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36412B1 -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 Google Patents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36412B1
KR100936412B1 KR1020070133801A KR20070133801A KR100936412B1 KR 100936412 B1 KR100936412 B1 KR 100936412B1 KR 1020070133801 A KR1020070133801 A KR 1020070133801A KR 20070133801 A KR20070133801 A KR 20070133801A KR 100936412 B1 KR100936412 B1 KR 1009364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housings
cam
pair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33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7191A (ko
Inventor
데츠야 시노자키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71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1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64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64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상태의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한 쌍의 하우징(10, 30)이 접속된 상태에서, 암형 하우징(10;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된 레버(20)가 두 위치, 즉 캠 팔로워(34)와 캠 홈(25)의 맞물림 위치와 방지부(36)와의 맞물림 위치에서 수형 하우징(30; 다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 두 분리 방지 위치는 암형 하우징(10)의 접속 및 분리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두 하우징(10, 30)이 서로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Description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A CONNECTOR OF THE MOVABLE MEMBER TYPE}
본 발명은 레버 타입의 커넥터(lever-type connector)와 같은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와, 그 접속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2006-156340은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하우징을 접속하는 레버 타입의 커넥터를 개시하고 있다. 이러한 레버 타입의 커넥터는, 레버가 암형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레버의 캠 홈과 맞물릴 수 있는 캠 팔로워가 수형 하우징에 설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두 하우징이 서로에 대해 약간 체결되 고 캠 팔로워가 캠 홈의 입구에 위치한 상태에서 레버가 회전하면, 두 하우징은, 캠 홈과 캠 팔로워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한 캠 작용에 의해 서로를 향해 당겨져 적절한 접속 상태에 도달한다.
이러한 유형의 레버 타입의 커넥터는, 하우징의 형상이 하우징의 접속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긴 경우에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강제 접속을 피하기 위하여 두 하우징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서로 접속되어 있는 하우징에 외력이 가해지면, 양 하우징은 상기 간극의 존재로 인하여 실질적으로 캠 팔로워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해 기울어진다. 그러한 기울어짐이 발생하면, 두 하우징은 하 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일단에서 떨어져서, 하우징의 단자 피팅의 접촉 상태가 불안정하게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개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속 상태의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서로 접속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하우징;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지지된 가동 부재;
하우징 중 다른 하우징에 설치되고, 가동 부재의 하나 이상의 캠 홈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캠 팔로워를 구비하고,
한 쌍의 하우징은, 가동 부재가 이동함에 따라 캠 홈과 캠 팔로워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한 캠 작용에 의해 접속 및 분리되거나, 그러한 접속 및 분리가 그러한 캠 작용에 의해 지원되며,
다른 하우징은, 한 쌍의 하우징의 접속 및 분리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캠 팔로워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의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로킹하도록 가동 부재와 맞물릴 수 있으며, 가동 부재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가동 부재가 다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방지부를 포함한다.
한 쌍의 하우징이 접속된 상태에서, 하나의 하우징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설치된 레버가 두 위치, 즉 캠 팔로워와 캠 홈의 맞물림 위치와 방지부와의 맞물림 위치에서 다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 두 분리 방지 위치는 한 쌍의 하우징의 접속 및 분리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두 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 타입의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서로 접속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하우징;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지지된 레버;
