDL이 화합물 37, 화합물 38 및 화합물 41과 함께 항온배양되었을 때 지체기가 각각 196, 284 및 411분인 것에 비하여 구리 단독인 경우의 지체기는 120분이었다.
도 1-13은 서로다른 처리후의 디엔 형성률을 보여준다. 구리 존재하에서 화합물과 LDL을 항온배양하면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 속도를 늦추었다. 이 속도는 구리 단독일 때는 1.8nmol/min/LDLmg, LDL이 10-4M 농도의 화합물 37 존재하에 항온배양되었을 때는 1.49nmol/min/LDLmg 이었고, 10-4M 농도의 화합물 38 존재하에 항온배양되었을 때는 0.71nmol/min/LDLmg 이었으며, 화합물 41 존재하에 항온배양되었을 때는 0.54nmol/min/LDLmg 이었다.
도 1-14는 경시적으로 형성된 컨쥬게이트된 디엔의 최대량을 보여준다. 화합물 37, 28 및 41 존재하에서의 각각 338nmol/LDLmg, 244nmol/LDLmg 및 71nmol/LDLmg에 비하여 LDL과 구리의 항온배양은 컨쥬게이트된 디엔이 372nmol/LDLmg 이었다.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에서의 지체기, 디엔 형성률의 감소 및 형성된 총 디엔량의 감소는 항산화제의 특성이다.
도 2-1, 2-2, 2-3, 2-4, 2-5, 2-6: PPARα/Gal4 전이활성 시스템에서 발명 화합물의 PPARα효능제 성질의 평가
RK13 세포를 10, 30 및 100 μM 또는 1, 10 및 100 μM 농도의 서로 다른 화 합물과 24시간동안 항온배양하였다. 그 결과를 서로다른 처리 후의 유도 인자(비처리 세포에 대한 발광신호)로 표현한다. 유도인자가 높을수록 PPARα효능제 활성이 더 강하다.
도 2-1:
결과는 화합물 3, 화합물 4, 화합물 7, 화합물 8 및 화합물 9에 대한 유도인자를 보여준다. 이러한 유도인자 값은 [표 2-1]에 나타나있다.
화합물 농도 유도인자
Cp3 10μM 30μM 100μM 30.12 27.27 25.84
Cp4 10μM 30μM 100μM 3.99 22.15 61.07
Cp7 10μM 30μM 100μM 36.48 50.37 37.84
Cp8 10μM 30μM 100μM 0.62 1.27 9.98
Cp9 10μM 30μM 100μM 2.11 5.00 28.19
이 결과는 화합물 3이 30μM 농도에서 최대 27배의 유도를 만들었고, 화합물 4는 100μM 농도에서 최대 유도인자 60, 30μM 농도에서 22 및 10μM 농도에서 4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화합물 7은 100μM에서 최대 유도인자 50을 갖는다. 화합물 9는 가장 높은 농도인 100μM에서 유도인자 28을 갖는다.
도 2-2:
이 결과는 화합물 11, 화합물 12, 화하물 13, 화합물 14 및 화합물 17의 유도인자를 보여준다. 이 유도인자 값은 [표 2-2]에 나타나있다.
화합물 농도 유도인자
Cp11 1μM 10μM 100μM 1.20 1.39 10.19
Cp12 1μM 10μM 100μM 1.12 8.45 22.54
Cp13 1μM 10μM 100μM 1.20 1.10 1.5
Cp14 1μM 10μM 100μM 1.25 1.36 1.38
Cp17 1μM 10μM 100μM 79.76 85.69 13.80
이 결과는 화합물 11이 100μM 농도에서 최대 10배의 유도를 하였고, 화합물 12는 100μM 농도에서 최대 유도인자 22, 30μM 농도에서 8 및 10μM 농도에서 1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화합물 13 및 14는 시험된 서로다른 농도에서 1.1 내지 1.5 사이에 포함되는 유도인자를 가졌다. 화합물 17은 10μM에서 최대 유도인자 85, 100μM에서 최소 유도인자 13.8을 보이며 시스템을 활성화하였다.
도 2-3:
이 결과는 화합물 19, 화합물 20, 화합물 21 및 화합물 22의 유도인자를 보여준다. 이 유도인자 값은 [표 2-3]에 나타나있다.
이 결과는 화합물 19가 10μM 농도에서 최대 15.6배의 유도를 하였고, 화합물 20는 10μM 농도에서 최대 유도인자 53을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화합물 21은 시험된 서로다른 농도에서 0.8 내지 22사이의 유도인자를 가졌다. 화합물 22는 10μM에서 최대 유도인자 50을 보이며 시스템을 활성화하였다.
화합물 농도 유도인자
Cp19 1μM 10μM 100μM 1.20 15.62 0.07
Cp20 1μM 10μM 100μM 21.50 53.45 1.22
Cp21 1μM 10μM 100μM 0.78 1.10 22.80
Cp22 1μM 10μM 100μM 2.40 49.49 2.73
도 2-4:
이 결과는 화합물 23, 24, 25, 26 및 29의 유도인자를 보여준다. 이 유도인자 값은 [표 2-4]에 나타나있다.
화합물 23은 10μM 농도에서 최대 유도인자 3.6을 갖고 화합물 24는 10μM 농도에서 최대 유도인자 11을 갖는다. 화합물 25는 시험농도에 따라 7 내지 21 사이의 유도인자를 가졌다. 화합물 26은 10μM에서 최대 유도인자 7.8을 보였고, 화합물 29는 1μM 및 10μM에서 각각 유도인자 28과 25를 보였다.
화합물 농도 유도인자
Cp23 1μM 10μM 100μM 1.55 3.67 0.12
Cp24 1μM 10μM 100μM 2.06 11.62 0.00
Cp25 1μM 10μM 100μM 13.48 21.03 7.01
Cp26 1μM 10μM 100μM 1.75 7.85 1.08
Cp29 1μM 10μM 100μM 28.36 25.26 0.27
도 2-5:
이 결과는 화합물 31과 화합물 33의 유도인자를 보여준다. 이 유도인자 값은 [표 2-5]에 나타나있다.
화합물 31은 10μM 농도에서 유도인자 15.5를 가지며 시스템을 활성화하였다. 화합물 33의 유도인자는 1μM, 10μM 및 100μM에서 각각 22, 44 및 77이었다.
화합물 농도 유도인자
Cp31 1μM 10μM 100μM 3.77 15.52 1.21
Cp33 1μM 10μM 100μM 22.05 44.52 77.62
도 2-6:
이 결과는 화합물 37, 38 및 41의 유도인자를 보여준다. 이 유도인자 값은 [표 2-6]에 나타나있다.
화합물 37, 38 및 41의 유도인자는 10μM 농도에서 각각 27, 22 및 31이었다.
이 결과는 시험된 발명 화합물이 PPARα리간드 활성을 보이며 따라서 이의 전사활성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보여준다.
화합물 농도 유도인자
Cp37 1μM 10μM 100μM 24.55 27.83 0.02
Cp38 1μM 10μM 100μM 14.70 22.22 0.311
Cp41 1μM 10μM 100μM 34.61 31.18 3.39
도 2-7: PPARγ/Gal4 전이활성 시스템에서 발명 화합물의 PPARγ효능제 성질의 평가
RK13 세포를 1, 10 및 100 μM 농도의 서로 다른 화합물과 24시간동안 항온배양하였다. 그 결과를 서로다른 처리 후 유도 인자(비처리 세포에 대한 발광신호)로 표현한다. 유도인자가 높을수록 PPARγ효능제 활성이 더 강하다.
