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1202B1 -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1202B1
KR101411202B1 KR1020120065633A KR20120065633A KR101411202B1 KR 101411202 B1 KR101411202 B1 KR 101411202B1 KR 1020120065633 A KR1020120065633 A KR 1020120065633A KR 20120065633 A KR20120065633 A KR 20120065633A KR 101411202 B1 KR101411202 B1 KR 1014112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ubular fitting
fitting portion
receptacle
bul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1682A (ko
Inventor
미츠노리 기타지마
요우지로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1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12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12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01R13/4362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comprising a temporary and a final locking posi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0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comprising a camm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01R13/62938Pivoting lever comprising own camming mean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형상을 단순화하는 것이다.
암형의 단자 피팅(24)을 수납하는 블록형의 단자 수납부(21)가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관형 피팅부(35)로 둘러싸이도록 암형 커넥터(F)가 형성되어 있다. 수형의 커넥터(M)는, 단자 수납부(21)와 관형 피팅부(35) 사이의 간극에 감합되는 사각형 튜브 형태의 리셉터클(11)을 구비하고, 이 리셉터클은 수형 단자 피팅(12)의 선단의 탭(13)이 리셉터클(11)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형 피팅부(35)의 전방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관형 피팅부(35)의 외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51, 52, 53)가 관형 피팅부(35)를 형성하는 4개의 벽부(37, 38, 39)에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및 대응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81717호 공보에는, 암형 단자 피팅을 수납하는 블록 형상의 단자 수납부가 실질적으로 사각형의 관형 피팅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된 암형 커넥터와, 단자 수납부와 관형 피팅부 사이의 간극에 감합되는 사각형 튜브 형태의 리셉터클을 갖는 수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리셉터클은 수형 단자 피팅의 선단의 탭이 리셉터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에 있어서는,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의 암형 커넥터를 리셉터클 내로 삽입하고자 할 때, 암형 커넥터가 탭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접속 리브가 리셉터클의 후단으로부터 돌출한다.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의 암형 커넥터를 리셉터클 내로 삽입하고자 할 때, 암형 커넥터는 접속 리브와 간섭하므로, 탭과 접촉하기 전에 그 삽입 이동이 저지된다.
상기 커넥터에 있어서는, 접속 리브가 리셉터클의 후단면으로부터 돌출하기 때문에, 수형 커넥터의 형상이 복잡하다. 또한, 리셉터클에 감합되는 단자 수납부에 접속 리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리세스를 형성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의 형상도 복잡해진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81717호 공보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완성된 것으로, 형상을 단순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대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가 제공되며, 이 커넥터는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는 단자 수납부가 관형 피팅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리셉터클을 갖는 상기 상대 커넥터가 상기 단자 수납부와 관형 피팅부 사이의 간극에 감합된다. 상기 관형 피팅부의 전방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관형 피팅부의 외측으로 팽출하는 하나 이상의 팽출부가 관형 피팅부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벽부에 형성되어,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 또는 부적합한 방위에서의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의 접속을 방지하도록 상대 커넥터 하우징의 리셉터클과 맞물릴 수 있다.
커넥터를 부적합한(예컨대,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 내로 삽입하고자 하면, 관형 피팅부의 외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가 리셉터클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접촉하므로, 커넥터가 리셉터클 내로 깊이 삽입되어 상대 단자 피팅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관형 피팅부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커넥터와 상대 단자 피팅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되므로, 커넥터의 형상이 비교적 단순화된다. 또한, 상대 커넥터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형상이 복잡하지 않다.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팽출부는 관형 피팅부의 모든 벽부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단자 수납부에는, 단자 수납부의 외면에서 개구되고 단자 피팅을 유지하는 리테이너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특별하게는, 관형 피팅부에는, 팽출부의 뒤에,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인 조작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특정적으로, 조작 구멍의 뒤에 위치되고 조작 구멍의 후단에 접속되는 관형 피팅부의 외면의 영역은, 조작 구멍에 마주하는 리테이너를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 마주하는 손가락 접촉면으로서 작용한다.
보다 특정적으로, 손가락 접촉면은, 관형 피팅부의 외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보다 특정적으로, 팽출부의 폭 방향의 형성 범위는 조작 구멍과 손가락 접촉면 중 하나 이상의 형성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보다 특정적으로, 장착 구멍이 형성된 단자 수납부의 외면과 관형 피팅부를 형성하는 복수의 벽부 중에서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벽부의 내면 사이의 간극이, 리테이너를 장착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가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작 공간으로서 작용한다.
보다 특정적으로, 팽출부는 조작 공간에 마주하는 벽부에 형성되어 있다.