하우징 중 다른 하우징에 설치되고, 레버의 캠 홈과 맞물릴 수 있는 캠 팔로워를 구비하고,
한 쌍의 하우징은, 레버가 이동함에 따라 캠 홈과 캠 팔로워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한 캠 작용에 의해 접속 및 분리되며,
다른 하우징은, 한 쌍의 하우징의 접속 및 분리 방향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캠 팔로워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의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로킹하도록 레버와 맞물릴 수 있으며, 레버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레버가 다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방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하우징과 가동 부재는, 캠 팔로워가 캠 홈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되는 것이 허용되는 초기 위치에 가동 부재를 유지하기 위한 하 나 이상의 부분 로킹 수단을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방지부는, 캠 팔로워가 캠 홈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중에 한 쌍의 하우징의 접속 동작을 개시할 때에, 부분 로킹 수단과 접촉하도록 될 수 있는 그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동 부재는, 방지부를 부분 로킹 수단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부분 로킹 수단에 의하여 초기 위치에서 부분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하우징과 레버는, 캠 팔로워가 캠 홈 내로 도입되는 것이 허용되는 초기 위치에 레버를 유지하기 위한 부분 로킹 수단을 구비하고,
방지부는, 캠 팔로워가 캠 홈 내로 삽입되어 있는 중에 한 쌍의 하우징의 접속 동작을 개시할 때에, 부분 로킹 수단과 접촉하도록 될 수 있는 그러한 위치에 배치되며,
레버는, 방지부를 부분 로킹 수단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부분 로킹 수단에 의하여 초기 위치에서 부분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레버는 두 하우징을 접속하는 때에 캠 팔로워가 캠 홈 내로 도입되는 것이 허용되는 초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캠 팔로워는 두 하우징의 접속 동작이 개시될 때에 캠 홈 내로 확실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두 하우징의 접속 동작이 개시될 때에 초기 위치에서 레버를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하도록 방지부가 분리되기 때문에, 레버는 캠 팔로워가 캠 홈 내로 들어간 직후에 동작될 수 있 으며, 이에 따라 양호한 조작성을 제공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분 로킹 수단은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상의 부분 로킹 아암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한 쌍의 하우징의 접속 및 분리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캠 팔로워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한 쌍의 방지부가 설치된다.
가동 부재 또는 레버가 3 위치, 즉 한 쌍의 방지부 및 캠 팔로워에서 다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두 하우징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동 부재가 초기 위치를 향하여 복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된 접속 위치에서 가동 부재를 로킹하거나 위치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래치부가 제공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커넥터는, 하우징의 서로에 대한 상대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를 접속하거나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서로 접속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
하우징 중 하나의 하우징 상에 또는 그 내부에 가동 부재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계;
하우징 중 다른 하우징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캠 팔로워와 가동 부재의 하나 이상의 캠 홈을 맞물리게 하는 단계;
캠 홈과 캠 팔로워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하는 캠 작용에 의하여 가동 부재를 이동시켜, 한 쌍의 하우징을 접속 및/또는 분리하는 단계;
한 쌍의 하우징의 접속 및 분리 방향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캠 팔로워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다른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방지부를, 한 쌍의 하우징을 접속 상태로 로킹하도록 가동 부재와 맞물리게 하는 한편, 하나 이상의 방지부와 가동 부재의 맞물림에 의해 가동 부재가 다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방법은, 가동 부재와 하나의 하우징의 하나 이상의 부분 로킹 수단에 의하여, 캠 팔로워가 캠 홈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되는 것이 허용되는 초기 위치에 가동 부재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의 특징이 추가의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속 상태의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를 설명한다.