도면에 있는 결과는 화합물 17, 화합물 33 및 화합물 29의 유도인자를 보여준다. 이 유도인자 값이 [표 2-7]에 나타나있다.
화합물 유도인자
Cp17 1μM 10μM 100μM 15.37 24.92 6.13
Cp33 1μM 10μM 100μM 15.65 33.90 45.58
Cp29 1μM 10μM 100μM 17.05 33.89 0.01
이 결과는 화합물 17이 10μM 농도에서 최대 유도인자 25를 갖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화합물 33은 100μM 에서 최대 유도인자 45.6을 가지며 화합물 29는 10μM 에서 33.9를 갖는다.
이 결과는 시험된 발명 화합물이 PPARγ리간드 활성을 보이며 따라서 이의 전사활성화를 가능하게 한다는 보여준다.
도 3-1, 3-2, 3-3, 3-4: 화합물 7 및 화합물 17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에 대한 영향 평가
도 3-1, 3-2, 3-3, 3-4는 Apo E2/E2 유전자전이 마우스에 화합물 7 및 17을 투여한 경우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이의 영향을 보여준다. 200mg/kg 용량의 화합물을 7일 동안 동물들에서 튜브를 통해(gavage) 투여하였다.
도 3-1 및 3-2는 화합물 7 및 17에 의해 유도된 혈장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를 보여준다.
도 3-3 및 3-4는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평가한 리포파티클에 분포된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을 보여준다. 전형적인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의 분포는 원칙적으로 대형 크기의 리포파티클에서 관찰된다. 또한 화합물 7 및 17 처리는 상기 리포파트클 소분획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킨다.
도 3-5, 3-6, 3-7, 3-8:
도 3-5, 3-6, 3-7 및 3-8은 Apo E2/E2 유전자전이 마우스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33 및 41이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50mg/kg 용량의 서로 다른 화합물을 8일 동안 동물에게 투여하였다. 도 5-1 및 5-2는 화합물 33 및 41에 의해 유도된 혈장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 농도의 저하를 보여준다.
도 3-11 및 3-12는 배제 크로마토그래피로 평가한 리포파티클내 분포된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을 보여준다. 화합물 33 및 41 영향에 의한 리포파트클 소분획내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의 감소가 관찰될 뿐 아니라, 전형적인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의 분포가 원칙적으로 대형 크기의 리포파티클에서 관찰된다.
후술되는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양태 및 잇점이 명백할 것이며, 이 실시예는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닌 예시목적으로 주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 화합물들은 하기 개략된 일반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되었다.
본 발명의 일반적인 합성 방법에 대한 설명: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4
일반 방법 1:
산성매질에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의 제조:
케톤(1당량)과 알데히드(1당량)를 기체상 염산으로 포화된 에탄올 용액에 용해시켰다. 반응을 실온에서 6시간 교반하고 진공증발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1,3-디페닐프로프-2-엔-1-온을 정제하였다.
일반 방법 2:
염기성매질에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의 제조:
케톤(1당량)과 알데히드(1당량)를 수산화나트륨의 하이드로알콜산 용액(20당량)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교반하였다. 매질을 염산으로 pH=2로 산성화하였다.
반응매질을 증발시킨 후 침전 또는 고체/액체 추출에 의해 1,3-디페닐프로프-2-엔-1-온을 수득하였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프 또는 재결정화에 의해 정제하였다.
일반 방법 3:
소듐 에틸레이트 존재하에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의 합성:
무수에탄올에 소듐(1당량)을 용해하였다. 케톤(1당량)과 알데히드(1당량)를 부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동안 교반하고 2N 수산화나트륨(5당량)를 부가하였다. 혼합물을 100℃에서 12시간동안 방치하였다. 6N 수성 염산용액을 부가하여 반응매질을 산성화하였다. 진공증발에 의해 용매를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화에 의해 잔류물을 정제하였다.
페놀의 O-알킬화 및 티오페놀의 S-알킬화
일반 방법 4: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5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6
페놀(1당량)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켰다. 그 다음, 할로겐화 유도체(1 내지 10당량)와 포타슘 카보네이트(5당량)를 부가하였다. 반응매질을 환류하에 약 10시간 동안 활기차게 교반하였다. 여과로 염을 제거하였고, 용매와 과량의 시약을 진공증발로 제거하였으며,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로 예상 화합물을 정제하였 다.
t-부틸 에스테르의 산 가수분해:
일반 방법 5: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7
t-부틸 에스테르(1당량)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고,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당량)을 부가한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생성물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재결정화로 정제하였다.
본 발명의 화합물 합성에 사용되는 출발물질의 합성:
출발물질 1:
2'-하이드록시-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톡시)아세토페논: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8
Figure 112004062858232-pct00029
이 화합물은 2',4'-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및 에틸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1당량)로부터 앞서 전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이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참고문헌: US특허 3,629,290(1970), 피손스(Fisons) 제약
출발물질 2:
3-클로로페닐 아세테이트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0
3-클로로페닐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하였다. 트리에틸아민(1당량)과 무수아세트산(2당량)을 부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진공증발로 용매를 제거하였다. 증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넣어,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킨 후 용매를 진공증발로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5:5)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1
출발물질 3:
4'-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2
3-클로로페닐 아세테이트(출발물질 2)를 염화알루미늄(3당량)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200℃에서 1시간 가열하였다. 반응매질을 실온으로 냉각 후 얼음에 부었다. 수상을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 후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킨 다음 진공증발하였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5:5)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3
출발물질 4: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4
이 화합물은 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와 에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전술한 일반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5
출발물질 5:
3,5-디메틸옥시-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6
이 화합물은 3,5-디메틸옥시-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와 에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전술한 일반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8:2)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7
출발물질 6:
3,5-디메틸-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8
이 화합물은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와 에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전술한 일반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5:5)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39
출발물질 7:
3-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
Figure 112004062858232-pct00040
이 화합물은 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와 에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전술한 일반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출발물질 8: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티오벤즈알데하이드:
Figure 112004062858232-pct00042
4-메틸티오벤즈알데하이드(1당량)를 염화메틸렌에 용해하였고 용액을 0℃로 냉각하였다. 메타클로로퍼벤조산(1.5당량)을 소 분획으로 부가하였다. 반응 후에 박막 크로마토그래피를 하였다. 출발화합물의 완전한 소거를 위해서는 메타클로로퍼벤조산을 추가로 부가할 수 있다. 여과로 침전물을 제거하였다. 수산화칼슘(1.5당량)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다시 15분간 교반하였다. 여과로 고체를 제거하 고, 여과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염화메틸렌을 진공증발시켰다.
증발 잔류물을 무수아세트산에 넣고, 환류하에 30분간 가열한 후 증발건조시켰다. 잔류물을 메탄올/트리에틸아민 용액에 넣고, 실온에서 15분간 교반한 후, 용매를 진공증발시켰다. 유상 잔류물을 포화 수상 염화암포늄 용액에 담은 다음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유상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진공증발하였다.
생성된 4-멜캅토벤즈알데하이드 중간체를 더 이상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이를 일반 방법 4에 따라 알킬화하여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티오벤즈알데하이드를 수득하였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43
참고문헌: Young NR, Gauthier J Y., Coombs W.(1984). Tetrahedron Letters 25(17): 1753-1756.