보다 특정적으로, 팽출부의 내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조작 공간에 마주하는 벽부에 컷아웃이 형성된다.
보다 특정적으로, 상기 커넥터는, 관형 피팅부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커넥터와 상대 커넥터를 접속하거나 분리시키도록 초기 위치와 접속 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는 가동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보다 특정적으로, 가동 부재는 팽출부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부에 의해 접속 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상기 양태 또는 그 특정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이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상대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정의 실시예에 따르면, 암형 커넥터와 수형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되며, 암형 커넥터는, 암형 단자 피팅을 수납하는 블록형의 단자 수납부가 대략 사각형의 관형 피팅부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형 커넥터는 단자 수납부와 관형 피팅부 사이의 간극 내로 감합되는 사각형 튜브 형태의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수형 단자 피팅의 선단의 탭이 리셉터클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형 피팅부의 전방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관형 피팅부의 외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가, 관형 피팅부를 형성하는 4개의 벽부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되어 있다.
암형 커넥터를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 내로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형 피팅부의 외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가 리셉터클의 개구 가장자리부와 접촉하게 되며, 이로써 암형 커넥터가 리셉터클 내로 깊이 삽입되어 탭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관형 피팅부의 개구 가장자리부가 암형 커넥터와 탭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기만 하면 되므로, 암형 커넥터의 형상이 비교적 단순화된다. 또한, 수형 커넥터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으므로, 형상이 복잡하지 않다.
특히, 팽출부는 4개의 벽부 모두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다.
팽출부가 4개의 벽부 모두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가 부적합한 자세로 리셉터클 내로 삽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보다 특정적으로, 단자 수납부에는, 단자 수납부의 외면에서 개구되고 암형 단자 피팅을 유지하는 리테이너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관형 피팅부에는, 팽출부의 뒤에,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인 조작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조작 구멍의 뒤에 위치되고 조작 구멍의 후단에 접속되는 관형 피팅부의 외면의 영역은, 조작 구멍에 마주하는 리테이너를 누르는 손가락에 마주하는 손가락 접촉면으로서 작용하며; 손가락 접촉면은, 관형 피팅부의 외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조작 구멍에 마주하는 리테이너를 누를 때에 손가락이 접촉하는 손가락 접촉면은 관형 피팅부의 외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며, 손가락 접촉면과 단자 수납부의 하면 사이의 높이차가 감소하므로, 리테이너를 누를 때의 조작성이 좋다.
보다 특정적으로, 단자 수납부에는, 단자 수납부의 외면에서 개구되고 암형 단자 피팅을 유지하는 리테이너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장착 구멍이 형성된 단자 수납부의 외면과 관형 피팅부를 형성하는 4개의 벽부 중에서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벽부의 내면 사이의 간극이, 리테이너를 장착 구멍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가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조작 공간으로서 작용하며; 팽출부는 조작 공간에 마주하는 벽부에 형성되어 있고; 팽출부의 내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조작 공간에 마주하는 벽부에 컷아웃이 형성된다.
팽출부의 내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조작 공간에 마주하는 벽부에 컷아웃이 형성되기 때문에, 조작 공간이 보다 커지게 되어, 지그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컷아웃이 형성된 팽출부가 관형 피팅부의 외측으로 팽출하기 때문에, 내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컷아웃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벽부가 과도하게 얇아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있는 경우에도, 이들 실시예의 하나의 특징이 다른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암형 커넥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암형 커넥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암형 커넥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암형 커넥터의 저면도이고,
도 5는 암형 커넥터가 리셉터클 내로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고,
도 6은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암형 커넥터가 리셉터클 내로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삽입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 측면도이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6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특정의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커넥터는 수형 커넥터(M)와 암형 커넥터(F)를 구비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커넥터(M)는,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특히 대략 판형 또는 평판형의) 단자 유지부(10)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며 단자 유지부(10)로부터 전방으로(도 1의 상측으로) 돌출하는 (특히 대략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튜브의 형태를 갖는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리셉터클(11)을 구비한다. 하나 이상의 수형 단자 피팅(12)이 단자 유지부(10)에 유지되어 있고, 각 수형 단자 피팅(12)의 선단의 하나 이상의 각 탭(13)이 외측 또는 상측으로 돌출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탭(13)이 하나의 리셉터클(11)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고, 탭(13)의 선단이 리셉터클(11)의 개구단보다 후방(도 2의 하방)의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캠 팔로워(14)가 각 리셉터클(11)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F)는 특히 내부 하우징(20), 일체의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26), 리테이너(30) 및/또는 외부 하우징(33)을 조립함으로써 형성된다(또는 포함한다). 내부 하우징(2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는 (특히 대략 블록형의) 단자 수납부(21)와, 단자 수납부(21)의 후단부(도 3의 좌단부)[특히 그 외주]로부터 실질적으로 후방으로 돌출하는 (특히 대략 사각형 또는 다각형 튜브 형태의) 관형 수납부(22)의 일체의 또는 하나의 조립체이다.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캐비티(23)가 단자 수납부(21)에 형성되어 있고, 하나 이상의 암형 단자 피팅(24)이 삽입측, 특히 대략 후방(이면측)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각 캐비티(23)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및/또는 하나 이상의 로킹 랜스(25)에 의해 유지된다. 관형 수납부(22)에 있어서는, 일체의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2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되고, 특히 일체의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26)에 형성된 관통 구멍인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시일 구멍(27)이 캐비티(2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단자 수납부의 장착 구멍이 개구되어 있는 특정의 외면으로서의] 단자 수납부(21)의 측면 또는 하면(28)에 개구되고 및/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캐비티(23) 모두와 연통하는 장착 구멍(29)이 단자 수납부(21)에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암형 단자 피팅(24)을 집합적으로 유지하는 리테이너(30)는 특히, 캐비티(23)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게 되고, 장착 구멍(29)에 수납되어 장착된다.