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의 레버 타입의 커넥터(F)는, 서로 접속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암형 및 수형 하우징(10, 30)을 구비하고,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10)에, 그 상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그 내부에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20)가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한 하나의 하우징으로서의) 암형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전체적으로 횡방향[한 쌍의 하우징(10, 3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수직인 방향]으로 더욱 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블록의 형태이며, 암형 하우징(10)의 내측에는 수용 공간[11;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10)의 측방향의 (바람직하게는 상측) 벽을 따라 연장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 슬릿의 형태]이 구획되거나 형성되어 있다. 수용 공간(11)으로 인하여 암형 하우징의 후면(이면)에 개구가 형성되고, 레버(20)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용 공간(1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암형 단자 피팅(도시 생략)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및/또는 수평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암형 하우징(10)의 수용 공간(11) 아래에서 또는 그 부근에서 단자 수용부(12)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수용 공간(11)을 구획하는 측방향의 (상측 및/또는 하측) 벽 중에서, 하나의 벽(예컨대, 하측 벽)에는, 레버(20)를 접속 위치(CP)에 로킹하거나 위치 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래치부(13)와, 축선이 수직 방향으로 배향되어 있거나 또는 접 속 및 분리 방향(CSD)으로부터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배향되는 상태로 돌출하는 지지축(14)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부(13)는 바람직하게는 횡방향(TD)에 대하여 암형 하우징(10)의 측방향의 (우측) 단부에 또는 그 근처에 배치되고, 지지축(14)은 횡방향(TD)에 대하여 암형 하우징(10)의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암형 하우징(10)에는, 측방향의 (바람직하게는 상측) 벽을 절결하거나 오목하게 함으로써 절결부(15; cutout)와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방향의 (좌측 및/또는 우측) 안내 홈(16L, 16R)이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5)는 횡방향(TD)으로 지지축(14)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암형 하우징(10)의 전단[수용 공간(1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및 분리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쌍을 이루는 측방향의 (좌측 및/또는 우측) 안내 홈(16L, 16R)은 바람직하게는 절결부(15)의 측방향 양측(좌우)에 또는 그 근처에 횡방향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고, 절결부(15)와 유사하게 암형 하우징(10)의 전단[수용 공간(11)]으로부터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및 분리 방향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후방으로 연장한다. 절결부(15)와 안내 홈(16L, 16R) 양자는 수용 공간(11)의 내측을 암형 하우징(10)의 외측에 연통시킨다. 또한, 수용 공간(11) 내에서 좌측 안내 홈(16L)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바람직한 부분 로킹 수단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부분 로킹 부재(17)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20)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바람 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배치되거나, 또는 지지축(14)의 축선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플레이트 형태의 메인부(21)와, 메인부(21)의 외주 에지로부터 또는 그에 근접하게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메인부(21)보다 큰 두께를 갖는] 조작부(22)를 구비한다. 레버(20)를 접속 위치(CP)에 로킹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로크 아암(23)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크 부재가 상향으로 또는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 변형 변형 가능하게 조작부(22)에 설치되어 있다.
메인부(21)에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관통하는) 실질적으로 둥근 베어링 구멍(24)이 형성되어 있고, 레버(20)는 수용 공간(11)의 지지축(14)과 베어링 구멍(24)의 맞물림에 의하여 수용 공간(11)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메인부(21)의 대부분으로 지지된다. 그러한 레버(20)는 수직 방향으로 배향된 축선을 갖는 지지축(14)을 중심으로 초기 위치(IP;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6 참조)와 접속 위치(CP; 도 3 참조)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회전 가능하거나 피벗 가능하게) 유지된다. 메인부(21)에는 외주 에지로부터 베어링 구멍(24)을 향하여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아치 형상의 캠 홈(25)이 형성되어 있다. 달리 말하면, 캠 홈(25)은, 가동 부재가 두 하우징(10, 30)의 접속을 지원하거나 실행하도록 동작함에 따라, 가동 부재의 이동 경로에 교차하거나 및/또는 그에 점진적으로 근접하게 되는 연장부를 갖는다. 캠 홈(25)은 메인부(21)를 수직으로 관통하고, 메인부(21)의 외주 에지에서 캠 홈(25)의 개구는 캠 팔로워(34)의 도입을 허용하기 위한 입구로서 작용한다. 