출발물질 9: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아세토페논:
이 화합물은 4'-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에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전술한 일반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 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44
Figure 112004062858232-pct00045
출발물질 10:
3-브로모페닐 아세테이트:
Figure 112004062858232-pct00046
3-브로모페닐 아세테이트를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트리에틸아민(1당량)과 무수 아세트산(2당량)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증발로 제거하였다. 증발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에 담은 후 황산마그네슘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진공증발로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5:5)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47
출발물질 11:
2'-하이드록시-4'-브로모아세토페논
Figure 112004062858232-pct00048
3-브로모페닐 아세테이트(출발물질 10)를 염화알루미늄(3당량)과 혼합한 후 이 혼합물을 2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은매질을 실온으로 냉각한 다음 얼음에 부었다. 수상을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한 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켰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5:5)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49
출발물질 12: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티오아세토페논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0
4'-메틸티오아세토페논을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후 용액을 0℃로 냉각하였다. 메타클로로퍼벤조산(1.5당량)을 소분획으로 부가하였다. 반응 후 박막 크로마토그래피하였다. 출발물질이 모두 소거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추가량의 메타클로로벤조산을 부가할 수 있다. 침전물을 여과로 제거하였다. 수산화칼슘(1.5당량)을 부가한 후 혼합물을 15분간 다시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 제거하고, 여과물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염화메틸렌을 진공증발 제거하였다.
증발 잔류물을 무수아세트산에 담은 후 환류하에 30분간 가열하고 증발건조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트리에틸아민 용액에 담은후, 실온에서 15분간 교반하고, 용매를 진공증발로 제거하였다. 오일상 잔류물을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에 담 은 후 염화메틸렌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진공증발시켰다.
생성된 4-멜캅토아세토페논 중간체를 더 이상의 정제없이 사용하였다. 이를 일반방법 4에따라 알킬화하여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티오아세토페논을 수득하였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참고문헌: Young NR, Gauthier J Y., Coombs W.(1984). Tetrahedron Letters 25(17): 1753-1756.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1
본 발명 화합물의 합성에 사용된 중간체 화합물들의 제조
중간체 화합물 1: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2
이 화합물은 4-클로로아세토페논과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5:5)로 정제 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3
중간체 화합물 2: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4
이 화합물은 4'-메틸티오아세토페논과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8:2)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5
중간체 화합물 3:
1-[2-메톡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6
이 화합물은 2'-메톡시아세토페논과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8:2)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7
중간체 화합물 4: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8
이 화합물은 4-헥실옥시아세토페논과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예상 화합물이 반응매질에서 침전되었고 이를 건조시킨 후 더이상의 정제없이 후술되는 반응에 사용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59
중간체 화합물 5: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0
이 화합물은 4'-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3)과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톨루엔: 10)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1
중간체 화합물 6:
1-(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7-클로로-4H-1-벤조피란-4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2
이 화합물은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중간체 화합물 5)로부터 하기 방법에 따라 합성되었다: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을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킨 후, 요오드 결정을 부가하고, 혼합물을 환 류하에 10분간 방치하였다.
반응매질을 실온에서 가수분해시켰다. 침전물을 건조시킨 후 티오황산나트륨으로 세척한 후 물로 세척하였다.
염화메틸렌에 용해시킨 후 헵탄을 부가하여 침전시킴으로써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3
참고문헌: Doshi AG, S.P., Ghiya BJ(1986). Indian J Chem Sect B 25:759.
중간체 화합물 7:
1-[2-메틸옥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4
이 화합물은 4'-클로로-2'-메톡시아세토페논과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85:15)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5
중간체 화합물 8: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6
이 화합물은 4'-브로모아세토페논과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85:15)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7
중간체 화합물 9:
1-[4-헵틸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8
이 화합물은 4'-헵틸아세토페논과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85:15)로 정제 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69
본 발명 화합물들의 합성:
화합물 1:
1-[2-하이드록시-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0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톡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1)과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1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1
화합물 2: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2
이 화합물은 1-[2-하이드록시-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화합물 1)으로부터 후술되는 방법에 따라 합성되었다.
에탄올에 상기 에스테르를 용해시키고, 수성 1N 수산화나트륨 용액(5당량)을 부가한 후 혼합물을 환류하에 10시간 방치하였다. 매질에 12N 염산을 부가하여 산성화한 후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시킨 후 진공증발시켰다.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3
화합물 3: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4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4'-아세토페논과 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9)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5
화합물 4: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6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 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4)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7
화합물 5: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톡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8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3,5-디메틸옥시-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5)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 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79
화합물 6: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톡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0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4'-클로로아세토페논(출발물질 3)과 3,5-디메틸옥시-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5)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1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2
화합물 7: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톡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3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4'-클로로아세토페논(출발물질 3)과 3,5-디메틸옥시-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6)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4
화합물 8: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5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1)과 3,5-디브로모-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6
화합물 9:
1-[2-하이드록시페닐]-3-[3-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7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3-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7)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 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8
화합물 10: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89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1)과 3-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0
화합물 11: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1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3,5-디메틸-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6)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2
화합물 12: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3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1)과 4-메틸티오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4
화합물 13:
1-[2,4-디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5
이 화합물은 2',4'-디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로(출발물질 4)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4:66: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6
화합물 14: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7
이 화합물은 4'-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로(출발물질 4)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34:66: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8
화합물 15: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 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099
이 화합물은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중간체 화합물 1)과 이소프로필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0
화합물 16: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1
이 화합물은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 -1온(중간체 화합물 1)과 터부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17: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2
이 화합물은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화합물 16)으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5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8/2)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3
화합물 18: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 -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4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1)과 4-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아세테이트 9:1)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5
화합물 19: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6
이 화합물은 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과 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티오벤즈 알데하이드(출발물질 8)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7
화합물 20:
1-[4-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8
이 화합물은 4'-클로로-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3)과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티오벤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8)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 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09
화합물 21:
1-[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0
이 화합물은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 아세토페논(출발물질 9과 3,5-디메틸-4-하이드록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1
화합물 22:
1-[4-메틸티오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2
이 화합물은 4'-메틸티오아세토페논(출발물질 12)과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9)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3
화합물 23:
1-[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클로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4
이 화합물은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9)과 4-클로로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3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5
화합물 24:
1-[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6
이 화합물은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티오아세토페논(출발물질 12)과 4-메틸티오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3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 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7
화합물 25:
1-[2-하이드록시-4-브로모페닐]-3-[3,5-디메틸-4-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8
이 화합물은 4'-브로모-2'-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11)과 3,5-디메틸-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옥시벤즈알데하이드(출발물질 6)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19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0
화합물 26:
1-[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1
이 화합물은 4'-에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아세토페논(출발물질 9)과 4-메틸티오벤즈알데하이드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2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5:5) 후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2
화합물 27: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3
이 화합물은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중간체 화합물 2)과 터부틸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8/2)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28: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4
이 화합물은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중간체 화합물 2)과 이소프로필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5
화합물 29: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6
이 화합물은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화합물 28)으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5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8/2)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7
화합물 30:
1-[2-메톡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8
이 화합물은 1-[2-메톡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중간체 화합물 3)과 터부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31:
1-[2-메톡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29
이 화합물은 1-[2-메톡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화합물 30)으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5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8/2)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0
화합물 32: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1
이 화합물은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중간체 화합물 4)과 터부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5/5)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33: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2
이 화합물은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화합물 32)으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5에 따라 합성되었다.
메탄올중에서 재결정하여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3
화합물 34:
2-(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7-클로로-4H-1-벤조피란-4-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4
이 화합물은 2-(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7-클로로-4H-1-벤조피란-4-온(중간체 화합물 6)과 터부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디클로로메탄/헵탄 혼합 용매중에서 침전시켜 정제하였다.
