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6953B1 -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 Google Patents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6953B1
KR100926953B1 KR1020037003158A KR20037003158A KR100926953B1 KR 100926953 B1 KR100926953 B1 KR 100926953B1 KR 1020037003158 A KR1020037003158 A KR 1020037003158A KR 20037003158 A KR20037003158 A KR 20037003158A KR 100926953 B1 KR100926953 B1 KR 100926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breather
vent
case
transmission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925A (ko
Inventor
오쿠노미츠타카
하야부치마사히로
니시다마사아키
가스야사토루
이케노부카즈
Original Assignee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이신에이더블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24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6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6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7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means for venting gearboxes, e.g. air breath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1Elements
    • Y10T74/2186Gear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변속기의 케이스(1) 내 공간을 외기(外氣)에 연통(連通)시키는 브리더장치에 있어서, 변속기 케이스의 상부에 있어서의 케이스 축선방향의 중간위치, 상세하게는 축선방향의 중앙위치보다 전후방향으로 비켜 놓은 위치에 통기구(通氣口; 10)를 마련하고, 이 비켜 놓은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뻗는 통기수단(2)을 개재하여 외기에 개방한다. 이로써, 통기구 위치의 변속기 케이스 전후방향 중앙부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비켜 놓음과, 그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한 통기수단의 방향의 조합때문에, 통기구 위치가 오일레벨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경사시에는, 통기수단의 앞쪽이 내려가고, 역으로 통기구 위치가 오일레벨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경사시에는, 통기수단의 앞쪽이 올라가는 작용이 되므로, 브리더 블로우(breather blow)의 발생이 변속기축선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 뒤쪽으로의 기울어짐시 모두 방지된다.

Description

변속기의 브리더장치{Breather device for speed-change devices}
본 발명은, 변속기에 있어서의 케이스 내 공간으로의 압력이 밀폐되는 것(confinement)을 막는 브리더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차량에 탑재되는 변속기의 경사에 대한 통기능력을 개선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변속기 케이스 내로의 압력이 밀폐되는 것을 막는 브리더장치는, 특히 4WD 오프로드차량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프론트 엔진 리어 드라이브(FR)차량용 종치식(縱置式) 변속기에 있어서는, 차량주행시에 변속기 케이스에 큰 전후경사가 발생하는 것이 상정(想定)되기 때문에, 브리더 블로우(breather blow)를 방지하기 위하여, 변속기 케이스 내에 래버린스구조(labyrinth structure)를 형성하고, 래버린스구조의 출구측을 변속기 케이스 앞쪽 상부에 배치한 브리더 플러그를 거쳐 브리더 파이프를 개재하여 외기에 개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최근에 상기와 같은 4WD 오프로드차량의 주행성능향상이 요구되고, 45°언덕길 등의 가혹한 상황하에서의 주행에도 대응가능한 브리더장치가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브리더장치에서는, 언덕길에서의 주행시, 그 중에서도 내리막길 주행시에, 변속기 내부의 회전부재에 의한 오일의 교반에 의하여 브리더 블로우가 발생할 가능성이 남는다. 이 브리더 블로우에 대한 대책으로서, 브리더장치의 발본적인 변경도 생각할 수는 있지만, 이러한 대변경은, 대폭적인 코스트업을 초래한다. 또, 브리더 블로우에 대한 대책은, 차량에 대한 탑재성을 악화시키는 것과 같은 변속기 외형의 대형화를 수반하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종래의 변속기 케이스에 대한 최소한의 개변(改變)에 의하여 실현가능한, 차량의 급경사 주행시에도 브리더 블로우를 막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급경사에서의 브리더 블로우의 방지를, 변속기의 외형을 실질적으로 대형화시키지 않고 실현가능하게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변속기의 케이스 내 공간을 외기에 연통(連通)시키는 브리더장치에 있어서, 변속기 케이스의 상부에 있어서의 케이스 축선방향의 중간위치에, 케이스 내 공간에 개구하는 통기구(通氣口; breather)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 구성에서는, 브리더장치에 연결되는 통기구가, 변속기 케이스 상부의 축선방향 중간부에 위치함으로써, 변속기 전후방향의 양(兩) 경사시 모두 오일레벨의 극단적인 전후 기울기 변동에 따른 통기구로의 오일 침입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통기구로의 오일 침입에 의한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을 변속기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 뒤쪽으로의 기울어짐시 모두 막을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케이스 내 공간의 축선방향 중앙 위치보다 전후방향으로 비켜 놓은 중간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비켜 놓은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뻗는 통기수단을 개재하여 외기에 개방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더욱 효과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통기구 위치가 변속기 케이스 전후방향 중앙부에 대한 전후방향으로 비켜 놓여짐과, 그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한 통기수단의 방향이 조합됨에 의하여, 통기구 위치가 오일레벨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경사시에는, 통기수단의 앞쪽이 내려가고, 반대로 통기구 위치가 오일레벨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경사시에는, 통기수단의 앞쪽이 올라가는 작용이 되므로, 이 작용으로 상호보완적으로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이 변속기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 뒤쪽으로의 기울어짐시 모두 방지된다.
