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6183B1 - 재활용품 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품 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6183B1
KR102056183B1 KR1020180006097A KR20180006097A KR102056183B1 KR 102056183 B1 KR102056183 B1 KR 102056183B1 KR 1020180006097 A KR1020180006097 A KR 1020180006097A KR 20180006097 A KR20180006097 A KR 20180006097A KR 102056183 B1 KR102056183 B1 KR 1020561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ing
recycled
moving member
rear side
recycled produ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815A (ko
Inventor
김민현
Original Assignee
수퍼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수퍼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수퍼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6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61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61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61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05Compressing means incorporat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8Identif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2Pres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76Sor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품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격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재활용품을 압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되므로, 재활용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재활용품 수거 장치{Collecting Apparatus of Recycled Product}
본 발명은 재활용품 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재활용품을 압착하여 보관하도록 하여, 재활용품을 용이하게 수거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활용품은 국민소득이 증가할수록 질적 변화를 수반하게 된다. 현재 우리나라는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생활수준의 향상으로 대량생산과 대량소비 활동이 이루어짐으로써 각종 재활용품이 급증하고 있다. 더구나 공업화, 산업화에 따른 도시의 인구집중 현상은 도시폐기물의 배출량을 급중시킴으로써 환경오염은 물론 처리에 따른 사회문제가 지방자치단체의 당면한 과제로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폐기물 가운데 재활용할 수 있는 물품은 주로 폐지류,유리병류,캔류,플라스틱류,금속류, 의류 및 기타 물질 등이 있다. 재활용품 수거의 일반적인 경로를 보면 가정에서 자체 관리망에 의해 분리 배출된 재활용품은 차량을 통해 중간선별장으로 옮겨지고,중간 선별장에 모인 재활용품은 품목별로 선별된 다음에 해당 품목의 재생공장에 넘겨져 재생되게 된다. 병은 다시 재생되어 병으로 만들어지며,플라스틱은 재생 공정을 거쳐 새로운 제품으로 생산되고, 종이는 질에 따라 사용처가 달라진다.
그러나 자체 관리망으로 재활용품을 관리하게 되면, 재활용품 수거통 또는 수거포대의 관리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특히 캔과 패트병의 경우 압착되지 않고 회수하게 되므로 상대적으로 회수되는 개수에 비하여 부피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07574호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779782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재활용품을 압착하여 보관하도록 하여, 재활용품을 용이하게 수거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측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되 전측은 상기 투입구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후측은 상기 본체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전측으로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타격시키는 타격부를 갖는 타격부재; 상기 인식부가 인식한 재활용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재활용품의 종류를 인식하고,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타격부가 재활용품을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타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이 저장되는 저장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저장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압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을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을 압착시키는 제 1 압착부와,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을 압착시키는 제 2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재는: 상기 제 1 압착부가 압착시킨 재활용품이 저장되는 제 1 저장부와, 상기 제 2 압착부가 압착시킨 재활용품이 저장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 1 압착부와 상기 제 2 압착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 내부 전측에 장착되는 제 1 회전축; 상기 투입구와 멀리 떨어지는 상기 본체 내부 후측에 상기 제 1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장착되는 제 2 회전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 사이에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복수 개의 상기 밴드가 회전되면서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밴드의 전측으로 떨어진 재활용품을 상기 타격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밴드들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타격부와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부의 후측은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회전모터; 및 일측은 상기 회전모터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타격하는 상기 타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하측에 재활용품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이동부재의 하측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전측은 상기 배출구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후측은 상기 배출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보다 멀리 떨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보로부터 재활용품의 