리테이너(3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캐비티(23)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관통 구멍(31)과, 상기 하나 이상의 캐비티(23)(모두)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유지부(32)를 구비한다. 복수의 유지부는, 도 3에 도시된 (특정의 제1 위치로서의) 부분 잠금 위치와 (도시 생략한 특정의 제2 위치로서의) 완전 잠금 위치 사이에서 수직 방향 또는 측방향[단자 수납부(21)의 하면 또는 측면(28)에 대하여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완전 잠금 위치에서는,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에서보다 장착 구멍(29) 내로 더 깊이 수납되어 있다[예컨대, 도 3에서 보다 상측 또는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암형 단자 피팅(24)을 캐비티(23)의 내외로 삽입 및 인출할 수 있도록 관통 구멍(31)은 캐비티(23)와 실질적으로 정렬되어 있다. 리테이너(30)를 완전 잠금 위치로 압박하거나 변위시킴으로써 얻어진 상태에서, 유지부(32)가 맞물림으로써 암형 단자 피팅(24)을 유지한다. 또한, 리테이너(30)가 부분 잠금 위치에 있을 때, 리테이너(30)의 하단부는 단자 수납부(21)의 하면 또는 측면(28; 외면)으로부터 하방 또는 측방향(외측)으로 돌출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하우징(30)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일체의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26)의 후면에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후벽부(34)와, 예컨대 합성수지로 제조되고 후벽부(34)의 외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특히 대략 사각형 또는 다각형) 튜브 형태의 관형 피팅부(35)의 일체의 또는 하나의 조립체이다. 후벽부(34)에는, 관통 구멍인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삽입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관형 피팅부(35)는 특히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고, 특히 상벽부(37), 좌우 측벽부(38), 하벽부(39), 그리고 인접 벽부(37 및 38, 38 및 39)를 접속하는 대략 사분원 형태의 굴곡부(40)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하우징(33)과 내부 하우징(20)은, 후벽부(34)가 특히 일체의 탄성 또는 고무 플러그(26)의 후면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있거나 및/또는 관형 피팅부(35)가 단자 수납부(2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조립되어 있다. 양 하우징(33, 20)이 조립되어 있는 상태에서, 후벽부(34)의 하나 이상, 특히 복수의 삽입 구멍(36)이 각 시일 구멍(27)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암형 단자 피팅(24)은 삽입 구멍(36)과 시일 구멍(27)을 연속해서 통과함으로써 캐비티(23) 내로 삽입된다. 또한, 단자 수납부(21)의 외주면과 관형 피팅부(35)의 내주면 사이의 공간이 전면(前面)에서 개구되고, 리셉터클(11)이 감합되는 접속 공간(41)으로서 작용한다.
