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090B1 -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090B1
KR100919090B1 KR1020060005692A KR20060005692A KR100919090B1 KR 100919090 B1 KR100919090 B1 KR 100919090B1 KR 1020060005692 A KR1020060005692 A KR 1020060005692A KR 20060005692 A KR20060005692 A KR 20060005692A KR 100919090 B1 KR100919090 B1 KR 100919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slat
article
slide shoe
i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822A (ko
Inventor
다카시 무라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쯔바기모도체인
Publication of KR20060103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0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20Lunch or picnic boxe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Landscapes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인덕션 컨베이어로부터 슬랫 컨베이어에의 물품의 투입을 제어함으로써, 슬랫 컨베이어에 투입되는 물품의 전후의 간격을 짧게 하여, 반송 효율이 높은 슬라이드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를 제공한다.
인덕션 컨베이어(120)의 근방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물품의 최전부(最前部)를 검출하는 광 센서(PHA, PHB)와, 슬랫 컨베이어(140)의 회전축부에 설치되어, 각 슬랫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회전검출기(146)와,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회전검출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션 컨베이어의 투입 스피드를 제어하는 콘트롤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물품의 최전부가 상기 슬랫의 소정의 위치에 오도록 상기 인덕션 컨베이어로부터 상기 슬랫 컨베이어에의 상기 물품의 투입 제어를 실시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SLIDE SHOE TYPE CONVEYER FOR SORTING GOODS}
본 발명은, 인덕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물품을 슬랫(slat) 컨베이어 상에 투입하고, 그 슬랫 컨베이어의 각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슈의 이동에 의해, 물품을 소정의 배출 슈트로 배출하는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고, 더욱 상세하게는, 인덕션 컨베이어로부터 슬랫 컨베이어로의 물품의 투입 제어에 특징이 있는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품을 반송하고 소정의 분류 정보에 기초하여 물품의 반송처를 전환하는 것이 가능한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로서는, 예를 들면, 도 5에 나타내는 슬랫 컨베이어(400)가 있다. 이러한 슬랫 컨베이어(40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반송로를 따라서 주행하는 1조의 체인 상에, 혹은 여러 조의 체인 사이에 물품(M)을 받는 다수의 슬랫(410)을 굴곡이 가능하게 연속적으로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체인을 순환 주행시킴으로써, 슬랫(410) 상에 얹어 놓은 물품(M)을 운반하고 있다.
또한, 각 슬랫(410)에는, 그 길이방향{즉, 컨베이어의 주행 방향(D)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이동이 가능한 슬라이드 슈(4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드 슈(420)는, 인접한 슬랫(410)의 틈새에서 그 다리부를 끼워 지지하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이 다리부가, 슬랫(410)의 반송면 배후에 평행하게 부착 설치된 한 쌍의 직진 가이드 레일(432, 434)로 유도되는 것에 의해서, 슬랫(410)의 일끝단에 정지한 상태에서 컨베이어의 주행과 함께 직진하고 있다.
한편, 슬랫 컨베이어(400)의 분기점, 즉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장소에서는, 분기 반송로(B)의 분기 방향을 따르도록 분기 가이드 레일(442, 444)이 직진 가이드 레일(434)로부터 분기하여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분기 가이드 레일(442, 444)과 직진 가이드 레일(434)의 분기점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슬라이드 슈(420)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기 위해서, 직진 방향과 분기 방향의 사이를 요동이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스위치 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도 4는, 이 스위치 레일의 방향을 전환하는 스위치 레일 전환장치(450)를 나타내고 있다. 스위치 레일(452)은, 뾰족한 머리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요동축(454)에 의해 직진 방향과 분기 방향의 사이를 요동이 가능하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이 스위치 레일(452)에는, 요동축(454) 근방으로부터 뾰족한 머리 끝단 방향으로 철심(453)이 매설되어 있어, 스위치 레일(452)의 철심을 끼워 지지하도록 배치된 한 쌍의 전자석(456, 458)의 어느 한쪽으로 통전함으로써, 스위치 레일(452)의 요동을 실현하고 있다.
