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9828B1 -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9828B1
KR100899828B1 KR1020070021005A KR20070021005A KR100899828B1 KR 100899828 B1 KR100899828 B1 KR 100899828B1 KR 1020070021005 A KR1020070021005 A KR 1020070021005A KR 20070021005 A KR20070021005 A KR 20070021005A KR 100899828 B1 KR100899828 B1 KR 1008998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housing
cam member
assembly
type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0831A (ko
Inventor
유키히로 후카츠
히로시 시마하타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08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08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98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98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55Pivoting lever comprising supplementary/additional locking mean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레버의 분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개선하면서 레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는 데에 있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1)에는 레버 수용 공간(21)이 형성된다. 한쌍의 지지샤프트(34)가 레버 수용 공간(21)의 상부 및 하부 내면에서부터 동축으로 돌출하여, 그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면서 서로 대면하며, 레버(3)에는 장착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3)의 조립시에, 지지샤프트(34)는 이 지지샤프트(34) 사이의 틈새를 강제로 넓히면서 장착 구멍(27) 안에 끼워지며, 이에 의해 레버(3)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지지샤프트(34) 사이의 틈새는 조립 방향에 있어서 입구측에서 넓고 출구측에서 좁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 중의 저항을 최대로 억제하면서 레버의 분리를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레버, 커넥터, 틈새, 지지샤프트, 전선, 단자 피팅

Description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A LEVER-TYPE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도 1은 레버가 대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레버가 연결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은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레버의 조립 구조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7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정면도이고,
도 8은 수형 커넥터 하우징의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레버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레버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암형 커넥터 하우징(하우징)
2 : 수형 커넥터 하우징(대응 하우징)
3 : 레버(가동 부재)
11 : 캠 핀(대응 캠 부재)
12 : 캠 홈(캠 부재)
13 : 해제 리브
21 : 레버 수용 공간
24 : 회전 지지부
27 : 장착 구멍
34 : 지지샤프트
37 : 경사부
40 : 분리 방지면
본 발명은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레버 타입 커넥터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3-36932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과 암형 커넥터 하우징을 연결하는 레버가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된 포켓형 레버 수용 챔버 내에 수용된 상태로 조립된다. 이 레버 수용 챔버는 내벽과 외벽으로 이루어진 이중벽 구조를 갖는다. 레버는 레버 수용 챔버 내로 단부면측에서부터 밀어 넣고, 레버 수용 챔버 안으로 돌출하는 지지샤프트를 레버를 관통하는 장착 구멍 안으로 끼워 넣음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조립된다.
지지샤프트를 레버의 장착 구멍 안에 끼워 넣기 위해, 지지샤프트는 레버의 조립에 필요한 틈새(레버의 두께에 상응)를 제공하도록 돌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 올려져야 한다. 이를 위해, 틈새를 넓히기 위한 변형으로부터 초래되는 반작용력으로 인해, 레버의 조립에는 큰 조작력이 필요하다. 틈새는 조작력을 감소시키도록 단순히 폭이 크도록 설정될 수도 있지만, 이는 레버가 수용 챔버로부터 쉽게 빠지게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레버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조립 중의 조작력을 감소시키기는 쉽지 않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견지에서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레버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조립중에 작업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독립 청구항의 특징부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 타입 커넥터로서,
대응 하우징에 연결할 수 있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에 또는 그 하우징상에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게 제공되고, 적어도 한쪽 표면 내에 또는 표면상에 캠 부재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 캠 부재가 상기 대응 하우징 내에 또는 그 대응 하우징 상에 마련된 대응 캠 부재와 맞물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대응 하우징을 연결시키거나 그 연결을 보조하는 캠 작용을 구현할 수 있는 레버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레버의 조립시에는 넓혀질 수 있고 레버의 조립후에는 좁아지는 틈새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회전 지지부가 레버를 실질적으로 그 두께 방향으로 유지함으로써 레버의 회전 또는 피벗 운동의 중심부를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틈새는 레버의 조립 방향에 있어서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을 향해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가 제공된다.