화합물 35:
2-(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7-클로로-4H-1-벤조피란-4-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5
이 화합물은 2-(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7-클로로-4H-1-벤조피란-4-온(화합물 34)으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5에 따라 합성되었다.
분취용 HPLC(역상 RP18, 라이크로스퍼 12㎛, 전개:물/메탄올/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22:78:0.1)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6
화합물 36:
1-[2-메틸옥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7
이 화합물은 1-[2-메틸옥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디메 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중간체 화합물 7)과 터부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37:
1-[2-메틸옥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8
이 화합물은 1-[2-메톡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화합물 36)으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5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8/2)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39
화합물 38:
1-[4-헵틸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 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0
이 화합물은 1-[4-헵틸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중간체 화합물 9)과 터부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39:
1-[4-헵틸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1
이 화합물은 1-[4-헵틸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화합물 38)과 터부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8/2)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2
화합물 40: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3
이 화합물은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중간체 화합물 8)과 터부틸 브로모이소부티레이트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4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사이클로헥산/에틸 아세테이트 9/1)로 정제하였다.
화합물 41: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 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4
이 화합물은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화합물 40)으로부터 앞서 기술한 일반 방법 5에 따라 합성되었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디클로로메탄/메탄올 98/2)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5
화합물 42: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6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화합물 4; 1당량)을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켰다. 디클로로메틸메틸 에테르(3당량)를 부가한 후 혼합물을 환류하에 8시간 방치하였다. 용매와 과량의 시약을 진공증발로 제거하였다. 증발 잔류물을 이소프로판올(50당량)에 담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한 후 이소프로판올을 진공증발시켰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톨루엔/에틸 아세테이트 7:3)로 정제하였다.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7
실시예 2: 시험관내( in vitro ) PPAR 활성화에 대한 평가
시험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바대로 제조된 화합물들이다.
이상지질혈증(dyslipidemia)과 당뇨 치료를 위한 클리닉에서 널리 사용되는 두개의 주요약물군인 피브레이트와 글리타존에 의해 활성화되는 PPAR 아류의 핵 수용체들이 지질과 글루코스 항상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후술되는 실험 데이타는 본 발명의 화합물들이 시험관내 PPARα 및 PPARγ를 활성화시킨다는 것을 보여준다.
PPAR 활성화는, 시험관내 RK13 섬유모세포주에서 효모 gal4 전사인자의 DNA 결합영역과 서로다른 PPRA들의 리간들 결합영역으로 구성된 키메라의 전사 활성을 측정함으로써 시험되었다. 그 다음에 이러한 후자의 결과들은 후술되는 프로토콜에 따라 세포주에서 확증되었다:
실시예는 RK13 세포에 대해 주어진다.
a. 배양 프로토콜
RK13 세포는 ECACC(Proton Down, UK)으로부터 얻고, 10%(V/V) 태아 송아지 혈청, 100U/ml 페니실린(Gibco, Paisley, UK) 및 2mM L-글루타민(Gibco, Paisley, UK)으로 보충된 DMEM 배지에서 성장시켰다. 배양 배지를 이틀마다 바꾸었다. 세포는 37℃, 습도 95%공기/5%CO2 기압에 보관하였다.
b. 트랜스펙션(핵산전달감염)에 사용된 플라스미드에 대한 기술
플라미스미 pG5TkpGL3, pRL-CMV, pGal4-hPPARα, pGal4-hPPARγ 및 pGal4-φ가 문헌(Raspe, Madsen et al.(1999))에 기재되어 있다. pGal4-mPPARα 및 pGal4-hPPARγ구성은, 인간 PPARα 및 PPARγ핵 수용체의 DEF 영역에 상응하는 PCR-증폭 DNA 단편을 pGal4-φ 내로 클로닝시켜 수득하였다.
c. 트랜스펙션
RK13 세포를 24-웰 배양접시에 5x104 세포/웰로 접종하고, 2시간 동안 리포터 플라스미드 pG5TkpGL3(50ng/웰), 표현 벡터 pGal4-φ, pGal4-mPPARα, pGal4-hPPARα, pGal4-hPPARγ(100ng/웰) 및 트랜스펙션 효율 조절 벡터 pRL-CMV(1ng/웰)로 전술한 프로토콜(Raspe, Madsen et al. 1999)에 따라 트랜스펙션시킨 다음, 시험 화합물과 함께 36시간 동안 항온배양하였다. 실험 끝에, 세포를 절단(Gibco, Paisley, UK)하고 Dual-LuciferaseTM Reporter Assay System 키트(Promega, Madison, WI, USA)를 사용하여 전술한 공급자의설명서(Raspe, Madsen et al. 1999) 에 따라 루시퍼라아제 활성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로 처리되고 pGal4-hPPARα 플라스미드로 트랜스펙션된 세포에서 루시퍼라아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증명한다. 상기 루시퍼라아제 활성의 유도는 본 발명 화합물들이 PPARα 활성화제라는 것을 말해준다.
본 발명 화합물 3, 4, 7, 8, 9, 11, 12, 13, 14, 17, 19, 20, 21, 22, 23, 24, 25, 26, 29, 31, 33, 37, 38, 41의 PPARα활성화제 성질을 보여주는 도 2-1, 2-2, 2-3, 2-4, 2-5, 2-6에 결과가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의 화합물로 처리되고 pGal4-hPPARγ플라스미드로 트랜스펙션된 세포에서 루시퍼라아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증명한다. 상기 루시퍼라아제 활성의 유도는 본 발명 화합물들이 PPARγ활성화제라는 것을 말해준다.
본 발명 화합물 17, 33 및 29의 PPARγ활성화제 성질을 보여주는 도 2-7에 결과가 예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는, 각각 혈관 및 피부에 나타나는 죽상경화증 및 건선과 같은 질병을 치료하는 것이다. 이 두 병리는 만성 전신 염증과 비조절된 세포 증식(죽상경화증에서의 평활근세포 및 건선에서의 표피 각질세포의 경우)에 의해 특징된다. 이 두 병리에서는 염증반응의 전사인자에 의해 매개되는 염증 사이토킨들 NF-kB, AP-1 및 NFAT이 공통적으로 발현된다(Komuves, Hanley et al. 2000; Neve, Fruchart et al. 2000). NF-kB와 AP-1의 신호경로를 억제조절함으로써, PPARα는 인터루킨-6, 사이클로옥시게나아제-2 및 엔도텔린-1을 코딩하는 유전자와 같은 염증반응에 관계된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고 따라서 단핵구와 발포성 세포가 죽상병 소로 이동하는 것을 방해한다.
실시예 3: 생체내(in vivo) 지질대사에 대한 영향 평가
시험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바대로 제조된 화합물들이다. 산업화세계의 사망률과 이환률의 한 주요 원인이 되는 죽상경화증이 진전중인 이상지질혈증을 치료하는 클리닉에서 널리 사용되는 피브레이트는, 지질 수송(Apo AI, Apo AII 및 Apo CIII와 같은 아포지질단백질, FAT와 같은 막 수송제) 및 이화작용(ACO, CPT-I 및 CPT-II)에 관계된 유전자들의 발현을 조절하는 PPARα핵 수용체에 대한 강한 활성화제이다. 인간 및 설치류에서, PPARα활성화제의 처리는 따라서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의 혈중순환농도의 감소를 가져온다.