또한, 상기 구성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 케이스는, 그 주벽(周壁; peripheral wall)의 상부를 전후방향으로 뻗어 이 주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내뻗고, 내부에 홈형상공간(canal-shaped space)을 획정(劃定)하는 벽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reinforcement rib)를 가지고, 이 보강리브의 측벽에, 상기 홈형상공간에 개구하는 통기구가 마련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통기구의 높이를 변속기 케이스의 일반적 둘레면의 위치보다 더욱 위쪽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오일레벨의 변동에 따른 통기구로의 오일 침입을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이를 위한 변속기 케이스의 형상변경도 불필요하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변속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변속기구의 비회전부재 외주측에 위치하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효과가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변속기구의 비회전부재가, 다른 회전부재에 의하여 긁어 올려지는 기름의 차폐수단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통기구로의 기름 침입을 더욱더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상기 통기구에 연결된 브리더 파이프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상기 상호보완적인 브리더 블로우방지작용을, 통기구에 직접 설치한 브리더 파이프를 통기수단으로서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실질적인 변속기 케이스의 변경없이,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을 변속기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 뒤쪽으로의 기울어짐시 모두 막을 수 있는 브리더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상기 변속기 케이스와 일체로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과는 격리하여 마련되고,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상기 통기구에 의하여 연통하는 브리더 챔버(breather chamber)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브리더 챔버가, 통기구를 거쳐 통기수단 내에 침입한 경우의 오일 유동을 방해하는 완충공간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을 변속기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 뒤쪽으로의 기울어짐시 모두 더욱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브리더 챔버가 변속기 케이스와 일체이기 때문에, 브리더 챔버의 부설(附設)이 변속기 케이스의 외형에 주는 영향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혹은, 상기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상기 변속기 케이스와는 별개의 브리더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구에 의하여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연통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브리더 챔버가, 통기구를 거쳐 통기수단 내에 침입한 경우의 오일 유동을 방해하는 완충공간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을 변속기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 뒤쪽으로의 기울어짐시 모두 더욱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브리더 챔버가 변속기 케이스와 별개이기 때문에, 브리더 챔버의 부설(附設)에 수반되는 실질적인 변속기 케이스구조의 변경이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상기 브리더 챔버를 구비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챔버는, 전후방향으로 긴 공간이 되고, 그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통기구에 의하여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으로 연통하고, 다른쪽 단부측이 브리더 파이프를 개재하여 외기에 개방된 구성을 채용하면 더욱 효과가 있다.
이 구성에서는, 브리더 챔버가 전후방향으로 길어서, 경사방향으로 긴 완충공간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을 변속기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 뒤쪽으로의 기울어짐시 모두 더욱더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상기 브리더 챔버를 구비하는 어느 하나의 구성에 있어서도, 상기 브리더 챔버는, 이 실내의 유체 흐름을 규제하는 래버린스구조(labyrinth structure)로 되는 것이 더욱더 효과가 있다.
이 구성에서는, 변속기의 전후경사가 극단적으로 크고, 통기구를 거쳐 오일이 통기수단에 침입한 경우에도, 브리더 챔버의 래버린스구조에 의하여 통기상태에 서 오일이 외기로 배출되는 것이 저해되기 때문에,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을 더욱 유효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변속기의 케이스 내 공간을 외기에 연통시키는 브리더장치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장치는, 변속기구를 수용하는 변속기 케이스의 전벽(前壁)으로부터 후벽(後壁)까지 사이의 중앙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서 케이스 내 공간에 연통하는 통기구와, 이 통기구에 연통하고, 상기 중앙위치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적어도 동일 분량만큼 오프셋한 위치까지 뻗는 통기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변속기 케이스 전벽으로부터 후벽 사이의 중앙위치로부터 한 방향으로의 통기구 위치의 오프셋과, 그 방향과는 역방향을 향한 통기수단의 오프셋량의 조합에 의하여, 통기구 위치가 오일레벨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의 경사시에는, 통기수단의 앞쪽이 내려가고, 반대로 통기구 위치가 오일레벨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의 경사시에는, 통기수단의 앞쪽이 올라가는 작용이 되므로, 이 작용으로 상호보완적으로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이 변속기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 뒤쪽으로의 기울어짐시 모두 방지된다.