따라서, 레버의 주변 가장자리부는 레버가 하우징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될 때에 회전 지지부의 틈새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 때, 틈새는 넓혀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레버의 조립이 허용되며, 그 후에는 좁아지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회전 지지부가 레버의 회전 또는 피벗 운동의 실질적으로 중심부를 유지함으로써 레버를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게 지지한다. 레버의 조립이 완료된 경우, 회전 지지부의 틈새는 조립 방향에 있어서 입구측에서보다는 출구측에서 더 좁게 된다. 이는 레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반대로, 틈새는 입구측에서 더 넓기 때문에, 레버의 조립 중의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또한 레버 타입 커넥터 조립체로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고 캠 홈이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레버와,
상기 제1 하우징에 연결할 수 있는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상에 형성되고, 상기 레버가 회전할 때에 캠 홈을 따라 안내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캠 핀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하우징에는 상기 레버의 조립시에는 넓혀질 수 있고 레버의 조립 후에는 좁아지는 틈새를 갖는 회전 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회전 지지부가 레버를 그 두께 방향으로 유지함으로써 레버의 회전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틈새는 레버의 조립 방향에 있어서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을 향해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레버 타입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따라서, 레버의 주변 가장자리부는 레버가 제1 하우징 안에 조립될 때에 회전 지지부의 틈새 안으로 밀어 넣어진다. 이 때, 틈새는 넓혀지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레버의 조립이 허용되며, 그 후에는 좁아지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적으로 복원되어 회전 지지부가 레버의 회전 중심부를 유지함으로써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레버의 조립이 완료된 경우, 회전 지지부의 틈새는 조립 방향에 있어서 입구측에서보다는 출구측에서 더 좁게 된다. 이는 레버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효과적이다. 반대로, 틈새는 입구측에서 더 넓기 때문에, 레버의 조립 중의 저항을 낮게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캠 부재는 조립 방향에 있어서 회전 중심부 앞에 배치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캠 부재의 특정의 (미리 정해지거나 정해질 수 있는) 길이 방향 영역이 레버를 하우징 안에 조립할 때에 실질적으로 레버의 조립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캠 홈이 조립 방향에 있어서 회전 중심부 앞에 배치되며, 특정의 길이 방향 영역이 레버를 제1 하우징 안에 조립할 때에 레버의 조립 방향으로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조립 시에, 레버는 주변 가장자리부에서부터 회전 운동의 중심부를 향해 틈새에 대해 점진적으로 이동한다. 전술한 바에 따라, 레버의 천공부 또는 얇게된 부분(캠 홈의 특정 길이 방향 영역)이 틈새를 통과하는 두께부의 길이를 가능한 한 많이 짧게 하기 위해 레버의 조립 선상에 실질적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레버의 조립 작업 중에 작업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레버는 장착 구멍을 형성하도록 실질적으로 회전 중심부에서 오목하게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 지지부는 하우징 내에서의 레버의 두께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여, 그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면서 장착 구멍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한쌍의 돌기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회전 지지부, 바람직하게는 돌기에는 하나 이상의 분리 방지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리 방지면은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대응 캠 부재에서부터 캠 부재로 힘이 가해져 조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를 다시 밀게 될 때에 장착 구멍의 벽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또, 더 바람직하게는, 레버는 장착 구멍을 형성하도록 회전 중심부에서 오목하게 되어 있고,
회전 지지부는 제1 하우징 내에서의 레버의 두께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그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면서 장착 구멍 안으로 끼워질 수 있는 한쌍의 돌기를 포함하며,
돌기에는 분리 방지면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리 방지면은 레버가 회전함에 따라 캠 핀에서부터 캠 홈으로 힘이 가해져 조립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를 다시 밀게 될 때에 장착 구멍의 벽과 접촉하게 된다.
분리 방향으로 레버를 변위시키려는 힘이 레버를 회전시킴으로써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 또는 분리하려할 때에 캠 핀에서부터 캠 홈의 벽으로 가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에 따라, 돌기에 형성된 분리 방지면이 레버의 장착 구멍의 벽과 접촉하게 된다. 이는 회전 조작 중에 제1 하우징에서부터 빠지려는 레버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부드러운 레버 조작이 보장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캠 부재는 캠 홈을 포함하며, 캠 홈의 입구는 바람직하게는 레버가 대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레버의 장착 구멍을 통과하는 대칭축선 상에 위치한다.
또, 더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탄성 잠금편이 대기 위치에서 레버를 유지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탄성 잠금편은 바람직하게는 캠 홈의 입구에 인접한 레버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가 대응 캠 부재의 폭방향 측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측)에서 돌출하며, 이 해제 리브는 대기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잠겨진 레버를 자유롭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바람직하게 는 실질적으로 커넥터 하우징을 대응 커넥터 하우징과 연결하는 방향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또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이와 연결할 수 있는 대응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특히 본 발명 또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레버 타입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하는 방법으로서,
제1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하우징 내에 또는 그 제1 하우징 상에, 캠 홈이 측면에 형성된 레버를 회전 가능하게 조립하는 단계와,
상기 제1 하우징과 연결할 수 있고 캠 핀이 형성된 제2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캠 핀이 캠 홈을 따라 안내되어,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을 연결하거나 이들의 연결을 보조하도록 레버를 회전 또는 피벗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조립 단계에서는 제1 하우징의 회전 지지부의 틈새가 넓어지고, 조립 후에는 좁아져, 회전 지지부가 레버를 그 두께 방향으로 유지함으로써 레버의 회전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틈새는 레버의 조립 방향에 있어서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을 향해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레버 타입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전술한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후술하는 바람직한 실시예 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을 고려할 때에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들이 개별적으로 설명하지만, 그 실시예들의 개개의 특징은 추가의 실시예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1)(바람직한 제1 하우징에 해당)과 수형 커넥터 하우징(2)(바람직한 제2 하우징에 해당)이 암형 커넥터 하우징(1) 내에 제공된 (바람직한 조작 부재로서의) 레버(3)에 의해 연결 방향(CD)을 따라 연결 및 분리되도록 (또는 그들의 연결 및 분리가 보조되도록) 되어 있다.