종류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타격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타격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격부가 타격하지 않은 재활용품은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을 지나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측으로 낙하된 후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측에 위치된 상기 배출부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측보다 높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타격부재는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저장부재는 각각의 상기 타격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되는 보조타격부재; 상기 보조타격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보조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은 상기 안착부로 안착되고, 상기 안착부로 안착되는 재활용품은 상기 보조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안착부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저장부재로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안착부의 타측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보조저장부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타격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재활용품을 압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되므로, 재활용품을 용이하게 수거 및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투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므로, 재활용품을 투입구로 끊임없이 넣을 수 있고, 투입구로 투입된 재활용품 중 잘못 투입된 물품은 슬라이딩부를 통하여 배출구로 끊임없이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동부재의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밴드 사이는 이격되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밴드 사이에는 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빈틈이 형성되며, 이에 따라, 투입구 주변을 물 청소 하는 경우, 세척수가 상기 빈틈 사이로 용이하게 통과되므로, 이동부재의 세척 및 건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재활용품에 해당하지 않은 작은 물체의 경우 상기 빈틈 사이로 낙하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의 이동부재 및 타격부재가 복수 개로 구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의 제어부가 타격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100)는 사용자가 배출하는 재활용품을 수거, 압착 및 보관하는 것으로, 본체(110), 이동부재(120), 인식부(130), 제어부(140), 타격부재(150), 압착부재(170) 및 저장부재(18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예를 들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사람들의 왕래가 잦거나 재활용품이 많이 발생되는 곳, 공동주택의 쓰레기 집하장, 대형 마트, 관공서, 자동자판기, 버스정류장, 전철역 주변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재활용품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병, 캔 등을 포함하며, 이 외에도 재활용이 가능한 다양한 것들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10)의 전면 상측에 재활용품을 본체(110) 내부로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112)가 형성되고, 본체(110)의 전면 하측에 본체(110) 내부로 잘못 투입된 물품이 배출되기 위한 배출구(114)가 형성된다. 여기서 잘못 투입된 물품이라 함은 등록되지 않은 재활용품 또는 재활용이 불가능한 물품 등으로 구성된다. 이처럼 투입구(112)와 배출구(114)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므로, 재활용품을 투입구(112)로 끊임없이 넣을 수 있고, 투입구(112)로 투입된 재활용품 중 잘못 투입된 물품은 배출구(114)로 끊임없이 배출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동부재(120)는 컨베이어벨트와 같은 것으로, 본체(110) 내부에 위치되되 전측은 본체(110)의 투입구(112)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후측은 본체(110)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이동부재(120)는 제 1 회전축(122), 제 2 회전축(124) 및 밴드(126)를 포함한다. 제 1 회전축(122)은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투입구(112)와 마주보는 본체(110) 내부 전측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제 2 회전축(124)은 투입구(112)와 멀리 떨어지는 본체(110) 내부 후측에 제 1 회전축(122)과 평행하도록 장착된다. 밴드(126)는 복수 개로 구성되며 제 1 회전축(122)과 제 2 회전축(124) 사이에 병렬로 배열된다. 그리고 제 1 회전축(122)과 제 2 회전축(124)의 회전에 의하여 복수 개의 밴드(126)가 회전되면, 투입구(112)에서 밴드(126)의 전측으로 떨어진 재활용품을 밴드(126)의 후측 즉, 후술하는 타격부(154)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밴드(126)는 예를 들면 링 형상의 고무줄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호 인접한 한 쌍의 밴드(126)들은 상호 이격되어, 한 쌍의 밴드(126) 사이에는 물이 통과 가능하도록 빈틈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투입구(112) 주변을 물청소 하는 경우, 세척수가 상기 빈틈 사이로 용이하게 통과되므로, 이동부재(120)의 세척 및 건조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밴드(126)들 사이의 공간으로 재활용품이 아닌 작은 물체가 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이동부재(12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가이드부(128)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28)는 밴드(126)의 상측 길이방향을 따라 전측에서 후측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밴드(126)의 상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밴드(126)의 회전에 의하여 밴드(126)를 따라 이동되는 재활용품은 임의로 밴드(126)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떨어지지 아니하고, 밴드(126)의 후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타격부(154)와 마주보는 가이드부(128)의 후측은 하방으로 오목하게 오목부(129)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타격부(154)가 밴드(126)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타격하면, 재활용품은 오목부(129)를 지나 밴드(126)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용이하게 떨어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타격부(154)가 타격하지 않은 잘못 투입된 물품은 밴드(126)의 후측을 지나 그 하부로 낙하된다.