접속 공간(41) 중에서, 단자 수납부(21)의 하면 또는 측면[즉, 장착 구멍(29)이 개구되는 외면]과, 관형 피팅부(35)를 형성하는 복수(예컨대, 4개)의 벽부(37, 38, 39) 중에서 장착 구멍(29)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조작 공간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특정의 벽부로서의) 하벽부(39) 사이의 부분이 조작 공간(42)으로서 작용한다. 이 조작 공간(42)은, 리테이너(30)를 장착 구멍(2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즉, 완전 잠금 위치로부터 부분 잠금 위치로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60)가 전방(도 3의 우측)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작업 공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 구멍(29)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하벽부(39)의 영역을 관통하여 조작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 구멍(43)은, 특히 관형 피팅부(35)의 외측[하면(28)측]으로부터 손가락에 의해 리테이너(30)를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로부터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로 압박하거나 변위시키는데 사용되는 구멍이며, 조작 구멍(43)의 개구는 특히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폭 방향으로 조작 구멍(43)의 형성 범위는 특히, 좌우 단부를 제외한 하벽부(39)의 연속 영역(즉, 전체 폭보다 약간 협소한 범위)이거나 및/또는 하벽부(39)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사분원부(40)에 대응하지 않는 영역에 위치한다. 전후 방향으로 조작 구멍(43)의 형성 범위는 특히, 실질적으로 장착 구멍(29)의 개구 영역을 포함한 영역에서 연장된다. 조작 구멍(43)의 전단 가장자리(43F)는 장착 구멍(29)의 전단 가장자리(29F)보다 약간 앞에 및/또는 하벽부(39)의 전단 가장자리(39F)의 뒤에 위치한다. 조작 구멍(43)의 후단 가장자리(43R)는 장착 구멍(29)의 후단 가장자리(29R)보다 약간 뒤에 위치한다. 또한, 조작 구멍(43)의 전단 가장자리(43F)의 좌우 양단부는 특히 사분원 형태로 실질적으로 만곡되어 있다.
조작 구멍(43)에 마주하는 리테이너(30)가 손가락에 의해 눌릴 때에 손가락에 마주하는 하벽부(39)의 외면의 영역이 손가락 접촉면(44)으로서 작용한다. 전후 방향으로 손가락 접촉면(44)의 형성 범위는 특히, 실질적으로 조작 구멍(43)의 후단 가장자리(43R)로부터 하벽부(39)[관형 피팅부(35)]의 후단에 이르는 영역에서 연장된다. 폭 방향으로 손가락 접촉면(44)의 형성 범위는 특히, 조작 구멍(43)의 개구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영역이다. 이러한 손가락 접촉면(44)은 특히, 손가락 접촉면(44)과 조작 구멍(43)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벽부(39)의 영역에 대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부분 잠금 위치(제1 위치)와 완전 잠금 위치(제2 위치) 사이에서의 리테이너(30)의 이동 방향에 있어서, 단자 수납부(21)의 외면의 장착 구멍(29)이 형성된 하면(28)과 손가락 접촉면(44) 사이의 높이차는 특히, 손가락 접촉면(44)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벽부(39)의 영역과 관형 수납부(22)의 하면(28) 사이의 높이차보다 작다. 또한, 조작 구멍(43)에 인접한 전단측의 손가락 접촉면(44)의 영역은 특히, 조작 구멍(43)으로부터 먼 후단측의 손가락 접촉면(44)의 영역보다 약간 작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지지 샤프트(45)가 관형 피팅부(35)의 측벽부(38)[특히 좌우 양측벽부(38)]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특정의 가동 부재로서의) 레버(46)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초기 위치와 도 1,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접속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게(특히, 회전 가능하게 또는 피벗 가능하게) 상기 지지 샤프트(45)에 장착되어 있다. 레버(46)가 초기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암형 커넥터(F)가 수형 커넥터(M)에 약간 감합되면, 캠 팔로워(14)가 레버(46)의 캠 홈(47; 도 2 참조)에 맞물려 있다. 이 상태에서, 레버(46)가 접속 위치로 변위(특히, 회전 또는 피벗)되면, 암형 커넥터(F) 및 수형 커넥터(M)가 접속되거나 이들 커넥터의 접속이 어시스트된다. 또한, 관형 피팅부(35)의 상벽부 또는 외벽부(37)의 외면(특히 그 개구 가장자리부)으로부터 상측으로(외측으로) 돌출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잠금부(48)가 형성되어 있다. 접속 위치로 변위된(특히 회전되거나 피벗된) 레버(46)는 잠금부(48)와 맞물림으로써 접속 위치에 유지되거나 위치 결정되고, 이로써 암형 커넥터(F)와 수형 커넥터(M)는 특히 접속 상태로 로킹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형 피팅부(35)에는 하나 이상의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특히 관형 피팅부(35)의 전방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관형 피팅부(35)의 외측으로 팽출하는 제1 내지 제3 팽출부(51, 52, 53)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팽출부는 관형 피팅부(35)를 형성하는 (예컨대 4개의) 벽부(37, 38, 39)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이 팽출부는, 암형 커넥터(F)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로 리셉터클(11) 내로 삽입되는 때에, 암형 커넥터(F)가 하나 이상의 탭(13)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으로서 작용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팽출부(51)는 특히 관형 피팅부(35)의 하벽부(39)에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폭 방향[하벽부(39)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른 방향]으로 제1 팽출부(51)의 형성 범위는, 실질적으로 좌우 양단부를 제외한 하벽부(39)의 연속 영역이다[즉, 전체 폭보다 약간 협소한 범위이다]. 