먼저, 수형 커넥터 하우징(2)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2)은,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일체 또는 단일체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개방된 전방측을 갖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튜브 형태의 리셉터클(6)이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 피팅(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단자 수용부(5) 앞에 형성되어 있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캐비티(cavity)(7)가 단자 수용부(5)를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내에 하나 이상의 해당 수형 단자 피팅(4)이 삽입측에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에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종의 수형 단자 피팅(4)이 장착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종의 캐비티(7)가 배치되어 있다. 각 캐비티(7)에는 잠금부(8)가 대응하는 수형 단자 피팅(4)과 맞물려 이를 유지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게 마련되어 있다. 수형 단자 피 팅(4)은 바람직하게는 전선에 장착된 (바람직한 방유성(fluidproof) 탄성 플러그로서의) 방수 고무 플러그(9)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는 그에 연결되게 크림핑되며, 방수 고무 플러그(9)가 각 캐비티(7)의 내벽면과 밀접하게 접촉함으로써 전선과 캐비티(7)의 벽면 사이가 밀봉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10)가 바람직하게는 잠금부(8)를 위한 변형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가도록 (바람직하게는 전방에서부터) 단자 수용부(5)(바람직하게는 이 단자 수용부의 전방 단부측) 내에 장착되어, 잠금부(8)가 수형 단자 피팅(4)에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리테이너는 예를 들면 비(非)방수형 커넥터의 경우에 측부 삽입형일 수도 있고, 예를 들면 유체 밀봉성이 필요치 않은 경우에는 완전히 생략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캠 핀(11)이 리셉터클(6)의 측면(상부면)의 폭방향 중간 위치(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중앙 위치)의 바람직하게는 전방 단부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돌출한다. 캠 핀(11)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이며, 선단부에서 또는 그 근방에서 둘레의 적어도 일부를 따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둘레를 따라 플랜지 가장자리(11A)가 팽창되어 나온다. 이 플랜지 가장자리(11A)는 캠 핀(11)이 후술하는 캠 홈(12) 내에서 변위하는 동안에 캠 홈(12)의 실질적으로 양측 가장자리와 맞물린다. 또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해제 리브(13)가 캠 핀(11)의 폭방향 측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방향 양측)에서 돌출한다. 해제 리브(13)(바람직하게는 2개의 모두)는 대기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잠겨진 레 버(3)를 자유롭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실질적으로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2)의 연결 방향(CD)으로 연장한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1)은 예를 들면 합성 수지재로 일체 또는 단일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캐비티(14)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된 내측 관형부(15)를 포함한다. 이들 캐비티(14)는 수형 커넥터 하우징(2)의 캐비티(7)만큼 많은 수의 다수 종의 캐비티(14)로서 이루어지며, 각 캐비티(14)는 암형 단자 피팅(17)과 맞물리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비티(14) 내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잠금부(16)를 구비한다. 각 암형 단지 피팅(17)은 수형 단자 피팅(4)에 연결하기 위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튜브부(17A)와 이 (직사각형의) 튜브부(17A) 뒤에 연속적으로 마련되어 전선(A)에 연결되는 (바람직하게는 전선에 연결되게 크림핑, 굴곡 또는 절곡되는) 전선 연결부[바람직하게는 배럴부(17B)를 포함]로 이루어진다. 방수 고무 플러그(18)(방유성 탄성 플러그)가 배럴부(17B)의 뒤에 또는 그에 인접하여 전선의 절연 피복상에 장착되어, 방수 고무 플러그(18)의 외주면이 캐비티(14)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밀접하게 접촉함으로써 전선과 캐비티(14)의 내면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진다. 리테이너(19)(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컵 형상)가 내측 관형부(15)의 전방 단부상에 또는 그 전방 단부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방에서부터 장착될 수 있고, 잠금부(16)의 탄성 변형은 리테이너(19)의 선단부가 잠금부(16)를 위한 변형 공간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감으로써 방지될 수 있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2)의 리셉터클(6)은 전술한 내측 관형부(15)와 외측 관 형부(20) 사이의 틈새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고무 또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밀봉 링(22)(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관형)이 내측 관형부(15)의 외주면상에 또는 그 외주면에 바람직하게는 내측 관형부(15)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부 근방)에서 장착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3개의 립(lip)이 밀봉 링(2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리셉터클(6)의 내주면과 실질적으로 밀접하게 접촉하게 되며, 이에 의해 암형 커넥터 하우징(1)과 수형 커넥터 하우징(2) 간에 밀봉이 이루어진다.