상기 구성은, 상기 변속기가 케이스축선을 차량 전후방향을 향하여 차량에 탑재되는 종치식(縱置式) 배치의 변속기인 경우에 특히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형태에 관련되는 브리더장치를 적용한 변속기 케이스의 축방향 단면(斷面),
도 2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브리더장치와 변속기구의 관계를 일부 단면으로 나타낸 도 1과 같은 부분의 측면도,
도 3은 제1실시형태의 변속기 케이스의 평면도,
도 4는 브리더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변속기 케이스의 부분측면도,
도 5는 브리더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낸 제1실시형태의 변속기 케이스의 부분평면도,
도 6은 제2실시형태의 브리더장치를 나타낸 변속기 케이스의 확대 부분측면도,
도 7은 제2실시형태의 변속기 케이스의 확대 부분평면도,
도 8은 제3실시형태의 브리더장치를 나타낸 변속기 케이스의 확대 부분측면도이고,
도 9는 제3실시형태의 변속기 케이스의 확대 부분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따라,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변속기의 브리더장치의 제1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도 1에 축방향 단면(斷面)을 나타낸 바와 같이, 변속기의 케이스(1) 내 공간을 외기(外氣)에 연통(連通)시키는 브리더장치는, 축선방향 앞쪽(도시된 좌측)에 도시하지 않은 토크 컨버터 하우징이 연결접속되고, 뒤쪽(도시된 우측)에 마찬가지로 도시하지 않은 익스텐션 하우이징이나 4륜구동용 트랜스퍼가 연결접속되는 변속기 케이스(1)의 상부에 있어서의 케이스 축선방향의 중간위치에, 케이스 내 공간에 개구하는 통기구(通氣口; 10)를 구비하고 있다. 이 통기구(10)는, 케이스 내 공간의 축선방향의 중앙위치보다 약간 후방향으로 비켜 놓은 중간위치에 위치하고, 이 비켜 놓은 방향과는 반대방향 즉 앞쪽으로 뻗는 통기수단(2)을 개재하여, 차량의 적절한 위치까지 안내되어, 도시하지 않은 브리더 밸브 등의 급배기수단에 의하여 외기에 개방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케이스(1) 내 공간이란, 변속기 케이스(1)와 토크 컨버터 하우징을 입력축 관통상태에서 닫는 전벽(前壁)(통상, 변속기 케이스 개구부에 설치되는 오일 펌프로 구성된다)(1A)과, 변속기 케이스(1)와 익스텐션 하우징 또는 4륜구동용 트랜스퍼를 출력축 관통상태에서 분리하는 후벽(後壁)(통상, 변속기 케이스(1)와 일체의 후벽으로 구성된다)(1b)으로 전후방향을 둘러싸고, 변속기 케이스(1)의 주벽(周壁; 11)으로 둘레방향을 둘러싸서, 도시하지 않은 변속기구의 각 회전부재나 이들에 부수되는 마찰부재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이 공간은, 변속기구에 대한 오일윤활공간이므로, 변속기구를 내장하고 있는 유밀상(油密狀;hermetically)의 밀폐공간이고, 외기와는 실질적으로 차단되어 있다. 따라서, 유밀공간인 케이스(1) 내 공간의 전후방향의 유효길이는, 도 1에 있어서 부호(L)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한쪽 끝을 전벽으로 하고, 다른쪽 끝을 후벽으로 하는 케이스 축선방향의 길이이고, 이 길이의 중앙이 케이스(1) 내 공간의 전후방향의 중앙위치가 된다.