따라서 제1 팽출부(51)는, 하벽부(39)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사분원부(40)에 대응하지 않는다. 폭 방향으로 제1 팽출부(51)의 형성 범위는 특히, 조작 구멍(43) 및/또는 손가락 접촉면(44)의 형성 범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전후 방향[암형 커넥터(F)와 수형 커넥터(M)가 정확한 자세 및 위치 관계로 접속 및 분리될 때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제1 팽출부(51)의 형성 범위는 특히, 관형 피팅부(35)[하벽부(39)]의 전단으로부터 조작 구멍(43)의 개구 가장자리의 전단 가장자리(43F)에 이르는 범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팽출부(51)의 외면은, 제1 팽출부(5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하벽부(39)의 영역에 대하여 단차를 형성하면서 외측(하향)으로 팽출한다. 또한, 제1 팽출부(51)의 외면은 하벽부(39) 및 상벽부(37)에 평행하다. 특히, 제1 팽출부(51)의 내면[조작 공간(42)에 마주하는 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하벽부(39)에는 컷아웃(54)이 형성되어 있다. 전후 방향으로 컷아웃(54)의 형성 범위는 제1 팽출부(51)의 형성 범위와 동일하다. 또한, 폭 방향으로 컷아웃(54)의 형성 범위는 특히, 실질적으로 제1 팽출부(51)의 전체 폭에 걸쳐 연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컷아웃(54)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제1 팽출부(51)의 내면은, 제1 팽출부(51)의 외면과 평행하다. 또한, 특히 컷아웃(54)이 형성되어 있는 영역에서의 제1 팽출부(51)의 두께는, 제1 팽출부(51)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영역에서의 하벽부(39)의 두께보다 작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특히 한 쌍의 제2 팽출부(52)가 측벽부(38)를 따라, 특히 좌우 양측벽부(38)를 따라 (특히 실질적으로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직 방향으로 제2 팽출부(52)의 형성 범위는 특히, 측벽부(38)의 상단보다 약간 위의 위치 및 측벽부(38)의 하단보다 약간 아래의 위치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이다. 특히, 제2 팽출부(52)의 상하 양단부는, 측벽부(38)의 상하 양단에 접속된 사분원부(40)의 부분에 실질적으로 대응한다. 수직 방향[측벽부(38)의 개구 가장자리를 따른 연장 방향]으로 제2 팽출부(52)의 대략 중앙부는 컷오프되어 탈출부(55; escaping portion)를 형성한다. 이 탈출부는 특히, 양 커넥터(F, M)의 접속 시에 캠 팔로워(14)가 캠 홈(47)에 맞물릴 때의 진입 경로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2 팽출부(52)의 외측면은 특히, 레버(46)의 외측면과 실질적으로 동일 높이에 있도록 위치 결정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팽출부(53)는 관형 피팅부(35)의 외벽부(37)를 따라 (특히 대략 좌우 대칭으로) 형성된다. 특히, 폭 방향으로 제3 팽출부(53)의 형성 범위는 실질적으로 좌우 양단부를 제외한 상벽부(37)의 연속 영역이다[즉, 전체 폭보다 약간 협소한 범위이다]. 따라서 제3 팽출부(53)는, 상벽부(37)의 좌우 양단에 접속된 사분원부(40)에 대응하지 않는다. 레버(46)를 접속 위치에 유지하는 잠금부(48)는 특히, 제3 팽출부(53)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커넥터(F)를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IOP)로 리셉터클(11) 내로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형 피팅부(35)를 형성하는 복수(예컨대, 4개)의 벽부(37, 38, 39) 중에서 0° 또는 180° 이외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접속된 2개의 벽부[예컨대, 하벽부(39) 및 하나의 측벽부(38)]의 전방측의 외주 가장자리는, 리셉터클(11)의 전방측의 개구 가장자리와 접촉하게 된다. 이 때에, 도 6에 도시된 암형 커넥터(100)에서와 같이 관형 피팅부(101)의 외주에 팽출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면, 관형 피팅부(101)가 리셉터클(11) 내로 비교적 깊이 삽입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관형 피팅부(35)의 전단부의 외주 가장자리로부터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팽출부(51, 52, 53)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관형 피팅부(35)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의 경우보다 리셉터클(11) 내로 덜 삽입된다. 따라서 암형 커넥터(F)는 리셉터클(11) 내에 수납된 탭(13)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하나 이상의 팽출부(51, 52, 53)가 복수(예컨대 4개)의 벽부(37, 38, 39)의 일부 또는 모두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F)가 리셉터클(11)에 대하여 얼마나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IOP)로 있는가에 관계없이 부적합하게 기울어진 자세(IOP)에서의 삽입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암형 커넥터(F)와 탭(13)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서 수형 커넥터(M)의 형상을 변경할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 수형 커넥터(M)의 형상이 복잡하지 않다. 