후술되는 프로토콜은 혈중순환 콜레스테롤 및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의 감소 및 심혈관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 맥락에서의 본 발명 화합물에 대한 중요성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다.
a) 동물의 치료
Apo E2/E2 유전자전이 마우스를 20±3℃의 항온에서 12시간의 명/암 사이클에 두었따. 1주일 적용한 후, 마우스 무게를 측정한 후 체중이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6마리씩의 그룹으로 분리하였다. 시험화합물을 카복시메틸셀룰로오스에 현탁시켜 지시된 용량으로 1일 1회 7-8일간 위내투여로 투여하였다. 동물들은 음식과 물에 자유로이 접근가능 하였다. 실험끝에, 동물들 체중을 측정한 후 마취치사시켰다. 혈액을 EDTA에 수거하였다. 3000rpm으로 20분동안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제조하였다. 간 샘플을 취하여 다음의 분석을 위해 액체질소에 냉동보관하였다.
b) 혈장지질 및 아포지질단백질 측정
혈장 지질 농도(총 콜레스테롤 및 유리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인지질)를 색채검정(Boehringer, Manheim, Germany)에 의해 제공자의 설명서에 따라 측정하였다. 아포단백질 AI, AII 및 CIII의 혈청 농도를 전술한 바대로(Raspe et al. J. Lipid Res. 40, 2099-2110, 1999, Asset G et al., Lipids, 34, 39-44, 1999) 측정하였다.
트리글리세라이드 및 콜레스테롤 대사에 미치는 본 발명 화합물 7, 17, 29, 33 및 41의 활성을 보여주는 도 3-1, 3-2, 3-3, 3-4, 3-5, 3-6, 3-7, 3-8, 3-9, 3-10, 3-11 및 3-12에 이 결과가 예시되어 있다.
c) RNA 분석
전술한 프로토콜(Raspe et al. J. Lipid Res. 40, 2099-2110, 1999)에 따라 구아니딘 티오시아네이트/산 페놀/클로로포름 혼합물로 간 샘플로부터 추출에 의해 총 RNA를 분리하였다. 라이트 사이클러 패스트 스타트 DNA 매스터 사이브르 그린 I 키트(Hoffman-La Roche, Basel, Switzerland)를 이용하여 라이트 사이클러 시스템(Hoffman-La Roche, Basel, Switzerland)에서 정량 RT-PCR에 의해 메신저 RNA를 정량하였다. 유전자 ACO, Apo CIII 및 Apo AII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쌍을 프로브로 사용하였다. 유전자 36B4, β-락틴 및 사이클로필린에 특이적인 프라이머쌍을 조절 프로브로 사용하였다. 다르게는, 전술한 프로토콜(Raspe et al. J. Lipid Res. 40, 2099-2110, 1999)에 따라 노던 블랏 또는 닷 블랏에 의해 총 RNA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 화합물의 항산화 성질의 평가
본 발명의 특히 유리한 양태는 산화적 스트레스에서 본 발명 조성물에 사용된 화합물의 고유 항산화 성질의 역할에 의해 보여진다. PPARα효능제 성질과 항산화 성질 사이의 원래의 연관성은 세포의 산화환원 상태의 변화와 관련된 병리를 치료하는 효과적인 수단을 제공한다. 이 설명은 특히 유리 라디칼이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알쯔하이머 질환과 같은 병리에 적용된다.
알쯔하이머 질환 환자에서는, 산화상태가 뇌세포에서 변형된다. 유리 라디칼은 따라서 지질과산화 뿐 아니라 단백질 및 핵산(DNA/RNA)의 산화를 유발한다. 상기 산화는 생체분자의 생물학적 성질을 변경시켜 신경변성으로 유도한다(Butterfield, Drake et al. 2001). NF-kB는 세포의 산화환원 상태에 민감한 것으로 알려진 전사인자이다. 따라서, 염증의 타겟 유전자의 활성을 허용하기 때문에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에 밀접하게 관계한다(Butterfield, Drake et al. 2001). 본 발명 조성물에 사용된 화합물은 따라서 NF-kB 경로의 활성화를, 유리 라디칼에 의한 이의 활성화를 억제하는 것(항산화제) 및 이의 전사 활성을 방지하는 것(PPARα효능제)의 서로다른 두가지 수준으로 방지하는 원래의 성질을 갖는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노화의 영향에 항거하는 수단을 제공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유리 라디칼이 피부홍반 및 주름생성에서부터 피부암(기저세포 및 편평상피 세포암종 및 흑색종)과 같은 보다 심각한 병리에 이르는 질병 병인론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UV-유도성 광노화에 대한 새로운 항거 수단을 제공한다.
대사가 유리 라디칼 생성의 기저에 있으나, 흥분성 이온화 방사(자외선) 또 는 염증성 매개자(사이토킨), 화학요법약물 및 온열요법과 같은 환경인자가 유리 라디칼종의 강력한 활성화제이고 세포의 산화환원 균형의 불균형을 낳는다. 스트레스가 심각하면, 세포의 생존은 그 적응능력, 스트레스에 저항하는 능력 및 손상된 분자를 퇴화시키는 능력에 달려있다. 노화동안, 세포가 산화적 공격에 대해 적절히 자신을 방어하는 능력이 중요하고, 또한 이러한 공격에 저항하는 세포 능력의 증가는 노화 영향의 발현에 항거하는 해결책을 제시하고 조직의 수명 증가를 촉진하게 된다.
태양복사는 체내 특정 분자의 조성을 바꿀수 있다. UVB가 신체에 대한 태양의 해로운 효과의 유일한 원인으로 오래동안 간주되었다. 현재는 UVA 방사가 직접적인 해로운 효과를 갖는것으로 알려져있으나 무엇보다도 이는 UVB의 효과를 증폭시킨다. 종종 해로운 방식으로 그러나 또한 이로운 방식으로, 변화에 취약한 주요 분자들은 다음과 같다:
- DNA로, 이때 UVB 작용에 의해 티민 이량체가 형성될 수 있다. 비록 DNA는 UVA는 흡수하지 않으나, UVA는 유전물질에 손상을 입혀서 돌연변이성으로 만들수 있다. 제로더마 피그멘토섬(Xeroderma pigmentosum)과 같은 병리는 - 이는 DNA 쌍 대사의 변화 또는 부재때문인데- 기저 각질세포의 암 발전에 걸리기 쉽게 만든다.
- 단백질로, 이때 이의 공간구조가 변한다. 이런 방식으로 여러 단백질이 불활성화될 수 있다: 효소, 트랜스포터, 이온 채널, 세포골격 단백질, 수용체. 상기 변화는 UVA 또는 UVB 방사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 지질로, UVA-유도성 과산화를 겪을 수 있는데 이 과산화는 지방산 불포화 도에 비례한다.
후술되는 프로토콜은 산화적 스트레스와 관련된 질환을 예방 및/또는 치료하기 위한 본 발명 조성물에 사용되는 화합물들의 고유한 항산화 성질을 보이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1. 구리에 의한 LDL 산화 방지
시험에 사용된 본 발명 화합물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바대로 제조된 화합물들이다.
LDL 산화는 중요한 변화이고 죽상경화증의 생성과 진전에 유력한 역할을 한다(Jurgens, Hoff et al. 1987). 후술하는 프로토콜은 화합물들의 항산화 성질을 보여줄 수 있다.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시약은 시그마(St Quentin, France)로부터 입수하였다.
Lebeau et al.(Lebeau, Furman et al. 2000)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LDL을 제조하였다.
시험 화합물 용액을 중탄산염 완충액(pH 9)중 10-2M 농도로 제조하고 PBS에서 희석하여 총 에탄올 농도 1%(V/V)에 대해 최종 농도가 0.1 내지 100μM을 수득하였다.