이 형태에서는, 변속기 케이스(1)는, 그 주벽(11)의 상부를 전후방향으로 뻗어 주벽(1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내뻗고, 내부에 홈형상공간(groove-shaped space; C)을 획정(劃定)하는 벽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12)를 가지므로, 보강리브(12)의 측벽(12a)에 홈형상공간(C)에 개구하는 통기구(10)가 마련되고, 이 통기구(10)에 가로방향으로, 엘보형태(elbow-type)의 브리더 플러그(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통기구(10)는, 또한 변속기 케이스(1) 내에서의 변속기구의 회전부재, 예컨대 플래니터리 기어의 각 구성요소, 클러치 드럼, 원웨이 클러치의 회전레이스 등의 회전에 의하여 긁어 올려지는 기름의 직접적인 침입을 막는 의미에서, 변속기 케이스(1) 내에 수용되는 변속기구의 비회전부재, 예컨대 브레이크 피스톤, 원웨이 클러치의 고정레이스 등과 같이 케이스(1)에 회전불가능하게 지지된 부재를 차폐수단으로서, 그 외주측에 위치하는 배치가 된다. 이 형태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변속기 케이스(1) 주벽(周壁)의 내주 스플라인(12s)에 외주측이 회전멈춤 지지되어, 케이스 축선방향 대략 중앙부배치의 브레이크 마찰재(41)에 대하여, 그 맞물림조작을 위한 브레이크 피스톤(42)의 익스텐션 튜브부가, 케이스후벽에 내장된 유압서보 실린더로부터 뻗어 나와, 그 선단(先端)을 스플라인(12s)에 회전멈춤 끼워맞추어, 브레이크 마찰재(41)의 단부(端部)까지 도달해 있으므로, 이 익스텐션 튜브부의 외주측에 해당하는 축방향위치에 통기구(10)가 개구할 위치가 정해져 있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기수단(2)은, 이 형태에서는, 통기구(10)의 브리더 플러그(21)와, 브리더 플러그(21)에 한쪽 끝을 연결하고, 다른쪽 끝을 차량측 배관에 연결하여, 이를 개재하여 최종적으로 상기 브리더 밸브 등의 급배기수단에 연결된 브리더 파이프(22)를 구비한다. 브리더 플러그(21)는 통기구(10)의 수평축선주위에 누출방지상태(seal weld state)에서 회전가능한 스위블 조인트(swivel joint)가 되고, 선단측은 브리더 파이프(22)에 삽입하여 누출방지가능한 호스연결형상으로 되어 있다. 브리더 플러그(21)와 브리더 파이프(22)의 접속부는, 브리더 파이프(22)의 외주에 끼운 호스 밴드(23)의 나사조임에 의하여 풀림방지되어 있다. 브리더 파이프(22)는, 보강리브(12)를 따라 대략 수평으로 앞쪽으로 뻗고, 변속기 케이스(1)의 앞쪽에 연결되는 토크 컨버터 하우징의 외주위치에서 종단(終端)하고, 종단부에는 차량측 배관과의 조인트(joint; 24)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브리더장치에서는, 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의 급경사 주행에 의하여 변속기 케이스(1)가 앞쪽으로 기울거나 또는 뒤쪽으로 기울어 경사진 경우, 브리더장치에 연결되는 통기구(10)가, 변속기 케이스(1)의 상부 중간부에 위치하므로, 변속기 전후방향의 양(兩) 경사시 모두 오일레벨의 변동에 따른 통기구(10)로의 오일 침입을 막을 수 있다. 따라서, 통기구로의 오일 침입에 따른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을 변속기의 앞쪽으로의 기울어짐, 뒤쪽으로의 기울어짐시 모두 막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변속기 케이스(1)가 앞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통기구(10)가 뒤쪽으로 소정량 비켜져 위치하므로, 앞쪽만큼 높아지는 오일레벨에 대해서도, 이 비켜 놓은 분량의 여유가 확보되기 때문에, 통기구(10)로의 오일 침입이 방지된다. 역으로, 변속기 케이스(1)가 뒤쪽으로 기울어진 경우, 통기구(10)의 상기 비켜 놓은 분량만큼 앞쪽으로 기울어진 때보다 오일레벨의 상승에 대한 여유가 적어지지만, 이 경우는, 브리더 파이프(22)의 앞쪽이 통기구(10) 위치에 대하여 높아지기 때문에, 가령 오일이 통기구(10)에 침입한 경우이더라도,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이 방지된다.