탭(13)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리브가 리셉터클에서 돌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리브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하여 암형 커넥터의 전면(前面)에 리세스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리셉터클에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암형 커넥터(F)의 전면에 리세스를 형성할 필요가 없다. 또한, 관형 피팅부(35)의 전방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관형 피팅부(35)의 외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51, 52, 53)가, 암형 커넥터(F)와 탭(13)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관형 피팅부(35)를 형성하는 4개의 벽부(37, 38, 39)에만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암형 커넥터(F)의 형상이 비교적 단순화되고, 팽출부(51, 52, 53)를 형성하는 데에 있어서 암형 커넥터(F)의 형상 변화가 최소한으로 억제된다.
또한, 단자 수납부(21)에는, 단자 수납부(21)의 외면에 형성되고 암형 단자 피팅(24)을 유지하는 리테이너(30)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29)이 형성되어 있고, 관형 피팅부(35)에는, 팽출부(51)의 뒤에, 장착 구멍(29)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인 조작 구멍(43)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조작 구멍(43)의 뒤에 위치되고 조작 구멍(43)의 후단에 접속되는 관형 피팅부(35)의 외면의 영역은, 조작 구멍(43)에 마주하는 리테이너(30)를 누르거나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 실질적으로 마주하는 손가락 접촉면(44)으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손가락 접촉면(44)은 하벽부(39)의 외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손가락 접촉면(44)과 단자 수납부(21)의 하면(28) 사이의 높이차가 감소하므로, 리테이너(30)를 누를 때의 조작성이 좋다.
또한, 특히, 상기 단자 수납부(21)의 외면에 있어서 장착 구멍(29)이 형성된 하면(28)과 관형 피팅부(35)를 형성하는 4개의 벽부(37, 38, 39) 중에서 장착 구멍(29)에 대응하는 하벽부(39)의 내면 사이의 간극이, 리테이너(30)를 장착 구멍(2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60)가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조작 공간(42)으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이러한 사항에 주목하면, 하벽부(39)에는, 조작 공간(42)에 마주하는 제1 팽출부(51)의 내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컷아웃(54)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조작 공간(42)은 특히, 수직 방향[즉, 완전 잠금 위치와 부분 잠금 위치 사이에서의 리테이너(30)의 이동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다 크게 되므로, 지그(60)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특히 컷아웃(54)이 형성된 제1 팽출부(51)가 관형 피팅부(35)의 외측으로 팽출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팽출부(51)의 내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컷아웃(54)이 형성되는 경우에도 하벽부(39)가 과도하게 얇아지지 않는다.
따라서 형상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암형 커넥터(F)는, 암형 단자 피팅(24)을 수납하는 블록형의 단자 수납부(21)가 (특히 대략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관형 피팅부(35)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형 커넥터(M)는, 단자 수납부(21)와 관형 피팅부(35) 사이의 간극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합되는 (특히 대략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튜브 형태의 리셉터클(11)을 구비한다. 이 리셉터클(11)은, 수형 단자 피팅(12)의 선단의 탭(13)이 리셉터클(11)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다. 관형 피팅부(35)의 전방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관형 피팅부(35)의 외측으로 팽출하는 팽출부(51, 52, 53)는, 관형 피팅부(35)를 형성하는 4개의 벽부(37, 38, 39)에 형성된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고려된다.
(1)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팽출부가 4개의 벽부 모두에 형성되어 있지만, 팽출부를 3개 이하의 벽부에 형성할 수도 있다.
(2)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팽출부가 관형 피팅부를 형성하는 4개의 벽부 중에서 리테이너용의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벽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리테이너용의 장착 구멍에 대응하지 않는 벽부에만 팽출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3)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 구멍의 후단으로부터 관형 피팅부의 후단에 이르기까지 연장되는 영역에 손가락 접촉면이 형성되어 있지만, 손가락 접촉면의 형성 범위는 조작 구멍의 후단으로부터 관형 피팅부의 후단 앞의 위치까지 연장할 수도 있다.