도 4 (a)는, 전자석 456이 통전, 전자석 458이 비통전 상태에 있고, 뾰족한 머리 형상의 스위치 레일(452)의 선단부(452a)가 안쪽에 위치하는 직진 가이드 레일(434)에 따르는 방향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슈의 다리부(422)가 직진 가이드 레일(432, 434)로 유도되어 슬라이드 슈가 직진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4 (b)는, 전자석 456이 비통전, 전자석 458이 통전 상태에 있고, 뾰족한 머리 형상의 스위치 레일(452)의 선단부(452a)가 바깥쪽에 위치하는 직진 가이드 레일(432)에 따른 방향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슈의 다리부(422)가 분기 가이드 레일(442, 444)로 유도되어 슬라이드 슈가 분기 방향을 따르도록 진행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그 결과,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랫 컨베이어(400) 상을 직진해 온 물품(M)의 진행 방향이 분기 반송로(B) 방향으로 변경된다.
이러한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는, 물품의 분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인덕션 컨베이어로부터 슬랫 컨베이어 상에 잇달아 투입되는 물품의 전후의 간격을 가능한 한 짧게 할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개2004-10218호 공보(제4-5페이지, 제1, 2, 7도)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에 있어서는, 인덕션 컨베이어로부터 슬랫 컨베이어로 물품을 투입할 때에 어느 슬랫의 어느 위치에 물품을 투입했는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고, 상술한 바와 같이, 슬랫 단위로 슬라이드 슈를 움직여, 원하는 배출 슈트로 물품을 밀어내기 위해서는, 물품이 존재하고 있을 슬랫의 전후 1∼2매분의 슬랫에 부수된 슬라이드 슈를 여분으로 움직일 필요가 있었다. 이 여분의 슬랫의 존재 때문에, 인덕션 컨베이어로부터 슬랫 컨베이어 상에 투입되는 물품의 전후의 간격을 길게 하지 않으면 안되어, 반송 효율이 저하하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덕션 컨베이어로부터 슬랫 컨베이어로의 물품의 투입을 제어함으로써, 슬랫 컨베이어에 투입되는 물품의 전후의 간격을 짧게 하여, 반송 효율이 높은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은, 인덕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물품을 슬랫 컨베이어 상에 투입하고, 상기 슬랫 컨베이어의 각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슈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품을 소정의 배출 슈트로 배출하는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컨베이어의 근방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물품의 가장 앞 부분을 검출하는 광 센서와, 상기 슬랫 컨베이어의 회전축부에 설치되어, 각 슬랫의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검출기와,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회전검출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션 컨베이어의 투입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물품의 가장 앞 부분이 상기 슬랫의 소정의 위치에 오도록 상기 인덕션 컨베이어의 투입 속도를 가감하여 상기 슬랫 컨베이어로의 상기 물품의 투입 제어를 실시함으로써,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부호 I로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의 물품 투입 부분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의 투입 제어의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10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덕션 컨베이어(120)를 이용하여 물품(W)을 슬랫 컨베이어(140) 상에 투입하고, 슬랫 컨베이어(140)의 각 슬랫(141)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슈(142)의 이동에 의해, 물품(W)을 소정의 배출 슈트(O)로 배출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인덕션 컨베이어(120)의 상류에는, 물품(W)을 인덕션 컨베이어(120)까지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110)가 설치되어 있다. 