게다가, 이 형태에서는, 변속기 케이스(1)의 일반주벽(general peripheral wall; 11)으로부터, 그 최상부에서 바깥쪽으로 내뻗는 벽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12)의 측벽(12a)에 통기구(10)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오일레벨에 대한 통기구(10)의 위치는, 변속기 케이스(1)의 형상을 변경하지 않고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통기구(10)로 오일이 빨려들어갈 가능성은 더욱더 저감되게 된다. 또한, 보강리브(12)의 측벽(12a)에 대한 통기구(10)의 가로방향배치에 의하여, 브리더 플러그(21) 및 브리더 파이프(22)의 변속기 케이스(1) 최대 외경으로부터의 돌출도 없고, 변속기의 차량에 대한 탑재성이, 이 브리더장치의 채용에 의하여 손상되지도 않는다.
다음으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형태는, 앞의 제1실시형태에 대하여, 통기수단(2)에 브리더 챔버(3)를 부수(付隨)시킨 점이 다르다. 이 형태에 있어서의 통기수단(2)은, 변속기 케이스(1)와 일체로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과는 격리하여 마련되고,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통기구(10)(도 7 참조)에 의하여 연통하는 브리더 챔버(3)를 구비한다. 브리더 챔버(3)는, 도 7에 평면형상을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긴 공간이 되고, 그 한쪽 단부측(본 형태에 있어서 뒤쪽)에서 통기구(10)에 의하여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연통하고, 다른쪽 단부측(동일하게, 앞쪽)이 브리더 플러그(21) 및 브리더 파이프(22)를 개재하여, 앞의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경로로 외기에 개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앞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통기구(10)와 브리더 플러그(21) 사이에 브리더 챔버(3)를 개재시킨 구성이 채용된다.
브리더 챔버(3)는,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변속기 케이스(1)의 보강리브(12)의 앞쪽부분을 이용하여 획정되어 있고, 대략 보강리브(12)의 변속기 케이스 일반 둘레면(11)으로부터의 돌출량에 상당하는 높이와, 보강리브(12)의 폭에 상당하는 폭의, 평면에서 볼 때 대략 긴 원형의 공간으로 되어 있다. 단지, 브리더 파이프(22)의 배치관계 때문에, 보강리브(12)의 중심선에 대해서는 약간 도시된 왼쪽방향으로 오프셋시킨 배치로 되어 있다. 브리더 챔버(3)의 저벽(底壁; 30)은, 변속기 케이스(1) 내의 기구의 배치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변속기 케이스(1)의 일반둘레면(11)과 거의 동일위치에 형성되고, 저벽(30)의 후부에 통기구(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브리더 챔버(3)의 상면(上面)은 개방되어, 리드(31)의 나사고정에 의하여 닫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리드(31)의 앞쪽에, 제1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기구(10)에 대한 브리더 플러그(21)의 설치와 같은 수법으로 브리더 플러그(21)가 설치되어 있다. 브리더 챔버(3)는, 실내의 유체 흐름을 규제하는 래버린스구조로 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래버린스구조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3개의 종벽(縱壁; 32)이, 리드(31)의 나사고정을 위한 두께부에 연결설치하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의 통기구(10)의 변속기 케이스(1)에 대한 전후방향위치나, 이에 대한 브리더 파이프(22)의 방향, 더 나아가서는, 브리더 플러그(21) 이후의 배관에 관해서는, 앞의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형태에 의해서도, 앞의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유로, 변속기의 전후방향의 양 경사시 모두 오일레벨의 변동에 따른 통기구(10)로의 오일 침입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이 방지된다. 또한, 이 형태의 경우, 브리더 챔버(3)가 통기구(10)와 브리더 플러그(21)의 사이에 있어서, 유로면적을 확대하는 완충공간으로서 기능하고, 게다가 그 공간이 래버린스구조에 의하여 오일의 유동을 저해하는 기구를 달성하므로,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은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된다. 또한, 이 형태에 있어서도, 변속기 케이스(1)의 일반주벽(11)으로부터, 그 최상부에서 바깥쪽으로 내뻗는 보강리브(12)의 내측을 이용하여 브리더 챔버(3)가 구성되기 때문에, 변속기 케이스(1)의 형상을 대폭적으로 변경하지 않고, 브리더 블로우의 방지효과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브리더 챔버(3), 브리더 플러그(21) 및 브리더 파이프(22)의 변속기 케이스(1)의 최대 외경으로부터의 돌출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변속기의 차량에 대한 탑재성이, 이 브리더장치의 채용에 의하여 손상되지도 않는다.