(4)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형 피팅부의 외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손가락 접촉면을 형성하고 있지만, 손가락 접촉면은 오목하지 않을 수도 있다.
(5)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형 피팅부를 형성하는 4개의 벽부 중에서 조작 공간에 마주하는 벽부의 내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이 벽부에 컷아웃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러한 컷아웃을 형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6)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조작 공간에 마주하는 벽부에 있어서 팽출부가 형성된 영역은 팽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보다 두께가 얇지만, 팽출부가 형성된 영역의 두께가 팽출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두꺼울 수도 있다.
F: 암형 커넥터(커넥터)
M: 수형 커넥터(상대 커넥터)
11: 리셉터클
12: 수형 단자 피팅(상대 단자 피팅)
13: 탭
21: 단자 수납부
24: 암형 단자 피팅(단자 피팅)
28: 단자 수납부의 하면(장착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단자 수납부의 외면)
29: 장착 구멍
30: 리테이너
35: 관형 피팅부
37: 상벽부(관형 피팅부를 형성하는 벽부)
38: 측벽부(관형 피팅부를 형성하는 벽부)
39: 하벽부(관형 피팅부를 형성하는 벽부, 장착 구멍에 대응하는 벽부, 조작 공간에 대향하는 벽부)
42: 조작 공간
43: 조작 구멍
44: 손가락 배치면
51: 제1 팽출부
52: 제2 팽출부
53: 제3 팽출부
54: 컷아웃
60: 지그

Claims (13)

  1. 상대 커넥터(M)와 접속 가능한 커넥터(F)로서,
    적어도 하나의 단자 피팅(2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납하는 단자 수납부(21)가 관형 피팅부(35)에 의해 둘러싸이도록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을 구비하며,
    리셉터클(11)을 갖는 상기 상대 커넥터(M)가 상기 단자 수납부(21)와 관형 피팅부(35) 사이의 간극에 감합되며,
    상기 관형 피팅부(35)의 전방측의 개구 가장자리부로부터 관형 피팅부(35)의 외측으로 팽출하는 하나 이상의 팽출부(51, 52, 53)가 관형 피팅부(35)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벽부(37, 38, 39)에 형성되어, 기울어진 자세에서의 커넥터(F)와 상대 커넥터(M)의 접속을 방지하도록 상대 커넥터 하우징(M)의 리셉터클(11)과 맞물릴 수 있고,
    상기 단자 수납부(21)에는, 단자 수납부(21)의 외면(28)에서 개구되고 단자 피팅(24)을 유지하는 리테이너(30)가 장착되는 장착 구멍(29)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팽출부(51, 52, 53)는 관형 피팅부(35)의 모든 벽부(37, 38, 39)의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3. 삭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피팅부(35)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팽출부(51, 52, 53) 중 제1 팽출부(51)의 뒤에, 장착 구멍(29)에 대응하는 관통 구멍인 조작 구멍(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구멍(43)의 뒤에 위치되고 조작 구멍(43)의 후단에 접속되는 관형 피팅부(35)의 외면의 영역은, 조작 구멍(43)에 마주하는 리테이너(30)를 조작하는 하나 이상의 손가락에 마주하는 손가락 접촉면(44)으로서 작용하는 것인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 접촉면(44)은, 관형 피팅부(35)의 외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출부(51)의 폭 방향의 형성 범위는 조작 구멍(43)과 손가락 접촉면(44) 중 하나 이상의 형성 범위와 동일한 것인 커넥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 구멍(29)이 형성된 단자 수납부(21)의 외면과 관형 피팅부(35)를 형성하는 복수의 벽부(37, 38, 39) 중에서 장착 구멍(29)에 대응하는 벽부(39)의 내면 사이의 간극이, 리테이너(30)를 장착 구멍(29)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지그(60)가 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는 조작 공간(42)으로서 작용하는 것인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팽출부(51, 52, 53) 중 제1 팽출부(51)는 상기 조작 공간(42)에 마주하는 벽부(39)에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팽출부(51)의 내면을 오목하게 함으로써 상기 조작 공간(42)에 마주하는 벽부(39)에 컷아웃(54)이 형성되는 것인 커넥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관형 피팅부(35)에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커넥터(F)와 상대 커넥터(M)를 접속하거나 분리시키도록 초기 위치와 접속 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는 가동 부재(46)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46)는 상기 하나 이상의 팽출부(51, 52, 53) 중 제3 팽출부(53)의 외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잠금부(48)에 의해 접속 위치에 유지되는 것인 커넥터.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커넥터(F)와, 이 커넥터와 접속 가능한 상대 커넥터(M)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20065633A 2011-06-27 2012-06-19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KR1014112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42280A JP5682476B2 (ja) 2011-06-27 2011-06-27 コネクタ
JPJP-P-2011-142280 2011-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1682A KR20130001682A (ko) 2013-01-04
KR101411202B1 true KR101411202B1 (ko) 2014-06-23

Family

ID=4620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633A KR101411202B1 (ko) 2011-06-27 2012-06-19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998626B2 (ko)
EP (1) EP2541690A1 (ko)
JP (1) JP5682476B2 (ko)
KR (1) KR101411202B1 (ko)