또한, 후술하는 수형 하우징(30)의 적어도 하나의 안내 리브(3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6)가 메인부(21)의 측방향의 (바람직하게는 상측) 면에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인부(21)에는 바람직하게는 외주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그 외주 에지를 따라서 연장하는 (바람직한 부분 로킹 수단으로서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외팔보 형상의) 부분 로킹 아암(27)이 형성되고, 이 부분 로킹 아암(27)은 메인부(21)의 외주 에지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부분 로킹 아암(27)의 외주 에지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베어링 구멍(24)과 실질적으로 동심의 아치 형상 또는 절곡된 형상을 가지며, 외주 에지로부터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돌기(28)가 부분 로킹 아암(27)의 선단에 또는 그 근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로 부분 로킹 아암(27)의 외주 에지와 연속하는 아치형 또는 절곡형 에지부가 메인부(21)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아치형 에지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형 수용부(29)가 형성되어 있다. 이 수용부(29)는 부분 로킹 아암(27)의 기단과 캠 홈(25)의 입구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한 다른 하우징으로서의) 수형 하우징(3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암형 하우징(10)과 전체적으로 유사하게 횡방향으로 길며, 단자 유지 벽(31)과 단자 유지 벽(31)[바람직하게는 그 외주 에지]으로부터 전방으로 [암형 하우징(10)을 향하여] 또는 단자 유지벽[바람직하게는 그 외주 에지]에 근접하게 돌출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장방형 튜브 형태의 리셉터 클(32)의 일체의 또는 단일의 조립체이며, 암형 하우징(10)은 리셉터클(3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될 수 있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복수 개의 수형 단자 피팅(33;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평탄한 Z 또는 L 형상으로 구부러짐)이 단자 유지 벽(31)을 통과하여 유지되고, 각 수형 단자 피팅(33) 중 하나 이상(바람직하게는 수평) 섹션이 리셉터클(3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리셉터클(32)의 측방향의 (바람직하게는 상측) 벽에 또는 그 상에는 횡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횡방향 중앙 위치)로부터 실질적으로 하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캠 팔로워(34)가 형성되어 있다. 캠 팔로워(34)는, 그 축선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하는 로드 형상 또는 원통 형상인 것이 실질적으로 바람직하다. 리셉터클(32)의 측방향 또는 외부의 (상측) 벽의 내면(하면)에는 전후 방향[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평행한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연장하는 안내 리브(35)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 리브(35)는 캠 팔로워(34)의 측방향 (좌측의) 측부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즉 암형 하우징(10)의 측방향 (우측) 안내 홈(16R)에 대응하도록 배치되고, 단자 유지 벽(31)으로부터 리셉터클(32)의 전단으로 또는 그 전단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리셉터클(32)의 상부 벽의 내면의 전단[리셉터클(32)의 개구에 근접한 단부]에는 전후 방향[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평행한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연장하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리브 형상의) 방지부(36)가 형성된다. 방지부(36)는 안 내 리브(35)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캠 팔로워(34)의 측부에 배치되어 있는데, 즉 암형 하우징(10)의 측방향 (좌측) 안내 홈(16L)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방지부(36)의 뒤에는 상부 벽으로부터의 돌기는 존재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기능에 대해서 설명한다.
두 하우징(10, 30)을 접속할 때에, 레버(20)는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위치(IP)에서 암형 하우징(10)에 유지된다. 레버(20)의 부분 로킹 아암(27)의 로킹 돌기(28)와 암형 하우징(10)의 부분 로킹 부재(17)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부분 로킹 구조가 바람직하게는 레버(20)를 유지하거나 위치 결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채택되며, 이러한 부분 로킹 수단에 의해 접속 위치(CP)를 향한 레버(20)의 변위(바람직하게는 회전 또는 피벗 운동)가 방지된다. 접속 위치(CP)와 반대측을 향한 (도 1의 시계 방향으로) 레버(20)의 변위(바람직하게는 회전 또는 피벗 운동)은 바람직하게는 도시 생략한 공지의 로킹 수단에 의해 방지된다. 레버(20)가 초기 위치(IP)에 있는 상태에서 캠 홈(25)의 입구는 절결부(15)에 실질적으로 마주하거나 대응하도록 위치하기 때문에, 캠 팔로워(34)는 캠 홈(25)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상태의 암형 하우징(10)이 리셉터클(32)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거나 삽입되면, 수형 하우징(30)의 안내 리브(35)와 암형 하우징(10)의 우측 안내 홈(16R)의 맞물림이 개시되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형 하우징(30)의 방지부(36)와 암형 하우징(10)의 좌측 안내 홈(16L)의 맞물림이 개시된다. 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동작이 진행됨에 따라, 캠 팔로워(3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결부(15)를 통하여 캠 홈(25)의 입구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고, 방지부(36)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 타이밍에) 부분 로킹 아암(27)의 선단에서 로킹 돌기(28)와 실질적으로 접촉하며, 이로써 부분 로킹 아암(27)을 실질적으로 메인부(21)를 향하여 탄성 변형시킨다. 