레버(3)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레버 수용 공간(21)이 외측 관형부(20)의 측부(바람직하게는 상측)에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 수용 공간(21)은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뚫려 있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컷아웃(cutout)(23)이 외측 관형부(20)의 레버 수용 공간(21)의 내면(바람직하게는 하부면)의 전방측에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어, 레버 수용 공간(21)이 외측 관형부(20)의 내부 공간과 실질적으로 연통하게 된다. 암형 커넥터 하우징(1)과 수형 커넥터 하우징(2)의 연결 시에, 캠 핀(11) 및 2개의 해제 리브(13)는 모두 컷아웃(23)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위될 수 있다. 또, 레버(3)를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 지지부(24)가 레버 수용 공간(21)에 또는 그 내에 형성되어 있다. 이 회전 지지부(24)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레버(3)에 대해 설명한다. 레버(3)는 예를 들면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치형 주변 가장자리를 갖는 메인 플레이트(25)를 포함한다. 후방 및/또는 반경 방향 외 측으로 약간 팽창된 조작부(26)가 메인 플레이트(25)의 후방 가장자리 또는 그 근방의 하나의 모서리부에 또는 그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레버(3)는 바람직하게는 위쪽이 아래로 가더라도 레버 수용 공간(21) 내에 장착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수직 대칭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레버(3)의 회전 방향은 커넥터의 설치된 상태 등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장착 자세에 무관하게, 레버(3)는 레버 수용 공간(21) 내에서 대기 위치(SP)와 연결 위치(CP)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대기 위치(SP)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1)과 수형 커넥터 하우징(2)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 초기에 있을 때에 캠 핀(11)이 레버(3)의 캠 홈(12) 안으로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수용될 수 있는 경우의 레버(3)의 위치이며, 연결 위치(CP)는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2)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질적으로 연결이 완료되어 있는 경우의 레버(3)의 위치이다.
장착 구멍(27)(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둥근 형상)이 메인 플레이트(25)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중앙에서 오목하게 하도록 또는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캠 홈(12)은 메인 플레이트(25)에서 장착 구멍(27) 앞(아치형 주변 가장자리에 근접하여)에 형성되어 있다. 캠 홈(12)은 메인 플레이트(25)의 아치형 주변 가장자리에 개방 단부를 갖고 있다. 이 개방 단부에서부터 장착 구멍(27)을 향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선으로 도입로(12A)가 연장되며, 이어서 캠 작용 통로(12B)가 도입로(12A)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소정 각도를 이루면서 메인 플레이트(25)의 주변 가장자리의 직선 구역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한다. 캠 작용 통로(12B)의 후단부는 장착 구멍(27)보다 약간 위쪽 위치에 위치한다. 레버(3)를 대 기 위치(SP)에 유지 또는 위치 설정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탄성 잠금편(28)이 바람직하게는 캠 홈(12)의 입구에 인접하여 메인 플레이트(25)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탄성 잠금편(28)은 바람직하게는 메인 플레이트(25)의 두께 방향(TD)을 따라 실질적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하여 각 탄성 잠금편(28)의 일단부는 결합되어 있고 타단부는 자유단을 이루는 외팔보 형태이며,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두께 방향(TD)]을 따라 탄성 변형될 수 있다. 하나의 탄성 잠금편(28)의 자유단은 레버(3)가 대기 위치(SP)에 있을 때에 그 레버(3)가 연결 위치(CP)를 향해 회전 또는 피벗 또는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레버 수용 공간(21)의 내벽면의 일부와 맞물려 있거나 맞물릴 수 있다. 또한, 탄성 잠금편(28)은 바람직하게는 레버(3)가 대기 위치(SP)에 있을 때에 수형 커넥터 하우징(2)의 대응 해제 리브(13)의 입구 통로상에 위치하며, 암형 및 수형 커넥터 하우징(1, 2)이 서로 약간 끼워진 경우, 해제 리브(13)에 의해 레버 수용 공간(21)의 내벽면에서부터 자동적으로 떨어진다.