마지막으로,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형태를 나타낸다. 이 형태는, 앞의 제2실시형태에 대하여, 브리더 챔버(3)를 별개 구성으로 한 것이다. 이 형태에 있어서의 통기수단(2)은, 변속기 케이스(1)와는 별개의 브리더 챔버(3)를 구비하고, 통기구(10)(도 9 참조)에 의하여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연통한다. 이 경우도 브리더 챔버(3)는, 도 9에 평면형상을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긴 공간이 되고, 그 한쪽 단부측(본 형태에 있어서 뒤쪽)에서 통기구(10)에 의하여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연통하고, 다른쪽 단부측(동일하게, 앞쪽)이 브리더 플러그(21) 및 브리더 파이프(22)를 개재하여, 앞의 두 실시형태와 동일한 경로로 외기에 개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브리더 챔버(3)는, 변속기 케이스(1)의 보강리브(12)의 앞쪽부분의 한쪽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형태의 경우, 변속기 케이스(1)에 대하여 별개이기 때문에, 형상적 제한이 적으므로, 브리더 챔버(3)는 단순한 상자형 박스체(33)로 구성되어, 그 뒷쪽 측벽이 짧은 관(34)에서, 상기 제1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의 위치에 형성된 통기구(10)에 의하여 보강리브(12) 내 공간에 연통되어 있다. 또한, 브리더 플러그(21)는, 박스체(33)의 앞벽에 설치되어 있고, 이 경우의 브리더 플러그(21)는, 앞의 제2실시형태의 경우보다 브리더 파이프(22)의 방향으로 여유를 주기 위하여, 볼 조인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브리더 챔버(3)는, 실내의 유체 흐름을 규제하는 래버린스구조로 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래버린스구조를 구성하는 서로 다른 4개의 종벽(32)이, 각각 박스체(33)의 양 측벽으로부터 반대벽 근방까지 뻗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 형태에 있어서의 통기구(10)의 변속기 케이스(1)에 대한 전후방향위치나, 이에 대한 브리더 파이프(22)의 방향, 더 나아가서는 브리더 플러그(21) 이후의 배관에 관해서도, 앞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이 형태에 의해서도, 앞의 제1 및 제2실시형태와 동일한 이유로부터, 변속기의 전후방향의 양 경사시 모두 오일레벨의 변동에 의한 통기구(10)로의 오일 침입을 막을 수 있고, 이에 따라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이 방지된다. 그리고, 이 형태의 경우, 앞의 제2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브리더 챔버(3)가 통기구(10)와 브리더 플러그(21)의 사이에 있어서, 유로면적을 확대하는 완충공간으로서 기능하고, 게다가 그 공간이 래버린스구조에 의하여 오일의 유동을 저해하는 기구를 달성하기 때문 에, 브리더 블로우의 발생은 더욱더 확실하게 방지된다. 그리고, 이 형태에 있어서는, 브리더 챔버(3)가 변속기 케이스(1)와는 별개로 되어 있기 때문에, 변속기 케이스(1)의 실질적인 형상 변경은,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하다. 또한, 이 형태의 경우, 통기구(10)의 위치가 제1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보강리브(12)의 측벽에 있고, 브리더 챔버(3)가 제2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오일의 유동저해효과를 발휘하기 때문에, 변속기 케이스(1)의 외형에 주는 영향은 앞의 양 실시형태보다 크지만, 양자의 브리더 블로우 방지효과를 겸비한 브리더장치가 된다.