인식부(130)는 본체(110)에 장착되며 투입구(112)에서 이동부재(120)의 전측으로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정보로 인식한다. 상기 인식부(130)는 예를 들면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정보는 예를 들면 이미지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인식부(130)는 밴드(126)의 전측에서 그 상부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인식부(130)가 인식한 재활용품의 정보, 예를 들면, 재활용품의 이미지를 전달받아 재활용품의 종류를 인식하고,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후술하는 타격부(154)가 재활용품을 이동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타격시키도록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인식부(130)는 상기 카메라 이외에 재활용품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각종 센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타격부재(150)는 이동부재(120)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이동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타격시키는 타격부(154)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 4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압착부재(170)는 이동부재(120)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되 타격부(154)의 타격에 의하여 이동부재(120)의 일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을 압착시키는 제 1 압착부(172)와, 이동부재(120)의 타측 하부에 위치되되 타격부(154)의 타격에 의하여 이동부재(120)의 타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을 압착시키는 제 2 압착부(174)를 포함한다. 제 1, 2 압착부(172, 174)는 부피가 큰 패트병이나 캔 등의 재활용품을 납작하게 압착시키는 것으로 통상적인 구성이다. 한편, 경우에 따라 제 1 압착부(172)와 제 2 압착부(174)는 상호 일체로 연결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저정부재는 제 1 압착부(172)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 1 압착부(172)가 압착시킨 재활용품이 저장되는 제 1 저장부(182)와, 제 2 압착부(174)의 하부에 위치되며 제 2 압착부(174)가 압착시킨 재활용품이 저장되는 제 2 저장부(184)를 포함한다.
슬라이딩부(160)는 제 1, 2 압착부(172, 174)와 이동부재(120) 사이의 공간에 이동부재(120)의 하측과 마주보도록 길게 형성된다. 이러한 슬라이딩부(160)의 전측은 배출구(114)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후측은 배출구(114)를 기준으로 하여 이동부재(120)의 후측보다 멀리 떨어지도록 더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제어부(140)가 인식부(130)가 인식한 이미지로부터 재활용품의 종류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타격부(154)가 이동부재(120)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타격하지 않도록 제어하는데, 이 경우, 타격부(154)가 타격하지 않은 재활용품은 이동부재(120)의 후측을 지나 슬라이딩부(160)의 후측으로 낙하된 후 슬라이딩부(160)를 따라 슬라이딩부(160)의 전측에 위치된 배출구(114)로 배출된다. 이를 위하여 슬라이딩부(160)는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슬라이딩부(160)의 후측은 슬라이딩부(160)의 전측보다 높도록 형성된다. 또한, 슬라이딩부(160)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측벽부(162)가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부(160)를 따라 슬라이딩되는 물품은 측벽부(162)에 가이드된 상태로 배출구(114) 방향으로 하강된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타격부재(150)는 회전모터(152) 및 타격부(154)를 포함한다. 회전모터(152)는 이동부재(120)의 후측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된다. 타격부(154)는 일측은 회전모터(152)에 장착되고 타측은 이동부재(120)의 후측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타격부(154)는 회전모터(152)의 회전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이동부재(120)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R)을 이동부재(120)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타격하여, 재활용품(R)을 압착부재(170) 방향으로 떨어트린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의 이동부재 및 타격부재가 복수 개로 구성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재(120) 및 타격부재(150)는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되고, 압착부재(170) 및 저장부재(180)는 이동부재(120) 및 타격부재(150)의 개수에 비례하여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이는 분류할 재활용품이 2개가 아닌 3가지 이상일 경우, 타격부재(150)를 복수 개로 구성되도록 하여, 이동부재(120)를 따라 이동되는 재활용품을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압착부재(170) 및 저장부재(180)로 이동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복수 개의 이동부재(12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의 제어부가 타격부를 제어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인식부(130) 및 제어부(140)는 투입구(112)로 투입된 재활용품의 종류를 인식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1779782호를 참조한 것일 수 있다. 