산화전에, 투석에 의해 LDL 제제로부터 EDTA를 제거하였다. 그 다음 30℃에서 16.6μM CuSO4 100㎕를 160㎕ LDL 및 시험화합물 20㎕에 부가하여 산화를 일으켰다. 디엔의 형성, 관찰하의 종류들의 형성 후 구리 존재하에 또는 부재하에 화 합물로 처리한 샘플에서 234nm에서의 광밀도를 측정하였다. 정온 분광광도계(Tecan Ultra 380)에서 8시간 동안 매 10분마다 234nm에서의 광밀도를 측정하였다.
삼중분석하였다. 화합물들은 이들이 더 긴 지체기를 유도할때 그리고 산화율과 대조군 샘플에 비해 형성된 디엔량을 감소시킬 때 항산화 활성을 갖는것으로 간주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본 발명 화합물이 고유의 항산화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전술한 항산화 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증명한다. 도 1, 2 및 3은 화합물 2 및 5의 항산화 성질을 보여주는 결과예를 제공한다.
본 발명 화합물 2, 3, 4, 5, 6, 7, 8, 9, 10, 14, 17, 18, 19, 21, 22, 25, 29, 31, 33, 35, 37, 38 및 41의 항산화 성질을 보여주는 도 1-1, 1-2, 1-3, 1-4, 1-5, 1-6, 1-7, 1-8, 1-9, 1-10, 1-11, 1-12, 1-13 및 1-14에 결과가 주어져 있다.
2. 지질과산화에 대한 본 발명 화합물의 보호효과에 대한 평가
시험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전술한 실시예에 기재된 바대로 제조된 화합물들이다. TBARS 방법에 의해 LDL 산화를 측정하였따. 앞서 기술한 바와 동일한 원리에 따라, CuSO4로 LDL을 산화시키고 지질과산화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측정하였다:
분광광도계법으로 TBARS를 측정하고, 요오드화물의 요오드로의 지질-의존성산화를 이용하여 지질과산화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말론디알데하이드(MDA)의 nmol 또는 과산화수소 nmol/단백질 mg으로 표현한다. 컨쥬게이트된 디엔 형성의 억제를 측정함으로써 수득한 이전의 결과가 과산화지질 측정에 의해 확증된다.
참고목록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8
Figure 112004062858232-pct00149

Claims (37)

  1.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지지체내에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 이의 광학이성체 및 기하 이성체, 라세미체, 토우토머, 염, 수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죽상경화증, 알러지, 천식, 습진, 건선, 소양증,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당뇨, 비만,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60057179-pct00150
    (식중,
    X1은 할로겐 또는 -R1 그룹 또는 식 -G1-R1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2는 수소원자, 티오니트로소 그룹, 하이드록시 그룹, 알킬카보닐옥시 그룹, 비치환된 알킬옥시 그룹, 티올 그룹, 알킬티오 그룹 또는 알킬카보닐티오 그룹을 나타내고, X2는 또한 2-페닐-4H-1-벤조피란-4-온 형태의 유도체 또는 2-페닐-4H-1-벤조티오피란-4-온 형태의 유도체를 형성하기 위해 프로펜 사슬의 3번 탄소에 결합된 산소 또는 황 원자일 수 있고,
    X3는 -R3 그룹 또는 식 -G3-R3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4는 할로겐, 티오니트로소 그룹,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5는 -R5 그룹 또는 식 -G5-R5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6은 산소원자이고,
    R1, R3, R4, R5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수소원자, 또는 이하에서 정의되는 그룹 1 또는 그룹 2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그룹이고,
    G1, G3, G4, G5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상기 X1, X3, X4 또는 X5 그룹 중 적어도 하나는 식 -G-R에 해당하고, G는 황 원자이며,
    상기 R1, R3, R4 또는 R5 그룹 중 적어도 하나는, 그룹 1 또는 그룹 2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함유하는 알킬 그룹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알킬 그룹은 고리에 직접 결합되거나 식 -GR에 따라 그룹 G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는 식 -COOR6에 해당하는 카복시 그룹 및 식 -CONR6R7에 해당하는 카바모일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그룹 2로부터의 치환기는 설폰산(-SO3H) 및 식 -SO2NR6R7에 해당하는 설폰아미드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6 및 R7은, 서로 상이 하거나 동일하게, 수소원자 또는 타입 1 또는 타입 2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 그룹이며,
    단,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X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이 -G1R1을 나타내며 여기서 G1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CH2COOH를 나타내는 화합물은 제외한다.)
  2.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지지체내에 하기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 이의 광학이성체 및 기하 이성체, 라세미체, 토우토머, 염, 수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죽상경화증, 알러지, 천식, 습진, 건선, 소양증, 알쯔하이머 질환, 파킨슨 질환, 당뇨, 비만, 및 암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9060057179-pct00184
    (식중,
    X1은 할로겐 또는 -R1 그룹 또는 식 -G1-R1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2는 수소원자, 티오니트로소 그룹, 하이드록시 그룹, 알킬카보닐옥시 그룹, 비치환된 알킬옥시 그룹, 티올 그룹, 알킬티오 그룹 또는 알킬카보닐티오 그룹을 나타내고, X2는 또한 2-페닐-4H-1-벤조티오피란-4-온 형태의 유도체를 형성하기 위해 프로펜 사슬의 3번 탄소에 결합된 황 원자일 수 있고,
    X3는 -R3 그룹 또는 식 -G3-R3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4는 할로겐, 티오니트로소 그룹,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5는 -R5 그룹 또는 식 -G5-R5에 해당하는 그룹을 나타내고,
    X6은 산소원자이고,
    R1, R3, R4, R5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수소원자, 또는 이하에서 정의되는 그룹 1 또는 그룹 2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은 알킬 그룹이고,
    G1, G3, G4, G5는,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산소원자 또는 황원자를 나타내고,
    상기 X1, X3, X4 또는 X5 그룹중 적어도 하나는 식 -G-R에 해당하고, G는 산소원자 또는 황 원자이며,
    상기 X3, X4 또는 X5 그룹 중 어느 것도 수소원자가 아니며,
    상기 R1, R3, R4 또는 R5 그룹중 적어도 하나는, 그룹 1 또는 그룹 2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치환기를 함유하는 알킬 그룹 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알킬 그룹은 고리에 직접 결합되거나 식 -GR에 따라 그룹 G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는 식 -COOR6에 해당하는 카복시 그룹 및 식 -CONR6R7에 해당하는 카바모일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그룹 2로부터의 치환기는 설폰산(-SO3H) 및 식 -SO2NR6R7에 해당하는 설폰아미드 그룹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R6 및 R7은, 서로 상이하거나 동일하게, 수소원자 또는 타입 1 또는 타입 2의 적어도 하나의 그룹에 의해 치환될 수 있는 알킬 그룹이며,
    단, 화학식 1로 표현되는 화합물 중 X2가 수소원자를 나타내고 X1이 -G1R1을 나타내며 여기서 G1은 산소원자를 나타내고 R1은 CH2COOH를 나타내는 화합물은 제외한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도체가 시스 또는 트랜스 구조 또는 이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X3, X4 및 X5 그룹중 어느 것도 수소원자가 아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X3, X4 및 X5 그룹중 하나 또는 두개가 수소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G1 그룹 및 G4 그룹이 모두 황원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2가 수소원자, 티오니트로소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 그룹 또는 알킬옥시 또는 티올 그룹 또는 알킬티오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4가 티오니트로소 그룹 또는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X2가 티오니트로소 그룹 또는 하이드록시 그룹 또는 알킬옥시 그룹 또는 티올 그룹 또는 알킬티오 그룹이며, G4 및 R4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1이 -R1 그룹 또는 식 -G1-R1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1은 그룹 1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1 및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1이 -G1-R1 그룹이고, G1 및 R1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1이 -G1-R1 그룹이고, G1이 산소원자이며, R1은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1이 -R1 그룹 또는 식 -G1-R1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1은 그룹 2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1 및 그룹 2로부터의 