이러한 부분 로킹 아암(27)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로킹 돌기(28)는 부분 로킹 부재(17)로부터 분리되어 레버(20)가 (도 1의 반시계 방향으로) 접속 위치(CP)를 향하여 변위(바람직하게는 회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그 후, 조작부(22)를 파지하거나 조작하여 초기 위치(IP) 또는 그에 근접한 위치의 가동 부재를 접속 위치(CP)로 또는 접속 위치를 향하여 변위시키거나 조작한다[바람직하게는 레버(20)를 회전시키거나 피벗시킨다]. 가동 부재가 조작됨에 따라[바람직하게는 레버(20)가 회전하거나 피벗됨에 따라], 두 하우징(10, 30)은 적어도 하나의 캠 홈(25)과 적어도 하나의 캠 팔로워(34)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한 캠 작용에 의해 서로를 향해 당겨진다(또는 이들의 접속이 지원된다). 가동 부재[바람직하게는 레버(20)]가 실질적으로 접속 위치(CP)에 도달한 때에, 두 하우징(10, 30)은 적절하게 접속된다. 접속 위치(CP)에 근접하게 위치 결정되거나 그 접속 위치로 회전한 레버(20)는 수용 공간(11)의 래치부(13)와 조작부(22)의 로크 아암(23)의 맞물림에 의해 초기 위치(IP)를 향한 복귀 이동이 방지되고, 초기 위치(IP)와 반대측을 향한 변위 또는 회전은 바람직하게는 수용 공간(11)의 개방 에지와 조작부(22)의 돌기(22a)의 접촉에 의해 방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레 버(20)는 접속 위치(CP)에 위치 결정되거나 로킹된다.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에서,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20)의 수용부(29)는 수형 하우징(30)의 측부로부터 방지부(36)와 접촉하게 되고(맞물리게 되고), 이러한 접촉에 의하여 수형 하우징(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레버(20)의 이동이 방지된다. 수형 하우징(3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레버(20)의 이동은 캠 홈(25)과 캠 팔로워(34)의 맞물림에 의해서도 또한 방지된다. 여기서, 수용부(29)와 방지부(36)의 맞물림 위치와 캠 홈(25)과 캠 팔로워(34)의 맞물림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수직인 횡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있다. 이로 인하여, 두 하우징(10, 30)이 캠 팔로워(34)를 중심으로 서로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안내 리브(35)와 안내 홈(16R)이 맞물리기 때문에, 이러한 맞물림에 의하여 두 하우징(10, 30)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이 또한 방지된다.
두 하우징(10, 30)을 접속할 때에 바람직하게는 부분 로킹 수단[부분 로킹 아암(27)과 부분 로킹 부재(17)]에 의해, 캠 홈(25) 내로 캠 팔로워(34)의 적어도 부분적인 도입이 허용되는 초기 위치(IP)에 레버(20)가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캠 팔로워(34)는 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동작을 개시할 때에 캠 홈(25) 내로 확실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방지부(36)는, 캠 팔로워(34)가 캠 홈(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한 쌍의 하우징(10, 30)의 접속 동작이 개시될 때, 부분 로킹 아암(27)의 로킹 돌기(28)와 접촉할 수 있는 그러한 횡방향의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두 하우징(10, 30)의 접속 동작이 개시되면,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20)는 방지부(36)를 로킹 돌기(28)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초기 위치(IP)에서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된다. 달리 말하면, 캠 팔로워(34)가 캠 홈(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 직후에 가동 부재[바람직하게는 레버(20)]가 동작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양호하다.
따라서 접속 상태의 한 쌍의 하우징이 서로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하우징(10, 30)이 접속된 상태에서, 암형 하우징(10; 하나의 하우징)에 설치된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20)는 2 위치, 즉 캠 팔로워(34)와 캠 홈(25)의 맞물림 위치와 방지부(36)와의 맞물림 위치에서 수형 하우징(30; 다른 하우징)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들 두 분리 방지 위치는 암형 하우징(1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떨어져 있기 때문에, 두 하우징(10, 30)이 서로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이 방지된다.
<제2 실시예>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바람직하게는 레버 타입의 커넥터(B)는, 적절하게 접속된 상태의 두 하우징(10, 50)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 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에 있어서 제1 실시예와 상이하다. 다른 구성은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거나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의 구조, 기능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하지 않는다.
암형 하우징(10)에 설치된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40)의 메인부(21)에는 제1 실시예의 수용부(29)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수용부(41)와, 리세스(26)의 내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제2 수용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제1 및 제2 수용부(41, 42)는, 초기 위치(IP)로부터 접속 위치(CP)에 이르는 가동 범위(바람직하게는 회전 가능한 범위)에서 레버(40)가 위치하는 위치에 상관없이 횡방향[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지지축(14)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위치한다.