슬랫 컨베이어(140)는,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양 끝단이 스프로켓으로 지지되어, 각 슬랫의 뒤쪽에 고착된 2차측 도체와, 그 2차측 도체와 마주보도록 슬랫의 배후에 설치된 1차측 고정자에 의해서, 직선 구동되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주요부인 물품 투입 제어의 하드웨어 구성에 대하여, 도 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품 투입부는, 인덕션 컨베이어(120)와, 물품을 인덕션 컨베이어(120)까지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110)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인덕션 컨베이어(120)는, 그 반송면(120a)을 형성하는 벨트가, 슬랫 컨베이어(140)의 반송면(140a)과 적은 틈새에서 대략 동일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4개의 풀리(122, 124, 126, 128)를 이용하여 V자 형상으로 걸쳐져 있다. 그리고, 4개의 풀리의 하나에 구동원으로서의 모터(130)가 접속되어 있고, 통상적으로는, 하류의 슬랫 컨베이어(140)의 반송 속도와 대략 같은 속도가 되도록 제어되고 있다. 한편, 슬랫 컨베이어(140)는, 스프로켓(144)에 걸쳐져,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각 슬랫(141)의 뒤쪽에 고착된 2차측 도체와, 그 2차측 도체와 마주보도록 슬랫(141)의 배후에 설치된 1차측 고정자(148)에 의해서 직선 구동되고 있다. 또, 본 실시예에서는, 슬랫 컨베이어(140)를 직선 구동하고 있지만, 모터로 구동하는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인덕션 컨베이어(120)의 근방에는, 투입되는 물품(워크 D, 워크 E)의 가장 앞 부분을 검출하는 복수의 광 센서(PHA, PHB)가 설치됨과 동시에, 슬랫 컨베이어(140)의 스프로켓(144)의 회전축부에는, 각 슬랫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엔코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회전검출기(14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광 센서(PHA, PHB) 및 회전검출기(146)의 출력에 기초하여, 인덕션 컨베이어(120)의 투입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으며, 물품의 가장 앞 부분이 슬랫(141)의 소정의 위치, 예를 들면, 슬랫(141)의 주행 방향폭의 중앙 위치에 오도록 인덕션 컨베이어(120)로부터 슬랫 컨베이어(140)로의 물품의 투입 제어를 실시하고 있다.
이어서 물품의 투입 제어의 방법에 대하여, 도 2의 하드웨어 구성도와 도 3의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반송 컨베이어(110)로부터, 인덕션 컨베이어(120)로 워크(D)가 옮겨 실리게 된다(S1). 다음에 워크(D)가 광 센서(PHA)를 차광함으로써, 워크(D)의 가장 앞 부분을 검출한다(S2). 그리고, 회전검출기(146)로부터 출력되는 기준 펄스를 확인하여(S3), 인덕션 컨베이어(120)로부터 슬랫 컨베이어(140)로 옮겨 싣는 타이밍에 문제가 없는지 판단된다(S4). 이 때, 기준 펄스와 워크(D)의 가장 앞 부분의 관계로부터 판단하여, 이대로 투입하면 슬랫(141)의 소정의 위치에 얹어 놓여지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인덕션 컨베이어(120)를 기준 펄스로부터의 어긋남에 따라 감속 또는 가속하여 슬랫 컨베이어(140)에 옮겨 싣는 타이밍을 조절한다(S5).
다음에 워크(D)가, 슬랫 컨베이어(140)의 반송면(140a) 근방에 설치된 광 센서(PHB)를 차광함으로써, 광 센서(PHB)를 차광하기 시작하는 슬랫을 선두의 슬랫으로 하고, 광 센서(PHB)를 차광중인 워크(D)의 크기에 따라, 여러 슬랫을 워크(D)의 분류용 슬랫으로서 설정한다(S6).
다음에 워크(E)가 인덕션 컨베이어(120)에 투입되었을 경우에, 상술한 S1로부터 S6와 같은 제어가 실행된다. 이 때, 이미 워크(D)에 대한 슬랫이 설정되어 있으므로, 워크(E)의 슬랫이, 워크(D)의 슬랫으로서 설정된 슬랫과 중복하지 않도록, 인덕션 컨베이어(120)로부터 슬랫 컨베이어(140)로 옮겨 싣는 타이밍에 문제가 없는지 판단된다(S10). 그 결과, 워크(D)와 워크(E)의 간격의 불균일이 없어지게 되어, 슬랫 컨베이어(140)에 있어서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워크를 반송 컨베이어(110)에 의해서 인덕션 컨베이어(120)까지 반송 중에 생긴 물품의 간격의 어긋남을 보정할 수 있다.