치환기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3이 -R3 그룹 또는 식 -G3-R3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3은 그룹 1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상기 G3 및 그룹 1 로부터의 치환기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3이 -R3 그룹 또는 식 -G3-R3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3은 그룹 2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3 및 그룹 2로부터의 치환기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4가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R4는 그룹 1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며, G4 및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4가 -G4-R4 그룹이고, G4 및 R4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4가 -G4-R4 그룹이고, G4가 산소원자이며, R4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4가 -G4-R4 그룹이고, G4는 산소원자이며, X3 또는 X5는 한편으로는 각각 R3 또는 -G3-R3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각각 R5 또는 -G5-R5이며, R3 및 R5는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를 갖는 알킬 그룹이고, R4, G3, G5 및 그룹 1로부터의 치환기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4가 -R4 그룹 또는 식 -G4-R4에 해당하는 그룹이고 상기 R4는 그룹 2의 일부인 치환기로 치환된 알킬 그룹이고, G4 및 그룹 2로부터의 치환기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1이 할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1, X3, X4 또는 X5가 OC(CH3)2COOR6이고, R6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1, X3, X4 또는 X5가 SC(CH3)2COOR6이고, R6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정의된 바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에톡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3-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3-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3-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3-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카복시디메틸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톡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톡시-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톡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톡시-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톡시-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4-디하이드록시-5-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4-디하이드록시-5-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페닐]-3-[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클로로-2-하이드록시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3,5-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메틸티오페닐]-3-[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카복시디메틸메틸티오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2-하이드록시-4-브로모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3-[4-메틸티오페닐]프로프-2-엔-1-온,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이소프로필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메톡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메톡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메틸옥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2-메틸옥시-4-클로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헵틸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헵틸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t-부틸옥시카보닐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2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하기 화합물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헥실옥시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1-[4-브로모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
  2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체는 1-[4-메틸티오페닐]-3-[3,5-디메틸-4-카복시디메틸메틸옥시페닐]프로프-2-엔-1-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KR1020047021625A 2002-07-08 2003-07-08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에 기초한조성물, 이의 제조 및 용도 KR100947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208570A FR2841784B1 (fr) 2002-07-08 2002-07-08 Composition a base de derives de 1,3-diphenylprop-2en-1-one substitues, preparation et utilisations
FR02/08570 2002-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9818A KR20050019818A (ko) 2005-03-03
KR100947907B1 true KR100947907B1 (ko) 2010-03-17

Family

ID=29725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1625A KR100947907B1 (ko) 2002-07-08 2003-07-08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에 기초한조성물, 이의 제조 및 용도

Country Status (24)

Country Link
US (3) US7632870B2 (ko)
EP (1) EP1519908B1 (ko)
JP (1) JP4907083B2 (ko)
KR (1) KR100947907B1 (ko)
CN (1) CN1688532B (ko)
AT (1) ATE364588T1 (ko)
AU (1) AU2003264699B2 (ko)
BR (1) BRPI0312399B8 (ko)
CA (1) CA2490993C (ko)
CY (1) CY1108051T1 (ko)
DE (1) DE60314420T2 (ko)
DK (1) DK1519908T3 (ko)
EA (1) EA012699B1 (ko)
ES (1) ES2287529T3 (ko)
FR (1) FR2841784B1 (ko)
IL (1) IL165454A (ko)
MX (1) MXPA05000425A (ko)
NO (1) NO334650B1 (ko)
NZ (1) NZ538052A (ko)
PL (1) PL207707B1 (ko)
PT (1) PT1519908E (ko)
SI (1) SI1519908T1 (ko)
WO (1) WO2004005243A2 (ko)
ZA (1) ZA200501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1900B1 (fr) 2002-07-08 2007-03-02 Genfit S A Nouveaux derives de 1,3-diphenylprop-2-en-1-one substitues, preparation et utilisations
FR2841784B1 (fr) 2002-07-08 2007-03-02 Composition a base de derives de 1,3-diphenylprop-2en-1-one substitues, preparation et utilisations
WO2005073184A1 (fr) * 2004-01-08 2005-08-11 Genfit Composes derives de 1,3-diphenylprop-2-en-1-on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EP1856085B1 (en) 2005-03-11 2015-07-08 Howard Florey Institute Pty Ltd Flavonoid compounds and uses thereof
HUE039731T2 (hu) * 2009-11-26 2019-01-28 Genfit l,3-difenilprop-2-én-l-on-származékok alkalmazása májbetegségek kezelésére
WO2011080276A1 (en) 2009-12-29 2011-07-07 Genfit Pharmaceutical combinations comprising a dpp-4 inhibitor and a 1,3-diphenylprop-2-en-1-one derivative
MX2013000391A (es) 2010-07-12 2013-03-08 Hoffmann La Roche 1-hidroxiimino-3-fenil-propanos.
KR20140054066A (ko) 2011-07-15 2014-05-08 뉴서트 사이언시스, 인크. 대사 경로 조절을 위한 조성물 및 방법
CA2851062A1 (en) * 2011-10-26 2013-05-02 F. Hoffmann-La Roche Ag 1-cycloalkyl- or 1-heterocyclyl-hydroxyimino-3-phenyl-propanes
US9198454B2 (en) 2012-03-08 2015-12-01 Nusirt Sciences, Inc. Compositions, methods, and kits for regulating energy metabolism
SG10201709195TA (en) 2012-11-13 2017-12-28 Nusirt 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increasing energy metabolism
TR201819042T4 (tr) * 2013-01-18 2019-01-21 Genfit Fibrozis ve kanserlerin tedavisine yönelik yöntemler.