수형 하우징(50)의 리셉터클(32)의 상부벽에는 [바람직하게는 제1 실시예의 방지부(36)와 유사하거나 동일한 형상을 갖는] 제1 방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32)의 상부벽에는, 횡방향으로 제1 실시예의 안내 리브(35)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고 안내 리브(35)보다 짧은 제2 방지부(52)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제2 방지부(52)는 바람직하게는 리셉터클(32)의 전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전후 방향에 대하여 단자 유지벽(31)의 앞에서 종료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거나, 및/또는 제2 방지부(52)의 뒤에 상부벽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존재하지 않는다. 제1 방지부(51)의 전단과 제2 방지부(52)의 전단은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있지만, 제2 방지부(52)의 후단은 제1 방지부(51)의 후단에 대 하여 변위되어 있다(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에 위치하고 있다). 달리 말하면, 제2 방지부(52)는 바람직하게는 전후 방향으로 제1 방지부(51)보다 길다.
가동 부재[바람직하게는 레버(40)]를 조작함으로써 두 하우징(10, 50)이 적절하게 접속된 때에(또는 이러한 접속이 적절하게 지원되는 때에), 레버(40)의 제1 수용부(41)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50)의 측부로부터 수형 하우징(50)의 제1 방지부(51)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수형 하우징(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레버(40)의 이동을 방지한다. 또한, 레버(40)의 제2 수용부(42)는 수형 하우징(50)의 측부로부터 수형 하우징(50)의 제2 방지부(52)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수형 하우징(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레버(40)의 이동을 방지한다. 수형 하우징(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레버(40)의 이동은 캠 홈(25)과 캠 팔로워(34)의 맞물림에 의해 방지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수용부(41)와 제1 방지부(51)의 맞물림 위치와 제2 수용부(42)와 제2 방지부(52)의 맞물림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횡방향으로 캠 팔로워(34)의 실질적으로 양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레버(40)가 3 위치, 즉 제1 방지부(51), 제2 방지부(52) 및 캠 팔로워(34)에서 수형 하우징(5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바람직하게는 이들 3 위치는 횡방향[두 하우징(10, 5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수직인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상이한 위치이다. 따라서 캠 팔로워(34)를 중심으로 두 하우징(10, 50)이 서로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다음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또한 포함된다.
(1) 레버가 수형 하우징에 지지될 수도 있다.
(2) 레버는 단일의 플레이트로 한정되지 않으며, 한 쌍의 아암부가 조작부에 의해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3) 바람직한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는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 직선 이동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또는 변위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다.
(4) 방지부는 레버를 초기 위치에서 부분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하는 기능을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두 수형 및 암형 하우징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2는 두 하우징의 접속 작업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3은 두 하우징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4는 레버가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암형 하우징의 평면도이고,
도 5는 레버가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암형 하우징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레버가 초기 위치에 배치된 상태의 암형 하우징의 측면도이고,
도 7은 수형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수형 하우징의 수직 단면도이고,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두 수형 및 암형 하우징의 분리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10은 두 하우징의 접속 작업의 중간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11은 두 하우징의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수평 단면도이고,
도 12는 수형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레버 타입의 커넥터
10 : 암형 하우징(하나의 하우징)
17 : 부분 로킹 부재(부분 로킹 수단)
20 : 레버
25 : 캠 홈
27 : 부분 로킹 아암(부분 로킹 수단)
30 : 수형 하우징(다른 하우징)
34 : 캠 팔로워
36 : 방지부
B : 레버 타입의 커넥터
40 : 레버
50 : 수형 하우징(다른 하우징)
51 : 제1 방지부
52 : 제2 방지부

Claims (10)

  1.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A; B)로서,