국내특허등록공보 제10-1779782호를 참조하면, 인식부(130)가 인식한 이미지를 제어부(140)가 인공신경망 분석에 근거하여 물품을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인식한 물체에 따라, 정회전제어신호 또는 역회전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42)로 전달하고 모터구동부(142)는 제어부(140)로부터 정회전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회전모터(152)를 정회전시키거나 또는 역회전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회전모터(152)를 역회전시켜서 타격부(154)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되도록 한다. 또한, 모터구동부(142)는 제어부(140)로부터 정회전제어신호 또는 역회전제어신호를 전달받기 전에, 회전모터(152)를 제어하여, 회전모터(152)와 멀리 떨어진 타격부(154)의 단부가 상부 방향을 향하도록 위치시킨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투입구(112)로부터 물품이 이동부재(120)로 투입되면, 이동부재(120)의 전측 상부에 위치된 인식부(130)가 물품을 인식하고, 인식한 이미지는 제어부(140)로 전달한다(S100). 제어부(140)는 인식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물품이 어떤 재활용품에 해당하는지를 판단한다(S110). 예를 들어 물품은 병 또는 캔으로 판단될 수 있다. 이어서 재활용품이 이동부재(120)의 후측으로 이동되면, 제어부(140)가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른 정회전제어신호 또는 역회전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42)로 전달한다. 예를 들어 재활용품이 병인 경우, 제어부(140)는 정회전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42)로 전달하여, 모터구동부(142)가 회전모터(152)를 정회전시킨다. 그러면 이동부재(120)의 후측 상부에 위치된 타격부(154)가 정회전되면서 재활용품을 이동부재(120)의 일측 방향으로 타격시킨다. 만일, 재활용품이 캔인 경우 제어부(140)는 역회전제어신호를 모터구동부(142)로 전달하여, 모터구동부(142)가 회전모터(152)를 역회전시킨다. 그러면 이동부재(120)의 후측 상부에 위치된 타격부(154)가 역회전되면서 재활용품을 이동부재(120)의 타측 방향으로 타격시킨다(S120). 그리고 타격부(154)의 타격에 의하여 이동부재(120)의 일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은 제 1 압착부(172)에 의하여 압착된 후, 제 1 저장부(182)에 저장되고, 타격부(154)의 타격에 의하여 이동부재(120)의 타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은 제 2 압착부(174)에 의하여 압착된 후, 제 2 저장부(184)에 저장된다. 한편, S120단계에서, 타격부(154)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지 않으면, 즉, 제어부(140)가 물품의 종류를 인식하지 못하면, 이동부재(120)의 후측으로 이동된 물품은 이동부재(120)의 후측을 지나 슬라이딩부(160)의 후측으로 낙하된 후 슬라이딩부(160)를 따라 슬라이딩부(160)의 전측에 위치된 배출구(114)로 배출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타격부재(150)를 이용하여 다양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류하고, 분류된 재활용품을 압착하여 보관하도록 구성되므로, 재활용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품 수거 장치(101)는 본체(110a), 이동부재(120), 인식부(130), 제어부(140), 타격부재(150), 슬라이딩부(160), 압착부재(170) 및 저장부재(180)를 포함하며, 본체(110a)의 일측 또는 양측에 장착되는 보조본체를 더 포함한다. 보조본체는 본체(110a)의 일측에 장착되는 제 1 보조본체(110b) 및 본체(110a)의 타측에 장착되는 제 2 보조본체(110c)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보조본체(110b)에는 제 1 보조타격부재(150a), 제 1 안착부(120a) 및 제 1 보조저장부(186)가 구비되고, 제 2 보조본체(110c)에는 제 2 보조타격부재(150b), 제 2 안착부(120b) 및 제 2 보조저장부(188)가 구비된다.
본체(110a), 이동부재(120), 인식부(130), 제어부(140), 타격부재(150), 슬라이딩부(160), 압착부재(170) 및 저장부재(180)는 상기 제 1 실시예와 동일 또는 유사한 것이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은 간략하게 기재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본체(110a)는 예를 들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본체(110a)의 전면 상측에 투입구(112)가 형성되고, 본체(110a)의 전면 하측에 배출구(114)가 형성된다. 이동부재(120)는 본체(110a) 내부에 위치되되 전측은 본체(110a)의 투입구(112)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후측은 본체(110a)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인식부(130)는 투입구(112)에서 이동부재(120)의 전측으로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정보로 인식한다. 타격부재(150)는 이동부재(120)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이동부재(120)의 길이방향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타격시킨다. 이하에서, 좌측 및 우측이라 함은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도 8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절대적인 기준은 아님을 밝혀둔다. 제어부(140)는 인식부(130)가 인식한 재활용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재활용품의 종류를 인식하고,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타격부재(150)가 재활용품을 이동부재(120)의 길이방향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타격시키도록 제어한다. 저장부재(180)는 이동부재(120)의 하부에 위치되되 타격부재(150) 타격에 의하여 이동부재(120)의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이 저장된다.