CN (1) CN10285669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0179B2 (ja) * 2011-07-25 2015-11-24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5041907A1 (en) * 2013-09-18 2015-03-26 Fci Asia Pte. Lt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including polarization member
JP6053743B2 (ja) * 2014-11-04 2016-12-27 矢崎総業株式会社 レバー付きコネクタ
JP6296357B2 (ja) * 2015-01-14 2018-03-20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付きコネクタ
JP6571119B2 (ja) * 2017-01-13 2019-09-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10079446B1 (en) * 2017-11-20 2018-09-18 Delphi Technologies, Inc. Electrical connector with cam actuated terminal lock
US10566728B1 (en) * 2018-10-30 2020-02-18 Aptiv Technologies Limi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high vibration resistant locks
JP7146717B2 (ja) * 2019-10-01 2022-10-0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127A (ja) 2000-12-25 2002-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20040132332A1 (en) 2003-01-06 2004-07-08 Koehler David F Mating detection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50215122A1 (en) * 2004-03-25 2005-09-2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Shielded connector
KR20090022967A (ko) * 2007-08-31 2009-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1579U (ko) * 1987-03-09 1988-09-19
JP3516243B2 (ja) * 1994-11-30 2004-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レバーのロック機構
JP3123443B2 (ja) * 1996-09-17 2001-01-09 住友電装株式会社 二重係止コネクタ
JP3726638B2 (ja) * 2000-05-16 2005-12-14 住友電装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103333B2 (ja) * 2000-12-28 2008-06-1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における導通検査方法
JP2002270282A (ja) * 2001-03-12 2002-09-20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及び防水コネクタの端子挿通方法
JP4229282B2 (ja) * 2004-04-28 2009-02-25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レバー式コネクタ
JP4186866B2 (ja) * 2004-05-07 2008-11-26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US7261575B2 (en) * 2005-03-09 2007-08-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selectively includable lever assist
JP4678227B2 (ja) * 2005-04-22 2011-04-27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9181717A (ja) 2008-01-29 2009-08-13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8127A (ja) 2000-12-25 2002-07-12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20040132332A1 (en) 2003-01-06 2004-07-08 Koehler David F Mating detection system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50215122A1 (en) * 2004-03-25 2005-09-29 Autonetworks Technologies. Ltd. Shielded connector
KR20090022967A (ko) * 2007-08-31 2009-03-04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56698A (zh) 2013-01-02
CN102856698B (zh) 2015-05-20
EP2541690A1 (en) 2013-01-02
KR20130001682A (ko) 2013-01-04
US20120329299A1 (en) 2012-12-27
JP2013008644A (ja) 2013-01-10
JP5682476B2 (ja) 2015-03-11
US8998626B2 (en) 2015-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1202B1 (ko)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US10566725B2 (en) Connector with laterally mounted retainer for supporting and locking a terminal fitting
US9948023B2 (en) Connector
KR100933261B1 (ko) 커넥터, 커넥터 어셈블리 및 그 접속 방법
US8353712B2 (en) Lever-type connector
US9231342B2 (en) Connector
US20060003631A1 (en) Connector
US20030109167A1 (en) Connector provided with a moving plate
EP1830436B1 (en) A connector, connector assembly and assembling method
US8485838B2 (en) Lever-type connector with collective rubber stopper
US8142213B2 (en) Connector
US10483692B2 (en) Levery-type connector
JPH10189115A (ja) コネクタ
KR20070090831A (ko) 레버 타입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JP2011142050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5183315A (ja) コネクタ
US11088488B2 (en) Connector with one-sided dovetail projections
US9300072B2 (en) Connector
US9991634B2 (en) Connector
JP2011065932A (ja) 雌型コネクタ
US20230396021A1 (en) Lever-type connector
US11211736B2 (en) Connector
WO2023140138A1 (ja) コネクタ
WO2024075832A1 (ja) コネクタ
JP2022075158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