    서로 접속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하우징(10, 30; 50);
    상기 하우징(10, 30; 50) 중 하나의 하우징(10) 상에 또는 그 내부에 지지된 가동 부재(20; 40);
    상기 하우징(10, 30; 50) 중 다른 하우징(30; 50)에 설치되고, 상기 가동 부재(20; 40)의 하나 이상의 캠 홈(25)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캠 팔로워(34)
    를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은, 가동 부재(20; 40)가 이동함에 따라 캠 홈(25)과 캠 팔로워(34)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한 캠 작용에 의해 접속 및 분리되거나, 그러한 접속 및 분리가 상기 캠 작용에 의해 지원되며,
    상기 다른 하우징(30; 50)은 하나 이상의 방지부(36; 51)를 포함하고,
    상기 방지부(36; 51)는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과는 다른 각도의 방향으로 캠 팔로워(34; cam follower)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을 접속 상태로 로킹하도록 가동 부재(20; 40)와 맞물릴 수 있으며, 가동 부재(20; 40)와의 맞물림에 의하여 가동 부재(20; 40)가 상기 다른 하우징(30; 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의 하우징(10)의 가동 부재(20; 40)가 상기 캠 팔로워(34)와 상기 캠 홈(25)의 맞물림 위치 및 상기 방지부(36; 51)와의 맞물림 위치에서 상기 다른 하우징(30; 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의 경사를 방지하는 것인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하우징(10)과 가동 부재(20; 40)는, 캠 팔로워(34)가 캠 홈(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되는 것이 허용되는 초기 위치(IP)에 가동 부재(20; 40)를 유지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부분 로킹 수단(17; 27)을 구비하는 것인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부(36; 51)는, 캠 팔로워(34)가 캠 홈(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있는 중에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의 접속 동작을 개시할 때에, 상기 부분 로킹 수단(17; 27)과 접촉하도록 될 수 있는 그러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인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20; 40)는, 방지부(36; 51)를 부분 로킹 수단(17; 21)에 접촉하게 함으로써 부분 로킹 수단(17; 27)에 의하여 초기 위치(IP)에서 부분 로킹 상태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것인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로킹 수단(17; 27)은 외팔보 형상의 부분 로킹 아암(27)을 포함하는 것인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 5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으로 캠 팔로 워(34)의 양측에 한 쌍의 방지부(51, 52)가 설치되는 것인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7.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20; 40)가 초기 위치(IP)를 향하여 복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이 접속된 접속 위치(CP)에서 가동 부재(20; 40)를 로킹하거나 위치 결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래치부(13; latching portion)가 제공되는 것인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 30; 50)의 서로에 대한 상대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안내 수단(16, 35)을 더 포함하는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9.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A; B)를 접속하는 접속 방법으로서,
    서로 접속 및 분리 가능한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10, 30; 50) 중 하나의 하우징(10) 상에 또는 그 내부에 가동 부재(20; 40)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단계;
    상기 하우징(10, 30; 50) 중 다른 하우징(30; 50)에 설치된 하나 이상의 캠 팔로워(34)와 상기 가동 부재(20; 40)의 하나 이상의 캠 홈(25)을 맞물리게 하는 단계;
    상기 캠 홈(25)과 캠 팔로워(34)의 맞물림에 의해 발생하는 캠 작용에 의하여 상기 가동 부재(20; 40)를 이동시켜, 상기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을 접속하는 단계;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대하여 0도 또는 180도 이외의 각도의 방향으로 캠 팔로워(34; cam follower)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된 상기 다른 하우징(30; 50)의 하나 이상의 방지부(36; 51)를, 한 쌍의 하우징(10, 30; 50)을 접속 상태로 로킹하도록 가동 부재(20; 40)와 맞물리게 하는 한편, 하나 이상의 방지부(36; 51)와 가동 부재(20; 40)의 맞물림에 의해 가동 부재(20; 40)가 상기 다른 하우징(30; 5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의 접속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20; 40)와 하나의 하우징(10)의 하나 이상의 부분 로킹 수단(17; 27)에 의하여, 캠 팔로워(34)가 캠 홈(25)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입되는 것이 허용되는 초기 위치(IP)에 가동 부재(20; 40)를 유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의 접속 방법.