조작부(26)에 인접하여 메인 플레이트(25)의 소정 위치에 잠금편(29)이 배치되어 있다. 이 잠금편(29)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조작부(26)를 향해 연장되는 외팔보 형태로서, 수직 방향[메인 플레이트(25)의 두께 방향(TD)]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잠금 돌기(30)가 잠금편(29)의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의 중앙부)에서 상측 및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레버(3)가 연결 위치(CP)에 있을 때에, 하나의 잠금 돌기(30)가 레버 수용 공간(21) 내에 실질적으로 대칭 위치에 형성된 한쌍의 복귀 방지부(31) 중 하나와 맞물리며, 이에 의해 레버(3)는 연결 위치(CP)에 유지 또는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메인 플레이트(25)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잠금편(29)의 전방 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 메인 플레이트(25)의 두께 방향(TD)에 대해 내측으로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하나 이상의 유지용 단차부(32)가 형성된다. 레버(3)가 대기 위치(SP)에 있을 때에, 하나의 유지용 단차부(32)는 대응하는 복귀 방지부(31)와 맞물려, 레버(3)가 대기 위치(SP)에 유지 또는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플레이트(25)의 상부면 및 하부면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캠 홈(12)의 캠 작용 통로(12B)의 중간 위치에서부터 장착 구멍(27)을 향해, 즉 실질적으로 캠 홈(12)의 도입로(12A)와 장착 구멍(27)을 연결하는 축선 상에서 오목하게 되어 있고, 이에 의해 탈출 홈(33)을 형성한다. 이러한 하나 이상의 탈출 홈(33)은 후술하는 지지샤프트(34)가 레버 수용 공간(21) 안에 레버(3)를 장착할 때에 장착 구멍(27)에 도달하기 전에 부분적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향 및 하향 기울기를 갖는 경사부(35)가 바람직하게는 장착 구멍(27)을 향한 각 탈출 홈(33)의 단부에 형성되어, 지지샤프트(34)가 메인 플레이트(25) 상으로 매끄럽게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레버(3)를 레버 수용 공간(2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할 때에 복귀 방지부(3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탈출 홈(36)이 유지용 단차부(21)의 약간 앞에서 메인 플레이트(25) 및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의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탈출 홈(36)은 오목하게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레버(3)의 조립 방향(AD)으로 형성되며, 복귀 방지부(31)가 메인 플레이트(25) 상으로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게 하는 하나 이상의 경사부(37)가 유지용 단차부(32)의 근방에서 탈출 홈(36)의 단부에 또는 그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나 이상의 오목부(38)가 조작부(36)의 실질적으로 반대측의 레버(3)의 후방 가장자리쪽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38)는 레버(3)가 레버 수용 공간(21) 내에 장착될 때에 대응하는 복구 방지부(31)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하나의 오목부(38)는 레버(3)가 연결 위치(CP)에 있을 때에 대응하는 복귀 방지부(31)와 맞물리며, 이에 의해 레버(3)는 연결 위치에 유지 또는 위치 설정될 수 있다.
레버 수용 공간(21)에 또는 그 내에 배치된 회전 지지부(24)는 바람직하게는 암형 커넥터 하우징(1)의 폭방향 중심선상에서 비교적 후방 위치에 위치한다. 레버 수용 공간(21)은 바람직하게는 폭방향 중심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가로로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 지지부(24)는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원통형) 지지샤프트(34)에 의해 형성되며, 이 지지샤프트(34)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레버 수용 공간(21)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서부터 동축으로 돌출한다. 두 지지샤프트(34)는 모두 장착 구멍(2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져, 전체 레버(3)가 지지샤프트(34)를 중심으로 회전 또는 피벗할 수 있게 한다. 레버 수용 공간(21) 안에 장착시에, 레버(3)는 레버 삽입측에서부터,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뒤에서부터 삽입되어, 실질적으로 그 플레이트 표면이 서로 수직으로 대향하는 한편, 지지샤프트(34) 사이의 틈새를 넓히도록 레버 수용 공간(21)을 강제적으로 변형시킨다. 지지샤프트(34)가 장착 구멍(27)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에, 지지샤프트(34)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귀하고, 레버(3)는 레버 수용 공간(21) 내에 적어 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하나 이상의 경사부(39)가 두 지지샤프트(34) 모두의 단부면에 형성되어, 지지샤프트(34)의 선단 사이의 틈새는 조립 방향(AD)(도 5에서 화살표 방향)을 따라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을 향해 점진적으로 좁아지게 된다. 입구측에서 지지샤프트(34) 사이의 틈새는 바람직하게는 레버(3)에 가해지는 조작력이 이전과 대략 동일하도록 설정되며, 출구측에서의 틈새는 조립시의 조작력을 고려하여 몰드의 몰드 핀의 충분한 강도를 보장하면서 최대로 좁도록 설정된다. 상측 및/또는 하측 지지샤프트(34)(바람직하게는 2개 모두)가 장착 구멍(27)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지지샤프트(34)의 외주면은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27)의 구멍 벽과 밀접하게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장착 구멍(27)의 벽과 실질적으로 접촉하여 레버(3)의 분리에 저항하는 지지샤프트(34)의 부분은 분리 방지면(40)으로서 기능을 한다.