JP6550370B2 (ja) 2013-03-15 2019-07-24 ニューサート サイエンシ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脂質レベルを低下させるロイシンおよびニコチン酸
CA2939833A1 (en) 2014-02-27 2015-09-03 Nusirt Sciences, Inc.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he reduction or prevention of hepatic steatosis
EP3416629A4 (en) 2016-02-16 2019-08-07 CoNCERT Pharmaceuticals, Inc. DEUTERATED GFT-505
BR112018069560A2 (pt) * 2016-03-30 2019-01-29 Genfit diagnóstico não-invasivo de esteato-hepatite não alcoólica
KR102598289B1 (ko) * 2016-04-16 2023-11-06 유니버시티 오브 플로리다 리서치 파운데이션, 인코포레이티드 바큘로바이러스 시스템-생산된 재조합 아데노-연관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효력을 증진시키는 방법
CN108658908B (zh) * 2017-07-31 2019-05-10 广州必贝特医药技术有限公司 1,3-二取代烯酮类化合物及其应用
CN109316601B (zh) * 2017-07-31 2021-11-09 武汉朗来科技发展有限公司 药物组合物及其用途
WO2019105234A1 (zh) 2017-11-30 2019-06-06 四川科伦博泰生物医药股份有限公司 芳香族化合物及其药物组合物和用途
WO2020025789A1 (en) 2018-08-03 2020-02-06 Genfit Elafibranor salts
US11634387B2 (en) 2019-09-26 2023-04-25 Abionyx Pharma Sa Compounds useful for treating liver diseases
AU2021219286A1 (en) 2020-02-10 2022-09-22 Genfit Polymorphs of elafibranor
WO2024029639A1 (ko) * 2022-08-02 2024-02-08 제이투에이치바이오텍 주식회사 3성분 프로드럭, 이의 약학적 조성물 및 의약 용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5655A (ja) * 1992-03-12 1993-10-05 Kanebo Ltd 紫外線吸収剤
JPH0753368A (ja) * 1993-08-11 1995-02-28 Bristol Myers Squibb Co 白金(ii)抗腫瘍剤の安定化溶液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8612A (en) * 1968-05-22 1971-01-26 Dow Chemical Co Substituted phenoxyacetic acids
CH593224A5 (ko) * 1973-10-30 1977-11-30 Taisho Pharmaceutical Co Ltd
US3994955A (en) * 1975-01-20 1976-11-30 G. D. Searle & Co. Substituted phenoxydialkylacetic acids and esters
JPS5278856A (en) * 1975-12-26 1977-07-02 Taisho Pharmaceut Co Ltd Preparation of chalcone ethers
US4190671A (en) * 1977-03-17 1980-02-26 Biorex Laboratories Limited Chalcone derivatives
JPS5419947A (en) * 1977-07-16 1979-02-15 Taisho Pharmaceut Co Ltd Chalcone derivatives
US4163859A (en) * 1977-07-18 1979-08-07 G. D. Searle & Co. Phenoxyldialkyl acetic acids and esters
GB8426424D0 (en) * 1984-10-19 1984-11-28 Biorex Laboratories Ltd Chalcone derivatives
JPS6310720A (ja) * 1986-07-01 1988-01-18 Nippon Kayaku Co Ltd 5−リポキシゲナ−ゼ阻害剤および抗アレルギ−剤
JPH023670A (ja) 1988-06-22 1990-01-09 Nippon Oil & Fats Co Ltd アルキルチオカルコン誘導体
JPH0742227B2 (ja) * 1988-11-25 1995-05-10 日本ハイポックス 腎臓疾患治療剤
US5731454A (en) * 1990-02-12 1998-03-24 Virginia Commonwealth University Allosteric modifiers of hemoglobin useful for decreasing oxygen affinity and preserving oxygen carrying capability of stored blood
US5705521A (en) * 1990-02-12 1998-01-06 The Center For Innovative Technology Use of allosteric hemoglobin modifiers in combination with radiation therapy to treat carcinogenic tumors
JPH0442229A (ja) * 1990-06-08 1992-02-12 Fujitsu Ltd レジスト材料およびパターンの形成方法
JPH06122623A (ja) * 1992-10-09 1994-05-06 Minofuaagen Seiyaku Honpo:Goushi 抗腫瘍剤
US5276058A (en) * 1993-06-09 1994-01-04 Nippon Hypox Laboratories Incorporated 3,4-dihydroxychalcone derivatives
DE4327365A1 (de) * 1993-08-14 1995-02-16 Boehringer Mannheim Gmbh Verwendung von Phenolen und Phenolderivaten als Arzneimittel mit fibrinogensenkender Wirkung
US5523302A (en) * 1993-11-24 1996-06-04 The Du Pont Merck Pharmaceutical Company Aromatic compounds containing basic and acidic termini useful as fibrinogen receptor antagonists
WO1998027970A2 (en) 1996-12-24 1998-07-02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Treatment of diseases or prevention of cellular damage caused by oxygen-containing free radicals
EP0947511A1 (en) * 1998-03-30 1999-10-06 F. Hoffmann-La Roche Ag Derivatives of phenoxy acetic acid and of phenoxymethyl tetrazole having antitumor activity
CN1327384A (zh) * 1998-10-20 2001-12-19 韩国科学技术研究院 作为血浆高密度脂蛋白浓度增高剂的生物类黄酮
KR100711537B1 (ko) * 2000-01-27 2007-04-27 다카라 바이오 가부시키가이샤 치료제
CN1447804A (zh) * 2000-06-20 2003-10-08 阿特罗吉尼克斯公司 1,3-二-(被取代的苯基)-2-丙烯-1-酮及其治疗vcam-1介导的疾病的用途
EP1254759B1 (de) 2001-05-03 2009-03-18 Leister Process Technologies Düse zum Schweissen von Kunststoffbahnen oder -folien
FR2841784B1 (fr) 2002-07-08 2007-03-02 Composition a base de derives de 1,3-diphenylprop-2en-1-one substitues, preparation et utilisations
FR2841900B1 (fr) 2002-07-08 2007-03-02 Genfit S A Nouveaux derives de 1,3-diphenylprop-2-en-1-one substitues, preparation et utilisations
FR2857361B1 (fr) * 2003-07-08 2005-09-09 Genfit S A PREPARATION DE DERIVES DE 1,3-DIPHENYPROP-2-¼n-1-o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55655A (ja) * 1992-03-12 1993-10-05 Kanebo Ltd 紫外線吸収剤
JPH0753368A (ja) * 1993-08-11 1995-02-28 Bristol Myers Squibb Co 白金(ii)抗腫瘍剤の安定化溶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461212B2 (en) 2013-06-11
IL165454A0 (en) 2006-01-15
IL165454A (en) 2012-12-31
EP1519908A2 (fr) 2005-04-06
PT1519908E (pt) 2007-09-04
DE60314420D1 (de) 2007-07-26
PL373465A1 (en) 2005-09-05
EA200500170A1 (ru) 2005-10-27
US20050171149A1 (en) 2005-08-04
BRPI0312399B8 (pt) 2021-05-25
SI1519908T1 (sl) 2007-08-31
PL207707B1 (pl) 2011-01-31
JP4907083B2 (ja) 2012-03-28
US7632870B2 (en) 2009-12-15
KR20050019818A (ko) 2005-03-03
CN1688532B (zh) 2012-07-11
ZA200501081B (en) 2007-04-25
WO2004005243A2 (fr) 2004-01-15
EA012699B1 (ru) 2009-12-30
MXPA05000425A (es) 2005-07-22
JP2005532386A (ja) 2005-10-27
US20100120909A1 (en) 2010-05-13
AU2003264699A1 (en) 2004-01-23
BRPI0312399B1 (pt) 2020-03-31
ES2287529T3 (es) 2007-12-16
NO20045082L (no) 2004-12-27
US8106097B2 (en) 2012-01-31
NO334650B1 (no) 2014-05-05
US20120129932A1 (en) 2012-05-24
DE60314420T2 (de) 2008-02-28
NZ538052A (en) 2007-09-28
EP1519908B1 (fr) 2007-06-13
CN1688532A (zh) 2005-10-26
AU2003264699B2 (en) 2009-09-24
BR0312399A (pt) 2005-04-12
ATE364588T1 (de) 2007-07-15
DK1519908T3 (da) 2007-10-15
CY1108051T1 (el) 2013-09-04
FR2841784B1 (fr) 2007-03-02
FR2841784A1 (fr) 2004-01-09
WO2004005243A3 (fr) 2004-04-22
CA2490993C (fr) 2012-09-18
CA2490993A1 (fr) 200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7907B1 (ko)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에 기초한조성물, 이의 제조 및 용도
KR100974577B1 (ko) 치환된 1,3-디페닐프로프-2-엔-1-온 유도체, 이의 제조 및용도
EP1701938B1 (fr) Composes derives de 1,3-diphenylprop-2-en-1-on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FR2864956A1 (fr) Compose derive de 1,3-diphenylprop-2-en-1-one, preparation et utilis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