제 1 보조본체(110b)는 본체(110a)의 좌측에 장착되고 제 2 보조본체(110c)는 본체(110a)의 우측에 장착된다. 여기서 제 1 보조본체(110b)의 상부와 본체(110a)의 좌측 사이 및 제 2 보조본체(110c)의 상부와 본체(110a)의 우측 사이는 상호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보조타격부재는 제 1 보조본체(110b)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1 보조타격부재(150a) 및 제 2 보조본체(110c)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 2 보조타격부재(15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1 보조타격부재(150a)는 이동부재(120)의 좌측에 위치되고, 제 2 보조타격부재(150b) 이동부재(120)의 우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 1, 2 보조타격부재(150a, 150b)는 타격부재(150)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된다.
안착부는 이동부재(120)의 가이드부(128)를 제외한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되는 것으로, 제 1 보조타격부재(150a)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안착부(120a) 및 제 2 보조타격부재(150b)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2 안착부(120b)를 포함한다. 그리고 타격부재(150)의 타격에 의하여 이동부재(120)의 좌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은 제 1 안착부(120a)로 안착되고, 이동부재(120)의 우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은 제 2 안착부(120b)로 낙하된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제 1 보조타격부재(150a)가 제 1 안착부(120a)로 안착된 재활용품을 제 1 안착부(120a)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타격시키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제 2 보조타격부재(150b)가 제 2 안착부(120b)로 안착된 재활용품을 제 2 안착부(120b)의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타격시킨다.
보조저장부는 제 1 안착부(120a)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보조저장부(186) 및 제 2 안착부(120b)의 하부에 위치되는 제 2 보조저장부(188)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안착부(120a)로 안착되는 재활용품은 제 1 보조타격부재(150a)의 타격에 의하여 제 1 안착부(120a)의 좌측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보조저장부(186)로 저장되거나 또는 제 1 안착부(120a)의 우측 하부에 위치되는 제 1 보조저장부(186)로 저장된다. 그리고 제 2 안착부(120b)로 안착되는 재활용품은 제 2 보조타격부재(150b)의 타격에 의하여 제 2 안착부(120b)의 좌측 하부에 위치되는 제 2 보조저장부(188)로 저장되거나 또는 제 2 안착부(120b)의 우측 하부에 위치되는 제 2 보조저장부(188)로 저장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본체(110a)에 제 1, 2 보조본체(110b, 110c)를 추가하는 형식으로 다양한 재활용품을 종류별로 분류 및 수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0: 재활용품 수거 장치 101: 재활용품 수거 장치
110, 110a: 본체 110b: 제 1 보조본체
110c: 제 2 보조본체 112: 투입구
114: 배출구 120: 이동부재
120a: 제 1 안착부 120b: 제 2 안착부
122: 제 1 회전축 124: 제 2 회전축
126: 밴드 128: 가이드부
129: 오목부 130: 인식부
140: 제어부 142: 모터구동부
150: 타격부재 150a: 제 1 보조타격부재
150b: 제 2 보조타격부재 152: 회전모터
154: 타격부 160: 슬라이딩부
162: 측벽부 170: 압착부재
172: 제 1 압착부 174: 제 2 압착부
180: 저장부재 182: 제 1 저장부
184: 제 2 저장부 186: 제 1 보조저장부
188: 제 2 보조저장부

Claims (13)

  1. 상측에 재활용품이 투입되도록 투입구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부에 위치되되 전측은 상기 투입구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후측은 상기 본체 내부를 향하도록 형성되는 이동부재;
    상기 본체에 장착되며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이동부재의 전측으로 투입되는 재활용품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타격시키는 타격부를 갖는 타격부재;
    상기 인식부가 인식한 재활용품의 정보를 전달받아 재활용품의 종류를 인식하고, 재활용품의 종류에 따라 상기 타격부가 재활용품을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타격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이 저장되는 저장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는 회전모터; 및