KR1020070133801A 2006-12-19 2007-12-18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KR1009364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0979 2006-12-19
JP2006340979A JP5029872B2 (ja) 2006-12-19 2006-12-19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191A KR20080057191A (ko) 2008-06-24
KR100936412B1 true KR100936412B1 (ko) 2010-01-12

Family

ID=39106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33801A KR100936412B1 (ko) 2006-12-19 2007-12-18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76116B2 (ko)
EP (1) EP1936756B1 (ko)
JP (1) JP5029872B2 (ko)
KR (1) KR100936412B1 (ko)
CN (1) CN101242050B (ko)
DE (1) DE602007012197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18119A (ja) * 2007-03-02 2008-09-1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1071015A (ja) * 2009-09-28 2011-04-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57340B2 (ja) * 2009-12-02 2013-08-0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293627B2 (ja) * 2010-02-01 2013-09-18 日立電線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07960B2 (ja) * 2010-03-17 2014-02-0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2109174A (ja) * 2010-11-19 2012-06-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5072871A (ja) * 2013-10-04 2015-04-1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979498B2 (ja) * 2013-10-29 2016-08-2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6006726A (ja) * 2014-06-20 2016-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6006725A (ja) * 2014-06-20 2016-01-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16051633A (ja) * 2014-09-01 2016-04-1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053743B2 (ja) * 2014-11-04 2016-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付きコネクタ
KR200488514Y1 (ko) * 2014-12-30 2019-02-1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레버타입 커넥터
JP6296357B2 (ja) * 2015-01-14 2018-03-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付きコネクタ
JP6332074B2 (ja) * 2015-02-16 2018-05-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299628B2 (ja) * 2015-03-05 2018-03-28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607403B2 (ja) * 2016-06-17 2019-11-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11258220B2 (en) * 2017-12-13 2022-02-22 Merry Electronics (Shenzhen) Co., Ltd. Positioning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device
JP6927108B2 (ja) * 2018-03-23 2021-08-25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7480717B2 (ja) * 2021-01-21 2024-05-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2154811A (ja) * 2021-03-30 2022-10-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310A (ja) * 2001-12-13 2003-07-11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
JP2004164933A (ja) * 2002-11-11 2004-06-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7539A (en) * 1992-07-13 1995-06-27 Sumitomo Wiring Systems, Ltd. Lever type connector
JP2916574B2 (ja) 1994-07-06 1999-07-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係合装置
US5888081A (en) * 1996-08-08 1999-03-30 Sumitomo Wiring Systems Inc. Lever connector
JP3308860B2 (ja) * 1997-07-02 2002-07-2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2000036357A (ja) * 1998-07-16 2000-02-02 Tokai Rika Co Ltd プラグイン結合構造
JP3829615B2 (ja) * 2000-10-31 2006-10-04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82135B2 (ja) * 2001-07-06 2007-0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87737B2 (ja) * 2002-02-26 2007-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28479B2 (ja) * 2002-05-23 2007-06-13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001113B2 (ja) * 2004-01-14 2007-10-31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492493B2 (ja) 2004-11-05 2010-06-3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7090518B1 (en) * 2005-05-17 2006-08-15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US7396240B2 (en) * 2006-04-05 2008-07-08 J.S.T.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ocking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7310A (ja) * 2001-12-13 2003-07-11 Tyco Electronics Corp 電気コネクタ
JP2004164933A (ja) * 2002-11-11 2004-06-10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6756B1 (en) 2011-01-26
DE602007012197D1 (de) 2011-03-10
EP1936756A1 (en) 2008-06-25
US7476116B2 (en) 2009-01-13
US20080146067A1 (en) 2008-06-19
KR20080057191A (ko) 2008-06-24
JP5029872B2 (ja) 2012-09-19
CN101242050A (zh) 2008-08-13
JP2008153102A (ja) 2008-07-03
CN101242050B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6412B1 (ko)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KR100933261B1 (ko)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접속 방법
EP1734619B1 (en) A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of the movable member type
JP6667965B2 (ja) コネクタ
JP4688113B2 (ja) コネクタ位置保証装置を有するレバー嵌合型コネクタ組立体
KR100740853B1 (ko) 커넥터와 커넥터 조립 방법
JP439578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0899828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7445474B2 (en) Lever-type connector and lever-type connector assembly
KR20050057269A (ko) 전기 커넥터
JP2007173164A (ja) コネクタ
KR101411202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EP3764480B1 (en) Lever-type connector
JP2003249304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22190466A (ja) コネクタ装置
EP0660451B1 (en) Connector
JP5136363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208948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EP3764482B1 (en) Lever-type connector
US20230396021A1 (en) Lever-type connector
KR101543526B1 (ko) 레버식 커넥터
JP2003249311A (ja) 分割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