이상,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3개의 실시형태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예시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각각의 청구항에 기재된 사항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체적인 구성을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변속기 케이스(1)에 대한 통기구(10)의 위치설정에 관하여,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중앙위치보다 약간 뒤쪽으로 비켜 놓은 설정을 한결같이 예시하였지만, 통기수단(2)이 변속기 케이스(1)의 뒤쪽으로 뻗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변속기 케이스(1)에 대한 통기구(10)의 위치는, 중앙위치보다 약간 앞쪽으로 비켜 놓은 설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명확하고, 이러한 구성도 당연히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널리 일반적인 변속기에 적용가능한 것이지만, 특히 자동변속기, 그 중에서도, 4WD 오프로드차량 등의 차량에 탑재되는 프론트 엔진 리어 드라이브(FR)차량용 종치식 자동변속기에 사용하여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0)

  1. 변속기의 케이스 내 공간을 외기(外氣)에 연통(連通)시키는 브리더장치에 있어서,
    변속기 케이스(1)의 상부에 있어서의 케이스 축선방향의 중간위치에, 케이스 내 공간에 개구(開口)하는 통기구(10)가 구비되며,
    상기 변속기 케이스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의 주벽(周壁)(11)의 상부를 상기 변속기 케이스 축선방향의 전후방향으로 뻗어 상기 주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내뻗고, 내부에 홈형상공간(groove-shaped space; 12s)을 획정(劃定)하는 벽으로 이루어지는 보강리브(12)를 가지고,
    상기 통기구가 상기 보강리브의 측벽(12a)에 구비되어, 상기 홈형상공간에 개구하며,
    상기 통기구는, 상기 변속기 케이스 내에 수용되는 변속기구의 비회전부재(42) 외주측에 위치하고,
    상기 비회전부재가 브레이크 피스톤의 익스텐션 튜브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상기 케이스 내 공간의 축선방향 중앙위치로부터 전후방향으로 비켜 놓은 중간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비켜 놓은 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뻗는 통기수단(2)을 개재하여 외기에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상기 통기구에 연결된 브리더 파이프(2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상기 변속기 케이스와 일체로,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과는 격리되어 설치되고,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상기 통기구에 의하여 연통하는 브리더 챔버(3)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챔버는, 전후방향으로 긴 공간이 되고,
    그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통기구에 의하여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연통하고, 다른쪽 단부측이 브리더 파이프를 개재하여 외기에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챔버는, 그 실내의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는 래버린스구조(labyrinth structure; 32)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수단은, 상기 변속기 케이스와는 별개의 브리더 챔버를 구비하고, 상기 통기구에 의하여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챔버는, 전후방향으로 긴 공간이 되고,
    그 한쪽 단부측에서 상기 통기구에 의하여 변속기 케이스 내 공간에 연통하고, 다른쪽 단부측이 브리더 파이프를 개재하여 외기에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더 챔버는, 그 실내의 유체의 흐름을 규제하는 래버린스구조(labyrinth structure; 32)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위치는, 변속기구를 수용하는 변속기 케이스의 전벽(前壁)(1A)으로부터 후벽(後壁)(1b)까지 사이의 중앙위치로부터 한쪽 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기는, 케이스축선을 차량 전후방향으로 향하도록 차량에 탑재되는 종치식(縱置式) 배치의 변속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KR1020037003158A 2001-07-02 2002-07-02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KR100926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01506 2001-07-02
JP2001201506 2001-07-02
PCT/JP2002/006686 WO2003004909A1 (en) 2001-07-02 2002-07-02 Breather device for speed-change devic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925A KR20030024925A (ko) 2003-03-26
KR100926953B1 true KR100926953B1 (ko) 2009-11-17

Family

ID=19038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3158A KR100926953B1 (ko) 2001-07-02 2002-07-02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70729B2 (ko)
EP (1) EP1403557B1 (ko)
JP (1) JP4395723B2 (ko)
KR (1) KR100926953B1 (ko)
CN (1) CN1280558C (ko)
DE (1) DE60232444D1 (ko)
WO (1) WO20030049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19739B (en) * 2004-10-29 2009-10-21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Printing semiconducting components
JP4323540B2 (ja) * 2007-06-29 2009-09-02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ブリーザ装置
JP5626455B2 (ja) * 2011-03-31 2014-11-1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JP5536813B2 (ja) * 2012-02-22 2014-07-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ブリーザ装置
DE102013203612A1 (de) * 2013-03-04 2014-09-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Einrichtung zur Entlüftung von Getrieben