광 센서(PHB)에 의해 워크(D)에 대해서 설정한 분리용 슬랫과 워크(E)에 대해서 설정한 분리용 슬랫의 중복을 검출하지만, 만일, 중복되어 버렸을 경우에는(S13), 간격 이상으로 하여 소정의 슈트로의 배출을 중지하고(S14), 워크(D, E)를 반송 컨베이어(110) 상에 재투입한다(S16). 한편, 워크(D)에 대해서 설정한 분리용 슬랫과 워크(E)에 대해서 설정한 분리용 슬랫이, 중복되지 않고 정상적으로 슬랫 컨베이어(140) 상에 투입되었을 경우에는, 소정의 슈트로, 각 워크(D, E)에 대응하는 슬랫(141)에 설치된 슬라이드 슈를 슈트방향으로 분기시켜, 워크(D, E)의 배출을 실행함으로써(S15), 일련의 물품 투입 제어가 종료한다(S17).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물품의 가장 앞 부분이 슬랫의 소정의 위치에 오도록 인덕션 컨베이어의 투입 속도를 가감하여 슬랫 컨베이어로의 물품의 투입 제어를 실행하고 있기 때문에, 슬랫 컨베이어에 투입되는 물품의 전후의 간격을 짧게 할 수 있어,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의 반송 효율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물품을 배출할 때에, 여분의 슬라이드 슈를 이동시키지 않고, 배출대상의 물품이 존재하는 슬랫의 슬라이드 슈만을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잘못해서, 배출대상 물품의 전후에 위치한 다른 물품을 배출하는 경우가 없어져, 위치하는 분류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의 개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있어서, 부호 I로서 나타낸 본 발명의 주요부인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의 물품 투입 부분의 하드웨어 구성의 개요를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물품의 투입 제어의 플로우 차트.
도 4는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에 이용되는 스위치 레일 전환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의 개념을 나타내는 개념도.
<부호의 설명>
100 :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
110 : 반송 컨베이어 120 : 인덕션 컨베이어
120a : 인덕션 컨베이어의 반송면 122, 124, 126, 128 : 풀리
130 : 모터 140 : 슬랫 컨베이어
140a : 슬랫 컨베이어의 반송면 141 : 슬랫
142 : 슬라이드 슈 144 : 스프로켓
146 : 회전검출기 148 : 일차측 고정자
I : 물품 투입부 PHA, PHB : 광 센서

Claims (1)

  1. 인덕션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물품을 슬랫 컨베이어 상에 투입하고, 상기 슬랫 컨베이어의 각 슬랫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슬라이드 슈의 이동에 의해, 상기 물품을 소정의 배출 슈트로 배출하는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인덕션 컨베이어의 근방에 설치되어, 투입되는 물품의 가장 앞 부분을 검출하는 광 센서와,
    상기 슬랫 컨베이어의 회전축부에 설치되어, 각 슬랫의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검출기와,
    상기 광 센서 및 상기 회전검출기의 출력에 기초하여, 상기 인덕션 컨베이어의 투입 속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물품의 가장 앞 부분이 상기 슬랫의 소정의 위치에 오도록 상기 인덕션 컨베이어의 투입 속도를 가감하여, 상기 슬랫 컨베이어로의 상기 물품의 투입 제어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
KR1020060005692A 2005-03-28 2006-01-19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 KR100919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92460 2005-03-28
JP2005092460A JP4849813B2 (ja) 2005-03-28 2005-03-28 スライドシュー式物品仕分けコンベ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822A KR20060103822A (ko) 2006-10-04
KR100919090B1 true KR100919090B1 (ko) 2009-09-28

Family

ID=37208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5692A KR100919090B1 (ko) 2005-03-28 2006-01-19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849813B2 (ko)
KR (1) KR1009190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52292A1 (en) 2006-05-12 2007-11-22 John D. Moore Sortation conveyor apparatus and methods
MX2009000899A (es) 2006-07-31 2009-04-22 Fki Logistex Inc Sistemas y metodos de banda transportadora.