이어서,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기능 및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 하우징(2)의 리셉터클(6)이 초기에 레버(3)가 대기 위치(SP)에 유지 또는 위치 설정된 상태로 암형 커넥터 하우징(1) 내에 가볍게 끼워진 경우, 캠 핀(11)은 캠 홈(12)의 도입로(12A)의 입구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들어간다. 이 때, 하나의 해제 리브(13)가 대응하는 탄성 잠금편(28)에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데, 이 탄성 잠금편(28)은 탄성 잠금편(28)과 레버 수용 공간(21)의 내벽면을 물림 해제시키도록 해제 리브(13) 상으로 이동함으로써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따라서, 레버(3)는 회전 방향(RD)(도 1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 전 또는 피벗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레버(3)가 지지샤프트(34)를 중심으로 회전 또는 피벗하도록 조작부(26)가 눌려지면, 레버(3)는 도 2에 도시한 연결 위치(CP)에 도달한다. 그 동안, 캠 핀(11)은 캠 홈(12)에 의해 안내되며, 이에 의해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2)의 연결 작업이 진행되거나 보조된다. 레버(3)가 실질적으로 연결 위치(CP)에 도달한 경우,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2)은 실질적으로 완전히 연결되며, 잠금편(29)의 하나의 잠금 돌기(29)는 레버(3)를 잠그도록 대응하는 복귀 방지부(31)와 맞물린다.
전술한 바와 반대로,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2)을 분리하는 경우, 조작부(26)를 잡고, 회전 방향(RD)에 대해 실질적으로 반대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벗시키는 한편, 잠금편(29)을 복귀 방지부(31)로부터 물림 해제되도록 아래쪽으로 누른다. 이 경우, 캠 핀(11)이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2)을 분리시키도록 (또는 그 분리를 보조하도록) 캠 홈(12)에 의해 안내된다.
레버(3)를 암형 커넥터 하우징(1) 안에 조립하는 경우, 레버(3)는 레버 수용 공간(21)의 삽입측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그 뒤에 위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버(3)는 레버 수용 공간(2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한편, 캠 홈(12)의 입구가 암형 커넥터 하우징(1)의 폭방향 중앙에 실질적으로 위치하고 캠 홈(12)의 도입로(12A)가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2)의 연결 방향(CD)을 따라 실질적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다. 이어서, 두 지지샤프트(34)는 모두 캠 홈(12)의 도입로(12A)를 따라 상대 이동하여, 탈출 홈(33)의 상향 경사부의 시작 지점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레버(3)가 강하게 눌려지는 경우, 레버(3)의 상부면 및/또는 하부면에서 탈출 홈(33)의 바닥면들 사이의 레버(3)의 부분은 그 자신을 2개의 지지샤프트(34) 사이에 밀어 넣는 한편, 지지사프트(34) 사이의 틈새를 수직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넓히게 된다. 지지샤프트(34)의 대면하는 표면들이 탈출 홈(33)의 바닥면을 통과하고, 장착 구멍(27)과 실질적으로 정렬될 때에, 지지샤프트(34)는 탄성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복원된다. 그 결과, 지지샤프트(34)는 전체 레버(3)를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게 장착하도록 장착 구멍(2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샤프트(34) 사이의 틈새는 바람직하게는 레버(3)의 조립 방향(AD)에 있어서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으로 가면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틈새의 입구측은 작업자의 누르는 작업에 부담을 주지 않을 정도로 넓게 설정되어 있고, 그 출구측은 몰드 핀의 최소 강도를 보장할 정도로 좁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레버(3)의 분리 방지 기능이 레버(3)의 조립 작업에 부담을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개선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 작업자의 부담은 또한 레버(3)의 조립 통로를 따라 캠 홈(12)의 도입로(12A)를 배치함으로써 장착 구멍(27)까지의 지지샤프트(34)의 이동 거리를 최대로 짧게 하여서 완화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3)가 2개의 커넥터 하우징(1, 2)을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벗될 때에, 캠 핀(11)은 캠 홈(12)의 내외측 가장자리 중 지지샤프트(34)에 보다 근접한 내측 가장자리를 향해 당겨지며, 이에 의해 그러한 홈의 가장자리에 누르는 힘이 가해진다. 이러한 누르는 힘은 레버(3)를 지지샤프 트(34)로부터 분리시키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분리 작업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레버(3)의 분리는 지지샤프트(34)의 분리 방지면(40)과 캠 핀(11)이 레버(3)의 분리 방향에 대해 0°또는 180°이외의 소정 각도를 이루는 방향으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분리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면접촉하기 때문에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전술한 설명에서 레버(3)가 대기 위치(SP)에서부터 연결 위치(CP)를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또는 피벗하도록 암형 커넥터 하우징(1) 내에 조립되지만, 레버(3)는 본 실시예에서 가로 방향으로 반대로 된 자세로 조립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레버(3)는 바람직하게는 수직 대칭으로 형성되며, 캠 홈(12)의 입구는 레버(3)가 대기 위치(SP)에 위치한 상태에서 레버(3)의 장착 구멍(27)을 통과하는 대칭 축선상에 위치하며, 및/또는 복귀 방지부(31) 및 해제 리브(13) 등의 하우징의 구조 또한 실질적으로 대칭으로 배치된다. 레버(3)를 가로 방향으로 반대로 된 자세로 조립할 수 있게 함으로써, 레버(3)의 조작 방향은 커넥터의 설치 환경에 따라 조작의 편리성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따라서, 레버의 분리를 방지하는 기능을 개선하면서 레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암형 커넥터 하우징(1)에는 레버 수용 공간(21)이 형성된다.