    일측은 상기 회전모터에 장착되고 타측은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면서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 일측 또는 타측 방향으로 타격하는 상기 타격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재의 길이방향 양측을 따라 가이드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타격부와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부의 후측은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와 상기 저장부재 사이에 위치되는 압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을 압착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을 압착시키는 제 1 압착부와,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 하부에 위치되되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타측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을 압착시키는 제 2 압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저장부재는:
    상기 제 1 압착부가 압착시킨 재활용품이 저장되는 제 1 저장부와, 상기 제 2 압착부가 압착시킨 재활용품이 저장되는 제 2 저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착부와 상기 제 2 압착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투입구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 내부 전측에 장착되는 제 1 회전축;
    상기 투입구와 멀리 떨어지는 상기 본체 내부 후측에 상기 제 1 회전축과 평행하도록 장착되는 제 2 회전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 사이에 병렬로 배열되는 복수 개의 밴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축과 상기 제 2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복수 개의 상기 밴드가 회전되면서 상기 투입구에서 상기 밴드의 전측으로 떨어진 재활용품을 상기 타격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호 인접한 한 쌍의 상기 밴드들은 상호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측에 재활용품이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이동부재의 하측과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전측은 상기 배출구 방향을 향하도록 연장되고, 후측은 상기 배출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보다 멀리 떨어지도록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정보로부터 재활용품의 종류를 인식하지 못한 경우, 상기 타격부가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으로 이동된 재활용품을 타격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타격부가 타격하지 않은 재활용품은 상기 이동부재의 후측을 지나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측으로 낙하된 후 상기 슬라이딩부를 따라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측에 위치된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부의 후측은 상기 슬라이딩부의 전측보다 높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부재는 복수 개가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재는 각각의 상기 타격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도록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 또는 양측에 위치되는 보조타격부재;
    상기 보조타격부재의 하부에 위치되는 안착부; 및
    상기 안착부의 하부에 위치되는 보조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이동부재의 하부로 낙하되는 재활용품은 상기 안착부로 안착되고,
    상기 안착부로 안착되는 재활용품은 상기 보조타격부의 타격에 의하여 상기 안착부의 일측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저장부재로 저장되거나 또는 상기 안착부의 타측 하부에 위치되는 상기 보조저장부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품 수거 장치.
KR1020180006097A 2018-01-17 2018-01-17 재활용품 수거 장치 KR1020561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097A KR102056183B1 (ko) 2018-01-17 2018-01-17 재활용품 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097A KR102056183B1 (ko) 2018-01-17 2018-01-17 재활용품 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815A KR20190087815A (ko) 2019-07-25
KR102056183B1 true KR102056183B1 (ko) 2020-01-22

Family

ID=67468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097A KR102056183B1 (ko) 2018-01-17 2018-01-17 재활용품 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61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60B1 (ko) 2019-12-05 2021-06-11 울산과학기술원 평탄보관이 가능한 재활용품 수거 장치