CN104565319A (zh) * 2013-10-18 2015-04-29 无锡爱奇克发动机有限公司 一种电动自行车用变档电机变速箱结构
WO2016054409A1 (en) 2014-10-01 2016-04-07 Donaldson Company, Inc. Tank vent with a pleated membrane
CN105179656B (zh) * 2015-10-15 2017-12-05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呼吸器及减速机
CN112392942B (zh) * 2020-11-13 2022-04-08 徐州徐工矿业机械有限公司 一种超大型液压挖掘机及其回转减速机齿轮油位监测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4963U (ko) * 1989-01-13 1990-07-27
JP2000266166A (ja) * 1999-03-15 2000-09-26 Suzuki Motor Corp 変速機のエアブリーザ構造
JP2001065669A (ja) * 1999-08-25 2001-03-16 Aisin Ai Co Ltd 歯車変速機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6973A (en) * 1969-10-20 1972-08-29 Gen Motor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 of transmission breathing
US3722321A (en) * 1971-10-27 1973-03-27 Gen Motor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breathing
JPS5765264A (en) 1980-10-04 1982-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Superconducting synchronous generator for geothermal power generating system
JPS6039577Y2 (ja) * 1980-10-07 1985-11-27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変速装置
US4451094A (en) * 1981-11-05 1984-05-29 Martin Jose L Hydraulic trailer brake
JPS58170966A (ja) * 1982-03-31 1983-10-07 Toyota Motor Corp 歯車箱のエアブリ−ザ
JPS61105369A (ja) * 1984-10-29 1986-05-23 Hitachi Ltd 変速機の歯車箱調圧装置
JPH0429168Y2 (ko) * 1984-10-31 1992-07-15
JPS63246568A (ja) * 1987-03-31 1988-10-13 Nissan Motor Co Ltd 自動変速機のエアブリ−ザ装置
JPH0294963A (ja) 1988-09-30 1990-04-05 Toshiba Corp 垂直偏光回路
US5129422A (en) * 1991-04-01 1992-07-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Transmission breather control valve
DE9112555U1 (ko) * 1991-10-09 1991-12-05 Frank, Karl Hans, 5970 Plettenberg, De
JP3475968B2 (ja) * 1994-03-31 2003-12-10 スズキ株式会社 ブリーザ装置
JP3308391B2 (ja) * 1994-05-23 2002-07-29 自動車電機工業株式会社 ブリーザ付モータ
US5509949A (en) * 1994-09-19 1996-04-23 Eaton Corporation Apparatus for venting a transmission
JP3186973B2 (ja) 1996-04-03 2001-07-11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ブリーザ装置
US5724864A (en) * 1996-07-18 1998-03-10 Eaton Corporation Drive axle breather
US6015444A (en) * 1998-02-27 2000-01-18 Eaton Corporation Apparatus and system for venting a transmission
US6058969A (en) * 1998-12-29 2000-05-09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Vent system for an automatic transmission
JP2001021022A (ja) * 1999-07-07 2001-01-26 Makishinkoo:Kk ギヤケーシングの注油栓
US6263749B1 (en) * 1999-11-08 2001-07-24 Muncie Power Products, Inc. Power take-off extended shaf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4963U (ko) * 1989-01-13 1990-07-27
JP2000266166A (ja) * 1999-03-15 2000-09-26 Suzuki Motor Corp 変速機のエアブリーザ構造
JP2001065669A (ja) * 1999-08-25 2001-03-16 Aisin Ai Co Ltd 歯車変速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WO2003004909A1 (ja) 2004-10-28
WO2003004909A1 (en) 2003-01-16
EP1403557A1 (en) 2004-03-31
EP1403557B1 (en) 2009-05-27
KR20030024925A (ko) 2003-03-26
EP1403557A4 (en) 2006-11-02
JP4395723B2 (ja) 2010-01-13
US7370729B2 (en) 2008-05-13
US20030188928A1 (en) 2003-10-09
CN1473248A (zh) 2004-02-04
CN1280558C (zh) 2006-10-18
DE60232444D1 (de) 2009-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6953B1 (ko) 변속기의 브리더장치
US5724864A (en) Drive axle breather
CN102099553B (zh) 变速器油室
US5855116A (en) Combination valve including improved neutral valve for use in a hydrostatic transmission
JPS628670B2 (ko)
BRPI1002085B1 (pt) eixo
JP2003214530A (ja) トランスファのブリーザ構造
JP2004232862A (ja) 自動車両車軸アセンブリ用最終駆動ユニット
US7210294B1 (en) Hydrostatic transaxle
JP2003336727A (ja) 変速機ケース
JP4443131B2 (ja) トランスミッションハウジングの配管構造
JP4412607B2 (ja) 油圧ホースの保護構造
JP2782221B2 (ja) 動力舵取装置用リザーバタンク
JPS59205065A (ja) 自動変速機
JPH10203185A (ja) トラクタのミッションケース
CN116292839A (zh) 通气塞总成结构、驱动桥总成及车辆
JPH0638201Y2 (ja) デイフアレンシヤル装置の潤滑機構
JPH0369847A (ja) エアブリーザ機構
JPH0537085Y2 (ko)
JPH05133450A (ja) スクータのミツシヨンボツクス
JP2005291326A (ja) 変速機のブリーザ装置
JP2005163951A (ja) ミッション装置および建設機械
JPH0444916Y2 (ko)
JPH10157604A (ja) リザーバ
KR19980068096U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에어벤트 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