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쌍의 지지샤프트(34)는 레버 수용 공간(21)의 상부 및/또는 하부 내면에서부터 실질적으로 동축으로 돌출하여, 그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면서 실질적으로 서로 대면하며, 레버(3)에는 적어도 하나의 장착 구멍(27)이 형성되어 있다. 레버(3)의 조립시에, 지지샤프트(34)는 이 지지샤프트(34) 사이의 틈새를 강 제로 넓히면서 장착 구멍(27) 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지며, 이에 의해 레버(3)가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게 유지된다. 지지샤프트(34) 사이에 틈새는 바람직하게는 조립 방향에 있어서 입구측에서 넓고 출구측에서 좁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 중의 저항을 최대로 억제하면서 레버의 분리를 강력하게 저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였고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다음의 실시예도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된다. 다음의 실시예 외에도, 청구 범위에 의해 정해진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1) 전술한 실시예에서 레버(3)에 장착 구멍(27)이 형성되고, 지지샤프트(34)가 레버(3)를 회전 또는 피벗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레버 수용 공간(21) 내에서 돌출하고 있지만, 돌기와 오목부의 관계는 반대로 이루어질 수 있는 데, 즉 지지샤프트(34)가 레버(3)로부터 돌출하며, 지지샤프트(34)를 수용하는 오목부가 레버 수용 공간(21)의 벽면에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 오목부가 형성된 벽면 사이의 틈새가 입구측에 넓게 이루어진다.
(2) 레버(3)는 하나의 플레이트로 형성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캠 홈(12)이 각각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를 조작부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전체적으로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3) 전술한 실시예에서, 레버 수용 공간의 상부 내면 및 하부 내면에 한쌍의 지지샤프트가 형성되지만, 상부면과 하부면 중 어느 하나에 하나의 지지샤프트가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버 타입 커넥터에 있어서, 레버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조립중에 작업자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0)

  1. 대응 하우징(2)에 연결할 수 있는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에 또는 그 하우징상에 회전하게 제공되고, 적어도 한쪽 표면에 캠 부재(12)가 형성되고 있으며, 이 캠 부재(12)가 상기 대응 하우징(2) 내에 또는 그 대응 하우징 상에 마련된 대응 캠 부재(11)와 맞물려, 상기 대응 하우징(2)과 상기 하우징(1)을 연결하거나 그 연결을 보조하는 캠 작용을 구현할 수 있는 레버(3)
    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에는 그 탄성에 의해 상기 레버(3)의 조립시에 넓어지고 레버(3)의 조립 후에 좁아지는 틈새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회전 지지부(24)가 형성되어 있어, 이 회전 지지부(24)가 레버(3)를 그 두께 방향(TD)으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레버(3)의 회전 중심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상기 틈새는 레버(3)의 조립 방향(AD)에 있어서 입구측에서부터 출구측을 향해 가면서 점진적으로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레버(3)는 장착 구멍(27)을 형성하도록 회전 중심부에서 오목하게 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 지지부(24)는 상기 하우징(1) 내에서 상기 레버(3)의 두께 방향(TD)으로 서로 대향하고, 그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면서 상기 장착 구멍(27)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적어도 한쌍의 돌기를 포함하는 것인 레버 타입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12)는 상기 조립 방향(AD)에 있어서 회전 중심부 앞에 배치되는 것인 레버 타입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12)의 도입로(12A)가 상기 레버(3)를 상기 하우징(1) 안에 조립할 때에 레버(3)의 조립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레버 타입 커넥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지지부(24)에는 하나 이상의 분리 방지면(40)이 형성되어 있고, 이 분리 방지면(40)은, 상기 레버(3)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대응 캠 부재(11)에서부터 상기 캠 부재(12)로 힘이 가해져 조립 방향(AD)과 반대 방향으로 레버(3)를 다시 밀게 될 때에, 상기 장착 구멍(27)의 벽과 접촉하게 되는 것인 레버 타입 커넥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캠 부재(12)는 캠 홈(12)이고, 이 캠 홈(12)의 입구는 상기 레버(3)가 대기 위치(SP)에 위치한 상태에서 레버(3)의 장착 구멍(27)을 통과하는 대칭축선 상에 위치하는 것인 레버 타입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탄성 잠금편(28)이 상기 레버(3)를 대기 위치(SP)에 유지하도록 마련되어 있고, 상기 탄성 잠금편(28)은 상기 캠 홈(12)의 입구에 인접한 상기 레버(3)의 소정 위치에 배치되는 것인 레버 타입 커넥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해제 리브(13)가 상기 대응 캠 부재(11)의 폭방향 측부에서 돌출하며, 상기 해제 리브(13)는 대기 상태에서 부분적으로 잠겨진 상기 레버(3)를 자유롭게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커넥터 하우징(1)과 대응 커넥터 하우징(2)의 연결 방향(CD)으로 연장되는 것인 레버 타입 커넥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레버 타입 커넥터와, 이에 연결될 수 있는 대응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는 레버 타입 커넥터 조립체.