KR102307744B1 (ko) * 2020-07-21 2021-10-05 수퍼빈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 장치
KR20230092062A (ko) 2021-12-16 2023-06-26 김홍기 재활용품 선별 회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905Y1 (ko) 2019-10-30 2020-01-20 전준하 박스 분리수거를 위한 홀더
CN110899305A (zh) * 2019-12-13 2020-03-24 海南日道环卫服务有限公司 一种垃圾分类处理装置
KR102574655B1 (ko) 2023-03-10 2023-09-11 (주)에코센트레 분리수거 장치 및 이에 기반한 재활용품 선순환 시스템
KR102567949B1 (ko) * 2023-03-24 2023-08-16 (주)에코센트레 페트병 회수장치
KR102595679B1 (ko) 2023-06-07 2023-10-30 (주)에코센트레 Ai 기반 재활용 합성수지 폐기물 선별 수거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676B1 (ko) 2008-02-12 2008-08-07 전기정 음료용기의 선별 및 압착장치
KR100972533B1 (ko) 2010-04-20 2010-07-28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1779782B1 (ko) 2017-05-26 2017-10-11 수퍼빈 주식회사 인공신경망 분석에 근거한 복합적 물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07574Y1 (en) 1993-10-19 1997-10-21 Jin Do Co Ltd Movable recycle supplies press
US6238176B1 (en) * 1999-12-17 2001-05-29 Midamerica Recycling Company Method of loading recyclable containers into trailers
KR20020003087A (ko) * 2001-06-25 2002-01-10 정용규 재활용 쓰레기의 분리수거장치
JP4849813B2 (ja) * 2005-03-28 2012-01-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スライドシュー式物品仕分けコンベヤ
KR20060113231A (ko) * 2005-04-30 2006-11-02 이국현 폐자원 회수용 자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98483A (ko) * 2008-03-14 2009-09-17 주식회사 코로텍소팅시스템 화물 분류 컨베이어 및 이를 이용한 화물분류 장치와 화물분류방법
KR20100076119A (ko) * 2008-12-26 2010-07-0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근접센서를 이용한 금속 캔 분리장치
KR20140108992A (ko) * 2013-03-04 2014-09-15 (주)에코비트윈 재활용품 식별 및 압착기
KR101406682B1 (ko) * 2013-09-23 2014-06-27 (주)주원 폐기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0676B1 (ko) 2008-02-12 2008-08-07 전기정 음료용기의 선별 및 압착장치
KR100972533B1 (ko) 2010-04-20 2010-07-28 주식회사 에코크레이션 재활용 용기 선별수거장치
KR101779782B1 (ko) 2017-05-26 2017-10-11 수퍼빈 주식회사 인공신경망 분석에 근거한 복합적 물체 인식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3960B1 (ko) 2019-12-05 2021-06-11 울산과학기술원 평탄보관이 가능한 재활용품 수거 장치
KR102307744B1 (ko) * 2020-07-21 2021-10-05 수퍼빈 주식회사 재활용품 수거 장치
KR20230092062A (ko) 2021-12-16 2023-06-26 김홍기 재활용품 선별 회수장치
KR102580855B1 (ko) * 2021-12-16 2023-09-21 김홍기 재활용품 선별 회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815A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6183B1 (ko) 재활용품 수거 장치
CN104443949B (zh) 一种智能识别卡自动分选收集方法
CN210527448U (zh) 居住区中垃圾自动分类的垃圾箱
CN108339834B (zh) 一种智能废旧玻璃处理装置
CN108910365A (zh) 垃圾分类回收机器人
CN103008253A (zh) 一种空瓶自动分拣装置
KR102162265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CN110371532B (zh) 一种移动互联式废旧塑料瓶分类回收机
KR20100127911A (ko) 자동 분리수거 쓰레기통
CN108357818A (zh) 自动分拣的垃圾桶
CN211168357U (zh) 一种生活垃圾沥水分类回收机
CN110980040A (zh) 基于光谱识别的智能型可回收物回收箱
KR102541029B1 (ko) Ai기반 페트병 수거 시스템
CN108499903B (zh) 一种即时性环保可回收垃圾处理装置
CN108455127B (zh) 智能分类的垃圾桶
KR20160018189A (ko) 쓰레기 분리 수거함
CN109823732A (zh) 一种可分类回收的环保垃圾桶
CN210691448U (zh) 一种智能饮料瓶全面回收设备及其全面回收系统
CN108146941A (zh) 一种新型环保车及其控制方法
KR102160084B1 (ko) 공동주택에서 배출된 폐플라스틱을 종류별로 선별하는 시스템
CN210943284U (zh) 具有称重功能的智能回收箱
CN110641867A (zh) 一种带自动打包功能的智能垃圾箱
CN212126363U (zh) 一种智能全自动分类回收箱
CN210428624U (zh) 一种智能饮料瓶自动回收机
CN211563741U (zh) 一种智能饮料瓶回收分类设备及其回收分类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