JP6168924B2 (ja) * 2013-09-03 2017-07-26 トーヨーカネツ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仕分けコンベヤの切換装置
KR102056183B1 (ko) * 2018-01-17 2020-01-22 수퍼빈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 장치
KR20210001312A (ko)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코로텍 화물 자동분류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331A (ja) * 1994-03-31 1995-10-17 Sanki Eng Co Ltd 仕分け装置におけるインダクション部の投入装置
JPH10139130A (ja) * 1996-09-10 1998-05-26 Toyo Kanetsu Kk 導入装置
JPH10201313A (ja) * 1997-01-27 1998-08-04 Daiwa Seiko Inc 間欠送り用の搬送装置
JP2000136021A (ja) * 1998-11-02 2000-05-16 Tsubakimoto Chain Co インダクションコンベヤ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7415A (ja) * 1994-10-31 1996-05-21 Meidensha Corp 自動仕分け装置
JPH092648A (ja) * 1995-06-22 1997-01-07 Toyo Kanetsu Kk インダクション装置
JPH10114417A (ja) * 1996-10-09 1998-05-06 Meidensha Corp 自動仕分け装置
JP2001080725A (ja) * 1999-09-16 2001-03-27 Toyo Kanetsu Kk 搬送装置および搬送方法
JP3885496B2 (ja) * 2000-12-28 2007-02-21 株式会社ダイフク 仕分け設備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7331A (ja) * 1994-03-31 1995-10-17 Sanki Eng Co Ltd 仕分け装置におけるインダクション部の投入装置
JPH10139130A (ja) * 1996-09-10 1998-05-26 Toyo Kanetsu Kk 導入装置
JPH10201313A (ja) * 1997-01-27 1998-08-04 Daiwa Seiko Inc 間欠送り用の搬送装置
JP2000136021A (ja) * 1998-11-02 2000-05-16 Tsubakimoto Chain Co インダクションコンベ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849813B2 (ja) 2012-01-11
KR20060103822A (ko) 2006-10-04
JP2006273469A (ja) 2006-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45623B2 (ja) 荷物間に間隔を設けるコンベヤと方法
KR100919090B1 (ko) 슬라이드 슈식 물품 분류 컨베이어
US6347697B1 (en) Conveyed path splitting conveyor system
JP2019189455A (ja) 物品除去装置を有する選別コンベヤ
EP2999650B1 (en) Apparatus for dynamically controlling the spacing of conveyed objects
JP5040779B2 (ja) 仕分け設備における物品の仕分け方法
JP6060673B2 (ja) 物品振り分け装置
RU2470850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меньшения смещения среди транспортируемых изделий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US9856093B2 (en) Apparatus for diverting a stream of articles
JP5221173B2 (ja) 搬送物の間隔調整装置
EP1899247B1 (en) Product handling, in particular positioning and grouping
JP4231957B2 (ja) 仕分け装置
JP7467559B1 (ja) 物品仕分け装置
JP3885496B2 (ja) 仕分け設備
JPH04277116A (ja) 物品の搬送方法
JP2008214024A (ja) コンベヤ装置
JP4270332B2 (ja) 荷合流装置
US11745223B2 (en) Article sorting system
JP2002284308A (ja) 物品の整列装置の制御方法
US20240182250A1 (en) Sorting conveyor system
JP4186854B2 (ja) 仕分け設備
JPH07157057A (ja) 物品の導入仕分方法および装置
JP2022100871A (ja) 物品振分け装置
JP4544451B2 (ja) 仕分装置
WO2022195584A1 (en) Sorting conveyor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