KR1020070021005A 2006-03-02 2007-03-02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08998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56798 2006-03-02
JP2006056798A JP4497108B2 (ja) 2006-03-02 2006-03-02 レバー式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0831A KR20070090831A (ko) 2007-09-06
KR100899828B1 true KR100899828B1 (ko) 2009-05-27

Family

ID=38144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005A KR100899828B1 (ko) 2006-03-02 2007-03-02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07397B2 (ko)
EP (1) EP1830435B1 (ko)
JP (1) JP4497108B2 (ko)
KR (1) KR100899828B1 (ko)
CN (1) CN100555765C (ko)
DE (1) DE602007010854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7048B2 (ja) * 2006-08-07 2012-01-1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US7467958B2 (en) * 2007-03-22 2008-12-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lever with protective shroud
KR100898220B1 (ko) 2007-09-07 2009-05-18 주식회사 동부하이텍 반도체 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5007215B2 (ja) * 2007-12-20 2012-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5052322B2 (ja) * 2007-12-20 2012-10-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EP3012922B8 (de) * 2014-10-20 2017-11-01 Stäubli Electrical Connectors AG Schwenkhebelanordnung für Gehäuseanordnung
JP2016096095A (ja) * 2014-11-17 2016-05-26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6673017B2 (ja) * 2016-05-30 2020-03-2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6492030B2 (ja) * 2016-05-30 2019-03-2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EP3473906B1 (en) * 2017-10-19 2023-08-30 FASTER S.r.l. Hydraulic and/or pneumatic multi-coupling connector with lever actuated mechanis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691A (ja) 2000-07-11 2002-01-2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JP2003249303A (ja) * 2002-02-26 2003-09-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303452A (ja) * 2003-03-28 2004-10-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9412B2 (ja) * 1994-05-12 1999-08-03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3468007B2 (ja) * 1997-02-05 2003-11-17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3036932A (ja) 2001-07-23 2003-02-07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DE10232969B4 (de) * 2001-07-23 2012-08-23 Sumitomo Wiring Systems, Ltd. Steckverbinder mit Verriegelungshebel
JP2003223955A (ja) * 2002-01-29 2003-08-0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3987737B2 (ja) * 2002-02-26 2007-10-1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EP2063499A3 (en) * 2002-09-19 2009-11-11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assembly, connector, connector assembling construction and method of assembling them
JP4184881B2 (ja) * 2003-07-10 2008-11-19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4184937B2 (ja) * 2003-11-28 2008-11-19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7150640B2 (en) * 2005-04-08 2006-12-19 Yazaki Corporation Lever type connector
JP4577200B2 (ja) * 2005-12-08 2010-11-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5691A (ja) 2000-07-11 2002-01-25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構造
JP2003249303A (ja) * 2002-02-26 2003-09-05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303452A (ja) * 2003-03-28 2004-10-28 Sumitomo Wiring Syst Ltd レバー式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97108B2 (ja) 2010-07-07
KR20070090831A (ko) 2007-09-06
DE602007010854D1 (de) 2011-01-13
CN100555765C (zh) 2009-10-28
EP1830435A2 (en) 2007-09-05
US7407397B2 (en) 2008-08-05
CN101030683A (zh) 2007-09-05
US20070207648A1 (en) 2007-09-06
JP2007234476A (ja) 2007-09-13
EP1830435A3 (en) 2009-12-02
EP1830435B1 (en) 201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828B1 (ko)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0936412B1 (ko) 가동 부재 타입의 커넥터
US730029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of the movable member type
EP1763114B1 (en) An electrical connector
US9106000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172442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7503791B2 (en) Connector
EP2075880B1 (en) Lever-type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connecting method
US7722381B2 (en) Connector
US7189086B2 (en)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therefor
US20110045696A1 (en) Connector
US7458838B2 (en) Fluidtight connector
KR101411202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400581B1 (ko) 전기 커넥터
US6863551B2 (en) Connector, set of connectors and method of connecting a connector
JP201114205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1110526A (ja) コネクタ
JP2001057271A (ja) コネクタ
US6966790B2 (en) Lockable electrical plug and socket connection
US20050002734A1 (en) Connector
JP4924901B2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2005276724A (ja) コネクタ
JP3415055B2 (ja) 嵌合検知コネクタ
JPH11167949A (ja) コネクタ
JP2021039837A (ja) コネクタの防水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